KR102447313B1 - Commercially pure titanium having high strength and high duct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mmercially pure titanium having high strength and high duct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313B1
KR102447313B1 KR1020200062074A KR20200062074A KR102447313B1 KR 102447313 B1 KR102447313 B1 KR 102447313B1 KR 1020200062074 A KR1020200062074 A KR 1020200062074A KR 20200062074 A KR20200062074 A KR 20200062074A KR 102447313 B1 KR102447313 B1 KR 102447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tanium
less
rolled
tw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0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54971A (en
Inventor
원종우
홍재근
김재혁
박찬희
염종택
이상원
최성우
Original Assignee
한국재료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재료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재료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10054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9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3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4/00Alloys based on tita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4Making non-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 C22C1/045Alloys based on refractory metals
    • C22C1/0458Alloys based 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강도와 고연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상업적으로 순수한 타이타늄 합금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타늄은 중량 %로, 산소(O): 0.35 중량% 이하, 수소(H): 0.015 중량% 이하, 철(Fe): 0.3 중량% 이하, 탄소(C): 0.1 중량% 이하 및 잔부 타이타늄(Ti)인 성분 및 조성범위;와, 쌍정 밴드의 평균 두께가 1㎛ 이하(0은 제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ercially pure titanium alloy that satisfies both high strength and high ductility at the same tim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herein titan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weight%, oxygen (O): 0.35% by weight or less, hydrogen ( H): 0.015 wt % or less, iron (Fe): 0.3 wt % or less, carbon (C): 0.1 wt % or less, and the remainder titanium (Ti). (excluding 0); is characterized.

Description

고강도 및 고연성을 갖는 순수 타이타늄 및 그 제조 방법 {COMMERCIALLY PURE TITANIUM HAVING HIGH STRENGTH AND HIGH DUCT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ure titanium having high strength and high duct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강도 및 고연성을 갖는 타이타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한 인장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순수한(commercially pure) 타이타늄에 새로운 미세 구조를 도입한 고강도 및 고연성을 가지는 타이타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itanium having high strength and high ductilit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titanium having high strength and high ductility by introducing a new microstructure into commercially pure titanium to achieve excellent tensile properties and It relates to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타이타늄 합금은 낮은 밀도와 높은 강도, 우수한 비강도(specific strength) 및 생체 적합성(biocompatibility)을 가지므로 많은 산업분야에 이용되고 있다.Titanium alloy has a low density, high strength, excellent specific strength (specific strength) and biocompatibility (biocompatibility) is used in many industrial fields.

그 중에서도 상업적으로 순수한 타이타늄(commercially pure titanium, 이하 본 명세서에서 타이타늄 또는 순수한 타이타늄은 상업적으로 순수한 타이타늄을 의미한다)은 우수한 부식 저항성과 생체 적합성을 가진다. 그러나 순수한 타이타늄은 육방정계(hexagonal close packed, HCP) 단상(single phase)의 특성으로 인해 낮은 항복강도를 가지므로 공업적인 응용에 제한을 받아 왔다.Among them, commercially pure titanium (hereinafter, titanium or pure titanium means commercially pure titanium) has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biocompatibility. However, since pure titanium has a low yield strength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 hexagonal close packed (HCP) single phase, industrial applications have been limited.

상기 순수한 타이타늄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기존에는 주로 결정립 미세화(grain refinement) 방법이 주로 적용되었다. In order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pure titanium, a grain refinement method has been mainly applied in the prior art.

결정립 미세화 방법들 중 하나로서 변형에 의한 트윈(deformation twin)은 다양한 금속들에서 결정립 기지를 미세화시키는데 주된 메커니즘으로 이용된다. As one of the grain refining methods, deformation twin by deformation is used as the main mechanism for refining the grain matrix in various metals.

상기 변형 트윈은 결정립계와 유사하게 거동하는 고경각(high angle) 트윈 경계를 형성하여 결정립 기지를 분할하게 된다. 상기의 트윈 구조는 수많은 고경각 트윈 경계를 포함하여 결정립 기지의 상당한 미세화를 유발한다.The deformed twin forms a high-angle twin boundary that behaves similarly to a grain boundary, thereby dividing the grain matrix. The above twin structure includes numerous high-angle twin boundaries, leading to significant refinement of the grain matrix.

그 결과 면심입방격자(face centered cubic) 금속들에서 평균 결정립 크기가 1 ㎛ 미만인 초미세 결정립(ultra-fine) 미세조직은 트윈유기 결정립 미세화를 통해 얻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FCC 금속들의 강도는 크게 증가할 수 있다.As a result, in face centered cubic metals, an ultra-fine microstructure with an average grain size of less than 1 μm can be obtained through twin organic grain refinement, which significantly increases the strength of FCC metals. can increase

반면 타이타늄과 같은 육방정계 금속에서의 트윈 미세조직은 결정립들 내에서 단지 몇몇의 두꺼운(수십~수백 ㎛) 트윈들로 이루어지므로 결정립 미세화에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known that the twin microstructure in hexagonal metals such as titanium is not effective for grain refinement because it consists of only a few thick (tens to hundreds of μm) twins in the grains.

따라서 순수한 타이타늄에서는 초미세 결정립 미세조직은 쉽게 형성되지 못하므로, 순수한 타이타늄은 매우 제한된 강도의 증가만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refore, since the ultrafine grain microstructure is not easily formed in pure titanium, it is known that only a very limited increase in strength occurs in pure titanium.

한편 순수한 타이타늄에서의 초미세 결정립 미세조직은 ECAP(equi channel angular procee)와 같은 강소성 가공법(severe plastic deformation)에 의해서만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금속 분야에서 종래부터 널리 사용되는 압연, 압출 등의 가공 방법은 상업적으로 순수한 타이타늄 내에 초미세 결정립을 도입하지 못하였다.On the other hand, it is known that the ultrafine grain microstructure in pure titanium is possible only by severe plastic deformation such as ECAP (equi channel angular procedure). Processing methods such as rolling and extrusion, which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metal field, have not been able to introduce ultra-fine grains into commercially pure titanium.

그런데 종래의 강소성 가공법은 제한된 형상을 가지는 작은 시편만을 만들 수 있으므로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가공재의 형상의 제한되거나 또는 판재 등과 같이 그 자체만으로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형상을 만들기 어려운 가공 방법은 그 사용범위가 매우 제한되는 근본적인 문제를 가진다.However, the conventional plastic processing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ractical because it can make only a small specimen having a limited shape. In particular, a processing method that is difficult to make a shape capable of forming a structure by itself, such as a limited shape of a workpiece or a plate material, has a fundamental problem in that its range of use is very limited.

한편 타이타늄이 포함되는 일반적인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에서는 강도가 증가하면 연성 및/또는 인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시 말하면, 강도와 연성 및/또는 인성은 서로 트레이드오프(trade-off) 관계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known that in general metals containing titanium or alloys thereof, ductility and/or toughness decrease when strength increases. In other words, it is common for strength and ductility and/or toughness to have a trade-off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본 발명에서는 상업적으로 순수한 타이타늄 결정립 내에서도 수많은 얇은 미세한 트윈들을 도입하여 초미세 결정립 미세조직을 형성할 수 있는 타이타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연신율의 큰 감소 없이 항복강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순수한 타이타늄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itanium capable of forming an ultrafine grain microstructure by introducing numerous thin fine twins even in commercially pure titanium grains.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provide pure titanium with remarkably improved yield strength without significant reduction in elong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미세조직을 가지는 고강도 및 고연성 타이타늄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igh-strength and high-ductility titanium having a novel microstructu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순수한 타이타늄에 초미세 결정립 미세조직을 도입할 수 있는 고강도 및 고연성 타이타늄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미세조직을 가짐으로써 종래에는 달성하지 못한 고강도 및 고연성 특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타이타늄을 제공하는 것이다.Specific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strength and highly ductile titanium capable of introducing an ultra-fine grain microstructure into pure titanium, and by having the microstructure, it can have high strength and high ductility properties that were not previously achieved at the same time. to provide titanium.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트윈 유기 결정립 미세화를 통한 초미세 결정립 미세조직을 가지면서 동시에 전위밀도를 제어한 고강도 및 고연성 타이타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high-strength and high-ductility titanium having an ultra-fine grain microstructure through twin organic grain refinement and at the same time controlling dislocation density.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강소성 공정을 수행하지 않고 일반적인 압연 공정만으로도 고강도 및 고연성을 달성할 수 있는 타이타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itanium capable of achieving high strength and high ductility only by a general rolling process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plasticizing process.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may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appended claim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타늄은 쌍정 밴드의 평균 두께가 1㎛ 이하(0은 제외)인 상업적으로 순수한(commercially pure) 타이타늄 일 수 있다.Titan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may be commercially pure titanium having an average thickness of twin bands of 1 μm or less (excluding 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타늄은 중량 %로, 산소(O): 0.35 중량% 이하, 수소(H): 0.015 중량% 이하, 철(Fe): 0.3 중량% 이하, 탄소(C): 0.1 중량% 이하 및 잔부 타이타늄(Ti)인 성분 및 조성범위;와, 쌍정 밴드의 평균 두께가 1㎛ 이하(0은 제외)인 것;을 특징으로 타이타늄 일 수 있다.Titaniu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eight %, oxygen (O): 0.35 wt% or less, hydrogen (H): 0.015 wt% or less, iron (Fe): 0.3 wt% or less, carbon (C): 0.1 It may be titaniu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onent and composition range are weight % or less and the balance is titanium (Ti); and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twin band is 1 μm or less (excluding 0).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이타늄의 평균 결정립 크기는 5.2㎛ 이하(0은 제외)일 수 있다.Preferably, the average grain size of the titanium may be 5.2㎛ or less (excluding 0).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정립당 쌍정 밴드의 평균 개수는 19개 이상일 수 있다.Preferably, the average number of twin bands per crystal grain may be 19 or more.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이타늄의 전위 밀도는 4.5*1015/㎡ 이하일 수 있다.Preferably, the dislocation density of the titanium may be 4.5*10 15 /m 2 or less.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이타늄의 항복강도*연신율로 정의되는 인장물성 값은 10.5MPa% 이상일 수 있다.Preferably, the tensile property value defined by the yield strength * elongation of the titanium may be 10.5 MPa% or more.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이타늄의 항복강도*연신율로 정의되는 인장물성 값은 12.5MPa% 이상일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tensile property value defined by the yield strength * elongation of the titanium may be 12.5 MPa% or mor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타늄의 제조 방법은 상업적으로 순수한 타이타늄 모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합금 모재를 압하율 20%~40% 범위와 온도 -196℃~-10℃의 범위에서 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itaniu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commercially pure titanium base material; It may include; rolling the alloy base material in the range of 20% to 40% of the rolling reduction and the temperature in the range of -196°C to -10°C.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이타늄 모재는 중량 %로, 중량 %로, 산소(O): 0.35 중량% 이하, 수소(H): 0.015 중량% 이하, 철(Fe): 0.3 중량% 이하, 탄소(C): 0.1 중량% 이하 및 잔부 타이타늄(Ti)의 성분 및 조성범위를 가질 수 있다.Preferably, the titanium base material in weight %, in weight %, oxygen (O): 0.35 wt % or less, hydrogen (H): 0.015 wt % or less, iron (Fe): 0.3 wt % or less, carbon (C) : 0.1 wt% or less and the remainder may have a component and composition range of titanium (Ti).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이타늄 모재는 압연 후 소둔된 미세조직을 가질 수 있다.Preferably, the titanium base material may have an annealed microstructure after rolling.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이타늄 모재는 c축이 두께 방향으로 정렬된 집합 조직을 가질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titanium base material may have a texture in which the c-axis is align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일반적인 압연 공정으로도 높은 강도와 연신율을 가지는 타이타늄을 제조하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method of manufacturing titanium having high strength and elongation even with a conventional general rolling proces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쌍정 밴드로 인한 결정립 미세화와 전위 밀도 제어가 가능한 타이타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titanium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n which grain refinement and dislocation density control are possible due to twin bands.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 존재하지 않은 매우 높은 인장물성 값을 가지는 타이타늄 및 그 제조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itanium having a very high tensile property value that does not exist in the prior ar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an be implemented.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describ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등급 2 타이타늄 초기재의 미세조직(a)과 집합조직(b)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압하량 20% 내지 60% 조건에서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의 미세조직을 관찰한 사진이다.
도 3은 압하량 20% 내지 60% 조건에서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의 미세조직을 관찰한 사진이다.
도 4는 압하량 30% 조건에서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과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의 인장물성을 나타낸다.
도 5는 10% 내지 60%의 다양한 압하율 조건에서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a)과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b)의 응력-변형률 곡선이다.
도 6은 종래의 타이타늄,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 및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의 연신율 대 항복강도의 관계를 도시한다.
1 shows the microstructure (a) and the texture (b) of the grade 2 titanium initial material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hotograph of observing the microstructure of titanium rolled at room temperature under the conditions of 20% to 60% of the rolling reduction.
3 is a photograph of observing the microstructure of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under the conditions of 20% to 60% of the rolling reduction.
Figure 4 shows the tensile properties of the titanium rolled at room temperature and the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under the condition of 30% of the rolling reduction.
5 is a stress-strain curve of titanium (a) and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b) rolled at room temperature under various reduction conditions of 10% to 60%.
6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elongation versus yield strength of conventional titanium, room temperature rolled titanium and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Only this embodiment is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t will only be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Furth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may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nature, order, order, or numb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ach component may be “interposed” or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또한 본 발명에서의 평균 결정립 크기는 전통적인 고경각 입계(high angle grain boundary)에 의해 구분되는 결정립들 뿐만 아니라 결정립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 또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고경각 트윈 입계(high angle twin boundary)에 의해 구분되는 결정립들을 포함한 전체 결정립의 평균 크기를 의미한다.In addition, the average grain siz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a high angle twin boundary using a method or program for measuring grain size as well as grains separated by a traditional high angle grain boundary. It means the average size of all grains including the distinct grains.

또한 앞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타이타늄, 순수한 타이타늄 또는 상업적으로 순수한 타이타늄은 모두 상업적으로 순수한 타이타늄(commercially pure titanium)을 의미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itanium, pure titanium, or commercially pure titanium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commercially pure titanium.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타이타늄은 체심입방격자(body centered cublic, BCC) 구조를 가지는 고온의 베타상과 육방체밀격자(hexagonal close packed, HCP) 구조를 가지는 저온의 알파상의 두 가지 결정구조를 가지는 동소변태(polymorphous) 원소이다.Titanium is a polymorphous element having two crystal structures: a high-temperature beta phase with a body centered cubic (BCC) structure and a low-temperature alpha phase with a hexagonal close packed (HCP) structure. .

상기 동소변태가 발생하는 온도를 베타 트랜서스(beta transus) 온도라 하며, 타이타늄은 베타 트랜서스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육방체밀격자(hexagonal closed packing, HCP)의 결정 구조를 가진다.The temperature at which the isotropic transformation occurs is referred to as a beta transus temperature, and titanium has a hexagonal closed packing (HCP) crystal structure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beta transus temperature.

소위 말하는 상업적으로 순수한(commercially pure) 타이타늄은 상기 타이타늄에 별도의 합금원소를 인위적으로 첨가하지 않은 타이타늄을 의미한다. 그러나 순수한 타이타늄에도 열역학적인 이유와 정련 등의 제조 공상상의 이유로 인해 몇 가지 대표적인 불순물들이 포함되며, 상기 불순물들의 성분 및 조성범위는 ASTM(미국재료시험협회,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Materials) 등의 규격에 의해 규정된다.The so-called commercially pure titanium means titanium without artificially adding a separate alloying element to the titanium. However, even pure titanium contains several representative impurities due to thermodynamic reasons and manufacturing fanciful reasons such as refining, and the components and composition ranges of the impurities are determined by standards such as ASTM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Materials). stipulat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고강도 및 고연성을 가지는 타이타늄의 성분 및 조성범위는 다음과 같다.Components and composition ranges of titanium having high strength and high ductility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산소(O): 0.35 중량% 이하, Oxygen (O): 0.35% by weight or less,

수소(H): 0.015 중량% 이하, Hydrogen (H): 0.015% by weight or less,

철(Fe): 0.3 중량% 이하, Iron (Fe): 0.3 wt% or less;

탄소(C): 0.1 중량% 이하 및 잔부 타이타늄. Carbon (C): 0.1% by weight or less and the balance titanium.

본 발명에서의 상기 성분 및 조성범위는 ASTM에서 등급 3(grade 3)으로 규정된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고강도 및 고연성을 가지는 타이타늄의 성분 및 조성범위는 상기 ASTM의 등급 3 이하의 타이타늄, 즉 등급 1 내지 3까지의 타이타늄을 포함한다. The components and composition ranges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as grade 3 in ASTM. In other words, the components and composition ranges of titanium having high strength and high ductility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itanium of grade 3 or less of ASTM, that is, grades 1 to 3 of titanium.

특히 산소의 함량은 본 발명의 고강도 및 고연성을 가지는 타이타늄의 초미세 결정립 미세조직에 큰 영향을 미친다. 산소의 함량이 0.35%보다 높으면 쌍정의 활성화가 억제되고 그로 인해 초미세 결정립 미세조직이 형성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In particular, the content of oxygen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ultrafine grain microstructure of titanium having high strength and high duct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because, when the oxygen content is higher than 0.35%, the activation of twin crystals is inhibited, thereby making it difficult to form an ultrafine grain microstructur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고강도 및 고연성을 가지는 타이타늄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method for manufacturing titanium having high strength and high ductility used in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서는 극저온 온도인 약 -196℃(77K)에서 변형된(가공도) 순수한 타이타늄 내의 미세조직을 제어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structure in pure titanium deformed (workability) at a cryogenic temperature of about -196°C (77K) was controlled.

본 발명에서는 수많은 얇고 개별적인 트윈(twin)들이 결정립들 내에 형성되었다. 이를 통해 매우 강력한 트윈 유기(twining induced) 결정립 미세화가 가능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numerous thin and individual twins are formed within the grains. This enabled very strong twining induced grain refinement.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가공된 순수한 타이타늄은 초미세 결정립 미세조직을 가졌다. 상기 초미세 결정립 미세조직은 순수한 타이타늄의 강도를 크게 증가시켰으며, 강도의 획기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놀랍게도 연성의 큰 감소를 유발시키지 않았다. 상기 기계적 강도의 획기적인 개선은 가공된 타이타늄 내에 트윈 구조와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전위(dislocation)에 의해 네킹 불안정성(necking instability)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되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순수한 타이타늄에서 뛰어난 인장특성을 획득할 수 있는 새로운 공업적인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The pure titanium processed by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d an ultrafine grain microstructure. The ultrafine grain microstructu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trength of pure titanium, and surprisingly did not cause a significant decrease in ductility despite the dramatic increase in strength. The remarkable improvement in mechanical strength is due to the increased resistance to necking instability due to the twin structure and the relatively small number of dislocations in the processed titaniu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industrial method for obtaining excellent tensile properties from pure titanium.

본 발명은 상기 극저온 가공에 의해 순수한 타이타늄 내에 트윈 미세조직이 형성되어 초미세 결정립 미세조직이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상기 극저온 가공된 타이타늄은 우수한 연신율과 함께 매우 향상된 항복강도를 가지며, 항복강도와 연신율 모두 상온에서 가공된 타이타늄보다 극저온 가공된 타이타늄에서 더욱 우수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rmed that a twin microstructure was formed in pure titanium by the cryogenic processing, thereby forming an ultrafine grain microstructure. The cryogenically processed titanium has very improved yield strength with excellent elongation, and both yield strength and elongation were superior to cryogenically processed titanium than to processed titanium at room temperature.

본 발명에서는 열간압연 후 소둔된(mill-annealed) 두께 4㎜의 타이타늄 판재를 초기재(initial material)로 이용하여 극저온 가공하였다. 상기 판재 타이타늄의 성분 및 조성범위는 중량 %(wt. %, 이하 %라 한다) 산소 0.21%, 탄소 0.01%, 질소 0.01%, 잔부 타이타늄(Ti)으로 측정되었다. 상기 초기재는 트윈이 없는 등축 결정립 미세조직을 가지며, 평균 결정립 크기는 31㎛이며, 전형적인 압연 텍스쳐 조직을 가지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titanium plate having a thickness of 4 mm that has been annealed after hot rolling is used as an initial material and subjected to cryogenic processing. The component and composition range of the titanium plate was measured as weight % (wt. %, hereinafter referred to as %) oxygen 0.21%, carbon 0.01%, nitrogen 0.01%, and the remainder titanium (Ti). The initial material had an equiaxed grain microstructure without twins, the average grain size was 31 μm, and it was measured to have a typical rolled texture structure.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극저온 가공(구체적으로 극저온 롤링) 및 상온 가공 후의 전체 압하율(두께 감소율)의 최대치를 40%로 설정되었다. 만일 두께 감소율이 40%를 초과하게 되면, 트윈 활성도가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이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ximum value of the total reduction ratio (thickness reduction rate) after cryogenic processing (specifically, cryogenic rolling) and room temperature processing was set to 40%. This is because, if the thickness reduction rate exceeds 40%, the twin activity rapidly decreases.

본 발명에서의 초기재는 극저온 압연을 위해 압연 시의 각각의 패스 직전에 -196℃(77K)의 액체질소에 담겼다. 초기재가 액체 질소에 담겨지면 액체질소는 보일링(boiling)하게 되고, 초기재의 온도가 액체질소의 온도까지 냉각되면 액체질소의 보일링은 중단되었다. 상기와 같은 액체질소의 보일링 현상은 초기재의 온도가 액체질소의 온도까지 냉각됨을 보장할 수 있다.The initial material in the present invention was immersed in liquid nitrogen at -196°C (77K) immediately before each pass during rolling for cryogenic rolling. When the initial material is immersed in liquid nitrogen, liquid nitrogen is boiled,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itial material is cooled to the temperature of liquid nitrogen, the boiling of liquid nitrogen is stopped. The boiling phenomenon of liquid nitrogen as described above can ensure that the temperature of the initial material is cooled to the temperature of liquid nitrogen.

다만 액체질소로 냉각된 초기재는 극저온 압연 중에 주위 환경 및 마찰 등으로 인해 그 온도가 다소 상승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그러나 극저온 압연 중에 시편의 온도는 모든 실시예에서 -10℃보다 높아지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However, it was measured that the temperature of the initial material cooled with liquid nitrogen slightly increased due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friction during cryogenic rolling.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pecimen during cryogenic rolling did not become higher than -10°C in all examples.

미세조직은 EBSD(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측정을 이용하여 조사되었다. X-선 회절(XRD) 피크들은 모노크로마틱 CuKα 조사(radiation)를 이용한 θ-2θ 디프렉토미터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인장특성들은 상온에서 변형률 10-3/s의 조건에서 INSTRON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인장시편들은 ASTM-E8의 규격에 따라 게이지 길이는 25㎜, 폭은 6㎜, 두께는 2㎜로 가공되었으며 판상 시편의 압연방향을 따라 시료들이 채취되어 가공되었다. 인장시험 동안 네킹(necking) 거동은 Aramis system을 가지는 디지털 이미지 교정기(digital image correction, 이하 DIC)를 사용하여 정량화되었다.The microstructure was investigated using 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EBSD) measurements. X-ray diffraction (XRD) peaks were measured using a θ-2θ diffractometer using monochromatic CuKα radiation. Tensile properties were measured using INSTRON equipment at room temperature and strain rate of 10-3/s. The tensile specimens were machined to a gauge length of 25 mm, a width of 6 mm, and a thickness of 2 mm according to the ASTM-E8 standard. Samples were collected and processed along the rolling direction of the plate-shaped specimen. The necking behavior during the tensile test was quantified using a digital image correction (DIC) with Aramis system.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se are presented as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sense.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Content not described herein will be omitted because it can be technical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등급 2(grade 2) 타이타늄 초기재의 미세조직(a)과 집합조직(b)을 도시한 것이다.1 shows the microstructure (a) and the texture (b) of a grade 2 (grade 2) titanium initial material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초기재로는 압연 후 소둔된 판재 형상의 타이타늄이 이용되었다. 따라서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초기재는 등축의 결정립으로 이루어진 미세조직을 가진다. 또한 도 1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초기재는 육방체밀격자를 가지는 타이타늄의 c축이 판재의 두께 방향으로 정렬된 집합조직을 가짐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s the initial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titanium in the form of a plate material that was annealed after rolling was used. Accordingly, as shown in (a) of FIG. 1 , the initial material has a microstructure composed of equiaxed grains. Also, as shown in (b) of FIG. 1 , it can be seen that the initial material has a texture in which the c-axis of titanium having a hexagonal tight lattice is align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late material.

c축은 육방체밀격자에서 슬립(slip)이 일어나기 어려운 방향이다. 따라서 초기재로 c축이 판재의 두께 방향으로 정렬된 미세조직을 가지게 되면, 후속 압연시 슬립(slip)의 발생이 억제되고 트윈의 발생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그 결과 트윈의 활성화가 더욱 조장되어 트윈에 의한 초미세 결정립 획득이 유리해지며 나아가 슬립의 억제로 인해 전위 밀도의 증가를 방지하여 가공연화를 지연시키는데 유리하다. The c-axis is the direction in which slip is difficult to occur in the hexagonal tight lattice. Therefore, if the c-axis has a microstructure align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late as the initial material, the occurrence of slip during subsequent rolling is suppressed and the generation of twins becomes easier. As a result, activation of twin is further promoted, which makes it advantageous to acquire ultrafine grains by twin, and furthermore, it is advantageous in delaying work softening by preventing an increase in dislocation density due to suppression of slip.

도 2는 압하량 20% 내지 60% 조건에서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의 미세조직을 관찰한 사진이다. 2 is a photograph of observing the microstructure of titanium rolled at room temperature under the conditions of 20% to 60% of the rolling reduction.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에서는 먼저 {11-22} 트윈(primary twin)이 대부분의 결정립에서 형성되고, {10-12} 트윈(secondary twin)이 이전에 형성된 {11-22} 트윈에서 활성화되었다. 상기 2가지 트윈들은 타이타늄에서 가장 보편적인 트윈 시스템이다. In titanium rolled at room temperature, {11-22} twins were first formed in most grains, and {10-12} twins were activated in the previously formed {11-22} twins. These two twins are the most common twin systems in titanium.

한편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은 압하량이 20 내지 60%의 구간에서 쌍정밴드가 없는 조대한 긴 결정립이 거의 그대로 유지됨을 도 2로부터 알 수 있다. 쌍정밴드를 포함한 결정립들의 경우 압하량과 무관하게 그 두께가 수 ㎛ 수준으로 유지되고, 그 결과 쌍정이 발생한 결정립에서도 높은 결정립 분절 효과를 보이지 못하였다.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from FIG. 2 that, in the titanium rolled at room temperature, the coarse long crystal grains without twin bands were almost maintained in the section where the rolling reduction was 20 to 60%. In the case of crystal grains including twin bands, the thickness was maintained at a level of several μm regardless of the reduction amount, and as a result, the crystal grains in which twins occurred did not show a high grain segmentation effect.

또한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은 압하량이 20%에서 60%로 증가하더라도 쌍정의 전체 양은 증가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거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itanium rolled at room temperature, the total amount of twins did not increase even when the rolling reduction was increased from 20% to 60%, and it was foun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or similar.

이상과 같은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의 미세조직 결과는 상온 압연은 타이타늄의 초미세 결정립 미세조직 구현에 효과적이지 않음을 의미한다.The result of the microstructure of the titanium rolled at room temperature as described above means that the room temperature rolling is not effective in realizing the ultrafine grain microstructure of titanium.

도 3은 압하량 20% 내지 60% 조건에서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의 미세조직을 관찰한 사진이다. 3 is a photograph of observing the microstructure of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under the conditions of 20% to 60% of the rolling reduction.

먼저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도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과 동일한 트윈 시스템을 가짐을 확인하였다.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has the same twin system as the room temperature rolled titanium.

반면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 내에서의 쌍정은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 내에서의 쌍정과 여러 가지 면에서 극명한 차이를 가진다.On the other hand, twin crystals in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wins in room temperature rolled titanium in many ways.

먼저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에서는 20%의 작은 변형량에서도 모든 결정립 내에서 밴드 폭이 좁고 균일한 쌍정이 형성되었다. 특히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 결정립 내의 트윈 밴드 폭(0.4-1.5㎛)은 상온 압연된 결정립 내의 트윈 밴드 폭(1-5㎛)보다 매우 작은 것을 확인하였다.First, in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a narrow and uniform twin crystal was formed in all grains even with a small deformation amount of 20%.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twin bandwidth (0.4-1.5 μm) in the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grains was much smaller than the twin bandwidth (1-5 μm) in the room temperature rolled titanium grains.

또한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은 압하량이 20%에서 60%로 증가함에 따라 쌍정이 계속 균일하게 형성되고 형성된 쌍정의 양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In addition, in the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as the rolling reduction increased from 20% to 60%, twin crystals continued to be formed uniformly, and the amount of formed twin crystals was also increased.

이상과 같은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의 미세조직 결과는 굳이 정량적으로 쌍정의 특성을 측정하지 않더라도 극저온 압연이 타이타늄의 초미세 결정립 미세조직 구현에 매우 효과적임을 직관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The microstructure results of the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as described above intuitively indicate that cryogenic rolling is very effective in realizing the ultrafine grain microstructure of titanium even if the characteristics of twins are not quantitatively measured.

아래의 표 1은 상기 도 2 및 3의 미세조직을 정량적으로 측정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Table 1 below summarizes the results of quantitatively measuring the microstructures of FIGS. 2 and 3 .

<표 1><Table 1>

Figure 112020052231559-pat00001
Figure 112020052231559-pat00001

(압하량 60% 시편의 미세조직에서는 쌍정을 명확히 구분할 수 없기 때문에 쌍정 특성을 측정하지 못함)(Since twins cannot be clearly distinguished in the microstructure of the 60% reduction specimen, twin properties cannot be measured)

먼저 등급 2(grade 2) 타이타늄 초기재는 압연 후 소둔된 상태이므로 수십 ㎛의 비교적 큰 평균 결정립을 가지며, 나아가 쌍정이 없는 미세조직을 가진다.First, the grade 2 (grade 2) titanium initial material has a relatively large average grain size of several tens of μm because it is in an annealed state after rolling, and further has a microstructure without twin crystals.

한편 도 2에서 도시된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은 평균 수~수십 ㎛의 결정립 크기를 가진다. 또한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 내의 쌍정 밴드의 평균 두께는 대략 4~5㎛인 것으로 측정되었고, 하나의 결정립 당 쌍정 밴드의 평균 개수는 2~11개 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Meanwhile, the room temperature rolled titanium shown in FIG. 2 has an average grain size of several to several tens of μm. In addition,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twin crystal bands in the titanium rolled at room temperature was measured to be about 4 to 5 μm, and the average number of twin bands per crystal grain was measured to be 2 to 11 pieces.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트윈 구조를 주로 결정하는 {11-22} 쌍정들만 고려한 결과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에서는 95% 이상의 결정립들이 10개 이상의 트윈들을 가지는 반면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에서는 70% 이상의 결정립들이 5개 이하의 트윈들을 가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 결과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은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보다 결정립 당 평균 트윈 수가 20%-40%의 압하율 조건에서 대략 2.9배 이상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More specifically, as a result of considering only the {11-22} twins that mainly determine the twin structure, 95% or more of the crystal grains in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have 10 or more twins, whereas in the room temperature rolled titanium, 70% or more of the crystal grains have 5 or less. was observed to have tweens of As a result, it was measured that the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was approximately 2.9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room temperature rolled titanium under the condition of the reduction ratio of 20%-40% in the average number of twins per grain.

상기와 같이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의 비교적 조대한 평균 결정립 크기와 쌍정 밴드의 두께, 그리고 낮은 밀도의 쌍정 밴드의 개수는 상온 압연은 타이타늄의 결정립 미세화에 효과적이지 않음을 의미한다. The relatively coarse average grain size and thickness of twin bands, and the number of low density twin bands of the titanium rolled at room temperature as described above mean that room temperature rolling is not effective for grain refinement of titanium.

한편,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의 전위 밀도는 압하량이 40%까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명확히 보여준다.On the other hand, the dislocation density of the titanium rolled at room temperature clearly shows a tendency to continuously increase up to 40% of the rolling reduction.

전위 밀도가 높아지게 되면, 인장 중에 가공경화율(strain hardening rate)이 낮아서 작은 압하율에서도 가공연화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 결과 네킹(necking)과 같은 국부적인 변형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연성이 낮아지게 된다.When the dislocation density is increased, the strain hardening rate during tension is low, and thus the possibility of work softening even at a small reduction ratio increases. As a result, local deformation such as necking occurs, resulting in lower ductility.

반면 도 3에서 도시된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은 특히 압하량 20~40% 조건에서는 평균 결정립 크기가 0.6~5.2㎛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은 쌍정 밴드의 평균 두께가 대략 1㎛ 미만인 수백 ㎚인 것으로 측정되었고, 하나의 결정립 당 쌍정 밴드의 평균 개수는 19~23개 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On the other hand, the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shown in FIG. 3 was measured to have an average grain size of 0.6 to 5.2 μm, particularly under the condition of a reduction of 20 to 40%. In addition, in the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the average thickness of twin bands was measured to be several hundred nm, which is less than approximately 1 μm, and the average number of twin bands per one grain was measured to be 19 to 23.

상기와 같이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의 미세한 평균 결정립 크기와 쌍정 밴드의 두께, 그리고 높은 밀도의 쌍정 밴드의 개수는 극저온 압연은 타이타늄의 결정립 미세화에 매우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fine average grain size of the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the thickness of the twin band, and the number of twin bands of high density mean that the cryogenic rolling is very effective in refining the crystal grains of titanium.

한편,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의 전위 밀도는 압하량이 20~40 %구간에서는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 대비 1/3 이하인 것으로 측정되었다.On the other hand, the dislocation density of the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was measured to be 1/3 or less compared to the room temperature rolled titanium in the range of 20 to 40% of the rolling reduction.

전위 밀도가 낮아지게 되면, 인장 중에 가공경화율(strain hardening rate)이 높아서 높은 압하율에서도 가공연화의 발생 가능성이 낮아진다. 그 결과 네킹(necking)과 같은 국부적인 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연성 감소가 발생하지 않는다.When the dislocation density is lowered, the strain hardening rate during tensile is high, so that the possibility of work softening is lowered even at a high reduction rate. As a result, resistance to localized deformations such as necking is increased, resulting in no reduction in ductility.

한편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의 경우, 10% 압하된 타이타늄에서는 결정립 크기 감소가 충분하지 않았고 결정립 당 쌍정 밴드의 평균 개수도 크지 않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10%의 압하량은 초미세 결정립 형성에 필수적인 쌍정 밴드 형성을 위해 필요한 변형량에 부족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it was measured that the grain size reduction was not sufficient in the 10% reduced titanium and the average number of twin bands per grain was not large. The reduction amount of 10% is considered to mean that the amount of deformation required for the formation of twin bands essential for the formation of ultrafine grains is insufficient.

또한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의 경우, 압하량이 60%인 경우 작은 결정립 크기에도 불구하고 전위 밀도가 지나치게 높아서 가공연화가 발생하여 연성에 불리할 것으로 판단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when the rolling reduction is 60%, the dislocation density is too high despite the small grain size, and work softening occurs, which is detrimental to ductility.

도 4는 압하량 30% 조건에서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과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의 인장물성을 나타낸다. Figure 4 shows the tensile properties of the titanium rolled at room temperature and the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under the condition of 30% of the rolling reduction.

먼저 도 4 (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초기재는 200MPa 보다 낮은 항복강도를 가지는 반면 연신율은 60%에 근접한 인장 특성을 보였다.First, as shown in Fig. 4 (a), the initial material had a yield strength lower than 200 MPa, while the elongation showed tensile properties close to 60%.

반면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과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은 공통적으로 초기재 대비 높은 항복강도와 낮은 연신율을 가진다. 특히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은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보다 100MPa 이상 높은 항복강도를 가지면서 동시에 연성 역시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oom temperature rolled titanium and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have higher yield strength and lower elongation than the initial material in common.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has a yield strength of 100 MPa or more higher than that of room temperature rolled titanium, and at the same time, ductility is also greatly increased.

상기 도 4의 (a)의 결과는 도 2 및 3의 미세조직과 매우 잘 부합한다. 다시 말하면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 내의 조밀하고 미세한 쌍정 밴드는 결정립을 미세화시키고 그 결과 초미세 결정립 미세조직은 다시 우수한 인장특성을 구현하는 것으로 판단된다.The result of FIG. 4(a) agrees very well with the microstructure of FIGS. 2 and 3 . In other words, it is judged that the dense and fine twin band in the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refines the crystal grains, and as a result, the ultrafine grain microstructure realizes excellent tensile properties again.

한편 도 4 (b)는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과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의 가공경화율(strain hardening rate) 값을 비교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4 (b) is a comparison of the values of strain hardening rate (strain hardening rate) of the titanium rolled at room temperature and the cryogenic rolled titanium.

통상 가공경화율 값이 0인 경우를 기준으로 양(positive)의 값은 가공경화가 그리고 음(negative)의 값은 가공연화가 발행하는 것으로 구별될 수 있다. In general, based on a case where the work hardening rate value is 0, a positive value may be distinguished as work hardening, and a negative value may be distinguished as work hardening.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보다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이 더 높은 변형량(strain)에서 가공연화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은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보다 가공경화가 더 넓은 변형량 구간에서 발생하며, 이는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이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보다 가공연화에 대한 저항성이 더 높음을 의미한다.It can be seen that work softening occurs at a higher strain in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than in room temperature rolling titanium. In other words,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occurs in a wider deformation range than room temperature rolled titanium, which means that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has a higher resistance to work softening than room temperature rolled titanium.

상기 도 4의 (b)의 결과는 도 2 및 3의 미세조직과 매우 잘 부합한다. 다시 말하면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 내의 낮은 전위밀도는 변형(인장시험) 중에 전위의 증식을 초래하여 가공경화가 활발하고 넓은 변형량 구간까지 발생하게 된다. The result of FIG. 4(b) agrees very well with the microstructure of FIGS. 2 and 3 . In other words, the low dislocation density in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causes dislocations to multiply during deformation (tensile test), resulting in active work hardening and wide deformation range.

그 결과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은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보다 인장시험 중에 가공연화를 약화시켜 네킹(necking)과 같은 국부변형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의 향상된 가공경화능력(strain hardening capacity)은 후속 공정에서의 가공성을 크게 향상시킨다.As a result,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weakens work softening during a tensile test and improves resistance to local deformation such as necking compared to room temperature rolled titanium. In addition, the improved strain hardening capacity of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greatly improves workability in subsequent processing.

도 4 (c) 및 (d)는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과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의 연신율에 따른 네킹 지표(necking index)와 DIC 이미지를 나타낸다.4 (c) and (d) show the necking index (necking index) and DIC images according to the elongation of the titanium rolled at room temperature and the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도 4 (c) 및 (d)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에서는 거의 파괴(fracture)가 일어날 때까지 네킹이 발생하지 않은 반면에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에서는 변형 초기부터 네킹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c) and (d), it was found that necking did not occur in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until almost fracture occurred, whereas in room temperature rolled titanium, necking occurred from the beginning of deformation. can

도 5는 10% 내지 60%의 다양한 압하율 조건에서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a)과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b)의 응력-변형률 곡선이다.5 is a stress-strain curve of titanium (a) and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b) rolled at room temperature under various reduction conditions of 10% to 60%.

아래의 표 2는 상기 도 5에서의 응력-변형률 곡선으로부터 획득한 인장특성들(tensile properties)을 정리한 것이다.Table 2 below summarizes the tensile properties obtained from the stress-strain curve in FIG. 5 .

<표 2><Table 2>

Figure 112020052231559-pat00002
Figure 112020052231559-pat00002

먼저 모든 압하율 조건에서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보다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의 인장강도 및 항복 강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이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에서의 높은 강도 특성은 쌍정 밴드의 발달로 인해 형성된 초미세 결정립 미세조직에서 기인한 것이다.First,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tensile strength and yield strength of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were higher than that of room temperature rolled titanium under all reduction ratio conditions. The high strength characteristics of the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are attributed to the ultrafine grain microstructure formed due to the development of twin bands.

또한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의 초미세 결정립 미세조직과 함께 낮은 전위 밀도는 가공경화 특성의 향상 및 가공연화 특성의 약화를 초래하여 높은 연신율로 나타났다. In addition, the low dislocation density along with the ultrafine grain microstructure of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resulted in improvement of work hardening properties and weakening of work softening properties, resulting in high elongation.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의 상기와 같은 높은 강도 및 연성 특성은 항복강도와 연신율의 곱(항복강도*연신율)으로 정의되는 인장물성 값을 비교하면 더욱 명확해 진다.The high strength and ductility properties of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become clearer when comparing the tensile properties defined as the product of yield strength and elongation (yield strength * elongation).

아래의 표 3은 ASTM에서 규정된 등급 2 타이타늄의 인장특성을 요약한 것이다.Table 3 below summarizes the tensile properties of grade 2 titanium specified in ASTM.

<표 3><Table 3>

Figure 112020052231559-pat00003
Figure 112020052231559-pat00003

먼저 ASTM에서 규정된 등급 2 타이타늄의 인장물성 값은 약 5.5~8.2 GPa% 값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된 등급 2 타이타늄의 초기재는 약 10.1 GPa%의 인장물성 값을 보이는 것으로 측정되었다.First,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tensile properties of grade 2 titanium specified in ASTM have a value of about 5.5 to 8.2 GPa%. Meanwhile, the initial material of grade 2 titaniu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as measured to show a tensile property value of about 10.1 GPa%.

한편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은 압하량 10~60%의 모든 조건에서도 최대 10.1 GPa%의 인장물성 값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Meanwhile,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titanium rolled at room temperature had a tensile property value of up to 10.1 GPa% even under all conditions of 10 to 60% of rolling reduction.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이 초기재 대비 높은 항복강도를 가짐에도 인장물성 값이 낮은 이유는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의 낮은 연성 때문이다. 상기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의 낮은 연성은 상온 압연에 의해서도 타이타늄의 미세조직이 초미세 결정립을 가지지 못하고 또한 전위밀도가 지나치게 높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e low tensile properties of the titanium rolled at room temperature even though it has a higher yield strength than the initial material is because of the low ductility of the titanium rolled at room temperature. The low ductility of the titanium rolled at room temperature is because the microstructure of titanium does not have ultra-fine grains even by room temperature rolling and the dislocation density is too high.

반면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은 압하량 20~40%의 조건에서 최소 12.6 GPa% 이상의 매우 우수한 인장물성 값을 가진다. On the other hand,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has a very good tensile property value of at least 12.6 GPa% or more under the condition of a rolling reduction of 20 to 40%.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이 인장물성 값이 우수한 이유는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의 높은 강도와 상대적으로 우수한 연성 때문이다. 상기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의 우수한 인장물성은 극저온 압연에 의해 타이타늄의 미세조직이 초미세 결정립을 가지면서 동시에 전위밀도도 낮아서 가공연화 저항성이 높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has excellent tensile properties is because of its high strength and relatively excellent ductility. The excellent tensile properties of the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is because the microstructure of the titanium has ultrafine grains and at the same time the dislocation density is low by the cryogenic rolling, so that the work softening resistance is high.

한편 비록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이라 하더라도 압하율이 10%인 경우 인장물성 값은 초기재나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보다 매우 높지는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10%의 압하율은 극저온 압연 시 타이타늄 내의 조밀한 쌍정 밴드를 형성하기에는 변형량이 다소 부족하여 그 결과 강도가 크게 증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even in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when the rolling reduction is 10%, the tensile properties were found to be not very high compared to the initial material or room temperature rolled titanium. The reduction ratio of 10% is because the deformation amount is somewhat insufficient to form a dense twin band in titanium during cryogenic rolling, and as a result, the strength does not increase significantly.

또한 60%의 압하율로 극저온 가공된 타이타늄에서는 쌍정 밴드의 형성으로 인해 강도의 증가 및 결정립 미세화가 구현되었다. 그러나 동시에 지나치게 증가한 전위밀도는 가공연화를 억제하지 못하여 연성의 저하를 유발시켰다. 따라서 60%의 압하율로 극저온 가공된 타이타늄은 낮은 인장물성 값을 가지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ryogenically processed titanium with a reduction ratio of 60%, an increase in strength and grain refinement were realized due to the formation of twin bands. However, at the same time, the excessively increased dislocation density could not suppress work softening, causing deterioration of ductility. Therefore, the cryogenically processed titanium with a reduction ratio of 60% has a low tensile property value.

도 6은 일반가공된 타이타늄,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 및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의 연신율 대 항복강도의 관계를 도시한다.FIG. 6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elongation versus yield strength of general-processed titanium, room temperature rolled titanium, and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일반가공(종래의 압연 후 소둔)된 타이타늄과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은 모두 인장물성 값이 10.5 GPa%를 넘지 못하는 것을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다. 상기 일반가공된 타이타늄 또는 상온 압연된 타이타늄은 쌍정 밴드에 의한 초미세 결정립을 가지지 못하므로 그로 인해 낮은 인장물성 값을 가질 수 밖에 없다.It can be seen from FIG. 6 that the tensile properties of both the general-processed (conventional annealed after rolling) and room-temperature rolled titanium do not exceed 10.5 GPa%. Since the general-processed titanium or the room-temperature rolled titanium does not have ultrafine crystal grains due to twin bands, it has no choice but to have a low tensile property value.

반면 본 발명에서의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은 압하율 20%~40% 구간에서는 모두 10.5 GPa%이상의 높은 인장물성 값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극저온 압연된 타이타늄의 우수한 인장물성 값은 쌍정 밴드에 의한 초미세 결정립과 낮은 전위밀도에서 기인한다.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the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tensile property value of 10.5 GPa% or more in the reduction ratio of 20% to 40%. The excellent tensile properties of the cryogenically rolled titanium are attributed to the ultrafine grains due to the twin band and the low dislocation densit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although the effect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Claims (8)

중량 %로, 산소(O): 0.35 중량% 이하, 수소(H): 0.015 중량% 이하, 철(Fe): 0.3 중량% 이하, 탄소(C): 0.1 중량% 이하 및 잔부 타이타늄(Ti)인 성분 및 조성범위를 만족하고;
결정립당 쌍정 밴드의 평균 개수는 19개 이상이고,
쌍정 밴드의 평균 두께가 1㎛ 이하(0은 제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타늄.
In weight %, oxygen (O): 0.35 wt% or less, hydrogen (H): 0.015 wt% or less, iron (Fe): 0.3 wt% or less, carbon (C): 0.1 wt% or less, and the balance is titanium (Ti) components and composition ranges are satisfied;
The average number of twin bands per grain is 19 or more,
Titanium, characterized in that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twin band is 1㎛ or less (excluding 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타늄의 평균 결정립 크기는 5.2㎛ 이하(0은 제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타늄.
The method of claim 1,
Titanium, characterized in that the average grain size of the titanium is 5.2㎛ or less (excluding 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타늄의 전위 밀도는 4.5*10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타늄.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location density of the titanium is 4.5 * 10 15 /m 2 or less; Titanium,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타늄의 항복강도*연신율로 정의되는 인장물성 값은 10.5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타늄.
The method of claim 1,
The tensile property value defined by the yield strength * elongation of the titanium is 10.5 MPa% or more; Titanium, characterized in that.
중량 %로, 중량 %로, 산소(O): 0.35 중량% 이하, 수소(H): 0.015 중량% 이하, 철(Fe): 0.3 중량% 이하, 탄소(C): 0.1 중량% 이하 및 잔부 타이타늄(Ti)의 성분 및 조성범위를 가지는 상업적으로 순수한 타이타늄 모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타이타늄 모재를 압하율 20%~40% 범위와 온도 -196℃~-10℃의 범위에서 압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타이타늄 제조 방법.
In weight %, in weight %, oxygen (O): 0.35% by weight or less, hydrogen (H): 0.015% by weight or less, iron (Fe): 0.3% by weight or less, carbon (C): 0.1% by weight or less and the balance titanium Preparing a commercially pure titanium base material having a component and composition range of (Ti);
rolling the titanium base material in the range of a reduction ratio of 20% to 40% and a temperature in the range of -196°C to -10°C;
A method for producing titanium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를 준비하는 단계에서의 상기 타이타늄 모재는 압연 후 소둔된, 타이타늄 제조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titanium base material in the step of preparing the base material is annealed after rolling, titanium manufacturing metho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타늄 모재는 c축이 두께 방향으로 정렬된 집합 조직을 가지는, 타이타늄 제조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itanium base material has a texture in which the c-axis is align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titanium manufacturing method.
KR1020200062074A 2019-11-05 2020-05-25 Commercially pure titanium having high strength and high duct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4731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869 2019-11-05
KR20190139869 2019-1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971A KR20210054971A (en) 2021-05-14
KR102447313B1 true KR102447313B1 (en) 2022-09-27

Family

ID=75915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074A KR102447313B1 (en) 2019-11-05 2020-05-25 Commercially pure titanium having high strength and high duct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31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9886A1 (en) * 2021-05-13 2022-11-17 한국재료연구원 Pure titanium having high strength and high ductilit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102604458B1 (en) * 2021-11-30 2023-11-20 한국재료연구원 Commercially pure titanium having high strength and high uniform duct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6293A (en) 2010-12-22 2014-03-13 サンドビ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ー アクティエボラーグ Fabrication of nano-twinned titanium materials by cast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453B1 (en) * 2008-12-31 2011-08-1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manufacturing pure titanium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using cryogenic channel die compress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6293A (en) 2010-12-22 2014-03-13 サンドビ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ー アクティエボラーグ Fabrication of nano-twinned titanium materials by casting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K. Yang 외 2인. Simultaneously enhanced strength and ductility of titanium via multimodal grain structure. Scripta Materialia 63 (2010), pp 941-944.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971A (en) 2021-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ia et al. Deformation behavior and plastic instabilities of ultrafine-grained titanium
Liu et al. 316L austenite stainless steels strengthened by means of nano-scale twins
JP6965986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α + β type titanium alloy wire and α + β type titanium alloy wire
Jäger et al. Microstructure and anisotropy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in commercially pure titanium after equal channel angular pressing with back pressure at room temperature
JP6869178B2 (en) High ductile steel alloy with mixed microstructure
WO2012115187A1 (en) Ti-mo allo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09138218A (en) Titanium alloy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itanium alloy member
Guo et al. Microstructural evolution and final properties of a cold-swaged multifunctional Ti–Nb–Ta–Zr–O alloy produced by a powder metallurgy route
Han et al. Dislocation structure and deformation in iron processed by equal-channel-angular pressing
KR102447313B1 (en) Commercially pure titanium having high strength and high duct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habani et al. Investigation of microstructure, tex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FeCrCuMnNi multiphase high entropy alloy during recrystallization
JPH03274238A (en) Manufacture of high strength titanium alloy excellent in workability and its alloy material as well as plastic working method therefor
Jiang et al. Effect of high-pressure torsion process on precipitation behavior of α phase in β-Type Ti–15Mo alloy
JPWO2019013226A1 (en) Magnesium-based alloy wrought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Luo et al. Microstructur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g-Gd-Zn-Zr alloys prepared by spark plasma sintering
Du et al. Superb strengthening behavior in a precipitation strengthened Co-rich CoCrNiAlTi medium entropy alloy with acceptable ductility
Tsuji Unique mechanical properties of nanostructured metals
US20190375017A1 (en) Ti-Fe-BASED SINTERED ALLOY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Mogucheva et al. Superplasticity in a 5024 aluminium alloy processed by severe plastic deformation
Yong et al. Hot deformation behavior and related microstructure evolution in Au− Sn eutectic multilayers
JP6214217B2 (en) Method for producing titanium alloy
Djimaoui et al. Study of microstructural and mechanical behavior of mild steel wires cold drawn at TREFISOUD
JP6673121B2 (en) α + β type titanium alloy rod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10222632A (en) HIGH STRENGTH Fe-Ni-Co-Ti BASED ALLO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Sauvage et al. Microstructure evolution of a multiphase superalloy processed by severe plastic de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