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885B1 -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가문정보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가문정보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885B1
KR102446885B1 KR1020210070417A KR20210070417A KR102446885B1 KR 102446885 B1 KR102446885 B1 KR 102446885B1 KR 1020210070417 A KR1020210070417 A KR 1020210070417A KR 20210070417 A KR20210070417 A KR 20210070417A KR 102446885 B1 KR102446885 B1 KR 102446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mily
user
ancestors
databas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호
문헌종
Original Assignee
김경호
문헌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호, 문헌종 filed Critical 김경호
Priority to KR1020210070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8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포함되는 가문의 캐릭터 형상 또는 가문의 시조, 중시조 또는 조상 중 특정 추모대상자 모습의 조형물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가문을 연상시키는 가문형상 구현부; 상기 가문형상 구현부의 가문에 해당하는 성씨, 본관, 시조의 스토리, 중시조의 스토리, 후손들의 족보데이터 및 조상의 산소, 납골묘의 위치가 저장되어 상기 가문형상 구현부에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입력되는 조건값에 의해 선별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송신하도록 데이터를 제어하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사용자가 본인 또는 자식의 출생정보, 부모의 사망정보 및 부모, 자식, 본인의 업적을 입력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가문의 조상 중 특정 추모대상자의 산소 또는 납골묘의 위치를 검색하면 네트워크망으로 연결되는 지도사이트에 특정 추모대상자의 산소 또는 납골묘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가문정보 제공방법 {Genealogy 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of providing family information using it}
본 발명은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가문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입력작업 또는 전자족보와의 연동에 의해 가문의 족보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네트워크망을 통해 지도사이트서버와 연계하여 추모자에게 산소 또는 유골보관부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고, 시조, 중시조 또는 추모대상자의 스토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추모자의 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추모를 진행할 수 있는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가문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혈연관계의 계보를 기록하고 정리해 놓은 족보의 유래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사람은 물론이고 개 또는 말까지도 족보가 있는 세상에 살고 있는 것이 현실이나, 현실을 살아가는 모두가 이웃을 잊고 사는 경우가 흔히 있으나 뿌리는 없어질 수 없으며 뿌리를 기록한 족보 역시 인류의 마지막까지 존재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족보는 성씨별로 또는 각 성씨와 계파별로 별개의 족보를 인쇄물로 형성하고 있고, 구체적으로 족보에 수록된 내용에는 시조부터 시작, 세대 순으로 종계를 이루어 각각 사람의 이름, 자호, 시호, 생년월일, 관직, 봉호, 과방, 훈업, 덕행, 충효, 정표, 문장, 저술 등 신분관계가 있고, 자녀에 관한 후계의 여부, 출계 또는 입양, 적서의 구별, 남녀의 구별 등이 있으며 묘소 소재지가 있다.
이러한 족보는 오늘날에도 사회구성원 간의 혈육관계를 정리해놓은 소중한 정보로서 그 의미가 크므로 옛 족보를 다시 만들거나 각종 자료를 모아서 사라진 족보를 새롭게 편찬하는 경우도 있으나 족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자료와 원고를 각 성씨 문중과 관련 유관단체 또는 개인으로부터 넘겨받아 자료와 원고를 분류하고 편집 및 정리하여 문서작성 작업을 하고 교정하여 제판, 인쇄를 걸쳐 제본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처럼 족보를 제작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지만,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족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즉, 족보는 가로로 단을 갈라서 같은 세대에 속하는 혈손을 같은 단에 횡으로 배열하였으므로 자기 세대에 대한 구성원의 족보를 읽을 수 있으나 세수를 모르면 찾아보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족보가 두꺼운 인쇄물로 제작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휴대가 거의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관리 및 갱신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가고, 특히 족보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현대인으로서는 자신이 속한 항렬, 문파, 시조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족보 관리 방법이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족보 관리 방법은, 이용자가 부계 또는 모계의 선대 구성원의 인적 정보를 인지하면, 이용자로부터 선대 구성원 또는 본인의 인적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선대 구성원 또는 본인의 인적 정보에 기초하여 본관, 항렬, 돌림자, 시조 및 문파를 포함하는 본인의 족보 정보를 매칭하고 제공하는 단계와, 이용자가 제공 대상인 동일계의 소정 촌수 내의 인척 구성원을 인지하면, 이용자로부터 인척 구성원의 정보를 입력받아 족보를 검색하여 인척 구성원의 족보 정보를 매칭하는 단계와, 본인 및 인척 구성원의 족보 정보에서 선대 구성원의 정보가 일치하면, 본인과 인척 구성원을 포함하는 최종 족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이용자의 최종 족보 정보에 대한 접근을 인증하기 위해 본인과 족보 내의 구성원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아 족보 정보와 매칭하여 인증하는 단계와, 족보 정보 내 구성원을 검색하는 단계와, 구성원과 관련된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 이미지, 음성 또는 텍스트를 갖는 콘텐츠 및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등록받는 단계와, 등록된 구성원의 콘텐츠를 족보 정보 내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과 공유하는 단계와, 이용자로부터 검색하고자 하는 구성원 및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아 등록된 콘텐츠를 검색하여 제시하는 단계와, 검색된 콘텐츠 중 선택된 콘텐츠가 해당 구성원의 법률 행위와 관련되지 않은 경우에 이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7499호(2018년 05월 14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족보 관리 및 관련 콘텐츠 서비스 방법과 이를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족보 관리 방법은, 족보데이터를 확인하려는 추모자에게 단순히 성씨의 정보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추모자가 산소 또는 납골묘를 방문하고자 하는 경우에 산소 또는 납골묘의 위치를 별도로 검색하여 방문해야만 하므로 추모자의 편의를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력작업 또는 전자족보와의 연동에 의해 가문의 족보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네트워크망을 통해 지도사이트서버와 연계하여 추모자에게 산소 또는 유골보관부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고, 시조, 중시조 또는 추모대상자의 스토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추모자의 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추모를 진행할 수 있는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가문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포함되는 가문의 캐릭터 형상 또는 가문의 시조, 중시조 또는 조상 중 특정 추모대상자 모습의 조형물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가문을 연상시키는 가문형상 구현부; 상기 가문형상 구현부의 가문에 해당하는 성씨, 본관, 시조의 스토리, 중시조의 스토리, 후손들의 족보데이터 및 조상의 산소, 납골묘의 위치가 저장되어 상기 가문형상 구현부에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입력되는 조건값에 의해 선별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송신하도록 데이터를 제어하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사용자가 본인 또는 자식의 출생정보, 부모의 사망정보 및 부모, 자식, 본인의 업적을 입력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가문의 조상 중 특정 추모대상자의 산소 또는 납골묘의 위치를 검색하면 네트워크망으로 연결되는 지도사이트에 특정 추모대상자의 산소 또는 납골묘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단말기를 조작하여 본인 또는 자식의 출생정보, 부모의 사망정보 및 부모, 자식, 본인의 업적을 입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도사이트 서버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s)서버에 저장되는 뉴스 중에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문의 사람에 대한 뉴스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상기 지도사이트 서버 또는 상기 SNS서버로부터 뉴스데이터를 선별하여 상기 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선별된 뉴스데이터를 송신하는 지능형 선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본인, 부모 또는 자식의 출생데이터, 사망데이터, 산소 또는 납골묘의 위치 및 업적데이터를 입력하고, 전자 족보와 관리서버 및 데이터베이스를 연동시켜 전자 족보에 기재된 가문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산소 또는 납골묘의 위치가 지도사이트 서버에 송신되어 가문의 시조, 중시조, 특정 추모대상자로 이루어지는 조상의 산소 또는 납골묘의 위치가 지도사이트 서버에 저장되는 단계; (c) 사용자가 포함되는 가문의 캐릭터 형상 또는 가문의 시조, 중시조 또는 조상 중 특정 추모대상자 모습의 조형물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가문을 연상시키는 가문형상 구현부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특정 추모대상자의 정보를 검색하면 상기 관리서버의 구동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추모대상자의 정보가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가문형상 구현부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단계; 및 (d) 상기 입력부 또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특정 추모대상자의 산소 또는 납골묘의 위치를 검색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지도사이트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위치데이터가 지도사이트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문형상 구현부는, 사용자가 포함되는 가문의 캐릭터 형상 또는 가문의 시조, 중시조 또는 조상 중 특정 추모대상자 모습의 조형물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가문을 연상시키는 가문형상 조형물; 상기 가문형상 조형물이 안착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안착되고, 상기 가문형상 조형물을 감싸는 밀폐공간을 제공하며, 투명재질 또는 반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 또는 상기 커버부재 주변에 조명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에 구비되는 조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가문정보 제공방법은,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유골보관부에 구비되는 입력부를 통하여 출생자 또는 사망자의 정보를 입력하고, 전자 족보와 연동시켜 사용자가 속하는 가문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가 시조, 중시고 또는 특정 추모대상자를 선택하여 시조, 중시조 또는 특정 추모대상자의 스토리를 단말기 또는 유골보관부에 구비되는 출력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가 조상의 업적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가문정보 제공방법은, 전자 족보를 통해 입력되는 사소 또는 납골묘의 위치와, 유골보관부로부터 송신되는 위치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 또는 지도사이트서버에 저장되므로 사용자가 시조, 중시조 또는 특정 추모대상자의 산소, 납골묘 또는 유골보관부 위치를 구글 지도, 네이버 지도 등의 지도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 산소, 납골묘 또는 유골보관부를 용이하게 방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의 유골보관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의 유골보관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의 실링부 및 세척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가문정보 제공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이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의 유골보관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의 유골보관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의 실링부 및 세척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은, 사용자가 포함되는 가문의 캐릭터 형상 또는 가문의 시조, 중시조 또는 조상 중 특정 추모대상자 모습의 조형물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가문을 연상시키는 가문형상 구현부(100)와, 가문형상 구현부(100)의 가문에 해당하는 성씨, 본관, 시조의 스토리, 중시조의 스토리, 후손들의 족보데이터 및 조상의 산소, 납골묘의 위치가 저장되어 가문형상 구현부에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되는 데이터베이스(52)와,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입력되는 조건값에 의해 선별하여 데이터베이스(52)로부터 송신하도록 데이터를 제어하는 관리서버(50)와, 관리서버(50)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베이스(52)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58)와, 사용자가 본인 또는 자식의 출생정보, 부모의 사망정보 및 부모, 자식, 본인의 업적을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하는 입력부(57)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부(57)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39)를 통하여 가문의 조상 중 특정 추모대상자의 산소 또는 납골묘의 위치를 검색하면 네트워크망으로 연결되는 지도사이트에 특정 추모대상자의 산소 또는 납골묘의 위치를 표시하게 된다.
지면으로 출력되거나 기재된 족보를 전자화된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도록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전자 족보(36)와, 본 실시예의 관리서버(50) 및 데이터베이스(52)를 동기화하면 전자 족보(36)에 저장되는 가문의 정보 및 다양한 기록들이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되고, 전자 족보(36)가 생성된 이후에 발생되는 가문의 정보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되어 가문의 다양한 정보 및 소식들이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되어 가문의 정보를 업데이트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입력부(57)는, 사용자의 단말기(39)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단말기(39)를 조작하여 본인 또는 자식의 출생정보, 부모의 사망정보 및 부모, 자식, 본인의 업적을 입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므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단말기(39)에 설치하고,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사용자 본인, 부모님 또는 자식의 출생, 사망, 업적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면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되어 가문의 정보가 업데이트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지도사이트 서버(38)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s)서버(37)에 저장되는 뉴스 중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문의 사람에 대한 뉴스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지도사이트 서버(38) 또는 SNS서버(37)로부터 뉴스데이터 선별하여 네트워크망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선별된 뉴스데이터를 송신하는 지능형 선별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되는 가문의 사람들 중에 포털사이트의 뉴스에 기재되거나 SNS서버(37)에서 제공하는 뉴스에 기재되는 경우에 네트워크망에 의해 포털사이트 서버 및 SNS서버(37)와 연결되는 지능형 선별부의 구동에 의해 포털사이트 또는 SNS에 기재된 뉴스가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되고, 추후에 해당 인물의 자료를 검색하는 후손은 출력부(58) 또는 단말기(39)에 출력되는 해당 인물의 뉴스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정보를 제공하는 본 실시예의 가문형상 구현부(100)는, 사용자가 포함되는 가문의 캐릭터 형상 또는 가문의 시조, 중시조 또는 조상 중 특정 추모대상자 모습의 조형물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가문을 연상시키는 가문형상 조형물(32)과, 가문형상 조형물(32)이 안착되는 베이스프레임(10)과, 베이스프레임(10)에 안착되고, 가문형상 조형물(32)을 감싸는 밀폐공간을 제공하며, 투명재질 또는 반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커버부재(30)와, 커버부재(30) 또는 커버부재(30) 주변에 조명을 조사할 수 있도록 커버부재(30)에 구비되는 조명부재(34)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출력부(58)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커버부재(30)의 내부에 함침되게 설치되고, 출력부(58)는, 커버부재(30)의 내부에 함침되고, 데이터베이스(52)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출력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58a, 58b)와, 데이터베이스(52)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커버부재(30)의 내벽 또는 커버부재(30)의 상부 영역에 홀로그램으로 출력하는 홀로그램조사부(58c)를 포함한다.
따라서 관리서버(50)에 입력되는 조건값에 따라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되는 데이터 중에 조건값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58)에 의해 출력되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되고, 데이터베이스(52)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는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단말기(39)로 전송되어 원거리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단말기(39)에 의해 구현되는 가문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가문형상 구현부(100)는, 커버부재(30)가 베이스프레임(10)에 안착되면 커버부재(3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가문형상 조형물(32)이 수납되는 공간에 진공압을 제공하고, 배출되는 공기의 공압에 의해 커버부재(30)와 베이스프레임(10) 사이의 간격을 차단하는 실링부(7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가문형상 조형물(32)이 변형되거나 변색되기 쉬운 목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커버부재(30)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 또는 외부공기를 차단하여 가문형상 조형물(32)이 변형되거나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실링부(70)는, 설치홈부(16) 내벽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작동공간부에 설치되는 튜브부재(72)와, 커버부재(30)의 내부에 대향되는 베이스프레임(10)으로부터 베이스프레임(10)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출유로(74)와, 배출유로(74)에 설치되고, 관리서버(50)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커버부재(30) 내부의 공기를 배출유로(74)를 따라 외부로 배출시키는 진공이젝터(76)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커버부재(30)를 설치홈부(16)에 삽입하면서 커버부재(30)와 베이스프레임(10)을 조립하면 감지부(56)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가 관리서버(50)에 송신되고, 관리서버(50)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진공이젝터(76)가 구동되어 커버부재(30) 내부의 공기를 배출유로(74)를 따라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커버부재(30) 내부에 진공압을 공급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배출유로(74)에는 튜브부재(72) 측으로 분기되어 튜브부재(72)와 연결되고, 배출유로(74)를 따라 배기되는 공기 중의 일부분을 튜브부재(72)에 공급하여 튜브부재(72)를 팽창시키면서 튜브부재(72)의 돌출부를 설치홈부(16) 내측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공급유로(77)가 형성된다.
배출유로(74)에는 제1밸브(74a)가 설치되고, 공급유로(77)에는 제2밸브(72a)가 설치되므로 진공작동이 개시되면 제1밸브(74a) 및 제2밸브(72a)가 개방되고, 배출유로(74)와 공급유로(77)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제1전환밸브(78)가 공급유로(77) 측으로 개방되므로 커버부재(30) 내부에서 진공이젝터(76)의 작동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는 배출유로(74) 및 공급유로(77)를 따라 튜브부재(72)에 충진되면서 튜브부재(72)를 팽창시키게 된다.
일정 시간 동안 튜브부재(72)에 공기가 충진된 후에는 제2밸브(72a)가 차단되고, 제1전환밸브(78)가 베이스프레임(10)의 외측 방향으로 개방되므로 커버부재(30) 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배출유로(74)를 따라 베이스프레임(10) 외부로 배출되면서 커버부재(30) 내부이 공기를 배출시키면서 진공압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커버부재(30)의 하단이 삽입되는 설치홈부(16)와 커버부재(30) 내벽 사이에는 튜브부재(72)가 돌출되어 커버부재(30) 내벽에 밀착되므로 커버부재(30)와 베이스프레임(10) 사이의 간격으로 진공압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커버부재(30)에 이물질이 누적되면 이를 감지하여 실링부(70)의 작동에 의해 커버부재(30)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커버부재(30)에 분사하여 이물질 또는 습기를 제거하고, 커버부재(30) 외부의 공기를 커버부재(30) 내부로 분사하여 이물질 또는 습기를 제거하는 세척부(8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커버부재(30) 내부에 진공압이 제공되는 기간이 장시간 지속되는 동안에 커버부재(30)의 외벽 또는 내벽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누적되면 감지부(56)에 의해 송신되는 세척신호에 따라 관리서버(50)에서 구동신호를 송신하고, 본 실시예의 세척부(80)가 구동되면서 커버부재(30)의 내벽 또는 외벽에 작동유체를 분사하면서 커버부재(30)에 잔존하는 습기 또는 이물질을 커버부재(30)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세척부(80)는, 배출유로(74)로부터 분기되어 커버부재(30)의 외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분기유로(82)와, 제1분기유로(82)에 설치되는 제3밸브(82a)와, 제1분기유로(82)를 따라 공급되는 공기가 충진되어 설정치 이상으로 압축되면서 압력을 상승시키는 제1챔버(82b)와, 제1챔버(82b)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커버부재(30)의 외벽 방향으로 토출시키도록 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되는 제1노즐(82c)과, 제1분기유로(82)와 배출유로(74)의 분기부위에 설치되는 제2전환밸브(82d)와, 배출유로(74)로부터 베이스프레임(10)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배기유로(86)와, 배출유로(74)와 배기유로(86)의 분기부위에 설치되는 제3전환밸브(86a)와, 배기유로(86)에 설치되는 제5밸브(86b)를 포함한다.
따라서 감지부(56)의 작동에 의해 커버부재(30) 외벽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설정치 이상으로 누적되는 경우에는 진공이젝터(76)가 구동되어 배기유로(86)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배출유로(74)를 따라 공급하고, 이때, 제3밸브(82a) 및 제5밸브(86b)는 개방되고, 제1밸브(74a), 제2밸브(72a) 및 제4밸브(84a)는 폐쇄되며, 제1전환밸브(78)가 배기유로(86)와 제1분기유로(82)가 연결되도록 개방되고, 제2전환밸브(82d)가 제1노즐(82c) 측으로 개방되어 배기유로(86)를 따라 공급되는 외부공기가 배출유로(74) 및 제1분기유로(82)를 따라 커버부재(30) 외벽 측으로 토출되면서 커버부재(30) 외벽에 누적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80)는, 진공이젝터(76)로부터 분기되어 커버부재(30)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분기유로(84)와, 제2분기유로(84)에 설치되는 제4밸브(84a)와, 제2분기유로(84)를 따라 공급되는 공기가 충진되는 제2챔버(84b)와, 제2챔버(84b)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커버부재(30) 내벽 측으로 토출시키는 제2노즐(84c)을 포함한다.
따라서 감지부(56)의 작동에 의해 커버부재(30) 내벽에 이물질이 설정치 이상으로 누적된 것으로 판단되면 관리서버(50)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진공이젝터(76)가 역방향으로 구동되고, 진공이젝터(76)의 작동에 의해 배출유로(74)를 역류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 제2분기유로(84)를 따라 커버부재(30) 내벽 측으로 토출되어 커버부재(30) 내벽에 누적되는 이물질을 분리시키게 된다.
이때, 제1밸브(74a), 제4밸브(84a) 및 제5밸브(86b)는 개방되고, 제2밸브(72a) 및 제3밸브(82a)를 폐쇄되고, 제1전환밸브(78) 및 제2전환밸브(82d)는 흡입홀부(12)와 진공이젝터(76)를 연결하도록 개방되고, 제3전환밸브(86a)는 배출유로(74)와 배기유로(86)를 연결하도록 개방되므로 흡입홀부(12)를 통해 배출유로(74)를 따라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제2분기유로(84)를 따라 커버부재(30) 내벽 측으로 토출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고, 커버부재(30) 내부에 토출되는 공기는 배출유로(74) 및 배기유로(86)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커버부재(30) 내벽 및 외벽에 누적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커버부재(30)의 상면에 누적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별도의 유로 및 노즐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을 이용하는 가문정보 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을 이용하는 가문정보 제공방법은, 사용자의 단말기(39)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본인, 부모 또는 자식의 출생데이터, 사망데이터, 산소 또는 납골묘의 위치 및 업적데이터를 입력하고, 전자 족보(36)와 관리서버(50) 및 데이터베이스(52)를 연동시켜 전자 족보(36)에 기재된 가문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하는 단계와,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되는 산소 또는 납골묘의 위치가 지도사이트 서버(38)에 송신되어 가문의 시조, 중시조, 특정 추모대상자로 이루어지는 조상의 산소 또는 납골묘의 위치가 지도사이트 서버(38)에 저장되는 단계와, 사용자가 포함되는 가문의 캐릭터 형상 또는 가문의 시조, 중시조 또는 조상 중 특정 추모대상자 모습의 조형물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가문을 연상시키는 가문형상 구현부(100)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39)를 통하여 특정 추모대상자의 정보를 검색하면 관리서버(50)의 구동에 의해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된 추모대상자의 정보가 단말기(39) 또는 가문형상 구현부(100)의 출력부(58)를 통해 출력되는 단계와, 입력부(57) 또는 단말기(39)를 통해 특정 추모대상자의 산소 또는 납골묘의 위치를 검색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되는 지도사이트 서버(38)로부터 제공되는 위치데이터가 지도사이트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전자 족보(36)에 저장되는 가문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52)와 동기화시켜 시조, 중시조 또는 특정 추모대상자의 스토리 등의 가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하고, 가문에 포함되는 다수의 사용자가 가문형상 구현부(100)에 설치되는 입력부(57)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39)를 통해 입력하는 가문 사람들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된다.
이후에, 사용자가 가문형상 구현부(100) 또는 단말기(39)를 통해 조상 중 어느 한 추모대상자에 대하여 검색하는 경우에 관리서버(50)의 구동에 의해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되는 정보가 가문형상 구현부(100)의 출력부(58) 또는 단말기(39)를 통해 출력되어 사용자가 추모대상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조상의 산소 또는 납골묘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검색하는 경우에는 네크워크망에 의해 연결되는 지도사이트 서버(38)로부터 추모대상자의 산소 또는 납골묘의 위치가 출력부(58) 또는 단말기(39)를 통해 출력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산소 또는 납골묘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되는 추모대상자의 산소 또는 납골묘의 위치는 네트워크망에 의해 연결되는 지도사이트 서버(38)에 송신되어 지도상의 위치가 구글지도, 네이버지도 등과 같은 지도사이트 서버(38)에 저장되고,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52)와 지도사이트 서버(38)는 네트워크망에 의해 연동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52)는, 네트워크망에 의해 지도사이트 서버(38) 및 SNS서버(37)와 연결되고, 관리서버(50)에 구비되는 지능형 선별부의 구동에 의해 지도사이트가 구비되는 포털사이트 서버 및 SNS서버(37)에 저장되는 뉴스 데이터 중에 사용자가 포함되는 가문의 뉴스가 검색되는 경우에 가문의 뉴스데이터를 네트워크망을 따라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문형상 구현부(100) 또는 단말기(39)를 조작하여 본인이 속하는 가문의 다양한 뉴스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의 입력작업 또는 전자족보와의 연동에 의해 가문의 족보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네트워크망을 통해 지도사이트서버와 연계하여 추모자에게 산소 또는 유골보관부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고, 시조, 중시조 또는 추모대상자의 스토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추모자의 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추모를 진행할 수 있는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가문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가문정보 제공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가문정보 제공방법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정보 제공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프레임 12 : 흡입홀부
14 : 착탈홈부 16 : 설치홈부
30 : 커버부재 32 : 유골조형물
34 : 조명부재 36 : 전자 족보
37 : SNS서버 38 : 지도사이트서버
39 : 단말기 50 : 관리서버
52 : 데이터베이스 54 : 통신부
56 : 감지부 57 : 입력부
58 : 출력부 58a : 제1디스플레이부
58b : 제2디스플레이부 58c : 홀로그램조사부
70 : 실링부 72 : 튜브부재
72a : 제2밸브 74 : 배출유로
74a : 제1밸브 76 : 진공이젝터
77 : 공급유로 78 : 제1전환밸브
80 : 세척부 82 : 제1분기유로
82a : 제3밸브 82b : 제1챔버
82c : 제1노즐 82d : 제2전환밸브
84 : 제2분기유로 84a : 제4밸브
84b : 제2챔버 84c : 제2노즐
86 : 배기유로 86a : 제3전환밸브
86b : 제5밸브 100 : 유골보관부

Claims (5)

  1. 사용자가 포함되는 가문의 캐릭터 형상 또는 가문의 시조, 중시조 또는 조상 중 특정 추모대상자 모습의 조형물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가문을 연상시키는 가문형상 구현부;
    상기 가문형상 구현부의 가문에 해당하는 성씨, 본관, 시조의 스토리, 중시조의 스토리, 후손들의 족보데이터 및 조상의 산소, 납골묘의 위치가 저장되어 상기 가문형상 구현부에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입력되는 조건값에 의해 선별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송신하도록 데이터를 제어하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사용자가 본인 또는 자식의 출생정보, 부모의 사망정보 및 부모, 자식, 본인의 업적을 입력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가문의 조상 중 특정 추모대상자의 산소 또는 납골묘의 위치를 검색하면 네트워크망으로 연결되는 지도사이트에 특정 추모대상자의 산소 또는 납골묘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단말기를 조작하여 본인 또는 자식의 출생정보, 부모의 사망정보 및 부모, 자식, 본인의 업적을 입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사이트 서버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s)서버에 저장되는 뉴스 중에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문의 사람에 대한 뉴스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상기 지도사이트 서버 또는 상기 SNS서버로부터 뉴스데이터를 선별하여 상기 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선별된 뉴스데이터를 송신하는 지능형 선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
  4. (a)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본인, 부모 또는 자식의 출생데이터, 사망데이터, 산소 또는 납골묘의 위치 및 업적데이터를 입력하고, 전자 족보와 관리서버 및 데이터베이스를 연동시켜 전자 족보에 기재된 가문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산소 또는 납골묘의 위치가 지도사이트 서버에 송신되어 가문의 시조, 중시조, 특정 추모대상자로 이루어지는 조상의 산소 또는 납골묘의 위치가 지도사이트 서버에 저장되는 단계;
    (c) 사용자가 포함되는 가문의 캐릭터 형상 또는 가문의 시조, 중시조 또는 조상 중 특정 추모대상자 모습의 조형물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가문을 연상시키는 가문형상 구현부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특정 추모대상자의 정보를 검색하면 상기 관리서버의 구동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추모대상자의 정보가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가문형상 구현부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단계; 및
    (d) 상기 단말기를 통해 특정 추모대상자의 산소 또는 납골묘의 위치를 검색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지도사이트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위치데이터가 지도사이트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을 이용하는 가문정보 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문형상 구현부는,
    사용자가 포함되는 가문의 캐릭터 형상 또는 가문의 시조, 중시조 또는 조상 중 특정 추모대상자 모습의 조형물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가문을 연상시키는 가문형상 조형물;
    상기 가문형상 조형물이 안착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안착되고, 상기 가문형상 조형물을 감싸는 밀폐공간을 제공하며, 투명재질 또는 반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 또는 상기 커버부재 주변에 조명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에 구비되는 조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을 이용하는 가문정보 제공방법.
KR1020210070417A 2021-05-31 2021-05-31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가문정보 제공방법 KR102446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417A KR102446885B1 (ko) 2021-05-31 2021-05-31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가문정보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417A KR102446885B1 (ko) 2021-05-31 2021-05-31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가문정보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885B1 true KR102446885B1 (ko) 2022-09-22

Family

ID=83445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417A KR102446885B1 (ko) 2021-05-31 2021-05-31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가문정보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88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663B1 (ko) * 2000-06-14 2003-05-09 주식회사 씨케이네트 인터넷을 이용한 가족 정보 관리 방법
KR101857499B1 (ko) * 2016-11-22 2018-05-14 허제용 족보 관리 및 관련 콘텐츠 서비스 방법과 이를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
KR102030060B1 (ko) * 2016-06-24 2019-10-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추모 콘텐츠 제공과 디스플레이를 위한 서버, 장치 및 방법
KR102031003B1 (ko) * 2018-10-29 2019-10-11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체물을 이용한 추모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JP2021058564A (ja) * 2019-06-28 2021-04-15 平野 初子 コントローラ装置、モバイル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保護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61660B1 (ko) * 2020-12-16 2021-06-04 김경호 학습이 가능한 스마트 양방향 원격추모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663B1 (ko) * 2000-06-14 2003-05-09 주식회사 씨케이네트 인터넷을 이용한 가족 정보 관리 방법
KR102030060B1 (ko) * 2016-06-24 2019-10-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추모 콘텐츠 제공과 디스플레이를 위한 서버, 장치 및 방법
KR101857499B1 (ko) * 2016-11-22 2018-05-14 허제용 족보 관리 및 관련 콘텐츠 서비스 방법과 이를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
KR102031003B1 (ko) * 2018-10-29 2019-10-11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체물을 이용한 추모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JP2021058564A (ja) * 2019-06-28 2021-04-15 平野 初子 コントローラ装置、モバイル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保護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61660B1 (ko) * 2020-12-16 2021-06-04 김경호 학습이 가능한 스마트 양방향 원격추모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rnell et al. Microarchaeology, materiality and social practice
US7222120B1 (en) Methods of providing a registry service and a registry service
Wells Old Claims and New Demands: Vernacular Architecture Studies Today
US84527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multiple data sources
KR102446885B1 (ko) 족보데이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가문정보 제공방법
BARTASH Towards ethnography of archival silence
O'Neil Object, memory, and materiality at Yaxchilan: The reset lintels of Structures 12 and 22
US20150365362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inisce and venerate the deceased
KR20000072296A (ko) 인터넷을 이용한 사이버묘소 운용방법
Etienne Who cares? Museum conservation between colonial violence and symbolic repair
Waddington The biography of a settlement: an analysis of Middle Iron Age deposits and houses at Howe, Orkney
Rugg Taken “as read”: Locating death in the rhetoric of cemetery conservation in England
Bogue The concentration camp brothels in memory
Maitland A Correspondence of Emotions between
Smith Interment: re-framing the death of the Red Location Museum building (2006-2013)
Walker Memory, Victims and Place: Memorialisation of sorrow caused by conflict, and violence, mass shooting, and war. Five case studies: Colombia, Mexico, New Zealand, the USA, and the United Arab Emirates (UAE): A thesis submitted in fulfi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at Lincoln University
JP3047101U (ja) 仏 壇
KR200274706Y1 (ko) 알에프모듈을 이용한 납골함 정보 공유장치
Donaldson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Public History
Mårdh “The Small Point through which Time Passes”–Art and Artistic Practices in Former Mental Healthcare Institutions
MORRMANN Carandini's royal houses at the foot of the Palatine: Fact or fiction?
EP2674879A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reminisce and venerate the deceased in a memorial facility
Wisnewski Analysis of Environmental-Ethical Concerns Within the United States Funeral Industry
Chang Seeing landscape through cross-cultural eyes: embracing a transcultural lens toward multilingual design approaches in the landscape studio
Tilley Creating life histories and family trees from nineteenth century census records, parish registers and other 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