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553B1 -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553B1
KR102446553B1 KR1020170123462A KR20170123462A KR102446553B1 KR 102446553 B1 KR102446553 B1 KR 102446553B1 KR 1020170123462 A KR1020170123462 A KR 1020170123462A KR 20170123462 A KR20170123462 A KR 20170123462A KR 102446553 B1 KR102446553 B1 KR 102446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aking
water supply
water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4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34890A (en
Inventor
지준동
이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70123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553B1/en
Priority to CN201821563653.0U priority patent/CN209279457U/en
Publication of KR20190034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8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5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제어박스; 제어박스의 일측에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수용부를 포함하는 제빙트레이; 및 제빙트레이에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고, 급수부는, 제빙수를 안내하는 공간이 마련되는 제공부, 제빙수가 수용부에 제공되도록 개구된 절개부 및 상기 제공부를 외부와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격벽은, 절개부가 형성된 측에 형성되고, 얼음의 이빙궤적이 형성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전측 및 후측에 각각 위치되는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포함하되, 제2단부는 제1단부로부터 상기 제빙수가 급수되는 급수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벌어진 방향 또는 상기 수용부와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되는, 제빙기가 제공된다.control box; an ice-making tra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trol box and including one or more accommodating parts; and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ice-making water to the ice-making tray, wherein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supply unit provided with a space for guiding the ice-making water, a cutout opened to provide the ice-making water to the receiving unit, and partitioning the supply unit from the outside The partition wall includes a partition wall, the partition wall being formed on the side where the cutout is formed, and including first and second ends respectively position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ce drift trajectory is formed, the second end being the second end. An ice maker is provided, which is located from the first e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water supply direction in which the ice making water is supplied o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accommodating part.

Description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make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제빙기는 제어박스 및 제빙트레이 등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제빙기는 제빙을 수행하기 위해 제빙트레이에 제빙수를 제공할 수 있다. 제빙수는 상기 구성 중 급수부로부터 제공되며, 제공되는 급수부의 양 및 시점은 일반적으로 제어박스 내에 위치된 제어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공된 제빙수는 제빙트레이에 마련된 수용부에 수용되고 냉장고 또는 냉동고 내부의 환경에 의해 제빙수의 어는점 이하에서 얼음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행되는 제빙은 이후에 제빙트레이의 트위스트 또는 이젝터를 통해 이빙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이젝터를 통한 이빙은 자중에 의해 얼음이 저장부로 이동되는 것이 아니고 이젝터핀의 회전에 의해 제빙트레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제거 과정에서 얼음은 대개, 제빙트레이의 상방을 경유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이젝터핀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얼음은 이빙궤적 중에서 주변 구성들과의 충돌로 인해 원활한 이빙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활한 이빙이 이루어지지 않은 제빙기는 얼음이 제빙트레이에 잔류하게 될 수 있고 제공되는 제빙수에 의해 제빙트레이가 수용가능한 제빙수 용적을 초과하게 되고 제빙수는 넘치거나 넘치는 과정에서 얼음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빙기는 제빙기능이 정지되거나 잦은 오작동의 원인이 발생할 수 있다. In general, an ice maker includes a control box and an ice maker tray. Such an ice maker may provide ice-making water to an ice-making tray to perform ice-making. The ice-making water is provid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in the above configuration, and the amount and timing of the supplied water supply unit may be generally determined by a control unit located in the control box. The provided ice-making water is accommodated in a receiving unit provided on the ice-making tray and may be in an ice state below the freezing point of the ice-making water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inside the refrigerator or freezer. Ice-making performed through this process may then be performed by twisting the ice-making tray or using an ejector. Here, ice moving through the ejector does not move the ice to the storage unit by its own weight, but may be removed from the ice tray by rotation of the ejector pin. In the removal process, the ice is usually removed by an ejector pin that is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rough the top of the ice-making tray. In this case, the ice may not move smoothly due to collision with surrounding components in the ice trajectory. For example, in an ice maker that does not remove ice smoothly, ice may remain in the ice tray, and the capacity of the ice maker exceeds the capacity of the ice maker tray can be accommodated by the supplied ice water. can be Accordingly, the ice maker may stop the ice maker or cause frequent malfunction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5-0028226 호 (2005. 03. 22)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28226 (2005. 03. 22)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빙기에서 제빙 후 형성된 얼음을 제빙트레이로부터 이빙시키는 과정에서 얼음의 이빙궤적에 형성될 수 있는 급수부 등의 구성을 이빙궤적과 교차되지 않도록 설계함으로써, 원활한 이빙에 의해 제빙기의 제빙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ice formed after ice making in the ice maker from the ice maker tray,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that can be formed on the ice trajectory of the ice is designed not to intersect the trajectory of the ice so as not to intersect the trajectory of the i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 maker capable of increasing the ice making efficiency 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빙기에서 제빙 후 형성된 얼음을 제빙트레이로부터 이빙시키는 과정에서 얼음의 이빙궤적에 형성될 수 있는 급수부 등의 구성을 이빙궤적과 교차되지 않도록 설계함으로써, 원활한 이빙에 의해 제빙기의 제빙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ice formed after ice making in the ice maker from the ice maker tray,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that can be formed on the ice trajectory of the ice is designed not to intersect the trajectory of the ice so as not to intersect the trajectory of the i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including an ice maker capable of increasing the ice making efficiency of the refrigerator.

제어박스; 제어박스의 일측에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수용부를 포함하는 제빙트레이; 및 제빙트레이에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고, 급수부는, 제빙수를 안내하는 공간이 마련되는 제공부, 제빙수가 수용부에 제공되도록 개구된 절개부 및 상기 제공부를 외부와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격벽은, 절개부가 형성된 측에 형성되고, 얼음의 이빙궤적이 형성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전측 및 후측에 각각 위치되는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포함하되, 제2단부는 제1단부로부터 상기 제빙수가 급수되는 급수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벌어진 방향 또는 상기 수용부와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되는, 제빙기가 제공된다.control box; an ice-making tra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trol box and including one or more accommodating parts; and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ice-making water to the ice-making tray, wherein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supply unit provided with a space for guiding the ice-making water, a cutout opened to provide the ice-making water to the receiving unit, and partitioning the supply unit from the outside The partition wall includes a partition wall, the partition wall being formed on the side where the cutout is formed, and including first and second ends respectively position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ce drift trajectory is formed, the second end being the second end. An ice maker is provided, which is located from the first e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water supply direction in which the ice making water is supplied o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accommodating part.

그리고, 제2단부는 상기 제1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얼음의 이빙궤적으로부터 기 결정된 각도 이상으로 벌어지며, 기 결정된 각도는 1도 이상 10도 이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end is sprea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from the ice trajectory of the ice around the first end, and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1 degree or more and 10 degrees or less.

또한, 급수부로부터 제공된 제빙수를 수용부 내에서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water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level of the ice-making water provid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in the accommodating unit.

또한, 제어박스는 이젝터핀을 회전시키고, 이젝터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얼음이 이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box rotates the ejector pin, and the ice may be removed by the rotation of the ejector pin.

또한, 절개부의 외곽선은 곡부 또는 평부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line of the cutout may include a curved portion or a flat portion.

또한, 제1단부 및 상기 제2단부는 곡부 또는 평부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may be connected through a curved portion or a flat portion.

또한, 격벽은, 제빙수를 안내하는 하측부 및 상기 하측부로부터 상측 일방으로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하측부 및 상기 연장부의 경계인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may include a lower portion for guiding the ice-making water,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to an upper side in one direc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serving as a boundary between the lower por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또한, 격벽에서 절개가 된 측과 상기 연장부로부터 얼음을 이빙하는 이젝터핀 간의 거리는 제빙되는 얼음의 폭의 1.5배 이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cut-away side of the partition and the ejector pin for removing ice from the extension portion may be 1.5 times or less of the width of the ice to be made.

또한, 제2단부 측의 상기 절개부로부터 연장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cut-out on the second end side.

또한, 급수부에 인접한 이빙궤적은 후측으로 갈수록 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range of the ice trajectory adjacent to the water supply part may be widened toward the rear side.

상기에 기재된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된다.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the ice maker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빙기에서 제빙 후 형성된 얼음을 제빙트레이로부터 이빙시키는 과정에서 얼음의 이빙궤적에 형성될 수 있는 급수부 등의 구성을 이빙궤적과 교차되지 않도록 설계함으로써, 원활한 이빙에 의해 제빙기의 제빙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ice formed after ice making in the ice maker from the ice maker tray,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that can be formed on the ice trajectory of the ice is designed not to intersect the trajectory of the ice so as not to intersect the trajectory of the ice. An ice maker capable of increasing the ice making efficienc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빙기에서 제빙 후 형성된 얼음을 제빙트레이로부터 이빙시키는 과정에서 얼음의 이빙궤적에 형성될 수 있는 급수부 등의 구성을 이빙궤적과 교차되지 않도록 설계함으로써, 원활한 이빙에 의해 제빙기의 제빙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ice formed after ice making in the ice maker from the ice maker tray,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that can be formed on the ice trajectory of the ice is designed not to intersect the trajectory of the ice so as not to intersect the trajectory of the 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including an ice maker capable of increasing the ice making efficiency of the refrigera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사시도
도 2는 제빙기에 포함된 종래의 급수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빙기에 포함된 급수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급수부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격벽을 형성하는 곡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격벽의 이격거리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절개부의 위치가 후측에 위치한 제빙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급수부는 이빙궤적을 대향하는 격벽이 좁아지는 제빙기를 나타낸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ater supply unit included in the ice maker;
3 is a view showing a water supply unit included in the ice m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water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embodiments of the water suppl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urved portion forming the partition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partition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ice maker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cutou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ice maker in which the water supply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narrow partition facing the ice trajectory.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one mean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제빙기는 급수부(100), 제빙트레이(200) 및 제어박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박스(300)는 제어부(미도시) 및 구동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빙기에 마련된 센서 등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제어부(미도시)가 산출하여 구동부(미도시)를 통해 반응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제빙수를 제공하는 급수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ice maker may include a water supply unit 100 , an ice-making tray 200 , and a control box 300 . The control box 300 may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and a driving unit (not shown), and the control unit (not shown) calculates information received from a sensor provided in the ice maker, etc. can do. Also, the controller (not shown) may control the water supply unit 100 that provides ice-making water.

상기 급수부(100)는 제빙수를 안내하기 위한 공간인 제공부(110)가 마련되고 제공부(110) 및 외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120)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은 공급된 제빙수가 제빙트레이(200)의 수용부(201) 측으로 제빙수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201) 측을 향해 절개될 수 있고, 절개된 부분을 통해 제빙수가 이동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100 may be provided with a provision unit 110 serving as a space for guiding the ice-making water, and may include the provision unit 110 and a partition wall 120 dividing an external space. The partition wall may be cut toward the receiving part 201 so that the supplied ice making water can move toward the receiving part 201 of the ice making tray 200 , and the ice making water may be moved through the cutout.

상기 급수부(100)의 급수과정에서 제빙수의 양 및 제공시점을 제어부(미도시)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빙수는 제빙되지 않은 상태, 즉, 수용부(201)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수용부(201)에 수용된 제빙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에 의해 판단될 수 있고, 수용부(201)가 비어있는 상태로 판단되면, 제빙수가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수용부가 비어있는 상태라 하더라도, 만빙상태에서는 제빙수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고, 제빙 이후 이빙을 수행하지 않고 대기할 수도 있다. 이는 선택적인 사항이 될 수 있다.In the water supply process of the water supply unit 100 , the control unit (not shown) may determine the amount of ice-making water and the timing of providing the ice-making water. For example, the ice-making water may be provided in a non-ice-making state,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accommodating part 201 is empty. This may be determined based on information sensed by a water level sensor that detects the level of the ice-making water contained in the accommodating unit 201 ,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ccommodating unit 201 is empty, the ice-making water may be provided. Of course, even if the accommodating part is empty, ice-making water may not be provided in the full ice state, and after ice-making, ice removal may be performed on standby. This can be optional.

한편, 수용부(201)가 비어있는 상황에서 급수를 수행하도록 결정되면, 급수부(100)로부터 제빙수가 제공될 수 있다. 급수부(100)로부터 제공된 제빙수는, 수용부로 이동되어 냉장고 또는 냉동고의 환경에 의해 얼음이 될 수 있다. 즉, 제빙이 수행될 수 있다. 제빙을 수행한 제빙기는 제빙트레이(200)로부터 얼음을 제거하는 이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빙은 제빙트레이(200)가 트위스트되면서 수행될 수 있고, 이젝터의 회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젝터의 회전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에는 제빙트레이(200)의 일측에서 히터(미도시)가 발열되어 제빙트레이(200)와 고착될 얼음을 분리시킬 수 있고 분리된 얼음을 이젝터의 회전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이빙된 얼음은 일반적으로 자중에 의해 저장부로 낙하될 수 있다.Meanwhile, if it is determined to supply water in a situation in which the receiving unit 201 is empty, ice-making water may be provid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00 . The ice-making water provid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00 may be moved to the receiving unit and turned into ice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f the refrigerator or freezer. That is, ice making may be performed. The ice maker that has performed ice making may perform ice removal to remove ice from the ice making tray 200 . The ice removal may be performed while the ice-making tray 200 is twisted, and may be performed by rotation of the ejector. When the ejector is rotated, a heater (not shown) is heated at one side of the ice-making tray 200 to separate the ice-making tray 200 from the ice to be adhered, and the separated ice can be removed by the rotation of the ejector. can The displaced ice may generally fall into the storage unit by its own weight.

상술한 이빙과정에서는 얼음이 상기 분리되는 시점부터 저장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제빙기의 일부 구성과의 접촉에 의해 정상적인 얼음의 이동궤적 상에서 이동이 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얼음이 이빙과정에서 급수부(100)의 일측과 접촉이 발생하여 이빙의 수행 후에도 얼음은 제빙트레이(200)의 상측 일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저장부가 저빙상태이고 수용부(201)가 비어있다고 감지한 수위감지센서에 의해 제어부는 급수부(100)로부터 제빙수를 급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ice-moving process, ice may not move on a normal movement trajectory of ice due to contact with some components of the ice maker while the ice is moved from the separation point to the storage unit. For example, ice may come into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100 during the ice-moving process, so that the ice may be positioned at an upper point of the ice-making tray 200 even after ice removal is performed. 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supply the ice-mak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100 by the water level sensor detecting that the storage unit is in a state of storing ice and the accommodating unit 201 is empty.

급수된 제빙수는 이빙되지 못하고 제빙트레이(200) 상에 잔류한 얼음에 의해 수용부(201)가 넘치도록 채워질 수 있다. 수용부(201)가 일정량이 채워질 만큼의 제빙수가 제공된다 하더라도 제빙수가 얼음이 되는 과정에서 잔류하던 얼음과 고착되어 얼음이 형성되면, 이젝터의 회전에 의해 이빙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제빙기의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급수부(10)의 격벽(11)이 이빙 시 얼음의 이동궤적 상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The supplied ice-making water may not be transferred, and the accommodating part 201 may be filled to overflow by the ice remaining on the ice-making tray 200 . Even if enough ice-making water is provided to fill the accommodating part 201 with a predetermined amount, if ice is formed by sticking with the remaining ice in the process of turning the ice-making water into ice, ice removal may not be smoothly performed due to the rotation of the ejecto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ice maker, as shown in FIG. 2 , the partition wall 11 of the water supply unit 10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ice during ice drift.

여기서 얼음의 이동궤적은 히터의 발열온도, 발열시간, 이젝터의 회전속도 및 냉장고 또는 냉동고 내의 온도를 포함한 환경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이러한 조건은 미세하게나마 지속적으로 달라질 수 있으므로, 얼음의 이동궤적 또한 이빙 시마다 조금씩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얼음이 이빙될 때 이동궤적 상에 위치되는 구성이 없도록 상기 이동궤적으로부터의 충분한 이격이 요구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급수부(10)는 이러한 설계를 미비하게 갖추고 있다. 예를 들면, 얼음은 이빙 시에 절개된 측의 격벽(12)과 접촉 또는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Here,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ic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cluding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heater, the heating tim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jector, and the temperature in the refrigerator or freezer. It may vary slightly from time to time. Accordingly, sufficient separation from the movement trajectory may be required so that there is no configuration positioned on the movement trajectory when the ice moves. However, the conventional water supply unit 10 is poorly equipped with such a design. For example, ice may come into contact with or collide with the partition wall 12 on the incised side during ice transfer.

격벽(12)은 제빙수가 수용부로 이동되도록 절개되므로, 수용부 즉, 얼음이 이빙되는 상기 이동궤적과 가장 인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빙 시에 얼음은 절개된 측의 격벽(12)과 접촉 또는 충돌이 발생하여 원활한 이빙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Since the partition wall 12 is cut so that the ice-making water moves to the accommodating part, the partition 12 may be positioned to be closest to the accommodating part, that is, the movement trajectory on which the ice moves. Accordingly, during ice moving, ice may contact or collide with the partition wall 12 on the cut side, so that smooth ice may not be perform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제빙기에 포함된 급수부(100)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water supply unit 100 included in the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급수부(100)는 제빙수가 수용부(201)로 이동될 수 있도록 수용부(201)와 인접한 위치에 절개될 수 있다. 격벽(120)이 절개되지 않은 경우 이빙 시의 얼음의 상기 이동궤적을 안내하는 가이드 기능을 할 수도 있으나, 절개되어 형성되므로, 절개에 의해 개방된 공간으로 얼음이 진입하면, 격벽에 접촉 또는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얼음의 이동궤적과 충분한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이빙에 유리하다.Referring to FIG. 3 , the water supply unit 100 may be cut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receiving unit 201 so that the ice making water can be moved to the receiving unit 201 . When the partition wall 120 is not cut, it may serve as a guide for guiding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ice during ice drift. can occur Therefore, it is advantageous for ice to secure a sufficient distance from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ice.

그러나, 상기 접촉 및 상기 충돌을 피하기 위해 격벽이 전체적으로 수용부(201)와 거리를 두게 되면, 제빙수의 공급방향을 수용부(201) 측으로 가이드할 수 없으므로, 얼음의 이동궤적에 개입 또는 진입하는 부분을 그 외의 부분보다 상기 이동궤적으로부터 이격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However, if the barrier rib is spaced a distance from the receiving unit 201 as a whole to avoid the contact and the collision, the direction of supply of ice-making water cannot be guided toward the receiving unit 201, so it is difficult to intervene or enter the movement trajectory of ice. The part may be formed in a shape spaced apart from the movement trajectory than the other parts.

예를 들면, 열개부(도 4의 121)는 제빙수를 수용부(201) 측으로 가이드 하는 부분 즉, 격벽(120)의 하측부는 수용부(201)와 인접하도록 위치되어 제빙수를 수용부(201) 측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가이드 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하측부는 적어도 제공부(110)에 수용되는 제빙수의 수위 이상의 높이만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하측부를 초과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격벽부는 수용부(201)와 수평이격될 수 있다. 즉, 수평이격되되,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격벽(120)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opening ( 121 in FIG. 4 ) is a portion guiding the ice-making water toward the receiving unit 201 , that is, the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120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receiving unit 201 to receive the ice-making water. 201) It can serve as a guide in the process of moving it to the side. Accordingly, the lower portion may mean at least a height equal to or higher than the water level of the ice-mak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providing unit 110 . The partition wall portion extending upward beyond the lower portion may be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the receiving portion 201 . That is, the partition walls 120 may be formed to be horizontally spaced apart and extend upward.

일 예로서, 격벽(120)의 하측부를 초과하는 부분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01)와 수평이격되는 방향으로 곡형 연장이 될 수 있다. 상기 곡형 연장은 휘어지는 방향이 달라지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상방으로 갈수록 격벽(120)이 수용부(201)와 수평이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s an example, the portion exceeding the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120 may be curved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the receiving portion 201 horizontally as shown. The curved extension may be made such that the partition wall 120 can be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the receiving part 201 as it continues upward even when the bending direction is changed.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부(100)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부(10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ure 4 (a)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water supply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b) is a plan view showing the water supply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격벽(120)은 제빙수를 수용부로 안내하는 하측부(122) 및 하측부(12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격벽(120)은 수용부(201)의 상방에 위치한 급수부(100)에 포함되며, 수용부(201)로부터 하측부(122)를 기준으로 열개될 수 있다. 여기서 열개란,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격벽(120)이 수용부(201)로부터 수평방향으로 기 결정된 각도이격이 되며 상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기 결정된 각도는 1도 이상 10도 이하에서 결정되는 각도 이상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partition wall 120 may include a lower portion 122 for guiding the ice-making water to the receiving portion and an extension portion 123 extending upwardly from the lower portion 122 . Specifically, the partition wall 120 is included in the water supply unit 100 positioned above the receiving unit 201 , and may be opened from the receiving unit 201 to the lower portion 122 . Here, ten means that the partition wall 120 is spaced apart from the receiving part 201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and extends upward.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an angle determined by 1 degree or more and 10 degrees or less.

상술한 바와 같이 얼음이 이빙 시에 제빙트레이(200)로부터 제거되면서 이동되는 상기 이동궤적은 도면에 표시된 이빙방향과 동일하며, 이빙방향은 주로 매 이빙시마다 비슷하나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히터의 발열온도, 발열시간, 이젝터의 회전속도 및 냉장고 또는 냉동고 내의 온도를 포함한 환경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이러한 조건은 미세하게나마 지속적으로 달라질 수 있으므로, 얼음의 이동궤적 또한 이빙 시마다 조금씩은 달라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trajectory of the ice moving while being removed from the ice-making tray 200 during icing is the same as the icing direction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icing direction is mainly similar but different at every ice divergence. It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cluding the heating temperature, the heating tim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jector, and the temperature in the refrigerator or freezer, and since these conditions can be continuously changed, albeit minutely,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ice may also vary slightly each time the ice moves.

따라서, 상기 기 결정된 각도인 1도 이상 10도 이하의 사이에서 결정되는 각도는, 상기의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각도와 관계없이 절개부(130)를 통해 얼음이 이빙 중에 제공부(110) 내측으로 진입하더라도 격벽(120)과의 접촉 또는 충돌을 유발시키지 않기 위해 확보하는 이격각도의 일 예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angle determined between 1 degree and 10 degrees, which is the predetermined angle, enters the inside of the providing unit 110 while the ice is moving through the cutout 130 , regardless of the angle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above conditions. Even so, it may be an example of a separation angle secured in order not to cause contact or collision with the partition wall 120 .

도 5는 본 발명의 급수부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정면도이다.5 is a front view showing embodiments of the water suppl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를 참조하면, 도 4를 통해 설명한 예시의 정면도로서, 곡형으로 상방을 향해 연장되며 일방향(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는 얼음이 이빙될 시에 이동궤적에 급수부(100)의 일부가 위치되지 않도록 충분히 이격되기 위한 격벽(120)의 형상이 될 수 있다. 즉, 격벽(120)이 상방으로 연장되며 일방향(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열개(裂開)되어 이격되며 형성된 공간인 열개부(121)는, 얼음이 이빙 시마다 달라질 수 있는 이빙궤적을 고려하여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공간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 it is a front view of the exampl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which extends upward in a curved shape and may be spaced apart in one direction (right direction in the drawing). This may be a shape of the partition wall 120 to be sufficiently spaced apart so that a part of the water supply unit 100 is not located on the movement trajectory when the ice moves. That is, the partition wall 120 extends upward and is opened and spaced apart in one direction (the right direction in the drawing). It can be a space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이러한 수평방향으로의 이격은 도 5(b)와 같이 직선형으로 상측 일방(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하측부(122a)는 제빙수를 수용부(201)로 안내하기 위해 수용부(201) 측으로 인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하측부(122a)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23a)가 점점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는 형상이 될 수 있다. The spac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extend in a straight line to the upper side (right direction in the drawing) and may be spaced apart as shown in FIG. 5(b). Even in this case, the lower portion 122a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receiving portion 201 to guide the ice-making water to the receiving portion 201 , and the extension 123a extending upward from the lower portion 122a is provided. The shape may be gradually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6은 본 발명의 격벽(120)을 형성하는 곡부(C1, C2, C3)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curved portions C1, C2, and C3 forming the partition wall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절개된 격벽(120)의 곡부(C1, C2, C3)는 곡률에 따라 급수부(100)에 다양하게 채용될 수 있다. 여기서 곡부(C1, C2, C3)는 연장부의 곡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하측부(12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지점으로부터의 격벽(120)을 의미한다. 그리고, 각 곡부(C1, C2, C3)는 곡률에 따라 다르게 구현되는 차이점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이다.Referring to FIG. 6 , the curved portions C1 , C2 , and C3 of the cut-out partition 120 may be variously employed in the water supply unit 100 according to the curvature. Here, the curved portions C1 , C2 , and C3 indicate curved portions of the extension, and refer to the partition wall 120 from the point extending upward from the lower portion 122 . In addition, each of the curved portions C1 , C2 , and C3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difference implemen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urvature.

제1곡부(C1)는 하측부(122)로부터 급격하게 상방으로 연장되는 곡부로서, 타 곡부(C2, C3)보다 얼음의 상기 이동궤적과 이격된 거리가 짧을 수 있다. 반면에 급수부(100)의 제공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제빙수의 안내가능한 양이 증가될 수 있다. 즉, 제1곡부(C1)와 같이 상방으로 급격하게 연장되는 형태의 격벽은 제빙수의 공급량이 많거나 얼음의 상기 이동궤적의 범위가, 타 곡부(C2, C3)를 포함하는 급수부의 경우보다 좁은 경우에 적합할 수 있다.The first curved portion C1 is a curved portion that abruptly extends upwardly from the lower portion 122, and may have a shorter distance from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ice than the other curved portions C2 and C3. On the other hand, a guideable amount of ice-making water provided from the providing unit 110 of the water supply unit 100 may be increased. That is, the bulkhead having a shape that rapidly extends upward like the first curved portion C1 has a large amount of ice-making water supplied or the range of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ice is higher than that of the water supply portion including the other curved portions C2 and C3. It may be suitable for narrow cases.

그리고 제 3곡부(C3)는 하측부(122)로부터 완만하게 상방으로 연장되는 곡부로서, 타 곡부(C1, C2)보다 얼음의 상기 이동궤적과 이격된 거리가 길 수 있다. 반면에 급수부(100)의 제공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제빙수의 안내가능한 양이 감소될 수 있다. 즉, 제3곡부(C3)와 같이 상방으로 급격하게 연장되는 형태의 격벽은 제빙수의 공급량이 적거나 얼음의 상기 이동궤적의 범위가, 타 곡부(C1, C2)를 포함하는 급수부의 경우보다 넓은 경우에 적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curved portion C3 is a curved portion that gently extends upward from the lower portion 122 , and may have a longer distance from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ice than the other curved portions C1 and C2 . On the other hand, a guideable amount of ice-making water provided from the providing unit 110 of the water supply unit 100 may be reduced. That is, the bulkhead having a shape that rapidly extends upward, such as the third curved portion C3, has a smaller supply of ice-making water or the range of the movement trajectory of ice is higher than that of the water supply portion including the other curved portions C1 and C2. It may be suitable for wide cases.

또한, 제2곡부(C2)는 제1곡부(C1) 및 제3곡부(C3)의 사이 범위에 형성되는 곡부로서, 제1곡부(C1) 및 제3곡부(C3)의 기능 및 효과도 그 사이 범위 내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곡부(C1, C2, C3)의 형상은 변경실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urved portion C2 is a curved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curved portion C1 and the third curved portion C3, and the functions and effects of the first and third curved portions C1 and C3 are also the same. It can be implemented within the range between. Therefore, the shape of the curved portions C1, C2, and C3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의 실시예와 같은 곡부(C1, C2, C3)는 격벽(120)이 차지하는 면적의 점유율을 변경시킬 수 있으며, 제1곡부(C1), 제2곡부(C2) 및 제3곡부(C3)는 순차적으로 면적의 점유율이 감소될 수 있다. 이는 열개부(121)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를 기준으로 최대 80%에서 최소 30%로 결정될 수 있다.The curved portions C1, C2, and C3 as in the above embodiment can change the occupancy of the area occupied by the partition wall 120, and the first curved portion C1, the second curved portion C2, and the third curved portion C3 may sequentially decrease the occupancy of the area. This may be determined from a maximum of 80% to a minimum of 30%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thermal opening 121 is not form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벽(120)의 이격거리(D)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the separation distance (D) of the partition wall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격벽(120)의 이격거리(D)는 제빙기에 포함되는 이젝터핀(E)과 연결부(123c) 간의 거리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123c)는 평면 측에서의 하측부(122) 및 연장부(123)간의 경계가 될 수 있다. 즉, 이격거리(D)는 얼음의 이동궤적 상에 위치될 수 있는 연장부(123)가 수평방향으로 수용부(201)와 이격되는 거리의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separation distance D of the partition wall 120 may be a distance between the ejector pin E included in the ice maker and the connection part 123c. Here, the connection part 123c may be a boundary between the lower part 122 and the extension part 123 on the plane side. That is, the separation distance D may mean the degree of a distance by which the extension part 123 that can be located on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ice is spaced apart from the receiving part 20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이격거리(D)의 크기는 이젝터핀(E)과의 거리가 기준이 되어 기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격거리(D)는 제빙되는 얼음의 폭 1.5배 이하의 거리로 결정될 수 있다.The size of the separation distance D may be determin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ejector pin E. For example, the separation distance D may be determined as a distance less than 1.5 times the width of the ice being made.

즉, 격벽(120)은 제빙수를 수용부(201)로 안내하는 하측부(122) 및 얼음의 이빙과정 중 얼음과의 접촉 또는 충돌을 회피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되는 연장부(123)를 포함하고, 수용부(201)로부터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1도 이상 10도 이하에서 결정되는 각도 이상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되, 격벽(120)의 면적은 열개부(121)가 없는 상태를 기준으로 30% 이상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하측부(122) 및 연장부(123) 간 평면측 경계는 인접한 이젝터핀(E)과의 거리가 제빙되는 얼음의 폭 1.5배 이하의 거리로 결정될 수 있다.That is, the partition wall 120 includes a lower part 122 for guiding the ice-making water to the receiving part 201 and an extension part 123 positioned at a position to avoid contact with or collision with ice during the ice moving process. and spaced apart from the receiving part 20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an angle determined at 1 degree or more and 10 degre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area of the partition wall 120 is 30 based on the state without the opening part 121 % or more. In addition, the plane-side boundary between the lower portion 122 and the extension portion 123 may be determined as a distance equal to or less than 1.5 times the width of the ice from which the distance to the adjacent ejector pin E is made.

도 8은 본 발명의 절개부(130b)의 위치가 후측에 위치한 제빙기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n ice maker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cutout 130b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t the rear side.

도 8을 참조하면, 급수부(100b)는 도 4에 표시된 이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보다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절개부(130b)는 연장된 급수부(100b)의 연장된 방향으로의 후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절개부(130b)는 얼음의 이빙궤적에 인접한 급수부(100b)에 형성되되, 급수부(100b)의 격벽 중 이빙방향의 후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절개부(130b)는 수용부(201)의 상방에 형성되어, 제빙수가 수용부(201)로 제공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water supply unit 100b may further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ice direction shown in FIG. 4 . In addition, the cutout 130b may be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extended water supply part 100b in the extending direction. That is, the cutout 130b may be formed in the water supply unit 100b adjacent to the ice trajectory of the ice, and may be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partition wall of the water supply unit 100b in the ice direction. However, the cutout 130b may be formed above the accommodating part 201 to provide ice-making water to the accommodating part 201 .

그리고, 상기의 경우와 같이 이빙방향으로 급수부(100b)가 연장된 경우, 이탈방지부(125b)가 절개된 격벽(120b)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격벽(120b)은 이빙방향으로 얼음이 이빙될 때, 제공부(110b)를 구획하는 격벽의 일부에 의해 가이드 될 수 있고 나아가, 가이드하는 상기 격벽을 지나서 주변 구성과의 접촉 등을 요인에 의해 이빙방향으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이탈방지부재(125b)에 의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And, when the water supply part 100b extends in the ice-dividing direction as in the above case,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125b may extend from the cut-out partition wall 120b. The partition wall 120b may be guided by a part of the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providing unit 110b when ice moves in the ice direction, and further, the partition wall 120b passes through the guide partition wall and moves through the ice by a factor such as contact with surrounding components. In the case of departure from the direction, the separation may be prevented by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25b.

도 9는 본 발명의 급수부(100b)는 이빙궤적을 대향하는 격벽(120b)이 좁아지는 제빙기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n ice maker in which the water supply part 100b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arrowed in the partition wall 120b facing the ice breaking trajectory.

도 9를 참조하면, 급수부(100b)는 이빙방향과 이빙각도범위(A)가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빙각도범위(A)는 얼음의 이빙방향을 기준으로 평면상에서 기 결정된 각도만큼 제빙기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water supply unit 100b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ice direction and the ice angle range A are formed. Specifically, the ice-diverging angle range A may extend outwardly of the ice maker by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plane with respect to the ice-moving direction.

이빙방향과 각도를 형성하는 격벽에는 절개되어 절개부(130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빙각도범위(A)는 얼음이 절개된 격벽부에 접촉 또는 충돌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이빙방향을 이탈해서 이빙되는 경우에도 원활하게 이빙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될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forming an angle with the ice direction may be cut to form a cutout 130b. The ice angle range (A) may have a structure that allows the ice to move smoothly even when the ice moves out of the ice direction so that the ice does not contact or collide with the cut partition wall.

상기 이빙각도범위(A)에 의해 얼음은 이빙 시에 급수부(100)의 일부에 접촉 및 충돌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일부는, 제2단부(102b)가 될 수 있다. 급수부(100)에는 격벽(120b)이 절개되며 형성되는 절개부(130b)가 마련될 수 있다. 절개부(130b)는 공간을 의미하고, 절개된 부분의 단부, 즉, 절개된 측의 격벽(120b)의 두 단부를 제1단부(101b) 및 제2단부(102b)라 하고, 제1단부는 얼음의 이빙궤적이 형성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전측에 인접하고 제2단부(102b)는 후측에 인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1단부(101b) 및 제2단부(102b)는 급수부(100)의 일부로써, 서로 평부 및 곡부 중 하나 이상의 형상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Due to the ice angle range A, the ice may not come into contact with and collide with a part of the water supply unit 100 during ice drift. For example, the part may be the second end 102b. The water supply part 100 may be provided with a cutout 130b formed by cutting the partition wall 120b. The cutout 130b refers to a space, and the two ends of the cutout portion, that is, the partition wall 120b on the cut side, are referred to as a first end 101b and a second end 102b, and the first end may be positioned so as to be adjacent to the front sid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ce drift trajectory is formed and the second end 102b to be adjacent to the rear side. The first end 101b and the second end 102b are a part of the water supply unit 100 an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one or more shapes of a flat portion and a curved portion.

구체적으로 제2단부(102b)는 제1단부(101b)를 중심으로 얼음의 이빙궤적 방향으로부터 기 결정된 각도 벌어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 결정된 각도는 이빙각도범위(A)일 수 있고, 별도로 형성된 각도일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second end 102b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ice drifting trajector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end 101b.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an ice angle range (A), and may be an angle formed separately.

상기 기 결정된 각도에 의해 제2단부(102b)는 수용부(201)로부터 제1단부(101b)보다 더 많이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 조건은 제1단부(101b)보다 제2단부(102b)가 얼음의 이빙궤적으로부터 더 먼 측에 위치됨으로써 얼음이 이빙시에 접촉이나 충돌로 인한 장애를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예시와 같이 급수부(100)가 수용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빙수를 제공하는 구조인 경우에는 제빙수의 제공방향의 반대편으로 제1단부(101b)로부터 제2단부(102b)가 벌어지며 연장된 방향에 위치될 수도 있다.By the predetermined angle, the second end 102b may be more spaced apart from the receiving portion 201 than the first end 101b. Such a separation condition is to avoid obstacles due to contact or collision when ice is ice moving, since the second end 102b is located on the farther side from the ice trajectory than the first end 101b. Therefore, as in this example, when the water supply unit 10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unit and has a structure that provides ice-making water, the second end 102b opens from the first end 101b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ce-making water supply direction. It may be located in the extended direction.

상기 이빙방향을 이탈해서 이빙되는 경우는, 히터의 발열온도, 발열시간, 이젝터의 회전속도 및 냉장고 또는 냉동고 내의 온도를 포함한 환경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이러한 조건은 미세하게나마 지속적으로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빙방향이 이빙 시마다 조금씩은 달라질 수 있다. 이렇게 달라질 수 있는 이빙방향을 수용할 수 있도록 기 결정된 각도만큼 제빙기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In the case of drifting away from the ice direction, it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heater, the heating time, the rotation speed of the ejector, and the environment including the temperature in the refrigerator or freezer, and since these conditions may be continuously changed, even slightly, the ice The direction may change slightly with each drift. It may exten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ice maker by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accommodate the changing ice direction.

예를 들어, 이빙각도범위는 예를 들어, 20도 이하가 될 수 있다. 20도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평면상에서 절개부(130b)와 수용부(201) 간 거리가 멀어져 제빙수의 제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즉, 제빙수의 일부가 수용부(201) 내로 유입되지 않고 제빙트레이(200) 외측으로 공급되면, 제빙트레이(200) 주변부에 얼음이 형성되거나 저장부에 저장된 얼음 간에 고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제빙기로부터의 얼음의 인출을 방해하거나 이빙을 비정상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ange of the icing angle may be, for example, 20 degrees or less. When it exceeds 20 degrees, the distance between the cutout 130b and the receiving part 201 increases on a plane, so that it may not be possible to provide the ice-making water smoothly. That is, if a portion of the ice-making water is supplied to the outside of the ice-making tray 200 without flowing into the accommodating part 201 , ice may be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ice-making tray 200 or sticking may occur between the ic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Such a result may interfere with the extraction of ice from the ice maker or may become a factor causing the ice to be removed abnormally.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0, 100 : 급수부
11, 110, 110b : 제공부
101, 101b : 제1단부
102, 102b : 제2단부
12, 120, 120a, 120b : 격벽
121, 121a : 열개부
122, 122a : 하측부
123, 123a : 연장부
123c : 연결부
125, 125b : 이탈방지부
130, 130b : 절개부
20, 200 : 제빙트레이
201 : 수용부
300 : 제어박스
C1 : 제1곡부
C2 : 제2곡부
C3 : 제3곡부
E : 이젝터핀
B : 이격거리
A : 이빙각도범위
10, 100: water supply
11, 110, 110b: providing unit
101, 101b: first end
102, 102b: second end
12, 120, 120a, 120b: bulkhead
121, 121a: dehiscence
122, 122a: lower part
123, 123a: extension
123c: connection
125, 125b: escape prevention part
130, 130b: cutout
20, 200: Ice tray
201: receptacle
300: control box
C1: 1st song part
C2 : 2nd song part
C3: 3rd song
E: ejector pin
B: separation distance
A : Ice angle range

Claims (11)

제어박스;
상기 제어박스의 일측에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수용부를 포함하는 제빙트레이; 및
상기 제빙트레이에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제빙수를 안내하는 공간이 마련되는 제공부, 상기 제빙수가 상기 수용부에 제공되도록 개구된 절개부 및 상기 제공부를 외부와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측에 형성되고, 얼음의 이빙궤적이 형성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전측 및 후측에 각각 위치되는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단부는 상기 제1단부로부터 상기 제빙수가 급수되는 급수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벌어진 방향 또는 상기 수용부와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제빙수를 안내하는 하측부 및 상기 하측부로부터 상측 일방으로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하측부 및 상기 연장부의 경계인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빙기.
control box;
an ice-making tra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trol box and including one or more accommodating parts; and
and a water supply unit supplying ice-making water to the ice-making tray.
The water supply unit,
a provision unit provided with a space for guiding the ice-making water; a cutout opened to provide the ice-making water to the receiving unit; and a partition wall dividing the provision unit from the outside;
The partition wall,
It is formed on the side where the cutout is formed,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ends respectively locat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ce trajectory is formed,
The second end is loc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water supply direction in which the ice making water is supplied from the first end o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eceiving portion,
An ice maker comprising: a lower portion guiding the ice-making water;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to an upper side; and a connection portion serving as a boundary between the lower por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부는 상기 제1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얼음의 이빙궤적으로부터 기 결정된 각도 이상으로 벌어지며,
상기 기 결정된 각도는 1도 이상 10도 이하인, 제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end is sprea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from the ice trajectory of the ice around the first end,
The pre-determined angle is 1 degree or more and 10 degrees or les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로부터 제공된 제빙수를 상기 수용부 내에서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ce maker further comprising a water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level of the ice-making water provid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in the accommodating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는 이젝터핀을 회전시키고,
상기 이젝터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얼음이 이빙되는, 제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box rotates the ejector pin,
An ice maker in which the ice is removed by rotation of the ejector pi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외곽선은 곡부 또는 평부을 포함하는, 제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outline of the cutout includes a curved portion or a flat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단부 및 상기 제2단부는 곡부 또는 평부를 통해 연결되는, 제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re connected through a curved portion or a flat portion.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서 절개가 된 측과 상기 연장부로부터 얼음을 이빙하는 이젝터핀 간의 거리는 제빙되는 얼음의 폭의 1.5배 이하인, 제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ce maker, wherein a distance between the side cut in the partition wall and the ejector pin for removing ice from the extension part is 1.5 times or less the width of the ice being ma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부 측의 상기 절개부로부터 연장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ce maker further comprising a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cutout on the second end 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에 인접한 상기 이빙궤적은 후측으로 갈수록 상기 이빙궤적의 범위가 넓어지는, 제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ce maker, wherein the range of the ice trajectory adjacent to the water supply portion increases toward the rear side.
청구항 1 내지 6 및 청구항 8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A refrigerator comprising the ice mak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nd 8 to 10.
KR1020170123462A 2017-09-25 2017-09-25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4465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462A KR102446553B1 (en) 2017-09-25 2017-09-25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CN201821563653.0U CN209279457U (en) 2017-09-25 2018-09-25 Ice machin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ice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462A KR102446553B1 (en) 2017-09-25 2017-09-25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890A KR20190034890A (en) 2019-04-03
KR102446553B1 true KR102446553B1 (en) 2022-09-26

Family

ID=66165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462A KR102446553B1 (en) 2017-09-25 2017-09-25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46553B1 (en)
CN (1) CN209279457U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631B1 (en) * 2003-11-11 2006-04-28 주식회사 대창 Ice-making machine with improved structure
JP2008057895A (en) * 2006-08-31 2008-03-13 Nidec Sankyo Corp Ice mak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618B1 (en) 2003-09-18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feeding device for automatic ice-maker in refrigerator
KR101519877B1 (en) * 2008-06-13 2015-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00065969A (en) * 2008-12-09 2010-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An icemaker and a refrigerator with the same
KR20160045640A (en) * 2016-02-11 2016-04-27 주식회사 대창 Ice mak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631B1 (en) * 2003-11-11 2006-04-28 주식회사 대창 Ice-making machine with improved structure
JP2008057895A (en) * 2006-08-31 2008-03-13 Nidec Sankyo Corp Ice mak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9279457U (en) 2019-08-20
KR20190034890A (en)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96667B1 (en) Refrigerator with an ice maker
EP2096381A2 (en)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110625A2 (en) Refrigerator
EP2333469B1 (en) Refrigerator and storing device for refrigerator
US20150308725A1 (en) Ice making apparatus for a fridge or freezer
EP3295099B1 (en) Refrigerator
KR20100020897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WO2008100018A1 (en) Ice making device and refrigerator
KR102446553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EP2356388B1 (en) Refrigerator related technology
KR20230018502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EP3106793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9724342B (en) Ice supplying apparatus having a quantitative discharge unit
KR20200120382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EP3653961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KR20220049942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EP4098956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JP6567978B2 (en) refrigerator
KR102617227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KR102298721B1 (en) Ice-maker for use in refrigerator
JP2013245004A (en) Liner and cold insulation container
JP6372955B2 (en) Ice making unit
JP7076560B2 (en) Automatic ice maker
CN220959027U (en) Ice making device and refrigeration equipment
KR20160045640A (en) Ice m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