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055B1 - 도로변 배전 전주 위치판단 설비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도로변 배전 전주 위치판단 설비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055B1
KR102446055B1 KR1020220018069A KR20220018069A KR102446055B1 KR 102446055 B1 KR102446055 B1 KR 102446055B1 KR 1020220018069 A KR1020220018069 A KR 1020220018069A KR 20220018069 A KR20220018069 A KR 20220018069A KR 102446055 B1 KR102446055 B1 KR 102446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unit
photographing
plate panel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8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삼종
Original Assignee
이삼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삼종 filed Critical 이삼종
Priority to KR1020220018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0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변 배전 전주 위치판단 설비 운영방법으로서, 전주에 대한 위치판단 설비가 준비되는 단계; 상기 위치판단 설비가 설치되어 운용되는 단계; 및 상기 위치판단 설비에 대한 유지 관리 보수가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주 주변에는 유닛이 배치되어 상기 위치판단 설비에 대한 모니터링과 상기 위치판단 설비가 설치된 현장 주변에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접근인원과 모니터링 대상이 모니터링되며, 상기 위치판단 설비는, 대상물의 촬영하여 위치를 판단하는 제1 촬영부; 상기 제1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대상물의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제2 촬영부; 상기 제1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대상물의 중심을 연산하고, 상기 대상물의 중심이 이동하는 이동궤적을 파악한 다음 이동궤적이 상기 각 촬영부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벡터값을 연산한 후, 팬틸트를 연산된 벡터값만큼 이동하여 대상물의 화면상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로변 배전 전주 위치판단 설비 운영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로변 배전 전주 위치판단 설비 운영방법{Operating method for the Jeonju location determination system}
본 발명은 도로변 배전 전주 위치판단 설비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변에 설치된 전주의 위치를 다수개 카메라를 이용하여 판단하되, 전주에 대한 필요한 작업이 진행되거나 이상발생으로 주변의 통제가 필요한 경우 해당 주변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통제와 관리하여 안전관리를 수행하며 독립적인 별개의 모니터링 수단이 구비되어 효과적이며 안정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로변 배전 전주 위치판단 설비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기술의 발전과 함께 차량의 증가가 심각한 교통 체증과 교통 안전성의 저하를 초래하고 있어, 단순히 차량의 통행량 및 교통 체증의 감시에 국한되지 않고, 차량의 과속, 신호 위반, 꼬리 물기 등의 교통 단속이 가능한 지능형 교통 감시 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주행중 전주를 촬영하여 자동으로 진단하는 시스템에서는, 빠르게 이동하며 각각의 전주들을 촬영하기 위하여 팬틸트를 조정하여 전주가 중앙에 위치하게 하는 행위는 작업자가 조작할 경우 2 ~ 3초 내에 완료를 해야 하는데, 전방용 후방용 카메라 2대를 사용하게 되면, 조작이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실정이다.
무엇보다 이러한 전주의 유지 관리 보수 등에 대한 작업시 전주 자체와 주변상황을 통합적으로 관리 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부재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본 발명의 도로변 배전 전주 위치판단 설비 운영방법은 다수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도로변 배전 전주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이 추구하는 목적 중에 하나이다.
또한, 이러한 수단과 별개로 독립적인 모니터링 수단이 갖추어져 시스템의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한 도로변 배전 전주 위치판단 설비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도로변 배전 전주 위치판단 설비의 제공과정에 신뢰성을 부여하고 검증이 가능하도록 하여 품질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시스템의 준비, 설치 운영 등에 대한 관리수단이 갖춰져 시스템에 대한 안정적 취급을 위한 실시간 감시와 대응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관리수단을 통해 시스템은 물론 이러한 시스템에 주변현장에 관련된 인원, 비인가 인원 등의 관리와 통제를 가능케 하여 시스템 품질에 영향을 주는 다양항 상황을 복합적으로 관리하도록 한다.
또한, 시공현장 주변에 시스템과 함께 설치되는 부수적인 별도의 시공보조물(예: 자재 이송수단, 위치이동수단, 운송차량, 작업자 냉난방용기, 컨테이너 등)에 대해서도 함께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관리수단이 최소한도로 구비되어 다수의 대상물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모니터 관리하되 사전 혹은 사후적인 이상발생에 대한 책임여부를 검증한다.
또한, 이러한 관리수단의 동작 전환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부하와 딜레이를 억제하고 외부 환경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을 통해 설치 운용상태를 최적화 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변 배전 전주 위치판단 설비 운영방법으로서, 도로변 배전 전주에 대한 위치판단 설비가 준비되는 단계; 상기 위치판단 설비가 설치되어 운용되는 단계; 및 상기 위치판단 설비에 대한 유지 관리 보수가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주 주변에는 유닛이 배치되어 상기 위치판단 설비에 대한 모니터링과 상기 위치판단 설비가 설치된 현장 주변에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접근인원과 모니터링 대상이 모니터링되며, 상기 위치판단 설비는, 대상물의 촬영하여 위치를 판단하는 제1 촬영부; 상기 제1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대상물의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제2 촬영부; 상기 제1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대상물의 중심을 연산하고, 상기 대상물의 중심이 이동하는 이동궤적을 파악한 다음 이동궤적이 상기 각 촬영부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벡터값을 연산한 후, 팬틸트를 연산된 벡터값만큼 이동하여 대상물의 화면상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로변 배전 전주 위치판단 설비 운영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가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주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단과 별개로 독립적인 모니터링 수단이 갖추어져 시스템의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한 도로변 배전 전주 위치판단 설비 운영방법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로변 배전 전주 위치판단 설비의 제공과정을 신뢰성을 부여하고 검증이 가능하도록 하여 품질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의 준비, 설치 운영 등에 대한 관리수단이 갖춰져 시스템에 대한 안정적 취급을 위한 실시간 감시와 대응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관리수단을 통해 시스템은 물론 이러한 시스템에 주변현장에 관련된 인원, 비인가 인원 등의 관리와 통제를 가능케 하여 시스템 품질에 영향을 주는 다양항 상황을 복합적으로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시공현장 주변에 시스템과 함께 설치되는 부수적인 별도의 시공보조물(예: 자재 이송수단, 위치이동수단, 운송차량, 작업자 냉난방용기, 컨테이너 등)에 대해서도 함께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관리수단이 최소한도로 구비되어 다수의 대상물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모니터 관리하되 사전 혹은 사후적인 이상발생에 대한 책임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관리수단의 동작 전환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부하와 딜레이를 억제하고 외부 환경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을 통해 설치 운용상태를 최적화 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위치 판단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위치 판단 시스템에서 각 촬영부에 의해 대상물이 촬영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위치 판단 시스템에서 대상물의 중심의 이동궤적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위치 판단 시스템에서 대상물의 각 촬영부의 중심에서 벗어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위치 판단 시스템에서 대상물이 각 활영부의 중심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위치 판단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위치 판단 방법을 나타내는 다른 흐름도.
도 8 내지 도 13은 도 1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위치 판단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위치 판단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위치 판단 시스템에서 각 촬영부에 의해 대상물이 촬영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위치 판단 시스템에서 대상물의 중심의 이동궤적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위치 판단 시스템(100)은, 제1 촬영부(110), 제2 촬영부(13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촬영부(110)는, 전주(400) 등의 대상물을 촬영하여 대상물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대상물의 이동하는 경로를 파악한다. 상기 제2 촬영부(130)는, 전주(400) 등의 대상물을 촬영하고, 상기 제1 촬영부(110)를 통해 촬영된 대상물의 상태정보를 저장하거나 자동인식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촬영부(110)는, 탐색용으로 40°에서 60°의 중각 카메라일 수 있고, 제2 촬영부(130)는 고해상도 10°에서 15°의 협각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1 촬영부(110)를 통해 촬영된 대상물의 중심(401)을 연산하고, 상기 대상물의 중심(401)이 이동하는 이동궤적(500)을 파악한 다음, 상기 이동궤적(500)이 상기 각 촬영부(110, 130)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벡터값을 연산한 후, 팬틸트(미도시)를 연산된 벡터값만큼 이동하여 대상물의 화면상의 위치를 조절한다.
여기서, 화면에서 세로 방향으로 영상 높이의 반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에지(Edge) 추출 딥러닝으로, 미리 학습시킨 에지들이 추출되고, 추출된 에지로 형성된 영역이 ROI(Regional of Interest)의 중심이 되며, 일정 거리에서 촬영하는 중각 카메라(110)에는 이러한 중심이 복수개가 검출되고, 중심을 이어주는 방향이 이동하는 이동궤적이 된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대상물이 중각 카메라 화면(200)의 중심과, 협각 카메라 화면(30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조절된 상태에서 대상물을 촬영하거나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촬영부(110)와 상기 제2 촬영부(130)를 통해 촬영된 대상물의 상기 이동궤적(500)과, 상기 각 촬영부(110, 130)의 화면 중심의 위치가 불일치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팬틸트를 통해 상기 각 촬영부(110, 130)를 이동시켜 상기 대상물의 이동궤적(500)과 상기 각 촬영부(110, 130)의 화면상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조절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50)는 제1 연산부(미도시), 제2 연산부(미도시) 및 위치 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산부는, 상기 제1 촬영부(110)에 의해 촬영된 대상물의 중심(401)을 연산한다. 상기 제2 연산부는, 상기 중심이 이동하는 이동궤적(500)을 판단하고, 상기 이동궤적(500)이 상기 각 촬영부(110, 130)의 화면상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값을 연산한다.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팬틸트를 연산된 값 만큼 이동시켜 상기 대상물이 상기 각 활영부(110, 130)의 화면상의 중심으로 위치하도록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대상물은 전주(400)일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위치 판단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 촬영부(110)를 통해 대상물을 촬영하고(S101), 이후, 제2 촬영부(130)를 통해 대상물을 촬영한 다음 상태정보를 저장한다(S103). 이후, 대상물이 상기 각 촬영부(110, 130)의 화면 중심에 위치하는 지를 판단하여 상기 대상물이 상기 각 촬영부(110, 130)의 화면 중심에 위치하도록 조절한다(S105).
여기서, 상기 대상물이 상기 각 촬영부(110, 130)의 화면 중심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화면 중심까지의 이격값을 연산하고, 연산된 값만큼 팬틸트를 조절하여 상기 각 촬영부(110, 130)의 위치를 조절한다. 중각 카메라(110) 궤적을 분석한 다음 화면내의 협각 카메라(130)의 범위를 정의한다(S301).
이후, 중각 카메라(110)의 궤적이 협각 카메라(130) 범위내에 있는가를 판단하여(S303), 협각 카메라(130)의 범위 밖이면 중각 카메라(110)의 궤적을 분석하여 화면중앙과의 오차값을 연산하고(S311), 오차값에 대응하는 팬틸트 구동명령을 내린다(S313). 또한, 궤적이 협각 카메라(130)의 범위 내이면 중각 카메라(110)의 궤적을 분석하여 화면의 중앙점의 오차값을 연산한다(S305).
이후, 중각 카메라(110)의 오차값이 허용오차범위내에 있는가를 판단하여, 허용오차 범위밖이면 중각 카메라(110)의 궤적을 분석하여 화면 중앙과의 오차값을 연산한후(S315), 오차값에 대응하는 팬틸트 구동명령을 내리고(S317), 허용오차 범위내이면 촬영종료 명령을 수신하고(S309) 촬영을 종료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되는 본 발명의 경우, 전주(400)의 위치를 화면상의 중심에 자동으로 위치하도록 하기 때문에, 각 촬영부(110, 130)를 통한 촬영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자동차의 운전중에 전주(400)를 촬영할 때, 운전이외의 것에 신결쓸 필요가 없어 사고의 위험도 크게 감소시킨다. 또한, 화면의 중심부에서 대상물과의 이격거리를 연산한 다음 팬틸트를 연산된 값만큰 이동시키기 때문에 위치조절이 손쉽게 되게 한다.
도 8 내지 도 13를 참고하면 도로변 배전 전주 위치판단 설비 운영방법으로서, 전주에 대한 위치판단 설비가 준비되는 단계; 상기 위치판단 설비가 설치되어 운용되는 단계; 및 상기 위치판단 설비에 대한 유지 관리 보수가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전주 주변에는 모니터설비가 배치되어 상기 위치판단 설비에 대한 모니터링과 상기 위치판단 설비가 설치된 현장 주변에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접근인원과 모니터링 대상이 모니터링된다.
여기서 상기 위치판단 설비는, 대상물의 촬영하여 위치를 판단하는 제1 촬영부; 상기 제1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대상물의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제2 촬영부; 상기 제1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대상물의 중심을 연산하고, 상기 대상물의 중심이 이동하는 이동궤적을 파악한 다음 이동궤적이 상기 각 촬영부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벡터값을 연산한 후, 팬틸트를 연산된 벡터값만큼 이동하여 대상물의 화면상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모니터설비는 현장에 위치되는 하방몸체유닛(10'); 상기 하방몸체유닛(10')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어 회전방식으로 주변을 촬영하는 중앙감시유닛(20');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 위치이동되고, 상기 중앙감시유닛(20') 일측에 구비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제1사이드감시유닛(30'); 및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 위치이동되고, 상기 중앙감시유닛(20') 타측에 구비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감시유닛(2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설치되는 구동모듈(21')과, 상기 구동모듈(21')의 상부로 설치되는 연결봉모듈(22')과, 상기 연결봉모듈(22')의 상부에 구비되는 플레이트패널모듈(23')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둘레부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촬영모듈(24')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둘레부를 따라 상기 촬영모듈(24')들 사이에 배치되어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모듈(25')을 포함한다.
상기 촬영모듈(24')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상기 구동모듈(21')이 제공하는 구동력을 상기 연결봉모듈(22')을 매개로 전달받아 회전되는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한다.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일측과 연동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고정시키거나,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회전되는 상태를 정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타측과 연동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고정시키거나,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회전되는 상태를 정지시킨다.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구비되는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 상부에 구비되는 제1플랜지모듈(32')과, 상기 제1플랜지모듈(32')과, 상부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제2플랜지모듈(33')과, 상기 제1플랜지모듈(32')과 상기 제2플랜지모듈(33') 사이에 구비되는 제1사이드촬영모듈(34’)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구비되는 제2사이드구동모듈(41’)과,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 상부에 구비되는 제3플랜지모듈(42')과, 상기 제2플랜지모듈(33')과, 상부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제4플랜지모듈(43')과, 상기 제3플랜지모듈(42')과 상기 제4플랜지모듈(43') 사이에 구비되는 제2사이드촬영모듈(44’)을 포함한다.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의 상기 제1플랜지모듈(32')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하부로 접촉되는 제1연결모듈(71')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상부로 접촉되는 제2연결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의 상기 제2플랜지모듈(33')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하부로 접촉되는 제3연결모듈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상부로 접촉되는 제4연결모듈이 구비된다.
상기 제1연결모듈(71')은 제1상방연결대와, 상기 제1상방연결대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1자력고정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모듈은 제2하방연결대와, 상기 제2하방연결대의 하부로 구비되는 제2자력고정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3연결모듈은 제3상방연결대와, 상기 제3상방연결대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3자력고정체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4연결모듈은 제4하방연결대와, 상기 제4하방연결대의 하부로 구비되는 제4자력고정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1자력고정체 내지 상기 제4자력고정체는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의 회전상태 혹은 무회전상태에서 자력흡착방식으로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1차 고정시킨다.
상기 제1자력고정체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1연동체가 출몰되며, 상기 제2자력고정체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2연동체가 출몰되며, 상기 제3자력고정체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3연동체가 출몰되며, 상기 제4자력고정체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4연동체가 출몰되며, 상기 제1연동체 내지 상기 제4연동체는 각기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내부로 삽입장착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2차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하방몸체유닛(10')은,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는 제1간격유지모듈과,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는 제2간격유지모듈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1간격유지모듈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 상부로 설치되는 제1상방몸체(81')와, 상기 제1상방몸체(81') 상부로 설치되는 제1상방구동체(82')와, 제1상방구동체(82')의 일측으로 출몰되어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에 접하는 제1접촉체(83')와, 제1상방구동체(82')의 타측으로 출몰되어 상기 구동모듈(21')에 접하는 제2접촉체(84')를 포함한다.
상기 제2간격유지모듈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 상부로 설치되는 제2상방몸체(91')와, 상기 제2상방몸체(91') 상부로 설치되는 제2상방구동(92')체와, 제2상방구동(92')체의 일측으로 출몰되어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에 접하는 제3접촉체(94')와, 제2상방구동(92')체의 타측으로 출몰되어 상기 구동모듈(21')에 접하는 제4접촉체(95')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접촉체(83') 내지 상기 제2접촉체(84')는,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이 상기 구동모듈(21') 측으로 위치이동되면,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이 상기 구동모듈(21')에 각각 접하여 위치이동에 따른 충격의 완충을 수행하되, 상기 제1접촉체(83') 내지 상기 제2접촉체(84')는, 충격의 완충을 위하여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의 상기 구동모듈(21') 측으로 위치이동에 따른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제1상방구동체(82') 내부로 일정범위 유동된다.
여기서 상기 제3접촉체(94') 내지 상기 제4접촉체(95')는,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이 상기 구동모듈(21') 측으로 위치이동되면,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이 상기 구동모듈(21')에 각각 접하여 위치이동에 따른 충격의 완충을 수행하되, 상기 제3접촉체(94') 내지 상기 제4접촉체(95')는, 충격의 완충을 위하여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의 상기 구동모듈(21') 측으로 위치이동에 따른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제2상방구동(92')체 내부로 일정범위 유동된다.
아울러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은, 상기 구동모듈(21')로부터 외측으로 이격을 위한 위치이동이 되는 경우, 상기 제1상방구동체(82')와 상기 제2상방구동(92')체의 회전을 통하여 외측으로 이격을 위한 위치이동이 가속되도록 보조한다.
상기 하방몸체유닛(10')은,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 외측으로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의 고정, 온도조절을 포함하는 취급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1취급유닛(50')과,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 외측으로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의 고정, 온도조절을 포함하는 취급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2취급유닛(60')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1취급유닛(5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상에서 상부로 설치되는 제1패널부(51')와, 상기 제1패널부(51')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 제1배터리모듈(53')이 구비되는 제1가동몸체(52')와, 상기 제1가동몸체(52')의 전면부로 설치되어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에 접촉하며 상기 제1배터리모듈(53')의 전력을 비상용으로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로 공급하는 제1상부접속체(54')와, 상기 제1가동몸체(52')의 전면부로 설치되어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에 접촉하며 상기 제1배터리모듈(53')의 전력을 비상용으로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로 공급하는 제1하부접속체(55')가 구비된다.
상기 제2취급유닛(6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상에서 상부로 설치되는 제2패널부(61')와, 상기 제2패널부(61')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 제2배터리모듈이 구비되는 제2가동몸체(62')와, 상기 제2가동몸체(62')의 전면부로 설치되어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에 접촉하며 상기 제2배터리모듈의 전력을 비상용으로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로 공급하는 제2상부접속체(64’)와, 상기 제2가동몸체(62')의 전면부로 설치되어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에 접촉하며 상기 제2배터리모듈의 전력을 비상용으로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로 공급하는 제2하부접속체(65’)가 구비된다.
상기 제1취급유닛(50')은 상기 제1가동몸체(52')의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측을 향하여 히팅 혹은 냉각을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제1유체취급부(5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취급유닛(60')의 상기 제2가동몸체(62')의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측을 향하여 히팅 혹은 냉각을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제2유체취급부(6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유체취급부(56')와 상기 제2유체취급부(66')는 각기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과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측에 접하여 흡기모드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과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을 고정시키며, 상기 제1상부접속체(54')와 상기 제1하부접속체(55')는 상호 이격되는 동작을 통해 상기 제1플랜지모듈(32')과 상기 제2플랜지모듈(33')을 눌러 고정시킨다.
상기 제2상부접속체(64’)와 상기 제2하부접속체(65’)는 상호 이격되는 동작을 통해 상기 제3플랜지모듈(42')과 상기 제4플랜지모듈(43')을 눌러 고정시킨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시스템 110: 제1 촬영부
130: 제2 촬영부 150: 제어부
200: 중각 카메라 화면 300: 협각 카메라 화면
400: 전주 401: 중심

Claims (2)

  1. 도로변 배전 전주 위치판단 설비로서,
    상기 전주 주변에는 모니터링설비가 배치되어 상기 위치판단 설비에 대한 모니터링과 상기 위치판단 설비가 설치된 현장 주변에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접근인원과 모니터링 대상이 모니터링되며,
    상기 위치판단 설비는,
    대상물의 촬영하여 위치를 판단하는 제1 촬영부;
    상기 제1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대상물의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제2 촬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설비는,
    현장에 위치되는 하방몸체유닛(10');
    상기 하방몸체유닛(10')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어 회전방식으로 주변을 촬영하는 중앙감시유닛(20');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 위치이동되고, 상기 중앙감시유닛(20') 일측에 구비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제1사이드감시유닛(30'); 및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 위치이동되고, 상기 중앙감시유닛(20') 타측에 구비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감시유닛(2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설치되는 구동모듈(21')과, 상기 구동모듈(21')의 상부로 설치되는 연결봉모듈(22')과, 상기 연결봉모듈(22')의 상부에 구비되는 플레이트패널모듈(23')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둘레부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촬영모듈(24')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둘레부를 따라 상기 촬영모듈(24')들 사이에 배치되어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모듈(25')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모듈(24')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상기 구동모듈(21')이 제공하는 구동력을 상기 연결봉모듈(22')을 매개로 전달받아 회전되는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하며,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일측과 연동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고정시키거나,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회전되는 상태를 정지시키며,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타측과 연동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고정시키거나,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회전되는 상태를 정지시키며,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구비되는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 상부에 구비되는 제1플랜지모듈(32')과, 상기 제1플랜지모듈(32')과, 상부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제2플랜지모듈(33')과, 상기 제1플랜지모듈(32')과 상기 제2플랜지모듈(33') 사이에 구비되는 제1사이드촬영모듈(34’)을 포함하며,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구비되는 제2사이드구동모듈(41’)과,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 상부에 구비되는 제3플랜지모듈(42')과, 상기 제2플랜지모듈(33')과, 상부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제4플랜지모듈(43')과, 상기 제3플랜지모듈(42')과 상기 제4플랜지모듈(43') 사이에 구비되는 제2사이드촬영모듈(44’)을 포함하고,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의 상기 제1플랜지모듈(32')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하부로 접촉되는 제1연결모듈(71')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상부로 접촉되는 제2연결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의 상기 제2플랜지모듈(33')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하부로 접촉되는 제3연결모듈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상부로 접촉되는 제4연결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1연결모듈(71')은 제1상방연결대와, 상기 제1상방연결대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1자력고정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모듈은 제2하방연결대와, 상기 제2하방연결대의 하부로 구비되는 제2자력고정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3연결모듈은 제3상방연결대와, 상기 제3상방연결대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3자력고정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4연결모듈은 제4하방연결대와, 상기 제4하방연결대의 하부로 구비되는 제4자력고정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1자력고정체 내지 상기 제4자력고정체는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의 회전상태 혹은 무회전상태에서 자력흡착방식으로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1차 고정시키는 것인 도로변 배전 전주 위치판단 설비.
  2. 삭제
KR1020220018069A 2022-02-11 2022-02-11 도로변 배전 전주 위치판단 설비 운영방법 KR102446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069A KR102446055B1 (ko) 2022-02-11 2022-02-11 도로변 배전 전주 위치판단 설비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069A KR102446055B1 (ko) 2022-02-11 2022-02-11 도로변 배전 전주 위치판단 설비 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055B1 true KR102446055B1 (ko) 2022-09-23

Family

ID=83446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8069A KR102446055B1 (ko) 2022-02-11 2022-02-11 도로변 배전 전주 위치판단 설비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0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5033A (ko) * 2010-12-28 2012-07-0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송전선로 모바일 감시시스템
KR20200079963A (ko) * 2018-12-26 2020-07-06 한국전력공사 전주 위치 판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300163B1 (ko) * 2021-03-03 2021-09-10 주식회사 엠피코씨엠 드론을 활용한 송배전선로 전력설비 감시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5033A (ko) * 2010-12-28 2012-07-0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송전선로 모바일 감시시스템
KR20200079963A (ko) * 2018-12-26 2020-07-06 한국전력공사 전주 위치 판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300163B1 (ko) * 2021-03-03 2021-09-10 주식회사 엠피코씨엠 드론을 활용한 송배전선로 전력설비 감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11476A1 (en) Patrol robot and patrol robot management system
CN107107773B (zh) 用于为车辆感应充电的方法和地面单元
CN102045548A (zh) 一种控制云台摄像机自动变倍的方法
US20220073326A1 (en) Automated mobile vehicle lift column
CN114834301A (zh) 应用于车辆换电的视觉分析系统及方法
US202100866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Electrical Connector Positioning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EP3445536A1 (de) Zufuhr von elektrischer energie und/oder kraftstoff zu einem kraftfahrzeug mittels eines roboters
KR102446055B1 (ko) 도로변 배전 전주 위치판단 설비 운영방법
CN104290681A (zh) 车门开启控制系统及方法
CN110304083A (zh) 一种轨道列车转向架牵引agv及其控制方法
CN106657878A (zh) 一种智能摄像监控装置及其安装调试方法
KR101736439B1 (ko) 터널관제용 cctv 레일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9660027A (zh) 一种融合红外导航及磁导航的机器人自动充电系统及方法
RU2599954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пропуском автомобилей через заданную границу
CN114644291B (zh) 基于视觉处理的电力吊装作业用安全边界搭建装置
WO2020020372A1 (zh) 应用于车辆换电的视觉分析系统及方法
CN112382972B (zh) 一种输电线路异物清除系统及方法
CN110296656A (zh) 基于机器视觉的开关柜自动倒闸装置及方法
KR20200079963A (ko) 전주 위치 판단 시스템 및 방법
CN112659146A (zh) 一种视觉巡检机器人系统及高速公路视觉巡检方法
KR102520934B1 (ko) 피치마크 보수 로봇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6880515B (zh) 一种车辆遥控控制方法、装置及无人车
CN114054990B (zh) 基于机器视觉的便携式智能焊切装置及生命体征检测系统
CN114074320B (zh) 机器人控制方法及装置
KR20220116638A (ko) 주행중 전력시설물 추적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