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370B1 - Laundry treatment machine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ment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370B1
KR102445370B1 KR1020180120980A KR20180120980A KR102445370B1 KR 102445370 B1 KR102445370 B1 KR 102445370B1 KR 1020180120980 A KR1020180120980 A KR 1020180120980A KR 20180120980 A KR20180120980 A KR 20180120980A KR 102445370 B1 KR102445370 B1 KR 102445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microphone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laundry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9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84853A (en
Inventor
장호성
안준희
정민승
강효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0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370B1/en
Publication of KR20190084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8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3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마이크 어셈블리가 구비된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 전면 외형을 형성하며, 한쌍의 마이크 홀이 형성된 프론트 커버; 및 상기 프론트 커버에 장착되는 마이크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 어셈블리는,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면에 접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마이크 홀과 연통되는 한쌍의 연통홀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서로 이격되도록 장착되며,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한쌍의 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후면에서 상기 연통홀을 차폐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device provided with a microphone assembly, the cabinet having an inlet into which laundry is put; a drum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and accommodating laundry; a front cover forming a front outer shape and having a pair of microphone holes; and a microphone assembly mounted on the front cover, the microphone assembly comprising: a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to be in contact with a rear surface of the front cover and having a pair of communication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microphone hole; and a pair of microphone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rough which a user's voice is input, wherein the microphone is mounted to shield the communication hol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 {LAUNDRY TREATMENT MACHINE}Laundry treatment machine {LAUNDRY TREATMENT MACHINE}

본 발명은 마이크 어셈블리가 구비된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device provided with a microphone assembly.

대화형 스마트홈 시대가 본격 개막하면서, 음성인식 기반 인공지능 플랫폼을 통해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전제품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As the conversational smart home era begins in earnest, the development of home appliances that provide interactive services through voice recognition-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s is required.

이러한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되는 가전기기에 음성을 인식하는 마이크 어셈블리와 소리를 전달하는 스피커를 구비해야 한다. In order to provide such an interactive service, a microphone assembly for recognizing voice and a speaker for transmitting sound should be provided in the home appliance used.

예를 들어 물과 세제 및 기계적인 작용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도록 세탁, 헹굼, 탈수 등의 과정을 통해 세정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도 이러한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이크 어셈블리와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a microphone assembly and speaker to provide such an interactive service to a laundry treatment machine that washes through washing, rinsing, and spin-drying processes to remove contaminants from clothes, bedding, etc. using water, detergent, and mechanical action. etc. can be provided.

상기의 마이크 어셈블리와 스피커는 사용자에 가까운 전방이나, 도어에 배치될 수 있다. 투입구가 전방으로 형성되고,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전방에 배치된 프론트로드 세탁기의 경우, 전방에 배치된 도어 내부에 마이크 어셈블리와 스피커가 배치될 수 있다. The microphone assembly and the speaker may be disposed in front close to the user or in the door. In the case of a front load washing machine in which the inlet is formed in the front and the door to open and close the inlet is disposed in the front, the microphone assembly and the speaker may be disposed inside the door disposed in the front.

다만, 전방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지는 도어의 경우, 내부에 평평한 형태의 마이크 어셈블리가 장착될 때, 도어의 전방명과 마이크 어셈블리 사이에 소리가 누설되는 소리샘 공간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음성이 마이크로 전달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door having a convex shape in the front, when a flat microphone assembly is mounted inside, a sound leak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ront name of the door and the microphone assembly, so that the user's voice is not transmitted to the microphone. there is a problem.

또한, 도어 내부에 배치되는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소리는 도어 외부로 전달될 때,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도어 내부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발산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정확한 소리를 전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speaker disposed inside the door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when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speaker is emitted in various directions inside the do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ccurate sound cannot be transmitted to the us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음성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device capable of accurately recognizing a user's voice.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사용자에게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device capable of accurately delivering a sound generated by a speaker to a use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 전면 외형을 형성하며, 한쌍의 마이크 홀이 형성된 프론트 커버; 및 상기 프론트 커버에 장착되는 마이크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 어셈블리는,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면에 접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마이크 홀과 연통되는 한쌍의 연통홀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서로 이격되도록 장착되며,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한쌍의 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후면에서 상기 연통홀을 차폐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은 돌출부위가 없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프론트 커버에 접착시키는 접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통홀과 대응하는 상기 접착부재에는 상기 연통홀과 대응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홀과, 상기 접착부재의 홀 그리고 상기 마이크 홀은 서로 연속하여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외부와 연결되는 연결선이 연결되는 커넥터가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와 상기 마이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동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는 한쌍의 상기 마이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홀은 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홀의 깊이는 상기 마이크 홀의 직경의 3배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외부의 습기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발수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가로 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커버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면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밀착되도록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마이크 어셈블리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커버는 상기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고, 상기 마이크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에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며, 상기 스피커를 차폐하는 리어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 커버에는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외부로 전달되도록 개구된 스피커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상기 리어 커버를 향하여 소리를 출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커버에는 상기 스피커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후방으로 함몰되어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모으는 스피커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홀은 상기 스피커 홈의 함몰된 둘레 중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홈의 둘레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스피커 홈으로 안내하는 돌출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having an inlet into which laundry is put; a drum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and accommodating laundry; a front cover forming a front outer shape and having a pair of microphone holes; and a microphone assembly mounted on the front cover, the microphone assembly comprising: a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to be in contact with a rear surface of the front cover and having a pair of communication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microphone hole; and a pair of microphone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rough which a user's voice is input, wherein the microphone may be mounted to shield the communication hol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front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formed in a flat shape without a protruding portion.
The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provided with an adhesive member for adher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the front cover.
A hole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hole may be formed in the adhesive member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hole.
The communication hole, the hole of the adhesive member, and the microphone hole may continuous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to which a connecting lin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connected, the connector and the microphone are disposed on the sam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onnector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microphones can
The microphone hole may be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that decreases toward the front.
A depth of the microphone hole may be greater than three times a diameter of the microphone hole.
At least one side of the adhesive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repellent member for preventing external moisture from flowing in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microphone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a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The front cover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and a microphone assembly mounting part formed in a planar shape to closely contact the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over.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the front cover may form a front surface of the door, and the microphone assembly may be provided inside the door.
The door may be provided with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The door may further include a rear cover that forms a rear surface of the door and shields the speaker, and the rear cover may have a speaker hole that is opened so that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e speaker may be arranged to output sound toward the rear cover.
A speaker groove may be formed in the rear cover to be recessed rearward at a position facing the speaker to collect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The speaker hole may be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recessed circumference of the speaker groove.
A protrusion rib protruding forward to guide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to the speaker groove may be formed around the speaker groo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effects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마이크가 도어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복수의 마이크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a microphone for recognizing a user's voice is close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user's voice can be recognized more accurately by recognizing the user's voice with a plurality of microphone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어셈블리와 도어의 프론트커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어셈블리의 상면 사시도와 하면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부재와 발수부재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부재와 발수부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어셈블리가 프론트커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어셈블리가 프론트 커버에 밀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어셈블리가 프론트 커버에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내부에 스피커가 배치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착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스피커가 장착되는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스피커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커버의 스피커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리어커버의 내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장착된 도어의 일측을 자른 단면도와 단면사시도이다.
도 18은 제1리어커버의 후방으로 스피커에서 발생한 소리가 전파되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와 스피커발수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시스템의 세탁물 처리기기, 음성인식시스템 및 가전제어서버가 도시된 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시스템이 간략하게 도시된 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n state of the door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microphone assembly and a front cover of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a top perspective view and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microphon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n adhesive member and a water repellen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B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n adhesive member and a water repellen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icrophon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front cover.
9A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before the microphone assembl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B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icrophone assembl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a speaker is disposed inside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of a speaker moun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n which the speaker of FIG. 11 is mounted;
13 is a bottom view of FIG. 11 .
1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peaker of FIG. 11 is mounted.
1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peaker groove of the rear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ner surface of a first rear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A to 17C are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of a door on which a speaker is mou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th through which a sound generated from a speaker propagates to the rear of the first rear cover.
1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peaker and a speaker water-repellen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aundry processing device, a voice recognition system, and a home appliance control server of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laundry treatment 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F)/후(R)/좌(Le)/우(Ri)/상(U)/하(D)”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면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Expressions referring to directions such as “before (F) / after (R) / left (Le) / right (Ri) / up (U) / down (D)” mentioned below are defined as shown in the drawings, but , This is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clearly understood, and of course, each direction may be def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ere the reference is plac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세탁물 처리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세탁물 처리기기 구성><Configuration of laundry treatment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n state of the door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는, 외관을 형성하고, 전방(F)에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캐비닛(20)과, 캐비닛(20) 내로 세탁물이 출입하는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100)와,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며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미도시)와, 터브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40)과, 드럼에 토크를 인가하여 회전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는 세제가 투입하는 세제투입부(30)와, 사용자 입력을 받아 들이며 세탁물 처리기기 상태를 표시하는 컨트롤패널(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terior and a cabinet 20 in which an inlet into which laundry is put is formed in the front F, and into the cabinet 20 . A door 1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through which laundry enters and exits, a tub (not shown)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nd accommodating wash water, a drum 40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tub, and torque applied to the drum and a driving unit (not shown) for rotating it.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detergent input unit 30 into which detergent is put, and a control panel 32 that receives a user input and displays a state of 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캐비닛(20)은 세탁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투입구(22)가 형성된다. 캐비닛(20)에는 투입구(22)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도어(1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100)는 힌지부(50)를 통해 캐비닛(2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의 도어(100)에는 컨트롤패널(32)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컨트롤패널(32)이 캐비닛(2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abinet 20 is provided with an inlet 22 to allow laundry to enter and exit. A door 1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abinet 20 to enable opening and closing of the inlet 22 . The do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ixed to the cabinet 20 through the hinge part 50 . A control panel 32 may be provided at the door 100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panel 32 may be provided in the cabinet 20 .

터브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터브는 드럼(40)의 외부에 드럼(40)를 감싸며 배치된다. 터브의 전면에는 터브홀이 형성되며, 터브홀은 드럼(40) 내부로 세탁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캐비닛(20)의 투입구(22)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The tub forms a space for accommodating washing water. The tub is disposed to surround the drum 40 on the outside of the drum 40 . A tub hole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tub, and the tub hole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22 of the cabinet 20 so that laundry can enter and exit the drum 40 .

구동부는 터브의 후방(R)에 배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동부는 회전축(미도시)과 연결되어 드럼(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부는 드럼(40)을 다양한 속도 또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부는 코일이 권선된 고정자(미도시)와, 코일과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발생시켜 회전하는 회전자(미도시)를 포함한다.The driving unit may be disposed at the rear (R) of the tub to generate rotational force. The driving unit may be connected to a rotating shaft (not shown) to rotate the drum 40 . The driving unit may rotate the drum 40 at various speeds or directions. The driving unit includes a stator (not shown) in which a coil is wound, and a rotor (not shown) that rotates by generating electromagnetic interaction with the coil.

드럼(40)은 세탁물이 수용되어 회전한다. 드럼(40)은 터브 내부에 배치된다. 드럼(40)은 회전 가능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드럼(40)은 세탁수가 통과되도록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드럼(40)은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The drum 40 rotates while receiving laundry. The drum 40 is disposed inside the tub. The drum 40 is formed in a rotatable cylindrical shape. The drum 4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so that the washing water passes. The drum 40 rotates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unit.

드럼(40)의 전방(F)에는 드럼홀이 형성된다. 드럼홀은 드럼(40) 내부로 포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투입구(22) 및 터브홀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드럼(40)의 전방(F)과 후방(R)의 테두리에는 드럼(40)의 회전에 따른 진동을 저감하는 볼밸런서(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볼밸런서는 내부에 볼과 함께 충진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A drum hole is formed in the front F of the drum 40 . The drum hole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22 and the tub hole so that the cloth can enter and exit the drum 40 . A ball balancer (not shown) for reducing vibration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drum 40 may be coupled to the edges of the front (F) and rear (R) of the drum 40 . The ball balancer may include a filling fluid with the ball therein.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터브와 캐비닛(20) 사이를 밀봉하는 개스킷(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24)은 터브의 입구와 투입구(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개스킷(24)은 드럼(40)의 회전시 도어(10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동시에 터브 내의 세탁수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gasket 24 sealing between the tub and the cabinet 20 . The gasket 2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let of the tub and the inlet 22 . The gasket 24 relieves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door 100 when the drum 40 rotates, and at the same time prevents the washing water in the tub from leaking to the outside.

캐비닛(20) 내부에는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터브 내부로 공급하는 급수모듈(미도시)과 터브 내부에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side of the cabinet 20 may include a water supply module (not shown) for supplying wash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to the inside of the tub, and a drainage module (not shown) for discharging wash water from the inside of the tub to the outside.

컨트롤패널(32)에는 사용자를 통해 세탁 코스 선택이나, 각 행정별 동작 시간 및 예약 등의 각종 동작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미도시)와, 세탁물 처리기기(1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패널(32)은 도어(100)에 배치된다. 즉, 도어(100)의 프론트커버(110)에는 입력부 및 표시부가 형성되고, 프론트커버(110)의 후방(R)에 상기의 입력부 및 표시부를 제어하는 컨트롤패널(32)이 배치될 수 있다. The control panel 32 includes an input unit (not shown) for receiving various operation commands such as selection of a washing course or operation time and reservation for each cycle through a user, and a display unit (not shown)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 not shown) may be provided. The control panel 3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on the door 100 . That is, an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are formed on the front cover 110 of the door 100 , and a control panel 32 for controlling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may be disposed at the rear (R) of the front cover 110 .

<도어의 구성><Configuration of doo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분해사시도이다.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어셈블리와 도어의 프론트커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어셈블리의 도면이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부재와 발수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어셈블리가 프론트커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어셈블리가 프론트 커버에 밀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microphone assembly and a front cover of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diagrams of a microphon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views illustrating an adhesive member and a water repellen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icrophon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front cover. 9A and 9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the microphone assembl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내부에 스피커가 배치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착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스피커가 장착되는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4은 도 11의 저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에 스피커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커버의 스피커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리어커버의 내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장착된 도어의 일측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1리어커버의 후방으로 스피커에서 발생한 소리가 전파되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와 스피커발수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n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a speaker is disposed inside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of a speaker moun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n which the speaker of FIG. 11 is mounted; FIG. 14 is a bottom view of FIG. 11 . 1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peaker of FIG. 11 is mounted. 1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peaker groove of the rear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ner surface of a first rear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A to 17C are cross-sectional views of one side of a door on which a speaker is mou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th through which a sound generated from a speaker propagates to the rear of the first rear cover. 1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peaker and a speaker water-repellen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do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100)는 캐비닛(20)에 형성된 투입구(22)를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100)는 캐비닛(20)의 일측에 힌지부(50)를 통해 고정된다. The do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pens and closes the inlet 22 formed in the cabinet 20 . The do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ixed to one side of the cabinet 20 through the hinge part 50 .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는 도어의 내부구조를 형성하는 도어프레임(120), 도어프레임 전방(F)에 배치되는 프론트커버(110), 투명한 재질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드럼(40)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도어윈도우(142) 및 도어프레임(120)의 후방(R)에 배치되어 도어의 후방을 커버하는 리어커버(130, 140)를 포함한다. The do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door frame 120 form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oor, a front cover 110 disposed in front of the door frame (F), and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inside of the drum 40 from the outside. It includes a door window 142 provided for observation and rear covers 130 and 140 disposed at the rear (R) of the door frame 120 to cover the rear of the door.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내부에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32),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 어셈블리(170, 도 5참조), 마이크 어셈블리(170)를 통해 수신됨 음성을 외부서버로 전달하는 음성인식전달모듈(미도시)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동작 상태나 처리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음성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90, 도 10참조)를 포함한다.Inside th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panel 32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the microphone assembly 170 for receiving the user's voice (see FIG. 5), and the microphone assembly 170 for receiving the voice It includes a voice recognition delivery module (not shown) that transmits to an external server and a speaker (190 (refer to FIG. 10) that notifies the user of the operation state or processing information of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or outputs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커버(110)는 도어(100)의 전면 외형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커버(110)는 전방(F)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커버(110)는 투광성을 가지는 유리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커버(110)의 내측에는 마이크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마이크어셈블리 장착부(112)가 형성된다. 프론트커버(110)에는 마이크 어셈블리의 마이크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마이크홀(116a, 116b)이 형성된다. The front cover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ms the front exterior of the door 100 . The front cover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convex toward the front (F). The front cover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glass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A microphone assembly mounting part 112 on which the microphone assembly is mounted is formed inside the front cover 110 . Microphone holes 116a and 116b are formed in the front cover 110 to communicate the microphone of the microphone assembly with the outside.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어셈블리 장착부(112)는 전면에서 바라볼때, 프론트커버(110)의 좌측상단부에 형성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중앙 또는 우측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microphone assembly mounting part 11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on the upper left side of the front cover 110 when viewed from the front. However, this is one embodiment, and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enter or right side.

도 9a, 도 9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어셈블리 장착부(112)에는 마이크 어셈블리(170)의 일측면이 밀착된다. 마이크어셈블리 장착부(112)는 프론트커버(110)의 내측면에서 마이크 어셈블리(170)가 밀착되는 평평한 안착면을 형성한다. 프론트커버(110)의 내측면도 전방(F)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고 있으나, 마이크어셈블리 장착부(112)에는 평평한 안착면(114)가 형성된 홈이 형성되어, 마이크 어셈블리(170)가 마이크어셈블리 장착부(112)에 밀착될 수 있다. 마이크어셈블리 장착부(112)를 제외한 프론트커버(110)의 내측면은 곡면을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S. 9A and 9B , one side of the microphone assembly 17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icrophone assembly mounting part 11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icrophone assembly mounting part 112 forms a flat seating surface to which the microphone assembly 17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110 . Although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110 also forms a convex curved surface toward the front (F), a groove with a flat seating surface 114 is formed in the microphone assembly mounting part 112, so that the microphone assembly 170 is attached to the microphone assembly mounting part ( 112) can be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110 except for the microphone assembly mounting part 112 forms a curved surface.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커버(110)는 마이크 어셈블리(170)의 마이크(180a, 180b)가 배치되는 부분의 전방(F)으로 마이크홀(116a, 116b)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홀(116a, 116b)은 마이크 어셈블리(170)에 포함되는 2개의 마이크(180a, 180b)에 대응하도록 2개가 형성된다. In the front cover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icrophone holes 116a and 116b are formed in the front F of the portion where the microphones 180a and 180b of the microphone assembly 170 are disposed. Two microphone holes 116a and 116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wo microphones 180a and 180b included in the microphone assembly 170 .

본 실시예에 따른 2개의 마이크홀(116a, 116b)은 2개의 마이크(180a, 180b)가 이격된 거리만큼 이격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홀(116a, 116b)은 전방(F)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홀(116a, 116b)의 깊이(H)는 마이크홀(116a, 116b)의 직경(D)보다 크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홀(116a, 116b)의 깊이(H)는 마이크홀(116a, 116b)의 직경(D)의 3배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마이크홀(116a, 116b)은 외부로부터 물기 등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 two microphone holes 116a and 116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distance the two microphones 180a and 180b are spaced apart. The microphone holes 116a and 116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F. The depth (H) of the microphone holes (116a, 116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D) of the microphone holes (116a, 116b). Specifically, the depth (H) of the microphone holes (116a, 116b) is formed to be greater than three times the diameter (D) of the microphone holes (116a, 116b). The microphone holes 116a and 116b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prevent water or the like from being introduced from the outside.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프레임(120)은 전방(F)으로 프론트커버(110)와 체결되고, 후방(R)으로 리어커버(130, 140)와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프레임(120)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프레임(120)은 하부에서 도어윈도우(142)가 설치되는 윈도우홀(122)이 형성되고, 상부에서 컨트롤패널(32)이 설치되는 패널홀(124)이 형성된다. The door fram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astened to the front cover 110 in the front (F), and is fastened to the rear covers 130 and 140 in the rear (R). The door fram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n the door fram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window hole 122 in which the door window 142 is installed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and a panel hole 124 in which the control panel 32 is installed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리어커버(130, 140)는 도어프레임(120) 상부와 체결되며, 스피커홀(136)이 형성된 제1리어커버(130)와 도어프레임(120) 하부와 체결되고, 도어윈도우(142)를 도어프레임(120)에 체결시키는 제2리어커버(140)로 구분될 수 있다. The rear covers 130 and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door frame 120 , the first rear cover 130 having the speaker hole 136 formed therein, and the lower part of the door frame 120 are fastened to the door window. It may be divided into a second rear cover 140 that fastens the 142 to the door frame 120 .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리어커버(130)는 도어프레임(1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컨트롤패널(32)이 배치되는 공간의 후방(R)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리어커버(130)는 제2리어커버(140)의 상측(U)에 배치된다. The first rear cover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at the rear (R) of the space in which the control panel 32 disposed above the door frame 120 is disposed. The first rear cover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U) of the second rear cover 140 .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리어커버(130)는 도어프레임(120)의 스피커(190)가 배치되는 부분에 대향하는 부분에서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모아 외부로 보내는 스피커홈부(132)가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16 , in the first rear cover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peaker groove part collects the sound generated by the speaker at the part opposite to the part where the speaker 190 is disposed of the door frame 120 and sends it to the outside. (132) is formed.

스피커홈부(132)는 스피커(190)에서 발생한 소리가 모이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후방으로 홈을 형성하는 스피커홈(134), 스피커홈(134)으로 모아진 소리가 외부로 전달되도록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스피커홀(136) 및 스피커(190)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스피커홈(134)으로 전달되도록 스피커홈(134)의 외둘레에서 도어(100)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리브(138, 139)를 포함한다. The speaker groove 132 is a speaker groove 134 that forms a groove in the rear to form a space in which sounds generated from the speaker 190 are collected, and a speaker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so that the sound collected by the speaker groove 134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It includes protruding ribs 138 and 139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speaker groove 134 to the inside of the door 100 so that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hole 136 and the speaker 190 is transmitted to the speaker groove 134 .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홈(134)은 대략 사각형태의 홈이 후방(R)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홈(134)은 스피커(190)와 대략 같은 높이 또는 스피커(19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홈(134)은 스피커(190)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잘 모을 수 있도록 스피커(19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e speaker groove 13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substantially rectangular groove protrudes to the rear (R). The speaker groove 13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at about the same height as the speaker 190 or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peaker 190 . The speaker groove 13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peaker 190 so that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speaker 190 can be well collected.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홀(136)은 스피커홈(134)의 하측(D)에 형성된다. 따라서, 스피커홈(134)으로 모아진 소리가 하측(D)에 형성된 스피커홀(136)을 통해 도어(100)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The speaker hole 13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the lower side (D) of the speaker groove 134 . Accordingly, the sound collected by the speaker groove 134 may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door 100 through the speaker hole 136 formed in the lower side (D).

본 실시예에 따른 돌출리브(138, 139)는 스피커홈(134)의 외둘레를 따라 상측(U)과 좌우측(Le-Ri)에 형성되는 제1돌출리브(138)와 스피커홈(134)의 하측(D)에 형성되는 제2돌출리브(139)를 포함한다. 제1돌출리브(138)는 제1리어커버(130)의 내측면에서 스피커(190)가 배치된 전방(F)으로 돌출된다. 제1돌출리브(138)는 스피커(190)에서 발생되는 소리 중에서 상측(U)과 좌우측(Le-Ri)으로 퍼지는 소리를 스피커홈(134)으로 모을 수 있다. The protruding ribs 138 and 139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 the first protruding ribs 138 and the speaker grooves 134 formed on the upper side (U)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Le-Ri)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peaker groove 134 . It includes a second protruding rib 139 formed on the lower side (D) of the. The first protruding rib 138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ear cover 130 toward the front F where the speaker 190 is disposed. The first protruding rib 138 may collect sounds spread to the upper side (U) and left and right (Le-Ri) among the sounds generated by the speaker 190 into the speaker groove 134 .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돌출리브(139)는 스피커홈(134)의 하측(D)에서 스피커(190)가 배치된 전방(F)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돌출리브(139)는 제1돌출리브(138)보다 전방으로 더 길게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190)는 후방(R)의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2돌출리브(139)는 스피커(190)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가 도어(100)의 내부공간으로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스피커(190)와 최대한으로 인접하게 전방(F)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돌출리브(139)는 스피커(190)가 향하는 방향에 배치되는 범위까지 전방(F)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second protruding rib 139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rotrudes from the lower side (D) of the speaker groove (134) toward the front (F) in which the speaker 190 is disposed. The second protruding rib 139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protrude forward longer than the first protruding rib 138 . The speaker 19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to the lower side of the rear R, and the second protruding rib 139 leaks the sound generated by the speaker 190 into the inner space of the door 100 . In order to minimize the occurrence, the speaker 190 and the speaker 190 may be protruded to the front (F) as closely as possible. The second protruding rib 139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protrude forward F to the extent that the speaker 190 is disposed in the direc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리어커버(140)는 제1리어커버(130)의 하측(D)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리어커버(140)는 도어프레임(120)에 체결된다. 제2리어커버(140)가 도어프레임(120)에 체결될 때, 도어윈도우(142)의 테두리부분이 제2리어커버(140)와 도어프레임(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rear cover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D) of the first rear cover 130 . The second rear cover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astened to the door frame 120 . When the second rear cover 140 is fastened to the door frame 120 , an edge portion of the door window 14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rear cover 140 and the door frame 120 .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윈도우(142)는 도어프레임(120)의 윈도우홀(122)에 배치되며, 캐비닛(20)의 전면에 형성될 투입구(22)를 밀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윈도우(142)는 투광성을 가지는 유리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door window 14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in the window hole 122 of the door frame 120 , and may seal the inlet 22 to be formed in the front of the cabinet 20 . The door window 14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glass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마이크 어셈블리><Microphone Assembly>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어셈블리의 구조와 배치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the microphon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9 .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어셈블리(170)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180a, 180b), 마이크(180a, 180b)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처리하는 인쇄회로기판(178), 상기 인쇄회로기판(178)을 프론트커버(110)의 전면에 부착시키는 접착부재(17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어셈블리(170)는 인쇄회로기판(178)에 연결되어 음성인식전달모듈과 연결되는 연결선(미도시)이 연결되는 커넥터(1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icrophone assembly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microphones 180a and 180b for receiving the user's voice, the printed circuit board 178 for processing the audio signal received by the microphones 180a and 180b into electrical signals,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78 for processing the audio signal received by the microphones 180a and 180b. and an adhesive member 176 for attaching the circuit board 178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over 110 . The microphone assembly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182 to which a connection line (not shown)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78 and connected to the voice recognition transmission module is connected.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선은 마이크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2심의 그라운드 쉴딩선을 적용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use a two-core ground shielding wire to remove microphone noise.

마이크 어셈블리(170)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더 정확히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마이크(180a, 180b)를 구비할 수 있고, 복수의 마이크(180a, 180b)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어셈블리(170)는 음성인식 성능 확보를 위해 2개의 마이크(180a, 180b)를 포함한다. 2개의 마이크(180a, 180b) 각각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어셈블리(170)는 2개의 마이크(180a, 180b)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비교하여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2개의 마이크(180a, 180b)는 각각 70 내지 100mm 이격 배치될 수 있다. The microphone assembly 170 may include a plurality of microphones 180a and 180b in order to more accurately receive a user's voice command, and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180a and 180b may b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The microphone assembly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wo microphones 180a and 180b to secure voice recognition performance. Each of the two microphones 180a and 180b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microphone assembly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remove noise by comparing voices input from the two microphones 180a and 180b. The two microphones 180a and 18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70 to 100 mm.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180a, 180b)는 인쇄회로기판(178)의 후방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178)은 마이크(180a, 180b)가 배치되는 부분에서 연통홀(179a, 179b)이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178)은 2개의 마이크(180a, 180b)가 배치되는 부분에서 2개의 연통홀(179a, 179b)이 형성된다. 인쇄회로기판(178)에 형성된 연통홀(179a, 179b)은 프론트커버(110)의 마이크홀(116a, 116b)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프론트커버(110)의 마이크홀(116a, 116b)과, 인쇄회로기판(178)의 연통홀(179a, 179b)을 통해 외부의 사용자의 음성이 마이크(180a, 180b)로 전달될 수 있다. The microphones 180a and 18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78 .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178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mmunication holes 179a and 179b are formed in portions where the microphones 180a and 180b are disposed. That is,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178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wo communication holes 179a and 179b are formed in portions where the two microphones 180a and 180b are disposed. The communication holes 179a and 179b form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178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microphone holes 116a and 116b of the front cover 110 . Accordingly, an external user's voice may be transmitted to the microphones 180a and 180b through the microphone holes 116a and 116b of the front cover 110 and the communication holes 179a and 179b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78 . .

인쇄회로기판(178)의 전면에는 인쇄회로기판(178)을 프론트커버(110)의 마이크어셈블리 장착부(112)에 접착시키는 접착부재(176)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178)은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이 평평한게 형성된다. An adhesive member 176 for bond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178 to the microphone assembly mounting part 112 of the front cover 110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78 . The printed circuit board 178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nd has a flat front surface.

본 실시예에 따른 접착부재(176)는 마이크 어셈블리(170)를 프론트커버(110)의 내측면에 접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어셈블리(170)는 외부의 물이나 습기가 마이크(180a, 180b) 또는 인쇄회로기판(178)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발수부재(1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dhesive member 17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adhere the microphone assembly 170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110 . The microphone assembly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water repellent member 174 that prevents external water or moisture from flowing into the microphones 180a and 180b or the printed circuit board 178 .

본 실시예에 따른 발수부재(174)는 2개의 접착부재(17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착부재(176)는 발수부재(174)의 양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접착부재(176)는 인쇄회로기판(178)의 연통홀(179a, 179b)이 형성된 부분에서 연통홀(179a, 179b)과 같은 크기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발수부재(174)는 인쇄회로기판(178)의 연통홀(179a, 179b)이 형성된 부분에서 홀이 형성되지 않는다. The water repellent member 17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wo adhesive members 176 . The adhesive member 17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water repellent member 174 . However, in the adhesive member 176 , holes having the same size as the communication holes 179a and 179b may be formed in the portion where the communication holes 179a and 179b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78 are formed. However, the water-repellent member 174 is not formed in the portion where the communication holes 179a and 179b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78 are formed.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178)은 접착부재(176)에 의해 프론트커버(110)의 마이크어셈블리 장착부(112)의 안착면(114)에 접착될 수 있다. The printed circuit board 178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dhered to the seating surface 114 of the microphone assembly mounting part 112 of the front cover 110 by an adhesive member 176 .

<스피커 장착부재 및 스피커><Speaker mounting member and speaker>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와 스피커장착부재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speaker and a speaker moun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9 .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100)는 스피커(190)가 장착되는 스피커 장착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착부재(15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도어프레임(120) 또는 제1리어커버(130)에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착부재(150)는 도어프레임(120)의 패널홀(124)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착부재(150)는 제1리어커버(130)의 전방(F)에 배치된다. The do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mounting member 150 on which the speaker 190 is mounted. The speaker mounting member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may be mounted on the door frame 120 or the first rear cover 130 . The speaker mounting member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isposed in the panel hole 124 of the door frame 120 . The speaker mounting member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at the front F of the first rear cover 130 .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착부재(150)의 후방면에는 수직리브(152)와 수평리브(154)가 격자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착부재(150)의 후방면에는 스피커(190)가 장착되는 부분인 스피커 장착부(151)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직리브(152) 또는 수평리브(154)는 스피커 장착부(151) 주위로 형성된다. 즉, 수직리브(152) 또는 수평리브(154)가 스피커 장착부(151)에서는 후방면으로 돌출되지 않아, 스피커(190)가 안정적으로 스피커 장착부재(150)의 후방면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수직리브(152) 또는 수평리브(154)가 스피커 장착부(151)에서는 후방면으로 돌출되지 않아, 스피커(190)는 수직리브(152) 또는 수평리브(154)의 단부에 끼워지듯이 스피커 장착부재(150)의 후방면에 장착될 수 있다. Vertical ribs 152 and horizontal ribs 154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peaker mounting member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a grid shape. A speaker mounting part 151, which is a part on which the speaker 190 is mounted,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peaker mounting member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rtical ribs 152 or the horizontal ribs 15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formed around the speaker mounting unit 151 . That is, since the vertical ribs 152 or the horizontal ribs 154 do not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peaker mounting unit 151 , the speaker 190 may be stably se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peaker mounting member 150 . In addition, since the vertical rib 152 or the horizontal rib 154 does not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peaker mounting unit 151 , the speaker 190 is mounted on the speaker such that it is fitted into the end of the vertical rib 152 or the horizontal rib 154 . It may b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ember 150 .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착부재(150)에는 스피커(190)가 장착되는 스피커 장착보스(156)가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 장착보스(156)에 스피커(190)의 체결홈(194)이 끼워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착부재(150)는 스피커(190)가 장착되는 하측(D)에 스피커(190)의 오조립을 방지하는 오조립 방지리브(158)가 형성된다. 오조립 방지리브(158)는 스피커 장착보스(156)와 함께 스피커(190)의 상하가 반대로 체결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착부재(150)는 스피커 장착부재(150)를 도어(100) 내부에서 고정하기 위한 리브(160)가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 speaker mounting boss 156 on which the speaker 190 is mounted may be formed in the speaker mounting member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astening groove 194 of the speaker 190 may be fitted into the speaker mounting boss 156 . In the speaker mounting member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 erroneous assembly prevention rib 158 for preventing erroneous assembly of the speaker 19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D) on which the speaker 190 is mounted. The erroneous assembly prevention rib 158 prevents the speaker 190 from being vertically fastened together with the speaker mounting boss 156 . Also, in the speaker mounting member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ibs 160 for fixing the speaker mounting member 150 inside the door 100 may be additionally formed.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190)는 도어(100) 내부에 배치되며, 후방(R)으로 소리가 퍼지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190)는 도어(100) 내부에 배치된 스피커 장착부재(150)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190)는 후방(R)의 하측(D)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190)는 제1리어커버(130)의 제2돌출리브(139)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The speaker 19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inside the door 100 and is disposed so that the sound spreads to the rear (R). The speaker 19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speaker mounting member 150 disposed inside the door 100 . The speaker 19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toward the lower side (D) of the rear (R). The speaker 19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to face the second protruding rib 139 of the first rear cover 130 .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착부재(150)에는 음성인식전달모듈이 장착되는 음성인식전달모듈-장착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음성인식전달모듈-장착부(162)는 마이크 어셈블리(170)와 연결선으로 연결되는 점에서, 마이크 어셈블리(170)와 인접한 부분에서 형성될 수 있다. The speaker mounting member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 voice recognition transmission module-mounting unit 162 on which the voice recognition transmission module is mounted. Since the voice recognition transmission module-mounting unit 162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assembly 170 by a connecting line, it may be forme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microphone assembly 170 .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190)는 스피커 장착부재(150)의 스피커 장착보스(156)와 체결되도록 형성된 체결홈(19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190)는 소리가 발생되는 부분으로 물이나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피커 발수부재(1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speaker 19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fastening groove 194 formed to be fastened to the speaker mounting boss 156 of the speaker mounting member 150 may be formed. The speaker 19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water repellent member 174 that prevents water or moisture from flowing into a portion where a sound is generated.

<세탁물 처리기기의 활용><Usage of laundry treatment equipment>

도 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시스템의 세탁물 처리기기, 음성인식시스템 및 가전제어서버가 도시된 도이다. 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aundry processing device, a voice recognition system, and a home appliance control server of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20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어셈블리, 음성인식전달모듈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와의 음성 대화를 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 시스템을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20, a laundry treatment machine control system capable of conducting voice conversations with a user using 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including the microphone assembly, the voice recognition transmission module, and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시스템은, 세탁물 처리기기(10), 음성인식시스템(200), 가전제어서버(230)를 포함하고, 요구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0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control system includes a laundry treatment device 10 , a voice recognition system 200 , and a home appliance control server 230 , and a service server 220 providing required services. may include.

음성인식시스템(200)은 세탁물 처리기기(10)로부터 음성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성데이터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음성명령을 판단하는 음성인식시스템(200)를 포함한다. The voice recognition system 200 includes a voice recognition system 200 that receives voice data from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10, analyzes the voice data, and determines a voice command accordingly.

음성인식시스템(200)는, 세탁물 처리기기(1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음성데이터를 텍스트(text) 데이터로 변환하며,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여 음성 명령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음성인식시스템(200)는, 판별한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가전제어서버(230) 또는 서비스서버(220)로 송신할 수 있다.The voice recognition system 200 may receive voice data from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10 , convert the received voice data into text data, and analyze the text data to determine a voice command. Also, the voice recognition system 200 may transmit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voice command to the home appliance control server 230 or the service server 220 .

가전제어서버(230)는 수신되는 요청 신호에 기초하는 제어 신호를 세탁물 처리기기(10)로 송신한다. 서비스서버(220)는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판단하여 서비스데이터를 송신한다. The home appliance control server 230 transmits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received request signal to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10 . The service server 220 determines the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signal and transmits the service data.

음성인식시스템(200)은, 자동 음성 인식(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SR) 서버(211),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서버(212), 텍스트 음성 변환(Text to Speech: TTS) 서버(21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peech recognition system 200 includes an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SR) server 211 ,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server 212 , and a text-to-speech (TTS) server 213 . ) may be included.

또한, 음성인식시스템(200)은 음성명령에 대응하는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가전제어서버(230) 또는 서비스서버(220)로 전송하는 연계서비스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oice recognition system 200 may further include a linked service server (not shown) that generates a reques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oice command and transmits it to the home appliance control server 230 or the service server 220 .

음성인식시스템(200)의 자동 음성 인식 서버(211), 자연어 처리 서버(212), 및 텍스트 음성 변환서버(2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음성인식시스템(200)의 자동 음성 인식 서버(211), 자연어 처리 서버(212), 및 텍스트 음성 변환서버(213)는 하나의 음성서버를 형성할 수 있다. The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server 211,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erver 212, and the text-to-speech conversion server 213 of the speech recognition system 200 may be configured as one or a plurality of servers, respectively, as shown. In addition, the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server 211,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erver 212, and the text-to-speech conversion server 213 of the speech recognition system 200 may form one speech server.

자동 음성 인식 서버(211)는 세탁물 처리기기(1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text) 데이터로 변환한다. The automatic voice recognition server 211 receives voice data from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10 and converts the received voice data into text data.

자동 음성 인식 서버(211)는 세탁물 처리기기(10)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자연어 처리 서버(212)로 송신할 수 있다.The automatic voice recognition server 211 may perform voice recognition on the voice data received from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10 to generate text data and transmit it to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erver 212 .

자연어 처리 서버(212)는 자동 음성 인식 서버(211)로부터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여 음성 명령을 판별하며, 판별한 음성 명령에 기초하는 응답 신호를 세탁물 처리기기(10)로 송신한다.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erver 212 receives text data from the automatic voice recognition server 211, analyzes the received text data to determine a voice command, and sends a response signal based on the determined voice command to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 send to

자연어 처리 서버(212)는 자동 음성 인식 서버(211)로부터 수신한 텍스트 데이터를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에 따라 분석하여 음성 명령을 판별할 수 있다.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erver 212 may determine a voice command by analyzing the text data received from the automatic voice recognition server 211 according to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lgorithm.

자연어 처리 서버(212)는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에 따라 사람이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언어인 자연어를 처리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의도(intent)를 분석할 수 있다. 자연어 처리 서버(212)는 자동 음성 인식 서버(211)로부터 수신한 텍스트 데이터에 대하여 자연어 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음성 명령을 판별할 수 있다.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erver 212 may process a natural language, which is a language that humans use daily, according to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lgorithm, and may analyze a user's intent.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erver 212 may perform natural language processing on the text data received from the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server 211 to determine a voice command that meets the user's intention.

자연어 처리 서버(212)는 사용자가 일상적인 사용 언어로 음성 명령을 입력하더라도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음성 명령을 판별할 수 있다.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erver 212 may determine a voice command that matches the user's intention even if the user inputs a voice command in a language used in daily life.

자연어 처리 서버(212)는 자연어 처리 결과에 대응하는 신호, 즉, 판별한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가전제어서버(230) 또는 서비스서버(220)로 송신할 수 있다.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erver 212 may transmit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result, that i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voice command to the home appliance control server 230 or the service server 220 .

자연어 처리 서버(212)는 판별한 음성 명령이 세탁물 처리기기(10)에 관한 것이면, 가전 제어 서버(230)와 통신하여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음설 명령이 세탁물 처리기기(10)를 포함한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 아니면, 외부의 서비스서버(220)와 통신하여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erver 212 communicates with the home appliance control server 230 and performs a corresponding operation if the determined voice command relates to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10, and the sound command includes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10 If it is not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it may communicate with the external service server 220 to perform a corresponding operation.

자연어 처리 서버(212)는 세탁물 처리기기(1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판별한 음성 명령의 지원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가전 제어 서버(230)로 판별한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요청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지원되지 않는 기능임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erver 212 determines whether a voice command determined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10 is supported, and transmits a reques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oice command determined by the home appliance control server 230 or , or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function is not supported may be transmitted.

텍스트 음성 변환서버(213)는 세탁물 처리기기(10)로부터 응답 신호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텍스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세탁물 처리기기(10)로 송신한다. The text-to-speech conversion server 213 receives a signal including a text corresponding to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10 , converts the text included in the received signal into voice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 . do.

세탁물 처리기기(10)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 명령 입력을 수신하여 수신한 음성 명령 입력에 기초한 음성 데이터를 음성인식시스템(200)으로 송신할 수 있다.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10 may receive a voice command input uttered by the user and transmit voice data based on the received voice command input to the voice recognition system 200 .

가전제어서버(230)는, 수신되는 요청 신호에 기초하는 제어 신호를 세탁물 처리기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The home appliance control server 23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received request signal to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10 .

예를 들어, 세탁물 처리기기(10)의 설정 온도를 변경하는 요청이 수신되면, 가전 제어 서버(230)는 세탁물 처리기기(10)로 설정 온도를 변경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request for changing the set temperatur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 is received, the home appliance control server 23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set temperature to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 .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10)는 가전 제어 서버(23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 may perform a corresponding ope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control server 230 .

또한, 세탁물 처리기기(10)는 요청받은 동작을 수행한 후 동작을 수행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가전 제어 서버(230)로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performing the requested operation,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10 may transmit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to the home appliance control server 230 .

또한, 가전 제어 서버(230)는, 세탁물 처리기기(10)로부터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응답 신호에 대응하는 처리 결과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Also, the home appliance control server 230 may receive a response signal to the control signal from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10 and transmit processing resul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sponse signal.

또한, 가전제어서버(230)는 세탁물 처리기기(10)로부터 수신되는 동작결과를 음성인식시스템(200)로 송신하고, 처리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세탁물 처리기기(10)로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me appliance control server 230 may transmit the opera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10 to the voice recognition system 200 and transmit a response signal including the processing result information to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10 . have.

음성인식시스템(200)은, 세탁물 처리기기(10)로부터 처리 결과 정보에 대응하는 출력 문구 텍스트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출력 문구 텍스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세탁물 처리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자연어 처리 서버(212)가 세탁물 처리기기(10)로 송신하는 판별한 음성 명령에 기초하는 응답 신호는, 처리 결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voice recognition system 200 receives a signal including an output phrase text correspon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information from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10 , and converts the received output text text into voice data to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10 . can be transmitted The response signal based on the determined voice command transmitted by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erver 212 to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10 may include processing result information.

세탁물 처리기기(10)는 자연어 처리 서버(212)로부터 판별한 음성 명령에 기초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응답 신호는 판별한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응답의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10 may receive a response signal based on the voice command determined from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erver 212 . Here, the response signal may include text data of a respons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voice command.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설정 온도를 변경하는 음성 명령을 입력한 경우에, 응답 신호는 설정 온도를 변경하였음을 나타내는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s a voice command to change the set temperature of the air conditioner, the response signal may include text data indicating that the set temperature is changed.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10)는 수신한 응답 신호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신호를 텍스트 음성 변환 서버(213)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응답 신호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신호는 처리 결과 정보에 대응하는 출력 문구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10 may transmit a signal including tex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to the text-to-speech conversion server 213 . Here, the signal including the text corresponding to the response signal may include the output phrase text correspon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information.

한편, 텍스트 음성 변환 서버(213)는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텍스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세탁물 처리기기(10)는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변환된 음성 데이터는 음원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text-to-speech server 213 may convert the text included in the received signal into voice data and transmit it to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10 . Here, the converted voice data may include a sound source file.

세탁물 처리기기(10)는 스피커를 통하여 수신한 음성 데이터에 기초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 may output a voice guidance message based on the voice data received through the speaker.

한편, 자연어 처리 서버(212)는 세탁물 처리기기(1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판별한 음성 명령이 세탁물 처리기기(10)에서 지원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지원 가능한 경우에, 가전 제어 서버(230)로 판별한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erver 212 determines whether the voice command determined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10 can be supported by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10, and if it is supported, the home appliance control server ( 230) may transmit a reques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oice command determined.

또한, 자연어 처리 서버(212)는 세탁물 처리기기(1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판별한 음성 명령의 지원이 불가능한 경우에, 지원되지 않는 기능임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지원되지 않는 기능임을 알리는 신호는, 자연어 처리 서버(212)가 송신하는 판별한 음성 명령에 기초하는 응답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erver 212 cannot support the voice command determined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10, it may transmit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function is not supported.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function is not supported may be included in a response signal based on the determined voice command transmitted by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erver 212 .

세탁물 처리기기(10)는 텍스트 음성 변환 서버(213)로 음성 데이터를 요청하여, 현재 상태에서 지원되지 않는 기능임을 알리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10 may request voice data from the text-to-speech conversion server 213 and output a voice guidanc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function is not supported in the current state.

실시예에 따라서는, 가전제어서버(230)에서 음성 명령의 지원 가능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home appliance control server 230 can support the voice command.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시스템은, 자연어 음성처리를 위해 여러 역할을 하는 서버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이용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devic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organically connecting servers that play various roles for natural language voice processing.

세탁물 처리기기(10)는 음성 명령의 수신 및 전처리, 서버 전송까지의 동작을 수행하고, 음성인식시스템(200)은 음성/텍스트 변환, 의도분석, 명령 식별 등 자연어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10 performs operations up to reception and pre-processing of voice commands, and transmission to the server, and the voice recognition system 200 may perform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uch as voice/text conversion, intention analysis, and command identification.

음성인식시스템(200)에서 자연어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세탁물 처리기기(10)는 내부 임베디드 모듈의 CPU, 메모리 등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By perform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n the voice recognition system 200,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10 can reduce the load on the CPU, memory, etc. of the internal embedded module.

세탁물 처리기기(10)는 음성인식시스템(200)로부터 음원 파일을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성 안내 메시지를 오디오로 출력함으로써, 청각적 피드백으로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화답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 may receive voice data including a sound source file from the voice recognition system 200 and output a voice guidance message as audio, thereby responding to the user's voice input with auditory feedback.

세탁물 처리기기(10)는 음성인식시스템(200)로부터 음성 파일을 스트리밍으로 전달 받아 사용자에게 음성 안내 메시지를 재생,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물 처리기기(10)는 다양한 음원 파일을 저장하고 있을 필요가 없다.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10 may receive a voice file from the voice recognition system 200 as streaming and reproduce and output a voice guidance message to the user. Accordingly,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 does not need to store various sound source files.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시스템은 복수의 서버를 통해, 호환성 및 연결성을 확보하고, 최종 제어 명령은 가전 제어 서버(230)를 활용함으로써, 음성 인식 과정과 가전 제어 서버(230)를 통해 와이파이 통신을 이용한 가전 제어 사이의 충돌 및 휴대 단말기를 통한 가전 제어와 가전기기(300)를 통한 음성 입력에 의한 가전 제어 간 충돌을 막을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device control system secures compatibility and connectivity through a plurality of servers, and the final control command utilizes the home appliance control server 230 , so home appliances using Wi-Fi communication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process and the home appliance control server 230 . Conflict between controls and home appliance control through a portable terminal and home appliance control by voice input through the home appliance 300 can be prevented.

또한,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시스템은, 서버 간 유기적인 연결을 통해 어느 한 서버에 의존하여 특정서버에 부하가 몰리는 것을 줄일 수 있고, 각각의 서버 별 역할이 달라, 특정 서버에서 문제가 생길 경우 동일한 역할을 하는 타 서버와의 연계를 통해 쉽게 대응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laundry treatment equipment control system can reduce the load on a specific server depending on one server through an organic connection between servers, and the role of each server is different, so if a problem occurs in a specific server, the same role It is possible to respond easily by linking with other servers that do

또한, 복수의 서버들을 독립적으로 수시로 업데이트할 수 있어, 성능 개선에 유리하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ervers can be independently updated frequently, which is advantageou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세탁물 처리기기를 포함한 가전기기의 전체 활용><Full utilization of home appliances including laundry processing equipment>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시스템이 간략하게 도시된 도이다. 2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laundry treatment 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2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를 포함한 가정에 구비될 수 있는 가전기기 전체에서 활용될 수 있는 제어시스템을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21 , a control system that can be utilized in all household appliances including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시스템은,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다른 기기와 통신하거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가전기기(300)와, 음성을 인식하고 처리하는 음성인식시스템(200), 음성인식결과에 따라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가전제어서버(2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1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me appliance 300 having a communication module to communicate with other devices or connect to a network, and a voice for recognizing and processing voice The recognition system 200 includes a home appliance control server 230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가전기기(300)는 세탁물 처리기기(10), 공기조화기(304), 이동로봇(303), 냉장고(302)를 포함하고, TV(미도시), 조리기기(미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home appliance 300 includes a laundry treatment device 10 , an air conditioner 304 , a mobile robot 303 , and a refrigerator 302 , and may include a TV (not shown), a cooking device (not shown), and the like. have.

또한, 가전기기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등 휴대 단말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me appliance may include a mobile terminal (not shown)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the like.

가전기기(300)는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각 기기가 상호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가전기기 네트워크는 통신장치(219)를 통해 외부의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가전기기(300)는 별도의 음성인식 및 가전제어를 위한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The home appliance 30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and each device is interconnected to form a network, and the home appliance network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network, for example, the Internet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219 . In addition, the home appliance 300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 network for voice recognition and home appliance control.

통신장치(210)는 가전기기 간에 상호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고, 각 가전기기가 음성인식시스템(200) 및 가전제어서버(230)와 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일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device 210 may be an access point (AP) that enables mutua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home appliances and enables each home appliance to communicate with the voice recognition system 200 and the home appliance control server 230 .

가전기기(300)의 통신방식은 와이파이(Wi-Fi)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와이파이는 통신방식의 일예일 뿐, 본 발명은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300 may be a Wi-Fi communication method. Wi-Fi is only an example of a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mmunication method.

또한, 가전기기(300)는 다른 종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거나 복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기기는 NFC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me appliance 300 may include different types of communication modules or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For example, the home appliance may include an NFC module,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like.

가전기기(300)는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등을 통해 음성인식시스템(200)에 포함되는 서버 또는 외부의 소정 서버,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등과 연결 가능하고, 원격 모니터링, 원격 제어 등 스마트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가전기기(300)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가전기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home appliance 300 can be connected to a server included in the voice recognition system 200 or an external predetermined server, a user's portable terminal, etc. through a Wi-Fi communication module, etc., and smart functions such as remote monitoring and remote control can support The user may check information about the home appliance 300 or control the home appliance 300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가전기기(300)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음성인식시스템(200)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인식, 분석하며, 가전제어서버(230)는 가전기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home appliance 300 may receive a user's voice input, the voice recognition system 200 may recognize and analyze the user's voice input, and the home appliance control server 230 may control the home appliance 300 . .

한편, 음성인식시스템(200)에 포함되는 서버들 중 적어도 일부는 가전기기의 제조 회사, 판매 회사가 운영하는 서버이거나 제조 회사 또는 판매 회사가 서비스를 위탁한 회사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some of the servers included in the voice recognition system 200 may be a server operated by a manufacturing company or a sales company of home appliances, or a server operated by a company entrusted with a service by the manufacturing company or the sales company.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세탁물 처리기기 20 : 캐비닛
100 : 도어 110 : 프론트커버
112 : 마이크 어셈블리 장착부 116a, 116b : 마이크홀
120 : 도어프레임 130 : 제1리어커버
132 : 스피커홈부 134 : 스피커홈
136 : 스피커홀 138 : 제1돌출리브
139 : 제2돌출리브 140 : 제2리어커버
142 : 도어글래스 150 : 스피커장착부재
151 : 스피커 장착부 152 : 수직리브
154 : 수평리브 158 : 오조립 방지리브
170 : 마이크 어셈블리 174 : 발수부재
176 : 접착부재 178 : 인쇄회로기판
180a, 180b : 마이크 190 : 스피커
192 : 스피커 발수부재
10: laundry treatment device 20: cabinet
100: door 110: front cover
112: microphone assembly mounting part 116a, 116b: microphone hole
120: door frame 130: first rear cover
132: speaker groove 134: speaker groove
136: speaker hole 138: first protruding rib
139: second protruding rib 140: second rear cover
142: door glass 150: speaker mounting member
151: speaker mounting unit 152: vertical rib
154: horizontal rib 158: erroneous assembly prevention rib
170: microphone assembly 174: water repellent member
176: adhesive member 178: printed circuit board
180a, 180b: microphone 190: speaker
192: speaker water repellent member

Claims (20)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
전면 외형을 형성하며, 한쌍의 마이크 홀이 형성된 프론트 커버; 및
상기 프론트 커버에 장착되는 마이크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 어셈블리는,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면에 접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마이크 홀과 연통되는 한쌍의 연통홀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서로 이격되도록 장착되며,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한쌍의 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후면에서 상기 연통홀을 차폐하도록 장착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a cabinet having an inlet into which laundry is put;
a drum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and accommodating laundry;
a front cover forming a front outer shape and having a pair of microphone holes; and
a microphone assembly mounted on the front cover;
The microphone assembly,
a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front cover and having a pair of communication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microphone hole; and
A pair of microphone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o which a user's voice is input;
The microphone is a laundry treatment device mounted to shield the communication hol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은 돌출부위가 없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A laundry treatment device in which the front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formed in a flat shape without a protruding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프론트 커버에 접착시키는 접착부재가 구비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provided with an adhesive member for adher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the front cov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과 대응하는 상기 접착부재에는 상기 연통홀과 대응하는 홀이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4. The method of claim 3,
A laundry treatment device in which a hole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the adhesive member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ho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과, 상기 접착부재의 홀 그리고 상기 마이크 홀은 서로 연속하여 연통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mmunication hole, the hole of the adhesive member, and the microphone hole are continuously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외부와 연결되는 연결선이 연결되는 커넥터가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와 상기 마이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동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는 한쌍의 상기 마이크 사이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to which a connecting lin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connected,
The connector and the microphone are disposed on the sam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onnector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microphon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홀은 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icrophone hole is a laundry treatment device formed to have a slope that decreases toward the fro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홀의 깊이는 상기 마이크 홀의 직경의 3배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epth of the microphone hole is a laundry treatment device that is formed to be greater than three times the diameter of the microphone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외부의 습기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발수부재가 구비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side of the adhesive member is provided with a water-repellent member for preventing external moisture from flowing into the printed circuit bo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가로 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icrophone is a laundry treatment devic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면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밀착되도록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마이크 어셈블리 장착부가 형성된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ront cover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 laundry treatment machine having a microphone assembly mounting part formed in a planar shap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o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커버는 상기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고, 상기 마이크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 구비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The front cover forms a front surface of the door, and the microphone assembly is provided inside the doo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가 구비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A laundry treatment device provided with a speaker outputting a sound at the doo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며, 상기 스피커를 차폐하는 리어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 커버에는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외부로 전달되도록 개구된 스피커 홀이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door further includes a rear cover forming a rear surface of the door and shielding the speaker,
A laundry treatment device in which a speaker hole is formed in the rear cover so that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리어 커버를 향하여 소리를 출력하도록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peaker is a laundry treatment machine arranged to output a sound toward the rear cover.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커버에는 상기 스피커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후방으로 함몰되어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모으는 스피커 홈이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A laundry treatment device in which a speaker groove is formed in the rear cover, which is recessed backward from a position facing the speaker to collect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홀은 상기 스피커 홈의 함몰된 둘레 중 하측에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speaker hole is a laundry treatment devic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cessed circumference of the speaker groov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홈의 둘레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스피커 홈으로 안내하는 돌출 리브가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A laundry treatment device in which a protruding rib protrudes forward and guides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to the speaker groove is formed around the speaker groov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20980A 2018-01-08 2018-10-11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24453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980A KR102445370B1 (en) 2018-01-08 2018-10-11 Laundry treatment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472 2018-01-08
KR1020180120980A KR102445370B1 (en) 2018-01-08 2018-10-11 Laundry treatment machin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472 Division 2018-01-08 2018-0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853A KR20190084853A (en) 2019-07-17
KR102445370B1 true KR102445370B1 (en) 2022-09-21

Family

ID=83452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980A KR102445370B1 (en) 2018-01-08 2018-10-11 Laundry treatment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37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952B1 (en) 2017-08-31 2022-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Home appliance having voice recognizing function
KR102372538B1 (en) * 2019-12-16 2022-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550B1 (en) * 2015-11-20 2022-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Microphone and a speaker,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853A (en)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16791B (en) Laundry treating machine
US11183173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voice recognition apparatus and voice recognition system
US10692499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voice recognition apparatus and voice recognition method
EP2644765B1 (en) Washing Machine
KR102445370B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RU2544824C2 (en) Household appliance, household appliance systems and their actuation method
US20100259403A1 (en)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system
CN113574329B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629643B1 (en)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system
KR102639776B1 (en) Voice input device
KR102661466B1 (en) Voice input device
KR102639772B1 (en) Voice input device
EP3825451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11540348A (en) Intelligent voice interaction control panel
KR20020012037A (en) Port installation structure in a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