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190B1 - wire disconnection detecting system for wireless power track by use of junction box - Google Patents

wire disconnection detecting system for wireless power track by use of junction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190B1
KR102445190B1 KR1020220016813A KR20220016813A KR102445190B1 KR 102445190 B1 KR102445190 B1 KR 102445190B1 KR 1020220016813 A KR1020220016813 A KR 1020220016813A KR 20220016813 A KR20220016813 A KR 20220016813A KR 102445190 B1 KR102445190 B1 KR 102445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wire
core
heat
cor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8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민병덕
최진하
Original Assignee
(주)화인파워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인파워엑스 filed Critical (주)화인파워엑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1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8Testing of lines, cables or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ating Fault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When one or more core wires are disconnected in a cabl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re wires in an automatic logistics system to be sensed through a junction box,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echnology for blocking power supply from an inverter. Since a so-called junction box is provided at a position in which one cable end unit consisting of the plurality of core wires and the other cable end unit consisting of the plurality of core wires are mutually connected in the automatic logistics system, power supplied from the corresponding inverter is blocked by sensing disconnection through the junction box when disconnecting any of the core wires in each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disconnecting the any of core wires in each cable, a disconnection sensing member rapidly and accurately senses the disconnection.

Description

정션박스를 이용한 무선파워 트랙의 단선감지 시스템 {wire disconnection detecting system for wireless power track by use of junction box}{wire disconnection detecting system for wireless power track by use of junction box}

본 발명은 자동물류 시스템에서 복수의 심선으로 구성된 케이블에서 어느 하나이상의 심선이 끊어지는 경우 정션박스(junction box)를 통해 이를 감지하여 인버터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차단시키는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for blocking power supply from an inverter by detecting a break in one or more core wires in a cabl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re wires in an automatic logistics system through a junction box.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자동물류 시스템에서 복수의 심선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케이블 단부와 복수의 심선으로 구성되는 다른 하나의 케이블 단부가 상호 연결되는 위치에 소위 정션박스가 구비되는데, 각 케이블 내의 심선들 중 어느 하나가 끊어지는 경우 정션박스를 통해 그 단선을 감지함에 따라 해당 인버터로부터 공급되고 있는 전력을 차단시키는 기술이다.More 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so-called junction box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one cable end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re wires and the other cable end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re wires are interconnected in an automatic logistics system. When any one of the core wires is broken, it is a technology that cuts off the power being supplied from the inverter by detecting the break through the junction box.

일반적으로 자동 물류시스템에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트랙케이블이 길게 설치되는데, 자동 물류시스템의 현장마다 트랙케이블이 설치되는 개수와 길이는 제각각 다르기 때문에 각 트랙케이블을 연장시키거나 인버터에 연결되는 연장케이블을 각 트랙케이블에 연결하게 된다.In general, a long track cable that transmits power wirelessly in an automatic distribution system is installed. Since the number and length of track cables installed at each site of the automatic distribution system are different, each track cable is extended or an extension cable connected to an inverter to each track cable.

이때, 각 트랙케이블이나 연장케이블은 내측에 복수의 심선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 심선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끊어지는 경우 케이블 자체의 발열로 인해 화재의 위험을 가지고 있다.At this time, each track cable or extension cabl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re wires on the inside, and if any one or more of the core wires is cut off, there is a risk of fire due to heat of the cable itself.

또한, 자동 물류시스템의 각 트랙케이블에서 열이 발생하는 경우 각 트랙케이블에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여야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열이 발생하는 해당 트랙케이블에서의 단선 여부를 신속히 확인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when heat is generated in each track cable of the automatic distribution system, the power supply of the inverter that supplies power to each track cable must be cut off. .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트랙케이블이나 그 트랙케이블과 연장케이블을 연결시키는 정션박스를 통해 각 케이블 내의 심선에서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해당 인버터로부터의 전력 공급 차단시키는 정션박스를 이용한 무선파워 트랙의 단선감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a break in the core wire in each cable through a junction box connecting each track cable or the track cable and the extension cable, and detect the corresponding invert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connection detection system of a wireless power track using a junction box that cuts off the power supply from the junction box.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버터(10)와, 복수의 심선이 인버터를 기준으로 폐회로를 이루며 인버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트랙케이블(20)과, 인버터와 트랙케이블 사이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장케이블(30)과, 인버터 및 연장케이블과 트랙케이블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배치되는 감열선(40)과, 트랙케이블과 연장케이블을 상호 잇는 정션박스(70)를 구비하는 자동 물류시스템에서 트랙케이블에 대한 단선 감지가 가능한 정션박스를 이용한 무선파워 트랙의 단선감지 시스템으로서, 연장케이블에 인접하는 트랙케이블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심선(이하, '제 1 트랙심선'이라 함)과 제 1 트랙심선에 대응하여 연장케이블에 배치되는 복수의 심선(이하, '제 1 연장심선'이라 함)이 상호 통전하도록 잇는 제 1 심선 정션부재(110); 연장케이블에 인접하는 트랙케이블의 타단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심선(이하, '제 2 트랙심선'이라 함)과 제 2 트랙심선에 대응하여 연장케이블에 배치되는 복수의 심선(이하, '제 2 연장심선'이라 함)이 상호 통전하도록 잇는 제 2 심선 정션부재(120); 제 1 트랙심선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심선(이하, '제 1 선택심선'이라 함)과 제 2 트랙심선 중 제 1 선택심선의 연장라인과 무관하게 반대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하나 이상의 심선 중에서 제 1 선택심선과 동일한 개수로 선택되는 심선(이하, '제 2 선택심선'이라 함)을 한꺼번에 묶는 형태로 배치되어 제 1 선택심선과 제 2 선택심선에 흐르는 전류로부터 자속을 발생시킴에 따른 유도전류의 생성을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링코어 부재(130); 하나 이상의 링코어 부재에 개별적으로 통전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링코어 부재에 유기되는 유도전류를 개별적으로 감지함에 따라 하나 이상의 링코어 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심선 중 하나 이상의 심선에 대한 단선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단선감지 부재(140); 단선감지 부재에 통전 연결되고 단선감지 부재로부터 제공받는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단선감지 부재로부터 하나 이상의 링코어 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심선 중 하나 이상의 심선에 대한 단선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인버터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차단시키는 정션박스 모니터링 부재(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verter 10, a track cable 20 in which a plurality of core wires form a closed circuit based on the inverter and receive power from the inverter, and an extension connecting the inverter and the track cable In an automatic distribution system including a cable 30, a thermal wire 40 disposed sequentially via an inverter, an extension cable, and a track cable, and a junction box 70 connecting the track cable and the extension cable to the track cable As a disconnection detection system of a wireless power track using a junction box capable of detecting disconnection of a first core wire junction member 110 connecting a plurality of core wir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extended core wires') disposed on the extension cable corresponding to the core wires to conduct electricity with each other; A plurality of core wires positioned at the other end of the track cable adjacent to the extension cab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track core wire') and a plurality of core wires disposed on the extension cab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rack core wi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track core wire') a second core wire junction member 120 that connects the extended core wires so that they are energized with each other; Among the one or more core wires selected from the first track core wir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selection core wire') and the one or more core wires through which curr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flows regardless of the extension line of the first selection core wire among the second track core wires, the first The induced current due to the generation of magnetic flux from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elective core wires by tying the same number of selected core wir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selective core wire') together as the selective core wire one or more ring core members 130 to guide the creation; One or more ring core members are individually energized and the induced current induced in the one or more ring core members is individually sensed to determine whether one or more core wires among the core wires corresponding to any one or more of the one or more ring core members are disconnected Disconnection detection member 140 configured to; The disconnection detection member determines whether one or more of the core wires corresponding to any one or more of the one or more ring core members is disconnected from the disconnection detecting member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disconnection detecting membe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connection detecting member. and a junction box monitoring member 210 that cuts off the power supply.

여기서, 단선감지 부재(140)는, 폐회로 패턴의 회로루프 부재(141); 회로루프 부재에 직렬 연결되는 릴레이 코일부재(142); 릴레이 코일부재에 근접 배치되어 릴레이 코일부재의 전류 통전 여부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되는 릴레이 스위치부재(143); 릴레이 스위치부재의 양단에 통전되고 릴레이 스위치부재의 스위칭 온에 반응하여 단선 감지신호를 외부에 전송하는 신호라인 부재(144); 회로루프 부재에 직렬 연결되는 제 1 듀얼 다이오드 부재(145); 회로루프 부재에서 제 1 듀얼 다이오드 부재와 릴레이 코일부재 사이에 병렬 연결되는 제 2 듀얼 다이오드 부재(146); 제 2 듀얼 다이오드 부재와 릴레이 코일부재 사이에서 병렬 연결되는 저항 부재(147); 링코어 부재에 권선되며 자신의 일단부는 제 1 듀얼 다이오드 부재의 개별 다이오드 사이에 연결되고 자신의 타단부는 제 2 듀얼 다이오드 부재의 개별 다이오드 사이에 연결되며 링코어 부재로 유기되는 유도전류가 릴레이 코일부재에 흐르도록 인터페이스하는 도선 부재(148);를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disconnection detecting member 140 includes a circuit loop member 141 of a closed circuit pattern; a relay coil member 142 connected in series to the circuit loop member; a relay switch member 143 disposed close to the relay coil member and switched on/off depending on whether the relay coil member conducts current; a signal line member 144 that is energized at both ends of the relay switch member and transmits a disconnection detection signal to the outside in response to switching-on of the relay switch member; a first dual diode member 145 connected in series to the circuit loop member; a second dual diode member 146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first dual diode member and the relay coil member in the circuit loop member; a resistance member 147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second dual diode member and the relay coil member; It is wound around the ring core member, its one end is connected between the individual diodes of the first dual diode member, and its other end is connected between the individual diodes of the second dual diode member, and the induced current induced by the ring core member is the relay coil Conductive member 148 that interfaces to flow to the member; may be provided.

그리고, 연장케이블(30)의 내측 중앙부에 감열선과 나란히 배치되는 더미 부재(221); 연장케이블(30)의 내측에 더미 부재와 나란히 배치되어 단선감지 부재와 정션박스 모니터링 부재를 상호 연결시키는 단선감지 신호케이블 부재(2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dummy member 221 disposed side by side with the heat-sensitive wire in the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extension cable 30;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disconnection detection signal cable member 222 disposed side by side with the dummy member inside the extension cable 30 to interconnect the disconnection detection member and the junction box monitoring member.

또한, 연장케이블(30)의 내측에 더미 부재와 나란히 배치되어 제 1 심선 정션부재 및 제 2 심선 정션부재의 외표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감열선 보조부재와 정션박스 모니터링 부재를 상호 연결시키는 발열감지 신호케이블 부재(22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heat sensing for interconnecting the junction box monitoring member with the auxiliary heat-sensitive wire member disposed side by side with the dummy member inside the extension cable 30 to contact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core wire junction member and the second core wire junction member Signal cable member 223;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감열선 중 제 1 트랙심선에 대응하는 트랙케이블 내에 배치되는 제 1 트랙감열선의 일단부와 감열선 중 제 1 연장심선에 대응하는 연장케이블 내에 배치되는 제 1 연장감열선의 일단부가 상호 통전하도록 잇는 제 1 감열선 정션부재(310); 제 1 심선 정션부재와 제 2 심선 정션부재의 외표면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제 1 심선 정션부재나 제 2 심선 정션부재의 발열에 반응하는 보조감열선 부재(410); 감열선 중 제 2 트랙심선에 대응하는 트랙케이블 내에 배치되는 제 2 트랙감열선의 일단부와 보조감열선 부재의 일단부가 상호 통전하도록 잇는 제 2 감열선 정션부재(320); 보조감열선 부재의 타단부와 감열선 중 제 2 연장심선에 대응하여 연장케이블 내에 배치되는 제 2 연장감열선의 일단부가 상호 통전하도록 잇는 제 3 감열선 정션부재(3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a first track heating wire disposed in a track cab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ack core wire among the heat-sensitive wires and a first extension cable disposed in an extension cab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tension core wire among the heat-sensitive wires a first heat-sensitive wire junction member 310 connecting one end of the extended heat-sensitive wire to conduct electricity with each other; an auxiliary thermal wire member 410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core wire junction member and the second core wire junction member and reacts to heat generated by the first core wire junction member or the second core wire junction member; a second heat-sensitive wire junction member 320 connecting one end of the second track heat-sensitive wire disposed in the track cab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rack core wire among the heat-sensitive wires and one end of the auxiliary heat-sensitive wire member so as to conduct electricity with each other; and a third heat-sensitive wire junction member 330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heat-sensitive wire member and one end of the second extended heat-sensitive wire disposed in the extension cab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xtended core wire among the heat-sensitive wire to conduct electricity with each other; can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감열선 중 제 1 트랙심선에 대응하는 트랙케이블 내에 배치되는 제 1 트랙감열선의 일단부와 감열선 중 제 1 연장심선에 대응하는 연장케이블 내에 배치되는 제 1 연장감열선의 일단부가 상호 통전하도록 잇는 제 1 감열선 정션부재(310', 310"); 감열선 중 제 2 트랙심선에 대응하는 트랙케이블 내에 배치되는 제 2 트랙감열선의 일단부와 감열선 중 제 2 연장심선에 대응하는 연장케이블 내에 배치되는 제 2 연장감열선의 일단부가 상호 통전하도록 잇는 제 4 감열선 정션부재(340', 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 1 감열선 정션부재에 인접하는 제 1 트랙감열선의 일단부 또는 제 4 감열선 정션부재에 인접하는 제 2 트랙감열선의 일단부 중 어느 하나는 제 1 심선 정션부재와 제 2 심선 정션부재의 외표면에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first track heating wire disposed in the track cab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ack core wire among the heat-sensitive wires and the first part disposed in the extension cab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tension core wire among the heat-sensitive wires A first heat-sensitive wire junction member (310', 310") connecting one end of the extended heat-sensitive wire to conduct electricity with each other; one end of the second track heat-sensitive wire and a second one of the heat-sensitive wire disposed in the track cab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rack core wire among the heat-sensitive wire and a fourth thermal wire junction member (340', 340") connecting one end of the second extended thermal wire disposed in the extension cab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xtended core wire to conduct electricity with each other; Either one end of the adjacent first track heat-sensitive wire or one end of the second track heat-sensitive wire adjacent to the fourth heat-sensitive wire junction member may be disposed to abut against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core wire junction member and the second core wire junction member have.

본 발명은 단선감지 부재와 인버터 내에 정션박스 모니터링 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각 케이블 내의 심선에서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 정션박스를 통해 이를 신속하게 감지함에 따라 해당 인버터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ut off the power supply from the inverter by quickly detecting a disconnection through the junction box when a disconnection occurs in the core wire in each cable by providing the disconnection detecting member and the junction box monitoring member in the inverter. .

또한, 본 발명은 단선감지 부재가 회로루프 부재, 릴레이 코일부재, 릴레이 스위치부재, 신호라인 부재, 제 1 듀얼 다이오드 부재, 제 2 듀얼 다이오드 부재, 저항 부재, 도선 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각 케이블 내의 심선들 중 어느 하나의 심선이 끊어지는 경우 단선감지 부재가 그 단선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나타낸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disconnection detecting member includes a circuit loop member, a relay coil member, a relay switch member, a signal line member, a first dual diode member, a second dual diode member, a resistance member, and a conducting wire member, the core wire in each cable When any one of the core wires is broken, the disconnection detecting member shows the advantage that the disconnection can be detected quickly and accurately.

또한, 본 발명은 보조감열선 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정션박스 내의 발열 감지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나타낸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quickly detect heat in the junction box by providing the auxiliary heat-sensitive wire member.

또한, 본 발명은 제 1,2 감열선 정션부재, 보조감열선 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발열 감지를 위한 정션박스의 설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도 나타낸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junction box for detecting heat can be quickly and accurately performed by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heat-sensitive wire junction members and the auxiliary heat-sensitive wire member.

또한, 본 발명은 제 2 감열선 정션부재와 제 3 감열선 정션부재 사이에 하나 이상의 보조감열선 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설치자의 작업숙련도와 무관하게 정션박스 내에서 발열 감지를 위한 보조감열선 부재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도 나타낸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xiliary heat-sensitive wire member for detecting heat in a junction box regardless of the work skill of an installer by providing one or more auxiliary heat-sensitive wire members between the second heat-sensitive wire junction member and the third heat-sensitive wire junction member. It also show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reliabil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션박스를 이용한 무선파워 트랙의 단선감지 시스템이 설치될 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a에 따른 정션박스를 이용한 무선파워 트랙의 단선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인 단선감지 부재의 구성인 회로도로서 단선되지 않은 경우 도선 부재에 유도전류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인 단선감지 부재의 구성인 회로도로서 단선된 경우 도선 부재에 유도전류가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도 2] 상의 연장케이블에 대한 단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도 2]의 일부분을 발췌한 것으로서, 트랙케이블 내의 트랙심선이 정상 동작하는 경우와 그 트랙심선 중 일부가 단선된 경우 함께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인 링코어 부재가 트랙케이블 내의 트랙심선에 설치되는 복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구성인 복수의 링코어 부재가 트랙케이블 내의 트랙심선에 설치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b에 따른 정션박스를 이용한 무선파워 트랙의 단선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c에 따른 정션박스를 이용한 무선파워 트랙의 단선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d에 따른 정션박스를 이용한 무선파워 트랙의 단선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2]는 [도 11] 상의 연장케이블에 대한 단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e에 따른 정션박스를 이용한 무선파워 트랙의 단선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a disconnection detection system of a wireless power track using a junc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nstalled;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isconnection detection system of a wireless power track using a junction box according to embodiment a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ircuit diagram that is a configuration of a disconnection detection member, which is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case in which an induced current is not generated in the conducting wire member when there is no disconnection;
[FIG. 4] is a circuit diagram that is a configuration of a disconnection detection member, which is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case in which an induced current is generated in a conductor member when disconnected;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extension cable on [FIG. 2],
[Fig. 6] is an excerpt of a part of [Fig. 2], and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ase where the track core in the track cable operates normally and a case where some of the track core wires are disconnected;
[Fig. 7] is a view showing a plurality of embodiments in which a ring core member, which is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track core wire in a track cable;
[Fig.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ring core member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on a track core in a track cable;
[FIG. 9]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isconnection detection system of a wireless power track using a junction box according to embodiment b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isconnection detection system of a wireless power track using a junction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c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isconnection detection system of a wireless power track using a junction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extension cable on [Fig. 11],
[Fig. 13]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for detecting a disconnection of a wireless power track using a junction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션박스를 이용한 무선파워 트랙의 단선감지 시스템이 설치될 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a에 따른 정션박스를 이용한 무선파워 트랙의 단선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인 단선감지 부재의 구성인 회로도로서 단선되지 않은 경우 도선 부재에 유도전류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인 단선감지 부재의 구성인 회로도로서 단선된 경우 도선 부재에 유도전류가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2] 상의 연장케이블에 대한 단면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일부분을 발췌한 것으로서, 트랙케이블 내의 트랙심선이 정상 동작하는 경우와 그 트랙심선 중 일부가 단선된 경우 함께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인 링코어 부재가 트랙케이블 내의 트랙심선에 설치되는 복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구성인 복수의 링코어 부재가 트랙케이블 내의 트랙심선에 설치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a disconnection detection system of a wireless power track using a junc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nstalled, and [Fig. 2] is a junction box using a junction box according to embodiment 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isconnection detection system of a wireless power track, and [Fig. 3] is a circuit diagram of the disconnection detection member, which is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and [Fig. 4] is a circuit diagram which is a configuration of the disconnection detection member, which is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case in which an induced current is generated in the conductor member when disconnected, and [Fig. 5] is an extension on [Fig. 2] It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 of a cable, and [Fig. 6] is an excerpt of a part of [Fig. 2], and it is shown together when the track core in the track cable operates normally and when some of the track core wires are disconnected. It is an exemplary view,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plurality of embodiments in which the ring core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track core wire in the track cable, and [Fig. It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member is installed on the track core in the track cable.

본 발명은 정션박스를 이용한 무선파워 트랙의 단선감지 시스템으로서, [도 1]에서와 같이 인버터(10)와, 복수의 심선이 인버터(10)를 기준으로 폐회로를 이루며 인버터(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트랙케이블(20)과, 인버터(10)와 트랙케이블(20) 사이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장케이블(30)과, 인버터(10) 및 연장케이블(30)과 트랙케이블(20)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배치되는 감열선(40)과, 트랙케이블(20)과 연장케이블(30)을 상호 잇는 정션박스(70)를 구비하는 자동 물류시스템에서 트랙케이블(20)에 대한 단선 감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detecting disconnection of a wireless power track using a junction box. As shown in FIG. 1, an inverter 10 and a plurality of core wires form a closed circuit based on the inverter 10, and power is supplied from the inverter 10. The supplied track cable 20, the inverter 10 and the extension cable 30 interconnecting the track cable 20, and the inverter 10 and the extension cable 30 and the track cable 20 are sequentially connected It is configured to enable detection of disconnection of the track cable 20 in an automatic distribution system including a thermal wire 40 disposed via and a junction box 70 connecting the track cable 20 and the extension cable 30 to each other. do.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정션박스를 이용한 무선파워 트랙의 단선감지 시스템은 제 1 심선 정션부재(110), 제 2 심선 정션부재(120), 링코어 부재(130, 130'), 단선감지 부재(140), 정션박스 모니터링 부재(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disconnection detection system of a wireless power track using a junc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re wire junction member 110, a second core wire junction member 120, ring core members 130 and 130', and a disconnection detection member. 140 and the junction box monitoring member 210 may be included.

제 1 심선 정션부재(110)는 [도 2]에서와 같이 연장케이블(30)에 인접하는 트랙케이블(20)의 일단부(20-1)에 위치하는 복수의 심선으로 구성된 제 1 트랙심선(21)과 그 제 1 트랙심선(21)에 대응하여 연장케이블(30)에 배치되는 복수의 심선으로 구성된 제 1 연장심선(31)이 상호 통전하도록 연결되는 구조를 이룬다.The first core wire junction member 110 is a first track core wire ( 21) and the first extended core wire 31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re wires disposed on the extension cable 30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ack core wire 2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nduct electricity.

여기서, 제 1 심선 정션부재(110)는 [도 2]에서와 같이 러그 부재(111, 112)를 통해 제 1 트랙심선(21) 및 제 1 연장심선(31)에 연결되기 때문에 저항 증가와 체결 불량으로 인한 발열의 부담을 안고 있다.Here, since the first core wire junction member 110 is connected to the first track core wire 21 and the first extended core wire 31 through the lug members 111 and 112 as shown in FIG. 2 , resistance increases and fastening There is a burden of overheating due to a defect.

제 2 심선 정션부재(120)는 [도 2]에서와 같이 연장케이블(30)에 인접하는 트랙케이블(20)의 타단부(20-2)에 위치하는 복수의 심선으로 구성된 제 2 트랙심선(22)과 제 2 트랙심선(22)에 대응하여 연장케이블(30)에 배치되는 복수의 심선으로 구성된 제 2 연장심선(32)이 상호 통전하도록 연결되는 구조를 이룬다.The second core wire junction member 120 is a second track core wire ( 22) and the second extended core wire 32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re wires disposed on the extension cable 3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rack core wire 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conduct electricity.

여기서도, 제 2 심선 정션부재(120)는 [도 2]에서와 같이 러그 부재(121, 122)를 통해 제 2 트랙심선(22) 및 제 2 연장심선(32)에 연결되기 때문에 저항 증가와 체결 불량으로 인한 발열의 부담을 안고 있다.Here too, since the second core wire junction member 1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track core wire 22 and the second extended core wire 32 through the lug members 121 and 122 as in [FIG. 2], resistance increase and fastening There is a burden of overheating due to a defect.

한편, [도 2]와 [도 7]을 참조하면 트랙케이블(20)은 제 1 심선 정션부재(110)와 제 2 심선 정션부재(120)를 기준으로 제 1 트랙심선(21)과 제 2 트랙심선(22)의 배치구조를 살펴 볼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2] and [Fig. 7], the track cable 20 is the first track core wire 21 and the second core wire junction member 110 and the second core wire junction member 120 based on the first core wire junction member (120).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track core wire 22 .

예컨대, [도 2]의 제 1 심선 정션부재(110)에 구비되는 2개의 러그 부재(111) 중 위쪽에 위치하는 러그 부재(111)와 연결되는 제 1 트랙심선(21)은 제 2 심선 정션부재(120)에 구비되는 2개의 러그 부재(121) 중 아래쪽에 위치하는 러그 부재(121)에 연결되는 제 2 트랙심선(22)에 통전하도록 페어링된다.For example, among the two lug members 111 provided in the first core wire junction member 110 of FIG. 2 , the first track core wire 21 connected to the lug member 111 positioned above the second core wire junction The second track core wire 22 connected to the lower lug member 121 among the two lug members 121 provided in the member 120 is paired to conduct electricity.

그리고, [도 2]의 제 1 심선 정션부재(110)에 구비되는 2개의 러그 부재(111) 중 아래쪽에 위치하는 러그 부재(111)와 연결되는 제 1 트랙심선(21)은 제 2 심선 정션부재(120)에 구비되는 2개의 러그 부재(121) 중 위쪽에 위치하는 러그 부재(121)에 연결되는 제 2 트랙심선(22)에 통전하도록 페어링된다.And, among the two lug members 111 provided in the first core wire junction member 110 of FIG. 2 , the first track core wire 21 connected to the lug member 111 positioned below the second core wire junction The second track core wire 22 connected to the upper lug member 121 among the two lug members 121 provided in the member 120 is paired to conduct electricity.

그 결과, [도 2]와 [도 8]에서와 같이 링코어 부재(130, 130')가 하나 이상 구비되어 [도 2]와 [도 8]에서와 같이 제 1 트랙심선(21)과 제 2 트랙심선(22)에 동시에 걸쳐져 배치될 수 있다.As a result, as in [Fig. 2] and [Fig. 8], one or more ring core members 130 and 130' are provided, so that the first track core wire 21 and the It may be arranged over the two track core wires 22 at the same time.

즉, 링코어 부재(130, 130')는 [도 2]와 [도 8]에서와 같이 제 1 트랙심선(21)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심선으로 구성된 제 1 선택심선과 제 2 트랙심선(22)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심선으로 구성된 제 2 선택심선을 한꺼번에 묶는 형태로 배치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제 1 선택심선과 제 2 선택심선의 전류로부터 자속을 발생시킨다.That is, the ring core members 130 and 130' include a first selected core wire and a second track core wire 22 composed of one or more core wires selected from among the first track core wires 21 as in [FIG. 2] and [FIG. 8]. ), which is arranged in the form of bundling the second selective core wire composed of one or more core wires selected from among them, and generates magnetic flux from the current of the first selective core wire and the second selective core wire through which current flows in opposite directions.

여기서, 링코어 부재(130, 130')로부터 발생되는 자속은 그 링코어 부재(130, 130')에 감긴 도선(예: 2차측)에 유도전류를 생성시킨다.Here, the magnetic flux generated from the ring core members 130 and 130' generates an induced current in the conducting wire (eg, the secondary side) wound around the ring core members 130 and 130'.

이때, 제 1 트랙심선(21)에 흐르는 전류방향과 제 2 트랙심선(22)에 흐르는 전류방향이 서로 반대인 심선들을 선택해서 해당 링코어 부재(130, 130')로 묶어 배치한다.At this time, the core wires having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track core wire 21 and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cond track core wire 22 opposite to each other are selected and bundled with the corresponding ring core members 130 and 130 ′.

그리고,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제 1 트랙심선(21)과 제 2 트랙심선(22)으로부터 연장되는 각각의 심선들은 제 1 심선 정션부재(110)와 제 2 심선 정션부재(120)를 기준으로 볼 때 끊김 없는 라인 형태를 이룬다.And, referring to [Fig. 1] and [Fig. 2], each of the core wires extending from the first track core wire 21 and the second track core wire 22 is the first core wire junction member 110 and the second core wire junction member. When viewed with reference to (120), it forms a seamless line shape.

예컨대, [도 2] 상의 제 1 트랙심선(21)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나의 심선은 [도 1]에서의 트랙케이블(20) 폐회로를 따라 [도 2] 상의 제 2 트랙심선(22)까지 라인 형태로 연장된다.For example, one core wire extending from the first track core wire 21 on [FIG. 2] is in the form of a line to the second track core wire 22 on [FIG. 2] along the track cable 20 closed circuit in [FIG. 1] is extended to

그 결과, 링코어 부재(130)가 감싸고 있는 심선들을 살펴볼 때 제 1 트랙심선(21) 쪽의 심선과 제 2 트랙심선(22) 쪽의 심선은 서로 다른 라인의 심선들로서 서로 반대방향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As a result, when looking at the core wires surrounded by the ring core member 130 , the core wire on the first track core wire 21 side and the core wire on the second track core wire 22 side are core wires of different lines, and currents in opposite directions are generated from each other. will flow

한편, [도 2]에서 링코어 부재(130)에 끼워진 트랙케이블(20)의 제 1 트랙심선(21)과 링코어 부재(130)에 끼워진 트랙케이블(20)의 제 2 트랙심선(22)은 서로 동일한 개수이고 각각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링코어 부재(130)에 부재에 생성되는 자속도 [도 2]에서와 같이 동일한 크기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모두 상쇄되기 때문에 [도 2]에서와 같이 링코어 부재(130)에 권선된 상태로 단선감지 부재(140)에 연결되는 도선에는 유도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Fig. 2], the first track core wire 21 of the track cable 20 fitted into the ring core member 130 and the second track core wire 22 of the track cable 20 fitted into the ring core member 130 in [Fig. are the same number and because current flows in opposite directions, the magnetic flux generated in the member in the ring core member 130 is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in [FIG. An induced current does not flow in the wire connected to the disconnection detecting member 140 in a state wound around the ring core member 130 as shown in FIG.

단선감지 부재(140)는 [도 2]와 [도 8]에서와 같이 하나 이상의 링코어 부재(130, 130')에 개별적으로 통전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링코어 부재(130, 130')에 유기되는 유도전류를 개별적으로 감지함에 따라 하나 이상의 링코어 부재(130, 13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심선 중 하나 이상의 심선에 대한 단선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The disconnection detection member 1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or more ring core members 130 and 130 ′ as shown in FIGS. 2 and 8 , and is induced in one or more ring core members 130 and 130 ′. 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one or more of the core wires corresponding to any one or more of the one or more ring core members 130 and 130' are disconnected by individually sensing the induced current.

즉, 단선감지 부재(140)는 [도 2]에서와 같이 링코어 부재(130)의 내측에 끼워지는 제 1 트랙심선(21)으로부터 유기되는 자속에 의해 생성되는 유도전류 및 링코어 부재(130)의 내측에 끼워지는 제 2 트랙심선(22)으로부터 유기되는 자속에 의해 생성되는 유도전류를 개별적으로 감지하게 된다.That is, the disconnection detecting member 140 is an induced current generated by magnetic flux induced from the first track core wire 21 fitted inside the ring core member 130 and the ring core member 130 as shown in FIG. 2 . ) to individually sense the induced current generated by the magnetic flux induced from the second track core wire 22 fitted inside the.

그런데, [도 2]에서와 같이 그 링코어 부재(130)의 내측에 각각 끼워지는 제 1 트랙심선(21)의 개수와 제 2 트랙심선(22)의 개수가 동일하고 그 링코어 부재(130)에 끼워지는 제 1 트랙심선(21)의 전류방향과 제 2 트랙심선(22)의 전류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을 나타내므로 링코어 부재(130)에 발생하는 자속은 모두 상쇄될 것이다.By the way, as in [Fig. 2], the number of the first track core wires 21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track core wires 22 respectively fitted inside the ring core member 130 are the same, and the ring core member 130 ), since the current direction of the first track core wire 21 and the current direction of the second track core wire 22 are opposite to each other, the magnetic flux generated in the ring core member 130 will all be canceled.

한편, 단선감지 부재(140)는 링코어 부재(130, 130')에 발생하는 자속으로부터 생성되는 유도전류나 그 유도전류의 변화량을 통해 트랙케이블(20) 내의 심선에 대한 단선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connection detecting member 140 is configured to detect the disconnection of the core wire in the track cable 20 through the induced current generated from the magnetic flux generated in the ring core members 130 and 130' or the amount of change in the induced current. can

이를 위해 단선감지 부재(140)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회로루프 부재(141), 릴레이 코일부재(142), 릴레이 스위치부재(143), 신호라인 부재(144), 제 1 듀얼 다이오드 부재(145), 제 2 듀얼 다이오드 부재(146), 저항 부재(147), 도선 부재(14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disconnection detecting member 140 is a circuit loop member 141, a relay coil member 142, a relay switch member 143, a signal line member 144, and a second circuit loop member 141, as shown in Figs. A first dual diode member 145 , a second dual diode member 146 , a resistance member 147 , and a conductive wire member 148 may be included.

회로루프 부재(141)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폐회로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ircuit loop member 141 may have a closed circuit pattern as shown in FIGS. 3 and 4 .

릴레이 코일부재(142)는 바람직하게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회로루프 부재(141)에 직렬 연결되고, 릴레이 스위치부재(143)는 릴레이 코일부재(142)에 근접 배치되어 릴레이 코일부재(142)의 전류 통전 여부에 따라 [도 3]과 같이 스위칭 오프되거나 [도 4]와 같이 스위칭 온될 수 있다.The relay coil member 142 is preferably connected in series to the circuit loop member 141 as in [Fig. 3] and [Fig. 4], and the relay switch member 143 is disposed close to the relay coil member 142, It may be switched off as shown in [FIG. 3] or switched on as shown in [FIG. 4] depending on whether the current of the relay coil member 142 is energized.

그리고, 신호라인 부재(144)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릴레이 스위치부재(143)의 양단에 통전되고 [도 4]에서와 같이 릴레이 스위치부재(143)의 스위칭 온에 반응하여 단선 감지신호를 외부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d, the signal line member 144 is energized at both ends of the relay switch member 143 as in [FIG. 3] and [FIG. 4] and reacts to the switching-on of the relay switch member 143 as in [FIG. Thus,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disconnection detection signal to the outside.

제 1 듀얼 다이오드 부재(145)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회로루프 부재(141)에 직렬 연결되고, 제 2 듀얼 다이오드 부재(146)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회로루프 부재(141)에서 제 1 듀얼 다이오드 부재(145)와 릴레이 코일부재(142) 사이에 병렬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dual diode member 145 is connected in series to the circuit loop member 141 as in [Figs. 3 and 4], and the second dual diode member 146 is [Fig. 3] and [Fig. 4]. It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first dual diode member 145 and the relay coil member 142 in the circuit loop member 141 as shown in FIG.

그리고, 저항 부재(147)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제 2 듀얼 다이오드 부재(146)와 릴레이 코일부재(142) 사이에서 병렬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istance member 147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second dual diode member 146 and the relay coil member 142 as shown in FIGS. 3 and 4 .

한편, 도선 부재(148)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링코어 부재(130, 130')에 권선되며 자신의 일단부는 제 1 듀얼 다이오드 부재(145)의 개별 다이오드 사이에 연결되고 자신의 타단부는 제 2 듀얼 다이오드 부재(146)의 개별 다이오드 사이에 연결됨에 따라 링코어 부재(130, 130')로 유기되는 유도전류가 릴레이 코일부재(142)에 흐르도록 인터페이스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ducting wire member 148 is wound around the ring core members 130 and 130 ′ as shown in FIGS. 3 and 4 , and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between individual diodes of the first dual diode member 145 .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between the individual diodes of the second dual diode member 146 so that the induced current induced to the ring core members 130 and 130 ′ flows to the relay coil member 142 .

다른 한편, [도 2]와 [도 8]에서와 같이 트랙케이블(20)에 구비되는 제 1 트랙심선(21)과 제 2 트랙심선(22)의 동일한 개수가 링코어 부재(130, 130') 내에 끼워진 상태에서 서로 반대 방향의 전류가 흐를 때 그 링코어 부재(130, 130')에 형성되는 자속이 모두 상쇄되어 [도 2]와 [도 8] 상의 단선감지 부재(140)에 연결되는 도선에 유도전류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링코어 부재(130, 130')는 [도 2]와 [도 8]에서와 같이 원형이나 타원형의 폐루프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same number of the first track core wire 21 and the second track core wire 22 provided in the track cable 20 as in [FIG. 2] and [FIG. 8] are the ring core members 130 and 130' ), when currents in opposite directions flow in the state sandwiched within, all magnetic fluxes formed in the ring core members 130 and 130' are canceled and are connected to the disconnection detecting member 140 on [Fig. 2] and [Fig. 8]. In order to prevent an induced current from being formed in the conducting wire, the ring core members 130 and 130' are preferably configured in a circular or elliptical closed loop shape as shown in FIGS. 2 and 8 .

여기서, [도 2]와 [도 8]의 상태에서 링코어 부재(130, 130')와 단선감지 부재(140)를 연결하는 도선에 유도전류가 생성되지 않는다는 것은 [도 6]의 (a)와 같은 상태로서 링코어 부재(130, 130')에 동일한 개수로 끼워지는 제 1 트랙심선(21)과 제 2 트랙심선(22)에서 단선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Here, that no induced current is generated in the wire connecting the ring core members 130 and 130' and the disconnection detecting member 140 in the states of [Figs. 2] and [Fig. 8] is shown in Fig. 6 (a) This means that disconnection does not occur in the first track core wires 21 and the second track core wires 22 fitted in the same number to the ring core members 130 and 130' in the same state.

그런데, [도 2]와 [도 8]의 상태에서 링코어 부재(130, 130')와 단선감지 부재(140)를 연결하는 도선에 유도전류가 생성되었다는 것은 예컨대 [도 6]의 (b)와 같이 링코어 부재(130, 130')에 동일한 개수로 끼워지는 제 1 트랙심선(21)과 제 2 트랙심선(22) 중 어느 하나의 심선에서 단선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However, the generation of induced current in the wire connecting the ring core members 130 and 130 ′ and the disconnection detecting member 140 in the states of [Figs. 2] and [Fig. It means that the disconnection occurred in any one of the first track core wires 21 and the second track core wires 22 fitted in the same number of the ring core members 130 and 130' as shown in FIG.

[도 6]의 (b)에서는 링코어 부재(130)에 끼워진 트랙케이블(20)의 제 1 트랙심선(21) 중 하나의 심선이 단선된 경우를 나타낸다.6(b) shows a case in which one of the first track core wires 21 of the track cable 20 inserted into the ring core member 130 is disconnected.

여기서, 링코어 부재(130')는 [도 8]에서와 같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그 링코어 부재(130')에 끼워지는 제 1 트랙심선(21)과 제 2 트랙심선(22)은 각각 동일한 개수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ring core member 13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s shown in [Fig. 8], and the first track core wire 21 and the second track core wire 22 fitted to the ring core member 130' are It is preferable to keep the same number of each.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제 1 트랙심선(21)과 제 2 트랙심선(22)으로부터 연장되는 각각의 심선들은 제 1 심선 정션부재(110)와 제 2 심선 정션부재(120)를 기준으로 볼 때 끊김 없는 라인 형태를 이룬다.As described above, referring to [Fig. 1] and [Fig. 2], each of the core wires extending from the first track core wire 21 and the second track core wire 22 is the first core wire junction member 110 and the second core wire When viewed with reference to the core wire junction member 120, it forms a seamless line shape.

예컨대, [도 2] 상의 제 1 트랙심선(21)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나의 심선은 [도 1]에서의 트랙케이블(20) 폐회로를 따라 [도 2] 상의 제 2 트랙심선(22)까지 라인 형태로 연장된다.For example, one core wire extending from the first track core wire 21 on [FIG. 2] is in the form of a line to the second track core wire 22 on [FIG. 2] along the track cable 20 closed circuit in [FIG. 1] is extended to

그 결과, 링코어 부재(130)가 감싸고 있는 심선들을 살펴볼 때 제 1 트랙심선(21) 쪽의 심선과 제 2 트랙심선(22) 쪽의 심선은 서로 다른 라인의 심선들로서 서로 반대방향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As a result, when looking at the core wires surrounded by the ring core member 130 , the core wire on the first track core wire 21 side and the core wire on the second track core wire 22 side are core wires of different lines, and currents in opposite directions are generated from each other. will flow

다른 한편, 바람직하게는 [도 7]의 (a)와 [도 2]에서와 같이 서로 반대방향의 전류를 흘리는 제 1 트랙심선(21)과 제 2 트랙심선(22)의 동일한 개수가 링코어 부재(130)에 끼워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도 7]의 (b)와 (c)에서와 같이 링코어 부재(130)가 제 1 트랙심선(21)이나 제 2 트랙심선(22)에만 끼워질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preferably, the same number of the first track core wires 21 and the second track core wires 22 passing currents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s in (a) and [Figure 2] of [Fig. It may be configured to fit into the member 130, but in some cases, the ring core member 130 is the first track core wire 21 or the second track core wire as shown in (b) and (c) of FIG. 7 . (22) may be fitted only.

예컨대, [도 7]의 (b)에서와 같이 링코어 부재(130)에 끼워지는 심선을 제 1 트랙심선(21)이나 제 2 트랙심선(22) 중 어느 한쪽(예: 제 2 트랙심선) 만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링코어 부재(130)에 끼워지는 심선의 구분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을 것이다.For example, as in (b) of [Fig. 7], any one of the first track core wire 21 and the second track core wire 22 (eg, the second track core wire) the core wire inserted into the ring core member 130 In the case of selecting only the ring core member 130, there will be an advantage that it is not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the core wires inserted into the ring core member 130.

여기서, [도 7]의 (b)의 경우에는 트랙케이블(20)에 단선되지 않은 정상 상태일때만 링코어 부재(130)에 자속이 발생하여 단선감지 부재(140)와 링코어 부재(130)를 연결하는 도선에 유도전류가 생성되며 그 트랙케이블(20)의 심선들 중 어느하나의 심선에 단선이 발생하게 되면 전류의 크기가 변화할 것이고 그러한 유도전류 생성과 전류 크기의 변화를 단선감지 부재(140)가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in the case of (b) of [Fig. 7], magnetic flux is generated in the ring core member 130 only when the track cable 20 is not disconnected and in a normal state, so that the disconnection detecting member 140 and the ring core member 130. An induced current is generated in the wire connecting 140 may be configured to sense.

[도 7]의 (c)의 경우에는 [도 7]의 (b)에서와 같이 링코어 부재(130)에 끼워지는 심선을 제 1 트랙심선(21)이나 제 2 트랙심선(22) 중 어느 한쪽(예: 제 2 트랙심선)만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링코어 부재(130)에 끼워지는 심선의 구분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을 것이다.In the case of (c) of [Fig. 7], as in (b) of [Fig. 7], any one of the first track core wire 21 or the second track core wire 22 is the core wire inserted into the ring core member 130. If only one side (eg, the second track core wire) is selected, there will be an advantage in that it is not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core wire inserted into the ring core member 130 .

그런데, [도 7]의 (c)의 경우에는 [도 7]의 (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링코어 부재(130)를 통과하는 전류가 반대 방향이므로 트랙케이블(20)의 심선들이 단선되지 않은 정상 상태에서는 링코어 부재(130)와 단선감지 부재(140)를 연결하는 도선(예: 2차측)에 전류가 유기되지 않으며 트랙케이블(20)의 심선들 중 어느 하나가 단선되면 2차측 도선에 전류가 유기될 것이고 그러한 유도전류의 변화를 단선감지 부재(140)가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c) of [Fig. 7], as in the case of (a) of [Fig. 7], since the current passing through the ring core member 130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core wires of the track cable 20 are not disconnected. In a normal state, no current is induced in the conductor (eg, the secondary side) connecting the ring core member 130 and the disconnection detecting member 140, and if any one of the core cables of the track cable 20 is disconnected, the secondary conductor The current will be induced and the disconnection detecting member 140 may be configured to detect such a change in the induced current.

그리고, 정션박스 모니터링 부재(21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단선감지 부재(140)에 통전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junction box monitoring member 2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connection detecting member 140 as shown in FIGS. 1 and 2 .

정션박스 모니터링 부재(210)는 단선감지 부재(140)와 통전 연결된 상태에서 단선감지 부재(140)로부터 제공받는 감지신호, 예컨대 [도 4]에서와 같은 유도전류 발생에 기초하여 링코어 부재(130, 130')의 내부를 지나가는 심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단선되었음을 판단하게 된다.The junction box monitoring member 210 is the ring core member 130 on the basis of the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disconnection detection member 140 in a state in which the disconnection detection member 140 is electrically connected, for example, the generation of induced current as in [Fig. 4]. , 130'),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one of the core wires passing through the inside is disconnected.

그리고, 정션박스 모니터링 부재(210)는 링코어 부재(130, 130')의 내부를 지나가는 심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단선됨을 판단하면 해당 트랙케이블(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10)로부터 그 전원 공급 동작을 멈추도록 제어한다.And, the junction box monitoring member 210 determines that at least one of the core wires passing inside the ring core members 130 and 130' is disconnected from the inverter 10 that supplies power to the corresponding track cable 20. Control to stop the power supply operation.

다른 한편, 본 발명은 더미 부재(221), 단선감지 신호케이블 부재(222), 발열감지 신호케이블 부재(22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ummy member 221 , a disconnection detection signal cable member 222 , and a heat detection signal cable member 223 .

더미 부재(221)는 [도 5]와 [도 12]에서와 같이 연장케이블(30)의 내측 중앙부에 감열선(40)과 나란히 배치되고, 단선감지 신호케이블 부재(222)은 [도 5]와 [도 12]에서와 같이 연장케이블(30)의 내측에 더미 부재(221)와 나란히 배치되어 단선감지 부재(140)와 정션박스 모니터링 부재(210)를 상호 통전시킨다.The dummy member 221 is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thermal wire 40 in the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extension cable 30 as in [Fig. 5] and [Fig. 12], and the disconnection detection signal cable member 222 is [Fig. 5] and [Fig. 12], it is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dummy member 221 on the inside of the extension cable 30 to conduct the disconnection detection member 140 and the junction box monitoring member 210 mutually.

발열감지 신호케이블 부재(223)는 [도 12]에서와 같이 연장케이블(30)의 내측에 더미 부재(221)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The heat detection signal cable member 223 may be disposed side by side with the dummy member 221 on the inside of the extension cable 30 as shown in FIG. 12 .

발열감지 신호케이블 부재(223)는 연장케이블(30)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로 제 1 심선 정션부재(110) 및 제 2 심선 정션부재(120)의 외표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감열선 보조부재(410'")와 정션박스 모니터링 부재(210)를 상호 통전시킨다.The heat-sensing signal cable member 223 is disposed inside the extension cable 30 and is a heat-sensitive wire auxiliary member disposed to abut against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core wire junction member 110 and the second core wire junction member 120 . (410'") and the junction box monitoring member 210 are energized with each other.

다른 한편, 자동 물류시스템에서의 발열을 감지하기 위해 그 자동 물류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 1]과 [도 2]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detect heat in the automatic distribution system,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distribution system is as follows through [Fig. 1] and [Fig. 2].

먼저, 자동 물류시스템의 대차 이동 경로에 트랙케이블(20)이 트랙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그 트랙케이블(20)을 따라 이동하는 대차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First, as the track cable 20 is arranged in the form of a track on the balance movement path of the automatic distribution system, power is wirelessly supplied to the cart moving along the track cable 20.

이를 위해, 트랙케이블(20)은 [도 1]에서와 같이 인버터(10)에 연결되어 인버터(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To this end, the track cable 20 is connected to the inverter 10 as shown in [Fig. 1] to receive power from the inverter 10.

그리고, 트랙케이블(20)은 인버터(10)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도 1]에서와 같이 연장케이블(30)을 통해 인버터(10)에 통전 연결되고 그 트랙케이블(20)과 연장케이블(30) 사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정션박스가 배치된 상태로 [도 1]에서와 같이 트랙케이블(20)과 연장케이블(30)을 상호 연결시킨다.And, the track cable 20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inverter 10, bu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verter 10 through the extension cable 30 as in [Fig. 1], and the track cable 20 and the extension cable 30 ), the track cable 20 and the extension cable 30 are interconnected as shown in [FIG. 1] with the junc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osed between them.

이러한, 정션박스는 트랙케이블(20)의 심선(21, 22)과 연장케이블(30)의 심선(31, 32)을 상호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소위 단자대로서 [도 2]에서와 같이 심선 정션부재(110, 120)가 구비된다.Such a junction box is a so-called terminal block in the process of interconnecting the core wires 21 and 22 of the track cable 20 and the core wires 31 and 32 of the extension cable 30, as in [Fig. 2], the core wire junction member ( 110 and 120) are provided.

그리고, 그 심선 정션부재(110, 120)에는 각각의 심선(21, 22, 31, 32)들을 심선 정션부재(110, 120)에 고정시키는 나사 체결방식이 구비될 수도 있고 [도 2]와 같은 복수의 러그 부재(111, 112, 121, 122)가 구비될 수 있다.And, the core wire junction members 110 and 120 may be provided with a screw fastening method for fixing the respective core wires 21, 22, 31, 32 to the core wire junction members 110 and 120,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lug members 111 , 112 , 121 and 122 may be provided.

이때, 각 심선(21, 22, 31, 32)을 [도 2]에서와 같이 심선 정션부재(110, 120)에 고정시키는 나사 체결 불량이나 러그 부재(111, 112, 121, 122)의 압착 불량으로 인해 저항값이 증가하게 될 수 있고 이로 인한 발열 발생으로 화재 위험이 있다.At this time, as in [Fig. 2], the screw fastening of each core wire 21, 22, 31, 32 is fixed to the core wire junction member 110, 120, or the lug member 111, 112, 121, 122 is compressed. As a result, the resistance value may increase, and there is a risk of fire due to the generation of heat.

감열선(40)은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인버터(10), 연장케이블(30), 트랙케이블(20)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thermal wire 40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via the inverter 10 , the extension cable 30 , and the track cable 20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감열선(40)은 바람직하게는 두 가닥의 심선이 독립적으로 피복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폐회로를 구성한다. 즉, 감열선에 나란히 배치되는 각각의 심선은 평상시 서로 독립적으로 전류가 흐르는 구성이다.Preferably, the heat-sensitive wire 40 constitutes a closed circuit in which two core wires are independently coated and arranged side by side. That is, each of the core wires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heat-sensitive wire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current flows independently of each other normally.

이처럼, 감열선(40)에 구비되는 각각의 심선에 서로 독립적으로 전류가 흐르다가 그 감열선(40)의 근접 부분에서 열이 발생하면 그 각 심선의 피복된 부분이 녹아 결과적으로 나란히 배치된 각 심선이 서로 들러붙는 쇼트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current flows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n each of the core wires provided in the heat-sensitive wire 40 and heat is generate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heat-sensitive wire 40, the coated portion of each core wire melts and as a result, each of the core wires arranged side by side A short circuit occurs in which the core wires stick together.

위와 같은 감열선(40)의 쇼트 특성을 활용하면 감열선(40)에 흐르는 전류와 그 전류에 대응하는 저항값의 변화량을 통해 그 감열선(40)이 배치되는 영역의 발열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If the short-circuit characteristic of the heat-sensitive wire 40 is utilized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detected whether heat is generated in the area where the heat-sensitive wire 40 is disposed through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heat-sensitive wire 40 and the amount of change in the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have.

여기서, 감열선(40)는 인버터(10), 연장케이블(30), 트랙케이블(20)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아주 길게 배치되기 때문에 그 감열선(40)에 쇼트가 발생하는 경우 그 감열선(40)과 인접하는 어느 구성의 어느 위치에서 쇼트가 발생하였는지 확인 가능하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Here, since the heat-sensitive wire 40 is arranged for a very long time sequentially via the inverter 10, the extension cable 30, and the track cable 20, when a short occurs in the heat-sensitive wire 40, the heat-sensitive wire ( 40) and it is very important to be able to check where the short circuit occurred in any configuration adjacent to it.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도 2]와 [도 8]에서와 같이 제 1 감열선 정션부재(310), 보조감열선 부재(410), 제 2 감열선 정션부재(320), 제 3 감열선 정션부재(3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heat-sensitive wire junction member 310, an auxiliary heat-sensitive wire member 410, and a second heat-sensitive wire junction member 320 as shown in FIGS. 2 and 8. , a third heat-sensitive wire junction member 330 may be further included.

제 1 감열선 정션부재(310)는 [도 2]와 [도 8]에서와 같이 감열선(40) 중 제 1 트랙심선(21)에 대응하는 트랙케이블(20) 내에 배치되는 제 1 트랙감열선(41)의 일단부와 감열선(40) 중 제 1 연장심선(31)에 대응하는 연장케이블(30) 내에 배치되는 제 1 연장감열선(51)의 일단부가 상호 통전하도록 연결되는 구조를 이룬다.The first heat-sensitive wire junction member 310 has a first track feeling disposed in the track cable 20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ack core wire 21 among the heat-sensitive wires 40 as shown in FIGS. 2 and 8 .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of the heating wire 41 and one end of the first extended thermal wire 51 disposed in the extension cable 30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tended core wire 31 of the thermal wire 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conduct electricity with each other. accomplish

보조감열선 부재(410)는 [도 2]와 [도 8]에서와 같이 제 1 심선 정션부재(110)와 제 2 심선 정션부재(120)의 외표면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제 1 심선 정션부재(110)나 제 2 심선 정션부재(120)의 발열에 반응한다.The auxiliary heat-sensitive wire member 410 is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core wire junction member 110 and the second core wire junction member 120 as in [Fig. 2] and [Fig. 8], and the first core wire junction member (110) or the second core wire junction member (120) responds to heat generation.

이를 위해, 보조감열선 부재(410)는 바람직하게는 두 가닥의 심선이 독립적으로 피복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폐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보조감열선 부재(410)에 나란히 배치되는 각각의 심선은 평상시 서로 독립적으로 전류가 흐르는 구성이다.To this end, the auxiliary heat-sensitive wire member 410 may constitute a closed circuit in which two core wires are independently coated and arranged side by side. That is, each of the core wires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auxiliary heat-sensitive wire member 410 normally flows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이처럼, 보조감열선 부재(410)에 구비되는 각각의 심선에 서로 독립적으로 전류가 흐르다가 그 보조감열선 부재(410)의 근접 부분에서 열이 발생하면 그 각 심선의 피복된 부분이 녹아 결과적으로 나란히 배치된 각 심선이 서로 들러붙는 쇼트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current flows independently of each of the core wires provided in the auxiliary heat-sensitive wire member 410 and heat is generate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auxiliary heat-sensitive wire member 410, the coated portion of each core wire melts as a result. A short-circuit phenomenon occurs in which each core wire arranged side by side sticks to each other.

위와 같은 보조감열선 부재(410)의 쇼트 특성을 활용하면 보조감열선 부재(410)에 흐르는 전류와 그 전류에 대응하는 저항값의 변화량을 통해 그 보조감열선 부재(410)가 배치되는 영역의 발열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When the short characteristic of the auxiliary heat-sensitive wire member 410 is utilized as described above, the area in which the auxiliary heat-sensitive wire member 410 is disposed is measured through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auxiliary heat-sensitive wire member 410 and the amount of change in the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he presence of fever may be detected.

이처럼, 보조감열선 부재(410)가 [도 2]와 [도 8]에서와 같이 제 1 심선 정션부재(110)와 제 2 심선 정션부재(120)의 외표면에 맞닿도록 배치됨에 따라 제 1 심선 정션부재(110)와 제 2 심선 정션부재(120)에 열이 발생하는 경우 보조감열선 부재(410)가 쇼트 됨에 따라 외부의 발열감지 제어부재(미도시)는 제 1 심선 정션부재(110)이나 제 2 심선 정션부재(120)에 열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As such, as the auxiliary heat-sensitive wire member 410 is disposed to contact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core wire junction member 110 and the second core wire junction member 120 as shown in FIGS. 2 and 8 , the first When heat is generated in the core wire junction member 110 and the second core wire junction member 120, as the auxiliary thermal wire member 410 is shorted, the external heat sensing control member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first core wire junction member 110 ) or the second core wire junction member 120 can be seen that heat is generated.

제 2 감열선 정션부재(320)는 [도 2]와 [도 8]에서와 같이 감열선(40) 중 제 2 트랙심선(22)에 대응하는 트랙케이블(20) 내에 배치되는 제 2 트랙감열선(42)의 일단부와 보조감열선 부재(410)의 일단부가 상호 통전하도록 연결되는 구조를 이룬다.The second heat-sensitive wire junction member 320 has a second track feeling disposed in the track cable 2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rack core wire 22 of the heat-sensitive wire 40 as shown in [Fig. 2] and [Fig. 8]. One end of the heating wire 42 and one end of the auxiliary heat-sensitive wire member 4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nduct electricity.

제 3 감열선 정션부재(330)는 [도 2]와 [도 8]에서와 같이 보조감열선 부재(410)의 타단부와 감열선(40) 중 제 2 연장심선(32)에 대응하여 연장케이블(30) 내에 배치되는 제 2 연장감열선(52)의 일단부가 상호 통전하도록 연결되는 구조를 이룬다.The third heat-sensitive wire junction member 330 extends to correspond to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heat-sensitive wire member 410 and the second extended core wire 32 of the heat-sensitive wire 40 as shown in FIGS. 2 and 8 . One end of the second extended heat-sensitive wire 52 disposed in the cable 30 is connected to conduct electricity with each other.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b에 따른 정션박스를 이용한 무선파워 트랙의 단선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c에 따른 정션박스를 이용한 무선파워 트랙의 단선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Fig. 9]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for detecting disconnection of a wireless power track using a junction box according to embodiment b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exemplary diagram using a junction box according to embodiment c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isconnection detection system of a wireless power track.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도 9]와 [도 10]에서와 같이 제 1 감열선 정션부재(310', 310"), 제 4 감열선 정션부재(340', 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first heat-sensitive wire junction members 310' and 310" and fourth heat-sensitive wire junction members 340' and 340" as shown in [Fig. 9] and [Fig. 10]. can be configured.

제 1 감열선 정션부재(310', 310")는 [도 9]와 [도 10]에서와 같이 감열선(40) 중 제 1 트랙심선(21)에 대응하는 트랙케이블(20) 내에 배치되는 제 1 트랙감열선(41)의 일단부와 감열선(40) 중 제 1 연장심선(31)에 대응하는 연장케이블(30) 내에 배치되는 제 1 연장감열선(51)의 일단부가 상호 통전하도록 연결되는 구조를 이룬다.The first heat-sensitive wire junction members 310' and 310" are disposed in the track cable 20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ack core wire 21 of the heat-sensitive wire 40 as shown in FIGS. 9 and 10. So that one end of the first track thermal wire 41 and one end of the first extended thermal wire 51 disposed in the extension cable 30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tended core wire 31 of the thermal wire 40 conduct electricity with each other form a connected structure.

제 4 감열선 정션부재(340', 340")는 [도 9]와 [도 10]에서와 같이 감열선(40) 중 제 2 트랙심선(22)에 대응하는 트랙케이블(20) 내에 배치되는 제 2 트랙감열선(42)의 일단부와 감열선(40) 중 제 2 연장심선(32)에 대응하는 연장케이블(30) 내에 배치되는 제 2 연장감열선(52)의 일단부가 상호 통전하도록 연결되는 구조를 이룬다.The fourth heat-sensitive wire junction members 340' and 340" are disposed in the track cable 2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rack core wire 22 of the heat-sensitive wire 40 as shown in FIGS. 9 and 10. so that one end of the second track thermal wire 42 and one end of the second extended thermal wire 52 disposed in the extension cable 3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xtended core wire 32 of the thermal wire 4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form a connected structure.

여기서, [도 9]에서와 같이 제 4 감열선 정션부재(340')를 기준으로 제 1,2 트랙심선(21, 22)에 쪽에 대응하는 제 2 트랙감열선(42)이 제 1 심선 정션부재(110)와 제 2 심선 정션부재(120)의 외표면에 맞닿도록 배치됨에 따라 보조감열선 부재(410')를 형성할 수 있다.Here, as in [Fig. 9], the second track thermal wire 42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track core wires 21 and 22 with respect to the fourth thermal wire junction member 340' is the first core wire junction. As the member 110 and the second core wire junction member 120 are disposed to contact the outer surfaces, the auxiliary heat-sensitive wire member 410 ′ may be formed.

그리고, [도 10]에서와 같이 제 4 감열선 정션부재(340")를 기준으로 제 1,2 연장심선(31, 32)에 쪽에 대응하는 제 2 연장감열선(52)이 제 1 심선 정션부재(110)와 제 2 심선 정션부재(120)의 외표면에 맞닿도록 배치됨에 따라 보조감열선 부재(410")를 형성할 수도 있다.And, as in [Fig. 10], the second extended thermal wire 52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extended core wires 31 and 32 with respect to the fourth thermal wire junction member 340" is the first core wire junction. As the member 110 and the second core wire junction member 120 are disposed to contact the outer surfaces, the auxiliary heat-sensitive wire member 410 ″ may be formed.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d에 따른 정션박스를 이용한 무선파워 트랙의 단선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2]는 [도 11] 상의 연장케이블에 대한 단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FIG. 11]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isconnection detection system of a wireless power track using a junction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shows a cross-section of the extension cable on [FIG. 11] It is one example.

[도 11]을 참조하면, 보조감열선 부재(410'")는 감열선(40)과 절연된 별도의 구성으로서 제 1 심선 정션부재(110)와 제 2 심선 정션부재(120)의 외표면에 맞닿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auxiliary heat-sensitive wire member 410 ′″ is a separate component insulated from the heat-sensitive wire 40 , and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core wire junction member 110 and the second core wire junction member 120 . It may be arrang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이 경우 [도 11]에서와 같이 보조감열선 부재(410'")는 연장케이블(30)을 경유하는 발열감지 신호케이블 부재(223)을 통해 인버터(10)에 구비되는 정션박스 모니터링 부재(210)와 통전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1], the auxiliary thermal wire member 410'" is a junction box monitoring member 210 provided in the inverter 10 through the heat detection signal cable member 223 via the extension cable 30. ) and can be energized.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연장케이블(30)은 그 중앙부에 더미 부재(221)가 배치된 상태로 그 더미 부재(221)의 둘레를 따라 전류가 흐르는 도선으로서의 제 1,2 연장심선(31, 32)이 복수 개 각각 꼬인 구조로 배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12], the extension cable 30 has first and second extension core wires as conducting wires through which current flows along the periphery of the dummy member 221 with the dummy member 221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thereof. A plurality of (31, 32) may be arranged in a twisted structure, respectively.

그리고, 연장케이블(30)은 [도 12]에서와 같이 제 1,2 연장심선(31, 32)과 절연된 상태의 감열선(40)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nsion cable 30 may include a heat-sensitive wire 40 insul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core wires 31 and 32 as shown in FIG. 12 .

또한, 연장케이블(30)은 [도 12]에서와 같이 제 1,2 연장심선(31, 32) 및 감열선(40)과 절연된 상태의 단선감지 신호케이블 부재(222)와 발열감지 신호케이블 부재(223)를 구비하고 바람직하게는 [도 12]에서와 같이 최외곽이 외부와 절연을 위해 피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nsion cable 30 includes the disconnection detection signal cable member 222 and the heat detection signal cable insul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core wires 31 and 32 and the thermal wire 40 as in [Fig. 12]. A member 223 is provided, and preferably, the outermost portion may be coated for insulation from the outside as shown in FIG. 12 .

여기서, 단선감지 신호케이블 부재(222)와 발열감지 신호케이블 부재(223)도 각각 피복되어 주변 구성과 절연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Here, the disconnection detection signal cable member 222 and the heat detection signal cable member 223 are also covered to maintain an insulated state from the surrounding configura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e에 따른 정션박스를 이용한 무선파워 트랙의 단선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Fig. 13]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for detecting a disconnection of a wireless power track using a junction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링코어 부재(130")는 [도 13]에서와 같이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심선 정션부재(110') 중 어느 하나의 제 1 심선 정션부재(110')와 [도 13]에서와 같이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심선 정션부재(120') 중 어느 하나의 제 2 심선 정션부재(120')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되 서로 반대 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제 1 심선 정션부재(110')와 제 2 심선 정션부재(120')가 자신을 통과하도록 페어링됨이 바람직하다.The ring core member 130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re wire junction member 110 ′ of any one of a plurality of first core wire junction members 110 ′ disposed as shown in FIG. 13 and [FIG. 13] The first core wire junction member 110' is disposed to surround the second core wire junction member 120'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re wire junction members 120' arranged as shown in Fig. ) and the second core wire junction member 120' are preferably paired to pass through them.

여기서도,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제 1 트랙심선(21)과 제 2 트랙심선(22)으로부터 연장되는 각각의 심선들은 제 1 심선 정션부재(110')와 제 2 심선 정션부재(120')를 기준으로 볼 때 끊김 없는 라인 형태를 이룬다.Here too, as described above, referring to [Fig. 1] and [Fig. 2], each of the core wires extending from the first track core wire 21 and the second track core wire 22 is the first core wire junction member 110' and When viewed with reference to the second core wire junction member 120', it forms a seamless line shape.

예컨대, [도 2] 상의 제 1 트랙심선(21)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나의 심선은 [도 1]에서의 트랙케이블(20) 폐회로를 따라 [도 2] 상의 제 2 트랙심선(22)까지 라인 형태로 연장된다.For example, one core wire extending from the first track core wire 21 on [FIG. 2] is in the form of a line to the second track core wire 22 on [FIG. 2] along the track cable 20 closed circuit in [FIG. 1] is extended to

그 결과, 링코어 부재(130")가 감싸고 있는 심선 정션부재(110', 120')를 기준으로 살펴볼 때 제 1 트랙심선(21) 쪽의 제 1 심선 정션부재(110')와 제 2 트랙심선(22) 쪽의 제 2 심선 정션부재(120')는 서로 다른 라인에 연결되는 심선 정션부재들로서 서로 반대방향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As a result, when looking at the core wire junction members 110' and 120' surrounded by the ring core member 130" as a reference, the first core wire junction member 110' and the second track on the side of the first track core wire 21 The second core wire junction member 120 ′ on the core wire 22 side is a core wire junction member connected to different lines, and currents in opposite directions flow.

한편, [도 2]와 [도 8]에서의 보조감열선 부재(410)는 [도 13]에서와 같이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auxiliary heat-sensitive wire members 410 in FIGS. 2 and 8 may be formed as in FIG. 13 .

10 : 인버터
20 : 트랙케이블
21 : 제 1 트랙심선
22 : 제 2 트랙심선
30 : 연장케이블
31 : 제 1 연장심선
32 : 제 2 연장심선
40 : 감열선
70 : 정션박스
110 : 제 1 심선 정션부재
111, 112 : 리드 부재
120 : 제 2 심선 정션부재
121, 122 : 리드 부재
130, 130', 130" : 링코어 부재
140 : 단선감지 부재
141 : 회로루프 부재
142 : 릴레이 코일부재
143 : 릴레이 스위치부재
144 : 신호라인 부재
145 : 제 1 듀얼 다이오드 부재
146 : 제 2 듀얼 다이오드 부재
147 : 저항 부재
148 : 도선 부재
210 : 정션박스 모니터링 부재
221 : 더미 부재
222 : 단선감지 신호케이블 부재
223 : 발열감지 신호케이블 부재
310 : 제 1 감열선 정션부재
320 : 제 2 감열선 정션부재
330 : 제 3 감열선 정션부재
310', 310" : 제 1 감열선 정션부재
340', 340" : 제 4 감열선 정션부재
410, 410', 410" : 보조감열선 부재
410'" : 감열선 보조부재
10: inverter
20: track cable
21: first track core wire
22: second track core wire
30: extension cable
31: first extended core wire
32: second extended core wire
40: thermal wire
70: junction box
110: first core wire junction member
111, 112: lead member
120: second core wire junction member
121, 122: lead member
130, 130', 130": ring core member
140: disconnection detection member
141: circuit loop member
142: relay coil member
143: relay switch member
144: no signal line
145: first dual diode member
146: second dual diode member
147: absence of resistance
148: no conductor
210: junction box monitoring absence
221: dummy member
222: disconnection detection signal cable absence
223: Heat detection signal cable absence
310: first heat-sensitive wire junction member
320: second heat-sensitive wire junction member
330: third heat-sensitive wire junction member
310', 310": first heat-sensitive wire junction member
340', 340": 4th thermal wire junction member
410, 410', 410": Auxiliary heating wire member
410'" : Auxiliary member for heat-sensitive wire

Claims (6)

인버터(10)와, 복수의 심선이 상기 인버터를 기준으로 폐회로를 이루며 상기 인버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트랙케이블(20)과, 상기 인버터와 상기 트랙케이블 사이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장케이블(30)과, 상기 인버터 및 상기 연장케이블과 상기 트랙케이블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배치되는 감열선(40)과, 상기 트랙케이블과 상기 연장케이블을 상호 잇는 정션박스(70)를 구비하는 자동 물류시스템에서 상기 트랙케이블에 대한 단선 감지가 가능한 정션박스를 이용한 무선파워 트랙의 단선감지 시스템으로서,
상기 정션박스(7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장케이블(30)에 인접한 상기 트랙케이블(20)의 일단부(20-1)에 위치한 복수의 심선(이하, '제 1 트랙심선(21)'이라 함)과 상기 제 1 트랙심선(21)에 대응하는 상기 연장케이블(30)의 복수의 심선(이하, '제 1 연장심선(31)'이라 함)을 상호 통전하도록 잇는 제 1 심선 정션부재(110);
상기 정션박스(7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장케이블(30)에 인접한 상기 트랙케이블(20)의 타단부(20-2)에 위치한 복수의 심선(이하, '제 2 트랙심선(22)'이라 함)과 상기 제 2 트랙심선(22)에 대응하는 상기 연장케이블(30)의 복수의 심선(이하, '제 2 연장심선(32)'이라 함)을 상호 통전하도록 잇는 제 2 심선 정션부재(120);
상기 정션박스(70) 내부에 배치되는 단일 폐루프 형상의 링코어 부재(130)로서, 서로 반대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동일 개수의 각각 N가닥의 심선을 상기 제 1 트랙심선(21) 및 상기 제 2 트랙심선(22)으로부터 각각 선택하고(이하, 각각 '제 1 선택심선' 및 '제 2 선택심선')이라 함) 상기 제 1 선택심선과 상기 제 2 선택심선이 모인 2N 가닥의 심선을 상기 단일 폐루프 형상의 내부로 공통으로 지나도록 구성하여 상기 제 1 선택심선과 상기 제 2 선택심선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자속을 발생시킴에 따른 유도전류의 생성을 가이드하는 링코어 부재(130);
상기 정션박스(7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링코어 부재(130)에 권선된 도선(148)에 통전 연결되어 상기 링코어 부재(130)에 의해 상기 도선(148)에 생성되는 유도전류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링코어 부재(130)를 공통으로 지나가는 상기 제 1 선택심선 및 상기 제 2 선택심선에 대한 단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선감지 부재(140);
상기 정션박스(70)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단선감지 부재(140)에 통전 연결되고 상기 단선감지 부재(140)로부터 제공받는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링코어 부재(130)를 지나가는 심선에 대한 단선 여부를 판단하여 인버터(10)의 전력 공급을 차단시키는 정션박스 모니터링 부재(2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션박스를 이용한 무선파워 트랙의 단선감지 시스템.
An inverter 10, a track cable 20 in which a plurality of core wires form a closed circuit based on the inverter and receive power from the inverter, and an extension cable 30 interconnecting the inverter and the track cable; In an automatic distribution system including a heat-sensitive wire (40) disposed sequentially via the inverter, the extension cable, and the track cable, and a junction box (70) connecting the track cable and the extension cable to the track cable As a disconnection detection system of a wireless power track using a junction box capable of detecting a disconnection of
A plurality of core wires disposed inside the junction box 70 and positioned at one end 20-1 of the track cable 20 adjacent to the extension cable 30 (hereinafter, 'first track core wire 21') a first core wire junction membe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core wir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extended core wire 31') of the extension cable 30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ack core wire 21 so as to conduct electricity with each other (110);
A plurality of core wires disposed inside the junction box 70 and positioned at the other end 20-2 of the track cable 20 adjacent to the extension cable 30 (hereinafter, 'second track core wire 22') a second core wire junction membe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core wires of the extension cable 3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rack core wire 22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extended core wire 32') to conduct electricity with each other (120);
As a ring core member 130 having a single closed loop shape disposed inside the junction box 70, the first track core wire 21 and the first track core wire 21 and the first track core wire 21 and the first N core wires each having the same number of currents flowing in opposite directions Selecting each of the two track core wires 22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selective core wire' and 'second selective core wire', respectively), the 2N core wire in which the first selective core wire and the second selective core wire are gathered a ring core member 130 configured to pass in common to the inside of a single closed loop shape to guide generation of an induced current by generating magnetic flux by the current flowing in the first and second selective core wires;
It is disposed inside the junction box 7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wire 148 wound around the ring core member 130 to sense the induced current generated in the conductive wire 148 by the ring core member 130 . a disconnection detecting member 140 for determining whether a disconnection occurs with respect to the first selected core wire and the second selected core wire passing in common to the ring core member 130;
Disconnection of a core wire disposed outside the junction box 70 ,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connection detecting member 140 , and passing through the ring core member 130 based on a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disconnection detecting member 140 . a junction box monitoring member 210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cut off the power supply of the inverter 10;
Disconnection detection system of a wireless power track using a junction box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선감지 부재(140)는,
폐회로 패턴의 회로루프 부재(141);
상기 회로루프 부재에 직렬 연결되는 릴레이 코일부재(142);
상기 릴레이 코일부재에 근접 배치되어 상기 릴레이 코일부재의 전류 통전 여부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되는 릴레이 스위치부재(143);
상기 릴레이 스위치부재의 양단에 통전되고 상기 릴레이 스위치부재의 스위칭 온에 반응하여 단선 감지신호를 외부에 전송하는 신호라인 부재(144);
상기 회로루프 부재에 직렬 연결되는 제 1 듀얼 다이오드 부재(145);
상기 회로루프 부재에서 상기 제 1 듀얼 다이오드 부재와 상기 릴레이 코일부재 사이에 병렬 연결되는 제 2 듀얼 다이오드 부재(146);
상기 제 2 듀얼 다이오드 부재와 상기 릴레이 코일부재 사이에서 병렬 연결되는 저항 부재(147);
상기 링코어 부재에 권선되며 자신의 일단부는 상기 제 1 듀얼 다이오드 부재의 개별 다이오드 사이에 연결되고 자신의 타단부는 상기 제 2 듀얼 다이오드 부재의 개별 다이오드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링코어 부재로 유기되는 유도전류가 상기 릴레이 코일부재에 흐르도록 인터페이스하는 도선 부재(148);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를 이용한 무선파워 트랙의 단선감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connection detecting member 140,
a circuit loop member 141 of a closed circuit pattern;
a relay coil member 142 connected in series to the circuit loop member;
a relay switch member 143 disposed close to the relay coil member and switched on/off depending on whether the relay coil member conducts current;
a signal line member 144 that is energized at both ends of the relay switch member and transmits a disconnection detection signal to the outside in response to switching-on of the relay switch member;
a first dual diode member 145 connected in series to the circuit loop member;
a second dual diode member 146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first dual diode member and the relay coil member in the circuit loop member;
a resistance member 147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second dual diode member and the relay coil member;
Induction wound around the ring core member,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between the individual diodes of the first dual diode member,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between the individual diodes of the second dual diode member, and leads to the ring core member a conducting wire member (148) for interfacing an electric current to flow through the relay coil member;
Disconnection detection system of a wireless power track using a junction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장케이블(30)의 내측 중앙부에 상기 감열선과 나란히 배치되는 더미 부재(221);
상기 연장케이블(30)의 내측에 상기 더미 부재와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단선감지 부재와 상기 정션박스 모니터링 부재를 상호 연결시키는 단선감지 신호케이블 부재(222);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파워 트랙의 단선감지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dummy member 221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heat-sensitive wire at an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extension cable 30;
a disconnection detection signal cable member 222 disposed side by side with the dummy member inside the extension cable 30 to interconnect the disconnection detecting member and the junction box monitoring member;
Disconnection detection system of the wireless power trac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장케이블(30)의 내측에 상기 더미 부재와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제 1 심선 정션부재 및 상기 제 2 심선 정션부재의 외표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감열선 보조부재와 상기 정션박스 모니터링 부재를 상호 연결시키는 발열감지 신호케이블 부재(223);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를 이용한 무선파워 트랙의 단선감지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junction box monitoring member is interconnected with a heat-sensitive wire auxiliary member disposed inside the extension cable (30) side by side with the dummy member and in contact with outer surfaces of the first core wire junction member and the second core wire junction member a heat detection signal cable member 223;
Disconnection detection system of a wireless power track using a junction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감열선 중 상기 제 1 트랙심선에 대응하는 상기 트랙케이블 내에 배치되는 제 1 트랙감열선의 일단부와 상기 감열선 중 상기 제 1 연장심선에 대응하는 상기 연장케이블 내에 배치되는 제 1 연장감열선의 일단부가 상호 통전하도록 잇는 제 1 감열선 정션부재(310);
상기 제 1 심선 정션부재와 상기 제 2 심선 정션부재의 외표면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1 심선 정션부재나 상기 제 2 심선 정션부재의 발열에 반응하는 보조감열선 부재(410);
상기 감열선 중 상기 제 2 트랙심선에 대응하는 상기 트랙케이블 내에 배치되는 제 2 트랙감열선의 일단부와 상기 보조감열선 부재의 일단부가 상호 통전하도록 잇는 제 2 감열선 정션부재(320);
상기 보조감열선 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감열선 중 상기 제 2 연장심선에 대응하여 상기 연장케이블 내에 배치되는 제 2 연장감열선의 일단부가 상호 통전하도록 잇는 제 3 감열선 정션부재(33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를 이용한 무선파워 트랙의 단선감지 시스템.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ne end of a first track heating wire disposed in the track cab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ack core among the heat-sensitive wires and one end of the first extended heat-sensitive wire disposed in the extension cab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tended core among the heat-sensitive wires a first heat-sensitive wire junction member 310 connecting the parts to conduct electricity with each other;
an auxiliary thermal wire member (410)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outer surfaces of the first core wire junction member and the second core wire junction member and reacting to heat generated by the first core wire junction member or the second core wire junction member;
a second heat-sensitive wire junction member (320) connecting one end of a second track heat-sensitive wire disposed in the track cab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rack core wire among the heat-sensitive wires and one end of the auxiliary heat-sensitive wire member to conduct electricity with each other;
a third heat-sensitive wire junction member (330)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heat-sensitive wire member to one end of the second extended heat-sensitive wire disposed in the extension cab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xtended core wire among the heat-sensitive wires so that they are energized;
Disconnection detection system of a wireless power track using a junction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감열선 중 상기 제 1 트랙심선에 대응하는 상기 트랙케이블 내에 배치되는 제 1 트랙감열선의 일단부와 상기 감열선 중 상기 제 1 연장심선에 대응하는 상기 연장케이블 내에 배치되는 제 1 연장감열선의 일단부가 상호 통전하도록 잇는 제 1 감열선 정션부재(310', 310");
상기 감열선 중 상기 제 2 트랙심선에 대응하는 상기 트랙케이블 내에 배치되는 제 2 트랙감열선의 일단부와 상기 감열선 중 상기 제 2 연장심선에 대응하는 상기 연장케이블 내에 배치되는 제 2 연장감열선의 일단부가 상호 통전하도록 잇는 제 4 감열선 정션부재(340', 34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감열선 정션부재에 인접하는 상기 제 1 트랙감열선의 일단부 또는 상기 제 4 감열선 정션부재에 인접하는 상기 제 2 트랙감열선의 일단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 1 심선 정션부재와 상기 제 2 심선 정션부재의 외표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를 이용한 무선파워 트랙의 단선감지 시스템.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ne end of a first track heating wire disposed in the track cab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ack core among the heat-sensitive wires and one end of the first extended heat-sensitive wire disposed in the extension cab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tended core among the heat-sensitive wires first heat-sensitive wire junction members 310' and 310" that connect the parts to conduct electricity with each other;
One end of a second track heating wire disposed in the track cab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rack core among the heat-sensitive wires and one end of a second extended heat-sensitive wire disposed in the extension cab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xtended core among the heat-sensitive wires a fourth heat-sensitive wire junction member (340', 340") connecting the parts to conduct electricity with each other;
Consists of further comprising,
Either one of the one end of the first track thermal wire adjacent to the first thermal wire junction member or the one end of the second track thermal wire adjacent to the fourth thermal wire junction member is connected to the first core wire junction member and the first thermal wire junction member. Disconnection detection system of a wireless power track using a junction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so as to abut against the outer surface of the two-core junction member.
KR1020220016813A 2021-11-20 2022-02-09 wire disconnection detecting system for wireless power track by use of junction box KR10244519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833 2021-11-20
KR20210160833 2021-1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190B1 true KR102445190B1 (en) 2022-09-20

Family

ID=83446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813A KR102445190B1 (en) 2021-11-20 2022-02-09 wire disconnection detecting system for wireless power track by use of junction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19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6609A (en) * 2014-12-23 2016-07-0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ng a power line fault in junction box
KR102042455B1 (en) * 2019-01-22 2019-11-08 (주)그린파워 Power cable with heat sensor line and over heat protection apparatus
KR102154978B1 (en) * 2019-05-27 2020-09-11 (주)화인파워엑스 detecting system for cutting event of track cab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6609A (en) * 2014-12-23 2016-07-0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ng a power line fault in junction box
KR102042455B1 (en) * 2019-01-22 2019-11-08 (주)그린파워 Power cable with heat sensor line and over heat protection apparatus
KR102154978B1 (en) * 2019-05-27 2020-09-11 (주)화인파워엑스 detecting system for cutting event of track ca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62591B1 (en) Electrical system with arc protection
US5627719A (en) Electrical wiring system with overtemperature protection
US9725280B2 (en) Connecting device for measurement tapes in elevator devices
CN104965109A (en) Module for measuring the current flowing in a conductor of a low-voltage distribution board
KR100750011B1 (en) Electromagnetic Waves Protecting Controller
KR102428133B1 (en) junction box of detecting a disconnection of wire for wireless power track
WO1996042131A1 (en) Electrical wiring system with overtemperature protection
CN103250299B (en) Heat interlocking, equipment, the system and method for set of cells
KR102445190B1 (en) wire disconnection detecting system for wireless power track by use of junction box
US6728085B2 (en) Circuit breaker with shunt
KR100463333B1 (en) Protective Device of Non-Contact Feeder System
US8248260B1 (en) Electrical safety device for temperature control and mechanical damage
EP3118958B1 (en) Power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of monitoring zone selective interlocking in a power distribution system
CN104793094B (en) Detection circuit and method, electric heating system for electric heater
KR102404340B1 (en) system detecting heat generation in wireless power track
KR200445114Y1 (en) Circuit breaker having trip terminal coupled with multiple sensors
KR102343151B1 (en) Heating elemen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MX20140120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glowing contact in a power circuit.
KR102404343B1 (en) loop box device of connecting a wireless power track
KR20190133317A (en) current source based device for monitoring temperature detecting cable
JP2001037071A (en) Open-circuit detection method, open-circuit detection device, overheat preventive method and overheat preventing device in feeder circuit of vehicle
JP2007218552A (en) Sheet heating device
JP6045619B2 (en) Power plug temperature detection circuit
KR101679024B1 (en) Residual current device and system for adjusting rated current using communication network
CN219872532U (en) Luminous line type fire det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