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182B1 - 상부를 밀폐 가능한 장화 - Google Patents

상부를 밀폐 가능한 장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182B1
KR102445182B1 KR1020210186622A KR20210186622A KR102445182B1 KR 102445182 B1 KR102445182 B1 KR 102445182B1 KR 1020210186622 A KR1020210186622 A KR 1020210186622A KR 20210186622 A KR20210186622 A KR 20210186622A KR 102445182 B1 KR102445182 B1 KR 102445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art
attached
fastening
boots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6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훈
Original Assignee
박노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노훈 filed Critical 박노훈
Priority to KR1020210186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2Boots covering the lower le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5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rovided with magnets, magnetic parts or magn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6Easily-exchangeable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5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assembled by gluing or thermo bondi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8Hooks or loops provided with means to reinforce the attachment, e.g. by adhesi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5/00Fastening by use of touch and clos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를 밀폐 가능한 장화로서, 천연 고무 또는 합성수지, PVC 재질로 형성되는 하단부재; 및 천연 고무 또는 합성수지, PVC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하단부재의 상부에 부착되어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상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부를 밀폐 가능한 장화{Boots that can seal the top}
본 발명은 상부를 밀폐 가능한 장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화는 주변에 물이 많을 때 발이 젖지 않도록 신는 것으로 우화라고도 한다. 상세히, 상기 장화는 물속에서나 비오는 날 외에도 주변 환경이 오염된 장소에서 발을 보호하기 위해서 신발 대용으로 착용하거나 신발 등을 보호하기 위해서 신발의 외부에 덧대어 착용하기도 한다. 또한, 산업현장에서 작업화로도 널리 사용하고 있는 등 다양한 장소에서 다목적으로 사용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장화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수지, PVC(polyvinyl chloride) 수지의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발끝부터 발뒤꿈치를 거쳐 종아리를 커버하도록 연장되며 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한편, 종래의 장화는 작업자의 착용 및 탈의가 편리하도록 상기 개구부가 인체의 종아리 둘레보다 실질적으로 넓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개구부와 인체 종아리 사이에 이격된 간격으로 물 내지 이물질이 침투되어 장화 내부 및 작업자의 발이 오염되거나 착용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이물질에 의해 작업자의 하지에 상처가 발생하는 등의 안전사고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4233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에 구비된 장화보호부재를 이용하여 장화의 상부를 밀폐시킬 수 있는 상부를 밀폐 가능한 장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를 밀폐 가능한 장화는, 천연 고무 또는 합성수지, PVC 재질로 형성되는 하단부재; 및 천연 고무 또는 합성수지, PVC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하단부재의 상부에 부착되어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상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단부재는, 상기 하단부재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단부재는, 상기 하단부재와 분리형으로 이루어질 때, 상기 하단부재와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고, 상기 접착제를 통해 부착된 부위는 방수 테이프를 감아 상기 부착된 부위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단부재는, 상기 하단부재가 서로 맞닿아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경우 한 쪽 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면에 자석 또는 벨크로의 재질로 형성되는 부착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단부재는, 개방된 상단을 덮어 보호하는 장화보호부재; 및 상기 장화보호부재를 걸쳐 고정시키도록 둥근 고리의 형상으로 형성된 걸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화보호부재는, 상기 상단부재의 너비 또는 지름의 크기에 맞추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화보호부재는, 타단이 상기 걸이부재에 걸쳐 고정 가능하도록 고리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화보호부재는, 일단이 상기 상단부재의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걸이부재에 걸쳐 고정 가능하도록 상기 상단부재의 상단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상단부재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걸이부재는, 원형 띠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장화의 내부 일측면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고리부; 'J'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제2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서브고리부; 및 상기 서브고리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체결부가 끼움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 끼움홈이 형성된 제1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제1 체결부가 일단, 타단 또는 상단을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에 끼움 가능한 너비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되, 360도 회전이 가능한 원기둥의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러짐 방지 기능을 갖는 장화는, 천연 고무 또는 합성수지, PVC 재질로 형성되는 밑창; 및 천연 고무 또는 합성수지, PVC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밑창의 상부에 부착되어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밑창은, 한 짝의 일단에는 같은 극성을 갖는 자석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 구비되어 있고, 한 짝의 타단에는 일단에 구비된 극성과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이 동일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밑창은, 다른 한 짝의 일단 및 타단에는 한 짝의 타단에 구비된 극성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자석이 동일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씩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몸체는, 상기 밑창과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몸체는, 상기 밑창과 분리형으로 이루어질 때, 상기 밑창과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고, 상기 접착제를 통해 부착된 부위는 방수 테이프를 감아 상기 부착된 부위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몸체는, 상기 밑창이 서로 맞닿아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경우 한 쪽 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면에 자석 또는 벨크로의 재질로 형성되는 부착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자석으로 형성되는 경우, 외관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천연 고무 또는 합성수지, PVC 재질의 사이 또는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벨크로로 형성되는 경우, 내측면에 위치하되 서로 접촉 가능하도록 외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몸체는, 상기 장화의 상단을 보호하는 장화보호부재; 및 상기 장화보호부재를 걸쳐 고정시키도록 둥근 고리의 형상으로 형성된 걸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걸이부재는, 원형 띠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장화의 내부 일측면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고리부; 'J'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제2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서브고리부; 및 상기 서브고리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체결부가 끼움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 끼움홈이 형성된 제1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제1 체결부가 일단, 타단 또는 상단을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에 끼움 가능한 너비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되, 360도 회전이 가능한 원기둥의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상부를 밀폐 가능한 장화는 상부에 구비된 장화보호부재를 이용하여 장화의 상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장화보호부재를 걸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걸이부재는 상단 또는 측면에에 서브고리부를 결합할 수 있는 부분이 있으며, 또한 추가 고리 다른 한 쪽 끝에도 꽂이를 결합할 수 있는 부분으로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각 구성품을 조립 가능하게 하고 360도 회전이 가능한 결합부위로 총 4개의 구성품으로 되어 있으며, 각 구성품을 필요에 따라 다르게 조립하여 그 장화보호부재를 걸쳐 고정시킬 수 있는 범위, 용도를 넓힐 수 있다.
또한, 걸이부재는 제2 체결부의 절개부가 제1 체결부의 개방홈에 의해 제1 체결부에 부딪히지 않고 안내되어 이탈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개방홈의 경사형성부의 구성으로 인해 자연스레 절개부가 상측방향으로 휘어지게 되며 돌출고정부에 걸리지 않고 절개부가 절개고정부에 견고하고 끼움되며 돌출턱이 돌출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며 개방홈에 제2 체결부의 결합부가 매워지게 되어 결합 시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러짐 방지 기능을 갖는 장화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를 밀폐 가능한 장화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를 밀폐 가능한 장화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러짐 방지 기능을 갖는 장화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러짐 방지 기능을 갖는 장화(100)는 천연 고무 또는 합성수지, PVC 재질로 형성되는 밑창(110) 및 천연 고무 또는 합성수지, PVC 재질로 형성되며 밑창의 상부에 부착되어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몸체(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밑창(110)은 한 짝의 일단에는 같은 극성을 갖는 자석(101', 103')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한 짝의 타단에는 일단에 구비된 극성과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107', 109')이 동일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밑창(110)은 다른 한 짝의 일단 및 타단에는 한 짝의 타단에 구비된 극성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자석(101, 103, 107, 109)이 동일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씩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밑창(110)의 한 짝의 일단에 s극의 자석(101', 103')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 구비되어 있는 경우 다른 한짝의 타단에는 n극의 자석(107', 109')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밑창(110)에 구비된 자성의 인력에 의하여 서로 부착되어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밑창(110)의 한 짝의 일단에 s극이 구비됨에 따라 다른 한 짝의 타단 및 일단에도 n극의 자석(101, 103, 107, 109)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제안하는 장화(100)는 벗어놓은 후 장화를 다시 신을 때, 또는 장화를 벗어놓을 때 좌우 구분을 용이하게 하여 보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몸체(190)는 밑창과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몸체(190)는 밑창과 분리형으로 이루어질 때, 밑창과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고, 접착제를 통해 부착된 부위는 방수 테이프를 감아 부착된 부위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몸체(190)는 밑창이 서로 맞닿아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경우 한 쪽 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면에 자석 또는 벨크로의 재질로 형성되는 부착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부착 부재(105, 105')는 자석으로 형성되는 경우, 외관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천연 고무 또는 합성수지, PVC 재질의 사이 또는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부착 부재(105, 105')는 벨크로로 형성되는 경우, 내측면에 위치하되 서로 접촉 가능하도록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를 밀폐 가능한 장화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를 밀폐 가능한 장화(500)는 천연 고무 또는 합성수지, PVC 재질로 형성되는 하단부재(510) 및 천연 고무 또는 합성수지, PVC 재질로 형성되며 하단부재의 상부에 부착되어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상단부재(5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부재(590)는 하단부재(51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단부재(590)는 하단부재(510)와 분리형으로 이루어질 때, 하단부재(510)와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고, 접착제를 통해 부착된 부위는 방수 테이프를 감아 부착된 부위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단부재(590)는 하단부재(510)가 서로 맞닿아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경우 한 쪽 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면에 자석 또는 벨크로의 재질로 형성되는 부착 부재(105, 105')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단부재(590)는 개방된 상단을 덮어 보호하는 장화보호부재(200) 및 장화보호부재(200)를 걸쳐 고정시키도록 둥근 고리의 형상으로 형성된 걸이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장화보호부재(200)는 상단부재(590)의 너비 또는 지름의 크기에 맞추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장화보호부재(200)는 타단(210)이 걸이부재(120)에 걸쳐 고정 가능하도록 고리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화보호부재(200)는 일단(230)이 상단부재(590)의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21)은 걸이부재(120)에 걸쳐 고정 가능하도록 상단부재(590)의 상단을 중심으로 하여 상단부재(59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를 밀폐 가능한 장화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를 밀폐 가능한 장화(500)의 상단에 장화보호부재(200)를 걸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둥근 고리의 형상으로 형성된 걸이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이부재(120)는 원형 띠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장화(500)의 내부 일측면에 고정되어 있는 고리부(121), 추가적으로 'J'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걸이부재(12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서브고리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걸이부재(120)는 둥근 고리 부분과 고리부, 서브고리부와 결합을 가능하도록 하는 3개의 제1 체결부(123) 및 제2 체결부(124)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체결부(123) 및 제2 체결부(124)의 수는 3개로 한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 또는 제조자의 의도에 따라 더 적거나 더 많은 수로 제작될 수도 있다.
둥근 고리의 형상으로 형성된 걸이부재(120)와 고리부(121), 서브고리부(122)의 효율적인 결합을 위하여 제1 체결부(123)에는 제2 체결부(124)가 억지 끼움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 끼움홈이 있어 제2 체결부(124)에 형성된 돌기를 끼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부(124)의 돌기의 반대측에는 제1 체결부(123)와 같은 끼움홈이 있어 고리부(121)나 또 다른 서브고리부(122)와 결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형상으로 설명하면, 고리부(121)의 하단에는 둥근 고리의 형상으로 형성된 걸이부재(120)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고리부(121)의 하단에는 걸이부재(120)의 상단에 위치한 제1 체결부(123)와 결합 가능한 끼움부(125)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끼움부(125)는 제2 체결부(124)의 돌기보다 큰 너비 즉, 제1 체결부(123)에 억지 끼움되어지는 정도의 너비로 형성되어 고리부(121)에 제1 체결부(123)가 견고하게 고정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화보호부재(200)를 걸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걸이부재(120)는 상단 또는 측면에 서브고리부(122)를 결합할 수 있는 부분이 있으며, 또한 추가 고리 다른 한 쪽 끝에도 꽂이를 결합할 수 있는 부분으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구성품을 조립 가능하게 하고 360도 회전이 가능한 결합부위로 총 4개의 구성품으로 되어 있으며, 각 구성품을 필요에 따라 다르게 조립하여 그 장화보호부재(200)를 걸쳐 고정시킬 수 있는 범위를 넓힌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이 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걸이부재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장화 착용 시 걸이부재를 제거하여 착용할 수도 있고,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를 이용하여 걸이부재의 고리부분(끝단 부분)을 바깥쪽으로 회전시킨 후 착용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장화보호부재를 걸이부재에 걸쳐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타단(230)을 서로 연결하여 매듭지어 상단 부재(590)의 개방된 상단을 밀폐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이부재(120)는 견고하게 상호 결합 가능한 제1 체결부(123) 및 제2 체결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123)와 제2 체결부(124)가 상호 결합되게 구성하되, 결합 시 제2 체결부(124)가 제1 체결부(123)의 내부로 안내되면서 자연스레 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구성되며 손쉽게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체결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2 체결부(124)와 제2 체결부(124)와 결합되는 제1 체결부(123)가 상호 결합되게 구성하되, 결합 시 제2 체결부(124)의 돌출턱(12421)이 제1 체결부(123)의 내부로 안내되면서 자연스레 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구성되며, 손쉽게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체결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체결부(124)는 내부에 끼움공간이 형성되되, 제2 체결부(124)의 상측에 결합부(1241)와 하측에 절개된 절개부(1242)가 각각 구성되고, 절개부(1242)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돌출턱(12421)이 형성되어 있되, 돌출턱(12421)의 일측면, 타측면에 결합레일(12422)이 각각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체결부(124)는 상측에는 후술하는 제1 체결부(123)에 결합되는 결합부(1241)가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1241)의 하측에는 절개된 형태의 절개부(1242)가 구성되는데 절개부(1242)는 제1 체결부(123)와 결합 시 탄성 작용을 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절개부(1242)는 제2 체결부(124)의 상측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되 중앙에서 상측 방향으로 서서히 돌출되게 돌출턱(1242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돌출턱(12421)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는 결합레일(12422)이 각각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절개부(1242)가 탄성작용을 하기 위해서 절개부(1242)의 둘레를 따라 끼움공간과 연결되는 연결부(12423)가 형성되어, 절개부(1242)가 상측으로 밀림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결합레일(12422)은 절개부(1242)에서 연장되어 결합부(1241)측 방향으로 서서히 돌출되며 경사를 갖도록 구성되며 끝부에 돌출턱(1242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절개부(1242)의 상측에 돌출 형성된 돌출턱(12421)은 하기될 돌출고정부(1234)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밀림 되기 위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레일(12422)은 제1 체결부(123)와 결합 시 개방홈(1232)에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결합 시 제1 체결부(123)의 내부홈(1231)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2 체결부(124)는 결합부(1241)의 상측면 및 하측면과 돌출턱(12421)의 상측면 및 하측면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체결부(124) 결합 시 돌출턱(12421)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형성된 결합레일(12422)이 개방홈(1232)의 내측과 맞닿아 절개부(1242)가 이탈을 방지하면서 내부홈(1231)으로 안내되며 인입되어 최종적으로 결합부(1241)가 개방홈(1232)에 끼움 결합되게 되어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2 체결부(124)의 결합부(1241)와 절개부(1242)는 제2 체결부(124)의 일측면, 타측면 또는 상, 하 양측에 각각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두 개의 결합부(1241)와 절개부(1242)가 제2 체결부(124)의 일측, 타측에 각각 구성되고, 각각 제1 체결부(123)의 개방홈(1232)과 절개고정부(1233)에 걸림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00)는 안경테와 결합되는 상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통상의 안경테의 림이 수직으로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용이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으며, 결합되는 안경테의 형태에 따라 가변시켜 구성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2 체결부(124)에는 끼움공간의 상측이 개방되게 형성할 수 있는데, 즉, 끼움공간이 개방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외측에서 절개부(1242)가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절개부(1242)의 원활한 유동경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2 체결부(124)와 결합되는 제1 체결부(123)를 살펴보면, 제1 체결부(123)는 내부에 내부홈(123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측에 내부홈(1231)과 연결되되 상측이 개방되는 개방홈(1232), 개방홈(1232)과 일정간격 이격되며 내부홈(1231)과 연결되는 절개고정부(1233)가 각각 형성되어 있을 수 있되, 개방홈(1232)과 절개고정부(1233) 사이에는 돌출고정부(1234)가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개방홈(1232)의 내측에는 개방된 측방향에서 절개고정부(1233) 측으로 경사형성부(12321)를 갖도록 구성되며, 개방홈(1232)과 절개고정부(1233)는 제1 체결부(123)의 양측 또는 일측, 타측 양측에 각각 구성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개방홈(1232)은 제2 체결부(124)의 절개부(1242)에 구성된 각각의 결합레일(12422)이 제1 체결부(123)의 내부홈(1231)으로 보다 안전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하고, 개방홈(1232)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형성부(12321)는 절개부(1242)의 측면이 맞닿으며 슬라이드되며 자연스레 휘어지도록 하며 돌출고정부(1234)에 의해 완전히 휘어지면서 절개고정부(1233)에 절개부(1242)가 끼워지게 되면서 돌출턱(12421)이 돌출고정부(1234)에 고정되며, 최종적으로 제2 체결부(124)의 결합부(1241)가 개방홈(1232)에 끼움되며 고정되어 결합 시 전체적인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돌출고정부(1234)는 개방홈(1232)과 절개고정부(1233) 사이에 구성되어 절개부(1242)가 완전히 휘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돌출턱(12421)을 걸림시켜 고정하기 위한 구성인 것이다.
상술한 바를 요약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2 체결부(124)는 내부에 끼움공간이 형성되되, 제2 체결부(124)의 상측에 결합부(1241)와 하측에 절개된 절개부(1242)가 각각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절개부(1242)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돌출턱(1242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되, 돌출턱(12421)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는 결합레일(12422)이 각각 구성될 수 있고, 제1 체결부(123)는 제2 체결부(124)가 삽입되는 길이에 맞게 형성되는 내부홈(1231)과, 외부 상측에 내부홈(1231)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절개부(1242)가 안내될 수 있게 상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개방홈(1232), 개방홈(1232)과 일정간격 이격되며 절개부(1242)가 걸림 되는 절개고정부(1233)가 각각 구성되어, 상호 결합 시 각각의 결합레일(12422)이 개방홈(1232)을 따라 안내되며 돌출고정부(1234)에 의해 절개부(1242)가 상측으로 밀림되면서 절개부(1242)가 절개고정부(1233)에 끼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체결부(124)를 제1 체결부(123)의 내부홈(1231)으로 삽입 시 각각의 결합레일(12422)이 개방홈(1232)과 맞닿으며 결합될 수 있고, 돌출고정부(1234)에 의해 절개부(1242)가 상측으로 밀림되면서 절개부(1242)의 돌출턱(12421)이 절개고정부(1233)에 끼워져 돌출고정부(1234)에 의해 걸림 고정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제2 체결부(124)의 결합부(1241)와 절개부(1242)는 일측, 타측이면 또는 양측으로 각각 구성되며, 제1 체결부(123)의 개방홈(1232)과 절개고정부(1233)는 결합부(1241)와 절개부(1242)의 구조에 맞춰 동일하게 형성되어 자연스레 절개부(1242)가 안내되면서 돌출고정부(1234)의 직접적인 마찰을 줄일 수 있으며 절개고정부(1233)게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체결부(124)의 돌출턱(12421)의 좌우 길이와, 개방홈(1232)의 좌우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2 체결부(124)의 결합레일(12422)이 내부홈(1231)으로 인입됨에 있어서 부딪히지 않고 개방홈(1232)을 통해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결합구조에 의해 결합되는 제2 체결부(124)와 제1 체결부(123)를 신속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결합을 함에 있어서도 상호 부딪힘이 없이 제2 체결부(124)를 내부홈(1231)으로 개방홈(1232)을 통해 자연스레 안내될 수 있게 되는 등 파손과 내구성을 확보하여 경제적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분리를 함에 있어서(상기한 방법의 역방향으로 분리), 절개부(1242)를 손으로 누르면서 제1 체결부(123)를 제2 체결부(124)의 하측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자연스레 제2 체결부(124)와 제1 체결부(123)가 분리가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2 체결부(124)의 절개부(1242)가 제1 체결부(123)의 개방홈(1232)에 의해 제1 체결부(123)에 부딪히지 않고 안내되어 이탈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개방홈(1232)의 경사형성부(12321)의 구성으로 인해 자연스레 절개부(1242)가 상측방향으로 휘어지게 되며 돌출고정부(1234)에 걸리지 않고 절개부(1242)가 절개고정부(1233)에 견고하고 끼움되며 돌출턱(12421)이 돌출고정부(1234)에 의해 고정되며 개방홈(1232)에 제2 체결부(124)의 결합부(1241)가 매워지게 되어 결합 시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쓰러짐 방지 기능을 갖는 장화
500: 상부를 밀폐 가능한 장화

Claims (3)

  1. 천연 고무 또는 합성수지, PVC 재질로 형성되는 하단부재; 및
    천연 고무 또는 합성수지, PVC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하단부재의 상부에 부착되어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상단부재;를 포함하는, 상부를 밀폐 가능한 장화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재는,
    상기 하단부재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단부재는,
    상기 하단부재와 분리형으로 이루어질 때, 상기 하단부재와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고, 상기 접착제를 통해 부착된 부위는 방수 테이프를 감아 상기 부착된 부위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단부재는,
    상기 하단부재가 서로 맞닿아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경우 한 쪽 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면에 자석 또는 벨크로의 재질로 형성되는 부착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단부재는,
    개방된 상단을 덮어 보호하는 장화보호부재; 및
    상기 장화보호부재를 걸쳐 고정시키도록 둥근 고리의 형상으로 형성된 걸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화보호부재는,
    상기 상단부재의 너비 또는 지름의 크기에 맞추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장화보호부재는,
    타단이 상기 걸이부재에 걸쳐 고정 가능하도록 고리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화보호부재는,
    일단이 상기 상단부재의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걸이부재에 걸쳐 고정 가능하도록 상기 상단부재의 상단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상단부재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를 밀폐 가능한 장화.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는,
    원형 띠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장화의 내부 일측면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고리부;
    'J'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제2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서브고리부; 및
    상기 서브고리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체결부가 끼움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 끼움홈이 형성된 제1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제1 체결부가 일단, 타단 또는 상단을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에 끼움 가능한 너비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되, 360도 회전이 가능한 원기둥의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를 밀폐 가능한 장화.
KR1020210186622A 2021-12-23 2021-12-23 상부를 밀폐 가능한 장화 KR102445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622A KR102445182B1 (ko) 2021-12-23 2021-12-23 상부를 밀폐 가능한 장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622A KR102445182B1 (ko) 2021-12-23 2021-12-23 상부를 밀폐 가능한 장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182B1 true KR102445182B1 (ko) 2022-09-19

Family

ID=83460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622A KR102445182B1 (ko) 2021-12-23 2021-12-23 상부를 밀폐 가능한 장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1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6154A (ko) * 2012-05-11 2013-11-20 조규호 통풍수단을 구비한 장화
KR101617042B1 (ko) * 2015-06-29 2016-05-02 주식회사 경동스포츠 스노우보드용 부츠
KR101642339B1 (ko) 2016-04-05 2016-07-25 강형중 장화
KR101968630B1 (ko) * 2018-05-23 2019-04-15 김종복 상단부 변형식 밀봉형 장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6154A (ko) * 2012-05-11 2013-11-20 조규호 통풍수단을 구비한 장화
KR101617042B1 (ko) * 2015-06-29 2016-05-02 주식회사 경동스포츠 스노우보드용 부츠
KR101642339B1 (ko) 2016-04-05 2016-07-25 강형중 장화
KR101968630B1 (ko) * 2018-05-23 2019-04-15 김종복 상단부 변형식 밀봉형 장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0333A (en) Water-proof golf footwear
US5337491A (en) Shoe covering members
US5638614A (en) Shoe protector and floor covering aid
US3798503A (en) Protective foot cover
KR102445182B1 (ko) 상부를 밀폐 가능한 장화
US4008531A (en) Protective footwear
KR102493310B1 (ko) 쓰러짐 방지 기능을 갖는 장화
US20150020417A1 (en) Footwear covers and associated methods
KR20200075376A (ko)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신발
US20120266491A1 (en) Slip resistant ski boot protection apparatus
EP0269186B1 (en) A shoe composed of replaceable elements
KR200240167Y1 (ko) 각반 기능을 갖는 양말
KR20180060143A (ko) 신발 외부 청소 보호대
KR101411211B1 (ko) 산행용 다리 보호덮개
KR200479975Y1 (ko) 등산용 스패츠
KR102400149B1 (ko) 와이어 조임장치의 보호캡
KR200492819Y1 (ko) 사고방지를 위한 방한용 장갑
KR20180129292A (ko) 신발 바닥 청소 및 안전화
KR101928305B1 (ko) 아웃솔 탈부착형 실내외 겸용 슈즈
KR20090002087U (ko) 신발의 이물질 유입방지용 보호구
US868135A (en) Overshoe.
KR101529077B1 (ko) 방수 덧신
TWM576396U (zh) Rain pants cover structure
KR20180058422A (ko) 신발 밑창 보호대 및 청소용 패드
KR200248648Y1 (ko) 골프화용 방수 덧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