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104B1 - Detachable grip for smart phone - Google Patents

Detachable grip for smart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104B1
KR102445104B1 KR1020210187642A KR20210187642A KR102445104B1 KR 102445104 B1 KR102445104 B1 KR 102445104B1 KR 1020210187642 A KR1020210187642 A KR 1020210187642A KR 20210187642 A KR20210187642 A KR 20210187642A KR 102445104 B1 KR102445104 B1 KR 102445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fixed frame
screen
guide pl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76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성수
Original Assignee
황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수 filed Critical 황성수
Priority to KR1020210187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10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1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Ink Je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ttachable/detachable grip device for a smartphone, which includes: a fixed frame fixed to the back of a smartphone; and a movable frame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fixed frame in a sliding manner, wherein the grip device includes the fixed frame fixed to the back of the smartphone; a movable frame which rotates, while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and which is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fixed frame; and an operation control unit which is installed on the movable frame 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smartphone to control the maintenance of the screen on/off of the smartphone according to a usage state of the user. Therefore, the user can stably grip the smartphone.

Description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DETACHABLE GRIP FOR SMART PHONE}Detachable grip device for smartphone {DETACHABLE GRIP FOR SMART PHONE}

본 발명은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ip device for a detachable smartphone.

최근에는 스마트폰은 개인 필수 소지기기로서,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무선통신은 물론, 네트워크 접속을 통한 각종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최근에 출시되는 스마트폰의 크기는 한 손으로 전체를 감싸면서 파지하기에 다소 큰 크기로 제품이 출고되고 있는 추세이다. 스마트폰으로 게임이나 동영상 등의 각종 멀티미디어 기능을 보다 현장감 있게 즐기기 위해 대형 디스플레이의 탑재가 용이한 스마트폰이 출시되어 각광을 받고 있다.Recently, as a personal essential device, a smartphone is carried by an individual, regardless of location, and various tasks are performed through network connection as well as wireless communication. In general, the size of smartphones that are recently released is a trend that products are shipped with a size that is rather large to be gripped while wrapping the whole with one hand. In order to enjoy various multimedia functions such as games and videos more realistically with smartphones, smartphones that can easily be equipped with large displays have been released and are in the spotlight.

한편, 이러한 대형 디스플레이를 구성한 스마트폰은 각종 정밀하고 미세한 전자부품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파손 및 오작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휴대하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각종 이물질로 인해 오염될 수 있다. 이에, 최근에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 및 휴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쉽게 파지하거나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는 그립톡이 많이 판매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smartphone composing such a large display has various precise and fine electronic components built-in, there is a risk of damage or malfunction when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have. Accordingly, in recent years, in order to allow a user to use and carry a smartphone relatively safely, a lot of Grip Talk capable of easily holding or safely holding a smartphone have been sold.

기존의 그립톡은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도록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스마트폰의 뒷면 또는 스마트폰을 감싸고 있는 케이스의 뒷면에 부착 고정되어 사용된다. 이처럼,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도록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그립톡이 스마트폰 뒷면에 부착되는 경우, 스마트폰을 무선 충전기에 올리게 되면, 돌출된 그립톡에 의해 스마트폰과 무선 충전기가 연결되지 않아 무선 충전이 어렵고, 책상 위에 핸드폰을 올려둘 때도 뒷면이 안정적으로 책상의 면과 맞닿지 않아 불안정한 상태로 책상 위에 올려지게 된다.The existing grip talk is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so that the user can grip it, and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back of the smartphone or the back of the case surrounding the smartphone. In this way, when the Grip Talk that is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so that the user can grip it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smartphone, when the smartphone is placed on the wireless charger, the smartphone and the wireless charger are not connected by the protruding Grip Talk, so that the wireless charger is not connected. It is difficult to charge, and even when the cell phone is placed on the desk, the back side does not stably contact the surface of the desk, so it is placed on the desk in an unstable state.

또한, 기존의 그립톡은 스마트폰에 한번 부착하면 분리가 불가하여 상황에 맞춰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 하고, 분리하면 재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xisting grip talk has a disadvantage that it cannot be separated once attached to a smartphone, making it impossible to use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cannot be reused if separated.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20-0001982호(2020.09.10.)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20-0001982 (2020.09.10.)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되, 필요에 따라 이동프레임을 고정프레임에서 분리하여, 스마트폰의 뒷면이 평평해지도록 하여, 스마트폰의 무선 충전이 가능하고, 스마트폰을 책상이나 테이블 위에 안정적으로 올려두고 사용할 수 있는,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smartphone to be stably gripped, but if necessary, the moving frame is separated from the fixed frame, so that the back of the smartphone is flat, so that wireless charging of the smartphone is possible, and the smartphone can be placed on a desk or on a desk.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tachable gripping device for a smartphone that can be placed on a table and used stab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뒷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및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xed frame fixed to the back of the smartphone; and

상기 고정프레임과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가능한 이동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를 제공한다.It provides a detachable grip device for a smartphone comprising a; the fixed frame and the movable frame detachable in a sliding manner.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은, 스마트폰의 뒷면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뒷면에 부착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의 전면부에 형성되되, 양 측이 상기 부착부의 양 단부와 단차 지도록 좌우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부착부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ed frame, the attachment portion attached to the back of the smartphone or the back of the smartphone case; and a coupling part formed on the front part of the attachment part and having a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longer than the attachment part so that both sides are stepped with both ends of the attachment part; A gripping device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이동프레임은, 홀더; 상기 홀더의 일 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결합부의 좌우 길이에 대응되도록 양 측으로 서로 이격 형성되는 결합리브; 상기 결합리브 각각의 단부에서, 상기 부착부의 좌우 길이에 대응되도록 양 측이 서로를 향해 소정 길이 돌출되는 돌출리브; 및 상기 결합리브와 상기 돌출리브의 단차에 의해, 상기 돌출리브와 상기 홀더 사이에 상기 결합부의 양 단부가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ing frame, the holder; a coupling rib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hold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to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coupling part; at each end of the coupling rib, protruding ribs having both sides projecting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each oth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attachment part; and a coupling groove formed so that both ends of the coupling part can be slidably inserted between the protruding rib and the holder by a step difference between the coupling rib and the protruding rib. can provide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이 스마트폰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에 상기 결합부의 양 단이 슬라이딩 삽입됨에 따라 상기 이동프레임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xed frame is attached to the smartphone, as both ends of the coupling part are slidab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the movable frame is connected to the fixing frame. can do.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뒷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과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됨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에 탈부착가능한 이동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xed frame fixed to the back of the smartphone; and a movable fram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xed frame as it rotates in a state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또한, 상기 이동프레임은,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는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와 연결되며, 상기 고정프레임과 체결 가능한 마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부는, 상기 그립부와 연결되는 연결판; 상기 연결판의 후면에서 상기 연결판의 테두리를 따라 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 한 쌍이 상기 플랜지부의 내측 둘레의 양 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되, 상기 연결판과는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는 조립패널; 및 상기 조립패널에 형성되는 락킹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ing frame, the user can grip the grip portion; and a mount part connected to the grip part and engageable with the fixed frame, wherein the mount part includes: a connecting plate connected to the grip part; a flange portion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to the rear along the edge of the connecting plate; an assembly panel in which a pair is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from both sides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flange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ng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locking groove formed in the assembly panel; may provide a detachable grip device for a smartphone comprising a.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은, 스마트폰의 뒷면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뒷면에 부착되는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의 전면에 고정되는 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하 길이가 상기 접착부보다 길게 형성되되 상기 마운트부의 상기 플랜지부 내측에 위치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좌우길이는 한 쌍의 상기 조립패널이 이격된 사이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 이하로 형성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ed frame, the adhesive portion attached to the back of the smartphone or the back of the smartphone case; And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nding portion, the vertical length is formed longer than the bonding portion is formed to a length that can be located inside the flange portion of the mount portion, the left and right length is a pair of the assembly pane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tachable grip device for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guide plate formed of less than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paced apart.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가이드판 후면 상부의 일 측 방향 테두리 및 상기 가이드판 후면 하부의 타 측 방향 테두리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방지부; 상기 가이드판 후면의 상부와 하부 중심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락킹홈에 삽입 가능한 락킹돌부; 및 상기 가이드판 후면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서, 상기 회전방지부와 상기 락킹돌부 사이에서, 상기 락킹돌부보다 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조립패널의 회전을 중단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ed frame may include: a rotation preventing part protruding from the rear upper part of the guide plate in one lateral direction and the other lateral rim of the lower rear of the guide plate;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centers of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plate to the rear and insertable into the locking groove; And i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plate, between the anti-rotation part and the locking protrusion, a stopper that is formed to protrude rearward than the locking protrusion to stop the rotation of the assembly pane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ripping device for a possible smartphone.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이 스마트폰과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프레임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장착될 때, 상기 가이드판의 양 측으로 서로 이격 형성된 한 쌍의 상기 조립패널이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판의 전면과 상기 연결판의 후면이 인접해지고, 한 쌍의 상기 조립패널 각각이 상기 가이드판의 상부와 하부 각각과 전후방향으로 마주보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이 회전하되, 상기 고정프레임이 회전할 때, 상기 조립패널이 상기 회전방지부와 충돌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판의 일 측 방향에 위치된 상기 조립패널은 하측 방향을 향해 회전되고, 상기 가이드판의 타 측 방향에 위치된 상기 조립패널은 상측 방향을 향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ving frame is mounted on the fixed frame in a state in which the fixed frame is fixed to the smartphone, a pair of the assembly panel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guide plate pass through,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guide plat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fixed frame rotates so that each of the pair of assembly panels faces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uide pl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ut when the fixed frame rotates, the assembly panel In order not to collide with the anti-rotation part, the assembly panel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guide plate is rotated downward, and the assembly panel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late rotates upwar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rip device for a detachable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상기 락킹돌부가 상기 가이드판에서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가이드판의 양 측으로 서로 이격 형성된 한 쌍의 상기 조립패널이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판의 전면과 상기 연결판의 후면이 인접해진 상태에서, 상기조립패널과 상기 가이드판 사이의 이격 거리 이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at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guide plate is passed through a pair of the assembly pane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guide plate, so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guide plat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on plate are adjacent to each other. ,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tachable grip device for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protruding within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ssembly panel and the guide plate.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이 회전하여, 한 쌍의 상기 조립패널이 상기 가이드판의 상부와 하부 각각과 마주보게 회전될 때, 상기 조립패널의 일 단부가 상기 스토퍼와 충돌되며 회전이 중단되되, 상기 조립패널의 일 단부가 상기 스토퍼와 충돌되는 위치까지 상기 고정프레임이 회전된 경우, 상기 조립패널의 락킹홈이 상기 락킹돌부와 전후방향을 따라 동일 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락킹돌부가 상기 락킹홈을 관통하며, 상기 고정프레임이 상기 이동프레임과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xed frame is rotated and the pair of the assembly panels are rotated to face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uide plate, one end of the assembly panel collides with the stopper and the rotation is stopped, the assembly When the fixed frame is rotated to a position where one end of the panel collides with the stopper, the locking groove of the assembly panel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locking protrus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when the fixed frame is moved forwar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tachable grip device for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rotrusion passes through the locking groove, and the fixed frame is fastened to the moving fr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되, 필요에 따라 이동프레임을 고정프레임에서 분리하여, 스마트폰의 뒷면이 평평해지도록 하여, 스마트폰의 무선 충전이 가능하고, 스마트폰을 책상이나 테이블 위에 안정적으로 올려두고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phone can be stably gripped, but if necessary, the moving frame is separated from the fixed frame, so that the back of the smartphone is flat, so that wireless charging of the smartphone is possible, You can place your smartphone on a desk or table and use it stab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의 전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의 후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프레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과 이동프레임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2에 따른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가 스마트폰 뒷면에 장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케이스가 이동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에 수납부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에 따른 수납부가 형성된 고정프레임이 이동프레임과 체결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투입구가 형성된 수납케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가이드돌부가 형성된 고정프레임과 이동가이드홈이 형성된 이동프레임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가이드돌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제어부가 설치된 파지부가 이동프레임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의 후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을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프레임이 고정 프레임과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도 19에 따른 이동 프레임이 고정 프레임과 연결되는 상태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
도 21은 도 19에 따른 이동 프레임이 고정 프레임과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된 상태를 도면
도 22는 도 21에 따른 이동 프레임이 고정 프레임 내에서 회전된 상태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
도 23은 도 21에 따른 이동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락킹돌부가 락킹홈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4는 도 23에 따른 이동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이 서로 체결 고정된 상태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가 스마트폰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grip device for a detachable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grip device for a detachable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fixed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moving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a fixed frame and a moving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A according to FIG.
7 is a view showing a detachable grip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back of the smartphone
8 is a view showing that the storag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moving frame;
9 is a view showing that the receiving unit is formed in the fixed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xed frame in which the receiving part according to FIG. 9 is formed is fastened to the moving frame; FIG.
11 is a view showing a storage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inlets are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fixed frame in which a moving guide protrusion is formed and a moving frame in which a moving guide groove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moving guide protru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that the gripping unit installed with the operation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moving frame;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eration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ip device for a detachable smart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grip device for a detachable smart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howing a fixed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frame is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view showing the rear side of the state in which the moving frame according to FIG. 19 is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2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frame according to FIG. 19 is rotated in a state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22 is a view showing the rea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according to FIG. 21 is rotated within the fixed frame;
2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frame according to FIG. 21 is moved forward and the lock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24 is a view showing the rea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and the fixed frame according to FIG. 23 are fastened to each other
25 is a view showing that a detachable grip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smartphon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one mean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1)의 전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1)의 후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1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프레임(2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10)과 이동프레임(20)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2에 따른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1)가 스마트폰 뒷면에 장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grip device for a smartpho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rear view of a detachable grip device 1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FIG. 3 is a view showing a fixed fram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moving fram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fixed frame 10 and the moving fram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A according to FIG. 2, and FIG. 7 is a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at the detachable grip device (1)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back of the smartphone.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1)는 고정프레임(10) 및 이동프레임(2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7 , the detachable grip device 1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xed frame 10 and a moving frame 20 .

고정프레임(10)은 스마트폰의 뒷면에 고정되어 이동프레임(20)이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다.The fixed frame 10 is fixed to the back of the smartphone so that the moving frame 20 can be fastened and separated.

고정프레임(10)은 스마트폰의 뒷면 또는 스마트폰을 감싸는 케이스의 뒷면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10)은 스마트폰보다 크기가 작고, 스마트폰의 뒷면에 밀착될 수 있는 평평한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프레임(10)은 사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frame 10 may be fixed to the back of the smartphone or the back of the case surrounding the smartphone. The fixed frame 10 is smaller in size than a smartphone, and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smartphone. For example, the fixed frame 1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도 3a는 고정프레임(10)의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고정프레임(10)의 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Here, referring to FIG. 3 , FIG. 3A is a view showing the front part of the fixed frame 10 , and FIG. 3B is a view showing the rear part of the fixed frame 10 .

고정프레임(10)은 부착부(11), 결합부(12) 및 단차부(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ed frame 10 may include an attachment part 11 , a coupling part 12 , and a step part 13 .

부착부(11)는 스마트폰의 뒷면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뒷면에 부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부착부(11)는 스마트폰보다 크기가 작고, 스마트폰의 뒷면에 밀착될 수 있는 평평한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부착부(11)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ttachment part 11 may be a part attached to the back of the smart phone or the back of the smart phone case. The attachment part 11 is smaller than a smartphone and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smartphone. For example, the attachment part 1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결합부(12)는 부착부(11)의 전면에 형성되어, 이동프레임(20)과 체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결합부(12)는 부착부(11)의 전면부에 형성되되, 양 측이 부착부(11)의 양 단부와 단차 지도록 좌우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부착부(11)보다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부(12)는 직사각 형태의 평평한 판 형태로 형성되되, 부착부(11)보다 양 측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12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attachment part 11 , and may be a part fastened to the moving frame 20 . The coupling portion 12 is form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attachment portion 11, and the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attachment portion 11 so that both sides are stepped with both ends of the attachment portion 11. can That is, the coupling part 12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flat plate shape, and both sides may be longer than the attachment part 11 .

단차부(13)는 좌우 양측에서 부착부(11)와 결합부(12)의 길이 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진 부분일 수 있다. 즉, 부착부(11)보다 좌우 양 측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결합부(12)와, 부착부(11)의 길이 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진 부분일 수 있다.The stepped portion 13 may be a stepped portion formed by a difference in length between the attachment portion 11 and the coupling portion 12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That is, it may be a stepped portion formed by a difference in length between the coupling portion 12 having both left and right side lengths longer than that of the attachment portion 11 and the attachment portion 11 .

이동프레임(20)은 고정프레임(10)과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동프레임(20)은 고정프레임(10)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고정프레임(10)에 체결된 상태에서 분리될 수 있다.The moving frame 20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xed frame 10 in a sliding manner. The moving frame 20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 sliding manner in the fixed frame 10 , and can be separated while being fastened to the fixed frame 10 .

여기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동프레임(20)은 홀더(21), 테두리리브(22), 결합리브(23), 돌출리브(24), 결합홈(25) 및 스토퍼(2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는 이동프레임(20)의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이동프레임(20)의 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4 to 6 , the moving frame 20 includes a holder 21 , an edge rib 22 , a coupling rib 23 , a protruding rib 24 , a coupling groove 25 and a stopper 26 . may include. FIG. 4A is a view showing the front part of the moving frame 20 , and FIG. 4B is a view showing the rear part of the moving frame 20 .

홀더(21)는 고정프레임(10)의 전방에 위치되어, 고정프레임(10)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홀더(21)가 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홀더(21)의 전면에는 도 7과 같이 'U'자형 회전 가능한 파지부(27)가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홀더(21)에는 다양한 파지부(27)가 체결, 부착되거나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holder 21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xed frame 10 , and may be slid along the fixed frame 10 , and may be a portion formed so that a user can grip i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21 is described as an example formed in the form of a circular pl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U'-shaped rotatable gripper 27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lder 21 formed in the form of a circular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 As such, the holder 21 may be formed such that various gripping parts 27 are fastened, attached, or integrally manufactured so that a user can grip the holder 21 .

테두리리브(22)는 홀더(21)의 후면에서 홀더(21)의 둘레의 일정 영역에서 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부분일 수 있다. 여기서, 테두리리브(22)가 돌출되는 소정 길이는 고정프레임(10)의 전후방향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일 수 있다.The edge rib 22 may be a portion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backward in a predetermined area around the holder 21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holder 21 . Here, the predetermined length from which the edge rib 22 protrudes may b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fixed frame 10 .

결합리브(23)는 홀더(21)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되, 2개의 결합리브(23)가 홀더(21)의 후면에서, 결합부(12)의 좌우 길이에 대응되도록, 양 측으로 서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결합리브(23)는 결합부(12)의 두께보다 길게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coupling rib 23 protrudes back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holder 21 , and the two coupling ribs 2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so as to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coupling part 12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lder 21 . can be formed. The coupling rib 23 may protrude rearward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upling part 12 .

돌출리브(24)는 양 측의 결합리브(23) 각각의 단부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리브(24)는 부착부(11)의 좌우 길이에 대응되도록 양 측이 서로를 향해 소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 일 측의 돌출리브(24)는 타측의 돌출리브(24)를 향해 돌출되고, 타 측의 돌출리브(24)는 일 측의 돌출리브(24)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양 측의 돌출리브(24) 사이의 길이는 부착부(11)의 좌우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The protruding ribs 24 may protrude from each end of the coupling ribs 23 on both sides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pecifically, both sides of the protruding rib 24 may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each oth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attachment part 11 . The protruding rib 24 of one side may protrude toward the protruding rib 24 of the other side, and the protruding rib 24 of the other side may protrude toward the protruding rib 24 of the one side. In this case, the length between the protruding ribs 24 on both sides may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attachment part 11 .

결합홈(25)은 결합리브(23)와 돌출리브(24)의 단차에 의해, 돌출리브(24)와 홀더(21) 사이에 형성되는 홈으로써, 결합부(12)의 양 단부가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groove 25 is a groove formed between the protruding rib 24 and the holder 21 by the step difference between the coupling rib 23 and the protruding rib 24, and both ends of the coupling part 12 are slidingly inserted. It can be formed to be

스토퍼(26)는 홀더(21)의 후면 상부에서 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 결합홈(25)에 결합부(12)가 위치된 상태에서 이동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때, 스토퍼(26)에 의해 결합홈(25)에 결합부(12)가 삽입될 수 있는 최대 지점이 결정될 수 있다. 즉, 스토퍼(26)에 부착부(11)의 상단이 충돌되면서, 이동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이 중단될 수 있다.The stopper 26 may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backward from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holder 21 . When the moving frame 20 slides along the fixed frame 10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part 12 is positioned in the coupling groove 25 , the coupling part 12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5 by the stopper 26 . A maximum point at which ? can be inserted may be determined. That is, as the upper end of the attachment part 11 collides with the stopper 26 , the sliding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20 along the fixed frame 10 may be stopped.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0)이 스마트폰에 부착된 상태에서, 결합홈(25)에 결합부(12)의 양 단이 슬라이딩 삽입됨에 따라, 이동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에 연결될 수 있다.5 and 6, as the fixed frame 10 is attached to the smartphone, both ends of the coupling part 12 are sliding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5, the moving frame 20 It can be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10).

또한, 홀더(21)에는 파지부(27)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파지부(27)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태의 회동 가능한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파지부(27)는 후술할 도 14와 같이 그립할 수 있는 부분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홀더(21)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그립 또는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27)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부착 또는 체결될 수 있다. 다만, 홀더(21)에 파지부(27)가 체결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할 도 8과 같이 홀더(21)에 수납케이스(30) 등이 체결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olding part 27 may be integrally formed or attached to the holder 21 . As shown in FIG. 7 , the gripping part 27 may be formed in a "U"-shaped rotatable ring shape so that a user can put a finger therein. Alternatively, the gripping portion 27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grippable portion protrudes as shown in FIG. 14 to be described later. As such, a gripping portion 27 that a user can grip or grip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lder 21 , or may be attached or fastened thereto. However, the grip portion 27 is not limited to being fastened to the holder 21 , and the storage case 30 or the like may be fastened to the holder 21 as shown in FIG. 8 to be described later.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1)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스마트폰의 뒷면에 고정프레임(10)이 부착될 수 있다. 이후,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의 뒷면에 고정된 고정프레임(10)에 이동프레임(20)이 슬라이딩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프레임(20)의 결합홈(25)에 고정프레임(10)의 결합부(12)가 슬라이딩 삽입되며, 이동프레임(20)과 고정프레임(10)이 체결될 수 있다. 이때, 결합홈(25)이 결합부(1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이동프레임(20)이 도 7b와 같이 하측 방향에 위치된 상태일 수도 있고, 이동프레임(20)이 도 7c와 같이 고정프레임(10)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일 수도 있다. 일 예로, 동영상을 보거나 핸드폰을 그립해야 하는 경우, 도 7b와 같이 이동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의 하부까지 이동된 상태에서, 파지부(27)를 그립하여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폰을 무선 충전기에 올려 둘 경우에는, 이동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의 상부까지 이동되도록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가 되어, 무선 충전기와의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이동프레임(20)에 의해, 스마트폰에서 무선 충전과 통신되는 부분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고정프레임(10)은 무선 충전과의 통신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 또는 통신을 차단하지 않는 부재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when describing a method of using the detachable grip device 1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a, first, a fixed frame 10 on the back of the smartphone. This can be attached. Thereafter, as shown in FIG. 7B , the moving frame 20 may be slidably fastened to the fixed frame 10 fixed to the back of the smartphone. Specifically, the coupling portion 12 of the fixed frame 10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5 of the moving frame 20 , and the moving frame 20 and the fixed frame 10 may be fastened. At this time, as the coupling groove 25 slides along the coupling portion 12, the moving frame 20 may be in a state positioned in the lower direction as shown in FIG. 7b, and the moving frame 20 is moved as shown in FIG. 7c. It may be in a state positioned above the fixed frame 10 . For example, if you need to watch a video or grip a mobile phone, you can use the smartphone by gripping the gripping part 27 in a state where the moving frame 20 is mov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xed frame 10 as shown in FIG. 7B . . Alternatively, when the smartphone is placed on the wireless charger, the moving frame 20 is in a sliding state to move to the upper part of the fixed frame 10 , thereby making it easier to connect to the wireless charger. That is, by the moving frame 20, it is possible to prevent blocking th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charging in the smartphone. In this case, the fixed frame 10 may be formed of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communication with wireless charging or a member or thickness that does not block communica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케이스(30)가 이동프레임(20)에 연결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10)에 수납부(111)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따른 수납부(111)가 형성된 고정프레임(10)이 이동프레임(20)과 체결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that the storage cas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moving frame 20, and FIG. 9 is a receiving part ( 111) is formed,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xed frame 10 in which the receiving part 111 according to FIG.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1)는 수납케이스(30)를 더 포함하고, 고정프레임(10)에는 수납부(1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8 to 10 , the detachable grip device 1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orage case 30 , and the fixing frame 10 has a storage unit 111 further. can be formed.

구체적으로, 수납케이스(30)는 홀더(21)의 전면에 체결될 수 있다. 수납케이스(30)는 카드 지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수납케이스(30)는 투입구(31) 및 체결부(32)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orage case 30 may be fasten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lder 21 . The storage case 30 may be used as a card wallet. The storage case 30 may include an inlet 31 and a fastening part 32 .

투입구(31)는 카드나 지폐가 삽입될 수 있는 부분이다. 사용자는 투입구(31)에 카드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inlet 31 is a portion into which a card or banknote can be inserted. The user can use it by inserting the card into the inlet 31 .

체결부(32)는 수납케이스(30)의 후면에 형성되는 부분으로써 홀더(21)와 체결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홀더(21)의 중심부에 소정의 홈이 형성되며, 홈 내부에 자석부(28)가 설치될 수 있다. 체결부(32)는 자석부(28)와 자기력에 의해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자석부(28)와 체결부(32)의 체결에 의해, 수납케이스(30)가 홀더(21)에 체결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32 is a part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torage case 30 and may be formed to be fastened with the holder 21 . For example, a predetermined groov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holder 21 , and the magnet unit 28 may be installed in the groove. The fastening part 32 is formed to be coupled with the magnet part 28 by magnetic force, so that by the fastening of the magnet part 28 and the fastening part 32, the storage case 30 is fastened to the holder 21 . can

고정프레임(10)에는 수납부(1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프레임(10)의 부착부(11)에는 카드가 삽입될 수 있는 수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프레임(10)은 수납부(111)에 삽입된 카드가 카드리더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부(111)에 교통카드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프레임(10)이 교통카드리더기에 접촉되었을 때, 교통카드 인식이 가능하도록 고정프레임(10)은 가죽, 실리콘, 플라스틱과 같이, 카드 통신이 가능한 재료 및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A receiving part 111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fixed frame 10 . Specifically, the attachment part 11 of the fixed frame 10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part 111 into which a card can be inserted. In this case, the fixed frame 10 may be formed so that the card inserted into the receiving unit 111 can communicate with the card reader. For example, when the fixed frame 10 is in contact with the traffic card reader while the traffic card is inserted in the receiving part 111, the fixed frame 10 is made of leather, silicone, or plastic so that the traffic card can be recognized. , may be formed of a material and thickness capable of card communication.

이처럼, 고정프레임(10)에 형성된 수납부(111)에 교통카드가 수납되고, 홀더(21)에는 수납케이스(30)가 장착되되, 수납케이스(30)의 투입구(31)에는 식당이나 일상생활에서 카드결제 시에 사용하는 카드가 수납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transportation card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unit 111 formed in the fixed frame 10 , and the storage case 30 is mounted on the holder 21 , and the inlet 31 of the storage case 30 has a restaurant or daily life. A card used for payment by card may be stored.

이러한 경우, 도 7c와 같이 이동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의 상부에 위치되어 고정프레임(10)이 노출되는 경우, 고정프레임(10)의 수납부(111)에 수납된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하다. 또는, 도 7b와 같이 이동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의 하부에 위치되어 고정프레임(10)이 차폐되는 경우, 고정프레임(10)의 수납부(111)에 수납된 교통카드의 사용은 차단될 수 있다. 이때, 홀더(21)에 장착된 수납케이스(30)에 수납된 카드는 사용 가능하다. 이때, 홀더(21)에 의해 고정프레임(10) 내부에 수납된 교통카드는 카드리더기와 통신이 차단된다.In this case, when the moving frame 20 is positioned on the fixed frame 10 and the fixed frame 10 is exposed, as shown in FIG. 7c , the transportation card stored in the receiving part 111 of the fixed frame 10 is used. This is possible. Alternatively, when the moving frame 20 is positioned under the fixed frame 10 and the fixed frame 10 is shielded, as shown in FIG. 7B , use of the transportation card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111 of the fixed frame 10 . can be blocked. At this time, the card stored in the storage case 30 mounted on the holder 21 can be used. At this time, the traffic card accommodated in the fixed frame 10 by the holder 21 is blocked from communication with the card reader.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지갑에 2장 이상의 카드를 수납하고 다닌다. 대중교통 이용 시, 지갑을 카드리더기에 접촉시키면, 카드리더기에 복수의 카드가 읽혀서 오류가 난다. 따라서, 버스 승하차 시 또는 지하철 승하차 시에 지갑에서 교통카드를 빼내어 카드 리더기에 찍고 승하차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general, many people carry two or more cards in their wallet. When using public transportation, if you touch your wallet to the card reader, multiple cards are read into the card reader and an error occurs. Therefore, when getting on and off the bus or getting on and off the subway, it is troublesome to take out the transportation card from the wallet, write it on the card reader, and get on and off.

그러나, 수납케이스(30) 및 수납부(111)를 포함하는 본원발명의 경우, 이동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을 따라 상하 이동함에 따라서, 교통카드가 수납된 고정프레임(10)이 노출되거나, 홀더(21)에 의해 차단되어, 복수의 카드가 동시에 카드리더기와 통신되는 문제점을 없애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storage case 30 and the storage unit 111, as the moving frame 20 moves up and down along the fixed frame 10, the fixed frame 10 in which the transportation card is accommodated is It is exposed or blocked by the holder 21, eliminating the problem that a plurality of cards communicate with the card reader at the same time, and can be used conveniently.

즉, 교통카드 필요 시에는 이동프레임(20)을 상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교통카드가 수납된 고정프레임(10)이 외부와 노출되어 교통카드가 카드리더기와 통신할 수 있고, 교통카드 사용이 필요 없을 경우에는 이동프레임(20)을 하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홀더(21)가 고정프레임(10) 내부에 삽입된 교통카드의 외부와의 통신을 차단할 수 있다.That is, when a transportation card is required, as the moving frame 20 is moved upward, the fixed frame 10 in which the transportation card is accommodated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transportation card can communicate with the card reader, and use of the transportation card is required. In the absence of this, as the moving frame 20 is moved downward, the holder 21 can block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of the transportation card inserted into the fixed frame 10 .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투입구(31)가 형성된 수납케이스(30)를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 storage case 30 in which a plurality of inlets 31 are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수납케이스(30)는 차단부(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storage case 30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part 33 .

차단부(33)는 투입구(31)를 2개의 공간으로 분할하여, 후방의 제1 투입부(311) 및 전방의 제2 투입부(312)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The blocking part 33 divides the inlet 31 into two spaces, so that the rear first input part 311 and the front second input part 312 are formed.

이때, 차단부(33)는 전자적인 통신을 차단하도록 형성되어, 후방의 제1 투입부(311)에 교통카드가 수납되어도, 카드 리더기와 통신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투입부(311)와 제2 투입부(312) 모두에 교통카드 기능을 포함하는 카드를 수납한 상태에서, 교통카드 리더기에 접촉시키는 경우, 차단부(33)에 의해 제1 투입부(311)는 통신이 차단되어, 제2 투입부(312)에 삽입된 교통카드가 카드리더기에 읽힐 수 있다.In this case, the blocking unit 33 is formed to block electronic communication, so that even if the transportation card is stored in the first input unit 311 at the rear, communication with the card reader may be blocked. Therefore, when the card including the traffic card function is accommodated in both the first input unit 311 and the second input unit 312 , when the car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raffic card reader, the first input is performed by the blocking unit 33 . The communication unit 311 is blocked, so that the traffic card inserted into the second input unit 312 can be read by the card reader.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가이드돌부(14)가 형성된 고정프레임(10)과 이동가이드홈이 형성된 이동프레임(2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가이드돌부(14)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the moving frame 10 and the moving guide groove formed in the fixed frame 10 and the moving guide groove formed there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moving guide protrusion 14 along.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고정프레임(10)은 이동가이드돌부(14), 탄성부 및 설치홈을 더 포함하고, 이동프레임(20)은 이동제한홈(2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12 and 13 , the fixed frame 10 may further include a movement guide protrusion 14 , an elastic portion and an installation groove, and the movement frame 20 may further include a movement limiting groove 211 . .

이동가이드돌부(14)와 이동제한홈(211)은 이동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을 따라 상하 이동함에 따라, 이동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에서 이탈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서로 체결된 상태가 유지되며 이동프레임(20)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The moving guide protrusion 14 and the movement limiting groove 211 prevent the moving frame 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ed frame 10 as the moving frame 20 moves up and down along the fixed frame 10 . And, the state of being fastened to each other is maintained, and the moving frame 20 can be guided so that it can move up and down.

이동가이드돌부(14)는 고정프레임(10)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탄성부는 이동가이드돌부(14)의 후방에서 고정프레임(10)에 형성된 설치홈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설치홈은 이동가이드돌부(14)가 삽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고정프레임(10)의 상부에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The moving guide protrusion 14 may protrude for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frame 10 . The elastic part may be installed inside the installation groove formed in the fixed frame 10 at the rear of the moving guide protrusion 14 . The installation groove may be a groov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frame 10 so that the movable guide protrusion 14 can be inserted and withdrawn.

즉, 고정프레임(10)의 전방 상부에 형성된 설치홈에 탄성부의 일 단부가 설치되고, 탄성부의 타 단부에 이동가이드돌부(14)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3a와 같이, 탄성부가 압축됨에 따라 이동가이드돌부(14)가 설치홈 내에 위치되고, 도 13b와 같이 탄성부가 인장됨에 따라 이동가이드돌부(14)가 설치홈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That is, one end of the elastic part may b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formed i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fixed frame 10 , and the moving guide protrusion 14 may be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part. 13A, as the elastic part is compressed, the moving guide protrusion 14 is position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and as the elastic part is tensioned as shown in FIG. 13B, the moving guide protrusion 14 may be drawn out of the installation groove.

이동제한홈(211)은 이동프레임(20)의 후면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홈으로, 이동가이드돌부(14)가 위치되는 홈일 수 있다. 다만, 이동제한홈(211)은 고정프레임(10)과 이동프레임(20)이 상하 이동 시에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써, 이동제한홈(211)은 이동프레임(20)의 상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The movement limiting groove 211 is a groove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vement frame 20 , and may be a groove in which the movement guide protrusion 14 is located. However, the movement limiting groove 211 is formed to prevent the fixed frame 10 and the moving frame 20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during vertical movement, and the movement limiting groove 211 is the movement limiting groove of the moving frame 20 . It may be formed shorter than the vertical length.

고정프레임(10)과 이동프레임(20)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고정프레임(10)의 상부에서부터 이동프레임(20)의 하부가 체결될 수 있다. 즉, 고정프레임(10) 상부의 결합부(12)가 이동프레임(20) 하부의 결합홈(25)에 삽입되면서 고정프레임(10)과 이동프레임(20)이 체결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fixed frame 10 and the moving frame 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frame 20 may be fasten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frame 10 . That is, the fixed frame 10 and the moving frame 20 may be fastened while the coupling part 12 of the upper part of the fixed frame 1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5 of the lower part of the moving frame 20 .

이때, 이동가이드돌부(14)가 이동제한홈(211)에 위치되기 전까지는, 고정프레임(10)의 상부에 형성된 이동가이드돌부(14)가 이동프레임(20)의 전면에 의해 가압되어 도 13a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으로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이동프레임(20)이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이동가이드돌부(14)가 이동제한홈(211)이 형성된 높이에 도달하면, 도 13b와 같이 탄성부가 다시 인장되며 이동가이드돌부(14)가 돌출되어 이동제한홈(211)에 위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until the moving guide protrusion 14 is positioned in the movement limiting groove 211, the moving guide protrusion 14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frame 10 is pressed by the front surface of the moving frame 20 and is shown in Fig. 13a. While maintaining the same state, the moving frame 20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fixed frame 10 . When the moving frame 20 slides downward and the moving guide protrusion 14 reaches the height at which the movement limiting groove 211 is formed, the elastic part is tensioned again as shown in FIG. 13b and the moving guide protrusion 14 protrudes. It may be located in the movement limiting groove 211 .

이처럼, 이동가이드돌부(14)가 이동제한홈(211) 내에 삽입된 상태가 되면, 이동프레임(20)이 상하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때, 이동가이드돌부(14)가 이동제한홈(211) 내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동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과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As such, when the movement guide protrusion 14 is inserted into the movement limiting groove 211, when the moving frame 20 is slidably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movement guide protrusion 14 is moved to the movement limiting groove 211. Since it is located in the state, the moving frame 20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fixed frame 10 .

즉, 고정프레임(10)의 이동가이드돌부(14)가 이동프레임(20)의 이동제한홈(211) 내에 위치되어, 이동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을 기준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이동가이드돌부(14)가 이동제한홈(211) 내에서 높이가 이동될 수 있다.That is, the movement guide protrusion 14 of the fixed frame 10 is positioned in the movement limiting groove 211 of the moving frame 20 , and the moving frame 20 is moved as the moving frame 20 slides based on the fixed frame 10 . The height of the guide protrusion 14 may be moved within the movement limiting groove 211 .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제어부(40)가 설치된 파지부(27)가 이동프레임(20)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제어부(4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4 is a view showing that the gripping unit 27 installed with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moving frame 20, FIG. 15 is an operation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0)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1)는 작동제어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홀더(21)에는 도 14와 같은 파지부(27)가 설치될 수 있다. 14 and 15 , the detachable grip device 1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control unit 40 . At this time, the holder 21 may be provided with a holding part 27 as shown in FIG. 14 .

파지부(27)는 돌부(271) 및 그립부(272)를 포함할 수 있다. 돌부(271)는 홀더(21)의 전면에서 소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돌부(271)는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에 끼워지거나 그립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립부(272)는 돌부(271)의 단부에서 돌부(271)의 직경보다 크고, 홀더(2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는 부분이다.The grip portion 27 may include a protrusion 271 and a grip portion 272 . The protrusion 271 may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holder 21 . At this time, the protrusion 271 is a part that can be fitted or gripped between the user's fingers. The grip part 27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protrusion 271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rotrusion 271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der 21 , so that the user can grip it.

작동제어부(40)는 스마트폰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사용 상태에 따라 화면 꺼짐 및 화면 켜짐 상태 유지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제어부(40)는 파지부(27)에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operation control unit 40 may be connected to a smartphone, and may control screen off and screen on state maintenance according to the user's usage state. For example,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holding unit 27 .

작동제어부(40)는 접촉센서(41), 온도감지센서(42), 통신부(43), 패턴확인부(44) 및 화면조절부(45)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control unit 40 may include a contact sensor 41 , a temperature sensor 42 , a communication unit 43 , a pattern check unit 44 , and a screen control unit 45 .

접촉센서(41)는 파지부(27)의 돌부(271)에 설치될 수 있다. 접촉센서(41)는 외부의 물체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촉센서(41)는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접촉센서(41)는 정전 용량 센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손이 가까워짐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장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The contact sensor 41 may be installed on the protrusion 271 of the grip portion 27 . The contact sensor 41 may detect contact with an external object. More specifically, the touch sensor 41 may detect that the user's hand is in contact. For example, the contact sensor 41 may be configured as a capacitive sensor, and may sense contact with the user's body according to a change in an electric field generated as the user's hand approaches.

온도감지센서(42)는 파지부(27)의 그립부(272)에 설치될 수 있다. 온도감지센서(42)는 주변 물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온도감지센서(42)는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는 경우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42 may be installed on the grip part 272 of the grip part 27 . The temperature sensor 42 may detect the temperature of a surrounding object. More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sensor 42 may sense the temperature when the user's hand is in contact.

통신부(43)는 스마트폰과 통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43 may communicate with a smartphone.

패턴확인부(44)는 파지부(27)의 그립부(272)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패턴확인부(44)는 터치 센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터치 패턴을 감지 및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가 연속 2번되는지, 3번되는지 등 터치 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The pattern confirmation unit 44 may be installed on the grip unit 272 of the holding unit 27 . For example, the pattern check unit 44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ensor to detect and confirm a user's touch pattern. As an example, the touch pattern may be sensed, such as whether the touch is repeated twice or three times.

화면조절부(45)는 패턴확인부(44)에서 확인된 터치 패턴에 따라, 스마트폰의 화면 꺼짐 및 화면 켜짐 상태 유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패턴확인부(44)에서 감지되는 터치 패턴에 따라 기 설정된 명령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가 2번 연속 터치되면 스마트폰의 화면을 켜진 상태를 계속 유지하거나, 터치가 3번 연속 터치되면 스마트폰의 화면을 다시 끌 수 있다.The screen control unit 45 may control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to turn off and maintain the screen on state according to the touch pattern confirmed by the pattern check unit 44 . For example, a preset command may be stored according to a touch pattern detected by the pattern check unit 44 . For example, if the touch is continuously touched twice,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may be continuously turned on, or if the touch is touched three times consecutively,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may be turned off again.

구체적으로, 작동제어부(40)의 작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접촉센서(41)와 온도감지센서(42)에서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 패턴확인부(44)가 작동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 is described, when the touch sensor 41 and the temperature sensor 42 detect at the same time, the pattern check unit 44 may be operated.

일 예로, 주머니에서 다른 물체에 의해 접촉센서(41)에서 물체와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접촉센서(41)에서 물체와의 접촉이 감지된 상태에서, 온도감지센서(42)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범위인 경우에 화면조절부(45)가 사용자가 사용중인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온도 범위는 사람의 체온 36도를 포함하는 35~38도일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contact sensor 41 can detect a contact with an object by another object in the pocket, in order to prevent a malfunction, the contact sensor 41 detects a contact with the object, temperature is sensed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sensor 42 is within a preset temperature range, the screen control unit 45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s in a state in use and control the operation. The preset temperature range may be 35 to 38 degrees including a human body temperature of 36 degrees.

즉, 접촉센서(41)에서 접촉이 감지되는 동시에, 온도감지센서(42)에서 35도~38도의 온도가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가 파지부(27)를 그립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화면조절부(45)가 패턴확인부(44)를 제어할 수 있다.That is, when a touch is sensed by the touch sensor 41 and a temperature of 35 degrees to 38 degrees is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2 at the same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gripping the gripping unit 27 and the screen control unit ( 45) may control the pattern confirmation unit 44 .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에는 배터리 소모량을 줄이기 위해, 화면터치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없는 경우 자동으로 화면 꺼짐을 설정하는 기능이 있다. 예를 들어, 1분 이상 화면 터치가 없는 경우 화면이 꺼지게 된다. 많은 사용자들은 배터리 소모량을 줄이기 위해서 이러한 설정을 켜둔 상태로 스마트폰을 사용한다.In general, in order to reduce battery consumption, smartphones have a function of automatically turning off the screen when the screen is not touched for more than a preset time. For example, if there is no touch on the screen for more than 1 minute, the screen turns off. Many users use their smartphones with these settings turned on to reduce battery consumption.

그러나, 종종 화면터치가 없는 상태에서 장시간 스마트폰 화면을 켜놔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때마다 설정을 바꾸기 번거롭다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서 레시피 검색을 해서 레시피를 보며 요리하는 경우, 레시피를 켜둔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테이블 위에 올려두고 요리를 한다. 이때, 요리 중간중간 레시피 확인을 위해 스마트폰을 보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화면 꺼짐 설정에 의해, 요리 도중에 다시 스마트폰을 만져서 화면을 켜야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it is often necessary to turn on the smartphone screen for a long time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screen touch. For example, if you search for a recipe on your smartphone and cook while viewing the recipe, put the smartphone on the table while the recipe is on and cook. At this time, I look at the smartphone to check the recipe in the middle of cooking. Due to the screen-off setting as described above, it is inconvenient to have to turn on the screen by touching the smartphone again during cooking.

본 발명에 따른, 작동제어부(40)는 사용자가 핸드폰 설정과 별도로 화면 꺼짐 또는 화면 켜짐 상태 유지를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 can control the user to turn off the screen or maintain the screen on state separately from the setting of the mobile phone.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접촉센서(41) 및 온도감지센서(42)에서 동시에 접촉 및 온도가 감지되면, 사용자가 파지부(27)를 그립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계속해서 파지부(27)를 그립하고 있는 경우에는, 화면조절부(45)는 통신부(43)를 통해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스마트폰의 화면 꺼짐 시간 설정과 상관없이 계속 화면이 켜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irs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ouch and temperature are sensed at the same time by the contact sensor 41 and the temperature sensor 42 ,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user is gripping the gripper 27 . As such, if the user continues to grip the gripping unit 27, the screen control unit 45 communicates with the smartphon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3, and the screen continues regardless of the screen off time setting of the smartphone. You can control it to stay on.

그러나, 온도감지센서(42)에서 체온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파지부(27)를 그립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스마트폰의 화면 꺼짐 시간 설정에 따라 스마트폰 화면이 꺼질 수 있다.However, when the body temperature is not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2 ,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not gripping the grip unit 27 , and the smartphone screen may be turned off according to the screen off time setting of the smartphone.

또한, 패턴확인부(44)를 통해 화면의 꺼짐 및 켜짐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상황에서, 스마트폰의 화면 꺼짐 시간 설정과 관계없이 화면 켜짐 상태를 유지하고 싶은 경우, 패턴확인부(44)가 설치된 그립부(272)를 2번 연속 터치할 수 있다. 패턴확인부(44)에서 그립부(272)가 2번 연속 터치된 것이 확인되면, 화면제어부는 온도감지센서(42)에서 체온이 감지되지 않더라도 화면이 켜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스마트폰을 내려놓아도 스마트폰의 화면 꺼짐 시간 설정과 관계없이 화면이 계속 켜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후, 화면을 끄고 싶은 경우, 파지부(27)를 잡고 그립부(272)를 3번 연속 터치하여 화면을 끌 수 있다.In addition, the off and on state of the screen can be adjusted through the pattern check unit 44 . In a specific situation, if the user wants to maintain the screen on state regardless of the screen off time setting of the smartphone, the user may touch the grip part 272 in which the pattern check part 44 is installed twice consecutively.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grip unit 272 is continuously touched by the pattern check unit 44 , the screen control unit may maintain the screen on state even if the temperature sensor 42 does not detect the body temperature. In this case, even if the smartphone is put down, the screen may remain on regardless of the screen off time setting of the smartphone. After that, if you want to turn off the screen, you can turn off the screen by holding the grip part 27 and continuously touching the grip part 272 three times.

예를 들어, 4번 연속 터치에는 10분동안 화면 켜짐 유지 후 자동으로 화면 꺼짐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For example, for 4 consecutive touches, the screen may be automatically set to be turned off after keeping the screen on for 10 minutes.

이처럼, 작동제어부(40)는 접촉센서(41)와 온도감지센서(42)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파지부(27)를 그립하는 것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사용자의 터치 신호에 따라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스마트폰 화면 꺼짐 또는 화면 켜짐 상태 유지를 제어할 수 있다.As such,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 accurately determines that the user grips the grip unit 27 using the contact sensor 41 and the temperature sensor 42, and communicates with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signal to communicate with the smart phone. You can control the phone screen to turn off or keep the screen on.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1)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1)의 후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1000)을 나타낸 도면이다.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grip device for a smartphon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grip device 1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ew showing a fixed frame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1)는 고정프레임(1000) 및 이동프레임(2000)을 포함할 수 있다.16 to 18 , the detachable grip device 1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xed frame 1000 and a moving frame 2000 .

고정프레임(1000)은 스마트폰의 뒷면에 고정되어 이동프레임(2000)과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1000)은 스마트폰의 뒷면 또는 스마트폰을 감싸는 케이스의 뒷면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1000)은 스마트폰보다 크기가 작고, 스마트폰의 뒷면에 밀착될 수 있는 평평한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프레임(1000)은 사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xed frame 1000 may be fixed to the back side of the smartphone and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moving frame 2000 . The fixing frame 1000 may be fixed to the back of the smartphone or the back of the case surrounding the smartphone. The fixed frame 1000 is smaller in size than a smartphone, and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smartphone. For example, the fixed frame 100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고정프레임(1000)은 접착부(1100), 가이드판(1200), 회전방지부(1300), 스토퍼(1400) 및 락킹돌부(15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ed frame 1000 may include an adhesive part 1100 , a guide plate 1200 , a rotation preventing part 1300 , a stopper 1400 , and a locking protrusion 1500 .

접착부(1100)는 스마트폰의 뒷면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뒷면에 부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접착부(1100)는 스마트폰보다 크기가 작고, 스마트폰의 뒷면에 밀착될 수 있는 평평한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접착부(1100)는 소정 두께의 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원 형상의 접착부(1100)의 후면이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부착될 수 있다.The adhesive part 1100 may be a part attached to the back of the smart phone or the back of the smart phone case. The adhesive part 1100 is smaller than a smartphone and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smartphone. For example, the adhesive part 110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back of the circular-shaped adhesive part 1100 may be attached to a smartphone or a smartphone case.

가이드판(1200)은 접착부(1100)의 전면에 고정되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판(1200)은 상하 길이가 상기 접착부(1100)보다 길게 형성되되, 고정프레임(1000)이 이동프레임(2000)과 연결될 때 마운트부(2100)의 플랜지부(2120) 내측에 위치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판(1200)의 좌우길이는 한 쌍의 조립패널(2130)이 이격된 사이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plate 12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adhesive part 1100 . The guide plate 1200 is formed to have a vertical length longer than that of the bonding unit 1100, and may be located inside the flange portion 2120 of the mount unit 2100 when the fixed frame 1000 is connected to the moving frame 2000. length may be formed.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guide plate 1200 may be form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a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assembly panels 2130 spaced apart.

구체적으로, 가이드판(1200)은 좌우 방향 길이는 접착부(1100)의 직경과 유사하게 형성되되, 고정프레임(1000)과 이동프레임(2000)이 체결된 상태일 때 한 쌍의 조립패널(2130)의 이격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판(1200)은 상하 방향 길이는 접착부(1100)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판(1200)은 상하 방향 길이가 접착부(1100)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는 직사각 형태에서, 상단 부분과 하단 부분이 곡선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guide plate 1200 has a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similar to the diameter of the adhesive part 1100, and when the fixed frame 1000 and the moving frame 2000 are fastened, a pair of assembly panels 2130. may be form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of . In addition, the guide plate 1200 may be formed to have a vertical length longer than a diameter of the adhesive part 1100 . For example, the guide plate 120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 which the vertical length is longer than the diameter of the adhesive part 1100 , and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re curved.

회전방지부(1300)는 가이드판(1200) 후면 상부의 일 측 방향 테두리 및 가이드판(1200) 후면 하부의 타 측 방향 테두리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방지부(1300)는 가이드판(1200)의 후면 상부에서 접착부(1100)보다 상측으로 길게 돌출된 부분의 좌측 테두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방지부(1300)는 가이드판(1200)의 후면 하부에서 접착부(1100)보다 하측으로 길게 돌출된 부분의 우측 테두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방지부(1300)는 가이드판(1200)의 후면 상부의 좌측 테두리와 하부의 우측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방지부(1300)는 가이드판(1200)의 후면 상부의 우측 테두리와 하부의 좌측 테두리 부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The anti-rotation unit 1300 may be formed to protrude rearward from the lateral edge of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guide plate 1200 and the other lateral edge of the lower rear surface of the guide plate 1200 . For example, the anti-rotation unit 1300 may be formed on the left edge of a portion protruding longer than the adhesive unit 1100 from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guide plate 1200 . In addition, the anti-rotation unit 1300 may be formed on the right edge portion of a portion protruding longer than the adhesive unit 1100 downward from the lower rear surface of the guide plate 1200 . That is, the anti-rotation unit 1300 may be formed on the upper left edge and the lower right edge of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plate 120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nti-rotation unit 1300 may be formed on the upper right edge of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plate 1200 and the lower left edge of the guide plate 1200 .

이때, 회전방지부(1300)가 가이드판(1200)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는, 가이드판(1200)의 후면에 고정된 접착부(1100)의 전후방향 두께 이내만큼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판(1200) 후면에서 돌출되는 회전방지부(1300)는 접착부(1100)의 두께만큼 돌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ngth at which the anti-rotation unit 1300 protrudes back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plate 1200 may protrude withi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portion 1100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plate 1200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an example, the anti-rotation part 1300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plate 1200 may protrude as much as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part 1100 ,

회전방지부(1300)는 후술할 조립패널(2130)이 일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The rotation preventing unit 1300 may allow the assembly panel 213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rotated in only one direction.

스토퍼(1400)는 가이드판(1200) 후면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서, 회전방지부(1300)와 락킹돌부(1500) 사이에서 형성되되, 락킹돌부(1500)보다 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조립패널(2130)의 회전을 중단시킬 수 있다.The stopper 1400 is formed between the anti-rotation part 1300 and the locking protrusion 1500 in each of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plate 1200, and is formed to protrude backward than the locking protrusion 1500 to assemble the panel 2130 ) to stop the rotation.

구체적으로, 고정프레임(1000)과 이동프레임(2000)이 연결된 후 이동프레임(2000)이 회전될 때, 스토퍼(1400)는 회전하는 이동프레임(2000)의 회전을 중단시키고, 락킹홈(2140)과 락킹돌부(1500)가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스토퍼(1400)는 가이드판(1200) 후면 상부와 하부 각각에서 상 하측의 회전방지부(1300) 각각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1400)는 조립패널(2130)의 측 단부의 경사에 따라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Specifically, when the moving frame 2000 is rotated after the fixed frame 1000 and the moving frame 2000 are connected, the stopper 1400 stops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oving frame 2000, and the locking groove 2140. and the locking protrusion 1500 may be guided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The stopper 140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each of the upper and lower anti-rotation parts 1300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plate 1200 . In addition, the stopper 1400 may be formed in an inclined shape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side end of the assembly panel 2130 .

락킹돌부(1500)는 가이드판(1200) 후면의 상부와 하부 중심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락킹홈(2140)에 삽입될 수 있다. 락킹돌부(1500)가 락킹홈(2140)에 삽입됨에 따라, 이동프레임(2000)과 고정프레임(1000)이 체결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락킹돌부(1500)가 돌출되는 길이는 접착부(1100)의 두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락킹돌부(1500)가 가이드판(1200)에서 돌출되는 길이는, 가이드판(1200)의 양 측으로 서로 이격 형성된 한 쌍의 조립패널(2130)이 통과하여, 가이드판(1200)의 전면과 연결판(2110)의 후면이 인접해진 상태에서, 조립패널(2130)과 가이드판(1200) 사이의 이격 거리 이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protrusion 150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and lower central portions of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plate 1200 to the rear,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2140 . As the locking protrusion 150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2140 , the state in which the moving frame 2000 and the fixed frame 1000 are fastened may be fixed. The length at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1500 protrudes may be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thickness length of the adhesive part 1100 . That is, the length of the locking protrusion 1500 protruding from the guide plate 1200 is passed through a pair of assembly panels 2130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guide plate 1200, the front surface of the guide plate 1200 and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2110 is adjacent to each other, the assembly panel 2130 and the guide plate 1200 may protrude within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m.

이동프레임(2000)은 고정프레임(1000)에 탈부착될 수 있다. 이동프레임(2000)은 고정프레임(1000)과 회전 및 전후방향 이동으로의 동작에 의해 고정프레임(1000)과 고정될 수 있다. The moving frame 200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xed frame 1000 . The moving frame 2000 may be fixed to the fixed frame 1000 by rotating and moving forward and backward with the fixed frame 1000 .

이동프레임(2000)은 마운트부(2100), 자바라부(2200) 및 그립부(23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frame 2000 may include a mount unit 2100 , a bellows unit 2200 , and a grip unit 2300 .

마운트부(2100)는 자바라부(2200)에 의해 그립부(2300)와 연결되며, 마운트부(2100)는 고동프레임과 체결 고정될 수 있는 부분이다. 마운트부(2100)는 연결판(2110), 플랜지부(2120), 조립패널(2130) 및 락킹홈(2140)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 part 2100 is connected to the grip part 2300 by the bellows part 2200 , and the mount part 2100 is a part that can be fastened and fastened to the beating frame. The mount unit 2100 may include a connecting plate 2110 , a flange unit 2120 , an assembly panel 2130 , and a locking groove 2140 .

연결판(2110)은 그립부(2300)와 연결될 수 있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연결판(2110)의 전면에는 자바라부(2200)와 그립부(2300)가 연결될 수 있다. 연결판(2110)은 가이드판(1200)의 상하 길이 이상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plate 2110 is a part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grip part 2300 . Specifically, the bellows part 2200 and the grip part 2300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2110 . The connecting plate 211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diameter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guide plate 1200 .

플랜지부(2120)는 연결판(2110)의 후면에서, 연결판(2110)의 테두리를 따라 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 연결판(2110)의 후면 테두리에 플랜지부(2120)가 형성된 상태에서, 플랜지부(2120) 내측으로 가이드판(1200)이 위치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flange part 2120 may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2110 by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edge of the connecting plate 2110 . In a state in which the flange portion 2120 is formed on the rear edge of the connecting plate 2110 , the guide plate 1200 may be formed in a size capable of being positioned inside the flange portion 2120 .

조립패널(2130)은 한 쌍이 플랜지부(2120)의 내측 둘레의 양 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조립패널(2130)이 플랜지부(2120)의 내측 둘레에서 돌출될 때, 연결판(2110)과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며 돌출될 수 있다.A pair of assembly panels 2130 may be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from both sides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lange portion 2120 . When the assembly panel 2130 protrudes from the inner periphery of the flange portion 2120 , it may protrud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nnecting plate 2110 in the front-rear direction.

락킹홈(2140)은 조립패널(213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락킹홈(2140)에는 락킹돌부(1500)가 삽입될 수 있다.The locking groove 2140 may be a groov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assembly panel 2130 . A locking protrusion 1500 may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2140 .

자바라부(2200)는 연결판(2110)의 전면에 연결될 수 있다. 자바라부(2200)는 연결판(2110)의 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거나 압축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판(2110)에서 전방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bellows 2200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2110 . The bellows portion 2200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can be compressed or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front of the connecting plate 2110, and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has a larger diameter as it extends forward from the connecting plate 2110.

그립부(2300)는 자바라부(2200)의 전방 단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부분이다.The grip part 2300 is a part that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bellows part 2200 and can be gripped by the user.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프레임(2000)이 고정프레임(1000)과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은 도 19에 따른 이동프레임(2000)이 고정프레임(1000)과 연결되는 상태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1은 도 19에 따른 이동프레임(2000)이 고정프레임(1000)과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된 상태를 도면이고, 도 22는 도 21에 따른 이동프레임(2000)이 고정프레임(1000) 내에서 회전된 상태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3은 도 21에 따른 이동프레임(2000)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락킹돌부(1500)가 락킹홈(2140)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4는 도 23에 따른 이동프레임(2000)과 고정프레임(1000)이 서로 체결 고정된 상태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1)가 스마트폰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1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frame 2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1000, and FIG. 20 is the moving frame 2000 according to FIG. It is a view showing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ed state, FIG. 2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frame 2000 according to FIG. 19 is rotated in a state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1000, and FIG. 22 is a moving frame 2000 according to FIG. 21 . ) is a view showing the rear side of the rotating state in the fixed frame 1000, FIG. 23 is a state in which the moving frame 2000 according to FIG. 21 is moved forward and the locking protrusion 1500 is fitted in the locking groove 2140. is a view showing the rear of the moving frame 2000 and the fixed frame 1000 are fasten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FIG. 23, and FIG. 25 is a detachable sma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grip device 1 for a phone is mounted on a smartphone.

도 19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1)가 스마트폰에 장착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With reference to FIGS. 19 to 24 , a method in which the detachable grip device 1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smartphone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25a와 같이, 고정프레임(1000)의 접착부(1100)가 스마트폰 뒷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000)이 스마트폰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프레임(2000)이 고정프레임(100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프레임(1000)이 스마트폰과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프레임(2000)이 상기 고정프레임(1000)에 장착될 때, 플랜지부(2120) 내측 양 측면에서 서로 이격 형성된 한 쌍의 조립패널(2130)이 가이드판(1200)의 양 측으로 통과하여, 가이드판(1200)의 전면과 연결판(2110)의 후면이 인접해질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25A , the adhesive part 1100 of the fixing frame 1000 may be attached and fixed to the back of the smartphone.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S. 19 and 20 , the moving frame 2000 may be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1000 while the fixed frame 1000 is fixed to the smartphone. Specifically, in a state in which the fixed frame 1000 is fixed with the smartphone, when the moving frame 2000 is mounted on the fixed frame 1000 , the flange portion 212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assembly. The panel 2130 may pass through both sides of the guide plate 1200 so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guide plate 120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on plate 2110 are adjacent to each other.

이후,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000)이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조립패널(2130) 각각이 가이드판(1200)의 상부와 하부 각각과 전후방향으로 마주보게 되도록, 고정프레임(1000)이 회전할 수 있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S. 21 and 22 , the fixed frame 1000 may rotate in one direction. Specifically, the fixed frame 1000 may rotate so that each of the pair of assembly panels 2130 faces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uide plate 120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이처럼, 고정프레임(1000)이 회전할 때, 조립패널(2130)이 회전방지부(1300)와 충돌되지 않도록, 가이드판(1200)의 일 측 방향에 위치된 조립패널(2130)은 하측 방향을 향해 회전되고, 가이드판(1200)의 타 측 방향에 위치된 조립패널(2130)은 상측 방향을 향해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방지부(1300)가 가이드판(1200)의 후면 상부에서 접착부(1100)보다 상측으로 길게 돌출된 부분의 좌측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는 경우, 고정프레임(1000)이 시계 반대 방향(도 22기준)으로 회전하여, 좌측의 조립패널(2130)은 하측으로 회전되고, 우측의 조립패널(2130)은 상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As such, when the fixed frame 1000 is rotated, the assembly panel 2130 located in one direction of the guide plate 1200 so that the assembly panel 2130 does not collide with the rotation preventing unit 1300, the assembly panel 2130 is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is rotated toward, and the assembly panel 2130 positioned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guide plate 1200 may rotate toward the upper direction. For example, when the anti-rotation unit 1300 is formed on the left edge of the portion protruding longer than the adhesive unit 1100 from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guide plate 1200, the fixed frame 100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 22), the left assembly panel 2130 may be rotated downward, and the right assembly panel 2130 may be rotated upward.

고정프레임(1000)이 회전하여, 한 쌍의 조립패널(2130)이 가이드판(1200)의 상부와 하부 각각과 마주보도록 회전될 때, 각 조립패널(2130)의 일 단부가 스토퍼(1400)와 충돌 가능하며 회전이 중단되되, 각 조립패널(2130)의 일 단부가 스토퍼(1400)와 충돌되는 위치까지 고정프레임(1000)이 회전될 수 있다.When the fixed frame 1000 is rotated and the pair of assembly panels 2130 are rotated to face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uide plate 1200, one end of each assembly panel 2130 is formed with a stopper 1400 and The collision is possible and the rotation is stopped, and the fixed frame 1000 may be rotated to a position where one end of each assembly panel 2130 collides with the stopper 1400 .

이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000)이 회전하여 각 조립패널(2130)이 상부와 하부에 위치되는 경우, 조립패널(2130)의 락킹홈(2140)이 락킹돌부(1500)와 전후방향을 따라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Then, as shown in 23 and 24, when the fixed frame 1000 is rotated and each assembly panel 2130 is position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 locking groove 2140 of the assembly panel 2130 is a locking protrusion ( 1500) and may be located on the same line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고정프레임(1000)이 전방으로 이동되면, 락킹돌부(1500)가 상기 락킹홈(2140)을 관통하며, 고정프레임(1000)이 이동프레임(2000)과 체결 고정될 수 있다.When the fixed frame 1000 is moved forward, the locking protrusion 1500 passes through the locking groove 2140 , and the fixed frame 1000 may be fastened and fixed to the moving frame 2000 .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에 이동프레임(2000)이 고정될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as shown in FIG. 25B , the moving frame 2000 may be fixed to the smartphone.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14 및 도 15의 작동제어부 구성들이 자바라부(2200)와 그립부(2300) 내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of FIGS. 14 and 15 may be installed inside the bellows part 2200 and the grip part 2300 .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
10: 고정프레임 11: 부착부
111: 수납부 12: 결합부
13: 단차부 14: 이동가이드돌부
20: 이동프레임 21: 홀더
211: 이동제한홈 22: 테두리리브
23: 결합리브 24: 돌출리브
25: 결합홈 26: 스토퍼
27: 파지부 271: 돌부
272: 그립부 28: 자석부
30: 수납케이스 31: 투입구
311: 제1 투입부 312: 제2 투입부
32: 체결부 33: 차단부
40: 작동제어부 41: 접촉센서
42: 온도감지센서 43: 통신부
44: 패턴확인부 45: 화면조절부
1000: 고정프레임 1100: 접착부
1200: 가이드판 1300: 회전방지부
1400: 스토퍼 1500: 락킹돌부
2000: 이동프레임 2100: 마운트부
2110: 연결판 2120: 플랜지부
2130: 조립패널 2140: 락킹홈
2200: 자바라부 2300: 그립부
1: Detachable grip device for smartphone
10: fixed frame 11: attachment part
111: accommodating part 12: coupling part
13: step part 14: moving guide protrusion
20: moving frame 21: holder
211: movement restriction groove 22: border rib
23: coupling rib 24: protruding rib
25: coupling groove 26: stopper
27: grip portion 271: stone portion
272: grip portion 28: magnet portion
30: storage case 31: slot
311: first input unit 312: second input unit
32: fastening part 33: blocking part
40: operation control unit 41: contact sensor
42: temperature sensor 43: communication unit
44: pattern confirmation unit 45: screen control unit
1000: fixed frame 1100: adhesive
1200: guide plate 1300: rotation prevention part
1400: stopper 1500: locking stone
2000: moving frame 2100: mount unit
2110: connection plate 2120: flange portion
2130: assembly panel 2140: locking groove
2200: bellows 2300: grip part

Claims (1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스마트폰의 뒷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과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됨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에 탈부착가능한 이동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에 설치되어, 스마트폰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사용 상태에 따라, 스마트폰의 화면 꺼짐 및 화면 켜짐 상태 유지를 제어하되, 스마트폰의 설정과 별도로 스마트폰의 화면 꺼짐 및 화면 켜짐 상태 유지를 조절할 수 있는 작동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프레임은,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는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와 연결되며, 상기 고정프레임과 체결 가능한 마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트부는,
상기 그립부와 연결되는 연결판;
상기 연결판의 후면에서 상기 연결판의 테두리를 따라 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
한 쌍이 상기 플랜지부의 내측 둘레의 양 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되, 상기 연결판과는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는 조립패널; 및
상기 조립패널에 형성되는 락킹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스마트폰의 뒷면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뒷면에 부착되는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의 전면에 고정되는 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하 길이가 상기 접착부보다 길게 형성되되 상기 마운트부의 상기 플랜지부 내측에 위치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좌우길이는 한 쌍의 상기 조립패널이 이격된 사이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 이하로 형성되는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판 후면 상부의 일 측 방향 테두리 및 상기 가이드판 후면 하부의 타 측 방향 테두리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방지부;
상기 가이드판 후면의 상부와 하부 중심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락킹홈에 삽입 가능한 락킹돌부; 및
상기 가이드판 후면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서, 상기 회전방지부와 상기 락킹 돌부 사이에서, 상기 락킹돌부보다 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조립패널의 회전을 중단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작동제어부는,
외부 물체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는 접촉센서;
주변 물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그립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터치 패턴을 감지하되, 상기 접촉센서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접촉 및 온도가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 작동되는 패턴확인부; 및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스마트폰의 화면 꺼짐 시간 설정과 관계없이, 스마트폰의 화면 꺼짐 및 화면 켜짐 상태 유지를 제어하는 화면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화면조절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온도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그립부가 그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스마트폰의 화면 꺼짐 시간 설정에 따라 스마트폰 화면이 꺼질 수 있도록 제어하되,
상기 접촉센서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접촉 및 온도가 동시에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패턴확인부에 의해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패턴확인부에서 확인된 터치 패턴에 따라 스마트폰의 화면 꺼짐 및 화면 켜짐 상태 유지를 제어하고,
상기 접촉센서에서 물체와의 접촉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범위 35도 내지 38도인 경우, 상기 패턴확인부가 작동되고, 상기 패턴확인부에서 확인된 터치 패턴에 따라 상기 화면조절부는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 꺼짐 및 화면 켜짐 상태 유지를 제어하며,
상기 패턴확인부에서 상기 그립부가 2번 연속 터치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화면조절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체온이 감지되지 않더라도 스마트폰의 화면 켜짐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패턴확인부에서 상기 그립부가 3번 연속 터치되면, 상기 화면조절부는 스마트폰의 화면을 화면 꺼짐 상태로 하고,
상기 패턴확인부에서 상기 그립부가 4번 연속 터치되면, 10분 동안 화면 켜짐 유지 상태 후 자동으로 화면 꺼짐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
Fixed frame fixed to the back of the smartphone;
As it rotates in a state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a movable frame detachable from the fixed frame; and
It is installed in the mobile frame and connected to the smartphone to control the screen off and the screen on state of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user's usage state, but the screen off and the screen on state of the smartphone are maintained separately from the settings of the smartphone. including; an adjustable operation control unit;
The moving frame is
a grip part that can be gripped by a user; and
and a mount part connected to the grip part and fastening to the fixed frame;
The mount unit,
a connecting plate connected to the grip part;
a flange portion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to the rear along the edge of the connecting plate;
an assembly panel in which a pair is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from both sides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flange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ng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ncluding; a locking groove formed in the assembly panel;
The fixed frame is
Adhesive portion attached to the back of the smartphone or the back of the smartphone case; and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nding unit, the vertical length is longer than the bonding unit and is formed to a length that can be located inside the flange portion of the mount unit, and the left and right lengths are a pair of the assembly panels are spaced apart a guide plate form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m;
a rotation preventing part protruding backward from the lateral edge of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guide plate and the other lateral edge of the lower rear surface of the guide plate;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centers of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plate to the rear and insertable into the locking groove; and
I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plate, between the anti-rotation part and the locking protrusion, a stopper is formed to protrude rearward than the locking protrusion to stop the rotation of the assembly panel; including,
The operation control unit installed inside the grip unit,
a touch sensor for detecting contact with an external object;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a surrounding object;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smartphone;
a pattern check unit installed in the grip unit to detect a user's touch pattern, and operated when a touch and a temperature are simultaneously sensed by the touch sensor and the temperature sensor; and
and a screen control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smartphone and controls the screen off and screen on state of the smartphone regardless of the screen off time setting of the smartphone.
The screen control unit,
When the temperature is not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t is determined that the grip part is not gripped by the user, and the smartphone screen is controlled to turn off according to the screen off time setting of the smartphone,
When a touch is detected by the pattern confirmation unit in a state where the touch and temperature are simultaneously sensed by the touch sensor and the temperature sensor,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is turned off and the screen is on according to the touch pattern confirmed by the pattern confirmation unit to control,
In a state in which contact with an object is detected by the contact sensor,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in a preset temperature range of 35 degrees to 38 degrees, the pattern check unit operates, and the touch pattern checked by the pattern check unit Accordingly, the screen control unit controls the screen off and screen on state maintenance of the smartphon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grip part is touched twice in succession in the pattern confirmation unit, the screen control unit maintains the screen on state of the smartphone even if the body temperature is not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When the grip part is touched three times consecutively in the pattern check part, the screen control part turns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into a screen off state,
A detachable gripping device for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grip part is touched four times consecutively in the pattern check part, the screen is automatically set to be turned off after keeping the screen on for 10 minut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이 스마트폰과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프레임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장착될 때,
상기 가이드판의 양 측으로 서로 이격 형성된 한 쌍의 상기 조립패널이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판의 전면과 상기 연결판의 후면이 인접해지고,
한 쌍의 상기 조립패널 각각이 상기 가이드판의 상부와 하부 각각과 전후방향으로 마주보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이 회전하되,
상기 고정프레임이 회전할 때, 상기 조립패널이 상기 회전방지부와 충돌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판의 일 측 방향에 위치된 상기 조립패널은 하측 방향을 향해 회전되고, 상기 가이드판의 타 측 방향에 위치된 상기 조립패널은 상측 방향을 향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state in which the fixed frame is fixed with the smartphone,
When the moving frame is mounted on the fixed frame,
A pair of the assembly panel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guide plate pass through, so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guide plat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on plate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fixed frame rotates so that each of the pair of assembly panels faces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uide plate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en the fixed frame rotates, the assembling panel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guide plate is rotated downwardly so that the assembling panel does not collide with the anti-rotation part, and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late is rotated downward. The located assembly panel is a detachable grip device for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rotates toward the upper direc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락킹돌부가 상기 가이드판에서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가이드판의 양 측으로 서로 이격 형성된 한 쌍의 상기 조립패널이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판의 전면과 상기 연결판의 후면이 인접해진 상태에서, 상기 조립패널과 상기 가이드판 사이의 이격 거리 이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ength at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guide plate is,
A pair of the assembling panel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guide plate pass through, and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surface of the guide plat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on plate are adjacent to each other, protrusion is formed within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ssembly panel and the guide plate A grip device for a detachable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becomes.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이 회전하여, 한 쌍의 상기 조립패널이 상기 가이드판의 상부와 하부 각각과 마주보게 회전될 때,
상기 조립패널의 일 단부가 상기 스토퍼와 충돌되며 회전이 중단되되, 상기 조립패널의 일 단부가 상기 스토퍼와 충돌되는 위치까지 상기 고정프레임이 회전된 경우,
상기 조립패널의 락킹홈이 상기 락킹돌부와 전후방향을 따라 동일 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락킹돌부가 상기 락킹홈을 관통하며, 상기 고정프레임이 상기 이동프레임과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fixed frame is rotated, the pair of assembly panels are rotated to face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uide plate,
When one end of the assembly panel collides with the stopper and rotation is stopped, the fixed frame is rotated to a position where one end of the assembly panel collides with the stopper,
The locking groove of the assembly panel is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locking protrus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en the fixed frame is moved forward, the locking protrusion passes through the locking groove, and the fixed frame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moving frame.
KR1020210187642A 2021-12-24 2021-12-24 Detachable grip for smart phone KR1024451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642A KR102445104B1 (en) 2021-12-24 2021-12-24 Detachable grip for smart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642A KR102445104B1 (en) 2021-12-24 2021-12-24 Detachable grip for smart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104B1 true KR102445104B1 (en) 2022-09-21

Family

ID=83452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642A KR102445104B1 (en) 2021-12-24 2021-12-24 Detachable grip for smart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10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8763A (en) * 2007-05-07 2008-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adaptively operating according to grip of us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30032075A (en) * 2011-09-22 2013-04-01 장대규 Smartphone case
KR20200001982U (en) 2020-05-09 2020-09-10 최나리 Rattan Griptok
KR102216044B1 (en) * 2019-10-04 2021-02-16 김대용 Holder for terminal
KR20210052483A (en) * 2018-09-28 2021-05-10 위그나이트 씨오. Detachable ring holder compatible with wireless charging for smartphon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8763A (en) * 2007-05-07 2008-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adaptively operating according to grip of us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30032075A (en) * 2011-09-22 2013-04-01 장대규 Smartphone case
KR20210052483A (en) * 2018-09-28 2021-05-10 위그나이트 씨오. Detachable ring holder compatible with wireless charging for smartphones
KR102216044B1 (en) * 2019-10-04 2021-02-16 김대용 Holder for terminal
KR20200001982U (en) 2020-05-09 2020-09-10 최나리 Rattan Gripto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689264U (en) Carrying device of flat-plate movable electronic device
US10715197B2 (en) Exterior cover
CN107368149B (en)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US20040049743A1 (en) Universal digital mobile device
US9307656B2 (en) Electronic device case
US11224800B2 (en) Game controller
US10628037B2 (en) Mobile device systems and methods
KR20160004324A (en) Stabilising device
CN103246323A (en) Electronic device
KR20180111340A (en) Layered accessory case for electronic device and cradling device thereof
EP2527955B1 (en) Proximity detection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 related object
KR20150009070A (en) Cover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070429B1 (en) Case opening and closing like linear shape for folder type cellular phone
US9130396B2 (en) Kinetically chargeable stylus device
KR101867407B1 (en) Laptop computer having detachable input device and storage space for preipheral devices of a computer
KR102445104B1 (en) Detachable grip for smart phone
CN103736274A (en) Multifunctional gamepad
CN203609851U (en) Multifunctional game handle
WO2016113736A1 (en) Keypad flip cover for mobile devices
CN203734721U (en) Multifunctional gamepad
KR20220010921A (en) Cover of electronic device for storage of electronic pen
KR20150009837A (en) Case for mobile terminal
WO2020118885A1 (en) Shared tablet desktop and desk body for renting tablet
KR20110118357A (en) Portable mouse
KR101674461B1 (en) a keyboard of hanging up on a mon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