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470B1 -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product volume value and corrected weight value - Google Patents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product volume value and corrected weight valu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470B1
KR102443470B1 KR1020200155492A KR20200155492A KR102443470B1 KR 102443470 B1 KR102443470 B1 KR 102443470B1 KR 1020200155492 A KR1020200155492 A KR 1020200155492A KR 20200155492 A KR20200155492 A KR 20200155492A KR 102443470 B1 KR102443470 B1 KR 102443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weight
value
maximum valu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4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69153A (en
Inventor
최용주
이경환
신현철
공민준
신경채
권병훈
김빛찬솔
김언길
송성의
전귀남
정우영
김영남
김현태
Original Assignee
씨제이대한통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대한통운 (주) filed Critical 씨제이대한통운 (주)
Priority to KR1020200155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470B1/en
Publication of KR20220069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1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4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3/06Linear sorting machines in which articles are removed from a stream at selecte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3/08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using arrangements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1/00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24Weighing mechanism 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feed or dischar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85Postal items, e.g. letters, parc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58Weight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ina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택배 상품들을 분류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되는 상품들에 대해 체적을 측정하고, 측정된 체적값에 따라 중량 측정이 필요한 상품들에 대해서는 별도로 중량 측정 및 중량 보정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각각의 상품들이 올바른 슈트로 분류될 수 있게 하기 위한 상품 분류 방법, 그리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classifying parcel delivery products, specifically, measuring the volume of goods moved by a conveyor, and separately weighing and weighing goods that require weight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measured volume value It relates to a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allowing each product to be classified into a correct suit by performing weight correction.

Description

상품의 체적값 및 보정된 중량값 기반의 상품 분류 방법 및 시스템{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PRODUCT VOLUME VALUE AND CORRECTED WEIGHT VALUE}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the volume value of the product and the corrected weight value

본 발명은 택배 상품들을 분류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되는 상품들에 대해 체적을 측정하고, 측정된 체적값에 따라 중량 측정이 필요한 상품들에 대해서는 별도로 중량 측정 및 중량 보정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각각의 상품들이 올바른 슈트로 분류될 수 있게 하기 위한 상품 분류 방법, 그리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classifying parcel delivery products, specifically, measuring the volume of goods moved by a conveyor, and separately weighing and weighing goods that require weight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measured volume value It relates to a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allowing each product to be classified into a correct suit by performing weight correction.

전자상거래 인프라의 확장 및 비대면 사회화의 본격화는 택배시장의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와 맞물려, 많은 택배 업체들은 자동화 설비로 이루어진 상품 분류 시스템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실제 상품 분류 시스템을 설치한 작업장도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상용화 된 상품 분류 시스템들은 아직 완벽한 자동화가 이루어졌다고 보기는 어려운 수준으로, 특히 택배 물품을 상차 또는 하차 하는 과정은 많은 부분이 사람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The expansion of the e-commerce infrastructure and the full-fledged non-face-to-face socialization are driving the growth of the parcel delivery market, and this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in the future. In line with this trend, many courier companies are interested in a product sorting system composed of automated equipment, and the number of workplaces that have installed an actual product sorting system is increasing. However, the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s commercialized so far are not yet fully automated, and in particular,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parcels is mostly done manually by humans.

한편, 사람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하차 작업 과정 중에는 어쩔 수 없는 휴먼 에러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데, 이러한 휴먼 에러는 때로 작업장 내에서의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예방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대표적인 예로, 하차 작업 중 택배 상품의 중량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하여 체적(부피)이 작은 것임에도 불구하고 중량이 매우 무거운 상품(예. 아령 등)이 소형 상품 라인으로 분류되는 사례가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 무거운 상품이 소형 상품 라인 구간의 설비를 파손하게 되거나 상품이 작업자 위로 낙하하여 작업자가 크게 다칠 수 있는 등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반드시 이러한 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On the other hand, unavoidable human errors inevitably occur during the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s that are manually performed by humans, and since such human errors can sometimes lead to fatal accidents in the workplace, the need for prevention is urgent.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 may be cases in which products with very heavy weight (eg dumbbells, etc.) are classified as small product lines even though the volume (volume) is small because the weight of the parcel delivery product is not recognized in advance during the disembarkation operation. In this case, a heavy product may damage the equipment in the small product line section, or the product may fall on the worker and lead to a serious accident, such as a serious injury to the worker.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상품의 체적 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 중량까지 측정 및 보정함으로써 해당 상품이 올바른 슈트로 분류될 수 있게 하기 위한 상품 분류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위의 기술적 문제점을 해소시키는 것 외에도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view of such a problem, and relates to a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and a system for the same, by measuring and correcting not only the volume of the product but also the weight if necessary, so that the product can be classified into a correct sui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provide additional technical elements that cannot be easily inven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o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1382호(2008.09.25.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861382 (Registered on Sep. 25, 2008)

본 발명은 택배 상품에 대한 체적값을 측정할 뿐만 아니라 중량을 측정 및 보정하여 정확한 중량값을 획득함으로써 해당 택배 상품이 올바른 슈트로 분류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measures the volume value of the parcel delivery product, but also measures and corrects the weight to obtain an accurate weight value so that the parcel delivery product can be classified into the correct suit.

특히 본 발명은 작은 체적을 가짐에도 무거운 중량을 가지는 상품들을 선별하여 취급주의 상품으로 분류가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 작업장 내에서의 사고를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lect products having a heavy weight even though they have a small volume and classify them as products of a handling care, thereby preventing accidents in the workplace.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로드셀을 둠으로써 상품의 중량을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게 하며, 나아가 측정된 중량값들을 기반으로 중량 보정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품 중량을 정확히 획득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weight of the product to be measured relatively accurately by providing a plurality of load cells, and furthermore, to accurately obtain the weight of the product by enabling weight correction based on the measured weight values.

또한 본 발명은 상품 중량 보정이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정확한 상품 중량을 파악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rect product weight can be grasped by allowing the product weight correction to be made by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분류 방법은 (a) 상품의 체적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상품이 중량 측정이 필요한 상품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중량 측정이 필요한 상품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상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d) 측정 결과 상기 상품의 중량이 기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상품을 기 정해진슈트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measuring the volume of the product; (b) determining whether the product is a product requiring measurement of weight; (c) measuring the weight of the product when it is determined as a product requiring measurement of weight; (d) classifying the product as a predetermined suit if the weight of the produc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또한, 상기 상품 분류 방법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상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의 중량을 보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the step (c) comprises the steps of measuring the weight of the product; and correcting the weight of the product; may include.

또한, 상기 상품 분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이전에는, 상기 상품이 중량 측정을 위해 중량 측정부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before the step of measuring the weight of the product in the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the step of detecting that the product enters the weight measurement unit for weight measurement;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상품 분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는, (c21)복수 개의 시계열 중량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c22) n개의 중량값들을 1번째 윈도우로 정의하는 단계; (c23) 상기 1번째 윈도우 내에서의 최대값(max value)을 제1 최대값으로 정의하는 단계; (c24) i-1번째(상기 i는 2부터 시작하여 회귀수에 따라 증가하는 정수임) 윈도우 내 첫 번째 중량값의 차순위 중량값을 시작으로 n개의 중량값들을 i번째 윈도우로 정의하는 단계; (c25) 상기 i번째 윈도우 내에서의 최대값을 제i 최대값으로 정의하는 단계; (c26) 제i-1 최대값 및 제i 최대값 간 변화량이 0 이하의 값인 경우, 제i-1 최대값을 피크값(peak value)으로 정의하고, 변화량이 0 초과의 값인 경우 (c24)단계로 회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measuring the weight of the product in the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includes: (c21) acquiring a plurality of time series weight values; (c22) defining n weight values as a first window; (c23) defining a maximum value within the first window as a first maximum value; (c24) defining n weight values as the i-th window starting with the next-order weight value of the first weight value in the i-1th window (i is an integer that increas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gressions starting from 2); (c25) defining a maximum value within the ith window as an ith maximum value; (c26) When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i-1 maximum value and the i-th maximum value is a value of 0 or less, the i-1 maximum value is defined as a peak value, and when the amount of change is a value greater than 0 (c24) It may include; returning to the step.

또한, 상기 상품 분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크값이 정의될 때까지 상기 (c24)단계 내지 (c26)단계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measuring the weight of the product in the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s (c24) to (c26) are repeated until the peak value is defined.

또한, 상기 상품 분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중량을 보정하는 단계는, (c31) 상기 피크값, 및 상기 피크값 이전의 m개(m은 2 이상의 정수)의 중량값들을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입력시키는 단계; (c32)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한 중량값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correcting the weight of the product in the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comprises: (c31) inputting the peak value and m weight values before the peak value (m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in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step; (c32) performing weight value correction us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may include.

또한, 상기 상품 분류 방법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상품의 체적이 기 설정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중소형 상품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the step (b) may be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oduct is a small or medium-sized product according to whether the volume of the product is included in a preset range.

또한, 상기 상품 분류 방법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상품의 중량이 기 설정값 이상이면 이형(異形) 상품들을 분류하기 위한 슈트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d) of the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if the weight of the produc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duct is classified into a suit for classifying different types of products.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로드셀(load cell)을 통과하는 상품의 상품 중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s1) n개의 중량값들을 k번째(k는 2부터 시작하여 회귀수에 따라 증가하는 정수임) 윈도우로 정의하는 단계; (s2) 상기 k번째 윈도우 내에서의 최대값을 제k 최대값으로 정의하는 단계; (s3) 상기 제k 최대값과 제k-1번째 윈도우의 최대값인 제k-1 최대값을 비교한 결과, 변화량이 0 이하의 값이면, 제k 최대값을 피크값으로 정의하고, 변화량이 0 초과의 값이면 상기 (s1)단계로 회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회귀 후 (s1) 단계에서의 n개의 중량값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k번째 윈도우 내 최초 시점의 중량값 대비 시계열적으로 후순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method of measuring the weight of a product passing through a load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1) n weight values are k-th (k is 2, starting from 2, depending on the number of regressions) an increasing integer) defining a window; (s2) defining a maximum value within the k-th window as a k-th maximum value; (s3)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k-th maximum value with the k-1 th maximum value, which is the maximum value of the k-1 th window, if the change amount is 0 or less, the k-th maximum value is defined as a peak value, and the change amount If this value is greater than 0, the method includes returning to the step (s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n weight values in the step (s1) after the regression is time-series compared to the weight value at the first time in the k-th window It may be characterized as a subordinate.

또한, 상기 로드셀(load cell)을 통과하는 상품의 상품 중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상기 피크값이 정의될 때까지 상기 (s1)단계 내지 (s3)단계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measuring the product weight of the product passing through the load cell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s (s1) to (s3) are repeated until the peak value is defined.

또한 이 때에, 상기 (s3) 단계에서 피크값이 정의된 후, 상기 피크값, 및 상기 피크값 이전의 m개(m은 2 이상의 정수임)의 중량값들을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입력시켜 중량값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at this time, after the peak value is defined in step (s3), the peak value and m weight values before the peak value (m is an integer of 2 or more) are input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to correct the weight value. performing; may further include.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분류 시스템은, 이송수단을 통해 통과하는 상품들의 체적을 측정하는 체적 측정부; 상기 이송수단을 통해 통과하는 상품들 중 측정된 체적값을 기준으로 중량 측정이 필요한 상품으로 분류된 상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부; 체적 측정부 또는 중량 측정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상품을 복수 개의 슈트들 중 어느 하나의 슈트로 분류하는 소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olume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volume of the products passing through the transport means; a weight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weight of a product classified as a product requiring weight measurement based on a measured volume value among products passing through the transport means; It may include; a sorting unit for classifying the product into any one suit among a plurality of suits according to the data received from the volume measurement unit or the weight measurement unit.

또한, 상기 상품 분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량 측정부는, 체적이 기 설정된 중소형 상품의 체적범위에 포함되는 상품에 대해 중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 the weight measurement unit may measure the weight of a product whose volume is included in a preset volume range of small and medium-sized products.

또한, 상기 상품 분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팅부는, 상기 중량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품의 중량이 기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상품이 기 정해진 슈트로 분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 the sorting unit may control the product to be classified into a predetermined suit when the weight of the product measured by the weight measurement un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또한, 상기 상품 분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량 측정부에 앞서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중량 측정부로의 상품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that is provided prior to the weight measurement unit and detects product entry into the weight measurement unit.

또한, 상기 상품 분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량 측정부는, (t21)상기 중량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복수 개의 시계열 중량값들을 수신하는 단계; (t22)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중량값들을 1번째 윈도우로 정의하는 단계; (t23) 상기 1번째 윈도우 내에서의 최대값(max value)을 제1 최대값으로 정의하는 단계; (t24) i-1번째(상기 i는 2부터 시작하여 회귀수에 따라 증가하는 정수임) 윈도우 내 첫 번째 중량값의 차순위 중량값을 시작으로 n개의 중량값들을 i번째 윈도우로 정의하는 단계; (t25) 상기 i번째 윈도우 내에서의 최대값을 제i 최대값으로 정의하는 단계; (t26) 제i-1 최대값 및 제i 최대값 간 변화량이 0 이하의 값인 경우, 제i-1 최대값을 피크값(peak value)으로 정의하고, 변화량이 0 초과의 값인 경우 (t24)단계로 회귀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피크값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회귀 후 (t24) 단계에서의 n개의 중량값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k번째 윈도우 내 최초 시점의 중량값 대비 시계열적으로 후순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 the weight measurement unit may include: (t21) receiving a plurality of time series weight values measured by the weight measurement unit; (t22) defining n weight values (n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as a first window; (t23) defining a maximum value within the first window as a first maximum value; (t24) defining n weight values as the i-th window starting with the next-order weight value of the first weight value in the i-1th window (where i is an integer that increas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gressions starting from 2); (t25) defining a maximum value within the ith window as an ith maximum value; (t26) When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i-1 maximum value and the i-th maximum value is 0 or less, the i-1 maximum value is defined as a peak value, and when the amount of change is a value greater than 0 (t24)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eak value is defined by performing the step of regressing, wherein at least one of the n weight values in the step (t24) after the regression is time-series compared to the weight value of the first time in the k-th window It may be characterized as a subordinate.

본 발명에 따르면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 중인 상품의 체적, 그리고 필요한 경우 중량까지 측정하여 상품 분류를 할 수 있게 되므로 정확한 상품 분류가 가능해 지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classify the product by measuring the volume and, if necessary, the weight of the product being transported on the conveyor,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classify the produc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체적이 작으면서도 중량이 무거운 상품들을 분류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상품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장 내 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classify goods that are small in volume and heavy in weigh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accidents in the workplace that may occur due to these goods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된 중량을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분류가 가능해 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more accurate classification is possible by correcting the measured weight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을 투입하는 작업자들이 굳이 상품들의 중량을 체크한 뒤 분류할 필요가 없으므로 분류 작업의 전체 속도 및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overall speed and efficiency of the sorting operation because workers who put the goods do not have to check the weight of the goods and then sort them.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하차작업장에 구현되어 있는 상품 분류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종래의 상품 분류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분류 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위 시스템에 따라 상품이 분류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중량 측정 단계(S103)의 세부 단계들을 도시한 것으로, 상품의 중량을 측정 및 보정하는 단계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상품의 중량 측정 단계를 세분화 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중량 보정 단계를 세분화 하여 도시한 것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 implemented in a conventional unloading workshop,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duct classific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system.
5 shows detailed steps of the weight measurement step S103 of FIG. 4 , and shows steps for measuring and correcting the weight of the product.
6 is a view showing the subdivision of the weight measurement step of the product, Figure 7 is a subdivided view showing the weight correction step.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purpose an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ails regarding the operational effects thereof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should not be construed or us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description includ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have various applications. Accordingly, any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for bette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mbodiments.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The functional blocks shown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below are merely examples of possible implementations. Other functional blocks may be used in other implemen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detailed description. Further, although one or mor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presented as separate blocks, one or more of th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ations of various hardware and software configuration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the expression that includes certain components is an expression of “open type” and merely refers to the existence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excluding additional components.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Furthermore,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do.

도 1은 종래의 상품 분류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여기에는 컨테이너로부터 상품들을 컨베이어에 투입하는 작업자들, 그리고 투입된 상품들을 분류하기 위한 상품 분류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roduct classification state, in which workers who put products from a container to a conveyor, and a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 for classifying the put products are shown.

종래 상품 분류 시스템은 크게 체적 측정부(11), 그리고 뒤이어 소팅부(15)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외에 상기 체적 측정부(11) 및 소팅부(1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19)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The conventional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 is largely composed of a volume measuring unit 11 and a sorting unit 15, and in addition, a control 19 unit for controlling the volume measuring unit 11 and the sorting unit 15 is further included. can

도 2에는 종래 상품 분류 시스템 상에서 상품 분류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고할 때 종래에는 단순히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상품의 체적을 측정(S11)하고, 측정 결과 그 상품이 대형 상품인지, 중소형 상품인지, 또는 이형 상품인지를 판단(S12)하며, 판단 결과에 따라 소팅부(15)를 구동(S13)시켜 해당 상품을 각각의 슈트로 이송시키는 방식으로 상품 분류를 하여 왔다. 2 shows a process of product classification in a conventional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 Referring to this, in the related art, the volume of a product transferred through a conveyor is simply measured (S11), and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whether the product is a large product, small or medium-sized produc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oduct is recognized or a different type product (S12), and the sorting unit 15 is driven (S13)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ransfer the product to each chute, thereby classifying the product.

그러나 이러한 종래 상품 분류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는 체적만을 상품 분류에 필요한 정보로 획득하고 있었기 때문에, 때때로 큰 사고로 이어지는 상품 분류가 이루어져 왔으며, 특히 작은 체적의 상품이 무거운 중량을 가질 때에 심각한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어 왔다. 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 and method, since only the volume is acquired as information necessary for product classification, product classification that leads to a large accident has been sometimes made, especially when a product with a small volume has a heavy weight. there has been

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분류 시스템에는 상품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을 더 구비시킴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In response to this, the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further provided with a means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product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분류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이에 따를 때 상품 분류 시스템은 체적 측정부(110), 중량 측정부(130), 소팅부(15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 더 나아가 상품감지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3 shows a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which the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 may include a volume measurement unit 110 , a weight measurement unit 130 , a sorting unit 150 , and a control unit 170 . and may further include a product detection unit 190 .

체적 측정부(110)는 컨베이어를 통해 상품이 이송 및 통과할 때 해당 상품의 체적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체적이란 임의의 물건이 공간에서 차지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체적의 측정은 각종 감지센서에 의해 획득 가능한 상품 형상에 대한 수치들로부터 임의의 연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통과하는 상품을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volume measuring unit 110 may be understood as a means for measuring the volume of the product when the product is transported and passed through the conveyor. Volume refers to the size that an arbitrary object occupies in space, and the measurement of the volume can be made by arbitrary calculation from the numerical values for the product shape obtainable by various detection sensors, or an image of a passing product It can be done in various ways, such as can be done according to the analysis.

한편, 체적 측정부(110)는 상품에 대한 체적을 측정한 후 그 측정된 체적값에 따라 자체적으로 해당 상품이 중량 측정이 필요한 상품인지, 또는 중량 측정이 필요 없는 상품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위와 달리 체적 측정부(110)는 측정된 체적값을 후술하게 될 제어부(170)로 전달하게 함으로써 제어부(170) 상에서 상기 상품이 중량 측정이 필요한 상품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할 수도 있다. 참고로, 체적 측정부(110) 또는 제어부(170)는 내부적으로 상품의 분류 기준에 대한 기준값들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측정된 체적값이 x보다 클 때에는 이형 상품으로, x 내지 y의 범위 내에 있을 때에는 대형 상품으로, y보다 작을 때에는 중소형 상품으로 분류하도록 기준값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olume measuring unit 110 measures the volume of the product, and then, according to the measured volume value, is implemented to determine whether the corresponding product is a product that requires weight measurement or a product that does not require weight measurement. Alternatively, unlike the above, the volume measurement unit 110 transmits the measured volume value to the control unit 170 to be described later, thereby allowing the control unit 170 to determine whether the product is a product requiring weight measurement. have. For reference, the volume measurement unit 110 or the control unit 170 may internally store reference values for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the product, for example, when the measured volume value is greater than x, the product is a variant product, x to y Reference values may be stored to classify a large product when it is within the range of y and a small and medium product when it is smaller than y.

한편, 상기 체적 측정부(110)는 비단 상품의 체적을 측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임의 상품이 진입하였을 때 해당 상품에 대한 여타의 상품정보(들)를 획득하기 위한 기능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적 측정부(110)는 RFID 리더, QR 리더, 바코드 스캐너, 카메라 등 통과 중인 상품에 대한 임의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 획득용 수단들은 상품 분류 과정에서 참고 가능한 정보 데이터들을 생성할 수 있다. Meanwhile, the volume measuring unit 110 may include a function for not only measuring the volume of a non-product but also acquiring other product information(s) for the product when an arbitrary product enters the product. For example, the volume measuring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means for acquiring arbitrary information about a passing product, such as an RFID reader, a QR reader, a barcode scanner, a camera, etc. Information data that can be referenced in the classification process can be generated.

중량 측정부(130)는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 및 통과하는 상품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중량이란 물건의 무거운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중량의 측정은 상품이 이송되는 경로에 로드셀(load cell)과 같은 중량 감지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는 로드셀들이 중량 측정부(130) 내에 4개의 작은 원으로 도시되어 있다. 로드셀이란, 엄밀하게는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소자이며, 위 소자는 무게에 의한 압력을 받을 때 압축되거나 늘어나는 등의 변형을 겪게 되는데, 그 변형량을 전기신호로 검출한 뒤 연산 장치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바뀌게 함으로써 중량 측정이 가능하게 한 수단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중량 측정부(130)는 원칙적으로 1개의 로드셀만을 구비하더라도 상품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할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더 정확한 측정을 위해 적어도 4개의 로드셀들을 구비할 수 있다. The weight measurement unit 130 is a means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goods conveyed and passed through the conveyor. The weight refers to the degree of weight of an object, and the measurement of the weight may be performed by a weight sensing means such as a load cell on a path through which the product is transported. For reference, in FIG. 3 , the load cells are shown as four small circles in the weight measuring unit 130 . A load cell is a device for measuring weight strictly, and the device undergoes deformation such as being compressed or stretched when subjected to pressure by weight. It is a means that made weight measurement possible by changing it.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measuring unit 130 can measure the weight of a product even if in principle only one load cell is provided, but preferably, it may include at least four load cells for more accurate measurement.

한편, 상기 중량 측정부(130)는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모든 상품들의 중량을 모두 측정하지는 않으며,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상품들 중 특히 중량 측정이 필요한 상품에 대해서만 중량 측정을 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뒤에서도 설명을 하겠지만, 상기 중량 측정부(130)는 앞선 체적 측정부(110)에서의 측정 결과 대형, 이형 상품에 해당하는 체적을 가진 상품들에 대해서는 중량 측정을 하지 않으며, 중소형 상품에 해당하는 체적을 가진 상품들에 대해서만 중량 측정을 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이형, 대형, 중소형 체적 기준은 당연히 사전에 미리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eight measurement unit 130 does not measure all the weights of all the products transferred through the conveyor, and may be implemented to measure only the weight of the products that need to be measured, especially among the products conveyed through the conveyor. Although it will be described later, the weight measurement unit 130 does not measure the weight of products having a volume corresponding to a large or deformed product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in the previous volume measurement unit 110, It may be implemented to measure the weight only for products having a volume. In this case, the standard for the different, large, and small and medium-sized volumes may of course be predefined in advance.

또한, 상기 중량 측정부(130)는 측정한 중량값을 후술하게 될 제어부(170) 측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어부(170)가 직접 중량 보정 연산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중량 측정부(130)는 자체적으로 연산 수단을 갖추어 임의 상품에 대해 측정한 중량값에 대해 보정을 수행할 수 있게도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eight measurement unit 130 may transmit the measured weight value to the control unit 1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control unit 170 may directly perform a weight correction operation. Alternatively, the weight measurement unit 130 may have its own calculation means and may be implemented to perform correction on a weight value measured for an arbitrary product.

다음으로 소팅부(150)는 제어부(170)의 제어명령에 따라, 또는 상기 체적 측정부(110) 또는 중량 측정부(13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따라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상품을 적절한 슈트로 분류하는 구성이다. 소팅부(150)는, 바람직하게는, 방향전환이 가능한 롤러(방향전환롤러)가 복수 개 배치된 휠 소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방향전환롤러의 회전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각 상품들이 복수 개의 슈트들 중 적절한 슈트로 분류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다만, 소팅부(150)가 휠 소터를 포함하여 구현되는 것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소팅부(150)가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 중인 상품을 분류할 수 있다면 휠 소터 외에 크로스벨트 소터, 트레이 등을 포함한 다른 형태의 구현 태양이라도 무관하다 할 것이다. Next, the sorting unit 150 classifies the goods transported through the conveyor into appropriate suits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170 or according to the data received from the volume measuring unit 110 or the weight measuring unit 130 . is a configuration that The sorting unit 150, preferably,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wheel sorter in which a plurality of direction changeable rollers (direction changing rollers) are disposed, and by controll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direction changing roller, each produc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It can be driven to be classified into an appropriate suit among the suits. However, it is only one embodiment that the sorting unit 150 is implemented including a wheel sorter, and if the sorting unit 150 can sort goods moving through a conveyor, in addition to the wheel sorter, a cross belt sorter, a tray Any other form of implementation, including the like, would be irrelevant.

다음으로 제어부(170)는 앞서 언급한 체적 측정부(110), 중량 측정부(130), 및 소팅부(15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제어부(170)는 체적 측정부(110), 중량 측정부(130), 소팅부(150)를 총괄하여 제어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실제 구현된 시스템 내에서는 제어부(170)의 구성이 생략된 채 체적 측정부(110), 중량 측정부(130), 소팅부(150)가 상호 간 직접 데이터를 주고 받음으로써 구동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음을 이해한다. 제어부(170)는, 일 실시예로 중앙처리유닛(CPU) 및 메모리를 구비한 하나의 하드웨어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중앙처리유닛은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불릴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유닛은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데,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으로, 펌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을 포함하도록 펌웨어나 소프트웨어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쉬(flash) 메모리, SRAM(Static RAM),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Next, the control unit 170 may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that generally controls the aforementioned volume measurement unit 110 , weight measurement unit 130 , and sorting unit 150 . The control unit 170 referred to in this detailed description may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capable of controlling the volume measurement unit 110 , the weight measurement unit 130 , and the sorting unit 150 as a whole, but within the actually implemented system It is understood that the volume measurement unit 110 , the weight measurement unit 130 , and the sorting unit 150 may be driven by directly exchanging data with each other while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170 is omitted. The control unit 17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hardware device includ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a memory in an embodiment. In this cas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may also be called a controller, a microcontroller, a microprocessor, a microcomputer, or the like. In addi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When implemented using hardware, an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or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 DSPD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PLD (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etc., when implemented using firmware or software, a module, procedure or function that performs the above functions or operations, etc. Firmware or softwar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In addition, the memory includes ROM (Read Only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EPROM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flash memory, SRAM (Static RAM), It may be implemented as a hard disk drive (HDD), a solid state drive (SSD), or the like.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분류 시스템은 상기 중량 측정부(130)에 앞서 구비되는 상품감지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품감지부(190)는 컨베이어를 통해 투입되는 상품이 중량 측정부(130) 쪽으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상품의 이동경로 중 임의의 지점에 설치되거나 또는 도면에서와 같이 컨베이어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품이 지나가는 순간을 감지해 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품감지부(190)는 바람직하게는 광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상기 상품의 진입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구현 수단에는 제한이 없다 할 것이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상품감지부(190)는 반드시 상품의 진입 여부만을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진입하는 상품에 대한 간략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품감지부(190)는 상품에 부착된 일련의 코드를 읽거나 또는 상품이 통과하기 시작한 시각 및 통과가 끝난 시각 사이 시간을 기초로 상기 상품의 길이, 크기를 측정해 내는 등 상품에 대한 간략한 정보 획득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Finally, the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roduct detection unit 190 provided before the weight measurement unit 130 . The product detection unit 190 is configured to detect that the product input through the conveyor enters the weight measurement unit 130, and is installed at any point in the movement path of the product or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conveyor as shown in the drawing. It may be provided to detect the moment the product passes by. The product detection unit 190 may preferably be implemented as an optical sensor, but as long as it can detect the entry of the product,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means of implementation. 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mbodiment, the product detection unit 190 may be implemented to acquire brief information about the entering product as needed, not necessarily only detecting whether the product has entered. For example, the product detection unit 190 reads a series of codes attached to the product or measures the length and size of the product based on the time between the time when the product starts to pass and the time when the product passes through. It can also be implemented so that it is possible to obtain brief information about it.

한편, 상기 상품감지부(190)에 의해 상품의 진입이 감지되면, 상품감지부(190)는 감지신호를 상기 중량 측정부(130)에 직접 전달하여 중량 측정부(130)로 하여금 상품의 진입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상품감지부(190)는 감지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도록 구현되어 제어부(170)로 하여금 중량 측정부(130)를 상품 진입 타이밍에 맞게 구동제어하게 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상품감지부(190)는 상품의 진입 시점을 파악하고 그 신호를 중량 측정부(130) 또는 제어부(170)에 전달함으로써 이송 중인 상품에 대한 중량 측정이 정확한 타이밍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ntry of the product is detected by the product detection unit 190, the product detection unit 190 directly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weight measurement unit 130 to cause the weight measurement unit 130 to enter the product. Alternatively, the product detection unit 190 may be implemented to transmit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70 so that the control unit 170 drives and controls the weight measurement unit 130 according to the product entry timing. have. As such, the product detection unit 190 is provided to determine the entry point of the product and transmit the signal to the weight measurement unit 130 or the control unit 170 so that the weight measurement of the product being transported can be performed at an accurate timing. can be

이상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분류 시스템의 전반적인 개요에 대해 살펴 보았다.The overall outline of the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with reference to FIG. 3 abov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분류 방법들을 순서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고할 때, 상품 분류 방법은 가장 먼저 이송되는 상품의 체적을 측정하는 단계(S101)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본 단계는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상품이 체적 측정부(110)를 통과할 때에 실행되는 단계로, 상기 체적 측정부(110)는 내부에 구비된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 또는 촬영수단(카메라 등)을 활용하여 상품이 얼마만큼의 공간을 차지하는지, 다시 말해 체적이 얼마나 되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 4 is a view showing the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Referring to FIG. 4 , the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may start from the step ( S101 ) of measuring the volume of the first transported product. This step is executed when the product transported through the conveyor passes through the volume measuring unit 110, and the volume measuring unit 110 includes various types of sensors or photographing means (camera, etc.) provided therein. can be used to measure how much space a product takes up, that is, how much volume it has.

S101 단계 후에는 측정된 체적값을 기초로 상기 상품이 중량 측정이 필요한 상품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실행될 수 있다. 본 단계는 체적 측정부(110) 또는 체적 측정부(110)로부터 체적값을 수신한 제어부(170)가 수행할 수 있는 단계이며, 일 예로 본 단계에서는 상기 상품의 측정된 체적값을 기준으로 상기 상품이 중소형 상품인지, 대형 상품인지, 아니면 이형 상품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체적값으로 보아 이형 또는 대형 상품으로 판단된다면 해당 상품에 대해서는 굳이 중량을 측정할 필요도 없이 각각 이형 또는 대형 슈트로 진행을 시키면 될 것이지만, 만일 체적값으로 보아 중소형 상품으로 판단된다면 '아령'과 같이 작은 체적을 가지면서도 중량이 많이 나가는 상품에 대해서는 별도로 선별을 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중량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할 것이다. 도 4에는 S102 단계로 체적 측정된 상품이 이형인지, 대형인지, 아니면 중소형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 단계는 실질적으로는 해당 상품에 대해 체적값을 기준으로 중량 측정이 필요한 상품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로 이해될 수 있다. After step S101,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oduct is a product requiring weight measurement based on the measured volume value may be executed. This step is a step that can be performed by the volume measuring unit 110 or the control unit 170 receiving the volume value from the volume measuring unit 110. For example, in this step, based on the measured volume value of the product, the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product is a small and medium-sized product, a large product, or a variant product. If the product is judged to be a different type or a large product in terms of volume value, there is no need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product, and you can proceed with a different type or a large suit, respectively.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weight because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sort products that have a small volume but have a lot of weight. 4 shows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oduct measured by volume in step S102 is a different type, large size, or small or medium size, but this step is actually a product requiring weight measurement based on the volume value for the product It can be understood a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it is recognized.

S102 단계에서, 만일 해당 상품이 중량 측정이 필요 없는 상품(도면에서는 대형 또는 이형 상품)으로 판단되었다면 해당 상품은 중량 측정 단계를 생략한 채 곧바로 소팅부(150)에 분류(S105)될 수 있다. In step S10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duct is a product that does not require measurement of weight (large or deformed product in the drawing), the product may be directly sorted by the sorting unit 150 while omitting the weight measurement step (S105).

그러나 S102 단계에서 중량 측정이 필요한 상품으로 판단되었다면, 뒤이어 중량 측정 단계(S103)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단계는 중량 측정부(130)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로, 앞서 도 3에서의 설명에서 언급한 것처럼 상품이 로드셀(load cell) 위를 통과할 때에 그 중량이 측정될 수 있다. 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duct needs to be weighed in step S102, the weighing step (S103) may be performed subsequently. This step is a step executed by the weight measuring unit 130, and as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in FIG. 3 above, the weight may be measured when the product passes over the load cell.

한편, S103 단계의 더 세부 단계들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5를 참고할 때 S103 단계는 다시 상품 진입을 감지하는 단계(S1031), 상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S1032), 측정된 중량을 보정하는 단계(S10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 진입을 감지하는 단계(S1031)는 중량 측정부(130)에 앞서 구비되어 있는 상품감지부(19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S1032)는 중량 측정부(130)에 의해, 그리고 측정된 중량을 보정하는 단계(S1033)는 중량 측정부(130) 또는 제어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중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S1032)와 측정된 중량을 보정하는 단계(S1033)에 대해서는 뒤에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여기서는 다시 도 4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가 도 4에 대한 설명을 마저 마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more detailed steps of step S103 are shown in FIG. 5. Referring to FIG. 5, step S103 is again a step of detecting entry into the product (S1031), a step of measuring the weight of the product (S1032), and the measured weight. It may include a step of correcting (S1033). The step (S1031) of detecting the product entry may be performed by the product detection unit 190 provided before the weight measurement unit 130, and the step (S1032) of measuring the weight of the product is the weight measurement unit 130. and correcting the measured weight ( S1033 ) may be performed by the weight measurement unit 130 or the control unit 170 . Of these, the step of measuring the weight (S1032) and the step of correcting the measured weight (S103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and here, back to the description of FIG. 4 I would like to finish the explanation.

다시 도 4를 참고할 때, S103 단계 후에는 측정 및 보정된 중량이 기 설정된 값(M kg)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4)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단계는 중량 측정부(130) 또는 제어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단계로, 본 단계는 측정 및 보정된 중량값이 기 설정값 이상이면 특별히 취급에 있어 주의가 필요한 상품, 다시 말해 취급주의 상품으로 분류하기 위한 단계이다. 일 예시로 측정 및 보정된 상품 중량이 20kg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판단 결과 20kg 미만이라면 중소형 상품으로 판단하고, 20kg 이상이라면 이형 상품으로 판단하여 소팅부(150)에서의 분류(S105)가 위 결과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4 , after step S103 , a step S104 of determining whether the measured and corrected weigh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M kg) may be performed. This step is a step that can be performed by the weight measurement unit 130 or the control unit 170, and this step is a product requiring special attention in handling, that is, handling if the measured and corrected weight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value. This is a step to classify as a caution product. As an example,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measured and corrected product weight is 20 kg or more may be performed, an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less than 20 kg, it is determined as a small and medium-sized product, and if it is 20 kg or more, it is determined as a variant product, and in the sorting unit 150 Classification (S105) may be made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

이상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분류 방법의 일 실시예를 살펴 보았다. 앞서도 설명하였듯,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체적만을 측정하여 상품의 취급 주의 정도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체적 측정 및 중량 측정(보정)을 함으로써 체적이 작음에도 무거운 중량을 가지고 있어 작업장에서의 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상품을 분별해 내는 것을 하나의 중요한 특징으로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bove.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volume is measur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care in handling the product, but the volume measurement and weight measurement (correction) are performed to have a heavy weight even though the volume is small, which can lead to accidents in the workplace. It is an important feature to distinguish existing products.

이하에서는 앞서 미뤄두었던 중량 측정 단계(S1032) 및 중량 보정 단계(S1033)에 대한 세부 설명을 이어가기로 한다. 참고로, 중량 측정 단계(S1032) 및 중량 보정 단계(S1033)는 중량 측정부(130) 또는 제어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중량 측정부(130)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previously delayed weight measurement step (S1032) and weight correction step (S1033) will be continued. For reference, the weight measurement step ( S1032 ) and the weight correction step ( S1033 ) may be performed by the weight measurement unit 130 or the control unit 170 , preferably implemented to be performed by the weight measurement unit 130 . can

먼저 도 6은 중량 측정 단계(S1032)의 세부 단계들을 나열한 것이다. 도 6을 참고할 때, 중량 측정 단계(S1032)는 가장 먼저 복수 개의 중량값들을 획득하는 단계(S10321)부터 시작될 수 있다. 상품이 중량 측정부(130) 상을 통과할 때, 더 정확하게는 상품이 로드셀 위를 통과할 때 매우 짧은 시간 단위로 중량값들이 획득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중량값은 20ms(1초에 50번) 단위로 획득될 수 있다. First, Figure 6 lists detailed steps of the weight measurement step (S1032). Referring to FIG. 6 , the step of measuring the weight ( S1032 ) may start from the step of first acquiring a plurality of weight values ( S10321 ). When the product passes on the weight measuring unit 130, more precisely, when the product passes over the load cell, weight values can be obtained in a very short time unit, for example, the weight value is 20 ms (in 1 second). 50) units.

S10321 단계 후에는 n개(n은 임의의 양수)의 중량값들(바람직하게는 연속된 중량값들임)이 첫 번째 윈도우(1번째 윈도우, 또는 제1 윈도우로도 칭해질 수 있음)로 정의되는 단계(S10322)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어서 상기 첫 번째 윈도우의 중량값들 중에서 최대값(max value)을 제1 최대값으로 정의하는 단계(S10323)가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윈도우란 복수 개의 중량값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집합으로도 이해할 수 있으며, 뒤에서 이해할 수 있듯 이러한 윈도우 개념의 정의는 복수 개의 시계열적으로 연속된 값들 중 최대가 되는 값을 얻기 위함이다. After step S10321, n (n is any positive number) weight values (preferably consecutive weight values) are defined as the first window (which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window or the first window). Step S10322 may be performed, and then step S10323 of defining a maximum value among the weight values of the first window as a first maximum value may be performed. At this time, the window can be understood as a set including a plurality of weight values, and as will be understood later, the definition of the window concept is to obtain a maximum value among a plurality of time-series continuous values.

한편, 제1 윈도우 및 제1 최대값이 정의된 후에는 다시 상기 중량값들 중 n개(이 때 n개의 중량값들은, 제1 윈도우 내 첫 번째 중량값보다 시계열적으로 차순위의 중량값을 시작값으로 함)의 중량값이 두 번째 윈도우로 정의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어서 상기 두 번째 윈도우의 중량값들 중 최대값을 제2 최대값으로 정의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first window and the first maximum value are defined, n of the weight values (in this case, the n weight values start with the next weight value in time series from the first weight value in the first window) The step of defining the weight value of the second window as the value) may be performed, and then the step of defining the maximum value among the weight values of the second window as the second maximum value may be performed.

한편, 제2 윈도우 및 제2 최대값이 정의된 후에는 제1 윈도우의 제1 최대값 과의 변화량을 연산하여 변화량이 0 또는 음수이면 직전 최대값(여기서는 제1 최대값)을 피크값(peak value)으로 설정하게 되며, 만일 변화량이 0보다 크다면 다시 슬라이딩 방식으로 n개의 중량값들을 제3 윈도우로 정의하고 이 중 최대값을 제3 최대값으로 정의하여 제2 최대값과의 변화량 비교를 하게 된다. 직전 단계 윈도우의 최대값과 현재 단계 윈도우의 최대값 간 변화량이 0보다 큰 경우 위 연산 과정은 반복되는데, 이를 굳이 규칙에 따른 단계들로 나열하자면 도 6의 S10324단계 내지 S10327단계처럼 표시할 수 있다. 즉, 1번째 윈도우 및 제1 최대값이 구해진 이후에는 n개의 중량값들을 i번째(i는 2 이상의 정수) 윈도우로 정의하는 단계(S10324), i번째 윈도우 내에서 최대값을 찾아 정의하는 단계(S10325), 제i-1 최대값과 제i 최대값을 비교하여 변화량이 0 또는 음수인지 판단하는 단계(S10326), 변화량이 0 또는 음수라면 제i-1 최대값을 피크값으로 설정(S10327)하고, 변화량이 0보다 크다면 다시 S10324단계로 회귀하여 연산을 반복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피크값은 보정이 이루어지기 전 상기 상품의 최종 중량 측정값이 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second window and the second maximum value are defined, the amount of change of the first window with the first maximum value is calculated. value), and if the amount of change is greater than 0, define n weight values as the third window in a sliding method again, and define the maximum value among them as the third maximum value to compare the change amount with the second maximum value. will do If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maximum value of the previous step window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current step window is greater than 0, the above calculation process is repeated. . That is, after the first window and the first maximum value are obtained, defining the n weight values as the i-th window (i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S10324), finding and defining the maximum value within the i-th window (S10324) S10325), determining whether the change amount is 0 or negative by comparing the i-1 maximum value with the i-th maximum value (S10326), if the change amount is 0 or negative, setting the i-1 maximum value as the peak value (S10327) and, if the amount of change is greater than 0, a step of returning to step S10324 and repeating the calculation may be performed. In this case, the peak value may be the final weight measurement value of the product before the correction is made.

일 예시로, 임의의 상품에 대한 중량값이 a1부터 a50까지 획득되었다고 할 때, 제1 윈도우 내에는 a1부터 a45까지 45개의 중량값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중 a45가 제1 최대값으로 정의될 수 있고, 제2 윈도우 내에는 a2부터 a46까지 45개의 중량값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중 a46이 제2 최대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1 최대값인 a45와 제2 최대값인 a46 간 변화량이 연산될 수 있으며, 만일 a46이 더 큰 값을 가져 변화량이 음수인 경우 상기 a45가 피크값으로 결정될 수 있고, 만일 a45가 더 큰 값을 가져 변화량이 0보다 클 경우에는 다시 a3부터 a47까지 45개의 중량값들을 포함하는 제3 윈도우, 그리고 제3 윈도우 내 최대값인 제3 최대값을 찾는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As an example, when it is assumed that weight values a1 to a50 are obtained for an arbitrary product, 45 weight values from a1 to a45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window, of which a45 is to be defined as the first maximum value. In addition, 45 weight values from a2 to a46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window, and among them, a46 may be defined as the second maximum value. Also,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first maximum value a45 and the second maximum value a46 may be calculated, and if a46 has a larger value and the change amount is negative, a45 may be determined as a peak value, When the variation is greater than 0 due to a large value, the process of finding a third window including 45 weight values from a3 to a47 and a third maximum value that is a maximum value within the third window may be repeated.

한편, 도 6의 중량 측정 방법이 수행된 후에는 측정된 중량값에 대한 보정이 수행될 수 있는데, 이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after the weight measurement method of FIG. 6 is performed, the measured weight value may be corrected, which is illustrated in FIG. 7 .

도 7은 도 5의 중량 보정 단계(S1033)를 세분화 한 것으로, 이를 참고할 때 중량 보정 단계는 가장 먼저 앞서 결정된 피크값 및 시계열 상에서 피크값 직전에 획득되었던 m개(m은 임의의 양수)의 중량값들이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입력되는 단계(S10331)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크값이 a45라 할 때, 인공지능 알고리즘에는 a45 ~ a36까지 10개의 중량값들이 입력될 수 있다. 7 is a subdivision of the weight correction step ( S1033 ) of FIG. 5 , and when referring to this, the weight correction step is the first determined peak value and the weight of m (m is an arbitrary positive number) obtained immediately before the peak value on the time series. It may start from the step S10331 in which values are input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For example, when the peak value is a45, 10 weight values ranging from a45 to a36 may be input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피크값 및 그 직전 m개의 중량값들이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입력된 이후에는,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의해 중량값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S10332) 이 때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시계열 데이터에 대해 좋은 성능을 보이는 LSTM일 수 있으며, 인공지능 알고리즘 모델의 성능 일반화 및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LSTM을 여러 층으로 쌓은 Stacked LSTM 및 Batch Normalization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정리하면, 인공지능 알고리즘(예. LSTM)에는 복수 개(피크값 및 그 직전 m개)의 중량값들이 시계열 순서대로 입력(input)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출력(output)으로는 앞서 입력된 중량값들을 기반으로 현재 상태값(input)의 경향(인공지능 알고리즘(LSTM)이 학습에 의해 획득한 시계열적 특성)을 고려하여 예측된 차순위의 중량값이 획득될 수 있다.After the peak value and the m weight values immediately preceding it are input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the weight value may be corrected b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S10332) In this case, the AI algorithm may be an LSTM that shows good performance on time series data, and in order to generalize the performance of the AI algorithm model and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 the Stacked LSTM and Batch Normalization technique in which LSTMs are stacked in multiple layers will be used. can In summary, a plurality of weight values (the peak value and m immediately before it) may be input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eg, LSTM) in time series order, and as an output, the previously input weight may be input. Based on the values, the predicted next-order weight value may be obtained in consideration of the trend of the current input (a time-series characteristic obtained by learning by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LSTM)).

한편, S10332 단계에서 보정된 중량값은 최종적으로 상기 중량 측정부(130)를 통과하는 상품의 중량값으로 결정(S10333)될 수 있다. Meanwhile, the weight value corrected in step S10332 may be finally determined as the weight value of the product passing through the weight measurement unit 130 ( S10333 ).

참고로 LSTM(Long Short-Term Memory)은 RNN의 한 종류로 RNN과 비슷한 로직으로 실행되나, LSTM은 장기기억을 보존하는 기능을 더 갖추고 있는 점에서 RNN과 차이가 있다. LSTM은 시간 단위로 입력 노드를 통해 들어오는 데이터를 입력, 저장,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일반 DNN 대비 장기기억에 대한 참고가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RNN 대비 Vanishing Gradient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학습 데이터의 증감에 의해 인식률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or reference, LSTM (Long Short-Term Memory) is a type of RNN and is executed with similar logic to RNN, but LSTM is different from RNN in that it has a function of preserving long-term memory. LSTM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easier to refer to long-term memory compared to general DNN by controlling to input, store, and output data coming through the input node in units of tim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recognition rate.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상품분류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and a system for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application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these modifications are not to be understood as being distinct from the spirit or vi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블록도와 순서도에 포함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성들은 상기 구성들 사이의 논리적인 경계를 의미한다. 그러나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된 구성들과 그 기능들은 독립형 소프트웨어 모듈, 모놀리식 소프트웨어 구조, 코드, 서비스 및 이들을 조합한 형태로 실행되며,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 등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어 그 기능들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모든 실시 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In particular, the components implement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d in the block diagrams and flowchar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 mean logical boundaries between the components. 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software or hardware, the illustrated components and their functions are executed in the form of stand-alone software modules, monolithic software structures, codes, services,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can execute stored program codes, instructions, etc. Since the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by being stored in an executable medium in a computer having a processor, all such embodiments should also be regard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첨부된 도면과 그에 대한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는 하나, 이러한 기술적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특정 배열이 분명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단순히 추론되어서는 안 된다. 즉, 이상에서 기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그러한 실시 예들이 본 발명과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보유하면서 일부 변형될 수 있으므로,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although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s thereof describe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should not be simply inferred unless a specific arrangement of software for implementing these technical features is clearly mentioned. That is,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exist, and since such embodiments may be partially modified while retaining the same technical characteristics as th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should also be regard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순서도의 경우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것으로서, 도시된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반드시 실행되어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반드시 실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 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flowchart, the operations are depicted in the drawings in a specific order, but this is illustrated in order to obtain the most desirable resul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In certain cas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can be advantageous. In addition, the separation of various system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quiring such separat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described are generally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in multiple software produc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packaged.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실시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such, this specifica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by the specific terminology presented. Therefor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odify, change and deformation can be applie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11 (종래)체적 측정부
15 (종래)소팅부
110 체적 측정부 130 중량 측정부 150 소팅부
170 제어부 190 상품감지부
11 (conventional) volume measurement unit
15 (conventional) sorting unit
110 Volume measuring unit 130 Weight measuring unit 150 Sorting unit
170 Control unit 190 Product detection unit

Claims (16)

상품을 분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품의 체적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상품이 중량 측정이 필요한 상품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중량 측정이 필요한 상품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상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d) 측정 결과 상기 상품의 중량이 기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상품을 기 정해진슈트로 분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품 분류 방법.
In the method of classifying a product,
(a) measuring the volume of the product;
(b) determining whether the product is a product requiring weight measurement;
(c)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duct requires weight measurement, measuring the weight of the product;
(d) classifying the product into a predetermined suit if the weight of the produc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containing,
How to classify goo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상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의 중량을 보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분류 방법.
According to claim 1,
Step (c) is,
measuring the weight of the product; and
correcting the weight of the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How to classify good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이전,
상기 상품이 중량 측정을 위해 중량 측정부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분류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Before the step of measuring the weight of the product,
detecting that the product enters the weight measurement unit for weight measur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How to classify good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는,
(c21)복수 개의 시계열 중량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c22) n개의 중량값들을 1번째 윈도우로 정의하는 단계;
(c23) 상기 1번째 윈도우 내에서의 최대값(max value)을 제1 최대값으로 정의하는 단계;
(c24) i-1번째(상기 i는 2부터 시작하여 회귀수에 따라 증가하는 정수임) 윈도우 내 첫 번째 중량값의 차순위 중량값을 시작으로 n개의 중량값들을 i번째 윈도우로 정의하는 단계;
(c25) 상기 i번째 윈도우 내에서의 최대값을 제i 최대값으로 정의하는 단계;
(c26) 제i-1 최대값 및 제i 최대값 간 변화량이 0 이하의 값인 경우, 제i-1 최대값을 피크값(peak value)으로 정의하고, 변화량이 0 초과의 값인 경우 (c24)단계로 회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분류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tep of measuring the weight of the product,
(c21) acquiring a plurality of time series weight values;
(c22) defining n weight values as a first window;
(c23) defining a maximum value within the first window as a first maximum value;
(c24) defining n weight values as the i-th window starting with the next-order weight value of the first weight value in the i-1th window (i is an integer that increas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gressions starting from 2);
(c25) defining a maximum value within the ith window as an ith maximum value;
(c26) When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i-1 maximum value and the i-th maximum value is a value of 0 or less, the i-1 maximum value is defined as a peak value, and when the amount of change is a value greater than 0 (c24) returning to the st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How to classify good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크값이 정의될 때까지 상기 (c24)단계 내지 (c26)단계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분류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tep of measuring the weight of the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s (c24) to (c26) are repeated until the peak value is defined,
How to classify good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중량을 보정하는 단계는,
(c31) 상기 피크값, 및 상기 피크값 이전의 m개(m은 2 이상의 정수)의 중량값들을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입력시키는 단계;
(c32)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한 중량값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분류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p of correcting the weight of the product,
(c31) inputting the peak value and m weight values before the peak value (m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into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c32) performing weight value correction us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How to classify goo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상품의 체적이 기 설정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중소형 상품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분류 방법.
.
According to claim 1,
Step (b)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oduct is a small or medium-sized product according to whether the volume of the product is included in a preset range,
How to classify goods.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상품의 중량이 기 설정값 이상이면 이형(異形) 상품들을 분류하기 위한 슈트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분류 방법.
According to claim 1,
Step (d) is,
If the weight of the produc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lassified as a suit for classifying different types of products,
How to classify goods.
로드셀(load cell)을 통과하는 상품의 상품 중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s1) n개의 중량값들을 k번째(k는 2부터 시작하여 회귀수에 따라 증가하는 정수임) 윈도우로 정의하는 단계;
(s2) 상기 k번째 윈도우 내에서의 최대값을 제k 최대값으로 정의하는 단계;
(s3) 상기 제k 최대값과 제k-1번째 윈도우의 최대값인 제k-1 최대값을 비교한 결과, 변화량이 0 이하의 값이면, 제k 최대값을 피크값으로 정의하고, 변화량이 0 초과의 값이면 상기 (s1)단계로 회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회귀 후 (s1) 단계에서의 n개의 중량값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k번째 윈도우 내 최초 시점의 중량값 대비 시계열적으로 후순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중량 측정 방법.
In the method of measuring the product weight of the product passing through a load cell,
(s1) defining n weight values as a k-th window (k is an integer starting from 2 and increas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gressions);
(s2) defining a maximum value within the k-th window as a k-th maximum value;
(s3)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k-th maximum value with the k-1 th maximum value, which is the maximum value of the k-1 th window, if the change amount is 0 or less, the k-th maximum value is defined as a peak value, and the change amount If this value is greater than 0, including the step of returning to step (s1),
At least one of the n weight values in the step (s1) after regres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ower priority in time series than the weight value of the first time in the k-th window,
How to weigh good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값이 정의될 때까지 상기 (s1)단계 내지 (s3)단계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중량 측정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s (s1) to (s3) are repeated until the peak value is defined,
How to weigh good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에서 피크값이 정의된 후,
상기 피크값, 및 상기 피크값 이전의 m개(m은 2 이상의 정수임)의 중량값들을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입력시켜 중량값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상품 중량 측정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After the peak value is defined in step (s3),
performing weight value correction by inputting the peak value and m weight values before the peak value (m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into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further comprising,
How to weigh goods.
상품 분류 시스템에 있어서,
이송수단을 통해 통과하는 상품들의 체적을 측정하는 체적 측정부;
상기 이송수단을 통해 통과하는 상품들 중 측정된 체적값을 기준으로 중량 측정이 필요한 상품으로 분류된 상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부;
체적 측정부 또는 중량 측정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상품을 복수 개의 슈트들 중 어느 하나의 슈트로 분류하는 소팅부;를 포함하는,
상품 분류 시스템.
In the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
a volum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volume of goods passing through the conveying means;
a weight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weight of a product classified as a product requiring weight measurement based on a measured volume value among products passing through the transport means;
A sorting unit for classifying the product into any one suit among a plurality of suits according to the data received from the volume measurement unit or the weight measurement unit; including,
Commodity classification system.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측정부는, 체적이 기 설정된 중소형 상품의 체적범위에 포함되는 상품에 대해 중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분류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weight measur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product included in the volume range of the preset small and medium-sized product,
Commodity classification system.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팅부는,
상기 중량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품의 중량이 기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상품이 기 정해진 슈트로 분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분류 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orting unit,
If the weight of the product measured by the weight measurement un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the product is classified into a predetermined suit,
Commodity classification system.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측정부에 앞서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중량 측정부로의 상품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부;
를 더 포함하는,
상품 분류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a sensing unit which is provided before the weight measurement unit and detects product entry into the weight measurement unit;
further comprising,
Commodity classification system.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측정부는,
(t21)상기 중량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복수 개의 시계열 중량값들을 수신하는 단계;
(t22)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중량값들을 1번째 윈도우로 정의하는 단계;
(t23) 상기 1번째 윈도우 내에서의 최대값(max value)을 제1 최대값으로 정의하는 단계;
(t24) i-1번째(상기 i는 2부터 시작하여 회귀수에 따라 증가하는 정수임) 윈도우 내 첫 번째 중량값의 차순위 중량값을 시작으로 n개의 중량값들을 i번째 윈도우로 정의하는 단계;
(t25) 상기 i번째 윈도우 내에서의 최대값을 제i 최대값으로 정의하는 단계;
(t26) 제i-1 최대값 및 제i 최대값 간 변화량이 0 이하의 값인 경우, 제i-1 최대값을 피크값(peak value)으로 정의하고, 변화량이 0 초과의 값인 경우 (t24)단계로 회귀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피크값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회귀 후 (t24) 단계에서의 n개의 중량값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i번째 윈도우 내 최초 시점의 중량값 대비 시계열적으로 후순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분류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weight measurement unit,
(t21) receiving a plurality of time series weight values measured by the weight measurement unit;
(t22) defining n weight values (n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as a first window;
(t23) defining a maximum value within the first window as a first maximum value;
(t24) defining n weight values as the i-th window starting with the next-order weight value of the first weight value in the i-1th window (where i is an integer that increas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gressions starting from 2);
(t25) defining a maximum value within the ith window as an ith maximum value;
(t26) When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i-1 maximum value and the i-th maximum value is 0 or less, the i-1 maximum value is defined as a peak value, and when the amount of change is a value greater than 0 (t24) Characterized in defining the peak value by performing the step of regressing to the step,
At least one of the n weight values in the step (t24) after regres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ower priority in time series than the weight value of the first time in the i-th window,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

KR1020200155492A 2020-11-19 2020-11-19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product volume value and corrected weight value KR1024434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492A KR102443470B1 (en) 2020-11-19 2020-11-19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product volume value and corrected weight valu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492A KR102443470B1 (en) 2020-11-19 2020-11-19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product volume value and corrected weight val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153A KR20220069153A (en) 2022-05-27
KR102443470B1 true KR102443470B1 (en) 2022-09-16

Family

ID=81791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492A KR102443470B1 (en) 2020-11-19 2020-11-19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product volume value and corrected weight valu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47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483B1 (en) * 2019-10-08 2020-10-08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Automatic goods classif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0665A (en) * 1994-03-17 1995-10-13 Hitachi Ltd Non-ferrous metal separator
KR100515207B1 (en) * 2003-06-04 2005-09-16 세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 parcel without a receptionist
KR100861382B1 (en) 2006-12-28 2008-10-01 주식회사 코로텍소팅시스템 Consignments separat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483B1 (en) * 2019-10-08 2020-10-08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Automatic goods classif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153A (en)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2200599B2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orting items using a dynamically configurable sorting array
US10898926B2 (en) Dynamic tray spacing
JP6711903B2 (en) Fraud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9599503B2 (en) Checkweighing devic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WO2021136510A1 (en) Data acquisition system, method,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2443188B1 (en) Freight classify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40103447A1 (en) Product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2443470B1 (en)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product volume value and corrected weight value
KR102283197B1 (en) A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type of product
US20240139778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sorting operations
KR101951412B1 (en) System for compensating weight in selector
KR102390557B1 (en) Freight classify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473730B1 (en) Courier sorting and conveying system
CN116273917B (en) Data tracking control method
KR102443480B1 (en) Modular sorting system and product sorting method using the conveyor extension
KR102357783B1 (en)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and system to prevent misclassification of products placed in close proximity
KR102426472B1 (en)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and system to prevent misclassification
US20210024227A1 (en) Workload calculation system
KR20120068641A (en) Commodity automation sytstem through barcode recognition
US11814248B2 (en)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objects within a conveyor zone
JP3611674B2 (en) Article sorting method
JP5554189B2 (en) Weighing conveyor device
KR20230127635A (en) Freight sor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RU199701U1 (en) Intelligent hardware and software module "Sorter"
EP4371912A1 (en) Assembly for distributing items and automated item recogni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