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190B1 - 물 순환 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 순환 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190B1
KR102443190B1 KR1020210031568A KR20210031568A KR102443190B1 KR 102443190 B1 KR102443190 B1 KR 102443190B1 KR 1020210031568 A KR1020210031568 A KR 1020210031568A KR 20210031568 A KR20210031568 A KR 20210031568A KR 102443190 B1 KR102443190 B1 KR 102443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blocking
skimmer
su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균
오수림
신유정
채병민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31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4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bathing facilities, e.g. swimming p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순환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놀이형 수경 시설에 설치되는 물 순환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순환 정화 시스템은 물이 담긴 수조와, 수조의 내측면에 하부가 침지되게 부착되며,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스키머와, 스키머와 유입관을 통해 연결되며, 스키머의 내부로 유입된 물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펌프와, 펌프와 이동관을 통해 연결되며,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이물질을 여과하여 수조와 연결된 배출관으로 배출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 순환 정화 시스템{CYCLIC WATER PURIFICATION SYSTEMR}
본 발명은 물 순환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놀이형 수경 시설에 설치되는 물 순환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물놀이형 수경 시설은 수돗물, 지하수 등을 인위적으로 저장 및 순환하는 분수, 연못 등 인공시설물 중 일반인에게 개방하여, 신체와 접촉하여 물놀이하도록 설치 및 운영되는 시설로서, 놀이 장소와 휴식 공간으로서 인기를 얻고 있다.
물놀이형 수경 시설은 대부분 야외에 설치되며,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곳으로, 물이 쉽게 오염되어 위생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기적은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물의 순환과 정화를 동시에 실시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나, 종래의 시스템은 두개의 수조를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하나의 수조로 이루어진 기존의 수경 시설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설치비용과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국내에선 정수기 시장이 매년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폐기되는 폐필터의 양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폐필터는 대부분 정수능력이 남아있는 채로 버려지고 있으며, 매립, 소각 등의 방법으로 폐기되고 있다. 현재, 연간 폐필터 폐기 비용으로 약 12억원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추가 수조의 시공 없이 기존의 수경 시설에 용이하게 적용 가능하며, 정수기 폐필터를 활용할 수 있는 물 순환 정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46879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추가 수조의 시공 없이 기존의 수경 시설에 용이하게 적용 가능하며, 정수기 폐필터를 활용할 수 있는 물 순환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물이 담긴 수조와, 수조의 내측면에 하부가 침지되게 부착되며,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스키머와, 스키머와 유입관을 통해 연결되며, 스키머의 내부로 유입된 물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펌프와, 펌프와 이동관을 통해 연결되며,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이물질을 여과하여 수조와 연결된 배출관으로 배출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물 순환 정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키머는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부 개구와 하부 개구가 형성되며, 상부 개구와 하부 개구를 연결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부 개구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힌지축을 기준으로 시소 운동하는 한 쌍의 차단부와, 베이스부의 상면에 결합되며, 차단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메시망부와, 메시망부의 내부에서 수면에 부유하며 차단부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부유부와, 베이스부의 측면을 관통하여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한 쌍의 흡입관을 포함하고, 수면이 메시망부에 위치하면, 차단부는 부유부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어 내부공간의 중심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부 개구를 개방하며, 수면이 메시망부보다 낮게 위치하면, 차단부는 부유부에 의해 가압되어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부 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키머는 흡입관이 관통된 측면에 흡입관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이동 가이드부와, 한 쌍의 이동 가이드부 사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차단부와 로프에 의해 연결되어 차단부의 시소 운동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이동부는 로프와 결합되며, 흡입관과 대응되게 위치 시 흡입관을 폐쇄하는 평판 형상의 차단 플레이트와, 차단 플레이트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며, 흡입관과 대응되게 위치 시 흡입관을 개방하며, 흡입관을 통과하는 물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메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부 개구가 폐쇄되면, 메시 플레이트는 흡입관과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차단부는 힌지축이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어, 부유부에 의한 가압 해제 시 자중에 의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관에 양단이 결합되어 이동관을 따라 이동하는 물의 일부가 유입되며, 적어도 일부가 펌프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를 이동하는 물과의 열교환을 통해 펌프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펌프의 구동에 따라 수조 내 물이 스키머, 유입관, 펌프, 이동관, 필터 및 배출관을 순차적으로 거치며 정화되어 다시 수조로 돌아가는 순환 사이클이 형성되기 때문에, 하나의 수조로 이루어진 기존의 수경 시설에 추가 수조의 설치 없이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스키머가 내부로 물의 유입을 유도하는 복수의 경로를 구비하고 수면의 높이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를 개폐하기 때문에, 물의 유입과 배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순환 사이클 또한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순환 정화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순환 정화 시스템의 스키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순환 정화 시스템의 스키머를 도시하는 단면도서, 상부 개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순환 정화 시스템의 스키머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상부 개구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순환 정화 시스템의 스키머의 내측면을 도시하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순환 정화 시스템의 스키머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순환 정화 시스템(1)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물 순환 정화 시스템(1)은 수조(10), 스키머(20), 유입관(30), 펌프(40), 이동관(50), 필터(60) 및 배출관(7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조(10)는 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공간(11)과 연동되게 유입관(30)과 배출관(70)이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수조(10)는 수경 시설을 이루는 구성일 수 있다.
스키머(20)는 수조(10) 내에 마련되어 하부가 침지되도록 수용공간(11)의 일측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하부에 유입관(30)이 결합될 수 있다. 스키머(20)는 외부에서 내부로 물의 유입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고, 이물질이 여과된 물을 유입관(30)을 통해 펌프(40)로 배출할 수 있다.
유입관(30)은 수조(10)의 하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스키머(20)와 펌프(40)를 연결하여 스키머(20)에 의해 이물질이 여과된 물을 펌프(40)로 안내할 수 있다. 수조(10) 내에서 유입관(30)은 배출관(70)과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으며, 그 단부가 배출관(70)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펌프(40)는 수조(10)의 외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스키머(20)의 내부로 유입되어 이물질이 여과된 물을 유입관(30)을 통해 강제로 흡입하고, 이동관(50)을 통해 필터(60)로 배출할 수 있다.
이동관(50)은 수조(10)의 외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펌프(40)와 필터(60)를 연결하여 펌프(4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필터(60)로 안내할 수 있다.
필터(60)는 수조(10)의 외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동관(50)과 배출관(7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필터(60)는 이동관(50)을 따라 이동한 물이 내부로 유입 가능하며,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이물질을 여과하고, 이물질의 여과된 물을 배출관(70)을 통해 수조(10)로 배출할 수 있다.
필터(60)는 복수의 필터부(61 내지 63)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호 인접한 한 쌍의 필터부를 연결하는 연결관(64, 65)에 의해 연결 구성될 수 있다. 즉, 이동관(50)을 따라 이동한 물은 복수의 필터부(61 내지 63)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다.
배출관(70)은 수조(10)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필터(60)와 수조(10)를 연결하여 필터(60)에 의해 이물질이 여과된 물을 수용공간(11)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수용공간(11)에서 스키머(20)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스키머(20)를 통과하며 일차적으로 이물질이 여과되고, 유입관(30) 및 이동관(50)을 통해 필터(60)로 이동될 수 있으며, 필터(60)를 통과하며 이차적으로 이물질이 여과되어 배출관(70)을 통해 수조(10)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펌프(40)의 구동에 따라 물이 스키머(20), 유입관(30), 펌프(40), 이동관(50), 필터(60) 및 배출관(70)을 순차적으로 거쳐 정화되어 다시 수조(10)로 돌아가는 순환 사이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물 순환 정화 시스템(1)은 냉각관(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관(80)은 양단이 펌프(40)와 필터(60) 사이에 위치한 이동관(50)에 일정 거리를 두고 결합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펌프(40)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나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냉각관(80)의 유로는 이동관(50)의 유로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관(50)과 냉각관(80) 사이에는 이동관(50)과 냉각관(80)의 연통을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밸브(8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관(50)으로 유입되는 물은 밸브(81)의 상태에 따라 전체가 이동관(50)을 따라 이동되거나 일부가 냉각관(80)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냉각관(80)으로 유입되는 물은 열교환에 의해 펌프(40)의 온도를 낮춘 후 이동관(50)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순환 정화 시스템(1)의 스키머(2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키머(20)는 베이스부(21), 차단부(22), 메시망부(23), 부유부(24) 및 흡입관(25)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21)는 상면에 상부 개구(211)가 형성되고 하면에 하부 개구(212)가 형성되며, 상부 개구(211)와 하부 개구(212)를 연결하는 내부공간(2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부(21)는 수조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하부 개구(212)에 유입관(30)이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부(21)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면에 마련된 점착패드(215)에 의해 수조(10)의 내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21)는 내부공간(213)에 일정한 눈의 크기를 갖는 체 형태의 여과망(2131)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차단부(22)는 베이스부(21)의 상면에 회동축(22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부 개구(211)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회동축(221)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차단부(22)는 상부 개구(211)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차단부(22)는 회동축(221)이 편심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자중에 의해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차단부(22)는 회동축(221)을 기준으로 상부 개구(211)와 대응되게 위치하는 제1영역(222)과 베이스부(21)의 상면과 대응되게 위치하는 제2영역(223)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영역(222)은 제2영역(223)보다 넓을 수 있다.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 회동축(221)으로 인해, 차단부(22)는 일정힘 이상의 외력 작용 시 제2영역(223)이 베이스부(21)의 상면과 맞닿으며,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부 개구(211)를 폐쇄할 수 있으며, 일정힘 이상의 외력 미작용 시 제2영역(223)이 베이스부(21)의 상면과 이격되며,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부 개구(211)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차단부(22)는 경사지게 배치 시, 내부공간(213)의 중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차단부(22)가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1영역(222)은 상부 개구(21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고, 차단부(22)가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1영역(222)은 상부 개구(211)를 통해 내부공간(213)으로 삽입될 수 있다.
메시망부(23)는 차단부(22) 및 부유부(24)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개구된 공간(232)을 가질 수 있으며, 베이스부(21)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메시망부(23)의 상단부(231)는 내부에 수용된 부유부(24)가 이탈되지 않도록 내측을 향해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메시망부(23)는 물이 통과 가능하도록 일정한 눈의 크기를 갖는 체 형태로 형성되어, 공간(232)으로 유입되는 물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이때, 메시망부(23)의 눈의 크기는 여과망(2131)의 눈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부유부(24)는 수면에 부유 가능하게 형성되어 수면의 높이에 따라 메시망부(23)의 공간(232)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며 차단부(22)를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할 수 있다. 부유부(24)는 메시망부(23) 내 공간(232)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중앙에 중공(24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흡입관(25)은 내부공간(213)을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게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21)의 측면을 관통하여 내부공간(213)과 연통될 수 있다. 이때, 흡입관(25)은 수조의 하부에 도달 가능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본 발명에서 수조(10)의 물은 메시망부(23)를 통과한 후 상부 개구(211)를 통해 내부공간(213)으로 유입되거나, 흡입관(25)을 통해 내부공간(213)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이 메시망부(23)에 위치하여 부유부(24)가 수면에 부유하는 경우, 차단부(22)는 부유부(24)에 의한 가압이 작용하지 않아 그 자중에 의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 개구(211)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수조(10)의 물은 상부 개구(211)를 통해 내부공간(213)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이 메시망부(23)보다 낮게 위치하여 부유부(24)가 수면에 부유하지 않는 경우, 차단부(22)는 부유부(24)에 의해 가압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며, 상부 개구(211)를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수조(10)의 물은 흡입관(25)을 통해 내부공간(213)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스키머(20)에 대한 수면의 높이에 따라 상부 개구(211)의 개폐 여부 및 정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흡입관(25)을 통해 내부공간(213)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도 달리질 수 있다.
한편, 내부공간(213)으로 유입된 물은 여과망(2131)을 통과하여 하부 개구(212)를 통해 유입관(30)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스키머(20)는 이동 가이드부(26), 이동부(27) 및 로프(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가이드부(26)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흡입관(25)이 관통된 베이스부(21)의 내측면(21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이동 가이드부(26)는 흡입관(25)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동부(27)는 한 쌍의 이동 가이드부(26) 사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흡입관(25)을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로프(28)는 일단부가 이동부(27)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차단부(22)와 연결되어, 차단부(22)의 시소 운동에 따라, 이동부(27)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부(27)는 사각판 형상의 차단 플레이트(271) 및 차단 플레이트(271)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는 메시 플레이트(272)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 플레이트(271)가 흡입관(25)과 대응되게 위치하면 흡입관(25)은 폐쇄될 수 있으며, 메시 플레이트(272)가 흡입관(25)과 대응되게 위치하면 흡입관(25)은 개방될 수 있다.
차단부(22)가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플레이트(271)는 여과망(2131)에 의해 지지되어 흡입관(25)과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으며, 흡입관(25)은 폐쇄될 수 있다. 이때, 차단부(22)의 경사진 각도에 따라, 차단 플레이트(271)는 흡입관(25)을 완전히 폐쇄하거나 일부 폐쇄할 수 있다.
차단부(22)가 수평하게 배치되는 경우,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 플레이트(272)는 로프(28)의 당김에 의해 상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흡입관(25)과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으며, 흡입관(25)은 개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부 개구(211)의 개폐 여부에 따라 흡입관(25)의 개폐 여부가 결정될 수 있으며, 상부 개구(211)의 개방 정도에 따라 흡입관(25)의 개방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순환 정화 시스템(1)의 스키머(20)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의 (a)는 스키머(20)가 위치하는 수조(10)의 수면이 메시망부(23)에 위치하는 상태로, 한 쌍의 차단부(22)는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부 개구(211)를 개방할 수 있으며, 차단 플레이트(271)는 흡입관(25)을 완전히 페쇄하거나 일부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스키머(20)가 위치하는 수조(10)내 물은 메시망부(23)를 통과하여 상부 개구(211)를 통해 내부공간(213)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흡입관(25)이 일부 폐쇄된 경우, 흡입관(25)을 통해서도 내부공간(213)으로 유입될 수 있다. 내부공간(213)으로 유입된 물은 하단 개구(212)를 통해 유입관(30)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6의 (b)는 스키머(20)가 위치하는 수조(10)의 수면이 메시망부(23)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상태로, 한 쌍의 차단부(22)는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부 개구(211)를 폐쇄할 수 있으며, 메시 플레이트(272)는 흡입관(25)과 마주보게 위치되어 흡입관(25)을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스키머(20)가 위치하는 수조(10)내 물은 흡입관(25)을 통해 내부공간(213)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내부공간(213)으로 유입된 물은 하단 개구(212)를 통해 유입관(30)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키머(20)는 내부로 물의 유입을 유도하는 복수의 경로를 구비하고 수면의 높이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를 개폐함에 따라, 물의 유입과 배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물 순환 정화 시스템
10 : 수조
20 : 스키머
30 : 유입관
40 : 펌프
50 : 이동관
60 : 필터
70 : 배출관

Claims (5)

  1. 물이 담긴 수조와,
    상기 수조의 내측면에 하부가 침지되게 부착되며,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스키머와,
    상기 스키머와 유입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스키머의 내부로 유입된 물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이동관을 통해 연결되며,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이물질을 여과하여 상기 수조와 연결된 배출관으로 배출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키머는,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부 개구와 하부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개구와 상기 하부 개구를 연결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개구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힌지축을 기준으로 시소 운동하는 한 쌍의 차단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차단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메시망부와,
    상기 메시망부의 내부에서 수면에 부유하며 상기 차단부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부유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한 쌍의 흡입관을 포함하며,
    수면이 상기 메시망부에 위치하면, 상기 차단부는 상기 부유부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중심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부 개구를 개방하고,
    수면이 상기 메시망부보다 낮게 위치하면, 상기 차단부는 상기 부유부에 의해 가압되어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부 개구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순환 정화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머는,
    상기 흡입관이 관통된 측면에 상기 흡입관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이동 가이드부와,
    상기 한 쌍의 이동 가이드부 사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차단부와 로프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차단부의 시소 운동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로프와 결합되며, 상기 흡입관과 대응되게 위치 시 상기 흡입관을 폐쇄하는 평판 형상의 차단 플레이트와,
    상기 차단 플레이트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며, 상기 흡입관과 대응되게 위치 시 상기 흡입관을 개방하며, 상기 흡입관을 통과하는 물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메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개구가 폐쇄되면, 상기 메시 플레이트는 상기 흡입관과 대응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순환 정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힌지축이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부유부에 의한 가압 해제 시 자중에 의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순환 정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관에 양단이 결합되어 상기 이동관을 따라 이동하는 물의 일부가 유입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펌프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를 이동하는 물과의 열교환을 통해 상기 펌프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순환 정화 시스템.
KR1020210031568A 2021-03-10 2021-03-10 물 순환 정화 시스템 KR102443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568A KR102443190B1 (ko) 2021-03-10 2021-03-10 물 순환 정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568A KR102443190B1 (ko) 2021-03-10 2021-03-10 물 순환 정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3190B1 true KR102443190B1 (ko) 2022-09-13

Family

ID=83286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568A KR102443190B1 (ko) 2021-03-10 2021-03-10 물 순환 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1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1608B2 (en) * 2002-06-05 2005-10-04 Piscines Desjoyaux S.A. Compact filtering unit for a swimming pool basin
US20060070935A1 (en) * 2004-10-05 2006-04-06 Brosemer Brandyn J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swimming pool skimmer efficiency
KR101546879B1 (ko) 2015-02-26 2015-08-25 이랜드체육조경(주)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용 정화장치
JP2018091153A (ja) * 2016-11-30 2018-06-14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冷却ジャケ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水中モータポン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1608B2 (en) * 2002-06-05 2005-10-04 Piscines Desjoyaux S.A. Compact filtering unit for a swimming pool basin
US20060070935A1 (en) * 2004-10-05 2006-04-06 Brosemer Brandyn J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swimming pool skimmer efficiency
KR101546879B1 (ko) 2015-02-26 2015-08-25 이랜드체육조경(주)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용 정화장치
JP2018091153A (ja) * 2016-11-30 2018-06-14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冷却ジャケ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水中モータポン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2612A1 (en) Shower device with water recirculation and base section for such a shower device
JP2007319852A (ja) 泡沫排出レベル自動昇降制御装置
KR102443190B1 (ko) 물 순환 정화 시스템
KR101993310B1 (ko) 메소코즘 모사 시스템에 장착되는 실험수조
RU2009109689A (ru) Система деаэрации
KR101446272B1 (ko) 유수분리기
CN109432959A (zh) 一种逆流式多级喷淋装置
JP2018079441A (ja) ろ過装置、および、ろ過装置の運転方法
CN110467253A (zh) 势能生物污水净化器
CN110097701A (zh) 桶装水售水机
GB2128716A (en) Float valve
US3916458A (en) Swimming pool circulation system
TWM572790U (zh) Water cleaning device
CN220704687U (zh) 一种城镇清污分流排水装置
KR0138580B1 (ko) 여과부재 동시세척 연속 여과방법 및 여과장치
KR101290244B1 (ko) 폐수 처리장치
CN219261279U (zh) 一种水位自密封及环球调节下水系统
KR102459735B1 (ko) 반려 동물을 위한 정수 장치
JP2006132191A (ja) 汚水中継ポンプ設備
KR102683427B1 (ko) 수족관용 여과장치
CN210313899U (zh) 泥沙分级污水处理设备
CN220779359U (zh) 一种用于nmp废液提纯的设备
US20240042352A1 (en) Filter assembly and foreign substance discharge device including same
CN209815766U (zh) 一种防渣型滗水器
KR102060459B1 (ko)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