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123B1 -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123B1
KR102443123B1 KR1020220067794A KR20220067794A KR102443123B1 KR 102443123 B1 KR102443123 B1 KR 102443123B1 KR 1020220067794 A KR1020220067794 A KR 1020220067794A KR 20220067794 A KR20220067794 A KR 20220067794A KR 102443123 B1 KR102443123 B1 KR 102443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content list
content
memory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7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철
남궁두삼
김법수
Original Assignee
크리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리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7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12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123B1/en
Priority to PCT/KR2022/018474 priority patent/WO202323449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ontrol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which is able to scroll a content list in various directions, greatly increase the volume of content and user convenienc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directional scrolling method, and delete content lists not exposed to a touch screen, thereby optimizing a memory resource allocated on a mobile terminal. To this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which is conducted on a mobile terminal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memory, can be configured by including: a) a step of arranging content lists to be displayed on a touch screen in accordance with a grid arrangement net; b) a step of placing a new content list on the grid arrangement net in a drag-oriented direction on the touch screen, and deleting any content lis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riented direction in the grid arrangement net, thereby securing a resource for a memory; and c) a step of reconfiguring the grid arrangement net based on the content list exposed to the central part of the touch screen, and, when a drag input is generated on the touch screen, performing the step b).

Description

휴대단말기 제어방법{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 순차적 콘텐츠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콘텐츠에 노출되도록 하면서 사용자가 지나간 콘텐츠리스트를 삭제하면서 신규 콘텐츠리스트를 작성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메모리 리소스를 확보하는 휴대단말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mory resource of a mobile terminal by providing a non-sequential content list to a user so that the user is exposed to various content and creating a new content list while deleting a content list passed by the user It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to secure

스마트폰, 태블릿 및 터치 가능한 휴대단말기는 터치스크린에 터치입력 후, 드래그하여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Smartphones, tablets, and touch-enabled mobile terminals are configured so that desired content can be selected by dragging after a touch input on a touch screen.

안드로이드 기반의 휴대단말기나 ios 기반의 휴대단말기 대부분 터치 앤 드래그 입력에 의해 단방향으로 콘텐츠가 이동하거나 웹 페이지를 스크롤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터치스크린의 크기가 작고, 다수의 콘텐츠를 노출해야 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의 제한된 공간에서 쉽게 콘텐츠를 선택하고 이용하도록 하는데 따른다.Most Android-based mobile terminals or ios-based mobile terminals are configured to move content in one direction or scroll a web page by touch-and-drag input. to easily select and use content in the limited space of the touch screen.

통상, 휴대단말기에서 콘텐츠리스트를 이동할 때, 드래그 입력 방향을 따라 신규 콘텐츠리스트가 콘텐츠 서버로부터 미리 버퍼링되어야 한다. 이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In general, when moving the content list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new content list must be pre-buffered from the content server along the drag input direction.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도 1은 종래의 콘텐츠리스트를 버퍼링하는 방법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1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a method for buffering a conventional content list.

도 1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10)의 터치스크린(11)에 콘텐츠리스트(a1 내지a12)가 표시되고,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이 R1 방향으로 발생할 경우, 휴대단말기(10)는 콘텐츠 서버(미도시)에 네트워크 접속하여 R1 방향을 따라 표시되어야 할 신규 콘텐츠리스트를 요청 및 획득하여 버퍼링한다.Referring to FIG. 1 , when content lists a1 to a12 ar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 of the mobile terminal 10 and a user's drag input occurs in the R1 direction, the mobile terminal 10 is connected to a content server (not shown). city) to request and obtain a list of new content to be displayed along the R1 direction and buffer it.

도 1에서, 터치스크린(11)에 표시되어 있는 콘텐츠리스트는 a1 내지 a12에 해당하고, 터치스크린(11)에 드래그 입력이 R1 방향으로 발생할 때, 터치스크린(11)에 새로 표시되어야 할 신규 콘텐츠리스트는 a13 내지 a18에 해당한다.In FIG. 1 , the content lis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 corresponds to a1 to a12 , and when a drag input on the touch screen 11 occurs in the R1 direction, new content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 is new. The list corresponds to a13 to a18.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1)에 표시된 콘텐츠리스트에서 R1 방향으로 스크롤할 때, 휴대단말기(10)는 스크롤 속도를 감안하여 필요한 개수의 콘텐츠를 콘텐츠 서버(미도시)로 요청하게 되고, 콘텐츠 서버는 휴대단말기로 콘텐츠리스트를 전송하는데, 콘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리스트는 휴대단말기(10)의 메모리에 적재되어 메모리 리소스를 소모하게 된다. When the user scrolls in the R1 direction in the content lis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 the mobile terminal 10 requests the required number of content from the content server (not shown) in consideration of the scroll speed, and the content server When the content list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e content list provided from the content server is loaded into the memory of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consumes memory resources.

휴대단말기(10) 측 메모리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마다 할당 가능한 메모리에 제한이 있고, 운영체제 버전에 따라 수십 메가 바이트에서 수백 메가바이트에 이른다. 터치스크린(11)에서 발생하는 R1 방향의 드래그 입력에 의한 콘텐츠리스트의 스크롤 속도가 크면 도 1에 예시된 것보다 더 많은 콘텐츠리스트를 휴대단말기(10)가 미리 다운로드 받아야 하며 할당된 메모리 리소스에 근접하거나 초과할 우려가 있다. The memory of the portable terminal 10 has a limit in the amount of memory that can be allocated for each installed application, and ranges from several tens of megabytes to several hundred megabytes depending on the operating system version. If the scroll speed of the contents list by the drag input in the R1 direction generated on the touch screen 11 is high, the mobile terminal 10 must download more contents list in advance than that illustrated in FIG. 1 and is close to the allocated memory resource. or may exceed it.

또한, 도 1에 도시된 콘텐츠리스트는 사용자의 검색에 의해 지정된 종류의 콘텐츠가 R1 방향을 따라 1차원 배열을 이루는 바, 사용자가 다양한 콘텐츠에 노출되기 어렵고, 사용자에 의한 스크롤 속도가 빠를수록 휴대단말기(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에 필요한 메모리 리소스 확보가 곤란한 측면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ent list shown in FIG. 1, the type of content specified by the user's search forms a one-dimensional array along the R1 direction, so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be exposed to various content, and the faster the user scrolls, the faster the mobile terminal There is an aspect in which it is difficult to secure a memory resourc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10).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20102 (드래그 앤 드롭 처리 방법 및 장치)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No. 10-2016-0010102 (Drag and drop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28902 (어플리케이션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No. 10-2017-0128902 (Application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콘텐츠리스트의 효율적인 추가 및 삭제를 통해 메모리 리소스를 최소화하는 휴대단말기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that minimizes memory resources through efficient addition and deletion of content lists in the mobi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콘텐츠리스트의 선택방향을 다변화하고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드래그함에 따라 사용자와 관련이 있는 콘텐츠가 추가됨으로써 다양한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기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versify the selection direction of a content list displayed on a touch screen, and as the user drags the touch screen, content related to the user is added, thereby allowing access to various contents. is to provide.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무선 통신부 및 메모리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수행되며, a) 터치스크린에 표시할 콘텐츠리스트를 격자 배열망에 따라 배열하는 단계; b) 상기 터치스크린에서의 드래그 입력의 지향 방향을 따라 상기 격자 배열망에 신규 콘텐츠리스트를 배치하고, 상기 격자 배열망에서 상기 지향 방향 대비 역 방향의 콘텐츠리스트는 삭제하여 상기 메모리의 리소스를 확보하는 단계; 및 c) 상기 터치스크린의 중심부에 노출된 콘텐츠리스트를 기준점으로 하여 상기 격자 배열망을 재 구성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드래그 입력이 발생 시, 상기 b)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performed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the steps of: a) arranging a content list to be displayed o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grid arrangement; b) arranging a new content list in the grid array network along the orientation direction of the drag input on the touch screen, and deleting the content lis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rientation direction in the grid array network to secure the resources of the memory step; and c) reconfiguring the grid arrangement network using the content list exposed at the center of the touch screen as a reference point, and performing step b) when a drag input occurs on the touch screen.

여기서, 상기 격자 배열망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콘텐츠리스트가 이동 가능한 방향을 따라 격자를 이루면서 배열되는 구조체일 수 있다.Here, the grid arrangement network may be a structure in which the content list is arranged in a grid along a movable direction on the touch screen.

여기서, 상기 격자 배열망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한 번의 드래그를 통해 이동 가능한 최대 개수보다는 많고,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두 번의 드래그를 통해 이동 가능한 최대 개수보다는 적은 개수의 콘텐츠리스트로 상기 격자를 이루며 배열되는 구조체일 수 있다.Here, the grid arrangement network is more than the maximum number that can be moved through one drag on the touch screen, and is arranged in the grid with a number of content lists that are smaller than the maximum number that can be moved through two drags on the touch screen It can be a structure.

여기서, 상기 격자 배열망은, 상기 기준점을 기준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의 횡방향인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제2방향을 따라 상기 콘텐츠 리스트가 배열되어 상기 콘텐츠 리스트가 다이아몬드 형상을 이루며 배열되고, 상기 다이아몬드 형상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 영역보다 더 큰 면적을 이루어 상기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제어방법.Here, in the grid arrangement, the content list is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that is a transverse direction of the touch screen and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so that the content list has a diamond shape. and the diamond shape corresponds to the drag input by forming a larger area than the touch area of the touch screen.

여기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네트워크 접속되는 콘텐츠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콘텐츠 서버를 통해 콘텐츠리스트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버퍼링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터치 앤 드래그가 발생 시, 상기 버퍼링된 콘텐츠리스트로 상기 신규 콘텐츠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a content server connected to the network, receives the content list through the content server and buffers it in the memory, and when touch and drag occurs on the touch screen, the buffered content list to create the new content list.

여기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네트워크 접속되는 콘텐츠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드래그 입력에 의해 상기 격자 배열망이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쉬프트한 이동량에 따라 상기 콘텐츠 서버로 신규 콘텐츠리스트를 요청 및 획득하여 상기 메모리에 버퍼링할 수 있다.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a content server connected to the network, and requests and obtains a new content list from the content server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vement shifted by the grid array network on the touch screen by the drag input. It can be buffered in memory.

이때, 상기 b)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콘텐츠리스트의 데이터 타입이 동영상 타입인 경우 상기 쉬프트한 이동량 만큼 상기 콘텐츠 서버로 신규 콘텐츠리스트를 요청 및 획득하며, 상기 데이터 타입이 비 동영상인 경우, 상기 쉬프트한 이동량 대비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요청 및 획득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step b), when the data type of the content lis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s a video type, a new content list is requested and obtained from the content server by the shifted amount of movement, and when the data type is a non-video type , it is possible to further request and obtain at least one or more compared to the shifted amount of movement.

여기서, 상기 기준점은, 상기 드래그 입력 후 상기 터치스크린의 중심으로 재 설정되고, 상기 격자 배열망의 좌표는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재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reference point may be reset to the center of the touch screen after the drag input, and the coordinates of the grid arrangement may be reset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여기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step b) is preferably performed in the background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다방향으로 콘텐츠리스트가 스크롤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단방향 스크롤 방식 대비 사용자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킨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onvenience is greatly improved compared to the existing one-way scrolling method by allowing the content list to be scrolled in multiple directions.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에서의 드래그 방향에 맞추어 콘텐츠리스트를 로드하며, 이때, 드래그 방향과 역방향에 위치하며 터치스크린에 노출되지 않는 콘텐츠리스트는 삭제함으로써, 휴대단말기에서 할당되는 메모리 리소스를 최적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list is loaded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on the touch screen, and the content list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rag direction and not exposed on the touch screen is deleted, thereby optimizing the memory resource allocated in the mobile terminal. can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위치나 관심사에 따른 콘텐츠를 콘텐츠리스트에 일부 포함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artially inclu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s location or interest in the content list, the user can access various content.

도 1은 종래의 콘텐츠리스트를 버퍼링하는 방법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1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a method for buffering a conventional content list.
2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콘텐츠는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소리 및 이들의 선택적 결합에 의한 미디어 파일을 의미할 수 있다.The content referred to in this specification may mean an image, text, video, sound, and a media file formed by a selective combination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콘텐츠리스트는 복수개의 상기 콘텐츠가 터치스크린에 노출되어 사용자 선택을 받기 위한 리스트 형태를 지칭할 수 있다.The content list referred to in this specification may refer to a list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the contents are exposed on a touch screen to receive a user selection.

따라서, 콘텐츠리스트는 썸네일(Thumbnail)의 형태로 이미지의 축약형으로 표현되는 것, 동영상의 대표 이미지를 축소시킨 형태, 콘텐츠가 웹페이지인 경우 웹페이지의 명칭이나 웹페이지의 축약이미지 또는 웹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텍스트, 대표 이미지나 썸네일에 대해 미리 설정된 형태의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콘텐츠리스트는 터치스크린에서 사용자 선택되기 전에는 콘텐츠와 사용자 사이를 인터페이스하는 역할로, 터치스크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할 때, 이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에서 풀스크린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ents list is expressed in the form of a thumbnail in the form of an abbreviated image, in the form of a reduced representative image of a video, or in the case where the content is a web page, the name of the web page or an abbreviated image of the web page or web page. It may have any one of the icons in the form preset for the text for explanation, the representative image, or the thumbnail. The content list serves as an interface between the content and the user before being selected by the user on the touch screen. When a user's touch input occurs on the touch screen, the content list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n the form of a full screen in response.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휴대단말기는, 터치스크린, 무선 통신부,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및 기타 다양한 기종이 해당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대중적인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도해하고 설명하도록 한다.The portable terminal referred to in this specification may refer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memory, and a processor. As a mobile terminal, a smart phone, a tablet, a notebook computer, and various other types may be applicable, but in this specification, a popular smart phone will be mainly illustrated and describ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개념도를 도시한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제어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출력부(150) 및 전원 공급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a control unit 120 , an interface unit 130 , a memory 140 , an output unit 150 , and a power supply unit 160 . have. When these components are implemented in actual applications,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eded.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7 , and a GPS module 119 .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transmits/receives wireless signals to and from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reception of a voice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multimedia message.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may be built-in or external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 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wireless LAN (WLAN) (Wi-Fi), wireless broadband (Wibro),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etc. may be used.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7 refers to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s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etc. may be used.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The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119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출력 모듈(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n alarm signal. The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1 and a sound output module 153 .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100 .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a call mode, a user interface (UI) or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a call is display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20)로 전송하여, 제어부(12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touchpad form a layer structure to form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51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an output device. If the display unit 151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it may include a touch screen panel, a touch screen panel controller,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panel is a transparent panel attached to the outsid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al bus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 The touch screen panel watches the touch result, and sends corresponding signals to the touch screen panel controller when there is a touch input. The touch screen panel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20 so that the controller 120 can know whether there has been a touch input and which area of the touch screen has been touched.

이하,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입력에 반응하여 입력장치로도 이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스크린으로 지칭하며, 동일한 참조부호 "151"를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hen the display unit 151 is also used as an input device in response to a touch input, the display unit 151 is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 “151” will be used for description.

음향출력 모듈(153)은 음성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음성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The sound output module 153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40 in voice signal reception, call mode or recording mode, voice recognition mode,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Also, the sound output module 153 outputs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 for example, a voice signal reception sound, a message reception sound, and the like.

메모리(140)는 제어부(1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memory 14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troller 120, and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y storage of input or output data (eg, message, still image, video, etc.). may be

메모리(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Memory 140 is a flash memory type (flash memory type), hard disk type (hard disk type), multimedia card, micro type (multimedia card micro type),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etc.),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among RAM and ROM.

인터페이스부(130)는 휴대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휴대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30 functions as an interfac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 Examples of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 a wired/wireless headset, an external charger, a wired/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a card socket such as a SIM/UIM card, and an audio I/O (Input). /Output) terminal, video I/O (Input/Output) terminal, earphone, etc. The interface unit 130 may receive data from such an external device and transmit it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100 , and may allow the data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제어부(12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2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21)은 제어부(12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2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by gener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spective units. For example, it performs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Also, the controller 120 may include a multimedia playback module 121 for playing multimedia. The multimedia playback module 121 may be configured as hardware in the control unit 120 or may be configured as software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20 .

또한, 제어부(120)는 터치스크린(151)에 터치 입력이 가해질 때,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 멀티 터치 여부, 및 터치가 발생한 위치에서 사용자에 의한 드래그 입력이 발생하였는가를 판단한다. In addition, when a touch input is applied to the touch screen 151 , the controller 120 determines whether a touch input occurs, whether a multi-touch occurs, and whether a drag input by the user occurs at a location where the touch occurs.

그리고, 전원 공급부(16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6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to supply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may be configured to be operable in a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through a frame or a packet, including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satellite-based communication system. have.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을 갖는 휴대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amined. Next, a method of controll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제어방법은, 먼저 제어부(120)가 콘텐츠리스트를 필요로 하는 앱(APP) 구동의 발생여부를 판단한다(S101). 콘텐츠리스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앱, 또는 웹 환경에서 사용자 검색되는 결과물을 터치스크린(151)에 나열한 구조체로서, 그 형상이 직사각형이 아닌 다이아 형태를 가지며, 터치스크린(151)에서 지나간 항목을 삭제하면 전체적인 형상, 즉 다이아 형상을 유지한다. 이는 추후 상술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3 , 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rst, the controller 120 determines whether an application (APP) that requires a content list is driven ( S101 ).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s lis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results searched for by the user in the app or web environment are listed on the touch screen 151, and the shape has a diamond shape rather than a rectangle. The overall shape, that is, the diamond shape is maintained. This will be detailed later.

다음으로, 제어부(120)는 앱의 구동이 확인되면, 터치스크린(151)상에 격자 배열망에 맞추어 콘텐츠리스트를 배열할 수 있다(S102). 격자 배열망은 아래의 표 1에 나타난 형태를 갖는다.Next, when the operation of the app is confirmed, the controller 120 may arrange the content list according to the grid arrangement on the touch screen 151 ( S102 ). The grid array network has the form shown in Table 1 below.

Figure 112022058233144-pat00001
Figure 112022058233144-pat00001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격자 배열망은 중심부에 위치하는 기준점을 (0.0)으로 설정하고, 기준점(0,0)의 d1방향으로 한 칸 이동하는 콘텐츠리스트의 좌표는 (1.0), d2 방향으로 한 칸 이동하는 콘텐츠리스트의 좌표는(-1,0)로 맵핑되고, d3 방향으로 한 칸 이동하는 콘텐츠리스트의 좌표는 (0,1)이며, d4 방향으로 한 칸 이동하는 콘텐츠리스트의 좌표는 (0,-1)로 맵핑된다. 마찬가지로, d1 방향으로 두 칸 이동하는 콘텐츠리스트의 좌표는 (2,0)으로 맵핑된다. 즉, 기준점(0,0)을 중심으로 d1 - d2는 x축에 대응하고, d3-d4는 y축에 대응하는 xy 좌표계에 해당하며, 표 1을 기준으로 기준점의 우측 방향(d1)과 상측 방향(d3)은 한 칸씩 이동할 때마다 숫자가 +1되고, 반대의 경우 좌표의 숫자가 -1되는 형태로 좌표계가 형성된다.As shown in Table 1, the grid array network sets the reference point located in the center to (0.0), and the coordinates of the content list moving one space in the d1 direction of the reference point (0,0) are (1.0), in the d2 direction. The coordinates of the content list moving one space are mapped to (-1,0), the coordinates of the content list moving one space in the d3 direction are (0,1), and the coordinates of the content list moving one space in the d4 direction are It is mapped to (0,-1). Similarly, the coordinates of the content list moving two spaces in the d1 direction are mapped to (2,0). That is, with reference to the reference point (0,0), d1 - d2 correspond to the x-axis, and d3-d4 correspond to the xy coordinate system corresponding to the y-axis. In the direction (d3), the number is +1 every time it moves one space, and in the opposite case, the coordinate system is formed in the form where the number of the coordinates is -1.

격자 배열망은 터치스크린(151)에서 한 번의 드래그 입력에 의해 이동 가능한 콘텐츠리스트의 수보다는 많아야 하고, 두 번의 드래그 입력에 의해 이동 가능한 콘텐츠리스트의 수보다는 적은 수의 콘텐츠리스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표 1에 나타난 격자 배열망에서 d1 방향의 드래그 지향방향을 따라 드래그 입력이 발생하였을 시,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좌표(n,0)를 넘어서는 좌표가 지정되는 일이 발생될 경우 터치스크린(151)에는 표시할 콘텐츠리스트가 존재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격자 배열망을 구성하는 콘텐츠리스트가 한 번의 드래그 입력에 의해 이동 가능한 수를 제한할 필요가 있으며, 사용자 편의를 위해 한 번의 드래그 입력으로 이동해야 할 좌표가 표 1에 나타난 것보다 클 것이 요구되는 경우, 격자 배열망을 각 방향(d1 내지 d4)을 따라 확장하고 콘텐츠리스트를 추가로 배치하여 격자 배열망의 크기를 증가시켜야 한다. The grid arrangement network should be larger than the number of content lists that can be moved by one drag input on the touch screen 151, and preferably consist of a number of content lists that are smaller than the number of content lists that can be moved by two drag inputs. . For example, when a drag input occurs along the drag direction in the d1 direction in the grid arrangement network shown in Table 1, when a coordinate exceeding the rightmost coordinate (n, 0) occurs, the touch screen ( 151),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re is no list of contents to be displayed. Therefore, the control unit 120 needs to limit the number of content lists constituting the grid arrangement network that can be moved by one drag input, and the coordinates to be moved by one drag input are shown in Table 1 for user convenience. If it is required to be larger than that, the size of the grid should be increased by expanding the grid along each direction (d1 to d4) and arranging the content list additionally.

상기한 좌표계를 갖는 격자 배열망은 터치스크린(151)에 인가되는 드래그(drag)입력에 따라 터치스크린(151) 상에서 이동하며, 이는 아래의 표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grid arrangement network having the above coordinate system moves on the touch screen 151 according to a drag input applied to the touch screen 151,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 2 below.

Figure 112022058233144-pat00002
Figure 112022058233144-pat00002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100) 및 터치스크린(151)을 점선으로 표시할 때, 터치스크린(151) 내에는 (-1,2), (0,2), (1,2), (-1,1), (0,1), (1,1), (-1,0), (0,0), (1,0), (-1,-1), (0,-1) 및 (1,-1)의 좌표에 해당하는 콘텐츠리스트가 배열되고,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되지 않는 콘텐츠리스트가 d1, d2, d3 및 d4 방향으로 각각 1개 내지 3개가 추가로 배열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터치스크린(151)에 d1 방향 내지 d4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이 발생할 때, 제어부(120)가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별도의 버퍼링 없이도 메모리(140)에 기 저장된 콘텐츠리스트를 사용하여 드래그 방향(d1 방향 내지 d4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 해당하는 콘텐츠가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되도록 하는데 따른다. As shown in Table 2,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touch screen 151 are displayed with dotted lines, (-1,2), (0,2), (1,2) within the touch screen 151 , (-1,1), (0,1), (1,1), (-1,0), (0,0), (1,0), (-1,-1), (0, The contents list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of -1) and (1, -1) are arranged, and 1 to 3 contents list no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are added in the d1, d2, d3 and d4 directions, respectively. You can see that they are arranged. This means that when a drag input is generated on the touch screen 151 in any one of the d1 to d4 directions, the controller 120 responds to the drag input by using the content list pre-stored in the memory 140 without buffering. It follows that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any one of the d1 direction to d4 direction)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

여기서, 표 2는 점선으로 표시된 터치스크린(151)의 크기보다 격자 배열망이 더 크게 표현되어 있는데, 이는 터치스크린(151)에서 표시되는 좌표 보다 더 많은 것이 미리 버퍼링되어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반응한다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Here, Table 2 shows that the grid arrangement network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touch screen 151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which indicates that more coordinates than the coordinate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are pre-buffered to respond to the user's drag input. it expresses that

다음으로, 제어부(120)는 터치스크린(151)에 가해지는 드래그 지향방향을 판단하고(S103), 표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드래그 지향 방향을 따라 콘텐츠리스트를 로드(load)한다(S104). Next, the controller 120 determines the drag direction applied to the touch screen 151 ( S103 ), and loads the content list along the drag direction as described in Table 2 ( S104 ).

다음으로, 제어부(120)는 드래그 지향방향에 따라 반지향 방향의 콘텐츠리스트를 삭제하여(S105) 메모리 리소스를 확보한다.Next, the control unit 120 deletes the content list in the semi-direction direction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S105) to secure the memory resource.

여기서, 드래그 지향방향에 따라 신규로 로드되는 콘텐츠리스트와 삭제되는 콘텐츠리스트는 아래의 표 3에 따라 처리되어 메모리 리소스를 확보할 수 있다.Here, the contents list to be newly loaded and the contents list to be deleted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may be processed according to Table 3 below to secure memory resources.

Figure 112022058233144-pat00003
Figure 112022058233144-pat00003

표 3은 드래그 지향방향이 표 2의 d1 방향일 경우 콘텐츠리스트의 삭제와 신규 콘텐츠리스트의 로드방법을 나타낸다.Table 3 shows how to delete a content list and load a new content list when the drag direction is the d1 direction in Table 2.

표 3을 참조하면, 격자 배열망은 표 2에서 d1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이 발생하고 제어부(120)가 터치스크린(151)에 대한 드래그 지향방향을 d1으로 판단할 때, 드래그 지향방향을 따라 신규 콘텐츠리스트를 로드하는 과정을 나타낸다.Referring to Table 3, in the grid arrangement network, when a drag input is generated in a direction d1 in Table 2 and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at the drag direction for the touch screen 151 is d1, new content along the drag direction Shows the process of loading a list.

표 3에서 참조부호 n1 내지 n9는 드래그 지향방향에 따라 d1 방향에 신규로 로드되는 신규 콘텐츠리스트를 나타내고, 드래그 지향방향 대비 역방향에 위치하는 del1 내지 del9는 메모리(140)에서 삭제되는 콘텐츠리스트를 나타낸다. In Table 3, reference numerals n1 to n9 indicate a new content list newly loaded in the d1 direction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and del1 to del9 loc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rag direction indicate a list of contents deleted from the memory 140 . .

표 3에서, 신규 콘텐츠리스트(n1 내지 n9)가 터치스크린(151)에 로드되기전 격자 배열망의 기준점은 검은색으로 표시된 콘텐츠리스트(0,0)이나, 신규 콘텐츠리스트(n1 내지 n9)가 드래그 지향방향을 따라 생성되고, 드래그 지향방향과 역방향에 위치한 콘텐츠리스트(del1 내지 del9)가 메모리(140)에서 삭제된 이후에는 참조부호 "np"로 표시된 콘텐츠리스트가 기준점으로 재 설정된다. 이때, 기준점으로 재 설정된 콘텐츠리스트(np)를 중심으로 좌표계가 표 2를 통해 설명된 방식으로 재 설정되고, 기존의 좌표는 소멸된다.In Table 3, before the new content list (n1 to n9) is loaded on the touch screen 151, the reference point of the grid arrangement is the content list (0,0) displayed in black, but the new content list (n1 to n9) is After the content lists del1 to del9 that are created along the drag direction and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rag direction are deleted from the memory 140, the content list indicated by the reference symbol “np” is reset as a reference point. At this time, the coordinate system is reset in the manner described in Table 2 around the content list np reset as the reference point, and the existing coordinates are destroyed.

좌표의 소멸과 함께, 삭제된 콘텐츠리스트(del1 내지 del9)는 메모리(140)에서 완전히 삭제 처리되므로 앱(APP)에 할당된 메모리 리소스가 확보될 수 있다.With the disappearance of the coordinates, since the deleted content lists del1 to del9 are completely deleted from the memory 140 , the memory resource allocated to the APP can be secured.

메모리 리소스의 확보를 위한 콘텐츠리스트(del1 내지 del9)의 삭제는 제어부(120)가 백그라운드 모드(background mode)일 때 수행함으로써, 제어부(120)가 앱을 구동할 때, 성능 저하를 일으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deletion of the contents list del1 to del9 for securing memory resources is performed when the control unit 120 is in a background mode, so that when the control unit 120 runs the app, performance degradation does not occur. have.

따라서 터치스크린(151)에 d1, d2, d3, 및 d4 방향 중의 어느 한 방향으로 격자 배열망의 기준점으로부터 격자 배열망의 가장자리까지의 배열 개수보다 많은 수만큼 드래그 입력이 발생했다가 다시 정반대 방향으로 동일한 수만큼 드래그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이전에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되었던 콘텐츠가 아니라 새로운 콘텐츠가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ly, drag input is generated on the touch screen 151 in any one of the d1, d2, d3, and d4 directions from the reference point of the grid array to the edge of the grid array by a number greater than the number of arrays, and then in the opposite direction again. When the same number of drag inputs are generated, new content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instead of the previously displayed content on the touch screen 151 .

예를 들어, 표 3에 도시된 격자 배열망의 경우, d1, d2, d3, 및 d4 방향 중의 어느 한 방향으로 5회 이상 드래그 입력이 발생한 후 다시 정반대 방향으로 동일한 수만큼 드래그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이전에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되었던 콘텐츠가 아니라 새로운 콘텐츠가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grid array network shown in Table 3, when drag inputs are generated 5 or more times in any one of the d1, d2, d3, and d4 directions, and then the same number of drag inputs are gener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gain , instead of the content previous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 new content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

따라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various contents can be provided to users.

여기서, 신규 콘텐츠리스트가 메모리(140)에 로드된 후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될 때, 드래그 입력에 따른 콘텐츠리스트의 쉬프트 이동량에 따라 신규로 메모리(140)에 로드할 신규 콘텐츠리스트를 콘텐츠서버(미도시)로부터 획득하여 버퍼링할 필요가 있다. Here, when the new content list is loaded into the memory 140 an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a new content list to be loaded into the memory 140 is newly loaded into the memory 140 according to the amount of shift movement of the content list according to the drag input to the content server. It is necessary to obtain and buffer from (not shown).

버퍼링은 터치스크린에 대한 드래그 입력이 일 방향(d1 내지 d4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지속 발생하고,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신규 콘텐츠리스트(예컨대 n1 내지 n9)가 계속 d1 방향을 따라 추가적으로 생성되어야 할 때, 네트워크 접속되는 콘텐츠서버(미도시)를 통해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할 신규 콘텐츠리스트를 다운로드 받아 메모리(140)에 적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버퍼링은, 아래의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In the buffering, drag input to the touch screen is continuously generated in one direction (any one of d1 to d4), and as shown in Table 3, a new content list (eg, n1 to n9) continues to be additionally generated along the d1 direction. At this time, it means that a new content list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is downloaded through a network-connected content server (not shown) and loaded in the memory 140 . Buffering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each of the following subparagraphs.

1) 터치스크린(151)에서 드래그 입력이 발생할 때, 드래그 입력에 의해 격자 배열망에 배열된 콘텐츠리스트가 쉬프트하는 이동량(이하, 쉬프트 이동량이라 한다) 만큼 콘텐츠 서버로 신규 콘텐츠리스트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버퍼링 방법.1) When a drag input occurs on the touch screen 151, a new content list is requested and received from the content server by the amount of move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shift movement amount) that the content list arranged in the grid is shifted by the drag input. Buffering method.

이 경우, 쉬프트 이동량이 d1 방향으로 좌표가 +1만큼 발생하였다면, 제어부(120)는 이에 해당하는 신규 콘텐츠리스트만을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이는 표 3을 통해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즉, 제어부(120)는 표 3에 나타난 것처럼 d1 방향으로 +1 만큼에 해당하는 신규 콘텐츠리스트(n1 내지 n9)만을 콘텐츠 서버(미도시, 이하 생략함)로 요청하여 버퍼링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shift amount is +1 in the d1 direction, the controller 120 may request and receive only the corresponding new content list, which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able 3 above. That is, as shown in Table 3, the controller 120 may request and buffer only the new content lists n1 to n9 corresponding to +1 in the d1 direction to the content server (not shown, hereinafter omitted).

2) 터치스크린(151)에 드래그 입력이 발생하지 않았더라도, 메모리(140)에 할당된 앱의 메모리 리소스를 참조하여 남는 공간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버퍼링 영역으로 할당하고, 콘텐츠 서버로 요청하여 획득하는 버퍼링 방법. 2) Even if a drag input does not occur on the touch screen 151, all or most of the remaining space is allocated as a buffering area with reference to the memory resource of the app allocated to the memory 140, and obtained by requesting the content server Buffering method.

이 경우, 무선통신부(110)와 콘텐츠 서버의 데이터 통신 횟수가 감소하고 터치스크린(151)에 드래그 입력이 발생하더라도 빈번한 버퍼링이 요구되지 않는다. 다만, 메모리(140)의 여유 공간을 모두(또는 대부분)를 버퍼링 공간에 할당하므로 메모리 리소스의 여유는 적어진다.In this case, the frequency of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content server is reduced and frequent buffering is not required even when a drag input is generated on the touch screen 151 . However, since all (or most) of the free space of the memory 140 is allocated to the buffering space, the free space of the memory resource decreases.

3) 데이터 타입에 따라 버퍼링 방식과 버퍼링에 할당할 메모리(140) 공간을 결정하는 버퍼링 방법.3) A buffering method for determining a buffering method and a space for the memory 140 to be allocated for buffering according to the data type.

이 경우는, 콘텐츠리스트의 데이터 타입을 동영상인지, 또는 비 동영상인지를 중심으로 구분한다. 콘텐츠리스가 데이터량이 큰 동영상에 해당하는 경우, 쉬프트 이동량 만큼만 콘텐츠 서버에 요청하여 메모리(140)에 버퍼링하는 것이 바람직하고,In this case, the data type of the content list is divided based on whether it is a video or a non-video. If the content lease corresponds to a video with a large amount of data, it is preferable to request the content server only by the amount of shift movement and buffer it in the memory 140,

콘텐츠리스트의 데이터 타입이 비 동영상인 경우 항목 1)과 항목 2) 중 어느 하나의 버퍼링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If the data type of the content list is non-video, any one of the buffering methods of item 1) and item 2) can be applied.

콘텐츠리스트의 데이터 타입에 따라 콘텐츠리스트를 버퍼링할 때, 데이터 타입이 비 동영상인 경우, 데이터 타입이 동영상 타입일 때보다 더 많이 요청하여 메모리(140)에 버퍼링할 수 있다. 예컨대, 버퍼링 방법이 항목 1)의 버퍼링 방법에 따라 쉬프트 이동량에 따른다 하더라도 데이터 타입이 비 동영상 타입이면, 쉬프트 이동량 +1 , 쉬프트 이동량 + 2.... 쉬프트 이동량 + n과 같이 메모리 리소스에 따라 추가로 콘텐츠리스트를 메모리(140)에 더 버퍼링할 수 있는 것이다. When buffering the contents list according to the data type of the contents list, when the data type is a non-video type, more requests may be made and buffered in the memory 140 than when the data type is a video type. For example, even if the buffering method depends on the shift amount according to the buffering method of item 1), if the data type is a non-movie type, shift movement amount +1 , shift movement amount + 2.... As a result, the content list can be further buffered in the memory 140 .

다음으로, 제어부(120)는 터치스크린(151)에 가해지는 드래그 입력이 종료되었는가를 판단하고(S106), 드래그 입력이 지속되는 경우, S103 단계를 진행하며, 드래그 입력이 종료되면, 드래그 입력이 종료된 격자 배열망의 좌표를 재 구성하고(S107), 이후 드래그 입력이 재 발생하는가를 판단한다(S108). 제어부(120)의 판단 결과 드래그 입력이 재 발생하면 S103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ler 120 determines whether the drag input applied to the touch screen 151 is terminated (S106), and if the drag input continues, proceeds to step S103. When the drag input is terminated, the drag input is The coordinates of the terminated grid array are reconfigured (S107), and it is then determined whether the drag input is re-generated (S108). If it is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120 that the drag input reoccurs, step S103 may be performed.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가 보다 다양한 콘텐츠에 접근하도록 하는 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By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o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to allow the user to access more various content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var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understood that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100 : 휴대단말기 110 : 무선통신부
120 : 제어부 130 : 인터페이스부
140 : 메모리 150 : 출력부
151 : 터치스크린 160 : 전원 공급부
100: mobile terminal 1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control unit 130: interface unit
140: memory 150: output unit
151: touch screen 160: power supply

Claims (9)

무선 통신부 및 메모리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수행되며,
a) 터치스크린에 표시할 콘텐츠리스트를 격자 배열망에 따라 배열하는 단계;
b) 상기 터치스크린에서의 드래그 지향 방향을 따라 상기 격자 배열망에 신규 콘텐츠리스트를 배치하고, 상기 격자 배열망에서 상기 지향 방향 대비 역 방향의 콘텐츠리스트는 삭제하여 상기 메모리의 리소스를 확보하는 단계; 및
c) 상기 터치스크린의 중심부에 노출된 콘텐츠리스트를 기준점으로 하여 상기 격자 배열망을 재 구성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드래그 입력이 발생 시, 상기 b)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네트워크 접속되는 콘텐츠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드래그 입력에 의해 상기 격자 배열망이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쉬프트 이동한 이동량에 따라 상기 콘텐츠 서버로 신규 콘텐츠리스트를 요청 및 획득하여 상기 메모리에 버퍼링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콘텐츠리스트의 데이터 타입이 동영상 타입인 경우 상기 쉬프트한 이동량 만큼 상기 콘텐츠 서버로 신규 콘텐츠리스트를 요청 및 획득하며,
상기 데이터 타입이 비 동영상인 경우, 상기 쉬프트한 이동량 대비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요청 및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제어방법.
It is performed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memory,
a) arranging a list of contents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a grid arrangement;
b) securing a resource of the memory by arranging a new content list in the grid arrangement network along the drag direction on the touch screen, and deleting the content lis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rientation direction in the grid arrangement network; and
c) reconfiguring the grid arrangement network using the content list exposed at the center of the touch screen as a reference point, and performing step b) when a drag input occurs on the touch scr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a content server connected to a network, and requests and obtains a new content list from the content server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grid array network shifted on the touch screen by the drag input to obtain the memory. buffered in
Step b) is,
When the data type of the content lis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s a video type, a new content list is requested and obtained from the content server by the shifted amount of movement,
When the data type is a non-movie, the method of claim 1 , further requesting and acquiring at least one or more compared to the shifted movement amou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배열망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콘텐츠리스트가 이동 가능한 방향을 따라 격자를 이루면서 배열되는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grid array network is
and a structure arranged in a grid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content list is movable on the touch scree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배열망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한 번의 드래그를 통해 이동 가능한 최대 개수보다는 많고,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두 번의 드래그를 통해 이동 가능한 최대 개수보다는 적은 개수의 콘텐츠리스트로 상기 격자를 이루며 배열되는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제어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grid array network is
More than the maximum number that can be moved through one drag on the touch screen,
and a structure arranged in the grid with a number of content lists smaller than the maximum number that can be moved through two drags on the touch scree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배열망은,
상기 기준점을 기준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의 횡방향인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제2방향을 따라 상기 콘텐츠 리스트가 배열되어 상기 콘텐츠 리스트가 다이아몬드 형상을 이루며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제어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grid array network is
The content list is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that is a horizontal direction of the touch screen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and a second direction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content list is arranged in a diamond shape. terminal control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네트워크 접속되는 콘텐츠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콘텐츠 서버를 통해 콘텐츠리스트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버퍼링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드래그 입력이 발생 시, 상기 버퍼링된 콘텐츠리스트로 상기 신규 콘텐츠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a content server connected to the network,
receiving a content list through the content server and buffering it in the memory;
and generating the new content list using the buffered content list when a drag input is generated on the touch scree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은,
상기 드래그 입력 후 상기 터치스크린의 중심으로 재 설정되고,
상기 격자 배열망의 좌표는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reference point is
After the drag input, it is reset to the center of the touch screen,
The coordinates of the grid arrangement network are reset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Step b) is,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erformed in a background mode of the mobile terminal.
KR1020220067794A 2022-06-02 2022-06-02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1024431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794A KR102443123B1 (en) 2022-06-02 2022-06-02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PCT/KR2022/018474 WO2023234495A1 (en) 2022-06-02 2022-11-22 Control method of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794A KR102443123B1 (en) 2022-06-02 2022-06-02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3123B1 true KR102443123B1 (en) 2022-09-15

Family

ID=83281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794A KR102443123B1 (en) 2022-06-02 2022-06-02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43123B1 (en)
WO (1) WO2023234495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4495A1 (en) * 2022-06-02 2023-12-07 크리온 주식회사 Control method of portable termin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6658A1 (en) * 2004-03-18 2005-09-22 Joshua Fagans Manipulation of image content using various image representations
KR20160020102A (en) 2014-08-13 2016-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rag and drop
KR20170128902A (en) 2016-05-16 2017-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1586A (en) * 2010-04-02 2011-11-04 Seiko Epson Corp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140122292A (en) * 2013-03-28 2014-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method of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JP7272082B2 (en) * 2019-04-18 2023-05-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KR102443123B1 (en) * 2022-06-02 2022-09-15 크리온 주식회사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6658A1 (en) * 2004-03-18 2005-09-22 Joshua Fagans Manipulation of image content using various image representations
KR20160020102A (en) 2014-08-13 2016-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rag and drop
KR20170128902A (en) 2016-05-16 2017-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Seamless / Zone 방식이란?", [online], 2015년 6월 15일, [2022년 7월 12일 검색], 인터넷 URL: https://blog.naver.com/asjh0616/220390247687*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4495A1 (en) * 2022-06-02 2023-12-07 크리온 주식회사 Control method of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34495A1 (en) 2023-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47665A1 (en) Fil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14629865B (en) Instant messaging system for interacting with dynamically expanding applications
RU2616536C2 (en) Method, device and terminal device to display messages
JP6505967B2 (en) User equipmen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9479568B2 (en) Application switcher
KR102058465B1 (e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er of electronic device
US20150309704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object
US20150020013A1 (en) Remote operation of applications using received data
US20160004425A1 (en) Method of displaying graphic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same
KR20150026162A (en) Method and apparatus to sharing contents of electronic device
KR20150045121A (en) Operating Method For Multi-Window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10633032B (en) Icon display method and device for terminal equipment
CN109923507A (en) Multiple free windows are managed in notification bar drop-down menu
WO201604522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4035953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242076A1 (en) Method of editing one or more objects and apparatus for same
KR102443123B1 (en)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WO2017008646A1 (en) Method of selecting a plurality targets on touch control terminal and equipment utilizing same
US1066678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executing application
CN114721761A (en) Terminal device, application icon manage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40094883A1 (en) Message select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US10331334B2 (en) Multiple transparent annotation layers for use with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1511045A (en)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of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200003356A (e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er of electronic device
CN112312058B (en)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