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108B1 - Smart home experience game device for performing smart home experience game - Google Patents

Smart home experience game device for performing smart home experience g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108B1
KR102443108B1 KR1020220054151A KR20220054151A KR102443108B1 KR 102443108 B1 KR102443108 B1 KR 102443108B1 KR 1020220054151 A KR1020220054151 A KR 1020220054151A KR 20220054151 A KR20220054151 A KR 20220054151A KR 102443108 B1 KR102443108 B1 KR 102443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mission
smart home
program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1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태영
이동훈
이충희
Original Assignee
경상남도 (교육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남도 (교육청) filed Critical 경상남도 (교육청)
Priority to KR1020220054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10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1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 G09B23/18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for digital electronics; for computers, e.g. microproces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01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 A63F2009/243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with other kinds of input
    • A63F2009/2432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with other kinds of input actuated by a sound, e.g. using a micro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rovided is a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device for playing a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which is a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device for performing a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that includes a first mission to decipher a first password through a presented first clue and second clue, and an acquired hint, and a second mission to acquire a second password through a voice recognition model. The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device comprises: a first game device for performing the first mission; and a second game device for performing the second mission. The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device for performing the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nd efficiently provide programming education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based machine learning and coding through the game with various missions related to a smart home.

Description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 장치{Smart home experience game device for performing smart home experience game}{Smart home experience game device for performing smart home experience game}

본 발명은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 홈과 관련된 다양한 미션을 진행하는 게임을 통해 인공지능(AI) 기반의 기계 학습과 코딩에 대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쉽고 효율적으로 제공하여,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하며, 학생들이 재미있게 AI 기반의 기계 학습과 코딩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device for performing a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and provides programming educa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I)-based machine learning and coding through games that perform various missions related to smart home. About a smart home password finder game device for playing smart home password finder games that provide easy and efficient provision, induce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and support students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AI-based machine learning and coding in a fun way will be.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es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코딩 교육은 크게 컴퓨터 프로그램 코딩, 스마트폰 앱 코딩, 전자부품을 이용한 하드웨어 코딩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에서 하드웨어 코딩은 전자회로, 메카트로닉스, 소프트웨어를 모두 다루는 가장 높은 수준의 코딩 과목이다. 현재 하드웨어 코딩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도구는 아두이노 보드이다. Coding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computer program coding, smartphone app coding, and hardware coding using electronic components. Among them, hardware coding is the highest level coding subject that deals with electronic circuits, mechatronics, and software. Currently, the most used tool in hardware coding is the Arduino board.

아두이노 보드는 2005년 이탈리아의 한 디자인학교에서 하드웨어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이 자신의 디자인 작품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개발된 비전공자용 프로그래밍 보드인데 일반인들과 학생들이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사용이 쉽고, 관련된 전자부품이 많이 제작되면서 현재 국내 코딩 교육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Arduino board is a programming board for non-majors that was developed in 2005 at a design school in Italy so that students who are not familiar with hardware can easily control their design work. As many electronic components are manufactured, it is currently used the most in domestic coding education.

교육부의 초, 중등 코딩 교육 의무화 방침에 따라 코딩 교육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학생들을 위한 코딩 교육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또한, 4차 산업의 도래와 함께 인공지능 기반의 기계 학습과 자율 주행에 대한 관심도 증가되고 있는 상황으로, 초, 중등 교육에서도 이러한 인공지능(AI) 기반의 기계 학습과 자율 주행에 대한 교육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Coding education is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s policy of compulsory elementary and secondary coding education, and coding education for students is being researched and developed in various ways. In addition,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y, interest i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machine learning and autonomous driving is increasing. There is a growing interest, and the need for it is emerging.

다만, 코딩 교육과 AI 기반의 기계 학습의 프로그래밍 교육의 경우, 난해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복잡한 논리 관계로 학습 수준이 다소 어려운 편에 속하며, 공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쉽고, 효율적으로 전달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coding education and AI-based machine learning programming education, the learning level is rather difficult due to the complicated programming language and complex logic relationship,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deliver it to students easily and efficiently in the public education field.

한국 등록특허 제10-1817206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17206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홈과 관련된 다양한 미션을 진행하는 게임을 통해 인공지능(AI) 기반의 기계 학습과 코딩에 대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쉽고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a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that can easily and efficiently provide programming educa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I)-based machine learning and coding through games that perform various missions related to smart home. It is to provide a smart home password finder game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미션 게임을 통해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하여 학생들이 재미있게 AI 기반의 기계 학습과 코딩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을 지원하는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duce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through various mission games, thereby helping students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AI-based machine learning and coding in a fun way. It relates to the password finder game devic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may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 장치는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 장치로, 상기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은 제시된 제1 단서, 제2 단서 및 취득한 힌트를 통해 제1 암호를 해독하는 제1 미션; 음성 인식 모델을 통해 제2 암호를 취득하는 제2 미션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 장치는 상기 제1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제1 게임 장치 및 상기 제2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제2 게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게임 장치는 시작 지점, 제1 공간, 제2 공간 및 제3 공간으로 구획된 제1 게임판으로, 상기 시작 지점에서 상기 제1 공간까지 연장된 제1 라인 및 상기 시작 지점에서 상기 제2 공간까지 연장된 제2 라인을 포함하는 제1 게임판; 상기 제1 공간에 포함된 제1 오브젝트; 상기 제3 공간에 포함된 사물 인식 장치; 상기 제1 게임판의 구획된 공간을 사용자의 조작 또는 학습된 조종 모델에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1 오브젝트를 파지하도록 구성된 이동 로봇; 및 상기 이동 로봇을 조종하는 조종 프로그램, 상기 조종 모델의 구축을 위한 조종 모델 구축 프로그램과 상기 제1 미션의 수행을 위한 제1 미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제1 데이터 저장부;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제1 입력부; 상기 이동 로봇 및 상기 사물 인식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조종 프로그램, 상기 조종 모델 구축 프로그램과 상기 제1 미션 프로그램을 출력하는 제1 출력부; 상기 조종 프로그램, 상기 조종 모델 구축 프로그램, 상기 제1 미션 프로그램,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 상기 제1 입력부,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1 출력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로봇은 상기 제1 라인 또는 상기 제2 라인을 따라가도록 상기 조종 모델이 구축되며, 상기 제1 미션 프로그램은 사용자에게 상기 제1 단서 및 제2 단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사물 인식 장치에서 인식된 정보를 처리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사물 인식 장치에서 상기 제1 오브젝트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제1 미션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힌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게임 장치는 상기 제1 게임판 상에 배치된 제2 게임판; 상기 제2 게임판에 포함된 제2 암호; 상기 제2 암호가 외부에서 식별되지 않도록 불투명한 상태로 상기 제2 게임판에 배치되는 스마트 미러; 및 상기 음성 인식 모델의 구축을 위한 음성 인식 모델 구축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제2 데이터 저장부;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제2 입력부; 상기 스마트 미러와의 연결을 위한 제2 인터페이스부; 상기 음성 인식 모델 구축 프로그램을 출력하는 제2 출력부; 상기 음성 인식 모델 구축 프로그램, 상기 제2 데이터 저장부, 상기 제2 입력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2 출력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음성 인식 모델을 통해 상기 스마트 미러의 투명도를 제어한다.The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device for playing the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device for performing the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wherein the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is the presented first a first mission of decrypting the first password through the first clue, the second clue, and the obtained hint; a second mission of acquiring a second password through a voice recognition model, wherein the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device includes a first game device for performing the first mission and a second game for performing the second mission a device, wherein the first game device is a first game board divided into a starting point, a first space, a second space and a third space, a first line extending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first space and the a first game board including a second line extending from a starting point to the second space; a first object included in the first space; an object recognition device included in the third space; a mobile robot configured to move the partitioned space of the first game board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or a learned manipulation model, and to grip the first object; and a first data storage unit in which a pilot program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a pilot model building program for building the steering model, and a first mission program for performing the first mission are stored; a first input unit to which a user's command is input; a first interface unit for connecting the mobile robot and the object recognition device; a first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pilot program, the pilot model building program, and the first mission program; a first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steering program, the steering model building program, the first mission program, the first data storage unit, the first input unit, the first interface unit, and the first output unit a user device, wherein the maneuvering model is built such that the mobile robot follows the first line or the second line, the first mission program is configured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first clue and the second clue; , the first control unit is further configured to process th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object recognition apparatus, and when the first object is recognized by the object recognition apparatus, control to output the hint through the first mission program, The second game device may include a second game board disposed on the first game board; a second password included in the second game board; a smart mirror disposed on the second game board in an opaque state so that the second password is not identified from the outside; and a second data storage unit storing a speech recognition model building program for constructing the speech recognition model. a second input unit to which a user's command is input; a second interface unit for connection with the smart mirror; a seco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peech recognition model building program; a second user device including a second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speech recognition model building program, the second data storage unit, the second input unit, the second interface unit, and the second output unit; The controller controls the transparency of the smart mirror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model.

또한, 상기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 장치는 상기 제1 미션과 상기 제2 미션에 대한 설명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제1 암호와 상기 제2 암호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는 관리자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인식 모델은 제1 음성 단어를 인식하여 상기 스마트 미러를 투명하게 변경하도록 구축된 제1 음성 인식 모델과 상기 제1 음성 단어와 상반된 의미를 가진 제2 음성 단어를 인식하여 상기 스마트 미러를 불투명하게 변경하도록 구축된 제2 음성 인식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device outputs an explanation image for the first mission and the second mission, and further includes an administrator device that provides a user environment in which the first password and the second password can be input. wherein the voice recognition model recognizes a first voice word and transparently changes the smart mirror by recognizing a first voice recognition model and a second voice word having a meaning opposite to the first voice word to make the smart and a second speech recognition model built to change the mirror to be opaqu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 장치는 스마트 홈과 관련된 다양한 미션을 진행하는 게임을 통해 인공지능(AI) 기반의 기계 학습과 코딩에 대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쉽고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A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device for performing a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programming educa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I)-based machine learning and coding through a game that performs various missions related to smart home. can be provided easily and efficient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 장치는 다양한 미션 게임을 통해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하여 학생들이 재미있게 AI 기반의 기계 학습과 코딩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The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device for performing the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through various mission games, so that students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AI-based machine learning and coding in a fun way can support doing

상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explaining the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의 예시적인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게임 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이동 로봇의 예시적인 이미지이다.
도 5는 제1 사용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는 제1 단서의 예시적인 이미지이다.
도 7은 제2 단서의 예시적인 이미지이다.
도 8은 사물 인식을 통해 제시되는 힌트의 예시적인 이미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게임 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음성 인식 모델을 구축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1은 암호 코드를 입력하는 예시적인 사용자 환경을 나타낸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image of a smart ho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exemplari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gam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image of a mobile robot.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user device.
6 is an exemplary image of the first clue.
7 is an exemplary image of the second clue.
8 is an exemplary image of a hint presented through object recognition.
9 exemplari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gam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exemplarily shows a process of constructing a voice recognition model.
11 illustrates an exemplary user environment for entering a passcode.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일반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나 단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이 실현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전부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및 응용 가능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a general or dictionary meaning.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define a term or concept of a word to best describe his/her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realized,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y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nd applicable examples.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n advance. .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device for performing a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의 예시적인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게임 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이동 로봇의 예시적인 이미지이다. 도 5는 제1 사용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는 제1 단서의 예시적인 이미지이다. 도 7은 제2 단서의 예시적인 이미지이다. 도 8은 사물 인식을 통해 제시되는 힌트의 예시적인 이미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게임 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음성 인식 모델을 구축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1은 암호 코드를 입력하는 예시적인 사용자 환경을 나타낸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image of a smart ho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exemplari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gam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image of a mobile robot.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user device. 6 is an exemplary image of the first clue. 7 is an exemplary image of the second clue. 8 is an exemplary image of a hint presented through object recognition. 9 exemplari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gam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exemplarily shows a process of constructing a voice recognition model. 11 illustrates an exemplary user environment for entering a passcod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 장치(10)는 제1 게임 장치(100), 제2 게임 장치(200) 및 관리자 장치(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game device 100 , a second game device 200 , and a manager device 300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 장치(10)는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게임 장치에 해당한다.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은 제1 미션 및 제2 미션으로 구성된다.The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game device for performing a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The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consists of a first mission and a second mission.

제1 미션은 제시된 제1 단서, 제2 단서 및 취득한 힌트를 통해 제1 암호를 해독하는 미션에 해당한다. 제2 미션은 음성 인식 모델을 통해 스마트 미러를 동작하여 제2 암호를 취득하는 미션에 해당한다. The first mission corresponds to a mission of decrypting the first password through the presented first clue, the second clue, and the obtained hint. The second mission corresponds to a mission of acquiring the second password by operating the smart mirror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model.

제1 게임 장치(100)는 제1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며, 제2 게임 장치(200)는 제2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관리자 장치(300)는 상기 제1 미션과 상기 제2 미션에 대한 설명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제1 암호와 상기 제2 암호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취득된 제1 암호와 제2 암호를 각각 입력함에 따라,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은 완료되게 된다.The first game device 100 is a device for performing a first mission, and the second game device 200 is a device for performing a second mission. The manager device 300 may output a description image for the first mission and the second mission, and provide a user environment in which the first password and the second password may be input. As the acquired first password and the second password are respectively input, the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is completed.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홈은 제1 미션을 위한 1층 공간과 제2 미션을 위한 2층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1층 공간은 제1 게임 장치(100)의 제1 게임판(110)일 수 있으며, 2층 공간의 제2 게임 장치(200)의 제2 게임판(210)일 수 있다. 스마트 홈은 각 게임 장치의 게임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스마트 홈과 관련된 다양한 미션을 수행하면서 재미있게 AI 기반의 기계 학습과 코딩의 원리를 이해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2 , the smart home may be composed of a space on the first floor for a first mission and a space on the second floor for a second mission. Here, the first floor space may be the first game board 110 of the first game device 100 , and may be the second game board 210 of the second game device 200 of the second floor space. A smart home can consist of a game board for each game device, and users can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AI-based machine learning and coding in a fun way while performing various missions related to the smart home.

도 3을 참조하면, 제1 게임 장치(100)는 제1 게임판(110), 제1 오브젝트(120), 사물 인식 장치(130), 이동 로봇(140) 및 제1 사용자 장치(1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 the first game device 100 includes a first game board 110 , a first object 120 , an object recognition device 130 , a mobile robot 140 , and a first user device 150 . include

제1 게임판(110)은 스마트 홈의 1층에 해당하며, 구획된 복수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평면 예시도를 참조하면, 제1 게임판(110)은 시작 지점(111), 제1 공간(112), 제2 공간(113) 및 제3 공간(114)으로 구획될 수 있다. 시작 지점(111), 제1 공간(112), 제2 공간(113) 및 제3 공간(114)은 격벽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격벽을 통과하여 다른 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은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제1 게임판(110)은 시작 지점(111)에서 제1 공간(112)까지 연장된 제1 라인(115) 및 시작 지점(111)에서 제2 공간(113)까지 연장된 제2 라인(116)을 포함한다. The first game board 110 corresponds to the first floor of the smart home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rtitioned spaces. 3 , the first game board 110 may be divided into a starting point 111 , a first space 112 , a second space 113 , and a third space 114 . The starting point 111 , the first space 112 , the second space 113 , and the third space 114 are partitioned by a partition wall, and movement to another space through the partition wall may be blocked. In addition, the first game board 110 includes a first line 115 extending from the starting point 111 to the first space 112 and a second line extending from the starting point 111 to the second space 113 . (116).

제1 오브젝트(120)는 제1 공간(112)에 포함된다. 제1 오브젝트(120)는 제1 공간(11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오브젝트(120)는 후술하는 이동 로봇(140)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가벼운 물체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오브젝트(120)는 종이컵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rst object 120 is included in the first space 112 . The first object 12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space 112 . The first object 120 may be a light object that can be gripped by a mobile robot 140 to be described later. In an embodiment, the first object 120 may be a paper cup,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2 공간(113)은 빈 공간일 수 있으며, 다른 오브젝트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The second space 113 may be an empty space, and other objects may not be disposed.

사물 인식 장치(130)는 제3 공간(114)에 배치될 수 있다. 사물 인식 장치(130)는 일정 거리에 배치된 오브젝트를 촬영하여 RGB 이미지를 식별 정보로 생성하는 RGB 카메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사물 인식 장치(130)는 라이다 센서일 수 있으며, 오브젝트를 향해 복수의 펄스 광을 방출하고 오브젝트에서 반사된 펄스 광을 수집하여 포인트 클라우드를 식별 정보로 생성할 수도 있다. The object recognition device 130 may be disposed in the third space 114 . The object recognition apparatus 130 may be an RGB camera that generates an RGB image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photographing an object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n embodiment, the object recognition apparatus 130 may be a lidar sensor, and may generate a point cloud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emitting a plurality of pulsed light toward an object and collecting the pulsed light reflected from the object.

이동 로봇(140)은 사용자의 조작 또는 학습된 조종 모델에 따라 이동하고, 제1 오브젝트(120)를 파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동 로봇(140)는 물체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141), 제1 게임판(110) 내부를 이동하기 위한 이동부(142) 및 파지부(141)와 이동부(142)를 제어하고 제1 사용자 장치(150)와 신호를 교환하도록 구성되는 몸체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141)는 제1 오브젝트(120)를 파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동부(142)는 이동 수단이 바퀴 형태인 차륜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 수단이 궤도 형태인 무한궤도형일 수도 있다. 파지부(141)가 제1 오브젝트(120)를 파지한 상태 또는 파지하지 않은 상태로 이동 로봇(140)은 이동부(142)를 통해 제1 게임판(110) 내부를 이동될 수 있다.The mobile robot 140 is configured to move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or a learned manipulation model, and to grip the first object 120 . The mobile robot 140 controls the gripping unit 141 for gripping the object, the moving part 142 for moving the inside of the first game board 110, and the gripping part 141 and the moving part 142, and 1 may include a body portion 143 configured to exchange signals with the user device 150 . The gripper 141 may be configured to grip the first object 120 . The moving unit 142 may be a wheel type in which the moving means is in the form of a whe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caterpillar type in which the moving means is a track. In a state in which the gripper 141 grips the first object 120 or does not grip the first object 120 , the mobile robot 140 may be moved inside the first game board 110 through the mover 142 .

이동 로봇(140)의 이동 및 파지부(141)의 조작은 제1 사용자 장치(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Movement of the mobile robot 140 and manipulation of the grip unit 141 may be controlled by the first user device 150 .

도 5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장치(150)는 상기 이동 로봇을 조종하는 조종 프로그램, 상기 조종 모델의 구축을 위한 조종 모델 구축 프로그램과 상기 제1 미션의 수행을 위한 제1 미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제1 데이터 저장부(151),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제1 입력부(152), 상기 이동 로봇 및 상기 사물 인식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제1 인터페이스부(153), 상기 조종 프로그램, 상기 조종 모델 구축 프로그램과 상기 제1 미션 프로그램을 출력하는 제1 출력부(154) 및 상기 조종 프로그램, 상기 조종 모델 구축 프로그램, 상기 제1 미션 프로그램,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 상기 제1 입력부,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1 출력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1 제어부(155)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5 , the first user device 150 stores a steering program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a pilot model building program for building the steering model, and a first mission program for performing the first mission. A first data storage unit 151, a first input unit 152 to input a user's command, a first interface unit 153 for connection with the mobile robot and the object recognition device, the manipulation program, and the manipulation model A first output unit 154 for outputting a construction program and the first mission program, and the pilot program, the pilot model construction program, the first mission program, the first data storage unit, the first input unit, the first and a first control unit 155 configured to control the interface unit and the first output unit.

제1 사용자 장치(150)는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150)는 노트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rst user device 150 may be configured as one computing device and provided to the user. For example, the first user device 150 may be provided as a notebook compu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사용자 장치(150)의 제1 인터페이스부(153)는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대응되는 이동 로봇(140) 및 사물 인식 장치(130) 각각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를 통해 이동 로봇(140) 및 사물 인식 장치(130)는 제1 사용자 장치(15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55)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조종 프로그램, 상기 조종 모델 구축 프로그램, 제1 미션 프로그램을 제1 출력부(154)에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프로그램의 단계들을 처리하여 처리된 결과를 제1 출력부(154)를 통해 표시하고, 이동 로봇(14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출력부(154)는 디스플레이, 제1 입력부(152)는 마우스, 키보드와 같이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 장치일 수 있다. The first interface unit 153 of the first user device 150 include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and can exchange signals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rresponding mobile robot 140 and object recognition device 130, respectively. have. For example, the mobile robot 140 and the object recognition device 13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user device 150 through Bluetooth to exchange data. The first control unit 155 may output and provide the steering program, the pilot model building program, and the first mission program to the first output unit 154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 and perform steps of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 The processed result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first output unit 154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robot 140 . Here, the first output unit 154 may be a display, and the first input unit 152 may be an input device to which a user's command is input, such as a mouse or a keyboard.

실시예에서, 제1 미션 프로그램은 제1 미션 수행을 위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1 미션 프로그램은 영상 형태로 사용자에게 출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에 제1 미션에 대한 순차적인 안내를 위해 웹 상에 구현된 설명 페이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미션 프로그램은 사용자에게 조종 모델의 구축을 위한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미션 프로그램은 “앨런 튜링”과 “블레즈 파스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인공지능의 아버지에 해당하는 인물의 방에 제1 오브젝트(120)가 있는 점을 전달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first mission program may provide information for performing the first mission to the user. The first mission program may be output to the user in the form of an ima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consist of an explanation page implemented on the web for sequential guidance to the user about the first mission. The first mission program may provide the user with guide information for building the steering model. Specifically, the first mission program may provide information on “Alan Turing” and “Blaze Pascal” and deliver the point that the first object 120 is in the room of the person corresponding to the father of artificial intelligence.

여기서, 앨런 튜링의 방은 제1 공간(112)에 해당하며, 블레즈 파스칼은 제2 공간(113)에 해당한다. 앨런 튜링은 1950년에 인공지능에 대한 논문 발표하여 '인공지능'의 개념을 처음 만들어 내서 '인공지능의 아버지'로 불리는 인물이며, 블레즈 파스칼은 앨런 튜링의 스승에 해당한다. 사용자는 인공지능의 아버지가 앨런 튜링인지 블레즈 파스칼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동 로봇(140)이 제1 공간(112) 또는 제2 공간(113)으로 이동하도록 조종 모델 구축 프로그램을 통해 조종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Here, Alan Turing's room corresponds to the first space 112 , and Blaise Pascal corresponds to the second space 113 . Alan Turing published a thesis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 1950 and first coined the concep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s called the 'father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laise Pascal is Alan Turing's teacher. The user determines whether the father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Alan Turing or Blaise Pascal, and creates a steering model through a steering model building program so that the mobile robot 140 moves to the first space 112 or the second space 113. can be built

조종 모델 구축 프로그램을 통해 이동 로봇(140)은 제1 라인(115) 또는 제2 라인(116)을 따라가도록 조종 모델이 구축되게 된다. 조종 모델 구축 프로그램은 블록 코딩 방식으로 코드를 입력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사용자, 특히, 학생들에게 쉬운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모델 구축 프로그램은 엔트리 코딩 프로그램 또는 스크래치 코딩 프로그램 등 일 수 있다. A steering model is built so that the mobile robot 140 follows the first line 115 or the second line 116 through the steering model building program. The pilot model building program may be a program for inputting code in a block coding method, and may provide an easy working environment for users, particularly, students. For example, the learning model building program may be an entry coding program or a scratch coding program.

이동 로봇(140)은 제1 게임판(110)의 시작 지점(111)에 위치하게 되고, 조종 모델에 의해 제1 라인(115) 또는 제2 라인(116)을 추종하면서 이동될 수 있다. 이동 로봇(140)은 라인 트레이싱(line tracing) 기능을 통해 이동될 수 있다. 정답에 해당하는 제1 라인(115)을 따라서 제1 공간(112)으로 이동 로봇(140)이 이동하도록 조종 모델이 구축되는 경우, 사용자는 제1 오브젝트(120)를 확인하게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오답에 해당하는 제2 라인(116)을 따라서 제2 공간(113)으로 이동 로봇(140)이 이동하도록 조종 모델이 구축되는 경우, 사용자는 빈 공간만을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다시 조종 모델을 변경하여 이동 로봇(140)이 제1 공간(112)으로 이동하도록 하여야 한다. The mobile robot 140 is positioned at the starting point 111 of the first game board 110 , and may be moved while following the first line 115 or the second line 116 by the control model. The mobile robot 140 may be moved through a line tracing function. When the steering model is built so that the mobile robot 140 moves to the first space 112 along the first line 115 corresponding to the correct answer, the user may check the first object 120 . Contrary to this, when the control model is constructed so that the mobile robot 140 moves to the second space 113 along the second line 116 corresponding to an incorrect answer, the user checks only the empty space. In this case, the user needs to change the control model again so that the mobile robot 140 moves to the first space 112 .

조종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이동 로봇의 방향 및 파지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제1 오브젝트(120)를 발견한 사용자는 조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이동 로봇(140)을 수동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로봇(140)을 통해 제1 오브젝트(120)를 파지한 상태로 제3 공간(114)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사물 인식 장치(130)에 제1 오브젝트(120)를 인식시킬 수 있다.The steering program may be a program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and whether to hold the mobile robot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A user who discovers the first object 120 may manually operate the mobile robot 140 by executing a manipulation program. The user may move to the third space 114 while holding the first object 120 through the mobile robot 140 , and may cause the object recognition apparatus 130 to recognize the first object 120 .

제1 제어부(155)는 사물 인식 장치(130)에서 인식된 정보를 처리하도록 더 구성된다. 제1 제어부(155)는 사물 인식 장치(130)에서 제1 오브젝트(120)가 인식되는 경우, 제1 미션 프로그램을 통해 힌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first control unit 155 is further configured to process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object recognition device 130 . When the first object 120 is recognized by the object recognition apparatus 130 , the first controller 155 may control to output a hint through the first mission program.

제1 미션의 수행을 위한 제1 미션 프로그램은 사용자에게 제1 단서 및 제2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단서는 매트릭스 배열된 복수의 숫자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단서는 5X5 매트릭스에 배열된 25개의 숫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숫자는 랜덤하게 제시되어 있다. 제2 단서는 도 7과 같이 제공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단서에 포함된 4개의 청색 숫자들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해당 숫자들이 하나의 숫자로 변형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적색 숫자의 변형이 암호(제1 암호)에 해당하는 단서도 제2 단서로 제공되게 된다. The first mission program for performing the first mission may provide the user with the first clue and the second clue. The first clu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numbers arranged in a matrix. Referring to FIG. 6 , the first clue consists of 25 numbers arranged in a 5×5 matrix, and each number is randomly presented. The second clue may be provided as shown in FIG. 7 . Referring to FIG. 7 , four blue numbers included in the first clue are arranged side by side, indicating that the corresponding numbers are transformed into one number. In addition, a clue corresponding to the password (the first password) in which the red number is modified is also provided as the second clue.

제1 오브젝트(120)를 인식함에 따라 제공되는 힌트는 도 8과 같이 제공된다. 힌트는 제2 단서의 청색 숫자와 적색 숫자의 관계를 제1 단서의 매트릭스를 상에서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청색 원에서 오른쪽으로 두번, 위로 두번 이동하는 경우, 적색 원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청색 숫자를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두번, 위로 두번 이동한 숫자가 적색 숫자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청색 숫자 4개 3, 11, 15, 16에 대응되는 적색 숫자 4개는 19, 40, 19, 45가 되며, 제1 암호는 19401945임을 알 수 있다. A hint provided by recognizing the first object 120 is provided as shown in FIG. 8 . The hint re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lue number and the red number of the second clue on the matrix of the first clue. Referring to FIG. 8 ,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blue circle moves to the right twice and upward twice, a red circle appears.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number moved to the right twice and up twice based on the blue number is the red number. Accordingly, the four red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four blue numbers 3, 11, 15, and 16 become 19, 40, 19, and 45, and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password is 19401945.

도 9를 참조하면, 제2 게임 장치(200)는 제2 게임판(210), 제2 사용자 장치(22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9 , the second game device 200 includes a second game board 210 and a second user device 220 .

제2 게임판(210)은 제1 게임판(110) 상부에 배치되며, 제2 미션을 위한 공간일 수 있다. The second game board 210 is disposed on the first game board 110 and may be a space for the second mission.

제2 암호(220)는 제2 게임판(210)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 게임판(210)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게임판(210)의 내부 벽면에 제2 암호(220)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cond password 220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game board 210 . In an embodiment, it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game board 210 . Specifically, it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password 220 on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game board 2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스마트 미러(230)는 제2 암호(220)가 외부에서 식별되지 않도록 불투명한 상태로 제2 게임판(210)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스마트 미러(230)는 제2 게임판(210)의 지붕 또는 창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마트 미러(230)가 불투명한 상태로 배치됨에 따라 제2 게임판(210)의 내부에 위치한 제2 암호(220)가 외부에서 식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큰 창문으로 구성된 스마트 미러(230)가 불투명 상태로 배치되어 제2 게임판(210) 내부의 제2 암호(220)가 외부에서 식별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The smart mirror 230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game board 210 in an opaque state so that the second password 220 is not identified from the outside. Illustratively, the smart mirror 230 may be configured as a roof or a window of the second game board 210 , and as the smart mirror 230 is disposed in an opaque state, it is placed inside the second game board 210 . The located second password 220 may not be identified from the outside. Referring to FIG. 9 , it can be seen that the smart mirror 230 composed of a large window is disposed in an opaque state so that the second password 220 inside the second game board 210 is not identified from the outside.

스마트 미러(230)는 신호에 따른 이미지를 표시하거나, 신호에 따라 투명도가 변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스마트 미러(230)는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마트 미러는 박막 OLED로 구성될 수도 있다. 스마트 미러(230)는 기본 상태, 즉, 신호가 제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불투명한 상태일 수 있다. 다만, 스마트 미러(230)는 외부 신호에 의해 투명한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스마트 미러(230)가 투명 상태로 변화됨에 따라 제2 게임판(210) 내부의 제2 암호(220)가 외부에서 식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smart mirror 23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n image according to a signal or to change transparency according to a signal. In an embodiment, the smart mirror 230 may be a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 film,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nother embodiment, the smart mirror may consist of a thin film OLED. The smart mirror 230 may be in an opaque state in a basic state, that is, in a state in which a signal is not provided. However, the smart mirror 230 may be changed to a transparent state by an external signal. Referring to FIG. 9 , as the smart mirror 230 changes to a transparent state,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password 220 inside the second game board 210 is externally identified.

스마트 미러(230)의 변화는 제2 사용자 장치(2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The change of the smart mirror 230 may be performed by the second user device 240 .

제2 사용자 장치(240)는 음성 인식 모델의 구축을 위한 음성 인식 모델 구축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제2 데이터 저장부;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제2 입력부; 상기 스마트 미러와의 연결을 위한 제2 인터페이스부; 상기 음성 인식 모델 구축 프로그램을 출력하는 제2 출력부; 상기 음성 인식 모델 구축 프로그램, 상기 제2 데이터 저장부, 상기 제2 입력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2 출력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장치(240)는 제1 사용자 장치(150)와 같은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며, 노트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cond user device 240 includes a second data storage unit in which a speech recognition model building program for constructing a speech recognition model is stored; a second input unit to which a user's command is input; a second interface unit for connection with the smart mirror; a seco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peech recognition model building program; and a second user device including a second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speech recognition model building program, the second data storage unit, the second input unit, the second interface unit, and the second output unit. The second user device 240 may be the same computing device as the first user device 150 , and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 notebook compu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2 제어부는 상기 음성 인식 모델을 통해 상기 스마트 미러의 투명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음성 인식 모델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을 문자로 변경하고 변경된 문자에 대응하여 스마트 미러(230)를 제어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음성 인식 모델 구축 프로그램은 블록 코딩 방식으로 코드를 입력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사용자, 특히, 학생들에게 쉬운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모델 구축 프로그램은 엔트리 코딩 프로그램 또는 스크래치 코딩 프로그램 등 일 수 있다. The second controller may control the transparency of the smart mirror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model. The voice recognition model may be constructed to recognize the user's voice, change the recognized voice into text, and control the smart mirror 230 in response to the changed text. The speech recognition model building program may be a program for inputting code in a block coding method, and may provide an easy work environment for users, particularly, students. For example, the learning model building program may be an entry coding program or a scratch coding program.

실시예에서, 음성 인식 모델은 제1 음성 단어를 인식하여 스마트 미러(230)를 투명하게 변경하도록 구축된 제1 음성 인식 모델과 상기 제1 음성 단어와 상반된 의미를 가진 제2 음성 단어를 인식하여 스마트 미러(230)를 불투명하게 변경하도록 구축된 제2 음성 인식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성 인식 모델은 "열어"라는 단어에 대응하여 스마트 미러(230)를 투명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도 10은 이러한 제1 음성 인식 모델을 구축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제2 음성 인식 모델은 "닫아"라는 단어에 대응하여 스마트 미러(230)를 불투명하게 변경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voice recognition model recognizes a first voice word and recognizes a first voice recognition model constructed to transparently change the smart mirror 230 and a second voice word having a meaning opposite to the first voice word. and a second voice recognition model built to change the smart mirror 230 to be opaque. For example, the first voice recognition model may transparently change the smart mirror 230 in response to the word “open”, and FIG. 10 exemplarily shows a process of building such a first voice recognition model. The second voice recognition model may change the smart mirror 230 to be opaque in response to the word “close”.

스마트 미러(230)가 투명하게 변화됨에 따라 제2 게임판(210) 내부의 제2 암호(220)가 외부에서 인식될 수 있다. 즉, 도 9에 예시적으로 기재된 38이라는 숫자를 사용자(학생)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As the smart mirror 230 is changed to be transparent, the second password 220 inside the second game board 210 may be recognized from the outside. That is, the user (student) can confirm the number 38 exemplarily described in FIG. 9 .

관리자 장치(300)가 제공되는 암호 입력 화면은 도 11과 같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 환경에서 제1 암호 입력창(301)과 제2 암호 입력창(302)이 각각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취득한 제1 암호와 제2 암호를 각각 1 암호 입력창(301)과 제2 암호 입력창(302)에 입력하게 되고, 정확한 제1 암호와 제2 암호가 입력됨에 따라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이 종료되게 된다. The password input screen provided with the manager device 300 may be provided as shown in FIG. 11 . Referring to FIG. 11 ,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password input window 301 and the second password input window 302 are configured in the user environment, respectively. The user inputs the acquired first password and the second password into the first password input window 301 and the second password input window 302, respectively, and as the correct first password and the second password are inputted, the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this will en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 장치는 스마트 홈과 관련된 다양한 미션을 진행하는 게임을 통해 인공지능(AI) 기반의 기계 학습과 코딩에 대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쉽고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A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device for performing a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programming educa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I)-based machine learning and coding through a game that performs various missions related to smart home. can be provided easily and efficient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 장치는 다양한 미션 게임을 통해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하여 학생들이 재미있게 AI 기반의 기계 학습과 코딩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The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device for performing the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through various mission games, so that students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AI-based machine learning and coding in a fun way can support doing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들 또는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or drawing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 장치로,
상기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은 제시된 제1 단서, 제2 단서 및 취득한 힌트를 통해 제1 암호를 해독하는 제1 미션; 음성 인식 모델을 통해 제2 암호를 취득하는 제2 미션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 장치는 상기 제1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제1 게임 장치 및 상기 제2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제2 게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게임 장치는,
시작 지점, 제1 공간, 제2 공간 및 제3 공간으로 구획된 제1 게임판으로, 상기 시작 지점에서 상기 제1 공간까지 연장된 제1 라인 및 상기 시작 지점에서 상기 제2 공간까지 연장된 제2 라인을 포함하는 제1 게임판;
상기 제1 공간에 포함된 제1 오브젝트;
상기 제3 공간에 포함된 사물 인식 장치;
상기 제1 게임판의 구획된 공간을 사용자의 조작 또는 학습된 조종 모델에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1 오브젝트를 파지하도록 구성된 이동 로봇; 및
상기 이동 로봇을 조종하는 조종 프로그램, 상기 조종 모델의 구축을 위한 조종 모델 구축 프로그램과 상기 제1 미션의 수행을 위한 제1 미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제1 데이터 저장부;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제1 입력부; 상기 이동 로봇 및 상기 사물 인식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조종 프로그램, 상기 조종 모델 구축 프로그램과 상기 제1 미션 프로그램을 출력하는 제1 출력부; 상기 조종 프로그램, 상기 조종 모델 구축 프로그램, 상기 제1 미션 프로그램,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 상기 제1 입력부,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1 출력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로봇은 상기 제1 라인 또는 상기 제2 라인을 따라가도록 상기 조종 모델이 구축되며,
상기 제1 미션 프로그램은 사용자에게 상기 제1 단서 및 제2 단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사물 인식 장치에서 인식된 정보를 처리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사물 인식 장치에서 상기 제1 오브젝트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제1 미션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힌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게임 장치는,
상기 제1 게임판의 상부에 별도로 배치된 제2 게임판;
상기 제2 게임판에 포함된 제2 암호;
상기 제2 암호가 외부에서 식별되지 않도록 불투명한 상태로 상기 제2 게임판에 배치되는 스마트 미러; 및
상기 음성 인식 모델의 구축을 위한 음성 인식 모델 구축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제2 데이터 저장부;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제2 입력부; 상기 스마트 미러와의 연결을 위한 제2 인터페이스부; 상기 음성 인식 모델 구축 프로그램을 출력하는 제2 출력부; 상기 음성 인식 모델 구축 프로그램, 상기 제2 데이터 저장부, 상기 제2 입력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2 출력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음성 인식 모델을 통해 상기 스마트 미러의 투명도를 제어하는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 장치.
A smart home password finder game device for playing smart home password finder games,
The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includes: a first mission of decrypting the first password through the presented first clue, the second clue, and the acquired hint; a second mission of obtaining a second password through a voice recognition model;
The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device includes a first game device for performing the first mission and a second game device for performing the second mission,
The first game device,
A first game board divided into a starting point, a first space, a second space, and a third space, a first line extending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first space and a first line extending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second space a first game board comprising two lines;
a first object included in the first space;
an object recognition device included in the third space;
a mobile robot configured to move the partitioned space of the first game board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or a learned manipulation model, and to grip the first object; and
a first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a steering program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a pilot model building program for building the steering model, and a first mission program for performing the first mission; a first input unit to which a user's command is input; a first interface unit for connecting the mobile robot and the object recognition device; a first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pilot program, the pilot model building program, and the first mission program; a first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steering program, the steering model building program, the first mission program, the first data storage unit, the first input unit, the first interface unit, and the first output unit user device;
In the mobile robot, the steering model is built to follow the first line or the second line,
The first mission program is configured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first clue and the second clue,
The first control unit is further configured to process th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object recognition apparatus, and when the first object is recognized by the object recognition apparatus, control to output the hint through the first mission program,
The second game device,
a second game board separately disposed on the first game board;
a second password included in the second game board;
a smart mirror disposed on the second game board in an opaque state so that the second password is not identified from the outside; and
a second data storage unit storing a speech recognition model building program for constructing the speech recognition model; a second input unit to which a user's command is input; a second interface unit for connection with the smart mirror; a seco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peech recognition model building program; a second user device including a second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speech recognition model building program, the second data storage unit, the second input unit, the second interface unit, and the second output unit;
The second control unit controls the transparency of the smart mirror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model.
Smart home password finder gaming device for playing smart home password finder gam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 장치는 상기 제1 미션과 상기 제2 미션에 대한 설명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제1 암호와 상기 제2 암호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는 관리자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인식 모델은 제1 음성 단어를 인식하여 상기 스마트 미러를 투명하게 변경하도록 구축된 제1 음성 인식 모델과 상기 제1 음성 단어와 상반된 의미를 가진 제2 음성 단어를 인식하여 상기 스마트 미러를 불투명하게 변경하도록 구축된 제2 음성 인식 모델을 포함하는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mart home password search game device further includes an administrator device that outputs an explanation image for the first mission and the second mission, and provides a user environment for inputting the first password and the second password, ,
The voice recognition model recognizes a first voice word and makes the smart mirror opaque by recognizing a first voice recognition model built to transparently change the smart mirror and a second voice word having a meaning opposite to the first voice word including a second speech recognition model built to change
Smart home password finder gaming device for playing smart home password finder game.
KR1020220054151A 2022-05-02 2022-05-02 Smart home experience game device for performing smart home experience game KR1024431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151A KR102443108B1 (en) 2022-05-02 2022-05-02 Smart home experience game device for performing smart home experience g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151A KR102443108B1 (en) 2022-05-02 2022-05-02 Smart home experience game device for performing smart home experience g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3108B1 true KR102443108B1 (en) 2022-09-14

Family

ID=83279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151A KR102443108B1 (en) 2022-05-02 2022-05-02 Smart home experience game device for performing smart home experience g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108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010A (en) * 2002-07-26 2004-02-05 모스트아이텍 주식회사 Home secreting/home networking system by using robo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10502391A (en) * 2006-09-05 2010-01-28 ハワード ダブリュ ラトニック Game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a game
KR101817206B1 (en) 2017-08-16 2018-01-10 주식회사 한국과학 Circuit board kit for Studying coding
KR20180042179A (en) * 2018-03-13 2018-04-25 전대연 The smart unmanned store system
JP2020504255A (en) * 2016-11-28 2020-02-06 ジャンスー ホンバオ ハードウェ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System and method for unlocking a lock
JP6795061B2 (en) * 2013-12-27 2020-12-02 ソニー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program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010A (en) * 2002-07-26 2004-02-05 모스트아이텍 주식회사 Home secreting/home networking system by using robo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10502391A (en) * 2006-09-05 2010-01-28 ハワード ダブリュ ラトニック Game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a game
JP6795061B2 (en) * 2013-12-27 2020-12-02 ソニー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programs
JP2020504255A (en) * 2016-11-28 2020-02-06 ジャンスー ホンバオ ハードウェ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System and method for unlocking a lock
KR101817206B1 (en) 2017-08-16 2018-01-10 주식회사 한국과학 Circuit board kit for Studying coding
KR20180042179A (en) * 2018-03-13 2018-04-25 전대연 The smart unmanned stor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Özgür et al. Cellulo: Versatile handheld robots for education
Bellas et al. The Robobo project: Bringing educational robotics closer to real-world applications
Gemignani et al. Living with robots: Interactive environmental knowledge acquisition
KR20200092247A (en) Coding learning system
KR20180124310A (en) Modular Robot System for Coding Edu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443108B1 (en) Smart home experience game device for performing smart home experience game
Fiebich et al. Cooperation with robots? A two-dimensional approach
KR102416890B1 (en) Learning kit for coding and ai education
KR20200063602A (en) Modular System for Coding Edu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Bellas et al. STEAM approach to autonomous robotics curriculum for high school using the Robobo robot
Depešová et al. In search of modern teaching methods-humanoid NAO robot, as help in the realization of it subjects
Michaud et al. Modularity and integration in the design of a socially interactive robot
KR102421658B1 (en) Smart health management game device for performing smart health management game
Subedi et al. Programming Nao as an educational agent: a comparison between Choregraphe and Python SDK
Oliver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AlZoubi et al. ChiC) at-Tutor: An Integrated Environment for Learning Recursion
KR102557227B1 (en) Geoje tourism experience game device for performing Geoje tourism experience game
KR102421655B1 (en) Robot logistics game device for performing robot logistics game method
Virčíková et al. Discovering art in robotic motion: from imitation to innovation via interactive evolution
Admoni et al. Robot nonverbal communication as an AI problem (and solution)
Munje et al. TEAM3 Challenge: Tasks for Multi-Human and Multi-Robot Collaboration with Voice and Gestures
Valenzuela Rev Up Robotics: Real-World Computational Thinking in the K–8 Classroom
US20200312177A1 (en) Interactive Educational Electronic Toy System
KR102579417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educational virtual spaces
KR102421664B1 (en) Power plant building game device for performing power plant building g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