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028B1 - 배터리 팩을 보관하기 위한 복수의 적재공간들에서의 온도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을 보관하기 위한 복수의 적재공간들에서의 온도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028B1
KR102442028B1 KR1020220060414A KR20220060414A KR102442028B1 KR 102442028 B1 KR102442028 B1 KR 102442028B1 KR 1020220060414 A KR1020220060414 A KR 1020220060414A KR 20220060414 A KR20220060414 A KR 20220060414A KR 102442028 B1 KR102442028 B1 KR 102442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detection
loading
data set
load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섭
Original Assignee
정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섭 filed Critical 정희섭
Priority to KR1020220060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0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 G01K7/2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non-linear resistance, e.g. thermis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94Escrow, recovery or storing of secret information, e.g. secret key escrow or cryptographic key stor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3F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을 보관하기 위한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보관용 랙(rack)에서,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설치된 온도 감지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에서의 온도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터리 팩을 보관하기 위한 복수의 적재공간들에서의 온도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MONITORING SYSTEM APPARATUS FOR MONITORING TEMPERATURE CHANGES IN A PLURALITY OF LOADING SPACES FOR STORING BATTERY PACK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을 보관하기 위한 복수의 적재공간들에서의 온도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증대됨에 따라, 전기자동차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 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배터리 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배터리 팩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보관 기술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 팩들은 출고되기 전에, 소정의 적재공간들로 구성된 보관용 랙(rack)의 각 적재공간에 적재된 상태로 보관되는데, 특정 적재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다른 적재공간으로 화재가 급속하게 확산될 수 있기 때문에, 화재를 미리 방지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도입될 필요가 있다.
특히, 배터리 팩은 제품 특성 상 화재에 취약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배터리 팩이 적재된 적재공간 상의 온도를 상시 감지하여, 특정 적재공간에서의 온도가 기준치를 벗어날 정도로 상승하는 경우, 신속하게 배터리 팩을 적재공간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보관용 랙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도입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을 보관하기 위한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보관용 랙(rack)에서,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설치된 온도 감지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에서의 온도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보관용 랙에서의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보관하기 위한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보관용 랙(rack)에서,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설치된 온도 감지 장치 -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설치된 온도 감지 장치는,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서,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istance) 온도 센서와, 사전 설정된 제1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가 되면 단선되도록 설계된 온도 퓨즈를 포함하고 있음 - 와 연동하여,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에서의 온도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는, 사전 설정된 감지 주기마다,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설치된 온도 감지 장치로부터, 각 온도 감지 장치에 포함된 NTC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온도 측정 값과 각 온도 감지 장치에 포함된 온도 퓨즈의 상태 정보 - 상기 상태 정보는, 온도 퓨즈가 단선되었는지 단선되지 않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임 - 를 수신하는 감지 정보 수신부,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중, 제1 적재공간에 설치된 제1 온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온도 측정 값이 사전 설정된 제2 기준 온도 -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상기 제1 기준 온도보다 낮은 온도임 - 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온도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변화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감지 신호 생성부 및 상기 변화 감지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제1 온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온도 측정 값과 온도 퓨즈의 상태 정보로 구성된 제1 감지 데이터셋을 생성하여, 상기 변화 감지 신호와 함께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을 사전 설정된 관제 시스템 장치로 전송하는 감지 전송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보관하기 위한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보관용 랙에서,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설치된 온도 감지 장치 -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설치된 온도 감지 장치는,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서, NTC 온도 센서와, 사전 설정된 제1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가 되면 단선되도록 설계된 온도 퓨즈를 포함하고 있음 - 와 연동하여,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에서의 온도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전 설정된 감지 주기마다,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설치된 온도 감지 장치로부터, 각 온도 감지 장치에 포함된 NTC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온도 측정 값과 각 온도 감지 장치에 포함된 온도 퓨즈의 상태 정보 - 상기 상태 정보는, 온도 퓨즈가 단선되었는지 단선되지 않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임 - 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중, 제1 적재공간에 설치된 제1 온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온도 측정 값이 사전 설정된 제2 기준 온도 -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상기 제1 기준 온도보다 낮은 온도임 - 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온도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변화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화 감지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제1 온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온도 측정 값과 온도 퓨즈의 상태 정보로 구성된 제1 감지 데이터셋을 생성하여, 상기 변화 감지 신호와 함께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을 사전 설정된 관제 시스템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을 보관하기 위한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보관용 랙(rack)에서,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설치된 온도 감지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에서의 온도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보관용 랙에서의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보관하기 위한 복수의 적재공간들에서의 온도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보관하기 위한 복수의 적재공간들에서의 온도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으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고,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블록들이나 흐름도의 단계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등 데이터 프로세싱이 가능한 장비의 프로세서나 메모리에 탑재되어 지정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instructions)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컴퓨터 장치에 구비된 메모리 또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블록도의 블록들 또는 흐름도의 단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이를 수행하는 명령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로 생산될 수도 있다. 아울러,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가능한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정해진 순서와 달리 실행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일부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생략된 채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적재공간들에서의 온도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110)는 배터리 팩을 보관하기 위한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보관용 랙(rack)(10)에서,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설치된 온도 감지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에서의 온도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로서, 감지 정보 수신부(111), 감지 신호 생성부(112) 및 감지 전송부(113)를 포함한다.
우선, 본 발명에서의 보관용 랙(10)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는 온도 감지 장치가 사전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이때,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설치된 온도 감지 장치는,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서,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istance) 온도 센서와, 사전 설정된 제1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가 되면 단선되도록 설계된 온도 퓨즈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은 보관용 랙(10)에서, 세로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 가로 k(k는 2이상의 자연수)개의 바둑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관련해서, n을 '4', k를 '5'라고 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은 도 1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보관용 랙(10)에서, 세로로 4개, 가로로 5개의 바둑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감지 정보 수신부(111)는 사전 설정된 감지 주기마다,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설치된 온도 감지 장치로부터, 각 온도 감지 장치에 포함된 NTC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온도 측정 값과 각 온도 감지 장치에 포함된 온도 퓨즈의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온도 퓨즈의 상태 정보는, 온도 퓨즈가 단선되었는지 단선되지 않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감지 주기가 '10초'라고 하는 경우, 감지 정보 수신부(111)는 매 10초마다,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설치된 온도 감지 장치로부터, 각 온도 감지 장치에 포함된 NTC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온도 측정 값과 각 온도 감지 장치에 포함된 온도 퓨즈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감지 신호 생성부(112)는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중, 제1 적재공간(11)에 설치된 제1 온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온도 측정 값이 사전 설정된 제2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적재공간(11)에서 온도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변화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온도 퓨즈의 단선 기준이 되는 온도로 설정된 상기 제1 기준 온도보다 낮은 온도이다. 예컨대, 상기 제1 기준 온도가 '섭씨 70도'라고 하는 경우,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섭씨 50도'로 사전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감지 전송부(113)는 상기 변화 감지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제1 온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온도 측정 값과 온도 퓨즈의 상태 정보로 구성된 제1 감지 데이터셋을 생성하여, 상기 변화 감지 신호와 함께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을 사전 설정된 관제 시스템 장치(20)로 전송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감지 전송부(113)는 데이터셋 생성부(114), 확인부(115) 및 정보 전송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셋 생성부(114)는, 감지 신호 생성부(112)에서, 상기 변화 감지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제1 온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온도 측정 값과 온도 퓨즈의 상태 정보로 구성된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을 생성한다.
확인부(115)는 바둑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Figure 112022052277517-pat00001
개의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에서, 상기 제1 적재공간(11)이 위치하는 지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예컨대, 전술한 예와 같이, n을 '4', k를 '5'라고 하는 경우, 확인부(115)는 바둑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20개의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에서, 상기 제1 적재공간(11)이 위치하는 지점의 위치 정보로 '4행 4열'이라고 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정보 전송부(116)는 관제 시스템 장치(20)로, 상기 변화 감지 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과 상기 제1 적재공간(11)의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관제 시스템 장치(20)는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10)로부터 상기 변화 감지 신호,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 및 상기 제1 적재공간(11)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화면 상에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과 상기 제1 적재공간(11)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면서, 상기 제1 적재공간(11)에서 온도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변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전송부(116)는, 관제 시스템 장치(20)로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과 상기 제1 적재공간(11)의 위치 정보를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으로, 개인키 저장부(117), 제1 삽입부(118), 매칭부(119), 제2 삽입부(120) 및 전송 처리부(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인키 저장부(117)에는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대한 사전 발급된 서로 다른 개인키가 저장되어 있다.
제1 삽입부(118)는 세로 n개, 가로 k개의 셀들로 구성된 테이블을 생성한 후, 상기 테이블에서, 상기 제1 적재공간(11)의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의 제1 셀에,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을, 상기 제1 적재공간에 대한 제1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삽입한다.
예컨대, 전술한 예와 같이, n을 '4', k를 '5'라고 하는 경우, 제1 삽입부(118)는 세로로 4개, 가로로 5개의 셀들로 구성된 테이블을 생성한 후, 상기 테이블에서, 상기 제1 적재공간(11)의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의 제1 셀에,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을, 상기 제1 적재공간에 대한 제1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삽입함으로써, 하기의 표 1과 같은 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D
상기 표 1에서, 'D'는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이 상기 제1 개인키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의미한다.
매칭부(119)는 (
Figure 112022052277517-pat00002
)개의 더미(dummy) 감지 데이터셋들을 랜덤하게 생성한 후,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중 상기 제1 적재공간(11)을 제외한 나머지 (
Figure 112022052277517-pat00003
)개의 잔여 적재공간들 각각에 대해, 상기 더미 감지 데이터셋들을 랜덤하게 하나씩 매칭시킨다. 여기서, 상기 더미 감지 데이터셋들은, 상기 제2 기준 온도보다 낮은 온도 범위에서 랜덤하게 선정된 온도 값과, 랜덤하게 선정된 온도 퓨즈의 상태 정보로 구성된 데이터셋을 의미한다.
관련해서, 전술한 예와 같이, n을 '4', k를 '5'라고 하고, 상기 제2 기준 온도를 '섭씨 50도'라고 하는 경우, 매칭부(119)는 '섭씨 50도'보다 낮은 온도 범위에서 랜덤하게 선정된 온도 값과, 랜덤하게 선정된 온도 퓨즈의 상태 정보로 구성된, 19개의 더미 감지 데이터셋들을 생성한 후, 20개의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중 상기 제1 적재공간(11)을 제외한 나머지 19개의 잔여 적재공간들 각각에 대해, 상기 19개의 더미 감지 데이터셋들을 랜덤하게 하나씩 매칭시킬 수 있다.
제2 삽입부(120)는 상기 테이블에서, 상기 잔여 적재공간들 각각의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의 셀에, 각 잔여 적재공간에 매칭된 더미 감지 데이터셋을, 각 잔여 적재공간에 대한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삽입한다.
관련해서, 전술한 예와 같이, n을 '4', k를 '5'라고 하고, 상기 테이블이 상기 표 1과 같이 구성된 상태이며, 19개의 잔여 적재공간들 각각에 대해, 19개의 더미 감지 데이터셋들이 하나씩 랜덤하게 매칭되었다고 하는 경우, 제2 삽입부(120)는 상기 표 1과 같은 테이블에서, 상기 19개의 잔여 적재공간들 각각의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의 셀에, 각 잔여 적재공간에 매칭된 더미 감지 데이터셋을, 각 잔여 적재공간에 대한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삽입함으로써, 상기 표 1과 같은 테이블을 하기의 표 2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R2 R4 R1 R3 R19
R5 R8 R9 R12 R16
R14 R6 R18 R10 R17
R15 R13 R7 D R11
상기 표 2에서, 'R1~R19'는 각 잔여 적재공간에 대한 개인키로 암호화된 더미 감지 데이터셋들을 의미한다.
전송 처리부(121)는 상기 테이블을,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과 상기 제1 적재공간(11)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감지 정보 테이블로 지정한 후, 관제 시스템 장치(20)로 상기 변화 감지 신호와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을 전송한다.
즉, 전송 처리부(121)는 상기 테이블이 상기 표 2와 같이 구성이 완료되면, 상기 표 2와 같은 테이블을,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로 지정한 후, 관제 시스템 장치(20)로 상기 변화 감지 신호와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관제 시스템 장치(20)는 메모리 상에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대한 개인키에 대응되는 공개키를 사전 저장하고 있고,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110)로부터 상기 변화 감지 신호와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대한 공개키를 기초로,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과 상기 제1 적재공간(11)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 후, 화면 상에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과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면서,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온도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상기 변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관제 시스템 장치(20)는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110)로부터 상기 변화 감지 신호와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이 수신되면,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을 구성하는
Figure 112022052277517-pat00004
개의 셀들 각각에 삽입되어 있는 암호화된 감지 데이터셋에 대해, 각 셀의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의 적재공간에 대한 공개키로 복호화를 수행하고,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을 구성하는
Figure 112022052277517-pat00005
개의 셀들 중, 상기 제2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 값이 포함된 감지 데이터셋이 삽입되어 있는 셀이 어떤 셀인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셀을 선별해낸 후,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에서의 상기 제1 셀에 삽입되어 있는 복호화된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을 추출함과 동시에,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에서의 상기 제1 셀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 정보를 식별해낼 수 있다.
관련해서, 전술한 예와 같이,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110)로부터 관제 시스템 장치(20)에, 상기 표 2와 같은 감지 정보 테이블이 수신되었다고 하고, 관제 시스템 장치(2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관제 시스템 장치(20)는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110)로부터 상기 변화 감지 신호와 함께, 상기 표 2와 같은 감지 정보 테이블이 수신되면,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을 구성하는 20개의 셀들 각각에 삽입되어 있는 암호화된 감지 데이터셋에 대해, 각 셀의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의 적재공간에 대한 공개키로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관제 시스템 장치(20)는 '1행 1열'의 셀에 삽입된 암호화된 감지 데이터셋에 대해, 보관용 랙(10)에서 '1행 1열'에 위치하는 적재공간에 대응되는 공개키로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관제 시스템 장치(20)는 상기 표 2와 같은 감지 정보 테이블의 각 셀에 삽입되어 있는 암호화된 감지 데이터셋을, 각 셀의 위치에 따른 적재공간에 대한 공개키로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의 각 셀에 삽입되어 있는 암호화된 감지 데이터셋들은 각 셀의 위치에 따른 적재공간에 대한 개인키로 암호화된 데이터들이므로, 관제 시스템 장치(20)는 각 셀의 위치에 따른 적재공간에 대한 공개키로 각 암호화된 감지 데이터셋들을 복호화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의 각 셀에 삽입된 감지 데이터셋에 대한 복호화가 완료되면, 관제 시스템 장치(20)는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을 구성하는 20개의 셀들 중, 상기 제2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 값이 포함된 감지 데이터셋이 삽입되어 있는 셀이 어떤 셀인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로부터 '4행 4열'이라고 하는 제1 셀을 선별해낼 수 있다. 관련해서,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에서, '4행 4열'에 위치하는 감지 데이터셋만이, 감지 데이터셋에 포함되어 있는 온도 값이 상기 제2 기준 온도인 '섭씨 50도'를 초과하는 온도 값으로 구성되어 있고, 나머지 셀들에 삽입된 감지 데이터셋들은 온도 값이 상기 제2 기준 온도보다 낮은 온도 범위에서 랜덤하게 선정된 더미 감지 데이터셋들이기 때문에, 관제 시스템 장치(20)는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을 구성하는 20개의 셀들 중, 상기 제2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 값이 포함된 감지 데이터셋이 삽입되어 있는 셀이 어떤 셀인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로부터 '4행 4열'이라고 하는 상기 제1 셀을 선별해낼 수 있다.
이렇게,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로부터 '4행 4열'이라고 하는 상기 제1 셀이 선별되면, 관제 시스템 장치(20)는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에서의 상기 제1 셀에 삽입되어 있는 복호화된 제1 감지 데이터셋을 추출함과 동시에,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에서의 상기 제1 셀의 위치인 '4행 4열'를 기초로, 보관용 랙(10)에서의 상기 제1 적재공간(11)의 위치 정보를 '4행 4열'로 식별해낼 수 있다.
그러면, 관제 시스템 장치(20)는 화면 상에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과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면서,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온도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상기 변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관제 시스템 장치(20)에 표시되는 정보를 보고, 즉시 상기 제1 적재공간(11)에 적재되어 있는 배터리 팩을 이탈시키도록 하는 작업 명령을 할당하거나, 상기 제1 적재공간(11)을 점검할 것을 지시하는 작업 명령을 할당함으로써, 화재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화재로 인해 배터리 팩이 손실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관제 시스템 장치(20)는 화면 상에 보관용 랙(10)과 동일한 형태의 복수의 적재공간들이 바둑판 형상으로 배치된 그래픽 이미지를 표시하면서, 상기 제1 적재공간(11)에 따른 지점에 소정의 색상을 표시하는 형태로, 상기 제1 적재공간(11)의 위치 정보와 상기 변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110)는 푸시 알림 전송부(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푸시 알림 전송부(122)는 감지 전송부(113)를 통해, 상기 변화 감지 신호와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이 관제 시스템 장치(20)로 전송되면, 상기 제1 온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온도 퓨즈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1 온도 감지 장치에 포함된 온도 퓨즈가 단선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 적재공간(11)에 화재 위험이 있음을 알리는 긴급 경보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 후, 사전 설정된 관리자 단말(30)에 대해, 상기 긴급 경보 알림 메시지를 푸시(push) 알림으로 전송한다.
관련해서, 상기 제1 기준 온도가 '섭씨 70도'라고 하고, 상기 제1 온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NTC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온도 측정 값이 '섭씨 80도'라고 하는 경우, 상기 제1 온도 감지 장치에 포함된 온도 퓨즈는 단선 상태가 될 것이다. 이로 인해, 감지 전송부(113)를 통해, 상기 변화 감지 신호와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이 관제 시스템 장치(20)로 전송 완료되면, 푸시 알림 전송부(122)는 상기 제1 온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온도 퓨즈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1 온도 감지 장치에 포함된 온도 퓨즈의 상태가 단선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고, 이 경우, 푸시 알림 전송부(122)는 상기 제1 적재공간(11)에 화재 위험이 있음을 알리는 긴급 경보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 후, 사전 설정된 관리자 단말(30)에 대해, 상기 긴급 경보 알림 메시지를 푸시 알림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자신의 관리자 단말(30)에 수신된 긴급 경보 알림 메시지를 보고, 신속하게 상기 제1 적재공간(11)에 적재된 배터리를 이탈시키거나, 화재 예방 조치를 수행함으로써, 화재로 확산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보관하기 위한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보관용 랙에서,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설치된 온도 감지 장치(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설치된 온도 감지 장치는,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서, NTC 온도 센서와, 사전 설정된 제1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가 되면 단선되도록 설계된 온도 퓨즈를 포함하고 있음)와 연동하여,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에서의 온도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S210)에서는 사전 설정된 감지 주기마다,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설치된 온도 감지 장치로부터, 각 온도 감지 장치에 포함된 NTC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온도 측정 값과 각 온도 감지 장치에 포함된 온도 퓨즈의 상태 정보(상기 상태 정보는, 온도 퓨즈가 단선되었는지 단선되지 않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임)를 수신한다.
단계(S220)에서는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중, 제1 적재공간에 설치된 제1 온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온도 측정 값이 사전 설정된 제2 기준 온도(상기 제2 기준 온도는 상기 제1 기준 온도보다 낮은 온도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온도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변화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단계(S230)에서는 상기 변화 감지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제1 온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온도 측정 값과 온도 퓨즈의 상태 정보로 구성된 제1 감지 데이터셋을 생성하여, 상기 변화 감지 신호와 함께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을 사전 설정된 관제 시스템 장치로 전송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은 상기 보관용 랙에서, 세로 n개, 가로 k개의 바둑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단계(S230)에서는 상기 변화 감지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제1 온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온도 측정 값과 온도 퓨즈의 상태 정보로 구성된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을 생성하는 단계, 바둑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Figure 112022052277517-pat00006
개의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에서, 상기 제1 적재공간이 위치하는 지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관제 시스템 장치로, 상기 변화 감지 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과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제 시스템 장치는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로부터 상기 변화 감지 신호,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 및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화면 상에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과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면서,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온도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변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대한 사전 발급된 서로 다른 개인키가 저장되어 있는 개인키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세로 n개, 가로 k개의 셀들로 구성된 테이블을 생성한 후, 상기 테이블에서,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의 제1 셀에,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을, 상기 제1 적재공간에 대한 제1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삽입하는 단계, (
Figure 112022052277517-pat00007
)개의 더미 감지 데이터셋들(상기 더미 감지 데이터셋들은, 상기 제2 기준 온도보다 낮은 온도 범위에서 랜덤하게 선정된 온도 값과, 랜덤하게 선정된 온도 퓨즈의 상태 정보로 구성된 데이터셋임)을 랜덤하게 생성한 후,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중 상기 제1 적재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
Figure 112022052277517-pat00008
)개의 잔여 적재공간들 각각에 대해, 상기 더미 감지 데이터셋들을 랜덤하게 하나씩 매칭시키는 단계, 상기 테이블에서, 상기 잔여 적재공간들 각각의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의 셀에, 각 잔여 적재공간에 매칭된 더미 감지 데이터셋을, 각 잔여 적재공간에 대한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테이블을,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과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감지 정보 테이블로 지정한 후, 상기 관제 시스템 장치로 상기 변화 감지 신호와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제 시스템 장치는 메모리 상에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대한 개인키에 대응되는 공개키를 사전 저장하고 있고,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로부터 상기 변화 감지 신호와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대한 공개키를 기초로,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과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 후, 화면 상에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과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면서,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온도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상기 변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제 시스템 장치는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로부터 상기 변화 감지 신호와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이 수신되면,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을 구성하는
Figure 112022052277517-pat00009
개의 셀들 각각에 삽입되어 있는 암호화된 감지 데이터셋에 대해, 각 셀의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의 적재공간에 대한 공개키로 복호화를 수행하고,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을 구성하는
Figure 112022052277517-pat00010
개의 셀들 중, 상기 제2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 값이 포함된 감지 데이터셋이 삽입되어 있는 셀이 어떤 셀인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셀을 선별해낸 후,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에서의 상기 제1 셀에 삽입되어 있는 복호화된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을 추출함과 동시에,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에서의 상기 제1 셀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 정보를 식별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변화 감지 신호와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이 상기 관제 시스템 장치로 전송되면, 상기 제1 온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온도 퓨즈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1 온도 감지 장치에 포함된 온도 퓨즈가 단선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 적재공간에 화재 위험이 있음을 알리는 긴급 경보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 후, 사전 설정된 관리자 단말에 대해, 상기 긴급 경보 알림 메시지를 푸시 알림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110)의 동작에 대한 구성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
111: 감지 정보 수신부 112: 감지 신호 생성부
113: 감지 전송부 114: 데이터셋 생성부
115: 확인부 116: 정보 전송부
117: 개인키 저장부 118: 제1 삽입부
119: 매칭부 120: 제2 삽입부
121: 전송 처리부 122: 푸시 알림 전송부
20: 관제 시스템 장치
30: 관리자 단말

Claims (12)

  1. 배터리 팩을 보관하기 위한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보관용 랙(rack)에서,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설치된 온도 감지 장치 -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설치된 온도 감지 장치는,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서,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istance) 온도 센서와, 사전 설정된 제1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가 되면 단선되도록 설계된 온도 퓨즈를 포함하고 있음 - 와 연동하여,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에서의 온도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에 있어서,
    사전 설정된 감지 주기마다,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설치된 온도 감지 장치로부터, 각 온도 감지 장치에 포함된 NTC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온도 측정 값과 각 온도 감지 장치에 포함된 온도 퓨즈의 상태 정보 - 상기 상태 정보는, 온도 퓨즈가 단선되었는지 단선되지 않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임 - 를 수신하는 감지 정보 수신부;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중, 제1 적재공간에 설치된 제1 온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온도 측정 값이 사전 설정된 제2 기준 온도 -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상기 제1 기준 온도보다 낮은 온도임 - 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온도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변화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감지 신호 생성부; 및
    상기 변화 감지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제1 온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온도 측정 값과 온도 퓨즈의 상태 정보로 구성된 제1 감지 데이터셋을 생성하여, 상기 변화 감지 신호와 함께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을 사전 설정된 관제 시스템 장치로 전송하는 감지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은 상기 보관용 랙에서, 세로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 가로 k(k는 2이상의 자연수)개의 바둑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감지 전송부는
    상기 변화 감지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제1 온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온도 측정 값과 온도 퓨즈의 상태 정보로 구성된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을 생성하는 데이터셋 생성부;
    바둑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Figure 112022090912616-pat00023
    개의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에서, 상기 제1 적재공간이 위치하는 지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관제 시스템 장치로, 상기 변화 감지 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과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전송부는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대한 사전 발급된 서로 다른 개인키가 저장되어 있는 개인키 저장부;
    세로 n개, 가로 k개의 셀들로 구성된 테이블을 생성한 후, 상기 테이블에서,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의 제1 셀에,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을, 상기 제1 적재공간에 대한 제1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삽입하는 제1 삽입부;
    (
    Figure 112022090912616-pat00024
    )개의 더미(dummy) 감지 데이터셋들 - 상기 더미 감지 데이터셋들은, 상기 제2 기준 온도보다 낮은 온도 범위에서 랜덤하게 선정된 온도 값과, 랜덤하게 선정된 온도 퓨즈의 상태 정보로 구성된 데이터셋임 - 을 랜덤하게 생성한 후,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중 상기 제1 적재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
    Figure 112022090912616-pat00025
    )개의 잔여 적재공간들 각각에 대해, 상기 더미 감지 데이터셋들을 랜덤하게 하나씩 매칭시키는 매칭부;
    상기 테이블에서, 상기 잔여 적재공간들 각각의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의 셀에, 각 잔여 적재공간에 매칭된 더미 감지 데이터셋을, 각 잔여 적재공간에 대한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삽입하는 제2 삽입부; 및
    상기 테이블을,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과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감지 정보 테이블로 지정한 후, 상기 관제 시스템 장치로 상기 변화 감지 신호와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을 전송하는 전송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관제 시스템 장치는
    메모리 상에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대한 개인키에 대응되는 공개키를 사전 저장하고 있고,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로부터 상기 변화 감지 신호와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대한 공개키를 기초로,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과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 후, 화면 상에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과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면서,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온도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변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시스템 장치는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로부터 상기 변화 감지 신호와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이 수신되면,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을 구성하는
    Figure 112022090912616-pat00014
    개의 셀들 각각에 삽입되어 있는 암호화된 감지 데이터셋에 대해, 각 셀의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의 적재공간에 대한 공개키로 복호화를 수행하고,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을 구성하는
    Figure 112022090912616-pat00015
    개의 셀들 중, 상기 제2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 값이 포함된 감지 데이터셋이 삽입되어 있는 셀이 어떤 셀인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셀을 선별해낸 후,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에서의 상기 제1 셀에 삽입되어 있는 복호화된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을 추출함과 동시에,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에서의 상기 제1 셀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 정보를 식별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 감지 신호와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이 상기 관제 시스템 장치로 전송되면, 상기 제1 온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온도 퓨즈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1 온도 감지 장치에 포함된 온도 퓨즈가 단선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 적재공간에 화재 위험이 있음을 알리는 긴급 경보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 후, 사전 설정된 관리자 단말에 대해, 상기 긴급 경보 알림 메시지를 푸시(push) 알림으로 전송하는 푸시 알림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
  6. 배터리 팩을 보관하기 위한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보관용 랙(rack)에서,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설치된 온도 감지 장치 -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설치된 온도 감지 장치는,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서,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istance) 온도 센서와, 사전 설정된 제1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가 되면 단선되도록 설계된 온도 퓨즈를 포함하고 있음 - 와 연동하여,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에서의 온도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사전 설정된 감지 주기마다,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설치된 온도 감지 장치로부터, 각 온도 감지 장치에 포함된 NTC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온도 측정 값과 각 온도 감지 장치에 포함된 온도 퓨즈의 상태 정보 - 상기 상태 정보는, 온도 퓨즈가 단선되었는지 단선되지 않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임 - 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중, 제1 적재공간에 설치된 제1 온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온도 측정 값이 사전 설정된 제2 기준 온도 -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상기 제1 기준 온도보다 낮은 온도임 - 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온도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변화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화 감지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제1 온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온도 측정 값과 온도 퓨즈의 상태 정보로 구성된 제1 감지 데이터셋을 생성하여, 상기 변화 감지 신호와 함께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을 사전 설정된 관제 시스템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은 상기 보관용 랙에서, 세로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 가로 k(k는 2이상의 자연수)개의 바둑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변화 감지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제1 온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온도 측정 값과 온도 퓨즈의 상태 정보로 구성된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을 생성하는 단계;
    바둑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Figure 112022090912616-pat00026
    개의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에서, 상기 제1 적재공간이 위치하는 지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관제 시스템 장치로, 상기 변화 감지 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과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대한 사전 발급된 서로 다른 개인키가 저장되어 있는 개인키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세로 n개, 가로 k개의 셀들로 구성된 테이블을 생성한 후, 상기 테이블에서,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의 제1 셀에,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을, 상기 제1 적재공간에 대한 제1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삽입하는 단계;
    (
    Figure 112022090912616-pat00027
    )개의 더미(dummy) 감지 데이터셋들 - 상기 더미 감지 데이터셋들은, 상기 제2 기준 온도보다 낮은 온도 범위에서 랜덤하게 선정된 온도 값과, 랜덤하게 선정된 온도 퓨즈의 상태 정보로 구성된 데이터셋임 - 을 랜덤하게 생성한 후,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중 상기 제1 적재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
    Figure 112022090912616-pat00028
    )개의 잔여 적재공간들 각각에 대해, 상기 더미 감지 데이터셋들을 랜덤하게 하나씩 매칭시키는 단계;
    상기 테이블에서, 상기 잔여 적재공간들 각각의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의 셀에, 각 잔여 적재공간에 매칭된 더미 감지 데이터셋을, 각 잔여 적재공간에 대한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테이블을,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과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감지 정보 테이블로 지정한 후, 상기 관제 시스템 장치로 상기 변화 감지 신호와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관제 시스템 장치는
    메모리 상에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대한 개인키에 대응되는 공개키를 사전 저장하고 있고,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로부터 상기 변화 감지 신호와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대한 공개키를 기초로,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과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 후, 화면 상에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과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면서,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온도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변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시스템 장치는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로부터 상기 변화 감지 신호와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이 수신되면,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을 구성하는
    Figure 112022090912616-pat00019
    개의 셀들 각각에 삽입되어 있는 암호화된 감지 데이터셋에 대해, 각 셀의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의 적재공간에 대한 공개키로 복호화를 수행하고,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을 구성하는
    Figure 112022090912616-pat00020
    개의 셀들 중, 상기 제2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 값이 포함된 감지 데이터셋이 삽입되어 있는 셀이 어떤 셀인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셀을 선별해낸 후,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에서의 상기 제1 셀에 삽입되어 있는 복호화된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을 추출함과 동시에, 상기 감지 정보 테이블에서의 상기 제1 셀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 정보를 식별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 감지 신호와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셋이 상기 관제 시스템 장치로 전송되면, 상기 제1 온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온도 퓨즈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1 온도 감지 장치에 포함된 온도 퓨즈가 단선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 적재공간에 화재 위험이 있음을 알리는 긴급 경보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 후, 사전 설정된 관리자 단말에 대해, 상기 긴급 경보 알림 메시지를 푸시(push) 알림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6항,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2. 제6항,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60414A 2022-05-17 2022-05-17 배터리 팩을 보관하기 위한 복수의 적재공간들에서의 온도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42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414A KR102442028B1 (ko) 2022-05-17 2022-05-17 배터리 팩을 보관하기 위한 복수의 적재공간들에서의 온도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414A KR102442028B1 (ko) 2022-05-17 2022-05-17 배터리 팩을 보관하기 위한 복수의 적재공간들에서의 온도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028B1 true KR102442028B1 (ko) 2022-09-07

Family

ID=83278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414A KR102442028B1 (ko) 2022-05-17 2022-05-17 배터리 팩을 보관하기 위한 복수의 적재공간들에서의 온도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02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489B1 (ko) * 2019-05-09 2019-11-18 풍성에너지 (주) 화재예방장치를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장치, 및 에너지저장장치의 화재예방방법
KR102162999B1 (ko) * 2019-04-12 2020-10-07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배터리 이상 진단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저장시스템
KR20210051734A (ko)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필컴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72845A (ko) * 2019-12-09 2021-06-18 한국광기술원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폭발 방지 장치
KR102309754B1 (ko) * 2021-05-25 2021-10-07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단계별 화재 진단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999B1 (ko) * 2019-04-12 2020-10-07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배터리 이상 진단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저장시스템
KR102045489B1 (ko) * 2019-05-09 2019-11-18 풍성에너지 (주) 화재예방장치를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장치, 및 에너지저장장치의 화재예방방법
KR20210051734A (ko)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필컴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72845A (ko) * 2019-12-09 2021-06-18 한국광기술원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폭발 방지 장치
KR102309754B1 (ko) * 2021-05-25 2021-10-07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단계별 화재 진단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84586B (zh) 消息认证码生成方法,实现该方法的认证装置及认证请求装置
CN106656476A (zh) 一种密码保护方法及装置
US20100185843A1 (en) Hardware encrypting storage device with physically separable key storage device
CN108093392B (zh) 一种解锁sim卡的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EP2983325A1 (en) Dynamic password token,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password token
WO2017202025A1 (zh) 终端文件加密方法、终端文件解密方法和终端
CN108898005B (zh) 一种硬盘识别的方法、系统、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286638B (zh) 一种汽车诊断设备认证方法及相关装置
CN101815292B (zh) 一种移动终端的数据保护装置及方法
CN102306255B (zh) 一种文档保护方法及系统
EP2521065A2 (en)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accessing the same
CN109190401A (zh) 一种Qemu虚拟可信根的数据存储方法、装置及相关组件
CN104408363A (zh) 安全密码系统
CN101770552A (zh) 清除计算机密码方法、计算机及清除计算机密码系统
US20170091483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Address Book, and Communication System
EP2840818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N111614698A (zh) 擦除终端数据的方法及装置
CN112688972A (zh) 一种保护账号安全的方法及系统
CN111460437A (zh) 固件运行方法、装置、固件烧录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KR102442028B1 (ko) 배터리 팩을 보관하기 위한 복수의 적재공간들에서의 온도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6341226A (zh) 一种数据加解密方法及系统
CN100592317C (zh) 一种外围设备及其权限验证方法
JP2023542099A (ja) 無線端末、及び無線端末のUbootモードにおけるインタフェースアクセス認証方法
CN101324914B (zh) 一种防盗版的方法和装置
WO2016045168A1 (zh) 数据处理方法和数据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