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762B1 -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blasting device - Google Patents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blas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762B1
KR102441762B1 KR1020200076387A KR20200076387A KR102441762B1 KR 102441762 B1 KR102441762 B1 KR 102441762B1 KR 1020200076387 A KR1020200076387 A KR 1020200076387A KR 20200076387 A KR20200076387 A KR 20200076387A KR 102441762 B1 KR102441762 B1 KR 102441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water
housing
unit
suppl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3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58077A (en
Inventor
김규형
Original Assignee
김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형 filed Critical 김규형
Priority to KR1020200076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762B1/en
Publication of KR20210158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0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7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B01D21/265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by using a vortex inducer or vortex guide, e.g. c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01D21/34Controlling the feed distribution; Controlling the liquid level ; Control of process parame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공간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를 용수가 정체되는 구역과 혼합되는 구역으로 나누기 위한 가이드수단; 및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에서 상기 혼합 구역 측에 출구가 배치되는 용수공급라인;을 포함하는 제1단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를 상기 정체 구역과 혼합 구역으로 구획하면서 상기 용수공급라인의 출구로부터 급수된 용수를 가두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용수의 유속을 느리게 하여 침전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가이더와, 상기 가이더와 상기 용수공급라인의 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유통공간으로 이루어지도록 구현함으로써, 공급된 용수 간의 혼합 구역과 이를 거쳐 머물게 되는 정체 구역을 통해 용수 간의 혼합 및 정화 효율을 향상시킨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guide means for dividing the space of the housing into a zone where water is stagnant and a zone where water is mixed; and a water supply line having an outlet disposed on the side of the mixing zone in the space of the housing, wherein the guide means divides the space of the housing into the stagnant zone and the mixing zone while dividing the water into the stagnant zone and the mixing zone. By implementing a guider for increasing the settling time by slowing the flow rate of water by being arranged in a form to confine the water supplied from the outlet of the supply line, and a distribution space formed between the guider and the outlet of the water supply line. , It relates to a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a blasting device that improves the mixing and purification efficiency between water through a mixing zone between the supplied water and a stagnant zone where it stays.

Description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WATER PURIFICATION SYSTEM OF BLASTING DEVICE}WATER PURIFICATION SYSTEM OF BLASTING DEVICE

본 발명은 공급된 용수가 나선형의 라인을 타고 급수되면서 하우징의 내벽 및 가이더의 안내에 따라 와류 형태의 흐름을 가지고, 가이더에 의해 나누어진 정체 구역과 혼합 구역 중 혼합 구역에서 용수 간의 혼합이 서서히 이루어지면서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 등이 침전되고 정화된 용수가 정체 구역 측으로 흘러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수 간의 혼합 및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lied water has a vortex flow according to the guide of the guide and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as the supplied water is supplied along a spiral line.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the blasting device that allow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ter to settle and the purified water flows to the stagnant area side as it sinks, thereby improving the mixing and purification efficiency between waters.

샌드 등의 블라스팅 시 사용하거나 사용한 후의 용수를 여과하기 위한 기술로는,Techniques for filtration of water used or used for sand blasting include: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93231호 (2014.04.30.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워터 블라스팅 장치』가 제시되어 있는 바,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93231 (Registered on April 30, 2014,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1') "Water blasting device" is presented,

문헌 1은 라이저 파이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라이저 파이프의 내벽면으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상기 라이저 파이프의 내벽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분사 모듈; 상기 분사 모듈이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라이저 파이프의 내벽면을 따라 상기 분사 모듈을 이송시킴과 아울러 상기 분사 모듈의 분사 방향을 조절하도록 형성된 이송 모듈; 및 상기 라이저 파이프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분사 모듈의 작동 시 상기 라이저 파이프의 하부로 흘러내리는 폐수를 모아서 처리하는 폐수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 모듈은, 상기 라이저 파이프의 내부 중심에 배치된 일단부에 상기 분사 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분사 모듈을 상기 라이저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 제1 이송 기구; 상기 제1 이송 기구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이송 기구와 함께 상기 분사 모듈을 상기 라이저 파이프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형성된 제2 이송 기구; 및 상기 제2 이송 기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이송 기구와 상기 제2 이송 기구를 상기 라이저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 제3 이송 기구;를 구비함으로써, 분사 노즐을 통해 고압의 물을 라이저 파이프의 내벽면에 분사하여 라이저 파이프의 내벽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폐수 처리 모듈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정화 처리할 수 있는 워터 블라스팅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Document 1 discloses a spray module disposed inside a riser pipe and spraying high-pressure water onto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riser pip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present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iser pipe; a transport module having the injection module disposed on one side and configured to transport the injection module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iser pipe and adjust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injection module; and a wastewater treatment module disposed under the riser pipe and collecting and treating wastewater flowing down to the lower part of the riser pipe when the injection module is operated, wherein the transfer module is dispos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riser pipe a first transport mechanism provided with the injection module at one end portion thereof and formed to move the injection modu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ser pipe; a second transport mechanism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and configured to rotate the injection module together with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iser pipe; and a third transfer mechanism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and configured to move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and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ser pipe.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water blasting device that can remove foreign substances existing on the inner wall of the riser pipe by spraying it on the inner wall of the riser pipe, and can purify and treat wastewater generated in the process in real time using a wastewater treatment module. .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9-0052350호 (2019.05.16.공개,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다중 복합 샌드 여과기』가 제시되어 있는 바,As another techniqu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52350 (published on May 16, 2019,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2') 『Multiple composite sand filter』 is proposed,

문헌 2는 상,하부 경판으로 이루어진 본체를 가짐과 동시에 이 본체에는 오염수가 유입되는 입수관 및 역세척수 배수구를 포함하여 정화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모래를 포함한 복합 여과재 및 필터유닛이 순차로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는 모터가 장착됨과 동시에 이 모터의 가동에 따라 작동하도록 수직으로 배치된 회전축 및 이 회전축에 배열된 교반날개에 의해 모래를 뒤섞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교반수단을 구성하는 회전축 및 반구형 교반날개 들을 이용하여 하우징의 내부에 채워진 모래를 전체적으로 뒤섞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고르게 역세척 작업을 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역세척에 이용되는 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화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있고, 하우징 내의 하부에 설치되는 별도의 복합 여과재 및 필터유닛에 의해 여과능력을 향상시켜 보다 효율적으로 오염수를 정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대용량 정수에 가장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는 다중 복합 샌드 여과기에 관한 기술이다.Document 2 has a main body composed of upper and lower end plates, and at the same time, the main body has a drain port for discharging purified water, including a water inlet pipe and a backwash water drain port, through which contaminated water is introduced, and sand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Composite filter media and filter units including By configuring so that the backwashing can be performed evenly, the sand filled in the housing can be mixed as a whole using the rotating shaft and hemispherical stirring blades constituting the stirring means, and thus the amount of water used for backwashing Not only can it reduce water consumption, it can greatly shorten the purification time, and it can purify polluted water more efficiently by improving the filtration ability by a separate composite filter medium and filter unit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It is a technique for a multi-composite sand filter that is preferably applicable.

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93231호 (2014.04.30.등록)Documen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93231 (Registered on April 30, 2014) 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9-0052350호 (2019.05.16.공개)Docum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52350 (published on May 16, 2019)

본 발명은 가이더에 의해 나누어진 정체 구역과 혼합 구역 중 혼합 구역에서 용수 간의 혼합 및 이물질의 침전이 이루어지고, 이를 거친 용수가 정체 구역에 머물게 되는 정화 과정을 수회 걸쳐 수행하는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purification system for a blasting device that performs a purification process several times in which mixing between water and precipitation of foreign substances is made in the mixing zone among the stagnant zone and the mixing zone divided by the guider, and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is process stays in the stagnant zone. Its purpose is to provide

나아가 본 발명은 수회 정화 과정을 거친 용수가 필터바스켓을 통해 최종 필터링 될 수 있도록 한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urtherm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cation system for a blasting device so that water that has undergone a purification process several times can be finally filtered through a filter basket.

아울러 본 발명은 가이더에 용수의 흐름을 분산시킬 수 있는 여러 실시예를 구현하여 용수 간의 혼합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cation system for a blasting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mixing rate between water by implementing various embodiments capable of distributing the flow of water to the guider.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은,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the bla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내부 공간부를 갖는 하우징;a housing having an interior space;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를 용수가 정체되는 구역과 혼합되는 구역으로 나누기 위한 가이드수단; 및guide means for dividing the space of the housing into a zone where water is stagnant and a zone where water is mixed; and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에서 상기 혼합 구역 측에 출구가 배치되는 용수공급라인;a water supply line having an outlet disposed at the mixing zone side in the space of the housing;

을 포함하는 제1단위체로 이루어지고,Consists of a first unit comprising a,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를 상기 정체 구역과 혼합 구역으로 구획하면서 상기 용수공급라인의 출구로부터 급수된 용수를 가두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용수의 유속을 느리게 하여 침전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가이더와, 상기 가이더와 상기 용수공급라인의 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유통공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means divides the space of the housing into the stagnant zone and the mixing zone and is arranged in a form to confine the water supplied from the outlet of the water supply line, thereby slowing the flow rate of the water and increasing the settling ti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distribution space formed between the guider and the outlet of the water supply line.

본 발명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은,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the bla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공급된 용수 간의 혼합 구역과 이를 거쳐 머물게 되는 정체 구역을 통해 용수 간의 혼합 및 정화 효율을 향상시킨 가장 큰 효과가 있다.Through the mixing zone between the supplied water and the stagnant zone where it stays, it has the greatest effect of improving the mixing and purification efficiency between water and wa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을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을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3은 두 제1단위체 구성을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4는 두 제1단위체에서 용수의 흐름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5는 가이더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6은 최종선별저장유닛을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7 및 도 8은 최종선별저장유닛의 필터바스켓 및 서포트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 및 결합 입체 구성도,
도 9는 도 3의 "A"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평면 구성도,
도 10은 가이더에서 스커트가 더 형성된 것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에서 순환정화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 구성도,
도 12는 순환정화유닛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13은 다른 예의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을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 14는 개폐구동수단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구성도.
1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a bla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the bla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wo first units;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flow of water in the two first units;
5 is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guider;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final selection storage unit;
7 and 8 are exploded and combined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diagrams to show the filter basket and support of the final selection storage unit;
9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of FIG. 3;
10 is a plan view for showing that the skirt is further formed in the guider,
11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for showing a circulation purification unit in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the bl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irculation purification unit;
13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a blasting device of another example;
14 is a partial configuration diagram for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n opening/closing driving mean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properly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도 1을 기준으로 하우징의 공간부 측을 상부 또는 상방, 하우징의 연장공간부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1 , the direction of the space portion of the housing is specified as upper or upper, and the extended space portion of the housing is indicated as lower or lower.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은,1 to 12,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the bl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크게 하우징(10), 가이드수단(20) 및 용수공급라인(30)을 포함하는 제1단위체(U1)로 이루어진다.It largely consists of a first unit U1 including a housing 10 , a guide means 20 , and a water supply line 30 .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Looking at each configuration,

상기 하우징(10)은The housing 10 is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1 to 4,

내부 공간부(11)를 갖는 함체 구조로 이루어진다.It consists of an enclosure structure having an inner space (11).

이때 상기 공간부(11)는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에 원형을 이루고 상하로 동일한 단면 공간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공간부(1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광하협(上廣下狹)의 단면 공간을 갖는 연장공간부(12)와 함께 하나의 공간을 이룬다.At this time, the space 11 has a circ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and has a structure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space up and down. It forms one space together with the extended space part 12 having a space.

결국 상기 공간부(11)에서는 공급된 용수와 정화된 용수와의 혼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연장공간부(12)로는 용수에 포함된 비중이 큰 이물질(예 : 샌드 등의 블라스팅 원료, 피가공물에서 분리된 잔해물 등)이 침전되어 수집된다.As a result, in the space 11, the supplied water and purified water are mixed, and in the extended space 12, foreign substances with a large specific gravity included in the water (eg, blasting raw materials such as sand, and the workpiece). separated debris, etc.) is precipitated and collected.

아울러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연장공간부(12)의 바닥 중심에 배치되는 배수홀(13)이 더 구비된다. 상기 배수홀(13)에는 별도의 관체가 연결되어 외부로 배수되거나 외부 정화 장치로 공급될 수 있고, 또 외부 정화 장치에서 정화된 용수가 다시 상기 용수공급라인(30) 측으로 공급되는 선택적 순환 사이클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선택적 순환 사이클 공정을 위해서는 상기 배수홀(13)에 연결되는 별도의 관체 상에 배치되면서 외부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개폐밸브 및 펌프(예 : 다이아프램 펌프(Diaphragm Pump))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 the housing 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drain hole 13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extension space 12 . A separate pipe is connected to the drain hole 13 and can be drained to the outside or supplied to an external purification device, and the water purified by the external purification device is supplied back to the water supply line 30. A selective circulation cycle process This can be done. For this selective circulation cycle process, an on/off valve and a pump (eg, a diaphragm pump) that are disposed on a separate pipe body connected to the drain hole 13 and operated by external control should be provided.

그리고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은 다수의 횡 및 종 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지면에 세워지는 베이스(1)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고정 지지된다.And as in FIGS. 1 and 2 , the housing 10 is fixedly supported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a base 1 in which a plurality of transverse and longitudinal frames are interconnected and built on the ground.

상기 가이드수단(20)은The guide means 20 is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3 and 4,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를 용수가 정체되는 구역(A1)과 혼합되는 구역(A2)으로 나누기 위한 것으로,To divide the space 11 of the housing 10 into an area A1 where water is stagnant and an area A2 where water is mixed,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를 상기 정체 구역(A1)과 혼합 구역(A2)으로 구획하면서 상기 용수공급라인(30)의 출구로부터 급수된 용수를 가두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용수의 유속을 느리게 하여 침전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가이더(21), 그리고By dividing the space 11 of the housing 10 into the stagnant area A1 and the mixing area A2, the water supplied from the outlet of the water supply line 30 is confined in the form of confinement. a guider (21) for slowing the flow rate to increase settling time, and

상기 가이더(21)와 상기 용수공급라인(30)의 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유통공간(22)Distribution space (22) formed between the guider (21) and the outlet of the water supply line (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s made including

여기서 상기 정체 구역(A1)은 흐름이 거의 없는 상태의 용수가 머물게 되는 구역으로서, 용수에 포함된 비중이 큰 이물질은 가라앉아 상기 하우징(10)의 연장공간부(12) 바닥 측으로 침전된다.Here, the stagnant area A1 is an area in which water in a state with little flow stays, and foreign substances with a large specific gravity included in the water sink and settle toward the bottom of the extension space 12 of the housing 10 .

그리고 상기 혼합 구역(A2)은 상기 용수공급라인(30)의 출구로부터 급수된 용수에 의해 잔잔한 흐름이 형성되고, 이러한 흐름에 의해 상기 혼합 구역(A2)에서는 급수된 용수 간의 혼합이 이루어지며, 특히 급수된 용수는 상기 용수공급라인(30)의 나선형 구조와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 내부 원형 구조, 아울러 상기 가이더(21)의 형상에 의해 와류(渦流)가 형성됨으로써, 용수 간의 혼합이 서서히 이루어진다.And in the mixing zone A2, a calm flow is formed by the water supplied from the outlet of the water supply line 30, and by this flow, mixing between the supplied water is made in the mixing zone A2 by this flow, especially The supplied water has a spiral structure of the water supply line 30 and a circular structure inside the space 11 of the housing 10, and a vortex is formed by the shape of the guider 21. Mixing is done slowly.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더(21)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 내벽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 중심을 향하게 세워지는 판형의 제1가이드플레이트(211)와,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11)의 타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 중심 방향으로 볼록하게 세워지는 호형(弧形)의 제2가이드플레이트(212)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가이더(21)는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대략 C자형의 단면 구조를 갖는다.And as shown in FIG. 5 , the guider 21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inner wall of the space 11 of the housing 10 and the other end of the guider 21 is of a plate shape erected toward the center of the space 11 of the housing 10 . A first guide plate 211 and an arc-shaped second guide plate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guide plate 211 and convexly erected toward the center of the space 11 of the housing 10 . (212). As a result, the guider 21 has an approximately C-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when viewed from the top.

따라서 상기 용수공급라인(30)의 출구로부터 급수된 용수는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에서 상기 혼합 구역(A2) 측으로 급수된 후, 상기 혼합 구역(A2)의 내벽을 따라 안내되어 흐르면서 상기 가이더(21)의 제1가이드플레이트(211)에 먼저 도착하여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212)를 따라 흐름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water supplied from the outlet of the water supply line 30 is supplied from the space 11 of the housing 10 toward the mixing zone A2, and then guid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mixing zone A2. As it flows, it first arrives at the first guide plate 211 of the guider 21 and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flow along the second guide plate 212 .

한편, 용수의 흐름을 분산시켜 용수 간의 혼합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mixing rate between the water by dispersing the flow of water

도 9의 [가]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더(21)의 제1 및 제2 가이드플레이트(211, 212)의 내벽, 즉 상기 용수공급라인(30)의 출구를 향하는 벽면을 따라 다수의 요철(凹凸)부(213)가 형성될 수 있고,As in [A] of FIG. 9, along the inner wall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plates 211 and 212 of the guider 21, that is, along the wall facing the outlet of the water supply line 30,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凹凸) portion 213 may be formed,

또 도 9의 [나]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더(21)의 제1 및 제2 가이드플레이트(211, 212)의 내벽을 따라 다수의 엠보싱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Also, as in [B] of FIG. 9 , a plurality of embossing portions 214 may be formed along the inner wall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plates 211 and 212 of the guider 21 .

이러한 상기 요철부(213)나 상기 엠보싱부(214)는 상기 용수공급라인(30)의 출구로부터 급수된 용수와 부딪혀 용수의 흐름을 분산시키는 데에 도움을 준다.The concave-convex portion 213 or the embossed portion 214 collides with the water supplied from the outlet of the water supply line 30 to help disperse the flow of water.

또한,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더(21)는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212)의 단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212)의 굴곡진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11) 측으로 꺾이는 형태를 이루는 호형의 스커트(215)가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212)의 내벽을 따라 안내되어 흐르면 용수가 상기 스커트(215)를 만나 다시 한 번 흐름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용수 간의 혼합 시간을 늘릴 수 있는 데에 도움을 준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 the guider 21 extends from the end of the second guide plate 212 and extends in the curved direction of the second guide plate 212 and the first guide plate 211 . An arc-shaped skirt 215 that is bent to the side is further formed, so that when the water is guid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guide plate 212 and flows, the water meets the skirt 215 and the direction of the flow is changed once again. This helps to increase the mixing time between water and water.

상기 용수공급라인(30)은The water supply line 30 i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1 to 3,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에서 상기 혼합 구역(A2) 측에 출구가 배치되는 관체 구조로 이루어진다.It has a tubular structure in which an outlet is disposed on a side of the mixing zone A2 in the space 11 of the housing 10 .

특히 상기 용수공급라인(30)은 입구가 상기 하우징(10) 측부에 삽입되고 입구에서 출구까지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 내벽을 따라 배치되게 나선형(螺旋形) 구조로 이루어진다.In particular, the water supply line 30 has a spiral structure such that an inlet is inserted into the side of the housing 10 and arrang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space 11 of the housing 10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이때 상기 용수공급라인(30)은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입구에서 출구까지 대략 270~360도 내의 나선형 구조를 이룬다.At this time, the water supply line 30 forms a spiral structure within approximately 270 to 360 degrees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when viewed from the top.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은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the bla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상기 제1단위체(U1)는 n(단, n은 2 이상의 정수임)개가 구비되어 일렬로 배치된다.The number of the first unit U1 is n (where n is an integer of 2 or more) and is arranged in a line.

이때 본 발명에서는 도면 전반에 걸쳐 상기 n이 2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n이 2인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n is illustrated as 2 throughout th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n is 2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제1단위체(U1) 중 두 번째 제1단위체(U1)부터 일단이 이전 제1단위체(U1)의 정체 구역(A1)에 연결되고 타단이 다음 제1단위체(U1)의 용수공급라인(30) 입구에 연결되는 n-1개의 제1중계라인(40)을 더 포함한다.From the second first unit (U1) of the first unit (U1),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tagnant area (A1) of the previous first unit (U1) and the other end is a water supply line (30) of the next first unit (U1) ) further includes n-1 first relay lines 40 connected to the inlet.

결국 첫 번째 제1단위체(U1)와 두 번째 제1단위체(U1)는 일렬로 배치되어 있고, 두 제1단위체(U1)는 하나의 제1중계라인(40)에 의해 연결되는데, 특히 첫 번째 제1단위체(U1)의 정체 구역(A1)에 제1중계라인(40)의 일단이 연결되고 두 번째 제1단위체(U1)의 용수공급라인(30) 입구에 제1중계라인(40)의 타단이 연결된다.As a result, the first first unit U1 and the second first unit U1 are arranged in a line, and the two first units U1 are connected by a single first relay line 40, in particular, the first One end of the first relay line 40 is connected to the stagnant area A1 of the first unit U1, and the first relay line 40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water supply line 30 of the second first unit U1. The other end is connected

첫 번째 제1단위체(U1)의 정체 구역(A1)에 머물러 있는 용수, 즉 이물질이 침전되어 정화된 용수는 관체 구조의 상기 제1중계라인(40)을 통해 두 번째 제1단위체(U1)의 용수공급라인(30)으로 전달되어 두 번째 제1단위체(U1)의 혼합 구역(A2) 측으로 최종 급수된다. 이렇게 최종 급수된 용수는 두 번째 제1단위체(U1)의 혼합 구역(A2)에서 상기 가이더(21)에 안내되면서 용수 간의 혼합이 이루어지고 정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The water remaining in the stagnant area A1 of the first first unit U1, that is, water purified by precipitating foreign substances,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first unit U1 through the first relay line 40 of the tubular structure. It is delivered to the water supply line 30 and finally water is supplied to the mixing zone A2 side of the second first unit U1. As such, the finally supplied water is guided to the guider 21 in the mixing zone A2 of the second first unit U1, and the water is mixed and undergoes a purification process.

따라서 첫 번째 제1단위체(U1)의 혼합 구역(A2)에서 용수의 1차 정화 과정이 이루어지고, 두 번째 제1단위체(U1)의 혼합 구역(A2)에서 용수의 2차 정화 과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용수에 대한 총 2회의 정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Therefore, the primary purification process of water is performed in the mixing zone A2 of the first first unit U1 and the secondary purification process of water is performed in the mixing zone A2 of the second first unit U1. , the water undergoes a total of two purification processe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은 최종선별저장유닛(50)을 더 포함하는데,On the other hand,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the bl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final selection storage unit (50),

상기 최종선별저장유닛(50)은The final selection storage unit 50 is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1, 2 and 6,

상방 개구부(開口部)(511)를 갖는 함체형 필터바스켓(51),A housing-type filter basket 51 having an upper opening 511,

상기 필터바스켓(51)을 지지하는 서포트(52),A support 52 for supporting the filter basket 51,

상기 제1단위체(U1) 중 n번째 제1단위체(U1)의 정체 구역(A1)에 연결되어 이 정체 구역(A1)에 담긴 용수를 상기 필터바스켓(51)의 개구부(511) 측으로 공급하는 최종급수관(53), 그리고It is connected to the stagnation zone A1 of the nth first unit U1 among the first units U1 and supplies the water contained in the stagnant zone A1 to the opening 511 of the filter basket 51. water supply pipe 53, and

상기 필터바스켓(51)을 거쳐 필터링 된 용수가 저장되는 탱크(54)A tank 54 in which water filtered through the filter basket 51 is stored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s made including

이때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필터바스켓(51)은 내부에 사각 공간을 갖는 사각 기둥 구조의 함체 구조로 이루어지며, 특히 필터링 기능을 갖는 소재(예 : 부직포 등)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7 , the filter basket 51 has a rectangular columnar housing structure having a rectangular space therein, an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filtering function (eg, nonwoven fabric, etc.).

또 상기 필터바스켓(51)에는 이의 상단 둘레를 따라 상기 필터바스켓(51)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서포트(5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바(bar) 형태의 사각링(512)이 더 구비된다. 상기 필터바스켓(51)의 상단 외벽을 따라 상기 사각링(512)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바스켓(51)의 상단을 하방으로 접어 상기 사각링(512)을 감싸도록 한 후 재봉질함으로써, 상기 필터바스켓(51)의 상단에 상기 사각링(512)을 고정 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basket 51 has a square ring 512 in the form of a bar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 52 while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filter basket 51 along the upper periphery of the filter basket 51 .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square ring 512 is disposed along the upper outer wall of the filter basket 51, fold the upper end of the filter basket 51 downward so as to surround the square ring 512 and then sew it, so that the filter The square ring 512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asket 51 .

그리고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서포트(52)는 상기 필터바스켓(51)의 사각링(512) 부위가 안착되는 사각의 상부지지체(521)와, 상기 상부지지체(521) 하부 측에 이격 배치되는 사각의 하부지지체(522)와, 상기 하부지지체(522) 내부에 배치되는 십자(+) 형태의 받침부(523)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및 하부 지지체(521, 522)는 별도의 프레임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상부지지체(521) 또는 상기 하부지지체(522)는 별도의 프레임에 의해 후술할 탱크(54)의 수용부(541) 내벽에 연결됨으로써 고정 설치된다.And as shown in FIGS. 7 and 8 , the support 52 includes a rectangular upper support 521 on which the square ring 512 of the filter basket 51 is seated, and a lower side of the upper support 521 . It consists of a square lower support 522 spaced apart and a cross (+) shaped support part 523 disposed inside the lower support 522, and the upper and lower supports 521 and 522 are separate. They are interconnected by a frame, and the upper support 521 or the lower support 522 is fixedly installed by being connected to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part 541 of the tank 54 to be described later by a separate frame.

그리고 상기 최종급수관(53)은 용수의 흐름을 위한 내부 유로를 갖는 관체 구조로 이루어진다.And the final water supply pipe 53 is made of a tubular structure having an internal flow path for the flow of water.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탱크(54)는 용수가 저장되는 내부 수용부(541)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 수용부(541)의 바닥이나 측벽 측에는 드레인 홀(542)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541)의 상부 측에 상기 서포트(52)가 배치되고, 상기 서포트(52)에 상기 필터바스켓(51)이 지지됨에 따라 상기 탱크(54)의 수용부(541) 내에 상기 서포트(52)와 상기 필터바스켓(51)이 은닉되는 형태로 배치된다.And, as shown in FIG. 6, the tank 54 has a structure having an internal accommodating part 541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a drain hole 542 is provided on the bottom or sidewall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541, The support 52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541, and as the filter basket 51 is supported on the support 52, the support ( 52) and the filter basket 51 are disposed in a hidden form.

따라서 상기 두 제1단위체(U1)을 통해 2회의 정화 과정을 거친 용수는 상기 최종급수관(53)을 지나 상기 필터바스켓(51)으로 급수되고, 이후 상기 필터바스켓(51)을 통과하면서 필터링 된 용수는 상기 탱크(54)의 수용부(541) 내에 저장된다.Therefore, the water that has undergone the purification process twice through the two first units U1 is supplied to the filter basket 51 through the final water supply pipe 53, and then filtered water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basket 51. is stored in the receiving portion 541 of the tank 54 .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은 상기 제1단위체(U1)가 1개만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단위체(U1)의 일측에 제2단위체(U2)가 일렬 배치되게 구현할 수 있는데,On the other hand, in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the bl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unit U2 is arranged in a row on one side of the first unit U1 in a state in which only one first unit U1 is provided. It can be implemented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 13,

상기 제2단위체(U2)는The second unit (U2) is

내부 공간부(11) 및 이의 공간부(1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광하협의 단면 공간을 갖는 연장공간부(12)와 이의 바닥 중심에 배치되는 배수홀(13)을 갖는 선별하우징(71)과,A sorting housing (71) having an extended space (1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inner space (11) and its space (11) and having a cross-sectional space of the upper and lower halves and a drain hole (13)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71) class,

일단이 상기 제1단위체(U1)의 정체 구역(A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선별하우징(71)의 공간부(11)에 연결되는 제2중계라인(72)과,a second relay line 7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tagnant area A1 of the first unit U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pace 11 of the sorting housing 71;

상기 선별하우징(71)의 공간부(11)에서 상부 측 영역에 배치되는 중계급수관(73)과,a relay water pipe 73 dispos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space 11 of the sorting housing 71;

상기 중계급수관(73)의 입구를 개방 및 차단하는 개폐구동수단(74)과,an opening/closing driving means 74 for opening and blocking the inlet of the relay water pipe 73;

상기 선별하우징(71)의 공간부(11) 내에 상하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수위감지센서(75, 76)와,Upper and lower water level sensors 75 and 76 that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pace 11 of the sorting housing 71;

상기 상부 및 하부 수위감지센서(75, 76)의 센싱값을 전달받아 상기 개폐구동수단(74)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77)A controller 77 receiving the sensing values of the upper and lower water level sensors 75 and 76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opening/closing driving means 7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s made including

이때에 상기 제2단위체(U2)를 위한 최종선별저장유닛(50)은 상방 개구부(開口部)(511)를 갖는 함체형 필터바스켓(51)과, 상기 필터바스켓(51)을 지지하는 서포트(52)와, 상기 제2단위체(U2)의 중계급수관(73) 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선별하우징(71)의 공간부(11)에 담긴 용수를 상기 필터바스켓(51)의 개구부(511) 측으로 공급하는 최종급수관(53)과, 상기 필터바스켓(51)을 거쳐 필터링 된 용수가 저장되는 탱크(54)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final selection storage unit 50 for the second unit U2 includes a filter basket 51 having an upper opening 511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filter basket 51 ( 52) and the outlet of the relay water pipe 73 of the second unit U2, and supply the water contained in the space 11 of the sorting housing 71 to the opening 511 of the filter basket 51. It consists of a final water supply pipe 53 and a tank 54 in which water filtered through the filter basket 51 is stored.

그리고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개폐구동수단(74)은 상기 선별하우징(71)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741)과, 상기 고정브래킷(741)에 장착되며 상기 선별하우징(71)의 공간부(11) 내로 삽입되는 피스톤(742)을 갖는 실린더본체(743)와, 상기 피스톤(742)의 단부에 구비되어 하강 시 상기 중계급수관(73)의 입구를 차단하는 헤드(744)로 이루어진다.And, as shown in FIG. 14, the opening/closing driving means 74 includes a fixing bracket 741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lection housing 71, and a fixing bracket 741 mounted on the fixing bracket 741 of the selection housing 71. It consists of a cylinder body 743 having a piston 742 inserted into the space 11, and a head 744 provided at the end of the piston 742 to block the inlet of the relay water pipe 73 when descending. .

이때 상기 실린더본체(743)는 선택적 에어 공급에 의해 상기 피스톤(742)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공압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cylinder body 743 has a pneumatic cylinder structure that raises or lowers the piston 742 by selective air supply.

따라서 상기 제2중계라인(72)을 따라 급수된 용수가 상기 선별하우징(71)의 공간부(11) 내에 차오르게 되면, 상기 각 수위감지센서(75, 76) 중 상부수위감지센서(75)가 감지하여 이 센싱값을 상기 컨트롤러(77)에 전달하고, 상기 컨트롤러(77)가 상기 개폐구동수단(74)의 피스톤(742)을 동작케 함으로써, 상기 중계급수관(73)의 입구를 막고 있던 상기 헤드(744)가 상승하면서 상기 중계급수관(73)이 개방되고, 이 중계급수관(73)으로 용수가 유입되어 상기 최종급수관(53)을 따라 이동한다.Therefore, when the water supplied along the second relay line 72 fills up the space 11 of the sorting housing 71, the upper water level sensor 75 among the water level sensors 75 and 76. detects and transmits this sensed value to the controller 77, and the controller 77 operates the piston 742 of the opening/closing drive means 74, thereby blocking the inlet of the relay water pipe 73. As the head 744 rises, the intermediate water supply pipe 73 is opened, and water flows into the intermediate water supply pipe 73 to move along the final water supply pipe 53 .

상기 중계급수관(73)을 통해 용수가 빠져나가면서 상기 선별하우징(71)의 공간부(11) 내에 담긴 용수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고, 이때에 상기 하부수위감지센서(76)가 감지하여 이 센싱값을 상기 컨트롤러(77)에 전달하고, 상기 컨트롤러(77)에 의해 상기 피스톤(742)이 하강하면서 상기 중계급수관(73)의 입구를 차단한다.As the water flows out through the relay water pipe 73, the water level contained in the space 11 of the sorting housing 71 is lowered, and at this time, the lower water level sensor 76 detects this sensing. The valu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77 , and the piston 742 is lowered by the controller 77 to block the inlet of the relay water pipe 73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은 순환정화유닛(60)을 더 포함하는데,On the other hand,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the bla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circulation purification unit (60),

상기 순환정화유닛(60)은The circulation purification unit 60 is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11 and 12,

내부 아우터공간(611) 및 이의 바닥에 아우터배수홀(612)을 갖는 아우터챔버(61),An inner outer space 611 and an outer chamber 61 having an outer drain hole 612 at the bottom thereof;

상기 아우터챔버(61) 내에 배치되되 상기 아우터챔버(61)의 아우터공간(611) 내벽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사이에 환형(環形)의 이격공간(621)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방 개구(開口)형 이너공간(622) 및 이의 바닥에 이너배수홀(623)을 갖는 이너챔버(62),It is disposed in the outer chamber 61, and as it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outer space 611 of the outer chamber 61, an annular space 621 is formed therebetween, and an upper opening type inner therein is formed. Inner chamber 62 having a space 622 and an inner drain hole 623 at the bottom thereof,

상기 제1단위체(U1) 중 첫 번째 제1단위체(U1)의 용수공급라인(30) 입구와 상기 이너챔버(62)의 이너배수홀(623)을 상호 연결하는 급수라인(63), 그리고A water supply line 63 interconnecting the inlet of the water supply line 30 of the first unit U1 among the first units U1 and the inner drain hole 623 of the inner chamber 62, and

상기 배수홀(13)과 상기 아우터챔버(61)의 아우터공간(611)을 상호 연결하는 순환라인(64)A circulation line (64) interconnecting the drain hole (13) and the outer space (611) of the outer chamber (61)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s made including

이때 상기 아우터챔버(61)의 아우터공간(611)은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에 원형을 이루고 상하로 동일한 단면 공간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특히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광하협(上廣下狹)의 단면 공간을 갖는 연장아우터공간(613)과 함께 하나의 공간을 이룬다.At this time, the outer space 611 of the outer chamber 61 has a circ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and has a structure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space up and down. It forms one space together with the extended outer space 613 having a.

결국 상기 아우터공간(611)에서는 공급된 용수와 정화된 용수와의 혼합이 이루어지고, 이때 정화용 약품 등을 투입 시 약품과도 함께 혼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연장아우터공간(613)으로는 용수에 포함된 비중이 큰 이물질이 침전되어 수집되고, 수집된 침전물은 상기 아우터배수홀(612)을 통해 외부로 배수하거나 또 다른 정화장치로 재공급할 수 있다.In the end, the supplied water and purified water are mixed in the outer space 611, and at this time, when the chemical for purification is added, it is also mixed with the chemical, and the extended outer space 613 is included in the water. Foreign substances having a large specific gravity are precipitated and collected, and the collected sediment can be drai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er drain hole 612 or re-supplied to another purification device.

아울러 상기 이너챔버(62)의 이너공간(622) 또한 상기 아우터공간(611)과 마찬가지로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원형을 이루고 상하로 동일한 단면 공간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특히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광하협의 단면 공간을 갖는 연장이너공간(624)과 함께 하나의 공간을 이룬다.In addition, the inner space 622 of the inner chamber 62, like the outer space 611, has a circ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and has a structure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space up and down. It forms one space together with the extended inner space 624 having a cross-sectional space.

그리고 상기 아우터챔버(61)의 아우터공간(611)에서 상기 이너챔버(62)의 상단 보다 높은 위치에 오버플로우홀(614)이 형성된다.In addition, an overflow hole 614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inner chamber 62 in the outer space 611 of the outer chamber 61 .

그리고 상기 아우터챔버(61)의 아우터공간(611)에 연결되는 상기 순환라인(64)의 출구는 상기 이격공간(621)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급수된 용수가 상기 이격공간(621) 내에서 와류(渦流) 된다.And as the outlet of the circulation line 64 connected to the outer space 611 of the outer chamber 61 is disposed in a tang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paration space 621, the water supplied thereto is in the separation space 621. vortex from

그리고 상기 아우터챔버(61)의 상부 측에는 상기 아우터공간(611)을 막는 형태로 장착되는 아우터커버(65)가 구비되며, 상기 아우터커버(65)에는 좌우로 분반(分半)된 두 개구부와 이에 결합되어 힌지 개폐되는 아우터도어(66)가 구비되고, 상기 아우터챔버(61)의 아우터공간(611) 내벽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이너챔버(62)의 이너공간(621) 내벽에 타단이 연결되는 브래킷(67)에 의해 상기 아우터챔버(61) 내에 상기 이너챔버(62)가 고정 설치된다.And an outer cover 65 mounted in a form to block the outer space 611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chamber 61, and the outer cover 65 has two openings divided left and right and this An outer door 66 that is coupled and hinged to open and close is provide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inner wall of the outer space 611 of the outer chamber 6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ner wall of the inner space 621 of the inner chamber 62 The inner chamber 62 is fixedly installed in the outer chamber 61 by the bracket 67 .

한편, 상기 순환정화유닛(60)은 상기 아우터챔버(61)의 상단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광하협의 단면 공간을 갖되 상기 이너챔버(62)의 외벽을 따라 이격되는 사이공간을 갖는 아우터가이드(68)와, 상기 이너챔버(62)의 상단 둘레를 따라 상방 경사지게 연장된 후 다시 하방 경사지게 연장되게 형성되는 이너스커트(69)와, 상기 아우터챔버(61)의 하단 둘레를 따라 하방 경사지게 연장되게 형성되는 아우터스커트(69A)를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circulation purification unit (60) is disposed along the upper periphery of the outer chamber (61) and has a cross-sectional space of the upper and lower narrows, and an outer guide (68) having an interspace spaced apart along the outer wall of the inner chamber (62). ), an inner skirt 69 which is formed to extend obliquely upwardly along the upper periphery of the inner chamber 62 and then to extend downwardly again, and to extend obliquely downward along the periphery of the lower end of the outer chamber 61 It further includes an outer skirt (69A).

결국 상기 이격공간(621) 내에서 오버플로우 되는 용수가 상기 아우터가이드(68)의 사이공간을 따라 이동한 후 상기 이너스커트(69)를 타고 넘어가 상기 이너챔버(62)의 이격공간(621) 내로 흘러들어가고, 상기 이격공간(621) 내에서 와류된 용수가 상기 아우터스커트(69A)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이격공간(621) 외벽 측으로 와류되게 최종적으로 안내된다.Eventually, the water overflowing in the separation space 621 moves along the space between the outer guides 68 and passes over the inner skirt 69 into the separation space 621 of the inner chamber 62 . The water flowing in and vortexed in the separation space 621 is guided by the outer skirt 69A and finally guided to be vortexed toward the outer wall of the separation space 621 .

따라서 상기 순환라인(64)을 거쳐 상기 아우터챔버(61)의 아우터공간(611)으로 급수된 용수가 상기 이격공간(621) 내에서 와류되면서 1차 정화되며 정화된 용수가 오버플로우 되면 상기 이너챔버(62)의 이너공간(622) 상부 측으로 흘러들어와 2차 정화된 후 상기 급수라인(63)을 따라 상기 제1단위체(U1) 중 첫 번째 제1단위체(U1)의 용수공급라인(30)으로 공급된다.Therefore, the water supplied to the outer space 611 of the outer chamber 61 through the circulation line 64 is vortexed in the separation space 621 and is first purified. When the purified water overflows, the inner chamber After flowing in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622 of 62 and secondary purification, along the water supply line 63 to the water supply line 30 of the first unit of the first unit U1 among the first units U1. is supplied

한편,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순환라인(64)의 내부에는 스크루(641)와, 상기 스크루(641)의 날개 단부를 따라 결합되어 상기 순환라인(64)의 내벽과 접하게 되는 고무패킹(642)과, 상기 스크루(641)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스크루구동부(643)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3, the inside of the circulation line 64 includes a screw 641 and a rubber packing 642 coupled along the wing end of the screw 641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irculation line 64. And, a screw driving unit 643 for transmitting rotational power to the screw 641 is provided.

이때에 상기 스크루구동부(643)는 스크루(641)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풀리와, 벨트에 의해 상기 구동풀리와 연결되는 종동풀리를 갖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일예이고 상기 스크루(641)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screw driving unit 643 may be composed of a driving motor having a driving pulley coupled to the shaft of the screw 641 and a driven pulley connected to the driving pulley by a belt, which is an example and the screw 641 . It will be possible to variously transform and change within the range that satisfies the conditions for rotating the .

그리고 상기 고무패킹(642)은 상기 스크루(641) 회전 시 상기 순환라인(64)의 내벽과 접하면서 순환라인(64) 내벽에 침전물 등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침전물 등의 이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And the rubber packing 642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irculation line 64 when the screw 641 is rotated and can prevent adsorption of deposits on the inner wall of the circulation line 64 while increasing the transfer efficiency of the deposits. can

따라서 상기 배수홀(13)을 통해 빠져나온 침전물 등이 상기 스크루(641)를 통해 이동하면서 상기 순환라인(64)을 따라 상기 이너챔버(62)의 이너공간(622)으로 이동한다.Accordingly, the sediment, etc., which has escaped through the drain hole 13 moves through the screw 641 and moves along the circulation line 64 to the inner space 622 of the inner chamber 62 .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a blasting apparatus"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has been mainly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should be construed as belonging to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베이스
10 : 하우징
11 : 공간부
12 : 연장공간부
13 : 배수홀
A1 : 정체 구역
A2 : 혼합 구역
20 : 가이드수단
21 : 가이더
211 : 제1가이드플레이트
212 : 제2가이드플레이트
213 : 요철부
214 : 엠보싱부
215 : 스커트
22 : 유통공간
30 : 용수공급라인
40 : 제1중계라인
50 : 최종선별저장유닛
51 : 필터바스켓
511 : 개구부
512 : 사각링
52 : 서포트
521 : 상부지지체
522 : 하부지지체
523 : 받침부
53 : 최종급수관
54 : 탱크
541 : 수용부
542 : 드레인 홀
60 : 순환정화유닛
61 : 아우터챔버
611 : 아우터공간
612 : 아우터배수홀
613 : 연장아우터공간
614 : 오버플로우홀
62 : 이너챔버
621 : 이격공간
622 : 이너공간
623 : 이너배수홀
624 : 연장이너공간
63 : 급수라인
64 : 순환라인
641 : 스크루
642 : 고무패킹
643 : 스크루구동부
65 : 아우터커버
66 : 아우터도어
67 : 브래킷
68 : 아우터가이드
69 : 이너스커트
69A : 아우터스커트
U1 : 제1단위체
U2 : 제2단위체
71 : 선별하우징
72 : 제2중계라인
73 : 중계급수관
74 : 개폐구동수단
741 : 고정브래킷
742 : 피스톤
743 : 실린더본체
744 : 헤드
75 : 상부수위감지센서
76 : 하부수위감지센서
77 : 컨트롤러
1: base
10: housing
11: space part
12: extended space part
13: drain hole
A1: Congestion Zone
A2: mixing area
20: guide means
21 : guider
211: first guide plate
212: second guide plate
213: uneven part
214: embossing part
215: skirt
22: distribution space
30: water supply line
40: first relay line
50: final selection storage unit
51: filter basket
511: opening
512: square ring
52: support
521: upper support
522: lower support
523: support
53: final water supply pipe
54 : tank
541: receptacle
542: drain hole
60: circulation purification unit
61: outer chamber
611: outer space
612: outer drain hole
613: extended outer space
614: overflow hole
62: inner chamber
621: separation space
622: inner space
623: inner drain hole
624: extended inner space
63: water supply line
64: circulation line
641: screw
642: rubber packing
643: screw driving part
65: outer cover
66: outer door
67: bracket
68: outer guide
69: inner skirt
69A: Outer skirt
U1: first unit
U2: second unit
71: selection housing
72: second relay line
73: relay water pipe
74: opening/closing drive means
741: fixing bracket
742: piston
743: cylinder body
744: head
75: upper water level sensor
76: lower water level sensor
77: controller

Claims (9)

내부 공간부(11)를 갖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를 용수가 정체되는 구역(A1)과 혼합되는 구역(A2)으로 나누기 위한 가이드수단(20); 및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에서 상기 혼합 구역(A2) 측에 출구가 배치되는 용수공급라인(30);
을 포함하는 제1단위체(U1)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수단(20)은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를 상기 정체 구역(A1)과 혼합 구역(A2)으로 구획하면서 상기 용수공급라인(30)의 출구로부터 급수된 용수를 가두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용수의 유속을 느리게 하여 침전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가이더(21)와, 상기 가이더(21)와 상기 용수공급라인(30)의 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유통공간(2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21)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 내벽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 중심을 향하게 세워지는 판형의 제1가이드플레이트(211)와,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11)의 타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 중심 방향으로 볼록하게 세워지는 호형(弧形)의 제2가이드플레이트(212)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10)에는 이의 공간부(1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광하협(上廣下狹)의 단면 공간을 갖는 연장공간부(12)와, 상기 연장공간부(12)의 바닥 중심에 배치되는 배수홀(13)이 더 구비되고,
상기 용수공급라인(30)은 입구가 상기 하우징(10) 측부에 삽입되고 입구에서 출구까지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 내벽을 따라 배치되게 나선형(螺旋形)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부 공간부(11) 및 이의 공간부(1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광하협의 단면 공간을 갖는 연장공간부(12)와 이의 바닥 중심에 배치되는 배수홀(13)을 갖는 선별하우징(71)과,
일단이 상기 제1단위체(U1)의 정체 구역(A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선별하우징(71)의 공간부(11)에 연결되는 제2중계라인(72)과,
상기 선별하우징(71)의 공간부(11)에서 상부 측 영역에 배치되는 중계급수관(73)과,
상기 중계급수관(73)의 입구를 개방 및 차단하는 개폐구동수단(74)과,
상기 선별하우징(71)의 공간부(11) 내에 상하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수위감지센서(75, 76)와,
상기 상부 및 하부 수위감지센서(75, 76)의 센싱값을 전달받아 상기 개폐구동수단(74)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77)로 이루어진 제2단위체(U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
a housing 10 having an interior space 11;
a guide means 20 for dividing the space 11 of the housing 10 into an area A1 where water is stagnant and an area A2 where water is mixed; and
a water supply line 30 having an outlet disposed at the mixing zone A2 side in the space 11 of the housing 10;
Consists of a first unit (U1) comprising
The guide means 20 divides the space 11 of the housing 10 into the stagnant area A1 and the mixing area A2 while confin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outlet of the water supply line 30 . A guider 21 for increasing the settling time by slowing the flow rate of water by being disposed in a shape, and a distribution space 22 formed between the guider 21 and the outlet of the water supply line 30 In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the blasting device,
The guider 21 is a plate-shaped first guide plate 211 with one end connected to the inner wall of the space 11 of the housing 10 and the other end facing the center of the space 11 of the housing 10 . and an arc-shaped second guide plate 212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guide plate 211 and convexly erected toward the center of the space 11 of the housing 10;
The housing 10 has an extended space 1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pace 11 thereof and having a cross-sectional space of upper and lower narrows, and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extended space 12 . A drain hole 13 is further provided,
the water supply line 30 has a spiral structure such that the inlet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0 side and is arrang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space 11 of the housing 10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A sorting housing (71) having an extended space (1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inner space (11) and its space (11) and having a cross-sectional space of the upper and lower halves and a drain hole (13)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71) class,
a second relay line 7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tagnant area A1 of the first unit U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pace 11 of the sorting housing 71;
a relay water pipe 73 dispos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space 11 of the sorting housing 71;
an opening/closing driving means 74 for opening and blocking the inlet of the relay water pipe 73;
Upper and lower water level sensors 75 and 76 that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pace 11 of the sorting housing 71;
and a second unit (U2) comprising a controller (77) for receiving the sensing values of the upper and lower water level sensors (75, 76)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opening/closing driving means (74) Water purification system for blasting equip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체(U1)는 n(단, n은 2 이상의 정수임)개가 구비되어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제1단위체(U1) 중 두 번째 제1단위체(U1)부터 일단이 이전 제1단위체(U1)의 정체 구역(A1)에 연결되고 타단이 다음 제1단위체(U1)의 용수공급라인(30) 입구에 연결되는 n-1개의 제1중계라인(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unit (U1) is provided with n (where n is an integer of 2 or more) arranged in a line,
From the second first unit (U1) of the first unit (U1),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tagnant area (A1) of the previous first unit (U1) and the other end is a water supply line (30) of the next first unit (U1) )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the bla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n-1 first relay lines 40 connected to the inlet.
제 4 항에 있어서,
상방 개구부(開口部)(511)를 갖는 함체형 필터바스켓(51)과, 상기 필터바스켓(51)을 지지하는 서포트(52)와, 상기 제1단위체(U1) 중 n번째 제1단위체(U1)의 정체 구역(A1)에 연결되어 이 정체 구역(A1)에 담긴 용수를 상기 필터바스켓(51)의 개구부(511) 측으로 공급하는 최종급수관(53)과, 상기 필터바스켓(51)을 거쳐 필터링 된 용수가 저장되는 탱크(54)로 이루어진 최종선별저장유닛(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A housing filter basket (51) having an upper opening (511), a support (52) supporting the filter basket (51), and an n-th first unit (U1) among the first units (U1) ) connected to the stagnant region A1 of the final water supply pipe 53 for supply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stagnant region A1 to the opening 511 side of the filter basket 51, and filtering through the filter basket 51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the bla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nal selection storage unit (50) consisting of a tank (54) in which the used water is stor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방 개구부(開口部)(511)를 갖는 함체형 필터바스켓(51)과, 상기 필터바스켓(51)을 지지하는 서포트(52)와, 상기 제2단위체(U2)의 중계급수관(73) 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선별하우징(71)의 공간부(11)에 담긴 용수를 상기 필터바스켓(51)의 개구부(511) 측으로 공급하는 최종급수관(53)과, 상기 필터바스켓(51)을 거쳐 필터링 된 용수가 저장되는 탱크(54)로 이루어진 최종선별저장유닛(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t the outlet of the filter basket (51) of the enclosure type having an upper opening (511), the support (52) supporting the filter basket (51), and the relay water pipe (73) of the second unit (U2). The final water supply pipe 53 connected to supply the water contained in the space 11 of the sorting housing 71 to the opening 511 side of the filter basket 51, and the filtered water through the filter basket 51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the bla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nal selection storage unit (50) consisting of a tank (54) is stored.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 아우터공간(611) 및 이의 바닥에 아우터배수홀(612)을 갖는 아우터챔버(61)와,
상기 아우터챔버(61) 내에 배치되되 상기 아우터챔버(61)의 아우터공간(611) 내벽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사이에 환형(環形)의 이격공간(621)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방 개구(開口)형 이너공간(622) 및 이의 바닥에 이너배수홀(623)을 갖는 이너챔버(62)와,
상기 용수공급라인(30)의 입구와 상기 이너챔버(62)의 이너배수홀(623)을 상호 연결하는 급수라인(63)과,
상기 배수홀(13)과 상기 아우터챔버(61)의 아우터공간(611)을 상호 연결하는 순환라인(64)
으로 이루어져, 상기 순환라인(64)을 거쳐 상기 아우터챔버(61)의 아우터공간(611)으로 급수된 용수가 상기 이격공간(621) 내에서 와류되면서 1차 정화되며 정화된 용수가 오버플로우 되면 상기 이너챔버(62)의 이너공간(622) 상부 측으로 흘러들어와 2차 정화된 후 상기 급수라인(63)을 따라 상기 용수공급라인(30)으로 공급되는 순환정화유닛(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 inner outer space 611 and an outer chamber 61 having an outer drain hole 612 at the bottom thereof;
It is disposed in the outer chamber 61, and as it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outer space 611 of the outer chamber 61, an annular space 621 is formed therebetween, and an upper opening type inner therein is formed. an inner chamber 62 having an inner drain hole 623 in the space 622 and the bottom thereof;
a water supply line 63 interconnecting the inlet of the water supply line 30 and the inner drain hole 623 of the inner chamber 62;
A circulation line (64) interconnecting the drain hole (13) and the outer space (611) of the outer chamber (61)
The water supplied to the outer space 611 of the outer chamber 61 through the circulation line 64 is vortexed in the separation space 621 and is first purified, and when the purified water overflows, the It further comprises a circulation purification unit (60) that flows in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622) of the inner chamber (62) and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line (30) along the water supply line (63) after secondary purification A water purification system for a blasting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라인(64)의 내부에는 스크루(641)와, 상기 스크루(641)의 날개 단부를 따라 결합되어 상기 순환라인(64)의 내벽과 접하게 되는 고무패킹(642)과, 상기 스크루(641)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스크루구동부(643)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Inside the circulation line 64, a screw 641, a rubber packing 642 coupled along the wing end of the screw 641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irculation line 64, and the screw 641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the bla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screw drive unit (643) for transmitting rotational power to the.
KR1020200076387A 2020-06-23 2020-06-23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blasting device KR1024417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387A KR102441762B1 (en) 2020-06-23 2020-06-23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blas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387A KR102441762B1 (en) 2020-06-23 2020-06-23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blas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077A KR20210158077A (en) 2021-12-30
KR102441762B1 true KR102441762B1 (en) 2022-09-07

Family

ID=79178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387A KR102441762B1 (en) 2020-06-23 2020-06-23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blas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76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011Y1 (en) * 2006-02-23 2006-05-23 주식회사 엔지텍 Inner setting tank of non-point sources pollution treatment equipment
JP2010137139A (en) * 2008-12-10 2010-06-24 Towa Anzen Sangyo Kk Sewage cleaning apparatus
KR101015625B1 (en) * 2010-09-17 2011-02-16 (주)상원기술개발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of swirl and two-stage filtering type
KR102127152B1 (en) * 2019-12-05 2020-06-29 주식회사 에이이 Apparatus for removing pollutiion using swirl flow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231B1 (en) 2012-08-17 2014-05-08 유한기술주식회사 Water blasting apparatus
KR102133206B1 (en) 2017-11-08 2020-07-14 윤성구 Multi complex Sand Fil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011Y1 (en) * 2006-02-23 2006-05-23 주식회사 엔지텍 Inner setting tank of non-point sources pollution treatment equipment
JP2010137139A (en) * 2008-12-10 2010-06-24 Towa Anzen Sangyo Kk Sewage cleaning apparatus
KR101015625B1 (en) * 2010-09-17 2011-02-16 (주)상원기술개발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of swirl and two-stage filtering type
KR102127152B1 (en) * 2019-12-05 2020-06-29 주식회사 에이이 Apparatus for removing pollutiion using swirl fl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077A (en)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7286A (en) Water filtration process and apparatus having upflow filter with buoyant filter media and downflow filter with nonbuoyant filter media
KR101455180B1 (en) Pressure airflotation for stream disperse
KR102153224B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improved treating efficiency
JP2008542008A (en) Modular water treatment unit
EP28890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ir scouring of a screen in a water treatment facility
KR101434825B1 (en) High flow sand filter
KR20190030560A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improved mixing efficiency using oxygen bubble
KR101556669B1 (en) Upward flow type terraced filtering wetland
CN108622997A (en) Pressure-bearing type purifier
KR101867931B1 (en) Continuous washing flotation, sedimentation, filtration device
KR102397619B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improved treating efficiency
KR100988316B1 (en) Filtra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charge of backwash water
KR102441762B1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blasting device
CN103974912A (en) Immersed screen and method of operation
KR101185811B1 (en) Solid removal system by multi-whirl combined with degassing function
CN105461180B (en) A kind of eutrophication water body water quality purifying integration device and its method
KR101917080B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KR101858690B1 (en) Multi-stage filtration water reuse system
CN114380411A (en) Industrial wastewater's purification treatment equipment that becomes more meticulous
KR101847927B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improved treatment efficiency
GB2080696A (en) Upflow water filtration with buoyant filter media
JP4625291B2 (en) Sludge treatment equipment
KR101623039B1 (en) Eco multi cell filter
KR102397626B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improved treating efficiency
KR101993676B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improved mixing efficiency for treatment of side stream comprising high concentrated nitro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