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626B1 - 사용자 상태 정보 기반의 창작 음악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상태 정보 기반의 창작 음악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1626B1 KR102441626B1 KR1020210016518A KR20210016518A KR102441626B1 KR 102441626 B1 KR102441626 B1 KR 102441626B1 KR 1020210016518 A KR1020210016518 A KR 1020210016518A KR 20210016518 A KR20210016518 A KR 20210016518A KR 102441626 B1 KR102441626 B1 KR 1024416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usic
- sample data
- user
- data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06010052428 Wound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451 e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6651 mood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5876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0051 music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223 counse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340 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642 wellbe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42 behaviou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05 data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335 physic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0016 psychiatr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15 recruit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55 vo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상태 정보 기반의 창작 음악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성 정보 또는 문서 정보의 형태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상태와 관련된 키워드 또는 핵심어를 텍스트 형태로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 또는 핵심어 기반으로 제1 가사 샘플 데이타를 생성하고, 상태 정보 분석 결과를 기초로 제1 음악 샘플 데이타를 생성하고, 제1 가사 샘플 데이타 및 제1 음악 샘플 데이타를 전문가 단말에 전송하고, 전문가 단말로부터 제1 가사 샘플 데이타 및 제1 음악 샘플 데이타를 수정한 제2 가사 샘플 데이타와 제2 음악 샘플 데이타를 수신하고, 제2 가사 샘플 데이타와 제2 음악 샘플 데이타를 링크시켜 멀티미디어 출력장치에서 구동 가능한 하나의 음악 데이타로 변환하고, 완성된 음악 데이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창작음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힐링 음악 제공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동 음악 생성 및 공유를 통해 사용자와 창작자들이 개인 사연과 음악적 소품 등을 공유, 판매, 및 거래가 가능한 창작 음악 치료형 플랫폼을 제안한다.
노래를 부르거나 악기를 연주하는 등의 음악 활동은 개인의 창작 의욕을 고취시킬 뿐만 아니라 심신을 안정시키고 여가 활동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삶에 큰 의미가 있다.
음악은 전문적인 작곡가가 아니더라도 기본 교육을 받은 경우 누구나 창작 활동을 할 수 있고 타인의 음악을 연주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경험을 누릴 수 있다. 음악이 대중화되고 각종 음악 콘텐츠가 여러 미디어를 통해 소비되고 있는 것은 이러한 음악의 특징을 반영한다. 음악은 단순한 소비활동 이외에도 심리적 안정을 돕고 의료적 치료에도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치료는 음악치료자가 치료적인 상황에서 체계적으로 피치료자에게 음악을 듣게 하거나 적절한 연주 행동을 하게 함으로써 개인의 신체적, 심리적, 정서적 통합과 바람직한 행동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등의 치료적 효과를 보게 하는 특수한 심리 치료법이다.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개인적인 표현과 정서적 욕구를 위하여 안전한 환경과 구조를 마련한 것이어서 피치료자의 고통스러운 정서를 표현하게 하고 받아 주기 위한 그릇이라 할 수 있으므로 자신을 되돌아보는 데 안정감을 가지게 하고 현실을 그대로 받아들이도록 도와준다.
이와 같이 음악의 치료 효과를 확대하여 심신이 불편한 환자들 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본인의 감정 상태나 육체적 피로, 과거에 경험한 상처 등을 치유할 수 있도록 맞춤형 음악 콘텐츠가 제공되면 바람직할 것이다.
종래에 공개특허 10-2014-0054491호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맞춤형의 힐링 음악을 제공하는 힐링 음악 제공 시스템 및 힐링 음악 제공 방법이 제안되었는데, 이에 따르는 힐링 음악 제공 시스템은 정의된 힐링 카테고리마다 대응하는 힐링 음악을 등록받는 힐링 음악 등록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등록받는 개인 정보 등록부;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대응하는 힐링 음악을 추천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힐링 음악 추천부; 및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힐링 음악의 판매 서비스 및 힐링 음악의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악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힐링 음악 서버를 포함한다. 이 기술은 사용자는 개인 정보에 최적화된 맞춤형 음악을 제공하여 이성 및 감성을 치유할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으나 단순 음악 추천에 불과하여 사용자에 최적화된 근본적인 치유 및 힐링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한계가 있다.
한편, 다양한 성격과 감정 상태에 있는 일반인에게 각각 맞춤형 음악 창작물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작사 및 작곡과 관련하여 여러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 정보에 따른 맞춤형 음악 창작 및 공유가 가능한 플랫폼이 필요하다.
공개특허 10-2015-0072597호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의 음악 작곡 방법이 제안되었는데, 이 기술은 음악 작곡 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미디 데이타의 유형을 설정하고,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며, 감지된 사용자 인터렉션을 분석하여 박자 및 음 높이를 결정하고 설정된 미디 데이타의 유형 및 결정된 박자 및 음 높이를 이용하여 미디 데이타를 생성하고 있다. 그런데, 사용자 인터렉션은 사용자 허밍(humming), 사용자 터치, 사용자 모션 중 하나인 것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음성이 아닌 다른 인터렉션을 음악 작곡에 반영한 것에 불과하여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힐링 및 치유를 위한 음악을 생성하기엔 역시 한계가 있다.
음악은 개인적인 차원에서 소비하는 것을 넘어서 주변 지인 또는 제3자와의 공유를 통해 그 가치를 높일 수 있고, 음악 창작자 입장에서도 음악 소비 형태를 다양화시킴으로써 해당 음악 시장을 확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일부 전문가 및 음악 관련업체에 국한되어 있는 음악 창작 및 소비 시장을 여러 음악 활동가에게 개방하여 관련 산업을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창작 음악 치료 프로그램의 표준화 내지 플랫폼화가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음악의 다양한 치유적 특성을 여행이나 힐링, 상담 등의 활동과 접목한 새로운 체험형 웰니스 관광 콘텐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감정 상태나 상처 유무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 맞춤형 힐링 음악을 서비스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사 및 작곡과 관련하여 여러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 정보에 따른 맞춤형 음악 창작 및 공유가 가능한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정보 기반의 창작 음악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참여형 음악 치료 내지 음악 훈련이 가능하고, 나아가 관광과 접목된 음악 치유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성 정보 또는 문서 정보의 형태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상태와 관련된 키워드 또는 핵심어를 텍스트 형태로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 또는 핵심어 기반으로 제1 가사 샘플 데이타를 생성하고, 상태 정보 분석 결과를 기초로 제1 음악 샘플 데이타를 생성하고, 제1 가사 샘플 데이타 및 제1 음악 샘플 데이타를 전문가 단말에 전송하고, 전문가 단말로부터 제1 가사 샘플 데이타 및 제1 음악 샘플 데이타를 수정한 제2 가사 샘플 데이타와 제2 음악 샘플 데이타를 수신하고, 제2 가사 샘플 데이타와 제2 음악 샘플 데이타를 링크시켜 멀티미디어 출력장치에서 구동 가능한 하나의 음악 데이타로 변환하고, 완성된 음악 데이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상태 정보 기반의 창작 음악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사 샘플 데이타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 또는 힐링 요소를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기 저장된 음악 소품 데이타베이스에서 복수의 단어, 어구(語句), 문장 단위로 선택하고, 일정 길이의 소절 또는 문단을 포함하는 데이타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악 샘플 데이타는 제1 가사 샘플 데이타의 길이에 맞춰 제1음악 샘플 데이타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악 샘플 데이타는 사용자가 부른 노래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노래의 음역대를 분석하여 멜로디의 톤 및 음악 조성을 생성하여 제1음악 샘플 데이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가사 샘플 데이타와 제2 음악 샘플 데이타를 링크시켜 멀티미디어 출력장치에서 구동 가능한 하나의 음악 데이타로 변환한 후 영상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여 최종 음악 데이타를 완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특화된 맞품형 음악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참여형 음악 치료 및 교육 훈련 등에 활용할 수 있고, 창작 음악 치료형 플랫폼으로 발전할 수 있다.
또한, 지역 특성을 고려한 관광 프로그램에 치유 또는 상담 목적의 음악 메커니즘을 활성화하여 체험형 웰니스 관광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산업적인 측면에서 볼 때,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음악 창작 서비스에 대해 표준화된 가격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고, 사용자 개별 정보를 기반으로 새로운 창작 음악 시장을 확대함으로써 작사 및 작곡 관련한 창작자들의 음악 창작 의욕을 고취시키는 한편, 건전한 음악 유통 구조를 제시하여 음악 산업의 발전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자 상태 기반 창작음악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사용자 상태 기반 창작음악 생성 프로세스를 보인 순서도
도 3은 가사 샘플 데이타를 생성하는 방법의 예를 보인 순서도
도 4a는 기본 가사 데이타베이스 구조를 보인 모식도
도 4b는 확장 가사 데이타베이스 구조를 보인 모식도
도 5는 음악 샘플 데이타를 생성하는 방법의 예를 보인 순서도
도 2는 사용자 상태 기반 창작음악 생성 프로세스를 보인 순서도
도 3은 가사 샘플 데이타를 생성하는 방법의 예를 보인 순서도
도 4a는 기본 가사 데이타베이스 구조를 보인 모식도
도 4b는 확장 가사 데이타베이스 구조를 보인 모식도
도 5는 음악 샘플 데이타를 생성하는 방법의 예를 보인 순서도
본 발명은 사용자 정보 기반의 창작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하며, 자동 음악 생성 및 공유를 통해 사용자들과 창작자들이 개인 사연과 음악적 소품 등을 공유하거나, 판매 및 거래가 가능한 창작 음악 치료형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작 음악 서비스 방법은 고객의 이야기, 예를 들어 특정 고객의 고민거리, 감정 상태, 특정 상황 등을를 토대로 한 스토리송을 제작하는데 특징이 있으며, 작사, 작곡, 편곡 등의 음악 서비스를 통해 목표 고객에게 치유적 목적의 창작음악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건강(웰니스)이란 단순히 질병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완전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는데, 웰니스의 중요한 개념은 행복한 삶을 위하여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지적 영성적 직업적으로 건강한 삶을 기반으로 궁극적으로 웰빙(Well-being)과 힐링(Healing)을 달성하는 과정을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웰니스 개념을 기초로 웰니스 관광 분야에서는 온천이나 휴양리조트 등 건강을 추구할 수 있는 곳으로 여행을 하면서 심신을 치유하는 여행 형태가 대중화되고 있는데, 웰니스 관광은 기본적으로 질병 치료 등 의료행위가 중심이 되는 의료관광보다는 넓은 개념으로 치료뿐만 아니라 마음과 정신적 상처의 치유까지도 포함하고 있고, 본 발명은 이러한 웰니스 관광에 연동하여 요양이나 치유를 목적으로 특정 지역을 찾는 웰니스 관광객을 대상으로 사용자 기반의 음악 창작 프로세스를 구현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음악을 통해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 가치관 등을 표현하고 싶어하는 고객의 욕구를 파악하여 가수나 특정 연예인들만의 것이 아닌 누구나 향유하고 참여할 수 있는 적극적인 형태의 체험형 음악문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창작된 음악의 공유 및 판매가 가능한 플랫폼화를 지향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힐링 음악 제공 서비스로서, 자동 음악 생성 및 공유가 가능하며, 기존의 작사 및 작곡 의뢰 서비스와 달리 사용자(고객)의 개인 사연 등의 정보를 기초로 가사 샘플과 음악 샘플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이러한 샘플 데이타를 기초로 다시 창작자(전문 음악가, 작사가)들이 해당 사용자 개인 정보에 따른 가사 및 음악을 발전시켜 완성도 높은 가사 데이타 및 음악 데이타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음악 콘텐츠는 음악적 소품으로 공유하거나 판매하는 등 거래가 가능하며, 이러한 서비스를 다수의 사용자와 창작자들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창작 음악 치료형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다. 창작 음악 플랫폼에서는 가사와 음악을 동시에 생성하고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 사용자 정보에 기초한 가사 데이타 생성 또는 제공 시 음악 데이타를 창작하거나, 음악 데이타 생성 또는 제공 시 가사 데이타를 창작하는 등의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서비스 및 플랫폼이 구축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다양한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창작 음악 서비스 시스템을 보인 것으로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상에서 유무선 데이타 송수신이 가능한 서버(1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고객) 단말(200)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또한 작사 또는 작곡 창작 활동을 수행하는 복수의 전문가의 단말(300)과도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및 전문가 단말은 예를 들어,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 태뷸릿, 스마트폰,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전문가 단말에는 각각 작사 창작자 및 작곡 창작자와 관련된 제1 전문가 단말 및 제2 전문가 단말이 포함될 수 있다.
서버 내에는 사용자(고객) 단말과 네트워크 상에서 송수신하며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상태정보 수집 및 분석부(110), 사용자 정보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각각 가사 샘플과 음악 샘플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가사 샘플 데이타 생성부(120) 및 음악 샘플 데이타 생성부(130)를 포함한다. 두 샘플 데이타 생성부는 작사와 관련된 데이타 및 음악과 관련된 데이타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음악소품 데이타베이스(400)와 연동될 수 있으며, 이 음악소품 데이타베이스는 서버 내에 설치하거나 또는 별도의 데이타베이스로 관리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외부의 공유 음악 자료 데이타베이스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링크 및 변환부(140)는 전문가 단말로부터 전달된 가사 샘플 데이타와 음악 샘플 데이타를 하나의 음악 콘텐츠로 링크시킨 후 휴대용 단말기나 컴퓨터, 음악장치 등 멀티미디어 장치에서 동작 가능한 파일로 변환시킨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는 서버는 웹 또는 모바일 플랫폼으로 구현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창작 음악 서비스는 시스템 내에 별도의 플랫폼 제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 제어부는 예를 들어, 사용자들의 기본 정보를 관리하거나 사용자의 상태 정보 내지 분석 정보를 데이타로 관리할 수 있고, 사용자인 고객과 창작자인 전문가 그룹을 매칭시키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샘플 데이타의 매칭, 최종 완성된 음악 데이타의 관리 및 공유, 판매 등의 거래 내역 등을 플랫폼 관리부에서 관리하여 전체적인 플랫폼 기능이 원활하게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창작 음악 서비스에 따른 음악 생성 프로세스를 보인 것으로, 먼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한다(단계 S110).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녹음된 음성 파일 형태의 정보일 수 있고, 사용자 직접 작성한 문서 형태의 정보일 수도 있다. 음성 정보의 경우, 사용자 상태정보 수집 및 분석부에서 일차적으로 텍스트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를 거치며, 텍스트의 형태소 등을 분석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사용자 상태정보의 분석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사용자 상태정보 분석 결과에 따라 키워드 또는 핵심어를 추출하며, 추출된 키워드 또는 핵심어 기반으로 제1 가사 샘플 데이타를 생성한다(단계 S120). 제1가사 샘플 데이타는 문장 단위 또는 시적 표현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정 길이의 소절, 또는 문단 형태의 텍스트 데이타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상태정보 분석 결과를 기초로 제1음악 샘플 데이타를 생성한다(단계 S130). 제1음악 샘플 데이타는 기 저장된 음악소품 데이타베이스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기분, 과거의 상처, 감정과 관련된 정보 등에 기초하여 이와 연관된 음악적 소품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취향이나 상태별로 새로운 음악소품이 인공지능으로 완성될 수도 있다.
제1가사 샘플 데이타 및 제1음악 샘플 데이타는 완성된 음악 콘텐츠 이전의 샘플 수준의 데이타로서, 전문가 그룹의 후속 작업을 위한 기본 소재에 해당하고 각 샘플의 생성 프로세스는 스프트웨어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사 샘플 데이타의 길이에 맞춰 제1음악 샘플 데이타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제1가사 샘플 데이타와 제1음악 샘플 데이타는 전문가 단말에 전송된다(단계 140). 각 샘플 데이타는 각각 작사 관련 전문가 단말 및 작곡 관련 전문가 단말로 전송되는데 하나의 샘플 데이타를 복수의 전문가 단말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전문가 단말로부터 제1가사 샘플 데이타와 제1음악 샘플 데이타를 수정한 제2가사 샘플 데이타와 제2음악 샘플 데이타를 수신한다(단계 150).
사용자 상태분석에 기초하여 미리 생성된 제1가사 샘플 데이타 및 제1음악 샘플 데이타를 전문가 단말을 통해 전달함으로써 전문가 그룹에서 임의로 음악 정보를 생성하지 않고, 사용자의 감정 상태 등 기본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맞춤형 가사 또는 음악을 창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와 직접 마주하지 않더라도 전문가 그룹에서 사용자 상태 정보를 인지하여 창작 음악에 반영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부른 음악 정보를 전문가 단말에 전송하여 제2음악 샘플 데이타 생성에 반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2가사 샘플 데이타와 제2음악 샘플 데이타를 링크시켜 멀티미디어 출력장치에서 구동 가능한 하나의 음악 데이타로 변환한다(단계 S160). 제2가사 샘플 데이타와 제2음악 샘플 데이타는 완성된 수준의 음악 데이타이므로 별도의 추가 작업없이 하나의 음악 파일로 링크시킬 수 있지만, 가사 샘플과 음악 샘플의 길이가 맞지 않거나 가사의 특정 부분과 음악 샘플이 조화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전문가 단말에 재전송하여 추가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다.
완성된 음악 데이타는 개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서버 시스템을 통해 구축된 플랫폼 내에 공유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른 소셜네트워크에 연동시킬 수도 있다. 가사와 음악이 링크되어 완성된 음악 데이타에는 사용자 상태정보와 연관된 영상 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프로세스에 의해 제공되는 창작 음악 서비스는 가사 및 음악 창작 플랫폼 구현에 적합하고, 특히 다수의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전문가 그룹이 창작 음악 활동에 참여하기 용이하며, 보다 접근성이 높은 음악 공유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최종적으로 창작되는 음악 데이타에 본인의 감정 상태나 취향에 맞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음악 창작에 기여할 수 있고, 기 창작된 음악을 수동적으로 수용하는 것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음악 활동에 참여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고객)의 이야기, 예를 들어 고민거리, 감정 상태, 고객이 처한 상황 등을 충분히 반영하여 마치 전문상담에 기반한 것과 유사한 작사 및 작곡의 치유목적 창작 음악 콘텐츠를 서비스하는데 차별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기본적으로 사용자 본인의 사연 내지 이야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로부터 사용자 상태에 해당하는 복수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가사 데이타베이스 등을 활용하여 빅데이타 분석을 기반으로 자동적으로 가사 샘플 데이타를 생성한다(도 3의 프로세스 참조). 가사 샘플 데이타는 최종적인 전문가의 가사 창작 결과의 가이드라인으로서 목표 고객의 상태정보 분석이 매우 중요하다.
사용자인 목표 고객은 예를 들어 이색적인 웰니스 체험활동을 목적으로 휴양지나 관광지 등 특정 지역을 방문한 관광객이거나, 도시 생활에 지친 직장인, 학생, 주부 등 각 분야의 생활인일 수 있다. 또한, 요양 및 치유가 필요한 특정인일 수도 있다. 이들에게 필요한 관계성 회복, 정체성 확립, 친교, 힐링, 신체 및 정신의 장애 또는 질병의 극복 등을 위해,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상태정보를 분석한다. 상태정보는 사용자가 전달한 음성 정보 또는 문서 정보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단계 S210), 해당 키워드들로부터 편안함, 기쁨, 욕구, 괴로움, 슬픔, 두려움, 미움, 화남 등의 감정 상태를 도출하거나 감사, 행복, 사랑, 위로, 응원, 축하, 사과, 부탁, 바램, 희망 등의 특정 메시지를 도출한다
사용자 상태정보 분석 시 사용자가 전달한 음성 메시지를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사용자 음성 메시지를 음성인식 모듈을 통해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로부터 예를 들어 2회 이상의 중복 단어, 유사 단어, 연관 단어 등을 키워드로 추출한 후 전술한 감정 상태나 특정 메시지를 도출할 수 있다(단계 S220).
사용자의 상태정보 분석 결과로부터 가사샘플(제1가사 샘플 데이타)을 생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메시지에서 분석된 키워드를 확장된 형태인 형용사, 부사, 동사, 명사 등으로 추출하고 이들을 기초로 제1가사 샘플 데이타(기본 샘플 데이타)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230). 이를 위하여, 키워드로부터 파생 의미를 갖는 유사 단어 및 연관 단어를 미리 가사샘플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한 후 필요한 단어들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저장된 가사 데이타는 사용자가 직접 등록하거나 수정이 가능한 상태로 데이타베이스를 세팅할 수도 있다. 도 4a는 기본 가사 데이타 구조로서 가사샘플로 추출될 수 있는 품사별 가사 데이타의 예 및 추출방식을 모식적으로 보이고 있는데, 사용자 상태와 관련된 특정 메시지 또는 단어와 관련하여 각 품사별로 5개씩 가사 데이타가 나열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 상태정보 분석을 통해 추출된 키워드 또는 메시지를 기초로 가사 데이타에서 일차적으로 단어가 선택되면, 선택된 단어에 기초하여 보다 확장된 형태의 가사 데이타를 추출할 수 있다(단계 S240).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가사 샘플 데이타 생성 시 연관어의 단어들이 풍부하게 되며, 문단이나 소절에 유사한 형태로 의미 있는 가사 샘플이 생성될 수 있다. 도 4b는 확장된 가사 데이타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보인 것이다. 기본 가사 데이타 구조와 확장된 가사 데이타 구조는 예를 들어 제1가사 샘플 데이타가 생성된 후 전문가 단말에 전송하여 가사 창작 작업이 수행될 때 제1가사 데이타를 기초하여 확장된 형태의 형용사, 부사, 동사, 명사 등의 제2가사 데이타 생성 시 활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문가 그룹에서 제1가사 데이타로부터 파생 의미를 갖는 유사 단어 및 연관 단어를 확장 가사 데이타베이스에서 추출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추출된 기본 가사 샘플 데이타 또는 확장 가사 샘플 데이타는 상호 관련성 내지 의미의 전개 방향/순서 등에 기초하여 조합되거나 연결되어, 구, 문장, 문단 등의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단계 S250). 이와 같은 가사 샘플 데이타 생성 과정은 음악소품 DB와 연계한 파생어 추출 단계를 포함하여 하나의 생성엔진 등을 이용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가사 샘플 데이타와 별도로, 사용자의 상태정보 분석 결과로부터 음악 샘플(제1음악 샘플 데이타)을 생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상태분석 결과에 적합한 음악 샘플을 생성하기 위한 설정 값으로 작곡 파라미터를 선택한다(단계 S310). 파라미터의 종류는 하기 표 1과 같이 박자, 조성, 빠르기, 마디별 음절 수, 음계, 장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파라미터 | 선택 사항 |
박자 | 2/4, 3/4, 4/4, 6/8 |
조성 | C, D, E, F, G, A, B, C#, D#, F#, G#, A# |
빠르기 | 느리게, 보통, 빠르게 |
음절 수 | 가사 샘플과 연동하여 결정 |
음계 | 장음계, 단음계 |
장르 | 발라드, 재즈, 트로트, 동요, 댄스음악, 힙합 |
파라미터는 사용자 상태분석에 따라 추출된 감정상태나 특정 메시지에 기초한 파생 의미와 연결되도록 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박자는 2/4, 3/4, 4/4, 6/8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조성은 C, D, E, F, G, A, B, C#, D#, F#, G#, A# 중에서 선택하며, 음계는 장음계 또는 단음계를 선택하고, 장르는 발라드, 재즈, 트로트, 동요, 댄스음악, 힙합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빠르기는 느리게, 보통, 빠르게 중에서 선택하며 사용자 상태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무겁게 침착하게 장중하게 활발하게 경쾌하게 등으로 더 세분화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마디별 음절 수는 가사 샘플 데이타에서 추출된 키워드에 적절한 조사를 사용하여 각 마디마다 음절 수를 지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설정된 파라미터로 다양한 미디 데이타를 생성한다(단계 S320). 마디별 음절 수, 박자, 장르에 따라 예를 들어 음악소품 DB에 저장된 리듬패턴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조성 또는 음계에 적합한 추천 코드진행을 추출할 수 있다.
음악 샘플 데이타 생성 시 사용자의 노래(음성 샘플)를 이용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직접 부른 노래 파일 등의 자료를 수신하고, 입력된 노래를 통해 사용자의 음역대, 음계, 조성을 추출하는 것이다. 이를 기초로 사용자가 부른 노래와 일치하는 음원을 검색하고, 추천 장르 내지 비슷한 메시지를 가진 음원을 음악소품 DB에서 선택하며, 이 결과를 기반으로 코드진행 추천샘플을 추출할 수 있다(단계 S330). 이러한 과정은 사용자에게 직접 요구하여 의도적으로 사용자의 노래를 녹음할 수 있는데 별도의 사용자 음원 수집 모듈에서 해당 노래의 음역대를 인지하여 음악 샘플 데이타 생성 시 멜로디의 톤을 알맞게 설정하고, 추천 코드(조성)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다른 음원 요소를 제거하고 오직 사용자의 보이스만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악적 스타일을 살려 작곡에 반영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장르 또는 가수 정보를 포함하여 비슷한 장르의 추천 음악을 출력할 수도 있다(단계 S340).
제1가사 샘플 데이타 및 제1음악 샘플 데이타가 자동 프로세스에 의해서 생성된 후 전문가 단말에 전송하고, 해당 전문가들의 창작 작업을 통하여 제2가사 샘플 데이타와 제2음악 샘플 데이타를 수신받는다. 수신된 제2가사 샘플 데이타와 제2음악 샘플 데이타는 길이 및 마디 등을 연동시켜 하나의 음악 데이타로 링크시키고 미디어장치 등에서 출력 가능한 파일 형태로 변환되는데, 이 과정에서 영상 데이타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영상 데이타 샘플을 생성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제2가사 데이타의 각 단어가 가진 컬러이미지를 분석하여 유사스펙트럼의 영상데이타(도형 및 컬러 포함)를 추출할 수 있고, 사용자 선호도를 반영한 영상 샘플 DB로부터 관련 이미지나 동영상을 선택할 수도 있다. 가사 및 음악과 함께 영상 정보가 반영된 최종 음악 데이타는 인터넷상의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 등에 공유하기에도 적합하다.
생성된 음악 데이타는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사용자 본인의 음악 콘테츠로 활용될 수도 있고, 관련 지인이나 익명의 제3자와 공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해당 음악을 직접 부르고 즐기면서 치유와 힐링을 만끽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창작 음악 서비스는 플랫폼을 통해서 또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통해서 사용자의 정확한 노래 숙지를 위한 노래연습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러한 노래연습 지원 서비스에는 완성된 음악 콘텐츠를 정확한 음정, 리듬, 템포로 부를 수 있도록 사용자가 부른 노래 정보를 수신하여 음정, 리듬, 템포 등을 개별적으로 추출하고 틀린 구간을 자동으로 음악 데이타 관련 악보에 표기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틀린 부분을 반복 학습에 의해 숙달하도록 시스템화시킬 수 있다.
특히 단계별 스킬 업그레이드 방법을 제시하고, 다양한 보컬 가이드라인을 통해 개인의 음악성을 향상시키도록 지워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1단계에서 기본 멜로디, 음정, 리듬, 템포를 숙달하고, 2단계 스킬 업그레이드를 통해 바이브레이션, 밴딩, 다이나믹, 화성 등을 익힌 후, 3단계로서 자신의 음색으로 두 개 이상의 화성을 녹음하여 곡을 완성하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구현되는 창작 음악 서비스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맞춤형 음악 콘텐츠를 제공하면서도 작사 및 작곡과 관련된 많은 전문가들에게 창작 활동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음악 서비스 및 창작 시장의 활성화 및 확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특히 관련 음악 산업 측면에서, 표준화된 가격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고, 창작자가 음악 창작에 전념하면서 사용자 개개인의 상태에 따른 음악 콘텐츠를 완성할 수 있으며, 건전한 음악 유통 구조를 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MR, 가이드송, 음원 제작(녹음, 믹싱, 마스터링 포함), 기획, 영상 등의 과정에 활성화될 수 있고, 실내외 공간대여 및 악기 연주자 섭외를 포함하는 섭외 논스톱 패키지 상품을 개발하거나 외주 용역 활용도를 높여 인력 창출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산업적 활용을 위해 온라인 웹페이지를 개설하고, SNS 또는 미디어 광고를 통해 다양한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이벤트를 개최하여 사용자 및 전문가 그룹의 재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사용자(고객)들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정확한 분석을 위해 별도로 사용자 상담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담은 온라인(전화, 화상회의) 및 오프라인을 통해 진행할 수 있고, 완성된 음악 콘텐츠의 이용 측면에서 음악활동 참여나 음악 치유를 원하는 사용자는 추가적으로 관련 오프라인 서비스를 진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창작 음악 서비스는특히 제주도 등 특정 지역의 자연경관을 바탕으로 문화, 생태, 힐링, 휴양 등이 결합된 새로운 형태의 체험 관광형 여행 상품 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음악 콘텐츠 서비스가 이색적인 웰니스 체험활동의 중심이 될 수 있어 ㅅ산업적 가치가 더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100:서버 (또는 플랫폼) 110:상태정보 수집 및 분석부
120:가사 샘플 데이타 생성부 130:음악 샘플 데이타 생성부
140:링크 및 변환부 150:플랫폼 제어부
200:사용자 단말 300:전문가 단말
400:음악소품 DB
120:가사 샘플 데이타 생성부 130:음악 샘플 데이타 생성부
140:링크 및 변환부 150:플랫폼 제어부
200:사용자 단말 300:전문가 단말
400:음악소품 DB
Claims (5)
-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성 정보 또는 문서 정보의 형태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상태와 관련된 키워드 또는 핵심어를 텍스트 형태로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 또는 핵심어 기반으로 제1 가사 샘플 데이타를 생성하고,
상태 정보 분석 결과를 기초로 제1 음악 샘플 데이타를 생성하고,
제1 가사 샘플 데이타 및 제1 음악 샘플 데이타를 전문가 단말에 전송하고,
전문가 단말로부터 제1 가사 샘플 데이타 및 제1 음악 샘플 데이타를 수정한 제2 가사 샘플 데이타와 제2 음악 샘플 데이타를 수신하고,
제2 가사 샘플 데이타와 제2 음악 샘플 데이타를 링크시켜 멀티미디어 출력장치에서 구동 가능한 하나의 음악 데이타로 변환하고,
완성된 음악 데이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사 샘플 데이타를 생성하는 방법은 사용자 상태와 관련된 키워드를 기초로 형용사, 부사, 동사, 또는 명사의 형태로 가사샘플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가사 데이터에서 상기 키워드와 파생 의미를 갖는 유사 단어 및 연관 단어를 선택하여 기본 샘플 데이타를 생성하고, 추출된 기본 샘플 데이타는 상호 관련성 및 의미의 전개 방향에 기초하여 조합되거나 연결되어 구, 문장, 또는 문단의 형태로 변환하여 제1가사 샘플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제1음악 샘플 데이타를 생성하는 방법은 사용자 상태분석 결과에 적합한 음악 샘플을 생성하기 위한 설정 값으로 박자, 조성, 빠르기, 마디별 음절 수, 음계, 장르를 포함하는 작곡 파라미터를 선택하고, 사용자 상태정보 분석 결과를 기초로 기 저장된 음악소품 데이타베이스에서 사용자의 기분, 상처, 감정과 관련된 정보와 연관된 음악소품을 선택하여 제1음악 샘플 데이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상태 정보 기반의 창작 음악 서비스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악 샘플 데이타는 제1 가사 샘플 데이타의 길이에 맞춰 제1음악 샘플 데이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상태 정보 기반의 창작 음악 서비스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악 샘플 데이타는 사용자가 부른 노래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노래의 음역대를 분석하여 멜로디의 톤 및 음악 조성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상태 정보 기반의 창작 음악 서비스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데이타에 영상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상태 정보 기반의 창작 음악 서비스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6518A KR102441626B1 (ko) | 2021-02-05 | 2021-02-05 | 사용자 상태 정보 기반의 창작 음악 서비스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6518A KR102441626B1 (ko) | 2021-02-05 | 2021-02-05 | 사용자 상태 정보 기반의 창작 음악 서비스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2948A KR20220112948A (ko) | 2022-08-12 |
KR102441626B1 true KR102441626B1 (ko) | 2022-09-07 |
Family
ID=82803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6518A KR102441626B1 (ko) | 2021-02-05 | 2021-02-05 | 사용자 상태 정보 기반의 창작 음악 서비스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4162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093718B (zh) * | 2023-10-20 | 2024-04-09 | 联通沃音乐文化有限公司 | 基于云算力和大数据技术的知识图谱海量非结构化集成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0107B1 (ko) * | 2016-06-29 | 2017-10-25 | 이승택 | 음악 종합 서비스 방법 및 서버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21830A (ko) * | 2010-05-03 | 2011-11-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뮤직비디오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KR20190035502A (ko) * | 2017-09-25 | 2019-04-03 | 주식회사 와이드플래닛 | 인공지능 기반의 콘텐츠 매칭을 통한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콘텐츠 제작 서버 |
-
2021
- 2021-02-05 KR KR1020210016518A patent/KR10244162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0107B1 (ko) * | 2016-06-29 | 2017-10-25 | 이승택 | 음악 종합 서비스 방법 및 서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2948A (ko) | 2022-08-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Gabrielsson et al. | Emotional expression in music performance: Between the performer's intention and the listener's experience | |
Brown et al. | Universals in the world’s musics | |
Williams et al. | Investigating affect in algorithmic composition systems | |
Sloboda | Music structure and emotional response: Some empirical findings | |
Huang et al. | What does seeing the performer add? It depends on musical style, amount of stage behavior, and audience expertise | |
Davis et al. | Generating music from literature | |
Aldridge et al. | Melody in music therapy: A therapeutic narrative analysis | |
Gratier | Grounding in musical interaction: Evidence from jazz performances | |
Adachi et al. | Perceiving emotion in children's songs across age and culture 1 | |
Granot et al. | Musically puzzling I: Sensitivity to overall structure in the sonata form? | |
Tough | An analysis of common songwriting and production practices in 2014-2015 Billboard hot 100 songs | |
Panda | Emotion-based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audio music | |
Rehfeldt et al. | Music as a cultural inheritance system: a contextual-behavioral model of symbolism, meaning, and the value of music | |
Stewart et al. | Prominent elements in songwriting for emotional expression: An integrative review of literature | |
Valnes | Janelle Monáe and Afro‐Sonic Feminist Funk | |
Kragness et al. | Nonmusicians express emotions in musical productions using conventional cues | |
KR102441626B1 (ko) | 사용자 상태 정보 기반의 창작 음악 서비스 방법 | |
Cespedes-Guevara et al. | The role of embodied simulation and visual imagery in emotional contagion with music | |
James | Must Be Love On The Brain? Feminist responses to the “can we separate artwork from artist” question in the era of# MeToo popular feminisms | |
Lwanda | Mother's songs: male appropriation of women's music in Malawi and Southern Africa | |
Milyartini | Singing keroncong and the values behind it | |
Sun et al. | Research on pattern recognition of different music types in the context of AI with the help of multimedia information processing | |
Friedman | Final ritardandi and the expression of musical emotion | |
Hankin | Break and Flow: Hip Hop Poetics in the Americas | |
Marcos et al. | Hooked on the Blues: Technical and expressive continuities between life and music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