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609B1 -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609B1
KR102441609B1 KR1020200064382A KR20200064382A KR102441609B1 KR 102441609 B1 KR102441609 B1 KR 102441609B1 KR 1020200064382 A KR1020200064382 A KR 1020200064382A KR 20200064382 A KR20200064382 A KR 20200064382A KR 102441609 B1 KR102441609 B1 KR 102441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dule
infectious disease
diagnosi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7329A (ko
Inventor
심현숙
신지홍
최홍승
Original Assignee
주이스 주식회사
심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스 주식회사, 심현숙 filed Critical 주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4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609B1/ko
Publication of KR20210147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16H10/65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stored on portable record carriers, e.g. on smartcards, RFID tags or C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감염병을 사용자가 자가진단하도록 하고, 관리자는 관리서버를 통해 전달되는 자가진단정보를 통해 감염병 의심 환자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감염병 의심 환자에 대한 신속한 대처와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An Open-type Platform System for Preventing Spread of Infectious Disease}
본 발명은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감염병을 사용자가 자가진단하도록 하고, 관리자는 관리서버를 통해 전달되는 자가진단정보를 통해 감염병 의심 환자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감염병 의심 환자에 대한 신속한 대처와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메르스, 에볼라, 지카바이러스, SARS, 코로나 19 등 신종 감염병의 발생빈도와 규모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최근 코로나 19가 전세계적인 위협을 가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2015년에도 메르스 유입으로 인한 국가적 재난을 경험하였고, 2014년 에볼라 바이러스의 경우 전세계에서 11,000여면의 사망자가 발생하였고, 2016년 지카 바이러스의 경우에도 2개월동안 29개 국가에 전파되어 약 640억달러의 관광 손실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감염병의 위험을 예측하고 대비하도록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위험의 예측보다 더 중요한 것은 감염병 발생 즉시 발생지역을 차단하고 감염된 환자들을 파악하여 격리시키도록 하며, 감염경로, 원인 등을 신속하게 파악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감염자들을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이 어려우며, 감염자 스스로 신고하지 않을 경우 감염자의 파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감염의 확산을 막을 수 있는 골든 타임을 놓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1733652호(2017.04.28. 등록)"빅데이터를 활용한 감염병의 지역별 위험도 예측 기반의 예방활동 지원을 위한 방법, 전자 장치 및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감염병을 사용자가 자가진단하도록 하고, 관리자는 관리서버를 통해 전달되는 자가진단정보를 통해 감염병 의심 환자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감염병 의심 환자에 대한 신속한 대처와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감염병의 다양한 조건에 대한 질문항목을 설정하여 사용자단말기로 제공하도록 하고, 이를 분석하여 감염병 의심 환자를 진단하도록 함으로써 감염병 의심 환자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도록 하며, 새로운 감염병의 발생에 따라 질문항목과 조건을 새롭게 설정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하고 새로운 감염병들에 대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PHD연동부를 통해 개인의 건강상태 측정기기와 연동하여 건강상태정보를 제공받도록 하고, 이를 감염병 진단에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감염병 의심 진단의 정확성과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감염병에 대한 최종진단결과에 따라 감염병 진단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수정하여 반영되도록 함으로써 시간이 갈수록 감염병 의심 진단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자가진단부에 의한 감염병 의심 결과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즉각 감염병에 대한 처리기관에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감염병 의심 환자에 대한 신속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 대한 진단정보들을 처리기관으로 전달할 때 인증키를 생성하여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유출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감염병 의심환자의 발생시 감염병의 종류, 상황, 특이사항, 고위험군 여부 등에 따라 적절한 안내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단말기로 제공하도록 하고, 안내 담당자와 연결이 가능한 링크를 제공하여 직접 연결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감염병 의심환자 및 관리자 모두의 편의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감염병에 대한 처리가 가능한 최적의 의료기관을 선정하여 예약 및 진료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감염병 의심 환자에 대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진단과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감염병 의심 환자에 대한 지원이 가능한 지자체를 연결하여 자동으로 필요물품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편리한 지원또한 가능하도록 하는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은 감염병에 대한 자가진단을 실시하고, 감영병에 대한 관리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단말기와; 감염병에 대한 상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관리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 및 관리자단말기를 연결하여 감염병에 대한 진단 및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감염병에 대한 자가진단항목을 생성하여 사용자단말기로 제공하고, 사용자단말기의 입력에 따라 감염병 의심여부를 진단하는 자가진단부와; 상기 자가진단부에 의해 감염병이 의심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감염병 관리기관으로 감염병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는 자동신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자가진단부는 사용자단말기로 제공되는 자가진단항목을 생성하는 자가진단항목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가진단항목생성부는 감염병의 종류를 설정하는 카테고리설정모듈과, 감염병에 대한 진단기준을 달리하는 조건에 관한 질문을 설정하는 조건설정모듈과, 사용자의 상태에 대한 질문정보를 설정하는 항목설정모듈과,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항목정보를 설정하는 건강상태정보설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조건설정모듈은 오염지역 방문여부, 내외국인 여부에 대한 기본 분류에 대한 항목을 설정하는 기본분류설정모듈과; 임신여부, 이식환자 등 특이사항에 관한 항목을 설정하는 특이사항설정모듈과; 고위험군 여부에 대한 항목을 설정하는 고위험군설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항목설정모듈은 각종 질문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는 문항설정모듈과, 문항에 삽입될 이미지정보를 설정하는 이미지설정모듈과, 문항 및 이미지가 삽입될 템플릿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템플릿설정모듈과, 설정되는 정보에 대한 미리보기를 설정하는 미리보기설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가진단항목생성부는 자가진단을 위한 항목에 관한 음성정보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음성정보등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가진단부는 사용자의 건강상태 측정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PHD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PHD연동부는 건강상태 측정기기로부터 전달받는 데이터 표준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표준정보등록모듈과, 관리서버와 연동되는 건강상태 측정기기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는 기기정보등록모듈과, 감염병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를 거쳐 건강상태 측정기기로 요청하는 데이터요청모듈과, 건강상태 측정기기에 의해 측정되어 전달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모듈과, 수신된 데이터를 진단 분석을 위한 형태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모듈과, 변환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가진단부는 상기 자가진단항목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질문에 대한 사용자단말기를 통한 답변에 따라 감염병 의심 여부를 분석하는 진단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분석부는 사용자의 기초정보를 입력하는 기초정보입력모듈과, 진단 대상이 되는 감염병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진단감염병입력모듈과, 기본 분류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기본분류입력모듈과, 특이사항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특이정보입력모듈과, 고위험군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고위험정보입력모듈과, 상기 항목설정모듈에 의해 설정되어 제공된 질문에 대한 답변정보를 입력하는 답변정보입력모듈과,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건강상태정보입력모듈과, 입력된 정보들에 따라 감염병 의심 여부를 판단하는 의심판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가진단부는 상기 진단분석부에 의한 감염병의 의심 여부 판단을 최적화하는 진단최적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최적화부는 상기 진단분석부에 의해 분석되는 진단정보를 입력하는 진단정보입력모듈과, 상기 진단분석부에 의해 의심을 진단받은 사용자의 최종 진단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최종진단정보수신모듈과, 감염병의 진단을 위해 입력되는 정보들과 최종 진단결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상관분석모듈과, 분석된 상관관계를 상기 의심판단모듈에 의한 의심 여부 판단에 적용하는 상관적용모듈과, 사용자들의 최종진단결과가 발생할 때마다 상관관계를 갱신하는 상관갱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동신고부는 상기 자가진단부에 의해 사용자의 감염이 의심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에 관한 정보를 관리기관으로 자동 전송하는 의심정보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의심정보전달부는 상기 자가진단부에 의한 감염병 의심 판단정보를 수신하는 의심정보수신모듈과, 감염병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는 결과분류모듈과, 감염병 의심 정보를 관리기관으로 전송하는 기관전송모듈과, 감염병 진단을 위해 입력된 정보를 관리기관으로 함께 전송하는 진단정보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의심정보전달부는 상기 진단정보전송모듈에 의해 관리기관으로 전송되는 정보에 대한 인증키를 생성하는 인증키생성모듈과, 생성된 인증키를 진단 데이터에 첨부하여 인증키를 가진 사용자만이 진단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키첨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동신고부는 진단된 감염병에 따른 안내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안내정보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정보제공부는 감염병의 종류, 특이사항, 고위험군 여부에 따라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카테고리분류모듈과, 분류된 카테고리에 따른 안내정보를 검색하는 안내정보검색모듈과, 검색된 안내정보를 사용자단말기로 출력하는 안내정보출력모듈과, 유관기관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링크를 제공하는 연결정보제공모듈과, 연결링크의 선택시 자동으로 유관기관과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연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동신고부는 감염병으로 의심받는 환자를 관리할 의료기관을 지정하는 처리기관지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기관지정부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모듈과, 사용자 위치 주변으로 해당 감염병에 대해 관리 가능한 의료기관을 검색하는 의료기관검색모듈과, 검색된 의료기관의 의료현황을 수신하는 의료현황수신모듈과, 사용자와의 거리 및 의료기관의 환자 처리가능 정도에 따라 최적의 의료기관을 선정하는 최적위치선정모듈과, 선정된 의료기관의 위치정보를 사용자단말기로 제공하는 위치정보제공모듈과, 선정된 의료기관에 대한 예약안내정보를 사용자단말기로 출력하는 예약안내제공모듈과, 사용자단말기를 통한 입력에 따라 예약정보를 의료기관으로 전송하는 예약정보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동신고부는 감염병으로 의심받는 환자를 지원할 지자체를 연결하는 지자체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자체연결부는 사용자의 지역에 따른 감염병을 담당할 지자체를 지정하는 지자체지정모듈과, 해당 감염병에 대해 사용자에게 지급될 수 있는 물품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로 출력하는 필요정보출력모듈과, 출력된 물품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물품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선택정보수신모듈과, 물품의 지급을 담당하는 담당자 또는 업체를 자동으로 연결하여 물품이 사용자에게 지급되도록 하는 자동연결지급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감염병을 사용자가 자가진단하도록 하고, 관리자는 관리서버를 통해 전달되는 자가진단정보를 통해 감염병 의심 환자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감염병 의심 환자에 대한 신속한 대처와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감염병의 다양한 조건에 대한 질문항목을 설정하여 사용자단말기로 제공하도록 하고, 이를 분석하여 감염병 의심 환자를 진단하도록 함으로써 감염병 의심 환자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도록 하며, 새로운 감염병의 발생에 따라 질문항목과 조건을 새롭게 설정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하고 새로운 감염병들에 대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PHD연동부를 통해 개인의 건강상태 측정기기와 연동하여 건강상태정보를 제공받도록 하고, 이를 감염병 진단에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감염병 의심 진단의 정확성과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감염병에 대한 최종진단결과에 따라 감염병 진단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수정하여 반영되도록 함으로써 시간이 갈수록 감염병 의심 진단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자가진단부에 의한 감염병 의심 결과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즉각 감염병에 대한 처리기관에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감염병 의심 환자에 대한 신속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 대한 진단정보들을 처리기관으로 전달할 때 인증키를 생성하여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유출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감염병 의심환자의 발생시 감염병의 종류, 상황, 특이사항, 고위험군 여부 등에 따라 적절한 안내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단말기로 제공하도록 하고, 안내 담당자와 연결이 가능한 링크를 제공하여 직접 연결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감염병 의심환자 및 관리자 모두의 편의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감염병에 대한 처리가 가능한 최적의 의료기관을 선정하여 예약 및 진료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감염병 의심 환자에 대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진단과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감염병 의심 환자에 대한 지원이 가능한 지자체를 연결하여 자동으로 필요물품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편리한 지원또한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감염병 검사체계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3의 자기진단항목생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도 4에 의한 화면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6은 도 3의 PHD연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도 6에 의한 연동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8은 도 3의 진단정보저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도 3의 진단분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도 3의 진단최적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은 도 3의 자동신고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도 3의 건강정보수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은 도 3의 예방물품정보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4는 도 3의 예방의약품정보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5는 도 3의 예방약품분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6은 도 3의 예방정보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7은 도 3의 건강정보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을 도 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은 감염병에 대한 자가진단을 실시하고, 감영병에 대한 관리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단말기(3)와; 감염병에 대한 상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관리자단말기(2)와; 상기 사용자단말기(3) 및 관리자단말기(2)를 연결하여 감염병에 대한 진단과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관리서버(1);를 포함한다.
종래 감염병에 대한 신고 및 검사, 관리체계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료기관을 찾아 진단을 받아야 하고, 감염병에 대한 신고도 의료기관에서, 보건소, 질병관리본부 등으로 전달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환자가 직접 의료기관을 찾지 않는한 감염병 의심 환자를 관리할 수 없었고, 이에 대한 관리체계도 복수, 다수의 기관으로 이루어져 감염병 진단 환자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도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단말기(3)를 통해 자가진단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자가진단 결과 감염병에 대한 의심정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곧바로 이에 관한 정보를 의료기관, 공공기관 등의 처리기관에 전달되도록 하여 감염병 환자에 대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관리서버(1)를 통해 자가진단을 위한 항목들을 등록하도록 하여 다양한 감염병이 새롭게 발생하는 상황에서도 이에 대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며, 감염병 의심 환자에 대한 정보도 관리서버(1)를 통해 전체 관리기관에 일괄적인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부처간의 혼선없이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가진단에 의한 진단결과 의심 환자로 진단되지 않더라도 감염병 의심 증상이 있는 것으로는 볼 수 있으므로, 감염병 예방을 위한 맞춤 정보들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건강 및 진단정보들을 모아 사용자들에게 대한 건강관리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관리서버(1)는 사용자단말기(3)들과 연결되어 사용자단말기(3)를 통한 감염병의 자가진단이 가능하도록 하고, 자가진단에 의한 의심환자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즉시 관리기관에 알려 이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관리자단말기(2)들을 통해서는 자가진단의 진단을 위해 필요한 질문들과 정보들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하며, 감염병의 치료 및 관리들에 필요한 정보들을 등록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1)는 자가진단에 의해 의심환자로 판정되지 않더라도 감염병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거나 평상시에는 건강관리정보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감염병을 비롯한 각종 질병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관리서버(1)는 자가진단부(11), 자동신고부(12), 감염예방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자가진단부(11)는 사용자단말기(3)를 통한 입력에 따라 감염병에 대한 자가진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자가진단에 필요한 각종 항목과 질문들을 설정하도록 하며, 이에 대한 사용자단말기(3)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감염병 의심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자가진단부(11)는 사용자들이 보유한 개인용 건강측정기기들을 사용자단말기(3)와 연동하여 사용자들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도록 하여 현재의 건강 상태를 감염병 진단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자가진단부(11)는 입력된 정보들을 모아 감염병 의심 여부를 진단하도록 하면서, 이를 실제 확진결과와 비교하도록 하여 그 상관관계를 분석하도록 함으로써, 시간이 갈수록 감염병 의심 진단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자가진단부(11)는 자가진단항목생성부(111), PHD연동부(112), 진단정보저장부(113), 진단분석부(114), 진단최적화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가진단항목생성부(111)는 감염병의 자가진단을 위한 항목, 질문들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감염병에 따라 관리자단말기(2)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자가진단항목생성부(111)는 감염병에 따라 분류하여 항목을 등록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감염병들의 자가진단을 위한 항목들을 언제든지 생성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진단 기준이 필요한 조건들을 설정하고, 다양한 질문들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가진단항목생성부(111)는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도 입력되도록 하여 정확한 감염진단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메뉴, 항목, 질문들에 대한 음성정보를 등록하여 사용자단말기(3)를 통한 음성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자가진단항목생성부(111)는 카테고리설정모듈(111a), 조건설정모듈(111b), 항목설정모듈(111c), 건강상태정보설정모듈(111d), 음성정보등록모듈(111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테고리설정모듈(111a)은 감염병 종류에 관한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카테고리별로 조건이나 항목, 질문 등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건설정모듈(111b)은 감염병 진단에 상이한 기준을 적용할 필요가 있고, 분류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조건들에 대해 설정하는 구성으로, 조건별로 다른 진단기준이 적용되거나 진단여부를 결정하거나 진단 후 취급을 달리하게 위해 조건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기본분류설정모듈(111b-1), 특이사항설정모듈(111b-2), 고위험군설정모듈(111b-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분류설정모듈(111b-1)은 진단 필요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본 조건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오염지역에 대한 방문 여부나 내외국인 여부와 같은 정보들을 선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특이사항설정모듈(111b-2)은 의학적 특이사항에 관한 조건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특별하게 취급되어야 할 조건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임신여부, 이식여부 등에 관한 정보를 조건으로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위험군설정모듈(111b-3)은 감염병에 대해 특이 취약하여 위험이 높은 환자들에 대한 조건을 설정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간, 폐,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에 대한 정보를 묻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항목설정모듈(111c)은 감염병의 진단을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질문들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감염병별로 다양한 환자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질문을 등록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항목설정모듈(111c)은 질문과 함께 이미지를 등록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항목들에 대한 다양한 템플릿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미리보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항목설정모듈(111c)은 문항설정모듈(111c-1), 이미지설정모듈(111c-2), 템플릿설정모듈(111c-3), 미리보기설정모듈(111c-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항설정모듈(111c-1)은 감염병 진단을 위한 다양한 질문정보를 등록하는 구성으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침, 호흡곤란, 발열 등 다양한 정보들을 묻는 질문을 등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언제든지 관리자단말기(2)를 통해 새로운 질문들을 등록하고 등록된 질문들의 수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항설정모듈(111c-1)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 아니오의 형태로 답변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단계를 나누어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수치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이미지설정모듈(111c-2)은 질문과 함께 이미지정보를 등록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질문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다양한 이미지들을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템플릿설정모듈(111c-3)은 질문과 이미지들이 표시되는 템플릿을 선택하여 설정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5(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템플릿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미리보기설정모듈(111c-4)은 등록되는 질문, 이미지들을 선택된 템플릿에 따라 화면에 미리 표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템플릿의 편집 및 선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건강상태정보설정모듈(111d)은 감염병 진단에 필요한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에 대한 항목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혈압, 체온, 혈당, 맥박, 운동량 등의 정보를 항목으로 설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기(3)를 통해 해당정보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건강상태정보설정모듈(111d)은 상기 PHD연동부(112)를 통한 개인 건강 측정기기(D)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단말기(3)로부터 전달되는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음성정보등록모듈(111e)은 자가진단항목생성부(111)에 의해 생성되는 질문, 항목 등에 대한 음성정보를 등록하는 구성으로, 등록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단말기(3)로 출력될 때 음성 안내가 함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PHD연동부(112)는 개인의 건강상태 측정기기(D)로부터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를 연동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건강상태 측정기기(Personal Health Device)란 혈당, 혈압, 활동량, 맥박, 체온 등을 측정하는 개인장치를 의미한다. 종래 건강상태 측정기기는 장치의 종류와 제조회사에 따라 상이한 API를 사용함에 따라 개인 스마트 단말기외에 이를 연동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PHD연동부(112)는 통합되는 API를 마련하여 이를 각 건강상태 측정기기(D)에 적용하도록 함으로써, 건강상태 측정기기(D)로부터 전달되는 각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감염병 진단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PHD연동부(112)는 표준정보등록모듈(112a), 기기정보등록모듈(112b), 데이터요청모듈(112c), 데이터수신모듈(112d), 데이터변환모듈(112e), 데이터저장모듈(112f)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준정보등록모듈(112a)은 각 건강상태 측정기기(D)와의 연동을 위해 표준화된 API를 생성하여 등록하는 구성으로, 생성된 API에 따라 건강상태 측정기기(D)의 데이터가 사용자단말기(3)를 통해 관리서버(1)로 등록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기정보등록모듈(112b)은 연동되는 건강상태 측정기기(D)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구성으로, 측정 데이터의 종류와 제조사에 따른 정보를 등록하고 이에 따른 데이터의 요청 및 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요청모듈(112c)은 자가진단시 필요한 개인상태정보를 사용자단말기(3)를 통해 건강상태 측정기기(D)로 요청하는 구성으로, 상기 건강상태정보설정모듈(111d)에 의해 요구되는 건강상태의 정보를 건강상태 측정기기(D)로부터 입력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수신모듈(112d)은 요청된 개인 건강상태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건강상태 측정기기(D)에 의해 측정되거나 건강상태 측정기기(D)에 저장된 최근 정보가 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변환모듈(112e)은 수신된 데이터를 감염병 진단을 위해 표준화된 형태로 변환하는 구성으로, 동일한 단위와 표시방식을 가진 데이터로 저장되어 감염병 진단을 위해 수치 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저장모듈(112f)은 변환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감염병 진단을 위해 사용되며, 또한 상기 감염예방부(13)에 의해 감염의 예방 및 각종 의료정보의 수집을 위해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진단정보저장부(113)는 상기 자가진단항목생성부(111)에 의해 생성된 항목 및 질문에 대한 사용자단말기(3)로부터의 답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각 사용자에 대한 다양한 건강정보들이 저장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진단정보저장부(113)는 저장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감염병을 진단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건강정보로 수집되어 감염병 또는 기타 질병의 예측에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진단정보저장부(113)는 검역을 위해 필요한 이름, 성별, 국적, 생년월일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검역필수정보저장모듈(113a), 특이사항설정모듈(111b-2)에 의해 설정된 항목에 대해 입력된 특이사항을 저장하는 특이정보저장모듈(113b), 상기 고위험군설정모듈(111b-3)에 의해 설정된 항목에 대해 입력된 고위험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고위험군정보저장모듈(113c), 상기 건강상태정보설정모듈(111d)에 의해 요구된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건강상태정보저장모듈(113d), 문항설정모듈(111c-1)에 의해 설정된 질문에 대한 답변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답변정보저장모듈(113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단분석부(114)는 상기 진단정보저장부(113)에 의해 저장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염병 의심 여부를 진단하는 구성으로, 감염병으로 의심되는 경우 상기 자동신고부(12)에 의해 관리기관으로 신고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진단분석부(114)는 진단하고자 하는 감염병에 따라 입력된 정보들을 조합하여 감염병을 진단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단순히 긍정 답변이 나온 개수로 감염병을 진단하도록 하거나 중요한 항목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진단하도록 할 수 있고, 입력된 정보들과 감염병 사이의 상관관계에 따라 상관식을 산출하여 기계학습에 의한 방식으로 감염병 의심 여부를 진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진단분석부(114)는 사용자의 기본 분류에 따라 진단기준 또는 상관식을 상이하게 적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특이정보, 고위험정보, 답변정보, 건강상태정보들을 이용하여 감염병 의심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진단분석부(114)는 기초정보입력모듈(114a), 진단감염병입력모듈(114b), 분류정보입력모듈(114c), 특이정보입력모듈(114d), 고위험정보입력모듈(114e), 답변정보입력모듈(114f), 건강상태정보입력모듈(114g), 의심판단모듈(114h)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정보입력모듈(114a)은 사용자에 대한 기초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성별, 나이 등의 정보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한 사용자의 식별과 함께 성별, 나이에 따라 진단기준을 달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진단감염병입력모듈(114b)은 진단의 대상이 되는 감염병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사용자단말기(3)에 의한 선택에 따라 감염병 정보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당연히 감염병에 따라 상이한 기준을 적용하여 진단하도록 한다.
상기 분류정보입력모듈(114c)은 상기 기본분류설정모듈(111b-1)에 의해 설정된 분류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오염지역 방문여부, 내외국인 여부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오염지역 방문자, 외국인만을 진단대상으로 하거나 또는 진단기준을 달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특이정보입력모듈(114d)은 특이사항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임산부, 이식환자 여부에 따라 더욱 까다로운 기준을 적용하여 감염병 의심 여부를 진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위험정보입력모듈(114e)은 고위험군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감염병 의심 여부의 판단시 각 고위험군에 따라 상이한 항목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관관계가 분석되도록 하거나 문항수의 계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답변정보입력모듈(114f)은 상기 문항설정모듈(111c-1)에 의해 설정된 질문에 대한 답변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예, 아니오 또는 선택된 단계 또는 수치에 따라 예를 선택한 문항수를 산정하거나 또는 선택된 단계 또는 수치에 따라 합산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그 정도에 따라 상관관계의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건강상태정보입력모듈(114g)은 상기 건강상태정보설정모듈(111d)에 의해 설정된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사용자단말기(3)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PHD연동부(112)에 의해 연동되는 건강상태 측정기기(D)로부터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건강상태정보입력모듈(114g)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역시 일정 단계로 구분하여 수치화되어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의심판단모듈(114h)은 입력되는 정보들에 따라 감염병의 의심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으로, 예로 대답한 항목의 개수로 감염병을 진단하거나 여기에 건강상태, 고위험군 등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거나, 또는 단계 또는 수치로 입력된 답변을 합산하여 일정수치 이상을 감염병 의심 환자로 진단하거나 또는 각 입력변수에 대한 감염병 여부를 기계학습의 방식으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산출된 상관관계에 따른 알고리즘에 따라 감염병 여부를 진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의심판단모듈(114h)에 의해 감염병 의심 환자로 판단되면, 상기 자동신고부(12)에 의해 관리기관에 즉각 신고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의료기관 및 공공기관들의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의심판단모듈(114h)에 의해 감염병으로 진단받지 않더라도 일단 의심증세가 있는 경우가 많을 것이므로, 상기 감염예방부(13)에 의해 예방에 관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전달하여 추후 감염병으로 진단되더라도 그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진단최적화부(115)는 상기 진단분석부(114)에 의한 감염병 의심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도록 하는 구성으로, 실제 의료기관에 의해 감염병이 확정 진단되는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의심판단모듈(114h)에 의한 상관관계를 수정, 갱신해 나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진단최적화부(115)는 진단정보입력모듈(115a), 최종진단정보수신모듈(115b), 상관분석모듈(115c), 상관적용모듈(115d), 상관갱신모듈(115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단정보입력모듈(115a)은 상기 진단분석부(114)에 의해 진단을 실시한 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상기 의심판단모듈(114h)에 의해 감염병 의심 여부가 진단된 후 이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단말기(3)로 전송되면, 이와 동시에 이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도록 하며, 입력받은 후 일정기간 동안 해당 사용자의 의료기관에 의한 감염병의 확정 진단 여부를 모니터링하도록 한다.
상기 최종진단정보수신모듈(115b)은 상기 진단정보입력모듈(115a)에 의한 입력에 따른 모니터링에 따라 의료기관에 의해 최종 확정 진단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최종 진단정보가 의심정보와 불일치하는 경우 입력된 정보와의 상관관계를 다시 분석하도록 한다.
상기 상관분석모듈(115c)은 상기 의심판단모듈(114h)에 의한 감염병 의심 진단 결과와 일정기간 내 의료기관에 의한 최종진단결과를 비교하여 그 결과가 불일치하는 경우, 의심판단모듈(114h)에 의한 상관관계를 다시 분석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상관분석모듈(115c)은 일 예로 인공신경망 등에 있어서 각 입력변수들에 대한 가중치를 변경하여 최종 확진결과와 일치하는 결과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관적용모듈(115d)은 상기 상관분석모듈(115c)에 의해 다시 분석된 알고리즘을 의심판단모듈(114h)에 적용하는 구성으로, 적용된 알고리즘에 따라 의심판단모듈(114h)에 의한 감염병 의심 진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관갱신모듈(115e)은 상기 자가진단부(11)에 의한 자가진단이 이루어질 때마다 진단최적화부(115)에 의한 진단최적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의심결과와 확진결과가 불일치하는 경우 상관관계를 수정하여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상관갱신모듈(115e)은 시간이 지날수록 감염병 의심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자동신고부(12)는 상기 자가진단부(11)에 의한 감염병 의심 진단결과 감염병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에 관한 정보를 관리기관으로 즉각 전송하여 신고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에 관한 안내와 함께 의료기관, 지자체의 연결이 한번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자동신고부(12)는 의심정보전달부(121), 안내정보제공부(122), 처리기관지정부(123), 지자체연결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심정보전달부(121)는 감염병 의심 환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기관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감염병 및 지역 등에 따라 분류되어 담당 관리기관으로 정보가 자동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의심정보전달부(121)는 자가진단을 위해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들을 함께 전달하도록 하여 의심 환자에 대한 치료와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다만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는 인증키를 생성하여 접근권한을 제한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동의가 있는 정보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공기하도록 함으로써 개인정보의 무단 유출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의심정보전달부(121)는 의심정보수신모듈(121a), 결과분류모듈(121b), 기관전송모듈(121c), 진단정보전송모듈(121d), 인증키생성모듈(121e), 인증키첨부모듈(121f)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심정보수신모듈(121a)은 상기 자가진단부(11)의 의심판단모듈(114h)에 의해 감염병에 대한 의심환자로 판정된 경우 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수신 즉시 관리기관에 신고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관련 정보들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과분류모듈(121b)은 진단에 대한 결과를 분류하는 구성으로, 감염병의 종류, 사용자의 지역, 그리고 상기 조건설정모듈(111b)에 의해 설정된 조건 등에 따라 분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과분류모듈(121b)은 분류된 결과에 따라 지정된 관리기관으로 관련정보들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관전송모듈(121c)은 의심환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기관으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보건소, 질병관리본부 등의 감염병 관리기관으로 신고 정보가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관전송모듈(121c)은 상기 결과분류모듈(121b)에 의해 분류되는 결과에 따라 감염병의 종류, 환자의 지역, 기타 조건들별로 상이한 담당기관을 설정하여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진단정보전송모듈(121d)은 의심환자에 대한 신고정보와 함께 상기 자가진단부(11)를 통한 자가진단을 위해 입력된 정보들을 관리기관으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환자의 기초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기본분류, 특이사항, 고위험군 여부, 건강상태, 질문에 대한 답변 정보들이 일괄적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증키생성모듈(121e)은 상기 진단정보전송모듈(121d)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에 대한 인증키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전송되는 정보들에 대한 개인정보유출을 막기 위해 보안을 위한 인증키를 생성하도록 한다.
상기 인증키첨부모듈(121f)은 인증키생성모듈(121e)에 의해 생성된 인증키를 진단정보전송모듈(121d)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에 첨부하는 구성으로, 인증키를 가진 관리자만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인증키첨부모듈(121f)은 사용자의 동의가 있는 정보, 사용자가 동의한 기관에 대해서만 인증키를 부여하여 전송되는 정보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안내정보제공부(122)는 감염병 의심 환자에 대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환자의 행동요령이나 주의사항, 지원 등의 사항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담당기관에 자동으로 연결하여 문의사항에 대한 즉각 답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안내정보제공부(122)는 감염병 의심 환자가 당황하지 않고 다음 행동들을 지켜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감염병에 대한 대처가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안내정보제공부(122)는 카테고리분류모듈(122a), 안내정보검색모듈(122b), 안내정보출력모듈(122c), 연결정보제공모듈(122d), 자동연결모듈(122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테고리분류모듈(122a)은 안내되어야 할 사항의 종류에 따라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구성으로, 감염병의 종류 및 각종 조건들에 따라 카테고리를 설정하고 카테고리별로 맞춤화된 안내정보들이 저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안내정보들은 상기 관리자단말기(2)를 통해 수시로 업데이트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내정보검색모듈(122b)은 카테고리에 따른 안내정보를 검색하는 구성으로, 상기 진단정보전송모듈(121d)에 의해 전송되는 감염 의심 환자의 감염병정보, 기본분류, 특이사항, 고위험군정보, 건강상태정보 등에 따른 카테고리별로 안내정보를 검색하도록 한다.
상기 안내정보출력모듈(122c)은 검색된 안내정보를 사용자단말기(3)로 출력하는 구성으로, 감염병 의심 환자에 맞춤화된 안내정보들이 일괄적으로 사용자단말기(3)에 출력되도록 하여 환자의 적절한 대처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정보제공모듈(122d)은 제공된 안내사항에 관한 문의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관리자측 입장에서도 문의들에 대한 대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해당 의심 환자에 대한 문의를 담당할 관리자와 연결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의심 환자에게 직접 제공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정보제공모듈(122d)은 감염 의심 환자 입장에서는 담당자에 대한 직접 연결을 통해 문의사항을 즉각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 관리기관에 있어서도 감염 의심 환자별로 담당자를 지정하도록 하여 감염 의심 환자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정보제공모듈(122d)은 메시지, 푸쉬알림 등의 형태로 담당자와 직접 연결이 가능한 링크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자동연결모듈(122e)은 감염 의심 환자에 대한 관리기관의 담당자와 직접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연결정보제공모듈(122d)에 의해 제공되는 링크를 클릭하는 경우 담당자와 직접적인 전화통화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채팅창 등의 형태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처리기관지정부(123)는 감염 의심 환자를 치료할 의료기관을 지정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 및 주변 의료기관들의 현황을 파악하여 적절한 의료기관을 찾아 배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처리기관지정부(123)는 의료기관의 진료가 가능한 시간을 지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진료 예약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감염병 의심 환자들이 몰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효과적인 진료와 감염병 확산의 방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처리기관지정부(123)는 위치정보수신모듈(123a), 의료기관검색모듈(123b), 의료현황수신모듈(123c), 최적위치선정모듈(123d), 위치정보제공모듈(123e), 예약안내제공모듈(123f), 예약정보전송모듈(123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수신모듈(123a)은 감염 의심 환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감염 의심 환자의 위치에 따라 의료기관의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의료기관검색모듈(123b)은 사용자 주변의 의료기관을 검색하는 구성으로, 감염 의심 환자의 감염병에 대한 관리가 가능하도록 지정된 의료기관을 검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의료기관검색모듈(123b)은 감염병의 종류뿐만 아니라 각 조건에 따라 치료가 가능한 의료기관을 지정하여 검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의료현황수신모듈(123c)은 검색된 의료기관들의 감염병 처리 가능 현황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각 의료기관별로 처리가 가능한 감염병 의심 환자수를 등록하도록 하고, 등록된 숫자에 따른 의료현황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최적위치선정모듈(123d)은 감염 의심 환자를 치료할 최적의 의료기관을 선정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위치와 각 의료기관들의 의료현황에 따라 최적위치의 의료기관을 선정하도록 한다. 상기 최적위치선정모듈(123d)은 사용자의 위치와 의료기관의 거리에 따라 거리지수를 산출하도록 하고, 각 의료기관에서 처리 가능한 전체 감염병 환자수와 현재 처리 가능한 감염병 환자 수의 비율에 따라 처리지수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으며, 거리지수와 처리지수를 합산하여 최적지수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고, 최적지수가 높은 의료기관을 처리 의료기관으로 선정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최적위치선정모듈(123d)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거리지수가 높게 나오도록 하고, 처리 가능 환자수의 비율이 높을수록 처리지수가 높게 나오도록 하여 가까우면서 환자를 여유있게 처리할 수 있는 의료기관이 최적 의료기관으로 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각 의료기관에도 균등하게 환자가 배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제공모듈(123e)은 최적위치로 선정된 의료기관의 위치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구성으로, 사용자단말기(3)를 통해 의료기관의 정보와 함께 위치정보가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예약안내제공모듈(123f)은 최적위치로 선정된 의료기관에 대한 예약안내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예약가능한 시간에 관한 정보 등을 사용자단말기(3)로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예약정보전송모듈(123g)은 사용자단말기(3)를 통해 선택되는 예약정보를 의료기관으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상기 예약안내제공모듈(123f)에 의해 제공받은 안내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예약시간을 선택하도록 하고 이에 관한 정보를 의료기관으로 전송하여 예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감염병 의심 환자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의료기관에 대한 환자의 배분과, 의료기관에서의 환자에 대한 효율적인 진단과 치료,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자체연결부(124)는 감염병 의심 환자와 지자체를 연결하여 적절한 지원이 지급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환자에 대해 관리 가능한 지자체를 자동으로 연결하도록 하고, 감염병에 따른 필요물품에 관한 정보가 제공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필요물품이 자동으로 지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자체연결부(124)는 지자체지정모듈(124a), 필요정보출력모듈(124b), 선택정보수신모듈(124c), 자동연결지급모듈(124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자체지정모듈(124a)은 감염병 의심 환자에 대해 지원을 실시할 지방자치단체를 자동으로 지정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일반적으로는 사용자의 주거지에 따라 지정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지자체지정모듈(124a)은 감염병의 종류 및 조건에 따라 다양한 단체를 지정하여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필요정보출력모듈(124b)은 감염병 의심 환자에 대해 필요한 물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구성으로, 감염병의 종류 등에 따라 미리 지정된 필요물품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3)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선택정보수신모듈(124c)은 필요물품에 대해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를 지자체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상기 필요정보출력모듈(124b)에 의해 사용자단말기(3)에 출력된 필요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정보가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자동연결지급모듈(124d)은 사용자가 선택한 물품의 지급을 위해 지급처와 자동으로 연결하여 지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필요물품으로 선택한 물품에 대해 지급이 가능한 업체 또는 단체를 자동으로 연결하여 지급을 지시하도록 하고, 이에 따른 신속한 지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감염예방부(13)는 상기 자가진단부(11)에 의한 감염병 진단 결과 감염병 의심으로 진단받지 않은 경우에도 감염 예방에 관한 정보가 제공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감염병 진단을 실시했다는 것은 어느 정도의 의심증상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므로, 감염병에 대한 예방정보를 제공하여 감염병 확산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감염병 초기에는 감염병 의심으로 진단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자가진단부(11)에 의한 진단은 의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한 진단이 아니므로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염예방부(13)는 자가진단결과 의심 환자로 판명되지 않더라도 감염병 예방을 위한 각종 정보들을 제공하도록 하여 감염병의 확산 방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감염예방부(13)는 자가진단부(11)에 의해 획득된 정보들과 다양한 의약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감염병 및 기타 질병들에 대한 예방정보, 위험정보들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평상시에도 감염병 및 질병 예방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감염예방부(13)는 건강정보수집부(131), 예방물품정보제공부(132), 예방의약품정보제공부(133), 예방약품분석부(134), 예방정보제공부(135), 건강정보제공부(136)를 포함한다.
상기 건강정보수집부(131)는 상가 자가진단부(11)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들을 수집하여 제공하는 구성으로, 수집되는 정보들을 통해 개인의 건강정보에 대한 빅데이터를 형성하여 건강, 감염병 등에 대한 위험정보를 제공하고 종합적인 건강관리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건강정보수집부(131)는 자가진단시 입력되는 필수검역정보 등의 개인정보들을 수집하는 필수정보수집모듈(131a), 다양한 항목에 대한 답변, 선택정보, 감염병에 대한 진단정보들을 수집하는 진단정보수집모듈(131b),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상태정보수집모듈(131c), 수집정보를 다양한 필요기관에 전송하는 수집정보제공모듈(131d)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건강정보수집부(131)는 수집되는 정보들을 통해 감염병 위험을 예측하고, 감염병외에 다양한 질병들을 예측하도록 할 수 있으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질병관리본부 등으로 제공되거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처방정보, 의료기관정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검진기관정보, 질병관리본부의 다양한 감염병정보 등과 함께 빅데이터를 형성하여 다양한 건강관리정보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예방물품정보제공부(132)는 상기 자가진단부(11)에 의한 진단을 실시하였으나 의심 환자로 진단되지 않은 사용자(이하 '미진단자'라 함)에 대해 감염병 예방을 위한 물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예방 물품을 쉽게 구입할 수 있도록 하여 각종 감염병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예방물품정보제공부(132)는 예방 물품의 구입이 가능한 위치를 검색하여 재고현황을 파악하고, 곧바로 물품 구매에 대한 예약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고 신속한 구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예방물품정보제공부(132)는 감염병정보수신모듈(132a), 필요물품설정모듈(132b), 위치정보로딩모듈(132c), 취급위치검색모듈(132d), 재고현황표시모듈(132e), 예약정보전송모듈(132f)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염병정보수신모듈(132a)은 사용자가 자가진단을 실시한 감염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감염병의 종류에 따른 필요물품을 설정하여 지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필요물품설정모듈(132b)은 감염병별로 필요한 예방 물품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각 감염병의 예방을 위해 필요한 물품을 수시로 설정하여 등록하도록 하고, 등록된 물품에 대한 취급매장 등을 별도로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로딩모듈(132c)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불러오는 구성으로, 사용자단말기(3)의 위치정보 또는 사용자 주소지의 정보를 불러오도록 하여 사용자 주변에서 물품의 구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취급위치검색모듈(132d)은 필요물품을 판매하거나 배부하는 장소를 검색하는 구성으로, 상기 감염병정보수신모듈(132a)에 의해 수신되는 감염병에 따라 설정된 필요물품의 취급장소를 검색하도록 하고, 사용자 위치 주변의 취급장소들을 사용자단말기(3)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재고현황표시모듈(132e)은 검색된 필요물품 취급장소 각각의 필요물품에 대한 재고정보를 사용자단말기(3)로 표시하는 구성으로, 각 취급장소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에 따라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예약정보전송모듈(132f)은 필요물품에 대한 예약구매정보를 각 취급장소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사용자단말기(3)를 통해 선택되는 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취급위치검색모듈(132d), 재고현황표시모듈(132e)에 의해 사용자단말기(3)에 표시되는 필요물품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선택된 필요물품정보는 예약정보전송모듈(132f)에 의해 곧바로 취급장소로 전송되어 물품에 대한 구매예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선택된 물품의 자동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예방의약품정보제공부(133)는 미진단자에 대해 감염병 예방에 필요한 의약품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 자가진단부(11)에 의한 자가진단시 입력되었던 증상들의 정보를 종합하여 감염병 예방과 증상완화에 도움이 되는 의약품의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예방의약품정보제공부(133)는 사용자의 복약정보를 불러와 예방 의약품과의 비교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한 의약품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의약품 구매가 가능한 약국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예방의약품정보제공부(133)는 필요의약품정보생성모듈(133a), 복약정보로딩모듈(133b), 맞춤의약품정보생성모듈(133c), 약품구매정보검색모듈(133d), 구매정보제공모듈(133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요의약품정보생성모듈(133a)은 미진단자에게 필요한 필수약품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진단을 실시한 감염병에 대한 예방이 가능한 약품을 검색하여 제공하도록 할 수 있으며, 자가진단시 입력된 사용자의 증상에 따라 증상 완화에 필요한 약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복약정보로딩모듈(133b)은 사용자가 복약중인 약품에 관한 정보를 불러오는 구성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의 약처방정보를 통해 정보를 불러오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미리 본 시스템에 가입된 사용자의 동의를 거쳐 정보를 불러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맞춤의약품정보생성모듈(133c)은 사용자의 복약정보를 고려한 필요의약품 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필요의약품정보생성모듈(133a)에 의해 생성된 필요의약품에서 복약정보로딩모듈(133b)을 통해 불러온 사용자가 복용중인 약품을 비교하여 부작용이 적은 약품들의 정보를 생성하도록 한다. 상기 맞춤의약품정보생성모듈(133c)은 각 의약품에 대해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있는 약품들의 리스트를 미리 저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수시로 이를 업데이트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약품구매정보검색모듈(133d)은 생성된 맞춤 의약품에 대해 구입이 가능한 약국정보를 검색하는 구성으로, 미리 각 약품들이 보유한 의약품의 재고 정보를 파악하도록 하여 이에 따른 구입가능 약국정보가 제공되도록 한다.
상기 구매정보제공모듈(133e)은 검색된 약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사용자 주변의 일정거리 내에서 구입이 가능한 약국을 검색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예방약품분석부(134)는 감염병 예방을 위한 약품정보의 제공시 그 효과를 분석하여 함께 제공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자가진단부(11)에 의해 자가진단을 실시한 사용자 중 미진단자들의 복약정보를 수집하여 감염병에 대한 진단율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약품들의 감염병 예방에 대한 효과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예방약품분석부(134)는 위험군수집모듈(134a), 복약정보수집모듈(134b), 진단정보수집모듈(134c), 진단율산출모듈(134d), 진단율비교모듈(134e), 효과정보제공모듈(134f)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험군수집모듈(134a)은 미진단자의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으로, 자가진단부(11)에 의한 자가진단을 실시하여 감염 의심으로 진단되지 않은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약정보수집모듈(134b)은 위험군 사용자의 복약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으로, 자가진단부(11)에 의한 자가진단의 실시후 일정기간 동안의 복약정보를 수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진단정보수집모듈(134c)은 위험군 사용자의 최종 진단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으로, 자가진단부(11)에 의한 자가진단의 실시후 일정기간 내에 의료기관 등에서 시행하는 감염병에 대한 확진여부에 대한 결과를 수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진단율산출모듈(134d)은 사용자가 복용한 약품에 따라 위험군 사용자들의 감염병 진단율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전체 위험군 사용자수에 대한 감염병 확진 사용자의 비율을 감염병 예방을 위해 복용한 약품별로 산출하도록 한다.
상기 진단율비교모듈(134e)은 상기 진단율산출모듈(134d)에 의해 산출되는 약품별 감염병 진단율을 비교하는 구성으로, 약품에 따른 감염병 예방 효과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효과정보제공모듈(134f)은 상기 진단율비교모듈(134e)에 의해 비교결과에 따라 약품의 감염병 예방에 대한 효과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약품별로 감염병 확진률이 적은 순서로 순위정보를 제공하거나 각 약품의 효과를 백분율로 표시하여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예방정보제공부(135)는 미진단자들에 대해 감염병 예방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감염병 예방을 위한 안전수칙과 함께 추후 감염병으로 진단될 경우의 대처방법에 관한 정보를 미리 제공하도록 하여 감염병 발생시 이에 대한 대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예방정보제공부(135)는 자가진단부(11)에 의한 진단시 입력된 정보에 따라 감염병이 발생될 위험이 높은 시점을 예측하여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이에 대한 대비가 미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예방정보제공부(135)는 안전수칙정보제공모듈(135a), 진단예측정보제공모듈(135b), 대처정보제공모듈(135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수칙정보제공모듈(135a)은 감염병의 예방을 위해 지켜야할 행동요령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감염병별 안전수칙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특이사항, 고위험군 정보 등에 따라 구별된 안전수칙이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진단예측정보제공모듈(135b)은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감염병 발생 위험 시점을 예측하여 제공하는 구성으로, 이는 감염병 초기 감염병으로 진단되지 않고, 질문항목에 따라 정확성이 떨어지는 경우를 대비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진단예측정보제공모듈(135b)은 상기 자가진단부(11)에 의해 감염병 의심 환자로 진단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감염병이 발생될 위험이 높은 정도를 위험지수로 나타내도록 하고, 위험지수에 따라 감염병이 발생될 위험이 높은 시점을 통계적으로 예측하여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감염병 발생 위험이 높은 사용자에 대해 감염병으로 미진단되더라도 그 주의를 계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진단예측정보제공모듈(135b)은 진단정보수신모듈(135b-1), 위험지수산출모듈(135b-2), 위험시기예측모듈(135b-3), 위험안내모듈(135b-4), 재진단지시모듈(135b-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단정보수신모듈(135b-1)은 미진단자의 진단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자가진단부(11)에 의한 자가진단시 입력된 기본분류정보, 특이사항정보, 고위험군정보, 답변정보, 건강상태정보 등을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위험지수산출모듈(135b-2)은 입력된 정보에 따라 감염병이 발생될 위험이 높은 정도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미진단자의 건강상태, 증상 등에 따른 정보를 일정단계로 나누어 수치로 표시하고 이를 합산하여 감염병 발생의 위험이 높은 정도를 나타내는 위험지수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험지수산출모듈(135b-2)은 미진단자에 대한 기본분류, 특이사항, 고위험군 등의 정보에 따라 각 상태에 대한 수치에 가중치를 부여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감영병의 종류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하여 위험지수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위험시기예측모듈(135b-3)은 위험지수에 따라 감염병이 발생될 위험이 높은 시점을 예측하여 제공하는 구성으로, 위험지수에 따라 감염병이 발생될 위험이 높은 시점을 미리 설정하여 두도록 한다. 위험지수에 따른 감염병 발생 위험 시점은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결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자가진단부(11)에 의한 진단과 실제 의료기관에서의 감염병에 대한 확진정보를 이용하여 기계적 학습을 통한 통계분석을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위험시기예측모듈(135b-3)은 위험지수를 10개의 구간으로 나누도록 할 수 있으며, 위험지수가 가장 높은 1구간일 경우에는 3일내, 2구간일 경우에는 5일 내 등 감염병 발생 위험이 높은 시점을 예측하여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위험안내모듈(135b-4)은 감염병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예측되는 시점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3)로 제공하는 구성으로, 미진단자가 예측된 시점까지 감염병에 대한 주의를 늦추지 않도록 하고, 감염병 발생에 대비한 준비를 미리 마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재진단지시모듈(135b-5)은 감염병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예측된 시점에 사용자에 대해 재진단을 지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자가진단부(11)에 의한 재진단이 이루어지도록 사용자단말기(3)를 통한 알림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재진단지시모듈(135b-5)은 주의를 늦추기 전에 감염병에 대한 재진단을 실시하도록 하여 감염병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막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대처정보제공모듈(135c)은 미진단자에 대해 감염병으로 진단될 경우에 대비한 대처정보를 미리 제공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감염병 진단시의 행동요령과 관리기관, 연락정보 등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미진단자는 감염병으로 진단되지는 않았으나 의심 증상을 보여 감염병 발생의 위험이 높은 사람으로, 상기 대처정보제공모듈(135c)을 통해 미리 대처정보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감염병 발생에 따른 확산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감염병 발생자의 혼란을 막고 의연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건강정보제공부(136)는 상기 건강정보수집부(131)에 의해 수집되는 정보와 건겅보험관리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 다양한 공공기관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들을 수집하여 질병 위험, 감염병 위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본 플랫폼 시스템이 평상시에는 건강 관련 빅데이터를 활용한 위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기능하도록 함으로써, 국민 건강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와 예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건강정보제공부(136)는 질병위험정보제공부(136a)와 감염병정보제공부(13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질병위험정보제공부(136a)는 사용자에게 발생될 위험이 높은 질병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진료정보, 복약정보, 건강상태 정보들을 이용한 빅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발생위험이 높은 질병을 예측하여 제공하도록 하고, 예측된 질병에 대한 의료기관정보까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질병위험정보제공부(136a)는 진료정보수집모듈(136a-1), 복약정보수집모듈(136a-2), 건강정보수집모듈(136a-3), 위험질병제공모듈(136a-4), 검진기관정보제공모듈(136a-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료정보수집모듈(136a-1)은 사용자의 의료기관에 대한 진료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으로, 진료항목, 진단명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약정보수집모듈(136a-2)은 사용자가 복용한 약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으로, 약품의 종류, 효능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건강정보수집모듈(136a-3)은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으로, 상기 자가진단부(11)에 의한 자가진단시 입력된 정보, 건강상태 측정기기(D)로부터 측정되는 정보가 연동되어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정보수집모듈(136a-3)은 자가진단시 입력되었던 기타 건강에 관한 정보들을 수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위험질병제공모듈(136a-4)은 수집되는 진료정보, 복약정보, 건강상태정보에 따라 발생 위험이 높은 질병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수집되는 정보들과 질병 발생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도출된 상관관계로 위험 질병이 예측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험질병제공모듈(136a-4)은 수집된 빅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머신러닝 등의 방법으로 상관관계를 도출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데이터들이 쌓일수록 질병 예측의 정확성은 높아지게 된다.
상기 검진기관정보제공모듈(136a-5)은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예측된 질병에 대해 관련 검진기관 또는 의료기관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구성으로, 사용자 위치 근처의 기관들을 검색하여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감염병정보제공부(136b)는 최근 유행하는 감염병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이에 대한 대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최근의 예방접종정보, 진단정보들을 이용하여 최근 위험한 감염병들을 추출하고 이에 대한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감염병정보제공부(136b)는 예방접종정보수집모듈(136b-1), 진단정보수집모듈(136b-2), 위험감염병추출모듈(136b-3), 안내정보제공모듈(136b-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방접종정보수집모듈(136b-1)은 최근 이루어지고 있는 예방접종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으로부터 예방접종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진단정보수집모듈(136b-2)은 최근 의료기관에서 진단되는 감염병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으로, 질병관리본부 등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위험감염병추출모듈(136b-3)은 예방접종정보 및 진단정보에 따라 최근 유행하는 감염병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구성으로, 그 횟수가 설정된 값을 넘는 경우 유행하는 감염병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안내정보제공모듈(136b-4)은 상기 위험감염병추출모듈(136b-3)에 의해 최근 유행하는 감염병으로 추출된 감염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안전수칙, 대처정보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단말기(2)는 감염병을 관리하는 측이 소지하는 PC,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다양한 제어장치를 뜻하는 것으로, 상기 자가진단항목생성부(111)에 의해 자가진단을 위한 항목들을 설정하거나 건강상태 측정기기(D)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거나 상기 자동신고부(12)에 의한 관리정보, 기관정보, 안내정보 등을 등록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또한 감염예방부(13)에 의해 제공되는 물품정보, 의약품정보, 예방정보, 건강정보 등을 등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3)는 본 시스템을 이용하는 일반 사용자가 소지하는 PC,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다양한 제어장치를 뜻하는 것으로, 자가진단을 위한 답변들을 입력하고 선택하며, 건강상태 측정기기(D)로부터 건강상태 데이터를 제공받아 전달하도록 하고, 진단정보, 안내정보, 기관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기(3)는 상기 감염예방부(13)를 통해 감염병 예방을 위한 다양한 정보와 위험질병, 감염병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관리서버
11: 자가진단부 111: 자기진단항목생성부 112: PHD연동부
113: 진단정보저장부 114: 진단분석부 115: 진단최적화부
12: 자동신고부 121: 의심정보전달부 122: 안내정보제공부
123: 처리기관지정부 124: 지자체연결부
13: 감염예방부 131: 건강정보수집부 132: 예방물품정보제공부
133: 예방의약품정보제공부 134: 예방약품분석부
135: 예방정보제공부 136: 건강정보제공부
2: 관리자단말기
3: 사용자단말기

Claims (13)

  1. 감염병에 대한 자가진단을 실시하고, 감염병에 대한 관리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단말기와; 감염병에 대한 상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관리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 및 관리자단말기를 연결하여 감염병에 대한 진단과 관리 및 예방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감염병에 대한 자가진단항목을 생성하여 사용자단말기로 제공하고, 사용자단말기의 입력에 따라 감염병 의심여부를 진단하는 자가진단부와; 상기 자가진단부에 의해 감염병이 의심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감염병 관리기관으로 감염병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는 자동신고부와; 상기 자가진단부에 의해 감염병 의심 환자로 진단되지 않는 경우 감염병의 예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감염예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신고부는, 감염병으로 의심받는 환자를 관리할 의료기관을 지정하는 처리기관지정부와, 감염병으로 의심받는 환자를 지원할 지자체를 연결하는 지자체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기관지정부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모듈과, 사용자 위치 주변으로 해당 감염병에 대해 관리 가능한 의료기관을 검색하는 의료기관검색모듈과, 검색된 의료기관의 의료현황을 수신하는 의료현황수신모듈과, 사용자와의 거리 및 의료기관의 환자 처리가능 정도에 따라 최적의 의료기관을 선정하는 최적위치선정모듈과, 선정된 의료기관의 위치정보를 사용자단말기로 제공하는 위치정보제공모듈과, 선정된 의료기관에 대한 예약안내정보를 사용자단말기로 출력하는 예약안내제공모듈과, 사용자단말기를 통한 입력에 따라 예약정보를 의료기관으로 전송하는 예약정보전송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최적위치선정모듈은,
    각 의료기관에서 처리 가능한 전체 감염병 환자수 대비 현재 처리 가능한 감염병 환자수의 비율에 따라 처리지수를 산출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위치와 의료기관의 거리에 따라 거리지수를 산출하도록 하며, 거리지수 및 처리지수를 합산하여 최적지수를 산정하도록 하고, 최적지수가 높은 의료기관을 처리 의료기관으로 선정하도록 하며,
    상기 지자체연결부는,
    사용자의 지역에 따른 감염병을 담당할 지자체를 지정하는 지자체지정모듈과, 해당 감염병에 대해 사용자에게 지급될 수 있는 물품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로 출력하는 필요정보출력모듈과, 출력된 물품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물품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선택정보수신모듈과, 물품의 지급이 가능한 업체를 자동으로 연결하여 물품의 지급을 지시하도록 하는 자동연결지급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감염예방부는,
    사용자가 진단을 실시한 감염병에 대한 예방 의약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예방의약품정보제공부와, 상기 예방의약품정보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는 감염병 예방 의약품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예방약품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예방의약품정보제공부는,
    해당 감염병의 예방을 위한 필요 의약품정보를 생성하는 필요의약품정보생성모듈과, 사용자의 복약정보를 불러오는 복약정보로딩모듈과, 사용자의 복약정보를 고려하여 부작용이 적은 필요 의약품 정보를 제공하는 맞춤의약품정보생성모듈과, 맞춤 의약품에 대한 구매가능 약국을 검색하는 약품구매정보검색모듈과, 검색된 약국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로 제공하는 구매정보제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예방약품분석부는,
    감염병 진단이 실시된 위험군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하는 위험군수집모듈과, 위험군 사용자에 대한 복약정보를 수집하는 복약정보수집모듈과, 위험군 사용자에 대해 감염병 자가 진단이 실시된 후 일정기간 내에 감염병 진단으로 확정되는 정보를 수집하는 진단정보수집모듈과, 위험군 전체 사용자에게 감염병으로 진단된 사용자의 비율을 각 약품별로 산출하는 진단율산출모듈과, 상기 진단율산출모듈에 의해 산출된 각 약품별 진단율을 비교하는 진단율비교모듈과, 비교된 진단율을 토대로 각 의약품의 감염병에 대한 효과정보를 제공하는 효과정보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200064382A 2020-05-28 2020-05-28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 KR102441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382A KR102441609B1 (ko) 2020-05-28 2020-05-28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382A KR102441609B1 (ko) 2020-05-28 2020-05-28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329A KR20210147329A (ko) 2021-12-07
KR102441609B1 true KR102441609B1 (ko) 2022-09-08

Family

ID=78868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382A KR102441609B1 (ko) 2020-05-28 2020-05-28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6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1429B (zh) * 2021-05-12 2024-06-07 中国人民解放军军事科学院军事医学研究院 传染病的传播推演方法、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657B1 (ko) * 2018-01-25 2019-06-12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온열질환에 따른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시스템
US20190237193A1 (en) * 2018-01-29 2019-08-01 Soo Koun KIM Method for apparatus, server and method of providing self-diagnosis result and medical information
JP2020064435A (ja) * 2018-10-17 2020-04-23 3Hクリニカルトライアル株式会社 疾病診断・治療・予防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2429A (ko) * 2017-04-04 2018-10-1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문진데이터를 기초로 한 맞춤형 건강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657B1 (ko) * 2018-01-25 2019-06-12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온열질환에 따른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시스템
US20190237193A1 (en) * 2018-01-29 2019-08-01 Soo Koun KIM Method for apparatus, server and method of providing self-diagnosis result and medical information
JP2020064435A (ja) * 2018-10-17 2020-04-23 3Hクリニカルトライアル株式会社 疾病診断・治療・予防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329A (ko)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nçalves‐Bradley et al. Primary care professionals providing non‐urgent care in hospital emergency departments
Birkhead et al. Uses of electronic health records for public health surveillance to advance public health
Gardner et al. Efficacy of a brief case management intervention to link recently diagnosed HIV-infected persons to care
US20190237174A1 (en) System for gap in care alerts
US20120065987A1 (en) Computer-Based Patient Management for Healthcare
US201303045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linical trial design
Sabbath et al. Occupational injury among hospital patient‐care workers: what is the association with workplace verbal abuse?
US20040143171A1 (en) Method for generating patient medication treatment recommendations
Woodworth et al. Just a minute: the effect of emergency department wait time on the cost of care
Whear et al. Patient‐initiated appointment systems for adults with chronic conditions in secondary care
KR102441609B1 (ko)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
Leonhard et al. Analysis of reimbursement of genetic counseling services at a single institution in a state requiring licensure
KR102441610B1 (ko) 감염병 확산방지 개방형 플랫폼 시스템
Li et al. Using real-world data to rationalize clinical trials eligibility criteria design: A case study of Alzheimer’s disease trials
Sørensen et al. Costs of shoulder disorders in Denmark: a nationwide cost-of-illness study investigating 617,334 patients and matched controls
Brogan et al. The excess costs of hospitalization for acute stroke in people with communication impairment: a Stroke123 data linkage Substudy
Katz et al. Can the quality of care in family practice be measured using administrative data?
Jaeker et al. An empirical study of the spillover effects of workload on patient length of stay
Hachey et al. Hepatitis C treatment cascade in a federally qualified health center
US202201809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tic based efficacy testing
US20210241892A1 (en) Providing enhanced patient updates to facilitate precision therapy
Burton et al. The value of the periodic executive health examination: experience at Bank One and summary of the literature
Sakurai et al. Revision of the protocol of the telephone triage system in Tokyo, Japan
Chan et al. Harvard pilgrim health care/Harvard vanguard medical associates
JP3940126B2 (ja) 審査管理方法及び審査管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