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344B1 -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 - Google Patents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344B1
KR102441344B1 KR1020210147306A KR20210147306A KR102441344B1 KR 102441344 B1 KR102441344 B1 KR 102441344B1 KR 1020210147306 A KR1020210147306 A KR 1020210147306A KR 20210147306 A KR20210147306 A KR 20210147306A KR 102441344 B1 KR102441344 B1 KR 102441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craft
performance
target equipment
complexity
impr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7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승범
김영일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7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기에 대상 장비를 장착하여 항공기의 성능을 개량하기 위한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은, 항공기에 대상 장비를 장착하여 성능을 개량하기 위한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으로서, 기준 항공기를 선정하는 과정; 기준 항공기에 대상 장비를 장착하는 과정; 대상 장비가 장착된 기준 항공기의 성능을 시험하는 과정; 및 성능 시험 결과가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면, 상기 기준 항공기와 동일한 기종의 항공기들에 상기 대상 장비를 장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METHOD FOR IMPROVING AIRCRAFT PERFORMANCE}
본 발명은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기에 대상 장비를 장착하여 항공기의 성능을 개량하기 위한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항공기 전자 장비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기존 항공기의 통신 장비 또는 항법 장비 등의 성능 향상을 위한 항공기 개조 관련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 적군과 아군을 구별하기 위한 피아 식별(IFF; Identification Friend or Foe) 장비의 성능 개량 사업과, 재밍(Jamming) 위협의 증대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항재밍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개발 사업이 진행 중이다. 또한, 기존의 아날로그 도약 방식의 무전기를 디지털 통신 방식의 SATURN(Second Generation Anti-jam Tactical UHF Radio for NATO) 무전기로 교체하는 성능 개량 사업 또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성능 개량을 위한 개조 작업이 성능 개량이 요구되는 항공기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수행되었다. 즉, 항공기는 수행하는 임무 및 운용 환경에 따라 동일 기종임에도 형상 및 내부 구조가 다른 다양한 모델이 존재하는데, 종래에는 이와 같이 다양한 모델로 이루어지는 항공기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개조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에, 항공기 전체 기종의 성능을 개량하기 위하여는 여러 기종에 따른 다양한 모델 각각에 대해 개조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개조 작업이 비효율적이며, 개조 이후에도 각 항공기 별로 성능 평가 및 감항 인증(Airworthiness Certification)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14-0061805 A
본 발명은 동일한 기종의 다양한 항공기들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항공기의 개조를 수행할 수 있는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은, 항공기에 대상 장비를 장착하여 성능을 개량하기 위한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으로서, 기준 항공기를 선정하는 과정; 기준 항공기에 대상 장비를 장착하는 과정; 대상 장비가 장착된 기준 항공기의 성능을 시험하는 과정; 및 성능 시험 결과가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면, 상기 기준 항공기와 동일한 기종의 항공기들에 상기 대상 장비를 장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은, 항공기에 대상 장비를 장착하여 성능을 개량하기 위한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으로서, 기준 항공기를 선정하는 과정; 기준 항공기에 대상 장비를 장착하는 과정; 대상 장비가 장착된 기준 항공기의 성능이 설정된 개발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평가하는 과정; 대상 장비가 장착된 기준 항공기의 성능이 설정된 운용 기준을 만족하는지 평가하는 과정; 및 설정된 개발 기준 및 운용 기준을 만족하면, 상기 기준 항공기와 동일한 기종의 항공기들에 상기 대상 장비를 장착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항공기를 선정하는 과정은, 성능 개량이 필요한 항공기들을 기종에 따라 분류하는 과정; 분류된 항공기들의 복잡도를 평가하는 과정; 및 기종 별로 복잡도가 가장 높은 항공기를 기준 항공기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잡도를 평가하는 과정은, 대상 장비의 장착에 의한 항공기의 구조 변경 범위가 클수록 복잡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상기 복잡도를 평가하는 과정은, 대상 장비의 장착을 위하여 추가되는 장비의 개수, 대상 장비와 연동되는 장비의 개수 및 기존에 장착된 장비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증가할수록 복잡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상기 복잡도를 평가하는 과정은, 대상 장비의 장착에 따른 항공기의 구조 변경, 중량 변경, 중량 평형 변경 및 전기 부하 변경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할수록 복잡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개발 기준을 만족하는지 평가하는 과정은, 대상 장비 및 상기 대상 장비와 연동되는 장비의 성능이 설정된 개발 기준을 만족하는지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운용 기준을 만족하는지 평가하는 과정은, 대상 장비를 사용한 항공기의 임무 수행 성능이 설정된 운용 기준을 만족하는지 평가할 수 있다.
상기 대상 장비를 장착하는 과정 이후에, 항공기의 감항 인증 데이터를 마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항 인증 데이터를 마련하는 과정은, 대상 장비를 장착한 기준 항공기의 감항 인증 데이터를 마련하는 과정; 및 상기 기준 항공기와 동일한 기종의 항공기들 중 상기 기준 항공기를 제외한 항공기들의 감항 인증 데이터를 마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항공기와 동일한 기종의 항공기들에 상기 대상 장비를 장착하는 과정은, 대상 장비를 장착한 기준 항공기의 감항 인증이 완료된 이후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기준 항공기를 제외한 항공기들의 감항 인증 데이터를 마련하는 과정은, 상기 기준 항공기의 감항 인증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기준 항공기를 제외한 항공기들의 감항 인증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대상 장비는 아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피아 식별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동일한 기종의 다양한 항공기들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항공기의 개조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동일한 기종의 항공기들 중 복잡도가 가장 높은 기준 항공기를 선정하고, 대상 장비가 장착된 기준 항공기에 대한 성능 시험 결과가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파생형 항공기들에 대하여 대상 장비를 장착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불필요한 절차를 최소화하고, 항공기의 성능 개량에 소요되는 시간 또는 비용을 절약하여 다양한 항공기들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항공기의 개조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준 항공기를 선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준 항공기를 선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은, 항공기에 대상 장비를 장착하여 성능을 개량하기 위한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으로서, 기준 항공기를 선정하는 과정(S100), 기준 항공기에 대상 장비를 장착하는 과정(S300), 대상 장비가 장착된 기준 항공기의 성능을 시험하는 과정(S400, S500) 및 성능 시험 결과가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면, 상기 기준 항공기와 동일한 기종의 항공기들에 상기 대상 장비를 장착하는 과정(S8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은, 항공기에 대상 장비를 장착하여 성능을 개량하기 위한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으로서, 기준 항공기를 선정하는 과정(S100), 기준 항공기에 대상 장비를 장착하는 과정(S300), 대상 장비가 장착된 기준 항공기의 성능이 설정된 개발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평가하는 과정(S400), 대상 장비가 장착된 기준 항공기의 성능이 설정된 운용 기준을 만족하는지 평가하는 과정(S500) 및 설정된 개발 기준 및 운용 기준을 만족하면, 상기 기준 항공기와 동일한 기종의 항공기들에 상기 대상 장비를 장착하는 과정(S600)을 포함할 수 있다.
기준 항공기를 선정하는 과정(S100)은 성능 개량이 필요한 다양한 항공기들 중에서 대상 장비를 장착하여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대상이 되는 기준 항공기를 선정한다. 여기서, 대상 장비는 해당 장비를 장착하는 경우 항공기의 성능 개량이 이루어지는 장비를 의미하며, 모드 4(Mode 4)에서 한미 연합 작전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하여 비화 기능이 강화된 모드 5(Mode 5)로 교체가 필요한 피아 식별(IFF; Identification Friend or Foe) 장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항공기의 성능 개량을 위하여 교체 또는 추가 장착되는 다양한 장비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항공기들은 다양한 기종을 가지며, 동일한 기종에서도 수행하는 임무 및 운용 환경에 따라 형상 및 내부 구조가 다른 다양한 모델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UH-60 기종의 헬리콥터의 경우 수송용, 전투용 및 구급용 등으로 나뉘어져 다양한 형상 및 내부 구조를 가지며, 전투기인 F-5E/F 기종의 경우에도 임무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내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기준 항공기를 선정하는 과정(S100)에서는 이와 같은 다양한 항공기들 중에서 대상 장비를 장착하여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대상이 되는 기준 항공기를 선정한다. 이하에서는, 동일 기종의 항공기들 중 선정된 기준 항공기를 제외한 항공기 즉, 동일 기종의 항공기들 중 기준 항공기와 형상 및 내부 구조가 상이한 다른 항공기를 파생형 항공기라 지칭하기로 한다.
여기서, 기준 항공기를 선정하는 과정(S100)은 성능 개량이 필요한 항공기들을 기종에 따라 분류하는 과정(S110), 분류된 항공기들의 복잡도를 평가하는 과정(S120) 및 기종 별로 복잡도가 가장 높은 항공기를 기준 항공기로 결정하는 과정(S130)을 포함할 수 있다.
항공기들을 기종에 따라 분류하는 과정(S110)은 성능 개량이 요구되어 대상 장비를 장착할 필요성이 있는 항공기들을 기종에 따라 분류한다. 예를 들어, 항공기들은 UH-60, 500MD, AH-1S, CH-47, LYNX, F-5E/F 등의 기종 별로 분류될 수 있다.
복잡도를 평가하는 과정(S120)은 분류된 항공기들의 복잡도를 평가한다. 여기서, 복잡도를 평가하는 과정(S120)은 대상 장비의 장착에 의한 항공기의 구조 변경 범위가 클수록 복잡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즉, 복잡도를 평가하는 과정(S120)은, 대상 장비의 장착을 위하여 추가되는 장비의 개수, 대상 장비와 연동되는 장비의 개수 및 기존에 장착된 장비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증가할수록 복잡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대상 장비의 장착에 따른 항공기의 구조 변경, 중량 변경, 중량 평형 변경 및 전기 부하 변경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할수록 복잡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항공기들의 복잡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먼저 항공기 실사를 통해 대상 장비의 장착에 필요한 항공기의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항공기 별로 장착될 대상 장비, 대상 장비의 장착을 위하여 추가되어야 하는 장비 등을 확인할 수 있고, 파생형 별로 항공기에 탑재된 장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스캔을 통해 항공기 별로 외형 및 내부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확인된 정보는 항공기들의 복잡도를 평가하기 위한 프로그램에서 데이터 베이스에 목록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항공기의 정보를 획득한 후, 파생형 별로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정보를 항공기들의 복잡도를 평가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입력한다.
① 대상 장비의 장착을 위하여 추가되는 장비
② 대상 장비와 연동되는 장비
③ 항공기에 탑재된 장비
④ 대상 장비의 장착 위치
⑤ 대상 장비의 장착에 따른 배선 변경 필요성
⑥ 대상 장비의 장착에 따른 구조 변경 필요성
⑦ 대상 장비의 장착에 따른 중량 변경 영향성
⑧ 대상 장비의 장착에 따른 중량 평형 변경 영향성
⑨ 대상 장비의 장착에 따른 전기 부하 변경 영향성
여기서, 배선 변경 필요성, 구조 변경 필요성, 중량 변경 영향성, 중량 평형 변경 영향성, 전기 부하 변경 영향성 등은 수치화하여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정보는 복잡도 평가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며, 프로그램은 각 기초 자료에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여 복잡도를 연산하고, 기종 별로 복잡도가 가장 높은 항공기를 기준 항공기로 선정하여 출력한다.
기준 항공기를 선정하는 과정(S100) 이후에는 기준 항공기에 대상 장비를 장착하기 위한 설계 과정(S200)이 수행될 수 있다. 설계 과정(S200)에서는 기준 항공기에 대상 장비를 장착하기 위한 설계안이 도출될 수 있으며, 설계안은 후속의 파생형 항공기에 대상 장비를 장착하는 것까지 고려하여 도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기종의 항공기들 중 복잡도가 가장 높은 기준 항공기에 대상 장비를 장착하기 위한 설계를 진행하는 경우, 다른 항공기들 즉 파생형 항공기들은 기준 항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복잡도가 낮기 때문에 기준 항공기의 설계안을 기준으로 파생형 항공기들에 대상 장비를 장착하더라도 운용 중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복잡도가 더 높은 기준 항공기의 설계안은 다른 파생형 항공기들의 개조 범위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기준 항공기의 설계안을 파생형 항공기들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복잡도가 가장 높은 기준 항공기의 설계 범위에 파생형 항공기의 성능 개량 구조도 포함되기 때문에, 파생형 항공기에 대상 장비를 장착하기 위한 설계에 소요되는 자원, 즉 시간 또는 비용을 절약하여 효율적으로 다양한 항공기들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항공기의 개조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기준 항공기에 대상 장비를 장착하는 과정(S300)이 수행되며, 기준 항공기에 대상 장비가 장착되면 대상 장비가 장착된 기준 항공기의 성능을 시험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여기서, 대상 장비가 장착된 기준 항공기의 성능을 시험하는 과정은 대상 장비가 장착된 기준 항공기의 성능이 설정된 개발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평가하는 과정(S400) 및 대상 장비가 장착된 기준 항공기의 성능이 설정된 운용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평가하는 과정(S500)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된 개발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평가하는 과정(S400)은 대상 장비가 장착된 기준 항공기의 성능이 설정된 개발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평가(개발 시험 평가, DT&E; Developmental Test & Evaluation)한다. 설정된 개발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평가하는 과정(S400)은 항공기의 성능 개량 작업을 수행하는 개발 기관이 주관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설계 상의 중요한 문제점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문제점이 있는 경우 이를 해결하여 요구 성능에 대한 기술적 개발 목표가 충족되었는지를 검증한다. 이때, 설정된 개발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평가하는 과정(S400)은 대상 장비 및 상기 대상 장비와 연동되는 장비의 성능이 설정된 개발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대상 장비가 장착된 기준 항공기의 성능이 설정된 개발 기준을 만족하지 않으면, 항공기에 대상 장비를 장착하기 위한 설계 과정(S200)이 다시 수행될 수 있다. 반면, 대상 장비가 장착된 기준 항공기의 성능이 설정된 개발 기준을 만족하게 되면, 대상 장비가 장착된 기준 항공기의 성능이 설정된 운용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평가하는 과정(S500)이 수행된다.
설정된 운용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평가하는 과정(S500)은 대상 장비가 장착된 기준 항공기의 성능이 설정된 운용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평가(운용 시험 평가, OT&E; Operational Test & Evaluation)한다. 설정된 운용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평가하는 과정(S500)은 대상 장비가 장착된 항공기를 운용하는 군이 주관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항공기가 운용되는 작전 환경 또는 이와 유사한 조건에서 작전 운용 성능 충족 여부, 군 운용의 적합성 등을 확인한다. 이때, 설정된 운용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평가하는 과정(S500)은 대상 장비를 구동하여 사용한 항공기의 임무 수행 성능이 설정된 운용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대상 장비가 장착된 기준 항공기의 성능이 설정된 운용 기준을 만족하지 않으며, 항공기에 대상 장비를 장착하기 위한 설계 과정(S200)이 다시 수행될 수 있다. 반면, 대상 장비가 장착된 기준 항공기의 성능이 설정된 운용 기준을 만족하게 되면, 기준 항공기와 동일한 기종의 다른 항공기, 즉 파생형 항공기들에 대상 장비를 장착하는 과정(S800)이 수행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은, 대상 장비를 장착하는 과정(S300) 이후에 항공기의 감항 인증 데이터를 마련하는 과정(S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항공기의 감항 인증 데이터를 마련하는 과정(S600)은 대상 장비를 장착한 기준 항공기의 감항 인증 데이터를 마련하는 과정(S700) 및 상기 기준 항공기와 동일한 기종의 항공기들 중 상기 기준 항공기를 제외한 항공기들, 즉 파생형 항공기들의 감항 인증 데이터를 마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감항 인증은 항공기에 대하여 일정한 범위의 수리 및 개조를 수행함으로써 항공기의 구조, 강도, 성능 등에 대하여 항공기가 비행하기에 적합한 안전성과 신뢰성을 갖고 있는지를 검증하고, 필요시 해당 항공기가 형식 증명서(TC; Type Certificate Data Sheets)의 기준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
감항 인증은 항공기 별로 인증 기관에 의하여 수행되며, 항공기에 대하여 마련된 감항 인증 데이터를 인증 기관에 제출하면, 인증 기관은 제출된 감항 인증 데이터를 확인하고 심사하여 감항 인증 여부를 결정한다. 감항 인증은 항공기가 비행하기에 적합한 안전성과 신뢰성을 갖고 있는지를 검증하는 과정이므로, 파생형 항공기들에 대상 장비를 장착하는 과정(S800)은 대상 장비가 장착된 기준 항공기의 성능이 설정된 운용 기준을 만족(S500)하고, 기준 항공기의 감항 인증이 완료(S700)되는 경우, 기준 항공기와 동일한 기종의 항공기들 중 상기 기준 항공기를 제외한 항공기들, 즉 파생형 항공기들에 대상 장비를 장착하는 과정(S800)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항공기의 감항 인증 데이터를 마련하는 과정(S600)은 기준 항공기의 성능을 시험하는 과정 중에 수행될 수 있다. 즉, 기준 항공기의 감항 인증 데이터를 마련하는 과정(S600)은 기준 항공기의 성능을 시험하는 과정이 수행되는 중에, 기준 항공기의 성능을 시험하는 과정과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기준 항공기는 동일한 기종의 항공기들 중 복잡도가 가장 높은 항공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기준 항공기의 감항 인증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는 파생형 항공기의 감항 인증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즉, 파생형 항공기의 감항 인증 데이터를 마련하는 과정은 기준 항공기의 감항 인증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파생형 항공기들의 감항 인증 데이터로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파생형 항공기의 감항 인증 데이터에서 기준 항공기의 감항 인증 데이터로 충족되지 않는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파생형 항공기에 대상 장비를 장착한 후 미충족 항목에 대한 분석 및 시험을 수행하여 감항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항공기에 대상 장비를 장착하여 성능을 개량하기 위한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으로서,
    기준 항공기를 선정하는 과정;
    기준 항공기에 대상 장비를 장착하는 과정;
    대상 장비가 장착된 기준 항공기의 성능을 시험하는 과정; 및
    성능 시험 결과가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면, 상기 기준 항공기와 동일한 기종의 항공기들에 상기 대상 장비를 장착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 항공기를 선정하는 과정은,
    성능 개량이 필요한 항공기들을 기종에 따라 분류하는 과정;
    분류된 항공기들의 복잡도를 평가하는 과정; 및
    기종 별로 복잡도가 가장 높은 항공기를 기준 항공기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
  2. 항공기에 대상 장비를 장착하여 성능을 개량하기 위한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으로서,
    기준 항공기를 선정하는 과정;
    기준 항공기에 대상 장비를 장착하는 과정;
    대상 장비가 장착된 기준 항공기의 성능이 설정된 개발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평가하는 과정;
    대상 장비가 장착된 기준 항공기의 성능이 설정된 운용 기준을 만족하는지 평가하는 과정; 및
    설정된 개발 기준 및 운용 기준을 만족하면, 상기 기준 항공기와 동일한 기종의 항공기들에 상기 대상 장비를 장착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 항공기를 선정하는 과정은,
    성능 개량이 필요한 항공기들을 기종에 따라 분류하는 과정;
    분류된 항공기들의 복잡도를 평가하는 과정; 및
    기종 별로 복잡도가 가장 높은 항공기를 기준 항공기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잡도를 평가하는 과정은,
    대상 장비의 장착에 의한 항공기의 구조 변경 범위가 클수록 복잡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하는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잡도를 평가하는 과정은,
    대상 장비의 장착을 위하여 추가되는 장비의 개수, 대상 장비와 연동되는 장비의 개수 및 기존에 장착된 장비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증가할수록 복잡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하는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잡도를 평가하는 과정은,
    대상 장비의 장착에 따른 항공기의 구조 변경, 중량 변경, 중량 평형 변경 및 전기 부하 변경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할수록 복잡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하는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개발 기준을 만족하는지 평가하는 과정은,
    대상 장비 및 상기 대상 장비와 연동되는 장비의 성능이 설정된 개발 기준을 만족하는지 평가하는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운용 기준을 만족하는지 평가하는 과정은,
    대상 장비를 사용한 항공기의 임무 수행 성능이 설정된 운용 기준을 만족하는지 평가하는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대상 장비를 장착하는 과정 이후에,
    항공기의 감항 인증 데이터를 마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감항 인증 데이터를 마련하는 과정은,
    대상 장비를 장착한 기준 항공기의 감항 인증 데이터를 마련하는 과정; 및
    상기 기준 항공기와 동일한 기종의 항공기들 중 상기 기준 항공기를 제외한 항공기들의 감항 인증 데이터를 마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기준 항공기와 동일한 기종의 항공기들에 상기 대상 장비를 장착하는 과정은, 대상 장비를 장착한 기준 항공기의 감항 인증이 완료된 이후 수행되는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기준 항공기를 제외한 항공기들의 감항 인증 데이터를 마련하는 과정은, 상기 기준 항공기의 감항 인증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기준 항공기를 제외한 항공기들의 감항 인증 데이터로 사용하는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대상 장비는 아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피아 식별 장비를 포함하는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
KR1020210147306A 2021-10-29 2021-10-29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 KR102441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306A KR102441344B1 (ko) 2021-10-29 2021-10-29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306A KR102441344B1 (ko) 2021-10-29 2021-10-29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1344B1 true KR102441344B1 (ko) 2022-09-07

Family

ID=83278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7306A KR102441344B1 (ko) 2021-10-29 2021-10-29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34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3268A (ko) * 2011-07-27 2013-02-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증 설계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61805A (ko) 2012-11-14 2014-05-22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타입 식별신호를 이용한 통합 ofp 기능이 구비된 비행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3268A (ko) * 2011-07-27 2013-02-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증 설계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61805A (ko) 2012-11-14 2014-05-22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타입 식별신호를 이용한 통합 ofp 기능이 구비된 비행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is et al. Reliability predictions-continued reliance on a misleading approach
US20190128770A1 (en) Method of fatigue testing a complex structure
KR102441344B1 (ko) 항공기의 성능 개량 방법
Culley Transition in gas turbine control system architecture: modular, distributed, and embedded
EP3578945A1 (en) Method of fatigue testing a complex structure
CN113312670A (zh) 基于安全大数据和人工智能的数据展示方法及云计算系统
Itoh et al. Risk assessment of autonomous ship systems
CN107332706B (zh) 一种机载网络选型方法
KR102396920B1 (ko) 시제기 선정장치 및 항공기 성능개량 방법
KR20190139039A (ko) 적아식별 장비 기능점검 시스템
Chen et al. Analysis of the life-cycle cost and capability trade-offs associated with the procurement and sustainment of open systems
CN112685842A (zh) 一种目标典型关键部件毁伤准则的建立方法
Jia et al. Research on Standardization of Aircraft Battle Damage Description
NAVAL MATERIAL COMMAND WASHINGTON DC Electromagnetic Environment Effects. Summary Report to the Chief of Naval Material.
Kim et al. The Study of Optimal Performance Improvement Method for Aircraft of Various Variants within the Same Type
Solanki et al. Test Correlation of an Exhaust System Durability Failure Using Enhanced CAE Approach
Fletcher et al. Guided weapon template generation: a probabilistic approach
Poncelin et al. Development of a design-for-reliability method for complex systems
Naegle Software Is Consuming DoD Total Ownership Cost
Chrisman Automated reliability prediction?
Ford et al. Naval Aviation: F/A-18E/F Acquisition Strategy
CN114186389A (zh) 一种基于体系架构模型的外部离散事件驱动验证系统及方法
Kessler et al. Certifying Vehicle Health Monitoring Systems
Pazur et al. Laboratory equipment to optimise integrated communication systems for military helicopters
Collier et al. Consistent Structural Integrity in Preliminary Design Using Experimentally Validated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