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655B1 - 복수의 모드를 갖는 전동 칫솔 - Google Patents

복수의 모드를 갖는 전동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655B1
KR102440655B1 KR1020220024607A KR20220024607A KR102440655B1 KR 102440655 B1 KR102440655 B1 KR 102440655B1 KR 1020220024607 A KR1020220024607 A KR 1020220024607A KR 20220024607 A KR20220024607 A KR 20220024607A KR 102440655 B1 KR102440655 B1 KR 102440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toothbrush
input unit
mode
turne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4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앤디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앤디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앤디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220024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6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1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A61C17/3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2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ental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복수의 모드를 갖는 전동 칫솔이 개시된다. 본 복수의 모드를 갖는 전동 칫솔은, 전원의 온-오프 조작과 강도 변경 조작을 위해 마련되는 제1 입력부; 세정 모드 변경 조작과 탈수 모드 조작을 위해 마련되는 제2 입력부; 상기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2 입력부를 이용한 조작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 및 상기 제1 입력부를 및 상기 제2 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모터가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표시부의 표시 사항이 변경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일일이 물기 건조 및 이물질 제거를 하지 않더라도 자동화된 건조 및 제거 방식를 통해 사용자가 사용한 칫솔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세균 번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탈수 모드로 동작시키지 않더라도 양치가 종료되면 자동으로 탈수 모드로 진입하여 사용자가 사용한 칫솔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세균 번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복수의 모드를 갖는 전동 칫솔{Electric toothbrush with multiple modes}
본 발명은 복수의 모드를 갖는 전동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탈수 모드로 동작 가능한 전동 칫솔에 관한 것이다.
치면세균막은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의 주요 원인이다. 치면세균막을 제거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양치질로 치아표면의 세균과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고 치은을 자극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치아우식이나 치주병을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칫솔의 칫솔모는 공기 중의 먼지나 오염원으로부터 노출되어 보관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러한 환경에서 세균 오염과 양치 후 잔여세균의 증식이 일어날 수 있다. 세균은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빠르게 증식하는 세균은 20분에 한 번씩 분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칫솔모에 남아있는 잔여 세균은 한 시간에 최대 8배, 네 시간 후에는 최대 4000배까지 세균수가 증가할 수 있다. 이런 칫솔을 다시 입속에 넣어 사용하게 된다면 오히려 구강 건강 및 신체 전반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구강세균은 치아우식과 치주염의 주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전신질환 및 국소질환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구강질환이 있는 사람의 칫솔에서 병원성 미생물이 대부분 검출된다. 특히 치주질환의 주요원인균인 P.gingivalis, T.forsythia, T.denticola 등은 치주염 뿐만 아니라 당뇨, 알츠하이머, 심혈관질환, 구강안, 식도암, 동맥경화, 호흡기질환 및 신장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비병원성 세균의 경우도 건강할 때는 인체에 아무런 해를 끼치지 않지만 면역기능이 저하되면 각종 염증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기회병원체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양치질 후 칫솔에 남아있는 물기, 음식물 찌꺼기 및 세균을 최대한 제거하고 잘 건조시켜 통풍이 잘되는 장소에 보관하는 것이 칫솔로부터 세균 재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사용자의 손으로는 양치 후 칫솔에 남아있는 물기, 세균 및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뒷처리를 번번히 수행하는 것은 큰 번거로움이 아닐 수 없다.
이에 따라, 보다 자동화된 건조 및 제거 방식를 통해 사용자가 사용한 칫솔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세균 번식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한국등록특허 10-1800670 (등록일자 : 2017.11.17) 다기능을 갖는 전동 칫솔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자동화된 건조 및 제거 방식를 통해 사용자가 사용한 칫솔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세균 번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동 칫솔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모드를 갖는 전동 칫솔은, 전원의 온-오프 조작과 강도 변경 조작을 위해 마련되는 제1 입력부; 세정 모드 변경 조작과 탈수 모드 조작을 위해 마련되는 제2 입력부; 상기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2 입력부를 이용한 조작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 및 상기 제1 입력부를 및 상기 제2 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모터가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표시부의 표시 사항이 변경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입력부의 조작에 따른 상기 세정 모드 변경은, 상기 제1 입력부의 조작을 기반으로 상기 전동 칫솔의 전원이 턴온되었을때만 수행되며, 상기 제2 입력부를 조작할 때마다 제1 세정 모드에서 제2 세정 모드로, 제2 세정 모드에서 제3 세정 모드로 또는 제3 세정 모드에서 제1 세정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입력부의 조작에 따른 탈수 모드는, 상기 전동 칫솔의 전원이 턴오프된 이후에 상기 제2 입력부가 조작되면 수행되되, 상기 전동 칫솔의 전원이 턴온된 이후 제1 시간이 지나 상기 전동 칫솔이 자동으로 턴오프된 이후에 상기 제2 입력부가 조작되면 수행되거나, 상기 전동 칫솔의 전원이 턴온된 이후 상기 제1 입력부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길게 눌려져 상기 전동 칫솔의 전원이 수동으로 턴오프된 이후에 상기 제2 입력부가 조작되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수 모드는, 상기 전동 칫솔이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턴오프된 이후 제2 시간 내에 상기 제2 입력부가 조작되면 수행되고, 상기 제2 시간을 초과한 후 조작되면 상기 제1 입력부에 대한 조작 이외의 조작을 통한 오입력 방지를 위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탈수 모드는, 상기 전동 칫솔의 전원이 자동으로 다시 턴온되도록 한 후 제3 시간이 지나 자동으로 다시 턴오프되도록 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수 모드는, 상기 전동 칫솔에 대한 사용자의 실사용이 종료된 이후에 상기 전동 칫솔이 스스로 수행하는 모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세정 모드, 상기 제2 세정 모드, 상기 제3 세정 모드 및 상기 탈수 모드는, 상기 모터의 진동수 및 듀티 사이클의 변경을 통해 상호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수 모드에서의 상기 모터의 진동수는 300헤르쯔 이상이고, 상기 탈수 모드에서의 상기 모터의 듀티 사이클은 80%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동 칫솔의 전원이 턴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입력부가 조작되어 상기 전동 칫솔의 전원이 턴온되면, 상기 전동 칫솔은, 상기 탈수 모드로 진입하기 전의 세정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탈수 모드로 진입하기 전의 강도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칫솔은, 상기 전동 칫솔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독으로부터 상기 전동 칫솔의 무게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무게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탈수 모드가 구동되는 상기 제3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일일이 물기 건조 및 이물질 제거를 하지 않더라도 자동화된 건조 및 제거 방식를 통해 사용자가 사용한 칫솔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세균 번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탈수 모드로 동작시키지 않더라도 양치가 종료되면 자동으로 탈수 모드로 진입하여 사용자가 사용한 칫솔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세균 번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탈수 모드를 실행한 경우와 실행하지 않은 경우의 잔여세균 수의 비교를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3은 탈수 후 건조시간에 따른 잔여세균 수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4는 진동수와 듀티 사이클에 따른 잔여세균 비율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칫솔과 충전 독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독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UV조사 방식이나 FAN이 추가된 방식에 대비하여 탈수 모드의 세균 억제 효과의 우수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칫솔(100)은 외부에 드러나도록 마련되는 제1 입력부(110), 제2 입력부(120) 및 표시부(130)와 내부에 실장되는 제어부(미도시) 및 모터(미도시)로 구성된다.
제1 입력부(110)와 제2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버튼 형식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명령이 수행될 수 있도록 조작 신호를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 중 제1 입력부(110)는 전원의 온-오프 조작과 강도 변경 조작을 위해 마련된다. 즉, 전동 칫솔(100)이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입력부(110)를 조작하면, 전동 칫솔(100)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되고, 사용자가 제1 입력부(110)를 추가적으로 조작하면 전동 칫솔(100)의 강도가 레벨 1에서 레벨 2로, 레벨 2에서 레벨 3으로 또는 레벨 3에서 레벨 1로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입력부(110)를 조작할 때, 전동 칫솔(100)의 전원이 오프 상태라면 전동 칫솔(100)의 전원을 온 상태로 변경시키지만, 전동 칫솔(100)의 전원이 온 상태라면 전동 칫솔(100)의 강도를 다음 강도로 순환하며 변경시킨다.
한편, 전동 칫솔(100)은 온 상태로 된 후 기설정된 시간(제1 시간)이 지나고 나면 자동으로 오프될 수 있으며, 제1 시간이 지나기 전이라도 사용자가 제1 입력부(110)를 1초 이상 길게 누르면 전동 칫솔(100)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전동 칫솔(100)의 전원이 온된 상태는 모터(미도시)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전동 칫솔(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는 모터(미도시)가 회전하지 않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물론, 전원이 온된 상태를 추가적인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는 상태로 정의하고 전원이 오프된 상태를 전원 온오프 조작 이외의 추가적인 조작을 입력받을 수 없는 상태로 정의하는 것이 일반적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칫솔(100)은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전원을 온시키는 제1 입력부(110) 뿐만 아니라 탈수 모드로 진입하도록 할 수 있는 제2 입력부(120)의 추가 입력을 기대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추가적인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볼 것이 아니라, 단지 전동 칫솔(100)의 전원이 온된 상태는 모터(미도시)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전동 칫솔(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는 모터(미도시)가 회전하지 않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제2 입력부(120)는 세정 모드 변경 조작과 탈수 모드 조작을 위해 마련된다.
즉, 전동 칫솔(100)이 온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입력부(120)를 조작하면, 조작할 때마다 전동 칫솔(100)의 모드가 제1 세정 모드에서 제2 세정 모드로, 제2 세정 모드에서 제3 세정 모드로 또는 제3 세정 모드에서 제1 세정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세정 모드, 제2 세정 모드 및 제3 세정 모드는, 각각 sensio 모드, daily 모드 및 plague free 모드로 명명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모터의 진동수 및 듀티 사이클의 변경을 통해 상호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ensio 모드, daily 모드 및 plague free 모드는 전동 칫솔(100)의 강도에 따라 아래의 표에서 정리되는 것과 같은 진동수 및 듀티 사이클을 가질 수 있다.
모드 진동수(Hz) / 듀티 사이클(%)
레벨 1 레벨 2 레벨 3
sensio 265/20 265/30 265/40
daily 300/50 300/60 300/70
plague free 244~317/40~55 244~317/50~65 244~317/58~76
전동 칫솔(100)은, 전원이 온된 상태와 달리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입력부(120)를 조작하면, 탈수 모드로 동작한다.
탈수 모드는, 전동 칫솔(100)을 통한 치아 세정이 모두 완료된 이후에 전동 칫솔(100)에 남아있는 물기나 음식물 찌꺼기 및 세균을 최대한 털어내어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는 모드이다. 즉, 탈수 모드는 전동 칫솔(100)에 대한 사용자의 실사용이 종료된 이후에 사용자가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동 칫솔(100)이 스스로 수행하는 모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러한 탈수 모드는, 전동 칫솔(100)의 전원이 턴오프된 이후에 사용자가 제2 입력부(120)를 조작하면 수행되며, 턴오프는 자동으로 수행되거나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전동 칫솔(100)의 전원이 턴온된 이후 제1 시간이 지나 자동으로 턴오프된 이후에 제2 입력부(120)가 조작되면 탈수 모드로 진입할 수 있으며, 또는, 전동 칫솔(100)의 전원이 턴온된 이후 제1 입력부(110)가 1초 이상으로 길게 눌려져 전동 칫솔(100)의 전원이 수동으로 턴오프된 이후에 제2 입력부(120)가 조작되면 탈수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반면, 탈수 모드로의 진입은, 전동 칫솔(100)이 턴오프된 이후 기설정된 시간(제2 시간) 이내에 제2 입력부(120)가 조작된 경우에만 수행되고 제2 시간을 초과한 후에 조작되면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탈수 모드라는 것은 전동 칫솔(100)을 사용한 직후에 물기를 털어내는 것을 위해 존재하는 모드임을 감안할 때 언제나 스탠바이 상태로 둔다면 이는 오작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게 된다.
따라서, 전동 칫솔(100)을 사용한지 꽤 오랜 시간이 지난 상태에서는 오직 제1 입력부(110)만 스탠바이 상태로 두어 사용자의 턴온을 대기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외의 입력부인 제2 입력부(120)는 전동 칫솔(100)을 사용한 이후 제2 시간까지만 스탠바이 상태로 유지하여 탈수 모드를 대기하되 그 이후에는 스탠바이하지 않도록 한다.
탈수 모드는 전동 칫솔(100)을 다시 턴온시켜 일정 시간(제3 시간)동안 동작한 후 다시 자동으로 턴오프되도록 하여, 제3 시간동안 전동 칫솔(100)에 존재하는 물기 등을 제거하는 모드이며, 아래의 표에서 정리되는 것과 같은 진동수 및 듀티 사이클을 가질 수 있다.
모드 진동수(Hz) / 듀티 사이클(%)
탈수 모드 300/80
탈수 모드로 동작하는 시간인 제3 시간은 실험적 결과에 따라 도출될 수 있으며, 현재 전동 칫솔(100)에 남아있는 물기의 양에 따라 서로 다르게 도출될 수 있다.
전자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하고, 후자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탈수 모드에서 전동 칫솔(100)은, 자동으로 전원이 턴온된 후 다시 자동으로 전원이 턴오프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파지하고 있을 필요가 없으며, 충전 독 등과 같은 거치대 등에 거치시켜놓는 것으로 충분하다.
거치된 이후 제2 시간 이상의 시간이 흘러 사용자가 다시 전동 칫솔(100)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제어부(미도시)는 탈수 모드를 제외한 세정 모드들 중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사용한 세정 모드로 전동 칫솔(100)이 동작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사용한 강도의 레벨로 전동 칫솔(100)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동 칫솔(100)의 전면에는 제1 입력부(110) 및 제2 입력부(120) 이외에 표시부(130)가 마련된다.
표시부(130)는 제1 입력부(110) 및 제2 입력부(120)를 이용한 조작 상태나 배터리 잔량 상태를 나타내며, 필요에 따라 현재의 세정 모드를 나타내는 LED, 현재의 강도를 나타내는 LED, 드라이 모드를 나타내는 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별개의 LED가 아니라 하나의 디스플레이 창으로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어부(미도시)는 전술한 제1 입력부(110)와 제2 입력부(120)의 조작에 따라 내부에 마련된 모터(미도시)의 구동을 제어하고 표시부(130)의 표시 사항이 변경되도록 한다.
도 2는 탈수 모드를 실행한 경우와 실행하지 않은 경우의 잔여세균 수의 비교를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은, 양치 후 평소처럼 칫솔을 헹구고 10mL의 멸균 생리식염수에 담구어 30초간 강하게 흔들어 세균을 떼어내고 여기에서 100ul를 덜어 Brain Heart Infusion 고형 배지에 골고루 깔아준 후 37℃ 배양기에서 24~48시간 배양하고 자란 콜로니의 수를 기록한 것을 나타낸 것이며, '일반'으로 표기된 것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칫솔이 아닌 일반적인 칫솔을 사용한 여덟 명(A~H)의 세균 수를 나타내고, '전동'으로 표기된 것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칫솔을 탈수 모드를 포함하여 사용한 여덟 명(A~H)의 세균 수를 나타낸 것이다.
일반 칫솔의 잔여세균수는 평균적으로 99737이었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칫솔의 잔여세균 수는 평균적으로 36357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칫솔의 탈수 모드를 적용하면 칫솔의 잔여세균은 64% 정도 감소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은 탈수 후 건조시간에 따른 잔여세균 수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은, BHI 액체배지 20ml에 타액10ul를 접종하여 37℃에서 18시간 구강세균을 배양하고, 배양된 구강세균 100ul를 멸균수 10ml에 희석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칫솔을 희석된 세균배양액에 5초간 넣어둔 뒤, 세균이 묻은 전동 칫솔을 시간별로 탈수하며, 이렇게 탈수된 전동 칫솔을 다시 멸균수 10ml가 담긴 튜브에 넣고 10초간 강하게 흔들고, 이 멸균수 100ul를 고형 BHI배지에 잘 도포한 후 37℃에서 18시간 배양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결과적으로 탈수 시간이 5초인 경우와 10초인 경우 모두에는 잔여 세균 수가 급격히 감소하나 탈수 시간이 10초가 된 이후부터는 잔여세균 수가 크게 감소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최소한 10초의 시간이 유지되어야 탈수 시간 대비 세균 감소 효과가 탁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탈수 모드에서의 탈수 시간은 10초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진동수와 듀티 사이클에 따른 잔여세균 비율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은, BHI 액체배지 20ml에 타액10ul를 접종하여 37℃에서 18시간 구강세균을 배양하고, 배양된 구강세균 100ul를 멸균수 10ml에 희석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칫솔을 희석된 세균배양액에 5초간 넣어둔 뒤, 세균이 묻은 전동 칫솔을 진동수 300에 고정하고 듀티 사이클을 50, 60, 70, 80에서 각각 10초간 적용한 후 10ml 멸균수가 담긴 튜브에 넣고 강하게 흔들며, 세균을 묻힌 전동 칫솔을 다시 듀티 사이클 80에 고정하고 진동수 265, 271, 282, 300에서 10초간 적용한 후 10ml 멸균수가 담긴 튜브에 넣고 강하게 흔든 후 멸균수 100ul를 고형 BHI배지에 잘 도포한 후 37℃에서 18시간 배양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결과적으로 진동수와 듀티 사이클이 클 수록 잔여 세균 수가 감소하되, 진동수가 300Hz이고 듀티 사이클이 80%인 경우에는 약 99%의 잔여 세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탈수 모드에서의 모터의 진동수는 300헤르쯔 이상이고, 듀티 사이클은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칫솔과 충전 독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독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충전 독(200)은 전동 칫솔(100)을 충전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된다. 즉, 전동 칫솔(100)은 사용이 완료된 이후에 충전 독(200)에 거치될 수 있고 전술한 탈수 모드는 충전 독(200) 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충전 독(200)의 외형은 아래가 넓고 위로 갈 수록 좁아져 전동 칫솔(100)의 상부의 칫솔모에서 흘러내린 물기가 벽을 타고 아래로 잘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는 상광하협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충전 독(200)은, 전동 칫솔(100)의 상부의 칫솔모에서 흘러내린 물기가 전동 칫솔(100)이 삽입되는 삽입홈(210)에 침투했을 때 침투된 물기가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수구(220)가 마련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충전 독(200)은 스트레인 게이지와 같은 무게 감지가 가능한 무게감지기(230)를 내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 독(200)은 전동 칫솔(100)이 거치되었을 때 측정된 무게에 따라 전동 칫솔(100)에 얼마나 많은 물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결과에 따라 전동 칫솔(100)이 평소보다 더 오래 혹은 더 짧게 탈수 모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전동 칫솔(100)의 무게가 100g이고 평균적인 양치 후 전동 칫솔(100)의 무게가 110g인데 현재 양치를 종료한 후 측정된 전동 칫솔(100)의 무게가 120g으로 측정된다면, 기세팅된 10초보다 더 긴 20초동안 탈수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충전 독(200)과 전동 칫솔(100)은 각각 통신부를 구비하며, 전동 칫솔(100)이 수행할 탈수 모드에서의 구체적인 동작 방식을 충전 독(200)에서 전동 칫솔(100)로 전송할 수 있다.
혹은, 일반적인 전동 칫솔(100)의 무게 정보와 평균적인 양치 후 전동 칫솔(100)의 무게 정보는 전동 칫솔(100)에 마련된 별도의 저장부(미도시)에서 저장하도록 하고, 현재 측정된 무게에 따른 구체적인 동작 방식도 전동 칫솔(100)에서 판단하도록 하되, 충전 독(200)은 전동 칫솔(100)로 현재 측정된 무게에 대한 정보만 통신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물기가 많이 포함되었을 때는 시간 조정이 아닌 진동수 조정이나 듀티 사이클 조정을 통해 탈수 모드에서의 구체적인 동작 방식이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일일이 조작할 필요없이 양치가 종료되면 자동으로 물기 건조 및 이물질 제거가 가능하게 되어 칫솔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세균 번식이 최소화되게 된다.
한편, 종래에도 세균 번식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들의 연구가 진행된 바가 있으며, 양치 후 칫솔 내 세균 증식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들의 예로서 UV를 조사하여 살균하는 방식과 이에 더불어 FAN을 이용한 건조를 추가한 방식이 존재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UV 조사 방식과 UV 조사 방식에 FAN 건조 방식을 추가한 방식에 대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탈수 모드의 효과에 대해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UV조사 방식이나 FAN이 추가된 방식에 대비하여 탈수 모드의 세균 억제 효과의 우수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도면은, BHI 액체배지 20ml에 타액10ul를 접종하여 37℃에서 18시간 구강세균을 배양하고, 배양된 구강세균 100ul를 멸균수 10ml에 희석하며, 비교 대상 칫솔을 희석된 세균배양액에 5초간 넣어둔 뒤, 이를 다시 간단히 헹구고 물기를 손으로 털어내어 LED UV 살균기에 넣거나 FAN 건조가 가능한 LED UV 살균기에 넣어 시간별로 살균한 후 10ml 멸균수가 담긴 튜브에 넣고 강하게 흔들며, 흔들고 난 멸균수 100ul를 고형 BHI배지에 잘 도포한 후 37℃에서 18시간 배양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특히, 도 7a의 상측에 도시된 도면은 UV만 조사한 경우의 시험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a의 하측에 도시된 도면은 UV 조사에 FAN 건조를 병행한 경우의 시험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시험 결과, 도 7b와 같은 잔여 세균이 검출되었으며, 비교의 편의를 위해 일반적인 자연 건조 방식을 사용한 경우 및 본 실시예에 따른 탈수 모드를 사용한 경우를 함께 도시하였다.
가장 마지막에 도시된 "탈수전동"에 해당하는 표가 본 실시예에 따른 탈수 모드를 사용한 경우로서, 자연건조 방식이나 UV를 조사한 방식이나 UV조사+FAN건조를 한 방식에 비해 현저하게 세균 수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고, 이를 그래프로 도식화하면 도 7c와 같다.
이를 종합하면, 자연건조 방식과 UV 조사 방식을 사용할 경우, 시간이 경과하여도 잔여 세균 양이 크게 차이가 없는 반면 UV 조사 방식에 FAN 건조를 추가한 방식이나 본 실시예에 따른 탈수 모드를 사용한 방식의 경우에는 세균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탈수 모드를 사용한 방식은 FAN 건조를 추가한 방식에 대비해서도 우월한 세균 감소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전동 칫솔 110 : 제1 입력부
120 : 제2 입력부 130 : 표시부
200 : 충전 독 210 : 삽입홈
220 : 배수구 230 : 무게감지기

Claims (10)

  1. 복수의 모드를 갖는 전동 칫솔에 있어서,
    전원의 온-오프 조작과 강도 변경 조작을 위해 마련되는 제1 입력부;
    세정 모드 변경 조작과 탈수 모드 조작을 위해 마련되는 제2 입력부;
    상기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2 입력부를 이용한 조작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 및
    상기 제1 입력부를 및 상기 제2 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모터가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표시부의 표시 사항이 변경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입력부의 조작에 따른 상기 세정 모드 변경은,
    상기 제1 입력부의 조작을 기반으로 상기 전동 칫솔의 전원이 턴온되었을때만 수행되며,
    상기 제2 입력부를 조작할 때마다 제1 세정 모드에서 제2 세정 모드로, 제2 세정 모드에서 제3 세정 모드로 또는 제3 세정 모드에서 제1 세정 모드로 변경되고,
    상기 제2 입력부의 조작에 따른 탈수 모드는,
    상기 전동 칫솔의 전원이 턴오프된 이후에 상기 제2 입력부가 조작되면 수행되되,
    상기 전동 칫솔의 전원이 턴온된 이후 제1 시간이 지나 상기 전동 칫솔이 자동으로 턴오프된 이후에 상기 제2 입력부가 조작되면 수행되거나,
    상기 전동 칫솔의 전원이 턴온된 이후 상기 제1 입력부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길게 눌려져 상기 전동 칫솔의 전원이 수동으로 턴오프된 이후에 상기 제2 입력부가 조작되면 수행되고,
    상기 탈수 모드는,
    상기 전동 칫솔이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턴오프된 이후 제2 시간 내에 상기 제2 입력부가 조작되면 수행되고, 상기 제2 시간을 초과한 후 조작되면 상기 제1 입력부에 대한 조작 이외의 조작을 통한 오입력 방지를 위해, 수행되지 않으며,
    상기 탈수 모드는,
    상기 전동 칫솔의 전원이 자동으로 다시 턴온되도록 한 후 제3 시간이 지나 자동으로 다시 턴오프되도록 하는 모드이고,
    상기 탈수 모드는,
    상기 전동 칫솔에 대한 사용자의 실사용이 종료된 이후에 상기 전동 칫솔이 스스로 수행하는 모드이며,
    상기 전동 칫솔은,
    상기 전동 칫솔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독으로부터 상기 전동 칫솔의 무게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무게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탈수 모드가 구동되는 상기 제3 시간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정 모드, 상기 제2 세정 모드, 상기 제3 세정 모드 및 상기 탈수 모드는, 상기 모터의 진동수 및 듀티 사이클의 변경을 통해 상호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모드에서의 상기 모터의 진동수는 300헤르쯔 이상이고,
    상기 탈수 모드에서의 상기 모터의 듀티 사이클은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칫솔의 전원이 턴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입력부가 조작되어 상기 전동 칫솔의 전원이 턴온되면,
    상기 전동 칫솔은,
    상기 탈수 모드로 진입하기 전의 세정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탈수 모드로 진입하기 전의 강도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10. 삭제
KR1020220024607A 2022-02-24 2022-02-24 복수의 모드를 갖는 전동 칫솔 KR102440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607A KR102440655B1 (ko) 2022-02-24 2022-02-24 복수의 모드를 갖는 전동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607A KR102440655B1 (ko) 2022-02-24 2022-02-24 복수의 모드를 갖는 전동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655B1 true KR102440655B1 (ko) 2022-09-06

Family

ID=83281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607A KR102440655B1 (ko) 2022-02-24 2022-02-24 복수의 모드를 갖는 전동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6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477B1 (ko) * 2009-02-17 2009-06-23 티엔씨 퍼스트 주식회사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칫솔
KR101800670B1 (ko) 2017-03-02 2017-11-24 아람휴비스 주식회사 다기능을 갖는 전동 칫솔
KR20210086379A (ko) * 2019-12-30 2021-07-08 (주)크리스챤모드 칫솔 장치
CN213910653U (zh) * 2020-11-12 2021-08-10 苏州大学 一种电动牙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477B1 (ko) * 2009-02-17 2009-06-23 티엔씨 퍼스트 주식회사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칫솔
KR101800670B1 (ko) 2017-03-02 2017-11-24 아람휴비스 주식회사 다기능을 갖는 전동 칫솔
KR20210086379A (ko) * 2019-12-30 2021-07-08 (주)크리스챤모드 칫솔 장치
CN213910653U (zh) * 2020-11-12 2021-08-10 苏州大学 一种电动牙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 Castellucci Barbosa et al. Edentulous patients’ knowledge of dental hygiene and care of prostheses
US20210345767A1 (en) Disinfecting toothbrush box
KR102440655B1 (ko) 복수의 모드를 갖는 전동 칫솔
CN204207647U (zh) 一种消毒牙杯
CN206744882U (zh) 一种具有干燥消毒提醒功能的牙刷放置盒
CN205758005U (zh) 一种牙刷消毒架
CN111012029A (zh) 一种可拆卸式的带细菌监测和杀菌功能的牙刷
Jabbari Sendi et al. Evalu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tooth brush and its related factors
CN214805597U (zh) 一种家用组合式电子口腔护理器
CN204394383U (zh) 一种口腔洁具杀菌柜
CN104207463A (zh) 带有紫外线消毒功能的洗漱用品收纳盒
Duymuş et al. Evaluation of methods of denture cleaning
CN205391041U (zh) 一种新型消毒牙刷架
CN203986627U (zh) 带有紫外线消毒功能的洗漱用品收纳盒
CN206381115U (zh) 一种多功能洗漱杯
CN213788981U (zh) 一种清洁工具
CN102499778B (zh) 一种多功能义齿护理片
CN206933723U (zh) 多功能牙刷
CN205106766U (zh) 折叠式自动聚光消毒牙刷
CN217659467U (zh) 一种多功能牙杯架
CN212368847U (zh) 保持干燥的牙刷盒
CN204683453U (zh) 新型洗漱杯
CN205988421U (zh) 一种牙刷消毒架
CN218889789U (zh) 一种电动牙刷收纳装置
CN214510903U (zh) 一种可杀菌的多功能牙刷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