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453B1 - 질병 역학조사 방법 - Google Patents

질병 역학조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453B1
KR102440453B1 KR1020190052007A KR20190052007A KR102440453B1 KR 102440453 B1 KR102440453 B1 KR 102440453B1 KR 1020190052007 A KR1020190052007 A KR 1020190052007A KR 20190052007 A KR20190052007 A KR 20190052007A KR 102440453 B1 KR102440453 B1 KR 102440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information
investigation
basic information
on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7588A (ko
Inventor
최경화
장이주
권호장
Original Assignee
충청남도 감염병관리지원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청남도 감염병관리지원단 filed Critical 충청남도 감염병관리지원단
Priority to KR1020190052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453B1/ko
Publication of KR20200127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data related to laboratory analysis, e.g. patient specimen analy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병의 확산을 방지하며,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질병 역학조사 방법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휴대용 단말기(100) 어플을 이용하여, 기초정보를 기입하는 기입단계(S100)와 상기 기입단계(S100) 후,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는 제 1전송단계(S200)와 상기 제 1전송단계(S200) 후, 서버(200)에서 질병을 조사하여 조치하는 조사단계(S300)와 상기 조사단계(S300) 후, 조치내용을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제 2전송단계(S40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질병 역학조사 방법 {Disease Epidemiologic Survey Method}
본 발명은 질병의 확산을 방지하며,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질병 역학조사 방법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사용자로부터 체성분 정보와 설문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제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에 따라 기저장된 기본식습관데이터에서 사용자에게 1차식단을 제공하는 제 2단계, 1차식단을 제공받은 사용자가 본인의 식습관에 따라 수정한 1차식단데이터를 재입력받아 신규식습관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생성된 신규식습관데이터와 기저장된 기본식습관데이터를 함께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2차식단을 제공하는 제 4단계 및 2차식단을 제공받은 사용자가 본인의 식습관에 따라 수정한 2차식단데이터를 재입력받아 신규식습관데이터는 생성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4단계와 제 5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신규식습관데이터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식습관을 조사하는 것을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002는 설문 등록자 단말로부터 설문을 등록받는 설문 등록부; 답변자 단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는 검색어 수신부; 등록된 설문들의 키워드와 상기 검색어를 매칭시키는 검색어 매칭부; 상기 매칭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설문을 검색 결과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는 설문 표시부; 상기 답변자 단말로부터 답변을 수신하는 답변 수집부; 상기 답변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혜택을 제공하는 리워드 제공부;를 포함하는 검색 기반 설문조사 시스템이 제공된다.
특허문헌 003은 설문조사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조사 항목을 포함한 설문을 등록하는 단계; 설문 참여 멤버를 대상으로 상기 설문을 전달하고 상기 설문 참여 멤버로부터 상기 설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설문 참여 멤버 중 적어도 일부 멤버를 대상으로 상기 설문에 대한 응답 상태와 연계하여 상기 설문과 관련된 후속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특허문헌 004는 건강예측 발생에 따른 것으로 건강예측에 대한 인식도 및 활용 여부, 개인건강인식에 대한 우려 사항 및 그 운영 방식에 대한 것을 연구조사하고자 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결과적으로 질병에 대한 명확한 인식과 지식을 기반으로 개인의 건강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보호하고, 이를 활용하여 활발하고 나아가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체 개발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건강예측에 대한 정보를 통하여 국민의 건강증진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KR 10-0840396 B1 (2008년06월16일) KR 10-2015-0135723 A (2015년12월03일) KR 10-2019-0002174 A (2019년01월08일) KR 10-2013-0089937 A (2013년08월13일)
본 발명은 질병의 확산을 방지하며,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질병 역학조사 방법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질병 역학조사 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휴대용 단말기(100) 어플을 이용하여, 기초정보를 기입하는 기입단계(S100);, 상기 기입단계(S100) 후,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는 제 1전송단계(S200);, 상기 제 1전송단계(S200) 후, 서버(200)에서 질병을 조사하여 조치하는 조사단계(S300);, 상기 조사단계(S300) 후, 조치내용을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제 2전송단계(S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질병 역학조사 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상기 기입단계(S100)는 취식정보를 기입하는 제 1기입단계(S110);, 상기 기입단계(S100)는 발병정보를 기입하는 제 2기입단계(S1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질병 역학조사 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상기 조사단계(S300)는 기초정보를 분류하는 분류단계(S310);, 상기 분류단계(S310) 후, 위험정도를 자동으로 판단하는 판단단계(S320);, 상기 판단단계(S320) 후, 조치내용을 발생시키는 조치단계(S33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질병 역학조사 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상기 분류단계(S310)는 상기 기초정보를 전산코드로 변환하여 분류하는 것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질병 발병지의 역학조사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질병 역학조사에 따른 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환례자가 직접 정보를 기입함에 따라 정확한 질병 예측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질병의 발병 횟수가 정확히 판단되므로 위험정도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질병의 종류 및 환례자의 상태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사원이 환례자의 혈액검사를 진행함에 따라 정확한 조치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질병의 종류, 발병횟수를 전산화 시키므로 정확하게 역학조사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질병 역학조사 방법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질병 역학조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질병 역학조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사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분단계에서 그래프로 질병 역학조사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개인이 접수하는 질병 역학조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질병 역학조사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100) 어플을 이용하여, 기초정보를 기입하는 기입단계(S100);, 상기 기입단계(S100) 후,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는 제 1전송단계(S200);, 상기 제 1전송단계(S200) 후, 서버(200)에서 질병을 조사하여 조치하는 조사단계(S300);, 상기 조사단계(S300) 후, 조치내용을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제 2전송단계(S4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질병 역학조사 방법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기입단계(S100) 전, 질병을 신고받는 신고단계(S10);, 상기 신고단계(S10) 후, 조사원(400)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 어플로 기초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단계(S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질병 역학조사 방법에 대한 것이다. 식중독 등 대규모 환례자가 발생할 경우 원인을 조사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리고 원인에 따른 조치를 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그에 따라 원인을 조사하는 시간에 환례자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질병 역학조사 방법은 대규모 환례자의 질병 원인을 조사하여 조치를 취하기 위한 것이다. 질병 역학조사 방법은 다양한 질병에 의하여 발생한 환례자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초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질병 역학조사 방법은 질병이 발생한 발병지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발병지의 신고에 의하여 질병 역학조사를 진행한다. 신고단계(S10)에서 발병지의 신고가 접수되면 조사원(400)이 파견되어 환례자를 조사한다. 이 때, 조사원(400)은 보건소 역학조사원(400) 및 보건교사, 보건담당자 등으로 형성된다. 조사원(400)은 휴대용 단말기(100) 어플 및 이메일을 활용하여 환례자를 조사한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스마트폰, 테블릿PC 등 다양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조사원(400)의 휴대용 단말기(100) 어플로 송신되는 기초정보는 후술되는 생성단계(S20)에서 신고된 질병에 따라 다양하게 생성되어 송신된다.
이와 같이 조사원(400)은 휴대용 단말기(100) 어플을 이용하여 기입단계(S100)에서 직접 발병지의 조사대상자(300)의 기초정보를 기입받거나, 조사대상자(300)에게 어플을 설치하도록 유도하여 기초정보를 기입받는다. 그리고 기초정보는 제 1전송단계(S200)에서 서버(200)로 전송되며, 전송된 기초정보를 활용하여 질병을 조사한다. 이 때, 조사단계(S300)에서는 서버(200)로 전송된 기초정보의 통계를 활용하여 질병의 원인 및 질병에 대한 조치를 진행한다. 그리고 제 2전송단계(S400)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로 재전송한다.
또한, 서버(200)에서는 질병에 대한 원인 및 조치사항을 판단하기 위하여 보건소 및 발병지의 식단표, 환경요소 등을 전달받아 질병의 조치사항을 명확하게 진행할 수 있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질병 역학조사 방법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혈액 검사를 진행하는 보조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보조단말기에 대한 것이다. 보조단말기는 조사원(400)의 휴대용 단말기(100)에 설치되는 것이다. 보조단말기는 혈액을 조사대상자(300)의 혈액을 채취하거나 조사대상자(300)의 혈압 및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이 ‹š, 보조단말기는 조사원(400)의 휴대용 단말기(100)에 연결됨에 따라 조사대상자(300)의 정보를 어플로 연동할 수 있다. 보조단말기를 활용하여 혈액을 채취할 때는 보조단말기에 미세 바늘이 형성되어 조사대상자(300)의 혈액을 채취한다. 혈액은 다양한 시약에 의하여 조사대상자(300)의 질병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혈액 정보는 조사원(400)의 휴대용 단말기(100) 어플에 의하여 기초정보와 함께 서버(200)로 전송된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질병 역학조사 방법에 대한 것이며, 앞에 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입단계(S100)는 취식정보를 기입하는 제 1기입단계(S110);, 상기 기입단계(S100)는 발병정보를 기입하는 제 2기입단계(S12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질병 역학조사 방법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기초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단계(S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입단계(S100)에 대한 것이며, 기입단계(S100)에서 조사대상자(300)가 기초정보를 기입한다. 기입단계(S100)에서 기입하는 기초정보는 조사대상자(300)의 취식정보, 질병의 발병정보로 양분된다. 그리고 기입단계(S100) 전 신고가 접수된 질병에 따른 기초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단계(S20)가 형성된다. 생성단계(S20)는 질병에 따라 기초정보가 다르게 형성된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식중독의 질병이 발병할 경우 조사대상자(300)가 섭취한 음식의 종류와 설사, 발열, 구토, 복통 등의 발병정보를 조사하는 기초정보가 생성된다. 그리고 호흡기 관련 질병이 발병할 경우 기침, 두통, 발열 등 호흡기에 관련된 발병정보를 조사하는 기초정보가 생성된다. 그러나 조사대상자(300)의 나이 및 성별 및 직업군은 동일하게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단계(S20)에서 생성된 기초정보는 기입단계(S100)에서 조사대상자(300)에게 취식정보 및 발병정보를 기입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질병 역학조사 방법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기초정보는 조사대상자(300)의 나이 및 신체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질병 역학조사 방법은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취식정보는 취식물 종류, 취식물 섭취량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의 질병 역학조사 방법은 실시예 2-4에 있어서, 상기 발병정보는 발병대상 및 발병횟수를 기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취식정보는 식중독이 발병했을 때 기입되는 것이다. 식중독이 발병하면 발병지의 조사대상자(300)가 섭취한 취식물의 종류, 섭취량을 조사한다. 이 때, 조사대상자(300)는 조사원(400)의 휴대용 단말기(100) 어플에 입력하거나 조사대상자(300)의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된 기초정보를 입력한다. 기초정보는 조사대상자(300)의 나이, 성별, 직업군, 연락처 등 신체정보와 질병에 관련된 정보로 형성된다. 그리고 발병정보는 질병의 종류인 발병대상과 발병횟수를 기입한다. 발병대상에 따라 조치 사항이 다르게 형성되므로 발병대상은 다양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발병대상이 감기일 경우 호흡기 관련 발병정보를 기입하며, 식중독일 경우 구토, 설사 등의 발병정보를 기입한다. 그리고 발병횟수는 시간별 발병횟수를 기입하도록 하여 식중독 발병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질병 역학조사 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있어서, 상기 조사단계(S300)는 기초정보를 분류하는 분류단계(S310);, 상기 분류단계(S310) 후, 위험정도를 자동으로 판단하는 판단단계(S320);, 상기 판단단계(S320) 후, 조치내용을 발생시키는 조치단계(S33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질병 역학조사 방법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분류단계(S310)는 상기 기입단계(S100)에서 기입된 기초정보를 복수의 질병 및 시간에 따라 분류한다.
본 발명은 조사단계(S300)에 대한 것이며, 조사단계(S300)는 조사원(400)의 휴대용 단말기(100) 어플을 통해 기입된 조사대상자(300)의 기초정보를 조사하여 질병의 원인 및 조치를 진행한다. 조사단계(S300)는 제 1전송단계(S200)에서 전송된 기초정보를 다양하게 분류한 후 조치내용을 발생시킨다. 이 때, 분류단계(S310)는 발병대상 및 발병횟수와 조사대상자(300)의 나이 및 신체정보를 시간에 따라 분류한다. 그에 따라 질병의 위험정도를 판단단계(S320)에서 판단할 수 있다. 판단단계(S320)에서 위험으로 판단한 경우 조치단계(S330)에서 격리 및 입원 등 다양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질병 역학조사 방법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S320)는 환례자 및 질병의 발병횟수에 대한 기준치가 형성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질병 역학조사 방법은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S320)는 환례자의 수 및 질병의 발병횟수에 따라 위험정도를 판단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의 질병 역학조사 방법은 실시예 3-4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S320)는 전체 조사대상자(300) 중 환례자가 발생한 수에 따라 발병률을 판단한다.
본 발명은 판단단계(S320)에 대한 것이며, 판단단계(S320)는 분류단계(S310)에서 분류된 질병의 발병횟수 및 환례자의 수로 위험정도를 판단한다. 판단단계(S320)는 발병대상 및 발병횟수에 대한 지준치를 정할 수 있다. 분류단계(S310)에서 분류한 발병대상에 따른 발병횟수가 기준치를 넘으면 위험하다 판단한다. 그리고 질병이 발병한 환례자의 수가 기준치를 넘게 될 경우에도 위험하다 판단한다. 예를 들어, 발병지의 학생들의 설사 및 구토 발병횟수가 기준치를 넘으면 위험하다 판단하여 조치내용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판단단계(S320)는 발병지의 전체 조사대상자(300) 중 환례자가 발생한 수에 따른 비율로 발병률을 판단한다. 발병률은 환례자의 나이, 질병 종류, 발병시간, 발병횟수 등 다양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서버(200)에서 질병의 위험정도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 3-6) 본 발명의 질병 역학조사 방법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조치단계(S330)는 질병의 종류에 따라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조치단계(S330)에 대한 것이며, 조치단계(S330)는 판단단계(S320)에서 위험이라 판단한 질병에 대한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이 때, 조치단계(S330)에서는 질병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치료 방법을 제공하며, 질병의 확산 등을 방지하는 조치내용을 발생시킨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질병 역학조사 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있어서, 상기 분류단계(S310)는 상기 기초정보를 전산코드로 변환하여 분류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질병 역학조사 방법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분류단계(S310)는 상기 기초정보를 지정코드로 변환하는 변환단계(S311);, 상기 변환단계(S311)에서 변환한 지정코드를 질병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는 구분단계(S312);를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질병 역학조사 방법은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구분단계(S312)는 질병의 종류에 따른 각각의 환례자로 분류한다.
본 발명은 분류단계(S310)에 대한 것이다. 분류단계(S310)는 휴대용 단말기(100) 어플을 통해 제 1전송단계(S200)에서 전송된 기초정보를 분류한다. 이 때, 분류단계(S310)는 조사대상자(300)가 기입한 기초정보를 전산코드로 변환한다. 그리고 전산코드는 환례자, 질병, 발병지 등 각각의 기초정보를 지정코드로 분류한다. 이와 같이 기초정보를 전산코드로 변환하기 위하여 분류단계(S310)는 변환단계(S311)와 구분단계(S312)로 구분된다. 변환단계(S311)는 기초정보를 각각의 지정코드로 변환한다. 다수의 휴대용 단말기(100) 어플에 의하여 전송되는 기초정보가 각각의 지정코드로 변환됨에 따라 빠른 속도로 분류가 가능하다. 구분단계(S312)는 변환단계(S311)에서 분류된 지정코드를 활용하여 질병의 종류 및 환례자의 나이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질병 역학조사 방법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구분단계(S312)는 그래프 및 시트로 질병을 표출한다.
본 발명의 구분단계(S312)는 변환단계(S311)에서 변환된 지정코드를 질병의 종류, 조사대상자(300)의 나이 등 신체정보로 분류한다. 구분단계(S312)에서는 지정코드를 수치로 변환한다. 그에 따라 판단단계(S320)에서 위험정보를 간단히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구분단계(S312)는 수치로 변환된 지정코드를 그래프 및 시트로 표출한다. 이 ‹š, 그래프의 종류는 한정하지 않으며, 판단단계(S320)에서 확인이 원활하게 진행된다. 따라서, 구분단계(S312)에서 분류한 지정코드가 그래프 및 시트로 표출됨에 따라 질병의 위험정도를 판단하여 조치내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질병 역학조사 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1에있어서, 상기 기입단계 전,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 어플로 질병을 접수하는 접수단계(S500);, 상기 접수단계(S500) 후, 접수받은 질병의 발병지를 식별하는 식별단계(S600);, 상기 식별단계(S600) 후, 발병지의 환례자 수를 측정하는 측정단계(S70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질병 역학조사 방법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접수단계(S500) 전,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단계(S510);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질병 역학조사 방법은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식별단계(S600) 후, 발병지에서 발병한 질병의 종류를 구분하는 구분단계(S610);를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질병 역학조사 방법은 실시예 5-3에 있어서, 상기 측정단계(S700) 후, 환례자의 수에 따라 집단발병 및 개인발병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판단단계(S320);를 포함한다.
(실시예 5-5) 본 발명의 질병 역학조사 방법은 실시예 5-4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S320) 후, 발병지로 조사원(400)을 파견하여 역학조사를 실시하는 실시단계(S7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질병 역학조사 방법에 대한 것이다. 식중독 등의 수인성 식품에 대한 질병과 메르스 등의 호흡기 질병에 의하여 대규모 환례자가 발생할 경우 원인을 조사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리고 원인에 따른 조치를 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오래 걸리며, 조사 시간에 감염자가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질병 역학조사 방법은 식품에 의한 질병 또는 호흡기 질병이 의심될 경우 환례자의 휴대용 단말기(100) 어플을 활용하여 시군구 보건소에 신고 접수를 진행한다. 환례자 및 보호자는 개인의 휴대용 단말기(100) 어플로 접수하기 전에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단계(S510)를 거치며, 위치확인단계(S51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 서비스를 활용하거나 접수단계(S500)에서 위치를 입력한다. 그리고 환례자가 위치를 입력하거나 위치 서비스를 활용할 경우 식별단계(S600)에서 환례자의 위치를 판단하여 종합함에 따라 질병의 발명지를 예측한다. 예를 들어, 환례자가 식당에서 음식을 먹고 돌아와서 증상이 발생한다면 질병의 발병지를 정확히 알 수 없다. 따라서, 식별단계(S600)에서는 다수의 환례자가 접수한 위치를 종합하여 질병의 발병지를 예측한다.
접수단계(S500)에서는 환례자의 증상, 발병시간, 섭취한 음식, 개인정보 등 정보를 입력하며, 환례자의 정보에 따라 구분단계(S610)에서 질병을 예측한다. 이때, 구분단계(S610)는 과거의 데이터를 종합하여 환례자의 정보에 따라 질병을 예측할 수 있으며, 발병지에 발생한 질병의 종류에 따라 각각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환례자가 접수 당시 본인의 질병을 정확하기 예측하기 어려우며, 그에 따라 조치가 정확히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구분단계(S610)에서는 과거의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DB) 구축되어 환례자가 접수할 때 입력한 정보를 통해 질병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구분단계(S610)에서 질병에 따라 환례자가 구분되면 측정단계(S700)에서 환례자 수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단계(S700)에서 측정한 환례자의 수가 많을 경우 판단단계(S320)에서 집단발병으로 판단하며, 그에 따라 실시단계(S710)에서는 질병관리본부에서 발병지로 조사원(400)을 파견하여 역학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 하지만 판단단계(S320)에서 환례자의수가 적다고 판단되면 개인질병으로 판단하여 개인에게 질병에 대한 조치를 통보하거나 발병지 주변의 병원, 소방서 등으로 인도할 수 있다. 따라서, 환례자 및 보호자가 직접 휴대용 단말기(100) 어플을 활용하여 질병을 접수하며, 환례자의 위치를 판단하여 질병의 종류를 예측하여 집단발병인지 개인발병인지 판단함에 따라 역학조사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S10: 신고단계 S20: 생성단계
S30: 송신단계 S100: 기입단계
S110: 제 1기입단계 S120: 제 2기입단계
S200: 제 1전송단계 S300: 조사단계
S310: 분류단계 S320: 판단단계
S330: 조치단계 S400: 제 2전송단계
S500: 접수단계 S510: 위치확인단계
S600: 식별단계 S610: 구분단계
S700: 측정단계 S710: 실시단계
100: 휴대용 단말기 200: 서버
300: 조사대상자 400: 조사원

Claims (4)

  1. 휴대용 단말기(100) 어플로 환례자의 질병을 접수하는 접수단계(S500);
    상기 접수단계(S500) 전,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단계(S510);를 포함하고,
    상기 접수단계(S500) 후, 접수받은 질병의 발병지를 식별하는 식별단계(S600);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단계(S600) 후, 발병지에서 발병한 질병의 종류를 구분하는 구분단계(S610); 및 발병지의 환례자 수를 측정하는 측정단계(S700);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 어플을 이용하여, 환례자 및 환례자와 접촉한 보호자로 형성된 조사대상자(300)의 나이, 성별, 직업군, 취식정보, 질병의 발병정보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초정보를 기입하는 기입단계(S100);
    상기 기입단계(S100) 후, 기초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는 제 1전송단계(S200);
    상기 제 1전송단계(S200) 후, 상기 서버(200)에서 질병을 조사하여 질병에 대하여 조치하는 조사단계(S300);
    상기 조사단계(S300) 후, 조치내용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제 2전송단계(S400);를 포함하고,
    상기 기입단계(S100)는 상기 조사대상자(300)가 섭취한 취식물 종류 및 취식물 섭취량으로 형성되는 취식정보를 기입하는 제 1기입단계(S110);
    질병의 발병대상 및 발병횟수로 형성되는 발병정보를 기입하는 제 2기입단계(S120);를 포함하며,
    상기 조사단계(S300)는 상기 조사대상자(300)의 기초정보를 질병의 발병횟수 및 환례자의 수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단계(S310);
    상기 분류단계(S310) 후, 전체 조사대상자(300) 중 환례자의 수 및 질병의 발병횟수에 따라 집단발병 및 개인발병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고, 위험정도를 자동으로 판단하는 판단단계(S320);
    상기 판단단계(S320) 후, 발병지로 조사원(400)을 파견하여 역학조사를 실시하는 실시단계(S710);
    상기 판단단계(S320) 후, 질병에 대한 조치내용을 발생시키는 조치단계(S330);를 포함하고,
    상기 분류단계(S310)는 기초정보를 지정코드로 변환하는 변환단계(S311);
    상기 변환단계(S311)에서 변환한 지정코드를 질병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는 구분단계(S312);를 포함하며,
    상기 조사원(400)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에 설치되며, 상기 조사대상자(300)의 혈액 검사를 진행하는 보조단말기;를 포함하는 질병 역학조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52007A 2019-05-03 2019-05-03 질병 역학조사 방법 KR102440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007A KR102440453B1 (ko) 2019-05-03 2019-05-03 질병 역학조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007A KR102440453B1 (ko) 2019-05-03 2019-05-03 질병 역학조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588A KR20200127588A (ko) 2020-11-11
KR102440453B1 true KR102440453B1 (ko) 2022-09-06

Family

ID=73451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007A KR102440453B1 (ko) 2019-05-03 2019-05-03 질병 역학조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4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730B1 (ko) 2017-09-27 2018-03-16 나도현 인공지능 기반 약물치료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약물치료 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396B1 (ko) 2007-01-25 2008-06-23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식습관 조사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89937A (ko) 2012-01-16 2013-08-13 이여진 건강예측 관련 인식 및 조사 방법론
KR20130102239A (ko) * 2012-03-07 2013-09-17 신양철 건강 식단정보 제공시스템
KR101676463B1 (ko) 2014-05-23 2016-11-15 네이버 주식회사 검색 기반 설문조사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70053145A (ko) * 2015-11-05 2017-05-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염병 예방과 확산 방지를 위한 전염병 추적 관리 시스템
KR20180112429A (ko) * 2017-04-04 2018-10-1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문진데이터를 기초로 한 맞춤형 건강관리시스템
KR20190002174A (ko) 2017-06-29 2019-01-08 네이버 주식회사 모바일 설문조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730B1 (ko) 2017-09-27 2018-03-16 나도현 인공지능 기반 약물치료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약물치료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588A (ko)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ein et al. Emergency physician ultrasonography for evaluating patients at risk for ectopic pregnancy: a meta-analysis
Messing et al. The lethality screen: The predictive validity of an intimate partner violence risk assessment for use by first responders
Singh et al. Measurement of predictive validity in violence risk assessment studies: A second‐order systematic review
Cooper et al. A clinical tool for assessing risk after self-harm
Milner et al. Prediction issues for practitioners
Elbaum et al. Evaluation of the Battelle developmental inventory, screening test for use in states’ child outcomes measurement systems unde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Gray et al. Rasch analysis of the Lubben social network scale–6 (LSNS-6)
Hess et al. How do people perceive graphical risk communication? The role of subjective numeracy
Hand et al. Validation of the Academy/ASPEN malnutrition clinical characteristics
Gylys et al. A further examination of validity for the sexual experiences survey
CN113724848A (zh) 基于人工智能的医疗资源推荐方法、装置、服务器及介质
Dailey et al. Timeliness of data sources used for influenza surveillance
Nelson et al. Exploring objective and subjective numeracy at a population level: findings from the 2007 Health Information National Trends Survey (HINTS)
Munos et al. Improving coverage measurement for reproductive, maternal, neonatal and child health: gaps and opportunities
EFSA Panel on Plant Protection Products and their Residues (PPR) et al. Scientific Opinion of the PPR Panel on the follow‐up of the findings of the External Scientific Report ‘Literature review of epidemiological studies linking exposure to pesticides and health effects’
US20180032674A1 (en) Diagnostic system, diagnostic method, and storage medium
Shaffer et al. Incremental and predictive validity of the antisocial process screening device in a community sample of male and female ethnic minority and caucasian youth
Azofeifa et al. Peer Reviewed: Evaluating Behavioral Health Surveillance Systems
Goodin et al. The power and pitfalls of big data research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a consumer's guide
Lamers-Johnson et al. Academy of nutrition and dietetics nutrition research network: validation of a novel nutrition informatics tool to assess agreement between documented nutrition care and evidence-based recommendations
Mowery et al. Assessing quality of care and elder abuse in nursing homes via Google reviews
Painter-Davis et al. Race/ethnicity and measures of violence at the macro level: Is disadvantage invariant across race-/ethnicity-specific arrest, victimization, and offending?
Eriksson Insufficient evidence for the validity of the Language Development Survey and the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ies as screening tools: A critical review
JP2003067489A (ja) 検査結果データ出力システム
Parr et al. Evidence brief: Prevalence of intimate partner violence/sexual assault among veter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