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448B1 - 관찰형 에어웨이를 구비한 기관 튜브장치 - Google Patents

관찰형 에어웨이를 구비한 기관 튜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448B1
KR102440448B1 KR1020200165280A KR20200165280A KR102440448B1 KR 102440448 B1 KR102440448 B1 KR 102440448B1 KR 1020200165280 A KR1020200165280 A KR 1020200165280A KR 20200165280 A KR20200165280 A KR 20200165280A KR 102440448 B1 KR102440448 B1 KR 102440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way
observation
tube
intubation tube
intub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6613A (ko
Inventor
이상은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65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448B1/ko
Publication of KR20220076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02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M16/0411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differentiating between oesophageal and tracheal intub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6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spiratory tract, e.g. laryngoscopes, bronc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34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8Bellows; Connecting tubes ; Water traps; Patient circuits
    • A61M16/0816Joints or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90/361Image-producing devices, e.g. surgical cameras
    • A61B2090/3618Image-producing devices, e.g. surgical cameras with a mirr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찰형 에어웨이를 구비한 기관 튜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반사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관찰형 에어웨이와; 관찰형 에어웨이의 내부를 통과해 기도내에 진입하는 가요성본체를 갖는 삽관튜브와; 삽관튜브를 관찰형 에어웨이에 삽입하기 전에 삽관튜브에 먼저 끼워 고정되는 조명스타일렛과; 삽관튜브로부터 조명스타일렛을 분리한 상태에서 삽관튜브에 결합하며 삽관튜브를 인공호흡기와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관찰형 에어웨이를 구비한 기관 튜브장치는, 관찰형 에어웨이를 통해 성대(聲帶)의 위치를 육안 확인 한 후, 고정된 에어웨이를 통해 삽관튜브를 삽입하므로, 삽관튜브의 정확한 장착이 가능하여, 환자의 기도 확보를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찰형 에어웨이를 구비한 기관 튜브장치{Endotracheal tube device with observation type airway}
본 발명은 환자의 기도(氣道)에 삽입되어 호흡을 유도하는 튜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성대(聲帶)의 위치를 육안으로 파악함으로써, 정확하고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관찰형 에어웨이를 구비한 기관 튜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병원의 수술실이나 응급실 또는 중환자실 등에서 환자의 호흡을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기관 내 튜브 장치(Endotracheal tube device)는, 보통 환자의 입이나 코를 통해 체내로 삽입되며, 기도(氣道) 내에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튜브 장치는, 가령, 호흡장애나 기도폐색 또는 기타의 이유로 인공호흡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하며, 폐 내부의 압력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폐 내부의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기관 삽관튜브에는 팽창 가능한 커프(cuff)가 설치된다. 커프는 외부로부터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하여 기도를 폐색함으로써 이물질이 기관 및 폐(肺)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삽관튜브의 삽관은, 성대(聲帶)의 위치를 참고하여 시행되는데, 삽관튜브를 설치하기 위해, 종래에는 후두경을 사용하였다. 즉, 후두경을 입에 넣고 힘들 가하여 목구멍 뒤쪽을 육안 확인하면서 튜브를 삽입하는 것이다.
그런데, 후두경을 이용한 삽관은, 삽관튜브가 기관으로 들어가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삽관튜브가 식도로 삽입되어도 바로 알 수 없는 것이다. 삽관튜브가 식도로 삽입된 경우 환자는 저산소증에 노출되어 뇌손상이나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튜브의 삽관 시, 튜브가 기도로 정확하게 삽입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이다.
삽관튜브의 정상적 삽입을 확인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678545호를 통해, 전기 자극을 통하여 튜브의 삽입 위치 판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관내 삽관튜브 및 기관내 삽관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삽관시스템은, 환자의 기관에 삽입되는 튜브몸체; 튜브몸체 내부에 튜브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튜브몸체의 삽입위치에 따라, 전도체로부터 전달받은 전류를 상기 기관 또는 식도로 흘리는 전극; 튜브몸체에 배치되어 전극의 자극에 의한 기관 또는 식도의 수축에 따라 튜브몸체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 및 센서로 측정된 압력을 통하여 튜브몸체의 삽입된 위치가 근육조직으로 이루어진 식도인지 또는 연골조직으로 이루어진 기관인지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튜브몸체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튜브관이 형성되고, 튜브관을 통해 상기 전극과 연결되는 전도체를 포함하며, 전극은 전도성 잉크인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삽관시스템은, 삽관튜브의 올바른 삽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체내에 전기 자극을 주는 것이므로 사용에 부담이 있고, 전극, 센서, 전도체, 연결단자는 물론 센싱 결과를 출력하는 모니터 등의 구성요소가 들어가므로 구조가 복잡하며 사용도 번거롭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678545호 (전기 자극을 통하여 튜브의 삽입 위치 판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관내 삽관튜브 및 기관내 삽관시스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88668호 (기도삽관 튜브)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삽관튜브의 정확한 장착이 가능하여, 환자의 기도 확보를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관찰형 에어웨이를 구비한 기관 튜브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관찰형 에어웨이를 구비한 기관 튜브장치는, 환자의 구강을 통해 기도(氣道) 입구에 도달할 수 있도록 구부러지며 가이드통로를 제공하는 중공튜브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가이드통로의 내주면에는 진입방향 전방의 사물을 반사하여 사물의 모습을 후방으로 비추는 다수의 반사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관찰형 에어웨이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관찰형 에어웨이의 내부를 통과해 기도내에 진입하고, 선단부에는 기도 내부에서 팽창하며 기도를 폐색하는 커프가 마련되어 있는 중공튜브형 가요성본체와, 상기 커프에 팽창용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와, 상기 가요성본체의 후단부에 위치하며 후방으로 개방되고 지지력을 제공하는 홀더가 구비된 삽관튜브와; 상기 삽관튜브를 관찰형 에어웨이에 삽입하기 전에 삽관튜브에 먼저 끼워 고정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삽관튜브의 내부통로에 삽입되는 가요성 연장로드와, 상기 연장로드의 선단부에 위치하며 진입방향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라이트와, 상기 연장로드의 후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삽관튜브의 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헤드와, 상기 고정헤드에 장착되며 상기 라이트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조명스타일렛과; 상기 삽관튜브로부터 조명스타일렛을 분리한 상태에서 삽관튜브의 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삽관튜브를 인공호흡기와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관찰형 에어웨이의 가이드통로 내주면에는, 오목한 형상을 취하는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반사수단은; 상기 고정홈에 장착되어 오목 거울의 역할을 하는 다수의 경면시트이다.
아울러, 상기 관찰형 에어웨이는; 상기 경면시트가 내장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단부에 일체를 이루며 손잡이의 역할을 겸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가이드통로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배선통로가 더 형성되며, 상기 배선통로에는 전력선이 내장되고, 상기 파지부내에는, 상기 전력선과 연결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접속되며 파지부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 회로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의 선단부에는, 상기 전력선으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엘이디램프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삽관튜브의 홀더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의 형상을 취하고, 상기 조명스타일렛의 고정헤드에는 상기 홀더에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가 위치하며, 상기 커넥터는, 일정내경의 연통로를 구비하는 튜브형 부재로서, 일단에는 상기 홀더에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인공호흡기와 결합하는 인공호흡기 연결부를 갖는다.
또한, 상기 경면시트는; 일정두께를 갖는 가요성 지지시트와, 상기 지지시트의 일면에 코팅된 반사코팅층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시트는, 상기 고정홈내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관찰형 에어웨이를 구비한 기관 튜브장치는, 관찰형 에어웨이를 통해 성대(聲帶)의 위치를 육안 확인 한 후, 고정된 에어웨이를 통해 삽관튜브를 삽입하므로, 삽관튜브의 정확한 장착이 가능하여, 환자의 기도 확보를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찰형 에어웨이를 구비한 기관 튜브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관찰영 에어웨이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경면시트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찰형 에어웨이를 구비한 기관 튜브장치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관찰형 에어웨이를 구비한 기관튜브장치는, 네 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상호 조합된 상태로 작동한다. 상기 구성요소는 관찰형 에어웨이, 삽관튜브, 조명스타일렛, 커넥터로 구성된다. 특히 관찰형 에어웨이는 내부에 반사수단을 가져 기관 내 진입시 내부 상황을 육안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삽관튜브와 커넥터가 분리식으로 구성되므로서 상기 구성요소들은 다양하게 조합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관튜브장치는, 환자의 구강을 통해 기도(氣道) 입구에 도달할 수 있도록 구부러지며 가이드통로를 제공하는 중공튜브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가이드통로의 내주면에는 진입방향 전방의 사물을 반사하여 사물의 모습을 후방으로 비추는 다수의 반사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관찰형 에어웨이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관찰형 에어웨이의 내부를 통과해 기도내에 진입하고, 선단부에는 기도 내부에서 팽창하며 기도를 폐색하는 커프가 마련되어 있는 중공튜브형 가요성본체와, 상기 커프에 팽창용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와, 상기 가요성본체의 후단부에 위치하며 후방으로 개방되고 지지력을 제공하는 홀더가 구비된 삽관튜브와; 상기 삽관튜브를 관찰형 에어웨이에 삽입하기 전에 삽관튜브에 먼저 끼워 고정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삽관튜브의 내부통로에 삽입되는 가요성 연장로드와, 상기 연장로드의 선단부에 위치하며 진입방향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라이트와, 상기 연장로드의 후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삽관튜브의 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헤드와, 상기 고정헤드에 장착되며 상기 라이트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조명스타일렛과; 상기 삽관튜브로부터 조명스타일렛을 분리한 상태에서 삽관튜브의 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삽관튜브를 인공호흡기와 연결시키는 커넥터의 기본 구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찰형 에어웨이를 구비한 기관 튜브장치(1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관찰영 에어웨이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경면시트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찰형 에어웨이를 구비한 기관 튜브장치(10)는, 관찰형 에어웨이(20), 삽관튜브(30), 조명스타일렛(40), 커넥터(50)를 구비한다.
환자의 인공호흡에 사용되는 것은 삽관튜브(30)와 커넥터(50)이고, 관찰형 에어웨이(20)와 조명스타일렛(40)은 삽관튜브(30)를 정위치 시키기 위한 것이다.
먼저, 관찰형 에어웨이(20)는, 환자의 구강을 통해 기도(氣道) 입구에 도달할 수 있도록 구부러지며 가이드통로(21a)를 제공하는 중공튜브형 부재로서, 내부에 다수의 반사수단을 갖는다. 관찰형 에어웨이(20)는, 유아용에서부터 성인용에 이르기까지 단계별 사이즈를 갖는다.
관찰형 에어웨이(20)는, 본체부(21)와 파지부(23)를 갖는다. 본체부(21)는 환자의 구강을 통해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적절히 벤딩된 형상을 취하며 가이드통로(21a)와 배선통로(21b)를 갖는다.
가이드통로(21a)는, 삽관튜브(30)의 가요성본체(31)를 통과시키는 통로로서, 내주면에 다수의 고정홈(21f)을 갖는다. 고정홈(21f)은 오목한 형상의 홈으로서 가이드통로(21a)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반대편에 상호 대향하도록 위치한다.
각각의 고정홈(21f)에는 반사수단으로서의 경면시트(27)가 접착 고정된다. 경면시트(27)는, 일정두께를 갖는 가요성 지지시트(27c)와, 지지시트(27c)의 일면에 적층된 반사코팅층(27e)으로 이루어진 적층 필름형 부재이다. 이러한 경면시트(27)는, 접착제를 통해 오목한 고정홈(21f)의 바닥에 접착 고정됨으로써 오목거울의 역할을 한다. 도면부호 27a가 경면시트(27)의 반사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찰형 에어웨이(20)의 전방에 위치한 사물의 모습은, 다수의 경면시트(27)의 반사면(27a)에 차례로 반사되어 후방으로 전달된다. 사용자는 관찰형 에어웨이(20)의 후방으로 전송된 정보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관찰형 에어웨이(20)를 구강내부로 진입시키는 동안, 진입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기관의 위치를 육안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관찰형 에어웨이(20)는 다수의 경면시트(27)를 통해 진행방향 전방의 사물을 구분할 수 있으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1)의 선단부를 기도(도 5의 103)의 입구에 아주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에어웨이(20)가 삽관튜브(30)를 가이드 하는 것이므로, 결국 삽관튜브(30)의 선단부를 기도(氣道)내부로 정확히 유도할 수 있다. 삽관튜브가 식도로 진입할 염려가 없는 것이다.
상기 배선통로(21b)는 가이드통로(21a)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통로로서 전력선(25c)을 수용한다. 전력선(25c)은 후술할 배터리(24)의 전력을 엘이디램프(25e)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엘이디램프(25e)는 전력선(25c)과 접속되며 전력선을 통해 전력을 인가받아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것으로서 램프수용홈(21c)에 내장된다.
상기 파지부(23)는 본체부(21)의 후단부에 일체를 이루며 손잡이의 역할을 겸하는 것으로서, 회로기판(25)과 배터리(24)를 내장한다. 배터리(24)는 회로기판(25)에 접속하며 엘이디램프(25e)를 구동할 전력을 공급한다. 회로기판(25)은 전력선(25c)을 통해 엘이디램프(25e)와 연결되고, 일측에 스위치(25a)를 갖는다. 스위치(25a)는 파지부(23)의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스위치(25a)를 통해 엘이디램프(25e)를 온오프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스위치(25a)의 스위칭 방식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엘이디램프(25e)는 본체부(21)를 구강 내부로 진입시킬 때 전방으로 빛을 조사한다. 엘이디램프(25e)에서 조사된 빛은 본체부(21)의 진입방향 전방의 사물을 비춘다. 이에 따라 경면시트(27)로 들어오는 사물의 모습이 더욱 잘 보이게 된다. 관찰형 에어웨이(20)를 보다 정확하고 바람직한 경로를 통해 신속히 진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삽관튜브(30)는, 가요성본체(31)와 홀더(32)와 공기주입부(33)를 갖는다. 가요성본체(3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통로(31a)을 갖는 중공튜브형 부재로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찰형 에어웨이(20)의 가이드통로(21a)를 통과해 선단부가 기도(氣道) 내부에 진입한다.
또한 가요성본체(31)의 선단부 외주면에는 커프(cuff)(35)가 구비된다. 커프(35)는 공기주입부(33)를 통해 압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하는 벌룬으로서 기도(103)를 폐색한다. 기도를 막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가령, 이물질이 기관 및 폐(肺)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 이기도 하다.
커프(35)는 공기주입부(33)와 연결된다. 공기주입부(33)는, 주사기(도 10의 70)가 물리는 체크밸브(33a)와, 공기튜브(33b)로 이루어진다. 주사기를 통해 압입된 공기는 공기튜브(33b)를 통해 커프(35)로 유입하여 커프를 팽창시킨다.
상기 홀더(32)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의 형상을 취하며, 내부통로(31a)를 후방으로 개방한다. 홀더(32)는, 조명스타일렛(40)의 고정헤드(43)나, 커넥터(50)의 수나사부(51)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지지력을 제공한다.
조명스타일렛(40)은, 가요성 연장로드(41), 라이트(47), 고정헤드(43), 회로부(44), 스위치(45)를 구비한다. 연장로드(4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삽관튜브의 내부통로(31a)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전력선(미도시)을 수용한다. 연장로드(41)는 가요성 이며 소성 변형 가능하다.
라이트(47)는, 연장로드(41)의 선단부에 위치하며 진입방향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것으로서, 가요성본체(31)의 선단부를 기도(103) 내부로 진입시킬 때 점등된다.
고정헤드(43)는, 연장로드(41)의 후단부에 일체를 이루고 삽관튜브의 홀더(32)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수나사산(43a)이 형성되어 있다. 연장로드(41)를 내부통로(31a)의 후단부에 끼운 후 전방으로 전진시키면, 고정헤드(43)가 홀더(32)와 만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헤드(43)를 홀더(32)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서 삽관튜브(30)에 대한 조명스타일렛(40)의 결합이 완료된다.
고정헤드(43)의 내부에는 회로부(44)가 구비된다. 회로부(44)는 전원(미도시)을 포함하는 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지며 스위치(45)와 접속된다. 스위치(45)를 조작함에 따라 라이트(47)가 온오프 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조명스타일렛(40)은, 삽관튜브(30)를 관찰형 에어웨이(20)에 삽입하기 전에 삽관튜브에 먼저 끼워 고정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커넥터(50)는, 삽관튜브(30)의 홀더(32)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하며 삽관튜브를 인공호흡기(60)와 연결시키는 중공 튜브형 부재이다.
즉, 커넥터(50)는 일정내경의 연통로(50a)를 제공하는 튜브형 부재로서, 일단에는 수나사부(51)를, 타단에는 인공호흡기 연결부(53)를 갖는다. 수나사부(51)는 홀더(32)의 암나사구(32a)에 결합한다. 또한 인공호흡기 연결부(53)는 인공호흡기(60)가 끼워진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찰형 에어웨이를 구비한 기관 튜브장치(10)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방법이라 함은, 환자의 기도(103) 내에 삽관튜브(30)의 선단부를 위치시킨 후 커프(35)를 팽창시키고, 삽관튜브(30)의 후단부에 인공호흡기(60)를 연결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100)의 머리를 뒤로 재낀 후, 관찰형 에어웨이(20)를 구강(101)내로 진입시켜 에어웨이(20)의 선단부가 기도(氣道)(103)의 입구에 도달하게 한다. 이 때 엘이디램프(25e)를 점등시키고 경면시트(27)를 통해 성대(聲帶)나 기도의 입구를 육안 확인하여, 관찰형 에어웨이의 정확한 위치를 잡는다. 상기 과정을 통해 관찰형 에어웨이(20)의 선단부는 기도(103)의 입구에 위치하고, 파지부(23)는 환자의 입 외부로 노출된다.
관찰형 에어웨이(20)가 설치되었다면,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스타일렛(40)이 미리 끼워져 있는 삽관튜브(30)를 관찰형 에어웨이(20)에 삽입한다. 이 때에도 스위치(45)를 조작하여 라이트(47)를 점등한다. 삽관튜브의 선단부는 에어웨이(20)를 통과하여 기도(103)의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삽관튜브(30)의 삽관이 완료된 후,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같이, 조명스타일렛(40)을 삽관튜브(30)로부터 분리하여 외부로 빼내고, 이어서 관찰형 에어웨이(20)도 빼낸다.(도 9 참조)
이어서, 삽관튜브(30)의 공기주입부(33)에 주사기(70)를 물려 커프(35)를 부풀리고, 홀더(32)에는 커넥터(50)를 연결하고 커넥터(50)에는 인공호흡기(60)를 설치한다. 인공호흡기(60)를 통해 기도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서 환자의 호흡을 유지시킴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기관튜브장치 20:관찰형 에어웨이 21:본체부
21a:가이드통로 21b:배선통로 21c:램프수용홈
21f:고정홈 23:파지부 24:배터리
25:회로기판 25a:스위치 25c:전력선
25e:엘이디램프 27:경면시트 27a:반사면
27c:지지시트 27e:반사코팅층 30:삽관튜브
31:가요성본체 31a:내부통로 32:홀더
32a:암나사구 33:공기주입부 33a:체크밸브
33b:공기튜브 35:커프(cuff) 40:조명스타일렛
41:연장로드 43:고정헤드 43a:수나사산
44:회로부 45:스위치 47:라이트
50:커넥터 50a:연통로 51:수나사부
53:인공호흡기연결부 60:인공호흡기 70:주사기
100:환자 101:구강 103:기도

Claims (6)

  1. 환자의 구강을 통해 기도(氣道) 입구에 도달할 수 있도록 구부러지며 가이드통로를 제공하는 중공튜브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가이드통로의 내주면에는 진입방향 전방의 사물을 반사하여 사물의 모습을 후방으로 비추는 다수의 반사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관찰형 에어웨이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관찰형 에어웨이의 내부를 통과해 기도내에 진입하고, 선단부에는 기도 내부에서 팽창하며 기도를 폐색하는 커프가 마련되어 있는 중공튜브형 가요성본체와, 상기 커프에 팽창용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와, 상기 가요성본체의 후단부에 위치하며 후방으로 개방되고 지지력을 제공하는 홀더가 구비된 삽관튜브와;
    상기 삽관튜브를 관찰형 에어웨이에 삽입하기 전에 삽관튜브에 먼저 끼워 고정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삽관튜브의 내부통로에 삽입되는 가요성 연장로드와, 상기 연장로드의 선단부에 위치하며 진입방향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라이트와, 상기 연장로드의 후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삽관튜브의 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헤드와, 상기 고정헤드에 장착되며 상기 라이트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조명스타일렛과;
    상기 삽관튜브로부터 조명스타일렛을 분리한 상태에서 삽관튜브의 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삽관튜브를 인공호흡기와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관찰형 에어웨이를 구비한 기관 튜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형 에어웨이의 가이드통로 내주면에는, 오목한 형상을 취하는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반사수단은;
    상기 고정홈에 장착되어 오목 거울의 역할을 하는 다수의 경면시트인,
    관찰형 에어웨이를 구비한 기관 튜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형 에어웨이는;
    상기 경면시트가 내장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단부에 일체를 이루며 손잡이의 역할을 겸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가이드통로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배선통로가 더 형성되며, 상기 배선통로에는 전력선이 내장되고,
    상기 파지부내에는, 상기 전력선과 연결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접속되며 파지부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 회로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의 선단부에는, 상기 전력선으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엘이디램프가 설치된,
    관찰형 에어웨이를 구비한 기관 튜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관튜브의 홀더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의 형상을 취하고,
    상기 조명스타일렛의 고정헤드에는 상기 홀더에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가 위치하며,
    상기 커넥터는, 일정내경의 연통로를 구비하는 튜브형 부재로서, 일단에는 상기 홀더에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인공호흡기와 결합하는 인공호흡기 연결부를 갖는,
    관찰형 에어웨이를 구비한 기관 튜브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형 에어웨이의 가이드통로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장착되어 오목 거울의 역할을 하는 경면시트는;
    일정두께를 갖는 가요성 지지시트와,
    상기 지지시트의 일면에 코팅된 반사코팅층으로 구성된,
    관찰형 에어웨이를 구비한 기관 튜브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시트는, 상기 고정홈내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 고정되는,
    관찰형 에어웨이를 구비한 기관 튜브장치.
KR1020200165280A 2020-12-01 2020-12-01 관찰형 에어웨이를 구비한 기관 튜브장치 KR102440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280A KR102440448B1 (ko) 2020-12-01 2020-12-01 관찰형 에어웨이를 구비한 기관 튜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280A KR102440448B1 (ko) 2020-12-01 2020-12-01 관찰형 에어웨이를 구비한 기관 튜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613A KR20220076613A (ko) 2022-06-08
KR102440448B1 true KR102440448B1 (ko) 2022-09-05

Family

ID=81981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280A KR102440448B1 (ko) 2020-12-01 2020-12-01 관찰형 에어웨이를 구비한 기관 튜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4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1265A (ja) 2000-04-18 2004-04-15 エセ.セー.べー.,ソシエダッド アノニマ 光学発光する喉頭鏡
JP2007222387A (ja) 2006-02-23 2007-09-06 Yamaguchi Univ スタイレット
JP2021531906A (ja) 2018-07-30 2021-11-25 テレフレックス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ライトガイドを備えた喉頭鏡ブレード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8173A (ja) * 1993-12-22 1995-07-18 Kiyoshi Matsuo 人工呼吸具
KR101678545B1 (ko) 2014-08-12 2016-11-2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 자극을 통하여 튜브의 삽입 위치 판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관내 삽관튜브 및 기관내 삽관시스템
KR20190088668A (ko) 2018-01-19 2019-07-29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기도삽관 튜브
CN109999301B (zh) * 2019-05-15 2024-03-26 河南驼人医疗器械集团有限公司 一种新型喉罩通气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1265A (ja) 2000-04-18 2004-04-15 エセ.セー.べー.,ソシエダッド アノニマ 光学発光する喉頭鏡
JP2007222387A (ja) 2006-02-23 2007-09-06 Yamaguchi Univ スタイレット
JP2021531906A (ja) 2018-07-30 2021-11-25 テレフレックス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ライトガイドを備えた喉頭鏡ブレ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613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2456B2 (en) Airway products having LEDs
US9155854B2 (en) Tracheal tube with visualization device and integrated flushing system
US8998798B2 (en) Multi-lumen tracheal tube with visualization device
US9211060B2 (en) Visualization device and holder for use with a tracheal tube
US8887730B2 (en) Dual-lumen tracheal tube with assembly portion
US20140046142A1 (en) Tube for inspecting internal organs of a body
KR102440448B1 (ko) 관찰형 에어웨이를 구비한 기관 튜브장치
KR100868781B1 (ko) 기도 삽관 시스템
CN111526912B (zh) 具有优异通气能力,并具有将支气管内导管准确放置在期望支气管中的系统的气管插管促进器
CN112076372A (zh) 一种基于呼气末二氧化碳浓度分布的插管装置
CN102266627A (zh) 多功能发光气管插管
CN201042443Y (zh) 一种新型困难气道插管装置
CN115844316A (zh) 一种用于新生儿小下颌畸形的困难气道可视插管工具
TWM502472U (zh) 可塑型插管輔助裝置
US20210038845A1 (en) Intubation assembly for determing whether patient is breathing
CN204890870U (zh) 一种视频可视气管导管芯
US20180001043A1 (en) Tracheal protective neonatal ventilation device
KR101413914B1 (ko) 적외선 센서를 사용한 기관삽관 장치
US20200306477A1 (en) Bougie with Improved Sensory Feed
KR102533199B1 (ko) 기도삽관 유니트
EP3409186B1 (en) Laryngoscope handle and retrofittable insufflation module therefor
CN219271854U (zh) 一种用于困难气道的气管插管装置
CN202198944U (zh) 多功能发光气管插管
CN201200705Y (zh) 一种可拆卸式气管插管引导光棒
CN201668831U (zh) 带光导纤维照明的气管插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