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158B1 - 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For Ventil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For Ventila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158B1
KR102440158B1 KR1020220078608A KR20220078608A KR102440158B1 KR 102440158 B1 KR102440158 B1 KR 102440158B1 KR 1020220078608 A KR1020220078608 A KR 1020220078608A KR 20220078608 A KR20220078608 A KR 20220078608A KR 102440158 B1 KR102440158 B1 KR 102440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acterial
temperature control
control device
housing
ventil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6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병석
김성중
Original Assignee
(주) 쏘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쏘노 filed Critical (주) 쏘노
Priority to KR1020220078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15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1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5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d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ventilation device which minimizes the occupied space at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ventilation device that ventilates the residential or office spac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device, minimizes heat loss and internal condensation that can occur in the antibacterial ventilation mode while providing antibacterial function of the air supplied to the room, and easily replenishes an antibacterial liquid that needs to be refilled to provide the antibacterial function.

Description

환기장치용 온도조절장치{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For Ventilation Apparatus}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For Ventil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환기장치용 온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주거 공간이나 사무공간을 환기시키는 환기장치의 설치 위치에서 점유공간을 최소화하며 환기장치에 직결되고, 항균 환기모드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열손실 및 내부 결로 현상을 최소화하고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항균기능까지 제공하면서도, 항균기능 제공을 위하여 리필이 필요한 항균액의 보충이 용이한 환기장치용 온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ventilation system.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space occupied at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ventilation device for ventilating the residential space or office spac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device, minimizes heat loss and internal condensation that may occur in the antibacterial ventilation mode, and minimizes the indoor It relates to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ventilation system that provides an antibacterial function of air supplied to a ventilator, while easily replenishing an antibacterial liquid that requires refilling in order to provide an antibacterial function.

통상적으로 실내공기 환기 기능은 사무용 공간 또는 공장 등의 대형건물에만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신축되는 공동주택의 각각의 세대에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조절하기 위한 환기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실내 활동이 많아지면,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증가되므로, 주기적으로 신선한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고 오염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환기 과정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조리용 연소가스, 새집 증후군 또는 헌집 증후군 등의 이유로 실내 공기의 환기의 필요성이 이슈화되고 있다.In general, it has been common that the indoor air ventilation function is provided only in large buildings such as office spaces or factories. However, in recent years, it is often the case that a ventilation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pollution degree of indoor air is provided to each household of a newly constructed apartment building. As indoor activities increase, the degree of pollution of indoor air increases, so a ventilation process for periodically supplying fresh outdoor air to the room and discharging the contaminated indoor air to the outdoors is required. Recently, the necessity of ventilation of indoor air has become an issue due to combustion gas for cooking, sick house syndrome, or old house syndrome.

이러한 환기는 실내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고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는 측면에서는 바람직하지만, 최적의 온도로 난방(또는 냉방)이 수행된 실내 공기를 배출하고 외부의 차가운(또는 뜨거운)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는 과정에서 열손실(공조부하 증가 또는 에너지 손실) 등을 유발하게 된다. 환기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열손실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환기장치에는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와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가 구비되지만 교차되는 유로 상에서 빠르게 유동하는 급기와 배기 간의 온도차는 쉽게 좁혀지지 않기 때문에 열손실을 완벽하게 차단하는 순수 환기운전은 불가능하다.Such ventilation is desirable in terms of supplying fresh air into the room and discharging polluted air to the outside, but exhausts the indoor air that has been heated (or cooled) to an optimal temperature and removes the cold (or hot) air from the outside. It causes heat loss (increased air conditioning load or energy loss) in the process of flowing into the furnace. In order to prevent heat loss that may occur during the ventilation process, the ventilation device is equipped with a heat exchanger for heat exchange between the air supplied to the room and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bu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upply and exhaust, which flows rapidly on the intersecting flow path, is easily Because it is not narrowed, pure ventilation operation that completely blocks heat loss is impossible.

또한, 종래의 환기장치는 동절기 등에 실내에서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실내로 공급되는 실외공기의 온도차가 심하여 환기장치 내부의 유로 또는 열교환기 근방에 결로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로 현상이 반복되면 열교환기를 통한 배기와 급기 간의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고, 결로 현상에 의하여 발생되는 수분은 세균 번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ventilation device,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indoor air discharged from the room and outdoor air supplied to the room during the winter season is large, so that dew condensation may occur in the flow path inside the ventilation device or in the vicinity of the heat exchanger. When such a condensation phenomenon is repeated,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etween exhaust and supply air through the heat exchanger is reduced, and moisture generated by the condensation phenomenon can facilitate bacterial propagation.

환기장치는 구조적으로 사용자가 내부를 세척하기 어려워 반복적으로 내부에서 결로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환기장치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오히려 오염시키는 위생상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When dew condensation occurs repeatedly inside the ventilation device because it is structurally difficult for the user to clean the inside, it may cause a sanitary problem of rather contaminating the air supplied to the room through the ventilation device.

최근의 아파트 등에 적용되는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환기장치의 일반적인 형태는 납작한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되고 베란다 생활공간의 점유를 최소화하며 베란다 등의 공간의 천장에 장착되어,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배기하거나 급기하며 열교환기를 통해 열손실을 최소화하는 구조를 채용한다.The general form of a ventilation device equipped with a heat exchanger applied to recent apartments, etc., is composed of a flat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minimizes occupation of the living space of the veranda, and is mounted on the ceiling of a space such as a veranda to exhaust or supply indoor air and outdoor air. It adopts a structure that minimizes heat loss through the heat exchanger.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부가 설비 등을 고려할 수 있겠으나 일반적인 환기장치가 설치된 공간에 추가적으로 적용이 가능하고, 협소한 공간 제약 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나 아직 이와 같은 부가 설비가 소개된 바가 없다.New additional facilitie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can be considered, but a method is required that can be additionally applied to the space where the general ventilation system is installed and can solve the problem of narrow space restrictions, but such additional facilities have not been introduced yet. there is no bar

본 발명은 주거 공간이나 사무공간을 환기시키는 환기장치의 설치 위치에서 점유공간을 최소화하며 환기장치에 직결되고, 항균 환기모드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열손실 및 내부 결로 현상을 최소화하고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항균기능까지 제공하면서도, 항균기능 제공을 위하여 리필이 필요한 항균액의 보충이 용이한 환기장치용 온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space occupied at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ventilation device for ventilating the residential space or office spac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device, minimizes heat loss and internal condensation that may occur in the antibacterial ventilation mode, and air supplied to the room It is a task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ventilation device that can easily replenish the antibacterial solution that requires refilling in order to provide the antibacterial function while providing the antibacterial function of the ventilato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열 교환기를 구비하고 마주보는 측면에 급기구와 배기구가 각각 구비된 환기장치의 실외 방향 측면에 장착되는 환기장치용 온도조절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각각 공기가 유입되는 한 쌍의 급기구; 상기 하우징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각각 공기가 배출되는 한 쌍의 배기구; 상기 하우징의 실외측 측면에 구비되는 급기구와 배기구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급기구와 배기구를 개폐하는 제1 댐퍼부재 및 제2 댐퍼부재;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환기장치에서 유입된 실내 공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제3 댐퍼부재;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항균 처리하기 위한 항균액이 수용되며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항균액 수용기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에서 하부 방향으로 하강 또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상승 구동이 가능하고, 하강된 상태에서 수평 이동되는 항균액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항균액 공급부에서 항균액이 기화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와 혼합되며, 상기 제1 댐퍼부재 내지 제3 댐퍼부재의 열림 또는 닫힘에 따라 상기 환기장치를 경유한 실내공기가 항균되어 실내로 재공급되는 항균 순환모드, 실내 공기는 실외로 배출되며 실외 공기는 항균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항균 환기모드 또는 실내 공기의 일부는 실외 공기와 혼합 및 항균되어 실내로 공급되며 나머지 실내 공기는 실외로 배출되는 온도조절 항균 모드로 구동되는 환기장치용 온도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ventilation device that is provided with a total heat exchanger and is mounted on an outdoor side of a ventilation device having an air inlet and an exhaust port on opposite sides, respectively, comprising: a housing; a pair of air inlet through each of the opposite sides of the housing; a pair of exhaust ports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respectively, on opposite sides of the housing; a first damper member and a second damper member provided at the supply port and the exhaust port provid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housing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supply port and the exhaust port; and a third damper member provided in the housing to selectively block indoor air introduced from the ventilation device; The antibacterial solution for antibacterial treatment of the air supplied to the room is accommodated and an antibacterial solution receiver is provided which is detachably mounted, and it is possible to move downward from the housing or upwardly into the housing, and horizontally in the lowered state. Including a moving antimicrobial solution supply unit; wherein the antimicrobial solution is vaporized in the antimicrobial solution supply unit and mixed with air supplied to the room, and passes through th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first damper member to the third damper member An antibacterial circulation mode in which one indoor air is antibacterial and re-supplied to the room, an antibacterial ventilation mode in which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doors and the outdoor air is antibacterial and supplied to the room, or a part of the indoor air is mixed and antibacterial with the outdoor air and supplied to the room and the remaining indoor air may be provided with a thermostat for a ventilation device driven in a thermostatic antibacterial mode tha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항균액 공급부는 상기 항균액 수용기가 상부에 거치되고, 상기 항균액 수용기에서 공급된 항균액이 스며들어 기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화구가 구비된 트레이; 상기 트레이가 상부에 거치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트레이가 거치된 상기 베이스 부재를 상기 하우징에서 하부 방향으로 하강 또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상승 구동하기 위한 승강 구동유닛; 상기 승강 구동유닛에서 하강된 상기 베이스 부재에서 상기 트레이를 수평 구동하기 위한 수평 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is a tray provided with at least one vaporization port in which the antibacterial solution receiver is mounted on the top, and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ied from the antibacterial solution receiver is permeated and vaporized; a base member on which the tray is mounted; a lifting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base member on which the tray is mounted to descend from the housing or upwardly into the housing; It may include; a horizontal drive unit for horizontally driving the tray in the base member lowered from the elevating drive unit.

그리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하우징 측에 고정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The base member may include a guide rail fixed to the housing side and a sliding guide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여기서, 상기 승강 구동유닛은 수평 방향으로 구동축이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측에 장착되는 수평 구동축 모터, 상기 수평 구동축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된 수평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수평 피니언 기어에 의하여 구동되고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항균액 공급부의 베이스 부재에 장착되는 수직 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levating driving unit is driven by a horizontal drive shaft motor having a drive shaft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mounted on the housing side, a horizontal pinion gear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horizontal drive shaft motor, and the horizontal pinion gear and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may include; a vertical rack member mounted on the base member of the antimicrobial solution supply unit.

이 경우, 상기 수평 구동유닛은 수직 방향으로 구동축이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 측에 장착되는 수직 구동축 모터, 상기 수직 구동축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된 수직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수직 피니언 기어에 의하여 구동되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항균액 공급부의 상기 트레이에 장착되는 수평 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orizontal drive unit is driven by a vertical drive shaft motor having a drive shaft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mounted on the side of the base member, a vertical pinion gear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vertical drive shaft motor, and the vertical pinion gear and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oedoe, a horizontal rack member mounted on the tray of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may include.

그리고, 상기 수평 구동유닛은 상기 승강 구동유닛이 상기 항균액 공급부를 상기 하우징에서 하방으로 하강시킨 상태에서 구동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를 실내측 방향으로 수평 이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driving unit may be driven in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driving unit lowers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from the housing to horizontally transport the base member in the indoor direction.

또한, 상기 온도조절장치의 하우징의 두께는 상기 환기장치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온도조절장치와 상기 환기장치의 결합 영역에서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며, 하방으로 돌출된 상기 온도조절장칭치의 하우징의 실내 방향 외주면에 상기 항균액 공급부를 구동시키는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housing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ventilation device, and in the area where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the ventilation device are combined,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is mounted to protrude downward instead of upward, and downward. A switch for driving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ding housing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in the interior direction.

그리고, 상기 스위치의 제1 작동시 상기 승강 구동유닛에 의하여 상기 항균액 공급부가 상기 하우징에서 하강 후 상기 수평 구동유닛에 의하여 상기 트레이가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서 실내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다.And, when the switch is first operated, after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is lowered from the housing by the lifting driving unit, the tray may be horizontally moved on the base member in the indoor direction by the horizontal driving unit.

여기서, 상기 스위치의 제2 작동시 상기 수평 구동유닛에 의하여 상기 항균액 공급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서 원위치로 이송되고, 상기 승강 구동유닛에 의하여 상기 항균액 공급부가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복귀될 수 있다.Here, during the second operation of the switch, the antimicrobial solution supply unit may be transferred to the original position on the base member by the horizontal driving unit, and the antimicrobial solution supply unit may be return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by the lifting driving unit.

이 경우, 상기 항균액 수용기는 상기 트레이에 장착시 상기 항균액 수용기에서 항균액이 트레이로 공급되는 탄성 개방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ntimicrobial solution receiver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opening valve through which the antimicrobial solution is supplied to the tray from the antimicrobial solution receiver when mounted on the tray.

그리고, 상기 항균액 수용기 내부에 수용된 항균액의 저항값을 통해 상기 항균액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센서 및 상기 수위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항균액 수위를 표시하는 조명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water level sensor for measuring the level of the antibacterial liquid through the resistance value of the antibacterial liquid accommodated in the antibacterial liquid receiver, and a lighting unit for displaying the antibacterial liquid level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water level sensor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승강 구동유닛 또는 상기 수평 구동유닛은 각각의 상기 수평 구동축 모터 또는 상기 수직 구동축 모터의 작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센서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fting drive unit or the horizontal drive unit may be provided with a sensor unit for limiting the operating range of each of the horizontal drive shaft motor or the vertical drive shaft motor.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용 온도조절장치에 의하면, 온도조절장치를 통해 온도 조절 환기모드에서 환기장치의 열교환기를 경유한 배기되는 실내 공기의 일부를 실외 공기와 혼합하여 실내로 공급하므로 환기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열손실 및 그에 따른 온도 편차로 인한 결로 발생을 억제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indoor air exhaust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of the ventilation device in the temperature control ventilation mode through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is mixed with the outdoor air and supplied to the room, thereby providing a ventilation function However,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minimize the occurrence of condensation due to heat loss and consequent temperature devi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용 온도조절장치에 의하면, 항균액 공급부를 구비하여 환기장치의 항균 또는 오염을 최소화하여, 실내 공기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quality of indoor air by providing an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to minimize antibacterial or contamination of the ventilation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용 온도조절장치에 의하면, 공조실 창문 방향 천장에 달려 접근이 쉽지 않은 항균액 공급부가 하강하여 실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항균액 보충과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part, which is not easy to access depending on the ceiling in the window direction of the air conditioning room, descends and is configured to move toward the room,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plenish and manage the antibacterial solution.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용 온도조절장치에 의하면, 항균액 공급부가 필요시에만 하강 수평 이송되므로,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공조실에서 실외기 등이 설치되는 협소한 공간에서의 간섭과 공간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is horizontally transported down only when necessary, interference and space waste in a narrow space where an outdoor unit, etc. are installed in an air conditioning room in a general state can be minimized. ha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장치와 환기장치가 설치된 공조실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환기장치와 온도조절장치의 직결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환기장치와 온도조절장치의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온도조절장치가 설치된 환기장치의 측면도, 본 발명의 항균액 공급부가 하강된 상태 및 항균액 공급부가 하강된 상태에서 항균액 수용기가 거치된 트레이가 수평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온도조절장치의 항균액 공급부가 하우징 내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하며 하강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6은 항균액 공급부가 하강된 상태에서 항균액 수용기가 거치된 트레이가 수평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온도조절장치와 환기장치가 항균 순환모드로 운전되는 상태에서의 공기의 유로를 도시한다.
도 8는 본 발명의 온도조절장치와 환기장치가 일반 항균 환기모드로 운전되는 상태에서의 공기의 유로를 도시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온도조절장치와 환기장치가 온도조절 항균 모드로 운전되는 상태에서의 공기의 유로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온도조절장치의 항균액 공급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1 shows an air conditioning room in which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a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Figure 2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rect assembly state of the ventilation device and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of Figure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parated state of the ventilation device and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of FIG. 2 .
4 is a side view of the ventilation device installed with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in a state in which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ed and the tray on which the antibacterial solution receiver is mounted in a lowered state is horizontally moved state is shown.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shows a lowered state, and FIG. show the status
7 shows an air flow path in a state in which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the venti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perated in the antibacterial circulation mode.
8 shows the flow path of the air in a state in which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the venti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perated in a general antibacterial ventilation mode.
9 shows an air flow path in a state in which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the venti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perated in the temperature control antibacterial mode.
Figure 10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portion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Like referenc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장치(200)와 환기장치(100)가 설치된 공조실(as)을 도시한다.1 shows an air conditioning room (as) in which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nd a ventil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환기장치(100), 온도조절장치(200), 분기유닛(300), 환기덕트(10e, 10i)에 체결된 실내 디퓨저(미도시)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1,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ntilation device 100,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 branch unit 300, and an indoor diffuser fastened to the ventilation ducts 10e and 10i ( (not shown)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환기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란다 등의 공조실(as)의 천장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환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환기장치(100)는 열회수를 위한 온도조절장치(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ntilation device 100 may be provided on the ceiling of the air conditioning room (as), such as a veranda, as shown in FIG. The ventilation device 100 constituting the ventil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for heat recovery.

본 발명의 온도조절장치(200)는 예를 들면, 환기장치(100)의 측면, 천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볼 때 바닥면과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환기장치(100)에 직결되어 체결될 수 있다.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and fastened to the ventilation device 100 that maintains a horizontal state with the floor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ventilation device 100 and installed on the ceiling. .

환기장치(100)의 일측면으로는 실내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실내 연결용 환기덕트(10i)가 일대다(一對多) 분기하기 위한 분배유닛(300)을 매개로 장착되며, 그 타측면에 온도조절장치(200)가 장착되며, 온도조절장치(200)의 실외측 측면에는 실외 연결용 환기덕트(10e)가 연결될 수 있다.On one side of the ventilation device 100, a plurality of ventilation ducts 10i for indoor connection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room are mounted via the distribution unit 300 for branching one-to-many, and the other side there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is mounted on the ventilator duct (10e) for outdoor connection to the outdoor side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may be connect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장치(100)가 설치되는 공조실(as)은 베란다 또는 다용도실 등의 공간이 사용되고, 환기장치(100)가 설치되되는 공간은 에어컨의 실외기(he1, he2) 설치위치와 같다.As shown in Figure 1, the air conditioning room (as) in which the ventilation device 100 is installed, a space such as a veranda or a utility room is used, and the space in which the ventilation device 100 is installed is an outdoor unit (he1, he2) of the air conditioner installation same as location

에어컨의 실외기(he1, he2)는 열교환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해야 하므로 실외 방향으로 배치된 창문 등에 설치되고, 온도조절장치(200)가 장착된 환기장치(100) 역시 실외 연결용 덕트(10e)의 길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공조실(as) 창문 방향으로 설치되어야 한다.The outdoor units (he1, he2) of the air conditioner are installed on a window arranged in the outdoor direction, etc., because the heat-exchanged air must be discharged to the outdoors, and the ventilation device 100 equipped with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is also a duct for outdoor connection (10e) In order to minimize the length of the air conditioning room (as), it should be installed in the direction of the window.

그리고, 최근 아파트 등의 주거시설의 에어컨 등의 공조기는 거실 이외에도 실내공간마다 설치되는 경향이 있고, 그에 따라 실내기와 실외기(he1, he2)의 개수도 증가할 수 있다. And, recently, air conditioners such as air condition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such as apartments tend to be installed in each indoor space in addition to the living room, and accordingly, the number of indoor and outdoor units he1 and he2 may increase.

실외기의 열교환된 공기가 공조실(as) 내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며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he1, he2)를 프레임(fr) 등을 이용하여 적층시켜 배치하는 경우가 많다.In order to minimize the exhaust of the heat-exchanged air of the outdoor unit to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ing room (as) an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1, when the outdoor units he1 and he2 are stacked using a frame fr, etc. there are many

따라서, 온도조절장치(200)가 장착된 환기장치(100)는 공조실(as) 공간 내부에서 적층된 실외기(he1, he2) 상부에 설치되는 상황을 가정할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the ventilation device 100 equipped with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is installed above the outdoor units he1 and he2 stack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room (as) space.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장치(2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열회수 기능 이외에도 피톤치드액과 같은 항균액을 기화시켜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에 공급하여 환기장치(100)와 실내에 항균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항균액은 정기적으로 보충이 필요하다.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bacterial function to the ventilation device 100 and the room by supplying it to the air supplied to the room by vaporizing an antibacterial solution such as phytoncide solution in addition to the heat recovery func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 such antibacterial solutions need to be replenished regularly.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조절장치(200)의 위치가 작업자의 접근이 어려운 위치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항균액 공급부(220)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새로운 온도조절장치(200)를 제공한다. However, as shown in FIG. 1 , since the location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is a difficult location for an operator to access, a new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is installed to facilitate access to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환기장치(100)용 온도조절장치(20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for the ventila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도 2은 도 1의 환기장치(100)와 온도조절장치(200)의 직결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환기장치(100)와 온도조절장치(200)의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rect assembly state of the ventilation device 100 and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of FIG. 1 , and FIG. 3 is a separated state of the ventilation device 100 and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of FIG. A perspective view is shown.

환기장치(100)가 설치되는 공조실(as) 공간은 협소하고 실외기 등의 간섭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온도조절장치(200)의 두께가 지나치게 커지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조절장치(200)의 두께가 환기장치(100)의 두께보다 크게 증가되지 않게 구성되되 필요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항균액 공급부(220)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채용하여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Since the space in the air conditioning room (as) in which the ventilation device 100 is installed is narrow and interference from outdoor units, etc. may exist, the thickness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should be prevented from becoming excessively large. Therefore, as shown in FIG. 2, the thickness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is configured not to b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e thickness of the ventilation device 100, but if necessary,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220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will be described later. By adopting the structur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본 발명은 전열 교환기를 구비하고 마주보는 측면에 급기구와 배기구가 각각 구비된 환기장치(100)의 실외 방향 측면에 장착되는 환기장치(100)용 온도조절장치(200)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for a ventilation device 100 having a total heat exchanger and mount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ventilation device 100 having an air supply port and an exhaust port on opposite sides, respectively,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각각 공기가 유입되는 한 쌍의 급기구(270, 280); 상기 하우징(210)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각각 공기가 배출되는 한 쌍의 배기구(250, 260); 상기 하우징(210)의 실외측 측면에 구비되는 급기구와 배기구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급기구와 배기구를 개폐하는 제1 댐퍼부재(261) 및 제2 댐퍼부재(271); 및, 상기 하우징(210)에 구비되어 상기 환기장치(100)로부터의 실내 공기의 유입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제3 댐퍼부재(281);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항균 처리하기 위한 항균액이 수용되며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항균액 수용기(201)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210)에서 하부 방향으로 하강 또는 상기 하우징(210) 내부로 상승 구동이 가능하고, 하강된 상태에서 수평 이동되는 항균액 공급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항균액 공급부(220)에서 항균액이 기화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와 혼합되며, 상기 제1 댐퍼부재(261) 내지 제3 댐퍼부재(281)의 열림 또는 닫힘에 따라 상기 환기장치(100)를 경유한 실내공기가 항균되어 실내로 재공급되는 항균 순환모드, 실내 공기는 실외로 배출되며 실외 공기는 항균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항균 환기모드 또는 실내 공기의 일부는 실외 공기와 혼합 및 항균되어 실내로 공급되며 나머지 실내 공기는 실외로 배출되는 온도조절 항균 모드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100)용 온도조절장치(200)를 제공할 수 있다.housing 210; a pair of air inlet (270, 280)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to opposite sides of the housing (210), respectively; a pair of exhaust ports 250 and 260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respectively on opposite sides of the housing 210; a first damper member 261 and a second damper member 271 provided at the air supply and exhaust ports provid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housing 210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air supply and exhaust ports; and a third damper member 281 provided in the housing 210 to selectively block the inflow of indoor air from the ventilation device 100; An antibacterial solution for antibacterial treatment of the air supplied to the room is accommodated and an antibacterial solution receiver 201 that is detachably mounted is provided, and the housing 210 is driven downwardly or upwardly into the housing 210 . and an antimicrobial solution supply unit 220 that is horizontally moved in a lowered state, wherein the antimicrobial solution is vaporized in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220 and mixed with air supplied to the room, and the first damper member ( 261) to the antibacterial circulation mode in which the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ventilation device 100 is antibacterial and re-supplied to the room according to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third damper member 281,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doors and the outdoor air is antibacterial For the ventilation device 100,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riven in the antibacterial ventilation mode or part of the indoor air is mixed and antibacterial with the outdoor air and supplied to the room, and the remaining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the temperature-controlled antibacterial mode.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may be provided.

본 발명은 전열 교환기(130)를 구비하고 마주보는 측면에 급기구(150, 170)와 배기구(160, 180)가 각각 구비된 환기장치(100)의 실외 방향 측면에 장착되는 환기장치(100)용 온도조절장치(200)이며,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는 마주보는 양 측면에 각각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구(270, 280)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250, 260)가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급기구와 배기구는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ventilation device 100 mounted on the outdoor direction side of the ventilation device 100 having a total heat exchanger 130 and having air inlets 150 and 170 and exhaust ports 160 and 180 on opposite sides, respectively. It is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for, and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is provided with air supply ports 270 and 280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exhaust ports 250 and 260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respectively, on both sides facing each other, Each of the inlet and outlet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본 발명의 온도조절장치(200)가 장착되는 환기장치(100)는 급기와 배기의 온도차를 줄이기 위한 전열 교환기(130)를 구비하고, 오염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140)와 송풍팬(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열 교환기(130)는 유로가 교차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유동하는 공기의 열교환이 수행되는 방식일 수 있으며, 통상적인 환기장치(100)에 관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ventilation device 100 to which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cludes a total heat exchanger 130 for reduc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supply and exhaust, and at least one filter unit 140 for filtering contaminants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lowing fan (not shown). The total heat exchanger 130 may be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flow paths cross and heat exchange of flowing air is performed, and since it relates to the conventional ventilation device 100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환기장치(100)는 실내 방향과 실외 방향 마주보는 측면에 각각 한 쌍의 급기구(150, 170)와 배기구(160, 180)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ntilation device 100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air inlet (150, 170) and exhaust port (160, 180) on the side facing the indoor direction and the outdoor direction, respectively.

각각의 유로를 연결하는 급기구와 배기구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통되어 급기와 배기가 실내 방향 및 실외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The supply port and the exhaust port connecting each flow path are connected in a diagonal direction, so that the supply and exhaust can flow in the indoor direction and the outdoor direction.

본 발명의 온도조절장치(200)는 하우징(210)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각각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구(270, 280)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250, 260)가 각각 구비되고, 한 쌍의 마주보는 급기구와 배기구는 환기장치(100)를 경유한 배기가 온도조절장치(200)로 유입되는 제1 급기구(280)와 실외로 배기가 배출되는 제1 배기구(260)일 수 있다.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ir supply ports 270 and 280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exhaust ports 250 and 260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respectively, on opposite sides of the housing 210, respectively, and a pair The opposite air inlet and exhaust port may be the first air inlet 280 through which the exhaust through the ventilation device 100 flows in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nd the first exhaust outlet 260 through which the exhaust is discharged to the outdoors. .

또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급기구와 배기구는 실외 공기가 급기되는 제2 급기구(270)와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내부 영역을 경유하여 실내로 공기가 공급되는 제2 배기구(250)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inlet and the exhaust port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re a second air inlet 270 through which outdoor air is supplied and a second exhaust port through which air is supplied into the room through the inner region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 (250).

상기 제1 급기구(280)로 공급되는 실내 공기는 제1 배기구(260)를 통해 전량 실외로 배출되거나, 온도저절장치(200)를 경유하여 실내로 전량 회수되거나, 일부는 실외로 제1 배기구(260)을 통해 배출되고 나머지는 제2 급기구(270)을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와 혼합되어 실내로 공급될 수도 있다.All of the indoor air supplied to the first air inlet 280 is discharged to the outdoors through the first exhaust port 260 , or all of the indoor air is recovered indoors through the temperature saving device 200 , or some of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exhaust port.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260 and the remainder may be mixed with the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air inlet 270 and supplied to the room.

또한, 상기 제2 급기구(270)에서 공급된 실외 공기는 단독으로 제2 배기구(250)와 환기장치(100)를 경유하여 실내로 공급되거나, 상기 제1 급기구(280)로 공급되어 실외로 배출되지 않고 온도저절장치(200)를 경유한 실내 공기와 혼합되어 제2 배기구(250)와 환기장치(100)를 경유하여 실내로 공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door air supplied from the second air inlet 270 is independently supplied to the room via the second exhaust port 250 and the ventilation device 100, or is supplied to the first air inlet 280 to be supplied outdoors. It may be mixed with the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temperature saving device 200 without being discharged into the room and supplied to the room via the second exhaust port 250 and the ventilation device 100 .

여기서, 실내 공기가 급기되는 제1 급기구(280)에서 급기되는 실내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경우 상기 제1 배기구(260) 및 온도조절장치(200)를 관통하여 배출되고, 제2 급기구(270)을 통해 급기되는 실외 공기는 상기 제2 배기구(250) 및 상기 환기장치(100)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다.Here, when the indoor air supplied from the first air inlet 280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is supplied is discharged to the outdoors,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exhaust port 260 and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air inlet ( The outdoor air supplied through the 270 is supplied to the room through the second exhaust port 250 and the ventilation device 100 .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내부는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섞여 온도 조절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후술하는 항균액 공급부(220)에서 기화된 항균 기체가 실내로 다시 회수되는 실내공기 또는 실외에서 공급되는 실외 공기에 섞여 환기장치(100) 방향으로 공급되며 항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inside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can provide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by mixing indoor air and outdoor air, and in indoor air or outdoors in which the antibacterial gas vaporized in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220 to be described later is recovered back into the room. Mixed with the supplied outdoor air, it is supplied in the direction of the ventilation device 100 and may provide an antibacterial function.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폭은 상기 환기장치(100)의 폭과 일치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width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may match the width of the ventilation device 100 .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는 환기장치(100)에 체결되기 위하여 환기장치(100)의 측면 단부를 안착시켜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프(213)가 구비되어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조립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is provided with a clamp 213 for clamping by seating the side end of the ventilation device 100 in order to be fastened to the ventilation device 100 , thereby improving assembling property and stably maintaining the assembly state. can support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 각각 구비된 급기구와 배기구에 유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댐퍼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damper member for selectively blocking the flow path may be provided at the supply port and the exhaust port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

그리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하우징(210)의 두께는 상기 환기장치(100)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와 상기 환기장치(100)의 결합 영역에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는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며, 하방으로 돌출된 상기 온도조절장칭치의 하우징(210)의 실내 방향 외주면에 상기 항균액 공급부(220)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시키는 스위치(S)가 구비가 구비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2(b), the thickness of the housing 210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ventilation device 100, and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nd the ventilation device ( In the coupling region of 100),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is mounted to protrude downward instead of upward, and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220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210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that protrudes downward. ) may be provided with a switch (S) for driving a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온도조절장치(200)는 실내 공기를 온도조절장치(200)로 순환시키며 항균 처리 후 실내로 재공급하는 작동모드를 항균 순환모드, 실내 공기를 온도조절장치(200)로 순환시킴과 동시에 실외 공기도 온도조절장치(200)로 공급하여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혼합하여 실내의 급격한 온도 변화를 방지하며 항균 처리 후 실내로 재공급하는 온도조절 항균 모드 및 실내 공기는 실내로 배기하고 실외 공기는 항균 처리후 실내로 공급하는 항균 환기모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환기장치(100) 내에 공기정화필터가 구비되는 경우 위 3가지 작동모드 모두 공기청정 기능이 부가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irculates indoor air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nd the operating mode for re-supplying the room after antibacterial treatment is the antibacterial circulation mode, circulating the indoor air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nd At the same time, outdoor air is also suppli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to mix indoor air and outdoor air to prevent rapid temperature change in the room, and after antibacterial treatment, the temperature control antibacterial mode to re-supply to the room and indoor air to exhaust indoors and outdoor Air can provide an antibacterial ventilation mode that supplies air to the room after antibacterial treatment, and when an air purification filter is provided in the ventilation device 100, an air cleaning function can be added to all three operating modes above,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구비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배기구(260) 및 제2 급기구(270) 상에 각각 제1 및 제2 댐퍼부재(261, 271)가 구비되어, 상기 항균 순환모드에서 상기 제1 배기구(260) 및 제2 급기구(270)를 폐쇄할 수 있고, 항균 환기모드에서 상기 제1 배기구(260) 및 제2 급기구(270)를 개방할 수 있으며, 온도조절 항균 모드에서 상기 제1 배기구(260) 및 제2 급기구(270)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provided in FIGS. 2 and 3 , first and second damper members 261 and 271 are provided on the first exhaust port 260 and the second air supply port 270, respectively, so that the antibacterial The first exhaust port 260 and the second air inlet 270 can be closed in the circulation mode, and the first exhaust port 260 and the second air inlet 270 can be opened in the antibacterial ventilation mode, and the temperature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irst exhaust port 260 and the second air inlet 270 can be adjusted in the control antibacterial mode.

이외에도 상기 온도조절장치(200) 내부에 제3 댐퍼부재(281, 도 7 내지 도 9 참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 댐퍼부재(281)는 상기 환기장치(100)에서 공급된 실내 공기가 상기 온도조절장치(200) 내부를 순환하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In addition, a third damper member 281 (refer to FIGS. 7 to 9 ) may be further provided inside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 The third damper member 281 may selectively block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supplied from the ventilation device 100 circulates inside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

이러한, 항균 순환모드, 온도조절 항균 모드 및 항균 환기모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ntibacterial circulation mode, the temperature control antibacterial mode and the antibacterial ventilation mode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

상기 댐퍼부재들(261, 271, 281)은 유로를 차단하기 위한 댐퍼부재 및 댐퍼부재의 구동을 위한 구동 모터만을 구비하고 별도의 팬유닛이 생략될 수 있으며, 온도조절장치(200)의 제어부는 모터의 회전 제어만으로 댐퍼부재의 열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damper members 261, 271, and 281 have only a damper member for blocking the flow path and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damper member, and a separate fan unit may be omitted, and the control unit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i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damper member only by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motor.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온도조절장치(200)가 설치된 환기장치(100)의 측면도, 본 발명의 항균액 공급부(220)가 하강된 상태 및 항균액 공급부(220)가 하강된 상태에서 항균액 수용기(201)가 거치된 트레이(203, 도 6 참조)가 수평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다.4 is a side view of the ventilation device 100 installed with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It shows a state in which the tray 203 (refer to FIG. 6) on which the antibacterial solution receiver 201 is mounted is horizontally moved in the state.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장치(200)와 환기장치(100)는 상호 조립된 상태로 공조실(as) 천정에 설치되되 공조장치의 실외기 등과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a),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nd the ventil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air conditioning room (as) in a mutually assembled state, and interference with the out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minimized. can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장치(200)는 항균액을 기화시켜 항균 기능을 제공하므로, 주기적으로 항균액의 보충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장치(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환기장치(100)와 실외 공간 사이에 설치되므로 사용자의 접근이 어렵다.However, since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bacterial function by vaporizing the antibacterial liquid,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replenish the antibacterial liquid. However, since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ventilation device 100 and the outdoor space as described above, it is difficult for a user to access it.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온도조절장치(200)는 하부에 공조기의 실외기가 설치되므로, 작업자가 그 하부로 접근이 어려우므로 온도조절장치(200)의 하부로 접근하기가 어렵다.As shown in Fig. 4(a), since the out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ifficult for an operator to access the lower portion thereof. is difficult

따라서, 본 발명의 온도조절장치(200)를 구성하는 항균액 공급부(22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조절장치(200) 하부로 하강한 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수평방향, 즉 실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220 constituting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end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s shown in FIG. As shown, it can be configured to slide agai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in the indoor direction.

그리고, 상기 항균액 공급부(220)는 항균액이 수용되는 항균액 수용기(201)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는 하부로 하강 및 수평 이송된 항균액 공급부(220)에서 항균액 수용기(201)를 분리히여 항균액의 보충 등의 유지 보수 작업이 가능하다.And,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220 is equipped with an antibacterial solution receiver 201 in which the antibacterial solution is accommodated is detachably mounted, and the user can use the antibacterial solution receiver 201 in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220 that is lowered and horizontally transported. Maintenance work such as replenishment of antibacterial solution is possible by separating the

상기 항균액 공급부는 온도조절장치(200)의 하우징 내에 별도로 구비된 공급부 케이싱(20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upply unit casing 208 separately provided in the housing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장치(200) 및 항균액 공급부(220)의 작동 구조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structures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nd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도 5는 본 발명의 온도조절장치(200)의 항균액 공급부(220)가 공급부 케이싱(208) 내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6은 항균액 공급부(220)가 공급부 케이싱(208)에서 하강된 상태에서 항균액 수용기(201)가 거치된 트레이(203)가 수평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다.5 shows a state in which the antimicrobial solution supply unit 220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in the supply unit casing 208, and FIG. 6 shows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220 is lowered from the supply unit casing 208. It shows a state in which the tray 203 on which the antibacterial solution receiver 201 is mounted is horizontally moved in the state.

도 5(a)와 도 6(a)는 각각의 구동유닛이 관찰가능한 상태의 투시도이며, 도 5(b)와 도 6(b)는 공급부 케이싱(208), 베이스 부재(202), 트레이(203) 및 항균액 수용기(201)가 도시 가능한 상태의 투시도이다.5 (a) and 6 (a) are perspective views of each drive unit observable, and FIGS. 5 (b) and 6 (b) are the supply part casing 208, the base member 202, the tray ( 203) and the antibacterial solution receptor 201 are perspective views in a state that can be shown.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장치(200)는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항균 처리하기 위한 항균액이 수용되며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항균액 수용기(201)가 구비되고,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하우징(210)에서 하부 방향으로 하강 또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하우징(210) 내부로 상승 구동이 가능하고, 하강된 상태에서 수평 이동되는 항균액 공급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n antibacterial solution for antibacterial treatment of air supplied to a room and is provided with an antibacterial solution receiver 201 that is detachably mounted, and a housing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220 is capable of descending from 210 downward or upwardly driven into the housing 210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nd horizontally moved in the lowered stat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

이러한 항균액 공급부(220)는 사용자 편의를 위하여 승강 구동 및 수평 구동되기 위히여, 상기 항균액 수용기(201)가 상부에 거치되고, 상기 항균액 수용기(201)에서 공급된 항균액이 스며들어 기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화구가 구비된 트레이(203); 상기 트레이(203)가 상부에 거치되는 베이스 부재(202); 상기 트레이(203)가 거치된 상기 베이스 부재(202)를 상기 하우징(210)에서 하부 방향으로 하강 또는 상기 하우징(210) 내부로 상승 구동하기 위한 승강 구동유닛; 상기 승강 구동유닛에서 하강된 상기 베이스 부재(202)에서 상기 트레이(203)를 수평 구동하기 위한 수평 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antimicrobial solution supply unit 220 is lifted and horizontally driven for user convenience, so that the antimicrobial solution receiver 201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and the antimicrobial solution supplied from the antimicrobial solution receiver 201 permeates and vaporizes. a tray 203 provided with at least one vaporizer; a base member 202 on which the tray 203 is mounted; an elevating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base member 202 on which the tray 203 is mounted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housing 210 or upwardly driving the housing 210; A horizontal drive unit for horizontally driving the tray 203 in the base member 202 lowered from the elevating drive un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항균액 수용기(201)는 피톤치드 원액 등이 수용되는 수통 형태로 구성되며, 트레이(203)에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The antibacterial solution receiver 201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anister in which a phytoncide stock solution is accommodated, and may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tray 203 without a separate fastening member.

상기 트레이(203)는 상기 항균액 수용기(201)에서 공급된 항균액이 스며들어 기화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기화구가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tray 203 may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antibacterial liquid supplied from the antibacterial liquid receiver 201 is permeated and vaporized, and a plurality of vaporization holes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상기 트레이(203)는 베이스 부재(202)에 수평 이송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부재(202)는 온도조절장치(200)를 구성하는 하우징(210)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The tray 203 may be mounted to the base member 202 to be horizontally transported, and the base member 202 may be mounted to the housing 210 constituting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to be liftable.

상기 베이스 부재(202)는 온도조절장치(200)의 항균액 공급부를 구성하는 케이싱(208) 측에 고정된 가이드 레일(222)과 상기 가이드 레일(2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슬라이딩 가이드(223)를 구비하여 승강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base member 202 includes a guide rail 222 fixed to the side of the casing 208 constituting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nd a sliding guide 223 slidably fastened to the guide rail 222 . ) and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그리고, 상기 베이스 부재(202)와 상기 트레이(203) 역시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딩 가이드가 구비되어 수평 이송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member 202 and the tray 203 may also have a structure in which a guide rail and a sliding guide are provided to enable horizontal transport.

상기 항균액 공급부(220)를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202)를 온도조절장치(200)의 하우징(210)에서 승강 구동하는 역할은 승강 구동유닛에 의한다.The role of lifting and lowering the base member 202 constituting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220 in the housing 210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is performed by the lifting driving unit.

상기 승강 구동유닛은 수평 방향으로 구동축이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210) 측에 장착되는 수평 구동축 모터(206), 상기 수평 구동축 모터(206)의 구동축에 연결된 수평 피니언 기어(209) 및 상기 수평 피니언 기어(209)에 의하여 구동되고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항균액 공급부(220)의 베이스 부재(202)에 장착되는 수직 랙부재(20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elevating drive unit includes a horizontal drive shaft motor 206 having a drive shaft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mounted on the housing 210 side, a horizontal pinion gear 209 connected to a drive shaft of the horizontal drive shaft motor 206, and the horizontal pinion gear The vertical rack member 208 driven by the 209 and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mounted on the base member 202 of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2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따라서, 상기 항균액 공급부(220)의 승강 구동이 필요한 경우 상기 수평 구동축 모터(206) 및 수평 피니언 기어(209)를 회전시키면 상기 베이스 부재(202) 측에 연결된 수직 랙부재(208)가 상기 수평 피니언 기어(209)에 승강 구동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220 needs to be driven up and down, when the horizontal drive shaft motor 206 and the horizontal pinion gear 209 are rotated, the vertical rack member 208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202 side becomes the horizontal It may be driven up and down by the pinion gear 209 .

상기 승강 구동유닛은 수직 랙부재(208)의 승강 위치에 따라 상기 수평 구동축 모터(206)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싱유닛(225)이 구비될 수 있다.The lifting drive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ing unit 225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orizontal drive shaft motor 206 according to the lifting position of the vertical rack member 208 .

상기 센싱유닛(225)은 상기 수직 랙부재(208)의 기어산의 개수를 카운팅 하거나 기타 돌기 등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수평 구동축 모터(206)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225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orizontal drive shaft motor 206 by counting the number of gear mounts of the vertical rack member 208 or detecting other protrusions.

상기 센싱유닛(225)은 수직 랙부재(208)의 상단과 하단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A pair of the sensing unit 225 may be provided to sense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vertical rack member 208 .

그리고, 상기 수평 구동유닛은 상기 승강 구동유닛이 상기 항균액 공급부(220)를 상기 하우징(210)에서 하방으로 하강시킨 상태에서 구동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202)에 장착된 트레이(203)을 실내측 방향으로 수평 이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drive unit is driven in a state in which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220 is lowered from the housing 210 by the elevating drive unit to move the tray 203 mounted on the base member 202 to the indoor side. can be moved horizontally.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 구동유닛은 상기 베이스 부재(202)를 포함하는 항균액 공급부(220)를 온도조절장치(200) 내부에서 하방으로 하강시키거나 하강된 상태의 상기 항균액 공급부(220)를 온도조절장치(200) 내부로 상승 구동시키는 구성이고, 상기 수평 구동유닛은 상기 승강 구동유닛에 의하여 하강한 상기 항균액 공급부(220)를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202)에서 항균액 수용기(201)가 장착된 트레이(203)를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방향으로 수평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levating driving unit lowers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220 including the base member 202 downward in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or lowers the temperature of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220 in the lowered state. The control device 200 is configured to be driven upwardly, and the horizontal driving unit is equipped with an antibacterial solution receiver 201 in the base member 202 constituting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220 lowered by the elevation driving unit. It is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of horizontally transporting the tray 203 in a direction that is easy to access by a user.

상기 수평 구동유닛은 수직 방향으로 구동축이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202) 측에 장착되는 수직 구동축 모터(205), 상기 수직 구동축 모터(205)의 구동축에 연결된 수직 피니언 기어(204) 및 상기 수직 피니언 기어(204)에 의하여 구동되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항균액 공급부(220)의 상기 트레이(203)에 장착되는 수평 랙부재(20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horizontal drive unit includes a vertical drive shaft motor 205 having a drive shaft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mounted on the side of the base member 202 , a vertical pinion gear 204 connected to a drive shaft of the vertical drive shaft motor 205 , and the vertical pinion A horizontal rack member 207 driven by the gear 204 and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mounted on the tray 203 of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2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수평 구동유닛의 트레이(203) 구동방식은 상기 승강 구동유닛의 베이스 부재(202) 구동방식과 유사하다. 상기 수직 구동축 모터(205)와 수직 피니언 기어(204)의 회전에 의하여 트레이(203)에 장착된 수평 랙부재(207)가 추진되어 트레이(203)가 베이스 부재(202)에서 진퇴 이송이 가능하다.The driving method of the tray 203 of the horizontal driving unit is similar to the driving method of the base member 202 of the elevating driving unit. The horizontal rack member 207 mounted on the tray 203 is propelled by the rotation of the vertical drive shaft motor 205 and the vertical pinion gear 204 , so that the tray 203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base member 202 . .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온도조절장치(200)의 승강 구동유닛과 수평 구동유닛은 항균액 보충이 필요한 경우 작업자가 온도조절장치(200)에 구비된 전술한 스위치(S)를 조작하여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근방에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균액 수용기(201)에 수용된 항균액의 수위를 표시하기 위한 조명유닛(l)이 구비되어 항균액의 부족시 사용자가 이를 식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evation driving unit and the horizontal driving unit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by the operator operating the above-described switch (S) provided in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when the antibacterial solution is required to be replenished. .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b) near the switch, a lighting unit l for displaying the level of the antibacterial solution contained in the antibacterial solution receiver 201 is provided, so that when the antibacterial solution is insufficient, the user can identify it can make it

예를 들면, 상기 스위치(S)의 제1 작동시 상기 승강 구동유닛에 의하여 상기 항균액 공급부(220)가 상기 하우징(210)에서 하강 후 상기 수평 구동유닛에 의하여 상기 트레이(203)가 상기 베이스 부재(202) 상에서 실내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고, 상기 스위치의 제2 작동시 상기 수평 구동유닛에 의하여 상기 항균액 공급부(220)가 상기 베이스 부재(202) 상에서 원위치로 이송되고, 상기 승강 구동유닛에 의하여 상기 항균액 공급부(220)가 상기 하우징(210) 내측으로 복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during the first operation of the switch S,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220 is lowered from the housing 210 by the lifting driving unit, and then the tray 203 is moved to the base by the horizontal driving unit. It is horizontally moved on the member 202 in the indoor direction, and when the switch is operated in the second operation,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220 is transferred to the original position on the base member 202 by the horizontal driving unit, and the elevating driving unit Thus, the antimicrobial solution supply unit 220 may be configured to return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210 .

물론, 상기 스위치(S)의 제어를 수평 이동과 승강 이동을 분리하여 세분화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control of the switch (S) may be configured by dividing the horizontal movement and the lifting movement separately.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장치(200)는 상기 항균액 공급부(220)에서 항균액이 기화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와 혼합되며, 상기 제1 댐퍼부재(261) 내지 제3 댐퍼부재(281)의 열림 또는 닫힘에 따라 상기 환기장치(100)를 경유한 실내공기가 항균되어 실내로 재공급되는 항균 순환모드, 실내 공기는 실외로 배출되며 실외 공기는 항균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항균 환기모드 또는 실내 공기의 일부는 실외 공기와 혼합 및 항균되어 실내로 공급되며 나머지 실내 공기는 실외로 배출되는 온도조절 항균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이하 도 7 이하를 참조하여 설명한다.In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bacterial liquid is vaporized in the antibacterial liquid supply unit 220 and mixed with air supplied to the room, and the first damper member 261 to the third damper member 281 are An antibacterial circulation mode in which the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ventilation device 100 is antibacterial and re-supplied to the room according to opening or closing, an antibacterial ventilation mode in which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doors and the outdoor air is antibacterial and supplied to the room or indoor air A part of the air is mixed with outdoor air and supplied to the room, and the remaining indoor air can be driven in a temperature-controlled antibacterial mode tha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or less.

도 7는 본 발명의 온도조절장치(200)와 환기장치(100)가 항균 순환모드로 운전되는 상태에서의 공기의 유로를 도시한다.7 shows an air flow path in a state in which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nd the ventila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perated in the antibacterial circulation mode.

상기 항균 순환모드에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제1 댐퍼부재(261) 및 제2 댐퍼부재(271)는 닫힘 상태가 되며,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제3 댐퍼부재(281)는 열림 상태로 제어되어, 상기 환기장치(100)를 경유한 실내 공기가 상기 온도조절장치(200) 내부를 순환하며 기화된 항균액에 의하여 항균 처리되어 환기장치(100)로 공급될 수 있다.In the antibacterial circulation mode, the first damper member 261 and the second damper member 271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re in a closed state, and the third damper member 281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is Controlled in an open state,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ventilation device 100 circulates inside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 and may be antibacterially treated by the vaporized antibacterial liquid and supplied to the ventilation device 100 .

또한, 온도조절장치(200), 환기장치(100) 또는 환기덕트 내부의 항균 처리를 위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200) 내부는 경유하는 실내 공기, 실외 공기 또는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혼합 공기는 항균액 공급부(220)의 트레이(203)에서 기화된 항균액 또는 항균 가스가 혼합되어 환기장치(100)로 유동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antibacterial treatment inside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the ventilation device 100 or the ventilation duct, the indoor air, outdoor air, or mixed air of indoor air and outdoor ai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is antibacterial. The antibacterial liquid or antibacterial gas vaporized in the tray 203 of the liquid supply unit 220 may be mixed and flow to the ventilator 100 .

상기 항균액으로서의 피톤치드(액)은 식물이 병원균·해충·곰팡이에 저항하려고 내뿜거나 분비하는 물질로, 피톤치드에 노출되면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장과 심폐기능이 강화되며 살균작용도 이루어진다. 따라서, 피톤치드가 농축된 농축액 형태의 피톤치드액을 미스트 형태로 유로를 흐르는 공기에 분사하여 온도조절장치(200), 환기장치(100)(특히, 전열교환기 또는 송풍팬 주변 영역) 및 환기덕트 전체를 살균 또는 세균증식 예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Phytoncide (liquid) as the antibacterial liquid is a substance that plants emit or secrete to resist pathogens, pests, and fungi, and when exposed to phytoncide, stress is relieved, intestinal and cardiopulmonary functions are strengthened, and sterilization is also performed. Therefore,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the ventilation device 100 (in particular, the area around the total heat exchanger or blower fan) and the entire ventilation duct by spraying the phytoncide solution in the form of a concentrated solution in the form of mist into the air flowing through the flow path. It can provide a function of sterilization or prevention of bacterial growth.

실외 공기의 온도가 너무 낮거나 높은 경우, 실내 공기의 환기는 불필요하지만 실내 공기의 정화가 필요한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온도조절장치(200)는 항균 순환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When the temperature of the outdoor air is too low or too high, ventilation of the indoor air is unnecessary, but when purification of the indoor air is required, as shown in FIG. can

이 경우,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항균 순환모드로 구동되는 경우, 실내 공기의 배기 및 실외 공기의 급기가 불필요하므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급기구와 배기구에 구비된 댐퍼 부재는 모두 닫힘 상태가 되며,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내부에 설치된 댐퍼부재는 열림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댐퍼부재(261) 및 상기 제2 댐퍼부재(271)는 닫힘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제3 댐퍼부재(281)만 열림 상태에서 환기장치(100)를 구동하면, 실내 공기는 상기 환기장치(100)를 순환하며 항균처리 후 제2 배기구(250) 및 상기 환기장치(100)를 경유하여 실내로 공급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is driven in the antibacterial circulation mode, exhaust of indoor air and supply of outdoor air are unnecessary. It becomes a closed state, and the damper member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may be controlled to an open state. Specifically, when the first damper member 261 and the second damper member 271 are controlled to be closed and only the third damper member 281 is driven in the open state, when the ventilation device 100 is driven, indoor air is After circulating the ventilation device 100 and antibacterial treatment, it may be supplied to the room via the second exhaust port 250 and the ventilation device 100 .

일반적으로 환기장치(100)에도 필터부(140a, 140b)가 구비되므로 항균 순환모드에서도 공기 정화 기능을 일부 수행할 수 있다.In general, since the ventilator 100 is also provided with the filter units 140a and 140b, it is possible to partially perform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even in the antibacterial circulation mode.

도 8는 본 발명의 온도조절장치(200)와 환기장치(100)가 일반 항균 환기모드로 운전되는 상태에서의 공기의 유로를 도시한다.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의 온도차가 크지 않고 환기가 필요한 상태일 수 있다.8 shows an air flow path in a state in which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nd the ventila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perated in a general antibacterial ventilation mod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may not be large and ventilation may be required.

상기 항균 환기모드에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제1 댐퍼부재(261) 및 제2 댐퍼부재(271)는 열림 상태가 되며,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제3 댐퍼부재(281)는 닫힘 상태로 제어되어, 상기 환기장치(100)를 경유한 실내 공기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을 관통하여 실외로 배출되며, 실외에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 내부를 지나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을 통해 상기 환기장치(100)로 공급될 수 있다.In the antibacterial ventilation mode, the first damper member 261 and the second damper member 271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re in an open state, and the third damper member 281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is Controlled in the closed state, the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ventilation device 100 passes through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air supplied from the outside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nd the It may be supplied to the ventilation device 100 through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장치(100)를 경유하며 열교환된 실내 공기는 온도조절장치(200)의 제1 급기구(280)로 공급되고 제1 배기구(26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며, 실외 공기는 제2 급기구(270)를 통해 공급된 후 온도조절장치(200)를 관통하며 마찬가지로 항균되어 제2 배기구(250) 및 전열 교환기(130)를 구비한 환기장치(100)를 통해 실내로 공급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indoor air heat-exchanged through the ventilation device 100 is supplied to the first inlet 280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exhaust port 260, After being supplied through the second air inlet 270 , the outdoor air passes through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 and is likewise antibacterial through the ventilation device 100 having the second exhaust port 250 and the total heat exchanger 130 . can be supplied with

이 경우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항균 환기모드로 구동되는 경우,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댐퍼 부재는 모두 열림 상태가 되며,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내부의 댐퍼부재는 닫힘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is driven in the antibacterial ventilation mode, all damper members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re in an open state, and the damper members inside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re closed. can be controlled with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댐퍼부재(261) 및 상기 제2 댐퍼부재(271)는 열림 상태로 제어되고 상기 제3 댐퍼부재(281)만 닫힘 제어된 상태로 환기장치(100)를 구동하면, 환기장치(100)를 통해 온도조절장치(200)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3 댐퍼부재(281)에 의하여 온도조절장치(200) 내부를 경유하지 못하고 배출될 수 있다. 반면, 온도조절장치(200)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는 항균처리되며 실내로 공급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ventilation device 100 is drive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damper member 261 and the second damper member 271 are controlled to be open and only the third damper member 281 is controlled to be closed, ventilation Air flowing in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through the device 100 may be discharg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by the third damper member 281 . On the other hand, the outdoor air flowing in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may be antibacterially treated and supplied to the room.

도 9은 본 발명의 온도조절장치(200)와 환기장치(100)가 온도조절 항균 모드로 운전되는 상태에서의 공기의 유로를 도시한다.9 shows an air flow path in a state in which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nd the ventila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perated in the temperature control antibacterial mode.

상기 온도조절 항균 모드에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제1 댐퍼부재(261) 및 제2 댐퍼부재(271)는 일부 열림 상태로 제어되고,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제3 댐퍼부재(281)는 열림 상태 또는 일부 열림 상태로 제어되어 상기 환기장치(100)를 경유한 실내 공기의 일부가 실외에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을 통해 공급된 실외 공기와 상기 온도조절장치(200) 내부에서 혼합되어 환기장치(100)로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환기장치(100)를 경유한 실내 공기의 나머지가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을 관통하여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In the temperature control antibacterial mode, the first damper member 261 and the second damper member 271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re controlled to be partially open, and the third damper member ( 281) is controlled in an open state or partially open state, so that a part of the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ventilation device 100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from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is mixed and supplied to the ventilation device 100 , and the remainder of the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ventilation device 100 may pass through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nd be discharged to the outdoors.

실내 공기의 항균처리가 필요하지만,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온도차가 커 일반 항균 환기모드로 운전되는 경우 에너지 손실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본 발명의 온도조절장치(200)는 온도조절 항균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Although antibacterial treatment of indoor air is required,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indoor air and outdoor air is large and energy loss is expected to be large when operated in the general antibacterial ventilation mode,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in the temperature control antibacterial mode can be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온도조절 항균 환기모드로 구동되는 경우,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댐퍼 부재는 일부 열림 상태로 제어되며,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댐퍼부재는 열림 상태 또는 일부 열림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When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is driven in the temperature control antibacterial ventilation mode, the damper member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is controlled to a partially open state, and the damper member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is in an open state or It can be controlled in some open state.

즉, 상기 제1 댐퍼부재(261), 상기 제2 댐퍼부재(271) 및 상기 제3 댐퍼부재(281)는 일부 개방(일부 열림)된 상태에서 환기장치(100)를 구동하면, 환기장치(100)를 통해 온도조절장치(200)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의 일부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 내부로 유동하고 나머지 공기는 제1 배기구(26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상기 제3 댐퍼부재(281) 역시 개방 또는 일부 개방된 상태이므로 온도조절장치(200) 내부로 유동하는 공기는 필터부(290) 측으로 유동하고, 제2 댐퍼부재(271) 역시 개방된 상태이므로 실외 공기가 제2 급기구(270)를 통해 공급되어 전술한 실내 공기와 혼합되며 항균처리 후 제2 배기구(250) 및 상기 환기장치(100)를 경유하여 실내로 공급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first damper member 261, the second damper member 271, and the third damper member 281 are partially opened (partially open) when the ventilation device 100 is driven, the ventilation device ( Part of 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through 100) flows in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 and the remaining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exhaust port 260 . Since the third damper member 281 is also in an open or partially opened state, the air flowing in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flows toward the filter unit 290, and the second damper member 271 is also in an open state, so Air is supplied through the second air inlet 270 to be mixed with the above-mentioned indoor air, and may be supplied to the room through the second exhaust port 250 and the ventilation device 100 after antibacterial treatment.

즉,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일부 섞어 에너지 낭비 또는 열충격을 최소화하며,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항균처리까지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minimize energy waste or thermal shock by mixing a portion of indoor air and outdoor air, and even antibacterially treat the air supplied to the room.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댐퍼부재(261, 271, 281)는 닫히거나 열림되거나, 일부 개방시에는 45도로 개방되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나, 실외와 실내의 온도차 또는 열손실량 등을 고려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200) 및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댐퍼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댐퍼 부재의 일부 열림 상태의 열림 비율은 나머지 댐퍼 부재의 열림 비율은 서로 다르게 구성(예를 들면, 30도 또는 60도)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온도조절장치(200) 및 상기온도조절장치(200)의 댐퍼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댐퍼 부재의 일부 열림 상태의 열림 비율은 나머지 댐퍼 부재의 열림 비율은 서로 다를 수 있다.7 to 9, each of the damper members 261, 271, and 281 may be expected to be closed, opened, or partially opened at 45 degrees, but the temperature difference or heat loss between the indoor and the outdoor etc., the opening ratio of the partially opened state of at least one damper member among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nd the damper member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opening ratio of the other damper members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eg for example, 30 degrees or 60 degrees). In summary, the opening ratio of the partially opened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nd the damper member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other damper members.

이와 같이,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가 크지만 환기가 필요한 경우, 실내 공간의 공조 부하를 줄이며 환기를 수행하도록 하면서도 환기 및 항균 처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As such, when ventilation is required even though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nd outdoor spaces is large, ventilation and antibacterial treatment can be simultaneously performed while reducing the air conditioning load of the indoor space and performing ventilation.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댐퍼부재를 제어하는 것으로 별도의 송풍팬 등을 구비하지 않아도 환기장치(100)의 동작에 따라 다양한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7 to 9 ,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damper member and can be driven in various mod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device 100 without a separate blower fan.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혹한 또는 폭염시 환기를 수행하면서도, 배기되는 실내 공기와 급기되는 실외 공기를 혼합하여 실내 열충격을 완화하여 공조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ir conditioning load by mixing the exhausted indoor air with the supplied outdoor air while ventilating during a severe cold or heat wave to alleviate the indoor thermal shock.

도 10은 본 발명의 온도조절장치(200)의 항균액 공급부(22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10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220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장치(200)는 베이스 부재(202)에 슬라이딩 가능한 트레이(203) 상에 착탈 가능한 항균액 수용기(201)가 장착된다.In the thermosta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movable antibacterial solution receiver 201 is mounted on a tray 203 slidable on a base member 202 .

상기 항균액 수용기(201)는 항균액 투입구가 하방으로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203)에 장착시 상기 항균액 수용기(201)에서 항균액이 트레이(203)로 공급되는 탄성 개방밸브(201v)가 구비될 수 있다.The antimicrobial solution receiver 201 has an antibacterial solution inlet downward, and an elastic opening valve 201v through which the antimicrobial solution is supplied to the tray 203 from the antimicrobial solution receiver 201 when mounted on the tray 203 is provided. can be provided.

따라서, 상기 항균액 수용기(201)가 트레이(203)에 안착되면, 상기 탄성 개방밸브가 개방되고 트레이(203) 방향으로 항균액 수용기(201)에 저장된 항균액이 공급될 수 있고, 트레이(203)에 공급된 항균액과 항균액 수용기(201)에 잔류하는 항균액(P)의 수위의 균형이 형성될 때까지 항균액 수용기에서 항균액이 공급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antibacterial solution receiver 201 is seated on the tray 203 , the elastic opening valve is opened and the antibacterial solution stored in the antibacterial solution receiver 201 can be supplied to the tray 203 in the tray 203 . ), the antimicrobial solution may be supplied from the antimicrobial solution receiver until a balance is formed between the level of the antimicrobial solution supplied to the antimicrobial solution and the antimicrobial solution P remaining in the antimicrobial solution receiver 201 .

그리고 상기 항균액 수용기(201) 내부에 수용된 항균액(P)의 저항값을 통해 상기 항균액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센서 및 상기 수위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항균액 수위를 표시하는 조명유닛(l)이 구비되며, 상기 조명유닛은 온도조절장치(200)의 하우징(210) 외주면에 장착되어 사용자는 항균액의 보충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And a water level sensor for measuring the level of the antibacterial liquid through the resistance value of the antibacterial liquid (P) accommodated in the antibacterial liquid receiver 201, and a lighting unit that displays the antibacterial liquid level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water level sensor ( l) is provided, and the lighting unit is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210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so that the user can determine when to replenish the antibacterial solution.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described below. will be able to carry out Therefore, if the modified implementation basically includes th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m should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환기장치
200 : 온도조절장치
201 : 항균액 수용기
220 : 항군액 공급부
100: ventilation device
200: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1: antibacterial solution receptor
220: anti-gun solution supply unit

Claims (12)

전열 교환기를 구비하고 마주보는 측면에 급기구와 배기구가 각각 구비된 환기장치의 실외 방향 측면에 장착되는 환기장치용 온도조절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각각 공기가 유입되는 한 쌍의 급기구;
상기 하우징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각각 공기가 배출되는 한 쌍의 배기구;
상기 하우징의 실외측 측면에 구비되는 급기구와 배기구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급기구와 배기구를 개폐하는 제1 댐퍼부재 및 제2 댐퍼부재;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환기장치에서 유입된 실내 공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제3 댐퍼부재;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항균 처리하기 위한 항균액이 수용되며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항균액 수용기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에서 하부 방향으로 하강 또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상승 구동이 가능하고, 하강된 상태에서 수평 이동되는 항균액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항균액 공급부에서 항균액이 기화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와 혼합되며, 상기 제1 댐퍼부재 내지 제3 댐퍼부재의 열림 또는 닫힘에 따라 상기 환기장치를 경유한 실내공기가 항균되어 실내로 재공급되는 항균 순환모드, 실내 공기는 실외로 배출되며 실외 공기는 항균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항균 환기모드 또는 실내 공기의 일부는 실외 공기와 혼합 및 항균되어 실내로 공급되며 나머지 실내 공기는 실외로 배출되는 온도조절 항균 모드로 구동되며,
상기 항균액 공급부는 상기 항균액 수용기가 상부에 거치되고, 상기 항균액 수용기에서 공급된 항균액이 스며들어 기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화구가 구비된 트레이; 상기 트레이가 상부에 거치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트레이가 거치된 상기 베이스 부재를 상기 하우징에서 하부 방향으로 하강 또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상승 구동하기 위한 승강 구동유닛; 상기 승강 구동유닛에서 하강된 상기 베이스 부재에서 상기 트레이를 수평 구동하기 위한 수평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온도조절장치.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ventilation device that is provided with a total heat exchanger and is mounted on an outdoor-facing side of a ventilation device having an air inlet and an exhaust port on opposite sides, respectively,
housing;
a pair of air inlet through each of the opposite sides of the housing;
a pair of exhaust ports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respectively, on opposite sides of the housing;
a first damper member and a second damper member provided at the supply port and the exhaust port provid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housing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supply port and the exhaust port; and,
a third damper member provided in the housing to selectively block indoor air introduced from the ventilation device;
The antibacterial solution for antibacterial treatment of the air supplied to the room is accommodated and an antibacterial solution receiver is provided which is detachably mounted, and it is possible to move downward from the housing or upwardly into the housing, and horizontally in the lowered state. Including;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that moves
In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the antibacterial solution is vaporized and mixed with air supplied to the room, and as the first to third damper members are opened or closed, the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ventilation device is antibacterial and re-supplied into the room. In antibacterial circulation mode,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doors and outdoor air is antibacterial and supplied to the room. Driven in adjustable antibacterial mode,
The antimicrobial solution supply unit includes: a tray having the antimicrobial solution receiver mounted thereon, and at least one vaporizing port through which the antimicrobial solution supplied from the antimicrobial solution receiver is permeated and vaporized; a base member on which the tray is mounted; a lifting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base member on which the tray is mounted to descend from the housing or upwardly into the housing;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ventilation device comprising a; a horizontal drive unit for horizontally driving the tray on the base member lowered from the lifting drive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하우징 측에 고정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온도조절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member includes a guide rail fixed to the housing side and a sliding guide slidably fastened to the guide ra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유닛은 수평 방향으로 구동축이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측에 장착되는 수평 구동축 모터, 상기 수평 구동축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된 수평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수평 피니언 기어에 의하여 구동되고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항균액 공급부의 베이스 부재에 장착되는 수직 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온도조절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levating drive unit is driven by a horizontal drive shaft motor having a drive shaft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mounted on the housing side, a horizontal pinion gear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horizontal drive shaft motor, and the horizontal pinion gear and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antibacterial solution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ventilation device comprising a; vertical rack member mounted on the base member of the supply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구동유닛은 수직 방향으로 구동축이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 측에 장착되는 수직 구동축 모터, 상기 수직 구동축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된 수직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수직 피니언 기어에 의하여 구동되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항균액 공급부의 상기 트레이에 장착되는 수평 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온도조절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orizontal drive unit is driven by a vertical drive shaft motor having a drive shaft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mounted on the side of the base member, a vertical pinion gear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vertical drive shaft motor, and the vertical pinion gear and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antibacterial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ventilation device comprising a; a horizontal rack member mounted on the tray of the liquid supply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구동유닛은 상기 승강 구동유닛이 상기 항균액 공급부를 상기 하우징에서 하방으로 하강시킨 상태에서 구동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를 실내측 방향으로 수평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온도조절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horizontal drive unit is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ventil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 drive unit is driven in a state in which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is lowered from the housing to horizontally transport the base member in the indoor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장치의 하우징의 두께는 상기 환기장치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온도조절장치와 상기 환기장치의 결합 영역에서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며, 하방으로 돌출된 상기 온도조절장치의 하우징의 실내 방향 외주면에 상기 항균액 공급부를 구동시키는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온도조절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housing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ventilation device, and in the area where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the ventilation device are combined,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is mounted to protrude downward instead of upward, and to protrude downward.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ventil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witch for driving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in the interior dire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의 제1 작동시 상기 승강 구동유닛에 의하여 상기 항균액 공급부가 상기 하우징에서 하강 후 상기 수평 구동유닛에 의하여 상기 트레이가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서 실내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온도조절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n the switch is first operated, after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is lowered from the housing by the lifting driving unit, the tray is horizontally moved on the base member in the indoor direction by the horizontal driving unit. thermosta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의 제2 작동시 상기 수평 구동유닛에 의하여 상기 항균액 공급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서 원위치로 이송되고, 상기 승강 구동유닛에 의하여 상기 항균액 공급부가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온도조절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Ventil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witch is operated in a second operation,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is transferred to the original position on the base member by the horizontal driving unit, and the antibacterial solution supply unit is return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by the elevating driving unit for thermost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액 수용기는 상기 트레이에 장착시 상기 항균액 수용기에서 항균액이 트레이로 공급되는 탄성 개방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온도조절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ventil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bacterial solution receiver is provided with an elastic opening valve for supplying the antimicrobial solution from the antibacterial solution receiver to the tray when mounted on the tr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액 수용기 내부에 수용된 항균액의 저항값을 통해 상기 항균액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센서 및 상기 수위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항균액 수위를 표시하는 조명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온도조절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water level sensor for measuring the level of the antibacterial liquid through the resistance value of the antibacterial liquid accommodated inside the antibacterial liquid receiver, and a lighting unit for displaying the antibacterial liquid level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water level sensor Ventil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hermostat for the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유닛 또는 상기 수평 구동유닛은 각각의 상기 수평 구동축 모터 또는 상기 수직 구동축 모터의 작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센서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온도조절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ventil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vating drive unit or the horizontal drive unit is provided with a sensor unit for limiting the operating range of each of the horizontal drive shaft motor or the vertical drive shaft motor.
KR1020220078608A 2022-06-28 2022-06-28 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For Ventilation Apparatus KR1024401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608A KR102440158B1 (en) 2022-06-28 2022-06-28 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For Ventil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608A KR102440158B1 (en) 2022-06-28 2022-06-28 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For Ventilation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158B1 true KR102440158B1 (en) 2022-09-05

Family

ID=83279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608A KR102440158B1 (en) 2022-06-28 2022-06-28 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For Ventila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158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8390A (en) * 2009-12-31 2011-07-07 이성수 A vaporizing type - air sterilizer
KR101652214B1 (en) * 2016-04-19 2016-09-05 (주) 쏘노 Ventilation Device
KR101710122B1 (en) * 2014-12-22 2017-02-28 주식회사 이피아 Ventilation apparatus of stand type and heat transfer structure and phytoncides supplying of natural evaporation type
KR20170133683A (en) * 2016-05-26 2017-12-06 주식회사 티아이씨 A ventilator for waste heat recovery
KR101996782B1 (en) * 2019-03-15 2019-07-04 윤병석 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For Ventilation Apparatus
KR102011247B1 (en) * 2019-05-02 2019-08-14 윤병석 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And Ventilation System Having the Same
KR102195857B1 (en) * 2020-06-03 2020-12-28 은성화학(주)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with internal circulation air cleaning mode and control room thereof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8390A (en) * 2009-12-31 2011-07-07 이성수 A vaporizing type - air sterilizer
KR101710122B1 (en) * 2014-12-22 2017-02-28 주식회사 이피아 Ventilation apparatus of stand type and heat transfer structure and phytoncides supplying of natural evaporation type
KR101652214B1 (en) * 2016-04-19 2016-09-05 (주) 쏘노 Ventilation Device
KR20170133683A (en) * 2016-05-26 2017-12-06 주식회사 티아이씨 A ventilator for waste heat recovery
KR101996782B1 (en) * 2019-03-15 2019-07-04 윤병석 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For Ventilation Apparatus
KR102011247B1 (en) * 2019-05-02 2019-08-14 윤병석 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And Ventilation System Having the Same
KR102195857B1 (en) * 2020-06-03 2020-12-28 은성화학(주)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with internal circulation air cleaning mode and control room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1247B1 (en) 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And Ventilation System Having the Same
KR101943629B1 (en) A Aentilation System of a Convergence Heat Exchanger
KR20170103133A (en) Ventilator
KR101931726B1 (en) A Aentilation System of a Convergence Heat Exchanger
KR102055298B1 (en) Air circulation system with toilet and bathroom exhaust
KR102039106B1 (en) A Ventilator
KR102424786B1 (en) A Ventilator
KR102198498B1 (en) An air purifier
JP7304962B2 (en) Temperature controller for ventilator
KR20180014122A (en) Ventilator
KR101295311B1 (en) Built-up constant temperature device
KR101931723B1 (en) A Convergence Heat Exchanger
KR101819046B1 (en) A Convergence Heat Exchanger
JP7378231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285695B1 (en) Air circulation system with toilet and bathroom exhaust
KR102440158B1 (en) 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For Ventilation Apparatus
JP2007147116A (en) Indirect evaporative cooling element, air conditioner and building
KR102305958B1 (en) Eco-friendly cooling and heating ventilation integrated ceiling condition unit
KR102105026B1 (en) A Ventilator
KR102202404B1 (en) Ventilation
KR20180070373A (en) Ventilation device for interior having air purification and humidification function
JP2019039602A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20210096935A (en) Ventilation with purge mode
KR100511689B1 (en) Air-conditioner of energy saving type having a function of constant temperature & humidity
KR102274941B1 (en) Air circulation system with toilet and bathroom exhau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