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059B1 -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059B1
KR102440059B1 KR1020220049863A KR20220049863A KR102440059B1 KR 102440059 B1 KR102440059 B1 KR 102440059B1 KR 1020220049863 A KR1020220049863 A KR 1020220049863A KR 20220049863 A KR20220049863 A KR 20220049863A KR 102440059 B1 KR102440059 B1 KR 102440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coupled
box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9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0059B9 (ko
Inventor
이방희
이현걸
Original Assignee
(주)올포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올포랜드 filed Critical (주)올포랜드
Priority to KR1020220049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059B1/ko
Publication of KR10244005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059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G01S19/07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providing data for correcting measured positioning data, e.g. DGPS [differential GPS] or ionosphere corr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4Adaptation for use in or on ships, submarines, buoys or torpedoes
    • H04N5/2257
    • H04N5/232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 노선을 따라 운항할 수 있는 선박, 상기 선박의 선수 측에 직립 설치되며, 주변을 촬영할 수 있도록 다수의 카메라가 장착되는 촬영부, 상기 선박의 선미 측에 직립 설치되며, 선박의 현재 좌표를 인식할 수 있는 DGPS안테나, 상기 촬영부 및 DGPS안테나와 연결되어 선박의 일측에 설치되며, 촬영 영상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모니터링영상부 및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합성하여 파노라마 영상으로 제작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촬영부의 각 부품을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조립/분리할 수 있으며, 촬영 영상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IMAGING SYSTEM FOR SEA ROAD VIEW}
본 발명은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해양을 인류의 미래를 위한 생활의 장으로 기대함에 따라 시공간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해양 지도 즉, 해양 로드맵을 작성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더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다. 특히, 지구의 70%를 차지하는 해양의 변화는 지구 전체의 환경 변화를 이끌고 있다.
지구 온난화가 가속되고 있는 지구의 상태를 시공간적으로 관측하기 위하여 인공위성(Satellite), 연구선(Research Vessel), 해양 관측부이(Observation Buoy), 해양 관측탑(Observation Tower), 해저면 계류시스템(Bottom Mooring System), 무선표류부이(Wireless Drift Buoy), 무인수중탐사체(Unmanned Underwater Vehicle)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과거에는 단순히 카메라의 렌즈에 투영되는 영상만을 촬영하여 이를 상영하였으나,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사람들은 보다 생동감 있고 현실감이 있는 영상을 원하기 때문에 이에 관련한 기술은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중에 대표적인 것 중 하나로는 가상현실 기법으로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통하여 만들어진 실제 환경과 유사한 3차원 가상환경 내에서 인체의 모든 감각(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이 상호 작용하여, 가상으로 창조한 세계에 몰입되게 함으로써 참여자에게 가상공간을 3차원적으로 재현하고 인간을 이 가상공간에 몰입시킴으로써 정보의 활용을 극대화하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하는 기술이다.
또한, 이러한 컨텐츠의 생성을 위해 파노라마 이미지, 전방향(omnidirectional) 이미지 등과 같은 이미지를 처리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는 전방향 이미지를 위한 복수의 이미지들을 획득하거나 획득된 복수의 이미지들에 기반하여 파노라마 이미지, 전방향 이미지 등과 같은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촬영부의 각 부품을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조립/분리할 수 있으며, 촬영 영상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추출하여 파노라마 영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에게 동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촬영 노선을 따라 운항할 수 있는 선박; 상기 선박의 선수 측에 직립 설치되며, 주변을 촬영할 수 있도록 다수의 카메라가 장착되는 촬영부; 상기 선박의 선미 측에 직립 설치되며, 선박의 현재 좌표를 인식할 수 있는 DGPS안테나; 상기 촬영부 및 DGPS안테나와 연결되어 선박의 일측에 설치되며, 촬영 영상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모니터링영상부; 및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합성하여 파노라마 영상으로 제작하는 영상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에서 상기 촬영부는, 선박의 상부면에 직립 설치되는 촬영대; 상기 촬영대의 상부에 결합되는 모니터링전송박스; 및 상기 모니터링전송박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카메라모듈;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에서 상기 촬영대는, 선박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하부대; 상기 하부대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상부대; 상기 상부대의 측면에 4방향으로 결합되는 4개의 고정대; 상기 고정대에 일단이 결합되고 선박에 타단이 결합되는 고정와이어; 및 상기 하부대의 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핀; 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고정핀은 상하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에서 상기 모니터링전송박스는, 촬영대의 상부에 결합되는 격자판 형태의 하부박스판; 상기 하부박스판의 상부에 이격하여 배치되는 격자판 형태의 상부박스판; 상기 하부박스판과 상부박스판의 사이를 연결하여 직립 설치되는 연결박스판; 상기 하부박스판과 상부박스판 사이에 장착되며 다수의 카메라와 연결되는 모니터링제어부; 및 상기 모니터링제어부와 연결되어 다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촬영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은, 상기 하부박스판의 상부면 테두리를 따라 함몰 형성되는 하부박스홈; 상기 상부박스판의 하부면 테두리를 따라 함몰 형성되는 상부박스홈; 상기 하부박스홈과 상부박스홈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측면박스판; 및 상기 연결박스판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측면박스판을 연결박스판에 고정시킬 수 있는 연결박스홀;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촬영제어부는 측면박스판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은, 상기 하부박스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양 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홈이 함몰 형성되는 일자 형태의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촬영대의 상부에 결합되며 고정플레이트가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탈착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에서 상기 탈착고정부는, 고정플레이트의 고정홈이 물릴 수 있도록 고정돌부가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고정베이스; 상기 고정베이스의 측부에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이동베이스; 및 상기 한 쌍의 이동베이스를 각각 관통하여 고정베이스의 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에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격자판 형태의 상부박스판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는 다수의 측면지지부; 상기 측면지지부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측면카메라; 상기 상부박스판의 중앙에 결합되는 중앙지지부; 및 상기 중앙지지부에 결합되는 중앙카메라;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에서 상기 측면카메라는 중앙지지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외부를 향해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중앙카메라는 중앙지지부의 상단에 상공을 향해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에서 상기 측면지지부는, 상부박스판에 결합되며 측면카메라의 하부와 볼팅 결합되는 제1측면지지대; 상기 제1측면지지대의 일측에 직교하도록 결합되며 측면카메라의 후면을 지지하는 제2측면지지대; 및 상기 제1측면지지대의 상단에 결합되며 측면센서부가 결합되는 제3측면지지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에서 상기 중앙지지부는, 상부박스판의 중앙에 직립 설치되는 제1중앙지지대; 상기 제1중앙지지대의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중앙카메라의 후면을 지지하는 제2중앙지지대; 상기 제2중앙지지대의 일측에 직교하도록 결합되며 중앙카메라의 하부와 볼팅 결합되는 제3중앙지지대; 및 상기 제3중앙지지대의 상단에 결합되며 중앙센서부가 결합되는 제4중앙지지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에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추출하는 영상추출부; 추출된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합성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제작하는 파노라마영상부; 파노라마 영상의 위치 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이전 파노라마 영상과 이후 파노라마 영상을 연결시키는 파노라마연결부; 및 연결된 파노라마 영상을 보안 처리하고 파노라마 영상의 타일링 작업을 수행하는 영상보안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에서 상기 영상추출부는, 촬영 노선에 위치한 조위관측소의 월별 조위 자료를 검색하여 촬영 일자에 해당하는 월별 조위 자료를 추출하는 조위추출부; 추출된 월별 조위 자료에 구간을 설정하고, 구간이 바뀌는 시간을 추출하는 시간추출부; 및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의 시간 정보와 시간추출부에서 추출된 시간 정보를 매칭하여 파노라마 영상으로 제작할 영상을 추출하는 영상선택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에서 상기 파노라마영상부는, 다수의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같은 좌표에 같은 파일명으로 그룹화하고, 방향에 따라 영상을 넘버링하여 구분하는 그룹화부; 그룹화된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이어 붙이는 영상합성부; 및 합성된 영상에서 선박의 선수가 중앙에 오도록 배열하고, 이를 기준으로 수평선을 정렬하는 영상수정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에서 상기 영상보안처리부는 3개 이상의 지도를 비교하여 보안 지역을 선정하고, 선박명 및 국가 보안시설을 포함한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보안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촬영부를 촬영대, 모니터링전송박스, 카메라모듈로 구성하고, 각 부품의 내부부품들도 자유롭게 조립/분리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른 부품 변경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니터링영상부가 촬영부 및 DGPS안테나와 연결되어 촬영 영상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공을 촬영하는 중앙카메라를 구비하여 한 번의 촬영으로 주변뿐만 아니라 상공까지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촬영 노선을 예시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부의 상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 및 모니터링전송박스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전송박스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박스판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박스판을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박스판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고정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고정부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지지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지지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추출부의 각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위추출부 및 시간추출부에서 시간을 추출하는 과정을 예시로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영상부의 각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영상부의 각 과정을 예시로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조위와 고조위의 파노라마 영상을 비교하여 예시로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보안처리부에서 지도를 비교하는 모습을 예시로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보안처리부에서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보안 처리하는 모습을 예시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촬영 노선을 예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은 선박(100), 촬영부(200), DGPS안테나(300), 모니터링영상부(400) 및 영상처리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선박(100)은 촬영 노선을 따라 운항할 수 있다. 선박(100)의 촬영 노선을 선정하기 위하여 MESH UP을 통한 포털 영상 사용, 선박 안전 운항을 위해 수심 확인, 조석표, 기상정보, 지형지물 정보 등의 자료를 수집한다.
그 다음, 조위 및 해황(海況)을 고려하여 촬영 시기를 조정하여 촬영 계획을 수립하며, 촬영 장비 사전 테스트를 통해 이상 유무를 파악한다. 또한, 촬영 장소 일대에 낚싯배 선주와 도선사, 낚시꾼, 일반 관광객 등에게 설문조사를 하여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항계 내 촬영 범위를 결정한다. 아울러, 안전을 고려하여 수심 2m 이상인 해역에서만 운항하도록 촬영 노선을 선정한다.
상기 촬영부(200)는 선박(100)의 선수(110) 측에 직립 설치되며, 주변을 촬영할 수 있도록 다수의 카메라(232, 234)가 장착된다. 상기 DGPS안테나(300)는 선박(100)의 선미(120) 측에 직립 설치되며, 선박(100)의 현재 좌표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200)와 DGPS안테나(300)는 선박(100)의 전후로 3 내지 4m 이격되어 있다.
상기 모니터링영상부(400)는 촬영부(200) 및 DGPS안테나(300)와 연결되어 선박(1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촬영 영상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즉, 상기 촬영부(200)에서 획득한 촬영 영상, 촬영 시간, 촬영 방향과 DSPG안테나에서 획득한 선박(100)의 위치 좌표는 모니터링영상부(400)에서 통합하여 비교·확인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500)는 촬영부(200)에서 촬영된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합성하여 파노라마 영상으로 제작한다. 상기 영상처리부(500)는 원격지에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선박(1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모니터링영상부(40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여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500)는 영상추출부(510), 파노라마영상부(520), 파노라마연결부(530), 영상보안처리부(540) 등의 구성을 구비하며, 각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부의 상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촬영부(200)는 선박(100)에 직립 설치되며, 촬영대(210), 모니터링전송박스(220) 및 카메라모듈(230)을 구비한다. 상기 촬영대(210)는 선박(100)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모니터링전송박스(220)는 촬영대(2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카메라모듈(230)은 모니터링전송박스(22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촬영부(200)를 선박(100)에 설치하였을 때, 카메라모듈(230)은 선박(100)의 상부면으로부터 1.5 내지 1.8m 정도 높이에 높게 설치된다. 선박(100)이 촬영 노선을 운항함에 따라 촬영부(200)는 높은 위치에서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한다.
상기 촬영대(210)는 하부대(211), 상부대(212), 고정대(213), 고정와이어(214) 및 고정핀(215)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대(211)는 선박(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다. 상부대(212)는 하부대(211)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상부대(212)를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촬영대(210)의 전체적인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상기 고정대(213)는 상부대(212)의 측면에 4방향으로 결합된다(도 4 참조). 고정와이어(214)는 4개로 구성되며, 일단이 고정대(213)에 결합되고 타단이 선박(100)에 결합된다. 선박(100)과 촬영대(210) 사이를 고정와이어(214)로 연결함에 따라 선박(100)의 운항시 촬영대(210)가 전후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215)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하부대(211)의 측면에 장착된다. 고정핀(215)을 회전시킴에 따라 고정핀(215)은 하부대(211) 내부로 진입하거나, 하부대(211)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부대(212)를 하부대(211)로부터 상하로 이동시켜 촬영대(210)의 전체적인 길이를 결정하고, 고정핀(215)을 이용하여 상부대(212)를 하부대(2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핀(215)은 하부대(211)의 측면에 상하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한 쌍의 고정핀(215)이 상부대(212)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호 보완적으로 상부대(212)를 하부대(211)에 고정시킬 수 있고, 고정력이 더욱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 및 모니터링전송박스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전송박스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박스판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박스판을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박스판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링전송박스(220)는 촬영대(2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카메라모듈(230)로부터 획득된 촬영 영상을 모아서 모니터링영상부(400)로 전송한다.
상기 모니터링전송박스(220)는 하부박스판(221), 상부박스판(222), 연결박스판(223), 모니터링제어부(224) 및 촬영제어부(2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박스판(221)은 촬영대(210)의 상부에 결합되며, 5각형의 격자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박스판(222)은 하부박스판(221)의 상부에 이격하여 배치되며, 하부박스판(221)과 마찬가지로 5각형의 격자판 형태로 형성된다. 하부박스판(221)과 상부박스판(222)의 각 변은 25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박스판(221)과 상부박스판(222)이 격자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카메라모듈(230) 또는 촬영제어부(225)를 연결하는 각종 케이블이 용이하게 모니터링제어부(224)에 연결될 수 있으며, 카메라모듈(230)을 상부박스판(222)의 상부에 자유자재로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박스판(223)은 하부박스판(221)과 상부박스판(222)의 사이를 연결하여 직립 설치된다. 연결박스판(223)은 하부박스판(221)의 각 꼭짓점 및 이에 대응되는 상부박스판(222)의 각 꼭짓점 사이에 5개가 배치된다.
상기 모니터링제어부(224)는 하부박스판(221)과 상부박스판(222) 사이에 장착되며 다수의 카메라(232, 234)와 연결된다. 다수의 카메라(232, 234)에서 촬영된 영상은 모니터링제어부(224)에서 촬영 시간, 촬영 좌표 등의 데이터와 함께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촬영제어부(225)는 모니터링제어부(224)와 연결되어 다수의 카메라(232, 234)를 제어한다. 촬영제어부(225)는 DGPS안테나(300)에서 획득한 선박(100)의 좌표와 연계하여 선박(100)이 100m 이동할 동안 카메라(232, 234)가 3장 이상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카메라(232, 23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하부박스판(221)과 상부박스판(222)의 사이에는 측면박스판(226)이 결합된다. 측면박스판(226)은 모니터링제어부(224)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며, 측면박스판(226)에는 촬영제어부(225)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박스판(221)의 상부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하부박스홈(221a)이 함몰 형성되고, 상부박스판(222)의 하부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상부박스홈(222a)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측면박스판(226)은 이러한 하부박스홈(221a)과 상부박스홈(222a)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상기 연결박스판(223)의 측면에는 연결박스홀(223a)이 관통 형성되어 측면박스판(226)을 연결박스판(223)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측면박스판(226)에도 연결박스홀(223a)의 위치에 대응하여 측면박스홀(226a)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박스판(226)을 하부박스판(221)과 상부박스판(222)의 사이에 완전히 삽입하였을 때, 연결박스홀(223a)과 측면박스홀(226a)은 동심원을 이룬다. 이러한 연결박스홀(223a)과 측면박스홀(226a)은 볼트 등을 통해 결합되고, 이에 따라 측면박스판(226)이 연결박스판(223)에 단단히 고정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고정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고정부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하부박스판(221)의 하부에는 고정플레이트(240)가 결합된다. 고정플레이트(240)는 일자 형태로 형성되며 양 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홈(241)이 함몰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촬영대(210)의 상부에는 탈착고정부(250)가 결합되고, 탈착고정부(250)의 상부에는 고정플레이트(240)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탈착고정부(250)는, 고정플레이트(240)의 고정홈(241)이 물릴 수 있도록 고정돌부(251a)가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고정베이스(251), 고정베이스(251)의 측부에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이동베이스(252) 및 한 쌍의 이동베이스(252)를 각각 관통하여 고정베이스(251)의 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조절부(253)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베이스(252)는 고정베이스(251)의 측부에 한 쌍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각각에 조절부(253)가 관통한다. 이동베이스(252)의 내측에는 고정돌부(251a)의 위치에 대칭되도록 이동돌부(252a)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고정베이스(251)가 촬영대(210)의 상부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240)의 고정홈(241)을 고정돌부(251a) 및 이동돌부(252a)에 맞추어 삽입하고, 조절부(253)를 조절하여 고정베이스(251)와 이동베이스(252)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고정플레이트(240)를 탈착고정부(25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베이스(252)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고정플레이트(240)의 형상에 맞추어 고정플레이트(24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고정플레이트(240)를 탈착고정부(250)로부터 분리하는 것만으로 모니터링전송박스(220) 및 카메라모듈(230)을 촬영대(210)로부터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지지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지지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카메라모듈(230)은 5대의 측면카메라(232)와 1대의 중앙카메라(2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5대의 측면카메라(232)는 중앙지지부(233)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외부를 향해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중앙카메라(234)는 중앙지지부(233)의 상단에 상공을 향해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5대의 측면카메라(232)를 이용하여 촬영 노선의 주변 전체를 촬영할 수 있음과 동시에 중앙카메라(234)를 이용하여 상공까지 한 번에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측면카메라(232)는 상부박스판(222)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는 측면지지부(231)에 각각 결합된다. 측면지지부(231)는 오각형 형태의 상부박스판(222)의 각 변의 중앙에 위치한다.
상기 측면지지부(231)는 제1측면지지대(231a), 제2측면지지대(231b) 및 제3측면지지대(231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측면지지대(231a)는 상부박스판(222)의 테두리에 결합되며 측면카메라(232)의 하부와 볼팅 결합된다. 제2측면지지대(231b)는 제1측면지지대(231a)의 내측에 직교하도록 결합되며 측면카메라(232)의 후면을 지지한다. 즉, 제1측면지지대(231a)와 제2측면지지대(231b)는 'ㄴ'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결합되어 측면카메라(232)의 하면 및 후면을 지지한다.
상기 제3측면지지대(231c)는 제1측면지지대(231a)의 상단에 결합되며 제3측면지지대(231c)에는 측면센서부(231d)가 결합된다. 상기 측면센서부(231d)는 자이로센서 및 GPS센서로 구성되며, 측면카메라(232)에서 촬영한 영상의 방향, 위치 정보 및 촬영 시간을 획득하여 모니터링제어부(224)로 전달한다.
상기 중앙카메라(234)는 상부박스판(222)의 중앙에 결합되는 중앙지지부(233)에 결합된다. 중앙지지부(233)는 제1중앙지지대(233a), 제2중앙지지대(233b), 제3중앙지지대(233c), 제4중앙지지대(233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중앙지지대(233a)는 상부박스판(222)의 중앙에 직립 설치된다. 제1중앙지지대(233a)의 높이는 제1측면지지대(231a) 및 제2측면지지대(231b)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다. 이에 따라 중앙지지부(233)에 결합되는 중앙카메라(234) 역시 측면카메라(232)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2중앙지지대(233b)는 제1중앙지지대(233a)의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중앙카메라(234)의 후면을 지지한다. 제3중앙지지대(233c)는 제2중앙지지대(233b)의 일측에 직교하도록 결합되며 중앙카메라(234)의 하부와 볼팅 결합된다. 즉, 제2중앙지지대(233b)와 제3중앙지지대(233c)는 'ㄴ'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결합되어 중앙카메라(234)의 하면 및 후면을 지지한다.
상기 제4중앙지지대(233d)는 제3중앙지지대(233c)의 상단에 결합되며 제4중앙지지대(233d)에는 중앙센서부(233e)가 결합된다. 상기 중앙센서부(233e)는 자이로센서 및 GPS센서로 구성되며, 중앙카메라(234)에서 촬영한 영상의 방향, 위치 정보 및 촬영 시간을 획득하여 모니터링제어부(224)로 전달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추출부의 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위추출부 및 시간추출부에서 시간을 추출하는 과정을 예시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영상부의 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영상부의 각 과정을 예시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조위와 고조위의 파노라마 영상을 비교하여 예시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보안처리부에서 지도를 비교하는 모습을 예시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보안처리부에서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보안 처리하는 모습을 예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처리부(500)는 영상추출부(510), 파노라마영상부(520), 파노라마연결부(530) 및 영상보안처리부(5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영상처리부(500)는 촬영부(200)에서 촬영한 영상을 추출하고, 파노라마영상부(520)는 추출된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합성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제작하며, 파노라마연결부(530)는 파노라마 영상의 위치 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이전 파노라마 영상과 이후 파노라마 영상을 연결시키고, 영상보안처리부(540)는 연결된 파노라마 영상을 보안 처리하고 파노라마 영상의 타일링 작업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추출부(510)는 조위추출부(511), 시간추출부(512) 및 영상선택부(513)로 구성된다.
상기 조위추출부(511)는 과거 해양 관측정보 중 촬영 해당 지역의 조위관측소의 월별 조위 자료를 검색하여 촬영 일자에 해당하는 월별 조위 자료를 추출한다.
상기 시간추출부(512)는 추출된 월별 조위 자료에 250㎝ 간격으로 구간을 설정하고, 구간이 바뀌는 시간을 추출하여 "년-월-일-시-분" 형식으로 정리한다.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월별 조위 자료는 시간 및 예측 조위로 구성되어 있고, 예측 조위를 250㎝ 간격으로 구간을 설정하여 해당되는 시간을 추출한다.
상기 영상선택부(513)는 촬영부(200)에서 촬영된 영상의 GPS 시간 정보와 시간추출부(512)에서 추출된 시간 정보를 매칭하여 파노라마 영상으로 제작할 영상을 추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예측 조위를 기준으로 촬영부(2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저조위와 고조위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파노라마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도 19 참조).
상기 파노라마영상부(520)는 그룹화부(521), 영상합성부(522) 및 영상수정부(523)로 구성된다.
도 18의 (a)는 그룹화부(521)에서 촬영 영상이 구분된 모습을 예시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의 (b)는 영상합성부(522)에서 하나의 영상으로 이어 붙어진 모습을 예시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8의 (c)는 영상수정부(523)에서 영상이 수정된 모습을 예시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그룹화부(521)는 다수의 카메라(232, 234)에서 촬영한 영상을 같은 좌표에 같은 파일명으로 그룹화하고, 방향에 따라 영상을 넘버링하여 구분한다.
상기 카메라(232, 234)에서 촬영된 영상의 이름은 시간과 좌표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동시에 촬영된 영상을 구분하였으며, 동시에 촬영된 영상 6개를 하나의 프로젝트에서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이를 위해 별도의 폴더로 구분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각 폴더에 촬영된 영상은 카메라(232, 234) 별로 영상을 구분하기 위해 방향에 따라 번호를 부여하여 저장한다.
상기 카메라(232, 234)를 이용하여 각 방향 및 상공을 동시에 촬영한 영상은 영상합성부(522)에서 하나의 영상으로 이어 붙여진다.
상기 영상수정부(523)는 합성된 영상에서 선박(100)의 선수(110)가 중앙에 오도록 배열하고, 이를 기준으로 수평선을 정렬한다. 도 18(c)에서 파노라마 영상의 중앙 하단에 배치된 것이 선박(100)의 선수(110)이고, 이를 기준으로 파노라마 영상을 횡방향으로 가르는 수평선이 정렬된다.
상기 파노라마연결부(530)는 파노라마 영상의 위치 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이전 파노라마 영상과 이후 파노라마 영상을 연결시킨다.
같은 경로 내에서 전후 파노라마 영상이 이상 없이 연결되도록 FRONT_ID_01(앞 1칸), FRONT_ID_02(앞 3칸), FRONT_ID_03(앞 5칸), REAR_ID_01(뒤 1칸), REAR_ID_02(뒤 3칸), REAR_ID_03(뒤 5칸) 컬럼값을 사용하여 연결되도록 구축한다.
또 추가로 파노라마 영상의 기본적인 정보를 관리가 하기 위하여 파노라마 파일명, 촬영 일자 및 촬영 좌표, 방위각, 방향각 등에 대하여 시스템에 유지하도록 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영상보안처리부(540)는 3개 이상의 지도를 비교하여 보안 지역을 선정하고, 선박명 및 국가 보안시설을 포함한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보안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보안처리부(540)는 구글 어스(https://www.google.co.kr/intl/ko/earth/)를 기준으로 V-월드(https://www.vworld.kr/), 네이버지도(https://map.naver.com/), 카카오맵(https://map.kakao.com/)을 비교하여 보안 지역을 선정한다.
그 후, 도 21에 도시된 것처럼 국가 보안시설은 전체적으로 보안 처리를 하고, 선박명, 개인의 얼굴, 차량 번호판 등 개인정보 부분은 해당 부분만 보안 처리를 하여 제공한다.
영상처리가 완료된 파노라마 영상은 타일링 작업을 통하여 고화질로 서비스가 될 수 있도록 작업을 수행한다. 고화질 서비스가 되기 위하여 상용 프로그램인 krpano를 사용하여 모든 파노라마 영상을 타일링한다.
위와 같이 생성된 파노라마 영상은 동영상으로 제작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파노라마 영상은 KT-cloud 서비스를 이미지 서버로 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클라우드 기반 서버(영상데이터)를 활용하여 서버를 분할로 콘텐츠 전송과정에서 웹서비스 및 모바일 웹서비스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트래픽 집중 현상 및 병목현상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선박 110 : 선수 120 : 선미
200 : 촬영부 210 : 촬영대 211 : 하부대
212 : 상부대 213 : 고정대 214 : 고정와이어
215 : 고정핀 220 : 모니터링전송박스 221 : 하부박스판
221a : 하부박스홈 222 : 상부박스판 222a : 상부박스홈
223 : 연결박스판 223a : 연결박스홀 224 : 모니터링제어부
225 : 촬영제어부 226 : 측면박스판 226a : 측면박스홀
230 : 카메라모듈 231 : 측면지지부 231a : 제1측면지지대
231b : 제2측면지지대 231c : 제3측면지지대 231d : 측면센서부
232 : 측면카메라 233 : 중앙지지부 233a : 제1중앙지지대
233b : 제2중앙지지대 233c : 제3중앙지지대 233d : 제4중앙지지대
233e : 중앙센서부 234 : 중앙카메라 240 : 고정플레이트
241 : 고정홈 250 : 탈착고정부 251 : 고정베이스
251a : 고정돌부 252 : 이동베이스 252a : 이동돌부
253 : 조절부 300 : DGPS안테나 400 : 모니터링영상부
500 : 영상처리부 510 : 영상추출부 511 : 조위추출부
512 : 시간추출부 513 : 영상선택부 520 : 파노라마영상부
521 : 그룹화부 522 : 영상합성부 523 : 영상수정부
530 : 파노라마연결부 540 : 영상보안처리부

Claims (15)

  1. 촬영 노선을 따라 운항할 수 있는 선박;
    상기 선박의 선수 측에 직립 설치되며, 주변을 촬영할 수 있도록 다수의 카메라가 장착되는 촬영부;
    상기 선박의 선미 측에 직립 설치되며, 선박의 현재 좌표를 인식할 수 있는 DGPS안테나;
    상기 촬영부 및 DGPS안테나와 연결되어 선박의 일측에 설치되며, 촬영 영상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모니터링영상부; 및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합성하여 파노라마 영상으로 제작하는 영상처리부; 를 포함하되,
    상기 촬영부는,
    선박의 상부면에 직립 설치되는 촬영대; 상기 촬영대의 상부에 결합되는 모니터링전송박스; 및 상기 모니터링전송박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카메라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모듈은,
    격자판 형태의 상부박스판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는 다수의 측면지지부; 상기 측면지지부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측면카메라; 상기 상부박스판의 중앙에 결합되는 중앙지지부; 및 상기 중앙지지부에 결합되는 중앙카메라; 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카메라는 중앙지지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외부를 향해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중앙카메라는 중앙지지부의 상단에 상공을 향해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측면지지부는,
    상부박스판에 결합되며 측면카메라의 하부와 볼팅 결합되는 제1측면지지대; 상기 제1측면지지대의 일측에 직교하도록 결합되며 측면카메라의 후면을 지지하는 제2측면지지대; 및 상기 제1측면지지대의 상단에 결합되며 측면센서부가 결합되는 제3측면지지대; 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지지부는,
    상부박스판의 중앙에 직립 설치되는 제1중앙지지대; 상기 제1중앙지지대의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중앙카메라의 후면을 지지하는 제2중앙지지대; 상기 제2중앙지지대의 일측에 직교하도록 결합되며 중앙카메라의 하부와 볼팅 결합되는 제3중앙지지대; 및 상기 제3중앙지지대의 상단에 결합되며 중앙센서부가 결합되는 제4중앙지지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중앙지지대의 높이는 제1측면지지대 및 제2측면지지대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아 중앙카메라가 다수의 측면카메라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다수의 측면카메라를 이용해 촬영 노선 주변을 촬영할 수 있음과 동시에 중앙카메라를 이용해 상공까지 한 번에 촬영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측면지지대와 제2측면지지대는 'ㄴ'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결합되어 측면카메라의 하면 및 후면을 함께 지지하고, 제2중앙지지대와 제3중앙지지대는 'ㄴ'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결합되어 중앙카메라의 하면 및 후면을 함께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대는,
    선박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하부대;
    상기 하부대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상부대;
    상기 상부대의 측면에 4방향으로 결합되는 4개의 고정대;
    상기 고정대에 일단이 결합되고 선박에 타단이 결합되는 고정와이어; 및
    상기 하부대의 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핀; 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고정핀은 상하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전송박스는,
    촬영대의 상부에 결합되는 격자판 형태의 하부박스판;
    상기 하부박스판의 상부에 이격하여 배치되는 격자판 형태의 상부박스판;
    상기 하부박스판과 상부박스판의 사이를 연결하여 직립 설치되는 연결박스판;
    상기 하부박스판과 상부박스판 사이에 장착되며 다수의 카메라와 연결되는 모니터링제어부; 및
    상기 모니터링제어부와 연결되어 다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촬영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박스판의 상부면 테두리를 따라 함몰 형성되는 하부박스홈;
    상기 상부박스판의 하부면 테두리를 따라 함몰 형성되는 상부박스홈;
    상기 하부박스홈과 상부박스홈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측면박스판; 및
    상기 연결박스판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측면박스판을 연결박스판에 고정시킬 수 있는 연결박스홀;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촬영제어부는 측면박스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박스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양 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홈이 함몰 형성되는 일자 형태의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촬영대의 상부에 결합되며 고정플레이트가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탈착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고정부는,
    고정플레이트의 고정홈이 물릴 수 있도록 고정돌부가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고정베이스;
    상기 고정베이스의 측부에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이동베이스; 및
    상기 한 쌍의 이동베이스를 각각 관통하여 고정베이스의 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추출하는 영상추출부;
    추출된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합성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제작하는 파노라마영상부;
    파노라마 영상의 위치 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이전 파노라마 영상과 이후 파노라마 영상을 연결시키는 파노라마연결부; 및
    연결된 파노라마 영상을 보안 처리하고 파노라마 영상의 타일링 작업을 수행하는 영상보안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추출부는,
    촬영 노선에 위치한 조위관측소의 월별 조위 자료를 검색하여 촬영 일자에 해당하는 월별 조위 자료를 추출하는 조위추출부;
    추출된 월별 조위 자료에 구간을 설정하고, 구간이 바뀌는 시간을 추출하는 시간추출부; 및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의 시간 정보와 시간추출부에서 추출된 시간 정보를 매칭하여 파노라마 영상으로 제작할 영상을 추출하는 영상선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파노라마영상부는,
    다수의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같은 좌표에 같은 파일명으로 그룹화하고, 방향에 따라 영상을 넘버링하여 구분하는 그룹화부;
    그룹화된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이어 붙이는 영상합성부; 및
    합성된 영상에서 선박의 선수가 중앙에 오도록 배열하고, 이를 기준으로 수평선을 정렬하는 영상수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보안처리부는 3개 이상의 지도를 비교하여 보안 지역을 선정하고, 선박명 및 국가 보안시설을 포함한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보안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
KR1020220049863A 2022-04-22 2022-04-22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 KR102440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863A KR102440059B1 (ko) 2022-04-22 2022-04-22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863A KR102440059B1 (ko) 2022-04-22 2022-04-22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059B1 true KR102440059B1 (ko) 2022-09-05
KR102440059B9 KR102440059B9 (ko) 2023-02-23

Family

ID=83279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863A KR102440059B1 (ko) 2022-04-22 2022-04-22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0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3597A (ko) * 2004-04-26 2005-11-01 주식회사 일리시스 실시간 파노라마 비디오 영상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및 그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20039970A (ko) * 2010-10-18 2012-04-26 전조명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장착리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3597A (ko) * 2004-04-26 2005-11-01 주식회사 일리시스 실시간 파노라마 비디오 영상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및 그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20039970A (ko) * 2010-10-18 2012-04-26 전조명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장착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059B9 (ko)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ohnson‐Roberson et al. High‐resolution underwater robotic vision‐based mapping and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for archaeology
Gracias et al. Mapping the Moon: Using a lightweight AUV to survey the site of the 17th century ship ‘La Lune’
EP1639405B1 (en) Digital 3d/360 degree camera system
KR102254407B1 (ko) 3차원 모델의 생성 장치, 생성 방법, 및 프로그램
CN107407866A (zh) 用于六自由度的360°体虚拟现实视频的激光雷达立体融合真人实景三维模型视频重建
CN106504192B (zh) 一种输电线路走廊地质灾害勘探影像处理方法及系统
CN103141078A (zh) 图像显示装置及图像显示方法
EP1999685B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storing 3d information
JP2019045991A (ja) 生成装置、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34234B1 (ko)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108742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程序以及可互换透镜
CN115330594A (zh) 一种基于无人机倾斜摄影3d模型的目标快速识别与标定方法
CN106447735A (zh) 一种全景相机几何标定处理方法
Currier Mapping with strings attached: Kite aerial photography of Durai Island, Anambas Islands, Indonesia
KR102440059B1 (ko) 바다로드뷰 영상 촬영 시스템
CN111506112A (zh) 基于海上油气田设备设施的无人机倾斜摄影方法
CN109978997A (zh) 一种基于倾斜影像的输电线路三维建模方法和系统
KR102119521B1 (ko) 드론을 이용한 구면 공간 영상 촬영할 때의 수평 보정 방법
Pushkarev et al. 3D recording of a 19-century Ob River ship
WO2021115192A1 (zh)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程序及记录介质
JP6532370B2 (ja) 撮像システム、構図設定装置、及び構図設定プログラム
Prado et al. 3D modeling of Rio Miera wreck ship merging optical and multibeam high resolution points cloud
Bodenmann et al. Pixel based mapping using a sheet laser and camera for generation of coloured 3D seafloor reconstructions
CN113850905A (zh) 一种用于周扫型光电预警系统的全景图像实时拼接方法
KR102362028B1 (ko) 수중촬영이 용이한 3d 카메라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