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936B1 - Apparatus for integrated assembly rack of weather and atmosphere condition measure equipmen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integrated assembly rack of weather and atmosphere condition measure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936B1
KR102439936B1 KR1020220064404A KR20220064404A KR102439936B1 KR 102439936 B1 KR102439936 B1 KR 102439936B1 KR 1020220064404 A KR1020220064404 A KR 1020220064404A KR 20220064404 A KR20220064404 A KR 20220064404A KR 102439936 B1 KR102439936 B1 KR 102439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ne dust
air quality
installation
continuous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44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병원
Original Assignee
서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병원 filed Critical 서병원
Priority to KR1020220064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93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9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01N21/783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for analysing g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ck device for installing air quality continuous automatic integrated measuring equipment configured to easily install, as one set, and move various types of measuring equipment which have been installed outdoors in order to measure the pollution state of an air environment. The rack device for installing air quality continuous automatic integrated measuring equipment comprises: a lower case having a storage space for storing a nitrogen dioxide analyzer, a nitrogen dioxide motor, a data logger, a measuring device power supply, a wire reel, and power accessories therein; an upper case having a buffer storage member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lower case, and formed to match the shape of an air collecting head of fine dust measuring equipment and a fine dust measuring equipment accessory; a fine dust measuring equipment holde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in front of the upper case; and a weather sensor holder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fine dust measuring equipment holder.

Description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Apparatus for integrated assembly rack of weather and atmosphere condition measure equipment}[0001] Apparatus for integrated assembly rack of weather and atmosphere condition measure equipment

이 발명은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기환경의 오염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야외에 설치되어 왔던 복수의 측정장비들을 하나의 세트로 쉽게 설치하고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ck device for the installation of continuous automatic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easily install and move a plurality of measuring equipment that has been installed outdoors in order to measure the pollution state of the air environment as a set. It relates to a rack device for the installation of air quality continuous automatic integrated measurement equipment configured to be able to

대기오염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되거나 배출될 가능성이 있는 지역 등에서는 대기환경 측정장비를 사용하여 정기적인 검사를 하고 있다. 특히 수시로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되는 발전소 등과 같은 시설에서는 대기환경 측정장비를 통한 지속적인 검사를 통해 대기오염 정도를 모니터링 해야만 한다.In order to prevent damage caused by air pollution, air pollutants are discharged or are likely to be discharged, and regular inspections are conducted using air environment measuring equipment. In particular, facilities such as power plants that frequently emit air pollutants must monitor the level of air pollution through continuous inspection through air environment measuring equipment.

게다가 최근에는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로 인한 피해가 급증하게 되면서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기 미세먼지 샘플러가 사용되고 있다. 미세먼지 측정장비인 미세먼지 샘플러는 입자크기가 2.5㎛ 이하인 초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PM2.5 샘플러와, 입자크기가 10㎛ 이하인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PM10 샘플러로 구분되고 있다.In addition, as the damage caused by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has rapidly increased in recent years, a fine dust sampler is being use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The fine dust sampler,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is divided into a PM2.5 sample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ultrafine dust with a particle size of 2.5 μm or less, and a PM10 sample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with a particle size of 10 μm or less. .

대기 중에 떠다니는 미세입자의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은 육안으로 보이지 않을 정도의 크기이다. 꽃가루, 토양, 먼지, 곰팡이 등에 의해 발생하는 미세먼지 등은 PM10에 해당하고,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암모니아,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중금속(납, 니켈, 구리, 아연, 비소 등),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등의 전구물질이 대기 중에서 질산염, 황산염, 암모늄, 비휘발성 유기물, 유기탄소, 검댕, 광물 등으로 변환되어 발생하는 경우에는 PM2.5에 해당한다. 따라서 인체에 해로울 뿐만 아니라 자연환경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PM2.5 및 PM10에 대한 관리가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Particulate matter of fine particles floating in the atmosphere is so large that it cannot be seen with the naked eye. Fine dust generated by pollen, soil, dust, mold, etc. is PM10, and sulfur oxides (SOx), nitrogen oxides (NOx), ammonia,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heavy metals (lead, nickel, copper, zinc) , arsenic, etc.) a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are converted into nitrates, sulfates, ammonium, nonvolatile organics, organic carbons, soot, minerals, etc. in the atmosphere, and it falls under PM2.5. Therefore, the management of PM2.5 and PM10 is considered important because it is not only harmful to the human body but also has a great effect on the natural environment.

도1은 종래기술에 의해 대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대기환경을 측정하는 장비로 초미세먼지를 측정하는 PM2.5 측정기(12)와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PM10 측정기(14)가 일정 높이 위치에 설치되고, 이산화질소 분석기(22)가 설치된다. 전술한 PM2.5 측정기(12) 및 PM10 측정기(14)는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기능 이외에도 기온 측정, 유량 측정, 대기압 측정 등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air by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1, a PM2.5 meter 12 for measuring ultrafine dust and a PM10 meter 14 for measuring fine dust are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as equipment for measuring the atmospheric environment, and a nitrogen dioxide analyzer 22 is installed The above-described PM2.5 meter 12 and PM10 meter 14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functions such as temperature measurement, flow rate measurement, and atmospheric pressure measurement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measuring fine dust.

전술한 PM2.5 측정기(12)와 PM10 측정기(14)는 각각 삼각대(12a, 14a)에 의해서 설치되며, 일정 높이 상부에는 공기 포집 헤드(12b, 14b)가 설치된다. 전술한 PM2.5 측정기(12)와 PM10 측정기(14)는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며, 보관 및 이동 설치 시에는 미세먼지 측정기 케이스(10)에 넣어 보관된다.The above-described PM2.5 measuring device 12 and PM10 measuring device 14 are installed by tripods 12a and 14a, respectively, and air collection heads 12b and 14b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respective tripods. The above-described PM2.5 meter 12 and PM10 meter 14 are configured as one set, and are stored in the fine dust meter case 10 during storage and movement installation.

그리고 이산화질소 분석기(22)의 한쪽 측면에는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시료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공기유입구(24)가 관통 형성되고, 이산화질소 분석기(22) 내부에는 공기유입구(24)를 통해 유입된 시료공기가 흡수 발색액을 통과하도록 하고, 발색된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NOx의 농도를 구하는 장치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이산화질소 분석기(22)는 NOx 분석기 케이스(20)에 보관된다.And, as shown in the figure, an air inlet 24 for introducing sample air is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nitrogen dioxide analyzer 22, and the sampl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24 is formed inside the nitrogen dioxide analyzer 22. A device for determining the concentration of NOx by allowing the absorbent coloring solution to pass through and measuring the absorbance of the colored solution is installed. Such a nitrogen dioxide analyzer 22 is stored in the NOx analyzer case 20 .

한편, 야외의 현장에서의 대기환경을 측정하는 과정에서는 도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미세먼지 측정기 케이스(10) 및 NOx 분석기 케이스(20)는 이산화질소 분석기(22)가 놓이는 받침대 등으로 사용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measuring the atmospheric environment in an outdoor field, as shown in FIG. 1 , the fine dust measuring instrument case 10 and the NOx analyzer case 20 are also used as a stand on which the nitrogen dioxide analyzer 22 is plac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대기환경 측정이 요구되는 야외 현장으로 다수의 측정장비를 이동해야 함에 따른 어려움이 있었으며, 대기환경 측정장비들이 설치된 현장에는 관리자가 상주하면서 측정을 함에 따라 관리비용이 증대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ior art, there was a difficulty in moving a large number of measuring equipment to an outdoor site where air environment measurement is required. There were problems such as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2062161(2020.01.03. 공고)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062161 (2020.01.03. Announcement)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1937735(2019.01.11. 공고)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937735 (2019.01.11. Announcement)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0789477(2008.01.02. 공고)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789477 (2008.01.02. Announcement)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10-2021-0048775(2021.05.04. 공개)Korean Patent Offic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48775 (published on May 4, 2021)

이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이 된 것으로서, 대기환경의 오염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야외에 설치되어 왔던 여러 종류의 측정장비들을 하나의 세트로 쉽게 설치하고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is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and move various kinds of measuring equipment that have been installed outdoors in one set to measure the pollution state of the air environmen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ck device for the installation of air quality continuous automatic integrated measurement equipment configured to be

이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This invention can be configured as follows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이 발명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는 이산화질소 분석기, 이산화질소 모터, 데이터 로거, 측정장치 전원, 전선 릴 및 전원 액세서리가 내부에 수납되기 위한 내부공간을 갖는 육면체로 형성되되 수납공간은 하층과 상층을 구분하는 선반이 설치되는 한편 하층과 상층은 공간이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며, 전면 및 후면에는 각각 전면 도어와 후면 도어가 조립 설치되는 하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의 상부 후방 측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미세먼지 측정장비의 공기 포집 헤드 및 미세먼지 측정장비 액세서리의 형태에 맞춰 형성된 완충수납부재가 배치되며, 후면에는 도어가 설치된 상부 케이스; 상부 케이스의 전방의 하부 케이스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의 중간 부분에서 상부를 향해 일정 높이 연장된 센터 프레임, 센터 프레임의 전방에 센터 프레임에 대응하는 높이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포스트 프레임, 센터 프레임의 후방에 센터 프레임에 비해 낮은 높이로 연장 형성되는 제2 포스트 프레임, 제1 포스트 프레임 도중과 제2 포스트 프레임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되 센터 프레임의 도중에 중간 부분이 연결되는 크로스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센터 프레임과 크로스 프레임이 +자 형태로 연결되는 교차구간의 양쪽에는 각각 미세먼지 측정장비의 본체가 부착되기 위한 행거가 설치된 미세먼지 측정장비 거치대; 미세먼지 측정장치 거치대의 센터 프레임 상단에 하단이 고정되며 상부를 향해 일정 높이 포스트 바가 연장 형성되고, 포스트 바의 상단에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크로스 바의 중간부분이 고정 설치되는 기상센서 거치대; 및 상부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카메라 거치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rack device for the installation of continuous automatic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s a hexahedron having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a nitrogen dioxide analyzer, a nitrogen dioxide motor, a data logger, a measuring device power source, a wire reel and a power accessory therein. a lower case in which a shelf separating the lower and upper floors is installed while the lower and upper floors are spaced to be separated, and the front and rear doors are assembled and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respectively; It is formed at a certain height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lower case, and a buffer storage member 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air collection head of the fine dust measuring equipment and the fine dust measuring equipment accessory is disposed inside, the upper case having a door installed on the rear side; A base frame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in front of the upper case, a center frame that extends from the middle part of the base frame toward the top at a certain height, and a first post that is formed to extend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frame in front of the center frame Frame, a second post frame extending at a lower height than the center frame at the rear of the center frame, and a cross frame that interconnects the middle of the first post frame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ost frame, but connects the middle part in the middle of the center frame a fine dust measuring equipment holder having hangers for attaching the main body of the fine dust measuring equipment to both sides of the cross section where the center frame and the cross frame are connected in a + shape; a weather sensor holder having a lower e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center frame of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holder, a post bar extending toward the upper part, and a middle part of a cross ba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n the upper end of the post bar being fixedly installed; and a camera cradl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case. It may be composed of

이 발명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에서 미세먼지 측정장비 거치대의 베이스 프레임의 전단과 후단은 각각 하부 케이스의 상부면에 고정 장착되는 전방 베이스 서프트 프레임과 후방 베이스 서포트 프레임의 중간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In the rack device for the installation of continuous automatic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ase frame of the fine dust measuring equipment holder ar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respectively, of the front base support frame and the rear base support frame. It can be fixed in the middle.

이 발명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에서 미세먼지 측정장비 거치대의 제1 포스트 프레임의 상단 일단에는 상부 서포트 프레임의 중간부분이 고정 설치되고, 상부 서포트 프레임의 일단과 전방 베이스 서프트 프레임의 일단 사이에는 제1 포스트 프레임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사이드 서포트 프레임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In the rack device for the installation of continuous automatic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iddle part of the upper support frame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post frame of the fine dust measuring equipment holder, and one end of the upper support frame and the front base surf A side support frame having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st frame may be fixedly installed between one end of the post frame.

이 발명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에서 상부 케이스의 전면 중간 부분에는 일정 높이와 일정 폭을 갖는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A slot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predetermined width may be formed in the front middle portion of the upper case in the rack device for installation of the continuous automatic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발명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에서 하부 케이스의 하부에는 이동바퀴가 부착되고, 이동바퀴에는 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다.In the rack device for the installation of continuous automatic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ving wheel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case, and a stopper may be installed in the moving wheel.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에 의하면 대기환경의 오염 상태 등을 측정하기 위해서 야외 현장으로 나가는 과정에서 복수의 대기환경 측정장비들을 하나의 세트에 탑재한 상태로 이동 및 관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관리비용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rack device for the installation of continuous automatic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is mounted in one set in the process of going out to an outdoor site to measure the pollution state of the air environment. As it can be moved and managed in a state of being, there is an effect that not only can it be easily managed, but also the management cost can be reduced.

도1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이 발명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의 사시도.
도3은 이 발명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의 정면도.
도4 및 도5는 이 발명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도6은 이 발명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의 배면도.
도7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에 설치된 도어를 개방하여 내부의 모습을 보인 도면.
도8은 이 발명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에 대기환경 측정장비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9는 이 발명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에 대기환경 측정장비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 구성도.
도10은 이 발명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에 대기환경 측정장비가 설치된 상태의 배면 구성도.
도11 및 도12는 이 발명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의 이동 시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ck device for installation of air quality continuous automatic integrated measurement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rack devi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air quality continuous automatic integrated measurement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a left side view and a right side view of the rack devi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ontinuous automatic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rear view of the rack devi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ontinuous automatic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by opening the door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rack device of the continuous automatic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is installed in the rack devi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ontinuous automatic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tate in which the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is installed in the rack devi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ontinuous automatic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rear configuration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he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is installed in the rack devi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ontinuous automatic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views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when moving the rack device for installation of the continuous automatic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의 구성 및 사용상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configuration and use state of the rack devi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ontinuous automatic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서 이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이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drawings for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will b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2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3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4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의 좌측면도이고, 도5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의 우측면도이며, 도6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의 배면도이고, 도7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에 설치된 도어를 개방하여 내부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ck devi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ontinuous automatic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rack devi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ontinuous automatic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eft side view of a rack device for installation of continuous automatic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rack for installation of air quality continuous automatic integrated measurement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right side view of the device, Figure 6 is a rear view of the rack device for installation of the continuous automatic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the air quality continuous automatic integrated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by opening the door installed in the equipment installation rack device.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은 이 발명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를 지시하는 것이며, 이 발명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측정장비 설치 랙 장치로 약칭될 수 있다.Reference numeral 100 displayed in the drawing indicates a rack devi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ontinuous automatic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ack devi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ontinuous automatic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easur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May be abbreviated as equipment installation rack device.

이 발명에 따른 측정장비 설치 랙 장치(100)는 도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일정 수납공간을 갖는 육면체의 상자 형태로 형성된 하부 케이스(110), 하부 케이스(110)의 상부 일측으로 일정 수납공간을 갖는 육면체의 상자 형태로 형성된 상부 케이스(130), 하부 케이스(110)의 상부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미세먼지 측정장비 거치대(150), 미세먼지 측정장비 거치대(150)의 상부에 설치되는 기상센서 거치대(170) 및 상부 케이스(130) 상부에 설치되는 카메라 거치대(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easuring equipment installation rack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wer case 110 formed in the shape of a hexahedral box having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therein, as shown in FIG. 2 , and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ase 110 . The upper case 130 formed in the shape of a hexahedral box with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radle 170 and a camera cradle 180 installed on the upper case 130 .

먼저, 이 발명에 따른 측정장비 설치 랙 장치(100)의 하부 케이스(110)는 이산화질소 분석기, 이산화질소 모터, 데이터 로거, 측정장치 전원, 전선 릴 및 전원 액세서리 등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육면체의 상자 형태로 구성되는 하부 케이스(110)는 일정 길이와 일정 단면 형태를 갖는 프레임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연결 설치되고, 각 면에는 판재가 부착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이 발명에 따른 하부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수납공간(112)을 하층과 상층을 구분하는 선반(120)이 설치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내부 격벽(122)을 통해서 하층 및 상층의 수납공간(112)은 복수의 공간으로 분리될 수 있다.First, the lower case 110 of the measuring equipment installation rack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provide a space for accommodating a nitrogen dioxide analyzer, a nitrogen dioxide motor, a data logger, a measuring device power source, a wire reel and a power accessory, etc. will become To this end, as shown in FIG. 7 , in the lower case 110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hexahedral box, frame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hape are installed to be connect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plate material is provided on each side. It consists of an attached structure. In particular, a shelf 120 separating the storage space 112 from the lower layer and the upper layer may be installed inside the lower cas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ower layer and the upper layer are accommodated through one or more internal partition walls 122 . The space 112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또한, 이 발명에 따른 하부 케이스(110)의 전면 및 후면에는 각각 도어(114, 116)가 조립 설치된다.In addition, doors 114 and 116 are assembl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lower cas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100)의 하부 케이스(110) 하부에는 이동바퀴(118)가 부착된다. 물론, 이동바퀴(118)에는 스톱퍼가 설치될 수 있다.A moving wheel 118 is attached to the lower case 110 of the rack device 100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ontinuous automatic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a stopper may be installed on the moving wheel 118 .

그리고 이 발명에 따른 측정장비 설치 랙 장치(100)의 상부 케이스(130)는 하부 케이스(110)의 상부 후방 측에 일정 높이를 갖는 상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 상부 케이스(130)는 미세먼지 측정장비를 구성하는 일부 구성품인 공기 포집 헤드, 미세먼지 측정장비 액세서리 등이 보관되기 위해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부 케이스(130)의 내부에 마련되는 수납공간(134)에는 미세먼지 측정장비의 구성품인 공기 포집 헤드, 미세먼지 측정장비 액세서리 등의 형태에 따라 스폰지 또는 스티로폼 소재로 형성된 완충수납부재(140)가 배치된다.And the upper case 130 of the measuring equipment installation rack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ox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lower case 110 . The upper case 130 is configured to store the air collection head, the fine dust measuring equipment accessories, and the like, which are som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fine dust measuring equipment. To this end, in the storage space 134 provided inside the upper case 130, a buffer storage member ( 140) is placed.

이 발명에 따른 측정장비 설치 랙 장치(100)의 상부 케이스(130)의 후방에는 도어(134)가 설치된다.A door 134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upper case 130 of the measuring equipment installation rack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100)에서는 상부 케이스(130)의 전면 중간 부분에는 일정 높이와 일정 폭을 갖는 슬롯(136)이 형성된다. 이 슬롯(136)은 미세먼지 측정장비 거치대(150)에 설치되는 미세먼지 측정장비의 본체에 설치되는 문을 개폐함에 있어 문에 돌출 형성된 락커 등이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살빼기 된 구조로 형성된다.In the rack device 100 for the installation of continuous automatic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lot 136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case 130 . This slot 136 is formed in a slimmed structure to prevent the locker protruding from the door from being caught i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installed in the main body of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installed in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holder 150 .

그리고 이 발명에 따른 상부 케이스(130)의 상부면 양쪽의 후방 모서리 부분에는 상부 케이스(130)의 상부면 상에 물건이 적재될 때 적재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138)이 부착 설치될 수 있다.And guides 138 for guiding the loading position when an object is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30 may be attached to the rear edge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발명에 따른 측정장비 설치 랙 장치(100)의 미세먼지 측정장비 거치대(150)는 전술한 하부 케이스(110)의 상부에 형성되되 앞서 설명한 상부 케이스(130)의 전방에 고정 설치된다. 미세먼지 측정장비 거치대(150)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The fine dust measuring equipment holder 150 of the measuring equipment installation rack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ase 110 described above and is fixedly installed in front of the upper case 130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ne dust measuring equipment holder 150 is made as follows.

이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장비 거치대(150)는 하부 케이스(110)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51), 베이스 프레임(151)의 중간 부분에서 상부를 향해 일정 높이 연장 형성된 센터 프레임(152), 센터 프레임(152)의 전방에 센터 프레임(152)에 대응하는 높이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포스트 프레임(153), 센터 프레임(152)의 후방에 센터 프레임(152)에 비해 낮은 높이로 연장 형성되는 제2 포스트 프레임(154), 제1 포스트 프레임(153)의 도중과 제2 포스트 프레임(154)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며 중간 부분이 센터 프레임(152)의 도중에 연결되는 크로스 프레임(15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radle 150 for measuring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rame 151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110, and a center frame 152 extending from the middle part of the base frame 151 toward the upper part. ), a first post frame 153 that is formed to extend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frame 152 in front of the center frame 152, and extends to a lower height than the center frame 152 at the rear of the center frame 152 The formed second post frame 154, the middle of the first post frame 153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ost frame 154 are interconnected, and the middle part of the cross frame 155 is connected in the middle of the center frame 152. It may be composed of

또한, 이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장비 거치대(150)에서 베이스 프레임(151)의 전단과 후단은 각각 하부 케이스(110)의 상부면에 고정 장착되는 전방 베이스 서포트 프레임(156)과 후방 베이스 서포트 프레임(157)의 중간부분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ase frame 151 in the fine dust measuring equipment holder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 front base support frame 156 and a rear base support frame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110, respectively. It can be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middle part of (157).

또한, 이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장비 거치대(150)의 제1 포스트 프레임(153)의 상단 일단에는 상부 서포트 프레임(158)의 중간 부분이 고정 설치되고, 상부 서포트 프레임(158)의 일단과 전방 베이스 서프트 프레임(156)의 일단 사이에는 제1 포스트 프레임(153)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사이드 서포트 프레임(159)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 사이드 서포트 프레임(159)은 이 발명에 따라 구성된 측정장비 설치 랙 장치(10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iddle part of the upper support frame 158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post frame 153 of the cradle 150 for measuring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one end and the front of the upper support frame 158 are fixed. A side support frame 159 having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st frame 153 may be fixedly installed between one end of the base support frame 156 . The side support frame 159 may be used as a handle held by the operator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measuring equipment installation rack device 100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이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장비 거치대(150)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은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 프레임은 그 단면의 형태가 사각형 각 사면의 중간 부분에 홈이 형성된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장비 거치대(150)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 사이는 브라켓(150a) 및 볼트(150b) 등을 매개로 상호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다.In particular, each frame constituting the cradle 150 for measuring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Also, each frame may have a shape in which a groove is formed in the middle of each of the quadrangular slopes in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Each frame constituting the cradle 150 for measuring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terconnected and fixed via a bracket 150a and a bolt 150b.

그리고 전술한 센터 프레임(152)과 크로스 프레임(155)이 +자 형태로 교차되는 교차구간의 양쪽에는 각각 미세먼지 측정장비 본체가 부착되기 위한 사각 판 형태의 행거(160)가 설치된다. 전술한 행거(160)의 중간 부분에는 체결을 위한 볼트공(162)이 형성된다.In addition, on both sides of the cross section where the above-described center frame 152 and the cross frame 155 intersect in a +-shape, a square plate-shaped hanger 160 for attaching the main body of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is installed. A bolt hole 162 for fastening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hanger 160 described above.

그리고 이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장비 거치대(150)의 상단에는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기상센서 거치대(170)가 설치된다. 즉,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미세먼지 측정장치 거치대(150)의 센터 프레임(152) 상단에 기상센서 거치대(170)가 설치된다. 기상센서 거치대(170)는 측면에서 볼 때 T자 형태로 형성되는데, 상부를 향해 일정 높이 연장 형성되는 포스트 바(172)의 하단은 센터 프레임(152)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다. 포스트 바(172)의 상단에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크로스 바(174)의 중간부분이 고정 설치된다.And, as shown in the drawing, a weather sensor holder 17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fine dust measuring equipment holder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weather sensor holder 170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enter frame 152 of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holder 150 . The weather sensor holder 170 is formed in a T-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the lower end of the post bar 172 extending at a certain height toward the upper portion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enter frame 152 . A middle portion of the cross bar 174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post bar 172 .

또한,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100)에서는 상부 케이스(130)의 상부 전방 측에는 주변을 감시하기 위한 카메라의 설치를 위한 카메라 거치대(180)가 구비된다. 이 카메라 거치대(180)에는 측정장비 설치 랙 장치(100) 주변의 전방 및 후방을 감시하기 위한 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rack device 100 for the installation of air quality continuous automatic integrated measurement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upper case 130 has a camera holder 180 for installing a camera for monitoring the surroundings. provided The camera holder 180 may have a front camera and a rear camera for monitoring the front and rear around the measuring equipment installation rack device 100, respectively.

도8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에 대기환경 측정장비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9 및 도10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에 대기환경 측정장비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 구성도 및 배면 구성도이다.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is installed in the rack devi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ontinuous automatic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9 and 10 are air qu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diagram and a rear diagram of the state in which the atmospheric environment measurement equipment is installed in the rack device for the installation of continuous automatic integrated measurement equipment.

이 발명에 따른 측정장비 설치 랙 장치(100)의 미세먼지 측정장비 거치대(150)에는 미세먼지 측정장비인 PM 2.5 측정기(210) 및 PM10 측정기(220)가 설치된다. PM 2.5 측정기(210) 및 PM10 측정기(220)의 상부에는 각각 공기 포집 헤드(212, 222)가 연결 파이프(214, 224)를 매개로 설치된다.A PM 2.5 measuring device 210 and a PM10 measuring device 220, which are fine dust measuring devices, are installed in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holder 150 of the measuring device installation rack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r collecting heads 212 and 222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PM 2.5 meter 210 and the PM10 meter 220 via the connecting pipes 214 and 224 .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측정장비 설치 랙 장치(100)의 하부 케이스(110) 내부에는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산화질소 분석기(230), 이산화질소 모터(232), 데이터 로거(240), 측정장치 전원(250), 전선 릴(260)을 포함한 각종 전원 액세서리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drawing, inside the lower case 110 of the measuring equipment installation rack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nitrogen dioxide analyzer 230 , a nitrogen dioxide motor 232 , a data logger 240 , a measuring device power supply 250 ), various power accessories including the wire reel 260 may be installed.

한편, 전술한 미세먼지 측정장비의 공기 포집 헤드(212, 222) 및 연결 파이프(214, 224)는 이동 시에 도1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30) 내부에 설치된 완충수납부재(140)에 보관될 수 있다. 즉, 공기 포집 헤드(212,222) 및 연결 파이프(214, 224)는 도11에 도시된 상태로 보관되다 측정 장소에서는 도8 내지 도10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air collecting heads 212 and 222 and the connecting pipes 214 and 224 of the above-described fine dust measuring equipment are moved to the buffer storage member 140 installed inside the upper case 130 as shown in FIG. 11 when moving. can be stored. That is, the air collecting heads 212 and 222 and the connecting pipes 214 and 224 are stored in the state shown in FIG. 11 and installed as shown in FIGS. 8 to 10 at the measurement site.

그리고 이 발명에 따른 기상센서 거치대(170)에는 기상센서(270)가 설치된다.And the weather sensor 270 is installed in the weather sensor holder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카메라(300)는 상부 케이스(1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카메라 거치대(180)에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100)의 전방 주변 및 후방 주변을 촬영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camera 300 may be mounted on the camera cradle 18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case 130 to photograph the front periphery and the rear periphery of the rack device 100 for the installation of continuous automatic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

도12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100)가 이동될 때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rack device 100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ontinuous automatic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이 발명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100)는 수시로 장소를 옮겨다니면서 대기환경 상태를 측정해야 하는 작업을 수월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 시에 불편한 공기 포집 헤드(212, 222) 및 연결 파이프(214, 224), 카메라(300) 등은 분리된 후 상부 케이스(130) 등에 보관될 수 있다.The rack device 100 for the installation of continuous automatic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task of measuring the atmospheric environment while moving from time to time, and the air collection heads 212 and 222 are inconvenient when moving. ) and the connection pipes 214 and 224 , the camera 300 , etc. may be stored in the upper case 130 after being separated.

또한, 하부 케이스(110)의 하부에는 이동바퀴(118)가 설치되어 있어 손쉽게 이동이 가능하며, 필요시에는 이동바퀴(118)의 스토퍼를 작동시켜 지면에 안정되게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 moving wheel 118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lower case 110, so it can be moved easily, and when necessary, a stopper of the moving wheel 118 is operated to maintain a stable fixed state on the ground. .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에 의하면 종래에는 대기환경의 오염 상태 등을 측정하기 위해서 야외 현장으로 나가는 과정에서 몇 개의 장비들을 옮겨야 함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대기환경 측정장비들이 설치된 장소에서도 관리자가 현장에서 상주해야만 했었으나, 복수의 대기환경 측정장비들을 하나의 세트에 탑재한 상태로 이동 및 관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관리비용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rack device for the installation of air quality continuous automatic integrated measurement equipment config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ior art, in order to measure the pollution state of the air environment, it is inconvenient to have to move some equipment in the process of going out to an outdoor site. In addition to this, the manager had to reside on site even in the place where air environment measuring devices were installed. It also has the effect of reducing costs.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실시 예들은 이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한정 해석해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a rack device for installation of an air quality continuous automatic integrated measurement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is invention.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merely exemplary.

100 : 측정장비 설치 랙 장치
110 : 하부 케이스 112 : 수납공간
114, 116 : 도어 118 : 이동바퀴
120 : 선반 130 : 상부 케이스
132 : 수납공간 134 : 도어
140 : 완충수납부재 150 : 미세먼지 측정장비 거치대
151 : 베이스 프레임 152 : 센터 프레임
160 : 행거 170 : 기상센서 거치대
180 : 카메라 거치대 210 : PM2.5 측정기
220 : PM10 측정기 230 : 이산화질소 분석기
240 : 데이터 로거 270 : 기상센서
300 : 카메라
100: measuring equipment installation rack device
110: lower case 112: storage space
114, 116: door 118: moving wheel
120: shelf 130: upper case
132: storage space 134: door
140: buffer storage member 150: fine dust measuring equipment holder
151: base frame 152: center frame
160: hanger 170: weather sensor holder
180: camera holder 210: PM2.5 meter
220: PM10 meter 230: nitrogen dioxide analyzer
240: data logger 270: weather sensor
300 : camera

Claims (5)

이산화질소 분석기, 이산화질소 모터, 데이터 로거, 측정장치 전원, 전선 릴 및 전원 액세서리가 내부에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을 갖는 육면체로 형성되되 상기 수납공간은 하층과 상층을 구분하는 선반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하층과 상층은 공간이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며, 전면 및 후면에는 각각 전면 도어와 후면 도어가 조립 설치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 후방 측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미세먼지 측정장비의 공기 포집 헤드 및 미세먼지 측정장비 액세서리의 형태에 맞춰 형성된 완충수납부재가 배치되며, 후면에는 도어가 설치된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의 전방의 상기 하부 케이스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중간 부분에서 상부를 향해 일정 높이 연장된 센터 프레임, 상기 센터 프레임의 전방에 상기 센터 프레임에 대응하는 높이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포스트 프레임, 상기 센터 프레임의 후방에 상기 센터 프레임에 비해 낮은 높이로 연장 형성되는 제2 포스트 프레임, 상기 제1 포스트 프레임 도중과 상기 제2 포스트 프레임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되 상기 센터 프레임의 도중에 중간 부분이 연결되는 크로스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센터 프레임과 상기 크로스 프레임이 +자 형태로 연결되는 교차구간의 양쪽에는 각각 미세먼지 측정장비의 본체가 부착되기 위한 행거가 설치된 미세먼지 측정장비 거치대;
상기 미세먼지 측정장비 거치대의 센터 프레임 상단에 하단이 고정되며 상부를 향해 일정 높이 포스트 바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 바의 상단에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크로스 바의 중간부분이 고정 설치되는 기상센서 거치대; 및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카메라 거치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
The nitrogen dioxide analyzer, the nitrogen dioxide motor, the data logger, the measuring device power supply, the wire reel, and the power accessory are formed as a hexahedron having a storage space to be accommodated therein, and the storage space is provided with a shelf separating the lower layer and the upper layer, while the lower layer and the lower layer The upper layer is formed to be separated from the space,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the front door and the rear door are assembled and installed in the lower case;
an upper case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lower case, and a buffer storage member formed to match the shape of an air collecting head of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and an accessory for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is disposed therein, the upper case having a door installed on the rear side;
A base frame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in front of the upper case, a center frame that extends from a middle portion of the base frame toward an upper portion at a certain height, and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frame in front of the center frame. A first post frame formed, a second post frame extending at a lower height than the center frame at the rear of the center frame, and interconnecting the middle of the first post frame and an upper end of the second post frame, but the center frame It consists of a cross frame to which the middle part is connected in the middle, and a hanger for attaching the main body of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ross section where the center frame and the cross frame are connected in a + shape. holder;
A weather sensor having a lower e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center frame of the cradle for fine dust measurement equipment, a post bar extending at a certain height toward the upper part, and a middle part of a cross ba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upper end of the post bar being fixedly installed holder; and
a camera cradl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case; Rack device for installation of air quality continuous automatic integrated measurement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측정장비 거치대의 베이스 프레임의 전단과 후단은 각각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면에 고정 장착되는 전방 베이스 서포트 프레임과 후방 베이스 서포트 프레임의 중간부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
According to claim 1,
Continuous automatic integrated measurement of air qua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ase frame of the fine dust measuring equipment holder are fixed to the middle of the front base support frame and the rear base support frame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respectively Rack unit for installation of equipm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측정장비 거치대의 제1 포스트 프레임의 상단 일단에는 상부 서포트 프레임의 중간부분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상부 서포트 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전방 베이스 서포트 프레임의 일단 사이에는 상기 제1 포스트 프레임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사이드 서포트 프레임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middle portion of an upper support frame is fixedly installed on an upper end of the first post frame of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holder, and between one end of the upper support frame and one end of the front base support fram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st frame A rack device for the installation of air quality continuous automatic integrated measurement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support frame having a height is fixedly installed.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전면 중간 부분에는 일정 높이와 일정 폭을 갖는 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rack device for installation of continuous automatic integrated measurement equipment for air quality, characterized in that a slot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in the front middle portion of the upper cas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부에는 이동바퀴가 부착되고, 상기 이동바퀴에는 스토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moving wheel is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case, and a stopper is installed on the moving wheel.
KR1020220064404A 2022-05-26 2022-05-26 Apparatus for integrated assembly rack of weather and atmosphere condition measure equipment KR1024399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404A KR102439936B1 (en) 2022-05-26 2022-05-26 Apparatus for integrated assembly rack of weather and atmosphere condition measure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404A KR102439936B1 (en) 2022-05-26 2022-05-26 Apparatus for integrated assembly rack of weather and atmosphere condition measure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936B1 true KR102439936B1 (en) 2022-09-02

Family

ID=83281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4404A KR102439936B1 (en) 2022-05-26 2022-05-26 Apparatus for integrated assembly rack of weather and atmosphere condition measure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936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477B1 (en) 2006-04-12 2008-01-02 주식회사 에이비아이시스템스 A measuring system for vibration and noise in a construction site
KR20090101529A (en) * 2008-03-24 2009-09-29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High volume air sampling system for radioactivity monitoring
KR100958697B1 (en) * 2008-11-19 2010-05-18 주식회사 퍼시스 Indoor climate measuring system
KR101937735B1 (en) 2018-05-24 2019-01-11 주식회사 대현환경 Loading apparatus for the air pollution measuring device into vehicle
KR102062161B1 (en) 2019-08-27 2020-01-03 주식회사 대현환경 Potable apparatus to monitor noise and vibration
KR20210048775A (en) 2019-10-24 2021-05-04 조남준 Automatic environmental measurement system
KR102335868B1 (en) * 2021-07-16 2021-12-06 주식회사 포토클램인터내셔날 Multipurpose measurement instrument suppor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477B1 (en) 2006-04-12 2008-01-02 주식회사 에이비아이시스템스 A measuring system for vibration and noise in a construction site
KR20090101529A (en) * 2008-03-24 2009-09-29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High volume air sampling system for radioactivity monitoring
KR100958697B1 (en) * 2008-11-19 2010-05-18 주식회사 퍼시스 Indoor climate measuring system
KR101937735B1 (en) 2018-05-24 2019-01-11 주식회사 대현환경 Loading apparatus for the air pollution measuring device into vehicle
KR102062161B1 (en) 2019-08-27 2020-01-03 주식회사 대현환경 Potable apparatus to monitor noise and vibration
KR20210048775A (en) 2019-10-24 2021-05-04 조남준 Automatic environmental measurement system
KR102335868B1 (en) * 2021-07-16 2021-12-06 주식회사 포토클램인터내셔날 Multipurpose measurement instrument supporting apparatu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동식 복합환경측정기, 양산타임스, 2020.09.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95584B1 (en) Scale with a device in a weighing place
DE60128339T2 (en) SEMICONDUCTOR WAFER CUP
KR102439936B1 (en) Apparatus for integrated assembly rack of weather and atmosphere condition measure equipment
CN203881733U (en) Automatic environment detection device for dust-free workshop
CN107449877A (en) A kind of atmosphere pollution mobile monitoring device
US5492272A (en) Mail slot receiving device
US7684030B2 (en) Enclosure for a linear inspection system
KR102474005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integrated weather and atmosphere condition
WO2015138044A1 (en) Combined chemiluminescence and elisa automated sample reader
CN106114903B (en) A kind of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drone flight attitude test platform
KR20230048123A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omalies in tracks of three-dimensional storage systems
KR102669362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integrated weather and atmosphere condition
CN218431790U (en) Take unmanned aerial vehicle cabin of automatically cleaning mechanism
CN105903506A (en) Shale gas and coalbed methane mobile laboratory
US20200408642A1 (en) Vehicle testing device
CN108519466A (en) Rail mounted inspection car and rail mounted cruising inspection system
CN209167111U (en) A kind of vehicular atmosphere infrared detection platform
CN212944151U (en) Full-automatic steel mesh cleaning and detecting system
CN209745925U (en) Multi-gas detector
CN208350132U (en) A kind of Portable environmental-monitoring equipment
CN210539916U (en) Instrument cabinet
CN105719387A (en) Coin classifying and gathering device
KR101687136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smoke of car
CN221037647U (en) Wagon balance damping device
CN219584976U (en) Granary roof grain check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