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704B1 -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704B1
KR102439704B1 KR1020210123271A KR20210123271A KR102439704B1 KR 102439704 B1 KR102439704 B1 KR 102439704B1 KR 1020210123271 A KR1020210123271 A KR 1020210123271A KR 20210123271 A KR20210123271 A KR 20210123271A KR 102439704 B1 KR102439704 B1 KR 102439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llenge
item
information
items
oper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미선
강경필
감혜진
Original Assignee
한화생명보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생명보험(주) filed Critical 한화생명보험(주)
Priority to KR1020210123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7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자기 계발을 지원하는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복수의 도전 카테고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도전 카테고리에 대한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인증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 대응한 선택 가능 도전 항목들 및 선택 가능 도전 항목 별 코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이 선택 가능 도전 항목들에 대하여 선택적인 도전 및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PLATFORM SYSTEM FOR A SELF-IMPROVEMENTING AND THEREOF OPERATING METHOD}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자기 계발을 지원하는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삭제
다양한 방면에서 빠른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자기 계발(self-improvement) 또는 자기 개발(self-development)(이하 '자기 계발'로 통칭하여 사용함)은 스스로를 발전시켜 보호하기 위한 차원에서 시도되고 있다. 상기 자기 계발은 스스로의 계획 및 관리로 건강, 지식 또는 외국어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함이다. 상기 자기 계발을 위한 시간은 사람들에 치이는 현대 사회에서 오히려 휴식의 시간으로 작용할 수 있다. 미라클 모닝(miracle morning)은 최근 알려지기 시작한 자기 계발 프로그램 중의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미라클 모닝은 오전 6시 혹은 이른 시간에 일어나 독서, 운동과 같은 자기 계발을 하는 활동을 말한다.
상기 자기 계발을 위해서는, 자기 관리(self-management)가 선제적으로 요구될 수 있다. 상기 자기 관리는 자신의 행동을 변화시키려고 행동적 학습 원리를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자기 관리는, 예를 들어, 자기 계발을 위하여 설계한 목표(goal)를 달성하거나, 또는 도전(challenge)에 성공하기 위하여, 스스로의 일상을 통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즉, 자기 관리에 있어서의 핵심은, 자신의 행동을 관리하고, 자신의 행동을 책임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삭제
일반적으로 자기 계발은, 인증 또는 커뮤니티와 같은 다양한 활동과의 연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 예로, 자기 계발은 누군가에게 관심을 받고 있거나 비슷한 관심을 가진 사람과의 소통이 가능한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 경우, 자기 계발에 대한 관심, 의지 또는 욕구를 고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막연한 불안감 또는 무기력감에서 벗어나 성취감을 얻을 수 있다. 예컨대, 동호회, 모임, 크루와 같이 함께 동일한 목적을 가지고 함께 도전하는 커뮤니티의 경우에 성취욕이 높아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공할 가능성 또한 높아질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자기 주도에 의한 도전에 따른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도전 항목을 추천하고, 상기 추천한 도전 항목에 의한 자기 계발을 시도하도록 유도하는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에서의 전자 장치는, 사용자와의 정보를 공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을 기록하도록 구성된 메모리와, 소정 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외부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메모리 또는 상기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미리 설치된 자기 계발 응용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제어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복수의 도전 카테고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도전 카테고리에 대한 제1 인증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운영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인증 데이터에 상응한 선행 도전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운영 서버에 의해 분석된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선택 가능 도전 항목들 및 선택 가능 도전 항목 별 코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한 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선택 가능 도전 항목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선택 가능 도전 항목 중에서 상기 운영 서버에 의해 개설된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에 관한 정보에 의해 확인한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에 상응한 도전 이벤트가 발생할 시, 상기 도전 이벤트에 상응한 제2 인증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자 장치에서 자기 계발을 위해 제공하는 운영 방법은, 복수의 도전 카테고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도전 카테고리에 대한 제1 인증 데이터를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과, 상기 제1 인증 데이터에 상응한 선행 도전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운영 서버에 의해 분석된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선택 가능 도전 항목들 및 선택 가능 도전 항목 별 코치 정보를 표시한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선택 가능 도전 항목에 관한 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선택 가능 도전 항목 중에서 상기 운영 서버에 의해 개설된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한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에 관한 정보에 의해 확인한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에 상응한 도전 이벤트가 발생할 시, 상기 도전 이벤트에 상응한 제2인증 데이터를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에서의 운영 서버는, 메모리와, 소정 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외부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 또는 상기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미리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대하여 자기 계발을 위한 도전에 관한 제어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서 복수의 도전 카테고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도전 카테고리에 대한 제1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인증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 대응한 선택 가능 도전 항목들 및 선택 가능 도전 항목 별 코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를 생성 및 전송하는 초기 시즌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선택 가능 도전 항목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 항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의해 선택된 도전 항목들을 기반으로 개설된 도전 항목들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개설된 도전 항목들에 상응한 제2 인증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메인 시즌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을 구성하는 운영 서버에서 자기 계발을 위해 제공하는 운영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서 복수의 도전 카테고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도전 카테고리에 대한 제1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인증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 대응한 선택 가능 도전 항목들 및 선택 가능 도전 항목 별 코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를 생성 및 전송하는 초기 시즌 절차를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선택 가능 도전 항목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 항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의해 선택된 도전 항목들을 기반으로 개설된 도전 항목들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개설된 도전 항목들에 상응한 제2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는 메인 시즌 절차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개시에서 제안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자에 의해 임의로 수행되는 도전 항목 및 상기 도전 항목에 대한 성공 가능성을 고려하여 도전 항목을 제안 및 추천함으로써, 자기 주도적인 성취욕 및 만족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 맞춤형 도전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보상을 피드-백함으로써, 도전에 대한 달성률을 높일 수도 있다.
삭제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에서 자기 계발을 위한 목표 달성을 지원하는 시그널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을 구성하는 운영 서버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계발 플랫폼을 운영하기 위한 운영 서버에서 자기 계발을 위한 도전을 관리하는 기능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계발 플랫폼을 운영하기 위한 운영 서버에서 자기 계발을 위한 운영을 관리하는 기능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자 장치에서 자기 계발을 위한 도전을 수행하는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을 구성하는 운영 서버에서 자기 계발을 위한 도전을 지원하는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을 구성하는 운영 서버에 의해 수행될 시즌 1의 서브루틴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을 구성하는 운영 서버에 의해 수행될 시즌 2의 서브루틴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후술될 설명에서, 상세한 구성 및 구성 요소와 같은 특정 세부 사항은 단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본 개시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후술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특정 목적 (예: 건강관리)를 위해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묶음으로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각 카테고리를 여러 개의 조건 항목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그 실행을 사용자 선호 카테고리의 특정 활동들의 조합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안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100)은 복수의 사용자들(사용자 #1, 사용자 #2……사용자 #n)(110-1, 110-2……110-n),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 운영 서버(130) 및/또는 제공자 단말(140)이 네트워크(15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될 수 있는 구조는, 예를 들어, 소정의 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기술적 지원이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소정의 통신 방식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은 무선 랜(W-LAN)과 같이 비 면허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통신 방식 외에도 LTE 또는 NR과 같이 면허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150)는 이종 네트워크가 복합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네트워크(150)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가 혼합된 형태를 갖거나, 면허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제1 무선 네트워크와 비 면허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제2 무선 네트워크가 혼합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사용자 #1, 사용자 #2……사용자 #n)(110-1, 110-2……110-n)은 상기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와 일대일 대응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은 미리 설치된 자기 계발 응용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자기 계발을 위한 제어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자기 계발을 위한 제어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복수의 도전 카테고리들 중 하나의 도전 카테고리에 속하는 도전을 시도함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도전에 성공하는지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수행되는 전반적인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하나의 도전 항목에 대한 도전함에 따른 데이터를 생성 및/또는 분석하는 전반적인 동작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은 복수의 도전 카테고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도전 카테고리에 대한 인증 데이터를 운영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는, 예를 들어, 특정 도전 카테고리에 포함될 수 있는 도전을 수행한 후, 상기 도전에 성공하였음을 입증 또는 검증 또는 인증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건강 카테고리에 포함될 수 있는 “자전거 1시간 타기”에 도전하여 성공한 경우, 인증 데이터는 자전거 타기를 시작한 시점에서 자전거 핸들을 잡고 있는 한쪽 손을 촬영한 사진과, 자전거 타기를 종료한 시점에서 자전거 핸들을 잡고 있는 한쪽 손을 촬영한 사전의 이미지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은 복수의 도전 카테고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도전 카테고리에 대한 자체 도전 결과 데이터를 운영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자체 도전 결과 데이터는, 예를 들어, 특정 도전 카테고리에 포함될 수 있는 도전에 성공하여 획득한 인증 데이터를 분석 및/또는 검증하고, 상기 분석 및/또는 검증에 따른 결과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은 사용자의 심박수와 같은 신체 정보 및/또는 움직임을 모니터링하여 잠에서 깨어난 시간을 인증 데이터로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인증 데이터를 분석 및/또는 검증하여 수면 카테고리에 포함될 수 있는 “6시 이전에 기상하기”에 성공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해당 도전에 성공하였음에 관한 자체 도전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여 운영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은 인증 데이터 및/또는 자체 도전 결과 데이터를 주기적 또는 비 주기적으로 운영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은, 예를 들어, 시즌이 종료되는 시점, 매일 정해진 하나 또는 복수의 시간들 또는 설정된 날짜 주기(예: 2일 마다)와 같이 미리 정해진 주기에 맞추어 인증 데이터 및/또는 자체 도전 결과 데이터를 운영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주기적 전송”이라 지칭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은, 예를 들어, 도전 이벤트가 발생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인증 데이터 및/또는 자체 도전 결과 데이터를 운영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비 주기적 전송”이라 지칭할 수 있다. 예시되지는 않았으나, 주기적 전송 및 비 주기적 전송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응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은 상기 인증 데이터에 상응한 선행 도전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운영 서버(130)에 의해 분석된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은 상기 수신한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선택 가능 도전 항목들 및 선택 가능 도전 항목 별 코치 정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사용자 #1, 사용자 #2……사용자 #n)(110-1, 110-2……110-n)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은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사용자 #1, 사용자 #2……사용자 #n)(110-1, 110-2……110-n)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선택 가능 도전 항목에 관한 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선택 가능 도전 항목 중에서 상기 운영 서버(130)에 의해 개설된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은 상기 수신한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에 관한 정보에 의해 확인한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에 상응한 도전 이벤트가 발생할 시, 상기 도전 이벤트에 상응한 인증 데이터를 상기 운영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은 운영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로부터 하나 또는 복수의 추천 도전 항목들 및 추천 도전 항목 별 코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은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하나 또는 복수의 추천 도전 항목들 및 추천 도전 항목 별 코치 정보를 복수의 사용자들(사용자 #1, 사용자 #2……사용자 #n)(110-1, 110-2……110-n)이 선택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은 운영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사용자들(사용자 #1, 사용자 #2……사용자 #n)(110-1, 110-2……110-n)이 도전에 성공한 특정 도전 항목에 대한 코치 추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은 상기 특정 도전 항목에 대한 코치 수락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은 코칭 수락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와 함께 코치 활동 시에 제공될 수 있는 인센티브 및 권한에 관한 설명을 추가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코치 추천 정보는 코치 활동 시에 제공될 수 있는 인센티브에 관한 정보 및/또는 권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들(사용자 #1, 사용자 #2……사용자 #n)(110-1, 110-2……110-n)에 의해 코치 수락이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은 상기 특정 도전 항목에 대한 코치 수락 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은 복수의 사용자들(사용자 #1, 사용자 #2……사용자 #n)(110-1, 110-2……110-n)에 의해 복수의 도전 카테고리들에 포함된 이유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도전 카테고리에 대응한 인증이 어려운 이유를 증명할 사진과 같은 인증 데이터를 운영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은 '인증 대체'와 같은 쿠폰 및 유사 기능을 활용하여 도전에 실패한 이유를 대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은 도전 실패 건을 차감할 수 있는 인증 데이터를 운영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은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행된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에 대한 도전이 종료됨에 따라, 운영 서버(130)로부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에 대한 제2 도전 결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은 상기 제2 도전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선행 시즌에서의 도전 결과와 이번 시즌에서의 도전 결과를 비교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은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행된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에 관한 정보에 의해 확인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의 코치가 제공하는 해당 도전 항목의 가이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는 도전에 성공한 카테고리 개수에 상응한 보상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도전 결과 데이터는 도전에 성공한 도전 항목 개수에 상응한 기본 보상 정보 및 상기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를 통해 상기 운영 서버에 의해 도전이 제안된 후, 도전에 성공한 도전 항목에 대한 추가 보상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한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상기 선택 가능 도전 항목들은 선행하여 진행된 시즌에서 임계 횟수 이상 선택되어 도전이 이루어진 도전 항목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서버(130)는 미리 등록된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에 대하여 자기 계발을 위한 도전에 관한 제어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서버(130)는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 각각에서 복수의 도전 카테고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도전 카테고리에 대한 인증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30)는 상기 수신한 인증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 각각에 대응한 선택 가능 도전 항목들 및 선택 가능 도전 항목 별 코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를 생성 및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은 초기 시즌 절차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서버(130)는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로부터 선택 가능 도전 항목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 항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30)는 상기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에 의해 선택된 도전 항목들을 기반으로 개설된 도전 항목들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30)는 상기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로부터 상기 개설된 도전 항목들에 상응한 인증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은 메인 시즌 절차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서버(130)는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도전 카테고리에 대한 인증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3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 카테고리에 대한 인증 데이터를 분석한 후, 미리 등록된 도전 항목 또는 신규 도전 항목 중 하나로 분류하여 인증 결과를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서버(130)는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도전 카테고리에 대한 인증 데이터를 분석하여 선택 가능 도전 항목 별로 코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30)는 상기 코치로 결정된 사용자 단말로 코치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30)는 상기 코치로 결정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코치 수락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사용자를 해당 도전 항목의 코치로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서버(130)는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을 위하여 개설된 도전 항목들에 대한 도전이 종료되면, 상기 개설된 도전 항목들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로부터 수신한 인증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30)는 상기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 각각에 대응한 제2 도전 결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서버(130)는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을 위하여 개설된 도전 항목들의 코치가 제공하는 해당 도전 항목의 가이드 정보를 상기 해당 도전 항목을 선택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서버(130)는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 중 하나인 특정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도전 카테고리들에 포함된 이유 카테고리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인증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이유 카테고리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운영 서버(130)는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 카테고리 및/또는 도전 항목에 대한 인증을 면제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는 도전에 성공한 카테고리 개수에 상응한 보상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도전 결과 데이터는 도전에 성공한 도전 항목 개수에 상응한 기본 보상 정보 및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를 통해 운영 서버(130)에 의해 도전이 제안된 후, 도전에 성공한 도전 항목에 대한 추가 보상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한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상기 선택 가능 도전 항목들은 선행하여 진행된 시즌에서 임계 횟수 이상 선택되어 도전이 이루어진 도전 항목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공자 단말(140)은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이 도전할 도전 카테고리 및/또는 도전 카테고리 별 도전 항목들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공자 단말(140)은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의 요청에 응답하여 도전 카테고리 및/또는 도전 항목을 신규로 생성하거나, 또는 제거 또는 갱신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에서 자기 계발을 위한 목표 달성을 지원하는 시그널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에서의 자기 계발을 위한 목표 달성을 위한 절차는 단계적으로 수행되는 복수의 시즌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시즌들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한번의 제1 스테이지 (first stage)에 해당하는 시즌과 적어도 한번의 제2 스테이지 (second stage)에 해당하는 시즌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시즌들은 한번의 제1 스테이지에 해당하는 시즌과 한번의 제2 스테이지에 해당하는 시즌 또는 한번의 제1 스테이지에 해당하는 시즌과 적어도 두 번의 제2 스테이지들에 해당하는 시즌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스테이지는 초기 시즌 (initial season) 또는 1차 또는 제1 시즌 (first season)(시즌 1)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제2 스테이지는 메인 시즌 (main season) 또는 2차 또는 제2 시즌 (second season)(시즌 2)에 대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시즌들을 단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은 초기 시즌에서 도전자의 도전 성향 또는 취향 또는 능력 또는 연동 가능한 건강 정보와 같은 기초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기초 정보를 기반으로 도전 결과 및/또는 도전자에게 자기 계발을 위한 추천 및/또는 보상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은 메인 시즌에서 코칭 (coaching)과 같은 가이드를 지원하여 도전자가 개선되거나, 또는 효율적인 도전을 진행하도록 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에서 도전자들, 즉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은 초기 시즌에 따른 인증 데이터 #1, 인증 데이터 #2……인증 데이터 #n을 운영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에 의해 전송되는 인증 데이터 #1, 인증 데이터 #2……인증 데이터 #n은 자기 계발을 목적으로 설정된 소정 개수의 도전 카테고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도전 카테고리에 대한 도전 이벤트를 인증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는, 예를 들어, 도전을 증명 또는 입증하기 위한 사진일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는 도전 카테고리 별로 사전에 약속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는 도전 카테고리 별로 상이하게 정해질 수도 있다. 예컨대, 운동 카테고리에 대한 인증의 경우, 인증 데이터는 자전거의 핸들을 잡고 있는 손 사진을 소정 시간의 간격으로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출발 시점에서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도착 시점에서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건강 카테고리에 대한 인증에 수행할 수 있다.
하기 <표 1>은 자기 계발을 목적으로 아홉 가지로 설정된 도전 카테고리들의 예를 정의하고 있다.
학습 식단 운동
정신 건강기능식품 수면
이유 문화 가족/동료
상기 <표 1>에서는 학습, 식단, 운동, 정신, 건강기능식품, 수면, 이유, 문화, 가족/동료와 같이 아홉 가지의 도전 카테고리들을 구분하고 있다. 상기 학습 카테고리는, 예를 들어, 하루 1시간 공부, 도서관 방문, 인터넷 강의 듣기 또는 자기 전 백지 복습과 같이 학급과 관련된 자기 계발을 목적으로 하는 도전 카테고리일 수 있다. 상기 식단 카테고리는, 예를 들어, 단백질 쉐이크 마시기, 밥 대신 샐러드, 닭 가슴살 먹기 또는 간혈적 단식과 같이 식단과 관련된 자기 계발을 목적으로 하는 도전 카테고리일 수 있다. 상기 운동 카테고리는, 예를 들어, 계단 오르기, 쇼핑하며 걷기 또는 텔레비전 보며 스트레칭과 같이 운동과 관련된 자기 계발을 목적으로 하는 도전 카테고리일 수 있다. 상기 이유 카테고리는 불가피하게 정상적인 도전 카테고리에 대한 인증이 어려운 상황을 인증하기 위한 카테고리일 수 있다. 예컨대, 건강 또는 날씨와 같이 불가항력적인 이유 및/또는 개인의 변심과 같은 자기 의지 또는 기분으로 인하여, 도전에 대한 인증이 어려운 경우, 사용자는 이유 카테고리를 선택한 후, 도전을 인증하지 못하는 이유에 상응한 인증 데이터를 도전에 따른 인증 데이터를 대신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30)는, 예를 들어, 하루 한번의 이유 인증에 응답하여 두 개의 도전 카테고리들에 대한 인증을 면제해 줄 수 있다. 상기 면제는 두 개의 도전 카테고리들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른, 핸디캡 부여를 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카테고리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각 도전 카테고리에 대하여 도전을 정상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사유를 입력하도록 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도전 카테고리를 선택한 후, 이번 도전을 수행할 수 없었던 사유를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입력된 사유는 도전을 인증하지 못하는 이유에 상응한 인증 데이터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기 시즌에서는 도전 카테고리에 대하여 구체적인 도전 항목을 정의하고 있지 않으므로, 도전자는 특정 도전 카테고리에 포함될 것을 예상한 도전 항목을 임의로 선택하여 수행하고, 이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를 운영 서버(1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운영 서버(130)는 인증 데이터가 주어진 기준에 부합한다면, 해당 도전 카테고리에 대한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수행한 도전 항목은 메인 시즌에서 운영 서버(130)에 의해 도전 항목으로 정식 채택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210에서 운영 서버(130)는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에 의해 전송된 인증 데이터 #1, 인증 데이터 #2……인증 데이터 #n을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인증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운영 서버가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는 일련의 동작은 '도전 수행 데이터 수집 단계'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서버(130)는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로부터 수신한 인증 데이터 #1, 인증 데이터 #2……인증 데이터 #n을 미리 등록된 도전 항목 또는 신규 도전 항목 중 하나로 분류하여 기록할 수 있다. 상기 단말 별로 분리하여 기록되는 도전 항목들 또는 카테고리들의 조합은 다양할 수 있다. 즉, 도전 카테고리는 개인별로 상이할 수 있으며, 수행 목적에 따라 여러 종류의 카테고리가 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류 및 기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카테고리는 선택 가능한 여러 개의 도전 항목들로 추가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 시즌에서의 도전 수행 데이터 수집 단계가 종료되면, 운영 서버(130)는 분석 단계(220)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분석 단계(220)에서 상기 운영 서버(130)는, 예를 들어, 수집한 인증 데이터들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상기 분석을 통해 획득한 선택 가능 도전 항목들 및/또는 선택 가능 도전 항목 별 코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운영 서버(130)는 기준 임계 인원 이상의 도전자에 의한 도전이 이루어진 도전 항목을 선택 가능 도전 항목으로 결정하고, 상기 선택 가능 도전 항목으로 결정된 도전 항목에 대하여 우수한 결과를 얻은 도전자를 해당 도전 항목의 코치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선택 가능 도전 항목은, 예를 들어, 도전자들이 메인 시즌에서 선택이 가능한 도전 항목을 지시하는 의미로 사용될 것이다. 상기 운영 서버(130)는, 예를 들어, 수신한 인증 데이터를 분석하여 선택 가능 도전 항목 별로 코치를 결정하고, 상기 코치로 결정된 사용자 단말로 코치 추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운영 서버(130)는 상기 코치로 결정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코치 수락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사용자를 해당 도전 항목의 코치로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서버(130)는 도전자 별 도전 인증을 위하여 제공된 동영상, 사진과 같은 콘텐트를 활용하여 '나만의 도전 인증 여정'에 대한 미디어를 생성하고, 이를 도전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서버(130)는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초기 도전 결과 데이터 (또는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분석 결과 데이터 #1, 분석 결과 데이터 #2……분석 결과 데이터 #n)를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로 전송하는 분석 결과 리포트 단계(23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는, 예를 들어, 단말 별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예컨대, 운영 서버(130)는 도전자의 성향, 취향 또는 자기 계발이 필요한 도전 카테고리와 같은 요소를 고려하여 단말 별로 적합한 선택 가능 도전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 가능 도전 항목에는, 예를 들어, 도전자에게 추천하고자 하는 도전 항목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컨대, 운동 및 식단 위주로 인증이 이루어진 도전자에 대하여, 운영 서버(130)는 학습 카테고리 또는 정신 카테고리와 같이 다른 카테고리에 포함될 수 있는 도전 항목에 대한 도전을 제안할 수 있다. 상기 초기 도전 결과 데이터는, 예를 들어,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 각각에 대응한 선택 가능 도전 항목들 및 선택 가능 도전 항목 별 코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서버(130)는 도전자의 도전 항목들의 밸런스 외에 해당 도전자와 유사한 인구학적인 특성이나 성향을 가진 그룹에서의 선호 도전 항목들과 비교를 기반으로 선택 가능 도전 항목을 제공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운영 서버(130)는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거나 도전 혹은 인증을 많이 하는 도전 항목 등에 정보를 초기 도전 결과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은 상기 운영 서버(130)로부터 제공되는 초기 도전 결과 데이터를 사용하여 다양한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사용하여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서버(130)는 도전 종료 시, 초기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수집된 성별, 나이, MBTI 정보와 같은 개인 정보를 고려하여 선호 도전 항목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30)는 선호 도전 항목의 성공 여부, 활동 유형, 방해 요소와 같은 제3 요건을 고려한 결과를 학습하고, 그에 따른 다양한 유형의 그룹에 대한 비교 리포트를 생성하며, 이를 공유하거나 맞춤 도전 항목을 제안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서버(130)는 선행 도전의 결과에 따른 선호 도전 활동 유형, 부족한 도전 항목 또는 카테고리, 추천 도전 항목 또는 카테고리, 세대 별 비교, 동일 도전 항목 또는 카테고리 활동 내에서 사용자 달성률 순위 비교, 다음 조전에 대한 상향 목표 설정을 위한 코치 가이드와 같은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데이터를 근거로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서버(130)는 초기 도전 결과 데이터 (또는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분석 결과 데이터 #1, 분석 결과 데이터 #2……분석 결과 데이터 #n)에 보상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보상 정보는, 예를 들어, 도전에 성공한 카테고리 개수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하기 <표 2>는 초기 시즌에서 도전에 성공한 카테고리의 개수를 근거로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레벨에 따라 단계적으로 차등을 두는 보상을 정의하고 있는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레벨 개수 보상
레벨 1 3 보상 1
레벨 2 5 보상 2
레벨 3 7 보상 3
상기 <표 2>에서의 보상 2은 보상 1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용자에 의한 선호도가 높거나, 또는 금액적으로 가치가 높은 물건일 수 있으며, 보상 3은 보상 2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용자에 의한 선호도가 높거나, 또는 금액적으로 가치가 높은 물건일 수 있다. 일 예로, 보상 1은 “커피”이고, 보상 2는 “치킨”이며, 보상 3은 “커피” 및 “치킨”일 수 있다.
상기 <표 2>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레벨 별로 차등적 보상이 이루어지는 경우, 도전자가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에 상응한 큰 보상을 얻기 위하여 많은 도전에 성공하기 위한 노력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은 초기 도전 결과 데이터 (또는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분석 결과 데이터 #1, 분석 결과 데이터 #2……분석 결과 데이터 #n)를 기반으로 메인 시즌을 위한 도전 항목 데이터 #1, 도전 항목 데이터 #2…… 도전 항목 데이터 #n을 운영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도전 항목 데이터 #1, 도전 항목 데이터 #2…… 도전 항목 데이터 #n에는, 초기 시즌에서의 분석 결과를 통해 운영 서버(130)에 의해 제안된 선택 가능한 도전 항목들 중 해당 단말이 선택한 개설 요청 도전 항목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서버(130)는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로부터 수신한 도전 항목 데이터 #1, 도전 항목 데이터 #2…… 도전 항목 데이터 #n를 수집하는 도전 항목 별 수요 조사 단계(24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전 항목 별 수요 조사 단계(240)에서는, 예를 들어, 초기 시즌에서의 분석 결과를 통해 제안된 선택 가능한 도전 항목들 별로 도전을 신청한 인원을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서버(130)는 도전 항목 별로 조사된 수요를 근거로 하여 오픈 도전 항목을 결정하는 오픈 도전 항목 선정 단계(25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30)는, 예를 들어, 선택 가능한 도전 항목들 중 도전을 요청한 사용자의 인원이 기준 인원 이상인 도전 항목을 오픈 도전 항목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30)는 초기 시즌 또는 선행 메인 시즌에서 오픈 도전 항목 각각에 도전한 사용자들 중 도전 결과가 우수한 사용자를 해당 오픈 도전 항목에 대한 코치로 미리 결정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30)는 미리 결정된 코치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차선의 사용자를 코치로 다시 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서버(130)는 오픈 도전 항목 공지 단계(260)에서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로 오픈 도전 항목 데이터 (오픈 도전 항목 데이터 #1, 오픈 도전 항목 데이터 #2…… 오픈 도전 항목 데이터 #n)를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오픈 도전 항목 데이터 (오픈 도전 항목 데이터 #1, 오픈 도전 항목 데이터 #2…… 오픈 도전 항목 데이터 #n)는, 예를 들어, 단말 별로 상이하거나, 또는 동일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오픈 도전 항목 데이터에는, 해당 단말이 선택 가능한 도전 항목들 중, 이번 시즌에 도전할 항목으로 선택한 도전 항목들 중 오픈할 도전 항목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하기 <표 3>은 선택 가능한 세 개의 도전 항목들 두 개의 도전 항목이 오픈된 예를 보이고 있다.
선택 도전 항목 코치 신청자 수
주 3회 러닝하기 김한화 49
주 3회 샐러드 먹기 이생명 78
주 3회 등산하기 박삼성 2
상기 <표 3>에 따르면, 세 개의 선택 가능한 도전 항목들 중 두 개의 도전 항목인 “주 3회 러닝 하기”와 “주 3회 샐러드 먹기”가 기준 인원을 만족시켜 오픈 도전 항목으로 결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전 항목을 결정함에 있어, 기준 인원만을 고려하는 것뿐만 아니라, 운영 비용, 운영 방식 또는 코치의 역량과 같은 다양한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개설할 도전 항목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은 메인 시즌에 따른 인증 데이터 #1, 인증 데이터 #2……인증 데이터 #n을 운영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에 의해 전송되는 인증 데이터 #1, 인증 데이터 #2……인증 데이터 #n은 초기 시즌 또는 선행 메인 시즌에 대한 도전 결과를 고려하여 선택한 도전 항목에 대한 인증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는, 예를 들어, 도전을 증명 또는 입증하기 위한 사진일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는 도전 항목 별로 사전에 약속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는 도전 항목 별로 상이하게 정해질 수도 있다. 예컨대, 도전 항목이 자전거 출근하기인 경우, 인증 데이터는 자전거의 핸들을 잡고 있는 손 사진을 소정 시간의 간격으로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출발 시점에서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도착 시점에서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해당 도전 항목에 대한 인증에 수행할 수 있다.
하기 <표 4>는 도전 카테고리 별로 정의된 도전 항목들의 예를 정의하고 있다.
대 분류
(도전 카테고리)
소 분류
(도전 항목)
운동 만보 걷기, 헬스장 자기
식단 샐러드 먹기, 식단 기록
멘탈 감정 캘린더 작성, 명상
수면 자기 전 스트레칭, 23시 이전 취침
가족/동료 함께 산책하기, 함께 식사하기
건강기능식품 비타민 챙겨 먹기, 물 2리터 마시기
학습 직무 관련 독서, 강연 시청
문화 감성 사진 찍기, 전시회 관람
이유 회식, 건강, 야근
상기 <표 4>에서는 도전 카테고리에 상응한 대 분류 각각에 대응하여 메인 시즌에서 오픈된 도전 항목들을 소 분류로 정의하고 있다. 일 예로, 대 분류가 학습 카테고리인 경우에 대하여, 소 분류로 직무 관련 독서, 강연 시청이라는 도전 항목이 오픈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270에서 운영 서버(130)는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에 의해 전송된 인증 데이터 #1, 인증 데이터 #2……인증 데이터 #n을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인증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운영 서버가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는 일련의 동작은 '도전 수행 데이터 수집 단계'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서버(130)는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로부터 수신한 인증 데이터 #1, 인증 데이터 #2……인증 데이터 #n을 오픈된 도전 항목 별로 분류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시즌에서의 도전 수행 데이터 수집 단계(270)가 종료되면, 운영 서버(130)는 분석 단계(280)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분석 단계(280)에서 상기 운영 서버(130)는, 예를 들어, 수집한 인증 데이터들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상기 분석을 통해 단말 별로 도전 항목에 대한 성공 여부 및/또는 달성율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30)는 분석 단계(280)에서 코치 및/또는 도전자 별로의 보상에 대해서도 결정할 수 있다.
하기 <표 5>는 오픈 도전 항목 별 코치에 대한 보상 예를 보이고 있다.
코치 참가자 (명) 운영비 (만원) 달성율 (%) 인센티브 (만원)
김한화 49 10 70 2.1
이생명 78 14 80 3.36
상기 <표 5>에 따르면, 코치에 대한 보상은 운영비와 인센티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비는 도전 항목을 위한 필요 경비 및/또는 참가자 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인센티브는 운영비, 달성율 또는 지급률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인센티브는 “운영비 x 달성율 x 지급률 (예: 0.3)'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치가 존재하는 도전 항목의 경우, 코치의 수익은 해당 도전 항목의 운영비 및/또는 인센티브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운영비 및/또는 인센티브는, 예를 들어, 참가자 수가 많거나, 또는 참가자 전체 달성율이 높을수록 높게 책정될 수 있다. 즉, 참자가가 많으면서 달성율이 높은 도전 항목의 코치가 높은 수익을 가져갈 수 있도록 하였다.
하기 <표 6>은 메인 시즌에서 도전에 성공한 카테고리의 개수를 근거로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레벨에 대한 보상 및 추천 도전 항목에 대한 추가 보상을 정의하고 있는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레벨 개수 기본 보상 추가 보상
레벨 1 3 보상 1 (예: 커피) 상품권, 협력, 기본 보상 업그레이드
레벨 2 5 보상 2 (예: 치킨)
레벨 3 7 보상 3 (예: 커피, 치킨)
상기 <표 6>에서 각 레벨에 대응한 보상은 상이하거나, 하위 레벨의 보상 외에 추가 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높은 레벨은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에 비해 일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기본 보상이 주어질 수 있다. 상기 기본 보상은 도전이 이루어진 카테고리 또는 도전 항목의 특성을 고려하여 차별화될 수도 있다.
상기 <표 6>에서 추가 보상은 기본 보상을 위한 품목을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보상으로 변경하거나, 해당 보상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상품권, 협력과 같은 새로운 보상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가 보상은, 예를 들어, 기본 보상 업그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 보상 업그레이드는, 예를 들어, 기본 보상을 한 단계 상위 레벨에 대한 품목으로 변경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기본 보상 업그레이드는, 예를 들어, '커피'를 '치킨'으로 조정하거나, 또는 '치킨'을 '커피 + 치킨'으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추가 보상은 초기 시즌 또는 선행 메인 시즌에서 운영 서버(130)가 추천한 도전 항목에 도전하여 성공하는 경우에 대하여, 지급하는 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상 방식은 본인이 최초에 목표를 세운 것을 달성한 것에 대한 보상 외에 자신이 부족한 부분을 채워줄 수 있는 도전 항목에 성공하였거나, 또는 다른 도전자와 함께 협업하여 전체 달성률을 높였을 경우 등에 대한 협력 보상이나, 기본 보상을 업그레이드하는 보상을 받을 수도 있다. 상기 기본 보상을 업그레이드하는 보상은, 단순히 치킨을 치킨 + 커피로 변경하는 것 외에도, 단계적으로 업그레이드되는 보상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기본 보상이 보충제 1kg이었으나, 3kg으로 업그레이드될 수도 있다.
하기 <표 7>은 도전 개수 별로 달성 등급을 구분하여 차등 보상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등급 판단 보상
레벨 1 기준 1 보상 A
레벨 2 기준 2 보상 B
레벨 3 기준 3 보상 C
레벨 4 기준 4 보상 D
레벨 5 기준 5 보상 E
상기 <표 7>에서 기준 1 내지 5는 레벨 1 내지 5에 도전하여 성공하였음을 인정할 수 있는 판단이 되는 조건을 정의합니다. 예컨대, 기준 1은 3개의 카테고리 또는 5개의 도전 항목들에 성공하였는지가 될 수 있고, 기준 2는 4개의 카테고리 또는 6개의 도전 항목들에 성공하였는지가 될 수 있고, 기준 3은 5개의 카테고리 또는 7개의 도전 항목들에 성공하였는지가 될 수 있고, 기준 4는 6개의 카테고리 또는 8개의 도전 항목들에 성공하였는지가 될 수 있으며, 기준 5는 7개의 카테고리 또는 9개의 도전 항목들에 성공하였는지가 될 수 있다. 즉, 레벨 별로 단계적으로 기준이 난해하거나, 성공에 어려울 수 있다. 상기한 예시에서는 개수만으로 레벨을 분류하였으나, 도전 항목 또는 카테고리에 대한 도전 성공 가능성이 높거나 낮음을 고려하여 레벨을 분류할 수도 있다. 즉, 동일한 개수의 도전 항목 또는 카테고리에 성공하였더라도, 상대적으로 도전에 성공하기에 난해한 도전 항목 또는 카테고리 도전에 성공할 시,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에 해당하는 보상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표 7>에서 특정 레벨에 대한 보상은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에 대한 보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치가 높을 수 있다. 즉, 보상은 레벨 별에 비례하여 높은 가치 또는 높은 선호도의 보상이 제공되는 '단계적 보상'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단계적 보상은 높은 레벨에 대하여 난이도가 높거나, 도전을 기피하거나, 또는 도전에 성공한 개수 또는 횟수가 많은 등의 다양한 요소를 공평하게 고려하여 높은 레벨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보상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단계적 보상에는 높은 레벨을 달성한 도전자에게 그 이후의 도전 항목 선택에서 우선권을 부여하는 것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서버(130)는 메인 시즌에서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메인 도전 결과 데이터 (또는 제2 도전 결과 데이터)(분석 결과 데이터 #1, 분석 결과 데이터 #2……분석 결과 데이터 #n)를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로 전송하는 분석 결과 리포트 단계(29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는, 예를 들어, 단말 별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예컨대, 운영 서버(130)는 단말 별로 도전한 도전 항목 별로의 보상 또는 전체 도전에 대한 보상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는 초기 시즌 또는 선행 메인 시즌에서의 도전 결과와 현재 메인 시즌에서의 도전 결과를 비교 분석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기 시즌 또는 메인 시즌이 종료하는 경우, 운영 서버(130)는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로부터 만족도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30)는 수집한 만족도에 관한 정보를 추후 서비스를 위하여 고려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 운영 서버(130)가 초기 및/또는 메인 시즌에서의 도전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선호 도전 항목, 활동 유형, 달성율, 만족도, 기본 정보, 비 참여 이유 또는 도전 카테고리 별 연계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자 장치 (예: 도 1의 단말 #1(120-1), 단말 #2(120-2)…… 단말 #n(120-n))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 입력부(322) 및/또는 출력부(324)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20), 통신부(330) 또는 저장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320)는 자기 계발을 위한 전반적인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 사용자와의 정보 공유를 위한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320)는 이미지 데이터를 얻기 위한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320)에 포함된 출력부(324)는 자기 계발을 위한 도전에 관한 정보를 표하거나, 또는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320)에 포함된 입력부(320)는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인 키 보드 또는 마우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은 물리적인 하드웨어 외에 다양한 방식들에 의한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블루투스, 직접 통신과 같은 소정의 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다른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이 비 접촉 형태의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정보를 수작업으로 입력하도록 하거나, 또는 자동적으로 생성된 정보를 로킹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와 같은 디바이스로부터 원하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즉, 개인 정보라 할지라도 병원 서버로부터 EMR 정보 혹은 건강 검진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수집한 개인 정보를 자기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을 설정할 시에 추가로 고려할 수도 있다. 예컨대, 당뇨 또는 혈압과 같은 지병을 도전자가 가지고 있음을 확인한 경우, 이를 고려한 식단, 운동 카테고리에서 적합한 도전 항목을 선택하고, 이를 도전자에게 도전을 제안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330)는 자기 계발에 따른 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예: 도 1의 네트워크(150))를 통해 외부 장치 (예: 도 1의 운영 서버(130))와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30)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은 무선 랜(W-LAN)과 같이 비 면허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은 LTE 또는 NR과 같이 면허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340)는 프로세서(310)가 자기 계발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40)에는 자기 계발을 위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설치된 자기 계발 응용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40)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임시 기록하거나, 또는 영구 기록이 가능한 메모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20), 통신부(330) 또는 저장부(3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전기적인 연결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320), 상기 통신부(330) 또는 상기 저장부(34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복수의 도전 카테고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도전 카테고리에 대한 인증 데이터를 통신부(330)를 통해 운영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인증 데이터에 상응한 선행 도전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운영 서버에 의해 분석된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33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수신한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선택 가능 도전 항목들 및 선택 가능 도전 항목 별 코치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3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한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선택 가능 도전 항목들 및 선택 가능 도전 항목 별 코치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2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와 같은 출력부(324)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320)와 같이 자동적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 또는 연동하는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선택 가능 도전 항목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수단은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부(322) 뿐만 아니라 통신 채널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외부 장치일 수도 있다. 상기 외부 장치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병원 서버, 금융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선택 가능 도전 항목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330)를 통해 운영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선택 가능 도전 항목 중에서 상기 운영 서버에 의해 개설된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33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수신한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에 관한 정보에 의해 확인한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에 상응한 도전 이벤트가 발생할 시, 상기 도전 이벤트에 상응한 인증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330)를 통해 운영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 항목에 대한 성공 인증을 위한 인증 데이터는 자의적이거나, 또는 수동적인 사용자의 생각, 행위, 감정, 상태와 같은 신체적이거나 정신적인 의사 표현이라고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기록하거나 나타낼 수 있는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는, 예를 들어, 수기 입력 방식, 미디어 컨텐츠, 디바이스 데이터, 앱 화면 캡쳐, 결제 데이터 자동 연계, 사람을 통한 인증, 비콘이나 GPS와 같은 센서를 활용한 위치 기반 인증, ARS 인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방식은 앞서 개시된 방안 외에 이미 공개된 다양한 기술들에 의한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인증 방식은 앞서 제안된 방식들 중 복수의 인증 방식들을 함께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수기 입력 방식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방식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매일 특정 페이지에 일기를 쓰는 것과 같이 도전에 대하여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사용하는 방식은, 예를 들어, 사진, 동영상, 음성과 같이 촬영 또는 녹음 또는 녹취로 생성된 파일을 업로드하는 방식일 수 있다. 이 경우, AI 기술을 활용하여 특정 사물, 행위, 사건 등의 실현 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자필로 작성한 인증 메모 들을 텍스트 분석 방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데이터를 사용하는 방식은, 예를 들어, 걸음 수, 맥박과 같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자동으로 연동함으로써, 상기 연동된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실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앱 화면 캡쳐를 사용하는 방식은, 예를 들어, 걸음 수, 운동 인증과 관련된 외부 응용 프로그램 및 디바이스의 화면을 캡쳐 하거나 사진을 촬영하여 인증을 하는 방식일 수 있다. 상기 결제 데이터 자동 연계를 사용하는 방식은, 예를 들어, 가계부 응용 프로그램과 같이 결제 정보를 연계하는 방식일 수 있다. 이 방식은, 배달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특정 시간 이후에 음식을 주문하지 않는 도전 항목 또는 건강 식품 및 용품 구입 도전에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사람을 통한 인증 방식은, 예를 들어, 자신의 코치나 이용 시설의 매니저와 같이 플랫폼에서 검증된 인원을 통해 도전 실현 여부가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비콘이나 GPS와 같은 센서를 활용한 위치 기반 인증 방식은, 예를 들어, 이동 거리, 특정 장소 방문과 같이 인증을 센서 기반의 제품을 통해 구현하는 방식일 수 있다. 이 방식은, 지도 상에 업종이 확인 가능한 장소를 방문하였을 경우에 제한적으로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ARS 인증 방식은, 예를 들어, 일별 도전의 시작 및 종료를 전화를 통하여 상담원 또는 AI 등에게 인증을 받도록 하는 방식일 수 있다.
그 외에도 시설 카메라 및 CCTV와 같은 장비를 활용한 인증, 스마트폰의 녹음 기능을 활용한 인증, 홈 IOT 디바이스와의 연동에 의한 인증, 특정 지역마다 존재하는 키오스크와 같은 장비를 통한 인증, 병원 EMR과 같은 의료 정보데이터 저장소와 연동한 인증 또는 주민센터와 같은 지자체 시설 및 장비를 활용한 인증이 더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시설 카메라 및 CCTV와 같은 장비를 활용한 인증 방식은, 예를 들어, 특정 지역의 방문에 대한 인증이나 단체로 출석을 하여 진행하는 도전의 경우에 시설 카메라 또는 CCTV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활용하여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의 녹음 기능을 활용한 인증 방식은, 예를 들어, 도전의 시작 시기에 녹음이 시작되어 도전이 종료할 때까지 입력된 음성을 포함한 소리를 기반으로 도전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상기 홈 IOT 디바이스와의 연동에 의한 인증 방식은, 예를 들어, 홈 IOT와 같은 제품과 연동하여 집에 들어오거나, 또는 홈 트레이닝 시에 습도 및/또는 온도의 변화 값을 사용하여 도전 실행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지역마다 존재하는 키오스크와 같은 장비를 통한 인증 방식은, 예를 들어, 외부의 특정 지점을 방문해서 인증을 해야 하는 경우에 키오스 또는 다른 장비를 통해 도전 실행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상기 병원 EMR과 같은 의료 정보데이터 저장소와 연동한 인증 방식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건강 상태 변화 또는 검진 시기 및 횟수를 통해 도전의 실행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주민센터와 같은 지자체 시설 및 장비를 활용한 인증 방식은, 예를 들어, 주민 센터 또는 보건소의 건강 관리 영역에서 운영 중인 장비 또는 시설을 이용한 도전의 실행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을 구성하는 운영 서버 (예: 도 1의 운영 서버(130))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 서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10), 통신부(420) 또는 저장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420)는 자기 계발에 따른 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예: 도 1의 네트워크(150))를 통해 사용자 단말(예: 도 1의 복수의 단말들(단말 #1, 단말 #2……단말 #n)(120-1, 120-2……120-n))과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420)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은 무선 랜(W-LAN)과 같이 비 면허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은 LTE 또는 NR과 같이 면허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430)는 프로세서(410)가 자기 계발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30)에는 자기 계발을 위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설치된 자기 계발 응용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30)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임시 기록하거나, 또는 영구 기록이 가능한 메모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통신부(420) 또는 저장부(4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10)는 상기 전기적인 연결을 통하여 상기 통신부(430) 또는 상기 저장부(43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통신부(420)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복수의 도전 카테고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도전 카테고리에 대한 인증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10)는 상기 수신한 인증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 대응한 선택 가능 도전 항목들 및 선택 가능 도전 항목 별 코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를 생성 및 상기 통신부(420)를 통해 전송하는 초기 시즌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10)는 상기 통신부(420)를 통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선택 가능 도전 항목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 항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10)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의해 선택된 도전 항목들을 기반으로 개설된 도전 항목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42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10)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개설된 도전 항목들에 상응한 인증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420)를 통해 수신하는 메인 시즌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데이터 분석 및 처리 모듈(412) 및 도전 및 서비스 관리 모듈(4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분석 및 처리 모듈(412)는, 예를 들어, 도전자의 인증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전 항목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거나, 또는 시즌 완료 후에 도전자 별로의 달성률을 산출하거나, 또는 도전자를 위한 도전 항목을 추천하거나, 또는 도전 항목에 대한 코치를 산출하거나, 또는 메인 시즌에서 선택할 수 있는 도전 항목들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도전 및 서비스 관리 모듈(414)은, 예를 들어, 자기 계발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 정식 회원으로 가입된 고객을 관리하거나, 또는 고객의 도전 항목을 관리하거나, 또는 도전을 위한 결제 및 보상 지급을 관리하거나, 또는 기업과 같은 고객사를 관리하거나, 또는 고객, 고객사 및/또는 코치에 대한 보상을 관리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계발 플랫폼을 운영하기 위한 운영 서버 (예: 도 1의 운영 서버(130))에서 자기 계발을 위한 도전을 관리하는 기능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 서버의 프로세서(412)에 포함된 데이터 분석 및 처리 모듈(412)은 도전 인증 유닛(511), 달성률 산출 유닛(513), 도전 추천 유닛(515), 예비 코치 산출 유닛(517), 2차 도전 산출 유닛(519), 학습 유닛(521) 또는 코치 평가 유닛(52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 인증 유닛(511)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복수의 도전 카테고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도전 카테고리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도전 항목에 대한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인증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인증 요청에 대한 성공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달성률 산출 유닛(513)은 초기 시즌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시즌에서 이루어진 인증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 별로의 도전에 대한 달성률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 추천 유닛(515)은 각 사용자 단말의 도전 카테고리 또는 도전 항목 및/또는 달성률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제안하거나, 또는 추천할 도전 항목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예비 코치 산출 유닛(517)은 초기 시즌에서 분석된 도전 결과를 기반으로 메인 시즌에서 선택 가능한 각 도전 항목의 코치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예비 코치 산출 유닛(517)은 선행 시즌에서 해당 도전 항목의 우수 달성자를 해당 도전 항목의 코치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도전 산출 유닛(519)은 초기 시즌에서 분석된 도전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 대응한 선택 가능 도전 항목들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유닛(521)은 선행하는 시즌 별로 획득한 데이터를 근거로 학습을 수행하고, 상기 학습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관리하여, 도전 항목을 추천하거나, 또는 코칭을 위한 판단 시에 보다 바람직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치 평가 유닛(523)은 대상 도전 항목에 대한 도전자들의 성공률, 코칭 유효성 등을 기반으로 해당 코치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며, 상기 코치에 대한 평가 결과가 향후 도전 항목에 대한 코치 선정 및 인센티브 지급 등에 고려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계발 플랫폼을 운영하기 위한 운영 서버 (예: 도 1의 운영 서버(130))에서 자기 계발을 위한 운영을 관리하는 기능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 서버의 프로세서(412)에 포함된 도전 및 서비스 관리 모듈(414)은 고객 관리 유닛(611), 도전 관리 유닛(613), 결제 및 지급 유닛(615), 고객사 관리 유닛(617) 또는 보상 관리 유닛(619)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 관리 유닛(611)은 자기 계발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 회원 가입이 완료된 고객 정보를 관리할 수 있고, 도전 관리 유닛(613)은 고객들에 의해 도전이 이루지고 있는 도전 항목 및 도전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결제 및 지급 유닛(615)은 고객이 도전을 위하여 결제한 내역 및 보상을 위해 지급된 내역을 관리할 수 있고, 고객사 관리 유닛(617)은 자기 계발 응용 프로그램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가입한 기업과 같은 고객사를 관리할 수 있으며, 보상 관리 유닛(619)은 고객 또는 고객사의 도전 결과를 기반으로 보상을 관리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자 장치 (예: 도 1의 단말 #1(120-1), 단말 #2(120-2)…… 단말 #n(120-n))에서 자기 계발을 위한 도전을 수행하는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동작 711에서, 자기 계발을 위한 도전을 지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등록 절차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는 운영 서버로 전달되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관리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713에서, 인증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이벤트는, 예를 들어, 초기 시즌에서 미리 설정된 도전 카테고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도전 카테고리에서 요구하는 운동, 식사 또는 수면과 같은 행동이 이루어졌음을 인증하기 위한 요청 또는 데이터의 입력일 수 있다.
상기 인증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715에서, 적어도 하나의 도전 카테고리에 대한 도전을 인증하기 위하여 입력된 인증 데이터를 운영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한 후, 동작 717에서 시즌 1 (초기 시즌)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시즌 1 (초기 시즌)이 아직 종료되지 않았다면, 동작 713 및 동작 715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시즌 1 (초기 시즌)이 종료하였다면,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719에서, 상기 시즌 1 (초기 시즌)의 분석 결과 데이터, 즉 제1 분석 결과 데이터를 운영 서버로부터 수신할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721에서, 상기 수신한 제1 분석 결과 데이터로부터 시즌 1 (초기 시즌)에서의 도전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도전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도전 결과는 도전 카테고리 별 성공 여부 및/또는 달성률 외에 보상 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분석 결과 데이터로부터 메인 시즌에서 선택 가능한 도전 항목들에 대한 목록 및 선택 가능한 도전 항목 별 코치 정보를 확인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723에서, 시즌 2 (메인 시즌)에 도전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시즌 2 (메인 시즌)에 대한 도전이 결정되면, 동작 725에서, 시즌 2 (메인 시즌)에서 선택 가능한 도전 항목들 중에서 참가할 도전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727에서, 선택된 참가 도전 항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도전 항목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도전 항목 데이터를 운영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도전 항목 데이터는 운영 서버에 의해 추천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도전 항목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729에서, 운영 서버에 의해 시즌 2 (메인 시즌)에서 오픈될 도전 항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오픈 도전 항목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수신한 오픈 도전 항목 데이터로부터 자신이 도전할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731에서, 시즌 2 (메인 시즌)에서 자신이 도전할 하나 또는 복수의 항목들 중 하나에 대한 인증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이벤트는, 예를 들어, 메인 시즌에서 도전할 도전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도전 항목에서 요구하는 행동이 이루어졌음을 인증하기 위한 요청 또는 데이터의 입력일 수 있다.
상기 인증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733에서, 적어도 하나의 도전 항목에 대한 도전을 인증하기 위하여 입력된 인증 데이터를 운영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한 후, 동작 735에서 시즌 2 (메인 시즌)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시즌 2 (메인 시즌)이 아직 종료되지 않았다면, 동작 731 및 동작 733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시즌 2 (메인 시즌)이 종료하였다면,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737에서, 상기 시즌 2 (메인 시즌)의 분석 결과 데이터, 즉 제2 분석 결과 데이터를 운영 서버로부터 수신할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739에서, 상기 수신한 제2 분석 결과 데이터로부터 시즌 2 (메인 시즌)에서의 도전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도전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도전 결과는 도전 항목 별 성공 여부 및/또는 달성률 외에 보상 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741에서, 초기 시즌 및/또는 메인 시즌에서의 도전에 관한 평가 데이터를 운영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을 구성하는 운영 서버 (예: 도 1의 운영 서버(130))에서 자기 계발을 위한 도전을 지원하는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운영 서버는, 동작 811에서, 신규 도전 사이클이 개시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하나의 도전 사이클은 초기 시즌과 적어도 하나의 메인 시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규 도전 사이클은 선행 도전 사이클이 완료되거나, 또는 현재 진행 중인 도전 사이클과 별도로 개설될 수 있다.
상기 신규 도전 사이클이 개시되면, 상기 운영 서버는, 동작 813에서, 초기 시즌에 해당하는 제1 시즌 (시즌 1)을 위한 서브루틴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는, 시즌 1의 서브루틴에서, 복수의 도전 카테고리들을 대상으로 복수의 도전자들에 의한 인증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인증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전자들 각각의 목표 달성률을 획득하며, 상기 획득한 목표 달성률을 근거로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를 도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는, 예를 들어,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를 통해 각 도전자에 대한 보상, 메인 시즌에서 선택이 가능한 도전 항목들에 관한 정보 및/또는 부족한 도전 카테고리를 고려한 제안 도전 항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시즌 1의 서브루틴이 종료하면, 상기 운영 서버는, 동작 815에서, 메인 시즌에 해당하는 제2 시즌 (시즌 2)이 개시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시즌 2가 개시되면, 상기 운영 서버는, 동작 817에서, 메인 시즌에 해당하는 제2 시즌 (시즌 2)을 위한 서브루틴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는, 시즌 2의 서브루틴에서, 복수의 도전자들에 의해 선택된 도전 항목들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도전 항목들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시즌 2에서의 도전 항목들을 개설하며, 상기 개설된 시즌 2에서의 도전 항목들에 관한 정보를 도전자들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공유된 시즌 2에서의 도전 항목들에 대응하여, 복수의 도전자들에 의한 인증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인증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전자들 각각의 목표 달성률을 획득하며, 상기 획득한 목표 달성률을 근거로 제2 도전 결과 데이터를 도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는, 예를 들어, 제2 도전 결과 데이터를 통해 각 도전자에 대한 보상 및/또는 초기 시즌에서의 도전 결과와의 비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시즌 2의 서브루틴이 종료하면, 상기 운영 서버는, 동작 819에서, 도전자들로부터 도전 평가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수집한 도전 평가 데이터를 근거로 이후 서비스 운영 시에 활용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을 구성하는 운영 서버 (예: 도 1의 운영 서버(130))에 의해 수행될 시즌 1의 서브루틴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운영 서버는, 동작 911에서, 전체 도전 항목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운영 서버는 초기 시즌에서는 도전자들이 도전할 도전 항목을 제안하거나, 또는 제한하지 않고, 도전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도록 전체 도전 항목들에 대하여 선택이 가능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는, 동작 913에서, 참가자 (또는 도전자) 별로 선택 도전 항목 및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운영 서버는 참가자들에 의해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 및/또는 목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근거로 참가자 별로 선택 도전 항목 및/또는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는, 동작 915에서, 참가자의 전자 장치 (예: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증 요청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요청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에 의해 전송된 인증 데이터가 수신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운영 서버는, 동작 917에서, 해당 인증 요청된 인증 데이터에 의해, 해당 참가자의 도전 카테고리 및/또는 도전 항목에 대한 성공 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면제 사유가 적법한지를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는 도전 카테고리 및/또는 도전 항목에 대한 성공 여부에 관한 결과 또는 면제 사유가 적법한지 여부에 대한 결과를 해당 참가자에 대한 도전 결과로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는, 동작 921에서, 시즌 1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시즌 1이 종료되지 않았다면, 상기 운영 서버는 동작 915 및 동작 917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시즌 1이 종료되었다면, 상기 운영 서버는, 동작 923에서, 참가자 별로 기록된 도전 결과를 사용하여 시즌 1의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는, 예를 들어, 참가자에 의한 도전 달성률, 성과에 따른 보상 내역 정보 및/또는 시즌 2에서 선택 가능한 도전 항목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 가능한 도전 항목들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선택 가능한 도전 항목들의 목록 및/또는 선택 가능한 도전 항목 별 코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상 내역 정보는, 예를 들어, 보상과 관련된 커머스 몰(commerce mall) 또는 포인트 몰(point mall)과 연계하여 다양한 방식의 보상이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는, 동작 925에서, 시즌 1의 분석 결과 데이터를 참가자의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는 시즌 1의 분석 결과 데이터의 전송을 완료한 후, 시즌 1의 서브루틴을 종료함으로써, 메인 루틴으로 돌아갈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을 구성하는 운영 서버 (예: 도 1의 운영 서버(130))에 의해 수행될 시즌 2의 서브루틴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운영 서버는, 동작 1011에서, 참가자들로부터 참가 도전 항목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참가자들은 초기 시즌에서의 도전 결과를 기반으로 결정된 선택 가능한 도전 항목들 중에서 자신이 도전하고자 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참가 도전 항목에 관한 데이터는 해당 참가자가 선택 가능한 도전 항목들 중에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도전 항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는, 동작 1013에서, 참가자들로부터 수신한 참가 도전 항목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결과를 기반으로 선택 가능한 도전 항목들 중에서 복수의 도전 항목들을 오픈 도전 항목들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오픈 도전 항목들은, 예를 들어, 선택 가능한 도전 항목들 중에서 일정 인원수 이상의 도전자들에 의해 선택된 도전 항목들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는, 동작 1015에서, 앞서 결정된 오픈 도전 항목들에 관한 오픈 도전 항목 데이터를 참가자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오픈 도전 항목 데이터는 참가자 별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도 있다.
상기 운영 서버는, 동작 1017에서, 참가자의 전자 장치 (예: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증 요청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요청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에 의해 전송된 인증 데이터가 수신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운영 서버는, 동작 1019에서, 해당 인증 요청된 인증 데이터에 의해, 해당 참가자의 도전 카테고리 및/또는 도전 항목에 대한 성공 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면제 사유가 적법한지를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는 도전 카테고리 및/또는 도전 항목에 대한 성공 여부에 관한 결과 또는 면제 사유가 적법한지 여부에 대한 결과를 해당 참가자에 대한 도전 결과로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는, 동작 1021에서, 시즌 2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시즌 2가 종료되지 않았다면, 상기 운영 서버는 동작 1017 및 동작 1019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시즌 2가 종료되었다면, 상기 운영 서버는, 동작 1023에서, 참가자 별로 기록된 도전 결과를 사용하여 시즌 2의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는, 예를 들어, 참가자에 의한 도전 달성률 및/또는 성과에 따른 보상 내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과에 따른 보상 내역 정보는 참가자 각각에 대한 보상 정보 및/또는 코치를 위한 보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치를 위한 보상 정보에는, 해당 도전 항목을 위한 운영비 및/또는 해당 도전 항목에 대한 도전을 신청한 참가자들의 달성률 외에 지급율을 추가로 고려하여 산출한 인센티브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운영 서버는, 동작 1025에서, 시즌 2의 분석 결과 데이터를 참가자의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는 시즌 2의 분석 결과 데이터의 전송을 완료한 후, 시즌 2의 서브루틴을 종료함으로써, 메인 루틴으로 돌아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치는 사용자의 도전 결과를 모니터링 하여 필요 시에 도움을 주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하기 <표 8>은 코치가 존재하는 하나의 도전 항목 (예: 러닝)에 참여하면서 코치에게 문의 사항이 적은 경우의 예를 보이고 있다.
사용자 A 1일 2일 3일 …… 7일
러닝 성공 러닝 성공 러닝 성공 러닝 성공
학습 실패 수면 성공 식단 실패 식단 성공
정신 실패 문화 실패 구매 성공 가족/동료 성공
상기 <표 8>에 보이고 있는 예를 가정할 때, 러닝을 담당하는 코치는, 1일차 도전 이전에 “러닝 경험이 많지 않으시네요. 러닝을 시작할 때에는 발이 불편하지 않고 발가락이 겹치지 않는 신발을 착용해 주세요. 처음 며칠 동안은 피로도가 높을 수 있습니다.”라는 가이드를 사용자 A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러닝을 담당하는 코치는, 3일차 도전 이전에 러닝에 연속하여 성공하고 있는 사용자 A에게 무릎 보호대의 필요성을 코칭하여 건강 용품 구매를 통한 부상 예방을 안내할 수 있다. 예컨대, 코치는 “러닝 운동 거시 수가 꽤 많으시네요. 4일차부터는 무릎 보호대를 미리 구비하셔서 무릎을 보호하세요.”라는 가이드를 사용자 A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러닝을 담당하는 코치는, 7일차 도전 이전에 러닝에 도움이 되는 식단 코칭을 통해 러닝 도전의 효과를 높을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예컨대, 코치는 “러닝을 할 때는 가급적 속을 비워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러닝 전 식사는 가벼운 '샐러드 도시락'을 드세요. 샐러드 도시락 할인 코드는 'Sghoisdg'입니다.”라는 가이드를 사용자 A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 8>에서는, 코치에게 문의 사항이 적은 경우의 예를 가정하여 기재하였으나, 그 외의 다양한 응용된 예들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제안에 따르면, 코치 운영 도전을 참여한 경우, 해당 도전에 대한 코칭과 더불어 부가적인 관리 영역에 대한 코칭이 가능할 수 있다.
하기 <표 9>는 코치가 존재하는 두 개의 도전 항목 (예: 러닝, 식단)에 참여하면서 코치와의 소통이 많은 경우의 예를 보이고 있다.
사용자 B 1일 2일 3일 …… 7일
러닝 성공 러닝 성공 러닝 성공 러닝 성공
식단 실패 식단 성공 식단 성공 식단 성공
정신 실패 수면 실패 구매 성공 가족/동료 성공
상기 <표 9>에 보이고 있는 예는, 해당 도전의 초보자가 코치에게 문의하고, 코치가 해당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주는 상황을 가정하고 있다. 상기 피드백 내용을 연계된 구면 카테고리를 보완하고, 제휴 업체의 상품을 추천하여 도전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식단을 담당하는 코치는, 1일차 도전 이전에 사용자 B의 “식단 관리를 통해 체중을 감량하고 싶은데 닭 가슴살은 어디서 얼마나 구매를 하면 좋을까요?”라는 질문에 응답하여 “식단 관리를 처음 하신다면 닭 가슴살로 식단을 구성하지 마시고 저녁 10시 이후 금식하기 도전을 저와 함께 진행해 보시겠습니까?”라는 가이드를 사용자 B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식단을 담당하는 코치는, 2일차 도전 이전에 사용자 B의 “늘 먹던 야식을 안 먹으니 배가 고파서 잠을 못 자고 있어요. 어쩌면 좋을까요?”라는 질문에 응답하여 “그렇다면 배가 고픈 시간에 프로틴 음료를 하나만 먹어보는 것으로 진행해 봐요. 프로틴 음료 할인 코드는 'fhdsifhos'입니다.”라는 가이드를 사용자 B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식단을 담당하는 코치는, 7일 도전 이전에 사용자 B의 “프로틴 음료를 마시며 식단 관리를 진행하니 훨씬 도움이 되는 거 같아요.”라는 답변에 응답하여 “네 잘하셨습니다. 2주차부터는 저녁 식사의 탄수화물을 줄이는 도전을 해보겠습니다. 보통 드시는 탄수화물의 절반만 먹고 남겨보세요!”라는 가이드를 사용자 B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제안에 따르면, 코치 운영 도전을 참여한 경우, 사용자에게 맞춰진 피드백 도전 방식의 운영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 계발을 위하여 도전하는 항목은 난이도에 따라 달성률이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예컨대, 난이도가 높은 도전 항목일수록, 도전에 성공할 확률이 낮을 수 있다. 이러한 형평성을 고려할 때, 도전 항목 별로 난이도를 나타내는 도전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도전 점수에 의해 일반 도전 항목에서의 도전 성공 시와 차별화된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하기 <표 10>은 도전 항목 별로 난이도를 고려하여 상이한 도전 점수를 부여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운동
(1만보 걷기)
식단
(몸무게 X 100g 단백질 먹기)
운동
(10km 달리기)
80점 50점 130점
상기 <표 10>에 따르면, 운동 카테고리에 속하는 도전 항목인 “1만보 걷기”와 식단 카테고리에 속하는 도전 항목인 “몸무게 X 100g 단백질 먹기” 모두 성공한 사용자가 획득한 도전 점수는 운동 카테고리에 속하는 도전 항목인 “10km 달리기”에 성공한 사용자가 획득한 도전 점수와 130점으로 동일하게 부여될 수 있다.
상술한 방안의 경우, 주제 별로 다양한 도전 항목들이 시행되고, 사용자의 달성률이 일반적인 난이도를 비교하여 플랫폼 내에서 도전 점수와 같은 환선 수치를 제공함으로써, 환산 수치 값에 따라 강도 높은 도전 항목을 인증 시에 2개를 인증한 것으로 산정하여 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즌이 종료한 후 도전 항목들의 조합 및 구성을 확인하여 보상 시에 등급을 달리 부여할 수 있다.
하기 <표 11>은 도전 항목들의 조합 및 구성을 고려하여 보상을 위한 등급을 달리 적용한 예를 보이고 있다.
사용자 A 러닝 10km 달리기 걷기 1만보 …… 크로스핏 1시간 등급 A 상품권 1만원권
/
포인트 100
닭가슴살 먹기 부모님께 통화하기 유산균 먹기
명상 15분 영화보기 6시간 이상 자기
사용자 B 산책하기 TV 보며 스트레칭 하늘 사진 찍기 등급 B 상품권 5천원권
/
포인트 50
탄수화물 절반만 먹기 이유 (회식) 비타민 먹기
노래 부르기 칭찬하기
상술한 방안의 경우, 도전이 종료한 후, 도전에 성공함에 대한 등급을 차등화하여 해당 등급에 따른 보상을 지급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도전 항목의 보상이 포인트로 지급되더라도 등급 별로 포인트를 차등 지급함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8)

  1.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에서의 전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와의 정보를 공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을 기록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소정 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외부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메모리 또는 상기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미리 설치된 자기 계발 응용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제어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복수의 도전 카테고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도전 카테고리에 대한 제1 인증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운영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인증 데이터에 상응한 선행 도전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운영 서버에 의해 분석된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선택 가능 도전 항목들 및 선택 가능 도전 항목 별 코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한 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선택 가능 도전 항목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선택 가능 도전 항목 중에서 상기 운영 서버에 의해 개설된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에 관한 정보에 의해 확인한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에 상응한 도전 이벤트가 발생할 시, 상기 도전 이벤트에 상응한 제2 인증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인증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으면, 상기 제1 인증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인증 데이터를 대신하여 도전을 인증하지 못하는 이유 정보를 포함하는 제3인증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하나 또는 복수의 추천 도전 항목들 및 추천 도전 항목 별 코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며,
    상기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추천 도전 항목들은, 선행하여 진행된 시즌에서 상기 사용자의 인증 데이터들을 분석 및 학습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운영 서버에 의해 도전이 제안된 도전 항목인,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도전에 성공한 특정 도전 항목에 대한 코치 추천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특정 도전 항목에 대한 코치 수락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코치 수락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선택 가능 도전 항목에 관한 정보와 함께 상기 특정 도전 항목에 대한 코치 수락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에 대한 도전이 종료됨에 따라,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에 대한 제2 도전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도전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선행 시즌에서의 도전 결과와 이번 시즌에서의 도전 결과를 비교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는 도전에 성공한 카테고리 개수에 상응한 보상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도전 결과 데이터는 도전에 성공한 도전 항목 개수에 상응한 기본 보상 정보 및 상기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를 통해 상기 운영 서버에 의해 도전이 제안된 후, 도전에 성공한 도전 항목에 대한 추가 보상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상기 선택 가능 도전 항목들은 선행하여 진행된 시즌에서 임계 횟수 이상 선택되어 도전이 이루어진 도전 항목들 또는 상기 선행하여 진행된 시즌에서 상기 사용자의 인증 데이터들을 분석 및 학습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운영 서버에 의해 도전이 제안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도전 항목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수신한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에 관한 정보에 의해 확인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의 코치가 제공하는 해당 도전 항목의 가이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8.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자 장치에서 자기 계발을 위해 제공하는 운영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도전 카테고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도전 카테고리에 대한 제1 인증 데이터를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제1 인증 데이터에 상응한 선행 도전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운영 서버에 의해 분석된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선택 가능 도전 항목들 및 선택 가능 도전 항목 별 코치 정보를 표시한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선택 가능 도전 항목에 관한 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선택 가능 도전 항목 중에서 상기 운영 서버에 의해 개설된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한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에 관한 정보에 의해 확인한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에 상응한 도전 이벤트가 발생할 시, 상기 도전 이벤트에 상응한 제2인증 데이터를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운영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증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으면, 상기 제1 인증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인증 데이터를 대신하여 도전을 인증하지 못하는 이유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인증 데이터를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운영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하나 또는 복수의 추천 도전 항목들 및 추천 도전 항목 별 코치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추천 도전 항목들은, 선행하여 진행된 시즌에서 상기 사용자의 인증 데이터들을 분석 및 학습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운영 서버에 의해 도전이 제안된 도전 항목인, 운영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도전에 성공한 특정 도전 항목에 대한 코치 추천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특정 도전 항목에 대한 코치 수락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코치 수락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선택 가능 도전 항목에 관한 정보와 함께 상기 특정 도전 항목에 대한 코치 수락 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운영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에 대한 도전이 종료됨에 따라,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에 대한 제2 도전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도전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선행 시즌에서의 도전 결과와 이번 시즌에서의 도전 결과를 비교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운영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는 도전에 성공한 카테고리 개수에 상응한 보상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도전 결과 데이터는 도전에 성공한 도전 항목 개수에 상응한 기본 보상 정보 및 상기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를 통해 상기 운영 서버에 의해 도전이 제안된 후, 도전에 성공한 도전 항목에 대한 추가 보상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상기 선택 가능 도전 항목들은 선행하여 진행된 시즌에서 임계 횟수 이상 선택되어 도전이 이루어진 도전 항목들 또는 상기 선행하여 진행된 시즌에서 상기 사용자의 인증 데이터들을 분석 및 학습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운영 서버에 의해 도전이 제안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도전 항목 중 하나를 포함하는, 운영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에 관한 정보에 의해 확인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도전 항목들의 코치가 제공하는 해당 도전 항목의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운영 방법.
  15.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에서의 운영 서버에 있어서,
    메모리;
    소정 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외부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 또는 상기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미리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대하여 자기 계발을 위한 도전에 관한 제어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서 복수의 도전 카테고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도전 카테고리에 대한 제1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인증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 대응한 선택 가능 도전 항목들 및 선택 가능 도전 항목 별 코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를 생성 및 전송하는 초기 시즌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선택 가능 도전 항목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 항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의해 선택된 도전 항목들을 기반으로 개설된 도전 항목들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개설된 도전 항목들에 상응한 제2 인증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메인 시즌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운영 서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인증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인증 데이터를 대신하여 도전을 인증하지 못하는 이유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이유 정보를 고려하여 특정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 카테고리 및/또는 도전 항목에 대한 인증을 면제할 것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근거로 인증을 면제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운영 서버.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인증 데이터를 분석한 후, 미리 등록된 도전 항목 또는 신규 도전 항목 중 하나로 분류하여 기록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운영 서버.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인증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선택 가능 도전 항목 별로 코치를 결정하고, 상기 코치로 결정된 사용자 단말로 코치 추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코치로 결정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코치 수락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사용자를 해당 도전 항목의 코치로 등록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운영 서버.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개설된 도전 항목들에 대한 도전이 종료되면, 상기 제2 인증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 대응한 제2 도전 결과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운영 서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는 도전에 성공한 카테고리 개수에 상응한 보상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도전 결과 데이터는 도전에 성공한 도전 항목 개수에 상응한 기본 보상 정보 및 상기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를 통해 상기 운영 서버에 의해 도전이 제안된 후, 도전에 성공한 도전 항목에 대한 추가 보상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상기 선택 가능 도전 항목들은 선행하여 진행된 시즌에서 임계 횟수 이상 선택되어 도전이 이루어진 도전 항목들 또는 상기 선행하여 진행된 시즌에서 상기 사용자의 인증 데이터들을 분석 및 학습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운영 서버에 의해 도전이 제안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도전 항목 중 하나를 포함하는, 운영 서버.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개설된 도전 항목들의 코치가 제공하는 해당 도전 항목의 가이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해당 도전 항목을 선택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시즌 절차를 완료하면, 상기 개설된 도전 항목들에 대응한 코치 평가 정보 또는 만족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운영 서버.
  22.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을 구성하는 운영 서버에서 자기 계발을 위해 제공하는 운영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서 복수의 도전 카테고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도전 카테고리에 대한 제1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인증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 대응한 선택 가능 도전 항목들 및 선택 가능 도전 항목 별 코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를 생성 및 전송하는 초기 시즌 절차를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선택 가능 도전 항목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 항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의해 선택된 도전 항목들을 기반으로 개설된 도전 항목들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개설된 도전 항목들에 상응한 제2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는 메인 시즌 절차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운영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시즌 절차 및 상기 메인 시즌 절차에서, 상기 제1 인증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인증 데이터를 대신하여 도전을 인증하지 못하는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이유 정보를 고려하여 특정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 카테고리 및/또는 도전 항목에 대한 인증을 면제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판단 결과를 근거로 인증을 면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운영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시즌 절차에서, 상기 제1 인증 데이터를 분석한 후, 미리 등록된 도전 항목 또는 신규 도전 항목 중 하나로 분류하여 기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운영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시즌 절차에서, 상기 제1 인증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선택 가능 도전 항목 별로 코치를 결정하고, 상기 코치로 결정된 사용자 단말로 코치 추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코치로 결정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코치 수락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사용자를 해당 도전 항목의 코치로 등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운영 방법.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시즌 절차에서, 상기 개설된 도전 항목들에 대한 도전이 종료되면, 상기 제2 인증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 대응한 제2 도전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운영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는 도전에 성공한 카테고리 개수에 상응한 보상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도전 결과 데이터는 도전에 성공한 도전 항목 개수에 상응한 기본 보상 정보 및 상기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를 통해 상기 운영 서버에 의해 도전이 제안된 후, 도전에 성공한 도전 항목에 대한 추가 보상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도전 결과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상기 선택 가능 도전 항목들은 선행하여 진행된 시즌에서 임계 횟수 이상 선택되어 도전이 이루어진 도전 항목들임은 특징으로 하는, 운영 방법.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개설된 도전 항목들의 코치가 제공하는 해당 도전 항목의 가이드 정보를 상기 해당 도전 항목을 선택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메인 시즌 절차를 완료하면, 상기 개설된 도전 항목들에 대응한 코치 평가 정보 또는 만족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운영 방법.
KR1020210123271A 2021-09-15 2021-09-15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2439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271A KR102439704B1 (ko) 2021-09-15 2021-09-15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271A KR102439704B1 (ko) 2021-09-15 2021-09-15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704B1 true KR102439704B1 (ko) 2022-09-02

Family

ID=83280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271A KR102439704B1 (ko) 2021-09-15 2021-09-15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7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0088A (ko) * 2011-09-16 2013-03-26 조근호 개인 성공 평가를 위한 실천 평가표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31576A (ko) * 2014-09-12 2016-03-23 주식회사 엔진 도전 과제 제공 방법,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0088A (ko) * 2011-09-16 2013-03-26 조근호 개인 성공 평가를 위한 실천 평가표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31576A (ko) * 2014-09-12 2016-03-23 주식회사 엔진 도전 과제 제공 방법,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8364B2 (en) Computing system implementing morbidity prediction using a correlative health assertion library
US11842652B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interactively prompting user decisions
US11030708B2 (en) Method of and device for implementing contagious illness analysis and tracking
US11397997B2 (en) Device for implementing body fluid analysis and social networking event planning
US11722737B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interactively prompting user decisions
US106504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ocial network content to determine a lifestyle category of users
US105805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mortality amongst a user base
US11494390B2 (en) Crowd-based scores for hotels from measurements of affective response
US9805381B2 (en) Crowd-based scores for food from measurements of affective response
US20160132604A1 (en) Goal-based content selection and delivery
US11574714B2 (en) Remote health assertion verification and mortality prediction system
US20090309891A1 (en) Avatar individualized by physical characteristic
CN107004214A (zh) 用户状态调控的产品选择
US11791033B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simulated user absorption information
CA30373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mortality amongst a user base
KR102439704B1 (ko) 자기 계발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2369103B1 (ko) 사용자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410322B1 (ko) 심리 상담사 추천 시스템 및 심리 상담사 추천 방법
CN110809489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存储介质
US20150148115A1 (en) Gamification and computerization of on-line photo identification
KR20230043390A (ko)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4846501A (zh) 社交媒体影响者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