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152B1 - 반려견 관리를 위한 사물 인터넷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려견 관리를 위한 사물 인터넷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152B1
KR102439152B1 KR1020210109509A KR20210109509A KR102439152B1 KR 102439152 B1 KR102439152 B1 KR 102439152B1 KR 1020210109509 A KR1020210109509 A KR 1020210109509A KR 20210109509 A KR20210109509 A KR 20210109509A KR 102439152 B1 KR102439152 B1 KR 102439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g
information
terminal
input
ow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훈
김민석
Original Assignee
박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훈 filed Critical 박정훈
Priority to KR1020210109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1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N5/2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관리를 위한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시스템은 복수 개의 터치 또는 푸쉬 방식의 입력버튼이 구비되고, 반려견의 터치 또는 가압에 따른 입력신호를 제공하는 반려견 입력패드단말; 상기 반려견에 착용되어 반려견이 짖는 소리 및 상기 반려견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착용형 생체측정모듈; 상기 반려견의 거주공간에 위치한 주변기기들과 홈 네트워크으로 연결되며, 상기 반려견 입력패드단말에서 입력된 반려견의 입력신호를 기초로 상기 주변기기들의 동작을 제어 및 모니터링하는 IoT 기기제어단말; 상기 IoT 기기제어단말로부터 상기 주변기기들의 동작을 제어 및 모니터링 결과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기촐 반려견의 행동패턴 및 건강상태를 분석한 분석결과를 견주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견주단말로 반려견과 관련된 광고정보 및 생활정보가 포함된 대화형 메시지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려견 관리를 위한 사물 인터넷 시스템{Internet of Things System for Dog Management}
본 발명은 반려견 관리를 위한 사물 인터넷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핵가족화가 진행되면서, 한 가구를 구성하는 인원수가 점차 축소되고 있다. 더욱이, 근래에는 1인 가구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에 따라서, 반려동물을 입양하는 가정이 많아졌다.
한편, 1인 가구의 반려동물의 경우, 보호자가 출근하거나, 외출하는 경우, 반려동물 혼자 집에 남겨지게 되므로, 반려동물과 떨어져 있는 보호자가 반려동물을 관리할 수 잇는 기술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즉, 집에 혼자 남게 되는 반려동물의 운동부족, 식사조절 어려움, 외로움 및 사회성 부족에 다른 분리불안 등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3203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반려견 관리를 위한 사물 인터넷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 시스템은 복수 개의 터치 또는 푸쉬 방식의 입력버튼이 구비되고, 반려견의 터치 또는 가압에 따른 입력신호를 제공하는 반려견 입력패드단말; 상기 반려견에 착용되어 반려견이 짖는 소리 및 상기 반려견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착용형 생체측정모듈; 상기 반려견의 거주공간에 위치한 주변기기들과 홈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기 반려견 입력패드단말에서 입력된 반려견의 입력신호를 기초로 상기 주변기기들의 동작을 제어 및 모니터링하는 IoT 기기제어단말; 상기 IoT 기기제어단말로부터 상기 주변기기들의 동작을 제어 및 모니터링 결과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반려견의 행동패턴 및 건강상태를 분석한 분석결과를 견주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견주단말로 반려견과 관련된 광고정보 및 생활정보가 포함된 대화형 메시지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는 상기 견주단말의 위치정보, 날씨, 교통혼잡도, 현재시간, 뉴스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여 반려견이 견주에게 견주의 현재상황을 질의하는 형태의 대화형 문장으로 기록한 메시지를 견주 단말로 제공하는 대화형 메시지 제공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반려견 입력패드 단말은 특정 시간대에 반려견이 특정 버튼을 가압 또는 터치하도록 상기 특정버튼을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IoT 기기제어단말은 상기 견주단말에서 실행된 홈 네트워크 플랫폼에서 입력한 주변기기 동작설정정보를 기초로 상기 반려견 입력패드단말에서 전송된 입력신호로 동작 가능한 주변기기들을 설정, 수정 및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IoT 기기제어단말은 기 설정된 공간에서 움직이는 반려견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기 설정된 공간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녹음하는 녹음하는 녹음기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는 상기 IoT 기기제어단말에서 전송된 시간대별 주변기기 동작정보를 제공받아 시간대별, 일일별 반려견의 주변기기 이용율 통계정보를 상기 견주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에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는 반려견 입력단말에서 입력된 입력정보와 견주단말에서 설정한 시간대별 주변기기동작 설정정보가 상이할 경우, 긍정 및 부정 중 어느 하나의 피드백 정보를 IoT 기기제어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견주의 음성정보로서, '안돼', '하지마'와 같은 부정 언어, '잘했어', '좋아', '착하지” 와 같은 긍정 언어를 포함하는 견주 발화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견주단말은 홈 네트워크 플랫폼을 이용하여 상기 IoT 기기제어단말에서 제어한 주변기기들의 동작정보, 상기 반려견 입력패드단말의 동작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홈 네트워크 플랫폼은 상기 반려견 입력패드단말, 상기 착용형 생체측정모듈, 상기 IoT 기기제어단말, 상기 IoT 기기제어단말과 홈 네트워크로 연동하여 제어되는 주변기기(에어컨, 선풍기, 스마트 TV 등)를 등록, 수정, 변경하기 위한 기기 설정등록 인터페이스; 상기 반려견 입력패드단말의 입력신호에 따라 IoT 기기제어단말에서 제어하는 주변기기들의 동작결과를 모니터링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주변기기 모니터링 인터페이스; 상기 반려견 입력패드단말의 출력신호를 모니터링하여 반려견이 특정 버튼의 입력횟수 및 특정 버튼의 입력패턴 등을 표시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반려견 활동 모니터링 인터페이스;
위치정보, 날씨, 교통혼잡도, 현재시간, 뉴스 등의 생활정보를 활용하여 반려견과 관련된 상품, 견주의 맞춤형 상품에 대한 대화형 메시지를 대화형 문장으로 기록한 광고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대화형 메시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반려견 활동 모니터링 인터페이스는 반려견의 행동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설정 및 변경하는 기능을 지원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견주의 음성정보로서, '안돼', '하지마'와 같은 부정 언어, '잘했어', '좋아', '착하지” 와 같은 긍정 언어를 포함하는 견주 발화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반려견 입력패드를 통해 반려견의 행동과정(놀이, 식사, TV 시청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반려견 입력패드를 통해 반려견의 행동에 대한 긍정 및 부정에 지시를 견주가 외출 중에도 제공할 수 있어, 반려견의 행동발달 학습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반려견 입력패드를 통해 반려견의 행동과정에 대한 정보를 문자정보 또는 음성정보로 가공하여 견주에게 제공할 수 있어, 견주는 보다 친숙하고 인간적인 반려견의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반려견의 행동 또는 신체적 정보를 수집하는 IoT 기기를 활용하여 반려견의 식습관, 놀이, TV 시청, 취침 등에 대한 통계치를 활용하여 반려견의 헬스케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제공서버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반려견 관리용 홈 네트워크 플랫폼의 실행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피드백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제공서버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반려견 관리용 홈 네트워크 플랫폼의 실행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7은 피드백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 시스템(100)은 반려견 입력패드단말(200), IoT 기기제어단말(300), 사용자 단말(400) 및 컨텐츠 제공서버(5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 시스템(100)은 착용형 생체측정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착용형 생체측정모듈(미도시)은 애완견의 몸통에 접촉되도록 착용되 애완견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전극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신호는 근전도, 골전도, 맥박 등에 관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착용형 생체측정모듈은 반려견의 음성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착용형 생체측정모듈은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반려견의 생체신호 및 음성정보를 후술하는 IoT 기기제어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려견 입력패드단말(200)은 IoT 기기제어단말(300)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IoT 기기제어단말(300)은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500)와 네트워크로 통신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 (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반려견 입력패드 단말(200)는 복수 개의 터치버튼 또는 가압버튼의 위치를 학습한 반려견이 사용하는 장치로서, 먹이공급버튼, TV 시청버튼, 주인음성버튼, 가전기기 동작버튼(에어컨, 선풍기 등)을 동작시키기 위한 입력신호를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반려견 입력패드 단말(200)은 설정정보를 통해 특정시간 대에 특정버튼이 발광하도록 동작하여, 특정 시간대에 반려견이 발광된 버튼을 입력(가압)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IoT 기기제어단말(300)은 반려견 입력패드 단말(200)에서 전송된 입력신호에 따라 주변기기들의 동작을 온/오프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주변기기들은 선풍기, 에어컨, TV, 먹이공급장치, 놀이기구 등 통신제어가 가능한 IoT 기기일 수 있다. 상기 IoT 기기제어단말(300)과 주변기기들은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상기 IoT 기기제어단말(300)은 견주단말(400)의 홈 네트워크 설정플랫폼에서 입력한 주변기기정보를 등록한 후, 홈 네트워크 설정플랫폼에서 지정한 주변기기 동작설정정보를 기초로 반려견 입력패드단말에서 전송된 입력신호로 동작 가능한 주변기기들을 설정, 수정 및 추가할 수 있다.
상기 IoT 기기제어단말(300)은 카메라 및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카메라 및 스피커에서 촬영 또는 녹음된 정보를 컨텐츠 정보제공서버(5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컨텐츠 정보제공서버(500)는 반려견의 생체정보, 행동패턴정보, 입력패드의 입력정보를 기초로 반려견의 헬스케어 정보를 생성하여 견주단말(200)로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서버(500)는 IoT 기기제어단말(400)에서 전송된 시간대별 주변기기동작정보를 제공받아 시간대별, 일일별 반려견의 주변기기 이용율 통계정보를 견주단말(200)로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정보제공서버(500)는 등록부(510), 모니터링부(520), 피드백 제공부(530), 광고제공부(540), 대화형 메시지 제공부(550), 분석부(560) 및 플랫폼 제공부(560)를 포함한다.
상기 등록부(510)는 IoT 기반의 반려견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는 구성일 있다.
여기서, 회원정보는 회원 가입에 필요한 필수정보(이름, 연락처), 회원이 이용하는 IoT 기기제어단말의 ID, 반려견 입력패드단말의 ID, 연동되는 주변기기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모니터링부(520)는 회원이 등록한 IoT 기기제어단말(400)의 수집정보 및 제어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동작정보는 IoT 기기제어단말과 연동되는 주변기기들을 제어한 제어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수집정보는 IoT 기기제어단말과 연동하는 반려견 입력패드단말에 전송한 입력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모니터링부(520)는 견주단말(200)에서 IoT 기기제어단말의 주변기기 연동 설정값(제어대상)을 변경한 변경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링부(520)는 IoT 기기제어단말(400)에서 제어하는 주변기기들의 동작정보, 주변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정보를 기록(등록) 저장한다.
한편, 주변기기들의 동작정보는 주변기기들의 동작(가동)시간, 전력소비량, 배출량(먹이 공급기의 경우) 등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피드백 제공부(530)는 반려견 입력단말에서 입력된 입력정보와 견주단말에서 설정한 시간대별 주변기기동작 설정정보가 상이할 경우, 긍정 및 부정 중 어느 하나의 피드백 정보를 IoT 기기제어단말로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정보는 견주의 음성정보로서, '안돼', '하지마'와 같은 부정 언어, '잘했어', '좋아', '착하지” 와 같은 긍정 언어를 포함하는 견주 발화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견주단말의 먹이공급기의 먹이 배출시간을 1시간 단위로 설정했다고 가정하고, 반려견이 반려견 입력패드의 먹이 공급 버튼을 지속적으로 누를 경우에, 피드백 제공부(530)는 IoT 기기제어 단말로부터 해당 입력신호를 수신받게 되며, 수신된 정보가 입력된 시간과 견주가 설정한 시간의 다를 경우, 상술한 부정 언어를 포함하는 견주 발화정보를 IoT 기기제어단말로 제공하며, IoT 기기제어단말은 수신한 부정 언어를 포함하는 견주 발화정보를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반대로, 반려견이 반려견 입력패드의 먹이 공급 버튼을 견주가 지시한 횟수 또는 시간에 누를 경우, 상술한 긍정 언어를 포함하는 견주 발화정보를 IoT 기기제어단말로 제공하며, IoT 기기제어단말은 수신한 긍정 언어를 포함하는 견주 발화정보를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피드백 정보 제공부는 IoT 기기제어단말 내에 견주가 녹음한 긍정 및 부정언어가 포함된 발화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경우, 긍정언어 및 부정언어가 포함된 견주발화 출력지시정보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대화형 메시지 제공부(550)는 견주단말의 위치정보, 날씨, 교통혼잡도, 현재시간, 뉴스 등의 정보를 활용하여 반려견과 관련된 상품, 견주의 맞춤형 상품에 대한 광고 메시지를 대화형 문장으로 기록한 메시지를 견주단말로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대화형 메시지의 일 예로, (1) 현재 위치, 시간 등 에 따라 일정 시간내 견주가 집에 도착하지 않을 경우, 견주단말로 "형 오늘 조금 늦어? 그러면 밥먼저 먹고있을까?" 와 같은 대화형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2) 견주가 버스정류장, 지하철에 도착하거나, 이동하고 있는경우 "형 버스 잘탔어?, 지하철 잘 탔어? , 오늘은 회사말고 출장가??" 와 같은 대화형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3) 견주의 직장이 위치한 곳에 일기예보상에 비가내릴 가능성이 있거나, 황사 등으로 인하여 주인에게 "형 출근잘했어? 오늘 오후부터 비가온다네 ㅠㅜ 내가 챙겨줘야?는데" 등의 대화형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4) 대화형 메시지가 광고 형태일 경우 "형 오늘 넷플릭스에서 000가 새로 방영한대 이따 퇴근길에 봐 ㅎㅎ“, "누나 오늘 SBS에서 신작 000가 9시부터 첫방송 시작한대 나랑같이보자~ㅎㅎ“, ”형 여기 우리집 근처에 애견카페 생겼대 나랑같이 가자!!” 등의 대화형 광고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광고제공부(540)는 반려견 상품업체에서 상품 광고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분석부(560)는 기 설정된 기간동안 IoT 기기제어단말(400)에서 제어하는 주변기기들의 동작정보, 주변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 반려견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반려견의 식사시간, 놀이시간, TV 시청시간, 취침시간을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기초로 반려견의 행동패턴 분석을 수행한다.
또한, 분석부(560)는 기 설정된 기간동안 수집한 반려견의 생체정보와 식사량, 놀이시간, 취침시간을 기초로 건강상태 분석을 수행한다.
또한, 분석부(560)는 분석한 행동패턴이 기록된 일, 월 시간표 및 헬스케어 보고서(통계치)를 견주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랫폼 제공부(570)는 견주단말(400)로 홈 네트워크 설정플랫폼을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반려견 관리용 홈 네트워크 설정플랫폼(1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견주단말(200)에 설치 또는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앱(app)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고 파는 가상의 장터인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IoT 설정 관리 플랫폼(10)은 기기 설정등록 인터페이스(11), 주변기기 모니터링 인터페이스(12), 반려견 활동 모니터링 인터페이스(13) 및 광고 메시지 인터페이스(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기 설정등록 인터페이스(11)는 반려견 입력패드단말, 착용형 생체측정모듈, IoT 기기제어단말, 상기 IoT 기기제어단말과 홈 네트워크로 연동하여 제어되는 주변기기(에어컨, 선풍기, 스마트 TV 등)를 등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한, 기기 설정등록 인터페이스(11)는 지정한 주변기기 동작설정정보를 기초로 반려견 입력패드단말에서 전송된 입력신호로 동작 가능한 주변기기들을 설정, 수정 및 추가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기기 설정등록 인터페이스(11)는 등록한 주변기기들의 동작횟수를 제한설정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횟수 제한설정 기능은 후술하는 반려견 활동 모니터링 인터페이스(12)의 피드백 정보 제공 기능과 연동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반려견 활동 모니터링 인터페이스(12)의 기능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주변기기 모니터링 인터페이스(12)는 반려견 입력패드단말의 입력신호에 따라 IoT 기기제어단말에서 제어하는 주변기기들의 동작결과를 모니터링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상기 반려견 활동 모니터링 인터페이스(13)는 반려견 입력패드단말의 출력신호를 모니터링하여 반려견이 특정 버튼의 입력횟수 및 특정 버튼의 입력패턴 등을 표시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상기 반려견 활동 모니터링 인터페이스(12)는 반려견의 행동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설정 및 변경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여기서, 피드백 정보는 견주의 음성정보로서, '안돼', '하지마'와 같은 부정 언어, '잘했어', '좋아', '착하지” 와 같은 긍정 언어를 포함하는 견주 발화정보일 수 있다.
상술한 피드백 정보는 앞에서 상술한 기기 설정등록 인터페이스에서 견주가 설정한 주변기기들의 동작횟수를 제한설정값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견주단말의 먹이공급기의 먹이 배출시간을 1시간 단위로 설정했다고 가정하고, 반려견이 반려견 입력패드의 먹이 공급 버튼을 지속적으로 누를 경우에, 피드백 제공부(530)는 IoT 기기제어 단말로부터 해당 입력신호를 수신받게 되며, 수신된 정보가 입력된 시간과 견주가 설정한 시간의 다를 경우, 상술한 부정 언어를 포함하는 견주 발화정보를 IoT 기기제어단말로 제공하며, IoT 기기제어단말은 수신한 부정 언어를 포함하는 견주 발화정보를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반대로, 반려견이 반려견 입력패드의 먹이 공급 버튼을 견주가 지시한 횟수 또는 시간에 누를 경우, 상술한 긍정 언어를 포함하는 견주 발화정보를 IoT 기기제어단말로 제공하며, IoT 기기제어단말은 수신한 긍정 언어를 포함하는 견주 발화정보를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피드백 정보 제공부는 IoT 기기제어단말 내에 견주가 녹음한 긍정 및 부정언어가 포함된 발화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경우, 긍정언어 및 부정언어가 포함된 견주발화 출력지시정보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대화형 메시지 인터페이스(14)는 위치정보, 날씨, 교통혼잡도, 현재시간, 뉴스 등의 생활정보를 활용하여 반려견과 관련된 상품, 견주의 맞춤형 상품에 대한 대화형 메시지를 대화형 문장으로 기록한 광고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상기 대화형 메시지 인터페이스(14)는 상술한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대화형 메시지를 전달받을 수 있다.
대화형 메시지의 일 예로, (1) 현재 위치, 시간 등 에 따라 일정 시간내 견주가 집에 도착하지 않을 경우, 견주단말로 "형 오늘 조금 늦어? 그러면 밥먼저 먹고있을까?" 와 같은 대화형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2) 견주가 버스정류장, 지하철에 도착하거나, 이동하고 있는경우 "형 버스 잘탔어?, 지하철 잘 탔어? , 오늘은 회사말고 출장가??" 와 같은 대화형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3) 견주의 직장이 위치한 곳에 일기예보상에 비가내릴 가능성이 있거나, 황사 등으로 인하여 주인에게 "형 출근잘했어? 오늘 오후부터 비가온다네 ㅠㅜ 내가 챙겨줘야?는데" 등의 대화형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4) 대화형 메시지가 광고 형태일 경우 "형 오늘 넷플릭스에서 000가 새로 방영한대 이따 퇴근길에 봐 ㅎㅎ“, "누나 오늘 SBS에서 신작 000가 9시부터 첫방송 시작한대 나랑같이보자~ㅎㅎ“, ”형 여기 우리집 근처에 애견카페 생겼대 나랑같이 가자!!” 등의 대화형 광고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반려견 입력패드를 통해 반려견의 행동과정(놀이, 식사, TV 시청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반려견 입력패드를 통해 반려견의 행동에 대한 긍정 및 부정에 지시를 견주가 외출 중에도 제공할 수 있어, 반려견의 행동발달 학습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반려견 입력패드를 통해 반려견의 행동과정에 대한 정보를 문자정보 또는 음성정보로 가공하여 견주에게 제공할 수 있어, 견주는 보다 친숙하고 인간적인 반려견의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반려견의 행동 또는 신체적 정보를 수집하는 IoT 기기를 활용하여 반려견의 식습관, 놀이, TV 시청, 취침 등에 대한 통계치를 활용하여 반려견의 헬스케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1200)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반려견 관리를 위한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시스템
101: 착용형 생체측정모듈
200: 반려견 입력패드단말
300: IoT 기기제어단말
400: 견주단말
500: 컨텐츠 제공서버
510: 등록부
520: 모니터링부
530: 피드백 제공부
540: 광고제공부
550: 대화형 메시지 제공부
560: 분석부
570: 플랫폼 제공부

Claims (9)

  1. 복수 개의 터치 또는 푸쉬 방식의 입력버튼이 구비되고, 반려견의 터치 또는 가압에 따른 입력신호를 제공하는 반려견 입력패드단말;
    상기 반려견에 착용되어 반려견이 짖는 소리 및 상기 반려견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착용형 생체측정모듈;
    상기 반려견의 거주공간에 위치한 주변기기들과 홈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기 반려견 입력패드단말에서 입력된 반려견의 입력신호를 기초로 상기 주변기기들의 동작을 제어 및 모니터링하는 IoT 기기제어단말;
    상기 IoT 기기제어단말로부터 상기 주변기기들의 동작을 제어 및 모니터링 결과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반려견의 행동패턴 및 건강상태를 분석한 분석결과를 견주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견주단말로 반려견과 관련된 광고정보 및 생활정보가 포함된 대화형 메시지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는
    상기 견주단말의 위치정보, 날씨, 교통혼잡도, 현재시간, 뉴스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여 반려견이 견주에게 견주의 현재상황을 질의하는 형태의 대화형 문장으로 기록한 메시지를 견주 단말로 제공하는 대화형 메시지 제공부를 포함하는 반려견 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견 입력패드 단말은
    특정 시간대에 반려견이 특정 버튼을 가압 또는 터치하도록 상기 특정버튼을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기기제어단말은
    상기 견주단말에서 실행된 홈 네트워크 플랫폼에서 입력한 주변기기 동작설정정보를 기초로 상기 반려견 입력패드단말에서 전송된 입력신호로 동작 가능한 주변기기들을 설정, 수정 및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IoT 기기제어단말은
    기 설정된 공간에서 움직이는 반려견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기 설정된 공간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녹음하는 녹음하는 녹음기를 더 포함하는 반려견 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는
    상기 IoT 기기제어단말에서 전송된 시간대별 주변기기 동작정보를 제공받아 시간대별, 일일별 반려견의 주변기기 이용율 통계정보를 상기 견주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는
    반려견 입력단말에서 입력된 입력정보와 견주단말에서 설정한 시간대별 주변기기동작 설정정보가 상이할 경우, 긍정 및 부정 중 어느 하나의 피드백 정보를 IoT 기기제어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견주의 음성정보로서, 부정 언어, 긍정 언어를 포함하는 견주 발화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주단말은 홈 네트워크 플랫폼을 이용하여 상기 IoT 기기제어단말에서 제어한 주변기기들의 동작정보, 상기 반려견 입력패드단말의 동작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홈 네트워크 플랫폼은
    상기 반려견 입력패드단말, 상기 착용형 생체측정모듈, 상기 IoT 기기제어단말, 상기 IoT 기기제어단말과 홈 네트워크로 연동하여 제어되는 주변기기를 등록, 수정, 변경하기 위한 기기 설정등록 인터페이스;
    상기 반려견 입력패드단말의 입력신호에 따라 IoT 기기제어단말에서 제어하는 주변기기들의 동작결과를 모니터링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주변기기 모니터링 인터페이스;
    상기 반려견 입력패드단말의 출력신호를 모니터링하여 반려견이 특정 버튼의 입력횟수 및 특정 버튼의 입력패턴 등을 표시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반려견 활동 모니터링 인터페이스;
    위치정보, 날씨, 교통혼잡도, 현재시간, 뉴스 등의 생활정보를 활용하여 반려견과 관련된 상품, 견주의 맞춤형 상품에 대한 대화형 메시지를 대화형 문장으로 기록한 광고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대화형 메시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반려견 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견 활동 모니터링 인터페이스는 반려견의 행동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설정 및 변경하는 기능을 지원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견주의 음성정보로서, 부정 언어, 긍정 언어를 포함하는 견주 발화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 시스템.
KR1020210109509A 2021-08-19 2021-08-19 반려견 관리를 위한 사물 인터넷 시스템 KR102439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509A KR102439152B1 (ko) 2021-08-19 2021-08-19 반려견 관리를 위한 사물 인터넷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509A KR102439152B1 (ko) 2021-08-19 2021-08-19 반려견 관리를 위한 사물 인터넷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152B1 true KR102439152B1 (ko) 2022-09-01

Family

ID=83282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509A KR102439152B1 (ko) 2021-08-19 2021-08-19 반려견 관리를 위한 사물 인터넷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1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844B1 (ko) 2023-06-15 2024-04-02 김대환 반려동물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038A (ko) 2013-12-26 2016-03-23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터
KR20160097492A (ko) * 2015-02-09 2016-08-18 주식회사 디바이스넷 반려 동물 관리 장치 및 반려 동물 관리 방법
KR102174198B1 (ko) * 2020-06-12 2020-11-04 박정훈 사물 인터넷 기반의 반려동물 소통기능 제공장치 및 방법, 사용자 단말기
KR102185469B1 (ko) * 2018-12-03 2020-12-02 정진해 인공지능을 이용한 반려동물 감성봇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감 방법
KR20210050631A (ko) * 2019-10-28 2021-05-1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고중합 이소말토올리고당 제조용 당전이효소를 이용한 이소말툴로오스 유래 올리고당 제조방법
KR20210053718A (ko) * 2019-11-04 2021-05-1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반려동물 추종 모니터링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038A (ko) 2013-12-26 2016-03-23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터
KR20160097492A (ko) * 2015-02-09 2016-08-18 주식회사 디바이스넷 반려 동물 관리 장치 및 반려 동물 관리 방법
KR102185469B1 (ko) * 2018-12-03 2020-12-02 정진해 인공지능을 이용한 반려동물 감성봇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감 방법
KR20210050631A (ko) * 2019-10-28 2021-05-1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고중합 이소말토올리고당 제조용 당전이효소를 이용한 이소말툴로오스 유래 올리고당 제조방법
KR20210053718A (ko) * 2019-11-04 2021-05-1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반려동물 추종 모니터링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174198B1 (ko) * 2020-06-12 2020-11-04 박정훈 사물 인터넷 기반의 반려동물 소통기능 제공장치 및 방법, 사용자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844B1 (ko) 2023-06-15 2024-04-02 김대환 반려동물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8423B2 (en) Adapted digital therapeutic plans based on biomarkers
Asensio et al. Protocol and architecture to bring things into internet of things
KR101725659B1 (ko) 사물인터넷 기반 동물 관리 시스템 및 제공 방법
Curmi et al. HeartLink: open broadcast of live biometric data to social networks
Suryadevara et al. Smart homes
WO201415276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and treating individuals with sensory processing conditions
KR101977965B1 (ko) 애완 동물 관리 방법 및 애완 동물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Ariff et al. RFID based systematic livestock health management system
EP325555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2439152B1 (ko) 반려견 관리를 위한 사물 인터넷 시스템
KR102004438B1 (ko) 사용자 건강습관정보 수집을 통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WO2015001537A2 (en) Smart activity monitoring system
Lee et al. Dynamic bio-sensing process design in mobile wellness information system for smart healthcare
KR20140005527A (ko) 모델 기반의 사용자 일상 관리 장치 및 방법
Sung et al.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home system using a virtualized cloud server and mobile phone app
KR20210111075A (ko) 스마트 사료 공급 장치, 스마트 사료 공급 장치를 이용하는 반려 동물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Bachmann et al. ESMAC: a web-based configurator for context-aware experience sampling apps in ambulatory assessment
Sood et al. Iot enabled smart wearable device-sukoon
KR102336727B1 (ko)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기초로 사용자의 우울감을 진단하고 케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52458A (ko) 가축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통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28981B1 (ko) 하네스 카메라를 이용한 반려동물 정보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utzick Behavioral monitoring to enhance safety and wellness in old age
US20190287658A1 (en) Systems, devices, and/or processes for omic and/or environmental content processing and/or communication
KR20200031383A (ko) 식생활습관과 건강상태 자가진단 체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건강정보 제공방법
Lee et al. Dynamic configuration method of process design in bio-sensing information compu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