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211B1 - 내진장치가 적용되는 제진기 - Google Patents

내진장치가 적용되는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211B1
KR102438211B1 KR1020210167550A KR20210167550A KR102438211B1 KR 102438211 B1 KR102438211 B1 KR 102438211B1 KR 1020210167550 A KR1020210167550 A KR 1020210167550A KR 20210167550 A KR20210167550 A KR 20210167550A KR 102438211 B1 KR102438211 B1 KR 102438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earthquake
block
vibration
s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7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동
Original Assignee
김해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해동 filed Critical 김해동
Priority to KR1020210167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2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진기의 수로의 바닥면과 슬라브와 접하는 부분에 구비되는 각각의 내진장치에 의해 지진 등에 의한 진동발생시 전후좌우는 물론 상하 방향으로의 유동성과 함께 진동을 완충시켜 제진기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로에 설치되는 제진기; 수로의 바닥면과 전위 스크린 사이와 슬라브 상면 사이에 개재되는 내진장치는 하부에 수로의 바닥면 또는 슬라브의 상면에 고정되는 각각의 고정 블록; 상기 각각의 고정 블록의 상면 테두리 측에 지진에 따른 진동 발생시 1차적으로 유동성과 완충력을 갖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비되는 제1 완충부재; 상기 제1 완충부재의 상부에 측 프레임의 후면 또는 전위 스크린의 밑면에 고정되어 지진에 의한 진동시 전후좌우 및 상하로의 유동성을 갖는 유동 블록; 상기 고정 블록과 유동 블록의 내부에 구비되는 각각의 구면 베어링; 및 상기 각각의 구면 베어링 사이에 지진에 따른 진동 발생시 2차적으로 유동성과 완충력을 갖도록 구비되는 유동 축부;를 포함하는 내진장치가 적용되는 제진기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지진 발생시에도 수로에 설치되는 제진기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함에 따라 지진 발생 후에도 유지보수의 우수성과 경제성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내진장치가 적용되는 제진기{A rotary foreign material handling device with seismic resistance applied}
본 발명은 내진장치가 적용된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제진기의 수로의 바닥면과 슬라브와 접하는 부분에 구비되는 각각의 내진장치에 의해 지진 등에 의한 진동발생시 전후좌우는 물론 상하 방향으로의 유동성과 함께 진동을 완충시켜 제진기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내진장치가 적용되는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진기는 오·폐수 및 상·하수가 유입되어 정화되는 처리시설이나, 빗물 펌프장의 유입구 및 방류구에 설치되어 수중에 포함된 목재, 비닐, 가정폐기물, 잡초 등과 같은 각종 협잡물을 연속적으로 스크린에 의해 걸러 내고, 그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레이크에 의해 걷어 내어 컨베이어로 이송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제진기는 수로의 양측에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각각의 측 프레임, 상기 각 측 프레임에 설치되어 무한궤도 방식에 의해 회전되는 체인, 상기 각각의 측 프레임의 전방에 소정 간격으로 고정되어 물속에 포함된 협잡물이 걸려지는 주 스크린, 상기 측 프레임 하부의 체인이 반환되는 선단에 구비되는 전위 스크린, 및 상기 체인에 설치되며 주 스크린에 걸려진 협잡물을 스크레이핑 하여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레이크를 포함한다.
상기한 제진기의 체인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은 슬라브 상면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에 축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한 제진기는 수로의 바닥면에 전위 스크린의 밑면과 슬라브 상면과 접하는 각 측 프레임의 후면이 유동성 없이 고정된다.
그에 따라 지진 발생에 따른 진동시 실제 진동이 전달되어 데미지를 받는 부분은 수로의 바닥면과 고정된 상기 제진기의 하단에 위치하는 전위 스크린과 슬라브 상면과 고정되는 양측의 각 측 프레임의 유동성이나 완충력 없이 고정된 부분으로 그대로 전달됨으로써, 제진기 자체가 크게 변형 또는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그로 인해 수리 또는 복원으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이 큰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95757호(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레이크의 순환회전을 위해 회전구동되는 구동축 양단 부분에 대한 수로벽체 상단에의 고정구조에 대하여 완충유닛을 적용함으로써 내진설계 구성인 완충유닛을 적용함에 따라 지진 등의 진동발생시에도 제진기의 설치위치를 안정적으로 완충시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내진형 제진기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에 있어, 제진기는 전술한 바와 같은 수로의 바닥면과 전위 스크린 및 측 프레임의 후면이 슬라브의 상면과 유동성 없이 고정됨으로써, 지진으로 인한 진동발생시 실제 제진기에 전후좌우는 물론 상하로의 진동이 그대로 전달됨에 따라 전위 스크린은 물론 양측의 측 프레임과 주 스크린과 체인 및 레이크 등의 변형은 물론 파손됨을 방지하지 못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95757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제진기의 수로의 바닥면과 슬라브와 접하는 부분에 구비되는 각각의 내진장치에 의해 지진 등에 의한 진동발생시 전후좌우는 물론 상하 방향으로의 유동성과 함께 진동을 완충시켜 제진기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내진장치가 적용되는 제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지진으로 인한 진동 발생에 따른 전후좌우와 상하로의 완충력 및 더욱더 원활한 유동성과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수단은 수로의 양측에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면서 후면이 슬라브의 상면과 내진장치를 개재되도록 지지 고정되는 각각의 측 프레임, 상기 각 측 프레임에 설치되어 무한궤도 방식에 의해 회전되는 체인, 상기 각각의 측 프레임의 전방에 소정 간격으로 고정되어 물속에 포함된 협잡물이 걸려지는 주 스크린, 상기 측 프레임 하부의 체인이 반환되는 선단에 수로의 바닥면과 밑면 사이에 내진장치가 개재되도록 고정되는 전위 스크린 및 상기 체인에 설치되며 주 스크린에 걸려진 협잡물을 스크레이핑 하여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레이크를 포함하는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내진장치는 하부에 수로의 바닥면 또는 슬라브의 상면에 고정되는 각각의 고정 블록; 상기 각각의 고정 블록의 상면 테두리 측에 지진에 따른 진동 발생시 1차적으로 유동성과 완충력을 갖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비되는 제1 완충부재; 상기 제1 완충부재의 상부에 측 프레임의 후면 또는 전위 스크린의 밑면에 고정되어 지진에 의한 진동시 전후좌우 및 상하로의 유동성을 갖는 유동 블록; 상기 고정 블록과 유동 블록의 내부에 구비되는 각각의 구면 베어링; 및 상기 각각의 구면 베어링 사이에 지진에 따른 진동 발생시 2차적으로 유동성과 완충력을 갖도록 구비되는 유동 축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블록과 유동 블록은 단면이 캡 형태로, 서로 마주보는 내부에 각각의 구면 베어링 및 유동 축부가 내장되는 각각의 설치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 블록의 밑면에는 수로의 바닥면 또는 슬라브의 상면에 인서트 고정되는 각각의 볼트가 구비되고, 상기 유동 블록의 상면은 측 프레임의 후면 또는 전위 스크린의 밑면과 볼팅이나 브래킷 연결, 용접 중 어느 하나의 고정방식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제1 완충부재는 고정 블록 및 유동 블록 상에 장착 고정되는 각각의 제1 장착 고정구, 상기 각각의 제1 장착 고정구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유동 축부는 중간에 위치하는 제2 완충부재, 상기 제2 완충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각각의 구면 베어링 내에서 방향성에 구애받지 않고 회전되는 각각의 구슬 볼베어링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완충부재는 각각의 구슬 볼베어링에 장착 고정되는 각각의 제2 장착 고정구, 상기 각각의 제2 장착 고정구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블록의 상면과 유동 블록의 밑면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보조 완충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진기의 수로의 바닥면과 슬라브와 접하는 부분에 구비되는 각각의 내진장치에 의해 지진 등에 의한 진동발생시 전후좌우는 물론 상하 방향으로의 유동성과 함께 진동을 완충시켜 제진기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진 발생시에도 수로에 설치되는 제진기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함에 따라 지진 발생 후에도 유지보수의 우수성과 경제성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지진으로 인한 진동 발생에 따른 전후좌우와 상하로의 완충력 및 더욱더 원활한 유동성과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진 발생시에도 수로에 설치된 제진기의 안전하게 보호함으로 인해 더욱더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내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내진장치가 적용된 진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내진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발췌도,
도 5는 본 발명의 내진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내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내진장치가 적용된 진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내진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발췌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진기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한 바와 같이 오·폐수 및 상·하수가 유입되어 정화되는 처리시설이나, 빗물 펌프장의 유입구 및 방류구에 설치되어 수중에 포함된 목재, 비닐, 가정폐기물, 잡초 등과 같은 각종 협잡물을 연속적으로 스크린에 의해 걸러 내고, 그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레이크에 의해 걷어 내어 컨베이어로 이송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수로에 설치되는 제진기는 지진에 상당히 취약한, 즉 제진기는 수로의 바닥면과 전위 스크린 및 측 프레임의 후면이 슬라브의 상면과 유동성 없이 고정됨으로써, 지진으로 인한 진동발생시 실제 제진기에 그대로 전달됨에 따라 전위 스크린은 물론 양측의 측 프레임과 주 스크린과 체인 및 레이크 등의 변형은 물론 파손됨을 방지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제진기의 수로의 바닥면과 슬라브와 접하는 부분에 구비되는 각각의 내진장치에 의해 지진 등에 의한 진동발생시 상하좌우는 물론 전후 방향으로의 유동성과 함께 진동을 완충시켜 제진기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내진장치가 적용되는 제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다른 내진장치가 적용되는 제진기(100)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한 동일한 구조를 가지되, 다만 지진에 따른 진동에 대하여 내진 성능을 가질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제진기(100)는 수로(200)의 양측에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면서 후면이 슬라브(S)의 상면과 내진장치(1)를 개재되도록 지지 고정되는 각각의 측 프레임(110), 상기 각 측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무한궤도 방식에 의해 회전되는 체인(120), 상기 각각의 측 프레임(110)의 전방에 소정 간격으로 고정되어 물속에 포함된 협잡물이 걸려지는 주 스크린(130), 상기 측 프레임(110) 하부의 체인이 반환되는 선단에 수로의 바닥면과 밑면 사이에 내진장치(1)가 개재되도록 고정되는 전위 스크린(140) 및 상기 체인(120)에 설치되며 주 스크린(130)에 걸려진 협잡물을 스크레이핑 하여 컨베이어(C)로 배출하는 레이크(15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지진 발생시 진동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수로의 바닥면과 슬라브 상면과 접하는 부분에 구비되는 내진장치(1)가 주된 기술적 요지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내진장치(1)는 하부에 수로의 바닥면 또는 슬라브의 상면에 볼팅이나 앵커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는 각각의 고정 블록(10); 상기 각각의 고정 블록(10)의 상면 테두리 측에 지진에 따른 전후좌우 및 상하로의 진동 발생시 1차적으로 유동성과 완충력을 갖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비되는 제1 완충부재(20); 상기 제1 완충부재(20)의 상부에 측 프레임(110)의 후면 또는 전위 스크린(140)의 밑면에 볼팅, 용접 또는 브래킷 등에 의해 고정되어 지진에 의한 진동시 전후좌우 및 상하로의 유동성을 갖는 유동 블록(30); 상기 고정 블록(10)과 유동 블록(30)의 내부에 구비되는 각각의 구면 베어링(40); 및 상기 각각의 구면 베어링(40) 사이에 지진에 따른 전후좌우 및 상하로의 진동 발생시 2차적으로 유동성과 완충력을 갖도록 구비되는 유동 축부(5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수로의 바닥면과 슬라브 상면에는 고정되는 고정 블록은 그 수로의 바닥면과 슬라브 상면에서 고정되어 고정단 역할을 하는 것이며, 측 프레임의 후면 또는 전위 스크린의 밑면에 고정되는 유동 블록은 가동단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진에 따른 진동에 대하여 고정 블록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완충부재 및 내부의 구면 베어링 사이에 개재된 유동 축부에 의해 진동에 따른 전후좌우는 물론 상하로의 유동성을 가진다.
즉, 지진 시 발생하는 진동에 대하여 고정 블록과 유동 블록의 서로 마주보면 사이에 개재된 제1 완충수단은 1차적으로 전후좌우는 물론 상하로의 완충력을 가지면서 유동성을 가지며, 특히 고정 블록과 유동 블록의 내부 각 구면 베어링 사이에 개재된 유동 축부 역시 2차적으로 전후좌우는 물론 상하로의 유동성을 가지면서 진동을 상쇄시킨다.
특히, 유동 축부는 고정 블록과 유동 블록의 구면 베어링 사이에 개재됨으로 인해 진동에 대하여 유동 블록이 방향성에 구애받지 않고 더욱더 자유롭게 전후좌우는 물론 상하로의 완충력을 가지면서 원활하게 유동성을 가진다.
그로 인해 지진에 따른 진동이 전달되는 제진기의 전위 스크린은 물론 측 프레임으로 최소화함으로써, 제진기의 변형이나 파손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진에 따른 고정 블록과 유동 블록 상에서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고정 블록(10)과 유동 블록(30)은 단면이 캡 형태로, 서로 마주보는 내부에 각각의 구면 베어링(40) 및 유동 축부(50)가 내장되는 각각의 설치공간(10A)(30A)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 블록(10)의 밑면에는 수로의 바닥면 또는 슬라브의 상면에 인서트 고정되는 각각의 볼트(12)가 구비되고, 상기 유동 블록(30)의 상면은 측 프레임(110)의 후면 또는 전위 스크린(140)의 밑면과 볼팅이나 브래킷 연결, 용접 중 어느 하나의 고정방식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볼트는 수로의 바닥면 또는 슬라브 상면에 더욱더 높은 고정력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다.
다시 말해서, 고정 블록은 고정단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밑면에 형성되는 볼트에 의해 수로의 바닥면 또는 슬라브의 상면에 유동성 없이 고정된다. 상기 유동 블록은 지진에 따른 진동시 진동의 흡수는 물론 진동에 대한 전후좌우는 물론 상하로의 유동성을 제1 완충부재와 유동 축부에 의해 가짐에 따라 제진기로의 진동 전달을 최소화한다.
상기에서, 제1 완충부재(20)는 고정 블록(10) 및 유동 블록(30) 상에 장착 고정되는 각각의 제1 장착 고정구(22), 상기 각각의 제1 장착 고정구(22)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스프링(2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장착 고정구는 제1 스프링의 상단과 하단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제1 스프링은 제1 장착 고정구 사이에서 진동에 따른 전후좌우는 물론 상하로의 완충 및 유동성을 가질 수 있는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동 축부(50)는 중간에 위치하는 제2 완충부재(52), 상기 제2 완충부재(52)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각각의 구면 베어링(40) 내에서 방향성에 구애받지 않고 회전되는 각각의 구슬 볼베어링(54)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완충부재(52)는 각각의 구슬 볼베어링(54)에 장착 고정되는 각각의 제2 장착 고정구(52A), 상기 각각의 제2 장착 고정구(52A)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스프링(52B)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스프링은 제1 스프링에 비하여 더욱더 강한 탄성을 가진다.
상기에서, 제2 장착 고정구 및 제2 스프링은 전술한 제1 장착 고정구와 제1 스프링과 대등소유한 구조로, 상기 제2 장착 고정구는 제2 스프링의 상단과 하단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구조이며, 진동에 대하여 전후좌우는 물론 상하로의 완충 및 유동성을 가진다.
특히, 각각의 구면 베어링 내의 각각의 구슬 베어링은 진동에 대하여 더욱더 원활하게 유동성을 가지는, 즉 구면 베어링 내에서 진동에 대하여 방향성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 회전됨에 따라 진동에 대하여 원활한 유동성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유동 축부는 전후좌우 및 상하로의 완충은 물론 유동시 고정 블록 상에서 유동 블록의 유동성을 최대 범위까지 지지한다. 즉 각각의 구슬 볼 베어링은 강한 탄성을 가지는 제2 스프링으로 연결된 축 형태이므로 유동성을 가지면서 축 역할을 겸함에 따라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그로 인해 진동에 대하여 유동 블록이 유동 축부에 의해 최대한의 유동 범위까지 지지함에 따라 진동에 대하여 더욱더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진에 따른 진동에 대하여 제진기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수로 바닥면과 슬라브 상면에 구비되는 내진장치, 즉 고정 블록과 유동 블록이 1차와 2차에 거쳐 완충과 함께 유동성을 가짐에 따라 진동을 제진기로의 전달을 최소화함으로써, 제진기의 변형이나 파손됨을 극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내진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고정 블록과 유동 블록 사이에 더욱더 큰 완충력과 유동성은 물론 지지력을 가질 수 있는 기술적 구성도 제공한다.
고정 블록(10)의 상면과 유동 블록(30)의 밑면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보조 완충부재(60)가 개재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 완충부재는 전술한 제1 완충부재 또는 제2 완충부재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 공지된 완충과 유동성을 구조를 가지는 구조이면 족하다.
다시 말해서, 고정 블록과 유동 블록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완충부재는 내부에 내장된 유동 축부에 비하여 진동에 대하여 취약할 수 있는 관계로, 보조 완충부재는 이를 보완하기 위한 부수적인 기술적 구성이다.
즉, 보조 완충부재는 제1 완충부재 보다 고정 블록과 유동 블록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가장 외측 또는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진동에 대하여 제1 완충부재와 함께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대응력을 가짐으로써, 진동에 대하여 1차적으로 더욱더 높은 흡수력을 가져 전달됨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진동이 제진기로의 전달됨을 극소화할 수 있는 부수적인 조건을 가질 수 있다.
1 : 내진장치
10 : 고정 블록 10A,30A : 설치공간
12 : 볼트 20 : 제1 완충부재
22 : 제1 장착 고정구 24 : 제1 스프링
30 : 유동 블록 40 : 구면 베어링
50 : 유동 축부 52 : 제2 완충부재
52A : 제2 장착 고정구 52B : 제2 스프링
54 : 구슬 베어링 60 : 보조 완충부재
100 : 제진기
110 : 측 프레임 120 : 체인
130 : 주 스크린 140 : 전위 스크린
150 : 레이크

Claims (5)

  1. 수로의 양측에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면서 후면이 슬라브의 상면과 내진장치를 개재되도록 지지 고정되는 각각의 측 프레임, 상기 각 측 프레임에 설치되어 무한궤도 방식에 의해 회전되는 체인, 상기 각각의 측 프레임의 전방에 소정 간격으로 고정되어 물속에 포함된 협잡물이 걸려지는 주 스크린, 상기 측 프레임 하부의 체인이 반환되는 선단에 수로의 바닥면과 밑면 사이에 내진장치가 개재되도록 고정되는 전위 스크린 및 상기 체인에 설치되며 주 스크린에 걸려진 협잡물을 스크레이핑 하여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레이크를 포함하는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내진장치는,
    하부에 수로의 바닥면 또는 슬라브의 상면에 고정되는 각각의 고정 블록;
    상기 각각의 고정 블록의 상면 테두리 측에 지진에 따른 진동 발생시 1차적으로 유동성과 완충력을 갖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비되는 제1 완충부재;
    상기 제1 완충부재의 상부에 측 프레임의 후면 또는 전위 스크린의 밑면에 고정되어 지진에 의한 진동시 전후좌우 및 상하로의 유동성을 갖는 유동 블록;
    상기 고정 블록과 유동 블록의 내부에 구비되는 각각의 구면 베어링; 및
    상기 각각의 구면 베어링 사이에 지진에 따른 진동 발생시 2차적으로 유동성과 완충력을 갖도록 구비되는 유동 축부;를 포함하는 내진장치가 적용되는 제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과 유동 블록은 단면이 캡 형태로, 서로 마주보는 내부에 각각의 구면 베어링 및 유동 축부가 내장되는 각각의 설치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 블록의 밑면에는 수로의 바닥면 또는 슬라브의 상면에 인서트 고정되는 각각의 볼트가 구비되고, 상기 유동 블록의 상면은 측 프레임의 후면 또는 전위 스크린의 밑면과 볼팅이나 브래킷 연결, 용접 중 어느 하나의 고정방식에 의해 고정되는 내진장치가 적용되는 제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부재는 고정 블록 및 유동 블록 상에 장착 고정되는 각각의 제1 장착 고정구, 상기 각각의 제1 장착 고정구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하는 내진장치가 적용되는 제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축부는 중간에 위치하는 제2 완충부재, 상기 제2 완충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각각의 구면 베어링 내에서 방향성에 구애받지 않고 회전되는 각각의 구슬 볼베어링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완충부재는 각각의 구슬 볼베어링에 장착 고정되는 각각의 제2 장착 고정구, 상기 각각의 제2 장착 고정구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내진장치가 적용되는 제진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의 상면과 유동 블록의 밑면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보조 완충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내진장치가 적용되는 제진기.
KR1020210167550A 2021-11-29 2021-11-29 내진장치가 적용되는 제진기 KR102438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550A KR102438211B1 (ko) 2021-11-29 2021-11-29 내진장치가 적용되는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550A KR102438211B1 (ko) 2021-11-29 2021-11-29 내진장치가 적용되는 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211B1 true KR102438211B1 (ko) 2022-08-31

Family

ID=83061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7550A KR102438211B1 (ko) 2021-11-29 2021-11-29 내진장치가 적용되는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21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890B1 (ko) * 2014-04-16 2014-10-01 주식회사 라이트 제림 상하굴절형 방진패드 및 이를 구비한 내진 배전반
KR20160087442A (ko) * 2015-01-13 2016-07-22 김현희 내진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KR20190095757A (ko) 2018-02-07 2019-08-16 황명회 내진형 제진기
KR102057640B1 (ko) * 2019-03-20 2019-12-20 주식회사 에스알이엔지 내진 구조물
KR102067239B1 (ko) * 2018-12-27 2020-03-02 주식회사 에스알이엔지 내진 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890B1 (ko) * 2014-04-16 2014-10-01 주식회사 라이트 제림 상하굴절형 방진패드 및 이를 구비한 내진 배전반
KR20160087442A (ko) * 2015-01-13 2016-07-22 김현희 내진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KR20190095757A (ko) 2018-02-07 2019-08-16 황명회 내진형 제진기
KR102067239B1 (ko) * 2018-12-27 2020-03-02 주식회사 에스알이엔지 내진 구조물
KR102057640B1 (ko) * 2019-03-20 2019-12-20 주식회사 에스알이엔지 내진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114B1 (ko) 협잡물 처리장치
KR101738636B1 (ko) 퇴적물 분산유닛을 갖는 제진기
CN104963283A (zh) 一种高效散热的自动清洁式伸缩缝装置的桥梁
KR101728733B1 (ko) 체인 걸림 방지형 회전식 제진기
KR102438211B1 (ko) 내진장치가 적용되는 제진기
KR100994403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US20180202151A1 (en) Shear link including replaceable cover plates
KR101995674B1 (ko) 제진 효율을 향상시킨 제진기
KR101809826B1 (ko) 복합형 완충시스템
CN104911992B (zh) 一种可延长使用寿命的桥梁伸缩缝清洁装置
KR200405134Y1 (ko) 제진기용 스크린
KR20090121637A (ko) 제진기용 레이크
CN209990495U (zh) 一种隧道用的通风排烟装置
KR102042384B1 (ko) 수류 유도장치를 구비한 제진기
KR101973628B1 (ko) 광폭 수로형 제진기
KR100774584B1 (ko) 제진기의 레이크 체결부
KR102152402B1 (ko) 전도식 제진기
KR100530111B1 (ko) 로타리식 자동 제진기
KR200315957Y1 (ko) 로터리식 제진기
KR101931526B1 (ko) 각종 협잡물 및 부유물을 제거하도록 제공되는 로타리 제진기 및 이의 운전방법
KR101365038B1 (ko) 협잡물 처리용 로타리 제진기
KR102289179B1 (ko) 분할형 레이크를 구비한 제진기
KR100778238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0655920B1 (ko) 하수 및 배수 처리용 제진기
KR200375193Y1 (ko) 폭이 긴 수로에도 장착할 수 있는 제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