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7282B1 - Smart portable street light device - Google Patents

Smart portable street ligh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7282B1
KR102437282B1 KR1020200181962A KR20200181962A KR102437282B1 KR 102437282 B1 KR102437282 B1 KR 102437282B1 KR 1020200181962 A KR1020200181962 A KR 1020200181962A KR 20200181962 A KR20200181962 A KR 20200181962A KR 102437282 B1 KR102437282 B1 KR 102437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rossing
digital signage
street lamp
smart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9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90943A (en
Inventor
이재용
이병주
정은비
이민택
정대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보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보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보네
Priority to KR1020200181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282B1/en
Publication of KR20220090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9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2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21S8/08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with lighting device attached sideways of the standard, e.g. for roads and high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8Ground signs, i.e. display signs fixed on the grou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329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21W2111/023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for pedestrian walkw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스마트 이동형 지주 장치는 이동형 베이스, 상기 이동형 베이스를 고정하는 앵커, 상기 이동형 베이스 상에 설치된 가로등, 상기 가로등의 기둥 상부에 설치되고 특정 영역을 촬영하고 객체의 이동에 따른 추적을 수행할 수 있는 카메라, 상기 가로등의 기둥 상부에 설치되고 보행자의 보행 안전을 위한 투사 콘텐츠를 투사하는 콘텐츠 객체 투사 유닛 및 상기 가로등의 기둥 하부에 차량의 이동 방향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촬영된 특정 영역을 분석하여 상기 객체를 인식하며 상기 객체가 횡단 객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횡단 객체에 대한 상기 카메라의 추적 제어, 상기 횡단 객체에 대한 상기 객체 투사 유닛의 투사 콘텐츠 제어와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이니지 콘텐츠 제어를 수행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포함한다.A smart mobile holding device includes a mobile base, an anchor for fixing the mobile base, a street lamp installed on the mobile base, a camera installed on the pole of the street lamp and photographing a specific area and track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bject, A content object projection unit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pole of the street lamp and projecting projected content for pedestrian safety, and the lower part of the pole of the street lamp installed to fac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nalyze the photographed specific area to obtain the object Recognize and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corresponds to a crossing object to control the tracking of the camera for the crossing object, control the projection content of the object projection unit for the crossing object, and control the signage content of the display for the vehicle Including digital signage that performs

Description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SMART PORTABLE STREET LIGHT DEVICE}Smart portable street light device {SMART PORTABLE STREET LIGHT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차로의 횡단보도 인근에 설치된 스마트 가로등을 이용하여 교차로의 안전을 관리하여 차량 및 보행자의 원활한 통행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mart mobile street light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capable of providing smooth passage of vehicles and pedestrians by managing the safety of an intersection using a smart street light installed near a crosswalk at an intersection will be.

일반적으로 야외에 설치되는 가로등과 같은 조명장치는 일정 영역에 빛을 투사하여 조명 영역을 형성해줌으로써 저녁 또는 야간과 같이 어두운 상황에서도 주변을 지나는 사람들에게 충분한 시야 확보를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In general, a lighting device such as a street lamp installed outdoors provides a space for securing sufficient visibility to passersby even in dark situations such as evening or night by projecting light to a certain area to form a lighting area.

이와 같이 야외 곳곳에 설치된 조명장치는 광을 조사하여 소정의 밝은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어두워진 주변 조도와 비교해 확연한 밝기 차이를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조명 영역은 단순한 조명의 역할 외에도 주변을 지나는 사람들의 시선을 주목시키고, 멀리서도 쉽게 인지 가능한 영역으로 이용될 수 있다.As such, lighting devices installed in various places outdoors can show a clear difference in brightness compared to the dimmed ambient illuminance by irradiating light to create a predetermined bright environment. It can be used as an area that is easily recognizable even from afar.

이와 같이 조명장치를 통한 조명 영역 내에 공간이 야간에 사람의 시선을 주목시킬 수 있는 점에 착안하여 조명장치에 광고제공의 기능을 추가한 그림자 광고 기술이 제시되었다.As described above, a shadow advertisement technology in which a function of providing advertisements is added to a lighting device has been propos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a space within the lighting area through the lighting device can draw attention to people's eyes at night.

한편,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를 이용한 옥외 광고로, 관제 센터에서 통신망을 통해 광고 내용을 제어할 수 있는 광고판을 의미하는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가 다수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an outdoor advertisement using a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 digital signage, which means a billboard capable of controlling advertisement content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 a control center, is widely used.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는 공공장소나 상업 공간에 설치되어 다양한 정보와 광고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LED를 이용한 옥외 광고판 및 전광판을 설치하는 등 그 사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Such digital signage may be installed in public or commercial spaces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and advertisements in real time.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the use of LEDs such as outdoor advertising boards and electric billboards using LEDs is rapidly increasing.

한국등록특허 제10-1324081호 (2013.10.25)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24081 (2013.10.25)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교차로의 횡단보도 인근에 설치된 스마트 가로등을 이용하여 교차로의 안전을 관리하여 차량 및 보행자의 원활한 통행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mobile street lamp device that can provide smooth passage of vehicles and pedestrians by managing the safety of the intersection using a smart street lamp installed near the crosswalk at the inters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미지들 간의 차분 연산을 수행하여 객체의 윤곽을 효과적으로 추출하여 교차로 관리를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mobile street lamp device capable of quickly managing an intersection by effectively extracting the outline of an object by performing a difference operation between images.

실시예들 중에서, 스마트 이동형 지주 장치는 이동형 베이스, 상기 이동형 베이스를 고정하는 앵커, 상기 이동형 베이스 상에 설치된 가로등, 상기 가로등의 기둥 상부에 설치되고 특정 영역을 촬영하고 객체의 이동에 따른 추적을 수행할 수 있는 카메라, 상기 가로등의 기둥 상부에 설치되고 보행자의 보행 안전을 위한 투사 콘텐츠를 투사하는 콘텐츠 객체 투사 유닛 및 상기 가로등의 기둥 하부에 차량의 이동 방향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촬영된 특정 영역을 분석하여 상기 객체를 인식하며 상기 객체가 횡단 객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횡단 객체에 대한 상기 카메라의 추적 제어, 상기 횡단 객체에 대한 상기 객체 투사 유닛의 투사 콘텐츠 제어와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이니지 콘텐츠 제어를 수행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smart mobile holding device is installed on a movable base, an anchor for fixing the movable base, a street lamp installed on the movable base, and a pole of the street lamp, photographing a specific area, and track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bject A camera that can do this, a content object projection unit tha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pole of the streetlight and projects projection content for pedestrian safety, and a specific area that is installed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vehicle under the pole of the streetlight and is photographed Analyze to recognize the object and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corresponds to a traversing object to control the tracking of the camera for the traversing object, control the projection content of the object projection unit for the traverse object and the display on the vehicle Includes digital signage to perform signage content control.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는 상기 촬영된 특정 영역에 대하여 특정 시간 구간 내에 있는 이미지들 간의 차분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객체의 윤곽을 생성하고, 상기 객체의 윤곽을 통해 상기 객체가 상기 횡단 객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는 상기 특정 시간 구간 내에 있는 이미지들에 관하여 짝수 번째의 이미지들 간의 제1 차분 이미지들 및 홀수 번째의 이미지들 간의 제2 차분 이미지들을 생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차분 이미지들 간의 가중 누적 합산을 통해 상기 횡단 객체의 윤곽을 생성할 수 있다.The digital signage generates the contour of the object by performing a difference operation between images within a specific time period with respect to the photographed specific reg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corresponds to the crossed object through the contour of the object. can recognize The digital signage generates first difference images between even-numbered images and second difference images between odd-numbered images with respect to images within the specific time interval, and the first and second difference images The contour of the crossed object may be generated through weighted cumulative summation of the intersecting objects.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는 상기 횡단 객체가 무단횡단 객체로 검출되면 상기 카메라의 PTZ(Pan-Tile-Zoom) 제어를 통해 상기 횡단 객체의 사고 가능성 영상을 기록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는 상기 횡단 객체의 사고가 검출되면 관리자 단말의 제어를 통해 상기 사고 가능성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공할 수 있다.The digital signage may record an accident possibility image of the crossing object through Pan-Tile-Zoom (PTZ) control of the camera when the crossing object is detected as a jaywalking object. When an accident of the crossing object is detected, the digital signage may provide the accident possibility image to the display through the control of the manager terminal.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는 상기 횡단 객체가 무단횡단 객체로 검출되면 상기 투사 콘텐츠를 상기 횡단 객체의 전면 방향에 무단횡단 알람 콘텐츠를 투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차량의 진입 방향을 향해 상기 사이니지 콘텐츠로서 상기 무단횡단 알람 콘텐츠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The digital signage projects the projected content to the front direction of the crossing object when the crossing object is detected as a trespassing object, and projects trespassing alarm content toward the entry direc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display as the signage content. The jaywalking alarm contents may be provided at the same time.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는 상기 횡단 객체가 적법횡단 객체로 검출되면 상기 횡단 객체의 횡단 속도 또는 횡단 잔여시간이 특정 기준 이하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렇다면, 상기 투사 콘텐츠를 상기 객체의 전면 방향에 보행 재촉 콘텐츠를 투사할 수 있다.The digital signage determines whether the crossing speed or the remaining crossing time of the crossing object is less than or equal to a specific criterion when the crossing object is detected as a legal crossing object, and if so, the projected content is plac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object. can be projected.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는 상기 횡단 객체가 화재 또는 폭발과 같은 재난 객체로 검출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사이니지 콘텐츠 상에 비상 메시지를 오버레이되게 블링크(blink)하고 스피커를 통해 비상 알람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The digital signage blinks an emergency message to be overlaid on the currently displayed signage content of the display and provides an emergency alarm message through a speaker when the crossing object is detected as a disaster object such as fire or explosion. can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so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는 교차로의 횡단보도 인근에 설치된 스마트 가로등을 이용하여 교차로의 안전을 관리하여 차량 및 보행자의 원활한 통행을 제공할 수 있다. The smart mobile street lam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smooth passage of vehicles and pedestrians by managing the safety of the intersection by using a smart street lamp installed near the crosswalk at the inters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는 이미지들 간의 차분 연산을 수행하여 객체의 윤곽을 효과적으로 추출하여 교차로 관리를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The smart mobile street lam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extract the outline of an object by performing a difference operation between images to quickly manage an inters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의 동작에 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mart mobile street ligh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i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in FIG. 1 .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is capable of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dentifiers (eg, a, b, c, etc.) in each step are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indicate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in a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 and the computer-readable code may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mart mobile street ligh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는 이동형 베이스(1010), 앵커(1020), 가로등(1030), 카메라(1040), 콘텐츠 객체 투사 유닛(1050) 및 디지털 사이니지(10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system 100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10 , a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130 , and a database 150 . 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130 may include a mobile base 1010 , an anchor 1020 , a street light 1030 , a camera 1040 , a content object projection unit 1050 , and a digital signage 1060 .

사용자 단말(110)은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와 인터랙션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들은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10 may receive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130 , and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capable of exchanging interactions with 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130 .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phone, a notebook computer, or a compu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evices such as a tablet PC.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connected to 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130 through a network,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10 may b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130 .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전용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가로등이 설치된 지역의 관리자가 운용하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10 may include a camera module capable of capturing an image, and may install and execute a dedicated program or application for interacting with 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130 . In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110 may include a manager terminal operated by a manager of an area where a street light is installed.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는 교차로의 횡단보도와 같이 사람들이 다수 이용 가능한 야외 지역 인근에 설치되는 가로등 장치로서 IoT 기반의 스마트 기능이 적용된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는 교차로 지역에 출입하는 객체를 인식하거나 특정 동작을 유도하도록 관련 정보를 제공하거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130 is a street light device installed near an outdoor area where a large number of people can use, such as a crosswalk at an intersection, and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to which an IoT-based smart function is applied. In addition, the smart mobile street lamp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corresponding to a computer or program capable of recognizing an object entering or leaving an intersection area, providing related information to induce a specific operation, 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는 외부 시스템(도 1에 미도시함)과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기상 시스템, 온라인 시스템, 인증 시스템, 교통 시스템 등과 연결될 수 있다.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13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a wired network or a wireless network such as Bluetooth or WiFi, and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network. In addition, 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130 may operate in connection with an external system (not shown in FIG. 1 ), for example, may be connected to a weather system, an online system, an authentication system, a traffic system, and the like.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는 이동형 베이스(1010) 상에 설치될 수 있고, 앵커(1020)는 이동형 베이스(1010)를 고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앵커(1020)는 가로등(1030)의 기둥을 지지하는 별도의 기둥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동형 베이스(1020)을 고정하는 말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130 may be installed on the mobile base 1010 , and the anchor 1020 may fix the mobile base 1010 . Here, the anchor 1020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pillar supporting the pillar of the street lamp 1030 or as a stake for fixing the movable base 1020 .

가로등(1030)은 이동형 베이스(1010) 상에 설치될 수 있고, 카메라(1040)는 가로등(1030)의 기둥 상부에 설치되고 특정 영역을 촬영하고 객체의 이동에 따른 추적을 수행할 수 있다. 콘텐츠 객체 투사 유닛(1050)은 가로등(1030)의 기둥 상부에 설치되고 보행자의 보행 안전을 위한 투사 콘텐츠를 투사할 수 있다.The street lamp 1030 may be installed on the movable base 1010 , and the camera 1040 may be installed on the pole of the street lamp 1030 , photograph a specific area, and track the movement of the object. The content object projection unit 1050 may be installed on a pole of the street lamp 1030 and may project projection content for pedestrian safety.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가로등(1030)의 기둥 하부에 설치되고 특정 영역을 분석하여 객체를 인식하며 객체가 관리자 단말에 의해 설정된 횡단 객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하여 카메라(1040)의 추적 제어, 투사 콘텐츠의 제어 및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이니지 콘텐츠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digital signage 1060 is installed under the pole of the street lamp 1030, recognizes an object by analyzing a specific area, and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corresponds to a crossed object set by the manager terminal to control the tracking of the camera 1040, Control of the projected content and control of the signage content for display may be performed.

데이터베이스(150)는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의 동작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객체 인식을 위한 인식 모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컨텐츠 제공을 위한 콘텐츠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가 교차로 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The database 150 may correspond to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required in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smart mobile street lamp device 130 . The database 150 may store information on a recognition model for object recognition and may store content information for providing cont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mart mobile street lamp device 130 performs intersection management. can store the collected or processed information in various forms.

도 2는 도 1에 있는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 processor 210 , a memory 230 , a user input/output unit 250 , and a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

프로세서(210)는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의 각 단계들을 처리하는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may execute a procedure for processing each step in the process in which 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130 operates, and manage the memory 230 to be read or written throughout the process, and the memory ( 230) may schedule a synchronization time between the volatile memory and the non-volatile memory. The processor 21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130 ,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230 ,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 and 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to control the flow of data therebetween. can do. The processor 210 may be implemented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f 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130 .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230 is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solid state drive (SSD) or a hard disk drive (HDD), and may include an auxiliary storage device used to store overall data required for the smart portable street lamp device 130 and , it may include a main memory implemented as a volatile memory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RAM).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는 독립적인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include an environment for receiving a user input and an environment for outputting specific information to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include an input device including an adapter such as a touch pad, a touch screen, an on-screen keyboard, or a pointing device, and an output device including an adapter such as a monitor or a touch screen. In one embodiment,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connected through a remote connection, and in such a case, 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as an independent server.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includes an environment for connecting with an external device or system through a network, for example,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a VAN (Wide Area Network) (VAN). It may include an adapter for communication such as Value Added Network).

도 3은 도 1에 있는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in FIG. 1 .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는 적어도 카메라(1040), 컨텐츠 객체 투사 유닛(1050), 디지털 사이니지(1060) 및 비상벨(107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추적 제어 모듈(371), 컨텐츠 제어 모듈(373) 및 메시지 제어 모듈(375)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130 may include at least a camera 1040 , a content object projection unit 1050 , a digital signage 1060 , and an emergency bell 1070 . In addition, the digital signage 1060 may include a tracking control module 371 , a content control module 373 , and a message control module 375 .

가로등(1030)은 무단 또는 적법 횡단 관리가 필요한 교차로 지역에 설치되어 동작할 수 있다. 가로등(1030)은 가로등 본연의 기능을 위한 조명 장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 및 구조로 구현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street lamp 1030 may be installed and operated in an intersection area requiring unauthorized or legal crossing management. The street lamp 1030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a lighting device for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street lamp, and may be implemented and installed in various sizes and structures.

카메라(1040)는 가로등(1030)의 기둥 상부에 설치될 수 있고, 특정 영역을 촬영하여 객체의 이동에 따른 추적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영역은 사람들이 횡단을 위해 이동하는 이동 경로 상에서 정의되는 공간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영역은 교차로의 횡단보도 출입을 위한 통행로를 포함하는 공간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1040)는 해당 통행로를 이동하는 객체, 예를 들어, 보행자, 차량 등을 촬영하고 영상 분석 또는 이미지 분석 기법을 통해 해당 영상 또는 이미지에 포착된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040)는 인식된 객체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특정 영역에서 객체의 이동을 추적하여 위치 정보 생성 및 이동 경로 기록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camera 1040 may be installed on the pole of the street lamp 1030 , and may perform track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n object by photographing a specific area. The specific area may correspond to a spatial area defined on a movement path through which people move for traversing. For example, the specific area may correspond to a spatial area including a passage for entering and exiting a crosswalk at an intersection. Accordingly, the camera 1040 may photograph an object moving in the corresponding passage, for example, a pedestrian or a vehicle, and recognize the corresponding image or an object captured in the image through image analysis or image analysis technique. In addition, the camera 104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tracking the movement path of the recognized object, and may perform operations such as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and recording the movement path by tracking the movement of the object in a specific area.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1040)는 PTZ(Pan-Tilt-Zoom) 제어를 통해 촬영 방향이나 크기를 상황에 따라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amera 1040 may adjust the shooting direction or size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rough Pan-Tilt-Zoom (PTZ) control and provide it.

컨텐츠 객체 투사 유닛(1050)은 가로등(1030)의 기둥 상부에서 카메라(1040) 인근에 설치되어 동작할 수 있고, 투사 컨텐츠를 특정 방향을 향해 투사하기 위한 빔 프로젝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투사 컨텐츠는 광고, 이미지,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로등(1030)이 설치된 장소에 따라 해당 장소의 횡단 관리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컨텐츠 객체 투사 유닛(1050)은 가로등(1030)이 설치된 공간 상에서 보행자에게 다양한 컨텐츠를 투사 방식의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The content object projection unit 1050 may be installed and operated near the camera 1040 on the top of the pole of the street lamp 1030 , and may include a beam projector for projecting the projected content in a specific direction. The projected content may include advertisements, images, videos,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cross-management of the corresponding place depending on the place where the street lamp 1030 is installed. That is, the content object projecting unit 1050 may play a role of providing various contents to pedestrians in a space in which the street lamp 1030 is installed by using a projection type projector.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객체 투사 유닛(1050)은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PTZ(Pan-Tilt-Zoom)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컨텐츠 객체 투사 유닛(1050)은 투사 컨텐츠의 투사 방향이나 크기를 상황에 따라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ent object projection unit 105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PTZ (Pan-Tilt-Zoom) controller capable of adjusting the projection direction. That is, the content object projection unit 1050 may adjust and provide the projection direction or size of the projected content according to the situation.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가로등의 기둥 하부에 차량의 이동 방향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동작할 수 있으며, 카메라(1040) 및 컨텐츠 객체 투사 유닛(1050)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차량에게 횡단 보도 상에 발생되는 이벤트(예를 들어, 무단 횡단)를 알리기 위해 차량이 다가오는 방향을 향해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카메라(1040)와 연동하여 특정 영역에 대한 영상 및 이미지를 분석하여 객체를 인식할 수 있으며, 분석을 기초로 인식된 객체가 관리자 단말에 의해 설정된 횡단 객체에 해당하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횡단 객체는 횡단보도 관리를 위해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필요가 있는 객체에 해당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보행자 중에서 아동, 노약자 등의 주의 인물 및 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gital signage 1060 may be installed under a pillar of a street lamp to fac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camera 1040 and the content object projection unit 1050 . The digital signage 1060 may be installed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is approaching to notify the vehicle of an event (eg, trespassing) occurring on the crosswalk. More specifically, the digital signage 1060 may recognize an object by analyzing an image and an image for a specific area in conjunction with the camera 1040, and the object recognized based on the analysis is a crossed object set by the manager terminal You can decide whether or not Here, the crossing object may correspond to an object that needs to collect information on movement for crosswalk management,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ttention figures such as children, the elderly, and the like among pedestrians and vehicles.

즉,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특정 영역을 분석하여 객체를 인식하며 객체가 관리자 단말에 의해 설정된 횡단 객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하여 횡단 객체에 대한 카메라(1040)의 추적 제어, 횡단 객체에 대한 객체 투사 유닛(1050)의 투사 콘텐츠 제어와 차량에 대한 디스플레이의 사이니지 콘텐츠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들 각 동작을 수행하는 독립된 모듈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That is, the digital signage 1060 analyzes a specific area to recognize an object, and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corresponds to a crossing object set by the manager terminal to control the tracking of the camera 1040 for the crossing object, for the crossing object Projection content control of the object projection unit 1050 and signage content control of a display for a vehicle may be performed, and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independent modules performing each of these operations.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컨텐츠 객체 투사 유닛(1050)과 연동하여 식별된 객체에 대한 경고 메시지(또는 영상), 횡단 시 주의 메시지(또는 영상)를 투사할 수 있다. The digital signage 1060 may project a warning message (or image) for the identified object in association with the content object projection unit 1050 and a caution message (or image) when crossing.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횡단 객체가 무단횡단 객체로 검출되면 투사 콘텐츠를 차량의 진입 방향에 경고 메시지로서 무단횡단 알람 콘텐츠를 투사하여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의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디스플레이를 보행 대기자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경고 메시지로서 무단횡단 금지 콘텐츠를 사이니지 콘텐츠로서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crossing object is detected as a jaywalking object, the digital signage 1060 may project the trespassing alarm content as a warning message to the entry direction of the vehicle to provide attention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 digital signage 1060 may rotate the display in the direction of the pedestrian to provide the trespassing prohibition content as the signage content as a warning message.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횡단 객체가 무단횡단 객체로 검출되면 카메라(1030)의 PTZ(Pan-Tile-Zoom) 제어를 통해 횡단 객체의 사고 가능성 영상을 기록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횡단 객체의 사고가 검출되면 관리자 단말의 제어를 통해 사고 가능성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관리자 단말의 제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관리자 단말에 횡단 객체의 사고를 알릴 수 있다.The digital signage 1060 may record an accident potential image of the crossing object through the Pan-Tile-Zoom (PTZ) control of the camera 1030 when the crossing object is detected as a jaywalking object. When an accident of a crossing object is detected, the digital signage 1060 may provide an accident possibility image to the display through the control of the manager terminal. In an embodiment, the digital signage 1060 may notify the manager terminal of the accident of the crossing object when the control of the manager terminal is not received.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횡단 객체가 무단횡단 객체로 검출되면 투사 콘텐츠를 횡단 객체의 전면 방향에 무단횡단 알람 콘텐츠를 투사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차량의 진입 방향을 향해 사이니지 콘텐츠로서 무단횡단 알람 콘텐츠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The digital signage 1060 projects the projected content to the front direction of the crossing object when the crossing object is detected as a trespassing object, and the tampering alarm content as signage content toward the entry direc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display. can be provided simultaneously.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횡단 객체가 적법횡단 객체로 검출되면 횡단 객체의 횡단 속도 또는 횡단 잔여시간이 특정 기준 이하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렇다면, 투사 콘텐츠를 횡단 객체의 전면 방향에 보행 재촉 콘텐츠를 투사할 수 있다.The digital signage 1060 determines whether the crossing speed or the remaining crossing time of the crossing object is less than or equal to a specific criterion when the crossing object is detected as a legal crossing object, and if so, the projected content is display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crossing object. can be projected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횡단 객체가 화재 또는 폭발과 같은 재난 객체로 검출되면 디스플레이의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사이니지 콘텐츠 상에 비상 메시지를 오버레이되게 블링크(blink)하고 스피커를 통해 비상 알람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signage 1060 blinks an emergency message to be overlaid on the currently displayed signage content of the display when the crossing object is detected as a disaster object, such as a fire or explosion, and sends an emergency alarm message through a speaker. can provide

보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카메라(1040)의 추적 제어를 위한 추적 제어 모듈(371), 투사 컨텐츠의 제어를 위한 컨텐츠 제어 모듈(373) 및 관리 메시지의 제어를 위한 메시지 제어 모듈(375)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igital signage 1060 includes a tracking control module 371 for tracking control of the camera 1040, a content control module 373 for controlling projected content, and a message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management messages ( 375) can be implemented.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는 비상벨(1070)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비상벨(1070)은 가로등(1030)의 하부에 설치되어 동작할 수 있고, 사람의 조작에 의해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비상벨(1070)의 동작을 검출하여 디스플레이의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디스플레이 컨텐츠 상에 비상 메시지를 오버레이되게 블링크(blink)하고 스피커를 통해 비상 알람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n emergency bell (1070). The emergency bell 1070 may be installed and operated under the street lamp 1030, and may start operation by human manipulation. In this case, the digital signage 1060 detects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bell 1070, blinks the emergency message to be overlaid on the currently displayed display content of the display, and provides the emergency alarm message through the speaker. have.

즉,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는 단순 정보 제공이나 주의 환기 등의 기능 제공에 제한되지 않고, 특정 사용자의 위급 상황에서 위험을 알리거나 주위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하기 위한 기능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는 영상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비상벨(1070)을 통한 동작이 검출된 경우 비상 메시지를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 상에 오버레이 되게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주의 집중을 위해 비상 메시지를 블링크(blink) 상태로 출력할 수 있다.That is, 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130 is not limited to providing functions such as simple information provision or alerting, and may also provide a function for notifying a specific user of a danger in an emergency situation or requesting help from nearby people. . 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display that reproduces an image, and when an operation through the emergency bell 1070 is detected, an emergency message may be reproduced to be overlaid on the currently played content. In this case, an emergency message may be output in a blinking state for concentration of attention.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투사 컨텐츠를 턴-오프(trun-off)하여 디스플레이의 가독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비상벨(1070)을 통해 위급 상황의 발생이 감지된 경우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비상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컨텐츠 객체 투사 유닛(1050)에 의해 투사되고 있던 투사 컨텐츠를 턴-오프하여 비상 메시지의 노출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gital signage 1060 may turn off the projected content to increase the readability of the display. That is, when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is detected through the emergency bell 1070 , the digital signage 1060 may provide an emergency message through the display, and at this time, the projection being projected by the content object projection unit 1050 By turning off the conten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xposure effect of the emergency message.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관리자 단말을 통해 횡단 객체에 관한 관리양식을 생성하고 관리양식에 있는 관리속성을 통해 추적의 제어, 투사 컨텐츠의 제어, 사이니지 콘텐츠의 제어 및 스피커의 제어를 설정할 수 있다.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는 관리자 단말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을 통해 관리 계획을 설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gital signage 1060 creates a management form for the crossing object through the administrator terminal and controls the tracking, the projection content, the control of the signage content, and the speaker through the management attribute in the management form. control can be set. 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130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manager terminal, and the manager may set a management plan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즉, 관리자는 디지털 사이니지(1060)가 제공하는 관리양식(또는 관리 인터페이스)에 따라 횡단 객체를 지정할 수 있고, 투사 컨텐츠의 종류와 내용을 지정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의 동작 시간이나 재생 간격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스피크의 재생 여부나 음량 등을 구체적인 수치로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횡단 객체로 보행자를 지정한 상태에서 투사 컨텐츠의 제어를 [무]로 설정하고 디스플레이의 제어를 통해 관리 메시지를 지정하며 스피커의 제어를 통해 알람 메시지를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는 보행자가 식별된 경우 해당 보행자를 추적하면서 투사 컨텐츠의 투사를 종료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설정된 관리 메시지를 출력하며, 스피커를 통해 해당 보행자와 연관된 알람 메시지를 재생할 수 있다.That is, the administrator can designate a cross-section object according to the management form (or management interface) provided by the digital signage 1060, specify the type and content of the projected content, and set the operation time or playback interval of the display. can In addition, the administrator can set whether or not the speaker is reproduced, the volume, and the like as specific numerical values. For example, the administrator can set the control of the projected content to [None] in the state where the pedestrian is designated as the crossing object, designate the management message through the control of the display, and designate the alarm message through the control of the speaker. In this case, when the pedestrian is identified, 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130 ends the projection of the projected content while tracking the pedestrian, outputs a management message set through the display, and plays an alarm message associated with the pedestrian through the speaker. can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디스플레이의 제어 또는 스피커의 제어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관리 메시지 또는 알람 메시지의 작성을 관리자 단말에 요청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igital signage 1060 may request the manager terminal to write a management message or an alarm message when control of a display or control of a speaker is performed.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촬영된 특정 영역에 대하여 특정 시간 구간 내에 있는 이미지들 간의 차분 연산을 수행하여 객체의 윤곽을 생성하고, 객체의 윤곽을 통해 해당 객체가 횡단 객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특정 시간 동안 촬영된 이미지들을 상호 비교한 결과로서 객체를 식별할 수 있으며, 특히 차분 연산을 통해 객체를 제외한 배경 이미지를 제거하여 객체의 윤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객체의 윤곽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횡단 객체와 비교하여 횡단 객체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igital signage 1060 generates the contour of an object by performing a difference operation between images within a specific time period for a specific photographed area, and the object corresponds to a crossed object through the contour of the object. can recognize whether or not For example, the digital signage 1060 may identify an object as a result of mutual comparison of images taken for a specific time. In particular, information on the outline of the object is obtained by removing a background image excluding the object through a difference operation. can be obtained In addition, the digital signage 1060 may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is a cross-section object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on the outline of the object with the cross-section object stored in the database 150 .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특정 시간 구간 내에 있는 이미지들에 관하여 짝수 번째의 이미지들 간의 제1 차분 이미지들 및 홀수 번째의 이미지들 간의 제2 차분 이미지들을 생성하고, 제1 및 제2 차분 이미지들 간의 가중 누적 합산을 통해 객체의 윤곽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특정 시간 구간 동안 연속하여 촬영된 이미지들을 기초로, 짝수 번째 이미지들과 홀수 번째 이미지들을 분류할 수 있으며, 짝수 번째 이미지들 간의 비교를 통해 제1 차분 이미지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홀수 번째 이미지들 간의 비교를 통해 제2 차분 이미지들을 생성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차분 이미지들 간의 가중 누적 합산을 통해 횡단 객체의 윤곽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digital signage 1060 generates first difference images between even-numbered images and second difference images between odd-numbered images with respect to images that are within a specific time interval, the first and The contour of the object may be generated through weighted cumulative summation between the second difference images. More specifically, the digital signage 1060 may classify even-numbered images and odd-numbered images based on images continuously photographed for a specific time period, and a first difference image through comparison between even-numbered images. can create In addition, the digital signage 1060 may generate second difference images through comparison between odd-numbered images, and quickly and efficiently generate the outline of a traversing object through weighted cumulative summ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fference images. can do.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특정 영역 내에서 객체의 이동을 추적할 수 있으며, 해당 객체의 이동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해당 객체의 이동속도에 따라 투사 컨텐츠의 투사 방향 및 투사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의 이동속도가 빠를수록 투사 컨텐츠의 투사 방향은 현재 위치에서 이동 방향으로 더 멀리 떨어진 곳을 향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투사 컨텐츠의 투사 크기는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해당 객체의 이동속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에서 재생되는 관리 메시지의 블링크 속도가 더 빠르도록 설정하고, 스피커의 음량을 더 크게 설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igital signage 1060 may track the movement of an object within a specific area, and may calculate a movement speed of the object. The digital signage 1060 may change the projection direction and projection size of the projected content according to the moving speed of the corresponding object. For example, as the moving speed of the object increases, the projection direction of the projected content may be set to point further away from the current position in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projection size of the projected content may increase. In addition, the digital signage 1060 may set the blinking speed of the management message reproduced on the display to be faster according to the moving speed of the corresponding object, and set the volume of the speaker to be higher.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특정 영역에서 식별되는 객체의 이동속도, 투사 컨텐츠의 투사각, 투사 크기, 관리 메시지의 블링크 속도 및 스피커의 음량을 기초로 해당 객체가 특정 영역의 경계를 벗어난 시점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의 재생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1060)는 객체의 이동속도, 투사 컨텐츠의 투사각, 투사 크기, 관리 메시지의 블링크 속도 및 스피커의 음량에 관한 다음의 수학식을 기초로 디스플레이의 재생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gital signage 1060 determines the boundary of the specific area based on the moving speed of the object identified in the specific area, the projection angle of the projected content, the projection size, the blinking speed of the management message, and the volume of the speaker.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playback time of the display based on the deviation time point. The digital signage 1060 may calculate the playback time of the display based on the following equations regarding the moving speed of the object, the projection angle of the projected content, the projection size, the blinking speed of the management message, and the volume of the speaker.

[수학식][Equation]

Figure 112020140287165-pat00001
Figure 112020140287165-pat00001

여기에서, t는 디스플레이의 재생시간이며, k는 비례계수, v와 b는 각각 이동속도와 블링크 속도에 해당할 수 있다. s는 투사 크기, a는 투사각이고, h는 컨텐츠 객체 투사 유닛의 높이이며, l은 스피커의 음량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의 재생시간은 객체의 이동속도와 블링크 속도 간의 차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투사 크기가 크고 컨텐츠 객체 투사 유닛의 높이가 낮으며 투사각이 작을수록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재생시간은 스피커의 음량이 클수록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비례계수 k는 각 변수들의 단위 간의 상관관계를 상쇄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의 재생시간이 초(s) 단위의 시간으로 결정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Here, t may be a reproduction time of the display, k may be a proportional coefficient, and v and b may correspond to a moving speed and a blinking speed, respectively. s is the projection size, a is the projection angle, h is the height of the content object projection unit, l may correspond to the volume of the speaker. That is, the playback time of the display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ving speed of the object and the blinking speed, and may increase as the projection size is large, the height of the content object projection unit is low, and the projection angle is small. Also, the playback time of the display may increase as the volume of the speaker increases. In addition, the proportionality coefficient k may be set to cancel the correlation between the units of each variable, and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display may be set to be determined by the time in units of seconds (s).

도 4는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의 동작에 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는 카메라(1030)를 통해 특정 영역을 촬영하여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단계 S410). 또한,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는 컨텐츠 객체 투사 유닛(1050)을 통해 식별된 객체에 대응되는 투사 컨텐츠를 투사할 수 있다(단계 S430). 이때, 투사된 컨텐츠는 이동 경로 상의 특정 영역에서 재생될 수 있으며, 투사 방향에 따라 건물 벽에 형성된 스크린에서 재생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는 디지털 사이니지(1060)를 통해 식별된 객체를 추적하거나 객체에 관한 관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단계 S450).Referring to FIG. 4 , the smart mobile street lamp device 130 may identify an object by photographing a specific area through the camera 1030 (step S410 ). In addition, the smart mobile street lamp device 130 may project the projectio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object through the content object projection unit 1050 (step S430). In this case, the projected content may be reproduced in a specific area on the movement path, or may be reproduced on a screen formed on the wall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ojection direction. In addition, 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130 may track the object identified through the digital signage 1060 or display a management message related to the object (step S450).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는 가로등(1030)의 설치된 인근을 통과하는 다양한 객체들을 식별하고 해당 장소의 이동관리, 환경관리 등을 위해 투사 컨텐츠와 관리 메시지를 실시간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는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 투사 컨텐츠와 관리 메시지를 동적으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객체의 식별정보에 따라 투사 컨텐츠와 관리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130 identifies various objects passing through the installed neighborhood of the street light 1030 and provides projected content and management messages in real time for movement management of the corresponding place, environment management, etc. . 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130 may dynamically change and provide the projected content and the management messag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bject, and may selectively provide the projected content and the management message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또한,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는 횡단보도를 통과하는 사용자 단말(110)을 검출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투사 컨텐츠 또는 관리 메시지를 알림 메시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에 해당 장소에 관한 홍보 및 광고 페이지로 접근 가능한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링크는 QR 코드 등으로 변환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링크를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130 may detect the user terminal 110 passing through the crosswalk, and may provide the projected content or management message in the form of a notification message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 In addition, the smart mobile street lamp device 130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110 with a link accessible to the publicity and advertisement page for the corresponding place. In this case, the link may be converted into a QR code and provided, and the user may share the link with other users.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applica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and may be changed.

100: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1010: 베이스 1020: 앵커
1030: 가로등 1040: 카메라
1050: 컨텐츠 객체 투사 유닛 1060: 디지털 사이니지
371: 추적 제어 모듈 373: 컨텐츠 제어 모듈
375: 메시지 제어 모듈 1070: 비상벨
100: smart street light system
110: user terminal 130: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150: database
210: processor 230: memory
250: user input/output unit 270: network input/output unit
1010: base 1020: anchor
1030: street light 1040: camera
1050: content object projection unit 1060: digital signage
371: tracking control module 373: content control module
375: message control module 1070: emergency bell

Claims (8)

이동형 베이스;
상기 이동형 베이스를 고정하는 앵커;
상기 이동형 베이스 상에 설치된 가로등;
상기 가로등의 기둥 상부에 설치되고 특정 영역을 촬영하고 객체의 이동에 따른 추적을 수행할 수 있는 카메라;
상기 가로등의 기둥 상부에 설치되고 보행자의 보행 안전을 위한 투사 콘텐츠를 투사하는 콘텐츠 객체 투사 유닛;
영상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가로등의 기둥 하부에 차량의 이동 방향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촬영된 특정 영역을 분석하여 상기 객체를 인식하며 상기 객체가 횡단 객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횡단 객체에 대한 상기 카메라의 추적 제어, 상기 횡단 객체에 대한 상기 객체 투사 유닛의 투사 콘텐츠 제어와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이니지 콘텐츠 제어를 수행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포함하되,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는
상기 촬영된 특정 영역에 대하여 특정 시간 구간 내에 있는 이미지들 간의 차분 연산을 수행하여 짝수 번째의 이미지들 간의 제1 차분 이미지들 및 홀수 번째의 이미지들 간의 제2 차분 이미지들을 생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차분 이미지들 간의 가중 누적 합산을 통해 상기 객체의 윤곽을 생성하고, 상기 객체의 윤곽을 통해 상기 객체가 상기 횡단 객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
mobile base;
an anchor for fixing the movable base;
a street lamp installed on the movable base;
a camera installed on the pole of the street lamp and capable of photographing a specific area and tracking the movement of an object;
a content object projection unit installed on the pole of the street lamp and projecting projection content for pedestrian safety;
a display that reproduces images; and
It is installed under the pillar of the street lamp to fac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alyzes the photographed specific area to recognize the object, and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corresponds to a crossed object to control the tracking of the camera for the crossed object , including a digital signage for performing projection content control of the object projection unit for the crossing object and signage content control of the display for the vehicle,
The digital signage
First difference images between even-numbered images and second difference images between odd-numbered images are generated by performing a difference operation between images within a specific time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photographed specific region, and the first and A smart mobile street lam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the contour of the object through weighted cumulative summation between second difference images, and recognizes whether the object corresponds to the crossed object through the contour of the objec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는
상기 횡단 객체가 무단횡단 객체로 검출되면 상기 카메라의 PTZ(Pan-Tile-Zoom) 제어를 통해 상기 횡단 객체의 사고 가능성 영상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gital signage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crossing object is detected as a jaywalking object, the image of the possibility of an accident of the crossing object is recorded through the PTZ (Pan-Tile-Zoom) control of the camer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는
상기 횡단 객체의 사고가 검출되면 관리자 단말의 제어를 통해 상기 사고 가능성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digital signage
When an accident of the crossing object is detected, the smart mobile street lam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the accident possibility image to the display through the control of the manag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는
상기 횡단 객체가 무단횡단 객체로 검출되면 상기 투사 콘텐츠를 상기 횡단 객체의 전면 방향에 무단횡단 알람 콘텐츠를 투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차량의 진입 방향을 향해 상기 사이니지 콘텐츠로서 상기 무단횡단 알람 콘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gital signage
When the crossing object is detected as a trespassing object, project the projected content to the front direction of the crossing object, and the trespassing alarm content as the signage content toward the entry direc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display. A smart mobile street ligh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t the same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는
상기 횡단 객체가 적법횡단 객체로 검출되면 상기 횡단 객체의 횡단 속도 또는 횡단 잔여시간이 특정 기준 이하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렇다면, 상기 투사 콘텐츠를 상기 객체의 전면 방향에 보행 재촉 콘텐츠를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gital signage
When the crossing object is detected as a legal crossing objec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rossing speed or the traversing remaining time of the crossing object is less than or equal to a specific criterion, and if so, the projection content is project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object Smart portable street ligh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는
상기 횡단 객체가 화재 또는 폭발과 같은 재난 객체로 검출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사이니지 콘텐츠 상에 비상 메시지를 오버레이되게 블링크(blink)하고 스피커를 통해 비상 알람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gital signage
Smart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crossing object is detected as a disaster object such as fire or explosion, an emergency message is overlaid on the currently displayed signage content of the display, and an emergency alarm message is provided through a speaker mobile street light device.

KR1020200181962A 2020-12-23 2020-12-23 Smart portable street light device KR1024372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962A KR102437282B1 (en) 2020-12-23 2020-12-23 Smart portable street ligh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962A KR102437282B1 (en) 2020-12-23 2020-12-23 Smart portable street ligh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943A KR20220090943A (en) 2022-06-30
KR102437282B1 true KR102437282B1 (en) 2022-08-30

Family

ID=82214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962A KR102437282B1 (en) 2020-12-23 2020-12-23 Smart portable street ligh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728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936Y1 (en) * 2003-07-07 2003-10-17 우종선 Available landowner structure by various kinds sporting goods
KR100997484B1 (en) * 2010-02-05 2010-11-30 (주)도시디자인연구원 Pedestrian crossing traffic light and school zone traffic signal architecture
KR101791601B1 (en) * 2017-07-11 2017-10-30 주식회사 한국아이오티기술원 Intelligent traffic safety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2183157B1 (en) * 2019-12-17 2020-11-25 주식회사 아보네 Apparatus of displaying crosswork pedestrian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8921A (en) * 2007-12-24 2009-06-29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to transfer the information of disaster and accident
KR101324081B1 (en) 2011-12-23 2013-10-31 이재용 Shadow advertising system using street light and the method thereof
KR101423396B1 (en) * 2012-11-16 2014-07-24 박상현 Multipurpose smart safety guidance system on crosswal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936Y1 (en) * 2003-07-07 2003-10-17 우종선 Available landowner structure by various kinds sporting goods
KR100997484B1 (en) * 2010-02-05 2010-11-30 (주)도시디자인연구원 Pedestrian crossing traffic light and school zone traffic signal architecture
KR101791601B1 (en) * 2017-07-11 2017-10-30 주식회사 한국아이오티기술원 Intelligent traffic safety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2183157B1 (en) * 2019-12-17 2020-11-25 주식회사 아보네 Apparatus of displaying crosswork pedestrian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943A (en)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69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visual information for event detection
CA2931713C (en) Video camera scene translation
US9449398B2 (en) Directional object detection
KR102039277B1 (en) Pedestrian face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8253527B2 (en) Alarm system and method for warning of emergencies
Zabłocki et al. Intelligent video surveillance systems for public spaces–a survey
KR102183157B1 (en) Apparatus of displaying crosswork pedestrian information
KR20190108226A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14096661A (en) Method for realtime diminishing of moving object in moving image during photographing of moving image, moving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for the same, and program for mentioned moving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KR102437283B1 (en) Smart portable street light device
WO2023071188A1 (en) Abnormal-behavior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19128086A1 (en) Stage interactive projec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101423396B1 (en) Multipurpose smart safety guidance system on crosswalk
WO2018210039A1 (en) Data processing method, data process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2437282B1 (en) Smart portable street light device
KR102180258B1 (en) Display control device
KR20220062978A (en) Smart street light device for park management based on object recognition
KR102033903B1 (en) Monitering System for Secuirt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385866B1 (en) Device for providing traffic data at City-managing platform system
KR20230052443A (en) Smart safety mirror device
TW201322199A (en) Vehicle-locating system
KR102619493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Mass Casualty Incident
KR101322074B1 (en) System for monitoring with intelligent control
GDANSK Deliverable 2.1–Review of existing smart video surveillance systems capable of being integrated with ADDPRIV. ADDPRIV consortium
Perry et al. Crossing the road without traffic lights: an android-based safet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