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7168B1 - Image processing circuit and organic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mage processing circuit and organic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7168B1
KR102437168B1 KR1020150187221A KR20150187221A KR102437168B1 KR 102437168 B1 KR102437168 B1 KR 102437168B1 KR 1020150187221 A KR1020150187221 A KR 1020150187221A KR 20150187221 A KR20150187221 A KR 20150187221A KR 102437168 B1 KR102437168 B1 KR 102437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weight
blue
image processing
process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2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77386A (en
Inventor
장준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7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168B1/en
Publication of KR20170077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3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1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질 저하없이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 처리 회로 및 그를 가지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회로는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휘도 변화 인지 시점을 판단하고, 입력 데이터에 포함된 청색 데이터를 휘도 변화 인지 시점까지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며, 휘도 변화 인지 시점에서 청색 데이터를 복원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processing circuit capable of improving lifespan without degrading image quality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the same.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input data to determine when a luminance change is recognized, and The blue data included in the signal is gradually reduced until the luminance change is recognized, and the blue data is restored at the luminance change recognition time.

Description

영상 처리 회로 및 그를 가지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IMAGE PROCESSING CIRCUIT AND ORGANIC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An image processing circuit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질 저하없이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 처리 회로 및 그를 가지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processing circuit capable of improving lifespan without degrading image quality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the same.

다양한 정보를 화면으로 구현해 주는 영상 표시 장치는 정보 통신 시대의 핵심 기술로 더 얇고 더 가볍고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고성능의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음극선관(CRT)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평판 표시 장치가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로는 액정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를 이용한 OLED 표시 장치, 전기영동 입자를 이용한 전기영동 표시 장치(ElecToPhoretic Display; EPD) 등이 대표적이다. A video display device that implements various information on a screen is a key technology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ra, and is developing in the direction of thinner, lighter, more portable and high-performance. Accordingly, flat panel display devices capable of reducing weight and volume, which are disadvantages of cathode ray tubes (CRTs), are in the spotlight. As such a flat panel display,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using liquid crystal, an OLED display u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OLED), and an electrophoretic display using electrophoretic particles (ElecToPhoretic Display) ; EPD) and the like.

이들 중 OLED 표시 장치는 애노드 및 캐소드 사이의 유기 발광층이 자발광하는 OLED 소자를 각 서브픽셀로 이용하여 뛰어난 콘트라스트비 특성 등의 화질적 우수성을 보이며 소형 모바일 장치로부터 대형 TV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차세대 표시 장치로 각광 받고 있다.Among them, the OLED display uses an OLED element in which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emits light as each sub-pixel, and shows excellent image quality such as excellent contrast ratio characteristics. is gaining popularity as

그런데, OLED 표시 장치는 OLED 소자의 자발광 특성상 구동 시간의 경과에 따라 열화되어 인접한 단위 화소 간의 열화 차이에 의해 밝기 차이가 발생되고, 각 단위 화소 내 서브 화소 간 열화 차이에 의해 색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밝기 및 색감 차이는 사용자에게 인지되어 영구 잔상으로 인지되며, 수명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OLED display device deteriorates with the lapse of driving time due to the self-luminous nature of the OLED element, so that a difference in brightness occurs due to a difference in deterioration between adjacent unit pixels, and a difference in color occurs due to a difference in deterioration between sub-pixels in each unit pixel. do. This difference in brightness and color is perceived by the user as a permanent afterimag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ifespan is also reduc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화질 저하없이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 처리 회로 및 그를 가지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processing circuit capable of improving lifespan without degrading image quality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회로 및 그를 가지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휘도 변화 인지 시점을 판단하고, 입력 데이터에 포함된 청색 데이터를 휘도 변화 인지 시점까지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며, 휘도 변화 인지 시점에서 청색 데이터를 복원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mage processing circuit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 a luminance change recognition time point by analyzing input data, and gradually convert blue data included in the input data to a luminance change recognition time point. , and the blue data is restored when the luminance change is recognized.

본 발명에서는 청색 데이터를 사람이 인지하지 못하는 수준으로 낮춰 구현함으로써 화질 저하없이 청색 서브 화소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으며,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 화소 중 수명이 가장 낮은 청색 서브 화소의 수명 개선으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수명 및 소비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espan of the blue sub-pixel can be improved without deterioration in image quality by reducing the blue data to a level that humans cannot perceive, and the lifespan of the blue sub-pixel with the lowest lifespan among the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is improved. Lifespan and power consumption of the LED display device may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각 서브 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영상 처리 회로의 제1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영상 처리 회로를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영상 처리 회로에서 청색 데이터에 적용되는 가중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영상 처리 회로의 제2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영상 처리 회로를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영상 처리 회로에서 청색 데이터에 적용되는 가중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청색 데이터의 가중치에 따른 영상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each sub-pixel of the display panel shown in FIG. 1 .
FIG. 3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shown in FIG. 1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age processing method using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illustrated in FIG. 3 .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weight applied to blue data in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shown in FIG. 3 .
6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shown in FIG. 1 .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age processing method using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illustrated in FIG. 6 .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weight applied to blue data in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shown in FIG. 6 .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simulation result according to a weight of blu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회로(130)를 가지는 OLED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LED display device having an image processing circuit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OLED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과, 표시 패널(100)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108) 및 스캔 드라이버(106)를 포함하는 패널 구동부와, 패널 구동부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120)를 구비한다. The OLED display shown in FIG. 1 includes a display panel 100, a panel driver including a data driver 108 and a scan driver 106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100, and a timing controller ( 120) is provided.

스캔 드라이버(106)는 타이밍 컨트롤러(120)로부터의 스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표시 패널(100)의 스캔 라인(SL)을 순차 구동한다. 스캔 드라이버(106)는 각 스캔 라인(SL)의 해당 스캔 기간마다 하이 상태의 스캔 펄스를 공급하고, 스캔 스캔 라인(SL)이 구동되는 나머지 기간에는 로우 상태의 스캔 펄스를 공급한다. The scan driver 106 sequentially drives the scan lines SL of the display panel 100 in response to a scan control signal from the timing controller 120 . The scan driver 106 supplies a high-state scan pulse for each corresponding scan period of each scan line SL, and supplies a low-state scan pulse for the remaining period in which the scan scan line SL is driven.

데이터 드라이버(108)는 타이밍 컨트롤러(120)로부터의 데이터 제어 신호(DCS)에 응답하여 타이밍 컨트롤러(120)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각 스캔 라인(SL)이 구동될 때마다 데이터 라인(DL)으로 공급한다. The data driver 108 converts digital data from the timing controller 120 into an analog data voltage in response to a data control signal DCS from the timing controller 120 to convert data whenever each scan line SL is driven. It is supplied to the line (DL).

타이밍 컨트롤러(120)는 호스트 컴퓨터(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입력된 다수의 동기 신호, 즉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데이터 이네이블 신호, 도트 클럭을 이용하여 데이터 드라이버(108)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 신호(DCS)와, 스캔 드라이버(106)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스캔 제어 신호(SCS)를 생성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20)는 생성된 데이터 제어 신호(DCS) 및 스캔 제어 신호(SCS)를 데이터 드라이버(108) 및 스캔 드라이버(106)로 각각 출력한다. 데이터 제어 신호(DCS)는 데이터 신호의 래치를 제어하는 소스 스타트 펄스 및 소스 샘플링 클럭과, 데이터 신호의 극성을 제어하는 극성 제어 신호와, 데이터 신호의 출력 기간을 제어하는 소스 출력 이네이블 신호 등을 포함한다. 스캔 제어 신호(SCS)는 스캔 신호의 스캐닝을 제어하는 스캔 스타트 펄스 및 스캔 쉬프트 클럭과, 스캔 신호의 출력 기간을 제어하는 스캔 출력 이네이블 신호 등을 포함한다. The timing controller 120 uses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s input from a host computer (not shown), that is,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a data enable signal, and a dot clock to the data driver 108 . ), a data control signal DCS for controlling the driving timing and a scan control signal SCS for controlling the driving timing of the scan driver 106 are generated. The timing controller 120 outputs the generated data control signal DCS and the scan control signal SCS to the data driver 108 and the scan driver 106 , respectively. The data control signal DCS includes a source start pulse and a source sampling clock for controlling the latch of the data signal, a polarity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larity of the data signal, and a source output enable signal for controlling the output period of the data signal. include The scan control signal SCS includes a scan start pulse and a scan shift clock for controlling scanning of the scan signal, and a scan output enable signal for controlling an output period of the scan signal.

타이밍 컨트롤러(120)의 영상 처리 회로(130)는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데이터 드라이버(108)로 공급한다. 영상 처리 회로(130)는 적색, 녹색 및 청색 화소의 수명을 고려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변하여 데이터 드라이버(108)로 출력한다.The image processing circuit 130 of the timing controller 120 processes image data input from the host system and supplies it to the data driver 108 .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130 changes at least one of red, green, and blue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lifespan of the red, green, and blue pixels and outputs the variable to the data driver 108 .

한편, 영상 처리 회로(130)는 타이밍 컨트롤러(120)에 내장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타이밍 컨트롤러(120)와 데이터 드라이버(108) 사이에 위치하거나, 타이밍 컨트롤러(120)의 입력단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영상 처리 회로(130)의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Meanwhile, although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13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embedded in the timing controller 120 as an example,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130 may be located between the timing controller 120 and the data driver 108 or located at the input terminal of the timing controller 120 . may b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130 will be described later.

표시 패널(10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단위 화소를 통해 영상을 표시한다. 단위 화소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서브 화소로 구성되거나, 적색(R), 녹색(G), 청색(B) 및 백색(W) 서브 화소로 구성된다. 각 서브 화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구동회로, 및 유기발광소자(OLED)를 구비한다. The display panel 100 displays an image through unit pixels arranged in a matrix form. The unit pixel is composed of red (R), green (G), and blue (B) sub-pixels, or is composed of red (R), green (G), blue (B), and white (W) sub-pixels. As shown in FIG. 2 , each sub-pixel includes a pixel driving circuit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화소 구동회로는 스캔 라인(SL)에 공급되는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DL)에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데이터 전류를 유기발광소자(OLED)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화소 구동회로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r_S), 구동 트랜지스터(Tr_D), 및 커패시터(C)를 구비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r_S)는 스캔 라인(SL)에 공급되는 스캔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데이터 라인(DL)에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를 구동 트랜지스터(Tr_D)에 공급한다. 구동 트랜지스터(Tr_D)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r_S)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고전위 전원(VDD)으로부터 유기발광소자(OLED)로 흐르는 전류를 제어한다. 커패시터(C)는 구동 트랜지스터(Tr_D)의 스캔 단자와 저전위 전원(VSS) 사이에 접속되어 구동 트랜지스터(Tr_S)의 스캔 단자에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전압을 저장하고, 저장된 전압으로 구동 트랜지스터(Tr_D)의 턴-온 상태를 1 프레임 동안 일정하게 유지시킨다.The pixel driving circuit supplies a data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data signal supplied to the data line DL to the OLED in response to the scan signal supplied to the scan line SL. To this end, the pixel driving circuit includes a switching transistor Tr_S, a driving transistor Tr_D, and a capacitor C. FIG. The switching transistor Tr_S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scan signal supplied to the scan line SL and supplies the data signal supplied to the data line DL to the driving transistor Tr_D. The driving transistor Tr_D is switched according to a data signal supplied from the switching transistor Tr_S to control a current flowing from the high potential power VD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he capacitor C is connected between the scan terminal of the driving transistor Tr_D and the low potential power VSS to store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data signal supplied to the scan terminal of the driving transistor Tr_S, and use the stored voltage to the driving transistor The turn-on state of (Tr_D) is maintained constant for one frame.

유기발광소자(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Tr_D)의 소스 단자와 저전위 전원(VSS)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구동 트랜지스터(Tr_D)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에 의해 발광한다. 이를 위해, 유기발광소자(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Tr_D)의 소스 단자에 접속된 애노드 전극과, 애노드 전극 상에 형성된 유기층, 유기층 상에 형성된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유기층은 정공 주입층/정공 수송층/발광층/전자 수송층/전자 주입층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source terminal of the driving transistor Tr_D and the low potential power VSS, and emits light according to a current corresponding to a data signal supplied from the driving transistor Tr_D. To this e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ncludes an anod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ource terminal of the driving transistor Tr_D, an organic layer formed on the anode electrode, and a cathode electrode formed on the organic layer. Here, the organic layer may include a hole injection layer/hole transport layer/light emitting layer/electron transport layer/electron injection layer and the like.

이에 따라,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서브 화소 각각은 데이터 신호에 따른 구동 트랜지스터(Tr_D)의 스위칭을 이용하여 고전위 전원(VDD)으로부터 유기발광소자(OLED)로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여 유기발광소자(OLED)의 발광층을 발광시킴으로써 소정의 컬러를 표현한다.Accordingly, each of the red (R), green (G), and blue (B) sub-pixels flows from the high potential power VD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using the switching of the driving transistor Tr_D according to the data signal. A predetermined color is expressed by emitting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by controlling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이러한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서브 화소 중 청색(B) 서브 화소의 발광 효율이 가장 낮다. 이에 따라, 같은 휘도를 내기 위해 청색(B) 서브 화소를 다른 색의 서브 화소에 비해 더 구동해야 하므로, 청색(B) 서브 화소의 수명이 단축된다. 이 경우,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서브 화소를 이용하여 백색 영상을 구현하는 경우, 백색이 아닌 옐로우색이 띄는 잔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청색(B) 서브 화소는 수명이 가장 짧아 잔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수명이 짧은 청색 서브 화소에 공급되는 청색(B) 데이터를 사람이 인지하지 못하는 수준으로 가변함으로써 청색(B) 서브 화소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Among these red (R), green (G), and blue (B) sub-pixels, the blue (B) sub-pixel has the lowest luminous efficiency. Accordingly, since the blue (B) sub-pixel needs to be driven more than the other color sub-pixels to achieve the same luminance, the lifespan of the blue (B) sub-pixel is shortened. In this case, when a white image is implemented using the red (R), green (G), and blue (B) sub-pixels, an afterimage of yellow color instead of white is generated. As such, the blue (B) sub-pixel has the shortest lifespan and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afterimage.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espan of the blue (B) sub-pixel can be improved by varying the blue (B) data supplied to the short-lived blue sub-pixel to a level that a human cannot perceive.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영상 처리 회로(130)를 이용한 도 4에 도시된 영상 처리 방법을 통해 청색(B) 데이터를 가변한다. 도 3에 도시된 영상 처리 회로(130)는 평균 화상 레벨(Average Picture Level; 이하 APL이라 함) 계산부(132), APL 저장부(134), 휘도 변화 판단부(136) 및 데이터 변환부(138)를 구비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blue (B) data is varied through the image processing method illustrated in FIG. 4 using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130 illustrated in FIG. 3 .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130 shown in FIG. 3 includes an average picture level (APL) calculation unit 132 , an APL storage unit 134 , a luminance change determination unit 136 , and a data conversion unit ( 138) is provided.

APL 계산부(132)는 입력 영상의 매 프레임마다 APL을 계산한다(S11단계). APL은 1프레임 분량의 화소 데이터에 대한 평균 휘도값으로서, APL이 높을수록 밝은 영상이고, APL이 낮을수록 어두운 영상이다.The APL calculator 132 calculates an APL for every frame of the input image (step S11). The APL is an average luminance value for pixel data of one frame. The higher the APL, the brighter the image, and the lower the APL, the darker the image.

APL 저장부(134)는 APL 계산부(132)로부터 산출된 각 프레임의 APL을 프레임 단위로 저장한다.The APL storage unit 134 stores the APL of each frame calculated by the APL calculation unit 132 in units of frames.

휘도 변화 판단부(136)는 APL 저장부(134)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의 APL과, APL 계산부(132)에서 산출된 현재 프레임의 APL을 비교하여 휘도 변화(장면 전환)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휘도 변화 판단부(136)는 이전 프레임의 APL과 현재 프레임의 APL의 차이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장면 전환(장면A→장면B; 장면 B 장면A→장면C)이 이루어져 휘도 변화가 인지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하이 상태의 인지 신호(RecS)를 생성한다(S12단계). 그리고, 휘도 변화 판단부(136)는 그 차이가 임계치 이내인 경우, 장면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휘도 변화가 인지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로우 상태의 인지 신호(RecS)를 생성한다(S12단계). 예를 들어, 휘도 변화 판단부(136)는 현재 프레임의 APL이 이전 프레임의 APL에 비해 10%의 임계치를 초과하여 감소한 경우, 휘도 변화가 인지된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 프레임의 APL이 이전 프레임의 APL에 비해 10%이내로 감소한 경우, 휘도 변화가 인지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임계치는 표시 장치의 특성 및 표시 장치의 구동 환경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므로, 10%의 임계치는 실시예일뿐,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luminance change determination unit 136 compares the APL of the previous frame stored in the APL storage unit 134 with the APL of the current frame calculated by the APL calculation unit 132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luminance change (scene change). That is,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PL of the previous frame and the APL of the current frame exceeds the threshold, the luminance change determining unit 136 recognizes the luminance change by performing a scene change (scene A → scene B; scene B scene A → scene C).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high state recognition signal RecS is generated (step S12). Then, when the difference is within the threshold, the luminance change determining unit 136 determines that the luminance change is not recognized because the scene change is not performed and generates a low-state recognition signal RecS (step S12 ). For example, when the APL of the current frame decreases by exceeding a threshold of 10% compared to the APL of the previous frame, the luminance change determining unit 136 determines that the luminance change has been recognized, and the APL of the current frame is the APL of the previous frame. If it is reduced to less than 10% compared to the APL, it is determined that the luminance change is not recognized. Meanwhile, since the threshold value may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display device, the threshold of 10%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데이터 변환부(138)는 하이 및 로우 상태의 인지 신호(RecS)에 응답하여 청색 데이터의 휘도를 가변시킨다. 즉, 데이터 변환부(138)는 로우 상태의 인지 신호(RecS)에 응답하여 하이 상태의 인지 신호(RecS)가 입력될 때까지 청색 데이터에 청색 가중치(게인)를 반영함으로써 청색 데이터를 감소시킨다(S13단계). 이 때, 데이터 변환부(136)는 사람이 인지하지 못하는 수준 이내, 즉 청색 데이터 가변 한계치 이내에서 청색 데이터의 휘도를 단계적으로 또는 점진적으로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데이터 변환부(136)는 청색 데이터에 적용되는 청색 가중치를 1보다 작게 적용하여 청색 데이터를 감소시켜 출력(RGB')하며(S15단계), 청색 가중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적으로 작아진다. The data converter 138 changes the luminance of blue data in response to the high and low recognition signals RecS. That is, the data converter 138 reduces the blue data by reflecting the blue weight (gain) to the blue data until the recognition signal RecS in the high state is input in response to the recognition signal RecS in the low state ( step S13). In this case, the data converter 136 gradually or gradually reduces the luminance of the blue data within a level that a human cannot recognize, that is, within a blue data variable limit value. For example, the data conversion unit 136 applies a blue weight applied to the blue data to be less than 1 to reduce the blue data and output (RGB') (step S15), and the blue weight is shown in FIG. 5 as time elapses. As shown in Fig.

그리고, 데이터 변환부(138)는 하이 상태의 인지 신호(RecS)에 응답하여 감소된 청색 데이터의 휘도를 원래 휘도(즉, 정상 휘도)로 복원한다(S14단계). 이에 따라, 데이터 변환부(138)는 하이 상태의 인지 신호(RecS)에 응답하여 청색 데이터를 복원하여 출력(RGB)한다(S15단계). Then, the data converter 138 restores the reduced luminance of the blue data to the original luminance (ie, the normal luminance) in response to the high state recognition signal RecS (step S14). Accordingly, the data conversion unit 138 restores and outputs the blue data RGB in response to the high state recognition signal RecS (step S15).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장면 전환을 감지하여 장면 미 전환시 청색 데이터의 휘도를 사람이 인지하지 못하는 범위 내에서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장면 전환시 청색 데이터의 휘도를 복원하고, 청색 데이터의 감소 및 복원을 반복하므로,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보다 수명이 낮은 청색 서브 화소의 수명을 화질 저하없이 개선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scene change and gradually decreases the luminance of blue data when a scene is not changed within a range that a person does not recognize, restores the luminance of blue data during a scene change, and reduces and restores blue data By repeating , the lifespan of the blue sub-pixel, which has a shorter lifespan than the red and green sub-pixels, can be improved without degrading the image quality.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영상 처리 회로를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processing circu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age processing method using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shown in FIG. 6 .

도 6에 도시된 영상 처리 회로(130)는 가중치 변화를 감지하여 청색 데이터의 휘도를 가변한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영상 처리 회로(130)는 가중치 산출부(232), 메모리부(234), 휘도 변화 판단부(236) 및 데이터 변환부(238)를 구비한다.The image processing circuit 130 shown in FIG. 6 varies the luminance of blue data by detecting a change in weight. To this end,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130 shown in FIG. 6 includes a weight calculation unit 232 , a memory unit 234 , a luminance change determination unit 236 , and a data conversion unit 238 .

가중치 산출부(232)는 입력 데이터(RGB)를 기초로 일정 주기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시간(구동량)에 대응하는 청색 데이터의 가중치(게인)를 산출한다(S21단계). 특히, 가중치 산출부(232)는 로우 상태의 인지 신호(RecS)에 응답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하강 가중치를 산출한다. 그리고, 가중치 산출부(232)는 하이 상태의 인지 신호(RecS)에 응답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또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상승 가중치를 산출한다. The weight calculator 232 calculates a weight (gain) of blue data corresponding to a driving time (driving amoun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t regular intervals based on the input data RGB (step S21 ). In particular, the weight calculator 232 calculates a falling weight that gradually decreases as shown in FIG. 8 as time elapses in response to the low state recognition signal RecS. In addition, the weight calculator 232 calculates a rising weight that gradually or gradually increases as time elapses in response to the high state recognition signal RecS.

메모리(234)에는 최저 가중치가 저장된다. 한편, 사람의 눈이 0.02이하의 색차(△u'v')에 대해서는 인지하지 못하므로, 인지 한계 색차(△u'v')인 0.02을 기준으로 최저 가중치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최저 가중치는 0.85미만으로 설정한다. 한편, 최저 가중치는 표시 장치의 특성 및 표시 장치의 구동 환경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므로, 0.85미만의 최저 가중치는 실시예일뿐,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memory 234 stores the lowest weight. On the other hand, since the human eye does not recognize a color difference (Δu'v') of 0.02 or less, the lowest weight is set based on 0.02, which is the perceptual limit color difference (Δu'v'). For example, the lowest weight is set to less than 0.85. Meanwhile, since the lowest weight may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display device, the lowest weight less than 0.85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휘도 변화 판단부(136)는 가중치 산출부(232)에서 산출된 하강 가중치와, 메모리(234)에 저장된 최저 가중치를 비교하여 휘도 변화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2단계). 즉, 휘도 변화 판단부(236)는 가중치 산출부(232)에서 산출된 하강 가중치와 메모리(234)에 저장된 최저 가중치가 동일한 경우, 휘도 감소 변화가 인지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하이 상태의 인지 신호(RecS)를 생성한다(S12단계). 그리고, 휘도 변화 판단부는 가중치 산출부(232)에서 산출된 하강 가중치가 메모리(234)에 저장된 최저 가중치보다 높은 경우, 휘도 감소 변화가 인지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로우 상태의 인지 신호(RecS)를 생성한다.The luminance change determining unit 136 compares the falling weight calculated by the weight calculating unit 232 with the lowest weight stored in the memory 234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luminance change (step S22 ). That is, when the falling weight calculated by the weight calculation unit 232 and the lowest weight stored in the memory 234 are the same, the luminance change determining unit 236 determines that the luminance decrease change is recognized, and thus a high state recognition signal RecS ) is generated (step S12). Then, when the falling weight calculated by the weight calculator 232 is higher than the lowest weight stored in the memory 234 , the luminance change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at the luminance decrease change is not recognized and generates a low state recognition signal RecS. do.

데이터 변환부(238)는 하이 및 로우 상태의 인지 신호(RecS)에 응답하여 청색 데이터의 휘도를 가변시킨다. The data converter 238 changes the luminance of blue data in response to the recognition signal RecS in the high and low states.

즉, 데이터 변환부(238)는 로우 상태의 인지 신호(RecS)에 응답하여 청색 데이터에 하강 가중치를 적용하여 청색 데이터를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데이터 변환부(238)는 하이 상태의 인지 신호(RecS)에 응답하여 원래 휘도(즉, 정상 휘도)에서 사람이 인지하지 못하는 수준까지 청색 데이터의 휘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켜(S23단계) 출력한다(RGB')(S25단계).That is, the data converter 238 reduces the blue data by applying a falling weight to the blue data in response to the low state recognition signal RecS. Accordingly, the data converter 238 gradually reduces the luminance of the blue data from the original luminance (ie, normal luminance) to a level that is not recognized by humans in response to the high state recognition signal RecS (step S23). output (RGB') (step S25).

그리고, 데이터 변환부(238)는 하이 상태의 인지 신호(Recs)에 응답하여 청색 데이터에 상승 가중치를 적용하여 낮아진 청색 데이터를 복원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변환부(138)는 로우 상태의 인지 신호(RecS)에 응답하여 청색 데이터의 휘도가 원래 휘도(즉, 정상 휘도)로 될 때까지 점진적으로 복원시켜(S24단계) 출력한다(RGB")(S25단계). 한편, 하강 가중치가 적용되는 데이터 하강 변환 기간(T1)과 상승 가중치가 적용되는 데이터 상승 변환 기간(T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하다. 예를 들어, n번째(n,2n,3n...) 프레임(여기서, n은 2보다 큰 자연수)마다 데이터 하강 변환 기간(T1)과 데이터 상승 변환 기간(T2)이 반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ta converter 238 restores the lowered blue data by applying a rising weight to the blue data in response to the high state recognition signal Recs. Accordingly, the data converter 138 gradually restores the luminance of the blue data until the luminance of the blue data becomes the original luminance (ie, the normal luminance) in response to the low-state recognition signal RecS (step S24) and outputs (RGB) (RGB). ") (step S25). Meanwhile, the data down-conversion period T1 to which the falling weight is applied and the data up-conversion period T2 to which the rising weight is applied are the same as shown in FIG. 8. For example, n The data down-conversion period T1 and the data up-conversion period T2 may be repeated for every (n, 2n, 3n...)-th frame (where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2).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중치 변화를 감지하여 청색 데이터의 휘도를 사람이 인지하지 못하는 수준으로 감소 및 복원을 반복하므로, 청색 서브 화소의 수명 및 소비전력을 개선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change in weight and repeatedly reduces and restores the luminance of blue data to a level that a human cannot recognize, so that the lifespan and power consumption of the blue sub-pixel can be improved.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청색 데이터 가중치에 따른 영상 시뮬레이션 결과이다.9 is an image simulation result according to blue data we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색 데이터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청색 데이터의 휘도를 사람이 인지하지 못하는 수준으로 낮추더라도 화질 저하가 발생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청색 데이터를 낮춰 화질 저하없이 영상을 구현하게 되면 표 1과 같이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 화소로 이루어진 전체 서브 화소에서 청색 서브 화소가 차지하는 소비전류 비율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9 , it can be seen that even if the luminance of the blue data is lowered to a level that a human cannot perceive by applying a weight to the blue data, the image quality is not deteriorated. In this way, when the image is realized without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by reducing the blue data, it can be seen that the ratio of current consumption occupied by the blue sub-pixel among all the sub-pixels including the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is lowered as shown in Table 1.

청색 가중치blue weight 1One 0.900.90 0.900.90 0.850.85 소비전류(Blue/Total)Current consumption (Blue/Total) 7%7% 5%5% 4%4% 3%3%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청색 서브 화소의 수명이 향상되며,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에 비해 수명이 낮은 청색 서브 화소의 수명 향상으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수명 및 소비전력이 개선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espan of the blue sub-pixel is improved, and the lifespan of the blue sub-pixel, which has a shorter lifespan compared to the red and green sub-pixels, is improved, thereby improving the lifespan and power consump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에 비해 수명이 낮은 청색 서브 화소에 공급되는 청색 데이터만을 가변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 화소의 수명 특성의 차이만큼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 화소에 공급되는 데이터에 가중치를 다르게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녹색, 적색 및 청색 서브 화소 순으로 수명 특성이 좋은 경우, 사람이 인지하지 못하는 수준에서 녹색 서브 화소에 공급되는 녹색 데이터, 적색 서브 화소에 공급되는 적색 데이터, 청색 서브 화소에 공급되는 청색 데이터 순으로 가중치(게인; 1보다 작음)를 높게 설정한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blue data supplied to the blue sub-pixel, which has a lower lifespan compared to the red and green sub-pixels, is changed as an example. A different weight may be applied to data supplied to the blue sub-pixel. For example, when the lifespan characteristics are good in the order of green, red, and blue sub-pixels, green data supplied to the green sub-pixel, red data supplied to the red sub-pixel, and blue data supplied to the blue sub-pixel at a level not recognized by humans Set the weight (gain; less than 1) higher in the order of blue data.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ologi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30 : 영상 처리 회로 131 : APL계산부
232 : 가중치 산출부 136,236 : 휘도 변화 판단부
138,238 : 데이터 변환부
130: image processing circuit 131: APL calculator
232: weight calculation unit 136,236: luminance change determination unit
138,238: data conversion unit

Claims (8)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장면 전환에 따른 휘도 변화 인지 시점을 판단하는 휘도 변화 판단부와;
상기 입력 데이터에 따른 장면 미 전환 시, 청색 데이터의 휘도를 사람이 인지하지 못하는 범위 내에서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며 장면 전환 시, 상기 휘도 변화 인지 시점에서 상기 청색 데이터를 복원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구비하는 영상 처리 회로.
a luminance change determination unit that analyzes the input data to determine when a luminance change according to a scene change is recognized;
Image processing comprising a data converter configured to gradually reduce the luminance of blue data within a range that a person cannot recognize when a scene is not changed according to the input data, and to restore the blue data at a point in time when the luminance change is recognized when a scene is changed Circu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의 평균 화상 레벨을 계산하는 평균 화상 레벨 계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휘도 변화 판단부는 이전 프레임의 평균 화상 레벨과, 현재 프레임의 평균 화상 레벨을 비교하여 장면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처리 회로.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average image level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n average image level of the input data,
The luminance change determining unit is an image processing circuit for determining whether to change a scene by comparing an average image level of a previous frame with an average image level of a current fram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이전 프레임의 평균 화상 레벨과, 상기 현재 프레임의 평균 화상 레벨의 차이가 임계치 이내인 경우 상기 청색 데이터에 1보다 작은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청색 데이터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며,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이전 프레임의 평균 화상 레벨과, 상기 현재 프레임의 평균 화상 레벨의 차이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청색 데이터를 복원하는 영상 처리 회로.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image level of the previous frame and the average image level of the current frame is within a threshold, the data converter applies a weight less than 1 to the blue data to gradually reduce the blue data,
The data conversion unit restores the blue data when a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image level of the previous frame and the average image level of the current frame exceeds a threshol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현재 프레임의 평균 화상 레벨이 이전 프레임의 평균 화상 레벨에 비해 10%이내로 감소한 경우, 상기 청색 데이터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며,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현재 프레임의 평균 화상 레벨이 이전 프레임의 평균 화상 레벨에 비해 10%를 초과하여 감소한 경우, 상기 청색 데이터를 복원하는 영상 처리 회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data conversion unit gradually reduces the blue data when the average image level of the current frame is reduced within 10% compared to the average image level of the previous frame,
The data converter restores the blue data when the average image level of the current frame is reduced by more than 10% compared to the average image level of the previous frame.
입력 데이터를 기초로 일정 주기마다 장치의 구동 시간에 대응하는 청색 데이터의 가중치를 산출하는 가중치 산출부와;
상기 가중치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가중치와 미리 설정된 최저 가중치를 비교하여 휘도 변화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휘도 변화 판단부와;
상기 산출된 가중치와 상기 미리 설정된 최저 가중치 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청색 데이터의 휘도를 사람이 인지하지 못하는 범위 내에서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상기 청색 데이터를 복원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회로.
a weight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weight of blue data corresponding to a driving time of the device at regular intervals based on the input data;
a luminance change determining unit that compares the weight calculated by the weight calculating unit with a preset minimum weight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luminance change;
and a data converter configured to gradually decrease the luminance of the blue data within a range that a human cannot perceive or to restore the blue data according to a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calculated weight and the preset minimum weigh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산출된 가중치와 상기 최저 가중치가 다른 경우, 상기 청색 데이터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며,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산출된 가중치와 상기 최저 가중치가 동일한 경우, 상기 청색 데이터를 점진적으로 복원하는 영상 처리 회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ata conversion unit gradually decreases the blue data when the calculated weight and the lowest weight are different,
The data converter is an image processing circuit that gradually restores the blue data when the calculated weight and the lowest weight are the sam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저 가중치는 0.85 미만인 영상 처리 회로.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lowest weight is less than 0.85.
제 1 항 내지 제 7 항에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영상 처리 회로와;
상기 영상 처리 회로로부터 공급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영상 처리 회로로부터 공급된 영상이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the image supplied from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and a panel driver driving the display panel so that the image supplied from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KR1020150187221A 2015-12-28 2015-12-28 Image processing circuit and organic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4371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221A KR102437168B1 (en) 2015-12-28 2015-12-28 Image processing circuit and organic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221A KR102437168B1 (en) 2015-12-28 2015-12-28 Image processing circuit and organic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386A KR20170077386A (en) 2017-07-06
KR102437168B1 true KR102437168B1 (en) 2022-08-26

Family

ID=59354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221A KR102437168B1 (en) 2015-12-28 2015-12-28 Image processing circuit and organic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7168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064B1 (en) * 2013-01-15 2019-09-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386A (en)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1080B2 (en) Timing controller,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8378936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207190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EP3018649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EP2985753B1 (en) Flat display device
US11694635B2 (en)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including compensating for flicker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102576698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080082279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aking method the same
KR20170028623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436969B2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same
KR20100003459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771949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40070793A (en) Timing controller,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14519973A (en) Display device
US1085412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1139337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50101042A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140240366A1 (en) Display device for reducing dynamic false contour
KR102274926B1 (en) Displya device
KR102437168B1 (en) Image processing circuit and organic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210870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KR1019220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data,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KR10085768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aking method the same
KR20160092173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20100309099A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