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7024B1 -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7024B1
KR102437024B1 KR1020170168189A KR20170168189A KR102437024B1 KR 102437024 B1 KR102437024 B1 KR 102437024B1 KR 1020170168189 A KR1020170168189 A KR 1020170168189A KR 20170168189 A KR20170168189 A KR 20170168189A KR 102437024 B1 KR102437024 B1 KR 102437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ed
mode
sensing
switch
data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1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68114A (en
Inventor
박지웅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8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024B1/en
Publication of KR20190068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1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0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230/00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라인의 기생 캡(Cap.) 및 저항 성분의 편차가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OLED) 센싱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제거하여 OLED 임피던스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OLED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OLED 표시 장치는,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에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OLED를 포함하는 OLED 표시 패널, 및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OLED 표시 패널의 동작을 센싱 모드 또는 디스플레이 모드로 변경하며, 상기 센싱 모드 변경 시 데이터 라인을 센싱 경로에서 분리시키는 OLED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LED display device for improving OLED impedance measurement accuracy by removing parasitic caps and variations in resistance components of data lines so as not to affect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sensing operations, and It's about how to drive it. The OLED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LED display panel including an OLED operated by a signal applied to a data line and a gate line, and changing the operation of the OLED display panel to a sensing mode or a display mode by an applied control signal and an OLED control unit that separates the data line from the sensing path when the sensing mode is changed.

Description

유기발광소자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OLED)의 임피던스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라인의 기생 캡(Cap.) 및 저항 성분의 편차가 OLED 센싱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제거하기 위한 OLED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impedance measurement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LED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for removing a parasitic cap of a data line and a deviation of a resistance component so as not to affect an OLED sensing operation.

유기발광소자(OLED)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위차에 의해 양극과 음극으로 주입된 전자와 전공이 소자 내부로 이동, 유기 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빛을 방출하는 자체 발광소자이다. 발광 그레이와 색도와 같은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특성은 소자를 구성하는 재료의 특성과 소자의 구조에 따라 다르다. 특히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그레이는 구동 전압 또는 전류에 의해 직접 제어되므로 소자의 구동 전압과 전류 및 발광 그레이와의 관계는 소자의 특성을 규정하는 기본이 되며, 실제로 이 관계를 이용하여 원하는 발광 그레이를 구현하기 위해 특정 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하여 소자를 구동한다.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is a self-luminous device in which electrons and electrons injected into an anode and a cathode move into the device by a potential difference applied from the outside, recombine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emit light. The light emitting characteristics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such as light emitting gray and chromaticity depend on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constituting the device and the structure of the device. In particular, since the emission gra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s directly controlled by the driving voltage or curr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riving voltage, the current, and the emission gray of the device is the basis for def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To implement, a specific voltage or current is applied to drive the device.

그러나 OLED를 장시간 지속적으로 구동하면 소자의 열화 현상으로 인해 구성 요소의 특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여 초기의 발광 특성과는 다른 특성이 나타낸다. 소자의 점진적인 열화는 동작 점에서의 그레이를 감소시키거나 목표 그레이에 대한 동작 점을 이동시켜 소비전력이 증가되므로 이는 소자의 수명을 결정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장시간 소자 구동 시 발생할 수 있는 내부 단락, 전도층의 손실, 발광층 비활성층 등의 구성 요소의 급격한 상태 변화는 제품 불량의 요인이 된다.However, if the OLED is continuously driven for a long tim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nents change over time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device, resulting in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initial light emitting characteristics. The gradual deterioration of the device reduces the gray at the operating point or moves the operating point relative to the target gray to increase power consumption, which is a factor determining the lifetime of the device. In addition, an internal short circuit, loss of a conductive layer, and abrupt state change of components such as an inactive layer of a light emitting layer, which may occur during device driving for a long period of time, cause product defects.

따라서 이러한 OLED의 열화 특성 평가를 위해 OLED의 애노드 전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OLED 전압 및 OLED에서 감지되는 OLED 전류로부터 OLED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열화 특성을 평가한다.Therefore, in order to evaluate the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OLED, the anode voltage of the OLED is sensed, and the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are evaluated by measuring the OLED impedance from the sensed OLED voltage and the OLED current sensed by the OLED.

도 1 은 종래의 OLED 구동회로의 표시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2 는 도 1의 회로도에서 표시 장치 구동을 위해 인가되는 제어신호의 타이밍도이다. 이때, 도 2(a)는 센싱 모드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의 타이밍도이고, 도 2(b)는 디스플레이 모드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의 타이밍도이다.FIG. 1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of a conventional OLED driving circuit, and FIG. 2 is a timing diagram of a control signal applied to drive the display device in the circuit diagram of FIG. 1 . At this time, FIG. 2(a) is a timing diagram of a control signal for a sensing mode operation, and FIG. 2(b) is a timing diagram of a control signal for a display mode operation.

그리고 도 3 은 도 2의 타이밍도에 의해 인가되는 제어신호로 도 1의 회로도에서 센싱 동작 시 감지되는 OLED 전압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3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e OLED voltage sensed during a sensing operation in the circuit diagram of FIG. 1 as a control signal applied by the timing diagram of FIG. 2 .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이 열과 행으로 배열되어 교차되는 영역에 위치되어 인가되는 전위차에 의해 빛을 방출하는 복수개의 OLED를 구비하는 OLED 표시 패널(10)과,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OLED 표시 패널(10)의 동작을 센싱 모드 또는 디스플레이 모드로 변경하는 OLED 제어부(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an OLED display panel 10 having a plurality of OLEDs emitting light by an applied potential difference, positioned in a region where data lines and gate lines are arranged in columns and rows and intersect; and an OLED controller 20 for changing the operation of the OLED display panel 10 to a sensing mode or a display mode according to an applied control signal.

도 1에서 도면부호 A의 경로는 OLED 표시 장치가 디스플레이 모드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경로이고, 도면부호 B의 경로는 OLED 표시 장치가 센싱 모드 동작을 수행하는 센싱 경로를 나타낸다.In FIG. 1 , a path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A denotes a display path in which the OLED display device performs a display mode operation, and a path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B denotes a sensing path in which the OLED display device performs a sensing mode operation.

한편, OLED 표시 패널(10)로 인가되는 제어신호는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복수개의 OLED의 보상 시점을 제어하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EM)와, 복수개의 OLED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2 게이트 신호(G1)(G2)를 포함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2 , the control signal applied to the OLED display panel 10 includes an enable signal EM for controlling the compensation timing of the plurality of OLEDs and an enable signal 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OLEDs. It includes first and second gate signals G1 and G2.

또한 OLED 제어부(200)로 인가되는 제어신호는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모드 및 센싱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 1, 2 모드 선택 신호(REF_SW1)(REF_SW2)와, 픽셀의 종류(Red, Green, Blue)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 1, 2, 3 픽셀 선택 신호(SMUX1)(SMUX2)(SMUX3)를 포함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 the control signal applied to the OLED controller 200 includes first and second mode selection signals REF_SW1 (REF_SW2) for selecting any one of a display mode and a sensing mode, and It includes first, second, and third pixel selection signals SMUX1 (SMUX2) (SMUX3)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types (Red, Green, and Blue).

그리고 OLED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OLED 제어부(20)를 통해 센싱 모드의 동작은, 먼저 제 1, 2 모드 선택 신호(REF_SW1)(REF_SW2)를 모두 하이 레벨을 인가하고, 제 1, 2, 3 픽셀 선택 신호(SMUX1)(SMUX2)(SMUX3)를 선택적으로 로우 레벨을 인가함으로써, 발생되는 각 픽셀 별 센싱 경로에서 OLED 임피던스를 측정한다. In addition, in the sensing mode operation through the OLED control unit 20 for measuring the OLED impedance, first, high level of the first and second mode selection signals REF_SW1 and REF_SW2 is applied,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pixel selection signals are applied. By selectively applying a low level to (SMUX1) (SMUX2) (SMUX3), the OLED impedance is measured in the sensing path for each pixel generated.

이때, OLED 임피던스 측정은 센싱 경로(B) 형성 시에 디스플레이 경로(A) 및 센싱 경로(B)에서 발생되는 기생 캡(Cap.)을 이용한다. 즉,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경로(A) 및 센싱 경로(B)에 초기 충전(Pre-Charging) 전압을 인가하고, 초기 충전 전압을 OLED로 방전시켜 남아있는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At this time, the OLED impedance measurement uses a parasitic cap (Cap.) generated in the display path (A) and the sensing path (B) when the sensing path (B) is formed. That is, as shown in FIG. 3 , a pre-charg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display path (A) and the sensing path (B), and the remaining impedance value is measured by discharging the initial charging voltage to the OLED. use the method

그러나 이형 모델 및 패널 사이즈의 증가 등으로 디스플레이 경로(A) 및 센싱 경로(B) 간 기생 캡의 편차가 발생한다. 도 4 는 일반적인 OLED 패널의 형태를 나타낸 일실시예로서,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OLED 패널의 형태가 중앙부와 측면부가 서로 달라 중심부에서 발생되는 기생 캡과 측면부에서 발생되는 기생 캡의 크기에 편차가 발생된다. However, deviation of the parasitic cap between the display path (A) and the sensing path (B) occurs due to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heterogeneous model and the panel. 4 is an embodiment showing the shape of a general OLED panel. As shown in FIG. 4, the shape of the OLED panel is different from the central part and the side part, so the size of the parasitic cap generated in the center and the parasitic cap generated in the side part deviation occurs in

도 5는 도 4의 형태를 갖는 OLED 패널에서 디스플레이 경로(A) 및 센싱 경로(B)별로 중앙부 및 측면부에서 각각 발생되는 기생 캡의 편차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처럼, 기생 캡의 편차는 디스플레이 경로(A) 및 센싱 경로(B) 모두에서 발생된다.FIG. 5 is a graph showing the deviation of parasitic caps respectively generated in the central part and the side part by the display path (A) and the sensing path (B) in the OLED panel having the shape of FIG. 4 . As such, the deviation of the parasitic cap occurs in both the display path (A) and the sensing path (B).

이러한 기생 캡의 편차는 그 기생 캡의 크기에 따라 OLED로 방전되는 방전시간에 차이를 발생시킨다. 도 6 은 기생 캡의 크기에 따른 방전시간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 그래프이다.This deviation of the parasitic cap causes a difference in the discharge time to be discharged to the OL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rasitic cap. 6 is a graph showing the difference in discharge tim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rasitic cap.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하나의 OLED 표시 장치에서 위치에 따라 'Cap. X'와 'Cap. Y'가 발생하고, 'Cap. X'가 'Cap. Y'보다 클 때('Cap. X'> 'Cap. Y'), OLED로 방전되는 방전시간은 기생 캡의 크기가 작은 'Cap. Y'이 기생 캡의 크기가 큰 'Cap. X'보다 빠른 시간에 방전된다. 이처럼 각 픽셀마다 방전시간이 달라짐에 따라, 미리 설정되는 타겟 전압(Vn)까지 도달하는 방전시간이 픽셀마다 서로 달라지게 되어 방전된 결과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OLED 임피던스 측정에 있어 정확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As shown in FIG. 6, according to the position in one OLED display device, 'Cap. X' and 'Cap. Y' occurs, and 'Cap. X' is 'Cap. When larger than Y' ('Cap. X'> 'Cap. Y'), the discharge time discharged to the OLED is shorter than the 'Cap. 'Cap. It is discharged faster than X'. As such, as the discharge time is different for each pixel, the discharge time to reach the preset target voltage (Vn) is different for each pixel, so the accuracy in measuring the OLED impedance measured using the discharged result is reduced. hav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경로(A)(B) 내 기생 캡의 편차 감소 및 기생 캡 영향의 최소화가 필요하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deviation of the parasitic cap in the paths (A) and (B) and to minimize the effect of the parasitic cap.

또한, OLED 임피던스 측정은 OLED 충전 및 방전을 통해 측정됨에 따라, OLED 방전 시간의 절대적 요인은 충전되는 기생 캡의 성분이다. 따라서, 경로(A)(B) 내의 기생 캡의 크기를 최소화한다면, OLED 임피던스의 측정시간을 축소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s the OLED impedance measurement is measured through OLED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absolute factor in OLED discharge time is the component of the parasitic cap being charged. Therefore, if the size of the parasitic cap in the path (A) (B) is minimized, the measurement time of the OLED impedance may be reduced.

본 발명은 데이터 라인의 기생 캡(Cap.) 및 저항 성분의 편차가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OLED) 센싱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제거하여 OLED 임피던스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OLED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LED display device for improving OLED impedance measurement accuracy by removing parasitic caps and variations in resistance components of data lines so as not to affect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sensing operation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iving method therefor.

또한, 본 발명은 센싱 경로 내의 기생 캡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OLED 임피던스의 측정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OLED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LED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for reducing the measurement time of OLED impedance by minimizing the size of a parasitic cap in a sensing path.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may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appended claims.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OLED의 임피던스 측정 정확도 향상을 위한 OLED 표시 장치는,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에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OLED를 포함하는 OLED 표시 패널, 및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OLED 표시 패널의 동작을 센싱 모드 또는 디스플레이 모드로 변경하며, 상기 센싱 모드 변경 시 데이터 라인을 센싱 경로에서 분리시키는 OLED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OLED display device for improving the impedance measurement accuracy of an O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LED display panel including an OLED operated by a signal applied to a data line and a gate line, and a control signal applied and an OLED controller configured to change the operation of the OLED display panel to a sensing mode or a display mode, and to separate a data line from a sensing path when the sensing mode is changed.

또한, 상기 OLED 제어부는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및 상기 센싱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 스위치와, 픽셀 선택 신호를 입력으로 복수개의 픽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픽셀 선택 스위치와, 분리 신호를 입력으로 상기 센싱 모드 시 상기 데이터 라인을 센싱 경로에서 분리하는 분리 스위치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OLED control unit includes a mode switch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display mode and the sensing mode by inputting a mode selection signal, and a pixel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pixels by inputting a pixel selection signal; and a separation switch for separating the data line from the sensing path in the sensing mode by receiving a signal as an input.

또한, 상기 모드 스위치, 상기 픽셀 선택 스위치 및 상기 분리 스위치는 상기 데이터 라인 별로 상기 OLED 제어부 내에 각각 구비된다.In addition, the mode switch, the pixel selection switch, and the separation switch are provided in the OLED control unit for each data line, respectively.

또한, 상기 분리 스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시에는 항상 온(on)으로 동작하고, 상기 센싱 모드 시에는 오프(off)로 동작한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switch is always on in the display mode and operates off in the sensing mode.

또한, 상기 분리 스위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트랜지스터가 결합되는 먹스 스위치(MUX SW)로 구성하여, 서로 교차 구동한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switch is constituted by a mux switch (MUX SW) to which at least two or more transistors are coupled, and cross-driven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OLED의 임피던스 측정 정확도 향상을 위한 패널의 제어방법은, 센싱 모드 동작이 이루어지면,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으로 모드 스위치를 턴오프하여 센싱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픽셀 선택 신호를 입력으로 픽셀 선택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턴온하여 복수개의 픽셀 중 선택된 픽셀 이어지는 임피던스 측정 라인(Ref. Line)으로의 센싱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분리 신호를 입력으로 분리 스위치를 턴오프하여 상기 생성된 센싱 경로와 데이터 라인을 분리시키는 단계, 및 센싱 경로에서 인가되는 초기 전압을 OLED로 방전시켜 OLED 전압을 감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controlling a panel for improving the impedance measurement accuracy of an O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when a sensing mode operation is performed, turning off a mode switch by inputting a mode selection signal to select a sensing mode, and inputting a pixel selection signal to a pixel generating a sensing path to an impedance measurement line (Ref. Line) connecting a selected pixel among a plurality of pixels by selectively turning on a selection switch; and discharging the initial voltage applied from the sensing path to the OLED to sense the OLED voltage, and measuring an impedance value using the isolating the voltage.

또한, 상기 센싱 경로와 데이터 라인을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 스위치가 2개 이상의 트랜지스터로 결합되는 먹스 스위치로 구성되어 서로 교차 구동을 수행한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separating the sensing path and the data line, the separation switch is constituted by a mux switch in which two or more transistors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perform cross driving.

또한, 상기 센싱 경로와 상기 데이터 라인을 서로 분리시키는 단계는, 상기 분리 신호로서 서로 교차 입력되는 하이 레벨 신호가 인가된다.In the step of separating the sensing path and the data line from each other, a high-level signal that is cross-inputted as the separation signal is applied.

또한, 상기 센싱 모드 동작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동작이 이루어지면,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으로 상기 모드 스위치를 턴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픽셀 선택 신호를 입력으로 상기 픽셀 선택 스위치를 모두 턴오프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으로의 디스플레이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와, 분리 신호를 입력으로 상기 분리 스위치를 턴온하여 상기 생성된 디스플레이 경로와 상기 데이터 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단계와, OLED 표시 패널로 인가되는 인에이블 신호(EM) 및 게이트 신호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OLED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if the display mode operation is performed after the sensing mode operation, turning on the mode switch by inputting a mode selection signal to select the display mode, and turning off all the pixel selection switches by inputting a pixel selection signal to generate a display path to the data line, turning on the separation switch by inputting a separation signal to connect the generated display path and the data line to each other, and an enable signal applied to an OLED display panel (EM) and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OLED operations in response to the gate signal.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경로와 상기 데이터 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 신호로서 로우 레벨 신호가 인가된다. In the step of connecting the display path and the data line to each other, a low-level signal is applied as the separation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OLED의 임피던스 측정 정확도 향상을 위한 OLED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LED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for improving the impedance measurement accuracy of an OLED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센싱 경로에서 데이터 라인의 로드(load) 영향을 제거하여 OLED 임피던스 측정 경로에 위치하는 기생 캡(Cap.)의 편차로 인한 센싱 값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viation of the sensing value due to the deviation of the parasitic cap located in the OLED impedance measurement path by removing the effect of the load of the data line in the sensing path.

둘째, 센싱 경로의 로드 감소로 인해 OLED 방전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어, 전체 OLED 임피던스 측정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Seco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LED discharge time due to the reduction of the load on the sensing path,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OLED impedance measurement time.

도 1 은 종래의 OLED 표시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
도 2 는 도 1의 회로도에서 OLED 표시 장치 구동을 위해 인가되는 제어신호의 타이밍도
도 3 은 도 2의 타이밍도에 의해 인가되는 제어신호로 도 1의 회로도에서 센싱 동작 시 감지되는 OLED 전압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4 는 일반적인 OLED 패널의 형태를 나타낸 일실시예
도 5는 도 4의 형태를 갖는 OLED 패널에서 디스플레이 경로(A) 및 센싱 경로(B)별로 중앙부 및 측면부에서 각각 발생되는 기생 캡의 편차를 나타낸 그래프
도 6 은 기생 캡의 크기에 따른 방전시간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 그래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표시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
도 8 및 도 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LED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10 은 도 8 및 도 9의 회로도에서 OLED 표시 장치의 구동을 위해 인가되는 제어신호의 타이밍도
도 11 은 데이터 라인에서 발생되는 기생 캡을 포함한 경우(C)와 데이터 라인에서 발생되는 기생 캡을 제거한 경우(D)에 OLED로 방전되는 방전시간 차이를 나타낸 그래프
도 1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LED의 임피던스 측정 정확도 향상을 위한 패널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OLED display device;
FIG. 2 is a timing diagram of a control signal applied to drive an OLED display in the circuit diagram of FIG. 1 ;
3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e OLED voltage sensed during a sensing operation in the circuit diagram of FIG. 1 as a control signal applied by the timing diagram of FIG.
4 is an embodiment showing the shape of a general OLED panel;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deviation of parasitic caps respectively generated in the central part and the side part for each display path (A) and sensing path (B) in the OLED panel having the form of FIG. 4 ;
6 is a graph showing the difference in discharge tim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rasitic cap;
7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OL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circuit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driving an OL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timing diagram of a control signal applied to drive an OLED display in the circuit diagrams of FIGS. 8 and 9 ;
11 is a graph showing the difference in the discharge time of the OLED when a parasitic cap generated from the data line is included (C) and when the parasitic cap generated from the data line is removed (D);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panel for improving impedance measurement accuracy of an O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OLED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표시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7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OL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에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OLED를 포함하는 OLED 표시 패널(100)과,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OLED 표시 패널(100)의 동작을 센싱 모드 또는 디스플레이 모드로 변경하며, 상기 센싱 모드 변경 시 데이터 라인을 센싱 경로(B)에서 분리시켜 데이터 라인의 로드(load) 영향을 제거하는 OLED 제어부(2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 an OLED display panel 100 including an OLED operated by signals applied to a data line and a gate line, and an operation of the OLED display panel 100 by an applied control signal are controlled. It changes to a sensing mode or a display mode, and includes an OLED control unit 200 that separates the data line from the sensing path B when the sensing mode is changed to remove the effect of a load on the data line.

이처럼, OLED 제어부(200)를 통해 센싱 모드 시에 데이터 라인을 센싱 경로(B)에서 분리시킴으로써, 데이터 라인의 기생 캡(Cap.) 및 저항 성분이 OLED 센싱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As such, by separating the data line from the sensing path B in the sensing mode through the OLED controller 200 , the parasitic cap and resistance components of the data line do not affect the OLED sensing operation.

여기에서, 센싱 모드는 OLED의 열화 특성 평가를 위해 OLED의 애노드 전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OLED 전압 및 OLED에서 감지되는 OLED 전류로부터 OLED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열화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모드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드는 OLED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모드이다. 센싱 모드와 디스플레이 모드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후술하도록 한다.Here, the sensing mode is a mode for evaluating the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by sensing the anode voltage of the OLED to evaluate the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OLED, and measuring the OLED impedance from the sensed OLED voltage and the OLED current sensed in the OLED. In addition, the display mode is a mode for displaying an image of an OLE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ensing mode and the display mode will be provided below.

상기 OLED 표시 패널(100)은 OLED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트랜지스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와 함께 노드에 연결되어 한 프레임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토리지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OLED 표시 패널(100)로 인가되는 제어신호는 복수개의 OLED의 보상 시점을 제어하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EM)와, 복수개의 OLED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2 게이트 신호(G1)(G2)를 포함한다.The OLED display panel 100 includes a driving transistor for driving an OLED, at least one switching transisto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transistor, and a storage capacitor connected to a node together with a gate terminal of the driving transistor to store data of one frame. can do. In addition, the control signal applied to the OLED display panel 100 includes an enable signal EM for controlling the compensation timing of the plurality of OLEDs, and first and second gate signals G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OLEDs. (G2).

그리고 상기 OLED 제어부(200)는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으로 디스플레이 모드 및 센싱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 스위치(210)와, 픽셀 선택 신호를 입력으로 복수개의 픽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픽셀 선택 스위치(220)와, 분리 신호를 입력으로 센싱 모드 시 데이터 라인을 센싱 경로에서 분리하는 분리 스위치(2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OLED 제어부(200)로 인가되는 제어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드 및 센싱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스위치(210)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2 모드 선택 신호(REF_SW1)(REF_SW2)와, 복수개의 픽셀(Red, Green, Blue)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픽셀 선택 스위치(220)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2, 3 픽셀 선택 신호(SMUX1)(SMUX2)(SMUX3)와, 센싱 모드 시 데이터 라인을 센싱 경로(B)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스위치(230)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2 분리 신호(SW1)(SW2)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OLED control unit 200 includes a mode switch 210 for selecting any one of a display mode and a sensing mode by inputting a mode selection signal, and a pixel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pixels by receiving a pixel selection signal as an input and a separation switch 230 for separating the data line from the sensing path in the sensing mode by inputting the separation signal as an input. In addition, the control signal applied to the OLED control unit 200 includes first and second mode selection signals REF_SW1 (REF_SW2) for controlling the mode switch 210 for selecting any one of a display mode and a sensing mode, and a plurality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pixel selection signals SMUX1 (SMUX2) (SMUX3) for controlling the pixel selection switch 220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pixels (Red, Green, Blue), and data in the sensing mode and first and second separation signals SW1 and SW2 for controlling the separation switch 230 for disconnecting the line from the sensing path B.

이때, 상기 모드 스위치(210), 픽셀 선택 스위치(220) 및 분리 스위치(230)는 OLED 제어부(200) 내에 데이터 라인 별로 각각 구비된다.In this case, the mode switch 210 , the pixel selection switch 220 , and the separation switch 230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OLED control unit 200 for each data line.

상기 분리 스위치(230)는 디스플레이 모드 시에는 항상 온(on)으로 동작하고, 센싱 모드 시에는 오프(off)로 동작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 스위치(230)는 스위치 론(Ron)의 감소를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트랜지스터가 결합되는 먹스 스위치(MUX SW)로 구성하여, 서로 교차 구동이 수행되도록 한다. The separation switch 230 is always on in the display mode and operates off in the sensing mode. In addition, the separation switch 230 is configured as a MUX switch to which at least two or more transistors are coupled in order to reduce the switch Ron, so that cross-driving is performed with each other.

즉, 상기 먹스 스위치 구성을 통해 센싱 모드 구동의 빈도 및 주기가 디스플레이 모드 구동보다 현저히 작기 때문에 오랜 시간 온(on) 상태를 유지하는 스위치 론에 따라 수명 단축을 초래하는 분리 스위치(230)를 보호한다.That is,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MUX switch, since the frequency and period of the sensing mode driving are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e display mode driving, the separation switch 230 that causes a shortened life is protected according to the switch loan that maintains the on state for a long time. .

이러한 구성을 통해, OLED 표시 장치에서 OLED 임피던스 측정은 센싱 모드 동작 시 분리 스위치(230)에 의해 데이터 라인을 센싱 경로(B)에서 분리시킬 수 있어, 센싱 경로(B)에서만 발생되는 기생 캡만을 이용하여 인가되는 초기 전압을 OLED로 방전시켜 OLED 전압을 감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게 된다.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OLED impedance measurement in the OLED display device can separate the data line from the sensing path (B) by the separation switch 230 during the sensing mode operation, so that only the parasitic cap generated only in the sensing path (B) is used. By discharging the applied initial voltage to the OLED, the OLED voltage is sensed, and the impedance value is measured using this.

즉, 센싱 모드 동작 시 데이터 라인을 분리시킴으로써, 임피던스 값을 측정할 때 이용되는 기생 캡에 데이터 라인에서 발생되는 기생 캡 및 저항 성분은 센싱 모드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That is, by separating the data line during the sensing mode operation, the parasitic cap and resistance components generated in the data line do not affect the sensing mode operation in the parasitic cap used to measure the impedance value.

이에 따라, 센싱 모드 동작에 이용되는 기생 캡 및 저항 성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OLED 임피던스 측정 및 OLED 센싱 시간 최소화가 가능하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viation of the parasitic cap and the resistance component used in the sensing mode oper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measure the OLED impedance and minimize the OLED sensing tim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OLED표시 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The operation of the OL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 7 refer to the same member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s.

도 8 및 도 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LED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로서, 도 8 은 OLED 표시 장치가 센싱 모드 동작을 수행하는 센싱 경로를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9 는 OLED 표시 장치가 디스플레이 모드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경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8 and 9 are circuit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driving an OL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sensing path through which the OLED display device performs a sensing mode operation, and FIG. It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display path through which an OLED display device performs a display mode operation.

그리고 도 10 은 도 8 및 도 9의 회로도에서 OLED 표시 장치 구동을 위해 인가되는 제어신호의 타이밍도로서, 도 10(a)는 도 8의 센싱 모드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의 타이밍도이고, 도 10(b)는 도 9의 디스플레이 모드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의 타이밍도이다.10 is a timing diagram of a control signal applied to drive the OLED display in the circuit diagrams of FIGS. 8 and 9 . FIG. 10(a) is a timing diagram of a control signal for the sensing mode operation of FIG. 8, and FIG. (b) is a timing diagram of a control signal for the display mode operation of FIG.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OLED 표시 패널(100)은 OLED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트랜지스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와 함께 노드에 연결되어 한 프레임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토리지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OLED 표시 패널(100)로 인가되는 제어신호는 복수개의 OLED의 보상 시점을 제어하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EM)와, 복수개의 OLED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2 게이트 신호(G1)(G2)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OLED display panel 100 is connected to a node together with a driving transistor for driving the OLED, at least one switching transisto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transistor, and a gate terminal of the driving transistor to form a frame of one frame. It may include a storage capacitor for storing data. In addition, the control signal applied to the OLED display panel 100 includes an enable signal EM for controlling the compensation timing of the plurality of OLEDs, and first and second gate signals G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OLEDs. (G2).

또한 상기 OLED 제어부(200)는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으로 디스플레이 모드 및 센싱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 스위치(210)와, 픽셀 선택 신호를 입력으로 복수개의 픽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픽셀 선택 스위치(220)와, 분리 신호를 입력으로 센싱 모드 시 데이터 라인을 센싱 경로에서 분리하는 분리 스위치(2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OLED 제어부(200)로 인가되는 제어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드 및 센싱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스위치(210)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2 모드 선택 신호(REF_SW1)(REF_SW2)와, 픽셀의 종류(Red, Green, Blue)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픽셀 선택 스위치(220)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2, 3 픽셀 선택 신호(SMUX1)(SMUX2)(SMUX3)와, 센싱 모드 시 데이터 라인을 센싱 경로(B)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스위치(230)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2 분리 신호(SW1)(SW2)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OLED control unit 200 includes a mode switch 210 for selecting any one of a display mode and a sensing mode by inputting a mode selection signal, and a pixel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pixels by inputting a pixel selection signal as an input and a separation switch 230 for separating the data line from the sensing path in the sensing mode by inputting the separation signal as an input. In addition, the control signal applied to the OLED controller 200 includes first and second mode selection signals REF_SW1 (REF_SW2) for controlling the mode switch 210 for selecting any one of a display mode and a sensing mode, and a pixel first, second, and third pixel selection signals SMUX1 (SMUX2) (SMUX3) for controlling the pixel selection switch 220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types (Red, Green, Blue); and data in the sensing mode and first and second separation signals SW1 and SW2 for controlling the separation switch 230 for disconnecting the line from the sensing path B.

그리고 OLED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OLED 제어부(200)를 통해 센싱 모드의 동작은, 먼저 제 1, 2 모드 선택 신호(REF_SW1)(REF_SW2)를 모두 하이 레벨로 인가하여 모드 스위치(210)를 턴오프시키고, 제 1, 2, 3 픽셀 선택 신호(SMUX1)(SMUX2)(SMUX3)를 선택적으로 로우 레벨로 인가하여 픽셀 선택 스위치(220)를 선택적으로 턴온시켜 센싱 경로(B)를 생성한다. And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mode through the OLED control unit 200 for measuring the OLED impedance, first, the mode switch 210 is turned off by applying both the first and second mode selection signals REF_SW1 and REF_SW2 at high levels, The first, second, and third pixel selection signals SMUX1 (SMUX2) and SMUX3 are selectively applied at low levels to selectively turn on the pixel selection switch 220 to generate the sensing path B. FIG.

이때, 상기 센싱 모드는 OLED의 열화 특성 평가를 위해 OLED의 애노드 전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OLED 전압 및 OLED에서 감지되는 OLED 전류로부터 OLED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열화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모드이다. In this case, the sensing mode is a mode for evaluating the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by sensing the anode voltage of the OLED for evaluation of the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OLED, and measuring the OLED impedance from the sensed OLED voltage and the OLED current sensed by the OLED.

그리고 상기 센싱 모드에서 생성되는 센싱 경로(B)는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OLED 제어부(200)에서 OLED와 접속된 데이터 라인에서 센싱 전압이 인가되면, 인가되는 센싱 전압이 제 3 픽셀 선택 신호(SMUX3)에 의해 턴온된 픽셀 선택 스위치(220)를 거쳐 OLED 표시 패널(100)로 인가된다. 그리고 OLED 표시 패널(100)로 OLED의 보상 시점을 제어하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EM)에 의해 턴온되는 TFT 소스단에서 제 2 게이트 신호(G2)에 의해 OLED의 동작을 제어하는 TFT를 지나 OLED로 인가되는 경로를 갖는다. 이러한 센싱 경로(B)는 픽셀 선택 신호(SMUX1)(SMUX2)(SMUX3)에 따라 각 OLED에 순차적으로 생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 in the sensing path B generated in the sensing mode, when a sensing voltage is applied from the data line connected to the OLED in the OLED control unit 200, the applied sensing voltage is selected for the third pixel. The signal is applied to the OLED display panel 100 through the pixel selection switch 220 turned on by the signal SMUX3. And from the TFT source terminal turned on by the enable signal EM for controlling the compensation timing of the OLED to the OLED display panel 100, through the TF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LED by the second gate signal G2 to the OLED It has an approved path. These sensing paths B are sequentially generated in each OLED according to the pixel selection signals SMUX1 (SMUX2) (SMUX3).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는 OLED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모드이다. In addition, the display mode is a mode for displaying an OLED image.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생성되는 디스플레이 경로(A)는 도 9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데이터 드라이버에서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이 데이터 라인을 따라 생성되며, 이는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제공된 영상 데이터(RGB)에 의해 각각의 데이터 라인에 순차적으로 공급된다.In the display path A generated in the display mode, as shown in FIG. 9 , the data voltage applied from the data driver is generated along the data line, which is respectively generated by the image data RGB provided from the timing controller. are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data lines of

도 10 은 첫 번째 픽셀인 레드(red) 픽셀에 대응되는 픽셀 선택 스위치(220)가 턴온되어 센싱 경로(B)가 생성된 경우를 실시예로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는 나머지 픽셀 선택 스위치들은 모두 로우 레벨이 인가되어 턴오프를 유지하게 된다.FIG. 10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sensing path B is generated by turning on the pixel selection switch 220 corresponding to the red pixel, which is the first pixel. In this case, all of the remaining pixel selection switches are applied with a low level to maintain their turn-off.

이어서 제 1, 2 분리 신호(SW1)(SW2)를 모두 하이 레벨로 인가하여 분리 스위치(230)를 턴오프시켜, 생성된 센싱 경로(B)와 데이터 라인을 서로 분리시킨다. Subsequently, both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signals SW1 and SW2 are applied at high levels to turn off the separation switch 230 to separate the generated sensing path B and the data line from each other.

이처럼, 분리 스위치(230)를 통해 데이터 라인을 센싱 경로(B)와 분리시키게 되면, OLED 센싱 동작에서 데이터 라인의 기생 캡(Cap.) 및 저항 성분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즉, 센싱 경로(B)에는 임피던스 측정 라인(Ref. Line)의 기생 캡 및 저항 성분의 영향만을 받게 된다.As such, when the data line is separated from the sensing path B through the separation switch 230 , the parasitic cap and resistance components of the data line do not affect the OLED sensing operation. That is, the sensing path B is affected only by the parasitic cap and the resistance component of the impedance measurement line Ref. Line.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기생 캡의 편차는 디스플레이 경로(A)를 갖는 데이터 라인과 센싱 경로(B)를 갖는 임피던스 측정 라인(Ref. Line)에서 모두 발생되게 되므로, 두 경로(A)(B)에서 발생되는 기생 캡의 편차는 서로 결합되어 OLED 임피던스 측정 시 정확한 측정이 어려워지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5, the deviation of the parasitic cap is generated in both the data line having the display path (A) and the impedance measurement line (Ref. Line) having the sensing path (B), so that both paths (A) The deviation of the parasitic cap generated in (B) is coupled to each other, making it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OLED impedance.

본 발명은 이 두 경로(A)(B) 중 데이터 라인을 센싱 경로(B)와 분리시켜 데이터 라인에서 발생되는 기생 캡의 편차를 제거함으로써, OLED 임피던스 측정 패스 경로에서 발생되는 기생 캡의 편차로 인한 센싱 값 편차를 최소화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the data line from the sensing path (B) among these two paths (A) and (B) to remove the deviation of the parasitic cap generated in the data line, thereby reducing the deviation of the parasitic cap generated in the OLED impedance measurement path path.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viation of the sensing value caused by this.

이에 따라, OLED 표시 장치에서 OLED 임피던스 측정은 센싱 모드 동작 시 분리 스위치(230)에 의해 데이터 라인을 센싱 경로(B)에서 분리시킬 수 있어, 센싱 경로(B)에서만 발생되는 기생 캡만을 이용하여 인가되는 초기 전압을 OLED로 방전시켜 OLED 전압을 감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게 된다. Accordingly, in the OLED display device, the OLED impedance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by separating the data line from the sensing path B by the separation switch 230 during sensing mode operation. By discharging the initial voltage to the OLED, the OLED voltage is sensed, and the impedance value is measured using this.

즉, 센싱 모드 동작 시 데이터 라인을 분리시킴으로써, 임피던스 값을 측정할 때 이용되는 기생 캡에 데이터 라인에서 발생되는 기생 캡 및 저항 성분은 센싱 모드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That is, by separating the data line during the sensing mode operation, the parasitic cap and resistance components generated in the data line do not affect the sensing mode operation in the parasitic cap used to measure the impedance value.

또한 센싱 모드 동작 시 데이터 라인에서 발생되는 기생 캡을 제거함으로써, 센싱 경로(B)의 로드(load)가 감소되어 OLED 방전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전체 OLED 임피던스의 측정시간을 감소시키게 된다.In addition, by removing the parasitic cap generated from the data line during the sensing mode operation, the load of the sensing path B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OLED discharge time. This reduces the measurement time of the total OLED impedance.

도 11 은 데이터 라인에서 발생되는 기생 캡을 포함한 경우(C)와 데이터 라인에서 발생되는 기생 캡을 제거한 경우(D)에 OLED로 방전되는 방전시간 차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11 is a graph showing the difference in the discharge time of the OLED when a parasitic cap generated from the data line is included (C) and when the parasitic cap generated from the data line is removed (D).

도 1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데이터 라인에서 발생되는 기생 캡을 제거한 경우(D)가 그렇지 않은 경우(C)보다 더 빠르게 방전되는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 it can be seen that the case (D) when the parasitic cap generated from the data line is removed is faster than the case (C).

이에 따라, 센스 모드 동작에 이용되는 기생 캡 및 저항 성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OLED 임피던스 측정 및 OLED 센싱 시간 최소화가 가능하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viation of the parasitic cap and the resistance component used in the sense mode oper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measure the OLED impedance and minimize the OLED sensing time.

도 1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LED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n OL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화면 디스플레이 시에 OLED의 열화 특성 평가를 위한 센싱 모드 동작이 이루어지면(S10), OLED 제어부(200)로 인가되는 제어신호 중 제 1, 2 모드 선택 신호(REF_SW1)(REF_SW2)를 입력으로 모든 모드 스위치(210)를 턴오프하여 센싱 모드를 선택한다(S20). 이때, 모드 스위치(210)는 스위치 론(Ron)의 감소를 위해 2개의 트랜지스터가 결합되는 듀얼 스위치(Dual Switch)로 구성되어 서로 교차 구동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제 1, 2 모드 선택 신호(REF_SW1)(REF_SW2)는 하이 레벨이 서로 교차 입력된다.Referring to FIG. 12 , when the sensing mode operation for evaluating the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OLED is performed during screen display ( S10 ), the first and second mode selection signals REF_SW1 among the control signals applied to the OLED controller 200 . A sensing mode is selected by turning off all mode switches 210 by inputting (REF_SW2) (S20). In this case, the mode switch 210 is configured as a dual switch in which two transistors are coupled to reduce the switch Ron, so that cross-driving is performed with each other. High levels of the first and second mode selection signals REF_SW1 and REF_SW2 are cross-inputted.

이어 OLED 제어부(200)로 인가되는 제어신호 중 제 1, 2, 3 픽셀 선택 신호(SMUX1)(SMUX2)(SMUX3)를 입력으로 픽셀 선택 스위치(220)를 선택적으로 턴온하여 복수개의 픽셀 중 선택된 픽셀로 이어지는 임피던스 측정 라인(Ref. Line)으로의 센싱 경로(B)를 생성한다(S30). 이때, 픽셀 선택 스위치(220)를 턴온하기 위해 제 1, 2, 3 픽셀 선택 신호(SMUX1)(SMUX2)(SMUX3)는 로우 레벨이 입력된다.Next, the pixel selection switch 220 is selectively turned on by inputt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pixel selection signals SMUX1, SMUX2, and SMUX3 among the control signals applied to the OLED control unit 200 to select a pixel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ixels. A sensing path B to the impedance measurement line (Ref. Line) leading to is created (S30). At this time, in order to turn on the pixel selection switch 220, the first, second, and third pixel selection signals SMUX1 (SMUX2) (SMUX3) are input at low levels.

그리고 OLED 제어부(200)로 인가되는 제어신호 중 제 1, 2 분리 신호(SW1)(SW2)를 입력으로 분리 스위치(230)를 턴오프하여 생성된 센싱 경로(B)와 데이터 라인을 서로 분리시킨다(S40). 이때 분리 스위치(230)는 스위치 론(Ron)의 감소를 위해 2개 이상의 트랜지스터가 결합되는 먹스 스위치(MUX Switch)로 구성되어 서로 교차 구동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제 1, 2 분리 신호(SW1)(SW2)는 하이 레벨이 서로 교차 입력된다. And the separation switch 230 is turned off by inputting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signals SW1 and SW2 among the control signals applied to the OLED control unit 200 to separate the generated sensing path B and the data line from each other. (S40). In this case, the separation switch 230 is configured as a MUX switch in which two or more transistors are coupled to reduce the switch Ron, so that cross-driving is performed with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signals SW1 and SW2 are input with high levels crossing each other.

이처럼, 분리 스위치(230)를 통해 데이터 라인을 센싱 경로(B)와 분리되어, OLED 센싱 동작에서 데이터 라인의 기생 캡(Cap.) 및 저항 성분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즉, 센싱 경로(B)에는 임피던스 측정 라인(Ref. Line)의 기생 캡 및 저항 성분의 영향만을 받게 된다.As such, the data line is separated from the sensing path B through the separation switch 230 , so that it is not affected by the parasitic cap and resistance components of the data line in the OLED sensing operation. That is, the sensing path B is affected only by the parasitic cap and the resistance component of the impedance measurement line Ref. Line.

그리고 센싱 경로(B)에서만 발생되는 기생 캡만을 이용하여 인가되는 초기 전압을 OLED로 방전시켜 OLED 전압을 감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임피던스 값을 측정한다(S50).Then, the initial voltage applied using only the parasitic cap generated only in the sensing path B is discharged to the OLED to sense the OLED voltage, and the impedance value is measured using this (S50).

이에 따라, OLED 표시 장치에서 OLED 임피던스 측정은 센싱 모드 동작 시 분리 스위치(230)에 의해 데이터 라인을 센싱 경로(B)에서 분리시킬 수 있어, 센싱 경로(B)에서만 발생되는 기생 캡만을 이용하여 인가되는 초기 전압을 OLED로 방전시켜 OLED 전압을 감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게 된다. Accordingly, in the OLED display device, the OLED impedance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by separating the data line from the sensing path B by the separation switch 230 during sensing mode operation. By discharging the initial voltage to the OLED, the OLED voltage is sensed, and the impedance value is measured using this.

한편, 센싱 모드 동작이 완료되어 디스플레이 모드 동작이 이루어지면(S10), OLED 제어부(200)로 인가되는 제어신호 중 제 1, 2 모드 선택 신호(REF_SW1)(REF_SW2)를 입력으로 모든 모드 스위치(210)를 턴온하여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한다(S60). 이때, 모드 스위치(210)는 스위치 론(Ron)의 감소를 위해 2개의 트랜지스터가 결합되는 듀얼 스위치(Dual Switch)로 구성되어 서로 교차 구동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제 1, 2 모드 선택 신호(REF_SW1)(REF_SW2)는 로우 레벨이 서로 교차 입력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nsing mode operation is completed and the display mode operation is performed (S10), the first and second mode selection signals REF_SW1 (REF_SW2) among the control signals applied to the OLED control unit 200 are input to all mode switches 210 ) to select a display mode (S60). In this case, the mode switch 210 is configured as a dual switch in which two transistors are coupled to reduce the switch Ron, so that cross-driving is performed with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mode selection signals REF_SW1 and REF_SW2 are input at low levels crossing each other.

이어 OLED 제어부(200)로 인가되는 제어신호 중 제 1, 2, 3 픽셀 선택 신호(SMUX1)(SMUX2)(SMUX3)를 입력으로 픽셀 선택 스위치(220)를 모두 턴오프하여 데이터 라인으로의 디스플레이 경로(A)를 생성한다(S70). 이때, 제 1, 2, 3 픽셀 선택 신호(SMUX1)(SMUX2)(SMUX3)는 하이 레벨이 입력된다.Next, the first, second, and third pixel selection signals SMUX1 (SMUX2) (SMUX3) among the control signals applied to the OLED control unit 200 are input to turn off all the pixel selection switches 220 to provide a display path to the data line. (A) is generated (S70). At this time, the first, second, and third pixel selection signals SMUX1 (SMUX2) (SMUX3) are input at high levels.

그리고 OLED 제어부(200)로 인가되는 제어신호 중 제 1, 2 분리 신호(SW1)(SW2)를 입력으로 분리 스위치(230)를 턴온하여 생성된 디스플레이 경로(A)와 데이터 라인을 서로 연결시킨다(S80). 이때 분리 스위치(230)는 스위치 론(Ron)의 감소를 위해 2개 이상의 트랜지스터가 결합되는 먹스 스위치(MUX Switch)로 구성되어 서로 교차 구동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제 1, 2 분리 신호(SW1)(SW2)는 로우 레벨이 서로 교차 입력된다. Then, the display path A and the data line generated by turning on the separation switch 230 with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signals SW1 and SW2 among the control signals applied to the OLED control unit 200 as inpu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S80). In this case, the separation switch 230 is configured as a MUX switch in which two or more transistors are coupled to reduce the switch Ron, so that cross-driving is performed with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signals SW1 and SW2 are input at low levels crossing each other.

그리고 OLED 보상부(100)로 인가되는 인에이블 신호(EM) 및 게이트 신호(G1)(G2)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OLED 동작을 제어한다(S90). In addition, a plurality of OLED operations are controlled in response to the enable signal EM and the gate signals G1 and G2 applied to the OLED compensator 100 ( S90 ).

이러한 센싱 모드 및 디스플레이 모드의 동작은 디스플레이부의 파워(전원)가 오프되기 전까지 반복하여 수행되게 된다(S100).The operation of the sensing mode and the display mode is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power (power) of the display unit is turned off ( S100 ).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100 : OLED 표시 패널 200 : OLED 제어부
210 : 모드 스위치 220 : 픽셀 선택 스위치
230 : 분리 스위치 A : 디스플레이 경로
B : 센싱 경로
100: OLED display panel 200: OLED control unit
210: mode switch 220: pixel selection switch
230: disconnect switch A: display path
B: sensing path

Claims (10)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에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OLED를 포함하는 OLED 표시 패널; 및
디스플레이 모드로 동작 시 데이터 전압을 상기 데이터 라인에 인가하고, 센싱 모드로 동작 시 상기 OLED의 전압을 감지하는 데이터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OLED 표시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로 동작 시 턴-오프되고, 상기 센싱 모드로 동작 시 턴-온되어 상기 OLED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사이에 센싱 경로를 생성하는 픽셀 선택 스위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로 동작 시 턴-온되어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데이터 라인에 제공하고, 상기 센싱 모드로 동작 시 턴-오프되어 상기 센싱 경로에서 상기 데이터 라인을 분리시키는 분리 스위치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 장치.
an OLED display panel including an OLED operated by a signal applied to a data line and a gate line; and
a data driver for applying a data voltage to the data line when operating in a display mode and sensing the voltage of the OLED when operating in a sensing mode;
The OLED display panel,
a pixel selection switch that is turned off when operating in the display mode and turned on when operating in the sensing mode to create a sensing path between the OLED and the data driver; and
a separation switch that is turned on when operating in the display mode to provide the data voltage to the data line, and is turned off when operating in the sensing mode to isolate the data line from the sensing path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LED 표시 패널은,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및 상기 센싱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LED display panel,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mode switch for selecting one of the display mode and the sensing mode by receiving a mode selection signal as an inpu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스위치, 상기 픽셀 선택 스위치, 및 상기 분리 스위치는 상기 데이터 라인 별로 각각 구비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ode switch, the pixel selection switch, and the separation switch are respectively provided for each data lin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스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시에는 항상 온(on)으로 동작하고, 상기 센싱 모드 시에는 오프(off)로 동작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paration switch is always turned on in the display mode and turned off in the sensing mo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스위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트랜지스터가 결합되는 먹스 스위치(MUX SW)를 구성하여, 서로 교차 구동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paration switch constitutes a MUX switch to which at least two or more transistors are coupled, and drive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to cross each other.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에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OLED를 포함하는 OLED 표시 패널 및 디스플레이 모드로 동작 시 데이터 전압을 상기 데이터 라인에 인가하고, 센싱 모드로 동작 시 상기 OLED의 전압을 감지하는 데이터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싱 모드로 동작 시,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으로 상기 OLED 표시 패널의 모드 스위치를 턴오프하여 센싱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센싱 모드로 동작 시, 픽셀 선택 신호를 입력으로 상기 OLED 표시 패널의 픽셀 선택 스위치를 턴온하여 상기 OLED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사이에 센싱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센싱 모드로 동작 시, 분리 신호를 입력으로 상기 OLED 표시 패널의 분리 스위치를 턴오프하여 상기 센싱 경로에서 상기 데이터 라인을 분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센싱 경로에서 인가되는 초기 전압을 상기 OLED로 방전시켜 상기 OLED의 전압을 감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An OLED display panel including an OLED operated by a signal applied to a data line and a gate line, and a data driver that applies a data voltage to the data line when operating in a display mode and senses the voltage of the OLED when operating in a sensing mode In the driving method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isplay device comprising:
selecting a sensing mode by turning off a mode switch of the OLED display panel by inputting a mode selection signal when operating in the sensing mode;
generating a sensing path between the OLED and the data driver by turning on a pixel selection switch of the OLED display panel by inputting a pixel selection signal when operating in the sensing mode;
separating the data line from the sensing path by turning off a separation switch of the OLED display panel by inputting a separation signal when operating in the sensing mode; and
Discharging the initial voltage applied from the sensing path to the OLED to sense the voltage of the OLED, and measuring an impedance value using this.
A method of dri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경로와 상기 데이터 라인을 서로 분리시키는 단계는
상기 분리 스위치가 2개 이상의 트랜지스터로 결합되는 먹스 스위치로 구성되어 서로 교차 구동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separating the sensing path and the data line from each other includes:
and wherein the separation switch is configured as a MUX switch coupled to two or more transistors to cross-drive each oth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경로와 상기 데이터 라인을 서로 분리시키는 단계는, 상기 분리 신호로서 서로 교차 입력되는 하이 레벨 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ep of separating the sensing path and the data line from each other may include applying a high-level signal that is cross-input as the separation signa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모드 동작 이후 디스플레이 모드 동작이 이루어지면,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으로 상기 모드 스위치를 턴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픽셀 선택 신호를 입력으로 상기 픽셀 선택 스위치를 모두 턴오프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으로의 디스플레이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와,
분리 신호를 입력으로 상기 분리 스위치를 턴온하여 상기 생성된 디스플레이 경로와 상기 데이터 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단계와,
OLED 표시 패널로 인가되는 인에이블 신호(EM) 및 게이트 신호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OLED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selecting the display mode by turning on the mode switch by inputting a mode selection signal when the display mode operation is performed after the sensing mode operation;
generating a display path to the data line by turning off all of the pixel select switches by inputting a pixel select signal;
connecting the generated display path and the data line to each other by turning on the separation switch by inputting a separation signal;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OLED operations in response to an enable signal (EM) and a gate signal applied to the OLED display panel
A method of dri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경로와 상기 데이터 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 신호로서 로우 레벨 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Connecting the display path and the data line to each other comprises:
and applying a low-level signal as the separation signal.
KR1020170168189A 2017-12-08 2017-12-08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1024370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189A KR102437024B1 (en) 2017-12-08 2017-12-08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189A KR102437024B1 (en) 2017-12-08 2017-12-08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114A KR20190068114A (en) 2019-06-18
KR102437024B1 true KR102437024B1 (en) 2022-08-25

Family

ID=67103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189A KR102437024B1 (en) 2017-12-08 2017-12-08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7024B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914B1 (en) * 2008-12-17 2015-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042531B1 (en) * 2013-06-27 2019-11-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087785B1 (en) * 2013-12-31 2020-05-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412672B1 (en) * 2015-12-30 2022-06-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ixel circui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72783B1 (en) * 2016-02-29 2022-1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mpensating degrad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114A (en)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6812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same
KR101451584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JP5552117B2 (en) Display method for organic EL display device and organic EL display device
JP6034033B2 (en) Wiring and demultiplexing unit failure detection method, failure detection device, and display panel including failure detection device
KR10204148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5184625B2 (en) Display pane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I417840B (en) Pixel circuit,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and driving method for pixel circuit
US1078382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
US20180218677A1 (en) Pixel driving circuit,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2959609B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1191449A (en) Image display device
US2016029310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device
JP5669440B2 (en) Image display device
EP3624101B1 (en) Pixel circuit and drive method therefor, and display panel
US10614756B2 (en) Display apparatus with improved hysteresis characteristics, and display method
JP2009300752A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KR102274698B1 (en) Timing controller controlling divided operation of display pan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 comprising thereof
WO2015104777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11164521B2 (en) Pixel circuit and display device
KR20180003198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JP2012098317A (en) Image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8044892B2 (en) Automatic adaptation of the precharge voltage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KR20180078995A (en) Method for compensating data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160048640A (en) Display apparatus, pixel circuit,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apparatus
KR20170064636A (en) Subpixel Circuit,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