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608B1 -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608B1
KR102436608B1 KR1020210082399A KR20210082399A KR102436608B1 KR 102436608 B1 KR102436608 B1 KR 102436608B1 KR 1020210082399 A KR1020210082399 A KR 1020210082399A KR 20210082399 A KR20210082399 A KR 20210082399A KR 102436608 B1 KR102436608 B1 KR 102436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ness
information
exercise
fitness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6608B9 (ko
Inventor
박희석
성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082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6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608B1/ko
Publication of KR102436608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608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가 공용으로 사용하는 피트니스 기기에 부착되는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수집되는 운동정보에 의해 해당 피트니스의 위치를 판단하고 각 피트니스 기기의 사용 여부를 관리하며, 사용자가 사용중인 피트니스 기기에 인접한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경보하고, 피트니스 기기의 일정 사용 이력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 피트니스 기기가 소독 대상 기기임을 사용자에게 경보하고 해당 피트니스 기기를 소독할 것을 관리자에게 자동 요청하는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시스템 및 방법{Fitness equipment epidemic preven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가 공용으로 사용하는 피트니스 기기에 부착되는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수집되는 운동정보에 의해 해당 피트니스의 위치를 판단하고 각 피트니스 기기의 사용 여부를 관리하며, 사용자가 사용 중인 피트니스 기기에 인접한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경보하고, 피트니스 기기의 소독 조건을 만족한 경우 해당 피트니스 기기가 소독 대상 기기임을 사용자에게 경보하고 해당 피트니스 기기를 소독할 것을 관리자에게 자동 요청하는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학 기술의 발달로 수명이 증가하고 바쁜 일과로 운동량이 적은 사람들은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운동을 한다.
다양한 방식의 운동 중 현대인들이 가장 많이 하는 운동은 헬스(Health) 등으로 불리는 피트니스(Fitness) 운동이다.
피트니스 운동은 웨이트 운동, 유산소 운동, 맨몸 운동 등으로 구분된다.
웨이트 운동은 자기 체중을 이용하여야 하는 운동을 비롯하여 익스팬더, 아령, 바벨 또는 모레 주머니처럼 간단하게 들 수 있는 중량물 등 스프링이나 중량으로 저항 부하를 걸어서 하는 운동 방법이다.
웨이트 운동을 위한 피트니스 기기는 웨이트 운동기기(또는 "웨이트 운동 기구"라 함)로 불리는 레그컬 머신, 레그 익스텐션 머신, 랫 풀 다운 머신, 숄더 프레스 머신, 펙덱, 체스트 프레스 머신, 덤벨, 벤치, 파워랙, 바벨, 케틀벨 등이 있다.
그리고 유산소 운동을 위한 피트니스 기기는 트레드밀(통상적으로 "러닝머신"이라 함), 자전거, 일립티컬 등이 있다.
맨몸 운동으로는 스쿼트, 플랭크, 딥스, 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 버피 등이 있다.
상술한 피트니스 기기들은 다수의 사용자가 공용으로 사용한다.
현재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가 대유행하고 있는 시점에서 코로나의 전염을 예방할 수 있는 방역 대책이 수립되어 건물, 식당, 실내 스포츠 시설 등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다수의 사용자가 공용으로 사용하는 다수의 피트니스 기기들을 보유한 헬스장은 방역 대책이 철저히 지켜져야 하는 실내 스포츠 시설이다.
통상적으로 다수의 피트니스 기기들이 있는 헬스장의 방역 대책은 운동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이 피트니스 기기를 인접해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하루에 몇회 이상 소독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역 대책을 지키기 위해 헬스장의 관리자는 사용자들이 하나의 피트니스 기기를 건너뛰어서 이용하고 있는지를 감시하고, 즉 거리를 두기를 유지하면서 운동을 하고 있는지를 감시하고, 다른 사용자가 이용하는 피트니스 기기와 인접한 기기를 이용하려고 하는 경우 떨어진 다른 피트니스 기기를 이용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요청은 때때로 고객인 사용자의 마음을 상하게 할 수 있고, 관리자의 요청을 이행하지 않는 사용자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관리자의 인접 피트니스 기기 사용을 늦게 인지한 경우, 사용자가 임의의 피트니스 기기를 이용하여 운동하고 있는 도중에 자리를 옮길 것을 요청하는 것은 관리자 입장에서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피트니스 기기가 있는 헬스장 등에서는 방역 정책에 따라 피트니스 기기를 특정 시간에 소독하고 있으나, 피트니스 기기를 다수의 사용자가 거친 호흡과 땀을 흘려가며 이용하므로 더 빈번한 소독이 요청되고 있으나, 사용하지 않은 피트니스 기기를 포함하여 모든 피트니스 기기를 빈번하게 소독하는 것은 관리자의 방역 비용을 증가시켜 부담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45971호(2020.08.19.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가 공용으로 사용하는 피트니스 기기에 부착되는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수집되는 운동정보에 의해 해당 피트니스의 위치를 판단하고 각 피트니스 기기의 사용 여부를 관리하며, 사용자가 사용 중인 피트니스 기기에 인접한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경보하고, 피트니스 기기의 일정 사용 이력 조건을 만족한 경우 해당 피트니스 기기가 소독 대상 기기임을 사용자에게 경보하고 해당 피트니스 기기를 소독할 것을 관리자에게 자동 요청하는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시스템은: 부착될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피트니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피트니스 기기 사용 설정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피트니스 기기에 부착되어 운동 개시에 따른 운동량정보 및 상기 피트니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운동정보를 전송하는 다수의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 및 다수의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피트니스 식별정보 및 각 피트니스의 배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 설정정보 및 운동정보의 수신 여부에 의해 피트니스 기기별 사용 여부를 결정하여 피트니스 기기별 사용 여부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고, 상기 운동정보에 의한 피트니스 기기별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며, 상기 피트니스 기기별 피트니스 기기 사용 설정정보 및 사용 이력 정보에 의해 전염병 방역 대책에 따른 전염병 예방 안내를 수행하는 전염병 예방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는, 다수의 피트니스 기기들 각각에 대한 피트니스 기기명 및 피트니스 기기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피트니스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헬스장비 DB를 포함하는 트래커 저장부; IoT망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상기 IoT망에 접속한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IoT 통신부; 피트니스 기기의 운동 요소 객체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운동 요소 객체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그에 따른 운동 측정 요소 신호를 출력하는 트래커 센서부; 및 부착될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피트니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피트니스 기기 사용 설정정보를 상기 IoT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로 전송하고, 상기 피트니스 기기에 부착된 상기 트래커 센서부를 통해 운동 개시에 따른 운동량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운동량정보 및 상기 피트니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운동정보를 상기 IoT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로 전송하는 트래커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DB, 피트니스 기기의 피트니스 식별정보 및 각 피트니스 기기의 배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헬스장비 DB, 피트니스 식별정보 및 피트니스 식별정보별 전염병 예방 관리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관리 대상/이력 DB, 상기 운동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의한 사용자별 운동량정보 및 날짜를 포함하는 운동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운동 이력 DB를 포함하는 서버 저장부; 상기 IoT망에 연결되어 상기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 상기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 설정정보 및 운동정보 수신 여부에 의해 피트니스 기기별 사용 여부를 결정하여 피트니스 기기별 사용 여부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고, 상기 운동정보에 의한 피트니스 기기별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며, 상기 헬스장비 DB의 피트니스 기기 배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피트니스 기기별 피트니스 기기 사용 설정정보 및 사용 이력 정보에 의해 전염병 방역 대책에 따른 전염병 예방 안내를 수행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 설정정보로부터 피트니스 식별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피트니스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할 피트니스 기기로 사용 설정하는 사용 설정부; 사용 허락된 피트니스 기기에 설치된 상기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운동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운동 이력 DB에 저장하는 운동정보 수집부; 상기 사용 설정부에서 사용 설정된 피트니스 기기의 피트니스 식별정보에 의해 상기 헬스장비 DB의 피트니스 기기별 배치 위치 정보 및 운동 이력 DB의 피트니스 기기별 운동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 설정정보에 포함된 피트니스 식별정보의 피트니스 기기가 전염병 예방 관리 대상 기기인지를 결정하는 관리 대상기기 결정부; 및 상기 피트니스 기기가 관리 대상기기인 것으로 결정되면 피트니스 기기의 전염병 예방 관리를 위한 전염병 관리 안내를 제공하는 관리 대상기기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리 대상기기 결정부는, 상기 사용 설정부에서 사용 설정된 피트니스 기기의 피트니스 식별정보에 의해 상기 헬스장비 DB의 피트니스 기기별 배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 중인 피트니스 기기들과 상기 피트니스 식별정보의 피트니스 기기가 인접하는지를 판단하고, 인접하는 경우 상기 사용 설정정보에 포함된 피트니스 식별정보의 피트니스 기기를 전염병 예방 관리 대상기기 중 거리를 두기 대상기기로 결정하는 거리두기 대상기기 결정부; 및 상기 사용 설정부에서 사용 설정된 피트니스 기기의 피트니스 식별정보에 의해 상기 운동 이력 DB의 피트니스 기기별 운동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피트니스 식별정보의 피트니스 기기가 소독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소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피트니스 식별정보의 피트니스 기기를 전염병 예방 관리 대상기기 중 소독 대상기기로 결정하는 소독 대상 기기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독 조건은, 사용자에 의한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사용 시간 및 사용 횟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이되, 상기 소독 대상 기기 결정부는, 상기 운동정보에 의해 상기 피트니스 식별정보의 피트니스 기기가 사용된 사용 시간 및 사용 횟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사용 시간 및 사용 횟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소독 조건인 기준 사용 시간 및 기준 사용 횟수 중 대응하는 기준 조건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소독 대상 기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 대상기기 알림부는, 상기 운동정보에 포함된 사용 식별정보에 의해 상기 거리두기 대상기기로 결정된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에 대해 미리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로 다른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할 것을 안내하는 전염병 관리 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 대상기기 알림부는, 상기 소독 대상기기로 결정된 피트니스 기기가 발생하면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소독을 요청하는 내용 및 상기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배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소독 요청 정보를 미리 등록된 관리자의 관리자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방법은: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가 부착될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피트니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피트니스 기기 사용 설정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피트니스 기기에 부착되어 운동 개시에 따른 운동량정보 및 상기 피트니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운동정보를 전송하는 운동정보 제공 과정; 및 다수의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피트니스 식별정보 및 각 피트니스의 배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 설정정보 및 운동정보의 수신 여부에 의해 피트니스 기기별 사용 여부를 결정하여 피트니스 기기별 사용 여부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고, 상기 운동정보에 의한 피트니스 기기별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며, 상기 피트니스 기기별 피트니스 기기 사용 설정정보 및 사용 이력 정보에 의해 전염병 방역 대책에 따른 전염병 예방 안내를 수행하는 전염병 예방 관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동정보 제공 과정은 상기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가 부착될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피트니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피트니스 기기 사용 설정정보를 전송하는 사용 설정 요청 단계; 및 상기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가 상기 피트니스 기기에 부착되어 운동 개시에 따른 운동량정보 및 상기 피트니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운동정보를 전송하는 운동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 과정은,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상기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로부터 피트니스 기기 사용 설정정보의 수신 시 이전에 사용 설정된 피트니스 기기들에 대해 저장된 피트니스 기기 배치 위치정보에 의해 사용 중인 피트니스 기기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 설정정보에 포함된 피트니스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피트니스 기기의 위치가 사용 중인 피트니스 기기에 인접한 기기인지를 판단하여 인접한 기기이면 다른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할 것을 안내하는 전염병 예방 안내를 수행하는 거리두기 안내 단계; 및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상기 피트니스 기기 사용 설정정보에 의해 사용 설정된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운동정보가 상기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운동정보 및 이전 사용자의 상기 피트니스 기기들에 대한 운동정보에 의한 사용 이력이 소독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여 만족하면 상기 피트니스 기기를 소독할 것을 안내하는 전염병 예방 안내를 수행하는 소독 안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리두기 안내 단계는,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상기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로부터 피트니스 기기 사용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사용 설정정보 수신 단계;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상기 피트니스 기기 사용 설정정보의 수신 시 이전에 사용 설정된 피트니스 기기들에 대해 저장된 피트니스 기기 배치 위치정보에 의해 사용 중인 피트니스 기기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 설정정보에 포함된 피트니스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피트니스 기기의 위치가 사용 중인 피트니스 기기에 인접한 기기인지를 판단하는 안전거리 확보 기기 판단 단계;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상기 피트니스 기기가 안전거리를 확보한 기기이면 사용 설정정보로부터 피트니스 식별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피트니스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할 피트니스 기기로 사용 설정하는 사용 설정 단계; 및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상기 피트니스 기기가 안전거리가 확보되지 않은 인접한 기기이면 다른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할 것을 안내하는 전염병 예방 안내를 수행하는 안전거리 유지 안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거리 유지 안내 단계는,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상기 피트니스 기기가 안전거리가 확보되지 않은 인접한 기기이면, 상기 운동정보에 포함된 사용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 단계; 및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사용자가 식별되면 식별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다른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할 것을 안내하는 안전거리 유지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독 안내 단계는,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상기 피트니스 기기 사용 설정정보에 의해 사용 설정된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운동정보가 상기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운동정보 수집 단계;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운동정보 및 이전 사용자의 상기 피트니스 기기들에 대한 운동정보에 의한 사용 이력이 소독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지를 판단하는 소독 판단 단계;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소독 조건을 만족하면 운동정보가 일정 시간 이상 수집되지 않는지를 판단하여 운동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운동 종료 판단 단계; 및 운동이 종료되면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상기 피트니스 기기를 소독할 것을 안내하는 전염병 예방 안내를 수행하는 소독 안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독 안내 단계는,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관리자 단말기인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피트니스 기기 배치 위치정보 및 소독할 것을 요청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소독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는 관리자 안내 단계; 및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미리 등록된 소독 관리자의 관리자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관리자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소독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소독 관리자 안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트니스 기기에 부착되어 운동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의 사용 설정 시 수집되는 상기 운동정보에 포함된 피트니스 식별정보에 의해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위치 및 사용 여부를 관리하므로 사용자들이 서로 인접하여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피트니스 기기를 인접하여 사용하려고 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다른 피트니스 기기를 이용할 것을 요청하므로, 사용자에게 전염병 방역 대책을 따를 것을 빠르게 요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자가 직접 사용자에게 자리를 이동하여 다른 피트니스 기기를 이용할 것을 요청하지 않아도 되므로 관리자 입장에서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운동할 때 운동할 피트니스 기기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운동정보에 의해 상기 피트니스 기기가 몇 명의 사용자에 의해 몇 회 이용되었는지, 실제 사용된 시간이 몇 시간인지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피트니스 기기 사용 이력에 따라 피트니스 기기를 소독할 수 있도록 안내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피트니스 기기를 소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트니스 기기의 사용 이력이 미리 설정된 사용 이력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관리자에게 통지하여 주므로, 적시 적소에 빠르게 피트니스 기기를 소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운동 관리 시스템의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의 장착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운동 관리 시스템의 트레드밀 기기에 부착되는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 또는 트래커 센서부의 기구적인 구성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시스템의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시스템의 전염병 예방 관리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염병 예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수의 피트니스 기기를 포함하는 헬스장의 구성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고, 상기 시스템에서의 전염병 예방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운동 관리 시스템의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의 장착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운동 관리 시스템의 트레드밀 기기에 부착되는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 또는 트래커 센서부의 기구적인 구성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 및 전염병 예방 관리부(20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연동부(300), 사용자 단말기(400) 및 관리자 단말기(500)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는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무게추 등과 같은 운동 요소 객체(4)에 직접 부착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트래커 센서 수단만을 운동 요소 객체(4)에 부착하여 운동 요소 객체(4)의 거리 변화량, 회전, 기울기, 장력, 가속도, 회전각, 신체 반응 등을 측정하여 운동량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의 부착 방식으로는 웨이트핀 부착 방식, 자석 부착 방식, 밴드 부착 방식 등 중 하나 이상이 적용될 수 있으며 모든 부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웨이트핀 부착 방식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피트니스 기기가 케이블 웨이트 운동기기인 경우,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 및 트래커 센서 수단은 도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운동 요소 객체(4)인 무게추의 고정 홀에 삽입되어 부착될 수 있도록 웨이트핀이 일체 또는 착탈형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트래커 센서 수단은 트레드밀의 발판과 같이 기울기 조절에 따른 운동 중량(저항 부하)을 조절하는 경우, 도 3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트레드밀 발판의 하부 컨베이어벨트에 접촉하는 회전 센서(501)에 의해 트레드밀 발판의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속도를 측정하고, 각도 센서(502)에 의해 트레드밀 발판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운동 요소 객체(4)는 사용자에게 운동이 될 수 있도록 저항 부하를 제공하는 객체로서,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무게추가 될 수도 있고,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트레드밀 발판, 자전거의 페달, 운동자의 신체(몸)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운동 요소 객체(4)가 운동자의 신체인 경우의 부착 방법으로는 밴드 부착 방식이 바람직할 것이다.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는 사용 설정정보 및 주기적으로 생성되는 운동정보를 사물인터넷(IoT)망(3)을 통해 전염병 예방 관리부(200)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 설정정보에는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의 기기 식별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 식별정보 및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가 부착되고 사용자가 이용하여 운동하고 있는 임의의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피트니스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운동정보에는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의 기기 식별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 식별정보,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가 부착되고 사용자가 이용하여 운동하고 있는 임의의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피트니스 식별정보 및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운동량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는 다이렉트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 또는 IoT망(3)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400)와 직접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와 사용자 단말기(400)는 동일한 무선통신프로토콜에 따라 페어링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상기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다음의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시스템의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는 트래커 저장부(10), 디스플레이부(20), 입력부(30), IoT 통신부(40), 트래커 센서부(50) 및 트래커 제어부(10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접속부(60), 오디오 출력부(70) 및 사용 식별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트래커 저장부(10)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 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 및 제어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본 발명에 따라 헬스장비 DB(11)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헬스장비 DB(11)는 다수의 피트니스 기기 각각에 대한 피트니스 식별정보, 센서정보 및 설정 요소 정보를 포함하는 피트니스 기기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센서정보는 해당 피트니스 기기에 반드시 적용되거나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센서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설정 요소 정보는 피트니스 기기별로 사용자가 설정해야 하는 요소로서, 피트니스 기기가 웨이트 운동 기구이고 운동 요소 객체(4)가 무게추인 경우 본 발명의 트래커 센서부(50)가 측정하는 거리에 대응하는 운동 중량(=저항 부하 중량)이 될 수 있으며, 피트니스 기기가 유산소 운동 기구이고 운동 요소 객체(4)가 트레드밀 발판인 경우 트레드밀 발판의 기울기 및 속도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설정 요소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일 수도 있고, 트래커 센서부(50)에 의해 측정되는 정보일 수도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20)는 하나 이상의 다색 발광 다이오드(Luminescent Emit Diode: LED)로 구성될 수도 있고, 텍스트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그래픽 LCD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트래커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 장치(1)의 동작상태에 따른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텍스트 LCD 및 그래픽 LCD로 구성되는 경우, 동작 상태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고, 피트니스 기기의 설정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텍스트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입력부(30)는 하나 이상의 키를 포함하여 눌린 키에 대응하는 키신호를 트래커 제어부(100)로 출력하는 키입력장치, 상기 디스플레이부(20)가 LCD로 구성되는 경우, LCD의 화면에 일체로 구성되어 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터치패드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IoT 통신부(40)는 IoT망(3)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IoT망(3)에 접속한 다른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페어링된 장치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IoT망(3)은 와이파이(WiFi)망, 지그비(Zigbee)망을 포함하는 로컬망, 상기 로컬망을 포함하는 인터넷망(광대역통신망(WAN)), 3세대(3 Generation: 3G), 4G, 5G 등의 이동통신망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결합된 데이터통신망일 수 있을 것이다.
트래커 센서부(50)는 부착되는 피트니스 기기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여 운동량 측정 요소를 측정하는 센서 모듈로, 구성된 센서에 따른 운동량 측정 요소 신호를 트래커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상기 운동량 측정 요소는 피트니스 기기별 운동 요소 객체(4)의 거리, 속도(회전수), 각도, 장력, 가속도, 각속도, 신체반응 신호(심박, 맥박 등)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트래커 센서부(50)는 운동 측정 요소인 운동 요소 객체(4)의 특성에 따라 속도 측정 센서, 거리 측정 센서, 각도(기울기) 측정 센서, 장력 측정 센서(54), 맥박, 심박 등의 신체 반응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신체 반응 측정 센서, 가속도 센서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트래커 센서부(50)의 센서들은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에 연결되거나 연결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트래커 센서부(50)는 핀(Pin), 바(Bar) 등의 하드타입 형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케이블 등의 소프트 타입 형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트래커 센서부(5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연결하거나 연결 해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를 구비하고 포트를 통해 수신되는 운동량 측정 요소 신호를 트래커 제어부(100)로 출력하는 접속부(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접속부(60)는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운동량 측정 요소 신호를 트래커 제어부(100)로 출력하는 단순한 접속 수단일 수도 있고, 유선 통신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접속 수단일 수도 있으며, 다이렉트 무선 통신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접속 수단일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유선 통신프로토콜은 범용직렬버스(USB) 등이 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프로토콜은 블루투스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단, 통신프로토콜이 적용된 경우 트래커 센서부(50)에도 동일한 통신프로토콜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오디오 출력부(70)는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어 트래커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의 안전거리(= 거리두기) 안내 및 소독 대상 안내 등의 전염병 예방 안내 음성 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사용 식별부(80)는 바코드 인식기, QR코드 인식기, 생체정보 인식기,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리더기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바코드, QR코드, 사용자 및 NFC 태그 등으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 및 피트니스 식별정보를 인식하여 트래커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사용자 식별정보는 사용자 이름, 회원번호, 전화번호, 생체정보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피트니스 식별정보는 바코드, QR코드, NFC 태그 등에 포함되어 해당 피트니스 기기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피트니스 식별정보는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기기명 및 기기 종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헬스 기기 식별정보 및 상기 헬스 기기 식별정보의 기기에 대한 고유 식별번호인 기기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트래커 제어부(100)는 입출력 처리부(110), 헬스기기 사용 설정부(120), 관리 조회부(130), 관리 안내부(140), 운동정보 생성부(150) 및 운동정보 제공부(160)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입출력 처리부(110)는 정보의 입출력을 처리한다.
즉, 입출력 처리부(110)는 IoT 통신부(40)를 통해 페어링된 다른 사용자 단말기(400) 및 전염병 예방 관리부(200)와의 통신에 의한 정보의 입출력 처리를 수행하고, 디스플레이부(20) 및 입력부(30)를 통한 정보의 입출력을 처리하고, 실시예에 따라 오디오 출력부(70)를 정보의 출력 처리를 수행한다.
헬스기기 사용 설정부(120)는 상기 입출력 처리부(110)와 연동하여 헬스장비 DB(11)에 저장된 피트니스 기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아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가 부착되어 사용자가 운동할 피트니스 기기로 설정한다.
헬스기기 사용 설정부(120)는 실시예에 따라 사용 식별부(80)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 식별부(80)를 통해 입력되는 피트니스 식별정보의 피트니스 기기에 부착되고 운동할 피트니스 기기로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헬스기기 사용 설정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운동할 피트니스 기기가 설정되면 피트니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피트니스 기기 사용 설정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조회부(130)로 출력한다.
관리 조회부(130)는 헬스기기 사용 설정부(120)로부터 피트니스 기기 사용 설정정보가 입력되면 IoT 통신부(40) 및 IoT망(3)을 통해 피트니스 기기 관리부(200)로 전송한다.
상기 관리 조회부(130)는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피트니스 기기 사용 설정정보의 송신에 따른 전염병 예방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여 관리 안내부(140)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관리 안내부(140)는 상기 관리 조회부(130)로부터 전염병 예방 안내 메시지가 수신되면 오디오 출력부(70)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염병 예방 안내 메시지는 "사용하려고 하는 피트니스 기기는 다른 사용자가 사용 중인 피트니스 기기에 인접하고 있어 안전거리가 확보되지 않습니다. 안전거리가 확보된 다른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세요", 간단하게 "안전거리가 확보된 다른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세요" 등과 같은 안전거리 확보 안내 메시지일 수 있고, "이 피트니스 기기는 소독을 해야 합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세요", " 이 피트니스 기기는 이용 후 소독을 수행하여야 합니다. 운동 후 관리자에게 요청해 주세요" 등과 같은 소독 안내 메시지일 수도 있을 것이다.
운동정보 생성부(150)는 피트니스 센서부(50)가 부착된 운동 요소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 트레커 센서부(50)로부터 입력되는 운동 측정 요소 신호에 대한 운동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운동정보는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거리, 회전수, 시간, 각도, 신체 반응 신호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운동 측정 요소 신호에 대한 운동량정보, 피트니스 식별정보 및 사용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운동량정보에는 운동시간 정보도 더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운동정보 생성부(150)는 사용 식별부(80) 및 입력부(3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획득되는 기기 식별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등을 상기 사용 식별정보로써 운동정보에 더 포함하여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운동정보 제공부(160)는 상기 생성된 운동정보를 IoT 통신부(40)를 통해 페어링되어 있는 전염병 예방 관리부(200)로 전송하거나, 다른 실시예에 따라 IoT 통신부(40) 또는 접속부(60)(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프로토콜이 적용된 경우)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시스템의 전염병 예방 관리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시스템의 전염병 예방 관리부(200)는 서버 저장부(210), 통신부(220)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사용 식별정보 검출부(280) 및 입출력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서버 저장부(210)는 본 발명에 따른 전염병 예방 관리부(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 및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본 발명에 따라 회원 DB(211), 헬스장비 DB(212) 관리대상/이력 DB(213) 및 운동 이력 DB(214)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회원 DB(211)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회원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의 사용자정보 및 회원 식별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전화번호, 이메일, 회원 식별번호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헬스장비 DB(212)는 다수의 피트니스 기기 각각에 대한 피트니스 식별정보 및 각 피트니스 기기의 배치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배치 위치정보는 다수의 피트니스 기기들이 배치된 공간의 공간정보 및 공간에서의 고유의 피트니스 식별정보를 가지는 피트니스 기기들 각각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며, 공간 지도데이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공간 지도데이터는 상기 공간의 지도데이터 및 상기 지도데이터의 피트니스 기기의 좌표 위치에 피트니스 기기의 피트니스 식별정보 및 그에 대응하는 피트니스 기기 이미지가 맵핑된 지도데이터일 수 있을 것이다.
관리 대상/이력 DB(213)는 피트니스 식별정보 및 피트니스 식별정보별 소독 날짜, 시간, 횟수, 거리두기 및 소독 전염병 안내 내역 등을 포함하는 전염병 예방 관리 이력정보를 저장한다.
운동 이력 DB(214)는 사용자별로 수신된 운동정보에 대한 운동 날짜, 운동 시간, 사용 피트니스 기기, 운동량정보, 운동량정보 분석정보, 통계정보 등을 포함하는 운동 이력 정보를 저장한다.
통신부(220)는 IoT망(3)에 접속하여 IoT망(3)에 접속되어 있는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 모바일 연동부(300), 사용자 단말기(400) 및 관리자 단말기(500)들과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서버 제어부(230)는 사용 설정부(240), 운동정보 수집부(250), 관리 대상기기 결정부(260) 및 관리 대상기기 알림부(270)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염병 예방 관리부(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사용 설정부(240)는 사용 식별정보 획득부(241) 및 수집장치 매칭부(242)를 포함하여, 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 설정정보로부터 피트니스 식별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피트니스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자가 사용할 피트니스 기기로 사용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 식별정보 획득부(241)는 상기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로부터 사용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집장치 매칭부(242)로 출력한다.
수집장치 매칭부(242)는 상기 사용 식별정보 획득부(241)로부터 사용 설정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사용 식별정보에 포함된 피트니스 식별정보에 사용자 식별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피트니스 식별정보의 피트니스 기기에 대해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가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설정하는 피트니스 기기 사용 설정을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 식별정보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도 있고, 운동이력 DB(212)에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의 사용자에게 제공된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의 기기 식별정보에 대해 사전에 등록되어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
운동정보 수집부(250)는 사용 설정이 완료되고 거리두기가 확보된 피트니스 기기에 부착된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로부터 운동정보를 수집하여 운동 이력 DB(214)에 저장한다.
관리 대상기기 결정부(260)는 거리두기 대상기기 결정부(261) 및 소독 대상기기 결정부(262)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 설정부(240)에서 사용 설정된 피트니스 기기의 피트니스 식별정보에 의해 상기 헬스장비 DB(212)의 피트니스 기기별 배치 위치 정보 및 운동 이력 DB(214)의 피트니스 기기별 운동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 설정정보에 포함된 피트니스 식별정보의 피트니스 기기가 전염병 예방 관리 대상기기인지를 결정한다.
상기 거리두기 대상기기 결정부(261)는 상기 사용 설정부(240)에서 사용 설정된 피트니스 기기의 피트니스 식별정보에 의해 상기 헬스장비 DB(212)의 피트니스 기기별 배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 중인 상기 피트니스 식별정보의 피트니스 기기가 다른 사용자가 사용 중인 피트니스 기기에 인접하는지를 판단하고, 인접하는 경우 상기 사용 설정정보에 포함된 피트니스 식별정보의 피트니스 기기를 전염병 예방 관리 대상기기 중 거리두기 대상기기로 결정한다.
소독 대상 기기 결정부(262)는 상기 사용 설정부(240)에서 사용 설정된 피트니스 기기의 피트니스 식별정보에 의해 상기 운동 이력 DB(214)의 피트니스 기기별 운동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피트니스 식별정보의 피트니스 기기가 소독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소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피트니스 식별정보의 피트니스 기기를 전염병 예방 관리 대상기기 중 소독 대상기기로 결정한다.
상기 소독 조건은 사용자에 의한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사용 시간 및 사용 횟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소독 대상 기기 결정부(262)는 상기 운동정보에 의해 상기 피트니스 식별정보의 피트니스 기기가 사용된 사용 시간 및 사용 횟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사용 시간 및 사용 횟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소독 조건인 기준 사용 시간 및 기준 사용 횟수 중 대응하는 기준 조건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소독 대상 기기를 결정할 것이다.
관리 대상기기 알림부(270)는 상기 피트니스 기기가 관리 대상기기인 것으로 결정되면 피트니스 기기의 전염병 예방 관리를 위한 전염병 관리 안내를 제공한다.
상기 관리 대상기기 알림부(270)는 상기 거리두기 대상기기로 결정된 경우 거리두기 전염병 예방 안내를 수행하고, 상기 소독 대상 기기로 결정된 경우 소독 전염병 예방 안내를 수행한다.
상기 관리 대상기기 알림부(270)는 실시예에 따라 상기 거리두기 전염병 안내 메시지를 해당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사용자 식별정보에 의해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에 대해 미리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 식별정보의 사용자 단말기(400)로 소독 전염병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관리 대상기기 알림부(270)는 상기 전염병 예방 안내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서버인 모바일 연동부(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400) 또는 관리자 단말기(5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이동통신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관리 대상기기 알림부(270)는 실시예에 따라 상기 거리두기 전염병 안내 메시지를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관리 대상기기 알림부(270)는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소독 전염병 안내 메시지를 미리 등록된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기(5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500)는 피트니스 기기들이 배치되는 공간의 전체 관리자가 사용하는 컴퓨터 단말기(501) 및 실제 피트니스 기기를 소독하는 소독 관리자의 관리자 모바일 단말기(502)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관리 대상기기 알림부(270)의 소독 대상 기기 알림 시점은 운동 전이 될 수도 있고, 운동 후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 식별정보 검출부(280)는 상기 사용 식별정보의 사용자 식별정보 및 기기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서버 제어부(230)로 출력하는 수단으로, 생체정보 검출부(281), 바코드 인식부(282), QR코드 인식부(283), NFC 리더기(284)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입출력부(290)는 디스플레이부(291) 및 입력부(292)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고, 그에 따른 입력정보를 입력부(291)를 통해 입력받아 서버 제어부(230)로 출력하고, 그에 대응하는 출력정보를 디스플레이부(291)를 통해 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염병 예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수의 피트니스 기기를 포함하는 헬스장의 구성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염병 예방 관리부(2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 식별정보 검출부(280) 및 입출력부(29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의 기기 식별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에 대한 사용 설정을 수행한다(S110).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사용할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피트니스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사용 설정을 수행한다(S111).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는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사용 설정이 완료되면 피트니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피트니스 기기) 사용 설정정보를 전염병 예방 관리부(200)로 전송한다(S112).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200)는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로부터 사용 설정정보가 수신되는지(S113), 운동정보가 수신되는지(S123), 아니면 운동이 종료되는지(S124)를 검사한다. 그러나 실제로 사용 설정정보가 수신된 이후에 운동정보가 수신되고, 운동정보가 수신된 이후에 운동이 종료되므로 도 6과 같이 절차도를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사용 설정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운동정보가 수신되면 어떤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운동정보인지 파악할 수 없으므로 에러를 발생시키고, 이를 관리자 단말기(500) 및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를 통해 알리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200)는 임의의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로부터 사용 설정정보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는 중(S113)에 사용 설정정보가 수신되면 헬스장비 DB(212)의 상기 사용 설정정보에 포함된 피트니스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피트니스 기기의 배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헬스장비 DB(212)의 피트니스 기기별 사용 여부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피트니스 기기에 인접한 다른 피트니스 기기가 사용 중인지를 검사하고(S114), 사용 중인지를 판단한다(S115).
판단결과 사용 중인 것으로 확인되면 전염병 예방 관리부(200)는 다른 피트니스 기기를 이용할 것을 요청하는 거리두기 전염병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S117).
도 7을 참조하면, 운동하고자 하는 운동자인 사용자가 웨이트 운동기기(1-7)를 사용하기 위해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7)를 통해 사용할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사용 설정을 수행하면, 전염병 예방 관리부(200)는 헬스장비 DB(212)의 도 7과 같이 패턴 채우기 처리된 사용 중인 피트니스 기기 2-2, 2-3, 2-6, 2-10, 2-12, 2-17이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피트니스 기기인 웨이트 운동기기(2-13)에 인접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도 7과 같이 피트니스 기기인 웨이트 운동기기 2-12가 사용 중이므로 전염병 예방 관리부(200)는 웨이트 운동기기 2-13을 사용하려고 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400) 및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7)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거리두기 전염병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것이다.
반면, 주변 피트니스 기기가 사용 중이지 않으면 전염병 예방 관리부(200)는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로부터 운동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123).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는 피트니스 기기 사용 설정 후 운동량을 측정하여 운동량정보를 생성하고, 운동량정보, 사용 식별정보 및 피트니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운동정보를 생성하여(S119), 전염병 예방 관리부(200)로 전송하기 시작한다(S121). 상기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는 전원이 오프되거나 트래커 센서부(50)로부터 운동 측정 요소 신호가 일정 시간 입력되지 않을 때까지 상기 운동정보를 전송할 것이다. 상기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는 배터리(미도시)의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운동정보를 일정 시간단위로 수집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염병 예방 관리부(200)는 상술한 S110에서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에 대한 사용 설정을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운동정보에 포함된 사용 식별정보의 기기 식별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에 의해 부착형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1)에 대한 사용 설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S125).
전염병 예방 관리부(200)는 운동정보가 수신되면 운동정보로부터 피트니스 식별정보 및 운동량정보를 추출하고(S127), 추출된 운동량정보에 의해 해당 피트니스 기기의 소독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관리 대상/이력 DB(213)를 참조하여 해당 피트니스 기기의 이전 소독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사용 횟수 및 사용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계산한다(S129).
사용 횟수 및 사용 시간 중 어느 어느 하나 이상이 계산되면 전염병 예방 관리부(200)는 계산된 사용 횟수가 미리 설정된 소독 조건의 기준 사용 횟수를 초과하거(S131), 계산된 사용 시간이 미리 설정된 소독 조건의 기준 사용 시간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135).
상기 계산된 사용 횟수가 기준 사용횟수를 초과하지 않고, 사용 시간이 기준 사용 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면 전염병 예방 관리부(200)는 해당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최종 사용 설정을 완료한다(S137).
반면, 계산된 사용 횟수가 기준 사용횟수를 초과하거나, 사용 시간이 기준 사용 시간을 초과하면 전염병 예방 관리부(200)는 상기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소독 설정을 수행한다(S139).
전염병 예방 관리부(200)는 운동이 종료되는지를 판단한다(S124).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200)는 상기 운동정보가 일정 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는 경우 운동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운동이 종료되면 전염병 예방 관리부(200)는 상기 피트니스 기기에 대해 소독 설정이 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141). 소독 설정이 안 되어 있으면 종료하고, 소독 설정이 되어 있으면 소독 전염병 안내 메시지를 미리 등록된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기(500)로 전송한다(S143).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 2: 피트니스 기기
3: IoT망 4: 운동 요소 객체
10: 트래커 저장부 11: 헬스장비 DB
20: 디스플레이부 30: 입력부
40: IoT 통신부 50: 트래커 센서부
60: 접속부 70: 오디오 출력부
80: 사용 식별부 100: 트래커 제어부
110: 입출력 처리부 120: 헬스기기 사용 설정부
130: 관리 조회부 140: 관리 안내부
150: 운동정보 생성부 160: 운동정보 제공부
200: 전염병 예방 관리부 210: 서버 저장부
211: 회원 DB 212: 헬스장비 DB
213: 관리 대상/이력 DB 214: 운동 이력 DB
220: 통신부 230: 서버 제어부
240: 사용 설정부 241: 사용 식별정보 획득부
242: 수집장치 매칭부 250: 운동정보 수집부
260: 관리 대상기기 결정부 261: 거리두기 대상기기 결정부
262: 소독 대상기기 결정부 270: 관리 대상기기 알림부
280: 사용 식별정보 검출부 290: 입출력부
300: 모바일 연동부 400: 사용자 단말기
500: 관리자 단말기 501: 관리자 컴퓨터 단말기
502: 관리자 모바일 단말기

Claims (14)

  1. 부착될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피트니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피트니스 기기 사용 설정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피트니스 기기에 부착되어 운동 개시에 따른 운동량정보 및 상기 피트니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운동정보를 전송하는 다수의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 및
    다수의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피트니스 식별정보 및 각 피트니스의 배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 설정정보 및 운동정보의 수신 여부에 의해 피트니스 기기별 사용 여부를 결정하여 피트니스 기기별 사용 여부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고, 상기 운동정보에 의한 피트니스 기기별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며, 상기 피트니스 기기별 피트니스 기기 사용 설정정보 및 사용 이력 정보에 의해 전염병 방역 대책에 따른 전염병 예방 안내를 수행하는 전염병 예방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는,
    다수의 피트니스 기기들 각각에 대한 피트니스 기기명 및 피트니스 기기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피트니스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헬스장비 DB를 포함하는 트래커 저장부;
    IoT망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상기 IoT망에 접속한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IoT 통신부;
    피트니스 기기의 운동 요소 객체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운동 요소 객체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그에 따른 운동 측정 요소 신호를 출력하는 트래커 센서부; 및
    부착될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피트니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피트니스 기기 사용 설정정보를 상기 IoT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로 전송하고, 상기 피트니스 기기에 부착된 상기 트래커 센서부를 통해 운동 개시에 따른 운동량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운동량정보 및 상기 피트니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운동정보를 상기 IoT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로 전송하는 트래커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DB,
    피트니스 기기의 피트니스 식별정보 및 각 피트니스 기기의 배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헬스장비 DB,
    피트니스 식별정보 및 피트니스 식별정보별 전염병 예방 관리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관리 대상/이력 DB,
    상기 운동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의한 사용자별 운동량정보 및 날짜를 포함하는 운동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운동 이력 DB를 포함하는 서버 저장부;
    IoT망에 연결되어 상기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
    상기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 설정정보 및 운동정보 수신 여부에 의해 피트니스 기기별 사용 여부를 결정하여 피트니스 기기별 사용 여부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고, 상기 운동정보에 의한 피트니스 기기별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며, 상기 헬스장비 DB의 피트니스 기기 배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피트니스 기기별 피트니스 기기 사용 설정정보 및 사용 이력 정보에 의해 전염병 방역 대책에 따른 전염병 예방 안내를 수행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 설정정보로부터 피트니스 식별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피트니스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할 피트니스 기기로 사용 설정하는 사용 설정부;
    사용 허락된 피트니스 기기에 설치된 상기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운동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운동 이력 DB에 저장하는 운동정보 수집부;
    상기 사용 설정부에서 사용 설정된 피트니스 기기의 피트니스 식별정보에 의해 상기 헬스장비 DB의 피트니스 기기별 배치 위치 정보 및 운동 이력 DB의 피트니스 기기별 운동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 설정정보에 포함된 피트니스 식별정보의 피트니스 기기가 전염병 예방 관리 대상 기기인지를 결정하는 관리 대상기기 결정부; 및
    상기 피트니스 기기가 관리대상 기기인 것으로 결정되면 피트니스 기기의 전염병 예방 관리를 위한 전염병 관리 안내를 제공하는 관리 대상기기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관리 대상기기 결정부는,
    상기 사용 설정부에서 사용 설정된 피트니스 기기의 피트니스 식별정보에 의해 상기 헬스장비 DB의 피트니스 기기별 배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 중인 피트니스 기기들과 상기 피트니스 식별정보의 피트니스 기기가 인접하는지를 판단하고, 인접하는 경우 상기 사용 설정정보에 포함된 피트니스 식별정보의 피트니스 기기를 전염병 예방 관리 대상 기기 중 거리두기 대상 기기로 결정하는 거리두기 대상 기기 결정부; 및
    상기 사용 설정부에서 사용 설정된 피트니스 기기의 피트니스 식별정보에 의해 상기 운동 이력 DB의 피트니스 기기별 운동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피트니스 식별정보의 피트니스 기기가 소독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소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피트니스 식별정보의 피트니스 기기를 전염병 예방 관리 대상 기기 중 소독 대상 기기로 결정하는 소독 대상 기기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 조건은,
    사용자에 의한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사용 시간 및 사용 횟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이되,
    상기 소독 대상 기기 결정부는,
    상기 운동정보에 의해 상기 피트니스 식별정보의 피트니스 기기가 사용된 사용 시간 및 사용 횟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사용 시간 및 사용 횟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소독 조건인 기준 사용 시간 및 기준 사용 횟수 중 대응하는 기준 조건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소독 대상 기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대상기기 알림부는,
    상기 운동정보에 포함된 사용 식별정보에 의해 상기 거리두기 대상 기기로 결정된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에 대해 미리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로 다른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할 것을 안내하는 전염병 관리 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대상기기 알림부는,
    상기 소독 대상 기기로 결정된 피트니스 기기가 발생하면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소독을 요청하는 내용 및 상기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배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소독 요청 정보를 미리 등록된 관리자의 관리자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시스템.
  9.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가 부착될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피트니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피트니스 기기 사용 설정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피트니스 기기에 부착되어 운동 개시에 따른 운동량정보 및 상기 피트니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운동정보를 전송하는 운동정보 제공 과정; 및
    다수의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피트니스 식별정보 및 각 피트니스의 배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 설정정보 및 운동정보의 수신 여부에 의해 피트니스 기기별 사용 여부를 결정하여 피트니스 기기별 사용 여부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고, 상기 운동정보에 의한 피트니스 기기별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며, 상기 피트니스 기기별 피트니스 기기 사용 설정정보 및 사용 이력 정보에 의해 전염병 방역 대책에 따른 전염병 예방 안내를 수행하는 전염병 예방 관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정보 제공 과정은
    상기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가 부착될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피트니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피트니스 기기 사용 설정정보를 전송하는 사용 설정 요청 단계; 및
    상기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가 상기 피트니스 기기에 부착되어 운동 개시에 따른 운동량정보 및 상기 피트니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운동정보를 전송하는 운동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 과정은,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상기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로부터 피트니스 기기 사용 설정정보의 수신 시 이전에 사용 설정된 피트니스 기기들에 대해 저장된 피트니스 기기 배치 위치정보에 의해 사용 중인 피트니스 기기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 설정정보에 포함된 피트니스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피트니스 기기의 위치가 사용중인 피트니스 기기에 인접한 기기인지를 판단하여 인접한 기기이면 다른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할 것을 안내하는 전염병 예방 안내를 수행하는 거리두기 안내 단계; 및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상기 피트니스 기기 사용 설정정보에 의해 사용 설정된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운동정보가 상기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운동정보 및 이전 사용자의 상기 피트니스 기기들에 대한 운동정보에 의한 사용 이력이 소독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여 만족하면 상기 피트니스 기기를 소독할 것을 안내하는 전염병 예방 안내를 수행하는 소독 안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두기 안내 단계는,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상기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로부터 피트니스 기기 사용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사용 설정정보 수신 단계;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상기 피트니스 기기 사용 설정정보의 수신 시 이전에 사용 설정된 피트니스 기기들에 대해 저장된 피트니스 기기 배치 위치정보에 의해 사용 중인 피트니스 기기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 설정정보에 포함된 피트니스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피트니스 기기의 위치가 사용중인 피트니스 기기에 인접한 기기인지를 판단하는 안전거리 확보 기기 판단 단계;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상기 피트니스 기기가 안전거리를 확보한 기기이면 사용 설정정보로부터 피트니스 식별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피트니스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할 피트니스 기기로 사용 설정하는 사용 설정 단계; 및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상기 피트니스 기기가 안전거리가 확보되지 않은 인접한 기기이면 다른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할 것을 안내하는 전염병 예방 안내를 수행하는 안전거리 유지 안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거리 유지 안내 단계는,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상기 피트니스 기기가 안전거리가 확보되지 않은 인접한 기기이면, 상기 운동정보에 포함된 사용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 단계; 및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사용자가 식별되면 식별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다른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할 것을 안내하는 안전거리 유지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 안내 단계는,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상기 피트니스 기기 사용 설정정보에 의해 사용 설정된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운동정보가 상기 IoT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운동정보 수집 단계;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운동정보 및 이전 사용자의 상기 피트니스 기기들에 대한 운동정보에 의한 사용 이력이 소독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지를 판단하는 소독 판단 단계;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소독 조건을 만족하면 운동정보가 일정 시간 이상 수집되지 않는지를 판단하여 운동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운동 종료 판단 단계; 및
    운동이 종료되면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상기 피트니스 기기를 소독할 것을 안내하는 전염병 예방 안내를 수행하는 소독 안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 안내 단계는,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관리자 단말기인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피트니스 기기 배치 위치정보 및 소독할 것을 요청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소독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는 관리자 안내 단계; 및
    상기 전염병 예방 관리부가 미리 등록된 소독 관리자의 관리자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관리자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소독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소독 관리자 안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방법.
KR1020210082399A 2021-06-24 2021-06-24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36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399A KR102436608B1 (ko) 2021-06-24 2021-06-24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399A KR102436608B1 (ko) 2021-06-24 2021-06-24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608B1 true KR102436608B1 (ko) 2022-08-26
KR102436608B9 KR102436608B9 (ko) 2022-09-30

Family

ID=83113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399A KR102436608B1 (ko) 2021-06-24 2021-06-24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6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258A (ko) * 2014-08-29 2016-03-09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피트니스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00046232A (ko) * 2018-10-23 2020-05-07 주식회사 셀바스에이아이 운동 기구 관리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45971B1 (ko) 2020-06-08 2020-08-19 주식회사 피치케이블 감염예방기능을 가진 버스 승강장의 원격 실시간 통합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258A (ko) * 2014-08-29 2016-03-09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피트니스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00046232A (ko) * 2018-10-23 2020-05-07 주식회사 셀바스에이아이 운동 기구 관리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45971B1 (ko) 2020-06-08 2020-08-19 주식회사 피치케이블 감염예방기능을 가진 버스 승강장의 원격 실시간 통합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608B9 (ko) 202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7472C (en) Method of characterizing physical performance
KR101487391B1 (ko) 무선 줄넘기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US20080204225A1 (en) System for measuring and analyzing human movement
KR20080028577A (ko) 운동 컨설팅 시스템 및 방법
US9433823B2 (en) Training apparatus for guiding user to improve fitness
KR20120014471A (ko) 운동가이드장치 및 운동가이드방법
KR20120014455A (ko) 디지털 물리 치료기 및 이를 이용한 물리 치료 방법
US20230191197A1 (en) Smart glove
WO2007060616A2 (en) Exercis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1645342B1 (ko) 운동 관리 시스템
US20120283080A1 (en) Training station and fitness station comprising the training station
KR101628713B1 (ko) 센서 정보와 헬스 아바타를 이용한 운동관리 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KR102436608B1 (ko) 피트니스 기기 전염병 예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50112217A (ko) 회원의 신체상태에 적합한 헬스클럽의 운동관리 시스템 및방법, 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운동방법 관리장치
KR101663091B1 (ko) 운동센터 등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87154B1 (ko) 피트니스 운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25537B1 (ko) 개인 맞춤형 만성 질환자 운동 디바이스 및 그 이용방법
KR20070108837A (ko)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운동기기 제어 및 이를 이용한운동관리 시스템
KR102436607B1 (ko) 부착형 사물인터넷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KR20190072061A (ko) 맞춤형 트레이닝이 가능한 헬스 케어 시스템
KR20140114689A (ko) 재활운동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운동 관리방법
KR20140120758A (ko) 운동량 카운터를 포함하는 운동량 카운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45672B1 (ko) 스마트 바벨 시스템 제어방법
KR20210067489A (ko) 센서를 이용한 덤벨의 균형 알림방법
KR101658836B1 (ko) 운동 관리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