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472B1 - water sampler - Google Patents

water samp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472B1
KR102436472B1 KR1020210173814A KR20210173814A KR102436472B1 KR 102436472 B1 KR102436472 B1 KR 102436472B1 KR 1020210173814 A KR1020210173814 A KR 1020210173814A KR 20210173814 A KR20210173814 A KR 20210173814A KR 102436472 B1 KR102436472 B1 KR 102436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pening
coupled
lifting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8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상인
최석원
Original Assignee
박상인
최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인, 최석원 filed Critical 박상인
Priority to KR1020210173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4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4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with provision for splitting samples into por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ampl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water sampler capable of sampling water by water depth in a single water sampling process and quickly completing water sampling work by minimizing the resistance of buoyanc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ampler comprises: a water sampling container having a plurality of accommodation spaces arranged in parallel by dividing the inside thereof by partitions, a first opening part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on spaces and formed on a lower portion of a side thereof, and a second opening part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on spaces and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a side thereof; a lifting moving unit having a penetration hole formed in the middle of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plurality of stopping units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thereof to face each other and separated at preset intervals around the penetration holes; a fixing ring having a shaft groove formed in the middle of an upper portion thereof, enclos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iddle of the water sampling container,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water sampling container; a lifting control unit coupled to the shaft groove and the penetration hole, and controlling a lifting movement of the lifting moving unit; a rop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control unit, and allowing a messenger for lifting the lifting moving unit to be inserted thereinto; and an opening/closing unit coupled to the stopping units, and detached from the stopping units by a descent of the lifting moving unit to close the first opening part and the second opening part.

Description

채수기{water sampler}water sampler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채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번의 채수과정으로 수심 별로 채수가 가능하고, 부력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채수작업이 신속하게 완료될 수 있는 채수기에 관한 것이다. The conten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water coll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collector capable of collecting water for each depth in one water collection process and capable of quickly completing the water collection operation by minimizing the resistance of buoyancy.

본 명세서에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identification are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the description in this identification is not admitted to be prior art.

일반적으로, 수질검사는 물의 물리학적 성질이나 물에 포함된 화학적 성분, 미생물 등을 조사하는 것으로, 상수도 수원을 선정할 때, 수원의 오염이나 정화 작업을 점검 감시할 때, 수질기준에 대한 수돗물의 합격여부를 검사할 때, 바다나 호수, 강 또는 하천의 환경오염도를 측정할 때, 보건소 등에서 우물물의 음료적부를 판정할 때, 또는 공업용 수도나 하수도의 오염도를 검사할 때 등 다양한 목적에서 실시된다.In general, water quality inspection is to investigate the physical properties of water, chemical components contained in water, microorganisms, etc. It is carried out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when examining whether or not the pass is successful, when measuring the environmental pollution level of the sea, lake, river or river, when judging the drinkability of well water at public health centers, etc., or when inspecting the pollution level of industrial water or sewage. .

수질검사를 위해서는 현장에서 전체 수질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시료를 채수하여야 하는데, 수질검사의 대상 이 바다, 호수, 강, 하천 등과 같이 수심이 깊은 경우에는 수심에 따라 수질이 달라지기 때문에 수질검사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수심 별로 시료를 채수하거나 기준이 되는 수심에서 평균적 수질을 갖는 시료를 채수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물 위에서 수심이 깊은 곳으로부터 시료를 채취할 수 있는 채수기가 사용된다.For water quality inspection, samples that can be used as a standard for overall water quality must be collected at the site.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 samples should be collected by water depth or samples with average water quality at the standard water depth. In this case, a water collector capable of taking samples from deep water above the water is used.

수심이 깊은 곳으로부터 시료 채수를 위해 사용되는 채수기는 로프나 와이어에 매달아 채수통을 개방된 상태로 침강시킨 다음 물 위에서 채수통을 밀봉하는 방식으로 채수하는 전도 채수기, 8∼12 개의 채수통이 구비되어 일정한 깊이에서 끌어올리는 것으로 수압에 따라 자동으로 여러 깊이의 시료를 채수하는 다통 채수기. 그리고 에보나이트나 고무로 절연되어 있으며 메신저 투하로 채수기를 밀봉하여 시료를 채수하고 끌어올린 다음에 수온을 측정할 수 있게 구성된 절연 채수기 등이 있다.The water collector used to collect samples from deep water is equipped with a conductive water collector, which is suspended on a rope or wire, and settles the water tank in an open state, and then collects water by sealing the water tank on the water. A multi-cylinder water collector that automatically collects samples of different depths according to water pressure by pulling them up from a certain depth. And there are insulated water collectors that are insulated with ebonite or rubber and are configured to measure the water temperature after collecting samples and pulling them up by sealing the water collector by messenger dropping.

종래 선행기술문헌으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05077호에는 수직방향으로 임시 고정되는 채수용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통과하는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한 쌍의 말단 실링부; 상기 한 쌍의 말단 실링부의 외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씰 고정용 고리부; 상기 실린더의 수평방향 회전을 기동하는 제1 트리거; 상기 제1 트리거와 연결되고 수상으로 연장되는 보조 케이블; 및 상기 보조 케이블을 따라 하강하며 상기 제1 트리거를 해제하는 제1 메신저; 상기 씰 고정용 고리부를 구속하고 해제하는 제2 트리거; 상기 채수용 실린더 및 제2 트리거와 연결되고 수상으로 연장되는 메인 케이블; 상기 메인 케이블을 따라 이동하여 제2 트리거에 구송된 씰 고정용 고리부들을 해제하는 제2 메신저;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의 한 말단에는 수직방향으로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수직고정 고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리거는 상기 수직고정 고리부를 구속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메신저에 의해 상기 수직고정 고리부를 해제하여, 상기 실린더의 수평방향 회전을 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채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As a prior art documen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05077 discloses a water collecting cylinder temporarily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air of end sealing parts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ylinder; a ring portion for fixing a seal formed to extend outside the pair of end sealing portions; a first trigger for starting horizontal rotation of the cylinder; an auxiliary cable connected to the first trigger and extending to the water; and a first messenger descending along the auxiliary cable and releasing the first trigger. a second trigger for constraining and releasing the ring portion for fixing the seal; a main cable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cylinder and the second trigger and extending to the water; a second messenger for moving along the main cable to release the seal fixing hooks delivered to the second trigger , The first trigger is a horizontal water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in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fixing ring portion is constrained, by releasing the vertical fixing ring portion by the first messenger, the horizontal direction rotation of the cylinder is started.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채수기는 수심별 채수를 위해서는 반복적인 채수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채수기가 수중으로 가라앉기 위해서는 채수용 실린더 내부에 물이 가득차고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에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채수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However, the water dispenser disclosed in the prior art document is cumbersome to perform repetitive water collection operations for water collection by depth, and in order for the water collector to sink into the water, the inside of the water collection cylinder must be filled with water and the air inside must be discharged. Since this process takes a certain amount of time, it is pointed out that the collecting operation is not carried out quickly.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5077호(2017.12.07. 공고)1.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05077 (2017.12.07. Announcement)

한 번의 채수작업으로 수심 별로 채수가 가능한 채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t is intended to provide a water collector that can collect water by depth in one water collection operation.

또한, 부력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채수작업을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는 채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water collector that can quickly complete the water collection operation by minimizing the resistance of the buoyancy forc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obvious that another technical problem may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개시된 내용은 내부는 격벽으로 분획되어 수평으로 병렬배치되는 다수개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측면의 하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되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되고, 측면의 상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되는 제2 개구부가 형성되는 채수통과, 상부의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면서 걸림부가 다수개로 대향되게 돌출 형성되는 승강이동부와, 상부의 중앙에 축홈이 형성되고, 상기 채수통의 중앙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채수통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링과, 상기 관통공과 상기 축홈에 결합되면서 상기 승강이동부의 승강이동을 조절하는 승강조절부와, 상기 승강조절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이동부를 하강시키는 메신저가 끼워지는 로프와, 상기 걸림부에 결합되되, 상기 승강이동부의 하강에 따라 상기 걸림부에서 이탈되어 상기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를 폐쇄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채수기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The disclosed content is divided by a partition wall to provide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spaces horizontally arranged in parallel, the lower part of the side is formed with a first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ng space, and the upper part of the side is the first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ng space. 2 A water trough having an opening,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part, and a lifting and moving part in which a plurality of engaging parts are formed to protrude to face each other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set interval based on the through hole on the upper surface, and at the center of the upper part A shaft groove is formed, and a fixing ring that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water container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water container, and a lifting and lowering control part for controlling the lifting and lowering movement of the lifting and moving part while being coupled to the through hole and the shaft groove; A rop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control unit and fitted with a messenger for lowering the elevating moving unit, coupled to the engaging unit, separated from the engaging unit according to the descent of the elevating moving unit,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A water dispenser including an opening and closing part to close is presented as an embodiment.

또한, 상기 채수통의 하부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채수통이 수중으로 가라앉을 수 있도록 하중을 가중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may further include a weight for weighting the load so that the water tank sinks into the water.

또한, 상기 메신저가 하강하여 타격하는 상기 승강이동부의 타격부위는 충격을 흡수하는 재질로 도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iking portion of the elevating moving part that the messenger descends and strikes may be coated with a material that absorbs impact.

또한, 상기 승강조절부는, 상기 관통공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중심축과,In addition, the lifting control unit, the central axis formed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상기 중심축을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채수통과 상기 승강이동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승강이동부의 승강이동을 조절하는 승강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A shape surrounding the central axis may include an elevating elastic body interposed between the water collection tube and the elevating moving unit to control the elevating movement of the elevating moving unit.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1 개구부의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측으로 개폐되는 제1 커버와, 상기 제2 개구부의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측으로 개폐되는 제2 커버와, 일단은 상기 걸림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개방고리가 형성되고, 타단은 제1 커버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개방 와이어와, 일단은 상기 걸림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개방고리가 형성되고, 타단은 제2 커버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 개방 와이어와, 상기 수용공간을 통과하면서, 일단은 상기 제1 커버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 커버의 타측에 결합되는 잠금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 first cover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opening and opened and closed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second cover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opening and opened and clos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And, one end of the first open ring is form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engaging portion,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 first open wire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e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engaging portion An open ring is forme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open wire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cover, passing through the receiving space, one end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ver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ver It may include a locking elastic body.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수기에 의하면, 한 번의 채수작업으로 수심 별로 시료를 채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ater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amples can be collected for each depth of water in one water collection operation.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수기에 의하면, 채수기에 대한 부력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채수작업을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quickly complete the water collecting operation by minimizing the resistance of the buoyancy to the water collecting machine.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수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메신저의 타격에 의하여 승강이동을 하는 승강이동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버를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ide cross-section of Figure 1;
Fig. 3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Fig. 1;
FIG. 4 is a view showing an excerpt of an elevating moving part that moves up and down by a blow of a messenger; FIG.
5 is a view showing a first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or reference, in the following drawings, each component is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reflect the actual size.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components in individual drawings will be omitted.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채수기(1)는 채수통(100), 승강이동부(200), 고정링(300), 승강조절부(400), 로프(500) 및 개폐부(6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2 and 3 , the water dispenser 1 includes a water collecting tank 100 , a lifting and lowering moving unit 200 , a fixing ring 300 , an lifting and lowering adjustment unit 400 , a rope 500 , and an opening/closing unit 600 . ) is included.

채수통(100)은, 그 내부는 격벽(110)으로 분획되어 수평으로 병렬배치되는 다수개의 수용공간(130)이 마련되며, 측면의 하부는 상기 수용공간(130)에 연통되는 제1 개구부(150)가 형성되고, 측면의 상부는 상기 수용공간(130)에 연통되는 제2 개구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tank 1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spaces 130 which are divided by partition walls 110 and horizontally arranged in parallel, and the lower part of the side has a first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ng space 130 ( 150) is formed, and a second opening 170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space 130 may be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surface.

채수통(100)은 수중에서 받는 수압 또는 외력의 작용에도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성이나 강도가 있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채수통(100)은 채수되는 시료에 의하여 채수통(100)이 부식되지 않도록 내식성 있는 합성수지,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합금 등의 재질로 제작되거나 채수통(100)의 내부와 외부에 도료로 도포될 수 있다. The water tank 10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rigidity or strength that can maintain its shape even under the action of water pressure or external force received in water. In addition, the water collecting tank 100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corrosion-resistant synthetic resin, stainless steel, aluminum alloy, etc., so that the water collecting tank 100 is not corroded by the sample being collected, or applied as a paint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100. can

격벽(110)은 채수통(100)의 내부 공간을 다수개의 수용공간(130)으로 분획한다. 격벽(110)은 평평한 판 등의 형상으로 채수통(100)의 내부 공간을 다수개의 수용공간(130)으로 분획할 수 있다. 다수개로 형성된 수용공간(130)은 수평적으로 병렬배치될 수 있다. 수질검사의 목적에 따라 수용공간(130)의 용량이나 개수를 달리할 수 있다. 격벽(110)에 의하여 분획된 수용공간(130)은 유입된 시료로 채워질 수 있다. 수용공간(130)은 다수개가 마련되어 수용공간(130)마다 다른 수심에서 채수된 시료가 채워질 수 있다. 수용공간(130)들은 인접한 수용공간(130)에 대하여 격벽(110)으로 인하여 연통되지 않으므로, 어느 한 수용공간(130)에 채워진 시료는 인접한 다른 수용공간(130)으로 유동될 수 없다. 격벽(110)과 수용공간(130)의 내벽은 용접 등으로 결합되고, 격벽(110)은 시료가 다른 수용공간(130)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령, 격벽(110)에 의하여 4개의 수용공간(130)이 형성되는 경우, 제1 수용공간(131)에 채워진 시료는 인접한 제2 수용공간(132)으로 유동되지 않고, 제2 수용공간(132)에 채워진 시료는 인접한 제1 수용공간(131)과 제3 수용공간(133)으로 유동되지 않고 해당 수용공간(130)에 채워질 수 있다. 제3 수용공간(133)에 채워진 시료는 인접한 제2 수용공간(132)과 제4 수용공간(134)으로 유동되지 않고 해당 수용공간(133)에 채워질 수 있다. The partition wall 110 divides the inner space of the water tank 100 into a plurality of accommodation spaces 130 . The partition wall 110 may divide the inner space of the water tank 100 into a plurality of accommodation spaces 130 in the shape of a flat plate or the like.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spaces 130 may be horizontally arranged in parallel.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water quality test, the capacity or number of the accommodation space 130 may be different. The receiving space 130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110 may be filled with the introduced sample.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spaces 130 may be provided to fill samples collected at different depths for each accommodating space 130 . Since the accommodating spaces 130 do not communicate with the adjacent accommodating space 130 due to the partition wall 110 , the sample filled in one accommodating space 130 cannot flow into the adjacent other accommodating space 130 . The partition wall 110 and the inner wall of the accommodating space 130 are coupled by welding or the like, and the partition 110 may prevent the sample from flowing into the other accommodating space 130 . For example, when the four accommodating spaces 130 are formed by the partition wall 110 , the sample fill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31 does not flow into the adjacent second accommodating space 132 , but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132 . ), the sample may be filled in the corresponding accommodation space 130 without flowing into the adjacent first accommodation space 131 and the third accommodation space 133 . The sample filled in the third accommodating space 133 may be filled in the corresponding accommodating space 133 without flowing into the adjacent second accommodating space 132 and the fourth accommodating space 134 .

제1 개구부(150)는 채수통(100) 측면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부(150)는 채수통(100)의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부(150)는 다수개의 수용공간(130)마다 형성되므로 수용공간(130)의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수용공간(130)에 제1 개구부(150)가 여러개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개구부(150)마다 개폐부(600)가 구비되어야 하는 점을 고려할 때, 개시된 내용의 본 발명이 구현되는 실시품의 제조비용이 상승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수용공간(130)에 하나의 제1 개구부(15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opening 150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ide of the water tank 100 . The first opening 150 may be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100 . Since the first opening 150 is form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spaces 130 , as many as the number of accommodating spaces 130 may be formed. A plurality of first openings 150 may be formed in one accommodating space 130 .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opening/closing unit 600 must be provided for each first opening 150 , the manufacturing cost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disclosed contents is implemented may increase, so that one product in one accommodating space 130 . One opening 150 is preferably formed.

제2 개구부(170)는 채수통(100) 측면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구부(170)는 채수통(100)의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구부(170)는 다수개의 수용공간(130)마다 형성되므로 수용공간(130)의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수용공간(130)에 제2 개구부(170)가 여러개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2 개구부(170)마다 개폐부(600)가 구비되어야 하는 점을 고려할 때, 개시된 내용의 본 발명이 구현되는 실시품의 제조비용이 상승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수용공간(130)에 하나의 제2 개구부(17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opening 170 is It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100 . The second opening 170 may be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100 . Since the second opening 170 is form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spaces 130 , as many as the number of the accommodating spaces 130 may be formed. A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170 may be formed in one accommodating space 130 .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opening/closing unit 600 must be provided for each second opening 170 , the manufacturing cost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disclosed contents is implemented may increase, so that one product in one accommodating space 130 . It is preferable that two openings 170 are formed.

채수통(100)이 수면에 최초로 접하는 순간부터 제1 개구부(150)를 통하여 채수통(100) 내부의 수용공간(130)으로 물이 유입되기 시작한다. 제1 개구부(150)에 유입되는 물의 부피에 해당하는 수용공간(130) 내부의 공기는 제2 개구부(170)를 통하여 빠져나갈 수 있다. 제2 개구부(170)가 형성되는 위치가 제1 개구부(150)보다 높으므로, 제1 개구부(150)가 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때 제2 개구부(170)는 수면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공간(130) 내부의 공기는 제2 개구부(170)를 통하여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다. 제1 개구부(150)와 제2 개구부(170)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는 경우에 제1 개구부(150)가 수면에 접촉하면서 수중으로 가라앉을 때 제2 개구부(170)도 수면에 접촉하면서 수중으로 가라앉으므로, 제1 개구부(150)와 제2 개구부(170)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개구부는 유입되는 물로 인하여 좁아질 수 있다. 따라서 수용공간(130)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될 수 없으므로, 채수기(1)가 수중으로 가라앉기까지는 시간이 다소 소요될 수 있다. 또한, 채수기(1)는 채수통(100) 내부의 공기가 완전하게 배출되기 전까지 잔존하는 공기의 부피에 해당하는 부력을 받으며, 이러한 부력은 채수기(1)가 수면 아래로 가라앉는 과정에 대하여 장애요소가 될 수 있다. Water starts to flow into the receiving space 130 inside the water tank 100 through the first opening 150 from the moment the water tank 100 first contacts the water surface. The air in the accommodating space 130 corresponding to the volume of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opening 150 may escape through the second opening 170 . Since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opening 170 is formed is higher than the first opening 150 , when the first opening 150 sinks below the water surface, the second opening 170 may be located above the water surface. Accordingly, the air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30 can be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opening 170 . When the first opening 150 and the second opening 170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when the first opening 150 sinks into the water while in contact with the water surface, the second opening 170 is also in contact with the water surface and into the water. As it sinks, the opening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opening 150 and the second opening 170 may be narrowed due to the inflow of water. Therefore, since the air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30 cannot be rapidly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may take some time for the water dispenser 1 to sink into the water. In addition, the water dispenser 1 receives a buoyancy corresponding to the volume of air remaining until the air inside the water collector 100 is completely discharged, and this buoyancy force is an obstacle to the process in which the water dispenser 1 sinks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can be a factor.

채수통(100)은 채수통(10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채수통(100)이 수중으로 가라앉을 수 있도록 하중을 가중하는 무게추(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속한 채수작업을 위해서는 채수기(1)가 수중으로 신속하게 가라앉을 수 있어야 한다. 채수기(1)에 가해지는 부력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채수통(100)의 하부에 무게추(19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로프(500)가 고정되는 지지점을 지나는 직선에서 이탈되는 곳에 무게중심이 위치하는 경우 채수기(1)에 작용하는 모멘트는 채수기(1)를 회전시켜 기울게 함으로써, 채수작업을 곤란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무게추(190)는, 채수기(1)의 무게중심이 채수통(100)의 한 가운데를 지나는 직선상에 존재할 수 있도록 하는 지점에 위치하여야 한다. 즉 무게추(190)는 로프(500)가 고정되는 지지점을 중심으로 채수기(1)의 회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서 채수기(1)에 하중을 부가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무게추(190)는 착탈식으로 결합되므로 필요에 따라 사용될 수 있고, 다수개가 사용될 수 있다.The water tank 100 may further include a weight 190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100 to increase the load so that the water tank 100 can sink into the water. For a quick water collection operation, the water collector (1) should be able to sink quickly into the water. In order to offset the buoyancy applied to the water collector 1 , a weight 19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collector 100 . When the center of gravity is located where the rope 500 is deviated from a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fixed support point, the moment acting on the water dispenser 1 rotates and inclines the water dispenser 1, thereby making it difficult to collect water. Therefore, the weight 190 should be located at a point such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water dispenser 1 can exist on a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middle of the water dispenser 100 . That is, the weight 190 may be coupled to apply a load to the water dispenser 1 while preventing rotation of the water dispenser 1 around the support point at which the rope 500 is fixed. Since the weight 190 is detachably coupled, it can be used as needed, and a plurality of weights can be used.

채수통(100)의 하부면에 수심을 측정할 수 있는 수심측정 센서(도면 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수심측정 센서(도면 미도시)의 일례로 송수파기 내장형 수심기(도면 미도시)를 사용하는 경우 수심눈금이 표시된 로프(500)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더 정확하게 수심측정을 할 수 있다. 더 정확한 수심측정은 수심눈금이 표시된 로프(500)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채수작업의 완료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송수파기 내장형 수심기(도면 미도시)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되므로 이에 대한 작동 원리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 water depth measuring sensor (not shown) capable of measuring the water depth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tank 100 . As an example of a depth measurement sensor (not shown), when using a water receiver (not shown) with a built-in transducer (not shown),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depth more accurately than when using the rope 500 marked with a depth scale. More accurate depth measurement can shorten the completion time of the water collection operation than when using the rope 500 marked with a depth scale. Since the transmitter/receiver built-in water receiver (not shown) corresponds to a known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of its operating principle and the like will be omitted.

도 4를 참조하면, 승강이동부(200)는 상부의 중앙에 관통공(210)이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관통공(210)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면서 걸림부(230)가 다수개가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lifting and moving unit 200 has a through hole 210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engaging portions 230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set interval based on the through hole 210 on the upper surface. Dogs may be formed to face each other.

관통공(210)은 승강이동부(200)의 상면에서부터 하면까지 블록아웃되고 승강조절부(400)의 상단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공(210)은 후술할 메신저(510)의 외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통공(210)은 메신저(510)가 승강이동부(200)를 타격할 수 있으며, 그 타격에 의하여 승강이동부(200)가 승강조절부(400)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승강이동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through hole 210 may be blocked out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levating moving unit 200 and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adjusting unit 400 . Also, the through hole 210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messenger 510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in the through hole 210, the messenger 510 can hit the lifting moving unit 200, and by the hitting, the lifting moving unit 200 can be moved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control unit 400 to the lower end. can make it

메신저(510)가 하강하여 타격하는 승강이동부(200)의 타격부위는 충격을 흡수하는 재질로 도포될 수 있다. 실리콘 등 탄성이나 연성을 가진 재질로 타격부위가 도포되는 경우에 메신저(510)에 의한 충격으로 인한 승강이동부(200) 및 메신저(5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triking portion of the elevating moving unit 200 that the messenger 510 descends and strikes may be coated with a material that absorbs impact. When the striking part is coated with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or ductility, such as silicon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elevating moving part 200 and the messenger 510 due to the impact by the messenger 510 .

걸림부(230)는 승강이동부(200)의 상면에서 관통공(210)을 중심으로 다수개가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130)의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부(230)는 수평으로 병렬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30)는 개폐부(600)의 제1 개방고리(651)와 제2 개방고리(671)의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고, 제1 개방고리(651)와 제2 개방고리(671)는 동일한 걸림부(230)를 공유하지 않고, 상호간에 다른 걸림부(230)에 결합될 수 있다. 가령, 다수개의 걸림부(230)가 형성되는 경우 제1 걸림부(231)는 제1 개방고리(651)와 결합되고, 제2 걸림부(232)는 제2 개방고리(671)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을 위하여 걸림부(230)는 수용공간(130)의 병렬배치에 따라 2열로 제1 개방고리(651)와 제2 개방고리(671)의 개수만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개방고리(651)와 제2 개방고리(671)가 링 형상인 경우에 걸림부(230)의 외경은 제1 개방고리(651)와 제2 개방고리(671)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일 수 있으며, 상부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높이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30)의 하단부터 상단까지의 형성높이는 메신저(510)가 승강이동부(200)를 타격하면서 승강이동하는 거리보다 작아야 하고, 다수개의 걸림부(230)는 수용공간(130)의 개수만큼 형성높이가 차이가 나도록 단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장 먼저 시료가 채수되는 제1 수용공간(131)에 관계되는 제1 걸림부(231)의 형성높이는 인접한 제2 수용공간(132)에 관계되는 제2 걸림부(232)보다는 소정의 차이로 작으며, 제2 수용공간(132)에 관계되는 제2 걸림부(232)의 형성높이는 제1 걸림부(231)보다는 높으나, 제3 수용공간(133)에 관계되는 제3 걸림부(233)보다는 작을 수 있다. 제3 수용공간(133)에 관계되는 제3 걸림부(233)의 형성높이는 제2 걸림부(232)보다는 높으나, 제4 수용공간(134)에 관계되는 제4 걸림부(234)보다는 작을 수 있다. A plurality of locking parts 230 may be formed to face each other around the through hole 210 in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and moving part 200 . The locking part 230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accommodation space 130 may be horizontally and parallelly formed. The locking part 230 may be formed by the number of the first open ring 651 and the second open ring 671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600, and the first open ring 651 and the second open ring 671 are They do not share the same locking part 230 and may be coupled to different locking parts 230 with each other.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locking parts 230 are formed, the first locking part 231 is coupled to the first open ring 651 , and the second locking part 232 is coupled to the second open ring 671 . can For this coupling, the locking part 230 is preferably formed by the number of the first open ring 651 and the second open ring 671 in two rows according to the parallel arrangement of the accommodating space 130 . In addition, when the first open ring 651 and the second open ring 671 have a ring shape, the outer diameter of the engaging portion 230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open ring 651 and the second open ring 671 . may be,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to a predetermined height toward the upper direction. The height form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locking part 230 should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at which the messenger 510 moves up and down while hitting the lift moving part 200 , and the plurality of locking parts 230 is as much as the number of accommodation spaces 130 . It can be formed step by step so that the formation height is different. That is, the height of the formation of the first locking part 231 relat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31 in which the sample is first collected is a predetermined difference from the second locking part 232 related to the adjacent second accommodating space 132 . Small, the formation height of the second locking part 232 related to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132 is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locking part 231 , but the third locking part 233 related to the third accommodating space 133 . may be smaller than The formation height of the third locking part 233 related to the third accommodating space 133 i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locking part 232 , but may be smaller than the fourth locking part 234 related to the fourth accommodating space 134 . have.

이러한 걸림부(230)의 단계적인 형성높이의 차이는 다수개의 제1 개구부(150)와 제2 개구부(170)가 수심 별로 개폐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The difference in the stepwise formation height of the locking part 230 may allow the plurality of first openings 150 and the second openings 170 to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water.

다시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고정링(300)은 상부의 중앙에 축홈(310)이 형성되고 채수통(100)의 중앙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채수통(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S. 1, 2 and 3 , the fixing ring 300 has a shaft groove 310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portion and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water container 100 so as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water container 100 . can be combined.

고정링(300)은 채수통(100)의 중앙부를 감싸면서 채수통(100)과 결합되고, 고정링(300) 상부의 중앙에 형성된 축홈(310)은 승강조절부(400)와 결합될 수 있다. 고정링(300)은 채수기(1)를 감싸면서 결합되므로 탄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고정링(300)의 일측이 개구된 상태로 제작되어 채수통(100)과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The fixing ring 300 is coupled to the water collection container 100 while surround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water collection container 100 , and the shaft groove 310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ring 300 may be coupled to the lifting control unit 400 . have. Since the fixing ring 300 is coupled while surrounding the water dispenser 1, it can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one side of the fixing ring 300 is made in an open state so that it can be easily fastened with the water dispenser 100. have.

승강조절부(400)는 관통공(210)과 축홈(310)에 결합되면서 승강이동부(200)의 승강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승강조절부(400)의 상부는 관통공(210)에 느슨한 형태로 결합되고, 하부는 간극없이 고정링(300)에 고정될 수 있다. 승강조절부(400)는 메신저(510)에 의한 타격으로 승강이동부(200)가 승강이동할 때 그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승강이동부(200)의 이동거리가 조절됨에 따라 개폐부(600)는 다수의 수용공간(130)을 수심별로 개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심 별로 시료를 수용공간(130)에 채수할 수 있다.The elevating adjustment unit 400 may adjust the elevating movement of the elevating moving unit 200 while being coupled to the through hole 210 and the shaft groove 310 .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control unit 400 may be loosely coupled to the through hole 210 , and the lower portion may be fixed to the fixing ring 300 without a gap. The lifting control unit 400 may adjust the movement distance when the lifting movement unit 200 moves up and down due to a blow by the messenger 510 . As the moving distance of the lifting moving unit 200 is adjusted,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600 may open and close the plurality of accommodation spaces 130 for each depth of water. Accordingly, the sample may be collected in the receiving space 130 for each water depth.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수기(1)의 경우에는, 승강조절부(400)는 중심축(410)과 승강 탄성체(430)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water dispens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elevation control unit 400 may include a central shaft 410 and an elevation elastic body 430 .

승강조절부(400)는 관통공(21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중심축(4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심축(410)을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채수통(100)과 상기 승강이동부(200) 사이에 개재되어 승강이동부(200)의 승강이동을 조절하는 승강 탄성체(4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vation control unit 400 may include a central shaft 410 that is formed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210 . In addition, in a shape surrounding the central axis 410, the elevating elastic body 430 is interposed between the water collection container 100 and the elevating moving unit 200 to control the elevating movement of the elevating moving unit 200. It may include.

중심축(410)은 승강이동부(200)의 관통공(210)과 느슨한 형태로 결합되어 메신저(510)에 의한 타격으로 승강이동부(200)의 승강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승강 탄성체(430)는 승강이동부(200)의 하면과 고정링(300)의 상면에 접하여 승강이동부(200)의 계속적인 하강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승강 탄성체(430)는 승강이동부(200)를 타격하는 메신저(510)의 개수만큼 비례적으로 압축되므로, 개폐부(600)는 다수개의 제1 개구부(150)와 제2 개구부(170)를 단계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The central axis 410 may be loosely coupled to the through hole 210 of the elevating moving unit 200 to enable the elevating moving unit 200 to move up and down by a blow by the messenger 510 . The elevating elastic body 430 may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elevating moving unit 2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ring 300 to prevent the continuous downward movement of the elevating moving unit 200 . Since the elevating elastic body 430 is proportionally compressed as much as the number of messengers 510 hitting the elevating moving unit 200 , the opening/closing unit 600 closes the plurality of first openings 150 and the second openings 170 in stages. can be closed

로프(500)는 승강조절부(400)의 상단에 결합되고, 승강이동부(200)를 하강시키는 메신저(510)가 끼워질 수 있다. 로프(500)에는 수심을 확인할 수 있는 수심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The rope 50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control unit 400 , and a messenger 510 for lowering the elevating moving unit 200 may be fitted. A water depth scale may be formed on the rope 500 to check the water depth.

개폐부(600)는 걸림부(230)에 결합되되, 승강이동부(200)의 하강에 따라 걸림부(230)에서 이탈되어 제1 개구부(150)와 제2 개구부(170)를 폐쇄할 수 있다. 개폐부(600)는 메신저(510)가 승강이동부(200)를 타격함에 따라 걸림부(230)와의 결합이 해제되므로 채수통(100)의 제1 개구부(150)와 제2 개구부(170)를 폐쇄할 수 있다. 수심 별로 승강이동부(200)를 타격하는 메신저(510)는 개폐부(600)를 이탈시킴으로써, 다수개의 제1개구부와 제2 개구부(170)를 단계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600 may be coupled to the locking part 230 ,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locking part 230 according to the descent of the lifting moving part 200 to close the first opening 150 and the second opening 170 .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600 closes the first opening 150 and the second opening 170 of the water collection container 100 because the coupling with the engaging part 230 is released as the messenger 510 hits the lifting and moving part 200 . can do. The messenger 510 that strikes the lifting and moving unit 200 for each depth may close the plurality of first openings and the second openings 170 in stages by sepa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units 600 .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수기(1)의 경우에는, 개폐부(600)는 제1 커버(610), 제2 커버(630), 제1 개방 와이어(650), 제2 개방 와이어(670) 및 잠금 탄성체(690)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water dispens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600 includes a first cover 610 , a second cover 630 , a first open wire 650 , and a second open wire 670 . and a locking elastic body 690 .

도 5를 참조하면, 제1 커버(610)는 제1 개구부(150)의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수용공간(130) 내측으로 개폐될 수 있다. 제1 커버(610)는 제1 개구부(150)를 개폐할 수 있다. 제1 커버(610)에는 제1 개구부(150) 끝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밀폐홈(7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밀폐홈(700)은 제1 개구부(150)와 제1 커버(610)를 밀착시켜 제1 개구부(150)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실링처리가 된 밀폐홈(700)은 제1 개구부(150)를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first cover 610 may be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opening 150 and open and close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space 130 . The first cover 610 may open and close the first opening 150 . The first cover 610 may be formed with a sealing groove 700 into which the end of the first opening 150 is inserted and coupled. The sealing groove 700 may close the first opening 150 by making the first opening 150 and the first cover 610 in close contact. In addition, the sealing groove 700 sealed with rubber or silicone can effectively seal the first opening 150 .

제2 커버(630)는 제2 개구부(170)의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수용공간(130) 내측으로 개폐되는 될 수 있다. 제2 커버(630)는 제2 개구부(170)를 개폐할 수 있다. 제2 커버(630)에는 제2 개구부(170) 끝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밀폐홈(7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밀폐홈(700)은 제2 개구부(170)와 제2 커버(630)를 밀착시켜 제2 개구부(170)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실링처리가 된 밀폐홈(700)은 제2 개구부(170)를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The second cover 630 may be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opening 170 , and may be opened and clos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30 . The second cover 630 may open and close the second opening 170 . The second cover 630 may be formed with a sealing groove 700 into which the end of the second opening 170 is inserted and coupled. The sealing groove 700 may close the second opening 170 by making the second opening 170 and the second cover 630 in close contact. In addition, the sealing groove 700 sealed with rubber or silicone can effectively seal the second opening 170 .

다시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개방 와이어(650)는 그 일단은 걸림부(2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개방고리(651)가 형성되고, 타단은 제1 커버(61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개방고리(651)는 승강이동부(200)의 걸림부(230)에 걸림 방식으로 결합되고, 승강이동부(200)의 승강이동에 의하여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S. 1, 2 and 3 , the first open wire 650 has a first open ring 651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cking part 230 at one end thereof, and the other end is the first open wire 650 . It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ver 610 . The first open ring 651 may be coupled to the locking part 230 of the elevating moving unit 200 in a latching manner, and the latching may be released by the lifting movement of the lifting/lowering moving part 200 .

제2 개방 와이어(670)는 그 일단은 걸림부(2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개방고리(671)가 형성되고, 타단은 제2 커버(63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개방고리(671)는 승강이동부(200)의 걸림부(230)에 걸림 방식으로 결합되고, 승강이동부(200)의 승강이동에 의하여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The second open wire 670 has a second open ring 671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engaging portion 230 at one end thereof, and the other end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cover 630 . The second open ring 671 may be coupled to the engaging portion 230 of the lifting moving unit 200 in a latching manner, and may be released by the lifting movement of the lifting moving unit 200 .

제1 개방 고리와 제2 개방고리(671)는 하나의 걸림부(2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나, 별개의 걸림부(230)에 각각 독립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open ring and the second open ring 67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one locking part 230 , but may be independently coupled to separate locking parts 230 .

잠금 탄성체(690)는 수용공간(130)을 통과하면서, 일단은 상기 제1 커버(610)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 커버(630)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잠금 탄성체(690)는 제1 개방고리(651)와 제2 개방고리(671)가 걸림부(230)에서 이탈됨으로써, 제1 커버(610)와 제2 커버(630)를 힌지회동시켜 제1 개구부(150)와 제2 개구부(170)를 폐쇄할 수 있다. 즉 잠금 탄성체(690)의 탄성력은 제1 커버(610)와 제2 커버(630)를 힌지회동시킬 수 있다. 잠금 탄성체(690)는 시료를 오염시키지는 않는 내식성 강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As the locking elastic body 690 passes through the receiving space 130 , one end may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ver 610 and the other end may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ver 630 . In the locking elastic body 690 , the first open ring 651 and the second open ring 671 are separated from the locking part 230 , thereby hinge-rotating the first cover 610 and the second cover 630 , thereby forming the first The opening 150 and the second opening 170 may be closed. That is, the elastic force of the locking elastic body 690 may hinge-rotate the first cover 610 and the second cover 630 . The locking elastic body 690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strong corrosion resistance that does not contaminate the sample.

전술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수기(1)에 의하면, 한 번의 채수작업으로 수심 별로 시료를 채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ater collec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bove-disclosed content, samples can be collected for each water depth in one water collection operation.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수기(1)에 의하면, 채수기(1)에 대한 부력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채수작업을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water collec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s, it is possible to quickly complete the water collection operation by minimizing the resistance of the buoyancy force to the water collector 1 .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oncept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채수기
100: 채수통
110: 격벽
130: 수용공간
131: 제1 수용공간
132: 제2 수용공간
133: 제3 수용공간
134: 제4 수용공간
150: 제1 개구부
170: 제2 개구부
190: 무게추
200: 승강이동부
210: 관통공
230: 걸림부
231: 제1 걸림부
232: 제2 걸림부
233: 제3 걸림부
234: 제4 걸림부
300: 고정링
310: 축홈
400: 승강조절부
410: 중심축
430: 승강 탄성체
500: 로프
510: 메신저
600: 개폐부
610: 제1 커버
630: 제2 커버
650: 제1 개방 와이어
651: 제1 개방고리
670: 제2 개방 와이어
671: 제2 개방고리
690: 잠금 탄성체
700: 밀폐홈
1: water dispenser
100: water tank
110: bulkhead
130: accommodation space
131: first accommodation space
132: second accommodation space
133: third accommodation space
134: fourth accommodation space
150: first opening
170: second opening
190: weight
200: lift moving part
210: through hole
230: catching part
231: first stopper
232: second locking part
233: third stopper
234: fourth stopper
300: fixing ring
310: shaft groove
400: elevating control unit
410: central axis
430: elevating elastic body
500: rope
510: messenger
600: opening and closing part
610: first cover
630: second cover
650: first open wire
651: first open ring
670: second open wire
671: second open ring
690: lock elastic body
700: sealing groove

Claims (5)

내부는 격벽으로 분획되어 수평으로 병렬배치되는 다수개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측면의 하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되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되고, 측면의 상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되는 제2 개구부가 형성되는 채수통;
상부의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면서 걸림부가 다수개로 대향되게 돌출 형성되는 승강이동부;
상부의 중앙에 축홈이 형성되고, 상기 채수통의 중앙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채수통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링;
상기 관통공과 상기 축홈에 결합되면서 상기 승강이동부의 승강이동을 조절하는 승강조절부;
상기 승강조절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이동부를 하강시키는 메신저가 끼워지는 로프; 및
상기 걸림부에 결합되되, 상기 승강이동부의 하강에 따라 상기 걸림부에서 이탈되어 상기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를 폐쇄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수용공간은 인접한 상기 수용공간에 대하여 상기 격벽으로 인해 연통되지 않고,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채수통의 외부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채수통의 외부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채수통의 하부면에 수심을 측정할 수 있는 수심측정 센서가 마련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1 개구부의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측으로 개폐되는 제1 커버;
상기 제2 개구부의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측으로 개폐되는 제2 커버;
일단은 상기 걸림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개방고리가 형성되고, 타단은 제1 커버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개방 와이어;
일단은 상기 걸림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개방고리가 형성되고, 타단은 제2 커버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 개방 와이어; 및
상기 수용공간을 통과하면서, 일단은 상기 제1 커버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 커버의 타측에 결합되는 잠금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버에는 제1 개구부의 끝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밀폐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커버에는 제2 개구부의 끝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밀폐홈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이동부의 이동거리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개폐부를 단계별로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수기.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spaces are provided inside which are partitioned by a partition wall and horizontally arranged in parallel, a first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side, and a second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side surface. the water tank being forme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portion, the upper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through hole at a preset interval as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engaging portions are formed to protrude to face the lifting moving part;
a fixing ring having a shaft groov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portion,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water container,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water container;
an elevating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elevating movement of the elevating moving unit while being coupled to the through hole and the shaft groove;
a rop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control unit and fitted with a messenger for lowering the lifting moving unit; and
Doedoe coupled to the locking part,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part according to the descending of the lifting moving part to close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spaces do not communicate with respect to the adjacent accommodating spaces due to the partition wall,
The first opening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At least one of the first openings is formed in each of the receiving spaces,
The second opening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At least one or more second openings are formed in each of the receiving spaces,
A water depth measurement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water depth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 first cover hinged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opening and opened and closed into the receiving space;
a second cover hinged to an upper end of the second opening and opened and closed into the receiving space;
a first open wire having one end formed with a first open ring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cover;
a second open wire having one end formed with a second open ring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cover; and
a locking elastic body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ver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ver while passing through the receiving space;
The first cover is formed with a sealing groove into which the end of the first opening is inserted and coupled,
The second cover is formed with a sealing groove into which the end of the second opening is inserted and coupled,
The water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can be opened and closed in stages as the moving distance of the lifting moving part is adjus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채수통의 하부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채수통이 수중으로 가라앉을 수 있도록 하중을 가중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하는 채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dispenser further comprising a weight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to add a load so that the water collecting tank can sink into the wat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가 하강하여 타격하는 상기 승강이동부의 타격부위는 충격을 흡수하는 재질로 도포되는 채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riking part of the elevating moving part, which the messenger descends and strikes, is coated with a material that absorbs impac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조절부는,
상기 관통공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중심축; 및
상기 중심축을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채수통과 상기 승강이동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승강이동부의 승강이동을 조절하는 승강 탄성체를 포함하는 채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ing control unit,
a central axis formed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and
and an elevating elastic body interposed between the water dispenser and the elevating moving part in a shape surrounding the central axis to control the elevating movement of the elevating moving part.
삭제delete
KR1020210173814A 2021-12-07 2021-12-07 water sampler KR1024364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814A KR102436472B1 (en) 2021-12-07 2021-12-07 water samp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814A KR102436472B1 (en) 2021-12-07 2021-12-07 water samp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472B1 true KR102436472B1 (en) 2022-08-26

Family

ID=83113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814A KR102436472B1 (en) 2021-12-07 2021-12-07 water samp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47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90554A (en) * 2024-03-15 2024-04-16 山东海岳水产开发有限公司 Movable monitoring device for mariculture tail wa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566Y1 (en) * 1987-11-16 1990-07-26 정의조 Device for sampling water quality
US6006613A (en) * 1997-07-09 1999-12-28 Trippensee Corporation Underwater sampling apparatus
KR101805077B1 (en) 2017-08-28 2017-12-07 대한민국 A horizontal water sampler
KR102191625B1 (en) * 2020-06-15 2020-12-15 대한민국 Water Sampler Having Multiple Reservi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566Y1 (en) * 1987-11-16 1990-07-26 정의조 Device for sampling water quality
US6006613A (en) * 1997-07-09 1999-12-28 Trippensee Corporation Underwater sampling apparatus
KR101805077B1 (en) 2017-08-28 2017-12-07 대한민국 A horizontal water sampler
KR102191625B1 (en) * 2020-06-15 2020-12-15 대한민국 Water Sampler Having Multiple Reservi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90554A (en) * 2024-03-15 2024-04-16 山东海岳水产开发有限公司 Movable monitoring device for mariculture tail water
CN117890554B (en) * 2024-03-15 2024-05-28 山东海岳水产开发有限公司 Movable monitoring device for mariculture tail wa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6206B1 (en) A Press-type Water Sampler
KR102436472B1 (en) water sampler
KR101924148B1 (en) Stand for water and Sediment sampling
KR101805077B1 (en) A horizontal water sampler
KR102182097B1 (en) Water Sampler Assembly Having Means Water Lever
KR102052467B1 (en) Water sampler
KR102069007B1 (en) Water Sampler Having Means Water Lever
US7296466B2 (en) Underwater weighing container and apparatus for measuring specific gravity
KR200261997Y1 (en) Water sampler
US9222848B2 (en) Leakage detection device using siphon principle
CN110954677A (en) Soil sample disintegration test device and test method under action of flowing water
US9372082B1 (en) Method for along-the-cable underwater profile measurement
KR101577892B1 (en) a water sampler and a measuring device of water quality with the function of water sampling and the measuring method
CN105043929B (en) A kind of quick measuring method of drilling pouring pile hole bottom slurry specific gravity bottle and drilling pouring pile hole bottom slurry proportion
CN202676499U (en) Analytical system for collecting water and measuring water sample density during tube element floating transport and sinking of immersed tube tunnel
CN109799112A (en) A kind of easy deep water sampling apparatus
KR101599440B1 (en) Pump type sampler
JPH0972832A (en) Sampling-type deposition thickness measuring apparatus
KR102405142B1 (en) Water sampler
CN102706694A (en) Water body sampling unit weight detection method in immersed tunnel pipeline section drift floating immersion and water sampler
Pedrós-Alió et al. Bacterial sinking losses
CN211292169U (en) Underwater layered sampling device
KR102553691B1 (en) Automatic water sampler
CN203837775U (en) Water level indicator
CN219434405U (en) Grease samp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