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056B1 - 골프연습용 충격완충네트 - Google Patents

골프연습용 충격완충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056B1
KR102436056B1 KR1020200117859A KR20200117859A KR102436056B1 KR 102436056 B1 KR102436056 B1 KR 102436056B1 KR 1020200117859 A KR1020200117859 A KR 1020200117859A KR 20200117859 A KR20200117859 A KR 20200117859A KR 102436056 B1 KR102436056 B1 KR 102436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shock
absorbing
golf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5742A (ko
Inventor
최강민
Original Assignee
최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강민 filed Critical 최강민
Priority to KR1020200117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056B1/ko
Priority to PCT/KR2021/012011 priority patent/WO2022055195A1/ko
Priority to US18/024,874 priority patent/US20230330503A1/en
Publication of KR20220035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97Ball rebound 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2Backstops, cages, enclosures or the like, e.g. for spectator protection, for arrestin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2063/001Targets or goals with ball-retur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63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연습용 충격완충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면을 구성하는 네트부에 충격완충스커트를 설치함으로써, 골퍼의 스윙으로부터 날아간 골프 공이 탄성이 있는 후방상측프레임이나 타겟천 상부에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골프연습용 충격완충네트를 사용하는 경우 후방상측프레임이나 타겟천에 직접적으로 충돌하여 강한 반발력에 의해 튀어나온 볼이 연습자에게 위험을 주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하게 골프 연습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골프연습용 충격완충네트{IMPACT ABSORBING GOLF NET FOR PRACTICE}
본 발명은 골프연습용 충격완충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면을 구성하는 네트부에 충격완충스커트를 설치함으로써, 골퍼의 스윙으로부터 날아간 골프공이 탄성이 있는 후면상부 프레임이나 타겟천 상부에 충돌한 후 반발하여 튀어나와 골퍼에게 위험을 주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안전하게 골프 연습을 할 수 있는 골프연습용 충격완충네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골프를 국제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여가와 스포츠로 즐기며 대중화 되고 있다.
이렇듯 골프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연습을 수행하기 위해 골프연습장을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 특히, 계절이나 날씨와 관계없이 골프를 즐길 수 있는 실내 및 스크린 골프 연습장은 골프의 대중화를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으며 날로 발전하는 중이며, 가격 면에서도 대중들이 편하게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골프연습장에 내방하는 이용객은 숙련자뿐만 아니라 초보자도 있고, 숙련자라고 하더라도 항상 정확히 공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연습스윙을 하는 과정에서 공을 제대로 맞추지 못하거나 부정확하게 맞출 수 있어 일반적인 연습용 네트를 사용하는 경우 여전히 많은 사고가 발생한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고 제2134608호에는 골퍼가 타격한 골프공이 스크린에 충격된 후 바로 직접적으로 네트 전방측으로 튕겨져 나와 위험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그물망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안전 그물망은 튕겨져 나오는 골프공의 각도가 다양하므로 골퍼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어 여전히 기존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골프연습용 충격완충네트를 이용하여 타격된 골프 공으로부터 골퍼를 보호하여 안전한 골프 연습을 할 수 있도록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34608호
본 발명은 상면을 구성하는 네트부에 충격완충스커트를 설치함으로써, 연습자의 클럽에 의해서 가격된 골프공 중 후면 상부 프레임이나 후면 타겟천 상부에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프레임 및 타겟천 상단에 부딪쳤을 때 반발력에 의해서 골퍼에게 위험을 주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골프연습용 충격완충네트는 상면, 측면 및 후면의 골격을 구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를 각각 감싸 상면, 측면, 후면을 구성하는 네트부, 상기 네트부 안쪽에는 골프공의 타깃이 되는 타겟천 및 상기 상면을 구성하는 네트부에 설치되어 연습자가 타격한 골프공이 탄성이 있는 상부에 있는 프레임부이나 타겟천 상부에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 충격완충스커트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부는 직사각형 형상의 또는 양 측면의 길이가 다른 직사각형의 형상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격완충스커트와 상기 후면을 구성하는 네트부 사이의 이격거리(y)는, 타격 전 공 위치에서 후면을 구성하는 네트부 사이 거리(D)의 10 내지 15% 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완충스커트의 길이 x는 상기 후면을 구성하는 네트부로부터 충격완충스커트까지의 이격거리를 y, 네트 높이를 H, 타격 전 공과 후면 네트까지의 거리를 D라고 할 경우,
Figure 112022017497321-pat00012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면을 구성하는 네트부에 충격완충스커트를 설치함으로써, 클럽의 스윙으로부터 타격되어 날아간 골프공이 후면 상부프레임이나 탄성이 있는 타겟천 상부에 충돌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으로써 후면 상부프레임이나 타겟천 상부의 강한 반발에 의해서 튀어나오는 공에 의한 연습자의 부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면을 구성하는 네트부에 충격완충스커트를 설치함으로써, 골프 클럽에 의하여 날아간 골프공으로부터 골퍼를 보호하여 안전한 골프 연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골프연습용 충격완충네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골프연습용 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골프연습용 충격완충네트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및 충격완충스커트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충스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측(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골프연습용 충격완충네트(100)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면, 측면 및 후면의 골격을 구성하는 프레임부(200)와 상기 프레임부(200)를 각각 감싸 상면, 측면, 후면을 구성하는 네트부(300) 및 상기 상면을 구성하는 네트부(300)에 설치되는 충격완충스커트(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용 충격완충네트(1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프레임부(200)는 도 1과 같이 전방 좌,우측과 후방이 서로 연결되어 육면체로 구성됨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얼마든지 모양은 변화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는(200) 후방을 이루는 프레임(210)과, 전방을 이루는 프레임(220)과, 상부를 연결하는 프레임(230)과, 하부를 연결하는 프레임(240)을 포함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를 후방프레임(210), 전방프레임(220) 및 측면상,하부프레임(230,240)이라고 칭한다.
상기 후방프레임(210)은 일정 간격을 두고 좌,우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한 쌍의 후방좌,우측수직프레임(211,212)과, 상기 후방좌,우측수직프레임(211,21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수직프레임을 연결시킬 수 있는 후방상,하측수평프레임(213,214)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후방좌,우측수직프레임(211,212)과 후방상,하측수평프레임(213,214)이 서로 연결됨에 따라 사각 형태의 틀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방프레임(220)은 후방프레임의 전방 좌측에 설치되는 전방좌측수직프레임(221)과, 상기 후방프레임의 전방 우측에 설치되는 전방우측수직프레임(222), 전방상측수평프레임(223), 그리고 전방하측수평프레임(224)로 구성된다. 측면상부프레임(230)은 상기 전방좌,우측수직프레임(221,222)의 상단과 후방좌,우측수직프레임(211,212)의 상단을 연결하는 측면상부좌측프레임(231)과 측면상부우측프레임(232)로 구성된다. 또한, 측면하부프레임(240)은 상기 전방좌,우측수직프레임(221,222)의 하단과 후방좌,우측수직프레임(211,212)의 하단을 연결하는 측면하부좌측프레임(241)과 측면하부우측프레임(24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200)는 골프를 연습하기 위한 공간에 따라 길이와 폭 및 높이를 다르게 구비할 수 있고, 각각 연결캡으로 연결되면서 분리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연결캡은 통상적으로 텐트와 같은 폴대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이미 널리 통용화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의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상기 프레임부(200)는 육면체로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골프연습용 충격완충스커트가 설치되는 골프연습장(100)은 그 형상이 반드시 육면체일 필요는 없으며, 기타 다른 형상이어도 본 발명의 원리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골프연습용 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같은 구조를 가진 프레임은 측면상,하부프레임(230,240)의 좌,우 프레임의 길이를 달리한 실시예로서, 이러한 구조는 전방프레임(220)을 후방프레임(210)과 평행이 아닌 사선을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골프클럽을 스윙해도 골프클럽이 전방좌측수직프레임(221)에 부딪치지 않게 되어 사용의 편의성 및 스윙의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인 장점에 의해서 골프공의 위치를 골프연습용 네트에 최대한 가깝게 놓을 수 설계될 수 있고, 이러한 구조는 또한 타격되는 골프공이 네트 바깥쪽으로 벗어나는 경우를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것으로서 연습공간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때, 전방상측수평프레임(223)의 우측 꼭지각을 60도, 45도로 변경하며 모든 골프클럽으로 타격 시험한 결과, 모든 타격에 대한 안전성을 100% 확보하며 최소의 필요 설치공간을 사용함과 동시에 최적의 우측 꼭지각 각도는 60도로 판단되고, 45도의 경우 60도 대비 설치공간이 약 40% 이상 더 필요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네트부(300)는 상기 프레임부(200)를 각각 감싸 상면, 측면 및 후면을 구성하도록 설치되어 타격되는 골프공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210)과 전방프레임(220) 및 측면상,하부프레임(230,240)의 안쪽 면에 네트부(300)가 설치되어 전방을 제외한 후방 및 좌,우측을 막아줄 수 있어 전방에서 골프공을 타격하면 골프공이 골프연습용 네트부(300) 바깥쪽으로 날아가지 않고 네트부(300) 안쪽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면을 구성하는 네트를 상면네트, 측면을 구성하는 네트를 측면네트 및 후면을 구성하는 네트를 후면네트라고 칭한다. 또한, 상기 네트부(300)는 프레임부(200)에 와이어로 감거나 벨크로 테이프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통상 후방상측수평프레임(213)은 금속제 또는 강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또한 타겟천(310)은 후면네트 바로 전방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부 네트에 고정후크나 밸크로테이프에 의해서 고정되는데, 이렇게 고정되는 타겟천(310)은 자중에 의해서 고정되는 타겟천(310)의 상부쪽은 자중에 의해서 강한 인장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타격된 골프공이 후방상측수평프레임(213)을 충돌할 경우 공은 강한 충격에 의해서 튕겨져 나오게 된다. 타격천의 상부에 반발력이 있는 이유는, 상부에 공이 맞았을 경우, 타격천의 길이(무게) 때문에 아래부분이 위로 들러올려지지 못하여 이 힘을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타격된 골프공이 상기 상부 네트와 상기 상부네트에 고정된 타겟천(310)의 상단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는 경우 역시 통과된 골프공이 후방상측수평프레임(213)을 충돌할 가능성이 커서 이 경우도 공은 강한 충격에 의해서 튕겨져 나오게 된다. 마지막으로 타격된 골프공이 타겟천(310) 상부에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경우 역시 충돌된 골프공은 타겟천(310)의 작용하고 있는 강한 인장력에 의해서 큰 반발력으로 연습자 방향으로 튕겨져 나오게 된다. 이러한 모든 경우에 연습자나 주변인들에게 부상의 위험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의 핵심 구성인 충격완충스커트(400)는 연습자가 타격한 골프공이 탄성이 있는 후방상측수평프레임(213)이나 타겟천(310) 상부에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만약 충격완충스커트(400)이 없는 경우 타격 된 골브공이 후방상측프레임(213)이나 타겟천(310) 상부에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경우가 발생되게 되는 데, 이 경우 충돌 후 반발하여 튀어나오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골프연습용 충격완충네트(100)에는 골프공의 타깃이 되며 골프공의 타격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타겟천(310)를 상기 후방프레임(210)에 이격설치 할 수 있다. 상기 타겟천(310)은 본 네트에 직접 걸게 되면 샷을 칠 때마다 손상되므로 고리를 형성하여 착탈가능하게 설치하거나, 또는 연결끈 등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타겟천(310)은 상단부만 프레임에 고정되거나 모든 측면에서 프레임에 고정된 경우 고정된 프레임 근처에서는 매우 팽팽하게 인장력이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인장력 때문에 타격된 공이 프레임 근처의 타겟천(310) 또는 고리부분에 충돌되는 경우 강한 반발력에 의해서 튕겨 나와 골퍼나 주변인들에게 위험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핵심 구성인 충격완충스커트(400)는 타격된 공이 탄성이 있는 후면네트나 타겟천(310) 상부로 날아가는 것을 방지하고, 반발하여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여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고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충격완충스커트(400)는 상기 상면네트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상기 후면네트에 이격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골프연습용 충격완충네트(100)가 설치된 골프연습장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및 충격완충스커트(400)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골프연습용 충격완충네트(10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충격완충스커트(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면네트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후면네트로부터 이격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충격완충스커트(400)는 골퍼의 스윙에 의해서 날아간 골프공이 탄성이 있는 후면네트나 타겟천(310) 상부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면네트로부터 이격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충격완충스커트(400)는 골프네트와 타격 전 공 위치에 따라 최적화 된 이격거리와 상기 충격완충스커트(400)의 길이가 계산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최적의 스커트 위치와 길이를 도출하기 위하여 스커트 길이와 위치를 변경시키면서 많은 타격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충격완충스커트(400)의 위치와 길이에 따라서 타격된 공의 충돌 위치 값은 달라지므로 상기 충격완충스커트(400)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며 최적의 조건을 도출하였을 때, 상기 충격완충스커트(400)는 상기 타겟천(310)과 20 내지 40cm 이격설치한 결과 값이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충격완충스커트(400)와 상기 타겟천(310) 사이의 이격거리를 20 내지 40cm 로 가변하면서 타입이 다른 네트에 대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본 실시예는 도 1과 같이 직육면체 형상 네트로서 구체적인 크기는 도 5 (a)과 같다. 도 5에서 위 그림은 사시도이고, 아래 그림은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타격 전 공과 전방상측수평프레임(223)의 중심의 각도는 50도, 후면네트와 타격 전 공 사이의 거리는 4450mm 및 네트의 높이는 3000mm로 세팅하였다.
[실시예2]
본 실시예는 도2와 같이 전방상측수평프레임(223)과 측면상부우측프레임(232)가 이루는 꼭지각이 60도인, 좌,우 프레임의 길이가 다른 골프네트로서 구체적인 크기는 도 5 (b)와 같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타격 전 공과 전방상부수평프레임(223)의 중심의 각도는 64도, 후면네트와 타격 전 공 사이의 거리는 2950mm 및 네트의 높이는 3000mm로 세팅하였다.
[실험예1]
상기 충격완충스커트(400)를 상기 타겟천(310)과 20 내지 40cm 가 이격되도록 설치하고, 다양한 클럽을 이용하여 다양한 힘과 방향으로 상기 타겟천(310)을 타격하면서, 상기 충격완충스커트(400)의 길이를 5cm씩 늘리며 200회의 공을 타격한 후 타격된 공이 튕겨나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때, 타겟천(310)과 후면네트의 거리는 10cm로 하였다.
상기 실시예1에 따른 실험 결과에 의하면, 충격완충스커트(400)가 타겟천(310)과 40cm 이격되는 것이 가장 안전하며, 상기 충격완충스커트(400)의 길이가 34 내지 45cm 에서 튕겨나오는 공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동일한 실험을 상기 실시예2에 적용하여 실험 결과, 충격완충스커트(400)가 타겟천(310)과 30cm 이격되는 것이 가장 안전하며, 상기 충격완충스커트(400)의 길이가 42 내지 55cm 에서 튕겨나오는 공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때 후면네트와 충격완충스커트(400) 사이의 거리를 y라 하고, 도 4와 같이 타격 전 공의 위치와 후면네트 사이의 거리를 D라고 할 때 y는 D 값의 10 내지 25% 에 해당되는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와 같이 충격완충스커트(400)의 길이를 x 라고 하고, 후면네트의 높이를 H라고 하면, x와 y의 관계식은 기하학적으로 하기의 [수학식1]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1]
Figure 112020097381677-pat00002
여기서, 상기
Figure 112020097381677-pat00003
값은 타격된 공이 후면네트 상부 후방상측수평프레임(213)을 직접적으로 타격하는 것을 방지하는 충격완충스커트(400)의 최소 길이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충격완충스커트(400)의 길이 x는
Figure 112022017497321-pat00004
값의 2 내지 30% 더 길게 즉,
Figure 112022017497321-pat00013
범위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는 상기 인장력이 높은 부위인 타겟천(310)의 상부에 타격된 골프공이 충돌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충격완충스커트(400)의 범위로서 다양한 실험을 통해서 최적화한 것이다. 다양한 실험 결과 설치 길이 x가 이 범위를 보다 작은 경우 골프공이 충격완충스커트(400)를 충돌하는 경우 충격완충스커트(400)가 공의 충격에 의해서는 스커트 자체가 말리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설치 길이 x가 이 범위를 보다 큰 경우 충격완충스커트(400) 자중에 의해서 충격완충스커트(400) 상단부분에 반발력이 커서 충격완충스커트(400) 상단부분을 충격하는 골프공이 오히려 네트 밖으로 튕겨져 나오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이 범위보다 작은 경우 타격된 공이 상부 네트와 상기 상부네트에 고정된 타겟천(310)의 상단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거나 인장력이 높은 타겟천(310)의 상부에 직접적으로 충돌하여 반발력에 의해서 전방으로 튕겨나오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위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충격완충스커트(400)와 상기 후면을 구성하는 네트부 사이의 이격거리(y)는, 타격 전 공 위치에서 후면을 구성하는 네트부 사이 거리(D)의 10 내지 15% 가 가장 바람직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로서 충격완충스커트(400)는 상기 상면네트에 천을 덧대어 'ㄱ'자 형태의 박음질(재봉)을 통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고정방법으로는 고리를 형성하여 착탈가능하게 설치하거나, 또는 연결끈 등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필수적 특징을 유지한 채로 다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음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규정될 것이지만, 특허청구범위 기재사항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도출되는 구성은 물론 그와 등가인 구성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골프연습용 충격완충네트
200 : 프레임부
210 : 후방프레임
211 : 후방좌측수직프레임 212 : 후방우측수직프레임
213 : 후방상측수평프레임 214 : 후방하측수평프레임
220 : 전방프레임
221 : 전방좌측수직프레임 222 : 전방우측수직프레임
223 : 전방상측수평프레임 224 : 전방하측수평프레임
230 : 측면상부프레임
231 : 측면상부좌측프레임 232 : 측면상부우측프레임
240 : 측면하부프레임
241 : 측면하부좌측프레임 242 : 측면하부우측프레임
300 : 네트부 310 : 타겟천
400 : 충격완충스커트
x : 충격완충스커트의 길이
y : 충격완충스커트와 후면네트의 거리
D : 타격 전 공의 위치와 후면네트의 거리
H : 후면네트의 높이

Claims (4)

  1. 상면, 측면 및 후면의 골격을 구성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를 각각 감싸 상면, 측면, 후면을 구성하는 네트부;
    상기 네트부 안쪽에는 골프공의 타깃이 되는 타겟천과;
    상기 상면을 구성하는 네트부에 설치되어 연습자가 타격한 골프공이 상부에 있는 프레임부나 타겟천 상부에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충격완충스커트;
    을 포함하며,
    상기 충격완충스커트와 상기 후면을 구성하는 네트부 사이의 이격거리(y)는, 타격 전 공 위치에서 후면을 구성하는 네트부 사이 거리(D)의 10 내지 15% 에 해당하고,
    상기 충격완충스커트의 길이 x는,
    상기 후면을 구성하는 네트부로부터 충격완충스커트까지의 이격거리를 y, 네트 높이를 H, 타격 전 공과 후면 네트까지의 거리를 D라고 할 경우 수학식
    Figure 112022017497321-pat00014
    에 해당하는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용 충격완충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직사각형 형상의 또는 양 측면의 길이가 다른 직사각형 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용 충격완충네트
  3. 삭제
  4. 삭제
KR1020200117859A 2020-09-14 2020-09-14 골프연습용 충격완충네트 KR102436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859A KR102436056B1 (ko) 2020-09-14 2020-09-14 골프연습용 충격완충네트
PCT/KR2021/012011 WO2022055195A1 (ko) 2020-09-14 2021-09-06 골프연습용 충격완충네트
US18/024,874 US20230330503A1 (en) 2020-09-14 2021-09-06 Shock absorption net for golf pract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859A KR102436056B1 (ko) 2020-09-14 2020-09-14 골프연습용 충격완충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742A KR20220035742A (ko) 2022-03-22
KR102436056B1 true KR102436056B1 (ko) 2022-08-25

Family

ID=80632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859A KR102436056B1 (ko) 2020-09-14 2020-09-14 골프연습용 충격완충네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30503A1 (ko)
KR (1) KR102436056B1 (ko)
WO (1) WO202205519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530Y1 (ko) * 2004-02-13 2004-08-21 주식회사 브이알필드 골프 연습용 스크린 박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0524B1 (ko) * 1992-02-11 1994-10-24 이태환 옥상용 골프연습장
KR200417619Y1 (ko) * 2006-03-17 2006-06-02 김경태 미니 골프장
JP2013005900A (ja) * 2011-06-23 2013-01-10 Yoshiyuki Osawa ゴルフ練習装置
KR102038479B1 (ko) * 2018-02-14 2019-10-30 (주) 알디텍 골프연습용 네트
KR102134608B1 (ko) 2019-07-03 2020-07-16 심윤석 홈 스크린 골프용 이동식 천막형 부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530Y1 (ko) * 2004-02-13 2004-08-21 주식회사 브이알필드 골프 연습용 스크린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30503A1 (en) 2023-10-19
KR20220035742A (ko) 2022-03-22
WO2022055195A1 (ko)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3565B1 (en) Multipurpose seasonal safety support fence
US8079923B2 (en) Goal shot training system and methods
US7118487B2 (en) Inflatable sport ball arresting structure
EP3085421B1 (en) Golf practice tent
US20120283048A1 (en) Soccer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9999824B2 (en) Portable golf mat
KR102038479B1 (ko) 골프연습용 네트
KR102436056B1 (ko) 골프연습용 충격완충네트
KR100849196B1 (ko) 골프연습용 구조물
US4303245A (en) Golf swing teaching aid
US7108610B1 (en) Swing training device
KR20030082482A (ko) 골프 실습 및 연습 장치
CN217311865U (zh) 高尔夫练习用安全网
US11617933B2 (en) Protective field screen
KR20230002001U (ko) 골프연습용 부스
NZ206623A (en) Rebound screen for ball game
KR101681610B1 (ko) 스크린 골프 및 실내 골프 연습장용 페어웨이 구조
KR101153340B1 (ko) 골프의 쇼트게임 연습용 구조물
KR102569453B1 (ko) 모듈 이동설치식 텐트형 스크린 골프용 부스
AU573559B2 (en) Rebound screen for ball games
KR100365990B1 (ko) 어프로치 연습용 골프 기구
KR200412144Y1 (ko) 방향성 향상용 골프 연습 케이지
KR20220112412A (ko) 골프 연습용 네트
JPH025815Y2 (ko)
GB2093706A (en) Golf practic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