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757B1 - Locker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ocker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5757B1
KR102435757B1 KR1020160037156A KR20160037156A KR102435757B1 KR 102435757 B1 KR102435757 B1 KR 102435757B1 KR 1020160037156 A KR1020160037156 A KR 1020160037156A KR 20160037156 A KR20160037156 A KR 20160037156A KR 102435757 B1 KR102435757 B1 KR 102435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stopper
door
slide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1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82105A (en
Inventor
박진홍
박만수
정갑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AU2016385301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16385301B2/en
Priority to PCT/KR2016/015570 priority patent/WO2017119677A1/en
Priority to EP17150183.6A priority patent/EP3190249B1/en
Priority to US15/398,213 priority patent/US9924850B2/en
Priority to CN201710006882.6A priority patent/CN107023226B/en
Publication of KR20170082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1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7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79Locks with audio features
    • E05B17/0083Sound emitting devices, e.g. loudspea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38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using permanent 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2Safety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wing motor
    • E05Y2400/53Wing impact prevention or red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과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홀더, 캐비닛과 도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하우징,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1스토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할 때 상기 홀더에 의해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작동부, 상기 제1스토퍼에 지지되며, 상기 작동부가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어 상기 홀더에 결합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를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 상기 작동부를 상기 투입구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2탄성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lder provided in any one of a cabinet and a door, a housing provided in the other one of the cabinet and the door, a first stopper provided in the housing, and reciprocally provided in the housing, wherein the door closes the inlet When the holder moves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by the holder, it is supported by the first stopper, and when the operating part moves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it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and coupled to the holder A locking device comprising a fastening part, a first elastic body providing a force for moving the fastening par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and a second elastic body providing a force for moving the operating par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nlet is located, and the lock It relates to a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the device.

Figure 112016029771940-pat00002
Figure 112016029771940-pat00002

Description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 {Locker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Locker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device and a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the locking device.

가전기기를 비롯한 도어가 구비된 종래 장치들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수납대상이 수용되는 저장공간, 상기 저장공간에 연통하는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Conventional devices with doors, including home appliances, are generally provided to include a cabinet, a storage spac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accommodate a storage object, and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an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space.

상기 도어는 잠금장치를 통해 캐비닛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종래 잠금장치는 도어에 구비되는 홀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The door is detachably fixed to the cabinet through a locking device. Conventionally, the locking device generally includes a holder provided in the door and a coupling portion provided in the cabinet to which the holder is detachably coupled.

상술한 구조를 가진 종래 잠금장치는 도어를 캐비닛에 고정하는데 필요한 힘(홀더를 결합부에 결합시키는데 필요한 힘)과 도어를 캐비닛에서 분리하는데 필요한 힘(홀더를 결합부에서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동일하도록 설계되었다.In the conventional locking device having the above structure, the force required to fix the door to the cabinet (force required to couple the holder to the coupling part) and the force required to separate the door from the cabinet (force required to separate the holder from the coupling part) are the same. designed to do

또한, 작동 중 상기 저장공간의 압력이 높아질 수 있는 가전기기(식기세척기, 세탁기, 건조기 등)는 상기 잠금장치가 투입구에 연통하는 공간의 압력이 상승해도 도어가 캐비닛에서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만 했다.In addition, for home appliances (dishwashers, washing machines, dryers, etc.) that can increase the pressure of the storage space during operation, the locking device has a fastening force to the extent that the door is not separated from the cabinet even if the pressure in the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rises. It had to be designed to deliver.

그러나, 가전기기의 작동 중 도어가 캐비닛에서 분리되지 않는 충분한 체결력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종래 잠금장치는 가전기기의 작동 중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하는 문제는 방지할 수 있지만, 홀더를 결합부에 결합시켜 투입구를 폐쇄할 때 사용자로 하여금 필요 이상의 힘을 도어에 입력하도록 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locking device designed to provide sufficient fastening force so that the door does not separate from the cabinet during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can prevent the problem of the door opening the inlet during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but by coupling the holder to the engaging part When closing the doo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user is forced to input more force into the door than necessary.

본 발명은 투입구를 폐쇄할 때 사용자가 도어에 입력하는 힘이 투입구를 개방할 때 사용자가 도어에 입력하는 힘보다 작은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king device in which the force input by the user to the door when closing the inlet is smaller than the force input by the user to the door when opening the inlet, and to provide a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the locking device. do.

또한, 본 발명은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과 투입구를 폐쇄하는 도어에 각각 구비된 홀더와 체결부로 구비되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king device provided with a holder and a fastening unit provided in a cabinet having an inlet and a door closing the inlet, respectively, and a home appliance provided with the lock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은 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부의 위치가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king device for preventing a position of a fasten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a holder from deviate from a set position, and a home appliance having the lock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체결부가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더라도 도어를 캐비닛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 가능한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king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function of fixing a door to a cabinet even when a fastening part deviates from a set position, and a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the lock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은 홀더와 체결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홀더와 체결부가 결합된 때 체결부가 홀더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locking device that not only facilitates the coupling of the holder and the fastening part but also prevents the fastening par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lder when the holder and the fastening part are coupled, and a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the locking device make it a task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하지 않았음에도 체결부가 홀더와 결합하는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도 홀더와 체결부를 결합시킬 수 있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locking device capable of coupling a holder and a fastening part even when the fastening part moves to a position where the fastening part is coupled to the holder even though the door does not close the inlet, and a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the locking device make it a task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할 때 사용자가 도어가 폐쇄되었음을 확인 가능한 소리신호를 발생시키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king device that generates a sound signal that allows a user to confirm that the door is closed when the door closes the inlet, and a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the lock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할 때 발생하는 소리신호가 지나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k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n excessive increase in a sound signal generated when a door closes an inlet, and a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the lock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닫힌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부가 구비된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king device having a detec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 door is in a closed state, and a home appliance having the lock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체결부와 홀더의 결합여부 및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구비된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king device provided with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a fastening unit and a holder are coupled and whether a door has closed an inlet, and a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the locking device.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에 도어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홀더;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스토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할 때 상기 홀더에 의해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작동부; 상기 스토퍼에 지지되며, 상기 작동부가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스토퍼에서 분리되어 상기 홀더에 결합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를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 상기 작동부를 상기 투입구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제공하는 제2탄성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를 제공한다.A locking device for removably fixing a door to a cabinet having an inle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holder provided in any one of the cabinet and the door; a housing provided in the other one of the cabinet and the door; a stopper provided in the housing; an operation unit provided reciprocally in the housing and mov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by the holder when the door closes the inlet; a fastening part supported by the stopper and separated from the stopper and coupled to the holder when the operation part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a first elastic body providing a force for moving the fastening par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It provides a locking device comprising a; a second elastic body that provides a force to move the operation uni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let is located.

상기 체결부는 상기 스토퍼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홀더에 결합하는 체결바디; 및 상기 체결바디의 마주보는 양단으로부터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홀더의 이동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된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 및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를 연결하며 상기 홀더에 의해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is provided detachably to the stopper, the fastening body coupled to the holder when separated from the stopper; and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extending from opposite ends of the fastening body toward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port, wherein the operation part is provided reciprocally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older, the first body and the a first slider and a second slide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second body is accommodated; and a transfer unit that connects the first slider and the second slider and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by the holder.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체는 일단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지지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fixed inside the housing, wherein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body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제1탄성체의 일단이 고정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에서 상기 스토퍼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스토퍼와 상기 지지바디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is rotatably fixed to the housing, the support body to which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body is fixe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support body toward the stopper, and allowing the fastening body to move into a space between the stopper and the support body when the fastening body is moved in a direction to be coupled to the holder; can

본 발명은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디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탄성체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축을 지지하는 축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support body shaft to form a center of rotation of the support body; first and second plate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using to provide a movement path of the first elastic body; It may further include a; shaft support portion provided on each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o support the shaft.

상기 스토퍼는 상기 연장부의 자유단을 지지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디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opper may further include a seating portion provided to support the free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to prevent the support body from rotating.

본 발명은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가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압하여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바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slider and the second slider, and when the transfer unit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at least on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s pressed by pressing the fastening. It may include; a body pressing unit for separating the body from the stopper.

상기 바디 가압부는 상기 제1슬라이더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가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스토퍼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바디를 가압하는 제1바디 가압부;와 상기 제2슬라이더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가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스토퍼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바디를 가압하는 제2바디 가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pressing part is provided on the first slider, and when the transfer part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the first body pressing part presses the first bod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astening body is separated from the stopper; and the a second body pressing part provided on the second slider and pressing the second bod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astening body is separated from the stopper when the transfer part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any one of.

본 발명은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되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가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제1바디 가압부에 접촉하는 제1바디 경사면;과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되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가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제2바디 가압부에 접촉하는 제2바디 경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first body and is provided to be inclined upwardly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and when the transfer unit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a first inclined surface of the body in contact with the first body pressing unit; and the a second body inclined surface provided on the second body and inclined up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and contacting the second body pressing unit when the transfer unit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any one of.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제1슬라이더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수용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제2슬라이더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2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housing, the first receiving portion for providing a movement path of the first slider;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eceiving part provided in the housing and providing a movement path of the second slider.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제1수용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슬라이더를 상기 투입구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를 상기 투입구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elastic body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 first spring for pressing the first slider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and the second elastic body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to press the second slider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a second spring; At least one of them may be provided.

본 발명은 상기 제1슬라이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슬라이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바; 상기 제2슬라이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bar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first slider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first slider;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ar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slider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econd slider.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제1바가 삽입되며, 상기 제1슬라이더를 상기 투입구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2바가 삽입되며, 상기 제2슬라이더를 상기 투입구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elastic body includes a first spring into which the first bar is inserted and pressurizes the first slider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and a second spring into which the second bar is inserted and presses the second slider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At least one of them may be provided.

상기 제1탄성체는 상기 체결부가 상기 스토퍼에 지지된 상태에 있을 때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체결부가 상기 스토퍼에서 분리된 상태에 있을 때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탄성체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힘은 상기 제2탄성체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힘보다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The first elastic body maintains a compressed state when the fastening part is supported by the stopper, and the second elastic body maintains a compressed state when the fastening part is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stopper, The force required to compress the first elastic body may be set to be greater than the force required to compress the second elastic body.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에 도어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홀더;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1스토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할 때 상기 홀더에 의해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작동부; 상기 제1스토퍼에 지지되며, 상기 작동부가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어 상기 홀더에 결합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를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 상기 작동부를 상기 투입구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2탄성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를 제공한다.A locking device for removably fixing a door to a cabinet having an inle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holder provided in any one of the cabinet and the door; a housing provided in the other one of the cabinet and the door; a first stopper provided in the housing; an operation unit provided reciprocally in the housing and mov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by the holder when the door closes the inlet; a fastening part supported by the first stopper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and coupled to the holder when the operating part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a first elastic body providing a force for moving the fastening par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It provides a locking device including;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스토퍼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홀더에 결합하는 체결바디; 및 상기 체결바디의 마주보는 양단으로부터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홀더의 이동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된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를 연결하며 상기 홀더에 의해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부; 및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에 접촉하여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바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is provided detachably to the first stopper, the fastening body coupled to the holder when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and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extending from opposite ends of the fastening body toward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port, wherein the operation part is provided reciprocally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older, the first body and the a first slider and a second slide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second body is accommodated; a transfer unit connecting the first slider and the second slider and mov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by the holder; and a body pressing part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slider and the second slider to contact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ransfer part to separate the fastening body from the first stopper. may include.

상기 제1탄성체는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 지지되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작동부가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압축되며, 상기 제1탄성체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힘은 상기 제2탄성체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힘보다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The first elastic body maintains a compressed state when the fastening body is supported by the first stopper, and moves the fastening body away from the inlet when the fastening body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and the second The elastic body is compress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slider and the second slider while the operation unit moves to a position where the fastening body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and the force required to compress the first elastic body is the It may be set to be larger than the force required to compress the second elastic body.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체결바디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topper provided in the housing and restricting movement of the fastening body when the fastening body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본 발명은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제1탄성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1스토퍼를 향하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면과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position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first elastic body is accommodated, wherein the second stopper includes the second stopper. At least one of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facing the first stopper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plate may be provided.

본 발명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에서 상기 제1스토퍼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체는 일단은 상기 지지바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된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연장부의 하부에 위치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ort body rotatably fixed to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support body toward the first stopper;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body is fixed to the support body, and the other end is at least on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t is fixed, and the second stopper may be provided to position the fastening body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under the extension part.

본 발명은 상기 체결바디와 상기 제2스토퍼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바디와 상기 제2스토퍼의 충돌 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amper provided on any one of the fastening body and the second stopper to alleviate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fastening body and the second stopper collide.

본 발명은 상기 지지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2스토퍼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amper fixed to the support body to prevent the fastening body from collided with the second stopper.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연장부의 자유단을 지지하여 상기 연장부의 자유단이 상기 제1스토퍼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topper may further include a seating portion supporting the free end of the extension to prevent the free end of the extension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topper.

상기 바디 가압부는 상기 제1슬라이더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가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제1바디를 가압하는 제1바디 가압부; 및 상기 제2슬라이더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가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제2바디를 가압하는 제2바디 가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first body pressing unit provided in the first slider and pressing the first body so that the fastening body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when the conveying unit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and a second body pressing unit provided on the second slider and pressing the second body so that the fastening body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when the conveying unit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any one of.

본 발명은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되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가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제1바디 가압부에 접촉하는 제1바디 경사면; 및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되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가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제2바디 가압부에 접촉하는 제2바디 경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first body doedoe provided inclined upward toward the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when the transfer unit moves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the first body incline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irst body pressing unit; and a second body inclined surface provided on the second body and inclined up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and contacting the second body pressing unit when the transfer unit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any one of.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제1슬라이더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수용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제2슬라이더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2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housing, the first receiving portion for providing a movement path of the first slider;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eceiving part provided in the housing and providing a movement path of the second slider.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제1수용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슬라이더를 상기 투입구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를 상기 투입구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elastic body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 first spring for pressing the first slider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and the second elastic body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to press the second slider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a second spring; At least one of them may be provided.

본 발명은 상기 제1슬라이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슬라이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바; 상기 제2슬라이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bar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first slider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first slider;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ar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slider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econd slider.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제1바가 삽입되며, 상기 제1슬라이더를 상기 투입구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2바가 삽입되며, 상기 제2슬라이더를 상기 투입구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elastic body includes a first spring into which the first bar is inserted and pressurizes the first slider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and a second spring into which the second bar is inserted and presses the second slider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At least one of them may be provided.

본 발명은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자석;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제1자석의 자력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신호발생부;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자석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2자석;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제2자석의 자력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신호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magnet provided in any one of the door and the cabinet; a first signal generator provided in the other one of the door and the cabinet, and sensing a magnetic force of the first magnet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door closes the inlet; a second magnet provided in any one of the door and the cabinet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 with the housing interposed therebetween;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ignal generator provided in the other one of the door and the cabinet,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by sens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second magnet when the door closes the inlet.

본 발명은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감지부;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detec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fastening body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etec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oor has closed the inlet.

상기 제1감지부는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하는 제1가압부;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제1가압부에 접촉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ensing unit may include: a first pressing unit contac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when the fastening body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and a first switch that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pressing unit.

상기 제1감지부는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는 위치까지 상기 작동부가 이동하면,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하는 제1가압부;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제1가압부에 접촉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ensing unit may include: a first pressing unit contac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slider and the second slider when the operating unit moves to a position where the fastening body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and a first switch that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slider and the second slid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pressing unit.

상기 제2감지부는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자석;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ensing unit may include a magnet provided in any one of the door and the cabinet; It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generator provided in the other one of the door and the cabinet,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by sens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when the door closes the inlet.

상기 제2감지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는 감지바디;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도어에 접촉하여 상기 감지바디를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돌출바디; 상기 돌출바디를 상기 투입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바디지지부;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감지바디에 접촉하는 제2가압부; 상기 감지바디가 상기 제2가압부에 접촉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ensing unit may include a sensing body reciprocally provided within the housing; a protruding body that, when the door moves in a direction to close the inlet, contacts the door and moves the sensing body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a body support unit providing a force for moving the protruding body in a direction toward the inlet; When the door closes the inlet, a second pressing unit in contact with the sensing body; and a second switch that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sensing bod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pressing unit.

본 발명은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수납대상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와 상기 투입구를 연통시키는 연통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제1바디, 상기 도어 제1바디에서 상기 터브를 향해 돌출된 도어 제2바디, 상기 도어 제2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 제1바디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연통홀을 폐쇄하는 폐쇄면이 구비된 도어; 상기 연통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도어 제1바디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폐쇄면과 상기 연통홀의 가장자리 사이에서 압착되는 실링부; 상기 도어에 구비된 홀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와 상기 연통홀 사이에 위치되는 제1스토퍼; 상기 제1스토퍼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홀더에 결합하는 체결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도어 제1바디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홀더에 접촉하여 상기 연통홀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이동하며, 상기 연통홀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동안 상기 체결부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작동부; 상기 체결부를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 상기 작동부를 상기 투입구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2탄성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abinet equipped with an inlet; a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forming a storage space for a storage object; a communication hole for communicating the tub and the inlet; A door first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 door second body protruding from the door first body toward the tub, is provided in the door second body, and when the door first body closes the inlet, the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a door provided with a closing surface to close; a sealing part provided along the edge of the communication hole and compressed between the closing surface and the edge of the communication hole when the door first body closes the inlet; a holder provided on the door; a housing provided in the cabinet; a first stopper provided in the housing and positioned between the inlet and the communication hole; a fastening part detachably supported by the first stopper and coupled to the holder when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It is provided reciprocally inside the housing, and when the door first body moves in a direction to close the inlet,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older and moves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mmunication hole is located,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mmunication hole is located an operation part for separating the fastening part from the first stopper while moving toward the first stopper; a first elastic body providing a force for moving the fastening par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It provides a home appliance including;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스토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홀더에 결합하는 체결바디; 및 상기 체결바디의 마주보는 양단으로부터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된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를 연결하며 상기 홀더에 의해 상기 연통홀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이송부; 및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하여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바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un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stopper, and when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a fastening body coupled to the holder; and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extending from opposite ends of the fastening body toward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port, wherein the operation part is provided reciprocally in the housing and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 first slider and a second slide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body is accommodated; a transfer unit connecting the first slider and the second slider and moving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mmunication hole is located by the holder;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slider and the second slider to separate the fastening body from the first stopper by contac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ransfer part. It may include a body pressing unit.

상기 이송부의 왕복운동 범위는 상기 폐쇄면이 상기 연통홀을 폐쇄했을 때 상기 실링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The reciprocating motion range of the conveying part may be set so that the closing surface does not contact the sealing part when the communication hole is closed.

본 발명은 투입구를 폐쇄할 때 사용자가 도어에 입력하는 힘이 투입구를 개방할 때 사용자가 도어에 입력하는 힘보다 작은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effect of providing a locking device in which the force input by the user to the door when closing the inlet is smaller than the force input by the user to the door when the inlet is opened, and a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the locking device. .

또한, 본 발명은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과 투입구를 폐쇄하는 도어에 각각 구비된 홀더와 체결부로 구비되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effect of providing a locking device provided with a holder and a fastening unit provided in a cabinet equipped with an inlet and a door closing the inlet, respectively, and a home appliance provided with the lock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은 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부의 위치가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effect of providing a locking device for preventing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holder from deviate from the set position, and the home appliance provided with the lock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체결부가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더라도 도어를 캐비닛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 가능한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effect of providing a locking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function of fixing a door to a cabinet even when the fastening part deviates from a set position, and a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the lock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은 홀더와 체결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홀더와 체결부가 결합된 때 체결부가 홀더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facilitates the coupling of the holder and the fastening part, but also achieves the effect of providing a locking device that prevents the fastening par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lder when the holder and the fastening part are coupled, and a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the locking device. can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하지 않았음에도 체결부가 홀더와 결합하는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도 홀더와 체결부를 결합시킬 수 있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chieves the effect of providing a locking device capable of coupling the holder and the fastening part even when the fastening part moves to the position where the fastening part is coupled to the holder even though the door does not close the inlet, and a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the locking device can do.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할 때 사용자가 도어가 폐쇄되었음을 확인 가능한 소리신호를 발생시키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effect of providing a locking device for generating a sound signal that allows the user to confirm that the door is closed when the door closes the inlet and the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the lock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할 때 발생하는 소리신호가 지나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effect of providing a lock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n excessive increase in a sound signal generated when a door closes an inlet and a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the lock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닫힌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부가 구비된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effect of providing a locking device provided with a detec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 door is in a closed state, and a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the lock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체결부와 홀더의 결합여부 및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구비된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effect of providing a locking device provided with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holder and whether the door has closed the inlet, and the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the lock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 잠금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 잠금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비정상상태에 있는 잠금장치에서 홀더와 체결부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댐퍼가 구비된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구비된 가스켓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구비된 감지부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n example of a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a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show an example of the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6 show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holder and the fastening part are coupled in the locking device in an abnormal state.
8 shows an example of a locking device provided with a damper and a home appliance provided with the locking device.
9 shows an example of a gasket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3 are views illustrating a sensing unit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r control method of the device to be described below is only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for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indicate the

본 발명은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에 도어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상기 잠금장치(H, C)가 식기세척기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device for removably fixing a door to a cabinet having an inlet, and FIG. 1 shows a case in which the locking devices H and C are provided in a dishwasher as an example.

본 발명 잠금장치(H, C)는 식기세척기 이외의 다양한 가전기기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잠금장치(H, C)가 식기세척기(100)에 구비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The locking devices (H, C)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various home appliances other than the dishwasher, bu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based on the case in which the locking devices (H, C) are provided in the dishwasher 100 . do.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00)는 캐비닛(1),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11), 세척대상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암(21, 23), 상기 분사암으로 물을 공급하는 펌프(4)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dishwasher 100 includes a cabinet 1, a tub 11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provide a washing space, spray arms 21 and 23 for spraying water to a washing object, and the It may be provided as a pump (4) for supplying water to the spray arm.

상기 터브(11) 내부에는 세척대상이 수납되는 랙(rack)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랙은 터브의 상부 영역에 구비되는 상부랙(191), 상기 상부랙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랙(193)으로 구비될 수 있다.A rack in which the object to be washed is accommodated may be provided inside the tub 11, wherein the rack includes an upper rack 191 provided in an upper region of the tub, and a lower rack 193 provided under the upper rack. ) can be provided.

상기 터브(11)는 투입구(111, 도 5 참고)를 통해 캐비닛의 외부와 연통하는데, 상기 투입구(111)는 도어(16)에 의해 개폐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16)로 투입구(111)를 개방한 후 상기 랙들(191, 193)을 상기 터브(11)에서 인출할 수 있다.The tub 11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cabinet through an inlet 111 (refer to FIG. 5 ), and the inlet 111 is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16 . Accordingly, the user can take out the racks 191 and 193 from the tub 11 after opening the inlet 111 through the door 16 .

상기 랙이 상부랙(191) 및 하부랙(193)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분사암은 상부랙(191)에 물을 분사하는 상부암(21), 하부랙(193)에 물을 분사하는 하부암(23)으로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rack is provided with an upper rack 191 and a lower rack 193 , the spray arm is an upper arm 21 that sprays water to the upper rack 191 , and a lower part that sprays water to the lower rack 193 . The arm 23 may be provided.

상기 분사암(21, 23)에서 세척대상에 분사된 물(터브에 잔류하는 물)은 섬프(13)로 회수될 수 있다.The water (water remaining in the tub) sprayed from the spray arms 21 and 23 to the object to be washed may be recovered by the sump 13 .

상기 섬프(13)는 터브(11)의 하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는 수단으로, 섬프 커버(15)를 통해 터브(11)와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섬프 커버(15)에는 상기 터브(11) 내부의 물을 상기 섬프(13)로 유입시키는 회수홀(151)이 구비될 수 있다.The sump 13 is provided under the tub 11 to store water, and may be distinguished from the tub 11 through the sump cover 15 . In this case, the sump cover 15 may be provided with a recovery hole 151 for introducing the water inside the tub 11 into the sump 13 .

한편, 상기 섬프(13)는 급수유로(135)를 통해 급수원(미도시)에 연결되고, 상기 급수유로(135)는 밸브(136)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sump 13 may b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not shown) through a water supply passage 135 , and the water supply passage 135 may be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valve 136 .

상기 섬프(13)에 저장된 물은 배수유로(137) 및 배수펌프(139)를 통해 식기세척기의 외부로 배출된다.The water stored in the sump 13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ishwasher through the drain passage 137 and the drain pump 139 .

상기 섬프(13)에 저장된 물은 펌프(4) 및 공급유로(3)를 통해 상기 분사암(21, 23)으로 공급되는데, 상기 공급유로(3)는 상기 펌프(4)에 연결된 연결유로(31), 상기 연결유로와 상부암(21)을 연결하는 제1공급유로(33), 상기 연결유로와 하부암(23)을 연결하는 제2공급유로(35)로 구비될 수 있다.The water stored in the sump 13 is supplied to the injection arms 21 and 23 through a pump 4 and a supply passage 3, and the supply passage 3 is a connection passage connected to the pump 4 ( 31), a first supply passage 33 connecting the connection passage and the upper arm 21 , and a second supply passage 35 connecting the connection passage and the lower arm 23 .

상기 상부암(21)은 제1공급유로(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하부암(23)은 제2공급유로(3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arm 21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ly passage 33 , and the lower arm 23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supply passage 35 .

상기 제1공급유로(33)와 제2공급유로(35)는 연결유로(31)가 분지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공급유로(33)와 제2공급유로(35)의 분지점에는 각 공급유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환밸브(37)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supply passage 33 and the second supply passage 35 may be provided by branching the connection passage 31 . In this case, the branching point of the first supply passage 33 and the second supply passage 35 . A switching valve 37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each supply flow path may be provided.

상기 펌프(4)는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되는 펌프바디(41), 상기 펌프바디(41) 내부의 공간을 구분하여 상기 펌프바디(41) 내부에 펌프 제1챔버(421)와 펌프 제2챔버(422)를 형성시키는 격벽(42), 상기 격벽(42)에 구비되어 펌프 제1챔버(421)와 펌프 제2챔버(422)를 연통시키는 격벽관통홀(43), 상기 펌프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는 임펠러(45)로 구비될 수 있다.The pump 4 divides a pump body 41 fixed inside the cabinet 1, and a space inside the pump body 41, and includes a pump first chamber 421 and a pump product inside the pump body 41. The partition wall 42 forming the second chamber 422, the partition wall through hole 43 provided in the partition wall 42 to communicate the pump first chamber 421 and the pump second chamber 422, and the second pump It may be provided with an impeller 45 provided in the chamber.

상기 펌프 제1챔버(421)는 펌프바디(4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펌프 유입부(423)를 통해 상기 섬프(13)와 연결되고, 상기 펌프 제2챔버(422)는 펌프바디(4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펌프 배출부(424)를 통해 상기 연결유로(31)와 연결된다.The first pump chamber 421 is connected to the sump 13 through a pump inlet 423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pump body 41 , and the second pump chamber 422 is connected to the pump body 41 . 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ssage 31 through the pump discharge part 424 provided to pass through.

상기 임펠러(45)는 펌프바디(41)의 상부면에 고정된 모터(46)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모터의 회전축은 상기 펌프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임펠러(45)에 연결된다.The impeller 45 is rotated by a motor 46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ump body 41 , and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passes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pump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impeller 45 .

한편, 상기 펌프 제1챔버(421)의 바닥면에는 가열부(47)가 구비된다. 상기 펌프바디(41)가 하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가열부(47)는 상기 펌프 제1챔버(421)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heating unit 47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ump first chamber 421 . When the pump body 41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lower surface, the heating part 47 may be provided to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pump first chamber 421 .

이 경우, 상기 가열부(47)는 상기 펌프 제1챔버(42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가열판(471), 상기 가열판에 고정되되 상기 펌프 제1챔버(421)의 외부에 위치하는 히터(47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판(471)은 열전달이 용이한 금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heating unit 47 includes a heating plate 471 forming a bottom surface of the pump first chamber 421 , a heater 473 fixed to the heating plate and positioned outside the pump first chamber 421 . ) can be provided. The heating plate 471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that easily transfers heat.

상기 가열부(47)는 상기 펌프 제1챔버(421)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므로, 본 발명은 분사암(21, 23)으로 물을 공급하는 기능 및 물을 가열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 가능한 펌프(4)를 제공할 수 있다.Since the heating unit 47 is provided to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pump first chamber 421,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a function of supplying water to the spray arms 21 and 23 and a function of heating water. A pump 4 may be provided.

또한, 상술한 펌프(4)가 구비된 식기세척기(100)는 펌프(4)에 구비된 가열부(47)를 통해 스팀을 터브(11)로 공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식기세척기(100)에는 스팀공급부(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hwasher 100 provided with the above-described pump 4 may supply steam to the tub 11 through the heating unit 47 provided in the pump 4 . To this end, the dishwasher 100 may further include a steam supply unit 25 .

상기 스팀공급부(25)는 상기 터브(11)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노즐(251), 상기 노즐(251)과 상기 펌프 제1챔버(421)를 연결하는 스팀공급관(253), 상기 스팀공급관을 개폐하는 스팀밸브(255)로 구비될 수 있다.The steam supply unit 25 includes a nozzle 251 for spraying steam into the tub 11, a steam supply pipe 253 connecting the nozzle 251 and the first pump chamber 421, and the steam supply pipe. It may be provided with a steam valve 255 to open and close.

도 1은 상기 노즐(251)이 도어(16)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상기 노즐(251)은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도어의 일면 하부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1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nozzle 251 is provided on the door 16 as an example. In this case, the nozzle 251 is preferably fixed to the lower part of one surface of the door forming the cleaning space.

한편, 상술한 구조를 가진 식기세척기(100)는 잠금장치(H, C)를 통해 도어(16)가 캐비닛(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구비된 잠금장치는 도어(16)와 캐비닛(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홀더(H), 도어와 캐비닛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H)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C)로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dishwasher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door 16 may be detachably fixed to the cabinet 1 through the locking devices H and C. The locking devic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door ( 16) and a holder (H) provided in any one of the cabinet (1), and a coupling portion (C) provided in the other one of the door and the cabinet to which the holder (H) is detachably coupled.

종래 잠금장치는 도어(16)를 캐비닛(1)에 고정하는데 필요한 힘(홀더를 결합부에 결합시키는데 필요한 힘)과 도어(16)를 캐비닛(1)에서 분리하는데 필요한 힘(홀더를 결합부에서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동일하였다.In the conventional locking device, the force required to fix the door 16 to the cabinet 1 (force required to couple the holder to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force required to separate the door 16 from the cabinet 1 (the force required to attach the holder to the coupling portion) The force required to separate) was the same.

한편, 투입구에 연통하는 공간의 압력이 높아질 수 있는 가전기기(식기세척기, 세탁기, 건조기 등)는 잠금장치가 투입구에 연통하는 공간의 압력이 상승해도 도어가 캐비닛에서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만 했다.On the other hand, home appliances (dishwashers, washing machines, dryers, etc.) that can increase the pressure in the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rovide a fastening force that prevents the door from separating from the cabinet even if the pressure in the space where the lock communicates with the inlet rises. It had to be designed to do that.

그러나, 도어가 캐비닛에서 분리되지 않는 충분한 체결력을 제공하는 종래 잠금장치는 가전기기의 작동 중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하는 문제는 방지할 수 있지만, 홀더를 결합부에 결합시켜 투입구를 폐쇄할 때 사용자로 하여금 필요 이상의 힘을 도어에 입력하도록 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locking device that provides sufficient fastening force so that the door is not separated from the cabinet can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door opens the inlet while the home appliance is in operation. There was a disadvantage of having to input more force into the door than necessary.

본 발명에 구비된 잠금장치(H, C)는 홀더(H)를 결합부(C)에 결합시키기 위해 입력되어야 하는 힘이 홀더(H)를 결합부(C)에서 분리시키기 위해 입력되어야 하는 힘보다 작은 것이 특징이다.In the locking device (H, C)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ce that must be input to couple the holder (H) to the coupling part (C) is the force that must be input to separate the holder (H) from the coupling part (C).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smaller.

즉, 본 발명에 구비된 잠금장치(H, C)는 투입구(111)를 폐쇄할 때 사용자가 도어(16)에 입력하는 힘이 투입구(111)를 개방할 때 사용자가 도어(16)에 입력하는 힘보다 작은 것이 특징이다.That is, in the locking devices (H, C)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inputs the force to the door 16 when the inlet 111 is closed, the user enters the door 16 when the inlet 111 is opened. It is characterized by a smaller force than the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홀더(H)는 도어와 캐비닛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C)는 도어와 캐비닛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홀더(H)는 도어(16)에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C)는 캐비닛(1)에 구비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As mentioned above, the holder (H) may be provided in any one of the door and the cabinet, and the coupling part (C) may be provided in the other one of the door and the cabinet.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holder (H) is provided in the door 16, the coupling portion (C)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case provided in the cabinet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H)는 도어(16)에 고정되는 홀더바디(51), 상기 홀더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C)에 체결되는 돌기(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바디(51)에는 후술할 결합부의 체결바디(75)가 수용되는 수용홈(54)이 더 구비될 수 있다.2, the holder (H) may include a holder body (51) fixed to the door (16), a protrusion (53) provided on the holder body and fastened to the coupling portion (C). have. The holder body 51 may further include a receiving groove 54 in which the coupling body 75 to be described later is accommodated.

상기 홀더(H)의 형상은 상기 결합부(C)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홀더(H)는 상기 도어(16)의 상부면이 오목하게 절곡됨으로써 구비되는 수용홈(54)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shape of the holder (H)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part (C). In addition, unlike shown in FIG. 2 , the holder H may be provided only with the receiving groove 54 provided by ben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16 to be concave.

어느 경우에나 상기 결합부(C)는 캐비닛(1)에 고정되는 하우징(6), 상기 하우징(6)에 구비되는 스토퍼(611, 제1스토퍼), 상기 홀더(H)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부(9, 도 3 참고), 상기 스토퍼(611)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작동부(9)가 상기 홀더(H)에 의해 상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스토퍼(611)에서 분리되어 상기 홀더(H)에 결합하는 체결부(7, 도 3 참고), 상기 체결부(7)를 상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77), 상기 작동부(9)를 상기 투입구(111)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제공하는 제2탄성체(981, 983)를 포함할 수 있다.In either case, the coupling part C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by the housing 6 fixed to the cabinet 1, the stopper 611 (first stopper) provided in the housing 6, and the holder H. The operating part 9 provided reciprocally (refer to FIG. 3), while maintaining the state supported by the stopper 611,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ng part 9 moves away from the inlet 111 by the holder H When moving toward the fastening part 7 (refer to FIG. 3) separated from the stopper 611 and coupled to the holder H, the force of moving the fastening part 7 away from the inlet 111 is applied. It may include a first elastic body 77 to provide, and second elastic bodies 981 and 983 to provide a force to move the operation unit 9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let 111 is located.

상기 하우징(6)은 상술한 체결부(7) 및 작동부(9)의 운동을 구현시킬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6)은 캐비닛(1) 내부에 형성되어 체결부(7)와 작동부(9)의 운동을 안내하는 공간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캐비닛(1)에 결합되는 별도의 부품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housing 6 may be provid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can implement the above-described movement of the fastening part 7 and the operating part 9 . That is, the housing 6 is formed inside the cabinet 1 and may be provided as a spac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fastening part 7 and the operating part 9 , and is a separate part coupled to the cabinet 1 . may be provided.

도 2와 도 4는 상기 하우징(6)이 상기 투입구(111)가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전방면(63), 상기 전방면(63)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된 상부면(61) 및 하부면(62)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2 and 4 show the front surface 63 of the housing 6 fac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let 111 is located, the upper surface 61 and the lower portion respectively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ront surface 63. A case in which it is provided in a shape including the surface 62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이 경우, 상기 하부면(62)에는 상기 홀더의 돌기(53)와 상기 체결부(7)가 접촉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면 관통홀(621)이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611)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61)에서 상기 하부면 관통홀(621)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ower surface 62 is provided with a lower surface through-hole 621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protrusion 53 of the holder and the fastening part 7 can contact, and the stopper 611 is connected to the housing. It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61 to the lower surface through-hole 621 of the.

다만, 상기 하부면 관통홀(621)은 하우징(6)의 형상에 따라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상기 홀더(H) 전체가 하우징(6)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7)에 결합되는 구조라면 굳이 하부면 관통홀(621)과 같은 수단이 불필요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의 전방면(63)에는 상기 홀더가 하우징(6) 내부로 삽입되는 홀이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However, the lower surface through-hole 621 may not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housing 6 . That is, if the entire holder H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6 and coupled to the fastening part 7 , a means such as the lower surface through hole 621 will not be necessary. In this case, a hole through which the holder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6 should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63 of the housin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7)는 상기 제1스토퍼(61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체결바디(75), 상기 체결바디(75)의 마주보는 양단으로부터 상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1바디(71) 및 제2바디(74)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fastening part 7 includes a fastening body 75 detachably provided on the first stopper 611 , and the inlet 111 from opposite ends of the fastening body 75 . It may include a first body 71 and a second body 74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상기 제1바디(71)와 제2바디(74)는 하우징(6) 내부에서 홀더(H)의 이동궤적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면은 상기 제1바디(71)와 제2바디(74)가 상기 체결바디(75)에서 하우징의 후방면을 향해 연장되는 바(bar)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first body 71 and the second body 74 may be provided in any shape as long as they can reciprocate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holder H inside the housing 6, and the drawing shows the first A case in which the body 71 and the second body 74 are provided in a bar shape extending from the fastening body 75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상기 체결바디(75)는 상기 제1바디(71)나 제2바디(74)가 작동부(9)에 의해 가압될 경우 상기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며, 상기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된 체결바디(75)는 상기 홀더의 수용홈(54)에 삽입되어 돌기(53)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astening body 75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611 when the first body 71 or the second body 74 is pressed by the operation unit 9, and the first stopper 611 The fastening body 75 separated from the holder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54 of the holder to support the protrusion 53 .

상기 작동부(9)는 하우징(6) 내부에서 상기 홀더(H)의 이동궤적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한 것이 특징으로, 상기 작동부(9)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는 제1슬라이더(91) 및 제2슬라이더(94),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를 연결하며 상기 홀더(H)에 의해 상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송부(95)를 포함한다.The operation part 9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ciprocabl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holder H inside the housing 6, and the operation part 9 is a first slider that reciprocates inside the housing ( 91) and a second slider 94, a transfer unit 95 that connects the first slider and the second slider and is movabl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111 by the holder H.

상기 제1슬라이더(91)와 상기 제2슬라이더(94)는 상기 제1바디(71)와 상기 제2바디(74)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되지만 상기 이송부(95)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The first slider 91 and the second slider 9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first body 71 and the second body 74 are accommodated, bu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transfer unit 95 . do.

상기 제1슬라이더(91)와 제2슬라이더(94)의 형상은 상기 하우징(6) 내부에서 왕복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각 슬라이더(91, 94)가 제1바디(71)와 제2바디(74)에 각각 나란한 바(bar)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shapes of the first slider 91 and the second slider 94 may be provided in any shape as long as they can reciprocate inside the housing 6 . A case in which a bar shape is provided in parallel to the 71 and the second body 74, respectively,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한편, 상기 이송부(95)는 각 슬라이더(91, 94)를 서로 연결할 수 있고, 상기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할 때 상기 홀더의 돌기(53)에 의해 상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62)에 하부면 관통홀(621)이 구비될 경우, 상기 이송부(95)는 하부면 관통홀(621)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fer unit 95 may connect the sliders 91 and 94 to each other, and when the door 16 closes the inlet 111, it is moved from the inlet 111 by the protrusion 53 of the holder. As long as it can be moved in a distant direction, it may be provided in any shape. However, when the lower surface through-hole 621 is provided in the lower surface 62 of the housing, the transfer part 95 may be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surface through-hole 621 .

나아가, 상기 작동부(9)에는 상기 이송부(95)가 상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바디(71)와 제2바디(7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바디 가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transfer unit 95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111 , the operation unit 9 includes the first body so that the fastening body 75 moves in a direction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611 . A body pressing unit for pressing at least one of the 71 and the second body 74 may be further provided.

도 3은 상기 바디 가압부가 상기 제1슬라이더(91)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71)를 가압하는 제1바디 가압부(913)와 상기 제2슬라이더(94)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바디(74)를 가압하는 제2바디 가압부(943)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3 shows the body pressing part provided on the first slider 91 and provided on the first body pressing part 913 and the second slider 94 for pressing the first body 71 to the second body A case in which the second body pressing part 943 for pressing the 74 is provided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상기 제1바디 가압부(913)는 상기 제1슬라이더(91)에서 상기 제2슬라이더(94)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바디 가압부(913)는 상기 제2슬라이더(94)에서 상기 제1슬라이더(91)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body pressing part 913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first slider 91 toward the second slider 94 , and the second body pressing part 913 may be provided with the second slider 94 . ) may be provided to protrude toward the first slider 91 .

이 경우, 상기 제1바디(71)에는 상기 제1바디 가압부(913)가 접촉하는 제1바디 경사면(711)이 구비되고, 상기 제2바디(74)에는 상기 제2바디 가압부(943)가 접촉하는 제2바디 경사면(741)이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body 71 is provided with a first body inclined surface 711 to which the first body pressing part 913 is in contact, and the second body pressing part 943 is provided on the second body 74 . )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body inclined surface 741 in contact.

상기 제1바디 경사면(711)은 상기 제1슬라이더(91)가 상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한 경우에만 상기 제1바디 가압부(913)에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제1바디 경사면(711)은 제1바디(71)의 영역 중 상기 체결바디(75)가 위치된 지점에서 상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body inclined surface 711 is provided to contact the first body pressing part 913 only when the first slider 91 moves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111 . That is, the first body inclined surface 711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up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111 at a point where the fastening body 75 is located in the region of the first body 71 .

마찬가지로, 상기 제2바디 경사면(741)은 제2바디(74)의 영역 중 상기 체결바디(75)가 위치된 지점에서 상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Similarly, the second body inclined surface 741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up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111 at a point where the fastening body 75 is located in the area of the second body 74 .

상기 작동부(9)가 제1바디(71)와 제2바디(74)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슬라이더(91)와 제2슬라이더(94)로 구비된 것은, 상기 체결부(7)의 위치가 하우징(6) 내부에서 틀어질 경우를 대비한 것이다.The actuating part 9 is provided with a first slider 91 and a second slider 94 positioned outside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71 and the second body 74, the fastening part This is in case the position of (7) is changed inside the housing (6).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바디(71)와 제2바디(74)는 하우징(6) 내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체결바디(75)는 제1바디(71)와 제2바디(74)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바디(71)와 제2바디(74)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위치를 벗어날 경우 상기 체결바디(75)가 홀더(H)에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body 71 and the second body 74 are provided to reciprocate inside the housing 6 , and the fastening body 75 includes the first body 71 and the second body. Since it is coupled to (74), when the positions of the first body (71) and the second body (74) are out of a preset position, a problem may occur that the fastening body (75) cannot be coupled to the holder (H). .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제1바디(71)와 제2바디(74)가 상기 제1슬라이더(91)와 제2슬라이더(94)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므로, 제1바디와 제2바디가 하우징 내부에서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body 71 and the second body 74 are locat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slider 91 and the second slider 94,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Deviation from the set position inside the housing can be minimized.

나아가, 상기 제1바디(71)와 제2바디(74)의 외측에 각각 구비된 제1슬라이더(91)와 제2슬라이더(94)는 상기 제1바디(71)와 제2바디(74)가 기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게 되더라도, 상기 체결바디(75)가 원하는 시기에 상기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the first slider 91 and the second slider 94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71 and the second body 74, respectively, are the first body 71 and the second body 74. Even if deviated from a preset pos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astening body 75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611 at a desired time.

상기 작동부(9)가 하나의 슬라이더만으로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7)의 위치가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를 가정해보자.Assume that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part 7 is deviated from the set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part 9 is provided with only one slider.

이 경우, 상기 홀더(H)에 의해 이송부(95)가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하나의 슬라이더로 구비된 작동부(9)는 설정된 시점보다 빨리 상기 제1바디(71)나 제2바디(74)를 가압할 수도 있고, 상기 제1바디(71)나 제2바디(74)중 어느 것도 가압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when the transfer unit 95 is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111 by the holder H, the operating unit 9 provided as a single slider moves the first body 71 or The second body 74 may be pressurized, and there may be a problem that neither the first body 71 nor the second body 74 is pressurized.

그러나, 상기 작동부(9)가 제1바디(71)와 제2바디(74)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서로 이격된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로 구비되면, 상기 체결바디(74)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는 시점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라이더(91)와 제2슬라이더(94)는 제1바디(71)와 제2바디(74)가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게 되는 범위를 최소화하는 수단이므로, 상기 바디 가압부들(913, 943)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바디들(71, 74)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는 시점의 편차가 최소화될 것이기 때문이다.However, when the operation part 9 is provided with a first slider and a second slide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first body 71 and the second body 74 are accommodated, the fastening body 74 is The time of separation from the first stopper 611 may be kept constant. Since the first slider 91 and the second slider 94 are means for minimizing the range in which the first body 71 and the second body 74 deviate from the set positions, the body pressing parts 913 and 943 are used. This is because the deviation of the timing when any one of the bodies 71 and 74 is in contact with any one of the bodies 71 and 74 will be minimized.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9)에는 상기 제1슬라이더(91)와 상기 제2슬라이더(94)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더(96)와 제2가이더(97)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 , the operation unit 9 includes a first guider 96 and a second guider 97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slider 91 and the second slider 94 . may be provided.

상기 제1가이더(96)는 상기 하우징(6) 내부에 구비되어 제1슬라이더(91)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수용부(963)와 상기 제1슬라이더(9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슬라이더(91)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바(96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guider 96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6 to pass through a first receiving part 963 that provides a movement path of the first slider 91 and the first slider 91. At least one of the first bars 961 providing a movement path of the first slider 91 may be provided.

마찬가지로 상기 제2가이더(97)는 상기 하우징(6) 내부에 구비되어 제2슬라이더(94)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2수용부(973)와 상기 제2슬라이더(94)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94)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2바(97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Similarly, the second guider 97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6 to pass through the second receiving part 973 and the second slider 94 providing a movement path of the second slider 94. At least one of the second bars 971 providing a movement path of the second slider 94 may be provided.

도 2는 상기 제1가이더(96)는 제1바(961)와 제1수용부(963)로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더(97)는 제2바(971)와 제2수용부(973)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지만, 상기 제1바(961)와 제2바(97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In FIG. 2 , the first guider 96 includes a first bar 961 and a first accommodating part 963 , and the second guider 97 includes a second bar 971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973 . )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but at least one of the first bar 961 and the second bar 971 may be omitted.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제1수용부(963)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슬라이더(91)를 투입구(111)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스프링(981)과 상기 제2수용부(973)에 구비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94)를 상기 투입구(111)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스프링(98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elastic body is provid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963 and provided in the first spring 98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973 for pressing the first slider 91 in the inlet 111 direction. to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the second springs 983 for pressing the second slider 94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111 .

상기 제1바(961)와 제2바(971)가 구비될 경우, 상기 제1바(961)는 상기 제1스프링(981)에 삽입되어 상기 제1수용부(963)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바(971)는 상기 제2스프링(983)에 삽입되어 상기 제2수용부(973) 내부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라이더(91)와 제2슬라이더(94)가 각 수용부(963, 973) 내부에서 왕복할 때 각 스프링(981, 983)이 위치를 이탈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When the first bar 961 and the second bar 971 are provided, the first bar 961 is inserted into the first spring 981 and fixed inside the first receiving part 963, The second bar 971 may be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spring 983 to be fixed inside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973 . This is to prevent the respective springs 981 and 983 from being deviated or damaged when the first slider 91 and the second slider 94 reciprocate inside each of the receiving portions 963 and 973 .

상술한 구조를 가진 작동부(9)는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할 때 홀더(H)의 돌기(53)가 이송부(95)에 접촉하므로, 각 슬라이더(91, 94)는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하우징의 후방)으로 이동할 것이다.In the actuating part 9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hen the door 16 closes the inlet 111, the protrusion 53 of the holder H contacts the transfer part 95, so that each slider 91, 94 is It will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111 (the rear of the housing).

이 때, 상기 제1스프링(981)과 제2스프링(983)은 각 수용부(963, 973) 내부에서 압축되므로, 상기 홀더(H)에 의해 상기 이송부(95)에 입력되는 외력이 사라지면(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각 슬라이더(91, 94)는 상기 제1스프링(981)과 제2스프링(983)의 복원력에 의해 투입구(11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first spring 981 and the second spring 983 are compressed inside each receiving part 963 and 973, when the external force input to the transfer part 95 by the holder H disappears ( When the door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let is opened), each of the sliders 91 and 94 will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111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981 and 983 .

상기 체결부(7)가 상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하우징의 후방면)으로 이동하게 하는 힘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77)는 일단은 상기 하우징(6)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바디(71)의 자유단과 상기 제2바디(74)의 자유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One end of the first elastic body 77 providing a force to move the fastening part 7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111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is fixed to the housing 6, and the other end is the It may be fixed to at least one of the free end of the first body 71 and the free end of the second body 74 .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6)에는 상기 제1탄성체(77)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8)가 구비되고, 상기 제1바디(71)의 자유단과 제2바디(74)의 자유단에는 상기 제1탄성체(77)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1결합홈(713)과 제2결합홈(743)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housing 6 is provided with a support portion 8 for supporting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body 77 , and the free end of the first body 71 and the free end of the second body 74 are provided with the first elastic body 77 . A first coupling groove 713 and a second coupling groove 743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first elastic body 77 is fixed may be provided, respectively.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탄성체(77)는 상기 체결바디(75)가 스토퍼(611)에 지지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지지부(8)와 상기 결합홈(713, 743)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는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first elastic body 77 is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part 8 and the coupling grooves 713 and 743 when the fastening body 75 is supported by the stopper 611 . It may be provided with a spring that maintains a compressed state.

상기 제1탄성체(77)의 일단은 하우징(6)에 고정된 지지부(8)에 고정되고, 제1탄성체(77)의 타단은 각 바디(71, 74)의 자유단에 고정되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 지지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탄성체(77)는 상기 제1바디(71)의 자유단과 제2바디(74)의 자유단이 지지부(8)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제공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 지지된 상태에 있으면, 상기 제1탄성체(77)는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One end of the first elastic body 77 is fixed to the support part 8 fixed to the housing 6,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elastic body 77 is fixed to the free ends of the bodies 71 and 74 and compressed. Therefore, when the fastening body 75 is supported by the first stopper 611 , the first elastic body 77 is free of the free end of the first body 71 and the second body 74 . The stage will provide a force to move away from the support 8 . Accordingly, when the fastening body 75 is supported by the first stopper 611 , the first elastic body 77 prevents the fastening body 75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611 .

그러나,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1탄성체(77)는 복원력 때문에 지지부(8)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길이가 늘어날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제1탄성체(77)는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된 때 상기 체결바디(75)를 상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However, when the fastening body 75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611 , the length of the first elastic body 77 will increas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upport part 8 due to the restoring force. 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first elastic body 77 may move the fastening body 75 away from the inlet 111 when the fastening body 75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611 .

상술한 구조를 가진 잠금장치(H, C)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한다.The locking devices H and C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operate as shown in FIGS. 5 and 6 .

도 5는 도어(16)가 투입구(111)를 개방한 상태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체결바디(75)는 제1탄성체(77)가 제공하는 힘에 의해 제1스토퍼(611)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5 shows a case in which the door 16 is in an opened state of the inlet 111, in this case, the fastening body 75 is a first stopper 611 by the force provided by the first elastic body 77. remain supported on

한편,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도어(16)가 상기 투입구(11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도어에 구비된 홀더(H)의 돌기(53)는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된 결합부(C)를 향해 이동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moves the door 16 in the direction to close the inlet 111 , the protrusion 53 of the holder H provided in the door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 will move towards C).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하기 위해 회전하는 동안 상기 홀더의 돌기(53)는 결합부에 구비된 이송부(95)를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한다.As shown in FIG. 6 , while the door 16 rotates to close the inlet 111 , the protrusion 53 of the holder moves the transfer unit 95 provided in the coupling portion away from the inlet 111 . pressurize with

상기 돌기(53)에 의해 이송부(95)가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송부(95)를 통해 서로 연결된 제1슬라이더(91) 및 제2슬라이더(94)가 제2탄성체(981, 983)를 가압하면서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한다.When the transfer unit 95 moves away from the inlet 111 by the protrusion 53, the first slider 91 and the second slider 94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transfer unit 95 form a second elastic body ( 981 and 983 are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111 while pressing.

상기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가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체결부(7)에 구비된 제1바디(71)와 제2바디(74)는 각 슬라이더에 구비된 바디 가압부(913, 943)에 의해 하우징의 하부면(62) 방향으로 가압된다.When the first and second sliders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111, the first body 71 and the second body 74 provided in the fastening part 7 pressurize the body provided in each slider. It is pressed toward the lower surface 62 of the housing by the portions 913 and 943 .

상기 제1바디(71)와 제2바디(74)가 하우징의 하부면 방향으로 가압되면, 스제1토퍼(611)에 지지된 체결바디(75)는 상기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어 상기 하부면 관통홀(621)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체결바디(75)는 홀더의 수용홈(54)에 삽입된다.When the first body 71 and the second body 74 are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fastening body 75 supported by the first stopper 611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611 and the It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through-hole 621, and in this process, the fastening body 75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54 of the holder.

한편,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될 때 상기 제1바디(71)의 자유단과 제2바디(74)의 자유단은 상기 제1탄성체(77)의 복원력에 의해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astening body 75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611 , the free end of the first body 71 and the free end of the second body 74 are separat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body 77 . It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111 .

상기 체결바디(75)가 상기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면 상기 체결바디(75)는 홀더의 수용홈(54)에 삽입된 상태가 되며, 상기 제1탄성체(77)의 복원력은 상기 제2탄성체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힘보다 크게 설정되므로,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기만 하면 상기 제1탄성체(77)는 상기 홀더(H)를 투입구(111) 방향으로 이동시킬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투입구(111)를 폐쇄할 때 사용자가 도어(16)에 입력해야 하는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When the fastening body 75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611, the fastening body 75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54 of the holder, and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body 77 is the first Since it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force required to compress the second elastic body, as long as the fastening body 75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611, the first elastic body 77 moves the holder H to the inlet 111 direction. will do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force that the user must input to the door 16 when closing the inlet 111.

또한, 상기 체결바디(75)가 홀더의 수용홈(54)에 삽입되면, 상기 홀더의 돌기(53)는 체결바디(75)와 이송부(95)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경우 돌기(53)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잠금장치(H, C)는 상기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경우 상기 도어(16)가 투입구(111)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도어와 투입구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 가능).In addition, when the fastening body 75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54 of the holder, the protrusion 53 of the holder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fastening body 75 and the transfer part 95, so that the door 16 ) can fix the position of the protrusion 53 when the inlet 111 is closed. Therefore, the locking device (H, C)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movement of the door 16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let 111 is opened when the door 16 closes the inlet 111 (door It is possible to prevent a gap between the and the inlet).

한편, 도어(16)를 열어 투입구(111)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어(16)를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게 되며, 이 경우 상기 체결바디(75)는 홀더의 돌기(53)에 의해 투입구(111)를 향해 이동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wants to open the inlet 111 by opening the door 16, the user pulls the door 16 away from the inlet 111. In this case, the fastening body 75 is the protrusion 53 of the holder. ) moves toward the inlet 111 by the

상기 체결바디(75)가 투입구(111)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제1탄성체(77)는 체결바디(75)에 고정된 제1바디(71)의 자유단과 제2바디(74)의 자유단에 의해 지지부(8) 방향으로 압축될 것이고, 상기 제1슬라이더(91)와 제2슬라이더(94)는 제2탄성체(981, 983)의 복원력에 의해 투입구(111)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이동할 것이다.When the fastening body 75 moves toward the inlet 111 , the first elastic body 77 has a free end of the first body 71 fixed to the fastening body 75 and a free end of the second body 74 . will be com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8 by the will be.

한편, 상기 체결바디(75)가 상기 투입구(111)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탄성체(77)가 지지부(8) 방향으로 압축되면, 상기 체결바디(75)는 상기 홀더의 수용홈(54)에서 인출되어 상기 제1스토퍼(611)에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에 상기 제1탄성체(77)를 압축시키는 힘을 도어에 입력함으로써 상기 홀더(H)를 상기 결합부(C)에서 분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elastic body 77 is com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8 as the fastening body 75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let 111 is located, the fastening body 75 receives the holder It is drawn out from the groove 54 and is coupled to the first stopper 611 . Accordingly, the user may separate the holder H from the coupling portion C by inputting a force for compressing the first elastic body 77 to the door to the door.

상술한 구조를 가진 잠금장치는 상기 투입구(111)를 폐쇄할 때에는 상기 제2탄성체(981, 983)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힘에 상당한 힘을 요구하고, 상기 투입구(111)를 개방할 때에는 상기 제1탄성체(77)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힘에 상당한 힘을 요구한다.The locking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requires a force corresponding to the force required to compress the second elastic bodies 981 and 983 when the inlet 111 is closed, and when the inlet 111 is opened, the first The force required to compress the elastic body 77 requires a significant force.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탄성체(77) 및 제2탄성체(981, 983)는 상기 제1탄성체(77)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힘이 상기 제2탄성체(981, 983)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힘보다 크게 설정되므로, 본 발명은 상기 투입구(111)를 개방하기 위해 도어에 입력해야 하는 힘이 투입구를 폐쇄하기 위해 도어에 입력해야 하는 힘보다 큰 잠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force required to compress the first elastic body 77 is the force required to compress the second elastic body 981 and 983 in the first elastic body 77 and the second elastic body 981 and 983 . Since it is set larger,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locking device in which the force that must be input to the door to open the inlet 111 is greater than the force that must be input to the door to close the inlet 111 .

한편, 상기 홀더(H)가 결합부(C)에서 분리되기 위해(투입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도어가 이동하기 위해) 체결바디(75)가 투입구(111)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체결바디(75)가 하우징의 전방면(63)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의 전방면(63)에는 체결바디(75)가 하우징(6)의 외부로 인출 가능한 관통홀(631)이 더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astening body 75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let 111 is located, in order for the holder H to be separated from the coupling part C (for the door to move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inlet), the fastening In order to prevent the body 75 from interfering with the front surface 63 of the housing, a through hole 631 through which the fastening body 75 can be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6 is further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63 of the housing. can be

상술한 구조를 가진 잠금장치는 상기 도어(16)가 투입구(111)를 개방한 상태임에도 캐비닛(1)을 통해 하우징(6)으로 외력이 전달될 경우,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In the locking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hen an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housing 6 through the cabinet 1 even when the door 16 is in a state in which the inlet 111 is opened, the fastening body 75 is the first stopper (611) cannot be excluded.

상기 도어(16)가 투입구(111)를 개방한 경우, 도 5와 같이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 지지된 상태가 유지되는 상태를 정상상태라고 할 때, 도 7과 같이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된 상태는 비정상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When the door 16 opens the inlet 111, as shown in FIG. 5, when the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body 75 is supported by the first stopper 611 is maintained as a normal state, as shown in FIG.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body 75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611 may be defined as an abnormal state.

본 발명 잠금장치(H, C)는 체결부(7)가 비정상상태에 있더라도 홀더와 체결부를 결합시킬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데, 앞서 언급한 지지부(8)가 도 2에 도시된 구조로 구비된다면 상기 지지부(8)는 체결부가 비정상상태에 있더라도 홀더와 체결부를 결합시킬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The locking device (H, C) of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a device capable of coupling the holder and the fastening part even if the fastening part 7 is in an abnormal state. If the aforementioned support part 8 is provided with the structure shown in FIG. The support part 8 may be a means for coupling the holder and the fastening part even if the fastening part is in an abnormal stat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8)는 하우징(6)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제1탄성체(77)의 일단이 고정되는 지지바디(87), 상기 지지바디(87)에서 제1스토퍼(611)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89)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support part 8 is rotatably fixed to the housing 6 , the support body 87 to which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body 77 is fixed, and the first in the support body 87 . It may be provided as an extension 89 extending toward the stopper 611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6) 내부에 제1탄성체(77)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플레이트(81)와 제2플레이트(83)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지지바디(87)는 상기 제1플레이트(81)와 제2플레이트(8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a first plate 81 and a second plate 83 that are provid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first elastic body 77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6 are provided. In this case, the support body 87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late 81 and the second plate 83 .

상기 제1플레이트(81)와 제2플레이트(83)는 상기 제1탄성체(77)의 이동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제1탄성체(77)가 위치를 이탈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plate 81 and the second plate 83 provide a movement path of the first elastic body 77 to prevent the first elastic body 77 from being displaced or damaged.

또한, 상기 제1플레이트(81)와 제2플레이트(83)는 상기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된 체결바디(75)가 하우징(6)의 후방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811, 제2스토퍼)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된 체결바디(75)가 상기 연장부(89)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체결바디(75)를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late 81 and the second plate 83 have a stopper 811 for preventing the fastening body 75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611 from moving toward the rear of the housing 6 , The function of the second stopper) may also be performed. In this case, the second stopper may support the fastening body 75 so that the fastening body 75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611 is positioned below the extension part 89 .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1스토퍼(611)를 향하는 제1플레이트의 일면(811)과 상기 제1스토퍼(611)를 향하는 제2플레이트의 일면(8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4는 상기 제2스토퍼가 제1플레이트의 전방면(811) 및 제2플레이트의 전방면(831)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second stopper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one surface 811 of the first plate facing the first stopper 611 and one surface 831 of the second plate facing the first stopper 611, FIG. 4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second stopper is provided as the front surface 811 of the first plate and the front surface 831 of the second plate as an example.

상기 지지바디(87)에는 각 플레이트(81, 83)를 향해 돌출되어 연장부(89)의 된 회전축을 형성하는 축(871)이 구비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81)와 제2플레이트(83)에는 각 축이 수용되는 축지지부(85)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support body 87 is provided with a shaft 871 protruding toward each plate 81 and 83 to form a rotation shaft of the extension 89, and the first plate 81 and the second plate 83 are provided. ) may further include a shaft support portion 85 in which each shaft is accommodated.

물론, 상기 축지지부(85)는 각 플레이트를 향하는 지지바디(87)의 마주보는 양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축(871)은 각각의 플레이트(81, 83)에서 각 축지지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shaft support portion 85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body 87 facing each plate, respectively, and the shaft 871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each plate 81, 83 toward each shaft support portion. it might b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89)는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된 경우, 상기 체결바디(75)가 상기 제1스토퍼(611)와 상기 지지바디(87) 사이에 형성된 공간(P)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다.As shown in FIG. 7 , when the fastening body 75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611 , the extended part 89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fastening body 75 with the first stopper 611 . It is a means for moving to the space (P) formed between the body (87).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면, 상기 체결바디(75)는 상기 제2스토퍼(811, 831)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연장부(89)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16)를 밀어 투입구(111)를 폐쇄하면, 홀더의 돌기(53)는 상기 체결바디(75)를 연장부(89) 방향으로 가압할 것이다.When the fastening body 75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611, the fastening body 75 is supported by the second stoppers 811 and 831 to be positioned below the extension part 89, and In the same state, when the user pushes the door 16 to close the inlet 111 , the protrusion 53 of the holder will press the fastening body 75 in the direction of the extension part 89 .

상기 체결바디(75)가 연장부(89)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체결바디(75)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중 상기 홀더의 돌기(53)가 접촉하는 영역은 경사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facilitate pressurization of the fastening body 75 in the direction of the extension part 89, a region in which the protrusion 53 of the hold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pace formed by the fastening body 75 may be provided with an inclined surface. can

상기 체결바디(75)가 연장부(89)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연장부(89)는 축(871)을 중심으로 체결바디(75)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할 것이므로, 상기 체결바디(75)는 상기 제1스토퍼(611)와 지지바디(87) 사이에 형성된 공간(P,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이동할 것이다.When the fastening body 75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extension 89, the extension 89 will rotate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fastening body 75 about the axis 871, so that the fastening body 75 ) will move to a space (P, a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stopper and the second stopper) formed between the first stopper 611 and the support body 87 .

상기 체결바디(75)가 상기 제1스토퍼(611)와 제2스토퍼(811, 831) 사이에 형성된 공간(P)으로 이동하면, 상기 홀더(H)의 돌기(53)는 이송부(95)와 체결바디(75) 사이로 이동하여 도 6과 같은 상태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홀더(H)에 의하지 않고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더라도 홀더(H)와 결합부(C)를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When the fastening body 75 moves into the space P formed between the first stopper 611 and the second stoppers 811 and 831 , the protrusion 53 of the holder H moves with the transfer part 95 and It will move between the fastening bodies 75 to be in the same state as in FIG. 6 .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couple the holder (H) and the coupling portion (C) even if the fastening body (75)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611) without the holder (H).

한편, 상기 제1스토퍼(611)에는 상기 연장부(89)의 자유단을 지지하는 안착부(613)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안착부(613)는 상기 연장부(89)가 하우징의 하부면에 구비된 하부면 관통홀(62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된다.Meanwhile, the first stopper 611 may further include a seating portion 613 for supporting the free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89 . The seating portion 613 includes the extension portion 89 of the housing. It becomes a means for preventing rot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through-hole 621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상기 연장부(89)가 상기 하부면 관통홀(62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61)에는 지지바디(87)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1홀(615)이 더 구비될 수 있다.As another means for preventing the extension 89 from rotating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through hole 621 , the upper surface 61 of the housing has a first hole for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ody 87 . 615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연장부(89)에는 상기 체결바디(75)가 홀더의 수용홈(54)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체결바디 가압부(88)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extension part 89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body pressing part 88 capable of preventing the fastening body 75 from being drawn out from the receiving groove 54 of the holder.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바디 가압부(88)는 상기 연장부(89)의 하부면(상기 체결바디가 위치되는 방향에 위치된 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데,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면 상기 체결바디 가압부(88)는 상기 체결바디(75)를 상기 홀더의 수용홈(54) 방향으로 가압한다.As shown in FIG. 6 , the fastening body pressing part 88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extended part 89 (the face positio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stening body is positioned), and the fastening body 75 )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611 , the fastening body pressing part 88 presses the fastening body 75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groove 54 of the holder.

상기 연장부(89)는 제1탄성체(77)에 의해 안착부(613)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것이고, 상기 체결바디 가압부(88)는 상기 체결바디(75)의 상단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것이므로, 본 발명 잠금장치(H, C)는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경우 도어에 외력이 입력되지 않는 한 상기 체결바디(75)가 홀더(H)의 수용홈(54)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extension part 89 will mainta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seating part 613 by the first elastic body 77 , and the fastening body pressing part 88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fastening body 75 . Therefore, the locking device (H, C)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body 75 is the receiving groove 54 of the holder (H) unless an external force is input to the door when the door 16 closes the inlet 111. ) to prevent separation from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61)에는 상기 연장부(89)가 회전할 때 연장부의 자유단이 하우징의 상부면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홀(617)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61 of the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hole 617 for preventing the free end of the extension from interfering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when the extension 89 rotates.

상기 제1플레이트(81)와 제2플레이트(83)에 더해 상기 하우징(6)에는 상기 제1탄성체(77)의 이동을 안내하는 탄성체 가이더(64)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탄성체 가이더(6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플레이트(81, 83)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first plate 81 and the second plate 83, the housing 6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guide 64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elastic body 77, the elastic guider ( 64 , as shown in FIG. 2 , may be located above each of the plates 81 and 83 .

한편, 상술한 구조를 가진 잠금장치(H, C)는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2스토퍼(811, 831)에 충돌하므로, 체결바디가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소리신호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체결바디(75)가 제2스토퍼(811, 831)에 충돌하는 신호를 통해 투입구(111)가 도어(16)에 의해 폐쇄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locking devices H and C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ollide with the second stoppers 811 and 831 when the fastening body 75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611, the fastening body moves from the first stopper. It generates a sound signal indicating whether it is separated or not. 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whether the inlet 111 is closed by the door 16 through the signal that the fastening body 75 collides with the second stoppers 811 and 831 .

도어가 닫혔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소리신호는 클수록 유리하겠지만, 이 경우 체결바디(75)나 제2스토퍼(811, 831)의 파손이 우려되므로 소리신호의 크기를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The louder the sound signal for confirming whether the door is closed, the more advantageous it is, but in this case, there is a risk of damage to the fastening body 75 or the second stoppers 811 and 831, so it is necessary to appropriately adjust the size of the sound signal.

상기 체결바디(75)가 제2스토퍼(811, 831)에 충돌하는 소리신호의 크기는 상기 제1탄성체(77)의 복원력에 따라 결정되고, 본 발명 잠금장치는 제1탄성체(77)의 복원력을 줄이기 힘든 구조이기 때문에 체결바디(75)가 제2스토퍼(811, 831)에 충돌하는 소리의 크기를 줄이려면 별도의 완충수단을 잠금장치에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gnitude of the sound signal that the fastening body 75 collides with the second stoppers 811 and 831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body 77, and the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body 77. Since the structure is difficult to reduc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separate buffer means to the locking device in order to reduce the volume of the sound that the fastening body 75 collides with the second stoppers 811 and 831.

도 8은 완충수단의 일례로 제2스토퍼(811, 831) 또는 지지부(8)에 구비되는 댐퍼(84)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FIG. 8 shows the damper 84 provided in the second stoppers 811 and 831 or the support part 8 as an example of the buffer means.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송부(95)에 의해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는 체결바디(75)는 제2스토퍼(811, 831)에 충돌하고, 이 과정에서 소리신호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체결바디(75)가 제2스토퍼(811, 831)에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 중 일부를 흡수하는 댐퍼(84)가 제2스토퍼(811, 831)에 구비된다면, 체결바디나 제2스토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체결바디가 제2스토퍼에 충돌할 때 발생하는 소리신호가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astening body 75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611 by the transfer unit 95 collides with the second stoppers 811 and 831, and a sound signal is generated in this process. Therefore, if the second stoppers 811 and 831 are provided with a damper 84 that absorbs some of the shocks generated when the fastening body 75 collides with the second stoppers 811 and 831, the fastening body or the second stoppers 811 and 831 are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eakage of the second stopper as well as prevent the sound signal generated when the fastening body collides with the second stopper from increasing more than necessary.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면 상기 댐퍼(84)는 어떠한 재질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고무가 그 일례가 될 수 있다.If the above-described function can be implemented, the damper 84 may be made of any material, and rubber may be an example thereof.

도 8의 상측에 도시된 실시예는 체결바디(75)가 제2스토퍼(811, 831)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 가능한 것이 특징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댐퍼(84)는 지지바디(87)에 구비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댐퍼(84)는 수용부(82)를 통해 연장부(89)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8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stening body 75 from colliding with the second stoppers 811 and 831, and the damper 84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ttached to the support body 87. provided That is, the damper 8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89 through the receiving portion 82 .

상기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된 체결바디(75)는 지지부에 구비된 연장부(89)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지지부(7)에 상기 체결바디(75)와 제2스토퍼(811, 831)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댐퍼(84)가 구비되면 체결바디(75)가 제2스토퍼(811, 831)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fastening body 75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611 is located below the extension part 89 provided in the support part, the fastening body 75 and the second stopper 811 are attached to the support part 7 . , 831), if provided with a damper 84 to separate the distance between the fastening body 75 can prevent the second stoppers (811, 831) to collide.

한편, 본 발명 잠금장치가 식기세척기(100)와 같은 가전기기에 구비될 경우, 상기 식기세척기에는 도어(16)가 닫혔을 때 상기 투입구(111)를 실링하는 가스켓(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home appliance such as the dishwasher 100, the dishwasher may further include a gasket 17 for sealing the inlet 111 when the door 16 is closed. have.

상기 가스켓(17)은 상기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때 상기 투입구(111)를 통해 터브(11) 내부의 공기나 물이 터브(11)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The gasket 17 is a means for preventing the air or water inside the tub 11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tub 11 through the inlet 111 when the door 16 closes the inlet 111 . to be.

이를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11)의 내부에는 가스켓(17)이 고정되는 가스켓 고정부(1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고정부(113)는 터브(11)의 내주면에서 돌출된 뒤 도어(15)를 향해 절곡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9 , a gasket fixing part 113 to which the gasket 17 is fixed may be provided inside the tub 11 . The gasket fixing part 113 may be provided by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11 and then bent toward the door 15 .

이 경우, 상기 가스켓 고정부(113)는 상기 투입구(111)와 터브(11) 내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홀(115)을 형성하게 될 것이고, 사용자는 연통홀(115)을 통해 터브(11) 내부에 위치된 랙(191, 193)을 터브의 외부로 인출하게 될 것이다.In this case, the gasket fixing part 113 will form a communication hole 115 for communicating the inlet 111 and the inside of the tub 11 , and the user may use the communication hole 115 inside the tub 11 . The racks 191 and 193 located in the tub will be drawn out of the tub.

상기 연통홀(115)이 가스켓 고정부(113)에 의해 형성될 경우, 상기 도어(16)는 식기세척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제1바디(161), 상기 도어 제1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연통홀(115)을 향해 돌출된 도어 제2바디(163), 상기 도어 제2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 제1바디가 투입구(111)를 폐쇄하면 상기 연통홀(115)을 폐쇄하는 폐쇄면(167)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잠금장치에 구비된 홀더(H)는 도어 제2바디(163)의 상부면(1631)에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communication hole 115 is formed by the gasket fixing part 113 , the door 16 is fixed to the door first body 161 forming the exterior of the dishwasher and the door first body to communicate the communication hole 115 . The door second body 163 protruding toward the hole 115, the closing surface 167 provided on the door second body and closing the communication hole 115 when the first door body closes the inlet 111 ) may be provided to include. In this case, the holder H provided in the locking device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631 of the door second body 163 .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켓(17)은 상기 가스켓 고정부(113)에 삽입되는 고정부(171), 상기 고정부에 구비되어 도어 제2바디(163)와 연통홀(115) 사이에 위치하는 실링부(173)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 the gasket 17 includes a fixing part 171 inserted into the gasket fixing part 113 , and provided in the fixing part between the door second body 163 and the communication hole 115 . It may be provided with a sealing part 173 located in the .

상술한 구조를 가진 식기세척기는 상기 도어 제1바디(161)가 투입구(111)를 폐쇄하면, 상기 도어 제2바디에 구비된 폐쇄면(167)은 연통홀(115)을 폐쇄하고, 상기 실링부(173)는 상기 폐쇄면(167)과 연통홀(115) 사이에서 압착된다. 따라서, 상기 터브(11) 내부의 공기나 물은 터브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In the dishwasher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hen the first door body 161 closes the inlet 111, the closing surface 167 provided on the second door body closes the communication hole 115, and the sealing The part 173 is compressed between the closing surface 167 and the communication hole 115 . Accordingly, the air or water inside the tub 11 is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tub.

한편, 본 발명 잠금장치(H, C)에 의해 실링부(173)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장치에 구비된 이송부(95)의 이동범위는 실링부(173)에 접촉하지 않도록 설정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the sealing part 173 from being damaged by the locking device (H, C)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range of the transfer part 95 provided in the locking device should be set not to contact the sealing part 173. do.

상기 잠금장치에 구비된 홀더(H)는 도어 제2바디의 상부면(1631)에 위치하고, 투입구(111)가 폐쇄될 때 결합부(C)에 구비된 이송부(95)는 홀더의 돌기(53)에 의해 투입구(111)에서 연통홀(115)을 향해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부(95)의 이동범위가 상기 도어 제2바디의 상부면(1631)을 벗어나도록 설정되면,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할 때 이송부(95)가 실링부(173)에 접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실링부(173)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구비된 이송부(95)의 이동범위는 상기 도어 제1바디(161)와 도어 제2바디에 구비된 폐쇄면(167)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벗어나지 않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The holder (H) provided in the locking device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1631 of the second body of the door, and when the inlet 111 is closed, the transfer part 95 provided in the coupling part C is the protrusion 53 of the holder. ) from the inlet 111 to the communication hole 115 is provided to move. Accordingly, when the movement range of the transfer unit 95 is set to be out of the upper surface 1631 of the door second body, the transfer unit 95 closes the inlet 111 when the door 16 closes the sealing part 173 . ), there is a risk that the sealing portion 173 may be damaged due to this. In conclus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ement range of the transfer unit 95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so as not to deviate from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closing surface 167 provided on the door first body 161 and the door second body.

도 10은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부가 구비된 가전기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구비된 감지부는 제1감지부(S1) 및 제2감지부(S2)로 구비될 수 있다.10 shows an example of a home appliance provided with a sens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oor 16 has closed the inlet 111. The sensing unit provided in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sensing unit S1 and the second sensing unit. It may be provided as a sensing unit (S2).

상기 제1감지부(S1)는 도어(16)에 구비되는 제1자석(S11), 캐비닛(1)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자석의 자력이 감지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신호발생부(S13)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감지부(S2)는 도어(16)에 구비되는 제2자석(S21), 캐비닛(1)에 구비되어 제2자석의 자력이 감지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신호발생부(S23)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detection unit S1 includes a first magnet S11 provided in the door 16 and a first signal generator provided in the cabinet 1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magnet is sensed ( S13), and the second sensing unit S2 is provided in the second magnet S21 provided in the door 16 and the cabinet 1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magnetic force of the second magnet is sensed. It may be provided as a second signal generator (S23).

상기 제1신호발생부(S13)는 제1자석(S11)이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위치한 때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하는 수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신호발생부(S23)는 제2자석(S21)이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위치한 때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신호발생부(S13)와 상기 제2신호발생부(S23)는 각 자석(S11, S21)이 제공하는 자력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자력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에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signal generating unit (S13) is provided as a means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first magnet (S11) is located within a preset range and transmitting it to a control unit (not shown), and the second signal generating unit (S23) may be provided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 it to a control unit (not shown) when the second magnet S21 is located within a preset range.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orce provided by the magnets S11 and S2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reference magnetic force, the first signal generating unit S13 and the second signal generating unit S23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to the control unit It may be provided to transmit to.

상술한 감지부는 제1감지부(S1)와 제2감지부(S2) 중 어느 하나로만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의 감지부를 구비하면, 어느 하나의 감지부가 고장난 경우에도 제어부가 투입구(111)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described sensing unit may be provided with only one of the first sensing unit S1 and the second sensing unit S2. However, if two or more sensing units are provided as shown in FIG. 10 , the control unit will be able to determine whether the inlet 111 is opened or closed even if any one of the sensing units fails.

한편, 상술한 감지부가 식기세척기에 구비될 경우, 제어부는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했는지 여부에 따라 식기세척기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도어(16)에 의해 투입구(111)가 폐쇄된 경우에만 펌프(4)나 스팀공급부(25)를 작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투입구(111)가 폐쇄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는 알림부(스피커, 표시부 등)를 통해 사용자에게 이를 통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when the above-described sensing unit is provided in the dishwasher,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ishwasher according to whether the door 16 closes the inlet 111 . That is, the controller may operate the pump 4 or the steam supply unit 25 only when the inlet 111 is closed by the door 16 . Furthermore, when the inlet 111 is not closed, the control unit may notify the user through a notification unit (speaker, display unit, etc.).

도 10에 도시된 제1감지부(S1) 및 제2감지부(S2)는 모두 도어가 투입구(111)를 개폐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나, 제1감지부(S1)와 제2감지부(S2) 중 어느 하나는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되고,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 중 나머지 하나는 체결부(7)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first detection unit S1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S2 shown in FIG. 10 are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the door has opened or closed the inlet 111, the first detection unit S1 and one of the second sensing units (S2) is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the door has opened the inlet, and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units is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the fastening unit (7) operates. it might be

이는 도 7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체결바디(76)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는 경우를 고려한 것이다. 이 경우, 제어부는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투입구(111)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 중 나머지 하나를 통해 체결부의 작동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된 경우, 상기 알림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에게 이를 통지할 수 있다.This is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in which the fastening body 76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611 even though the door 16 does not close the inlet 111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inlet 111 is opened or closed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detection unit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and determines whether the fastening unit operates through the other one of the first detection unit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Thus, when the fastening body 75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611 by an external force,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user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not shown).

즉, 제어부는 제1감지부(S1)와 제2감지부(S2) 모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한 경우, 도어가 정상적으로 투입구(111)를 폐쇄한 것으로 판단할 것이다. 그러나, 두 감지부(S1, S2) 중 어느 하나만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알림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도어가 정상적으로 투입구를 폐쇄하지 못한 상황임을 통지할 수 있다.That is, when both the first detection unit S1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S2 transmit electrical signals, the control unit will determine that the door normally closes the inlet 111 . However, when only one of the two sensing units S1 and S2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the notification unit may notify the user that the door fails to close the inlet normally.

상기 체결부(7)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감지부는 체결부(7)의 제1바디(71)나 제2바디(7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자석,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된 경우 상기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fastening part 7 operates is a magnet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body 71 and the second body 74 of the fastening part 7, and the fastening body 75 is the first When separated from the stopper 611, it may be provided as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by sens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또한, 상기 체결부(7)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감지부는 제1슬라이더(91)나 제2슬라이더(9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자석,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시키는 위치로 상기 슬라이더(91, 94)가 이동하면 상기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fastening part 7 operates is a magnet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slider 91 and the second slider 94 , and the fastening body 75 includes the first stopper 611 . ), when the sliders 91 and 94 are moved to the separating position, it may be provided as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by sens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도 11은 감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는 체결부(7)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제1감지부(S1), 도어가 투입구(111)를 폐쇄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감지부(S2)로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11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sensing unit, the sensing uni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sensing unit S1 for determining whether the fastening unit 7 operates, and whether the door closes the inlet 111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as a second sensing unit (S2) for judging.

본 실시예에 구비된 제1감지부(S1)는 캐비닛(1) 또는 하우징(6) 등에 고정되는 제1케이스(S15), 상기 제1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스위치(S19),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1바디(71)나 제2바디(7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하여 상기 제1스위치(S19)를 작동시키는 제1가압부(S17)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sensing unit S1 provided in this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ase S15 fixed to the cabinet 1 or housing 6, etc., and a first switch provided inside the first case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 S19), when the fastening body 75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611, it contacts at least one of the first body 71 and the second body 74 to operate the first switch S19. It may be provided as a first pressing unit (S17).

따라서,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1가압부(S17)는 상기 제1스위치(S19)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스위치(S19)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에 전송하므로 제어부는 체결부(7)의 작동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astening body 75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611, the first pressing unit S17 operates the first switch S19, and the first switch S19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Since it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can detect whether the fastening unit 7 operates.

한편, 본 실시예에 구비된 제2감지부(S2)는 도 10의 실시예에 구비된 제2감지부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구비된 제2감지부(S2)는 도어(16)에 구비되는 제2자석(S21), 캐비닛(1)에 구비되어 제2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제2신호발생부(S23)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sensing unit S2 provided in this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sensing unit provided in the embodiment of FIG. 10 . That is, the second sensing unit S2 provided in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second magnet S21 provided in the door 16 and the second signal generator provided in the cabinet 1 to detect the magnetic force of the second magnet. (S23) may be provided.

이 경우, 상기 제2신호발생부(S23)는 제2자석(S21)이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위치한 때(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하는 위치까지 이동한 때)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하게 될 것이다.In this case, the second signal generating unit (S23)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second magnet (S21) is located within a preset range (when the door moves to a position to close the inlet)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will be sent

다만, 도 11의 제2감지부(S2)는 제1감지부(S1)와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감지부(S2)는 캐비닛(1) 또는 하우징(6)에 고정되는 제2케이스, 상기 제2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스위치, 상기 도어가 투입구(111)를 폐쇄하면 도어에 접촉하여 상기 제2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제2가압부로 구비될 수도 있다.However, the second sensing unit S2 of FIG. 11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sensing unit S1 . In this case, the second sensing unit S2 includes a second case fixed to the cabinet 1 or housing 6, a second switch provided inside the second case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door 111) may be provided as a second pressing unit that contacts the door and operates the second switch.

따라서, 제어부는 제1감지부(S1)와 제2감지부(S2)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받으면, 도어가 정상적으로 투입구(111)를 폐쇄한 것으로 판단하고, 두 감지부(S1, S2) 중 어느 하나에서만 전기적 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알림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도어가 정상적으로 투입구를 폐쇄하지 못한 상황임을 통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first sensing unit S1 and the second sensing unit S2,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normally closes the inlet 111, and any of the two sensing units S1 and S2 is determined. When only one electric signal is transmitted, the notification unit may notify the user that the door has not normally closed the inlet.

도 12와 도 13은 감지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구비된 감지부 역시 체결부(7)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제1감지부(S1), 상기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감지부(S2)로 구비된다.12 and 13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sensing unit, the sensing unit provided in this embodiment also includes the first sensing unit S1 for determining whether the fastening unit 7 operates, and the door 16 is provided as a second detection unit (S2)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inlet 111 is closed.

본 실시예에 구비된 제1감지부(S1)는 슬라이더(91, 94)의 이동 여부를 통해 체결부(7)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특징으로, 캐비닛(1) 또는 하우징(6)에 고정되는 제1케이스(S15), 상기 체결바디(75)를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시키는 위치로 슬라이더(91, 94)가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가압되는 제1가압부(S17), 상기 제1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제1가압부(S17)가 슬라이더(91, 94)에 접촉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스위치(S19)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sensing unit S1 provided in this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whether the fastening unit 7 operates based on whether the sliders 91 and 94 are moved. When the sliders 91 and 94 move to a position that separates the fastening body 75 from the first stopper 611, the first pressing part S17 is pressed by the slider, It may be provided as a first switch (S19) provided inside the first case and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first pressing unit (S17)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liders (91, 94).

상기 제1가압부(S17)는 제1슬라이더(91)와 제2슬라이더(9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2는 체결바디(75)를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시키는 위치로 제1슬라이더(91)가 이동한 경우, 제1가압부(S17)는 상기 제1슬라이더(91)에 접촉하고, 제1스위치(S19)는 상기 제1가압부(S17)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first pressing unit S17 may be provided to sense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lider 91 and the second slider 94 . 12 shows when the first slider 91 is moved to a position that separates the fastening body 75 from the first stopper 611, the first pressing part S17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lider 91, A case in which the first switch S19 is provided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by the first pressing unit S17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구비된 제2감지부(S2)는 하우징(6)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게 구비된 감지바디(S22), 상기 하우징(6)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슬릿(623)에 삽입되어 일단은 하우징(6)의 외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감지바디(S22)에 고정된 돌출바디(S24), 상기 감지바디(S22)를 투입구(111)가 위치된 방향(하우징의 전방면)으로 가압하는 바디지지부(S28), 상기 감지바디(S22)에서 돌출된 접촉부(S26), 캐비닛(1) 또는 하우징(6)에 고정되는 제2케이스(S25, 도 12 참고), 상기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상기 접촉부(S26)에 의해 가압되는 제2가압부(S27), 상기 제2케이스(S25)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가압부(S27)가 감지바디(S22)에 접촉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스위치(S29)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 the second sensing unit S2 provided in this embodiment includes a sensing body S22 reciprocally provided inside the housing 6 , and a slit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housing 6 . Inserted in 623, one end is located outside the housing 6, and the other end is a protruding body S24 fixed to the sensing body S22, and the sensing body S22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let 111 is located (housing). of the body support part (S28) that presses against the front surface of the sensor body (S22), the contact part (S26) protruding from the sensing body (S22), the second case (S25, see FIG. 12) fixed to the cabinet (1) or housing (6), When the door 16 moves to a position where the inlet 111 is closed, the second pressing part S27 is pressed by the contact part S26, and the second pressing part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case S25. (S27) may be provided as a second switch (S29)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when in contact with the sensing body (S22).

따라서,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하면, 상기 돌출바디(S24)는 도어 제2바디(163)와 함께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돌출바디(S24)에 의해 상기 감지바디(S22)는 하우징(6)의 후방을 향해 이동할 것이다. 상기 감지바디(S22)가 하우징(6)의 후방을 향해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접촉부(S26)는 제2가압부(S27)에 접촉하고, 제2가압부(S27)에 의해 제2스위치(S29)는 제어부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할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했는지 여부를 상술한 제2감지부(S2)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door 16 closes the inlet 111, the protruding body S24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111 together with the door second body 163, and in the protruding body S24. By this, the sensing body S22 will move toward the rear of the housing 6 . While the sensing body S22 moves toward the rear of the housing 6, the contact portion S26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pressing portion S27, and the second switch S29 by the second pressing portion S27. will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to the control unit.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door 16 has closed the inlet 111 through the above-described second sensing unit S2.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but the scope of the rights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refore, if the modified embodiment includes th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식기세척기 1: 캐비닛 11: 터브
111: 투입구 13: 섬프 16: 도어
21: 상부암 23: 하부암 25: 스팀공급부
3: 공급유로 4: 펌프 41: 펌프바디
42: 격벽 43: 격벽 관통홀 45: 임펠러
47: 가열부 H, C: 잠금장치 H: 홀더
51: 홀더바디 52: 연장바디 53: 돌기
54: 수용홈 C: 결합부 6: 하우징
61: 상부면 611: 제1스토퍼 613: 안착부
62: 하부면 621: 하부면 관통홀 7: 체결부
71: 제1바디 711: 제1바디 경사면 713: 제1결합홈
74: 제2바디 741: 제2바디 경사면 743: 제2결합홈
75: 체결바디 77: 제1탄성체 8: 지지부
81: 제1플레이트 83: 제2플레이트 85: 축지지부
87: 지지바디 871: 축 89: 연장부
9: 작동부 91: 제1슬라이더 94: 제2슬라이더
95: 이송부 96: 제1가이더 961제1바
963제1수용부 97: 제2가이더 971제2바
973제2수용부 913: 제1바디 가압부 943: 제2바디 가압부
981: 제1스프링 983: 제2스프링
100: dishwasher 1: cabinet 11: tub
111: inlet 13: sump 16: door
21: upper arm 23: lower arm 25: steam supply unit
3: supply path 4: pump 41: pump body
42: bulkhead 43: bulkhead through hole 45: impeller
47: heating part H, C: locking device H: holder
51: holder body 52: extension body 53: projection
54: receiving groove C: coupling part 6: housing
61: upper surface 611: first stopper 613: seating part
62: lower surface 621: lower surface through hole 7: fastening part
71: first body 711: first body inclined surface 713: first coupling groove
74: second body 741: second body inclined surface 743: second coupling groove
75: fastening body 77: first elastic body 8: support part
81: first plate 83: second plate 85: shaft support
87: support body 871: shaft 89: extension
9: operation part 91: first slider 94: second slider
95: transfer unit 96: first guider 961 first bar
963 first receiving unit 97: second guider 971 second bar
973 second accommodating part 913: first body pressing part 943: second body pressing part
981: first spring 983: second spring

Claims (24)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에 도어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홀더;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1스토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할 때 상기 홀더에 의해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작동부;
상기 제1스토퍼에 지지되며, 상기 작동부가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어 상기 홀더에 결합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를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
상기 작동부를 상기 투입구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2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스토퍼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홀더에 결합하는 체결바디; 및 상기 체결바디의 마주보는 양단으로부터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홀더의 이동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된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를 연결하며 상기 홀더에 의해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부; 및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에 접촉하여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바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A locking device for removably fixing a door to a cabinet equipped with an inlet, the locking device comprising:
a holder provided in any one of the cabinet and the door;
a housing provided in the other one of the cabinet and the door;
a first stopper provided in the housing;
an operation unit provided reciprocally in the housing and mov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by the holder when the door closes the inlet;
a fastening part supported by the first stopper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and coupled to the holder when the operating part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a first elastic body providing a force for moving the fastening par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Containing;
The fastening part is provided detachably to the first stopper, the fastening body coupled to the holder when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and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extending from opposite ends of the fastening body toward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a first slider and a second slider that is provided reciprocally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old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accommodated; a transfer unit connecting the first slider and the second slider and mov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by the holder; and a body pressing part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slider and the second slider to contact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ransfer part to separate the fastening body from the first stopper. A locking device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체는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 지지되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작동부가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압축되며,
상기 제1탄성체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힘은 상기 제2탄성체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힘보다 더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lastic body maintains a compressed state when the fastening body is supported by the first stopper, and moves the fastening body away from the inlet when the fastening body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The second elastic body is compress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slider and the second slider while the operation part moves to a position where the fastening body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The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ce required to compress the first elastic body is set to be greater than the force required to compress the second elastic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체결바디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and a second stopper provided in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restrict movement of the fastening body when the fastening body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제1탄성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1스토퍼를 향하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면과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position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first elastic body is accommodated;
The second stopper is a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plate facing the first stopp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에서 상기 제1스토퍼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체는 일단은 상기 지지바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된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연장부의 하부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 support body rotatably fixed to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support body toward the first stopper; further comprising,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body is fixed to the support body,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he second stopper is a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body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is positioned below the extens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디와 상기 제2스토퍼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바디와 상기 제2스토퍼의 충돌 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and a damper provided on any one of the fastening body and the second stopper to mitigate an impact generated when the fastening body and the second stopper collid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2스토퍼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and a damper fixed to the support body to prevent the fastening body from colliding with the second stopp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연장부의 자유단을 지지하여 상기 연장부의 자유단이 상기 제1스토퍼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stopper may further include a seating portion supporting the free end of the extension to prevent the free end of the extension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top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가압부는
상기 제1슬라이더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가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제1바디를 가압하는 제1바디 가압부; 및
상기 제2슬라이더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가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제2바디를 가압하는 제2바디 가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ressing part
a first body pressing unit provided on the first slider and pressing the first body so that the fastening body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when the conveying unit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and
a second body pressing unit provided on the second slider and pressing the second body so that the fastening body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when the conveying unit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되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가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제1바디 가압부에 접촉하는 제1바디 경사면; 및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되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가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제2바디 가압부에 접촉하는 제2바디 경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a first body inclined surface provided on the first body and inclined up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and contacting the first body pressing unit when the transfer unit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and
a second body inclined surface provided on the second body and inclined up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and contacting the second body pressing unit when the transfer unit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제1슬라이더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수용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제2슬라이더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2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accommodating part provided in the housing and providing a movement path of the first slider;
The lock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a second accommodating part provided in the housing and providing a movement path of the second slid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제1수용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슬라이더를 상기 투입구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를 상기 투입구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cond elastic body is
a first spring provided insid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to press the first slider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and
a second spring provided inside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to press the second slider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A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슬라이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바;
상기 제2슬라이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bar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first slider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first slider;
and a second bar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slider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econd slid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제1바가 삽입되며, 상기 제1슬라이더를 상기 투입구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2바가 삽입되며, 상기 제2슬라이더를 상기 투입구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cond elastic body is
A first spring into which the first bar is inserted and pressurizing the first slider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and
a second spring into which the second bar is inserted and for pressing the second slider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A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자석;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제1자석의 자력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신호발생부;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자석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2자석;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제2자석의 자력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신호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magnet provided in any one of the door and the cabinet;
a first signal generator provided in the other one of the door and the cabinet, and sensing a magnetic force of the first magnet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door closes the inlet;
a second magnet provided in any one of the door and the cabinet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 with the housing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second signal generator provided in the other one of the door and the cabinet and configured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by sens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second magnet when the door closes the inlet.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감지부;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detec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fastening body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The lock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a second detec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oor has closed the inle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는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하는 제1가압부;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제1가압부에 접촉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first sensing unit
a first pressing part contac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when the fastening body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and a first switch that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pressing uni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는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는 위치까지 상기 작동부가 이동하면,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하는 제1가압부;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제1가압부에 접촉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first sensing unit
a first pressing unit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slider and the second slider when the operation unit moves to a position where the fastening body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and a first switch that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slider and the second slid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pressing uni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부는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자석;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second sensing unit
a magnet provided in any one of the door and the cabinet;
and a signal generator provided in the other one of the door and the cabinet, the signal generator sens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door closes the inle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는 감지바디;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도어에 접촉하여 상기 감지바디를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돌출바디;
상기 돌출바디를 상기 투입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바디지지부;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감지바디에 접촉하는 제2가압부;
상기 감지바디가 상기 제2가압부에 접촉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second sensing unit
a sensing body reciprocally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 protruding body that, when the door moves in a direction to close the inlet, contacts the door and moves the sensing body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a body support unit providing a force for moving the protruding body in a direction toward the inlet;
When the door closes the inlet, a second pressing unit in contact with the sensing body;
and a second switch that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sensing bod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pressing unit.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수납대상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와 상기 투입구를 연통시키는 연통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제1바디, 상기 도어 제1바디에서 상기 터브를 향해 돌출된 도어 제2바디, 상기 도어 제2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 제1바디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연통홀을 폐쇄하는 폐쇄면이 구비된 도어;
상기 연통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도어 제1바디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폐쇄면과 상기 연통홀의 가장자리 사이에서 압착되는 실링부;
상기 도어에 구비된 홀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와 상기 연통홀 사이에 위치되는 제1스토퍼;
상기 제1스토퍼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홀더에 결합하는 체결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도어 제1바디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홀더에 접촉하여 상기 연통홀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이동하며, 상기 연통홀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동안 상기 체결부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작동부;
상기 체결부를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
상기 작동부를 상기 투입구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2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스토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홀더에 결합하는 체결바디; 및 상기 체결바디의 마주보는 양단으로부터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된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를 연결하며 상기 홀더에 의해 상기 연통홀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이송부; 및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하여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바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a cabinet with an inlet;
a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forming a storage space for a storage object;
a communication hole for communicating the tub and the inlet;
A door first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 door second body protruding from the door first body toward the tub, is provided in the door second body, and when the door first body closes the inlet, the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a door provided with a closing surface to close;
a sealing part provided along the edge of the communication hole and compressed between the closing surface and the edge of the communication hole when the door first body closes the inlet;
a holder provided on the door;
a housing provided in the cabinet;
a first stopper provided in the housing and positioned between the inlet and the communication hole;
a fastening part detachably supported by the first stopper and coupled to the holder when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It is provided reciprocally inside the housing, and when the door first body moves in a direction to close the inlet,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older and moves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mmunication hole is located,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mmunication hole is located an operation part for separating the fastening part from the first stopper while moving toward the first stopper;
a first elastic body providing a force for moving the fastening par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Containing;
The fastening un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stopper, and when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a fastening body coupled to the holder; and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extending from opposite ends of the fastening body toward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a first slider and a second slider that is provided reciprocally in the housing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accommodated; a transfer unit connecting the first slider and the second slider and moving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mmunication hole is located by the holder;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slider and the second slider to separate the fastening body from the first stopper by contac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ransfer part. Home appliance comprising a; body pressing unit.
삭제delete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왕복운동 범위는 상기 폐쇄면이 상기 연통홀을 폐쇄했을 때 상기 실링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reciprocating motion range of the transfer unit is set so that the closing surface does not contact the sealing unit when the communication hole is closed.
KR1020160037156A 2016-01-05 2016-03-28 Locker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KR1024357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6385301A AU2016385301B2 (en) 2016-01-05 2016-12-30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PCT/KR2016/015570 WO2017119677A1 (en) 2016-01-05 2016-12-30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EP17150183.6A EP3190249B1 (en) 2016-01-05 2017-01-03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US15/398,213 US9924850B2 (en) 2016-01-05 2017-01-04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CN201710006882.6A CN107023226B (en) 2016-01-05 2017-01-05 Lock and the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with the 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01256 2016-01-05
KR1020160001256 2016-0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105A KR20170082105A (en) 2017-07-13
KR102435757B1 true KR102435757B1 (en) 2022-08-25

Family

ID=59352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156A KR102435757B1 (en) 2016-01-05 2016-03-28 Locker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435757B1 (en)
CN (1) CN107023226B (en)
AU (1) AU2016385301B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8878B (en) * 2018-08-29 2021-04-06 瀚乐电子机械(南京)有限公司 Door lock for electric appliance
KR102139368B1 (en) * 2020-02-11 2020-07-30 주식회사 이노프 The locking structure of sliding type
KR102139374B1 (en) * 2020-02-11 2020-07-30 주식회사 이노프 The locking structure of sliding type
KR102139371B1 (en) * 2020-02-11 2020-07-30 주식회사 이노프 The locking structure of sliding typ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30284A1 (en) * 2001-08-09 2003-02-13 Prada Luis Esteba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curing a dishwasher doo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7718B1 (en) * 1992-02-24 1995-12-01 Thirode Grandes Cuisines Poligny DEVICE FOR CLOSING A MOBILE PANEL IN RELATION TO A FIXED FRAME.
WO1995009958A1 (en) * 1993-10-06 1995-04-13 Ladislav Stephan Karpisek Improvements in universal locks
CN2392893Y (en) * 1999-07-12 2000-08-23 夏辉 Self-encoded safe built in wall
US7306266B2 (en) * 2004-03-05 2007-12-11 Illinois Tool Works, Inc. Appliance latch having a rotating latch hook mounted on a linear slide
CN101163437B (en) * 2005-04-19 2010-12-29 Bsh博世和西门子家用器具有限公司 Closing mechanism for door or lid for household appliance
KR20090126456A (en) * 2008-06-04 2009-12-09 (주)엔티텍 Door lock of washing machine
KR100960245B1 (en) * 2008-06-04 2010-06-01 (주)엔티텍 Door Locks for Drum Washing Machines
IT1402674B1 (en) * 2010-11-08 2013-09-13 Eltek Spa DOOR LOCK DEVICE FOR HOUSEHOLD APPLIANCES AND BISTABLE MECHANIS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30284A1 (en) * 2001-08-09 2003-02-13 Prada Luis Esteba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curing a dishwasher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105A (en) 2017-07-13
AU2016385301A1 (en) 2018-07-12
CN107023226A (en) 2017-08-08
AU2016385301B2 (en) 2019-08-29
CN107023226B (en) 2019-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1782B2 (en)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US9924850B2 (en)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KR102435757B1 (en) Locker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US9650737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0604879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1968311B1 (en) Dishwasher
US969554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79063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0925461B2 (en) Dishwasher
KR102611055B1 (en) Locker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KR102455188B1 (en) Locker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US10753130B2 (en) Garment processing device
KR102722277B1 (en) Dish washer
AU2017239948A1 (en)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US10753131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laundry
US10912440B2 (en) Dishwasher
US11168427B2 (en) Garment 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3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3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2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8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