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535B1 - Scaffolding for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Scaffolding for constr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5535B1
KR102435535B1 KR1020200171587A KR20200171587A KR102435535B1 KR 102435535 B1 KR102435535 B1 KR 102435535B1 KR 1020200171587 A KR1020200171587 A KR 1020200171587A KR 20200171587 A KR20200171587 A KR 20200171587A KR 102435535 B1 KR102435535 B1 KR 102435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support
guard
lower vertical
supports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5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81749A (en
Inventor
성원홍
Original Assignee
성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원홍 filed Critical 성원홍
Priority to KR1020200171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535B1/en
Publication of KR20220081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7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5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7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elements, e.g. cub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1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bars or members which are parallel or in end-to-end re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4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positive engagement, e.g. hook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상측 수직 지지대 및 상기 상측 수직 지지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 지지대를 갖는 상부 프레임, 복수의 하측 수직 지지대 및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 지지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측 수직 지지대와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상측 수직 지지대와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은 하부가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와 함께 프레스 가공이 이루어지고, 이에 의해 복수의 내향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와 일체를 이루는, 건축용 비계 조립체를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pper frame having a plurality of upper vertical supports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supports connecting between the upper vertical supports, a plurality of lower vertical supports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supports connecting between the lower vertical supports. at least one lower frame and a connector inserted into the upper vertical support and the lower vertical support to connect the upper vertical support and the lower vertical support, the connector having a lower portion inserted into the lower vertical support It provides a scaffolding assembly for construction, in which press working is performed with the lower vertical support in a state where it is pressed, thereby forming a plurality of inwardly directed protrusions to be integral with the lower vertical support.

Description

건축용 비계 조립체 {SCAFFOLDING FOR CONSTRUCTION}Scaffolding Assembly for Construction {SCAFFOLDING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비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안전성이 향상된 건축용 비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affold assembly for constru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caffold assembly for construction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nd has improved safety.

비계는 건축 공사시 작업자들이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임시가설물을 말하는 것으로, 재료운반이나 작업자들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발판이 되는 역할을 하며, 대표적으로 강관비계를 예로 들 수 있다.Scaffolding refers to temporary temporary structure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a building so that workers can work at high places during construction work. have.

상기 강관비계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것으로서, 통상 수직 및 수평파이프와, 비계발판 그리고 다수개의 클램프들로 구성한다.The steel pipe scaffold has excellent durability and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nd is usually composed of vertical and horizontal pipes, a scaffolding board, and a plurality of clamps.

한편, 상기 수직파이프들은 건축물의 높이에 맞추어 다수개를 수직으로 연결 구성하게 되는 데, 이때 각 수직파이프들의 연결부위에 구멍을 형성한 후, 상기 구멍들을 연통시킨 상태에서 연결부재인 핀을 끼워 넣어 각각의 수직파이들을 연결 구성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the vertical pipes are connected vertically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building, and at this time, a hole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of each vertical pipe, and a pin, which is a connecting member, is inserted in a state in which the holes are communicated. Each vertical pi is connected and constituted.

하지만 상기와 같이 수직파이프들을 연결하고 있는 핀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야 함으로서 분리작업에 많은 번거로움을 수반하게 된다.However, in order to separate the pins connecting the vertical pipes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use a separate tool, which entails a lot of trouble in the separation operation.

또한 수직파이프를 단순히 핀으로 연결할 경우에는 외부 충격으로 핀이 이탈해 수직파이들의 연결이 인위적으로 해지될 우려가 있으며, 따라서 사용과정에서 수직파이프가 유동하거나 혹은 무너지는 등의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f the vertical pipe is simply connected with a pin, the pin may come off due to an external impact and the connection of the vertical pipe may be artificially terminated. There was a problem.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3021호 (2018.01.23)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823021 (Jan. 23, 2018)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안전성이 향상된 건축용 비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affolding assembly for construction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nd has improved safet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복수의 상측 수직 지지대 및 상기 상측 수직 지지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 지지대를 갖는 상부 프레임, 복수의 하측 수직 지지대 및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 지지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측 수직 지지대와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상측 수직 지지대와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은 하부가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와 함께 프레스 가공이 이루어지고, 이에 의해 복수의 내향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와 일체를 이루는, 건축용 비계 조립체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pper frame having a plurality of upper vertical supports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supports connecting between the upper vertical supports, a plurality of lower vertical supports and between the lower vertical supports. At least one lower frame having a plurality of horizontal supports for connecting, and a connection pipe inserted into the upper vertical support and the lower vertical support to connect the upper vertical support and the lower vertical support, the connector comprising: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part is inserted into the lower vertical support, press working is performed together with the lower vertical support, whereby a plurality of inwardly directed protrusions are formed to form an integral with the lower vertical suppo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측 수직 지지대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며, 수직방향 삽입부가 형성되는 브라켓 및 양측 단부에 상기 수직방향 삽입부에 삽입 결합되는 수직방향 돌출부가 형성되는 발끝 막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비계 조립체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e plate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vertical support and formed with vertical projections that ar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vertical insertion portions at both ends and the brackets in which the vertical insertion portions are formed. It may be a scaffold assembly for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측 수직 지지대와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의 연결 부위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전 가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 가드부는, 상기 상측 수직 지지대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상측 가드부 및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하측 가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 가드부와 상기 하측 가드부는 후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비계 조립체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 safety guard portion for improving the coupling stability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upper vertical support and the lower vertical support, the safety guard portion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vertical support It may include an upper guard part and a lower guard part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vertical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guard part and the lower guard part are hook-coupl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측 가드부는, 상측 가드부 본체, 상기 상측 가드부 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갖는 회전구, 상기 상측 가드부 본체의 하단 일측에 제1 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링크에 의해 상기 회전구와 연결되는 후크부 및 상기 상측 가드부 본체의 상단 일측에 제2 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링크에 의해 상기 회전구와 연결되며, 상기 후크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갖는 레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면, 상기 후크부는 상기 삽입홀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레버부와 분리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회전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구와 연결된 상기 레버부는 상방으로 회동되고, 상기 회전구와 연결된 상기 후크부는 하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비계 조립체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guard unit, the upper guard unit body, the upper guard unit body, the rotating sphere having an elastic member that is rotatably mounted inside the upper guard unit body, providing a rotation restoring force, the upper guard unit body It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end through a first pin, and is rotatably coupled through a second pin to an upper end side of the hook portion and the upper guard unit main body connected to the rotary sphere by a first link, and a second link. and a lever part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hook part is inserted, and when the lever part is lifted upward, the hook part comes out of the insertion hole and is separated from the lever part, and the elastic member It may be a scaffold assembly for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ever part connected to the rotary sphere is rotated upward by the rotation restoring force of the sphere, and the hook part connected to the rotating sphere is rotated downwar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측 가드부는, 하측 가드부 본체 및 상기 하측 가드부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가 삽입 고정되는 후크부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비계 조립체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guard part is formed on the lower guard part body and the lower guard part body,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ok part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hook part is inserted and fixed.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외경은, 상기 상측 수직 지지대 및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의 내경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비계 조립체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or may be a scaffold assembly for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vertical support and the lower vertical suppo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향돌기는,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와 상기 연결관이 중첩되는 부위에 상하 2열로, 각 열마다 둘레를 따라 2개 내지 4개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비계 조립체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ward proje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wo to four rows along the periphery of each row in two upper and lower rows at the portion where the lower vertical support and the connecting pipe overlap, It may be a scaffold assembl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건축용 비계 조립체는 하측 수직 지지대와 연결관의 일체형 구조 및 브라켓과 발끝 막이판의 삽입 연결구조에 의해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affold assembly for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by the integrated structure of the lower vertical support and the connector and the insertion and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racket and the toe plate.

또한, 본 발명의 건축용 비계 조립체는 안전 가드부가 구비됨에 따라 구조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caffold assembly for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mprove structural stability as the safety guard unit is provid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비계 조립체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끝 막이판의 삽입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측 수직 지지대와 하측 수직 지지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드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드부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다.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scaffolding assembly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insertion structure of the to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upper vertical support and the lower vertical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gu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safety gu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비계 조립체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끝 막이판의 삽입 구조를 나타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측 수직 지지대와 하측 수직 지지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드부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드부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다.Figure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scaffolding assembly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insertion structure of the to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upper vertical support and the lower vertical support, Figure 4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safety guard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safety guard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축용 비계 조립체(1000)는 상부 프레임(100), 하부 프레임(200) 및 연결관(300)을 포함한다.1 to 5 , the scaffold assembly 1000 for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frame 100 , a lower frame 200 , and a connector 300 .

보다 구체적으로, 건축용 비계 조립체(1000)는 복수의 상측 수직 지지대(110) 및 상기 상측 수직 지지대(110)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 지지대(120)를 갖는 상부 프레임(100), 복수의 하측 수직 지지대(210) 및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210)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 지지대(220)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프레임(200) 및 상기 상측 수직 지지대(110)와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210)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상측 수직 지지대(110)와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210)를 연결하는 연결관(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building scaffold assembly 1000 includes an upper frame 100 having a plurality of upper vertical supports 110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supports 120 connecting between the upper vertical supports 110, a plurality of lower vertical supports. At least one lower frame 200 and the upper vertical support 110 and the lower vertical support 210 having a plurality of horizontal supports 220 connecting between the support 210 and the lower vertical support 210 It is respectively inserted and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on pipe 300 connecting the upper vertical support 110 and the lower vertical support 210 .

이때, 연결관(300)은 하부가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210)와 함께 프레스 가공이 이루어지고, 이에 의해 복수의 내향 돌기(310)가 형성되어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210)와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connector 300 is press-worked together with the lower vertical support 210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part is inserted into the lower vertical support 210, whereby a plurality of inward projections 310 are formed to form the It is configured to be integral with the lower vertical support 210 .

상부 프레임(100)은 작업자의 추락 또는 물품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 난간대로서, 복수의 상측 수직 지지대(110) 및 상기 상측 수직 지지대(110)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 지지대(120)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측 수직 지지대(110)와 수평 지지대(120)는 중공이 형성된 관 형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강관일 수 있다.The upper frame 100 is a safety handrail for preventing the fall of the worker or the falling of the article, and has a plurality of upper vertical supports 110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supports 120 connecting between the upper vertical supports 110 . is composed The upper vertical support 110 and the horizontal support 120 may have a hollow tubular shape, preferably a steel pipe.

상부 프레임(100)에는 작업자가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작업 발판이 마련될 수 있다.The upper frame 100 may be provided with a work platform so that the operator can perform various tasks.

하부 프레임(200)은 작업자의 작업 높이를 상승시키기 위한 구조물로서, 복수의 하측 수직 지지대(210) 및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210)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 지지대(220)를 갖도록 구성된다. 하측 수직 지지대(210)와 수평 지지대(220)는 중공이 형성된 관 형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강관일 수 있다.The lower frame 200 is a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working height of the worker, and is configured to have a plurality of lower vertical supports 210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supports 220 connecting between the lower vertical supports 210 . The lower vertical support 210 and the horizontal support 220 may have a hollow tubular shape, preferably a steel pipe.

하부 프레임(200)은 작업현장 높이에 따라 1단 내지 3단으로 가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ower frame 200 may be variably formed in 1 to 3 stages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work site.

한편, 건축용 비계 조립체(100)는 상기 상측 수직 지지대(110)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며, 수직방향 삽입부(131)가 형성되는 브라켓(130) 및 양측 단부에 상기 수직방향 삽입부(131)에 삽입 결합되는 수직방향 돌출부(141)가 형성되는 발끝 막이판(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caffold assembly 100 for construction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vertical support 110 , and the vertical insertion portion 131 is formed on the bracket 130 and both ends on which the vertical insertion portion 131 is formed. It may further include a toe diaphragm plate 140 in which the insertion-coupled vertical projection 141 is formed.

브라켓(130)은 발끝 막이판(140)을 상측 수직 지지대(110)와 연결해주는 구성으로서, 상측 수직 지지대(110)의 하단 일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130)은 수직방향 삽입부(131)가 구비된 대략 “凹”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racket 130 is a configuration that connects the toe plate 140 with the upper vertical support 110 , and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vertical support 110 , preferably by welding. The bracket 130 may be formed in an approximately “凹” shape provided with the vertical insertion portion 131 .

발끝 막이판(140)은 작업 시 공구와 물품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측 수직 지지대(110) 사이에 구비되며 사각 패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toe plate 140 is a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the tool and the article from falling during work, and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vertical support 110 and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anel shape.

발끝 막이판(140)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브라켓(130)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수직방향 돌출부(141)가 구비될 수 있으며, 대략 “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브라켓(130)의 수직방향 삽입부(131)와 발끝 막이판(140)의 수직방향 돌출부(141)는 암수 방식으로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toe plate 140 may be provided with vertical projections 141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bracket 130, and may be formed in an approximately “凸” shape. That is, the vertical insertion portion 131 of the bracket 130 and the vertical projection 141 of the toe plate 140 can be easily coupled in a male and female manner.

연결관(300)은 상측 수직 지지대(110)와 하측 수직 지지대(210)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하부가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210)와 함께 프레스 가공되어 일체를 이룰 수 있다.The connector 300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upper vertical support 110 and the lower vertical support 210, and the lower part is press-working together with the lower vertical support 210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part is inserted into the lower vertical support 210. can become one.

하측 수직 지지대(210)와 연결관(300)이 중첩되는 부위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복수의 내향 돌기(3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하 2열로, 각 열마다 둘레를 따라 2개 내지 4개씩, 내향 돌기(310)가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inward protrusions 310 may be formed by press working at a portion where the lower vertical support 210 and the connecting pipe 300 overlap, preferably in two upper and lower rows, two to two along the circumference for each column. Four inward protrusions 310 may be formed.

연결관(300)의 외경은 상기 상측 수직 지지대(110) 및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210)의 내경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or 30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vertical support 110 and the lower vertical support 210 .

한편, 건축용 비계 조립체(1000)는 상기 상측 수직 지지대(110)와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210)의 연결 부위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전 가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caffold assembly for construction 1000 may further include a safety guard unit 400 for improving the coupling stability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upper vertical support 110 and the lower vertical support 210 .

이때, 안전 가드부(400)는 상측 가드부(410) 및 하측 가드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this case, the safety guard part 400 is configured to include an upper guard part 410 and a lower guard part 420 .

보다 구체적으로, 안전 가드부(400)는 상기 상측 수직 지지대(110)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상측 가드부(410) 및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210)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하측 가드부(420)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 가드부(410)와 상기 하측 가드부(420)는 후크 결합되도록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safety guard unit 400 is an upper guard unit 410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vertical support 110 and a lower guard unit 420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vertical support unit 210 . Including, the upper guard portion 410 and the lower guard portion 420 is configured to be hook-coupled.

상측 가드부(410)는 상측 수직 지지대(110)의 하단에 고정되는 상측 가드부 본체(411), 상기 상측 가드부 본체(41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갖는 회전구(412), 상기 상측 가드부 본체(411)의 하단 일측에 제1 핀(411a)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링크(415)에 의해 상기 회전구(412)와 연결되는 후크부(413) 및 상기 상측 가드부 본체(411)의 상단 일측에 제2 핀(411b)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링크(416)에 의해 상기 회전구(412)와 연결되며, 상기 후크부(413)가 삽입되는 삽입홀(414a)을 갖는 레버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guard unit 410 is rotatably mounted inside the upper guard unit body 411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vertical support unit 110, the upper guard unit body 411, and an elastic member providing rotational restoring force. A rotary sphere 412 having,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end side of the upper guard part body 411 through a first pin 411a, and connected to the rotary sphere 412 by a first link 415 The hook part 413 and the upper guard part body 411 are rotatably coupled through a second pin 411b to the upper end side, and are connected to the rotary sphere 412 by a second link 416, It may include a lever part 414 having an insertion hole 414a into which the hook part 413 is inserted.

이때, 레버부(414)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면, 상기 후크부(413)는 상기 삽입홀(414a)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레버부(414)와 분리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회전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구(412)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구(412)와 연결된 상기 레버부(414)는 상방으로 회동되고, 상기 회전구(412)와 연결된 상기 후크부(413)는 하방으로 회동된다.At this time, when the lever part 414 is lifted upward, the hook part 413 comes out from the insertion hole 414a and is separated from the lever part 414, and the rotational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causes the rotation. The sphere 412 is rotated, the lever part 414 connected to the rotating sphere 412 is rotated upward, and the hook part 413 connected to the rotating sphere 412 is rotated downward.

하측 가드부(420)는 하측 수직 지지대(210)의 상단에 고정되는 하측 가드부 본체(421) 및 상기 하측 가드부 본체(421)에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가 삽입 고정되는 후크부 고정홈(422)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guard part 420 is formed in the lower guard part body 421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vertical support 210 and the lower guard part body 421, and the hook part fixing groove 422 into which the hook part is inserted and fixed. ) may be included.

즉, 상측 가드부(410)의 레버부(414)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면, 후크부(413)는 상기 레버부(414)의 삽입홀(414a)로부터 빠져나와 하방으로 회동되고, 하측 가드부(420)의 후크부 고정홈(422)으로 삽입되면서 하측 가드부(420)와 체결된다.That is, when the lever part 414 of the upper guard part 410 is lifted upward, the hook part 413 comes out from the insertion hole 414a of the lever part 414 and rotates downward, and the lower guard part As it is inserted into the hook part fixing groove 422 of the 420, it is fastened with the lower guard part 420 .

이처럼, 상측 가드부(410)의 후크부(413)가 하측 가드부(420)에 결합됨으로써 상측 수직 지지대(110)와 하측 수직 지지대(210)의 결합 안정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As such, since the hook part 413 of the upper guard part 410 is coupled to the lower guard part 420 , the coupling stability of the upper vertical support 110 and the lower vertical support 210 may be further improved.

본 발명의 건축용 비계 조립체(10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측 수직 지지대(210)와 연결관(300)의 일체형 구조 및 브라켓(130)과 발끝 막이판(140)의 삽입 연결구조에 의해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며, 안전 가드부(400)에 의해 구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scaffolding assembly 1000 for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and disassembled by the integrated structure of the lower vertical support 210 and the connector 300 and the insertion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racket 130 and the toe plate 140 as described above. It is easy to operate, and structural stability can be improved by the safety guard unit 400 .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0 건축용 비계 조립체
100 상부 프레임
110 상측 수직 지지대
120 수평 지지대
130 브라켓
140 발끝 막이판
200 하부 프레임
210 하측 수직 지지대
220 수평 지지대
300 연결관
310 내향 돌기
400 안전 가드부
410 상측 가드부
420 하측 가드부
1000 Building Scaffolding Assemblies
100 upper frame
110 upper vertical support
120 horizontal support
130 bracket
140 toe plate
200 lower frame
210 lower vertical support
220 horizontal support
300 connector
310 Introvert
400 safety guard
410 upper guard
420 lower guard

Claims (7)

복수의 상측 수직 지지대 및 상기 상측 수직 지지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 지지대를 갖는 상부 프레임;
복수의 하측 수직 지지대 및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 지지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측 수직 지지대와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상측 수직 지지대와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은 하부가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와 함께 프레스 가공이 이루어지고, 이에 의해 복수의 내향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와 일체를 이루고,
상기 상측 수직 지지대와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의 연결 부위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전 가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 가드부는,
상기 상측 수직 지지대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상측 가드부; 및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하측 가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 가드부와 상기 하측 가드부는 후크 결합되고,
상기 상측 가드부는,
상측 가드부 본체;
상기 상측 가드부 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갖는 회전구;
상기 상측 가드부 본체의 하단 일측에 제1 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링크에 의해 상기 회전구와 연결되는 후크부; 및
상기 상측 가드부 본체의 상단 일측에 제2 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링크에 의해 상기 회전구와 연결되며, 상기 후크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갖는 레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면, 상기 후크부는 상기 삽입홀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레버부와 분리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회전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구와 연결된 상기 레버부는 상방으로 회동되고, 상기 회전구와 연결된 상기 후크부는 하방으로 회동되는, 건축용 비계 조립체.
an upper frame having a plurality of upper vertical supports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supports connecting between the upper vertical supports;
at least one lower frame having a plurality of lower vertical supports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supports connecting between the lower vertical supports; and
It is inserted into the upper vertical support and the lower vertical support, respectively, comprising a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upper vertical support and the lower vertical support,
The connection pipe is press-working with the lower vertical support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part is inserted into the lower vertical support, whereby a plurality of inward projections are formed to form an integral with the lower vertical support,
Further comprising a safety guard portion for improving the coupling stability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upper vertical support and the lower vertical support,
The safety guard unit,
an upper guard part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vertical support; and
It includes a lower guard portion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vertical support,
The upper guard part and the lower guard part are hook-coupled,
The upper guard portion,
upper guard unit body;
a rotary sphere rotatably mounted inside the upper guard unit body and having a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rotational restoring force;
a hook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end side of the upper guard portion body through a first pin, and connected to the rotary sphere by a first link; and
It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guard unit body through a second pin, is connected to the rotary sphere by a second link, and includes a lever unit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hook unit is inserted,
When the lever part is lifted upward, the hook part comes out of the insertion hole and is separated from the lever part,
The lever part connected to the rotary sphere is rotated upward by the rotation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hook part connected to the rotating sphere is rotated down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수직 지지대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며, 수직방향 삽입부가 형성되는 브라켓; 및
양측 단부에 상기 수직방향 삽입부에 삽입 결합되는 수직방향 돌출부가 형성되는 발끝 막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비계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a bracket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vertical support and having a vertical insertion portion formed therein; and
Building scaffolding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oe plate having vertical projection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vertical insertion portions at both ends thereof.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가드부는,
하측 가드부 본체; 및
상기 하측 가드부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가 삽입 고정되는 후크부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비계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guard part,
lower guard body; and
Formed on the lower guard part body, the scaffold assembly for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ok part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hook part is inserted and fix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외경은, 상기 상측 수직 지지대 및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의 내경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비계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pipe, the scaffold assembly for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vertical support and the lower vertical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향돌기는, 상기 하측 수직 지지대와 상기 연결관이 중첩되는 부위에 상하 2열로, 각 열마다 둘레를 따라 2개 내지 4개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비계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inward proj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wo to four rows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each row in two upper and lower rows at a portion where the lower vertical support and the connecting pipe overlap.
KR1020200171587A 2020-12-09 2020-12-09 Scaffolding for construction KR1024355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587A KR102435535B1 (en) 2020-12-09 2020-12-09 Scaffolding for constr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587A KR102435535B1 (en) 2020-12-09 2020-12-09 Scaffolding for constr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749A KR20220081749A (en) 2022-06-16
KR102435535B1 true KR102435535B1 (en) 2022-08-23

Family

ID=82217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587A KR102435535B1 (en) 2020-12-09 2020-12-09 Scaffolding for constr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53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5514A (en) * 1998-07-31 2000-02-15 Shinwa Kk Connecting tool for scaffold pipe
JP2003239530A (en) * 2002-02-18 2003-08-27 Alliance Cooperation Of Construction Equipment & Scaffolding For Safety Scaffold board regulation fitting for frame scaffold
JP2015081439A (en) * 2013-10-23 2015-04-27 日建リース工業株式会社 Connection mechanism of column member for temporary scaffol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075U (en) * 2016-05-24 2017-12-04 박노식 Structure Of Connecting Pipes For Handrail
KR101823021B1 (en) 2017-06-19 2018-01-31 백종균 Scaffold apparatus for constru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5514A (en) * 1998-07-31 2000-02-15 Shinwa Kk Connecting tool for scaffold pipe
JP2003239530A (en) * 2002-02-18 2003-08-27 Alliance Cooperation Of Construction Equipment & Scaffolding For Safety Scaffold board regulation fitting for frame scaffold
JP2015081439A (en) * 2013-10-23 2015-04-27 日建リース工業株式会社 Connection mechanism of column member for temporary scaffo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749A (en)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540B1 (en) Connector for steel pipe scaffold
KR200475119Y1 (en) System scaffold
KR102435535B1 (en) Scaffolding for construction
KR101905363B1 (en) Apparatus for using rectangle scaffold
KR101022596B1 (en) A scaffold for architecture
JP6188287B2 (en) Telescopic tube fixing device
JPWO2017195233A1 (en) Support
KR102279572B1 (en) Fixing apparatus for reduer of sprinkler
KR102308089B1 (en) Clamp for scaffold pipes
KR101004204B1 (en) A rail connector for steel pipe scaffold
JP2019135355A (en) Support for temporary scaffold
JP6395222B2 (en) Leading handrail with curved brace
JP3209934U (en) Scaffolding coupler and scaffolding set
JP2019151986A (en) Handrail device in support
JP2525362Y2 (en) Joint structure of temporary structure
JP7190225B1 (en) receiving stage
KR102454985B1 (en) A system scaffold made of lock pin assembly
JP6990946B1 (en) Temporary handrail and its installation method
JP6729881B2 (en) Binding device on scaffolding
KR102459908B1 (en) Method of erecting a system scaffold
CN220469383U (en) Scaffold connecting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CN216076382U (en) Construction equipment for integral lifting installation of cable dome
CN218580878U (en) Assembled building beam column node structure
KR102330786B1 (en) Connector of brace for scaffolding
JP3003017U (en) Horizontal rod connection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