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982B1 - Wiring board - Google Patents

Wiring 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982B1
KR102434982B1 KR1020190123186A KR20190123186A KR102434982B1 KR 102434982 B1 KR102434982 B1 KR 102434982B1 KR 1020190123186 A KR1020190123186 A KR 1020190123186A KR 20190123186 A KR20190123186 A KR 20190123186A KR 102434982 B1 KR102434982 B1 KR 102434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mounting area
frame
mounting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1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39597A (en
Inventor
요스케 이모토
신이치로 하네이시
겐지 스즈키
노리히코 가와이
나오키 기토
Original Assignee
니혼도꾸슈도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도꾸슈도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도꾸슈도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39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5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9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13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14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its electrical properties
    • H01L23/15Ceramic or glass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lead-in layers inseparab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48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lead-in layers inseparab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body consisting of layered constructions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and insulating layers, e.g. planar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2Bonding area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0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bonding areas

Abstract

(과제) 기재와 틀체의 접합면적을 유지하면서, 탑재 에리어로의 접합재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는 배선기판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본 개시의 일 형태는, 표면 및 이면을 가지는 금속제의 기재와, 기재의 표면에 접합재로 이루어지는 접합층을 통해서 접합된 절연성의 틀체를 구비하는 배선기판이다. 배선기판은 기재의 표면에 배치된 홈, 돌기 또는 이것들의 조합에 의해서 구성되는 규제부를 더 구비한다. 기재의 표면에는 탑재부품의 탑재가 예정되어 있는 탑재 에리어를 가진다. 규제부는 표면 중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탑재 에리어와 틀체 사이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다.
(Project) To provide a wiring board capable of suppressing inflow of a bonding material into a mounting area while maintaining a bonding area between a substrate and a frame.
(Solution)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wiring board comprising a metal substrate having a front surface and a back surface, and an insulating frame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through a bonding layer made of a bonding material. The wiring board further includes a regulating portion constituted by grooves, protrusions, or a combination thereof arrang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has a mounting area in which the mounting component is scheduled to be mounted. The regulating part is arrange|positioned in at least a part of the area|region between the mounting area and the frame body in planar view among the surfaces.

Description

배선기판{WIRING BOARD}wiring board {WIRING BOARD}

본 개시는 배선기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wiring board.

반도체 소자 등의 탑재부품의 방열성을 높이기 위해서, 금속제의 기재(基材)를 틀체에 장착한 배선기판이 공지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기재는 틀체에 대해서 경납땜재 등의 접합재를 통해서 접합된다.In order to improve the heat dissipation property of mounting components, such as a semiconductor element, the wiring board which attached the metal base material to the frame is known (refer patent document 1). The base material is joined to the frame through a bonding material such as brazing material.

틀체와 기재의 접합시에, 용융된 접합재가 전자부품 등의 탑재부품의 탑재를 예정하는 탑재 에리어로 유입되면, 탑재 에리어에서 접합재가 경화되어 단차가 형성된다. 이 단차에 의해서 탑재부품의 기재에 대한 접합이 불충분하게 되거나 기울어지는 탑재 불량이 발생한다. 탑재 불량은 탑재부품의 접합강도, 방열성, 탑재 위치 정밀도 등을 저하시킨다.At the time of bonding the frame and the base material, when the molten bonding material flows into a mounting area in which mounting components such as electronic components are to be mounted, the bonding material is hardened in the mounting area to form a step. This step causes insufficient bonding of the mounted part to the base material, or a mounting defect in which it is inclined. Poor mounting reduces the bonding strength, heat dissipation, and mounting position accuracy of mounted parts.

그래서, 특허문헌 1에서는 틀체에 단차부를 형성함에 의해서 탑재 에리어로의 접합재의 유입을 억제하고 있다.Therefore, in Patent Document 1, the inflow of the bonding material to the mounting area is suppressed by forming the step portion in the frame.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 2015-204426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5-204426

상기한 바와 같이 틀체에 단차부를 형성함에 의해서 접합재의 흐름을 억제하는 구성에서는 단차부에 의해서 기재와 틀체의 접합면적이 감소한다. 그 결과, 접합부분의 기밀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low of the bonding material is suppressed by forming the step portion in the frame as described above, the bonding area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frame is reduced by the step portion. As a result, the airtightness of a joint part may fall.

본 개시의 일 국면은, 기재와 틀체의 접합면적을 유지하면서 탑재 에리어로의 접합재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는 배선기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wiring board capable of suppressing inflow of a bonding material into a mounting area while maintaining a bonding area between a substrate and a frame.

본 개시의 일 형태는, 표면 및 이면을 가지는 금속제의 기재와, 기재의 표면에 접합재로 이루어지는 접합층을 통해서 접합된 절연성의 틀체를 구비하는 배선기판이다. 배선기판은 기재의 표면에 배치된 홈, 돌기 또는 이것들의 조합에 의해서 구성되는 규제부를 더 구비한다. 기재의 표면에는 탑재부품의 탑재가 예정되어 있는 탑재 에리어를 가진다. 규제부는, 표면 중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탑재 에리어와 틀체 사이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wiring board comprising a metal substrate having a front surface and a back surface, and an insulating frame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through a bonding layer made of a bonding material. The wiring board further includes a regulating portion constituted by grooves, protrusions, or a combination thereof arrang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has a mounting area in which the mounting component is scheduled to be mounted. The regulating part is arrange|positioned in at least a part of the area|region between a mounting area and a frame body in planar view among the surfaces.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재와 틀체의 접합시에 접합층을 형성하는 접합재의 유동(流動)이 규제부에 의해서 규제된다. 그러므로, 기재와 틀체의 접합면적을 감소시키는 일 없이 탑재 에리어로의 접합재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the flow of the bonding material which forms a bonding layer at the time of bonding of a base material and a frame is regulated by a regulating part. Therefore, the inflow of the bonding material into the mounting area can be suppressed without reducing the bonding area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frame.

본 개시의 일 형태에서는, 기재의 표면 중 틀체보다도 내측의 영역에 또한 탑재 에리어와는 다른 영역에 형성된 받침대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탑재부품을 높이가 다른 위치에 3차원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 기재의 표면에 받침대를 구비하는 경우, 받침대가 기재의 표면에 돌기를 형성한다. 기재의 표면에 돌기를 가지는 경우, 유동하는 접합재가 돌기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탑재 에리어로 유입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한 규제부는 한층 더 효과적으로 기능한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pedestal formed in a region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inside the frame body and in a region different from the mounting area may be further provide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 plurality of mounting parts can be three-dimensionally arranged at positions having different heights. Moreover, when the base is provided with a base on the surface, the base forms a projection on the surface of the base. When the substrate has protrusions on the surface, the flowing bonding material tends to flow into the mounting area along the outer edges of the protrusions. In this form, the above-described regulating portion functions even more effectively.

본 개시의 일 형태에서는, 받침대 및 규제부는 기재와 일체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받침대 및 규제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받침대에서부터 기재까지의 열의 흐름이 저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받침대에 탑재되는 탑재부품의 방열성을 높일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edestal and the regulating uni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se material.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a pedestal and a regulating part can be formed easily. Moreover, since it can suppress that the flow of heat from a pedestal to a base material is inhibited, the heat dissipation property of the mounting component mounted on the pedestal can be improved.

본 개시의 일 형태에서는, 규제부는 탑재 에리어와 틀체 사이의 영역 중 탑재 에리어와 틀체 사이에 받침대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탑재 에리어로의 접합재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규제부의 형성 개소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배선기판이 불필요하게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기재의 표면에 대한 가공 공정수를 줄일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is indication, you may arrange|position a regulating part in the area|region where a pedestal does not exist between a mounting area and a frame among the area|region between a mounting area and a frame.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while being able to suppress the inflow of the bonding material to a mounting area, the formation location of a regulating part can be reduc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ppress unnecessary enlargement of the wiring board. Moreover, the number of processing steps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a base material can be reduced.

본 개시의 일 형태에서는, 규제부는 받침대의 기재와의 이음 부분에 접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동하는 접합재가 유입되기 쉬운 돌기의 외측 가장자리인 받침대의 이음 부분으로 접합재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접합재에 의한 필릿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탑재부품의 탑재 불량을 더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regulating part may be in contact with a joint portion of the pedestal with the base material.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by suppressing the inflow of the bonding material into the joint portion of the pedestal, which is the outer edge of the protrusion, into which the flowing bonding material easily flows, the formation of fillets by the bonding material can be suppress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suppress the mounting failure of the mounting parts.

본 개시의 일 형태에서는, 탑재 에리어는 받침대와 규제부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둘러싸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더 확실하게 탑재 에리어로의 접합재의 유입과 받침대의 이음 부분에 있어서의 필릿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ounting area may be continuously surrounded by the pedestal and the regulating unit.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suppress the inflow of the bonding material into the mounting area and the formation of fillets in the joint portion of the pedestal.

본 개시의 일 형태에서는, 규제부는 적어도 홈으로 구성되고, 홈의 깊이는 기재의 두께의 1/2 이하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재의 방열성 저하나 기재의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regulating part is constituted by at least a groove, and the depth of the groove may be 1/2 or less of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a decrease in the heat dissipation property of the substrate and a decrease in the strength of the substrate can be suppressed.

본 개시의 일 형태에서는, 규제부는 적어도 돌기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접합재의 유동량이 많은 경우에서도 접합재를 탑재 에리어 밖으로 유도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is indication, the regulating part may be comprised with protrusion at least.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the amount of flow of the bonding material is large, the bonding material can be guided out of the mounting area.

본 개시의 일 형태에서는, 틀체에 형성됨과 아울러, 탑재부품과 전기적으로 접속이 예정되어 있는 접속패드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돌기의 높이는 기재의 표면에서부터 접속패드의 형성위치까지의 높이 이하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탑재부품과 틀체에 형성된 접속패드를 접속할 경우, 접속수단(예를 들면, 와이어 본드 등)이 기재에 접촉하여 쇼트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당해 접속시의 작업성의 저하도 억제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is indication, while being formed in the frame, you may further provide the connection pad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mounting component. The height of the projection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height from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connection pa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connecting the mounting part and the connection pad formed on the frame, it is possible to suppress short circuiting of the connection means (eg, wire bond) in contact with the base material, while also reducing the workability at the time of connection. can also be suppressed.

본 개시의 일 형태에서는, 틀체는 세라믹을 주된 성분(즉, 90질량% 이상 함유되는 성분)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내열성이 높은 반도체 패키지를 얻을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rame may have ceramic as a main component (that is, a component contained in 90% by mass or more).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a semiconductor package with high heat resistance can be obtained.

본 개시의 일 형태에서는, 기재는 구리, 구리 합금 및 구리 복합체 중 적어도 1개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재의 전열성을 높일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is indication, the base material may be comprised by at least 1 of copper, a copper alloy, and a copper composite_body|complex.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the heat transfer property of a base material can be improved.

본 개시의 일 형태에서는, 탑재 에리어에 탑재된 탑재부품을 더 구비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신뢰성이 높은 반도체 패키지를 얻을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ounting component mounted in the mounting area may be further provided.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a highly reliable semiconductor package can be obtained.

도 1A는 실시형태의 배선기판의 모식적인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IB-IB선에서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A와는 다른 실시형태의 배선기판의 모식적인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ⅡB-ⅡB선에서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A 및 도 2A와는 다른 실시형태의 배선기판의 모식적인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ⅢB-ⅢB선에서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Fig. 1A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wiring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1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B-IB in Fig. 1A.
Fig. 2A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wiring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fferent from Fig. 1A, and Fig. 2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B-IIB in Fig. 2A.
Fig. 3A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wiring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fferent from Figs. 1A and 2A, and Fig. 3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B-IIIB of Fig. 3A.

이하, 본 개시가 적용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to which this indication was applied is described using drawings.

[1. 제 1 실시형태][One. first embodiment]

[1-1. 구성][1-1. composition]

도 1A, 1B에 나타내는 배선기판(1)은 기재(基材)(2)와 틀체(3)와 받침대(4)와 규제부(5)와 제 1 탑재부품(7)과 제 2 탑재부품(8)을 구비한다.The wiring board 1 shown in FIGS. 1A and 1B includes a base 2, a frame 3, a pedestal 4, a regulating part 5, a first mounting part 7 and a second mounting part ( 8) is provided.

<기재><mentioned>

기재(2)는 표면(2A) 및 이면(2B)을 가지는 금속제의 판재이다. 기재(2)는 제 1 탑재부품(7) 및 제 2 탑재부품(8)의 방열부재로서 기능한다. 기재(2)는 전열성의 관점에서 구리, 구리 합금 및 구리 복합체 중 적어도 1개로 구성되면 좋다. 또한, 구리 합금으로서는, 구리를 주된 성분으로 하면서 니켈, 인, 아연, 주석, 알루미늄 등이 함유된 합금을 들 수 있다. 또한, "주된 성분"이란 90질량% 이상 함유되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 구리 복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텅스텐에 의해서 골격을 형성하는 다공체 내에 구리가 함침된 복합체나, 구리와 몰리브덴이 교호로 적층된 다층 구조의 복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기재(2)의 이면(2B)에는 방열 핀 등을 가지는 히트 싱크가 장착되어도 좋다.The substrate 2 is a metal plate having a front surface 2A and a rear surface 2B. The base material 2 functions as a heat dissipation member for the first mounting part 7 and the second mounting part 8 . The base material 2 may be comprised from a viewpoint of heat transfer property by at least one of copper, a copper alloy, and a copper composite_body|complex. Moreover, as a copper alloy, the alloy containing nickel, phosphorus, zinc, tin, aluminum, etc. while copper as a main component is mentioned. In addition, the "main component" means the component contained 90 mass % or more. Examples of the copper composite include a composite in which copper is impregnated in a porous body forming a skeleton of tungsten, and a composite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in which copper and molybdenum are alternately stacked. In addition, the heat sink which has a heat radiation fin etc. may be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2B of the base material 2 .

기재(2)는, 기재(2)의 표면(2A) 중 제 2 탑재부품(8)의 탑재가 예정되어 있는 탑재 에리어(2C)를 가진다. 탑재 에리어(2C)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즉, 표면(2A)이 펼쳐지는 면방향과 수직인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제 2 탑재부품(8)의 외측 가장자리와 일치하는 영역이다. The substrate 2 has a mounting area 2C in which the second mounting component 8 is scheduled to be mounted among the surfaces 2A of the substrate 2 . The mounting area 2C is a region coincident with the outer edge of the second mounting part 8 when viewed in plan (i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rface 2A is spread).

본 실시형태에서는, 탑재 에리어(2C)에는 제 2 탑재부품(8)이 실제로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탑재 에리어(2C)는 제 2 탑재부품(8)과 완전히 겹쳐저 있다. 제 2 탑재부품(8)은, 예를 들면 경납땜재, 연납땜재, 수지 접착제 등에 의해서 탑재 에리어(2C)에 접합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econd mounting component 8 is actually mounted in the mounting area 2C, the mounting area 2C completely overlaps the second mounting component 8 . The second mounting component 8 is joined to the mounting area 2C by, for example, a brazing material, a soft brazing material, a resin adhesive, or the like.

또, 탑재 에리어(2C)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후술하는 틀체(3)와 받침대(4) 사이에 끼워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탑재 에리어(2C)는 틀체(3)와 이간됨과 동시에 받침대(4)와도 이간되게 배치되어 있다.Moreover, 2 C of mounting areas are formed in the position pinched|interposed between the frame 3 and the pedestal 4 mentioned later in planar view. Moreover, while 2 C of mounting areas are spaced apart from the frame 3, it is arrange|positioned so that it may also be spaced apart from the pedestal 4.

<틀체><frame>

틀체(3)는 기재(2)의 표면(2A) 주위에 접합층(3A)을 통해서 접합된 절연성의 부재이다. 틀체(3)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탑재 에리어(2C) 및 받침대(4)를 둘러싸도록 기재(2)에 접합되어 있다. The frame 3 is an insulating member joined through the bonding layer 3A around the surface 2A of the base material 2 . The frame 3 is joined to the base 2 so as to surround the mounting area 2C and the pedestal 4 in a plan view.

본 실시형태에서는, 틀체(3)는 복수의 절연층을 겹친 적층체이다. 또, 틀체(3)에는 배선(도시생략)이 배치되어 있다. 이 배선은 절연층의 표면에 배치된 배선 패턴, 절연층을 관통하는 도체, 탑재부품(7, 8)에 통전이 필요한 경우에 탑재부품(7, 8)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 접속패드(9) 등을 포함하고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ame 3 is a laminate in which a plurality of insulating layers ar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Moreover, wiring (not shown) is arrange|positioned in the frame 3 . The wiring is a wiring pattern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a conductor penetrating the insulating layer, and a connection pad 9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unting parts 7 and 8 when current is required to the mounting parts 7 and 8. ) and so on.

틀체(3)의 절연층의 재질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내열성의 관점에서 틀체(3)는 세라믹을 주된 성분으로 하면 좋다. 이 세라믹으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나, 베리리아, 질화알루미늄, 질화붕소, 질화규소,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세라믹은 단체(單體)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Although the material of the insulating layer of the frame 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main component of the frame 3 is ceramic from the viewpoint of heat resistance. Examples of the ceramic include alumina, berryria, aluminum nitride, boron nitride, silicon nitride, and glass. These ceramic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접합층(3A)은 유동성을 가지는 접합재의 응고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접합층(3A)의 융점으로서는 300℃ 이상이 바람직하다. 접합층(3A)을 형성하는 접합재로서는, 예를 들면 경납땜재, 연납땜재, 수지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내열성의 관점에서 경납땜재 또는 연납땜재가 바람직하다. 경납땜재로서는 은계 경납땜재가 예시된다. 연납땜재로서는 금 주석 연납땜재가 예시된다. The bonding layer 3A is formed by solidification of a bonding material having fluidity. As melting|fusing point of 3 A of bonding layers, 300 degreeC or more is preferable. As a bonding material which forms the bonding layer 3A, a brazing material, a soft soldering material, a resin adhesive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Among these, a brazing material or a soft brazing material is preferable from a heat resistant viewpoint. A silver brazing material is illustrated as a brazing material. As the soft brazing material, a gold tin soft brazing material is exemplified.

<받침대><Stand>

받침대(4)는 기재(2)의 표면(2A) 중 틀체(3)보다도 내측의 영역에 형성된 금속제의 부위이다.The pedestal 4 is a metal site formed in a region inside the frame 3 of the surface 2A of the base 2 .

본 실시형태에서는, 받침대(4)는 기재(2)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받침대(4)는 기재(2)의 표면(2A)의 일부가 솟아오르도록 함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받침대(4)는 기재(2) 중 다른 부위보다도 두께가 큰 부위이다.In this embodiment, the base 4 and the base 2 are comprised integrally. The pedestal 4 is constituted by making a part of the surface 2A of the base material 2 rise. In other words, the pedestal 4 is a portion having a larger thickness than other portions of the base 2 .

받침대(4)에는 제 1 탑재부품(7)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탑재부품(7)은, 예를 들면 경납땜재, 연납땜재, 수지 접착제 등에 의해서 받침대(4)의 표면에 접합되어 있다. 또, 받침대(4)는 틀체(3)와 이간되게 배치되어 있다.A first mounting part 7 is arranged on the pedestal 4 . The first mounting part 7 is joined to the surface of the pedestal 4 with, for example, a brazing material, a soft brazing material, a resin adhesive, or the like. Moreover, the pedestal 4 is arrange|positioned so that it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rame 3 .

<규제부><Regulatory Department>

규제부(5)는 기재(2)의 표면(2A)에 배치된 홈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홈은 기재(2)에 있어서 다른 부위보다도 두께가 작게 된 부위이다. The regulating part 5 is comprised by the groove|channel arrange|positioned on the surface 2A of the base material 2 . This groove is a site|part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base material 2 became smaller than the other site|part.

규제부(5)는 기재(2)의 표면(2A) 중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탑재 에리어(2C)와 틀체(3) 사이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규제부(5)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받침대(4)와 탑재 에리어(2C)를 연속적으로 둘러싸도록 환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규제부(5)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틀체(3)의 내측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즉, 규제부(5)는 틀체(3)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거리 내측으로 오프셋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The regulating part 5 is arrange|positioned in at least one part of the area|region between 2 C of mounting areas and the frame 3 in planar view among 2 A of surfaces of the base material 2. As shown in FIG. Specifically, the regulating part 5 is arranged in an annular shape so as to continuously surround the pedestal 4 and the mounting area 2C in a plan view. Moreover, the regulating part 5 extends parallel to the inner edge of the frame 3 in planar view. That is, the regulating part 5 is arrange|positioned at the position offset in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edge of the frame 3 .

규제부(5)는, 탑재 에리어(2C)를 사이에 두고 받침대(4)와는 반대측에 배치된 제 1 영역(A1)과, 탑재 에리어(2C)와 받침대(4)의 대향방향(도 1A에서의 좌우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도 1A에서의 상하방향)에 있어서 탑재 에리어(2C)를 사이에 두는 제 2 영역(A2) 및 제 3 영역(A3)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즉, 규제부(5)는 탑재 에리어(2C)와 틀체(3) 사이에 받침대(4)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The regulating unit 5 includes a first area A1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pedestal 4 with the mounting area 2C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mounting area 2C and the pedestal 4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FIG. 1A ). It is arranged over the second area A2 and the third area A3 with the mounting area 2C interposed therebetwee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 1A). That is, the control part 5 is arrange|positioned in the area|region where the pedestal 4 does not exist between the mounting area 2C and the frame 3 .

규제부(5)를 구성하는 홈의 깊이는 기재(2)의 두께의 1/2 이하가 바람직하다. 홈이 너무 깊으면, 기재(2)의 체적이 저감하여 방열성이 저하되거나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규제부(5)를 구성하는 홈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받침대(4) 또는 탑재 에리어(2C){즉, 제 2 탑재부품(8)}와 일부가 겹쳐저 있어도 좋다.As for the depth of the groove|channel which comprises the control part 5, 1/2 or less of the thickness of the base material 2 is preferable. When the groove is too deep, the volume of the base material 2 is reduced,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heat dissipation property may be lowered or the strength may be lowered. In addition, a part of the groove|channel which comprises the control part 5 may overlap with the base 4 or the mounting area 2C (namely, the 2nd mounting component 8) in planar view.

또, 규제부(5)는 기재(2)의 표면(2A)에서 돌출되는 돌기에 의해서 구성되어도 좋다. 규제부(5)를 돌기로 함으로써, 접합재의 유동량이 많은 경우에서도 접합재를 탑재 에리어(2C) 밖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규제부(5)는 홈과 돌기의 조합에 의해서 구성되어도 좋다.Moreover, the regulating part 5 may be comprised by the protrusion which protrudes from 2 A of surfaces of the base material 2 . By protruding the regulating portion 5, the bonding material can be guided out of the mounting area 2C even when the amount of flow of the bonding material is large. In addition, the regulating part 5 may be comprised by the combination of a groove|channel and a projection.

규제부(5)를 구성하는 돌기의 높이는, 기재(2)의 표면(2A)에서부터 접속패드(9)의 형성위치까지의 높이 이하가 바람직하다. 돌기가 너무 높으면, 제 1 탑재부품(7) 및 제 2 탑재부품(8)과 틀체(3)에 형성된 접속패드(9)를 접속할 경우에 접속수단(도시하지 않은 와이어 본드 등)이 기재에 접촉하여 쇼트될 우려가 있음과 아울러, 당해 접속시의 작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The height of the projection constituting the regulating portion 5 is preferably equal to or less than the height from the surface 2A of the substrate 2 to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connection pad 9 . If the projection is too high, when connecting the first mounting part 7 and the second mounting part 8 and the connection pad 9 formed on the frame 3, the connecting means (wire bond, etc., not shown) will contact the base material. While there is a fear of short-circuiting, there is a fear that the workability at the time of the connection may be reduced.

<탑재부품><Mounted parts>

제 1 탑재부품(7) 및 제 2 탑재부품(8)은 각각 가동(稼動)에 의해서 열을 발하는 부품이다.Each of the first mounting component 7 and the second mounting component 8 is a component that generates heat by movement.

예를 들면, 제 1 탑재부품(7)으로서 LED(발광 다이오드)나 LD(레이저 다이오드), 제 2 탑재부품(8)으로서 형광체를 가지는 광파장 변환부재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 조합에 의해서 헤드 램프, 각종 조명 기기, 레이저 프로젝터 등의 광원용의 배선기판이 얻어진다.For example, an LED (light emitting diode) or LD (laser diode) may be used as the first mounting component 7 , and an optical wavelength conversion member having a phosphor as the second mounting component 8 . By this combination, a wiring board for a light source such as a headlamp, various lighting equipment, and a laser projector can be obtained.

제 1 탑재부품(7) 및 제 2 탑재부품(8)은, 틀체(3)가 접합층(3A)에 의해서 기재(2)에 접합된 후에, 받침대(4) 또는 기재(2)에 직접 장착된다. 또한, 각 탑재부품에 통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한 틀체(3)의 접속패드(9)에 예를 들면 와이어 본딩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The first mounting part 7 and the second mounting part 8 are directly mounted on the base 4 or the base 2 after the frame 3 is joined to the base 2 by the bonding layer 3A. do. Moreover, when electricity is required to each mounting component,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d 9 of the said frame 3 by wire bonding, for example.

[1-2. 효과][1-2. effect]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1a) 기재(2)와 틀체(3)의 접합시에, 접합층(3A)을 형성하는 접합재의 유동이 규제부(5)에 의해서 규제된다. 그러므로, 기재(2)와 틀체(3)의 접합면적을 감소시키는 일 없이, 탑재 에리어(2C)로의 접합재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1a) At the time of bonding the base material 2 and the frame 3, the flow of the bonding material which forms the bonding layer 3A is regulated by the regulating part 5.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inflow of the bonding material into the mounting area 2C can be suppressed without reducing the bonding area between the base 2 and the frame 3 .

(1b) 규제부(5)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받침대(4)와 탑재 에리어(2C)를 연속적으로 둘러싸도록 환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더 확실하게 탑재 에리어(2C)로의 접합재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받침대(4)의 이음 부분에 있어서의 필릿의 형성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2 탑재부품(8)의 탑재 불량을 더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1b) The regulating part 5 is arranged in an annular shape so as to continuously surround the pedestal 4 and the mounting area 2C in a plan view, thereby more reliably preventing the inflow of the bonding material into the mounting area 2C. can be suppressed Moreover, formation of the fillet in the joint part of the pedestal 4 can also be suppressed. Therefore, the mounting failure of the 2nd mounting component 8 can be suppressed more reliably.

(1c) 받침대(4)가 기재(2)의 표면에 돌기를 형성하고 있어, 유동하는 접합재가 돌기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탑재 에리어로 유입되기 쉬운 경향이 있기 때문에, 규제부(5)가 한층 더 효과적으로 기능한다.(1c) Since the pedestal 4 forms a protrusion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2, and the flowing bonding material tends to flow into the mounting area along the outer edge of the protrusion, the regulating part 5 is further function effectively.

(1d) 받침대(4) 및 규제부(5)가 기재(2)와 일체로 구성됨으로써, 받침대(4) 및 규제부(5)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받침대(4)에서부터 기재(2)까지의 열의 흐름이 저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받침대(4)에 탑재되는 제 1 탑재부품(7)의 방열성을 높일 수 있다.(1d) Since the base 4 and the regulating part 5 are integrally configured with the base 2 , the pedestal 4 and the regulating part 5 can be easily formed. Moreover, since it can suppress that the flow of heat from the pedestal 4 to the base material 2 is inhibited, the heat dissipation property of the 1st mounting component 7 mounted on the pedestal 4 can be improved.

[2. 제 2 실시형태][2. second embodiment]

[2-1. 구성][2-1. composition]

도 2A, 2B에 나타내는 배선기판(11)은 기재(2)와 틀체(3)와 받침대(4)와 규제부(15)와 제 1 탑재부품(7)과 제 2 탑재부품(8)을 구비한다. 기재(2)와 틀체(3)와 받침대(4)와 제 1 탑재부품(7)과 제 2 탑재부품(8)은 도 1A의 배선기판(1)과 같으므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The wiring board 11 shown in FIGS. 2A and 2B includes a base 2, a frame 3, a pedestal 4, a regulating part 15, a first mounting part 7, and a second mounting part 8. do. The base 2, the frame 3, the pedestal 4, the first mounting part 7, and the second mounting part 8 are the same as the wiring board 1 in Fig. 1A, so they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do.

<규제부><Regulatory Department>

규제부(15)는, 탑재 에리어(2C)를 사이에 두고 받침대(4)와는 반대측에 배치된 띠형상의 제 1 부(15A)와, 탑재 에리어(2C)와 받침대(4)의 대향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탑재 에리어(2C)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 띠형상의 제 2 부(15B)와 띠형상의 제 3 부(15C)를 가진다.The regulating unit 15 includes a belt-shaped first portion 15A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pedestal 4 with the mounting area 2C interposed therebetween,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between the mounting area 2C and the pedestal 4 . It has a belt-shaped second part 15B and a belt-shaped third part 15C which are arranged so as to sandwich the mounting area 2C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제 1 부(15A)는 틀체(3) 및 탑재 에리어(2C)와 이간되게 배치되어 있다. 제 1 부(15A)는 탑재 에리어(2C)와 받침대(4)의 대향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2B에서는 제 1 부(15A)가 돌기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으나, 제 1 부(15A)는 홈에 의해서 구성되어도 좋다.The first part 15A is dispos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rame 3 and the mounting area 2C. The first portion 15A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posing direction between the mounting area 2C and the pedestal 4 . In Fig. 2B, the first part 15A is constituted by protrusions, but the first part 15A may be constituted by grooves.

제 2 부(15B) 및 제 3 부(15C)는 각각 일방의 단부가 받침대(4)의 기재(2)와의 이음 부분(4A)에 접하고 있다. 즉, 제 2 부(15B) 및 제 3 부(15C)는 받침대(4)의 이음 부분(4A)에서 받침대(4)와 이간되는 방향{즉, 도 2A에 있어서 탑재 에리어(2C)와 받침대(4)의 대향방향에 대해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부(15B) 및 제 3 부(15C)는 각각 홈에 의해서 구성되어도 좋고, 돌기에 의해서 구성되어도 좋다.As for the 2nd part 15B and the 3rd part 15C, one edge part contact|connects 4 A of joint parts with the base material 2 of the pedestal 4, respectively. That is, the second part 15B and the third part 15C are separated from the pedestal 4 in the joint portion 4A of the pedestal 4 in the direction (that is, in FIG. 2A, the mounting area 2C and the pedestal ( 4)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pposite direction}. Each of the second portion 15B and the third portion 15C may be constituted by a groove or may be constituted by a projection.

제 2 부(15B) 및 제 3 부(15C)는 제 1 부(15A)와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탑재 에리어(2C)와 틀체(3) 사이에 규제부(15)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존재한다. 즉, 탑재 에리어(2C)는 받침대(4)와 규제부(15)에 의해서 비연속적으로 둘러싸여 있다.The second part 15B and the third part 15C are not connected to the first part 15A.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area|region in which the regulating part 15 is not formed between 2 C of mounting areas and the frame 3 exists. That is, the mounting area 2C is discontinuously surrounded by the pedestal 4 and the regulating part 15 .

[2-2. 효과][2-2. effect]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2a) 받침대(4)의 이음 부분(4A)에 접하는 제 2 부(15B) 및 제 3 부(15C)에 의해서, 유동하는 접합재가 유입되기 쉬운 돌기의 외측 가장자리인 받침대(4)의 이음 부분(4A)으로 접합재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접합재에 의한 필릿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2a) The joint portion of the pedestal 4, which is the outer edge of the protrusion through which the flowing bonding material easily flows, by the second portion 15B and the third portion 15C in contact with the joint portion 4A of the pedestal 4 By suppressing the inflow of the bonding material to (4A), the formation of fillets by the bonding material can be suppressed.

(2B) 탑재 에리어(2C)를 사이에 두고 받침대(4)와는 반대측에 배치된 제 1 부(15A)에 의해서, 탑재 에리어(2C)에 있어서의 받침대(4)와는 반대측에서 틀체(3)와 기재(2)를 접합하는 접합재가 탑재 에리어(2C)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받침대(4)에 의해서 탑재 에리어(2C)에 있어서의 받침대(4) 측에서 틀체(3)와 기재(2)를 접합하는 접합재가 탑재 에리어(2C)로 유입되는 것이 억제된다.(2B) The frame 3 and the frame 3 on the opposite side to the pedestal 4 in the mounting area 2C by the first part 15A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pedestal 4 with the mounting area 2C interposed therebetween It can suppress that the bonding material which joins the base material 2 flows into 2 C of mounting areas. Moreover, in this embodiment, the bonding material which joins the frame 3 and the base material 2 on the side of the pedestal 4 in the mounting area 2C by the pedestal 4 flows into the mounting area 2C. is suppressed

(2c) 본 실시형태에서는, 규제부(15)는 탑재 에리어(2C)와 틀체(3) 사이의 영역 중 탑재 에리어(2C)와 틀체(3) 사이에 받침대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탑재 에리어(2C)로의 접합재의 유입을 억제함과 아울러, 규제부(15)의 형성 개소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배선기판(11)이 불필요하게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기재(2)의 표면에 대한 가공 공정수를 줄일 수 있다. (2c) In this embodiment, the regulating part 15 is arranged in the area|region where the pedestal does not exist between the mounting area 2C and the frame 3 among the area|region between the mounting area 2C and the frame 3 Thereby, while suppressing the inflow of the bonding material into the mounting area 2C, the formation location of the regulating part 15 can be reduc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wiring board 11 from becoming unnecessarily large. Moreover, the number of processing steps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2 can be reduced.

[3. 제 3 실시형태] [3. third embodiment]

[3-1. 구성][3-1. composition]

도 3A, 3 B에 나타내는 배선기판(21)은 기재(2)와 틀체(3)와 받침대(4)와 규제부(25)와 제 1 탑재부품(7)과 제 2 탑재부품(8)을 구비한다. 기재(2)와 틀체(3)와 받침대(4)와 제 1 탑재부품(7)과 제 2 탑재부품(8)은 도 1A의 배선기판(1)과 같으므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 wiring board 21 shown in FIGS. 3A and 3B includes a base 2, a frame 3, a pedestal 4, a regulating part 25, a first mounting part 7, and a second mounting part 8. be prepared The base 2, the frame 3, the pedestal 4, the first mounting part 7, and the second mounting part 8 are the same as the wiring board 1 in Fig. 1A, so they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do.

<규제부><Regulatory Department>

규제부(25)는, 탑재 에리어(2C)를 사이에 두고 받침대(4)와는 반대측에 배치된 제 1 영역(A1)과, 탑재 에리어(2C)와 받침대(4)의 대향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탑재 에리어(2C)를 사이에 두는 제 2 영역(A2) 및 제 3 영역(A3)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The regulating part 25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rea A1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pedestal 4 with the mounting area 2C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opposite direction between the mounting area 2C and the pedestal 4 . It is arrange|positioned over the 2nd area|region A2 and 3rd area|region A3 which sandwich the mounting area 2C in the direction.

구체적으로는, 규제부(25)는 양 단부가 받침대(4)의 기재(2)와의 이음 부분(4A)에 접하는 U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탑재 에리어(2C)는 받침대(4)와 규제부(25)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둘러싸여 있다. 또, 규제부(25)는 틀체(3)로부터 이간되게 배치되어 있다. 규제부(25)는 홈에 의해서 구성되어도 좋고, 돌기에 의해서 구성되어도 좋다. Specifically, the regulating part 25 is arrange|positioned in the U-shape which both ends contact 4 A of joint parts with the base material 2 of the pedestal 4 . Accordingly, the mounting area 2C is continuously surrounded by the pedestal 4 and the regulating part 25 . Moreover, the regulating part 25 is arrange|positioned so that it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rame 3 . The regulating part 25 may be comprised by the groove|channel, and may be comprised by the projection.

[3-2. 효과][3-2. effect]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3a) 받침대(4)와 규제부(25)를 이용함에 의해서 탑재 에리어(2C)를 둘러싸므로써, 탑재 에리어(2C)로의 접합재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규제부(25)의 양 단부가 받침대(4)의 기재(2)와의 이음 부분(4A)에 접하므로써, 받침대(4)의 이음 부분(4A)에 있어서의 필릿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3a) By using the pedestal 4 and the regulating part 25 to surround the mounting area 2C, the inflow of the bonding material into the mounting area 2C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since both ends of the regulating part 25 are in contact with the joint portion 4A of the base 4 with the base material 2, the formation of fillets in the joint portion 4A of the base 4 can be suppressed. have.

[4. 다른 실시형태][4. other embodiment]

이상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일 없이 여러 가지 형태를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 of this indication was described, it cannot be overemphasized that this indication can employ|adopt various form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4a) 상기 실시형태의 배선기판(1, 11, 21)은 복수의 받침대(4)를 구비하여도 좋다. 반대로, 배선기판(1, 11, 21)은 반드시 받침대(4)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또, 기재(2)는 복수의 탑재 에리어(2C)를 가져도 좋다. (4a) The wiring boards 1, 11, and 21 of the above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edestals (4). Conversely, the wiring boards 1 , 11 , and 21 may not necessarily include the pedestal 4 . Moreover, the base material 2 may have several mounting areas 2C.

(4b) 상기 실시형태의 배선기판(1, 11, 21)에 있어서, 받침대(4)는 반드시 기재(2)와 일체로 구성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받침대(4)는 접합재에 의해서 기재(2)에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규제부(5, 15, 25)를 구성하는 돌기는 반드시 기재(2)와 일체로 구성되지 않아도 좋다. 또, 받침대(4)를 기재(2)와는 별도의 부재로서 준비하고, 받침대(4)와 기재(2)를 접합할 경우, 받침대(4)의 재료는 기재(2)와 동일 또는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받침대(4)와 기재(2)를 다른 재료로 형성할 경우, 받침대(4)의 재료는 예를 들면 질화알루미늄, 알루미나, 구리, 구리 합금, 구리 복합체, 알루미늄, 철 니켈 합금 등의 방열성이 우수한 재료가 바람직하다. (4b) In the wiring boards 1, 11, and 21 of the above embodiment, the pedestal 4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se 2 . For example, the base 4 may be joined to the base material 2 with a bonding material. Similarly, the projections constituting the regulating portions 5 , 15 , and 25 may not necessaril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se material 2 . In addition, when the base 4 is prepared as a member separate from the base 2 and the base 4 and the base 2 are joined, the material of the base 4 is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base 2 . may be formed. When the base 4 and the base 2 ar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the material of the base 4 is excellent in heat dissipation such as, for example, aluminum nitride, alumina, copper, copper alloy, copper composite, aluminum, or iron-nickel alloy. material is preferred.

(4c) 상기 실시형태의 배선기판(1, 11, 21)에 있어서, 탑재 에리어(2C)는 반드시 규제부(5), 또는 받침대(4)와 규제부(15, 25)의 조합에 의해서 둘러싸이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도 2A의 배선기판(11)에 있어서, 규제부(15)는 제 1 부(15A), 제 2 부(15B) 및 제 3 부(15C) 중 어느 1개만을 가져도 좋다. (4c) In the wiring boards 1, 11, and 21 of the above embodiment, the mounting area 2C is always surrounded by the regulating part 5 or the combination of the pedestal 4 and the regulating parts 15 and 25. it's okay not to be For example, in the wiring board 11 of Fig. 2A, the regulating portion 15 may have only one of the first portion 15A, the second portion 15B, and the third portion 15C.

(4d) 상기 실시형태의 배선기판(1, 11, 21)은 제 1 탑재부품(7) 및 제 2 탑재부품(8) 중 적어도 일방을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즉, 본 개시는 배선기판에 탑재되는 복수의 탑재부품 중, 일부 또는 전부의 탑재부품이 탑재되기 전의 배선기판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4d) The wiring boards 1, 11, and 21 of the above embodiment may not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irst mounting component 7 and the second mounting component 8. As shown in FIG. That is, the present disclosure is a concept including a wiring board before some or all of the mounting components among a plurality of mounting components mounted on the wiring board are mounted.

(4e)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1개의 구성요소가 가지는 기능을 복수의 구성요소로서 분산시키거나, 복수의 구성요소가 가지는 기능을 1개의 구성요소에 통합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생략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 중 적어도 일부를 다른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대해서 부가하거나 치환 등을 하여도 좋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문언으로부터 특정되는 기술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형태가 본 개시의 실시형태이다. (4e) The function of one component in the above embodiment may be dispersed as a plurality of components, or the functions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In addition, you may abbreviate|omit a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said embodiment. Moreover, at least a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said embodiment may be added or substituted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of another said embodiment. In addition, all the forms included in the technical thought specified from the wording of a claim are embodiment of this indication.

[5. 실시예][5. Example]

이하에, 본 개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실시한 시험의 내용과 그 평가에 대해서 설명한다. Below, the content of the test performed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this indication, and its evaluation are demonstrated.

<실시예 1><Example 1>

도 3A의 규제부(25)를 돌기로 하여 형성한 기재(2)(돌기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평균두께 500㎛)에 틀체(3)를 납땜하였다. 경납땜재에 의해서 받침대(4)의 이음 부분에 형성된 필릿의 두께를 계측한 바, 20㎛이었다. 또, 탑재 에리어(2C)로의 경납땜재(즉, 접합재)의 유입은 확인되지 않았다. The frame 3 was brazed to the base 2 (average thickness of the portions excluding the protrusions of 500 mu m) formed with the regulating portions 25 in Fig. 3A as protrusions. It was 20 micrometers when the thickness of the fillet formed in the joint part of the pedestal 4 with a brazing material was measured. In addition, the inflow of the brazing material (that is, the bonding material) to the mounting area 2C was not confirmed.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1>

도 3A의 규제부(25)를 형성하지 않은 기재(2)(두께는 실시예 1과 같음)에 틀체(3)를 납땜하였다. 경납땜재에 의해서 받침대(4)의 이음 부분에 형성된 필릿의 두께를 계측한 바, 51㎛이었다. 또, 탑재 에리어(2C)에 있어서, 받침대(4)와는 반대측에서 경납땜재(즉, 접합재)가 유입되어, 탑재 에리어(2C) 내에 10㎛의 단차가 확인되었다. The frame 3 was soldered to the base 2 (thickness is the same as in Example 1) on which the regulating part 25 of Fig. 3A was not formed. It was 51 micrometers when the thickness of the fillet formed in the joint part of the pedestal 4 with a brazing material was measured. Further, in the mounting area 2C, a brazing material (ie, a bonding material) flowed in from the side opposite to the pedestal 4, and a step difference of 10 µm was confirmed in the mounting area 2C.

<고찰><Consideration>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결과로부터, 규제부(25)에 의해서 받침대(4)의 이음 부분에 있어서의 필릿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나타났다. 또, 탑재 에리어(2C)로 접합재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나타났다.From the result of Example 1 and the comparative example 1, it was shown that formation of the fillet in the joint part of the pedestal 4 can be suppressed by the control part 25. Moreover, it was shown that it can suppress that a bonding material flows into 2 C of mounting areas.

1 - 배선기판 2 - 기재
2A - 표면 2B - 이면
2C - 탑재 에리어 3 - 틀체
3A - 접합층 4 - 받침대
4A - 이음 부분 5 - 규제부
7 - 제 1 탑재부품 8 - 제 2 탑재부품
11 - 배선기판 15 - 규제부
15A - 제 1 부 15B - 제 2 부
15C - 제 3 부 21 - 배선기판
25 - 규제부
1 - wiring board 2 - substrate
2A - surface 2B - back surface
2C - Mounting Area 3 - Frame
3A - Bonding Layer 4 - Pedestal
4A - Joint part 5 - Regulatory part
7 - First Mounting Part 8 - Second Mounting Part
11 - wiring board 15 - regulation part
15A - Part 1 15B - Part 2
15C - Part 3 21 - Wiring boards
25 - Regulatory Department

Claims (13)

표면 및 이면을 가지는 금속제의 기재와, 상기 기재의 상기 표면에 접합재로 이루어지는 접합층을 통해서 접합된 절연성의 틀체를 구비하는 배선기판으로서,
상기 기재의 상기 표면에 배치된 홈에 의해서 구성되는 규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재의 상기 표면에는 탑재부품의 탑재가 예정되어 있는 탑재 에리어를 가지고 있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표면 중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탑재 에리어와 상기 틀체 사이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배선기판.
A wiring board comprising: a metal substrate having a front surface and a back surface; and an insulating frame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through a bonding layer made of a bonding material,
Further comprising a regulating portion constituted by a groove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has a mounting area in which mounting parts are scheduled,
and the regulating portion is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region between the mounting area and the frame in a plan view.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상기 표면 중 상기 틀체보다도 내측의 영역에 또한 상기 탑재 에리어와는 다른 영역에 형성된 받침대를 더 구비하는 배선기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wiring board further comprising a pedestal formed in a region of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that is inner than the frame body and in a region different from the mounting area.
삭제delete 표면 및 이면을 가지는 금속제의 기재와, 상기 기재의 상기 표면에 접합재로 이루어지는 접합층을 통해서 접합된 절연성의 틀체를 구비하는 배선기판으로서,
상기 기재의 상기 표면에 배치된 홈, 돌기 또는 이것들의 조합에 의해서 구성되는 규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재의 상기 표면에는 탑재부품의 탑재가 예정되어 있는 탑재 에리어를 가지고 있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표면 중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탑재 에리어와 상기 틀체 사이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고,
상기 기재의 상기 표면 중 상기 틀체보다도 내측의 영역에 또한 상기 탑재 에리어와는 다른 영역에 형성된 받침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탑재 에리어와 상기 틀체 사이의 영역 중 상기 탑재 에리어와 상기 틀체 사이에 상기 받침대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는 배선기판.
A wiring board comprising: a metal substrate having a front surface and a back surface; and an insulating frame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through a bonding layer made of a bonding material,
Further comprising a regulating portion constituted by a groove, a projec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arrang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has a mounting area in which mounting parts are scheduled,
The regulating part is disposed on at least a part of a region between the mounting area and the frame body in a plan view among the surfaces,
and a pedestal formed in a region inside the frame of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in a region different from the mounting area,
and the regulating portion is disposed in a region between the mounting area and the frame in which the pedestal does not exist among the regions between the mounting area and the frame.
표면 및 이면을 가지는 금속제의 기재와, 상기 기재의 상기 표면에 접합재로 이루어지는 접합층을 통해서 접합된 절연성의 틀체를 구비하는 배선기판으로서,
상기 기재의 상기 표면에 배치된 홈, 돌기 또는 이것들의 조합에 의해서 구성되는 규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재의 상기 표면에는 탑재부품의 탑재가 예정되어 있는 탑재 에리어를 가지고 있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표면 중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탑재 에리어와 상기 틀체 사이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고,
상기 기재의 상기 표면 중 상기 틀체보다도 내측의 영역에 또한 상기 탑재 에리어와는 다른 영역에 형성된 받침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받침대의 상기 기재와의 이음 부분에 접하는 배선기판.
A wiring board comprising: a metal substrate having a front surface and a back surface; and an insulating frame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through a bonding layer made of a bonding material,
Further comprising a regulating portion constituted by a groove, a projec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arrang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has a mounting area in which mounting parts are scheduled,
The regulating part is disposed on at least a part of a region between the mounting area and the frame body in a plan view among the surfaces,
and a pedestal formed in a region inside the frame of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in a region different from the mounting area,
The regulating part is in contact with a joint portion of the pedestal with the base material.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탑재 에리어는 상기 받침대와 상기 규제부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둘러싸이는 배선기판.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ounting area is continuously surrounded by the pedestal and the regulating part.
표면 및 이면을 가지는 금속제의 기재와, 상기 기재의 상기 표면에 접합재로 이루어지는 접합층을 통해서 접합된 절연성의 틀체를 구비하는 배선기판으로서,
상기 기재의 상기 표면에 배치된 홈, 돌기 또는 이것들의 조합에 의해서 구성되는 규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재의 상기 표면에는 탑재부품의 탑재가 예정되어 있는 탑재 에리어를 가지고 있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표면 중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탑재 에리어와 상기 틀체 사이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고,
상기 기재의 상기 표면 중 상기 틀체보다도 내측의 영역에 또한 상기 탑재 에리어와는 다른 영역에 형성된 받침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규제부는 적어도 상기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홈의 깊이는 상기 기재의 두께의 1/2 이하인 배선기판.
A wiring board comprising: a metal substrate having a front surface and a back surface; and an insulating frame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through a bonding layer made of a bonding material,
Further comprising a regulating portion constituted by a groove, a projec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arrang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has a mounting area in which mounting parts are scheduled,
The regulating part is disposed on at least a part of a region between the mounting area and the frame body in a plan view among the surfaces,
and a pedestal formed in a region inside the frame of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in a region different from the mounting area,
The regulating part is composed of at least the groove, and the depth of the groove is 1/2 or less of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청구항 4,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적어도 상기 돌기로 구성되는 배선기판.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5 or 7,
The regulating part is a wiring board comprising at least the protrusio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틀체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탑재부품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패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돌기의 높이는 상기 기재의 상기 표면에서부터 상기 접속패드의 형성위치까지의 높이 이하인 배선기판.
9. The method of claim 8,
A connection pad formed on the fram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unting part is further provided,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is equal to or less than a height from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connection pad.
청구항 1, 청구항 4,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는 세라믹을 90질량% 이상 함유되는 성분으로 하는 배선기판.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5 or 7,
The frame is a wiring board having a ceramic content of 90% by mass or more.
청구항 1, 청구항 4,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구리, 구리 합금 및 구리 복합체 중 적어도 1개로 구성되는 배선기판.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5 or 7,
The substrate is a wiring board composed of at least one of copper, a copper alloy, and a copper composite.
청구항 1, 청구항 4,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 에리어에 탑재된 상기 탑재부품을 더 구비하는 배선기판.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5 or 7,
The wiring board further comprising the mounting component mounted in the mounting area.
청구항 2, 청구항 4, 청구항 5,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및 상기 규제부는 상기 기재와 일체로 구성되는 배선기판.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4, 5, 6 or 7,
The pedestal and the regulating part are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substrate.
KR1020190123186A 2018-10-05 2019-10-04 Wiring board KR10243498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90121 2018-10-05
JP2018190121 2018-10-05
JP2019152451A JP6936839B2 (en) 2018-10-05 2019-08-23 Wiring board
JPJP-P-2019-152451 2019-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597A KR20200039597A (en) 2020-04-16
KR102434982B1 true KR102434982B1 (en) 2022-08-19

Family

ID=70220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186A KR102434982B1 (en) 2018-10-05 2019-10-04 Wiring board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936839B2 (en)
KR (1) KR10243498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85622A (en) * 2014-03-22 2015-10-22 京セラ株式会社 Electronic element mounting substrate and electronic device
JP2018110263A (en) * 2016-08-10 2018-07-12 京セラ株式会社 Package for mounting electrical element, array type package and electric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2964U (en) * 1993-12-28 1995-08-11 株式会社住友金属セラミックス Package for storing semiconductor devices
JPH10303323A (en) * 1997-04-25 1998-11-13 Fukushima Nippon Denki Kk Air-tight sealed package for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69838849T2 (en) * 1997-08-19 2008-12-11 Hitachi, Ltd. Multi-chip module structure and its manufacture
US6058023A (en) * 1998-11-06 2000-05-02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Isolation of high-voltage components in a dense environment
WO2009008457A1 (en) * 2007-07-09 2009-01-15 Jfe Precision Corporation Heat radiating component for electronic component, case for electronic component, carrier for electronic component, and package for electronic component
JP6328475B2 (en) 2014-04-16 2018-05-23 Ngkエレクトロデバイス株式会社 Electronic component storage pack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85622A (en) * 2014-03-22 2015-10-22 京セラ株式会社 Electronic element mounting substrate and electronic device
JP2018110263A (en) * 2016-08-10 2018-07-12 京セラ株式会社 Package for mounting electrical element, array type package and electric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597A (en) 2020-04-16
JP2020061544A (en) 2020-04-16
JP6936839B2 (en) 202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2393B2 (en)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external connection with different width
US9887338B2 (en) Light emitting diode device
WO2012005984A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s with improved heat transfer
KR20120048535A (en) Light emitting device
KR102434982B1 (en) Wiring board
KR102244251B1 (en) Wiring board
US10985087B2 (en) Wiring board
US11410895B2 (en) Wiring board
JP7202869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2021166315A (en) Light emi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