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897B1 - 발전소의 가스 재열기 및 공기 예열기용 열소자 - Google Patents

발전소의 가스 재열기 및 공기 예열기용 열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897B1
KR102434897B1 KR1020220030542A KR20220030542A KR102434897B1 KR 102434897 B1 KR102434897 B1 KR 102434897B1 KR 1020220030542 A KR1020220030542 A KR 1020220030542A KR 20220030542 A KR20220030542 A KR 20220030542A KR 102434897 B1 KR102434897 B1 KR 102434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valley
peak
transfer plat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펙
Priority to KR1020220030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8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6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coo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5/00Heating of air supplied for combustion
    • F23L15/02Arrangements of re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9/00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in whic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y is moved successively into contact with each heat-exchange medium
    • F28D19/04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in whic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y is moved successively into contact with each heat-exchange medium using rigid bodies, e.g. mounted on a movable carrier
    • F28D19/041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in whic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y is moved successively into contact with each heat-exchange medium using rigid bodies, e.g. mounted on a movable carrier with axial flow throug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 F28D19/042Rotors; Assemblies of heat absorbing masses
    • F28D19/044Rotors; Assemblies of heat absorbing masses shaped in sector form, e.g. with bas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25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corrugated, plate-lik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5/00Preventing emissions
    • F23J2215/20Sulfur; Compound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2900/00Special arrangements for supplying or treating air or oxidant for combustion; Injecting inert gas, water or steam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L2900/15043Preheating combustion air by heat recovery means located in the chimney, e.g. for home hea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열소자는 고온의 가스와 저온의 가스를 열교환하는 가스 재열기에 적용되며, 제1 전열판과 제2 전열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열판과 상기 제2 전열판 사이에는 형상이 서로 상이한 제1 열전달 유로와 제2 열전달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제2 유로의 단면적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발전소의 가스 재열기 및 공기 예열기용 열소자{HEATING ELEMENT FOR GAS-GAS HEATER AND GAS-AIR HEATER OF POWER PLANT}
본 발명은 발전소에서 공기를 가열하거나 가스를 가열하는 공기 예열기 및 가스 재열기에 적용되는 열소자에 관한 것이다.
화력발전소의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에는 황산화물이 포함되고, 이 황산화물이 연돌(stack)로 배출되기 전에 탈황설비를 이용하여 제거하게 된다. 화력발전소에서 탈황설비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을 석회석 슬러리에 흡수, 반응시켜 제거하게 되는데, 이러한 탈황설비에는 가스 재열기(Gas Gas Heater, GGH) 및 공기 예열기(GAS-AIR HEATER)가 구비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보일러(10)는 연료를 연소하여 급수를 가열하여 고온의 증기를 생성하며, 보일러(1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전기 집진기(20)에서 먼지가 제거된 후에, 가스 재열기(50)를 거쳐서 탈황장치(30)로 유입된다.
가스 재열기(50)는 탈황장치(30)에서 탈황된 저온 배가스와, 전기 집진기(20)를 거친 고온의 연소가스를 열교환시켜 탈황이 안된 고온가스의 온도를 낮추고 탈황된 저온가스는 온도를 높여준다.
가스 재열기(50)에 의해 탈황된 저온가스의 온도를 상승시켜 통풍력을 향상시키고, 연돌 출구에서의 백연현상을 방지하고, 탈황효율개선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가스 재열기(50)는 보일러(10)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서 연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한편, 공기 예열기는 공기와 전기 집진기(20)를 거친 고온의 연소가스를 열교환시켜서 고온가스의 온도를 낮추고, 공기를 가열하며, 가열된 공기는 보일러(1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 재열기(50) 및 공기 예열기는 열전달 효율이 높아야 하며, 압력 손실이 감소되어야 한다. 압력 손실이 크면 유속이 저하되어 석고, 애쉬 등의 이물질이 열소자에 고착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압력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열소자 사이의 통로의 단면적을 증가시키면 열전달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압력 손실을 감소시키면서 열전달 효율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가스 재열기 및 공기 예열기용 열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열소자는 고온의 가스와 저온의 가스를 열교환하는 가스 재열기 및 공기 예열기에 적용되며, 제1 전열판과 제2 전열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열판과 상기 제2 전열판 사이에는 형상이 서로 상이한 제1 열전달 유로와 제2 열전달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제2 유로의 단면적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제1 전열판은 주기적으로 모양이 변하는 제1 파형을 갖고, 상기 제1 파형의 하나의 주기는 2개의 마루부와 2개의 골부과 상기 마루부와 상기 골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전열판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하나의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제1 전열판은 복수의 상기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들은 2개의 마루부와 2개의 골부를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제2 전열판은 주기적으로 모양이 변하는 제2 파형을 갖고, 상기 제2 파형의 하나의 주기는 하나의 마루부와 하나의 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제2 전열판의 마루부와 골부는 상기 제1 전열판의 마루부가 이어진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제1 파형의 하나의 주기는 상단에 배치된 제1 마루부와 상기 제1 마루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골부와 상기 제1 골부의 상부에 배치된 제2 마루부와 상기 제2 마루부의 하부에 배치된 제2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제2 마루부와 상기 제2 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제2 마루부에서 상기 제1 마루부까지의 제2 길이는 상기 제1 마루부에서 상기 제2 마루부까지의 제1 길이의 1.5배 내지 2.5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확장부의 길이는 상기 제1 마루부에서 상기 제1 골부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제1 파형은 제1 마루부와 제1 골부를 연결하는 제1 하강 경사부와 제1 골부와 제2 마루부를 연결하는 제1 상승 경사부와 제2 마루부와 확장부를 연결하는 제2 하강 경사부와 확장부와 제2 골부를 연결하는 제3 하강 경사부와 제2 골부와 제1 마루부를 연결하는 제3 상승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제1 마루부와 상기 제1 골부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제2 마루부, 상기 확장부, 상기 제2 골부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전열판이 2개의 마루부, 2개의 골부, 및 하나의 확장부를 포함하므로 제1 전열판과 제2 전열판 사이에 단면적이 상이한 2개의 유로가 형성되므로, 압력 손실을 감소시키면서 열전달 효율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화력발전소 등의 보일러에서 생성된 연소 가스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재열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섹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과 이에 설치된 열소자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열판과 제2 전열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열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열판과 제2 전열판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종래 가스 재열기의 압력 강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재열기의 압력 강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종래 가스 재열기의 온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재열기의 압력 강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들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경우, 이는 다른 구성 요소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있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대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하는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재열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섹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과 이에 설치된 열소자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 재열기(50)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하우징(51)과 하우징(51)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전열섹터(60)를 포함한다. 전열섹터(60)는 부채꼴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전열섹터들(60)이 모여서 원형을 형성한다. 전열섹터(60)는 반경방향으로 적층 배열된 복수의 바스켓(300)을 포함하며, 바스켓(300) 내부에는 복수의 열소자(HE)가 설치될 수 있다.
가스 재열기(50)의 한 편에는 고온의 가스가 통과되며, 다른 편에는 저온의 가스가 통과된다. 가스 재열기(50)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한쪽에서는 고온의 배기가스로부터 열을 전달받고, 다른 쪽에서는 저온의 가스로 열을 전달한다.
열소자들(HE)은 바스켓(300) 단위로 고정되어 가스 재열기(5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바스켓(300)은 복수의 열소자(HE)와 양단에 배치된 엔드 지지대들(310, 320)과 엔드 지지대들(310, 320)을 연결하는 고정 막대들(340)과 고정 막대(340)에 결합되어 고정 막대(340)를 지지하는 보조 지지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스켓(300)은 측면 지지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열판과 제2 전열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열판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열판과 제2 전열판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열소자(HE)는 고온의 가스와 저온의 가스를 열교환하는 가스 재열기에 적용되며, 제1 전열판(100)과 제2 전열판(200)을 갖는다.
복수의 제1 전열판(100)과 제2 전열판(200)은 교대로 배치되어 적층되며, 제1 전열판(100)과 제2 전열판(200) 사이에 가스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제1 전열판(100)과 제2 전열판(200)은 가스 재열기(50)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며, 회전하는 동안 고온의 가스 및 저온의 가스와 접촉하여 열을 전달한다.
제1 전열판(100)과 제2 전열판(200)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에 세라믹층이 코팅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열판(100)은 주기적으로 모양이 변하는 제1 파형(W1)을 갖고, 제1 파형(W1)의 하나의 주기(T1)는 2개의 마루부(121, 123)와 2개의 골부(131, 132)과 마루부(123)와 골부(132) 사이에 형성된 하나의 확장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루부(121, 123)는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된 부분의 상단을 의미하며, 골부(131, 132)는 하부로 오목하게 함몰된 부분의 하단을 의미한다.
제1 파형(W1)의 하나의 주기(T1)는 상단에 배치된 제1 마루부(121)와 제1 마루부(121)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골부(131)와 제1 골부(131)의 상부에 배치된 제2 마루부(123)와 제2 마루부(123)의 하부에 배치된 제2 골부(132)와 제2 마루부(123)와 제2 골부(132)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전열판(100)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확장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파형(W1)은 제1 마루부(121)와 제1 골부(131)를 연결하는 제1 하강 경사부(151)와 제1 골부(131)와 제2 마루부(123)를 연결하는 제1 상승 경사부(152)와 제2 마루부(123)와 확장부(155)를 연결하는 제2 하강 경사부(153)와 확장부(155)와 제2 골부(132)를 연결하는 제3 하강 경사부(154)와 제2 골부(132)와 제1 마루부(121)를 연결하는 제3 상승 경사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하강 경사부(151), 제1 상승 경사부(152), 제2 하강 경사부(153), 제3 하강 경사부(154), 제3 상승 경사부(156)는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하강 경사부(153)와 제3 하강 경사부(154)는 제1 하강 경사부(151)의 길이의 절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확장부(155)는 제1 파형(W1)의 진폭 중앙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파형(W1)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이어질 수 있다. 확장부(155)의 길이는 제1 마루부(121)에서 제1 골부(131)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마루부(123)에서 제1 마루부(121)까지의 제2 길이(L2)는 제1 마루부(121)에서 제2 마루부(123)까지의 제1 길이(L1)의 1.5배 내지 2.5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길이(L2)가 제1 길이(L1)의 1.5배 보다 더 작으면, 유로 단면적의 차이가 작아서 유로가 자주 막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제2 길이(L2)가 제1 길이(L1)의 2.5배 보다 더 크면 열전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2 전열판(200)은 주기적으로 모양이 변하는 제2 파형(W2)을 갖고, 제2 파형(W2)의 하나의 주기는 하나의 마루부(210)와 하나의 골부(230)를 갖는다. 제2 파형(W2)은 삼각파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전열판(200)의 높이는 제1 전열판(100)의 높이의 1/2~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전열판(200)의 마루부(210)와 골부(230)는 제1 전열판(100)의 마루부들(121, 123)이 이어진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이어질 수 있다. 제2 전열판(200)의 마루부(210)와 골부(230)가 제1 전열판(100)의 마루부(121, 123)와 골부(131, 132)에 대하여 경사지게 이어지면 난류를 유도하여 열전달 효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적층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전열판(100)과 제2 전열판(200) 사이에는 제1 마루부(121)와 제1 골부(131)에 의하여 형성된 제1 유로(D1)와, 제2 마루부(123), 확장부(155), 제2 골부(132)에 의하여 형성된 제2 유로(D2)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유로(D1)의 단면적은 제2 유로(D2)의 단면적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전열판(100)에 의하여 단면적이 서로 다른 유로가 형성되면, 열전달 효율의 저하를 최소화하면서도 압력 강하를 감소시켜서 이물질이 전열판에 고착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큰 제2 유로(D2)를 통해서 가스가 용이하게 이동하므로 압력 손실이 방지되고,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은 제1 유로(D1)를 통해서 가스가 이동하면서 열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종래와 같이 확장부가 없는 구조는 유로 단면적이 작아서 이물질에 의하여 유로가 막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확장부가 골부와 마루부 사이에 모두 형성되면, 유로 단면적이 증가하여 이물질이 고착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열전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확장부(155)가 형성된 부분과 확장부(155)가 없는 부분이 교대로 배치되면 차압이 감소하고, 열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유로(D1)의 단면적은 제2 유로(D2)의 단면적의 50%~8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유로(D1)의 단면적이 제2 유로(D2)의 단면적의 50%보다 더 작으면 유로가 자주 막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제1 유로(D1)의 단면적이 제2 유로(D2) 단면적의 80%보다 더 크면 열전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8은 종래 가스 재열기의 압력 강하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재열기의 압력 강하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0은 종래 가스 재열기의 온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재열기의 압력 강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종래 가스 재열기는 마루부와 골부가 교대로 배치되고, 마루부와 골부 사이에 확장부가 형성된 파형을 갖는 제1 전열판과 정현파를 갖는 제2 전열판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그래프는 100% 운전 조건에서 유속은 13.64m/s이고, 고온 가스의 온도는 143도씨인 경우의 압력 강화와 온도 강하를 비교한 것을 나타낸다.
종래 가스 재열기의 압력 강하(DP1)는 232.82Pa이며, 온도 강하(DT1)는 48.89도씨이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 재열기(50)의 압력 강하(DP2)는 166.48Pa이고, 온도 강하(DT2)는 41.26도씨이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열소자(HE)가 적용된 가스 재열기(50)는 종래의 가스 재열기에 비하여 압력 강하는 28% 개선되었으며, 온도 강하는 15.6% 저하되었다. 이와 같이 열전달 효율 감소에 비하여 압력 강하가 충분히 개선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열소자(HE)는 종래에 비하여 이물질이 열소자(HE)에 고착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보일러 20: 전기 집진기
30: 탈황장치 50: 가스 재열기
51: 하우징 60: 전열섹터
100: 제1 전열판 121: 제1 마루부
123: 제2 마루부 131: 제1 골부
132: 제2 골부 151: 제1 하강 경사부
152: 제1 상승 경사부 153: 2 하강 경사부
154: 제3 하강 경사부 155: 확장부
156: 제3 상승 경사부 200: 제2 전열판
210: 마루부 230: 골부
300: 바스켓 310, 320: 엔드 지지대
330: 측면 지지대 340: 고정 막대
HE: 열소자 W1: 제1 파형
W2: 제2 파형 T1: 주기
D1: 제1 유로 D2: 제2 유로

Claims (10)

  1. 온도가 서로 상이한 가스를 열교환하는 가스 재열기 및 공기 예열기에 적용되며, 제1 전열판과 제2 전열판을 갖는 열소자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열판과 상기 제2 전열판 사이에는 형상이 서로 상이한 제1 열전달 유로와 제2 열전달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열전달 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제2 열전달 유로의 단면적보다 더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전열판은 주기적으로 모양이 변하는 제1 파형을 갖고, 상기 제1 전열판은 주기적으로 모양이 변하는 제1 파형을 갖고, 상기 제1 파형의 하나의 주기는 2개의 마루부와 2개의 골부과 상기 마루부와 상기 골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전열판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하나의 확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열판은 주기적으로 모양이 변하는 제2 파형을 갖고, 상기 제2 파형의 하나의 주기는 하나의 마루부와 하나의 골부를 갖고, 상기 제2 전열판의 마루부와 골부는 상기 제1 전열판의 마루부가 이어진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이어지며,
    상기 제1 열전달 유로는 마루부와 골부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열전달 유로는 마루부와 확장부와 골부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전열판의 양쪽면에 각각 상기 제2 전열판이 마주하도록 적층 배치되고,
    상기 제1 전열판의 양쪽면과 상기 제2 전열판들 사이에 각각 상기 제1 열전달 유로와 상기 제2 열전달 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재열기 및 공기 예열기용 열소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열판은 복수의 상기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들은 2개의 마루부와 2개의 골부를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재열기 및 공기 예열기용 열소자.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형의 하나의 주기는 상단에 배치된 제1 마루부와 상기 제1 마루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골부와 상기 제1 골부의 상부에 배치된 제2 마루부와 상기 제2 마루부의 하부에 배치된 제2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제2 마루부와 상기 제2 골부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재열기 및 공기 예열기용 열소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루부에서 상기 제1 마루부까지의 제2 길이는 상기 제1 마루부에서 상기 제2 마루부까지의 제1 길이의 1.5배 내지 2.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재열기 및 공기 예열기용 열소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길이는 상기 제1 마루부에서 상기 제1 골부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재열기 및 공기 예열기용 열소자.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형은 제1 마루부와 제1 골부를 연결하는 제1 하강 경사부와 제1 골부와 제2 마루부를 연결하는 제1 상승 경사부와 제2 마루부와 확장부를 연결하는 제2 하강 경사부와 확장부와 제2 골부를 연결하는 제3 하강 경사부와 제2 골부와 제1 마루부를 연결하는 제3 상승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재열기 및 공기 예열기용 열소자.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전달 유로는 상기 제1 마루부와 상기 제1 골부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열전달 유로는 상기 제2 마루부, 상기 확장부, 상기 제2 골부에 의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재열기 및 공기 예열기용 열소자.
KR1020220030542A 2022-03-11 2022-03-11 발전소의 가스 재열기 및 공기 예열기용 열소자 KR102434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542A KR102434897B1 (ko) 2022-03-11 2022-03-11 발전소의 가스 재열기 및 공기 예열기용 열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542A KR102434897B1 (ko) 2022-03-11 2022-03-11 발전소의 가스 재열기 및 공기 예열기용 열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897B1 true KR102434897B1 (ko) 2022-08-22

Family

ID=83103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542A KR102434897B1 (ko) 2022-03-11 2022-03-11 발전소의 가스 재열기 및 공기 예열기용 열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8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6294A (ko) * 2012-08-23 2014-03-05 알스톰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회전 재생식 예열기용 열전달 조립체
KR101886704B1 (ko) * 2017-09-25 2018-08-08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가스 재열기의 성능이 향상되는 열소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6294A (ko) * 2012-08-23 2014-03-05 알스톰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회전 재생식 예열기용 열전달 조립체
KR101886704B1 (ko) * 2017-09-25 2018-08-08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가스 재열기의 성능이 향상되는 열소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01413B2 (en) Heating element undulation patterns
US4396058A (en) Heat transfer element assembly
RU2529621C2 (ru) Элемент теплопереноса для роторного регенеративного теплообменника
CA2616201C (en) Heat exchange surface
KR101316776B1 (ko) 로터리식 재생 열교환기용 열전달 시트
CA1265390A (en) Fluidized-bed firing system with immersion heating surfaces
KR102434897B1 (ko) 발전소의 가스 재열기 및 공기 예열기용 열소자
KR102452602B1 (ko) 발전소의 가스 재열기 및 공기 예열기용 열전달 바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재열기, 공기 예열기
US4930569A (en) Heat transfer element assembly
CN103968405B (zh) 一种具有除雾功能的烟气加热器
JP2000503107A (ja) 空気予熱器の熱伝達表面
KR102461692B1 (ko) 발전소의 가스 재열기 및 공기 예열기용 열전달 바스켓, 이를 포함하는 가스 재열기, 공기 예열기
CA1132410A (en) Cleanable circumferentially finned heat exchanger
WO2021085513A1 (ja) ガスガス熱交換器
US4512389A (en) Heat transfer element assembly
JP2020525750A (ja) 回転式熱交換器用熱伝達エレメント
KR101886704B1 (ko) 가스 재열기의 성능이 향상되는 열소자
KR101641666B1 (ko) 석탄 화력발전소 보일러용 공기 예열장치
CN210434265U (zh) 一种炉窑含湿烟气消白系统
CN208487997U (zh) 新板型传热元件
JP2001311503A (ja) 循環型流動層ボイラ
JP4304835B2 (ja) ダクトの気柱振動抑制装置
WO2011095845A1 (en) Improvements to heat recovery in a domestic heating system
KR101817018B1 (ko) 탈황 설비용 가스가스히터
CN210373399U (zh) 一种垃圾焚烧余热锅炉过热器扩展受热面的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