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338B1 - Breakaway device for hydrogen station - Google Patents

Breakaway device for hydrogen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338B1
KR102434338B1 KR1020200109201A KR20200109201A KR102434338B1 KR 102434338 B1 KR102434338 B1 KR 102434338B1 KR 1020200109201 A KR1020200109201 A KR 1020200109201A KR 20200109201 A KR20200109201 A KR 20200109201A KR 102434338 B1 KR102434338 B1 KR 102434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hydrogen
filter unit
filter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2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28337A (en
Inventor
박상후
손성재
조영관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09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338B1/en
Publication of KR20220028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3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3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12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6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compress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41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7Quick connecting means, e.g. coup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88Arrangement of valves, regulators,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2Hydrog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가 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 충전시설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대상물에 전달하는 호스에 구성된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는, 상기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의 내부에 구성되어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홀들이 다수 개 구성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체를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로 안내하며, 상기 홀들을 통해 상기 필터부의 내외부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A hydrogen breakaway device is presented. A hydrogen breakaway device configured in a hose for delivering a fluid supplied from a hydrogen charg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an object includes a filter unit configured inside the hydrogen breakaway device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The filter unit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including a plurality of holes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to guide the fluid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and may form a flow path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ilter unit through the holes.

Description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BREAKAWAY DEVICE FOR HYDROGEN STATION}Hydrogen breakaway device {BREAKAWAY DEVICE FOR HYDROGEN STATION}

아래의 실시예들은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력손실 저감을 위한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following embodiments relate to a hydrogen breakaw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ydrogen breakaway device for reducing pressure loss.

도 1은 일반적인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general hydrogen breakaway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수소 충전소(hydrogen fueling station)에서는 매우 높은 압력의 수소를 취급하기 때문에 시설의 견고함과 안전관리기술들이 요구된다. 특히, 충전 중 차량의 발진상황 발생 시 충전소의 디스펜서(dispenser) 및 기반시설 등의 심각한 피해를 야기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인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10)라는 안전장치의 설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10)는 수소 충전소의 디스펜서(20)와 차량을 연결하는 호스 및 노즐(30) 사이에 설치되어, 충전 중 차량이 움직이는 등 외력이 가해지면 분리가 되고 수소공급 관로의 내부 체크밸브가 작동하여 유체의 누출을 차단하도록 기본적으로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 since a hydrogen fueling station handles hydrogen at a very high pressure, robustness of the facility and safety management techniques are required. In particular, when the vehicle starts during charging, it may cause serious damage to the dispenser and infrastructure of the charging station, and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safety device called the hydrogen breakaway device 10, which is a device to prevent this. do. The hydrogen breakaway device 10 is installed between the dispenser 20 of the hydrogen charging station and the hose and nozzle 30 connecting the vehicle, and is separat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such as when the vehicle moves during charging, and internal check of the hydrogen supply pipe The valve is basically configured to actuate and shut off the leakage of fluid.

700 bar(70 MPa) 급의 높은 내압 조건에서 응력집중으로 인해 과도한 응력이 발생하며, 충전 및 수송과정에서 높은 압력강하 발생 시 에너지 손실로 인한 충전 효율이 저하된다. 이에 따라 수소 유체가 흐르는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10)는 충전 효율 향상을 위해서 낮은 압력손실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관내 유동은 표면의 거칠기로 인한 마찰 손실과 유로 직경 및 유로 방향의 급격한 변화에 의해서 압력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10)에서 압력손실 저감을 위해서 유로 방향의 변화를 최소화하는 유로 형상 설계가 요구된다.Excessive stress occurs due to stress concentration under high withstand pressure conditions of 700 bar (70 MPa), and charging efficiency is reduced due to energy loss when high pressure drop occurs during charging and transportation. Accordingly, the hydrogen breakaway device 10 through which the hydrogen fluid flows is required to have a low pressure loss in order to improve charging efficiency. In general, in-pipe flow, pressure loss occurs due to friction loss due to the roughness of the surface and rapid changes in the diameter and direction of the flow path.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pressure loss in the hydrogen breakaway device 10 , a flow path shape design that minimizes the flow direction change is required.

한국등록특허 10-0837312호는 이러한 균일한 분리력을 갖는 브레이크어웨이에 관한 것으로, 충전 연료의 충전압력의 변화에 상관없이 소켓부와 플러그부의 분리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브레이크어웨이를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Korean Patent No. 10-0837312 relates to a breakaway having such a uniform separation force, and relates to a device for providing a breakaway in which the separation force of the socket part and the plug part is maintained constant regardless of the change in the charging pressure of the charged fuel is described.

한국등록특허 10-0837312호Korean Patent No. 10-0837312

실시예들은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에 관하여 기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홀들이 다수 개 구성된 원통 형상의 필터부를 통해 유체의 유로를 변경하여 유동 방향 변화를 최소화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The embodiments describe a hydrogen breakawa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provide a technique for minimizing a change in a flow direction by changing a flow path of a fluid through a cylindrical filter unit having a plurality of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실시예들은 다구찌 기법 설계변수 요인분석 및 유동 위상 최적화 사례를 적용하여 유로 방향을 최소화하고, 압력손실 측면의 유동특성 향상을 위해 유동 방향 변화를 최소화하는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Embodiments are to provide a hydrogen breakaway device that minimizes the flow direction by applying the Taguchi technique design variable factor analysis and flow phase optimization case, and minimizes the flow direction change in order to improve the flow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ressure loss.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 충전시설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대상물에 전달하는 호스에 구성된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는, 상기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의 내부에 구성되어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홀들이 다수 개 구성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체를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로 안내하며, 상기 홀들을 통해 상기 필터부의 내외부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A hydrogen breakaway device configured in a hose for delivering a fluid supplied from a hydrogen charg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an object includes a filter unit configured inside the hydrogen breakaway device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The filter unit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including a plurality of holes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to guide the fluid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and may form a flow path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ilter unit through the holes.

상기 필터부는, 상기 유입구의 내측에 상기 원통 형상을 관통하는 내부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유체가 상기 유입구 측의 상기 홀들을 통해 분기되어 외부로 안내된 후, 다른 홀들을 통해 내부로 들어와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In the filter unit, a blocking unit for blocking an internal flow passage passing through the cylindrical shape is formed inside the inlet, and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inlet is branched through the holes on the inlet side and guided to the outside, and then another It may enter the interior through the holes and may flow out through the outlet.

상기 유입구 측의 상기 홀들은, 상기 차단부에 의해 복수개의 유로로 분기되는 복수개의 최적화 파트를 형성할 수 있다. The holes at the inlet side may form a plurality of optimization parts that are branched into a plurality of flow paths by the blocking unit.

상기 최적화 파트는, 4개 이상 구성될 수 있다. The optimization part may be composed of four or more.

상기 필터부의 차단부는, 상기 유입구 측이 돌출된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사선 방향의 직선부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상기 최적화 파트를 형성할 수 있다. The blocking part of the filter part may have a conical shape in which the inlet side protrudes, and may form a plurality of optimization parts including a straight part in an oblique direction.

상기 필터부의 차단부는, 상기 유입구 측이 돌출된 혼(horn)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사선 방향의 곡선부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상기 최적화 파트를 형성할 수 있다. The blocking part of the filter part may have a horn shape in which the inlet side protrudes, and may form a plurality of optimization parts formed of a curved part in an oblique direction.

상기 최적화 파트는, 상기 최적화 파트를 형성하는 홀의 입구 중심과 출구 중심을 연결한 선 l center 과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를 연결한 선과 평행한 선 l pz 사이의 각도가 40~60도일 수 있다. In the optimization part, an angle between the line l center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inlet and the center of the outlet of the hole forming the optimization part and the line l pz parallel to the line connecting the inlet and the outlet may be 40 to 60 degrees.

특히, 상기 최적화 파트는, 상기 최적화 파트를 형성하는 홀의 입구 중심과 출구 중심을 연결한 선 l center 과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를 연결한 선과 평행한 선 l pz 사이의 각도가 45도일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optimization part, an angle between a line l center connecting an inlet center and an outlet center of the hole forming the optimization part and a line l pz parallel to a line connecting the inlet and the outlet may be 45 degrees.

상기 필터부는, 상기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의 하우징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상기 홀들을 통해 상기 필터부의 내외부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The filter unit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ousing of the hydrogen breakaway devi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flow path into and out of the filter unit through the holes.

상기 필터부는, 상기 원통 형상의 외측이 복수개의 소결 메쉬 필터가 적층 가공된 다중 소결 메쉬 필터(multi-sintered mesh filt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lter unit may be formed of a multi-sintered mesh filter in which a plurality of sintered mesh filters are laminated outside the cylindrical shape.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 충전시설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대상물에 전달하는 호스에 구성된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상기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의 내부에 구성된 필터부를 통과시켜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를 통과시켜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단계는, 상기 필터부가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홀들이 다수 개 구성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체를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로 안내하며, 상기 홀들을 통해 상기 필터부의 내외부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A method of operating a hydrogen breakaway device configured in a hose for delivering a fluid supplied from a hydrogen charging facility to an obj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passes through a filter unit configured inside the hydrogen breakaway device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In the step of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by passing the filter unit, the filter unit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to guide the fluid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 a flow path may be formed in and out of the filter unit through the holes.

상기 필터부를 통과시켜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단계는, 상기 유입구의 내측에 상기 원통 형상을 관통하는 내부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부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유체가 상기 유입구 측의 상기 홀들을 통해 분기되어 외부로 안내되는 단계; 및 외부로 분기된 상기 유체가 다른 홀들을 통해 내부로 들어와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by passing the filter part, a blocking part for blocking the internal flow path passing through the cylindrical shape is formed inside the inlet, and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inlet is located at the inlet side. branching through the holes and guiding to the outside; and the fluid branched to the outside enters through other holes and flows out through the outlet.

상기 유입구 측의 상기 홀들은, 상기 차단부에 의해 복수개의 유로로 분기되는 복수개의 최적화 파트를 형성할 수 있다. The holes at the inlet side may form a plurality of optimization parts that are branched into a plurality of flow paths by the blocking unit.

상기 필터부의 차단부는, 상기 유입구 측이 돌출된 혼(horn)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사선 방향의 곡선부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상기 최적화 파트를 형성할 수 있다. The blocking part of the filter part may have a horn shape in which the inlet side protrudes, and may form a plurality of optimization parts formed of a curved part in an oblique direction.

상기 필터부는, 상기 원통 형상의 외측이 복수개의 소결 메쉬 필터가 적층 가공된 다중 소결 메쉬 필터(multi-sintered mesh filt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lter unit may be formed of a multi-sintered mesh filter in which a plurality of sintered mesh filters are laminated outside the cylindrical shape.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구찌 기법 설계변수 요인분석 및 유동 위상 최적화 사례를 적용하여 유로 방향을 최소화하고, 압력손실 측면의 유동특성 향상을 위해 유동 방향 변화를 최소화하는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데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ydrogen breakaway device that minimizes the flow direction by applying the Taguchi technique design variable factor analysis and flow phase optimization case, and minimizes the flow direction change in order to improve the flow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ressure loss.

도 1은 일반적인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의 필터부 부분의 종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등가모델 적용 유동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직선 유로형 필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선 유로형 필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곡선 유로형 필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구찌 기법을 이용한 설계변수 요인분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위상 최적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유입구 측의 유로 형상에 따른 유동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유로 형상에 따른 유동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최적화 파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최적화 파트의 개수에 대한 압력 분포 및 속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 부분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A-A' 단면의 최적화 파트 수에 따른 단면의 압력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의 A-A' 단면의 최적화 파트 수에 따른 단면의 속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최적화 파트 수에 따른 압력 강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사이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 각도에 대한 압력 분포 및 속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4의 A-A' 단면의 사이 각도에 따른 단면의 압력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14의 A-A' 단면의 사이 각도에 따른 단면의 속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 각도에 따른 압력 강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general hydrogen breakaway device.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hydrogen breakaw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view illustrating a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a filter part of a hydrogen breakaw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view showing a flow analysis result applying a filter equivalent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view showing a linear flow path type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agonal flow path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7 is a view illustrating a curved flow path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factor analysis of design variables using the Taguchi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flow phase optimiz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is a view illustrating a flow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a shape of a flow path at an inlet side of a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a flow path shape of a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timization part of a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ssure distribution and a velocity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optimized part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4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ssure distribution in a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optimized parts of a cross-section AA′ of FIG. 14 .
FIG. 16 is a view showing the velocity distribution of the cross sec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optimized parts of the cross section AA′ of FIG. 14 .
17 is a graph illustrating pressure drop according to the number of optimized part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ngle between filter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ssure distribution and a velocity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an angle between th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20 is a diagram illustrating pressure distribution of a cross section according to an angle between the cross sections AA′ of FIG. 14 .
FIG. 21 is a view showing the velocity distribution of the cross section according to the angle between the cross sections AA′ of FIG. 14 .
22 is a graph illustrating pressure drop according to an angle therebetw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various embodiments are provided in order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description.

실시예들은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다구찌 기법과 유동 위상 최적화를 적용하여 압력손실 저감 효과를 갖는 유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유동해석을 통해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의 주된 압력손실이 발생하는 영역을 도출하고 설계변수 선정 및 요인분석으로 핵심 변수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최적의 형상을 도출하여 압력손실 저감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Embodiments relate to a hydrogen breakaway device, and a flow path shape having a pressure loss reduction effect may be implemented by applying the Taguchi technique and flow phase optimization. Below, the region where the main pressure loss of the hydrogen breakaway device occurs can be derived through flow analysis, and key variables can be identified through design variable selection and factor analysis. After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effect of reducing the pressure loss by deriving an optimal shape.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hydrogen breakaw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10)는 필터부(11), 구동부(12), 소켓부(13) 및 플러그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10)는 갑작스런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충전 호스에 연결된 필터부(11), 구동부(12) 및 소켓부(13)와 차량 등에 연결된 플러그부(14)의 체결상태를 끊게 됨으로써 충전 호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hydrogen breakaway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ilter unit 11 , a driving unit 12 , a socket unit 13 , and a plug unit 14 . The hydrogen breakaway device 10 breaks the fastening state of the filter unit 11, the driving unit 12, and the socket unit 13 connected to the charging hose and the plug unit 14 connected to the vehicle, etc. when a sudden shock occurs. It can prevent damage to the charging hose.

필터부(11)는 유체(바람직하게는, 수소 가스) 충전시설에서 인출된 충전 호스의 말단과 연결되어 유체에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 들을 여과할 수 있다. 필터부(11)와 연결되는 구동부(12)는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10)의 분리 발생 시 재조립을 위한 구성이 될 수 있다. 구동부(12)와 연결되는 소켓부(13)는 체크밸브 기능 및 클램프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컨대 체크밸브 스프링의 장력으로 체크밸브가 닫히며, 플러그 결합 시 플러그의 체크밸브에 의해 뒤로 밀리면서 유로를 확보하고, 유사시 플러그가 분리되면 자동적으로 내부 유로가 체크밸브에 의해 닫히면서 수소 가스를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부(14)는 일측은 소켓부(13)와 연결되고 타측은 차량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호스의 말단과 연결될 수 있다. 플러그부(14)는 플러그를 조립하면 체크밸브 스프링 장력으로 체크밸브가 플러그를 막아 수소 배출을 막을 수 있다.The filter unit 11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lling hose drawn from the fluid (preferably, hydrogen gas) filling facility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fluid. The driving unit 12 connected to the filter unit 11 may be configured for reassembly when separation of the hydrogen breakaway device 10 occurs. The socket unit 13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12 performs a check valve function and a clamp function. For example, the check valve is closed by the tension of the check valve spring, and when the plug is engaged, the flow path is pushed back by the check valve of the plug. In case of emergency, when the plug is disconnected, the internal flow path is automatically closed by the check valve to shield the hydrogen gas. In addition, one side of the plug unit 14 may be connected to the socket unit 13 and the other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end of a hose for supplying fluid to the vehicle. When the plug part 14 is assembled with the plug, the check valve may block the plug by the check valve spring tension to prevent hydrogen discharge.

이에 따라 외부 충전시설에서 공급된 유체는 필터부(11), 구동부(12), 소켓부(13) 및 플러그부(14)를 통해 차량 등으로 주입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luid supplied from the external charging facility may be injected into a vehicle or the like through the filter unit 11 , the driving unit 12 , the socket unit 13 , and the plug unit 14 .

여기에서는 필터부(11)의 내부에 구성된 원통 형상의 필터부(100)를 필터부로 언급할 수 있다. 필터부(100)는 유입구의 내측에 원통 형상을 관통하는 내부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부가 형성되며, 유입구로 유입된 유체가 유입구 측의 홀들을 통해 분기되어 외부로 안내된 후, 다른 홀들을 통해 내부로 들어와 유출구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이 때, 유입구 측의 홀들은 차단부에 의해 복수개의 유로로 분기되는 복수개의 최적화 파트를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filter unit 100 having a cylindrical shape configured inside the filter unit 11 may be referred to as a filter unit. The filter unit 100 is formed with a blocking part blocking the inner flow path passing through the cylindrical shape inside the inlet, and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inlet is branched through the holes on the inlet side and guided to the outside, and then inside through other holes. It can enter through the outlet and outflow. In this case, the holes on the inlet side may form a plurality of optimization parts that are branched into a plurality of flow paths by the blocking unit.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의 필터부 부분의 종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illustrating a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a filter part of a hydrogen breakaw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 충전시설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대상물에 전달하는 호스에 구성된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는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의 내부에 구성되어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a hydrogen breakaway device configured in a hose that delivers a fluid supplied from a hydrogen charging facility to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filter configured inside the hydrogen breakaway device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part 100 may be included.

필터부(100)는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홀들이 다수 개 구성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유체를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로 안내하며, 홀들을 통해 필터부(100)의 내외부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부(100)는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의 하우징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홀들을 통해 필터부(100)의 내외부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The filter unit 100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to guide the fluid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and may form a flow path into and out of the filter unit 100 through the holes. Here, the filter unit 10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ousing of the hydrogen breakaway devi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flow path into and out of the filter unit 100 through holes.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부(100)는 유입구의 내측에 원통 형상을 관통하는 내부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부(112)가 형성되며, 유입구로 유입된 유체가 유입구 측(111)의 홀들을 통해 분기되어 외부로 안내된 후, 다른 홀들을 통해 내부로 들어와 유출구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이 때, 유입구 측(111)의 홀들은 차단부(112)에 의해 복수개의 유로로 분기되는 복수개의 최적화 파트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최적화 파트는 4개 이상 구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lter unit 100 is formed with a blocking unit 112 blocking the inner flow path passing through the cylindrical shape inside the inlet, and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inlet is branched through the holes on the inlet side 111. After being guided to the outside, it may enter the interior through other holes and may flow out through the outlet. In this case, the holes on the inlet side 111 may form a plurality of optimization parts that are branched into a plurality of flow paths by the blocking part 112 . For example, four or more optimization parts may be configured.

일례로, 필터부(100)의 차단부(112)는 유입구 측(111)이 돌출된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사선 방향의 직선부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최적화 파트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필터부(100)의 차단부(112)는 유입구 측(111)이 돌출된 혼(horn)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사선 방향의 곡선부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최적화 파트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최적화 파트는 최적화 파트를 형성하는 홀의 입구 중심과 출구 중심을 연결한 선 l center 과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결한 선과 평행한 선 l pz 사이의 각도가 40~60도일 수 있다. 특히, l center l pz 사이의 각도가 45도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blocking unit 112 of the filter unit 100 may have a conical shape in which the inlet side 111 protrudes, and may form a plurality of optimization parts composed of oblique straight portions. As another example, the blocking part 112 of the filter part 100 may have a horn shape in which the inlet side 111 protrudes, and may form a plurality of optimization parts including diagonal curved parts. Here, the optimization part may have an angle of 40 to 60 degrees between the line l center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inlet and the center of the outlet of the hole forming the optimization part and the line l pz parallel to the line connecting the inlet and the outlet. In particular, the angle between l center and l pz may be 45 degrees.

또한, 필터부(100)는 원통 형상의 외측이 복수개의 소결 메쉬 필터가 적층 가공된 다중 소결 메쉬 필터(multi-sintered mesh filter, 2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부(100)는 다중 소결 메쉬 필터(200)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여과시킬 수 있다. 필터부(100)는 다중 소결 메쉬 필터(200)로 인한 저항이 발생할 수 있고, 급격한 유량 및 유로 방향 변화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필터부(100)는 와류 발생 등으로 인한 압력손실이 발생할 수 있어 충전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Also, the filter unit 100 may be formed of a multi-sintered mesh filter 200 in which a plurality of sintered mesh filters are laminated outside the cylindrical shape. Accordingly, the filter unit 100 may filter impurities using the multi-sintered mesh filter 200 . The filter unit 100 may generate resistance due to the multi-sintered mesh filter 200 and may have a structure having a rapid flow rate and flow direction change. At this time, the filter unit 100 may generate a pressure loss due to generation of a vortex, etc., and thus charging efficiency may be reduced.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등가모델 적용 유동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flow analysis result applying a filter equivalent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필터 등가모델이 적용된 필터부의 유동특성을 분석한 결과, 고압 수소 조건에서 미비한 압력강하 차이(1% 이하)가 있으며, 필터부에서 좁아지는 영역에서 최대 압력강하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형상에 의한 압력강하가 발생되므로, 유동특성 향상을 위한 내부 유로 형상 설계가 요구된다. Referring to FIG. 4 ,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unit to which the filter equivalent model is applied,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pressure drop (less than 1%) in the high-pressure hydrogen condition, and the maximum pressure drop occurs in the narrowing region of the filter unit. can be checked That is, since the pressure drop due to the shape is generated, it is required to design the shape of the internal flow path to improve the flow characteristics.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직선 유로형 필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linear flow path type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10)는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홀들(113a, 113b)이 다수 개 구성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유체를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로 안내하며, 홀들(113a, 113b)을 통해 필터부(110)의 내외부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부(110)는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의 하우징(101)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홀들(113a, 113b)을 통해 필터부(110)의 내외부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5, the filter unit 110 is formed of a cylindrical shap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holes (113a, 113b)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to guide the fluid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the holes (113a, 113b) A flow path may be formed in and out of the filter unit 110 through the filter unit 110 . Here, the filter unit 11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ousing 101 of the hydrogen breakaway devic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flow path into and out of the filter unit 110 through the holes 113a and 113b.

필터부(110)는 유입구의 내측에 원통 형상을 관통하는 내부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구로 유입된 유체가 유입구 측의 복수개의 홀들(113a)을 통해 분기되어 외부로 안내된 후, 다른 홀들(113b)을 통해 내부로 들어와 유출구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The filter unit 110 may have a blocking unit 112 formed inside the inlet to block the internal flow path passing through the cylindrical shape. Accordingly,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inlet may be branched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113a on the inlet side and guided to the outside, then may enter the inside through the other holes 113b and flow out through the outlet.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선 유로형 필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agonal flow path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20)는 유입구의 내측에 원통 형상을 관통하는 내부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부(122)가 형성될 수 있고, 유입구 측의 홀들(123a)은 차단부(122)에 의해 복수개의 유로로 분기되는 복수개의 최적화 파트(123a)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개의 최적화 파트(123a)는 사선 방향의 직선부로 이루어져 유입구로 유입된 유체를 분기하여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 이후, 유체는 다른 홀들(123b)을 통해 내부로 들어와 유출구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 the filter unit 120 may have a blocking unit 122 blocking the inner flow path passing through the cylindrical shape on the inside of the inlet, and the holes 123a on the inlet side are formed with a blocking unit ( 122 may form a plurality of optimization parts 123a branched into a plurality of flow paths. The plurality of optimization parts 123a may be formed of oblique straight portions to branch and guide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inlet to the outside. Thereafter, the fluid may enter the interior through the other holes 123b and may flow out through the outlet.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곡선 유로형 필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view illustrating a curved flow path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30)는 유입구의 내측에 원통 형상을 관통하는 내부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부(132)가 형성될 수 있고, 유입구 측의 홀들(133a)은 차단부(132)에 의해 복수개의 유로로 분기되는 복수개의 최적화 파트(133a)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개의 최적화 파트는 사선 방향의 곡선부로 이루어져 유입구로 유입된 유체를 분기하여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 이후, 유체는 다른 홀들(133b)을 통해 내부로 들어와 유출구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 the filter unit 130 may have a blocking unit 132 blocking the inner flow path passing through the cylindrical shape on the inside of the inlet, and the holes 133a on the inlet side are formed with a blocking unit ( A plurality of optimization parts 133a branched into a plurality of flow passages by the 132 may be formed. The plurality of optimization parts may be formed of a curved portion in an oblique direction to branch and guide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inlet to the outside. Thereafter, the fluid may enter the interior through the other holes 133b and may flow out through the outlet.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구찌 기법을 이용한 설계변수 요인분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factor analysis of design variables using the Taguchi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8의 (a) 및 (b)는 유동 최적화를 위한 다구찌 기법 설계 변수를 나타내며, (c) 및 (d)는 유동 최적화를 위한 다구찌 기법 결과를 나타낸다. 8 (a) and (b) show the design parameters of the Taguchi technique for flow optimization, and (c) and (d) show the results of the Taguchi technique for flow optimization.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위상 최적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flow phase optimiz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유동 위상 최적화를 적용한 최적 내부 형상을 설계할 수 있다. Boltzmann 식을 이용한 기존 유동 위상 최적화 사례를 적용하여 필터부 입구를 재설계할 수 있다. 이 때, 다구찌 기법 설계변수 요인분석 결과와 동일하게 유동 방향 변화를 최소화하는 구조를 설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an optimal internal shape to which flow phase optimization is applied may be designed. The filter inlet can be redesigned by applying the existing flow phase optimization case using the Boltzmann equation.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design a structure that minimizes the change in the flow direction in the same way as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of the design variables of the Taguchi technique.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유동 방향 변화를 최소화하는 형상으로 재설계할 수 있으며, 이 때 구조적 안정성의 확보를 위한 유로의 곡률(R=9)을 반영할 수 있다.Based on existing research, it can be redesigned to have a shape that minimizes flow direction change, and at this time, the curvature of the flow path (R=9) can be reflected to secure structural stability.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유입구 측의 유로 형상에 따른 유동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0 is a view illustrating a flow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a shape of a flow path at an inlet side of a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유입구 측의 유로 형상에 따른 유동해석 결과를 비교한 것으로, 유동 위상 최적화를 적용하여 최적의 내부 형상을 설계하고 유동해석 결과를 나타낸다. 여기서, 필터부의 유입구 측은 도 3에서 언급된 111 부분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flow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flow path shape of the inlet side of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compared, and the optimum internal shape is designed by applying the flow phase optimization and flow analysis results are shown. Here, the inlet side of the filter part may be the 111 part mentioned in FIG. 3 .

도 10의 (a) 및 (b)는 도 5에서 설명한 직선 유로형 필터부의 유입구 측의 유로 형상 및 도 7에서 설명한 곡선 유로형 필터부의 유입구 측의 유로 형상에 따른 압력 분포를 나타낸다. 또한, (c) 및 (d)는 도 5에서 설명한 직선 유로형 필터부의 유입구 측의 유로 형상 및 도 7에서 설명한 곡선 유로형 필터부의 유입구 측의 유로 형상에 따른 속도 분포를 나타낸다.10A and 10B show pressure distributions according to the flow path shape at the inlet side of the straight flow path filter unit described in FIG. 5 and the flow path shape at the inlet side of the curved flow path type filter unit described in FIG. 7 . In addition, (c) and (d) show the velocity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flow path shape at the inlet side of the straight flow path filter unit described in FIG. 5 and the flow path shape at the inlet side of the curved flow path type filter unit described in FIG. 7 .

실시예들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설계한 유로 형상에 대해서 유동해석 해석 프로그램인 Fluent (ANSYS, ver.19.0, U.S.A.)으로 유로 형상에 따른 압력손실 저감 효과를 비교 검증할 수 있다.For the flow path shape design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embodiments, the pressure loss redu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flow path shape can be compared and verified with Fluent (ANSYS, ver.19.0, U.S.A.), a flow analysis analysis program.

곡선 유로형 필터부의 적용 시 직선 유로형 필터부의 형상 대비 압력강하 50% (0.04 MPa → 0.02 MPa) 저감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직선 유로형 필터부의 형상의 경우 와류가 발생할 수 있는 구조(유체가 흐르지 않는 빈 공간)에 의한 압력손실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재설계 형상을 적용하여 필터부 전체 모델에 대해 유동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curved flow path filter part is applied, it can be seen that the pressure drop is reduced by 50% (0.04 MPa → 0.02 MPa) compared to the shape of the straight flow path type filter par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hape of the linear flow path type filter unit, pressure loss occurs due to a structure (empty space in which fluid does not flow) in which a vortex may occur. Accordingly, the flow analysis can be performed on the entire model of the filter unit by applying the redesigned shape.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유로 형상에 따른 유동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a flow path shape of a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1의 (a)는 앞에서 설명한 각 필터부의 유로 형상에 따른 압력 분포를 나타내고, (b)는 각 필터부의 유로 형상에 따른 속도 분포를 나타낸다.11 (a) shows the pressur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flow path shape of each filter unit described above, and (b) shows the velocity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flow path shape of each filter unit.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구찌 기법 및 유동 위상 최적화 사례를 적용한 내부 형상 70% 수준의 압력손실 저감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유동 위상 최적화 사례의 경우 압력손실 저감 및 균일한 응력 분포로 인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균일한 압력 분포와 압력손실 저감 효과를 갖는 최적의 형상을 도출할 수 있다. 이 때, 최적의 형상은 유동 방향 변화를 최소화하는 구조이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the effect of reducing the pressure loss by 70% of the internal shape to which the Taguchi technique and the flow phase optimization case are applied can be confirmed. In the case of flow phase optimization, structural stability can be secured due to reduced pressure loss and uniform stress distribu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rive an optimal shape having a uniform pressure distribution and a pressure loss reduction effect. At this time, the optimal shape is a structure that minimizes the flow direction change.

기존 형상의 경우, 유동 방향의 급격하게 변화는 유로 부근에서 유체가 흐르지 않는 빈 공간으로 인해 와류가 발생한다. 따라서 유로 방향의 변화를 최소화하는 유로 형상 설계를 통해 기존 형상 대비 70% 수준의 압력손실 저감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0.44 MPa → 0.13 MPa). In the case of the existing shape, a sudden change in the flow direction causes a vortex due to an empty space in which the fluid does not flow near the flow path.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effect of reducing the pressure loss by 70% compared to the existing shape by designing the flow path shape that minimizes the change in the flow path direction (0.44 MPa → 0.13 MPa).

아래에서는 필터부의 유입구 측의 Outlet 개수(N)에 따른 해석에 대해 설명한다.Below,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number of outlets (N) on the inlet side of the filter unit will be described.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최적화 파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timization part of a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2를 참조하면, 필터부(100)는 유입구의 내측에 원통 형상을 관통하는 내부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부가 형성되며, 유입구로 유입된 유체가 유입구 측의 홀들을 통해 분기되어 외부로 안내된 후, 다른 홀들을 통해 내부로 들어와 유출구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이 때, 유입구 측의 홀들은 차단부에 의해 복수개의 유로로 분기되는 복수개의 최적화 파트를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 in the filter unit 100, a blocking unit for blocking an internal flow passage passing through a cylindrical shape is formed inside the inlet, and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inlet is branched through holes on the inlet side and guided to the outside. , can enter the interior through other holes and exit through the outlet. In this case, the holes on the inlet side may form a plurality of optimization parts that are branched into a plurality of flow paths by the blocking unit.

여기서, N은 최적화 파트의 개수이고, A는 최적화 파트의 Outlet 단면적이며, dN는 N개의 최적화 파트일 때 Outlet 직경이고, 개수에 따른 dN의 계산(A는 항상 일정)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Here, N is the number of optimized parts, A is the outlet cross-sectional area of the optimized part, d N is the outlet diameter when there are N optimized parts, and the calculation of d N according to the number (A is always constant) is expressed as follows can be

Figure 112020090920028-pat00001
Figure 112020090920028-pat00001

예를 들어, N = 2 일 때, d o = 8.49 mm이고, N = 3 일 때, d o = 6.93 mm 이고, N = 4 일 때, d o = 6 mm이고, N = 5 일 때, d o = 5.37 mm이다. For example, when N = 2, d o = 8.49 mm, when N = 3, d o = 6.93 mm, when N = 4, d o = 6 mm, and when N = 5, d o = 5.37 mm.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최적화 파트의 개수에 대한 압력 분포 및 속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 부분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5는 도 14의 A-A' 단면의 최적화 파트 수에 따른 단면의 압력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은 도 14의 A-A' 단면의 최적화 파트 수에 따른 단면의 속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3 is a diagram illustrating pressure distribution and velocity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optimized part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4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15 is a view showing the pressure distribution of the cross sec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optimized parts of the section AA′ of FIG. 14 , and FIG. 16 is a view showing the velocity distribution of the sec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optimized parts of the section AA′ of FIG. 14 .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최적화 파트 수에 따른 압력 강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적화 파트 개수가 늘어날수록 압력강하가 줄어들고, 유로의 개수가 4개일 때부터 차압은 0.18 MPa로 일정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17 is a graph illustrating pressure drop according to the number of optimized part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s shown in FIG. 17 , it can be seen that as the number of optimized parts increases, the pressure drop decreases, and when the number of flow passages is 4, the differential pressure is constant at 0.18 MPa.

아래에서는 필터부의 유입구 측의 Outlet 각도에 따른 해석에 대해 설명한다.Below,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outlet on the inlet side of the filter unit will be described.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사이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ngle between filter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8을 참조하면, 필터부(100)는 유입구 측의 홀들은 차단부에 의해 복수개의 유로로 분기되는 복수개의 최적화 파트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사선 방향의 곡선부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최적화 파트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의 차단부는 유입구 측이 돌출된 혼(horn)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8 , the filter unit 100 may form a plurality of optimization parts in which holes on the inlet side are branched into a plurality of flow paths by a blocking unit.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form a plurality of optimization parts including curved portions in a diago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blocking part of the filter part may be formed in a horn shape in which the inlet side protrudes.

여기서, l center 는 최적화 파트의 Inlet 중심과 Outlet 중심을 이은 선이고, l pz 는 Z축과 평행한 선이며, αl center l pz 사이의 각도이고, l or 는 최적화 파트의 길이이다. Here, l center is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inlet and the center of the outlet of the optimization part, l pz is a line parallel to the Z axis, α is the angle between l center and l pz , and l or is the length of the optimization part.

α=30° 일 때, lor=17.06 mm (-2.32 mm)이고, α=45° 일 때, lor=19.38 mm이며, α=60° 일 때, lor=21.18 mm (+1.80 mm)이다.When α=30°, lor=17.06 mm (-2.32 mm), when α=45°, lor=19.38 mm, and when α=60°, lor=21.18 mm (+1.80 mm).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 각도에 대한 압력 분포 및 속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4의 A-A' 단면의 사이 각도에 따른 단면의 압력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1은 도 14의 A-A' 단면의 사이 각도에 따른 단면의 속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ssure distribution and a velocity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an angle in betw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ssure distribution in a cross-section according to an angle between the cross-sections AA′ of FIG. 14 , and FIG. 2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elocity distribution in a cross-section according to an angle between the cross-sections AA′ in FIG. 14 .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 각도에 따른 압력 강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 각도 30, 45, 60도에 대한 해석 결과 45도에서 가장 낮은 압력강하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동에 가장 적합한 형상은 45도일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22 is a graph illustrating a pressure drop according to an angle between the two sid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s shown in FIG. 22 , it can be seen that the lowest pressure drop appears at 45 degrees as a result of analysis for the angles between 30, 45, and 60 degrees. Therefore, the most suitable shape for flow can be expected to be 45 degrees.

다시 말하면, 최적화 파트는 최적화 파트를 형성하는 홀의 입구 중심과 출구 중심을 연결한 선 l center 과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결한 선과 평행한 선 l pz 사이의 각도가 40~60도일 수 있다. 특히, l center l pz 사이의 각도가 45도일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optimization part may have an angle of 40 to 60 degrees between the line l center connecting the inlet center and the outlet center of the hole forming the optimization part and the line l pz parallel to the line connecting the inlet and outlet ports. In particular, the angle between l center and l pz may be 45 degrees.

아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a hydrogen breakaw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 충전시설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대상물에 전달하는 호스에 구성된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의 내부에 구성된 필터부를 통과시켜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operating a hydrogen breakaway device configured in a hose for delivering a fluid supplied from a hydrogen charging facility to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by passing a filter unit configured inside the hydrogen breakaway device. may include steps.

여기서, 필터부를 통과시켜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단계는, 필터부가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홀들이 다수 개 구성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유체를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로 안내하며, 홀들을 통해 필터부의 내외부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Here, the step of passing the filter unit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includes the filter unit having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to guide the fluid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and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ilter unit through the holes can form a flow path.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부를 통과시켜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단계는, 유입구의 내측에 원통 형상을 관통하는 내부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부가 형성되어, 유입구로 유입된 유체가 유입구 측의 홀들을 통해 분기되어 외부로 안내되는 단계, 및 외부로 분기된 유체가 다른 홀들을 통해 내부로 들어와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in the step of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by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a blocking part for blocking the internal flow passage passing through the cylindrical shape is formed inside the inlet, so that the fluid flowing into the inlet can pass through the holes on the inlet side. It may include a step of being branched through and guided to the outside, and a step of allowing the fluid branched to the outside to enter the inside through other holes and flow out through the outlet.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입구 측의 홀들은 차단부에 의해 복수개의 유로로 분기되는 복수개의 최적화 파트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필터부의 차단부는, 유입구 측이 돌출된 혼(horn)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사선 방향의 곡선부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최적화 파트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는 원통 형상의 외측이 복수개의 소결 메쉬 필터가 적층 가공된 다중 소결 메쉬 필터(multi-sintered mesh filt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holes on the inlet side may form a plurality of optimization parts that are branched into a plurality of flow paths by the blocking unit. For example, the blocking part of the filter part may have a horn shape with an inlet side protruding, and may form a plurality of optimization parts formed of a curved part in an oblique direction. In addition, the filter unit may be formed of a multi-sintered mesh filter in which a plurality of sintered mesh filters are laminated outside the cylindrical shape.

실시예들에 따르면 금속 적층 가공(PBF) SUS316L 소재의 경우, 수소 분위기에서 기존 소재 대비 30% 이상 연신율 저하가 확인된다. 금속 적층 가공(PBF) 방식으로 제작 시,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모서리 곡률(R) 6 이상으로 설계가 요구된다.According to embodiments, in the case of metal additive manufacturing (PBF) SUS316L material, a decrease in elongation of 30% or more compared to conventional materials in a hydrogen atmosphere is confirmed. When fabricated by metal additive manufacturing (PBF), a design with a corner curvature (R) of 6 or higher is required for structural stability.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의 내부 다중 소결 메쉬 필터의 유동특성 파악을 위한 등가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오차 0.3% 수준의 등가모델 적용 유동해석 결과, 1% 이하의 압력강하 차이가 발생하여 미비한 수준이다. 유동 방향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높은 압력강하 발생하므로 내부 형상의 재설계가 요구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quivalent model for understanding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l multi-sintered mesh filter of the hydrogen breakaway device. As a result of flow analysis applying the equivalent model with an error of 0.3%, a pressure drop difference of less than 1% occurred, which is insignificant. Since a high pressure drop occurs due to a sudden change in the flow direction, a redesign of the internal shape is required.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동특성 향상을 위한 내부 형상 설계를 위해 다구찌 기법 설계변수 요인분석 및 유동 위상 최적화 사례를 적용할 수 있다. 다구찌 기법을 통해 설계변수 중 유로 방향을 최소화하는 입구 각도가 핵심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다. 압력손실 측면의 유동특성 향상을 위해서는 유동 방향 변화를 최소화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기존 형상 대비 최적 형상의 경우, 압력손실 70% 저감할 수 있고, 균일한 압력분포로 인한 구조적 안정성(R=9)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Taguchi technique design variable factor analysis and flow phase optimization case may be applied to design an internal shape for improving flow characteristics. Through the Taguchi techniqu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inlet angle that minimizes the flow path direction is a key variable among the design variables. In order to improve the flow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ressure loss, it is effective to minimize the change in the flow directi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optimal shape compared to the existing shape, the pressure loss can be reduced by 70%, and structural stability (R=9) can be secured due to the uniform pressure distribution.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the hardware component and the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array (FPA),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lthough one processing device is sometimes described as being use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compris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i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processed You can command the device. The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kind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may be embodied in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5)

수소 충전시설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대상물에 전달하는 호스에 구성된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의 내부에 구성되어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홀들이 다수 개 구성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체를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로 안내하며, 상기 홀들을 통해 상기 필터부의 내외부로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의 내측에 상기 원통 형상을 관통하는 내부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유체가 상기 유입구 측의 상기 홀들을 통해 분기되어 외부로 안내된 후, 다른 홀들을 통해 내부로 들어와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며,
상기 유입구 측의 상기 홀들은, 상기 차단부에 의해 복수개의 유로로 분기되는 복수개의 최적화 파트를 형성하고,
상기 필터부의 차단부는, 상기 유입구 측이 돌출된 혼(horn)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직선 유로형 필터부의 형상 대비 압력 강하를 저감시키도록 유동 위상 최적화를 적용하여 사선 방향의 곡선부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상기 최적화 파트를 형성하고,
상기 최적화 파트는, 상기 최적화 파트를 형성하는 홀의 입구 중심과 출구 중심을 연결한 선 lcenter 과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를 연결한 선과 평행한 선 lpz 사이의 각도가 40~60도이며,
상기 원통 형상의 외측이 복수개의 소결 메쉬 필터가 적층 가공된 다중 소결 메쉬 필터(multi-sintered mesh filter)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
In the hydrogen breakaway device configured in a hose for delivering a fluid supplied from a hydrogen charging facility to an object,
A filter unit configured inside the hydrogen breakaway device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including,
The filter unit,
A plurality of holes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guide the fluid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and through the holes to form a flow path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ilter unit, and to penetrate the cylindrical shape inside the inlet A blocking part blocking the internal flow path is formed, and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inlet is branched through the holes on the inlet side and guided to the outside, then enters through other holes and flows out through the outlet,
The holes on the inlet side form a plurality of optimization parts that are branched into a plurality of flow paths by the blocking unit,
The blocking part of the filter part has a horn shape with the inlet side protruding, and a plurality of optimizations made of a curved part in a diagonal direction by applying flow phase optimization to reduce pressure drop compared to the shape of a straight flow path type filter part form a part,
In the optimization part, the angle between the line l center connecting the inlet center and the outlet center of the hole forming the optimization part and the line l pz parallel to the line connecting the inlet and the outlet is 40 to 60 degrees,
The outer side of the cylindrical shape is made of a multi-sintered mesh filter (multi-sintered mesh filter) in which a plurality of sintered mesh filters are laminated
A hydrogen breakaw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화 파트는,
4개 이상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optimization part is
consisting of 4 or more
A hydrogen breakaw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화 파트는,
상기 최적화 파트를 형성하는 홀의 입구 중심과 출구 중심을 연결한 선 lcenter 과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를 연결한 선과 평행한 선 lpz 사이의 각도가 45도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optimization part is
The angle between the line l center connecting the inlet center and the outlet center of the hole forming the optimization part and the line l pz parallel to the line connecting the inlet and the outlet is 45 degrees
A hydrogen breakaw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의 하우징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상기 홀들을 통해 상기 필터부의 내외부로 유로를 형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er unit,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ousing of the hydrogen breakaway devi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flow path into and out of the filter unit through the holes
A hydrogen breakaw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수소 충전시설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대상물에 전달하는 호스에 구성된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의 내부에 구성된 필터부를 통과시켜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를 통과시켜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단계는,
상기 필터부가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홀들이 다수 개 구성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체를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로 안내하며, 상기 홀들을 통해 상기 필터부의 내외부로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필터부를 통과시켜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단계는,
상기 유입구의 내측에 상기 원통 형상을 관통하는 내부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부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유체가 상기 유입구 측의 상기 홀들을 통해 분기되어 외부로 안내되는 단계; 및
외부로 분기된 상기 유체가 다른 홀들을 통해 내부로 들어와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 측의 상기 홀들은, 상기 차단부에 의해 복수개의 유로로 분기되는 복수개의 최적화 파트를 형성하며,
상기 필터부의 차단부는, 상기 유입구 측이 돌출된 혼(horn)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직선 유로형 필터부의 형상 대비 압력 강하를 저감시키도록 유동 위상 최적화를 적용하여 사선 방향의 곡선부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상기 최적화 파트를 형성하고,
상기 최적화 파트는, 상기 최적화 파트를 형성하는 홀의 입구 중심과 출구 중심을 연결한 선 lcenter 과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를 연결한 선과 평행한 선 lpz 사이의 각도가 40~60도이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원통 형상의 외측이 복수개의 소결 메쉬 필터가 적층 가공된 다중 소결 메쉬 필터(multi-sintered mesh filter)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In the operating method of a hydrogen breakaway device configured in a hose that delivers a fluid supplied from a hydrogen charging facility to an object,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by passing a filter unit configured inside the hydrogen breakaway device
including,
The step of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by passing the filter unit,
The filter unit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to guide the fluid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and to form a flow path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ilter through the holes,
The step of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by passing the filter unit,
forming a blocking part blocking an internal flow passage passing through the cylindrical shape inside the inlet, so that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inlet is branched through the holes on the inlet side and guided to the outside; and
The fluid branched to the outside enters the inside through other holes and flows out through the outlet
including,
The holes on the inlet side form a plurality of optimization parts that are branched into a plurality of flow paths by the blocking unit,
The blocking part of the filter part has a horn shape with the inlet side protruding, and a plurality of optimizations made of a curved part in a diagonal direction by applying flow phase optimization to reduce pressure drop compared to the shape of a straight flow path type filter part form a part,
In the optimization part, the angle between the line l center connecting the inlet center and the outlet center of the hole forming the optimization part and the line l pz parallel to the line connecting the inlet and the outlet is 40 to 60 degrees,
The filter unit,
The outer side of the cylindrical shape is made of a multi-sintered mesh filter (multi-sintered mesh filter) in which a plurality of sintered mesh filters are laminated
A method of operating a hydrogen breakaw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09201A 2020-08-28 2020-08-28 Breakaway device for hydrogen station KR1024343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201A KR102434338B1 (en) 2020-08-28 2020-08-28 Breakaway device for hydrogen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201A KR102434338B1 (en) 2020-08-28 2020-08-28 Breakaway device for hydrogen s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337A KR20220028337A (en) 2022-03-08
KR102434338B1 true KR102434338B1 (en) 2022-08-19

Family

ID=80812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201A KR102434338B1 (en) 2020-08-28 2020-08-28 Breakaway device for hydrogen s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33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5246A1 (en) * 2022-07-26 2024-02-01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Receptacle for charging hydrog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87498A1 (en) * 2010-06-01 2013-04-11 Kreyenborg Verwaltungen Und Beteligungen Gmbh & Co., Kg Filtering device for highly viscous media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9731A (en) * 1994-09-26 1996-04-09 N K K Seimitsu Kk Filter made of metal powder and its production
KR100837312B1 (en) 2006-12-08 2008-06-12 (주)덕양에너젠 Break-away having uniform separating force
KR20160087087A (en) * 2015-01-13 2016-07-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ceptacle for charging hydrogen
KR102166603B1 (en) * 2018-06-29 2020-10-16 주식회사 화영 Break Awa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87498A1 (en) * 2010-06-01 2013-04-11 Kreyenborg Verwaltungen Und Beteligungen Gmbh & Co., Kg Filtering device for highly viscous med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337A (en)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4338B1 (en) Breakaway device for hydrogen station
KR20200096926A (en) Conveying device for fuel cell assembly for conveying and/or recirculating gaseous media
JP4484227B2 (en) Common rail
USRE36984E (en) Fluid flow controlling device
KR101714287B1 (en) Valve cage having zero dead band between noise abatement and high capacity flow sections
US2841182A (en) Boundary layer fluid control apparatus
US7736126B2 (en) Wide flow compressor with diffuser bypass
US20120160346A1 (en) Nozzle check valve
JP2008088887A5 (en)
US9951877B2 (en) Multi-stage trim
CN102037232A (en) Device for reducing noise generated by an aircraft jet engine with curve ducts
EP3676478B1 (en) Removing debris from a hydrocarbon fluid
CN106051236A (en) Check valve apparatuses and methods
US8113313B2 (en) Pipe assembly with scoop for directing fluid into a standpipe and for mitigating acoustic and vortex coupled resonance
US20210102546A1 (en) Methods and Mechanisms for Surge Avoidance in Multi-Stage Centrifugal Compressors
US20200023433A1 (en) Additively-manufactured flow restrictors and methods for the fabrication thereof
CN102459918A (en) Flow output nozzle for centrifugal pump
KR20210124416A (en) Angle member to fluidly connect the fluid lines of the vehicle
KR101025470B1 (en) Accumulator
EP1076175B1 (en) Pressure swirl generator for a fuel injector
CN111102374A (en) Flow regulator for valve assembly
CN103375452B (en) Servo minimum pressure valve assembly, fuel-control unit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US9051724B2 (en) Flow regulating device
CN103206273A (en) Diffuser for gas turbine
CN210206074U (en) Filt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