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223B1 -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 - Google Patents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223B1
KR102434223B1 KR1020200132786A KR20200132786A KR102434223B1 KR 102434223 B1 KR102434223 B1 KR 102434223B1 KR 1020200132786 A KR1020200132786 A KR 1020200132786A KR 20200132786 A KR20200132786 A KR 20200132786A KR 102434223 B1 KR102434223 B1 KR 102434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voice coils
speaker
low
co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9303A (ko
Inventor
정인호
송상은
김천명
박흥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200132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223B1/ko
Publication of KR20220049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6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38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ndpass type
    • H04R1/2842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ndpass type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요크; 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진동판; 요크 상에 부착되는 2개 이상의 이너 마그넷; 각 이너 마그넷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아우터 마그넷; 및 상단은 진동판에 부착되며, 하단은 이너 마그넷 및 아우터 마그넷과 간격을 두고 각 이너 마그넷을 감싸는 2개 이상의 보이스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LOW BAND ENHANCEMENT SPEAKER WITH A PLURALITY OF VOICE COILS}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크로스피커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크로스피커의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크로스피커는 프레임(10) 내에 요크(21), 내륜 마그넷(22), 외륜 마그넷(23), 내륜 탑 플레이트(24), 외륜 탑 플레이트(25)가 설치되며, 내륜 마그넷(22)과 외륜 마그넷(23) 사이의 에어 갭에 보이스 코일(30)이 위치하며, 보이스 코일(30)에 전원이 인가될 경우 상, 하로 진동하게 된다. 보이스 코일(30)은 서스펜션(40)의 하면에 장착되며, 서스펜션(40)의 상, 하면에는 사이드 진동판(51) 및 센터 진동판(52)이 설치되어, 보이스 코일(30)의 진동에 따라 함께 진동하며 음향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 위에는 스피커 내부에 위치한 부품들을 보호하기 위해 프로텍터(60)가 결합된다. 프로텍터(60)는 중앙에 음향을 방사할 수 있도록 개구(63)가 형성된 링 형상의 스틸부(61)와, 스틸부(61)가 인서트되어 사출 성형되며, 프레임(10), 사이드 진동판(51)의 외주부, 서스펜션(50)의 외주부 상부에 적층되는 링 형상의 사출부(62)를 포함한다.
외부로부터 보이스 코일(30)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프레임(10)의 하부에 부착되어 외부 단자와의 연결점을 제공하는 터미널 패드(70)를 포함하며, 터미널 패드(70)는 프레임(10)을 사출 성형할 때 인서트 하여 인서트 사출에 의해 프레임(10)과 결합된다.
이때, 보이스 코일(30), 사이드 진동판(51) 및 센터 진동판(52)이 부착되며, 진동을 안내해주는 서스펜션(40)은 FPCB로 이루어지며, 터미널 패드(70)로부터 보이스 코일(30)로 전원을 인가해주는 역할을 해준다.
최근, 마이크로스피커가 장착되는 모바일 기기등이 두께가 얇게 슬림화됨에 따라 마이크로스피커 역시 슬림화가 요구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마이크로스피커가 슬림화되면서, 보이스 코일 등의 마이크로스피커의 주요 부품의 크기도 슬림화되어 음향 특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11199
본 발명은 마이크로스피커를 소형화하여도 동일 크기에서 보이스 코일의 총 길이를 길게 하여 음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요크; 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진동판; 요크 상에 부착되는 2개 이상의 이너 마그넷; 각 이너 마그넷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아우터 마그넷; 및 상단은 진동판에 부착되며, 하단은 이너 마그넷 및 아우터 마그넷과 간격을 두고 각 이너 마그넷을 감싸는 2개 이상의 보이스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아우터 마그넷은 이너 마그넷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보이스 코일의 설치를 위한 간격이 확보될 수 있는 크기의 홀을 구비하는 하나의 마그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아우터 마그넷은, 배치된 이너 마그넷의 외측을 감싸는 제1 아우터 마그넷, 각 이너 마그넷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아우터 마그넷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아우터 마그넷은, 이너 마그넷의 배치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이너 마그넷의 외측 및 각 이너 마그넷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막대형 마그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아우터 마그넷은, 이너 마그넷의 외측에 위치하는 마그넷보다 이너 마그넷 사이에 위치하는 마그넷의 길이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복수 개의 이너 마그넷 양단에 이너 마그넷 배치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아우터 마그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복수 개의 코일과 진동판 사이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코일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며 댐핑 역할을 하는 연성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복수 개의 코일 하단에 부착되며, 복수 개의 코일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연성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아우터 마그넷 상면에 부착되며, 아우터 마그넷은 이너 마그넷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보이스 코일의 설치를 위한 간격이 확보할 수 있는 크기의 홀을 구비하는 하나의 아우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보이스 코일은 사각형의 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동일한 크기의 스피커 내에 2개 이상의 보이스 코일을 설치하여 하나의 진동판을 진동시킴으로써, 보이스 코일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동일한 자속 밀도를 가지는 자력계에서 진동판을 움직이는 코일 진동력은 코일 길이에 비례하기 때문에, 코일 진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음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피커 구동계에 해당하는 코일은 코일의 총 길이에 비례하여 소리의 세기는 커지기 때문에, 동일 입력 파워에서 코일의 총 길이가 길수록 에너지 전환효율이 높다. 따라서 에너지 효율이 좋은 스피커는 음향 세기, 음질, 발열, 배터리효율 등 전의 성능개선을 기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전체 디바이스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크로스피커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크로스피커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종래 기술에 따른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는 프레임(100)의 하부에 요크(210)가 결합되며, 요크(210) 상에 이너 마그넷(220)과 아우터 마그넷(230)이 부착된다. 이너 마그넷(220)과 아우터 마그넷(230)의 상부에 각각 이너 탑 플레이트(240), 아우터 탑 플레이트(250)가 부착되며, 이너 마그넷(220)과 아우터 마그넷(230) 사이의 에어 갭에 보이스 코일(300)의 하단이 위치하며, 보이스 코일(300)에 전원이 인가될 경우 상, 하로 진동하게 된다. 보이스 코일(300)의 상단은 진동판(400)에 부착되며, 진동판(400)은 보이스 코일(300)의 진동에 따라 함께 진동하며 음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진동판(400)에 부착되는 보이스 코일(300)이 하나가 아닌 2개이며, 그에 따라 보이스 코일(300)의 하단이 위치하는 이너 마그넷(220)과 아우터 마그넷(230) 사이의 에어 갭도 2개 구비된다. 이때, 보이스 코일(300)의 개수는 2개가 아닌 3개 이상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에어 갭의 개수와 크기는 보이스 코일(300)의 개수와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이너 마그넷(220)은 2개 배치되고, 아우터 마그넷(230)은 일체형으로 하나가 배치된다. 아우터 마그넷(230)은, 2개의 이너 마그넷(221, 222)의 크기보다 소정 크기 더 큰 홀을 구비한다. 따라서 아우터 마그넷(230)의 홀 내에 이너 마그넷(221, 222)이 배치되어도 일정한 갭을 가지게 되며, 이 갭에 2개의 보이스 코일(310, 320)의 하단이 위치하게 된다.
이 때 동일한 크기의 스피커를 기준으로, 보이스 코일(310, 320)이 2개 배치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보이스 코일이 1개 배치된 종래 기술을 비교할 경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보이스 코일(310, 320)의 코일 길이의 총합이 종래 기술에 비해 54.7%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플레밍의 왼손 법칙으로,
Figure 112020108581661-pat00001
동일한 자속 밀도를 가지는 자력계에서, 코일의 진동력 F는 코일 길이에 L에 비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자계의 크기 감소로 인한 자속 밀도의 손실을 감안한다 하더라도, 코일 길이의 월등한 증가로 인해 진동판(400)을 진동시키는 보이스 코일(310, 320)의 진동력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보이스 코일(310, 320)은 스피커 구동계에 해당하기 때문에, 코일의 총 길이에 비례하여 음향의 세기가 커진다. 즉, 동일한 파워가 입력될 때 코일의 총 길이가 길수록 음향의 세기가 커지며, 동일한 세기의 음향을 발생하기 위해 요구되는 파워가 적다. 즉, 보이스 코일의 총 길이가 길수록 에너지 전환 효율이 높다. 에너지 효율이 좋은 스피커는 음향 세기, 음질, 발열, 배터리 효율 등 전체적인 성능 개선을 기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전체 디바이스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요즘과 같이 스마트폰 내에 탑재되는 부품의 소형화, 슬림화 경향에 맞추어,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스피커는, 낮은 발열과 특히 저역대 음역의 음향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는, 아우터 마그넷(230a)의 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의 기능, 형상, 결합 관계 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마그넷230a)는, 배치된 이너 마그넷(220) 전체의 외 둘레를 감싸는 제1 아우터 마그넷(231)과 각 이너 마그넷(220)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아우터 마그넷(232)를 포함한다.
즉, 제1 아우터 마그넷(231)은 사각의 링 형상으로, 제1 아우터 마그넷(231)의 중공부 내에 2개의 이너 마그넷(221, 222)과, 2개의 이너 마그넷(221, 222) 사이에 제2 아우터 마그넷(232)이 배치된다. 아우터 마그넷(232)과 이너 마그넷(221, 222)들 사이에도 간격이 형성된다. 이때, 제2 아우터 마그넷(232)의 길이는 이너 마그넷(221, 222)의 길이보다 길며, 제2 아우터 마그넷(232)의 길이 방향 양 단부는 제1 아우터 마그넷(231)의 내측에 맞닿는다.
이 때 아우터 플레이트(250)는 제1 아우터 마그넷(231)과 제2 아우터 마그넷(232)을 함께 덮을 수 있도록,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2개의 이너 마그넷(221, 222) 및 2 개의 보이스 코일(310, 320)에 대응하는 위치에 2 개의 보이스 코일(310, 320)보다 크기가 큰 홀을 2개 구비하는 형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는, 아우터 마그넷(230b)의 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의 기능, 형상, 결합 관계 등은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마그넷(230b)는, 이너 마그넷(221, 222)의 배치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3 개의 아우터 마그넷(230b)을 포함한다. 아우터 마그넷(230b)은 이너 마그넷(221, 222)보다 더 외곽에 위치하는 사이드 아우터 마그넷(231b) 2개와, 이너 마그넷(221, 222)들 사이에 위치하는 센터 아우터 마그넷(232b)을 포함한다. 여기서, 센터 아우터 마그넷(232b)은 사이드 아우터 마그넷(231b)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아우터 플레이트(250)는 제1 아우터 마그넷(231)과 제2 아우터 마그넷(232)을 함께 덮을 수 있도록,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2개의 이너 마그넷(221, 222) 및 2 개의 보이스 코일(310, 320)에 대응하는 위치에 2 개의 보이스 코일(310, 320)보다 크기가 큰 홀을 2개 구비하는 형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는, 아우터 마그넷(230c)의 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의 기능, 형상, 결합 관계 등은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마그넷(230c)는, 이너 마그넷(221, 222)의 배치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3 개의 아우터 마그넷(231c, 232c)과, 이너 마그넷(221, 222) 배치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2 개의 아우터 마그넷(233c)을 포함한다. 즉, 제3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에서, 이너 마그넷(221, 222)의 양 단에 2개의 아우터 마그넷(233c)이 추가된 구조이다. 아우터 마그넷(230c)은 이너 마그넷(221, 222)보다 더 외곽에 위치하는 4개의 사이드 아우터 마그넷(231c, 233c)과 이너 마그넷(221, 222)들 사이에 위치하는 1개의 센터 아우터 마그넷(232c)을 포함한다. 여기서, 4개의 사이드 아우터 마그넷(231c, 233c)은, 이너 마그넷(221, 222)에 평행한 장 사이드 마그넷(231c)과, 이너 마그넷(221, 222)에 수직한 단 사이드 마그넷(233c)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센터 아우터 마그넷(232c)의 양 단은 단 사이드 아우터 마그넷(233c)에 맞닿는 구조이다.
이 때 아우터 플레이트(250)는 5 개의 아우터 마그넷(231c, 232c, 233c)를 모두 함께 덮을 수 있도록,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2개의 이너 마그넷(221, 222) 및 2 개의 보이스 코일(310, 320)에 대응하는 위치에 2 개의 보이스 코일(310, 320)보다 크기가 큰 홀을 2개 구비하는 형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는 직사각형인 스피커의 장변과 이너 마그넷이 배치 방향이 평행하게 배치되었다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스피커의 단변과 이너 마그넷(220d)의 배치 방향이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 외에 나머지 구성 요소의 기능과 결합 관계 등은 제1 내지 제4 실시예와 동일하며, 형상은 이너 마그넷(220d)의 변경된 형상에 대응하여 다소 변경된 형상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는, 보이스 코일(310d, 320d)과 진동판(400) 사이에 연성회로기판(500d)이 부착된다. 연성회로기판(500d)의 프레임(100)에 설치된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보이스 코일(310d, 320d)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한다. 동시에, 연성회로기판(500d)은 보이스 코일(310d, 320d) 및 진동판(400)의 진동을 안내하여, 진동판(400)의 편진동이나 분할 진동을 방지하여 음향 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는, 연성회로기판(500e)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구성 요소의 기능, 형상, 결합 관계 등은 제5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르면, 보이스 코일(310d, 320d)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연성회로기판(500e)은 보이스 코일(310d, 320d)의 하단에 부착된다. 연성회로기판(500e)과 프레임(100)의 터미널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곳은 이너 마그넷(220d) 및 아우터 마그넷(230d)을 피해 인출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와 같이 4개의 사이드 아우터 마그넷(231e, 233e)와 하나의 센터 아우터 마그넷(232e)을 구비하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와 달리 장 사이드 아우터 마그넷(233e)이 이너 마그넷(220d)의 배치 방향과 수직하고, 단 사이드 아우터 마그넷(231e)이 이너 마그넷(220d)의 배치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납땜 패드의 위치는 장 사이드 아우터 마그넷(233e)과 단 사이드 아우터 마그넷(231e) 사이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연성회로기판(500e)은 장 사이드 아우터 마그넷(233e)의 외곽을 따라 연장되며, 아우터 마그넷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장 사이드 아우터 마그넷(233e)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야 한다.

Claims (10)

  1. 프레임;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요크;
    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진동판;
    요크 상에 부착되는 2개 이상의 이너 마그넷;
    각 이너 마그넷의 외곽에 위치함과 동시에 각 이너 마그넷 사이에 위치하도록, 각 이너 마그넷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이너 마그넷의 배치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이너 마그넷의 외측 및 각 이너 마그넷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막대형 마그넷이고, 이너 마그넷의 외측에 위치하는 마그넷보다 이너 마그넷 사이에 위치하는 마그넷의 길이가 더 긴, 아우터 마그넷; 및
    상단은 진동판에 부착되며, 하단은 이너 마그넷 및 아우터 마그넷과 간격을 두고 각 이너 마그넷을 감싸며, 이너 마그넷의 개수에 대응하는 2개 이상의 보이스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아우터 마그넷은 이너 마그넷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보이스 코일의 설치를 위한 간격이 확보될 수 있는 크기의 홀을 구비하는 하나의 마그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
  3. 제1항에 있어서,
    아우터 마그넷은, 배치된 이너 마그넷의 외측을 감싸는 제1 아우터 마그넷, 각 이너 마그넷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아우터 마그넷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이너 마그넷 양단에 이너 마그넷 배치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아우터 마그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
  5.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코일과 진동판 사이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코일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며 댐핑 역할을 하는 연성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코일 하단에 부착되며, 복수 개의 코일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연성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우터 마그넷 상면에 부착되며, 아우터 마그넷은 이너 마그넷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보이스 코일의 설치를 위한 간격이 확보할 수 있는 크기의 홀을 구비하는 하나의 아우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이스 코일은 사각형의 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32786A 2020-10-14 2020-10-14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 KR102434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786A KR102434223B1 (ko) 2020-10-14 2020-10-14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786A KR102434223B1 (ko) 2020-10-14 2020-10-14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303A KR20220049303A (ko) 2022-04-21
KR102434223B1 true KR102434223B1 (ko) 2022-08-19

Family

ID=81437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786A KR102434223B1 (ko) 2020-10-14 2020-10-14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2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112B1 (ko) * 2017-02-06 2017-10-20 주식회사 이엠텍 코일 구조가 개선된 고압 방수 마이크로스피커
KR101941851B1 (ko) * 2018-01-17 2019-01-24 부전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패널용 멀티코일 진동변환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519B1 (ko) 2008-07-24 2011-09-02 주식회사 진영지앤티 장방형 박막스피커
KR101046087B1 (ko) * 2009-08-28 2011-07-01 에스텍 주식회사 스피커
KR20130089396A (ko) * 2012-02-02 2013-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엔 분할된 마그넷 구조를 갖는 스피커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112B1 (ko) * 2017-02-06 2017-10-20 주식회사 이엠텍 코일 구조가 개선된 고압 방수 마이크로스피커
KR101941851B1 (ko) * 2018-01-17 2019-01-24 부전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패널용 멀티코일 진동변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303A (ko) 202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87610B (zh) 声音转换器
US9832557B2 (en) Slim microspeaker
US7200241B2 (en) Loudspeaker
US7085394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electronic device
EP1434463A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such a transducer
KR20070100665A (ko) 통합된 공기 흐름 통로를 갖는 소형의 확성기 및 자기 회로
US10820116B2 (en) Speaker
KR100897807B1 (ko) 스피커
US20100027833A1 (en) Speaker unit
CN102187687B (zh) 用于声音转换器的膜片和包括膜片的声音转换器
KR101052622B1 (ko) 보이스코일용 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스피커
KR102434223B1 (ko) 복수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저역 강화 스피커
US20120308070A1 (en) Slim type speaker and magnetic circuit therefor
US10764685B2 (en) Speaker
KR100503011B1 (ko) 소형 스피커
CN107682793B (zh) 一种发声装置
WO2019205658A1 (zh) 发声装置单体、发声模组及电子终端
KR101389664B1 (ko) 고출력 및 고음질의 전자음향변환기
JP4591017B2 (ja) スピーカ
JP4403941B2 (ja) スピーカ
KR102021181B1 (ko) 전기 음향 변환 장치
US20240089661A1 (en) Multifunctional sounding device
CN112492457B (zh) 扬声器
KR20050075788A (ko) 스피커
WO2010073840A1 (ja) スピーカユニットおよび携帯情報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