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216B1 -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를 위한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 - Google Patents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를 위한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216B1
KR102434216B1 KR1020200152864A KR20200152864A KR102434216B1 KR 102434216 B1 KR102434216 B1 KR 102434216B1 KR 1020200152864 A KR1020200152864 A KR 1020200152864A KR 20200152864 A KR20200152864 A KR 20200152864A KR 102434216 B1 KR102434216 B1 KR 102434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ulator
scan
virtual
real
ma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8868A (ko
Inventor
한종목
Original Assignee
한종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종목 filed Critical 한종목
Priority to KR1020200152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216B1/ko
Publication of KR20220018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61C11/081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with adjusting means thereof
    • A61C11/084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with adjusting means thereof for 3D adjustment, e.g. Ball-and-so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는, 구강스캔데이터를 가상교합기로 페이스보우 트랜스퍼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물교합기에 장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실물교합기에 설치되는 페이스보우의 바이트포크에 대한 3차원 공간에서의 상대적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스캔인식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를 위한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SCANMARKER FOR PHYSICAL ARTICULATOR IN USE OF FACEBOW TRANSFER TO VIRTUAL ARTICULATOR}
본 발명은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취득한 환자의 구강스캔데이터를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가상교합기에 페이스보우 트랜스퍼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합기는 이와 잇몸의 교합상태를 측정하여 의치, 치관수복, 보철물 등의 제작 및 진단에 사용하는 기구로서, 환자에게서 채득한 치아모형, 즉 상악모델 및 하악모델을 부착한 후, 하악의 운동을 기계적으로 모방하는 기구이다. 교합기는 교합의 문제로 발생할 수 있는 질병들에 대해 진단하고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와 교정 등 각종 치과 진료에 다양하게 사용되는 장비이다.
도 1은 종래의 실물교합기를 도시하였다. 도 1에서 보듯이, 실물교합기(10)에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베이스(11, 12)가 구비되고, 상부 및 하부 베이스(11, 12) 각각에는 상악 및 하악 마운팅 플레이트(13, 14)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다. 환자로부터 채득한 상악모델(21) 및 하악모델(22)은 페이스보우(Facebow)를 통해 채득한 상악 및 하악 치아의 교합면에 따라 3차원 공간상에 배치된다. 즉, 상악모델(21) 및 하악모델(22)은, 실물교합기(10)에서 환차의 치아 교합면에 따라 배치되도록, 석고 등의 고정재(21a, 22a)를 이용하여 상부 및 하부 마운팅 플레이트(13, 14)에 고정된다(일반적으로 이러한 과정을 마운팅이라 칭한다). 이와 같이 상악모델(21) 및 하악모델(22)을 교합시킨 상태에서, 상하좌우 또는 전후로 이동시키면서 교합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또한, 환자의 치아 교합면은 페이스보우를 통해 채득된다. 즉, 도 2에서 보듯이, 페이스보우는 환자의 귀에 걸어 고정하는 베이스틀(31)에 바이트포크(33)를 장착하여, 바이트포크(33)가 베이스틀(31)로부터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인상재(또는 왁스)(34)가 도포된 바이트포크(33)는 환자의 입에 물리게 되어 본을 뜸으로써 환자의 치아 배열을 확인할 수 있다. 베이스틀(31)의 양단(32)을 환자의 양쪽 귀에 고정하고, 추가적으로 환자의 이마 측에 베이스틀(31)을 고정하여 수평상태를 맞춘 후, 환자가 입에 물고 있는 바이트포크(33)의 위치 상태를 고정하여, 환자의 치아 교합면을 찾아낸다. 이렇게 찾아낸 치아 교합면은, 교합기(10)의 콘다일(15)에 베이스틀(31)을 고정하여 상악모델(21) 및 하악모델(22)에 전이한다(이러한 전이 과정을 페이스보우 트랜스퍼(Facebow Transfer)라고 한다).
한편, 디지털 치의학의 발전으로 많은 보철물이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자인되고 있다. 구강스캐너는 스위스 취리히 대학의 Mormann과 Brandestini가 1980년대 초에 소개한 뒤에 계속적으로 발전하였으며,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다른 회사에서도 다양한 방식과 형태의 장비들을 소개하면서 치과에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아울러,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이 발전하면서 가상교합기 기능이 추가되었고, 이는 실물 교합기를 대체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페이스보(Facebow)를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여 가상교합기에 옮기려면, 인상채득 후에 모델을 만들어 교합기에 마운팅을 하고 이것을 모델스캐너(Model Scanner)로 스캔하여 옮길 수 있었다.
상술한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가상교합기는, 구강스캐너(Intraoral Scanner)를 이용하여 상악 및 하악에 대한 모델없이 보철물을 제작할 때는 사용할 수 없다. 종래에는 가상교합기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표준화된 안면 사진을 이용하여 사람의 평균적인 상악 및 하악 위치 관계에 대한 데이터를 활용하거나, CBCT(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등을 이용하는 방법들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표준화된 안면 사진을 이용하는 것은 환자 개개인의 상하악 구조에 대해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고, 고가의 CBCT를 이용하는 것은 사용의 편리성이나 비용 측면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환자의 상악 및 하악에 대한 모델을 제작하지 않고도,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페이스보우를 이용하여 구강스캐너를 통해 취득한 구강스캔데이터를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가상교합기에 마운팅할 수 있는, 구강스캔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는, 구강스캔데이터를 가상교합기로 페이스보우 트랜스퍼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물교합기에 장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실물교합기에 설치되는 페이스보우의 바이트포크에 대한 3차원 공간에서의 상대적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스캔인식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캔인식부는 상기 고정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캔인식부의 외주면에 3차원 공간에서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지부는 상기 스캔인식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외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다수의 돌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스캔인식부는 외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스캔인식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가상교합기의 3차원 가상 공간 상에서 가상스캔마커의 위치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가상스캔마커와 동일한 형상 및 규격을 갖는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를 제작하는 단계; 환자의 입 안을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함으로써 제1 3D 구강스캔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가 설치된 실물교합기에, 바이트포크를 포함하는 페이스보우를 이용하여 환자의 치아 교합면을 페이스보우 트랜스퍼하는 단계; 상기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 및 상기 바이트포크에 대하여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함으로써 제2 3D 구강스캔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가상스캔마커의 위치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3D 구강스캔데이터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캔마커를 이용한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 방법을 제고한다.
보철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악 모델 및 하악 모델을 제작하여 실물교합기에 페이스보 트랜스퍼하는 것이 전통적인 방법이나, 이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라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불편을 피하기 위해,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가상교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사람의 평균값을 이용하는 것은 환자 개개인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못하므로 정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CBCT를 이용하여 3차원 스캔데이터를 얻는 방법은, 방사선의 위험, 사용의 불편함 및 비용의 증가로 인해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를 이용하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페이스보우 및 구강스캐너를 통해 취득한 구강스캔데이터를 가상교합기에 페이스보 트랜스퍼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가상교합기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치과용 실물교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페이스보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 상에서 가상교합기의 상부 베이스, 상악 마운팅 플레이트, 하악 마운팅 플레이트 및 하부 베이스가 정렬된 상태를 나타낸 스크린 이미지이다
도 4는 캐드 프로그램 상에서 디자인된 가상스캔마커를 하악 마운팅 플레이트 위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스크린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캔마커를 실물교합기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스캔마커가 설치된 실물교합기에 페이스보우를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은 실물교합기에서 구강스캐너를 통해 바이트포크 및 스캔인식부를 스캔한 3차원 구강스캔데이터를 가상공간에 표시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가상교합기에 가상스캔마커를 정렬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가상스캔마커 및 실물스캔마커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구강스캔데이터를 매칭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가상교합기 내에 구강스캔데이터를 페이스보우 트랜스퍼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를 이용하여 구강스캐너를 통해 취득한 구강스캔데이터를 가상교합기로 페이스포우 트랜스퍼하는 과정을 설명한 흐름도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종래에, 널리 사용되는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으로는 EXOCAD, Dental System(3shape) 등이 있으며, 모델스캐너를 이용하여 실물교합기(Physical Articulator)에 마운팅된 상하악 모델의 위치를 캐드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가상교합기(Virtual Articulator)에 옮기게 된다(이 과정을 페이스보우 트랜스퍼라고 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서는, 상하악 모델 및 모델스캐너를 사용하지 않고 페이스보우 트랜스퍼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는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 상에서 가상교합기(10a)의 상부 베이스(11a), 상악 마운팅 플레이트(13a), 하악 마운팅 플레이트(14a) 및 하부 베이스(12a)가 정렬된 상태를 도시한 스크린 이미지를 나타내었고, 도 4에는 캐드 프로그램 상에서 디자인된 가상스캔마커(200a)를 하악 마운팅 플레이트(14a) 위에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 스크린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먼저 도 3에서 보듯이,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 상의 가상공간(S)에서 가상교합기(10a)의 상악 및 하악 마운팅 플레이트(13a, 14a)를 정렬한다. 그 후, 구강스캔을 할 때 사용할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를 디자인한다(이렇게 캐드 프로그램 상에서 디자인된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를 가상스캔마커라고 칭한다). 가상스캔마커(200a)는 상악 또는 하악 마운팅 플레이트(13a, 14a)를 기준으로 상대적 위치가 결정된, 가상고정부(210a) 및 가상스캔인식부(220a)를 갖도록 디자인된다. 즉, 가상스캔마커(200a)의 형상 및 규격은 후술하는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200)를 제조하기 위한 3차원 입체 모델로서 사용된다.
위와 같이, 정렬된 상악 및 하악 마운팅 플레이트(13a, 14a)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맞추어 상기 가상스캔마커(200a)를 배열한다. 이를 통해, 가상교합기(10a) 내의 3차원 가상공간(S) 상에서 상악 및 하악 마운팅 플레이트(13a, 14a)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가상스캔마커(200a)가 가지는 상대적 위치에 대한 정보(즉, 위치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도 13의 S10)
위와 같이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을 통해 디자인된 가상스캔마커(200a)는 예컨대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200)로 제작할 수 있다(도 13의 S20).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200)는 합성수지 등의 다양한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200)를 도시하였다. 도 5에서 보듯이,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200)는, 실물교합기에 장착되는 고정부(210)와, 상기 고정부(210)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실물교합기(10)에 설치되는 페이스보우(30)의 바이트포크(33)에 대한 3차원 공간에서의 상대적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스캔인식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캔인식부(220)는 실물교합기(10)에 배치되는 페이스보우(30)의 바이트포크(33)에 대한 3차원 공간에서의 상대적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고정부(210)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고정부(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부(210)는 실물교합기(10)의 제조사가 제공하는 마운팅 플레이트(13, 14)의 형상 및 규격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규격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도 5에서 보듯이, 스캔인식부(220) 및 고정부(210)에는 각각 결합돌기(222) 및 결합홈(212)이 형성되어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구강스캔 과정 중에, 캐드 프로그램 상에서 디자인된 스캔인식부(220) 및 베이스부(210)의 상대적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결합돌기(222) 및 결합홈(212)이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스캔인식부(220) 및 고정부(210)를 별도의 부재로 제조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하는 경우, 실물교합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치수의 고정부(210)를 별도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스캔인식부(220) 및 고정부(210)를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 고정부(210)는 실물교합기의 마운팅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스캔마커(200)의 하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200)를 제조할 때, 고정부(210)의 하부에 가상교합기(10a)의 마운팅 플레이트(13a 또는 14a)와 동일한 구조물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2에서 보듯이, 고정부(210)의 하부에는 실물교합기(10)의 베이스(11 또는 12)에 체결 가능한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부(23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제조사에 따라 마운팅 플레이트의 규격 및 형상이 다를 수 있는데, 플레이트 형상부(230)를 형성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캔마커(200)를 서로 다른 제조사의 실물교합기의 베이스(11, 12)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캔인식부(210)의 외주면에는 3차원 공간에서의 각 부위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지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표지부(221)는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취득한 구강스캔데이터에서 스캔인식부(210)의 국소 영역이 명확히 인식되도록 한다. 표지부(221)는 구강스캔데이터에서 식별이 가능한 형상이면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돌기, 홈, 기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표지부(221)는 스캔인식부(22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다수의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돌기는 외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스캔 과정에서 돌기의 외측면이 각진 모서리를 갖는 경우 난반사에 의해 인식률이 저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캔인식부(220)의 외측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의해, 구강스캔 과정 중에, 스캔인식부(220)의 외측면에서의 난반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스캔인식부(220)는 고정부(210)로부터 수직한 방향, 즉 실물교합기(10)의 베이스(11, 12) 또는 마운팅 플레이트(13, 14)가 이루는 평면으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겠으나, 구강스캐너를 통해 커버될 수 있는 영역은 매우 작기 때문에(통상 15mm×15mm 정도의 영역을 스캔), 스캔인식부(220) 및 바이트포크(33)(정확하게는 환자의 치아 배열을 본 뜬 인상재 또는 왁스가 고정된)에 대한 상대적 위치정보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스캔인식부(220) 및 바이트포크(33)는, 실물교합기(10)에 배치될 때, 서로 닿지 않으면서 동시에 이격 거리가 최소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스캔인식부(220)는, 바이트포크(33)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 내에서, 바이트포크(33)와 인접하는 스캔인식부(220)의 일 영역 사이의 간격이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가 긴 기둥, 원뿔 등과 같은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환자의 턱관절 및 치아교합면 사이의 구조에 따라, 페이스보우(30)를 통해 고정되는 바이트포크(33)가 실물교합기(10)의 상하부 마운팅 플레이트(13, 14)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더라도, 스캔인식부(220) 및 바이트포크(33) 사이의 거리가 최소의 간격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200)를 이용하여 구강스캐너를 통해 취득한 구강스캔데이터를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가상교합기(10a)에 마운팅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방법에 따라 환자의 입 안을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함으로써 3차원 구강스캔데이터(이하, 제1 3D 구강스캔데이터)를 취득한다(도 13의 S30). 제1 3D 구강스캔데이터는 상악 및 하악의 치아 배열상태에 대한 정보를 갖는다. 이후, 인상재(왁스)를 도포한 바이트포크를 통해 환자의 치아 구조의 본을 뜬 후, 페이스보우를 통해 환자의 치아 교합면에 따라 바이트포크를 고정한다. 이에 의해, 환자의 턱관절과 상하악의 상대적 구조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캔마커(200)를 실물교합기(10)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6에서 보듯이, 스캔마커(200)는 실물교합기의 하부 마운팅 플레이트(14)에 장착될 수 있다.
그 후, 환자의 인상을 채득한 페이스보우를 실물교합기(10)에 배치한다(이 과정을 실물교합기에 대한 페이스보우 트랜스퍼라고 한다)(도 13의 S40). 도 7에는 스캔마커(200)가 설치된 실물교합기에 페이스보우를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7에서 보듯이, 스캔마커(200) 및 페이스보우를 설치한 실물교합기에서 바이트포크(33) 및 스캔인식부(220) 주변을 구강스캐너를 통해 스캔함으로써 3차원 구강스캔데이터(이하, 제2 3D 구강스캔데이터)를 취득한다(도 13의 S50). 이때, 바이트포크(33) 상에는 환자의 치아 구조가 복사된 인상재(34)가 고형화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1 3D 구강스캔데이터를 통해 환자의 상악 및 하악의 치아 배열에 대한 정보는 알 수 있고, 환자의 턱관절과 상하악 사이의 3차원적 구조에 대한 정보가 페이스보우를 통해 실물교합기에 전이된 상태에서 취득한 제2 3D 구강스캔데이터를 통해 스캔인식부(220) 및 바이트포크(인상재에 의한 치아 배열 구조) 사이의 3차원적 위치 정보를 알 수 있다. 아울러, 앞에서 캐드 프로그램에 의해 디자인된 가상스캔마커(200a)는 3차원 가상공간 상에서 가상교합기의 마운팅 플레이트에 대한 상대적 위치정보(즉, 가상스캔마커의 위치 좌표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 3D 구강스캔데이터 및 제2 3D 구강스캔데이터를 캐드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가상교합기(10a)의 마운팅 플레이트(13a 또는 14a)에 대해 정렬된 가상스캔마커(200a)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정렬하면, 제1 및 제2 구강스캔데이터가 가상교합기(10a)에 페이스보우 트랜스퍼될 수 있다(도 13의 S60).
도 8에는 제2 3D 구강스캔데이터를 3차원 가상공간(S) 상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스크린 이미지를 도시하였다. 도 8에서, 제2 3D 구강스캔데이터는 바이트포크에 고정된 인상재에 대한 위치정보(34a) 및 스캔인식부(220)에 대한 위치정보(220b)를 포함한다. 도 9에는 가상공간(S) 상에서 미리 결정된 위치에 따라 가상교합기(10a) 및 가상스캔마커(200a)를 정렬한 상태를 나타낸 스크린 이미지를 도시하였다. 도 9의 가상교합기(10a)에 정렬된 가상스캔마커(200a)의 위치정보(특히 스캔인식부(220a)에 대한 좌표 정보)와, 도 8의 제2 3D 구강스캔데이터에 포함된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200)에 대한 위치정보(특히, 스캔인식부(220)에 대한 좌표 정보(220b))를 기초로, 양자를 매칭시키면 제2 3D 구강스캔데이터를 가상교합기(10a) 상에 정렬할 수 있다. 다시, 제1 3D 구강스캔데이터에 포함된 치아 부분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2 3D 구상스캔데이터의 인상재에 대한 위치정보(34a)를 매칭시키면, 도 10과 같이 제1 3D 구강스캔데이터를 가상교합기(10a) 상에 정렬할 수 있다. 이때, 가상스캔마커(200a)의 표지부(221a) 및 실물스캔마커(200)의 표지부(221)를 기준으로 양자를 매칭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구강스캐너를 통해 취득한 제1 및 제2 3D 구강스캔데이터를 가상교합기로 페이스포우 트랜스퍼할 수 있다. 그 후, 도 11에서 보듯이, 가상스캔마커(200a)를 제거하여, 실물교합기(10)에서와 동일한 환경에서 가상교합기(10a)를 이용할 수 있다.
보철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악 모델 및 하악 모델을 제작하여 실물교합기에 페이스보 트랜스퍼하는 것이 전통적인 방법이나, 이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라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불편을 피하기 위해, 캐드 프로그램의 가상교합기를 사용할 때 일반적인 사람의 평균값을 이용하는 것은 환자 개개인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못하므로 정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CBCT를 이용하여 3차원 스캔데이터를 얻는 방법은, 방사선의 위험, 사용의 불편함 및 비용의 증가로 인해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를 이용하면, 상하악 모델을 제작하지 않고도,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페이스보우 및 구강스캐너를 통해 취득한 구강스캔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상교합기에 페이스보 트랜스퍼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가상교합기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실물교합기의 베이스 또는 마운팅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실물교합기에 설치되는 페이스보우의 바이트포크에 대한 3차원 공간에서의 상대적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스캔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캔인식부의 외주면에는 3차원 공간에서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표지부는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가상교합기의 상악 또는 하악 마운팅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3차원 가상공간 상에서의 상대적 위치가 미리 결정되고,
    아울러, 상기 스캔인식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직방향으로 길이가 긴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인식부는 상기 고정부와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부는 상기 스캔인식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외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다수의 돌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
KR1020200152864A 2020-08-07 2020-11-16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를 위한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 KR102434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864A KR102434216B1 (ko) 2020-08-07 2020-11-16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를 위한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163A KR102221475B1 (ko) 2020-08-07 2020-08-07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를 이용한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 방법
KR1020200152864A KR102434216B1 (ko) 2020-08-07 2020-11-16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를 위한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163A Division KR102221475B1 (ko) 2020-08-07 2020-08-07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를 이용한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868A KR20220018868A (ko) 2022-02-15
KR102434216B1 true KR102434216B1 (ko) 2022-08-18

Family

ID=746877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163A KR102221475B1 (ko) 2020-08-07 2020-08-07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를 이용한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 방법
KR1020200152864A KR102434216B1 (ko) 2020-08-07 2020-11-16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를 위한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163A KR102221475B1 (ko) 2020-08-07 2020-08-07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를 이용한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214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740A1 (ko) * 2020-08-07 2022-02-10 한종목 스캔마커 및 이를 이용한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0685A (ja) * 2007-01-10 2011-04-07 ノベル バイオケア サーヴィシィズ アーゲー 歯科用計画および生産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794561B1 (ko) 2016-06-22 2017-11-07 주식회사 메디트 치아모델 교합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합방법
WO2018050836A1 (en) * 2016-09-16 2018-03-22 Gc Europe N.V. Calibration members and method for calibrating a virtual articul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0685A (ja) * 2007-01-10 2011-04-07 ノベル バイオケア サーヴィシィズ アーゲー 歯科用計画および生産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794561B1 (ko) 2016-06-22 2017-11-07 주식회사 메디트 치아모델 교합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합방법
WO2018050836A1 (en) * 2016-09-16 2018-03-22 Gc Europe N.V. Calibration members and method for calibrating a virtual articu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868A (ko) 2022-02-15
KR102221475B1 (ko) 2021-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8196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ntal procedures
KR101273386B1 (ko) 영상정보 정합을 위한 마커
JP5011292B2 (ja) 3次元モデルを構築する方法
CA2868903C (en) Intraoral imaging apparatus
US201002975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denture
CN113573662B (zh) 将个体的牙弓的虚拟模型与所述个体的面部的数字模型配准的方法
JP2016523619A (ja) 歯科補綴物を製造するためのスキャン可能なトレー
US20190298502A1 (en) Measurement Device and a Method for Recording the Positions of Teeth
EP3188687B1 (en) Method of using a digital representation of a facebow
KR102434216B1 (ko)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를 위한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
KR102239741B1 (ko) 페이스보우용 스캔마커 및 이를 이용한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 방법
WO2022030740A1 (ko) 스캔마커 및 이를 이용한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 방법
US20220079722A1 (en) Method for measuring patient-specific temporomandibular joint relation and transferring it into a virtual articulator
CN117242508A (zh) 作为训练装置的牙用夹及其制造方法
JP2016501059A (ja) 歯科印象装置、歯科印象セット、および顎配列を成型および正確な配置で採得する方法
Pooja Kakade et al. EVOLUTION OF INTRAORAL SCANNERS IN DENTISTRY: AN OVER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