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844B1 - 메타버스 기반 소개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메타버스 기반 소개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844B1
KR102433844B1 KR1020220016653A KR20220016653A KR102433844B1 KR 102433844 B1 KR102433844 B1 KR 102433844B1 KR 1020220016653 A KR1020220016653 A KR 1020220016653A KR 20220016653 A KR20220016653 A KR 20220016653A KR 102433844 B1 KR102433844 B1 KR 102433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xhibition
matching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호
홍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데브메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데브메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데브메이트
Priority to KR1020220016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8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6File or folder operations, e.g. 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 G06F16/168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e.g. browsing and visualisation, 2d or 3d GU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Remote Sens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타버스 기반 소개팅 시스템으로서, 웹페이지를 통해 전시품을 출력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타버스 기반 소개팅 시스템{Metabus-based blind date system}
본 발명은 메타버스 기반 소개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타버스 플랫폼안에서 블럭체인 기반의 전시체험 솔루션 기술인 온라인과 오프라인 전시체험을 연계하여 쌍방 향의 전시체험 공간의 데이터 공유와 네트웍을 통한 전시체험 솔루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메타버스 플랫폼안에서 블럭체인 기반의 전시체험 솔루션은 사용자에게 오프라인의 공간적, 시간적, 나이, 성별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으며, 체험자가 자신의 아이템을 획득 및 판매하여 네트 웍공간안에서의 생태계가 만들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메타버스 플랫폼안에서 블럭체인 기반의 전시체험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현재 연구되고 개발되고 있다.
특히, 체험자가 오프라인의 박물관, 전시관, 체험관을 직접 방문하거나, 방문하기전 네트웍을 통해 보다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열성적인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메타버스 플랫폼안에서 블럭체인 기반의 전시체험 솔루션에 대한 가장 실행 가능한 접근 방법들 중 하나는 오프라인 전시관과의 연계뿐만 아니라 온라인상에서의 안전을 위한 보안체계인 블럭체인 기술과 그 안에서의 생태계를 위한 소통의 공간이 필요하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 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 10-2021-006328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취향에 맞추어 피매칭 단말 리스트를 제공해 효율적으로 만남이 이루어질 수 있는 메타버스 기반 소개팅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소개팅 시스템은, 웹페이지를 통해 전시품을 출력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리서버는, 전시품이 진열되어 있는 전시회장을 가상의 3차원 전시공간으로 생성하는 전시관람 서버; 및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피매칭 단말을 매칭하며 매칭에 성공하는 경우, 상기 전시관람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전시회 중 매칭에 성공한 사용자의 취향에 맞추어 추천하는 소개팅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소개팅 서버는,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사용자의 정보로부터 매칭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취향을 포함하는 적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에서 생성한 상기 적합 데이터와 유사한 적합 데이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피매칭 단말의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매칭부; 및 상기 매칭부에서 제공한 피매칭 단말의 리스트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 입력되어 매칭에 성공한 데이터를 성공데이터로 저장하고, 상기 피매칭 단말의 리스트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매칭에 실패한 데이터를 실패데이터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매칭부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고 매칭에 성공한 경우, 사용자의 캐릭터와 상기 피매칭 캐릭터를 가상의 공간으로 초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캐릭터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조작되는 제스쳐, 표정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성공데이터와 상기 실패데이터를 누적 및 저장, 학습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시회장에는, 전시 주최자의 정보, 전시의 주제, 도슨트 시간을 포함하는 전시회의 정보가 출력되는 전시출력부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시출력부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유지하며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재가 하측면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전시출력부의 하측면 양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가 비워진 공간을 갖는 제2 외측 기둥; 및 상기 제2 외측 기둥의 비워진 내측 공간을 따라 끼워지고, 내부가 비워진 내측을 갖는 제2 내측 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 내측 기둥을 견고하게 받쳐주는 제1 지지기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외측 기둥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고정나사가 관통 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고정나사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내측 기둥은, 상기 제2 외측 기둥의 상기 고정나사홈과 대응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갖는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나사는, 상기 고정나사홈과 상기 제2 외측 기둥의 내측에 끼워진 상기 제2 내측 기둥의 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외측 기둥의 반대측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지지기둥은,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을 견고하게 형성하도록 사이에 제1 연결 기둥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소개팅 시스템은, 웹페이지를 통해 전시품을 출력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리서버는, 전시품이 진열되어 있는 전시회장을 가상의 3차원 전시공간으로 생성하는 전시관람 서버; 및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피매칭 단말을 매칭하며 매칭에 성공하는 경우, 상기 전시관람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전시회 중 매칭에 성공한 사용자의 취향에 맞추어 추천하는 소개팅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시관람 서버는, 전시회 주최자의 단말기로부터 전시회의 주최자, 작가의 이력, 작가의 정보, 전시 의의, 전시 장소, 전시 기간을 포함한 정보를 전시회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부; 상기 전시회의 주최자의 단말기로부터 전시품이 전시되어 있는 전시 장소를 전시회장 입구에서부터 출구까지 사진 파일 또는 영상 파일로 수신하는 이미지수신부; 상기 이미지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사진 파일 또는 상기 영상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전시회를 3차원 가상 전시공간으로 형성하는 전시공간 생성부; 상기 전시공간 생성부에서 생성한 상기 3차원 가상 전시공간을 입력되는 사용자가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접속 가능하도록 허용하는 접속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보안 코드를 제공하는 보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안부는, 임의의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보안 코드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보안 코드를 검수하고, 제공한 보안 코드와 사용자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3차원 가상 전시공간으로 접속을 허용하도록 상기 접속제어부로 허용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안부는, 임의의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보안 코드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보안 코드를 검수하고, 제공한 보안 코드와 사용자가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3차원 가상 전시공간으로 접속을 차단하도록 상기 접속제어부로 차단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시회장에는, 전시 주최자의 정보, 전시의 주제, 도슨트 시간을 포함하는 전시회의 정보가 출력되는 전시출력부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시출력부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유지하며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재가 하측면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전시출력부의 하측면 양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가 비워진 공간을 갖는 제2 외측 기둥; 및 상기 제2 외측 기둥의 비워진 내측 공간을 따라 끼워지고, 내부가 비워진 내측을 갖는 제2 내측 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 내측 기둥을 견고하게 받쳐주는 제1 지지기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외측 기둥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고정나사가 관통 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고정나사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내측 기둥은, 상기 제2 외측 기둥의 상기 고정나사홈과 대응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갖는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나사는, 상기 고정나사홈과 상기 제2 외측 기둥의 내측에 끼워진 상기 제2 내측 기둥의 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외측 기둥의 반대측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지지기둥은,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을 견고하게 형성하도록 사이에 제1 연결 기둥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메타버스 기반 소개팅 시스템은 사용자의 취향에 맞추어 피매칭 단말 리스트를 제공해 효율적으로 만남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안하는 메타버스 기반 소개팅 시스템을 통해 매칭에 성공하는 경우 전시회를 3차원 가상 전시공간으로 구현한 전시회를 관람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전시회에 대한 정보(전시 주최자의 정보, 전시의 주제, 도슨트 시간 등)를 별도의 검색 과정 없이도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전시출력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전시출력부는 오프라인 뿐만 아니라 메타버스로 이용중인 관람객들도 모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시출력부의 하단에 구비된 지지부재에 의하여 관람객 수 또는 관람객의 이동 동선, 바닥에 존재하는 장애물 등에 관계없이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전시회에 전시되어 있는 전시품의 높이에 맞추어 높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미만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소개팅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소개팅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미만,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소개팅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소개팅 시스템(10)은 웹페이지를 통해 전시품을 출력하는 관리서버(100) 및 관리서버(100)에 정보를 제공하는 전시회장(9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100)는 전시관람 서버(110) 및 소개팅 서버(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시관람 서버(110)는 전시품이 진열되어 있는 전시회장을 가상의 공간으로 생성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전시관람 서버(110)는 정보수신부(111), 이미지수신부(113), 전시공간 생성부(115), 접속제어부(117) 및 보안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수신부(111)는 전시회 주최자의 단말기로부터 전시회의 주최자, 작가의 이력, 작가의 정보, 전시 의의, 전시 장소, 전시 기간을 포함한 정보를 전시회 정보를 수신
이미지수신부(113)는 전시회의 주최자의 단말기로부터 전시품이 전시되어 있는 전시 장소를 전시회장 입구에서부터 출구까지 사진 파일 또는 영상 파일로 수신
전시공간 생성부(115)는 이미지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사진 파일 또는 영상파일을 이용하여 전시회를 3차원 가상 전시공간으로 형성
접속제어부(117)는 전시공간 생성부에서 생성한 3차원 가상 전시공간을 입력되는 사용자가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접속 가능하도록 허용
보안부(119)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보안 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보안부(119)는 임의의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보안 코드가 입력되는 경우 보안 코드를 검수하고, 제공한 보안 코드와 사용자가 일치하는 경우 3차원 가상 전시공간으로 접속을 허용하도록 접속제어부로 허용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보안부(119)는 임의의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보안 코드가 입력되는 경우 보안 코드를 검수하고, 제공한 보안 코드와 사용자가 불일치하는 경우 3차원 가상 전시공간으로 접속을 차단하도록 접속제어부로 차단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속제어부(117)는 보안부(119)에서 허용 신호 또는 차단 신호를 제공받아 사용자의 단말기가 3차원 가상 전시공간에 접속하여 전시회를 관람할 자격을 부여하거나 부여하지 않을 수 있다.
메타버스 플랫폼 안에서는 스마트 기기를 메인으로, PC(personal computer), 데이터 서버 등으로 구현 될 수 있다. 휴대용 장치는 랩탑(laptop) 컴퓨터, 이동 전화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obile internet device(MID)),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EDA(enterprise digital assistant),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향후 스마트 밴드(smart band), 또는 스마트 링(smart ring)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된 데이터 처리방법의 기술은 메타체인 플렛폼안에서 새로운 공간을 창조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목적을 위한 소통공간안에서의 블럭체인 기술들은 프로그램에 포함된 코드(code) 또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서버에서 구현되는 시스템은 보안체계를 거쳐 데이터를 포함하여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제페토에 적용된 아이템과 로블록스의 전시체험 공간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는 서버의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 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를 통해 해상도를 설정할 수 있다. 단지 기본적인 해상도는 하이브리드로 적용하되, 가소 형태의 HD 형식의 16:9로 작업된다. 메타버스 안에서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유형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및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메타버스를 통한 3차원 가상 전시공간은 개인의 스마트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단 개인 스마트 기기가 아닌 공용 장비에서의 사용은 암호에 대한 위험성을 알고, 사용은 최소화 해야 한다. 스마트 기기의 사용은 개인 유저를 기본으로 하지만 네트웍 공간안에서 사용되어야 하고, 특정 네트웍 시스템을 지정하지는 않는다. 단지 공유 와이파이 같은 공유 네트웍의 경우 안전성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개인 스마트 기기의 네트웍을 권한다.
메타버스 플랫폼안에서의 온오프라인 전시체험은 온라인에서 사용이 가능하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홍보와 마케팅을 시키고 오프라인에서의 홍보, 관련 네트웍을 동원한 마케팅, 그리고 국내외 전시장, 박물관, 체험관 등에 연합작업과 지속적인 홍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매타버스 플랫폼안에서의 전시체험 공간은 체험자 우선이 먼저이고, 이에 따른 네트웍 공간은 하나의 소통의 공간으로 만들어진다. 즉, 메타버스 플랫폼안에서의 전시체험 공간은 수많은 소통의 공간중에 하나이다. 또한 전시체험이외에도 교육, 문화, 게임,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등등의 확장성을 가진다. 이 후, 메타버스 플랫폼은 초기의 개발자의 의지로 운영되지만, 향후 체험자가 소통하는 거대한 공간이 만들어 질 수 있으며, 네트웍 공간안에서의 생태계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온오프라인 전시체험 공간 구축은 네트웍 공간안에서의 전시체험과 더불어 실제적으로 실물모형을 보고자하는 이들과 규모나 실제 공간안에서의 체험을 위한 오프라인 전시체험과 더불어 이어지는 온라인 공간체험 방안으로 진행되며 그 데이터는 사용자의 암호화 데이터로 개인별로 공유된다.
메타버스 플랫폼은 단순히 하나의 솔루션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다. 공간의 사용자 제한인원과 속도에 따라 접속이 거부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보안상 접속을 제한 시킬 수도 있다.
소개팅 서버(190)는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피매칭 단말을 매칭하며 매칭에 성공하는 경우, 전시관람 서버(110)에 저장되어 있는 전시회 중 매칭에 성공한 사용자의 취향에 맞추어 추천할 수 있다.
여기서, 전시회는 메타버스를 통한 3차원 가상 전시공간을 의미할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소개팅 서버(190)는 수신부(191), 추출부(193), 매칭부(195) 및 데이터 저장부(197)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91)는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추출부(193)는 사용자의 정보로부터 매칭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추출하여 사용자의 취향을 포함하는 적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매칭부(195)는 추출부(193)에서 생성한 적합 데이터와 유사한 적합 데이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피매칭 단말의 리스트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매칭부(195)는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매칭에 성공한 경우, 사용자의 캐릭터와 피매칭 캐릭터를 가상의 공간으로 초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캐릭터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조작되는 제스쳐, 표정을 구현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197)는 매칭부에서 제공한 피매칭 단말의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 입력되어 매칭에 성공한 데이터를 성공데이터로 저장하고, 피매칭 단말의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매칭에 실패한 데이터를 실패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197)는 성공데이터와 실패데이터를 누적 및 저장, 학습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소개팅 서버(19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소개팅 서버(190)는 적합 데이터와 대응되는 전시회의 주제가 전시관람 서버(110)에 존재하는 경우 매칭에 성공한 사용자에게 해당되는 전시회를 추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캐릭터를 이용하여 3차원 가상 전시공간에 등장할 수 있고, 피매칭 캐릭터 또한 3차원 가상 전시공간에 등장하여 함께 시간을 보낼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소개팅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소개팅 시스템의 전시관에 위치한 전시출력부(500)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시출력부(50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700)는 전시출력부(500)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며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700)는 제1 지지 기둥(710, 710'), 제2 외측 기둥(730), 내부가 비워진 내측(725)을 갖는 제2 내측 기둥(750)을 포함하는 것으로, 전시출력부(500)의 하단을 받쳐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전시출력부(500)의 하측면 양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가 비워진 공간을 갖는 제2 외측 기둥(730), 제2 외측 기둥(730)의 비워진 내측 공간을 따라 끼워지고 내부가 비워진 내측(725)을 갖는 제2 내측 기둥(750)을 포함하는 지지부재(700)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외측 기둥(730)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고정나사(740)가 관통 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고정나사홈(7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측 기둥(730)은 제2 내측 기둥(750)과 결합되되, 고정나사홈(720)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나사(740)에 의해 지지부재(700)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나사(740)는 고정나사홈(720)과 제2 외측 기둥(730)의 내측에 끼워진 제2 내측 기둥(750)의 홈을 관통하여 제2 외측 기둥(730)의 고정나사홈(720)이 형성된 반대측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고정나사(740)는 제2 외측 기둥(730)의 고정나사홈(720)을 관통하여 제2 내측 기둥(750)의 홈을 관통할 수 있고, 제2 내측 기둥(750)의 홈(미도시)이 형성된 반대측 제2 내측 기둥(750)을 뚫어 삽입된 후 제2 외측 기둥(730)의 고정나사홈(720)이 형성된 반대측 제2 외측 기둥(73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즉, 고정나사(740)의 일단은 제2 외측 기둥(730)의 고정나사홈(720)에 위치할 수 있고, 타단은 제2 외측 기둥(730)의 고정나사홈(720)의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외측 기둥(730)과 제2 내측 기둥(750)은 고정나사(740)에 의하여 높이가 고정될 수 있고, 고정나사(740)는 제2 외측 기둥(730) 및 제2 내측 기둥(750)과 수직된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700)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1 지지 기둥(710, 710')은 양 방향에 대칭적으로 위치하는 지지부재(700)의 제2 내측 기둥(750)을 견고하면서도 유동 없이 받쳐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제1 지지기둥(710, 710')의 사이에는 지지부재(700)의 하단을 더욱 견고하도록 하는 제1 연결 기둥(770)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지부재(700)의 하단은 제1 지지기둥(710, 710') 및 제1 연결 기둥(770)에 의하여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단의 제1 지지 기둥(710, 710')의 내측에 형성된 빈 공간은 바닥에 물체가 놓여 있거나 돌출된 장애물 등이 있을 때 이 개방공간의 간격 속으로 물체나 장애물을 진입시킬 수 있으므로 특히 좁은 공간에서 장애물 때문에 전시출력부(500)의 고정 위치를 잡지 못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외측 기둥(7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여러 개의 고정나사홈(720)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되, 제2 내측 기둥(750)에 고정나사홈(720)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외측 기둥(730)은 제2 내측 기둥(7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높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제2 외측 기둥(730)의 고정나사홈(720)과 제2 내측 기둥(750)의 홈(미도시)을 일치시켜 고정나사홈(720)에 설치되는 고정나사(740)를 관통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고정나사(740)는 탄력이 발생하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나사(740)의 선단부가 제2 외측 기둥(730)의 고정나사홈(720)을 따라 탄력으로 제2 외측 기둥(730)의 외부로 돌출되고, 고정나사(740)를 가압하면 제2 내측 기둥(750)의 내측(725) 속으로 진입하여 제2 내측 기둥(75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나사(740)는 나사를 조이기 위한 상단부와, 상단부에서 연장되고, 일정한 각도로 테이퍼진 외주면에 나산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1 나사산부와, 제1 나사산부에서 연장되고, 일정한 각도로 테이퍼진 외주면에 제1 제2 나사산부가 형성된 중앙부와, 중앙부에서 연장되고, 일정한 각도로 테이퍼진 외주면에 제2 제2 나사산부가 형성된 하단부를 포함하고, 고정나사가 뼈에 체결된 경우 나사가 풀리는 방향의 모우멘트에 의하여 나사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부에는 외주면의 일부가 제거 되어 평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앙부의 제2 나사산부의 피치는 하단부의 제2 나사산부의 피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앙부의 테이퍼의 경사각은 하단부의 테이퍼의 경사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나사산부의 테이퍼의 경사각은 중앙부의 경사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나사(740)는 상단부(741)와 제1 나사산부(7421), 중앙부(742) 및 하단부(743)를 구비할 수 있다.
상단부(741)는 조임너트부(7412)와 플레이트(7414)를 구비할 수 있다.
조임너트부(7412)는 고정나사를 원활하게 조이기 위하여 육각 너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레이트(7414)는 원판형으로서 조임너트부(7412)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조임너트부(7412)는 고정나사를 원활하게 조이기 위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육각 너트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조임 도구를 이용하여 조일 수 있는 형상이라면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제1 나사산부(7421)는 플레이트(7414)의 하면에 형성되며, 고정나사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앙부(742)는 그 외주면에 제1 나사산부(7421)와 다른 각도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된 제2 나사산부(742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 나사산부(7422)는 제1 나사산부(742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중앙부(742)는 고정나사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되 제1 나사산부(7421)의 부근에서 하단부인 제2 나사산부(7422)로 갈수록 횡단면의 직경이 줄어든다.
따라서, 제1 나사산부(7421)에 인접한 제2 나사산부(7422)의 면적이 제1 나사산부(7421)에서 상대적으로 떨어진 제2 나사산부(7422)의 면적에 비하여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중앙부(742)의 일부에는 평면부(7424)가 형성될 수 있다. 평면부(7424)는 제1 나사산부(7421)에 인접한 중앙부(742)의 외주면을 고정나사의 축방향으로 일정 부분 절단한 형태인 평면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나사산부(7421)에 인접한 제2 나사산부(7422)의 일부가 절단될 수 있고, 고정나사홈(612a)을 관통하여 위치한 고정나사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평면부(7424)는 제1 나사산부(7421)에 인접한 제2 나사산부(7422), 즉 산의 면적이 더 넓은 제2 나사산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하단부(743)는 중앙부(742)의 하부에 형성되고, 개폐나사부재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단부(743)의 최하단부의 테이퍼진 경사각은 제1 나사산부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나사(740)에서 제1 나사산부(7421)의 직경을 제2 나사산부(7422) 및 하단부(743)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함으로써 제1 나사산부(7421)의 외부의 표면적을 크게하여 고정나사가 고정나사홈(612a)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력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 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 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 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된 개발 플랫폼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제페토의 구성요소 및 로블록스의 구성요소 및 블럭체인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설계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체험자의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개인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 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 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서버의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 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 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 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서버에서 판독 가능한 블럭체인 원장에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운영시스템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블럭체인 기반의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서버의 블럭체인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 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 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 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블럭체인의 고급 암호화 언어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소프트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메타버스 기반 소개팅 시스템

Claims (3)

  1. 웹페이지를 통해 전시품을 출력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메타버스 기반 소개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전시품이 진열되어 있는 전시회장을 가상의 3차원 전시공간으로 생성하는 전시관람 서버; 및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피매칭 단말을 매칭하며 매칭에 성공하는 경우, 상기 전시관람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전시회 중 매칭에 성공한 사용자의 취향에 맞추어 추천하는 소개팅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소개팅 서버는,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사용자의 정보로부터 매칭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취향을 포함하는 적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에서 생성한 상기 적합 데이터와 유사한 적합 데이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피매칭 단말의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매칭부; 및
    상기 매칭부에서 제공한 피매칭 단말의 리스트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선택 입력되어 매칭에 성공한 데이터를 성공데이터로 저장하고, 상기 피매칭 단말의 리스트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매칭에 실패한 데이터를 실패데이터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부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캐릭터를 생성하고,
    매칭에 성공한 경우, 사용자의 캐릭터와 피매칭 캐릭터를 가상의 공간으로 초대하고,
    상기 사용자의 캐릭터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조작되는 제스쳐, 표정을 구현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성공데이터와 상기 실패데이터를 누적 및 저장, 학습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메타버스 기반 소개팅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회장에는,
    전시 주최자의 정보, 전시의 주제, 도슨트 시간을 포함하는 전시회의 정보가 출력되는 전시출력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전시출력부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유지하며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재가 하측면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전시출력부의 하측면 양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가 비워진 공간을 갖는 제2 외측 기둥; 및
    상기 제2 외측 기둥의 비워진 내측 공간을 따라 끼워지고, 내부가 비워진 내측을 갖는 제2 내측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 내측 기둥을 견고하게 받쳐주는 제1 지지기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외측 기둥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고정나사가 관통 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고정나사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내측 기둥은,
    상기 제2 외측 기둥의 상기 고정나사홈과 대응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갖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나사는,
    상기 고정나사홈과 상기 제2 외측 기둥의 내측에 끼워진 상기 제2 내측 기둥의 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외측 기둥의 반대측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제1 지지기둥은,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을 견고하게 형성하도록 사이에 제1 연결 기둥이 연결되어 있는, 메타버스 기반 소개팅 시스템.
KR1020220016653A 2022-02-09 2022-02-09 메타버스 기반 소개팅 시스템 KR102433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653A KR102433844B1 (ko) 2022-02-09 2022-02-09 메타버스 기반 소개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653A KR102433844B1 (ko) 2022-02-09 2022-02-09 메타버스 기반 소개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3844B1 true KR102433844B1 (ko) 2022-08-18

Family

ID=83112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653A KR102433844B1 (ko) 2022-02-09 2022-02-09 메타버스 기반 소개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8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1588A (ko) 2022-09-01 2024-03-08 주식회사 메타스카이 Nft를 이용한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
CN117932165A (zh) * 2024-03-22 2024-04-26 湖南快乐阳光互动娱乐传媒有限公司 个性化社交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165A (ko) * 2001-04-12 2002-10-23 강화영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전시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예술작품 전시, 판매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KR101106857B1 (ko) * 2011-09-23 2012-01-20 여미옥 3디를 활용한 가상 공간의 갤러리시스템
KR20190071241A (ko) * 2017-12-14 2019-06-24 전자부품연구원 가상 소개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63284A (ko) 2021-05-12 2021-06-01 김권태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블럭체인 기반의 전시체험 솔루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165A (ko) * 2001-04-12 2002-10-23 강화영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전시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예술작품 전시, 판매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KR101106857B1 (ko) * 2011-09-23 2012-01-20 여미옥 3디를 활용한 가상 공간의 갤러리시스템
KR20190071241A (ko) * 2017-12-14 2019-06-24 전자부품연구원 가상 소개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63284A (ko) 2021-05-12 2021-06-01 김권태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블럭체인 기반의 전시체험 솔루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1588A (ko) 2022-09-01 2024-03-08 주식회사 메타스카이 Nft를 이용한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
CN117932165A (zh) * 2024-03-22 2024-04-26 湖南快乐阳光互动娱乐传媒有限公司 个性化社交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3844B1 (ko) 메타버스 기반 소개팅 시스템
Dourish Algorithms and their others: Algorithmic culture in context
KR20210063284A (ko)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블럭체인 기반의 전시체험 솔루션
Zuboff Big other: surveillance capitalism and the prospects of an information civilization
Wiltshier et al. Virtual cultural tourism: Six pillars of VCT using co-creation, value exchange and exchange value
Richmond et al. Where now for the critique of the liberal peace?
Jamal et al. Bridging the interdisciplinary divide: Towards an integrated framework for heritage tourism research
Moss et al. Characteristics of head-mounted displays and their effects on simulator sickness
Vainstein et al. Towards using mobile, head-worn displays in cultural heritage: user requirements and a research agenda
Mann Maktivism: Authentic making for technology in the service of humanity
KR102423080B1 (ko) 메타버스 기반 3차원 전시체험 시스템
US10169713B2 (en) Real-time analysis of predictive audience feedback during content creation
Kunelius <? covid19?> On the Overlap of Systemic Events: Covid-19, Climate, and Journalism
Lund et al. Augmented reality for browsing physical collections in academic libraries
Stähli et al. Evaluation of pedestrian navigation in smart cities
Uma Latest research trends and challenges of computational intelligen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ugmented reality
Esposito User interface issues for virtual reality systems
Joseph et al. Analysis of EZproxy server logs to visualise research activity in Curtin’s online library
Liberman et al. Modelling cell surface dynamics and cell–cell interactions using Cell Studio: a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tool based on gaming technology
Dossis et al. Proposed open source framework for interactive IoT smart museums
Santos et al. Brazil and South Africa collaboration for public software: building the South Africa public software ecosystem
Costa et al. Connecting Feature Models and Ontologies in Software Product Lines.
Pajorova et al. Virtual reality pave the way for better understand untouchable research results
Manjunath et al. Augmented reality based tourism application
Viotto Superpositioning High Power Lasers for Mid-Air Image 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