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387B1 - Hygienic cup used of brushing teeth - Google Patents

Hygienic cup used of brushing tee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387B1
KR102433387B1 KR1020200168647A KR20200168647A KR102433387B1 KR 102433387 B1 KR102433387 B1 KR 102433387B1 KR 1020200168647 A KR1020200168647 A KR 1020200168647A KR 20200168647 A KR20200168647 A KR 20200168647A KR 102433387 B1 KR102433387 B1 KR 102433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cup
gargling cup
gargling
sani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6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79164A (en
Inventor
박근
하종욱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68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387B1/en
Publication of KR20220079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1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3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18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for both soap and toothpaste or the like; in combination with 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brushes, or the like ; Toothpaste dispensers; Dental care cen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배수가 가능한 위생 양치컵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생 양치컵은, 바닥면에 배수홀과 삽입홀이 마련되는 양치컵 및 헤드부와, 헤드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삽입홀을 관통하여 양치컵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양치컵 바닥면에 장착되는 유동식 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식 마개는, 상기 돌출부와 헤드부로의 가압 작용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되며 상기 배수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nitary gargling cup capable of automatic drainage, wherein the sanitary gargling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argling cup having a drain hole and an insertion hol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and a head portion,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ead portion and a movable stopper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thwash cup, including a protrusion formed to penetrate the insertion hole and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mouthwash cup, wherein the movable stopper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pressing action of the protrusion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Or it may be lowered and formed to open or close the drain hole.

Description

위생 양치컵{Hygienic cup used of brushing teeth}Hygienic cup used of brushing teeth

본 발명은 위생 양치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 배수가 가능한 위생 양치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nitary mouth cup,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nitary mouth cup capable of automatic drainage.

일반적으로, 양치에 사용하는 양치컵은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컵 내부 바닥에 물때가 끼어 곰팡이가 발생하고 세균이 번식하는 등 위생상으로 문제가 있다.In general, gargling cups used for brushing teeth have sanitary problems such as mold and bacteria propagation due to scale on the inner bottom of the cup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이 때문에, 종래에는 양치컵을 거꾸로 놓아 물기를 말리거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3656호 '항균 및 살균기능을 갖는 양치컵'과 같이 살균 도구를 마련하여 물때가 끼지 않도록 하였다.For this reason, conventionally, a gargling cup is placed upside down to dry it or a sterilization tool is provided such as Korean Utility Model No. 20-0473656 'Antibacterial and sterilizing cup having antibacterial and sterilizing function to prevent scale.

그러나, 전자의 경우 입이 닿는 부분이 거치면에 놓이는 형태이기 때문에 또 다른 위생상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벽걸이형 거치대 등을 마련하였지만 이는, 별도의 기구물을 필요로 하는 형태로서 공간이나 비용의 문제가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former case, another sanitary problem occurs because the part where the mouth touches is placed on the surface, and a separate wall-mounted cradle is provided to solve this problem, but this is a form that requires a separate appliance and space However, there was a problem accompanying the problem of cost.

또한, 후자의 경우 역시 특별한 살균 도구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그 공간과 비용이 필요하며, 살균 도구의 구성이 복잡하여 관리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latter case, space and cost are required to provide a special sterilization tool,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terilization tool is complicate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anag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거치대나 살균 도구 등의 특별한 보조기구 없이, 구조적으로 단순하면서도 통상적인 양치 동작만으로도 자동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위생 양치컵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nitary gargling cup that is structurally simple and configured to automatically drain the water only with a normal brushing operation without special auxiliary devices such as a cradle or a sterilization tool. hav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생 양치컵은, 바닥면에 배수홀과 삽입홀이 마련되는 양치컵 및 헤드부와, 헤드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삽입홀을 관통하여 양치컵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양치컵 바닥면에 장착되는 유동식 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식 마개는, 상기 돌출부와 헤드부로의 가압 작용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되며 상기 배수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 sanitary gargling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gargling cup and a head part having a drain hole and an insertion hole on the bottom surface,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ead part and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hole to brush teeth A movable stopper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argling cup including a protrusion formed to be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cup, wherein the movable stopper is raised or lowered by a pressing action of the protrusion and the head portion and opens the drain hole Or it may be formed to close.

여기서, 상기 헤드부는, 상부면이 아치형 곡면을 형성하고, 하부면은 상기 돌출부 방향으로 상향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은 곡선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Here, the head portion may have an upper surface that forms an arcuate curved surface, a lower surface that forms an inclined surface upward in the direction of the protrusion, and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re connected by a curved portion.

또한, 상기 양치컵은, 상기 배수홀이 하방으로 함몰되고, 상기 삽입홀이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argling cup may form a bottom surface in which the drain hole is depressed downward and the insertion hole protrudes upward.

또한, 상기 유동식 마개는, 상기 양치컵의 하측으로 노출된 돌출부의 소정의 높이에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able stopper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laterally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protrusion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gargling cup.

또한, 상기 유동식 마개는, 상기 양치컵의 하측으로 노출된 돌출부의 소정의 높이에 형성되어 너트가 체결되는 나사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able stopper may further include a screw thread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protrusion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gargling cup and to which the nut is fastened.

또한, 상기 양치컵은 하단에 받침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의 길이는 받침부 보다 더 긴 길이를 형성하여 받침부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직경은 삽입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rgling cup forms a support part at the bottom,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art by forming a longer length than the support part, and the diameter of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부 돌출부와 하부 돌출부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하부 돌출부는 상부 돌출부의 높이를 따라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위치 가변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to be separated into an upper protrusion and a lower protrusion, and the lower protrusion may be provided in a position-variable manner in which the lower protrusion is formed to be movable along the height of the upper protrus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생 양치컵은, 거치대나 살균 도구 등의 특별한 보조기구 없이 구조적으로 단순하면서도 통상적인 양치 동작만으로도 자동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위생적으로 뛰어나고 유지 관리가 쉬우며 비용이 많이 수반되지 않고 공간 활용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The sanitary gargling cu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ally simple without special auxiliary devices such as a cradle or a sterilization tool, and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drain only with a normal brushing operation, so it is hygienically excellent, easy to maintain, and expensive It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space utilization without being involved.

또한,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모든 효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eff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content, and may further include all effects predictable from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생 양치컵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생 양치컵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생 양치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생 양치컵의 단면을 통해 바라본 작동 예시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도 4의 작동 과정에서 물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길이 가변형 돌출부가 마련된 위생 양치컵의 돌출부 길이 가변 작동 예시도이다.
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sanitary gargling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view of a sanitary gargling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anitary gargling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 and (b) is an exemplary operation view viewed through the cross-section of the sanitary gargling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 and (b) are views showing the flow of water during the operation of FIG.
6 (a) and (b) are exemplary views of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length of the protrusion of the sanitary gargling cup provided with the variable length protru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ntent described below includes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such as 1st, 2nd, etc. are terms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re not limited in meaning to themselves, a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Like reference numbers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refer to like elemen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comprises" or "have" described below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It should be construed as not precluding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ist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생 양치컵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anitary gargling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생 양치컵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생 양치컵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생 양치컵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sanitary gargling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view of a sanitary gargling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anitary gargling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생 양치컵의 단면을 통해 바라본 작동 예시도이며, 도 5의 (a) 및 (b)는 도 4의 작동 과정에서 물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In addition, (a) and (b) of Figure 4 is an exemplary operation view seen through the cross-section of the sanitary garg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 and (b) in the operation process of Figure 4 A diagram showing the flow of water.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생 양치컵은, 양치컵(10) 및 유동식 마개(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to 5 , the sanitary gargling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gargling cup 10 and a movable stopper 20 .

구체적으로, 양치컵(10)은 바닥면에 배수홀(11)과 삽입홀(12)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배수홀(11)은 양치컵(10) 내에 담기는 물이 배출될 공간이며 삽입홀(12)은 유동식 마개(20)를 양치컵(10)에 장착시키며 유동식 마개(20)의 승/하강 작용을 가이드할 공간으로서, 삽입홀(12)은 양치컵(10) 바닥면 중심에 하나가 마련될 수 있고, 배수홀(11)은 삽입홀(12) 주위를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gargling cup 10 may be provided with a drain hole 11 and an insertion hole 12 on the bottom surface. Here, the drain hole 11 is a space for the water contained in the gargling cup 10 to be discharged, and the insertion hole 12 mounts the liquid stopper 20 to the mouthwash cup 10, As a space to guide the lowering action, one insertion hole 12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argling cup 10 , and a plurality of drain holes 11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hole 12 . .

그러나, 이러한 형태는 일례에 불과한 것으로, 삽입홀(12)은 복수로도 마련될 수 있고, 배수홀(11)은 하나로 연결된 형태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However, this form is only an example, and the insertion hole 12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the drain hole 11 may be formed in a form connected to one.

또한, 도면에는 양치컵(10)이 원추형으로 마련되고, 삽입홀(12)은 원형, 배수홀(11)은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들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기능이 변형되지 않는 조건 하에서 형태는 달리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gargling cup 10 is provided in a conical shape, the insertion hole 12 is circular, and the drain hole 11 is formed in an arc shape, but it is not limited to these shapes and the function is not deformed. Under the morphology can be formed differently.

즉, 양치컵(10)과 삽입홀(12), 배수홀(11)은 상기와 같은 형태 외에도 다각 구조 등의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at is, the gargling cup 10, the insertion hole 12, and the drain hole 11 may be formed in other shapes, such as a polygonal structur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shapes.

유동식 마개(20)는 양치컵(10) 바닥면에 장착되어 배수홀(11)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작용되는 마개로서, 헤드부(21)와 돌출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ovable stopper 20 is a stopper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argling cup 10 to open or close the drain hole 11 , and may include a head portion 21 and a protrusion portion 22 .

여기서, 헤드부(21)는 양치컵(10) 바닥면의 면적 보다는 작되, 양치컵(10)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홀(11)을 다 덮을 수 있는 면적을 형성하여 바닥면에 안착 시 배수홀(11)을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head part 21 is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argling cup 10, and forms an area that can cover the drain hole 11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gargling cup 10, so that the drain hole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11) may be configured to close.

또한, 돌출부(22)는 헤드부(2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양치컵(10)에 마련된 삽입홀(12)에 상응하는 형태와 개수로 마련되어 삽입홀(12)에 삽입됨으로써 유동식 마개(20)를 양치컵(10) 바닥면에 장착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rusion 22 extends downward from the head 21 , and is provided in a shape and number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12 provided in the gargling cup 10 ,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2 , so that the movable stopper 20 ) can be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argling cup (10).

이때, 삽입홀(12)로 삽입되는 돌출부(22)는 삽입홀(12)을 관통하여 양치컵(1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trusion 22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2 may have a length such that it penetrates the insertion hole 12 and is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gargling cup 10 .

이로 인해, 양치컵(10)의 사용 시에 양치컵(10)을 들어 내부로 물을 담을 시에는, 도 3의 (a) 및 도 4의 (a)와 같이 담기는 물의 압력이 헤드부(21)를 가압하여 헤드부(21)가 양치컵(10)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배수홀(11)을 폐쇄하고, 양치컵(10)의 사용 후에 양치컵(10)을 고정된 선반이나 세면대 등의 일면(F)에 안착시키면 도 3의 (b) 및 도 4의 (b)와 같이 양치컵(10)의 하측으로 노출된 돌출부(22)가 가압되어 배수홀(11)을 폐쇄하던 헤드부(21)가 상승하여 배수홀(11)로 물이 자동으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For this reason, when the gargling cup 10 is lifted and filled with water when using the gargling cup 10, the pressure of the water to be contained as shown in FIGS. 3 (a) and 4 (a) is applied to the head ( 21), the head 2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gargling cup 10 to close the drain hole 11, and after use of the gargling cup 10, the gargling cup 10 is placed on a fixed shelf or washbasin. When seated on one surface (F) of the back, the protrusion 22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gargling cup 10 is pressed as shown in FIGS. 3 (b) and 4 (b) to close the drain hole 11. The part 21 may rise so that water is automatically drained into the drain hole 11 .

한편, 양치컵(10)은 바닥면이 최하단부로 형성되어 선반이나 세면대 등에 직접 안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면과 같이 받침부(13)를 형성하여 안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돌출부(22)는 받침부(13) 보다 더 긴 길이를 형성하여 받침부(13)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gargling cup 10 may be formed so as to be seated directly on a shelf or a washbasin with a bottom surface formed at the lowermost end, but preferably may be formed to be seated by forming a support portion 13 as shown in the drawing. At this time, the protrusion 22 is It is preferable to form a longer length than the support part 13 to be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art 13 .

즉, 유동식 마개(20)가 배수홀(11)을 폐쇄하였을 때, 노출된 돌출부(22)의 길이(h*)는 받침부(13)의 길이(△h)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돌출부(22)는 상/하로 이동되기 위해 돌출부(22)의 직경(dp)은 삽입홀(dh)의 직경보다 조금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That is, when the movable stopper 20 closes the drain hole 11 , the length (h*) of the exposed protrusion part 22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Δh) of the support part 13 . In addition, in order to move the protrusion 22 up/down, the diameter d p of the protrusion 22 may be formed to be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d h .

이하, 상기와 같이 작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생 양치컵(10)의 구조를 더욱 구체화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sanitary gargling cup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operates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유동식 마개(20)의 헤드부(21)는 상부면(21a)이 아치형 곡면을 형성하고, 하부면(21b)은 돌출부(22) 방향으로 상향되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부면(21a)과 하부면(21b)은 곡선부(21c)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First, the head portion 21 of the movable stopper 20 has an upper surface 21a that forms an arcuate curved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21b forms an inclined surface upward in the direction of the protrusion 22, and the upper surface 21a) and the lower surface 21b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urved portion 21c.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유동식 마개(20)의 헤드부(21)는 버섯 머리와 같은 형태로서, 상부면(21a)이 상방으로 볼록하여 물이 중앙에서 가장자리 쪽으로 흐르도록 형성되며, 곡선부(21c)가 양치컵(10)의 바닥면에 점 접촉되어 안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head portion 21 of the movable stopper 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shaped like a mushroom head, and the upper surface 21a is convex upwards so that water flows from the center to the edge, and the curved portion ( 21c) may be formed to be seated in point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gargling cup 10 .

양치컵(10)의 바닥면은 평평(Flat)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배수홀(11)이 하방으로 함몰되고, 삽입홀(12)이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가 있다. 또한, 양치컵(10)의 내부 측면 및 배수홀(11) 사이의 연결면과, 배수홀(11) 및 삽입홀(12) 사이의 연결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gargling cup 10 may be formed in a flat shape, but preferably, the drain hole 11 is depressed downward and the insertion hole 12 protrudes upward. have. In addition, the connection surface betwee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gargling cup 10 and the drain hole 11 and the connection surface between the drain hole 11 and the insertion hole 1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즉, 배수홀(11)의 단면은 역사다리꼴로 형성되고 삽입홀(12)은 단면은 정사다리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양치컵(10)의 바닥면은 헤드부(21)와 밀착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헤드부(21)의 상승 시 양치컵(10) 내부에 담긴 물은 하향성을 가지며 배수홀(11)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가 있다.That is, the cross-section of the drain hole 11 may be formed in an inverted trapezoid and the insertion hole 12 may be formed in a regular trapezoidal cross-section. It can be improved, and when the head portion 21 is raised, the water contained in the gargling cup 10 has a downward property and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drain hole 11 .

또한, 유동식 마개(20)는 돌출부(22)의 양치컵(10)의 하측으로 노출된 소정의 높이에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기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돌기부(30)는 삽입홀(12)과 동일한 직경을 형성하거나 삽입홀(12) 보다 큰 직경을 형성하되 탄성 변형되도록 마련되어 적정 힘을 가할 시에만 삽입홀(12)을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able stopper 20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30 formed to protrude laterally to a predetermined height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mouthwash 10 of the protrusion 22 . Here, the protrusion 30 has the same diameter as the insertion hole 12 or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insertion hole 12, but is provided to be elastically deformed and can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insertion hole 12 only when an appropriate force is applied. have.

이를 통해, 유동식 마개(20)를 양치컵(10) 내부로 장착시에는 적정의 힘을 주면 삽입홀(12)을 통과하여 삽입홀(12) 하측으로 위치될 수 있으나, 사용 시에는 강제로 힘을 주어 잡아 당기지 않는 한 삽입홀(12)에 걸리어 유동식 마개(20)가 양치컵(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movable stopper 20 is installed inside the gargling cup 10, an appropriate force is applied to the main surface through the insertion hole 12 to be positioned below the insertion hole 12, but when used, for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vable stopper 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gargling cup 10 by being caught in the insertion hole 12 unless it is pulled by giving it.

또한, 유동식 마개(20)는 돌출부(22)의 양치컵(10)의 하측으로 노출된 소정의 높이에 형성되는 나사산(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나사산(40)에는 너트(45)가 체결될 수 있는데, 너트(45)는 유동식 마개(20)의 무게를 증가시켜 양치컵(10) 바닥면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상술한 돌기부(30)와 같은 유동식 마개(20)의 이탈 방지 기능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able stopper 20 may further include a screw thread 40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gargling cup 10 of the protrusion 22 . Here, a nut 45 may be fastened to the screw thread 40, and the nut 45 increases the weight of the movable stopper 20 to improve adhesion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gargling cup 10 while improving the above-described protrusion 30 ) It can also function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movable stopper 20, such as.

여기서, 상술한 돌기부(30)와 나사산(40)이 함께 마련될 경우에는 돌기부(30)가 나사산(40)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above-described protrusion 30 and the screw thread 40 are provided together, the protrusion 30 is preferably positioned above the screw thread 40 .

아울러, 유동식 마개(20)는 합성 고무, 엘라스토머(Elastomer) 등의 소재로 마련되어 방수성이 높고 양치컵(10)과의 밀착성이 높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luid stopper 2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synthetic rubber, elastomer, etc. to have high waterproofness and high adhesion with the gargling cup 10 .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생 양치컵(10)은, 길이 가변식의 돌출부(22)를 마련할 수도 있다. 이는, 도 6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anitary gargling cup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length-variable protrusion 22 .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길이 가변형 돌출부가 마련된 위생 양치컵의 돌출부 길이 가변 작동 예시도이다.6 (a) and (b) are exemplary views of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length of the protrusion of the sanitary gargling cup provided with the variable length protru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길이 가변식 돌출부(200)는 상부 돌출부(201)와 하부 돌출부(202)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돌출부(201)는 양치컵(10) 하단으로 노출될 만큼의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variable-length protrusion 200 may be separately formed into an upper protrusion 201 and a lower protrusion 202 . Here, the upper protrusion 201 may form a length sufficient to be exposed to the bottom of the gargling cup 10 .

또한, 하부 돌출부(202)는 상부 돌출부(20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하부 돌출부(202)는 상부 돌출부(201)의 높이를 따라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는데, 예컨대, 하부 돌출부(202)는 상부 돌출부(201) 보다 직경이 큰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돌출부(202)와 상부 돌출부(201) 간은 나사산(미도시)에 의해 결합되어 나사산을 따라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Also, the lower protrusion 202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rotrusion 201 . At this time, the lower protrusion 202 may be coupled in a form that is movable along the height of the upper protrusion 201 , for example, the lower protrusion 202 is formed in a shape larger in diameter than the upper protrusion 201 , Between the protrusion 202 and the upper protrusion 201 may be coupled by a screw thread (not shown) to move along the screw thread.

이때, 돌기부(30)는 도면에는 예시되었으나, 하부 돌출부(202)로 인해 양치컵(10)에서 분리될 수가 없으니 돌기부(30)는 없어도 무방하다.At this time, the protrusion 30 is illustrated in the drawing, but since it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gargling cup 10 due to the lower protrusion 202 , the protrusion 30 may not be present.

한편으론, 상부 돌출부(201)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홀(미도시)이 마련되고, 하부 돌출부(202)에는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핀(미도시)이 마련되어 높이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protrusion 201 is provided with a guide hole (not shown) along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lower protrusion 202 is provided with a guide pin (not shown) that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and can move along the guide hole. It may be formed to be movable along the

여기서, 상술한 유동식 마개(20)의 돌기부(30)나 너트(45) 체결 나사산(40)은 하부 돌출부(202)에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protrusion 30 or the nut 45 fastening thread 40 of the above-described movable stopper 2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protrusion 202 .

이와 같은 방식으로 마련되는 길이 가변식의 돌출부(22)는, 유동식 마개(20)의 조립 시 돌기부(30) 등이 삽입홀(12)에 걸리지 않도록 하부 돌출부(202)를 양치컵(10) 하부측에서 조립할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키며, 더욱이 돌출부의 길이 가변을 통해 헤드부(21)의 상승 폭을 조절할 수 있어, 배수홀(11)로의 배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The variable-length protrusion 22 provided in this way is the lower protrusion 202 so that the protrusion 30 does not get caught in the insertion hole 12 when the movable stopper 20 is assembled. It can be assembled from the side to improve assembling, and furthermore, the rise width of the head 21 can be adjusted by varying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so it has the advantage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drainage to the drain hole 11 .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생 양치컵은, 거치대나 특별한 살균 도구 등의 보조기구 없이도 통상적인 양치 동작만으로 자동 배수를 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뛰어나며 공간 활용성이 좋고, 구조적으로 단순함을 지녀 유지 관리가 쉽고 적은 비용으로도 효과를 낼 수 있다. The sanitary gargling cu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automatically drain the water only with a normal brushing operation without an auxiliary device such as a holder or special sterilization tool, so it is hygienic, has good space utilization, and has structural simplicity. It is easy to maintain and can be effective at low cost.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 양치컵
11 : 배수홀
12 : 삽입홀
13 : 받침부
20 : 유동식 마개
21 : 헤드부
21a : 상부면
21b : 하부면
21c : 곡선부
22 : 돌출부
30 : 돌기부
40 : 나사산
45 : 너트
200 : 길이 가변식 돌출부
201 : 상부 돌출부
202 : 하부 돌출부
F : 일면
10: gargling cup
11: drain hole
12: insertion hole
13: support
20: liquid stopper
21: head
21a: upper surface
21b: lower surface
21c: curved part
22: protrusion
30: protrusion
40: thread
45: nut
200: variable length protrusion
201: upper protrusion
202: lower protrusion
F: one side

Claims (5)

바닥면에 배수홀과 삽입홀이 마련되는 양치컵 및
헤드부와, 헤드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삽입홀을 관통하여 양치컵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양치컵 바닥면에 장착되는 유동식 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식 마개는,
상기 돌출부와 헤드부로의 가압 작용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되며 상기 배수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양치컵은 하단에 받침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의 길이는 받침부 보다 더 긴 길이를 형성하여 받침부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직경은 삽입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길이 가변식 돌출부로서, 상부 돌출부와 하부 돌출부로 분리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돌출부는 양치컵 하단으로 노출될 만큼의 길이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돌출부는 상기 상부 돌출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부 돌출부의 높이를 따라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양치컵.
A gargling cup having a drain hole and an insertion hole on the bottom, and
It includes a head portion and a movable stopp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ead portion and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argling cup, including a protrusion formed to penetrate the insertion hole and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gargling cup,
The movable stopper,
It is raised or lowered by the pressing action of the protrusion and the head and is formed to open or close the drain hole,
The gargling cup forms a support at the bottom,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art by forming a longer length than the support part,
The diameter of the protrusion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The protrusion is
As a variable-length protrusion, it may be formed separately into an upper protrusion and a lower protrusion, and the upper protrusion forms a length sufficient to be exposed to the bottom of the gargle, and the lower protrusion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rotrusion, and the upper protrusion of the upper protrusion Sanitary gargling cup,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combined in a movable form along the heigh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부면이 아치형 곡면을 형성하고, 하부면은 상기 돌출부 방향으로 상향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은 곡선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양치컵.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d part,
A sanitary gargling cup,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forms an arcuate curved surface, the lower surface forms an inclined surface upward in the direction of the protrusion, and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re connected by a curved par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치컵은,
상기 배수홀이 하방으로 함몰되고, 상기 삽입홀이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양치컵.
3. The method of claim 2,
The gargling cup is
The sanitary gargling cup,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 hole is depressed downward, and the insertion hole forms a bottom surface in the form of protruding upw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식 마개는,
상기 양치컵의 하측으로 노출된 돌출부의 소정의 높이에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위생 양치컵.
The method of claim 1,
The movable stopper,
Sanitary gargling cup further comprising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laterally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protrusion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gargling cup.
삭제delete
KR1020200168647A 2020-12-04 2020-12-04 Hygienic cup used of brushing teeth KR1024333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647A KR102433387B1 (en) 2020-12-04 2020-12-04 Hygienic cup used of brushing tee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647A KR102433387B1 (en) 2020-12-04 2020-12-04 Hygienic cup used of brushing tee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164A KR20220079164A (en) 2022-06-13
KR102433387B1 true KR102433387B1 (en) 2022-08-18

Family

ID=81983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647A KR102433387B1 (en) 2020-12-04 2020-12-04 Hygienic cup used of brushing tee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38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6745A1 (en) * 2003-04-17 2004-10-21 Eberhard Timm Appliance for the preparation of hot drinks
JP2011152921A (en) * 2010-01-26 2011-08-11 Ming-Tong Liu Traction valve element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6745A1 (en) * 2003-04-17 2004-10-21 Eberhard Timm Appliance for the preparation of hot drinks
JP2011152921A (en) * 2010-01-26 2011-08-11 Ming-Tong Liu Traction valve element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164A (en)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23305A (en) Device to remove excess water from plant containers
US4831669A (en) Plunger splash guard for a toilet bowl
TWM480981U (en) Soap container
KR102433387B1 (en) Hygienic cup used of brushing teeth
US3081912A (en) Combination pouring spout and strainer
CA1194308A (en) Unitary flower pot
JP3044352U (en) Hydroponics
US20130043360A1 (en) Bar soap holder having self-cleaning characteristics
CN207469414U (en) A kind of floor drain of easy hygienic cleaning hair
US2107126A (en) Convertible sink strainer
CN206873572U (en) A kind of screen pack for kitchen basin
KR101763405B1 (en) Liquid pumping-dispenser of liquid receptacle
CN209669995U (en) Elastic press type kitchen basin drainage switch
CN212089213U (en) Self-pressure-discharging pot cover and micro-pressure pot
US2079038A (en) Detachable sediment trap for sinks, etc.
JP7353961B2 (en) faucet cover
JP3179850U (en) Garbage container
KR101273259B1 (en) Device for removing the coats of garlic
CN211212508U (en) Anti-skid bathroom mat
US1578466A (en) Strainer for pot covers
CN210842550U (en) Chopstick box
KR200481744Y1 (en) A flowerpot
CN211269803U (en) More sanitary floating tea making device
JPS5856604Y2 (en) Hot plate with water pourer
CN218899362U (en) Mop cleaning barr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