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377B1 - IoT based space sterilizing system - Google Patents

IoT based space steriliz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377B1
KR102433377B1 KR1020220051525A KR20220051525A KR102433377B1 KR 102433377 B1 KR102433377 B1 KR 102433377B1 KR 1020220051525 A KR1020220051525 A KR 1020220051525A KR 20220051525 A KR20220051525 A KR 20220051525A KR 102433377 B1 KR102433377 B1 KR 102433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olution
space
upper side
solu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5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민성
Original Assignee
김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성 filed Critical 김민성
Priority to KR1020220051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37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3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5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doris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80Homes; Building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1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environment, e.g. temperature; relating to lo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ba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implemented to automatically operate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air quality or to be remotely operated by a user terminal. The system includes a space sterilizer and a user terminal. The space sterilizer includes: a lower body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and formed along the lower portion with at least one air intake unit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interior space; a solution tank holding a sterilizing solution for sterilizing the space while being emitted into the air, and seated inside the lower body; an upper body installed to cover the upper opening of the lower body and discharging vapor of the sterilizing solution diffused from the solution tank upward; a sterilization unit installed on a part of the upper body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toward the inside of the solution tank; a sensor installed on a part of the upper body to measure air quality; and a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ting the air quality data acquired by the senso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user terminal can receive and display the air quality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remote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pace sterilizer.

Description

IoT 기반의 공간 살균 시스템{IoT based space sterilizing system}IoT based space sterilizing system

본 발명은 IoT 기반의 공간 살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변 공기질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하거나 스마트폰으로 원격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IoT 기반의 공간 살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ba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oT-ba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implemented to automatically operate according to ambient air quality or to be remotely operated with a smartphone.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 탈취, 악취제거, 디퓨져, 미세먼지 감소, 부유 곰팡이 제거 등의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IoT 기반의 공간 살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ba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implemented to simultaneously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air purifier, deodorization, odor removal, diffuser, fine dust reduction, and airborne mold removal.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공기는 건축자재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 실내의 공기에 함유된 먼지 등의 이물질과 사람의 호흡으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및 수분에 의하여 오염되기 때문에, 실내공기는 주기적인 환기를 요하게 된다.In general, the indoor air of a building is polluted by harmful substances such as dust contained in the indoor air and carbon dioxide and moisture generated by human respiration, which requires periodic ventilation.

즉, 환기는 생활공간의 공기 환경을 조정하기 위해 실외공기 또는 조정된 공기와 실내공기를 교환하는 것을 말하는데, 환기의 방법으로는 실내 외의 온도차나 외부의 풍력에 의한 자연환기와 동력을 사용해서 강제적으로 행하는 강제환기가 있다.In other words, ventilation refers to exchanging outdoor air or conditioned air with indoor air to adjust the air environment of the living space. There is forced ventilation.

하지만, 상기와 같은 자연환기 방법은 거주자가 창문을 여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특히 대기에 미세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이 다량 포함된 경우에는 자연환기를 꺼려하는 실정이다.However, the natural ventila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is inconvenient for residents to open and close the window, especially when the air contains a large amount of pollutants such as fine dust, the situation is that natural ventilation is reluctant.

따라서, 강제환기를 위해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공기에 함유된 이물질, 세균, 바이러스 등을 제거하는 살균 장치의 사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Therefore, for forced ventilation, the use of a sterilizing devic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bacteria, viruses, etc. contained in the indoor air by sucking the indoor air is continuously increasing.

또한, 최근 COVID19 바이러스가 범세계적으로 유행하여, 많은 인명이 죽고 산업과 경제활동이 위축되며, 국가적 재정손실이 막대하고 사회적 질서와 행복한 삶을 잃게 되는 등 심각한 국제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으며, 코로나19 바이러스 전염병으로 인하여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된 바이러스의 살균 필요성이 증가되면서 미세입자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살균할 수 있는 실내용 살균 장치에 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In addition, the recent COVID-19 virus has spread worldwide, killing many people, shrinking industry and economic activity, and is emerging as a serious international problem, such as a huge national financial loss and loss of social order and happy life. Accordingly, as the need for sterilization of viruses contained in indoor air increases, the need for an indoor sterilization device capable of sterilizing bacteria or viruses as well as removing fine particles is increasing.

또한, 일반적으로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보다 쾌적하고 안락한 주거환경을 이루고자 많은 시간과 비용이 투자되고 있고, 특히 악취발생을 방지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방향(芳香)목적의 사용 및 개인적인 취향에 맞추어서 향(또는 방향제)을 사용하는 경우가 급증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코로 흡입되는 향기로 신경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여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는 한편 불안증, 불면증,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도록 하는 향기요법이 이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향기 분사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in general, a lot of time and money are invested to achieve a more pleasant and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due to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and in particular, the use of fragrances ( or air freshener) is rapidly increasing, and recently, fragrance therapy is being used to promote the secretion of neurohormones with the scent inhaled through the nose to give psychological stability while preventing anxiety, insomnia, and respiratory diseases. Various types of fragrance spraying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이러한, 향기 분사장치로는 용기에 담긴 향기를 설정된 주기마다 한 번씩 분사시켜 실내에 원하는 향기가 채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며, 모두 향기가 담긴 용기의 노즐을 눌러주거나 솔레노이드 밸브로 노즐 입구를 막아 줌에 따라 향기를 분사시키도록 되어 있고, 용기가 향기 분사장치의 본체 내부에 끼워져 장착되어 있으며, 향기 분사장치의 외관상 용기가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With such a fragrance spraying device, the fragrance contained in the container is sprayed once every set cycle so that the desired fragrance can be filled in the room. It is designed to spray the fragrance, the container is fitted inside the body of the fragrance injection device, and is configured so that the container is not exposed on the exterior of the perfume injection device.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not be said that it is necessarily a known technique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한국등록특허 제10-1237458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37458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12695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126958

본 발명의 일측면은 주변 공기질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하거나 스마트폰으로 공간 살균기가 배치된 실내의 공기질 상태를 확인하여 원격으로 공기질을 관리할 수 있도록 구현한 IoT 기반의 공간 살균 시스템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oT-ba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that operates automatically according to ambient air quality or can remotely manage air quality by checking the indoor air quality in which the space sterilizer is placed with a smartphone.

또한, 본 발멸의 다른 일측면은 실내 공기 중에 존재하는 바이러스, 곰팡이, 유해 세균 등을 제거함으로써 실내 공간을 살균할 수 있도록 구현한 IoT 기반의 공간 살균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oT-ba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implemented to sterilize an indoor space by removing viruses, mold, harmful bacteria, etc. existing in the indoor air.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공간 살균 시스템은, 바닥면에 안착되며,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흡입부가 하부를 따라 형성하는 하부 바디, 공기 중으로 발산되면서 공간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 용액을 담아 두며, 상기 하부 바디의 내측에 안착되는 용액 수조, 상기 하부 바디의 상측 개구부를 덮고 설치되며, 상기 용액 수조로부터 확산되는 상기 살균 용액의 증기를 상측으로 배출시켜 주는 상부 바디, 상기 상부 바디의 일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액 수조 내측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부, 상기 상부 바디의 일부에 설치되어 공기질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 획득한 공기질 데이터를 무선통신을 통해 전달하는 통신모듈로 구성된 공간 살균기; 및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공기질 데이터를 수신받아 표시 가능하고, 상기 공간 살균기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The IoT-ba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on a floor, and at least one air intake unit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internal space is formed along the lower body, and the space is vented into the air. An upper body that holds a sterilizing solution for sterilization, a solution tank seated inside the lower body, is installed to cover the upper opening of the lower body, and discharges the vapor of the sterilizing solution diffused from the solution tank to the upper side , a sterilization unit installed in a part of the upper body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toward the inside of the solution tank, a sensor installed in a part of the upper body to measure air quality, and air quality data acquired by the senso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 space sterilizer composed of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user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air quality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remot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pace steriliz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바디는, 상기 하부 바디의 상측 개구부를 덮고 설치되는 바디 본체; 상기 바디 본체와 상기 하부 바디 사이에 설치되며, 상측으로 둥근 반구 형태로 형성되되 상측 중심에 공기가 상측으로 배출되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용액 수조로부터 확산되는 상기 살균 용액의 증기가 하측 내측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와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측 내측면을 따라 나선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기어산 형상의 와류 유도부를 형성하는 와류 생성 커버; 및 상기 와류 생성 커버의 상방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 요청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상승기류를 형성시켜 주는 배출팬;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pper body, the body body is installed covering the upper opening of the lower body; It is installed between the body body and the lower body, is formed in a round hemisphere shape upward, and forms an opening for air to be discharged upwardly in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and the vapor of the sterilizing solution diffused from the solution tank is on the lower inner surface a vortex generating cover forming a vortex inducing part in the shape of a gear mountain extending in a spiral form along the lower inner surface to form a vortex while rising along the vortex; and an exhaust fan installed above the vortex generating cover and rotationally driven in response to a drive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manipulation unit to form an upward airflow.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공간 살균 시스템은, 상기 조작부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장치의 온/오프, 풍량 조절, 작동 타이머, 무드등, 공기질 상태확인 및 취침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IoT-ba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o turn on/off the device, control the air volume, an operation timer, mood lamp, check the air quality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user termi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function of the sleep func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용액 수조는, 살균 용액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 형성되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바디의 내측에 안착되되, 상단이 상기 하부 바디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지름이 커지는 나팔 형태로 형성되는 용액 탱크; 상기 용액 탱크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용액 탱크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통 형성되는 지지 기둥; 및 상기 공기 흡입부를 통해 상기 하부 바디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용액 탱크의 상측으로 이동할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용액 탱크의 상측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 개의 공기 이동홀;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olution tank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ntainer in which an upper side is opened to store a sterilizing solution and is seated inside the lower body, so that the upper end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body. The solution tank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rumpet gradually increasing in diameter; a support column exten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solution tank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inner side of the solution tank and communic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air movement holes formed along the upper side of the solution tank so that air flowing into the lower body through the air intake unit can move and pass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solution tank.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용액 수조는, 상기 용액 탱크로부터 상승 중인 상기 살균 용액의 증기가 확산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기둥의 외경보다 큰 지름의 하측으로 둥근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기둥의 상측에 설치되는 확산 유도 원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olution tank is formed in the form of a round disk downward with a diameter grea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column so that the vapor of the sterilizing solution rising from the solution tank can be diffus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column It may further include a diffusion-inducing disc.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용액 수조는, 상기 지지 기둥의 내측에 설치되어 향기를 확산시켜 주는 향기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olution tank,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support pillar to diffuse the fragrance;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part.

일 실시예에서, 상기 향기 보강부는, 상기 지지 기둥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되어 상기 지지 기둥의 내측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형성시키는 디퓨져용 팬; 상기 지지 기둥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형성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디퓨져용 팬의 상방에 설치되되, 상기 지지 기둥의 내주면과 자신의 외주면 사이에 디퓨져 용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단이 상기 지지 기둥의 내주면까지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용액 저장관; 상기 용액 저장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 기둥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형성하는 상측이 밀폐 형성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용액 저장관의 외측으로 덮고 안착되며, 상기 디퓨져용 팬이 회전 구동함에 따라 상기 용액 저장관의 내측을 따라 공기가 상승할 경우 상승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용액 저장관의 외측면과 자신의 내측면 사이의 이격 공간을 따라 공기가 하강한 뒤 저장되어 있는 상기 디퓨져 용액을 통하면서 상승되어 상기 디퓨져 용액의 확산을 유도하는 승강 배관; 상기 지지 기둥의 지름에 대응하는 지름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 배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 배관의 하강 시 상기 지지 기둥의 상측 개구부를 덮고 안착되어 상기 디퓨져 용액의 확산을 차단하고, 상기 승강 배관의 상승 시 상기 지지 기둥의 상측 개구부를 개방시켜 상기 디퓨져 용액의 확산을 유도하는 개폐 덮개; 및 고무 재질의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기둥의 상단을 따라 설치되는 밀폐 실링;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ragrance reinforcing unit, a fan for a diffuser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pillar, and rotationally driven to form a flow of air in the upper direction along the inside of the support pillar;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m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 column and installed above the fan for the diffuser. a solution storage tube bent outwardly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upper side form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olution storage tube and form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 column is formed in a sealed cylindrical shape and is seated on the outside of the solution storage tube, and the fan for the diffuser is rotationally driven As the air rises along the inner side of the solution storage tube, it is raised by the pressure of the rising air, and the air descends along the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olution storage tube and its inner surface and then is stored. a lifting pipe that rises while passing through the diffuser solution to induce diffusion of the diffuser solution;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disk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support pillar and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elevating pipe, and is seated to cover the upper opening of the supporting post when the elevating pipe is lowered to block the diffusion of the diffuser solution, and an opening/closing cover for inducing diffusion of the diffuser solution by opening an upper opening of the support column when the elevating pipe rises; and a sealing seal formed in the form of a circular ring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installed along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illa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용액 저장관의 외주면은, 하측으로부터 1) 상기 승강 배관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으로 형성되는 제1 외측면, 2) 상기 제1 외측면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이 줄어듦에 따라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외측면, 3) 상기 제2 외측면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승강 배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는 제3 외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olution storage pipe is, from the lower side, 1) a first outer surface formed with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elevating pipe, 2) the outer diameter gradually toward the upper side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outer surface As this decreases, it may be formed of a second outer surface forming an inclined surface, 3) a third outer surface formed from an upper side of the second outer surface to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elevating pip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용액 저장관은, 상기 승강 배관의 내주면으로부터 원형의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분리 방지턱이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분리 방지홈이 상기 제3 외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the solution storage pipe, a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vating pipe in a circular ring shape is seated and a separation preventing groove for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formed along the third outer surface. ha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 덮개는, 상기 승강 배관을 상승시키는 공기의 일부를 상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단으로부터 상기 승강 배관의 내부 공간까지 연통 형성되는 공기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opening/closing cover may have an air exhaust hole formed in communication from the upper end to the inner space of the lifting pipe to discharge a portion of the air that lifts the lifting pipe to the upper si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향기 보강부는, 연질의 박막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개폐 덮개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공기 배출홀의 상측을 덮고 설치되며, 상기 공기 배출홀을 통해 공기가 배출 시 상기 공기 배출홀을 개방시키고 공기가 배출되지 않을 시 상기 공기 배출홀을 덮어 상기 디퓨져 용액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박막형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ragrance reinforcing part is formed of a soft thin film, and one side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and is installed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air discharge hole, and when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the air It may further include; a thin film-type cover for preventing the diffusion of the diffuser solution by opening the discharge hole and covering the air discharge hole when the air is not discharged.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주변 공기질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하거나 스마트폰으로 공간 살균기가 배치된 실내의 공기질 상태를 확인하여 원격으로 공기질을 관리할 수 있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by automatically operating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air quality or by checking the air quality of the room in which the space sterilizer is disposed with a smartphone and remotely managing the air quality. It can provide an effect that makes it possible.

본 발명은 실내 공기 중에 존재하는 바이러스, 곰팡이, 유해 세균 등을 제거함으로써 실내 공간을 살균할 수 있음은 물론, 스마트폰 등과 연동되어 장치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살균 기능 외에도 디퓨져로서 기능하여 실내 환경을 보다 쾌적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sterilize the indoor space by removing viruses, mold, harmful bacteria, etc. present in the indoor air, as well as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device by interworking with a smartphone, etc., while functioning as a diffuser in addition to the sterilization function, It can provide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environment in a more comfortable stat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rang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공간 살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살균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용액 수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용액 수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향기 보강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oT-ba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pace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solution tank of FIG. 2 .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olution tank of FIG.
5 and 6 are views showing the fragrance reinforcement of FIG.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2]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4]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6]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 equivalents to those claimed.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공간 살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살균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oT-ba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pace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공간 살균 시스템운 공간 살균기(10) 및 사용자 단말기(6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n IoT-ba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ace sterilizer 10 and a user terminal 600 .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공간 살균 시스템의 공간 살균기(10)는, 하부 바디(100), 용액 수조(200), 상부 바디(300), 조명부(400), 센서(미도시) 및 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space sterilizer 10 of the IoT-ba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body 100 , a solution tank 200 , an upper body 300 , and a lighting unit 400 . , a sensor (not shown) and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하부 바디(100)는, 바닥면에 안착되며, 용액 수조(200)가 안착되는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흡입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하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측에 상부 바디(300)가 설치된다.The lower body 100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and at least one air intake unit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inner space in which the solution tank 200 is seated is formed along the lower portion. and the upper body 3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여기서, 공기 흡입부라 함은, 공기의 이동을 위해 다수 개의 타공들로 이루어진 구역을 지칭할 수 있다.Here, the air intake may refer to an area made up of a plurality of perforations for the movement of air.

일 실시예에서, 하부 바디(100)는, 내측에 안착되는 용액 수조(200)에 담겨 있는 살균 용액(S1)의 잔존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확인창(111)을 일측에 형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wer body 100 has a confirmation window 11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one side to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terilization solution S1 contained in the solution tank 200 seated inside. can be formed

일 실시예에서, 하부 바디(100)는,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흡입부의 내측면에 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등이 설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wer body 100, a filter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removing dust, etc.,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ir intake uni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용액 수조(200)는, 공기 중으로 발산되면서 공간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 용액(S1)을 담아 두며, 하부 바디(100)의 내측에 안착된다.The solution tank 200 holds the sterilization solution S1 for sterilizing the space while being emitted into the air, and is seated inside the lower body 100 .

여기서, 살균 용액(S1)은, 알콜, 화학물질 또는 차염소산수 등의 유해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천연 유래의 물질, 복합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sterilizing solution (S1) may be made of a substance derived from nature that does not contain harmful substances such as alcohol, chemical substances, or hypochlorous acid, and complex amino acids.

살균 용액(S1)의 주성분은, 모란뿌리 추출물,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 밀배아 추출물, 복합 아미노산, L-라이아신, L-시스틴, L-세린, 발린 등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NO 알콜, NO 차염소산수, NO 화학 성분으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천연유래성분인 복합아미노산 용액일 수 있다.The main component of the sterilization solution (S1) may consist of a mixture of peony root extract, oyster mushroom extract, wheat germ extract, complex amino acids, L-lyacin, L-cystine, L-serine, valine, etc., NO alcohol, It may be a complex amino acid solution, a naturally-derived component that can be safely used with NO hypochlorous acid water and NO chemical components.

이에 따라, 살균 용액(S1)은, 어르신, 아이, 가족 등 소중하신 분들 뿐 아니라 반려동물들까지도 안심하고 사용하실 수 있는 안전한 살균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terilization solution (S1) can provide a safe sterilization effect that can be used safely by not only important people such as the elderly, children, family members, but also companion animals.

상부 바디(300)는, 하부 바디(100)의 상측 개구부를 덮고 설치되며, 용액 수조(200)로부터 확산되는 살균 용액(S1)의 증기를 상측으로 배출시켜 준다.The upper body 300 is installed to cover the upper opening of the lower body 100 , and discharges the vapor of the sterilizing solution S1 diffused from the solution tank 200 upward.

일 실시예에서, 상부 바디(300)는, 바디 본체(310), 와류 생성 커버(320) 및 배출팬(330)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upper body 300 may include a body body 310 , a vortex generating cover 320 , and an exhaust fan 330 .

바디 본체(310)는, 하부 바디(100)의 상측 개구부를 덮고 설치되며, 상측에 조명부(400) 및 조작부(50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The body body 310 is installed to cover the upper opening of the lower body 100 , and components such as the lighting unit 400 and the manipulation unit 500 ar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와류 생성 커버(320)는, 바디 본체(310)와 하부 바디(100) 사이에 설치되며, 상측으로 둥근 반구 형태로 형성되되 상측 중심에 공기가 상측으로 배출되기 위한 개구부(321)를 형성하며, 용액 수조(200)로부터 확산되는 살균 용액(S1)의 증기가 하측 내측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와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측 내측면을 따라 나선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기어산 형상의 와류 유도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한다.The vortex generating cover 320 is installed between the body body 310 and the lower body 100, is formed in a round hemispherical shape upwards, and forms an opening 321 in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for air to be discharged upwardly, A vortex inducing part in the shape of a gear mountain extending in a spiral shape along the lower inner surface so that the vapor of the sterilizing solution S1 diffused from the solution tank 200 rises along the lower inner surface to form a vortex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not shown in the drawings).

배출팬(330)은, 와류 생성 커버(320)의 상방에 설치되어 조작부(50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 요청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상승기류를 형성시켜 준다.The exhaust fan 330 is installed above the vortex generating cover 320 and is rotated by a driving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unit 500 to form an upward airflow.

조명부(400)는, 상부 바디(300)에 설치되며, 조작부(50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 요청에 의해 발광하여 빛을 조사한다.The lighting unit 400 is installed on the upper body 300 , and emits light in response to a driving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manipulation unit 500 to irradiate light.

일 실시예에서, 조명부(400)는, LED 모듈 등과 같은 조명 장치로 이루어지며, 조작부(50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 요청에 의해 적어도 한 가지색 이상의 색깔로 발광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ghting unit 400 is made of a lighting device such as an LED module, and may emit light in at least one color or more according to a driving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unit 500 .

조명부(400)는 공간살균기(10) 주변에 은은한 빛을 발광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 입력에 따라 후술할 기능들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빛을 발광할 수 있다.The lighting unit 400 is for emitting a soft light around the space sterilizer 10 , and may emit light that can visually confirm functions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a control input.

조작부(500)는, 장치의 제어 입력을 위해 상부 바디(300)의 상측에 설치된다.The manipulation unit 5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body 300 for a control input of the device.

일 실시예에서, 조작부(500)는, 터치 입력 장치 등으로 이루어져, 사용자로부터 장치의 온/오프, 풍량 조절, 작동 타이머, 무드등, 공기질 상태확인 및 취침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입력받아 이에 대응하는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nipulation unit 500 is composed of a touch input device, etc., and receives from the user at least one or more functions of on/off, air volume control, operation timer, mood lamp, air quality check, and sleep function. The corresponding actuation can be controlled.

또한, 공간 살균기(10)는 주변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센서는 상부 바디(300)의 외면 일부에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ace sterilizer 10 includes a sensor (not shown) for measuring ambient air quality. The sensor may be configured on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body 300 .

센서는 공기 살균기(10)가 배치된 주변의 공기질 데이터를 수집하며, 공기질 데이터는 먼지농도, 먼지입자의 크기, CO2농도, 냄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터일 수 있다.The sensor collects air quality data around the air sterilizer 10, and the air quality data may be at least one of dust concentration, dust particle size, CO2 concentration, and odor.

센서로 획득된 공기질 데이터는 공간 살균기(10)에 구성된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 사용자단말에 전달될 수 있다.The air quality data acquired by the sensor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configured in the space sterilizer 10 .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망일 수 있으며, 또는 예를 들어,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이 가능한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WiFi direct, or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or long-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for example, a cellular network, the Internet, or a computer network (eg, LAN or WAN) is possible. It can be composed of modules.

또한, 통신모듈은 셀룰러 통신,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을 지원하는 모듈일 수 있으며, 셀룰러 통신은,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LiFi(light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 module supporting cellular communicatio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r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communication, and the cellular communication is, for example, Long-Term Evolution (LTE), LTE-A (LTE). Advanc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ideband CDMA (WCDM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Wireless Broadband (WiBro), or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WiFi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LiFi (light fidelity), Bluetooth, Bluetooth low energy (BLE), Zigbee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radio frequency (RF) or body area network (BAN). The GNSS may include, for exampl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lonass),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

본 발명의 공기 살균기(10)는 센서로 센서를 통해 획득한 공기질 데이터를 기초로 설정에 따라 자동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사용자 단말기(600)의 제어에 의에 원격 동작될 수 있다.The air steriliz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perate according to a setting based on air quality data obtained through a sensor as a sensor, and may be remotely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a user terminal 600 to be described later.

사용자 단말기(600)는, 조작부(500)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장치의 온/오프(610), 풍량 조절(620), 작동 타이머(620)(기 설정된 시간 동안만 구동 기능), 무드등(640)(예를 들어, 조명부(400)가 청색-황색-녹색-적색 등으로 변환하면서 발광, 또는 디밍 등), 취침 기능(650)(예를 들어, 풍량이 최소로 구동되고, 조명부(400)의 조명이 약해져 취침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구동 등) 및 공기질 상태확인(660)(예를 들어, 공기질 데이터를 표시하고, 자동동작 조건 입력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어한다.The user terminal 600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500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o turn on/off the device 610, air volume control 620, operation timer 620 (drive function only for a preset time), mood Light 640 (eg, light emitting or dimming while the lighting unit 400 converts blue-yellow-green-red, etc.), a sleep function 650 (eg, the air volume is driven to a minimum, and the lighting unit Controls at least one function of the light of the 400 , such as driving so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sleeping) and the air quality check 660 (eg, displaying air quality data, inputting automatic operation conditions, etc.).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600)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스크탑 컴퓨터(PC)는 물론, 노트북(Notebook),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과 같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이다.Here, the user terminal 600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and is widely used by the general public, such as a desktop computer (PC), as well as a notebook (Notebook), a smart phone (Smart Phone), a tablet computer (Tablet PC), etc. It is a broad concept mean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and multimedia devices supporting wired and wireless network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공간 살균 시스템의 공간 살균기(10)는, 공기 청정기, 탈취, 악취제거, 디퓨져, 미세먼지 감소, 부유 곰팡이 제거 등의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 실내 공기 중에 존재하는 바이러스, 곰팡이, 유해 세균 등을 제거함으로써 실내 공간을 살균할 수 있음은 물론, 스마트폰 등과 연동되어 장치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살균 기능 외에도 디퓨져로서 기능하여 실내 환경을 보다 쾌적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The space sterilizer 10 of the IoT-ba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has various functions such as air purifier, deodorization, odor removal, diffuser, fine dust reduction, floating mold removal, etc. As a device that can simultaneously perform In addition, it can function as a diffuser to keep the indoor environment in a more comfortable state.

도 3은 도 2의 용액 수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the solution tank of FIG. 2 .

도 3을 참조하면, 용액 수조(200)는, 용액 탱크(210), 지지 기둥(220) 및 다수 개의 공기 이동홀(2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solution tank 200 includes a solution tank 210 , a support column 220 , and a plurality of air movement holes 230 .

용액 탱크(210)는, 살균 용액(S1)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 형성되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바디(100)의 내측에 안착되되, 상단이 하부 바디(100)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지름이 커지는 나팔 형태로 형성되며, 지지 기둥(220) 및 다수 개의 공기 이동홀(23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The solution tank 2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ntainer with an open upper side to store the sterilizing solution S1 and is seated inside the lower body 100 , and the upper end i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00 .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trumpet that gradually increases in diameter toward the upper side so that the support pillar 220 and a plurality of air movement holes 230 are installed.

지지 기둥(220)은, 용액 탱크(210)의 하측으로부터 용액 탱크(210)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통 형성된다.The support pillar 22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lower side of the solution tank 210 along the inner side of the solution tank 2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formed to communic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공기 이동홀(230)은, 공기 흡입부(110)를 통해 하부 바디(10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용액 탱크(210)의 상측으로 이동할 통과할 수 있도록 용액 탱크(210)의 상측을 따라 형성된다.The air movement hole 230 is formed along the upper side of the solution tank 210 so that air flowing into the lower body 100 through the air intake unit 110 can move to the upper side of the solution tank 210 and pass therethrough. is forme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용액 수조(200)는, 확산 유도 원판(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olution tank 2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diffusion induction disk 240 .

확산 유도 원판(240)은, 용액 탱크(210)로부터 상승 중인 살균 용액(S1)의 증기가 확산될 수 있도록 지지 기둥(220)의 외경보다 큰 지름의 하측으로 둥근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기둥(220)의 상측에 설치된다.The diffusion induction disk 240 is formed in the form of a circular disk downward with a diameter grea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column 220 so that the vapor of the sterilizing solution S1 rising from the solution tank 210 can be diffused. 22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살균기(10)는 성부 바디(300)의 일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액 탱크(210) 내측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steriliz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erilization unit 800 installed on a part of the voice part body 300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toward the inside of the solution tank 210 .

살균부(800)는 UV 램프로 구성될 수 있고, 와류 생성 커버(320)의 일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살균부(800)의 동작은 조작부(500) 및 사용자 단말기(600)에서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sterilization unit 800 may be composed of a UV lamp,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 part of the vortex generating cover 320 , and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ation unit 800 may be performed in the operation unit 500 and the user terminal 600 . configured to be controllable.

도 4는 도 2의 용액 수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olution tank of FIG. 2 .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액 수조(200a)는, 용액 탱크(210), 지지 기둥(220), 다수 개의 공기 이동홀(230) 및 향기 보강부(7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 the solution tank 2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solution tank 210 , a support pillar 220 , a plurality of air movement holes 230 and a fragrance reinforcement unit 700 .

여기서, 용액 탱크(210), 지지 기둥(220) 및 다수 개의 공기 이동홀(230)은, 도 3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solution tank 210 , the support column 220 , and the plurality of air movement holes 230 are the same as the components of FIG. 3 , and thus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향기 보강부(700)는, 지지 기둥(220)의 내측에 설치되어 향기를 확산시켜 준다.The fragrance reinforcement part 700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support pillar 220 to diffuse the fragrance.

일 실시예에서, 향기 보강부(700)는, 디퓨져용 팬(710), 용액 저장관(720), 승강 배관(730), 개폐 덮개(740) 및 밀폐 실링(750)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ragrance reinforcing unit 700 may include a fan 710 for a diffuser, a solution storage pipe 720 , a lifting pipe 730 , an opening/closing cover 740 , and an airtight seal 750 .

디퓨져용 팬(710)은, 지지 기둥(220)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며, 조작부(50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 요청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지지 기둥(220)의 내측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형성시킨다.The fan 710 for the diffuser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column 220 , and is rotationally driven by a drive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manipulation unit 500 to move the air in the upward direction along the inside of the support column 220 . form the flow of

용액 저장관(720)은, 지지 기둥(22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형성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디퓨져용 팬(710)의 상방에 설치되되, 지지 기둥(220)의 내주면과 자신의 외주면 사이에 디퓨져 용액(S2)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단(721)이 지지 기둥(220)의 내주면까지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The solution storage tube 7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m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 column 220 and is installed above the fan 710 for the diffuser,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column 220 and its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lower end 721 is bent outwardly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column 220 to accommodate the diffuser solution (S2).

일 실시예에서, 용액 저장관(720)의 외주면은, 하측으로부터 1) 승강 배관(730)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으로 형성되는 제1 외측면(B1), 2) 제1 외측면(B1)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이 줄어듦에 따라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외측면(B2), 3) 제2 외측면(B2)의 상측으로부터 승강 배관(73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는 제3 외측면(B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olution storage pipe 720 is, from the lower side, 1) a first outer surface (B1) formed with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elevating pipe 730, 2) a first outer surface (B1) The second outer surface (B2), which forms an inclined surface as the out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upper end of the The third outer surface B3 may be formed.

즉, 승강 배관(730)이 제1 외측면(B1)에 안착되면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고, 승강 배관(730)이 제3 외측면(B3)까지 상승되면 공기가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승강 배관(730)이 하강함에 따라 제2 외측면(B2)의 경사면을 따라 제1 외측면(B1)에 안착에 정확하게 안착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elevating pipe 730 is seated on the first outer surface B1, the flow of air is blocked, and when the elevating pipe 730 rises to the third outer surface B3, the air can move, and elevating and lowering. As the pipe 730 descends, it may be guided to be accurately seated on the first outer surface B1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outer surface B2.

일 실시예에서, 용액 저장관(720)은, 승강 배관(730)이 계속 상승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승강 배관(730)의 내주면으로부터 원형의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분리 방지턱(731)이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기 설정된 높이(예를 들어, 1cm 내지 5cm 등)만 이동하기 위한 분리 방지홈(722)이 제3 외측면(B3)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olution storage pipe 720 is a separation barrier 731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vating pipe 730 in the form of a circular ring to prevent the elevating pipe 730 from continuing to rise and be separated. Separation prevention groove 722 for moving only a predetermined height (eg, 1 cm to 5 cm, etc.) in the vertical direction after being seated may be formed along the third outer surface B3.

승강 배관(730)은, 용액 저장관(72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형성하고 지지 기둥(22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형성하는 상측이 밀폐 형성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용액 저장관(720)의 외측으로 덮고 안착되며, 디퓨져용 팬(710)이 회전 구동함에 따라 용액 저장관(720)의 내측을 따라 공기가 상승할 경우 상승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승되어 용액 저장관(720)의 외측면과 자신의 내측면 사이의 이격 공간을 따라 공기가 하강(도 6의 A1)한 뒤 저장되어 있는 디퓨져 용액(S2)을 통하면서 상승(도 6의 A2)되어 디퓨져 용액(S2)의 확산을 유도한다.The lifting pipe 7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upper side forming a larger inner diame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olution storage tube 720 and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 column 220 is formed in a sealed cylindrical shape of the solution storage tube 720 . It is seated on the outside, and when the air rises along the inside of the solution storage tube 720 as the fan 710 for the diffuser is driven to rotate, it is raised by the pressure of the rising ai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olution storage tube 720 The air descends (A1 in Fig. 6) along the space between the and its inner surface and then rises (A2 in Fig. 6) through the stored diffuser solution (S2) to induce diffusion of the diffuser solution (S2). do.

개폐 덮개(740)는, 지지 기둥(220)의 지름에 대응하는 지름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승강 배관(730)의 상측에 설치되며, 승강 배관(730)의 하강 시 지지 기둥(220)의 상측 개구부를 덮고 안착되어 디퓨져 용액(S2)의 확산을 차단하고, 승강 배관(730)의 상승 시 지지 기둥(220)의 상측 개구부를 개방시켜 디퓨져 용액(S2)의 확산을 유도한다.The opening/closing cover 740 is formed in the form of a disk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support column 220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elevating pipe 730 , and when the elevating pipe 730 is lowered,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ing post 220 . It covers the opening and blocks the diffusion of the diffuser solution S2, and opens the upper opening of the support column 220 when the lifting pipe 730 rises to induce diffusion of the diffuser solution S2.

밀폐 실링(750)은, 고무 재질의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기둥(220)의 상단을 따라 설치된다.The hermetic seal 750 is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made of rubber and is installed along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illar 220 .

일 실시예에서, 개폐 덮개(740)는, 승강 배관(730)을 상승시키는 공기의 일부를 상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단으로부터 승강 배관(730)의 내부 공간까지 연통 형성되는 공기 배출홀(741)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pening/closing cover 740 has an air discharge hole 741 that communicates from the upper end to the inner space of the elevating pipe 730 so as to discharge a portion of the air elevating the elevating pipe 730 upward. can be formed.

이에 따라, 승강 배관(730)이 하강 시 공기 배출홀(741)을 통해 내측에 차있던 공기가 배출될 수 있어 안정적인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elevating pipe 730 descends, the air filled inside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741, so that stable descent can be achieve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향기 보강부(700)는, 박막형 덮개(7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ragrance reinforcing unit 7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thin film cover 760 .

박막형 덮개(760)는, 연질의 박막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개폐 덮개(740)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어 공기 배출홀(741)의 상측을 덮고 설치되며, 공기 배출홀(741)을 통해 공기가 배출 시 공기 배출홀(741)을 개방시키고 공기가 배출되지 않을 시 공기 배출홀(741)을 덮어 디퓨져 용액(S2)의 확산을 방지한다.The thin-film cover 760 is formed of a soft thin film, and one side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opening/closing cover 740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air discharge hole 741, an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741. When the air is discharged, the air discharge hole 741 is opened, and when the air is not discharged, the air discharge hole 741 is covered to prevent the diffusion of the diffuser solution S2.

일 실시예에서, 개폐 덮개(7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의 박막형 덮개(76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박막형 덮개(760)의 형상에 대응하는 안착홈(742)을 상측에 형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pening/closing cover 740 has a seating groove 742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hin-film cover 760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thin-film cover 760 of the thin film can be seated, as shown in FIG. 6 . can do.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액 수조(200a)는,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에만 구동되어 공중으로 디퓨져 용액(S2)의 확산을 확산시켜 공간을 향기로 가득 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되지 않을 경우에는 디퓨져 용액(S2)의 확산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디퓨져 용액(S2)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The solution tank 2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driven only when the user needs it to spread the diffusion of the diffuser solution S2 into the air to fill the space with the fragrance, and also to drive If no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ffusion of the diffuser solution (S2) to prevent unnecessary waste of the diffuser solution (S2).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elong can easily transform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to be protected through this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10: IoT 기반의 공간 살균 시스템
100: 하부 바디
200: 용액 수조
300: 상부 바디
400: 조명부
500: 조작부
600: 사용자 단말기
700: 향기 보강부
800: 살균부
10: IoT-ba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100: lower body
200: solution bath
300: upper body
400: lighting unit
500: control panel
600: user terminal
700: fragrance reinforcement
800: sterilization unit

Claims (10)

바닥면에 안착되며,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흡입부가 하부를 따라 형성하는 하부 바디, 공기 중으로 발산되면서 공간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 용액을 담아 두며, 상기 하부 바디의 내측에 안착되는 용액 수조, 상기 하부 바디의 상측 개구부를 덮고 설치되며, 상기 용액 수조로부터 확산되는 상기 살균 용액의 증기를 상측으로 배출시켜 주는 상부 바디, 상기 상부 바디의 일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액 수조 내측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부, 상기 상부 바디의 일부에 설치되어 공기질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 획득한 공기질 데이터를 무선통신을 통해 전달하는 통신모듈로 구성된 공간 살균기; 및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공기질 데이터를 수신받아 표시 가능하고, 상기 공간 살균기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용액 수조는,
살균 용액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 형성되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바디의 내측에 안착되되, 상단이 상기 하부 바디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지름이 커지는 나팔 형태로 형성되는 용액 탱크;
상기 용액 탱크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용액 탱크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통 형성되는 지지 기둥; 및
상기 공기 흡입부를 통해 상기 하부 바디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용액 탱크의 상측으로 이동할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용액 탱크의 상측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 개의 공기 이동홀;을 포함하며,
상기 용액 수조는,
상기 지지 기둥의 내측에 설치되어 향기를 확산시켜 주는 향기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IoT 기반의 공간 살균 시스템.
The lower body is seated on the floor, and at least one air intake unit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inner space is formed along the lower portion, and it contains a sterilizing solution for sterilizing the space while being emitted into the air, and is seated inside the lower body a solution tank to be used, an upper body installed to cover the upper opening of the lower body and discharging the vapor of the sterilizing solution diffused from the solution tank to the upper side; a space sterilizer comprising: a sterilizing unit for irradiating air; a sensor installed on a part of the upper body to measure air quality; and
a user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air quality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remot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pace sterilizer;
The solution bath,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ntainer in which the upper side is opened to store the sterilizing solution and is seated inside the lower body. being a solution tank;
a support column exten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solution tank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inner side of the solution tank and communic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air movement holes formed along the upper side of the solution tank so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lower body through the air intake unit can move and pass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solution tank;
The solution bath,
The IoT-ba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fragrance reinforcing part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pillar to diffuse the fragr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바디는,
상기 하부 바디의 상측 개구부를 덮고 설치되는 바디 본체;
상기 바디 본체와 상기 하부 바디 사이에 설치되며, 상측으로 둥근 반구 형태로 형성되되 상측 중심에 공기가 상측으로 배출되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용액 수조로부터 확산되는 상기 살균 용액의 증기가 하측 내측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와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측 내측면을 따라 나선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기어산 형상의 와류 유도부를 형성하는 와류 생성 커버; 및
상기 와류 생성 커버의 상방에 설치되어 조작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 요청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상승기류를 형성시켜 주는 배출팬;을 포함하는, 공간 살균 장치. IoT 기반의 공간 살균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body,
a body body installed to cover the upper opening of the lower body;
It is installed between the body body and the lower body, is formed in a round hemisphere shape upward, and forms an opening for air to be discharged upwardly in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and the vapor of the sterilizing solution diffused from the solution tank is on the lower inner surface a vortex generating cover forming a vortex inducing part of a gear mountain shape extending in a spiral form along the lower inner surface so as to form a vortex while ascending along the vortex; and
A space sterilization apparatus comprising a; an exhaust fan installed above the vortex generating cover and rotated by a driving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unit to form an upward airflow. IoT-ba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조작부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장치의 온/오프, 풍량 조절, 작동 타이머, 무드등, 공기질 상태확인 및 취침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공간 살균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user terminal,
IoT-ba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which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o control at least one function of on/off, air volume control, operation timer, mood lamp, air quality check, and sleep function of the devic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 수조는,
상기 용액 탱크로부터 상승 중인 상기 살균 용액의 증기가 확산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기둥의 외경보다 큰 지름의 하측으로 둥근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기둥의 상측에 설치되는 확산 유도 원판;을 더 포함하는, IoT 기반의 공간 살균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lution bath,
Further comprising; a diffusion inducing disk formed in the form of a round disk with a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column and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column so that the vapor of the sterilizing solution rising from the solution tank can be diffused; IoT-ba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보강부는,
상기 지지 기둥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되어 상기 지지 기둥의 내측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형성시키는 디퓨져용 팬;
상기 지지 기둥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형성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디퓨져용 팬의 상방에 설치되되, 상기 지지 기둥의 내주면과 자신의 외주면 사이에 디퓨져 용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단이 상기 지지 기둥의 내주면까지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용액 저장관;
상기 용액 저장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 기둥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형성하는 상측이 밀폐 형성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용액 저장관의 외측으로 덮고 안착되며, 상기 디퓨져용 팬이 회전 구동함에 따라 상기 용액 저장관의 내측을 따라 공기가 상승할 경우 상승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용액 저장관의 외측면과 자신의 내측면 사이의 이격 공간을 따라 공기가 하강한 뒤 저장되어 있는 상기 디퓨져 용액을 통하면서 상승되어 상기 디퓨져 용액의 확산을 유도하는 승강 배관;
상기 지지 기둥의 지름에 대응하는 지름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 배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 배관의 하강 시 상기 지지 기둥의 상측 개구부를 덮고 안착되어 상기 디퓨져 용액의 확산을 차단하고, 상기 승강 배관의 상승 시 상기 지지 기둥의 상측 개구부를 개방시켜 상기 디퓨져 용액의 확산을 유도하는 개폐 덮개; 및
고무 재질의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기둥의 상단을 따라 설치되는 밀폐 실링;을 포함하는, IoT 기반의 공간 살균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agrance reinforcing part,
a fan for a diffuser installed at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pillar and rotationally driven to form a flow of air in an upward direction along the inside of the support pillar;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m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 column and installed above the fan for the diffuser. a solution storage tube bent outwardly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upper side form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olution storage tube and form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 column is formed in a sealed cylindrical shape and is seated on the outside of the solution storage tube, and the fan for the diffuser is rotationally driven Accordingly, when air rises along the inside of the solution storage tube, it is raised by the pressure of the rising air, and the air descends along the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olution storage tube and its inner surface and then is stored. a lifting pipe that rises while passing through the diffuser solution to induce diffusion of the diffuser solution;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disk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support column and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elevating pipe, and is seated to cover the upper opening of the support post when the elevating pipe is lowered to block the diffusion of the diffuser solution, and an opening/closing cover for inducing diffusion of the diffuser solution by opening an upper opening of the support column when the elevating pipe rises; and
Including, an IoT-ba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that is formed in the form of a circular ring made of rubber and is a hermetic seal installed along the top of the support pilla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 저장관의 외주면은,
하측으로부터 1) 상기 승강 배관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으로 형성되는 제1 외측면, 2) 상기 제1 외측면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이 줄어듦에 따라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외측면, 3) 상기 제2 외측면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승강 배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는 제3 외측면으로 이루어지는, IoT 기반의 공간 살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olution storage tube,
From the lower side, 1) a first outer surface formed with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elevating pipe, 2) a second outer surface forming an inclined surface as the out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outer surface to the upper side, 3) An IoT-ba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comprising a third outer surface form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outer surface to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elevating pip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 저장관은,
상기 승강 배관의 내주면으로부터 원형의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분리 방지턱이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분리 방지홈이 상기 제3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IoT 기반의 공간 살균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solution storage tube,
An IoT-ba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in which a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vating pipe in a circular ring shape is seated and a separation preventing groove for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along the third outer surfa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덮개는,
상기 승강 배관을 상승시키는 공기의 일부를 상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단으로부터 상기 승강 배관의 내부 공간까지 연통 형성되는 공기 배출홀이 형성되는, IoT 기반의 공간 살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An IoT-ba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in which an air exhaust hole communicating from an upper end to an internal space of the lifting pipe is formed so as to discharge a portion of the air that elevates the lifting pipe to the upper s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051525A 2022-04-26 2022-04-26 IoT based space sterilizing system KR1024333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525A KR102433377B1 (en) 2022-04-26 2022-04-26 IoT based space steriliz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525A KR102433377B1 (en) 2022-04-26 2022-04-26 IoT based space steriliz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3377B1 true KR102433377B1 (en) 2022-08-16

Family

ID=83064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525A KR102433377B1 (en) 2022-04-26 2022-04-26 IoT based space steriliz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377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8329A1 (en) * 2007-10-29 2011-06-23 Demarest Scott W Multi-sensory product combining reeds, volatile actives diffusion, form-within-a-form construction, and light show capabilities
KR20110119307A (en) * 2010-04-27 2011-11-02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Volatilizer
KR101237458B1 (en) 2011-02-08 2013-02-26 배성태 Automatic Spraying Apparatus For Sterilization And Aroma
KR101691786B1 (en) * 2016-07-05 2017-01-02 주식회사 림피드스카이 Apparatus of air freshening diffuser
KR20190021656A (en) * 2017-08-23 2019-03-06 문학선 Air cleaner having a diffuser
KR20190063012A (en) * 2017-11-29 2019-06-07 (주)다나티앤씨 Air cleaner
KR102277299B1 (en) * 2021-04-13 2021-07-13 권용진 Air purifier using water filter
KR20210099697A (en) * 2020-02-04 2021-08-13 주식회사 코드스테리 Autonomous disinfection robot
KR20210126958A (en) 2020-04-13 2021-10-21 이명오 Portable space sterilizer using chlorine dioxide gas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8329A1 (en) * 2007-10-29 2011-06-23 Demarest Scott W Multi-sensory product combining reeds, volatile actives diffusion, form-within-a-form construction, and light show capabilities
KR20110119307A (en) * 2010-04-27 2011-11-02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Volatilizer
KR101237458B1 (en) 2011-02-08 2013-02-26 배성태 Automatic Spraying Apparatus For Sterilization And Aroma
KR101691786B1 (en) * 2016-07-05 2017-01-02 주식회사 림피드스카이 Apparatus of air freshening diffuser
KR20190021656A (en) * 2017-08-23 2019-03-06 문학선 Air cleaner having a diffuser
KR20190063012A (en) * 2017-11-29 2019-06-07 (주)다나티앤씨 Air cleaner
KR20210099697A (en) * 2020-02-04 2021-08-13 주식회사 코드스테리 Autonomous disinfection robot
KR20210126958A (en) 2020-04-13 2021-10-21 이명오 Portable space sterilizer using chlorine dioxide gas
KR102277299B1 (en) * 2021-04-13 2021-07-13 권용진 Air purifier using water fil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21156B (en) Sterilization device with arrangement for selectively performing different sterilization modes inside and outside the device
CN205856047U (en) Utilize the sterilizer of ultraviolet LED
CN104321137B (en) Chlorine dioxide generation device and medical apparatus sterilizing box
US7644536B2 (en) Sanitizing container and display
KR101691786B1 (en) Apparatus of air freshening diffuser
AU2016222320A1 (en) Ultraviolet Discharge Lamp Apparatuses With One Or More Reflectors And Systems Which Determine Operating Parameters And Disinfection Schedules For Germicidal Devices
JP2013525991A (en) Health and optimal lighting equipment
KR102466552B1 (en) Space sterilizing device with perfume diffusion function
KR102433377B1 (en) IoT based space sterilizing system
KR102488365B1 (en) Indoor air sterilizing device with air purification and perfume diffusion function
WO2022030101A1 (en) Method for inactivating microbes or viruses, and device for inactivating microbes or viruses
KR102464985B1 (en) Moving quarantine device
KR101818678B1 (en) Smart flowerpot using dehumidifying water
KR102648328B1 (en) Multifunctional Space Sterilizing Device
JP2011067285A (en) Sterilization gas supply device
US20220125972A1 (en) Prosthetic accessory sterilizer
KR200428812Y1 (en) Lighting cover
CN202947245U (en) Humidifier
CN206063450U (en) A kind of disinfection by ultraviolet light desk lamp
CN211119859U (en) Clinical sterilization breather of infectious department
KR102522538B1 (en) Air Quality Management Equipment by Negative Pressure Control
JP7255004B1 (en) Virus inactivation device and method by ultraviolet irradiation
CN208388171U (en) A kind of integral type shoe chest that photocatalysis eliminates the unusual smell
EP4011200A1 (en) Plant irrigation apparatus, the use of such plant irrigation apparatus in a pot or planter and a method of optimizing a plant irrigation
CN216124901U (en) Take timing function's champign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