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339B1 - Rf 필터가 내장된 융합형 rf 커넥터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rf 송수신채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Rf 필터가 내장된 융합형 rf 커넥터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rf 송수신채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339B1
KR102433339B1 KR1020200135917A KR20200135917A KR102433339B1 KR 102433339 B1 KR102433339 B1 KR 102433339B1 KR 1020200135917 A KR1020200135917 A KR 1020200135917A KR 20200135917 A KR20200135917 A KR 20200135917A KR 102433339 B1 KR102433339 B1 KR 102433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stage
signal line
connector adapter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2400A (ko
Inventor
임병옥
김성찬
고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전자
Priority to KR1020200135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339B1/ko
Publication of KR20220052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Abstract

본 발명은 송수신 채널과 안테나의 연결을 위한 RF 커넥터 어댑터를 개시한다.
상기 RF 커넥터 어댑터는, 중공의 하우징과; 상기 송수신 채널과 안테나를 연결하는 신호선과, 상기 신호선 상에 배치되며 특정 주파수 대역만 통과시키는 필터단을 포함하는 RF 필터와; 상기 필터단 및 신호선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마감하며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유전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RF 필터가 내장된 융합형 RF 커넥터 어댑터를 적용한 RF 송수신채널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RF 필터가 내장된 융합형 RF 커넥터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RF 송수신채널 어셈블리{Fusion Radio Frequency Connector adaptor with Built-in Radio Frequency Filter and Radio Frequency Transmit/Receive Channel Assembly Using the Connector}
본 발명은 RF 필터가 내장된 융합형 RF 커넥터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RF 송수신채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RF 케이블류와 관련 커넥터류는, 시험 및 데이터 신호 전송을 포함하는 다양한 상이한 애플리케이션들에 사용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은, 회로 기판 신호 흔적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커넥터 및/또는 그 밖의 연결 커넥터류를 필요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각종 애플리케이션들은, 예컨대, 전자 전원장치, 센서, 활성체, 회로 기판, 버스, 전선 작업설비(wiring harness)와, 제어신호들과 전원신호들의 형태로 전기를 수송하는데 필요한 전기 통로를 제공하는 그 밖의 부재들과의 사이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속 면에서 고밀도의 커넥터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정한 환경과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작동하기 위한 신호 무결성과 신뢰성 요구사항들이 절박하므로, 접지와 신호의 분리가 우수한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이것은 특히 고주파 RF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커넥터류와 커넥터류 내부에서의 접점은, 넓은 주파수 범위와 아주 다양한 환경 조건들, 이를테면 기계적, 진동, 넓은 온도 범위 등에서 작동되어야 한다.
한편, 이동 통신 대역에서 사용되는 고주파 필터(RF Filter)에는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 LPF),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 : BPF), 고역 통과 필터(High Pass Filter : HPF) 및, 대역 저지 필터(Band Stop Filter : BSF) 등으로 구분된다. 그 중 대역 통과 필터와 대역 저지 필터는 많은 사업자의 등장과 한정된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최근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여러 주파수를 잘게 나누어 쓰는 현대의 고주파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원하는 주파수 대역만 정확하게 골라내야 하는 대역 통과 필터와, 모든 주파수 대역은 잘 통과시키면서 특정 대역의 주파수만 통과시키지 않는 대역 저지 필터의 역할이 통화 음질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필터의 원리는 인덕턴스(inductance)와, 캐패시턴스(Capacitance)의 조합에 의한 공진을 이용한다. 여기서 공진(Resonance)이란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가 평행을 이루면서 특정 주파수에 대한 선택적 특성을 갖게 되는 것을 말한다. 즉, 주파수가 올라갈수록 통과가 잘 안되는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인덕턴스 성분과, 주파수가 올라갈수록 통과가 잘되는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캐패시턴스 성분을 조합하면, 원하는 주파수는 잘 통과시키고 원하지 않는 주파수는 차단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필터는 이러한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 성분을 다양하게 조합함에 따라, 용도에 적합한 대역 저지 필터 또는 대역 통과 필터를 구현할 수 있다.
종래의 RF 커넥터로는 '다중밴드 입출력이 가능한 RF 커넥터 구조'(등록특허공보 제10-1163581호)(이하, 종래기술1)와, '인라인 압축 RF 커넥터'(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44844호)(이하, 종래기술2)가 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1은 단말기에서 GPS와 지상파 DMB 용으로 사용 중인 2개의 외장형 안테나 연결용 RF 커넥터를 1개의 커넥터로 통합하기 위한 다중밴드 입출력이 가능한 RF 커넥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 전원부 쇼트 문제를 해결하고 1개의 RF 커넥터나 RF 스위치로 통합하더라도 RF 커넥터는 외장형 액티브 안테나에서 증폭단이 동작할 수 있도록 안테나에 전원 공급이 가능하며, 신호선과 그라운드선이 쇼트 되거나 쇼트 우려가 있는 수동형 타입의 지상파 DMB 안테나도 사용이 가능한 통합 RF 커넥터 및 RF 스위치에 관한 다중밴드 입출력이 가능한 RF 커넥터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종래기술1은 전원이 인가되는 1개의 RF 커넥터에 안테나 패턴의 그라운드와 신호선이 쇼트 되어 있는 PIFA 구조의 외장형 안테나를 연결하거나 동축 케이블과 철사 구조의 모노폴 안테나가 직접 연결되어 있는 돼지꼬리 외장형 안테나가 자동차 지붕에서 그라운드와 쇼트 되더라도 RF 커넥터에 외장형 안테나를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1개의 외장형 케이블로 연결된 샤크 안테나와 같은 통합 외장형 안테나를 사용함으로써, 자동차의 대쉬보드 정리 및 제조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종래기술2는 전기 및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압축 가능형 도체 부품을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커넥터는, 내부 및 외부 도체를 갖는 케이블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내부 구멍을 갖는 몸체 부재를 구비한다. 스프링 편향식 중심 도체 부재는, 케이블의 내부 도체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관형 접지 슬라이드는, 중심 도체 부재상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슬라이드의 후단부(rear end)는 몸체 부재상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기 위해 몸체 부재와 맞물린다. 스프링은, 몸체 부재의 외부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몸체 부재에 대해 접지 슬라이드를 편향시키기 위해 접지 슬라이드에 접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도전성 슬리브는 몸체상에 압입되고, 이 도전성 슬리브는 몸체 부재를 통해 스프링 및 접지 슬라이드를 붙잡는다. 도전성 슬리브는, 상기 커넥터의 전단부(front end)에서 몸체 부재와의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이동 가능형 접지 슬라이드의 전단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슬리브의 전단부에 복수의 스프링 핑거(finger)들을 구비한다.
그러나 종래기술1,2는 커넥터로서의 기능에만 충실할 뿐, 필터 특성을 갖추기 위한 구성 및 구조에 대한 내용은 개시된 바 없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63581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44844호
본 발명은 원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거나 차단이 가능한 필터가 내장된 커텍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송수신 채널과 안테나의 연결을 위한 RF 커넥터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RF 커넥터 어댑터는, 중공의 하우징과; 상기 송수신 채널과 안테나를 연결하는 신호선과, 상기 신호선 상에 배치되며 특정 주파수 대역만 통과시키는 필터단을 포함하는 RF 필터와; 상기 필터단 및 신호선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마감하며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유전체;를 포함하는 RF 필터가 내장된 융합형 RF 커넥터 어댑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송수신 채널과 안테나의 연결을 위한 RF 커넥터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RF 커넥터 어댑터는, 중공의 하우징과; 상기 송수신 채널과 안테나를 연결하는 신호선과, 상기 신호선 상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선과 함께 특정 주파수 대역만 통과시키는 필터단을 포함하는 RF 필터와; 상기 필터단 및 신호선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마감하며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유전체;를 포함하는 RF 필터가 내장된 융합형 RF 커넥터 어댑터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 채널과 안테나의 연결을 위한 RF 커넥터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RF 커넥터 어댑터는, 중공의 하우징과; 상기 송수신 채널과 안테나를 연결하는 신호선과, 상기 신호선 상에 배치되며 특정 주파수 대역만 차단하는 필터단을 포함하는 RF 필터와; 상기 필터단 및 신호선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마감하며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유전체;를 포함하는 RF 필터가 내장된 융합형 RF 커넥터 어댑터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 채널과 안테나의 연결을 위한 RF 커넥터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RF 커넥터 어댑터는, 중공의 하우징과; 상기 송수신 채널과 안테나를 연결하는 신호선과, 상기 신호선 상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선과 함께 특정 주파수 대역만 차단하는 필터단을 포함하는 RF 필터와; 상기 필터단 및 신호선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마감하며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유전체;를 포함하는 RF 필터가 내장된 융합형 RF 커넥터 어댑터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RF 커넥터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단은, 복수개 구비되며, 필터단과 필터단의 간격에 따라 RF 필터 특성이 변화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단은, 가로, 세로의 길이 또는 지름과, 두께에 따라 RF 필터 특성이 변화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단은, 복수개 구비되며, 각각의 필터단의 가로, 세로의 길이 또는 지름과, 두께 그리고 필터단과 필터단의 간격에 따라 RF 필터 특성이 변화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단은, 일면에는 돌출부 및 삽입부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신호선과 연결된 제1 필터단과; 일면에는 상기 제1 필터단의 돌출부와 결합되는 삽입부와, 제1 필터단의 삽입부와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신호선과 연결된 제2 필터단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필터단과 제2 필터단의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일면에는 제1 필터단의 돌출부와 결합되는 삽입부와, 제1 필터단의 삽입부와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제2 필터단의 돌출부와 결합되는 삽입부와, 제2 필터단의 삽입부와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제3 필터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카테고리로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RF 커넥터 어댑터와; 상기 RF 커넥터 어댑터의 일측과 연결되며, 스위치, 고전력 증폭기,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스가 구비된 송수신채널과; 상기 RF 커넥터 어댑터의 타측과 연결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RF 필터가 내장된 융합형 RF 커넥터 어댑터를 적용한 RF 송수신채널 어셈블리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의 기능뿐 아니라, 주변 잡음 성분을 감쇄시키는 역할, 특히 하모닉 신호 감쇄 등이 가능한 주파수 필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주파수 필터 역할에 있어서, 원하는 특정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거나, 특정 주파수 대역만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필터 회로가 제거된 송수신채널에 적용이 가능하여, 송수신채널 제품에 대한 소형화 및 단가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특정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거나, 특정 주파수 대역만을 차단하도록 RF 필터 구조를 사전에 셋팅하여 커넥터에 조립하므로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고 특히 우수한 양산성과 손실 특성을 보인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의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의 구조 및 RF 성능을 나타낸 도면,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송수신채널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구조 및 RF 성능을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채널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
도6 및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RF 필터 특성을 보이는 인자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필터를 나타낸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필터를 나타낸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필터를 나타낸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필터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공지기술의 경우에도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RF 필터가 내장된 융합형 RF 커넥터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RF 송수신채널 어셈블리는 다양한 주파수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Ka 주파수 대역을 예시로 설명한다. Ka 주파수 대역(27~40 GHz (또는 20~30 GHz, 18~40 GHz))용 5G 통신, 레이다 센서 등 송수신채널 구조에 있어서, 송수신채널 구조를 이루는 구성품들 중 하나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1 및 도2와 같은 종래의 커넥터(1)에 필터 기능을 부가한 융합형 RF 커넥터 어댑터(100)에 관한 것이다. 즉, 신호를 선별해주는 RF 필터와 체결을 위한 커넥터가 융합된 구성이고, RF 필터는 주변 잡음 성분을 감쇄시키는 역할, 특히 하모닉 신호를 감쇄시킬 수 있다. Ka 주파수 대역은 27 GHz에서 40 GHz까지로 대표적인 응용 시스템은 28 GHz 5G 통신용 front-end, 35 GHz 대역 도로상황 감지 레이다 센서 등이 있다.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면, 융합형 RF 커넥터 어댑터(100)는 특정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킬 수 있는 필터 기능이 부가된 것에 의해 송수신채널 구조의 송수신채널(200)에서 필터를 제거할 수 있다.
RF 커넥터 어댑터(100)는 중공의 하우징(10)과, 송수신 채널(200)과 안테나(300)를 연결하는 신호선(21)과 상기 신호선(21) 상에 배치되며 특정 주파수 대역만 통과시키는 필터단(22,23,24,25)을 포함하는 RF 필터(20)와, 내주면은 상기 필터단(22,23,24,25) 및 신호선(21)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마감하며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유전체(3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중공의 하우징(10)과, 송수신 채널(200)과 안테나(300)를 연결하는 신호선(21)과 상기 신호선(21) 상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선(21)과 함께 특정 주파수 대역만 통과시키는 필터단(22,23,24,25)을 포함하는 RF 필터(20)와, 내주면은 상기 필터단(22,23,24,25) 및 신호선(21)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마감하며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유전체(3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중공의 하우징(10)과, 송수신 채널(200)과 안테나(300)를 연결하는 신호선(21)과 상기 신호선(21) 상에 배치되며 특정 주파수 대역만 차단하는 필터단(22,23,24,25)을 포함하는 RF 필터(20)와, 내주면은 상기 필터단(22,23,24,25) 및 신호선(21)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마감하며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유전체(3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중공의 하우징(10)과, 상기 송수신 채널(200)과 안테나(300)를 연결하는 신호선(21)과 상기 신호선(21) 상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선(21)과 함께 특정 주파수 대역만 차단하는 필터단(22,23,24,25)을 포함하는 RF 필터(20)와, 내주면은 상기 필터단(22,23,24,25) 및 신호선(21)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마감하며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유전체(3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RF 커넥터 어댑터(100)는 필터단(22,23,24,25) 단독으로 필터 기능을 수행하거나, 필터단(22,23,24,25)과 신호선(21)의 조합으로 필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RF 필터는 입력되는 많은 주파수 중 필요한 주파수만 골라내며 송수신단에서 신호가 잡음 주파수를 발신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로 RF 시스템 구성에서 필수적인 구성인데, 본 발명은 기존 커넥터 구조와 달리 RF 커넥터 어댑터(100)에 필터 기능을 융합한 구조이다. 따라서 기존 RF 시스템 구조에서 추가적인 부품 또는 구조의 변경 없이 RF 커넥터 어댑터(100)가 필터의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 내장형 커넥터 적용 시 송수신채널(200) 내부의 필터 회로 제거가 가능하여 기존 송수신채널 구조 대비 소형화 및 저가격화가 가능하다. 또한 주파수가 올라갈수록 송수신채널 구조가 소형화됨에 따라 손쉽게 체결 가능한 블라인드 메이팅(Blind-mating) 커넥터 방식을 RF 커넥터 어댑터(100)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단(22,23,24,25)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4와 같이 복수개 구비될 수도 있다. 필터단이 1개로 구성된 경우 필터단(22)의 가로, 세로의 길이 또는 지름(L3)과, 두께(L2)에 따라 RF 필터 특성이 변화될 수 있다. 필터단(22,23,24,25)이 도4와 같이 복수개 구비된 경우, 필터단(22,23,24,25) 각각의 가로, 세로의 길이 또는 지름(L3)과, 두께(L2,L5,L6,L7) 그리고 필터단과의 간격(L4)에 따라 RF 필터 특성이 변화될 수 있다.
또한 필터단(22,23,24,25)은 복수개 구비되며, 각각의 필터단의 가로, 세로의 길이 또는 지름과, 두께 그리고 필터단과 필터단의 간격에 따라 RF 필터 특성이 변화될 수 있다.
또한 필터단(23)은 도8과 같이 두개의 조립형 필터단인 제1 필터단(23a)과, 제2 필터단(23b)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제1 필터단(23a)은 일면에는 돌출부(23a-1) 및 삽입부(23a-2)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신호선과 연결된다. 제2 필터단(23b)은 일면에는 상기 제1 필터단(23a)의 돌출부(23a-1)와 결합되는 삽입부(23b-2)와, 제1 필터단(23a)의 삽입부(23a-2)와 결합되는 돌출부(23b-1)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신호선과 연결된다. 제1 필터단(23a)의 타면에 연결된 신호선에는 제1 필터단(23a)으로부터 이격된 필터단(22)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제2 필터단(23b)의 타면에 연결된 신호선에도 제2 필터단(23b)으로부터 이격된 필터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단(23a)과 필터단(22)과의 간격과 제2 필터단(23b)과 필터단(미도시)과의 간격은 같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필터단(22)과 필터단(미도시)의 길이, 폭 또는 지름과 두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단(23) 구조는 조립식 구성으로 갖추어져 있어 조립 형태에 따라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는 RF 필터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도9를 참조하면 제1 필터단(23a)과 제2 필터단(23b)의 사이에는 제3 필터단(23c)이 결합될 수 있다.
제3 필터단(23c)은 일면에는 제1 필터단(23a)의 돌출부(23a-1)와 결합되는 삽입부(23c-2)와, 제1 필터단(23a)의 삽입부(23a-2)와 결합되는 돌출부(23c-1)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제2 필터단(23b)의 돌출부(23b-1)와 결합되는 삽입부(23c-4)와, 제2 필터단(23b)의 삽입부(23b-2)와 결합되는 돌출부(23c-3)가 형성된다. 제3 필터단(23c)은 길이, 폭 또는 지름과 두께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어서, 제3 필터단(23c)에 의해서도 조립 형태에 따라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는 RF 필터로 제작될 수 있다.
도10은 조립형태의 신호선(21)을 나타낸 것이다. 필터단(23)과 필터단(24) 사이의 신호선(21)은 두 개 이상의 신호선(21a,21b)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신호선(21a,21b)은 직경, 길이가 서로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신호선(21a,12b) 간의 결합은 돌출부(21a-1)와 삽입부(21b-1)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신호선(21a,21b)과 필터단(23,24)과의 결합은 각각의 일측이 삽입부(23d,24d)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11은 도10의 신호선(21a,21b)의 직경을 확장시키는 확장부(27)가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다. 확장부(27)는 RF 필터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신호선(21a)의 직경을 확장시키는 것으로서, 내부는 관통부(27a)가 형성되고, 일측은 걸림부(27b)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신호선(21)과 필터단(22,23,24,25)을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도 원하는 필터 특성을 갖출 수 있고, 양산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신호선(21)과 필터단(22,23,24,25)을 분리형으로 생산하고, 확장부(27)를 더 구비하면, 특정 필터 특성을 갖는 RF 필터(20)의 재고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들어 Ka 주파수 대역 중 27 GHz 만을 통과시키는 RF 필터(20)를 소비자의 수요에 맞게 매달 50만개 생산하는 것으로 조립하였는데, 수요가 변화되어 재고가 쌓이는 경우, 27 GHz 만을 통과시키는 RF 필터(20)를 분리하여 다른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는 RF 필터(20)로 활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RF 송수신채널 어셈블리는 전술한 바와 같은 RF 커넥터 어댑터(100)와, 상기 RF 커넥터 어댑터(100)의 일측과 연결되며, 스위치, 고전력 증폭기(HPA), 저잡음 증폭기(LNA), 듀플렉스가 구비된 송수신채널(200), 상기 RF 커넥터 어댑터(100)의 타측과 연결되는 안테나(3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RF 송수신채널 어셈블리는 기존 송수신채널(200)에 구비되어 있었던 필터를 제거하고, RF 커넥터 어댑터(100)에 갖춤으로써 경량화가 가능하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특히 송수신채널(200)의 선단에 필터특성을 부여하고 있어 하모닉 신호 감쇄에 유리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RF 커넥터 어댑터
200: 송수신채널
300: 안테나
10: 하우징
20: RF 필터
30: 유전체

Claims (10)

  1. 송수신 채널과 안테나의 연결을 위한 RF 커넥터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RF 커넥터 어댑터는, 중공의 하우징과;
    상기 송수신 채널과 안테나를 연결하는 신호선과, 상기 신호선 상에 배치되며 특정 주파수 대역만 통과시키는 필터단을 포함하는 RF 필터와;
    상기 필터단 및 신호선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마감하며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유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단은,
    일면에는 돌출부 및 삽입부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신호선과 연결된 제1 필터단과;
    일면에는 상기 제1 필터단의 돌출부와 결합되는 삽입부와, 제1 필터단의 삽입부와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신호선과 연결된 제2 필터단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필터가 내장된 융합형 RF 커넥터 어댑터.
  2. 송수신 채널과 안테나의 연결을 위한 RF 커넥터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RF 커넥터 어댑터는, 중공의 하우징과;
    상기 송수신 채널과 안테나를 연결하는 신호선과, 상기 신호선 상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선과 함께 특정 주파수 대역만 통과시키는 필터단을 포함하는 RF 필터와;
    상기 필터단 및 신호선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마감하며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유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단은,
    일면에는 돌출부 및 삽입부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신호선과 연결된 제1 필터단과;
    일면에는 상기 제1 필터단의 돌출부와 결합되는 삽입부와, 제1 필터단의 삽입부와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신호선과 연결된 제2 필터단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필터가 내장된 융합형 RF 커넥터 어댑터.
  3. 송수신 채널과 안테나의 연결을 위한 RF 커넥터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RF 커넥터 어댑터는, 중공의 하우징과;
    상기 송수신 채널과 안테나를 연결하는 신호선과, 상기 신호선 상에 배치되며 특정 주파수 대역만 차단하는 필터단을 포함하는 RF 필터와;
    상기 필터단 및 신호선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마감하며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유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단은,
    일면에는 돌출부 및 삽입부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신호선과 연결된 제1 필터단과;
    일면에는 상기 제1 필터단의 돌출부와 결합되는 삽입부와, 제1 필터단의 삽입부와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신호선과 연결된 제2 필터단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필터가 내장된 융합형 RF 커넥터 어댑터.
  4. 송수신 채널과 안테나의 연결을 위한 RF 커넥터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RF 커넥터 어댑터는, 중공의 하우징과;
    상기 송수신 채널과 안테나를 연결하는 신호선과, 상기 신호선 상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선과 함께 특정 주파수 대역만 차단하는 필터단을 포함하는 RF 필터와;
    상기 필터단 및 신호선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마감하며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유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단은,
    일면에는 돌출부 및 삽입부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신호선과 연결된 제1 필터단과;
    일면에는 상기 제1 필터단의 돌출부와 결합되는 삽입부와, 제1 필터단의 삽입부와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신호선과 연결된 제2 필터단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필터가 내장된 융합형 RF 커넥터 어댑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단은,
    복수개 구비되며, 필터단과 필터단의 간격에 따라 RF 필터 특성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필터가 내장된 융합형 RF 커넥터 어댑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단은,
    가로, 세로의 길이 또는 지름과, 두께에 따라 RF 필터 특성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필터가 내장된 융합형 RF 커넥터 어댑터.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단은,
    복수개 구비되며, 각각의 필터단의 가로, 세로의 길이 또는 지름과, 두께 그리고 필터단과 필터단의 간격에 따라 RF 필터 특성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필터가 내장된 융합형 RF 커넥터 어댑터.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단과 제2 필터단의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일면에는 제1 필터단의 돌출부와 결합되는 삽입부와, 제1 필터단의 삽입부와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제2 필터단의 돌출부와 결합되는 삽입부와, 제2 필터단의 삽입부와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제3 필터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필터가 내장된 융합형 RF 커넥터 어댑터.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RF 커넥터 어댑터와;
    상기 RF 커넥터 어댑터의 일측과 연결되며, 스위치, 고전력 증폭기,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스가 구비된 송수신채널과;
    상기 RF 커넥터 어댑터의 타측과 연결되는 안테나;
    를 포함하는 RF 필터가 내장된 융합형 RF 커넥터 어댑터를 이용한 RF 송수신채널 어셈블리.
KR1020200135917A 2020-10-20 2020-10-20 Rf 필터가 내장된 융합형 rf 커넥터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rf 송수신채널 어셈블리 KR102433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917A KR102433339B1 (ko) 2020-10-20 2020-10-20 Rf 필터가 내장된 융합형 rf 커넥터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rf 송수신채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917A KR102433339B1 (ko) 2020-10-20 2020-10-20 Rf 필터가 내장된 융합형 rf 커넥터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rf 송수신채널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400A KR20220052400A (ko) 2022-04-28
KR102433339B1 true KR102433339B1 (ko) 2022-08-19

Family

ID=81448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917A KR102433339B1 (ko) 2020-10-20 2020-10-20 Rf 필터가 내장된 융합형 rf 커넥터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rf 송수신채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3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119B1 (ko) * 2008-12-31 2010-06-15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저지 대역 특성이 개선된 벤딩 구조의 저역 통과 필터
KR101898945B1 (ko) * 2017-05-29 2018-09-18 주식회사 동진티아이 저역통과여파기가 내장된 어댑터
US20190140334A1 (en) * 2016-07-18 2019-05-09 Commscope Italy S.R.L. Tubular in-line filters that are suitable for cellular applications and rel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581B1 (ko) 2011-01-26 2012-07-06 (주)파트론 다중밴드 입출력이 가능한 rf 커넥터 구조
KR101684061B1 (ko) * 2015-02-05 2016-12-07 김규용 멀티플렉서 및 멀티플렉서용 저역통과필터
US10069257B1 (en) 2017-09-06 2018-09-04 Carlisle Interconnect Technologies, Inc. Inline compression RF conn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119B1 (ko) * 2008-12-31 2010-06-15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저지 대역 특성이 개선된 벤딩 구조의 저역 통과 필터
US20190140334A1 (en) * 2016-07-18 2019-05-09 Commscope Italy S.R.L. Tubular in-line filters that are suitable for cellular applications and related methods
KR101898945B1 (ko) * 2017-05-29 2018-09-18 주식회사 동진티아이 저역통과여파기가 내장된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400A (ko)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83553C (zh) 耳机天线和配备有耳机天线的便携式无线电设备
US8237623B2 (en) Headset antenna and connector for the same
US7688277B2 (en) Circuit component and circuit component assembly for antenna circuit
US9559471B2 (en) Coaxial cable and connector with capacitive coupling
KR100786540B1 (ko) 위성신호 수신용 비정방형 패치 안테나 및 일체형 안테나모듈
US200600554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jecting common mode signals on a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20090284887A1 (en) Protective device
JP2006311478A (ja) 円偏波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ンテナ及び円偏波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ンテナ装置
CN109193124B (zh) 一种弹载双频有源天线
KR20050057038A (ko) 평면 다이폴을 구비한 안테나 조립체
KR102433339B1 (ko) Rf 필터가 내장된 융합형 rf 커넥터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rf 송수신채널 어셈블리
US621544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axially coupling an antenna through an insulator
KR102433343B1 (ko) 필터 간극 고정형 유전체 및 rf 필터가 구비된 rf 커넥터
US20100079352A1 (en) Antenna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2140867B1 (ko) Rf케이블 일체형 전력분배기
CN113422204A (zh) 天线装置及电子设备
US9048547B2 (en) Air loop antenna for shared AM/FM
WO2019217521A1 (en) Coaxial connector system
US20240032196A1 (en) Electronic device
US20050099754A1 (en) Impedance matched surge protected coupling loop assembly
KR100969274B1 (ko) 비정방형 패치 안테나
US11909097B2 (en) Monolithic antenna integrated radio frequency connector
CN210016062U (zh) 一种具有迅息隔离结构的Fakra射频连接器
KR20230163047A (ko) Rf 커넥터
US7148857B2 (en) Antenna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