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891B1 -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891B1
KR102432891B1 KR1020210116848A KR20210116848A KR102432891B1 KR 102432891 B1 KR102432891 B1 KR 102432891B1 KR 1020210116848 A KR1020210116848 A KR 1020210116848A KR 20210116848 A KR20210116848 A KR 20210116848A KR 102432891 B1 KR102432891 B1 KR 102432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contract
information
definition
category
reposi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단호
권현우
이현종
김도훈
천기웅
성성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아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아엘
Priority to KR1020220100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647B1/ko
Priority to KR1020220100039A priority patent/KR1025736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316Indexing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8File system types
    • G06F16/182Distributed file systems
    • G06F16/1834Distributed file systems implemented based on peer-to-peer networks, e.g. gnutell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5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3Clustering techniques
    • G06F18/232Non-hierarchical techniques
    • G06F18/2321Non-hierarchical techniques using statistics or function optimisation, e.g. modelling of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 G06F18/23213Non-hierarchical techniques using statistics or function optimisation, e.g. modelling of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with fixed number of clusters, e.g. K-means clust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일 실시예들은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의서를 분석하여, 스마트 컨트랙트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검색 요청에 따라 저장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검색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방법 및 시스템{THE METHOD AND SYSTEM FOR CONSTRCUTING REPOSITORY OF SMART CONTRACT 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아래 실시예들은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의서를 분석하여, 스마트 컨트랙트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검색 요청에 따라 저장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검색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2009년 비트코인의 출현으로 인해 새로운 분산 시스템의 패러다임이 시작되었다. 새로운 분산 시스템은 모든 내용을 각각의 사용자들이 공유한다는 점에서 투명성과 무결성이 보장되었으며, 각각의 내용을 블록 형태로 암호화시키고 블록체인에 저장하게 된다.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은 P2P 네트워크를 이루는 노드들이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트랜잭션들을 블록에 저장하고, 각 노드들에 전술한 블록들을 체인 형태로 저장하는 기술이다.
비트코인의 뒤를 이은 이더리움 재단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를 특화시킨 새로운 블록체인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2013년 러시아 출신 캐나다 개발자인 비탈릭 부테린이 "차세대 스마트 컨트랙트 & 분산 응용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이라는 제목으로 이더리움 백서를 발간했고, 차세대 스마트 컨트랙트는 이더리움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이미 1994년에 Nick Szabo에 의해 스마트 컨트랙트가 정의되었는데, Nick Szabo에 의하면, 기존 계약서는 계약 조건을 이행하려면 실제 사람이 계약서대로 수행을 해야 하나, 디지털 명령어로 계약서를 작성하면 조건에 따라 계약 내용을 자동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1994년 당시에는 디지털로 된 자료들은 쉽게 복사되고 조작이 쉬워서 개념으로만 존재하고 구체적인 서비스에 이용될 수 없었다.
하지만, 블록체인의 투명성과 무결성을 이용한 스마트 컨트랙트가 이더리움 재단을 통해서 구현됨에 따라, 스마트 컨트랙트의 잠재력이 높이 평가되었다. 또한, 이더리움 재단에서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작성하기 위한 언어인 솔리디티(Solidity)를 개발하였으며, 개발자가 아닌 일반인도 작성이 가능한 언어인 Vyper를 개발중에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계약 조건을 기록하고, 조건이 충족될 경우 자동으로 계약이 실행되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금융 거래 등의 다양한 계약에 활용될 수 있다.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스마트 컨트랙트는 웹사이트 'Etherscan'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모든 스마트 컨트랙트의 코드 및 주소가 공개되어 있기는 하나, 스마트 컨트랙트가 카테고리별로 분류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스마트 컨트랙트를 참고하거나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를 일일이 분석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써,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아래 실시예들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의서를 분석하여, 스마트 컨트랙트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검색 요청에 따라 저장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검색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서버에서 수행되는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방법으로,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의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의서를 정의서 분류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카테고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 정보에 포함된 제 1 유사도 및 제 2 유사도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그룹 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 정보에 포함된 제 1 카테고리 및 상기 그룹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상기 정의서, 상기 정의서가 컴파일된 바이트 코드 및 상기 카테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를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는 스마트 컨트랙트 질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질의 정보를 정의서 분석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기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카테고리 정보 내 식별 정보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가지는 유사 스마트 컨트랙트를 추출하여, 유사 스마트 컨트랙트 리스트를 생성는 단계; 상기 유사 스마트 컨트랙트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유사 스마트 컨트랙트의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의 상기 카테고리 정보는 상기 정의서의 구현 언어에 기초한 분류 정보인 제 1 카테고리,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가 사용되는 업종에 기초한 분류 정보인 제 2 카테고리 및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가 사용되는 컨트랙트 종류에 기초한 분류 정보인 제 3 카테고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의 상기 제 1 유사도는 상기 제 2 카테고리에서 기 설정된 표준 정의서와의 유사도 값이고, 상기 제 2 유사도는 상기 제 3 카테고리에서 기 설정된 표준 정의서와의 유사도 값이다.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하는, 서버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의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의서를 정의서 분류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카테고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 정보에 포함된 제 1 유사도 및 제 2 유사도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그룹 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 정보에 포함된 제 1 카테고리 및 상기 그룹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상기 정의서, 상기 정의서가 컴파일된 바이트 코드 및 상기 카테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를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의서를 분석하여, 스마트 컨트랙트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함으로써,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를 구축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의 구축에 따라, 사용자는 참고 혹은 재사용의 목적으로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의서를 검색할 때,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의서를 일일이 직접 확인하거나 분석하지 않더라도, 질의 항목만 입력함으로써, 원하는 스마트 컨트랙트의 카테고리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원하는 카테고리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찾을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 따른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구성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으로 연결되는 블록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정의서 분류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고리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분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정의서 분석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 검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도 17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도 17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시스템(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시스템(10)은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관리자 단말(201),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및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시스템(10) 내에 포함된 다양한 개체들(entities) 간의 통신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유/무선 네트워크는 표준 통신 기술 및/또는 프로토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시스템(10) 내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관리자 단말(201)은 예를 들어, 컴퓨터, UMPC(Ultra Mobile PC), 워크스테이션, 넷북(net-book),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포터블(portable) 컴퓨터, 웹 타블렛(web tablet),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같은 전자 장치 중 하나로서, 일 실시예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하에 예를 들어, 서비스 화면의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과 같은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100)는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의서를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정의서는 컨트랙트 당사자가 스마트 컨트랙트로 구현하고자 하는 내용(어떤 조건에서 컨트랙트를 자동으로 성립시키는지 등)을 포함하는 코드로, 일례로 정의서는 Solidity, Vyper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서버(100)는 정의서의 분석 결과, 스마트 컨트랙트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함으로써,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310)를 구축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스마트 컨트랙트 검색 요청에 따라,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310)에 저장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검색할 수 있다.
서버(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2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에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의서를 전송하여, 스마트 컨트랙트의 생성, 실행 및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에 스마트 컨트랙트의 검색을 요청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201)은 서버(100)의 관리자의 단말로, 서버(100)에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하기 위한 학습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복수의 노드들로 구성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서 스마트 컨트랙트가 생성 또는 실행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310)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로,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310)는 블록체인 또는 보안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310)가 블록체인으로 구성된 경우,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310)는 전술한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와 상이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310)가 보안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 경우, 서버(100) 내 구비된 저장 공간 중 보안 영역을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310)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메모리(140), 전원 공급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수준의 적절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들이 서버(100)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200), 관리자 단말(201),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및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310)와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서버(100)의 사용자인 운영자의 다양한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20)는 터치 센서, (디지털) 펜 센서, 압력 센서, 키, 또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키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는 운영자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 서버(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서버(100)의 외부에 구비되어 서버(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출력부(130)는 다양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서버(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4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6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어부(16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메모리라는 용어는 메모리(140), 제어부(160) 내 롬(미도시), 램(미도시) 또는 서버(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에는 출력부(13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될 각종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5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16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메모리(140) 및 전원 공급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6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다양한 모듈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서버(100) 상의 다양한 동작은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60)의 자세한 동작에 대해서는, 도 3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의 구성도와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블록체인 관리부(161), 스마트 컨트랙트 관리부(162), 정의서 분류부(163), 레포지토리 구축부(164), 정의서 분석부(165) 및 검색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관리부(161)는 각종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를에 트랜잭션하여, 해당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내에 저장할 수 있다.
블록체인 관리부(161)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트랜잭션할 수 있다.
우선,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복수의 노드들(2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블록체인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블록체인이란 온라인 거래 정보를 블록(Block)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블록들을 서로 연결하여, 피투피(P2P) 네트워크 분산 환경에서 중앙 관리 서버가 아닌 참여자(피어, Peer)들의 개인 디지털 장비에 데이터를 분산시켜 저장함으로써, 데이터를 공동으로 관리하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블록체인의 기본 구조는 블록(block)을 잇따라 연결한(chain) 모음의 형태이며, 피투피(P2P) 방식을 기반으로 한다. 또한, 일정 시간 동안 반수 이상의 참여자들이 거래 내역을 서로 교환해 확인하고 승인하는 과정을 거쳐, 디지털 서명으로 동의한 거래 내역만 하나의 블록으로 만든다. 그리고, 새로 만들어진 블록을 이전 블록체인에 연결하고, 그 사본을 만들어 각 참여자들의 사용자 단말(즉 노드(20))에 분산시켜 저장한다.
따라서, 블록체인을 활용하는 경우, 거래 장부용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관리할 필요가 없어 관리 비용이 절감되며, 분산 처리로 해킹이 어려워 거래의 안전성도 향상된다. 블록체인 방식은 주식, 부동산 등의 거래에도 적용 가능하며, 토지 권리 양도나 가정 현관 키 등 보안에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노드(20)들을 참여자로 하여 블록체인을 구현하고 있으며, 복수의 노드(20)들 각각에 분산되어 저장되는 정보는 블록의 해쉬값 등일 수 있다.
복수의 노드(20)들은 복수의 노드(20)들 각각에 분산 저장된 정보를 항상 최신 버전으로 유지하여, 해당 정보를 공유하고 있을 수 있다.
복수의 노드(20)들 각각은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통신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노드(20)들 각각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형태로 구현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특정 업체에서 운영하는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노드(20)들 중 단말 형태로 구현된 노드는 블록체인 상에서 공유되는 정보를 메모리의 보안 영역에 저장할 수 있으며, 복수의 노드(20)들 중 서버 형태로 구현된 노드는 블록체인 상에서 공유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의 보안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는 참여자가 단말로만 구성된 블록체인, 참여자가 서버로만 구성된 블록체인, 참여자가 단말 및 서버 혼합으로 구성된 블록체인 등 다양한 형태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복수의 노드(20)들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 하나의 노드로 참여하여,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제공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 단말(300)들 중 적어도 일부는 데이터 블록의 위변조를 탐지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노드(20)의 구성도이다.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서 복수의 노드(20)들 각각은,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상의 각 블록체인 트랜잭션(Transaction)의 기록을 위한 블록을 생성(또는 채굴) 및/또는 검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에 각 노드(20)를 통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상에 배포된 블록체인 트랜잭션들은, 새로이 생성된 블록에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노드(20) 각각은,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를 위한 블록체인(즉, 블록체인 분산 원장)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노드(20)는, 트랜잭션 처리 모듈(402), 통신 모듈(404), 블록 생성/검증 모듈(406), 및 블록체인 분산원장 저장 모듈(408)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트랜잭션 처리 모듈(402)은, 소정의 블록체인 트랜잭션을 수신하고, 그 수신된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상의 다른 노드들(400)에 배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트랜잭션 처리 모듈(402)은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상의 다른 노드들(400)에 의해 배포된 트랜잭션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트랜잭션 처리 모듈(402)은, 수신된 트랜잭션을 처리(예컨대, 트랜잭션에 포함된 각 스마트 계약의 실행 등을 포함하며, 다만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트랜잭션 처리 모듈(402)에 의해 수신 및 처리되는 트랜잭션은, 서버(100)가 일 실시예를 실시하기 위해 생성한 각종 데이터에 대한 각종 해시값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해 생성한 각종 데이터가 노드(20)들에 분산 저장된 위치를 지시하는 트래커(tracker),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200)과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장치(100) 사이에 주고받은 데이터 이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트랜잭션 처리 모듈(402)에 의해 수신 및 처리되는 트랜잭션은, 임의의 노드(400)에 의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상의 노드들 중 적어도 일부에 배포된 기타 다양한 트랜잭션(예컨대,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21) 상에서 지원되는 디지털 화폐의 거래 정보 또는 기타 스마트 계약 정보를 포함한 트랜잭션 등을 포함하며,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 모듈(404)은, 노드(20)가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상에서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다른 노드들(300)과 통신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 모듈(404)은, 블록체인 트랜잭션이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상에 배포되도록 할 수 있고, 아울러 통신망을 통하여 다른 노드들(300)로부터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상의 각종 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블록 생성/검증 모듈(406)은,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를 위한 블록을 생성하고,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상에서 발생한 트랜잭션들을 모아서 적절한 헤더 정보와 함께 그 생성된 블록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블록 생성/검증 모듈(406)은, 생성된 블록을 통신 모듈(404)을 통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상에 공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블록 생성/검증 모듈(406)은,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상에 공지된, 다른 노드(20)에 의하여 생성된 블록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블록체인 분산원장 저장 모듈(408)은,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블록체인 분산원장(즉, 트랜잭션들의 이력을 모두 포함하는 분산 원장)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블록체인 분산원장 저장 모듈(408)은, 또한,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상의 블록체인으로 구성된 스마트 계약에 관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할 수 있으며, 다만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으로 연결되는 블록(500)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노드(20)에 포함된 블록체인 분산원장 저장 모듈(408)에 저장될 수 있는, 블록체인 및 그에 포함된 각 블록(500)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블록체인은 서로 연결된 복수의 블록들을 포함하며, 각 블록(500)은 블록 헤더(502)와 복수의 트랜잭션 정보(504a-504n)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블록 헤더(502)는, 이전 블록 헤더의 해시(hash) 값, 넌스(nonce) 값, 해당 블록(500)에 포함될 트랜잭션 정보들(504a-504n)의 머클루트, 블록(500)이 생성된 시간을 나타내는 타임스탬프, 해당 블록(500)의 채굴 난이도 등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블록(500)에 포함된 복수의 트랜잭션 정보(504a-504n)는,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 노드들(300)로부터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상에 배포된 복수의 트랜잭션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블록(500)의 트랜잭션 정보(504a-504n)는, 노드(20)를 통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상에 배포된 트랜잭션, 즉 서버(100)가 일 실시예를 위해 생성한 각종 거래와 송수신 정보와 관련된 트랜잭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 스마트 컨트랙트 관리부(162)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 및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인 정의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정의서는 컨트랙트 당사자가 스마트 컨트랙트로 구현하고자 하는 내용(어떤 조건에서 컨트랙트를 자동으로 성립시키는지 등)을 포함하는 코드로, 정의서는 Solidity, Vyper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정의서는 템플릿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템플릿은 법률 산문과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가 혼합된 재사용 가능한 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템플릿은 메타 데이터, 조건문, 계산, 스마트 계약 논리, 서명,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 관리부(162)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리자 단말(201) 등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 관리부(162)는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의서를 컴파일(Compile)하여, 바이트 코드(Byte Code)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바이트 코드는 스마트 컨트랙트의 실행 프로그램으로, 이더리움과 같은 각종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서 이해되고 실행될 수 있는 기계어 코드를 의미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 관리부(162)는 블록체인 관리부(161)를 제어하여, 바이트 코드를 블록에 삽입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트랜잭션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올려진 블록의 유효성은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내부에서 분산 합의 절차를 통하여 검증된다. 이로써, 스마트 컨트랙트가 생성되는 것이다.
스마트 컨트랙트 관리부(162)는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자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컨트랙트 실행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컨트랙트 실행 데이터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로, 일례로 사용자 주소, 스마트 컨트랙트의 함수 주소, 매개 변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 관리부(162)는 실행 데이터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할 수 있으며, 실행 결과를 블록에 삽입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올려진 블록의 유효성은 역시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내부에서 분산 합의 절차를 통하여 검증되고, 검증이 완료되면 컨트랙트가 완료된 것으로 인정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하여 소유권 이전, 상속 및 증여 등에 사용될 수 있는데, 컨트랙트 이행을 위한 조건을 스마트 컨트랙트에 명기해 놓으면, 조건 충족과 동시에 컨트랙트 내용의 이행이 자동 실현되므로, 컨트랙트 이행을 촉구하기 위한 추가적인 관리 비용이나 컨트랙트 불이행의 위험 또한 원천적으로 배제될 수 있다.
정의서 분류부(163)는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의서를 이용하여, 정의서 분류 모델(32)을 통해 스마트 컨트랙트의 카테고리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카테고리 정보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i) 정의서의 구현 언어, (ii) 컨트랙트의 업종, (iii) 컨트랙트의 업종 등에 기초하여 분류하는 분류 정보이다. 카테고리 정보에 대해서는 이하 도 10에서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정의서 분류부(163)는 관리자 단말(201)로부터 입력된 정의서 분류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의서 분류 모델(32)을 학습할 수 있다.
정의서 분류부(163)는 학습된 정의서 분류 모델(32)에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의서를 입력하여, 해당 스마트 컨트랙트의 카테고리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정의서 분류 모델(32)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정의서 분류부(163)는 정의서 분류 모델 학습부(31) 및 정의서 분류 모델(32)을 포함할 수 있다. 정의서 분류 모델 학습부(31) 및 정의서 분류 모델(32)은 정의서 분류부(163)의 기능에 따라 나눠진 구성으로, 정의서 분류부(163)에서 해당 기능을 모두 실시 가능함은 자명하다 하겠다.
일 실시예의 정의서 분류 모델(32)로서 인공 신경망(Artifical Neural Netwrok)이 이용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많은 수의 인공 뉴런(또는, 노드)들을 이용하여 생물학적인 시스템의 계산 능력을 모방하는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로 구현된 예측 모델이다.
정의서 분류 모델(32)은 정의서 분류 모델 학습부(31)에 의해서 정의서 분류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도 학습될 수 있다. 이때 지도 학습이란, 입력값과 그에 따른 출력값이 있는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이용하여 주어진 입력값에 따른 출력값을 찾는 학습을 의미하며, 정답을 알고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을 의미한다. 지도 학습에 주어지는 입력값과 출력값 세트를 훈련 데이터(Training Data)라고 한다. 즉, 상술한 정의서는 입력 값, 카테고리 정보는 출력 값으로서, 정의서 분류 모델(32)의 지도 학습을 위한 훈련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정의서 분류 모델 학습부(31)는, 정의서를 고유한 제1 원-핫 벡터(one-hot vector)로 변환하여 입력값을 생성하고, 해당 스마트 컨트랙트서의 카테고리 정보를 고유한 제2 원-핫 벡터로 변환하여 출력값을 생성한 후, 생성된 입력값과 출력값을 이용해 정의서 분류 모델(32)를 지도학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원-핫 벡터 및 제2 원-핫 벡터는 벡터를 구성하는 성분값들 중 하나가 ‘1’이고, 나머지 성분값들은 ‘0’으로 구성되는 벡터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정의서 분류 모델(32)은, 입력값을 입력받고 제1 원-핫 벡터의 성분 갯수에 상응하는 노드들을 갖는 입력층, 입력층의 출력값 각각에 대하여 연결강도(또는 가중치)를 곱하고, 바이어스(bias)를 더하여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은닉층(hidden layer) 및 은닉층의 출력값 각각에 대하여 연결강도(또는 가중치)를 곱하고, 그 결과를 활성화 함수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출력층(output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활성화 함수는 LeRU 함수 또는 Softmax 함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강도와 바이어스는 지도 학습에 의해 지속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의서 분류 모델(32)은, 주어진 입력값(제1 원-핫 벡터)과 출력값(제2 원-핫 벡터)에 따른 손실 함수(loss function)의 출력값이 최소화되도록 지도학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실 함수(H(Y, Y`))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21101709937-pat00001
수학식 1에서 Ym은 제2 원-핫 벡터의 m번째 성분이고, Y`m은 정의서 분류 모델(32)에서 제1 원-핫 벡터를 입력받아 출력된 출력 벡터의 m번째 성분일 수 있다.
상기 훈련 데이터가 많으면 많을수록 정의서 분류 모델(32)에 대해서 더 많은 지도 학습을 수행하여, 정의서 분류 모델(32)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정의서 분류 모델(32)에는 인공 신경망(Artifical Neural Netwrok)이 이용될 수 있다. 일례로 정의서 분류 모델(32)은 Bi-LSTM(Bidirectional LSTM)이나, 콘벌루셔널 뉴럴 네트워크(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정의서 분류 모델(32)는 관리자 단말(201)로부터 입력된 정의서 분류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의서 분류 모델(32)을 학습할 수 있으며, 학습된 정의서 분류 모델(32)에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의서를 입력하여, 스마트 컨트랙트의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고리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의 카테고리 정보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i) 정의서의 구현 언어, (ii) 컨트랙트의 업종, (iii) 컨트랙트의 업종 등에 기초하여 분류하는 분류 정보로,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카테고리 정보는 제 1 카테고리, 제 2 카테고리, 제 3 카테고리, 제 1 유사도, 제 2 유사도, 그룹 번호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카테고리는 정의서의 구현 언어에 기초한 분류 정보이며, 제 2 카테고리는 스마트 컨트랙트가 사용되는 업종에 기초한 분류 정보이며, 제 3 카테고리는 스마트 컨트랙트가 사용되는 컨트랙트의 종류에 기초한 분류 정보이며, 제 1 유사도는 제 2 카테고리(업종)에서 기 설정된 표준 정의서와의 유사도 값, 제 2 유사도는 제 3 카테고리(컨트랙트의 종류)에서 기 설정된 표준 정의서와의 유사도 값, 그룹 번호는 제 1 유사도 및 제 2 유사도를 기초로 판단된 그룹 번호, 식별 정보는 제 1 카테고리 및 그룹 번호로 기초로 결정된 식별 값이다.
정의서 분류 모델(32)는 입력된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의서를 기초로, 해당 스마트 컨트랙트의 카테고리 정보 중 제 1 카테고리, 제 2 카테고리, 제 3 카테고리, 제 1 유사도 및 제 2 유사도를 도출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정의서 분류부(163)는 정의서 분류 모델(32)에서 도출된 제 1 카테고리, 제 1 유사도 및 제 2 유사도를 이용하여, 카테고리 정보 중 그룹 번호 및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정의서 분류부(163)는 제 1 유사도 및 제 2 유사도를 이용하여, 스마트 컨트랙트의 그룹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정의서 분류부(163)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 1 유사도 및 제 2 유사도를 기초로, 스마트 컨트랙트의 그룹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분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정의서 분류부(163)는 고정 분류 방법을 이용하여, 제 1 유사도 및 제 2 유사도를 기초로, 스마트 컨트랙트의 그룹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고정 분류 방법에 의하면, 정의서 분류부(163)는 기 설정된 기준 좌표에 제 1 유사도 및 제 2 유사도를 매핑하고, 매핑된 좌표에 해당되는 그룹 번호를 스마트 컨트랙트의 그룹 번호로 생성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정의서 분류부(163)는 가변 분류 방법을 이용하여, 제 1 유사도 및 제 2 유사도를 기초로, 스마트 컨트랙트의 그룹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가변 분류 방법에 의하면, 정의서 분류부(163)는 현재까지 분류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군집(Clustering)화 할 수 있다. 정의서 분류부(163)는 다양한 군집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현재까지 분류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군집화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군집화 알고리즘은 가까운 것끼리 작은 군집을 형성하고, 가까이에 있는 작은 군집이 결합해서 더 큰 군집을 형성하는 형태의 계층적 군집화(Hierarchical Clustering) 알고리즘일 수 있다. 또한, 군집화 알고리즘은 계층적 구조를 만들지 않고 전체 데이터를 유사한 것들끼리 나누어서 묶는 분할 군집화(Partitioning Clustering) 알고리즘일 수 있다. 계층적 군집화 알고리즘은 단일 연결법, 완전 연결법, 평균 연결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분할 군집화 알고리즘은 k-means 군집화 알고리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k-means 군집화 알고리즘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k-means 군집화 알고리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k-means 군집화 알고리즘은 주어진 데이터를 k개의 클러스터로 묶는 알고리즘으로, 각 클러스터와 거리 차이의 분산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k-means 군집화 알고리즘의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i) 전체 데이터 중에서 무작위로 k개의 데이터를 선택해서 각각을 군집의 초기 중심으로 정한다.
(ii) 각 데이터와 각 군집 중심 간의 거리를 계산한다.
(iii) 각각의 점들을 방금 구한 중심 가운데 제일 가까운 것에 연결지어서 새로이 집합을 나눌 수 있다.
(iv) 각 군집에 대해 배정된 모든 데이터의 평균을 구해서, 이것을 새로운 군집 중심으로 정한다.
(v) 이전 상태와 비교하여 군집의 변화가 있다면, 과정 (ii)로 돌아가고, 그렇지 않으면 종료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정의서 분류부(163)는 다양한 군집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현재까지 분류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군집화 할 수 있다. 군집의 개수 k는 일반적으로 3 이상으로 설정하고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다.
정의서 분류부(163)는 생성된 군집을 그룹으로 생성하여 좌표에 매핑할 수 있으며, 제 1 유사도 및 제 2 유사도의 좌표에 해당되는 그룹 번호를 스마트 컨트랙트의 그룹 번호로 생성할 수 있다.
정의서 분류부(163)는 제 1 카테고리 및 그룹 번호를 이용하여, 스마트 컨트랙트의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정의서 분류부(163)는 제 1 카테고리의 식별 값 및 그룹 번호를 조합하여, 스마트 컨트랙트의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레포지토리 구축부(164)는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는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의서, 바이트 코드 및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레포지토리 구축부(164)는 생성된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를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310)에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의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310)는 블록체인 또는 보안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310)가 블록체인으로 구성된 경우, 레포지토리 구축부(164)는 생성된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트랜잭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310)가 보안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 경우, 레포지토리 구축부(164)는 생성된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를 암호화하여 보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로써, 일 실시예는 스마트 컨트랙트가 카테고리별로 분류되어 저장된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를 구축할 수 있다.
정의서 분석부(165)는 스마트 컨트랙트의 질의 정보를 이용하여, 정의서 분석 모델(52)을 통해 스마트 컨트랙트의 카테고리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정의서 분석 모델(52)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정의서 분석부(165)는 정의서 분석 모델 학습부(51) 및 정의서 분석 모델(52)을 포함할 수 있다. 정의서 분석 모델 학습부(51) 및 정의서 분석 모델(52)은 정의서 분석부(165)의 기능에 따라 나눠진 구성으로, 정의서 분석부(165)에서 해당 기능을 모두 실시 가능함은 자명하다 하겠다.
정의서 분석 모델 학습부(51)는 수신된 정의서 분석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의서 분류 모델(164)을 학습할 수 있다. 여기서, 정의서 분석 학습 데이터는, 입력값으로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스마트 컨트랙트의 질의 정보를 갖고, 이에 대응하는 스마트 컨트랙트의 카테고리 정보를 출력값으로 갖는 훈련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스마트 컨트랙트 질의 정보는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스마트 컨트랙트의 특징 정보로, 정의서 언어 관련 정보, 업종 관련 정보, 컨트랙트 종류 관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정의서 분석 모델 학습부(51)는 질의 정보를 고유한 제1 원-핫 벡터로 변환하여 입력값을 생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정보를 고유한 제2 원-핫 벡터로 변환하여 출력값을 생성한 후, 생성된 입력값과 출력값을 정의서 분석 모델(52)에 지도학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원-핫 벡터 및 제2 원-핫 벡터는 벡터를 구성하는 성분값들 중 하나가 ‘1’이고, 나머지 성분값들은 ‘0’으로 구성되는 벡터일 수 있다.
정의서 분류 모델(32)과 마찬가지로, 일 실시예의 정의서 분석 모델(52)에도 인공 신경망(Artifical Neural Netwrok)이 이용될 수 있다. 일례로 정의서 분석 모델(52)은 Bi-LSTM(Bidirectional LSTM)이나, 콘벌루셔널 뉴럴 네트워크(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로 구현될 수 있다.
정의서 분석 모델(52)은 정의서 분석 모델 학습부(51)에 의해서 질의 정보와 대응되는 카테고리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 학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의서 분석 모델(52)은 정의서 분류 모델(32)과 마찬가지로, 주어진 입력값(제1 원-핫 벡터)과 출력값(제2 원-핫 벡터)에 따른 손실 함수(loss function)의 출력값이 최소화되도록 지도학습될 수 있다. 여기서 손실 함수는 수학식 1과 동일할 수 있다.
지도학습이 완료된 이후, 정의서 분석부(165), 학습된 정의서 분석 모델(52)에 스마트 컨트랙트의 질의 정보를 입력값으로 입력하고, 정의서 분석 모델(52)의 출력값으로, 스마트 컨트랙트의 카테고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정의서 분석 모델(52)은 정의서 분류 모델(32)과 달리, 스마트 컨트랙트의 카테고리 정보 모두를 출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검색부(166)는 정의서 분석 모델(52)에서 출력된 카테고리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가진 유사 스마트 컨트랙트를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310)에서 추출하여, 유사 스마트 컨트랙트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검색부(166)는 생성된 유사 스마트 컨트랙트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유사 스마트 컨트랙트에 해당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방법은 정의서 수신 동작(S100), 카테고리 정보 생성 동작(S110), 그룹핑 동작(S120), 식별 정보 생성 동작(S130),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 생성 동작(S140) 및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 저장 동작(S150)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정의서 데이터 수신 동작(S100)으로, 제어부(16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의서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카테고리 정보 생성 동작(S110)으로, 제어부(160)는 수신된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의서를 정의서 분류 모델(32)에 입력하여, 스마트 컨트랙트의 카테고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그룹핑 동작(S120)으로, 제어부(160)는 카테고리 정보 중 제 1 유사도 및 제 2 유사도를 이용하여, 스마트 컨트랙트의 그룹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 정보 생성 동작(S130)으로, 제어부(160)는 카테고리 정보 중 제 1 카테고리 및 그룹 번호를 이용하여, 스마트 컨트랙트의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 생성 동작(S140)으로, 제어부(160)는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의서, 바이트 코드,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 저장 동작(S150)으로, 제어부(160)는 생성된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를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31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 검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 검색 방법은 스마트 컨트랙트 질의 정보 수신 동작(S200), 카테고리 정보 추출 동작(S210), 유사 스마트 컨트랙트 추출 동작(S220), 유사 스마트 컨트랙트 리스트 전송 동작(S230) 및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 전송 동작(S240)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스마트 컨트랙트 질의 정보 수신 동작(S200)으로, 제어부(16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스마트 컨트랙트 질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카테고리 정보 추출 동작(S210)으로, 제어부(160)는 스마트 컨트랙트 질의 정보를 정의서 분석 모델(52)에 입력하여, 스마트 컨트랙트의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유사 스마트 컨트랙트 추출 동작(S220)으로, 제어부(160)는 추출된 카테고리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가진 유사 스마트 컨트랙트를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310)에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유사 스마트 컨트랙트 리스트 전송 동작(S230)으로, 제어부(160)는 추출된 유사 스마트 컨트랙트의 리스트를 생성하여, 생성된 유사 스마트 컨트랙트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 전송 동작(S240)으로, 제어부(16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유사 스마트 컨트랙트에 해당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도이다. 이하, 도 16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2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참고로, 일 실시예의 관리자 단말(201)도 사용자 단말(200)과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의 무선 통신 또는 사용자 단말(200)와 사용자 단말(2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10)는 방송 수신 모듈(211), 이동통신 모듈(212), 무선 인터넷 모듈(213), 근거리 통신 모듈(214) 및 위치정보 모듈(2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2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3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2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2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200)에 내장되거나 외장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215)은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들 수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2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221)와 마이크(2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2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3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2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2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2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2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동작을 받아들여, 사용자 단말(2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센싱부(24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사용자 단말(200)의 방위, 사용자 단말(2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2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인터페이스부(270)는 사용자 단말(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251)와 음향 출력 모듈(252), 알람부(2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1)와 터치 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1)는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2)은 호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352)은 사용자 단말(2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2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253)는 사용자 단말(2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메모리(260)는 제어부(2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2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통상적으로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2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281)은 제어부(2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2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280)는 전술한 일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200)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한다.
전원 공급부(29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상술한 일 실시예의 동작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때 사용자 단말(200)에는 서버(100)와 통신하여 상술한 일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도 17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도 17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관리자 단말(201),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및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310) 중 적어도 일부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례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음 설명에서,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관리자 단말(201),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및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310) 중 적어도 하나는 노드(node)나 단말(terminal)로 통칭, 또는 약칭될 수 있으며, 제1 노드(장치)는 앵커/도너 노드 또는 앵커/도너 노드의 CU(centralized unit) 일 수 있고, 제2 노드(장치)는 앵커/도너 노드 또는 릴레이 노드의 DU(distributed unit) 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을 사용하는 노드의 일부로 기지국(base station, BS), 단말, 서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 및 단말에 무선 액세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이다. 기지국은 신호가 전송될 수 있는 거리에 따라 소정의 지리적 영역으로 정의된 커버리지를 갖는다.
기지국은 "기지국"과 마찬가지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노드비(enodeb, eNB)", "5 세대(5th generation, 5G) 노드",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 단말 및 단말은 밀리미터 파(millimeter wave, mmWave) 대역(예: 28GHz, 30GHz, 38GHz, 60GHz)으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채널 이득 향상을 위해 기지국, 단말 및 단말은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은 송신 빔포밍 및 수신 빔포밍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지국, 단말 및 단말은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에 지향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 단말 및 단말은 빔 탐색 절차 또는 빔 관리 절차를 통해 서빙 빔을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통신은 서빙 빔을 운반하는 자원과 준 동일위치(quasi co-located) 관계에 있는 자원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첫 번째 안테나 포트 및 두 번째 안테나 포트는 첫 번째 안테나 포트의 심볼이 전달되는 채널의 대규모 속성이 두 번째 안테나 포트의 심볼이 전달되는 채널에서 유추될 수 있는 경우 준 동일위치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대규모 속성은 지연 확산, 도플러 확산, 도플러 시프트, 평균 이득, 평균 지연 및 공간 Rx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예시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모듈(module)", "-부(unit)"또는 "-er"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처리하는 유닛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기지국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 저장부(storage unit 및 컨트롤러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표준에 따라 베이스 밴드 신호와 비트 스트림 간의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전송 비트 스트림을 인코딩 및 변조하여 복합 심볼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수신 비트 스트림을 재구성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표준에 따라 베이스 밴드 신호와 비트 스트림 간의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전송 비트 스트림을 인코딩 및 변조하여 복합 심볼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수신 비트 스트림을 재구성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베이스 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전송한 후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대역 신호를 베이스 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송신 필터(transmission filter), 수신 필터(reception filter), 증폭기(amplifier), 믹서(mixer), 발진기(oscillator),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igital-to-analog convertor, DAC),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to-digital convertor,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송수신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측면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유닛과 아날로그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아날로그 유닛은 동작 전력, 동작 주파수 등에 따라 복수의 서브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송신기(transmitter)", "수신기(receiver)"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수신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수행되는 처리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내의 다른 노드와 통신을 수행하기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는 다른 노드로 전송되는 비트 스트림을 변환하고, 예를 들어, 다른 액세스 노드, 다른 기지국, 상위 노드 또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코어 네트워크는 물리적 신호로,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된 물리적 신호를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저장부는 기본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는 휘발성 메모리, 비 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 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컨트롤러는 저장부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읽는다. 컨트롤러는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 따르면, 프로토콜 스택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트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기지국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도너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에 관한 상기 도너 노드와 관련된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릴레이 노드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에 관한 상기 릴레이 노드와 관련된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말에 대한 데이터를 릴레이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를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 중 라디오 베어러는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를 통합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라디오 베어러 및 라디오 베어러에 의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라디오 베어러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메시지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터미널의 식별;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종류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의해 전달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도너 노드와 릴레이 노드 사이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해 설정된 터널에 대한 정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라디오 베어러 매핑 정보; 도너 노드 측면의 주소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 측의 주소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하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해 새로운 주소를 라디오 베어러에 할당하도록 릴레이 노드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릴레이 노드가 사용할 수 없는 주소 정보 목록; 및 보안 구성과 관련된 정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터미널의 식별; 릴레이 노드에 의해 승인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의해 승인되지 않은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의해 부분적으로 승인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라디오 베어러 매핑 정보; 릴레이 노드가 생성한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구성 정보; 릴레이 노드 측의 주소에 대한 정보; 및 보안 구성과 관련된 정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너 노드는 도너 노드의 중앙 유닛을 포함하고, 릴레이 노드는 도너 노드의 분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릴레이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도너 노드로부터,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에 관한 도너 노드와 관련된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단말에 대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에 관한 릴레이 노드와 관련된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도너 노드로 전송하고; 도너 노드로부터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를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 중 라디오 베어러는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를 통합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라디오 베어러 및 라디오 베어러에 의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라디오 베어러에 의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메시지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터미널의 식별;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종류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의해 전달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도너 노드와 릴레이 노드 사이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해 설정된 터널에 대한 정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라디오 베어러 매핑 정보; 도너 노드 측면의 주소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 측의 주소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하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해 새로운 주소를 라디오 베어러에 할당하도록 릴레이 노드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릴레이 노드가 사용할 수 없는 주소 정보 목록; 및 보안 구성과 관련된 정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터미널의 식별; 릴레이 노드에 의해 승인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의해 승인되지 않은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의해 부분적으로 승인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라디오 베어러 매핑 정보; 릴레이 노드가 생성한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구성 정보; 릴레이 노드 측의 주소에 대한 정보; 및 보안 구성과 관련된 정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너 노드는 도너 노드의 중앙 유닛을 포함하고, 릴레이 노드는 도너 노드의 분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설명하는 단말의 구성요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범용적인 단말의 구성요소로서 전술한 내용들에 따른 단말의 구성요소와 병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고, 일부 중첩되거나 상충되는 범위에서 앞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이 우선적용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모듈", "-유닛"또는 "-er"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처리하는 유닛을 의미할 수 있다.
단말은 통신 인터페이스, 저장부 및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표준에 따라 베이스 밴드 신호와 비트 스트림 간의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는 전송 비트 스트림을 인코딩 및 변조하여 복합 심볼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시 통신 인터페이스는 베이스 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여 수신 비트 스트림을 재구성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베이스 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전송한 후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대역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는 송신 필터(transmission filter), 수신 필터(reception filter), 증폭기(amplifier), 믹서(mixer), 발진기(oscillator),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igital-to-analog convertor, DAC),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to-digital convertor,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송수신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측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예를 들어,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RFIC)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DSP)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RF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통신 인터페이스는 "송신기(transmitter)", "수신기(receiver)"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수신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수행되는 처리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는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는 휘발성 메모리, 비 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 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는 컨트롤러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컨트롤러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컨트롤러는 저장부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읽는다. 컨트롤러는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 따르면, 프로토콜 스택은 통신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트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의 일부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컨트롤러의 일부를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인코딩 및 변조 회로, 디지털 빔포밍 회로, 복수의 전송 경로 및 아날로그 빔포밍 회로를 포함한다.
인코딩 및 변조 회로는 채널 인코딩을 수행한다. 채널 인코딩을 위해 low-density parity check(LDPC) 코드, 컨볼루션 코드 및 폴라 코드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인코딩 및 변조 회로는 성상 매핑(constellation mapping)을 수행함으로써 변조 심볼을 생성한다.
디지털 빔포밍 회로는 디지털 신호(예를 들어, 변조 심볼)에 대한 빔 형성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 회로는 빔포밍 가중 값에 의해 변조 심볼을 다중화한다. 빔포밍 가중치는 신호의 크기 및 문구를 변경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프리코딩 매트릭스(precoding matrix)"또는 "프리코더(precoder)"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빔포밍 회로는 디지털 빔포밍된 변조 심볼을 복수의 전송 경로로 출력한다. 이때, 다중 안테나 기술(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전송 방식에 따라 변조 심볼이 다중화 되거나 동일한 변조 심볼이 복수의 전송 경로에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전송 경로는 디지털 빔포밍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복수의 전송 경로 각각은 인버스 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계산 유닛, 순환 전치(cyclic prefix, CP) 삽입 유닛, DAC 및 상향 변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CP 삽입 부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방식을 위한 것으로 다른 물리 계층 방식(예: 필터 뱅크 다중 반송파(a filter bank multi-carrier): FBMC) 적용시 생략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전송 경로는 디지털 빔포밍을 통해 생성된 복수의 스트림에 대해 독립적인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구현에 따라 복수의 전송 경로의 일부 요소는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날로그 빔포밍 회로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 회로는 빔포밍 가중 값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를 다중화한다. 빔포밍된 가중치는 신호의 크기와 문구를 변경하는데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전송 경로와 안테나 사이의 연결 구조에 따라, 아날로그 빔포밍 회로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송 경로 각각은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복수의 전송 경로는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에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복수의 전송 경로는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2개 이상의 안테나 어레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8)

  1.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을 위한 서버에서 수행되는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방법으로,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의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의서를 정의서 분류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카테고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 정보에 포함된 제 1 유사도 및 제 2 유사도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그룹 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 정보에 포함된 제 1 카테고리 및 상기 그룹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상기 정의서, 상기 정의서가 컴파일된 바이트 코드 및 상기 카테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를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방법.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스마트 컨트랙트 질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질의 정보를 정의서 분석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카테고리 정보 내 식별 정보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가지는 유사 스마트 컨트랙트를 추출하여, 유사 스마트 컨트랙트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유사 스마트 컨트랙트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유사 스마트 컨트랙트의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방법.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정보는
    상기 정의서의 구현 언어에 기초한 분류 정보인 제 1 카테고리,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가 사용되는 업종에 기초한 분류 정보인 제 2 카테고리 및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가 사용되는 컨트랙트 종류에 기초한 분류 정보인 제 3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방법.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사도는,
    상기 제 2 카테고리에서 기 설정된 표준 정의서와의 유사도 값이고,
    상기 제 2 유사도는,
    상기 제 3 카테고리에서 기 설정된 표준 정의서와의 유사도 값인,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방법.
  5. 청구항 1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비일시적 기록매체.
  6.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을 위한 서버에 청구항 1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비일시적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7.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을 위한 서버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의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의서를 정의서 분류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카테고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 정보에 포함된 제 1 유사도 및 제 2 유사도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그룹 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 정보에 포함된 제 1 카테고리 및 상기 그룹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상기 정의서, 상기 정의서가 컴파일된 바이트 코드 및 상기 카테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를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
  8.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시스템으로서,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의서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정의서를 제공받고, 상기 정의서를 분석하여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를 구성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의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의서를 정의서 분류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카테고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 정보에 포함된 제 1 유사도 및 제 2 유사도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그룹 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 정보에 포함된 제 1 카테고리 및 상기 그룹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상기 정의서, 상기 정의서가 컴파일된 바이트 코드 및 상기 카테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를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시스템.
KR1020210116848A 2021-08-31 2021-09-02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방법 및 시스템 KR102432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038A KR102573647B1 (ko) 2021-08-31 2022-08-10 Bi-LSTM 기반의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방법 및 시스템
KR1020220100039A KR102573652B1 (ko) 2021-08-31 2022-08-10 군집 좌표 매핑 기반 정의서 분류를 이용한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366 2021-08-31
KR20210115366 2021-08-31
KR20210116340 2021-09-01
KR1020210116340 2021-09-01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039A Division KR102573652B1 (ko) 2021-08-31 2022-08-10 군집 좌표 매핑 기반 정의서 분류를 이용한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방법 및 시스템
KR1020220100038A Division KR102573647B1 (ko) 2021-08-31 2022-08-10 Bi-LSTM 기반의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891B1 true KR102432891B1 (ko) 2022-08-18

Family

ID=8311214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848A KR102432891B1 (ko) 2021-08-31 2021-09-02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방법 및 시스템
KR1020220100038A KR102573647B1 (ko) 2021-08-31 2022-08-10 Bi-LSTM 기반의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방법 및 시스템
KR1020220100039A KR102573652B1 (ko) 2021-08-31 2022-08-10 군집 좌표 매핑 기반 정의서 분류를 이용한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038A KR102573647B1 (ko) 2021-08-31 2022-08-10 Bi-LSTM 기반의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방법 및 시스템
KR1020220100039A KR102573652B1 (ko) 2021-08-31 2022-08-10 군집 좌표 매핑 기반 정의서 분류를 이용한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328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73170A (zh) * 2023-12-27 2024-01-30 布比(北京)网络技术有限公司 基于代码表征的智能合约模版推荐方法、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61757A (ja) * 2011-09-13 2013-04-04 Hitachi Solutions Ltd 文書分類方法
KR102008001B1 (ko) * 2019-02-21 2019-08-06 주식회사 모파스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스마트 계약을 생성하는 시스템
JP2021015387A (ja) * 2019-07-11 2021-02-12 株式会社サイトビジット スマートコントラクト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61757A (ja) * 2011-09-13 2013-04-04 Hitachi Solutions Ltd 文書分類方法
KR102008001B1 (ko) * 2019-02-21 2019-08-06 주식회사 모파스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스마트 계약을 생성하는 시스템
JP2021015387A (ja) * 2019-07-11 2021-02-12 株式会社サイトビジット スマートコントラクト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73170A (zh) * 2023-12-27 2024-01-30 布比(北京)网络技术有限公司 基于代码表征的智能合约模版推荐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7473170B (zh) * 2023-12-27 2024-04-09 布比(北京)网络技术有限公司 基于代码表征的智能合约模版推荐方法、装置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903A (ko) 2023-03-07
KR102573647B1 (ko) 2023-09-06
KR102573652B1 (ko) 2023-09-06
KR20230032904A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16577B (zh) 一种区块链服务系统
US10733082B2 (en) Computer program and server for executing test group distribution method
CN103003797A (zh) 用于分配计算闭包的方法和装置
US202200299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Modified Loss Function in Federated-Split Learning
CN104798082A (zh) 用于提供用于数据流的隐私策略的方法和装置
CN102576404A (zh) 用于确定社会网络关系的方法和装置
US9092499B2 (en) Synchronizing endpoint data stores having disparate schemas
US20210133729A1 (en) Blockchain transaction control based on private key management
KR102573647B1 (ko) Bi-LSTM 기반의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방법 및 시스템
CN111400504A (zh) 企业关键人的识别方法和装置
US20230107956A1 (en) Digital map truth maintenance
US10733035B1 (en) Dynamic optimization of application workflows
CN114556381A (zh) 开发机器学习模型
KR20240013020A (ko)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보험금 청구와 관련된 정보에 따라 의료기관의 경영 정보를 단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1930020B2 (en) Detection and mitigation of security threats to a domain name system for a communication network
KR20230019782A (ko) Cnn 기반의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부동산 중개 시스템 및 방법
CN113033209B (zh) 文本关系抽取方法、装置、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Weng et al. A mobile computing technology foresight study with scenario planning approach
KR102414167B1 (ko)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 패킷 센딩을 통한 보안 방법 및 장치
KR102450274B1 (ko)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토큰 채굴을 이용한 포토 스튜디오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102421786B1 (ko) 경매 기반의 부동산 중개 시스템 및 방법
Paavolainen et al. Decentralized beacons: Attesting the ground truth of blockchain state for constrained IoT devices
CN111786937B (zh) 用于识别恶意请求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介质
CN114143333A (zh) 预言机数据处理方法及中心化预言机模块
KR102510353B1 (ko) 블록체인 기반 골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