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537B1 - 3D Level - Google Patents

3D Lev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537B1
KR102432537B1 KR1020200048223A KR20200048223A KR102432537B1 KR 102432537 B1 KR102432537 B1 KR 102432537B1 KR 1020200048223 A KR1020200048223 A KR 1020200048223A KR 20200048223 A KR20200048223 A KR 20200048223A KR 102432537 B1 KR102432537 B1 KR 102432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level
horizontal
unit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2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30000A (en
Inventor
김경환
Original Assignee
김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환 filed Critical 김경환
Priority to KR1020200048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537B1/en
Publication of KR20210130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0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5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8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3차원 수평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평면에 대하여 수평을 확인하기 위한 3차원 수평계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계는, 액체가 소정의 부피를 차지하며 내부공간에 저장되는 구형의 수평계본체와, 상기 수평계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액체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부와, 상기 수평계본체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카트리지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lev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three-dimensional level for checking a level with respect to one or more planes.
The lev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spherical level body in which a liquid occupies a predetermined volume and is stored in an internal space, and a position display unit tha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vel body and displays the position of the liquid And, it includes a cartridge part in which the insertion part into which the leveling body is inserted is formed.

Description

3차원 수평계{3D Level}3D Level {3D Level}

본 개시내용은 3차원 수평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평면에 대하여 수평을 확인하기 위한 3차원 수평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lev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three-dimensional level for checking a level with respect to one or more planes.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material described in this section is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inclusion in this section is not an admission that it is prior art.

일반적으로 수평계는 고대에서부터 현재까지 건축현장 등에서 수평을 잡는데 사용하는 보편적인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물수평계인데, 호스 내부에 물을 담아놓으면 대기압에 의하여 호스 양쪽의 물의 높이가 같다는 원리를 이용하여 수평을 잡는 것이다. 또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 플라스틱관 내부에 알코올 등을 채우되 미세한 공간을 남긴상태로 가득 채우고 플라스틱관 양측을 폐쇄해 내부 공간에 형성된 공기방울의 움직임을 관측해 수평을 확인하는 수평계도 다수 사용되고 있으며, 수평을 맞춰야 하는 기계적 장치, 예를 들면 세탁기나 카메라삼각대, 측량기와 같은 장치에 설치되어 수평확인을 위해 사용된다.In general, the level has been used as a universal tool for leveling in construction sites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Among them, the most used is a water leveling system. When water is put inside the hose, it is leveled using the principle that the water level on both sides of the hose is the same due to atmospheric pressure. In addition, there are many levelers that fill the inside of a plastic tube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with alcohol, etc. but leave a fine space and close both sides of the plastic tube to observe the movement of air bubbles formed in the inner space to check the level. It is used and installed in a mechanical device that needs to be leveled, for example, a washing machine, a camera tripod, or a measuring instrument, and is used to check the level.

여기서, 상기 수평계의 경우 기본적으로 평면에 설치되어 평면의 수평이 맞는지를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수평계의 형상은 평면 위에 설치되거나 평면에 평행하면서 평면 내부에 매립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수평계는 지면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2차원의 평면에 설치되어 해당 평면이 수평인지 여부만 확인할 수 있으며, 평면이 수직 설치되는 수직면의 경우 정확하게 수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평계의 경우, 한 평면에 대한 수평상태만 확인이 가능하며, 두 개 이상의 평면, 즉 공간에 대한 전체적인 수평상태를 확인하기는 어렵다는 단점이 존재한다.Here, in the case of the leveling system, it is basically installed on a plane and used for checking whether the plane is horizontal. In particular, the shape of the leveling system is generally installed on a plane or embedded in a plane while being parallel to the plane. However, since the level is installed on a two-dimensional plane installed parallel to the ground, it can only be checked whether the corresponding plane is horizontal, and in the case of a vertical plane where the plane is installed vertical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check whether it is exactly vertical.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horizontal system, it is possible to check only a horizontal state for one plane,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overall horizontal state for two or more planes, that is, a space.

1. 한국 특허공개 제10-2009-0058725호(2009.06.10 공개)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58725 (published on June 10, 2009)

지면과의 수평상태뿐만 아니라, 수직면에 대해 수평상태를 유지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수평계를 제공하고자 한다.It is intended to provide a leveling system that can check whether it maintains the horizontal stat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lane as well as the horizontal state with the groun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obvious that another technical problem may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계는, 액체가 소정의 부피를 차지하며 내부공간에 저장되는 구형의 수평계본체와, 상기 수평계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액체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부와, 상기 수평계본체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카트리지부를 포함한다.The lev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spherical level body in which a liquid occupies a predetermined volume and is stored in an internal spac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vel body, and a position display unit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liquid And, it includes a cartridge part in which the insertion part into which the leveling body is inserted is formed.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위치표시부는, 상기 수평계본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수평표시부와, 상기 수평표시부에 수직방향으로 수평계본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수직표시부와, 상기 수평표시부와 수직표시부 사이에서 수평계본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경사각표시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osition display unit includes a horizontal display unit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evel body, a vertical display unit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evel body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horizontal display unit, and the horizontal display unit and and one or more inclination angle display unit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evel body between the vertical display units.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위치표시부는,상기 수평계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다각형의 조합으로 구성되되, 상기 복수의 다각형의 각 변이 서로 접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osition display unit, Doedo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polygon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ody, each side of the plurality of polygo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to contact each other.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평표시부 및 수직표시부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돋보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agnifying glass that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rizontal display portion and the vertical display portion.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카트리지부의 일면에서 상기 삽입부에 결합 설치되는 리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ead part coupled to the insertion part on one surface of the cartridge part.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카트리지부는 연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카트리지부의 일면 외측부를 따라 형성되며, 삽입된 수평계본체를 지지하는 단턱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artridge portion is made of a soft, formed along the outer side of one surface of the cartridg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ped portion for supporting the inserted leveling body is further formed.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두 개 이상의 평면을 구성하는 입체공간에 대한 전체적인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overall horizontal state of the three-dimensional space constituting two or more planes can be checked.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직면에 대한 경사각을 측정함으로써 수직으로 세워진 기구가 직립하는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easily determined whether a vertically erected instrument is upright by measuring an angle of inclination with respect to a vertical plane.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수평계의 사시도.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계의 사시도.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계의 사시도.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계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계가 결합된 기구의 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ior art level.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v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v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4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lev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5 is a state diagram of the mechanism coupled to the lev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평계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peration and effect of the horizont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or reference, in the following drawings, each component is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reflect the actual size.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components in individual drawings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계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사용상태도를 나타낸다.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level gau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2 shows a state diagram in use.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계는, 액체가 소정의 부피를 차지하며 내부공간에 저장되는 구형의 수평계본체(10)와, 상기 수평계본체(10)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액체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부(20)와, 상기 수평계본체(10)가 삽입되는 삽입부(31)가 형성되는 카트리지부(30)를 포함한다.The lev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spherical leveling body 10 in which a liquid occupies a predetermined volume and is stored in an internal space, an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veling body 10, the liquid It includes a position display unit 20 for indicating a position, and a cartridge unit 30 in which the insertion unit 31 into which the leveling body 10 is inserted is formed.

상기 수평계본체(10)는 기본적으로 내부에 구형의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형으로 이루어지며, 쉽게 깨지지않는 유리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평계본체(10)의 내부에는 전체 부피의 반정도를 차지하는 알코올 등의 액체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액체는 수평계본체(10)가 놓여진 기구가 지면에 수평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척도로 사용되며, 또한 지면에 수직한지 여부 및 어느정도 경사졌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척도로도 사용된다.The level body 10 is basically made of a spherical shape forming a spherical closed space therein, and may be made of glass or plastic material that is not easily broken. A liquid such as alcohol occupying about half of the total volume may be inserted into the leveling body 10 . The liquid is used as a measure for confirming whether the instrument on which the leveling body 10 is placed is horizontal to the ground, and is also used as a measure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it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how inclined it is.

다음으로, 상기 수평계본체(10)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액체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위치표시부(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위치표시부(20)는 눈금자와 같은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구성으로, 수평이 맞지 않는 기구에 결합된 수평계본체(10)는 액체의 위치가 변하게 되고 이를 상기 위치표시부(20)를 통하여 어느정도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Next, i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veling body 10, and further includes a position display unit 20 for informing the user of the position of the liquid. The position display unit 20 is configured to indicate a position such as a ruler, and the level body 10 coupled to a non-horizontal mechanism changes the position of the liquid, and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through the position display unit 20 You can check if it exists.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위치표시부(20)는, 상기 수평계본체(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수평표시부(21)와, 상기 수평표시부(21)에 수직방향으로 수평계본체(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수직표시부(23)와, 상기 수평표시부(21)와 수직표시부(23) 사이에서 수평계본체(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경사각표시부(25)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osition display unit 20 includes a horizontal display unit 21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evel body 10 and a level body 10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horizontal display unit 21 . ) includes a vertical display unit 23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and at least one inclination angle display unit 25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evel body 10 between the horizontal display unit 21 and the vertical display unit 23 .

상기 위치표시부(20)는 수평계본체(10)가 구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액체의 위치변화는 기준점을 중심으로 위치의 변화뿐만 아니라 그 경사진 정도까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표시부(20)는, 수평계본체(10)의 둘레를 따라 지면에 평행한 정도를 표시해주는 수평표시부(21) 및 수직표시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표시부(21)는 수평계본체(10)가 설치된 기구가 수평인지 여부를 확인해주는 기능을 하며, 수직표시부(23)는 수직인지 여부를 확인해주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수평계본체(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수평표시부(21) 및 수직표시부(23)를 기준으로 액체의 위치가 해당 표시부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수평뿐만 아니라 수직위치에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As the position display unit 20 has a spherical shape of the level body 10,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position change of the liquid as well as the change in position around the reference point as well as the degree of inclination thereof. Accordingly, the position display unit 20 may include a horizontal display unit 21 and a vertical display unit 23 that display the degree of parallelism to the groun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evel body 10 . The horizontal display unit 21 functions to confirm whether the instrument in which the level body 10 is installed is horizontal, and the vertical display unit 23 functions to confirm whether it is vertical. Therefore, by check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liquid is in the corresponding display unit based on the horizontal display unit 21 and the vertical display unit 23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evel body 10, it can be known whether the liquid is in a vertical as well as horizontal position. there will be

다음으로, 상기 수평표시부(21)와 수직표시부(23) 사이에서 수평계본체(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경사각표시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각표시부(25)는 수평계본체(10)의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30° 단위간격을 가질 수 있으며, 15° 단위간격을 가질 수도 있다.Next, it may include one or more inclination angle display units 25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evel body 10 between the horizontal display unit 21 and the vertical display unit 23 . The inclination angle display unit 25 is composed of one or mor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evel body 10, and preferably has a 30° unit interval, and may have a 15° unit interval.

수평표시부(21)와 수직표시부(23) 사이에서 어느정도의 경사각을 가지는지 확인할 수 있는 척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평계본체(10)가 소정각도 회전하는 경우, 내부에 저장된 액체는 지면과 수평을 유지하되 수평계본체(10)만이 회전하는 것이므로 그에 따라 상기 수평표시부(21), 수직표시부(23) 및 경사각표시부(25) 중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수평계본체(10)가 설치된 기구의 위치를 조정하여 입체적인 평형을 맞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It may be a measure for checking how much inclination angle is between the horizontal display unit 21 and the vertical display unit 23 . For example, when the level main body 10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liquid stored therein maintains the level with the ground, but only the level main body 10 rotates, so the horizontal display unit 21 and the vertical display unit 23 ) and the inclination angle display unit 25, by checking which position it i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mechanism in which the level body 10 is installed to achieve a three-dimensional equilibrium.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평표시부(21) 및 수직표시부(23)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돋보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agnifying glass that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rizontal display unit 21 and the vertical display unit (23).

상기 수평표시부(21)와 수직표시부(23)를 통해 액체의 위치를 파악하고 그 수평상태를 확인함에 있어, 미세한 각도차이가 발생한 경우 이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표시부(21)와 수직표시부(23)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돋보기부(2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돋보기부(27)에 의하여 미세한 각도차이를 확인하고 그의 각도차이만큼 가구 등의 위치를 보정함으로써 수평을 맞출 수 있게 된다.The horizontal display unit 21 and the vertical display unit are used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liquid through the horizontal display unit 21 and the vertical display unit 23 and check the horizontal state thereof. A magnifying glass portion 27 may be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23 . By using the magnifying glass 27 to check a minute difference in angle, and correcting the position of furniture, etc. by the difference in angle, it is possible to level.

즉, 종래 수평계는 테이블과 같은 수평면의 수평을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으나,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계는 수평위치 및 수직위치를 전부 체크하고 기울어진 정도를 확인하고 수평계본체(10)가 설치된 기구의 위치를 재수정함으로써 공간적 평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conventional level was used for checking the level of a horizontal surface such as a table, but the lev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hecks all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s, confirms the degree of inclination, and the level body (10). ), it is possible to maintain spatial equilibrium by re-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installed instrument.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3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lev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위치표시부(20)는,상기 수평계본체(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다각형의 조합으로 구성되되, 상기 복수의 다각형의 각 변이 서로 접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osition display unit 20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polygon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ody 10, and each side of the plurality of polygons is made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characterized.

상기 수평계본체(10) 내부에 저장되는 액체는 종래 수평계와 마찬가지로 전체 부피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가득 채워지며 나머지 영역은 기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표시부(20)는 전술한 수평, 수직, 경사각표시부와는 달리 수평계본체(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복수의 다각형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각형은 기포의 위치를 표시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오각형과 육각형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각형과 육각형의 각 변은 서로 접하도록 이루어져 전체적으로는 수평계본체(10)의 외주면을 감싸게 된다. 여기서, 복수의 오각형과 육각형 각각에는 넘버링이 이루어져, 수평계본체(10)가 기울어져 수평이 맞지 않는 경우 넘버링된 다각형의 위치를 보고, 수평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The liquid stored in the leveling body 10 is filled to occupy most of the total volume as in the conventional leveling level, and the remaining area may be made of air bubbles. In addition, the position display unit 20 may be form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polygon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veling body 10, unlike the above-described horizontal, vertical, and inclination angle display unit. The polygon is configured to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bubble and inform the user thereof, and may preferably be formed of a combination of a pentagon and a hexagon. Here, each side of the pentagon and hexagon is made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veling body 10 as a whole. Here, the numbering is made on each of the plurality of pentagons and hexagons, and when the horizontal body 10 is tilted and not horizontal, the position of the numbered polygon can be viewed and the horizontal position can be adjusted.

마지막으로, 상기 수평계본체(10)가 삽입되는 삽입부(31)가 형성되는 카트리지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계본체(10)가 기구 등에 설치되는 경우 구 형상을 가짐에 따라 기구에 결합 설치될 수 있는 별도용기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계본체(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 형상의 삽입부(31)가 내부에 형성되는 카트리지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부(30)는 바람직하게는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육면체의 일면에 수평계본체(10)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통로가 형성되고 삽입된 이후, 상기 카트리지부(30)를 기구 등에 결합시켜 입체적 평형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부(3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삽입된 수평계본체(10)의 외표면에 형성된 위치표시부(20)를 사용자의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할 수 있다.Finally, it may include a cartridge part 30 in which the insertion part 31 into which the leveling body 10 is inserted is formed. When the leveling body 10 is installed in an appliance, etc., a separate container that can be coupled to the appliance is required as it has a spherical shape. Accordingly, it may further include a cartridge unit 30 in which the spherical insert 31 is formed therein so that the leveling body 10 can be inserted. The cartridge part 30 may preferably have a hexahedral shape, and after an insertion passage for inserting the level body 1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exahedron and inserted, the cartridge part 30 is coupled to a mechanism, etc. It functions to check the three-dimensional equilibrium state. In addition, the cartridge unit 3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position display unit 2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ed leveling body 10 can be confirmed with the naked eye of the user.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카트리지부(30)의 일면에서 상기 삽입부(31)에 결합 설치되는 리드부(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ead part 33 coupled to the insertion part 31 on one side of the cartridge part 30 .

상기 카트리지부(30)에 삽입되는 수평계본체(10)는 결합 이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할 필요가 있으며, 상기 리드부(33)가 삽입부(31)에 끼움결합이나 나사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드부(33)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일단에는 상기 카트리지부(30)의 삽입부(31) 내측면과 상호 작용을 통해 서로 결합, 이탈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leveling body 10 being inserted into the cartridge part 30 from being easily separated after coupling, and the lead part 33 is coupled to the insertion part 31 by fitting or screwing. can be The lead part 33 may be formed in a disk shape, and one end thereof may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31 of the cartridge part 30 .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카트리지부(30)는 연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카트리지부(30)의 일면 외측부를 따라 형성되며, 삽입된 수평계본체(10)를 지지하는 단턱부(35)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artridge unit 30 is made of a soft, formed along the outer side of one surface of the cartridge unit 30, the stepped portion 35 for supporting the inserted leveling body (10) is further formed.

상기 단턱부(35)는 상기 리드부(33)가 카트리지부(30)에 결합되기 전, 수평계본체(10)가 카트리지부(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카트리지부(30)의 일면에서 그 외측부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소정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stepped portion 35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leveling body 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artridge portion 30 before the lead portion 33 is coupled to the cartridge portion 30, and the cartridge portion 30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inwar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uter part from one surface of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oncept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수평계본체
20 : 위치표시부
21 : 수평표시부
23 : 수직표시부
25 : 경사각표시부
30 : 카트리지부
31 : 삽입부
33 : 리드부
35 : 단턱부
10: level body
20: position display unit
21: horizontal display part
23: vertical display
25: inclination angle display part
30: cartridge unit
31: insertion part
33: lead part
35: step part

Claims (6)

액체가 소정의 부피를 차지하며 내부공간에 저장되는 구형의 수평계본체;
상기 수평계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액체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부;
상기 수평계본체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카트리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표시부는,
상기 수평계본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수평표시부;
상기 수평표시부에 수직방향으로 수평계본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수직표시부;
상기 수평표시부와 수직표시부 사이에서 수평계본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경사각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부는,
상기 카트리지부의 일면에서 상기 삽입부에 결합 설치되는 리드부; 및
상기 카트리지부의 일면 외측부를 따라 형성되며, 삽입된 수평계본체를 지지하는 단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부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수평계.
a spherical level body in which the liquid occupies a predetermined volume and is stored in the internal space;
a position display unit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vel body and displaying the position of the liquid;
a cartridge unit in which an insertion unit into which the leveling body is inserted is formed;
including,
The position display unit,
a horizontal display unit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evel body;
a vertical display unit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evel body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horizontal display unit;
one or more inclination angle display unit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evel body between the horizontal display unit and the vertical display unit;
including,
The cartridge unit,
a lead unit coupled to the insertion unit from one surface of the cartridge unit; and
It is formed along the outer side of one surface of the cartridge part, and includes a stepped part for supporting the inserted leveling body,
The cartridge unit is a level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표시부는,
상기 수평계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다각형의 조합으로 구성되되,
상기 복수의 다각형의 각 변이 서로 접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계.
According to claim 1,
The position display unit,
Doedoe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polygon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ody,
A horizont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each side of the plurality of polygons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표시부 및 수직표시부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돋보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계.
According to claim 1,
The leveler further comprising a magnifying glass that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rizontal display unit and the vertical display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부는 연질로 이루어지는 수평계.
According to claim 1,
The cartridge unit is made of a soft level.
KR1020200048223A 2020-04-21 2020-04-21 3D Level KR1024325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223A KR102432537B1 (en) 2020-04-21 2020-04-21 3D Lev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223A KR102432537B1 (en) 2020-04-21 2020-04-21 3D Lev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000A KR20210130000A (en) 2021-10-29
KR102432537B1 true KR102432537B1 (en) 2022-08-12

Family

ID=78231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223A KR102432537B1 (en) 2020-04-21 2020-04-21 3D Lev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53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7716A (en) * 2002-02-04 2003-08-15 Mac:Kk Obliquity measur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101Y1 (en) * 1999-06-26 2003-10-10 임종성 Sloping plate angle meter
KR100443403B1 (en) * 2002-05-02 2004-08-09 임승진 A globular shape water level
KR20090058725A (en) 2007-12-05 2009-06-10 박수철 A level of a sealing liquid
KR20100034792A (en) * 2008-09-25 2010-04-02 황귀원 Lev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7716A (en) * 2002-02-04 2003-08-15 Mac:Kk Obliquity measur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000A (en) 202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2537B1 (en) 3D Level
AU2014223573B2 (en) Reservoir assembly for storing hydrogen peroxide for use with a hydrogen peroxide vaporizer in association with a filler
RU2018145894A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CAPACITY OF GLASS VESSELS
KR101949785B1 (en) Geodetic surveying system for measurement level of ground
KR20100034792A (en) Level
GB2348953A (en) Spirit level device
KR20080004099U (en) A level
RU173513U1 (en) BUILDING LEVEL
KR101546670B1 (en) Clinometer to measure for strike and slope of ground at one time
US3009254A (en) Level
KR200471538Y1 (en) Dice having angle measuring function
KR200334251Y1 (en) Green slant measuring instrument of golf course
CN210321754U (en) Plumb appearance is used in piping lane construction
KR200216510Y1 (en) level ruler equipped with protractor a turning weight
KR960009652Y1 (en) Vertical and horizontal measurement
US11828595B2 (en) Instrument for determining level or plumb orientations
JP3004673U (en) Portable level
KR200278498Y1 (en) Level
KR20140048511A (en) A level
KR20120026865A (en) Slope measurement device
KR200347299Y1 (en) Dropping velocity viewing instrument
US20160258751A1 (en) Spirit level
CN103175511A (en) Lever using buoyancy
KR200323991Y1 (en) Level
KR20080005657A (en) Angle measure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