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106B1 -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2d barcode - Google Patents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2d barc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106B1
KR102432106B1 KR1020190152993A KR20190152993A KR102432106B1 KR 102432106 B1 KR102432106 B1 KR 102432106B1 KR 1020190152993 A KR1020190152993 A KR 1020190152993A KR 20190152993 A KR20190152993 A KR 20190152993A KR 102432106 B1 KR102432106 B1 KR 102432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code
receiving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9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62062A (en
Inventor
박대용
이동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빛나래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4703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50823B1/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빛나래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빛나래소프트
Priority to KR1020190152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106B1/en
Publication of KR20200062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0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1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6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user or device identifiers, e.g. serial number, physical or biometrical information, DNA, hand-signature or measurable physical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제2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QR 코드를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 식별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제2 단말 식별 정보에 기초한 상기 제2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암호화하여 제1 단말 암호화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단말 암호화 정보를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 암호화 정보를 통해 생성되고,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QR 코드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QR 코드를 제1 단말의 복호화 정보로 복호화하여, 정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a QR code. The method includes receiving a first QR code including a secon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second terminal, sending the secon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server, and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based on the secon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s from the server, encrypts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using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to generate first terminal encryp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first terminal encrypt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terminal, Receive a second QR code generated through the first terminal encryption information and including information data from the second terminal, and decrypt the second QR code with the decryp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to obtain information data can

Description

간편 결제를 위해 이차원 바코드를 이용하는 정보 송수신 방법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2D BARCODE}How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using a two-dimensional barcode for simple payment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2D BARCODE}

본 발명은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QR 식별 모듈이 없는 장치에서의 QR 정보 송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및 단말 간 통신에서의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a QR cod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QR information in a device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device and system, and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using a QR code in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t relates to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일반적으로 전자통신 기술의 발전을 통해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핸드폰, 스마트폰 등 다양한 기기들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현재 널리 보급되는 추세이며 많은 사용자들이 이를 이용하여 전화, 이메일, 무선인터넷 등 다양한 작업을 하고 있다. In general, various electronic devices are being made through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various devices such as cell phones and smart phones are widely distributed. These smart phones are currently in widespread use, and many users use them to perform various tasks such as phone calls, e-mails, and wireless Internet.

최근의 스마트폰 등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및 설치하여 마치 자신의 개인용 PC와 같이 핸드폰을 구성할 수 있다는 기술적 장점이 있다. 이러한 핸드폰 개념의 진화에 따라 거래시장에는 스마트폰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사용되고 있다. In the case of a recent smart phone, there is a technical advantage that a user can directly download and install an application to configure the mobile phone like his or her personal PC. According to the evolution of the concept of mobile phones, various types of applications for smartphones are developed, sold, and used in the trading market.

QR 코드는 흑백 격자 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이차원 바코드이다. QR 코드는 단방향으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저장하는 일반 바코드보다 큰 사이즈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여 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QR 코드는 스마트폰 등에 구비된 카메라 또는 별도의 리더기 가 있는 장치를 통한 이미지 캡쳐링을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즉, 표준 QR 코드를 읽을 수 있는 수단을 가진 사용자라면 누구나 QR 코드 내의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다. A QR code is a two-dimensional barcode in a matrix format that displays information in a black and white grid pattern. QR codes are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due to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tore data of a larger size than general barcodes that store numeric or character information in one direction. In general, the QR code can read stored data through image capturing through a camera provided in a smartphone, or a device with a separate reader. That is, any user who has the means to read a standard QR code can view the data in the QR code.

그러나 종래의 QR 코드는 기록된 데이터를 암호화 또는 복호화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지 아니하였는 바, 보안에 민감한 데이터를 저장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예를 들어 우편물에 QR 코드를 이용하여 수취인의 정보를 기 록할 경우 해당 정보는 우편물의 배달 담당자 이외에 누구라도 QR 코드 리더기 등을 통해 스캔할 수 있는 바, 자칫 수취인의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존재하게 된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QR code does not provide a method for encrypting or decrypting recorded data, there is a limit to storing security-sensitive data. For example, if the recipient's information is recorded using a QR code in the mail, anyone other than the person responsible for the delivery of the mail can scan the information through a QR code reader, etc. do.

한편, 레스토랑, 패스트푸드점, 커피전문점 등의 다양한 매장들은 수없이 밀려드는 다수의 주문을 신속하게 처 리하기 위해 POS 단말을 기준으로 매장 주문 시스템의 일정 부분이 자동화되어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소위 "진동벨"이라고 하는 주문식별장치를 주문고객에게 지급하여 주문된 상품의 제조가 완료됨과 동시에 주문식별장 치를 통해 고객에게 주문상품을 인도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매장에서 결제에 소요되는 시간은 전혀 줄어들지 않고 있으며, 결제를 위해 소정의 인력이 늘 대 기해야하므로 인건비가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On the other hand, in various stores such as restaurants, fast food restaurants, and coffee shops, certain parts of the store ordering system are automated based on the POS terminal in order to quickly process the countless orders.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 is to provide an order identification device called a “vibration bell” to the ordering customer and deliver the ordered product to the customer through the order identification device at the same time as the production of the ordered product is completed. However, the time required for payment in these stores is not reduced at all,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labor costs are required because a certain manpower must always wait for payment.

그리고, 현재 오프라인 가맹점(공공기관 포함)의 플라스틱 카드 결제 또는 모바일 결제는 CAT단말기, ATM기 또는 POS의 MS Reader기나 RFC(IC카드), NFC,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결국 대부분 각 VAN사의 대리점 유선 통신망(전화, 인터넷)을 이용하게 된다. 이는 각 가맹점의 기기 또는 각 대리점의 관리망을 통한 정보 유출로 인해 고객들의 보안관리에 문제가 생기게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부착 카드정보 유출, VAN대리점 전산 관리망을 통한 정보 유출 등이 존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VAN사에 대한 VAN fee 지급으로 인해 신용카드사의 가맹점 수수료에 대한 수수료 인하가 어려워지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유선 인터넷의 단점인 접촉 불량의 문제로 결제 시간의 지연, 누락 등의 사고가 심심치 않게 일어나고 있다. And, plastic card payment or mobile payment of offline affiliated stores (including public institutions) is currently made through CAT terminals, ATMs, or POS MS Readers, RFCs (IC cards), NFC, and Bluetooth. However, in the end, most of these methods use the agency's wired communication network (telephone, Internet) of each VAN company. This may cause problems in customer security management due to information leakage through each affiliate's device or each agency's management network. For example, there may be leakage of card information attached to a terminal, information leakage through the VAN agency computer management network, and the like. In addition, due to the payment of VAN fees to VAN companies, it is becoming difficult to cut fees for credit card companies' merchant fees. In addition, conventionally, accidents such as delay or omission of payment time due to the problem of poor contact, which is a disadvantage of the wired Internet, are not uncommon.

그리고 종래에는 CAT단말기, POS 공급 시장의 과열 경쟁으로 인한 VAN 시장의 리베이트 지급 등 문제로 현 VAN 대리점들은 피를 말리는 상황에 직면해 있는 것이 사실이다. And in the past, it is true that current VAN dealers are facing a bloody situation due to problems such as rebate payment in the VAN market due to overheating competition in the CAT terminal and POS supply market.

공개특허공보 제10-1669594호, 2016.10.20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1669594, 2016.10.2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QR 식별 모듈이 없거나 카메라 사용이 제한된 기존 POS시스템 등에서 이용가능한 QR 정보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QR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in an existing POS system that does not have a QR identification module or has limited use of a camera.

또한, 본 발명은 서버가 필요없이 단말 간 QR 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분야에서 이용가능한 QR 정보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QR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that can be used in a field requiring data processing using a QR code between terminals without the need for a serv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방법은 제2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QR 코드를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 식별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 식별 정보에 기초한 상기 제2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암호화하여 제1 단말 암호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암호화 정보를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암호화 정보를 통해 생성되고,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QR 코드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QR 코드를 제1 단말의 복호화 정보로 복호화하여, 정보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first QR code including a secon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second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to a server, receiving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based on the secon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er, encrypting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by using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Generating terminal encryp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the first terminal encrypt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terminal, a second QR code generated through the first terminal encryption information and including information data from the second terminal Receiving, and decoding the second QR code with the decryp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it may include the step of obtaining information data.

또한, 본 발명에서의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방법은 상기 전송 데이터를 제2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통해 암호화하여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 데이터간 동일 여부에 대한 판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using the QR code i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encrypting the transmission data through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server, and transmitting from the server to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receiving determination information on whether the information data is the same.

또한, 본 발명에서의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방법은 상기 동일 여부에 대한 판단 정보가 동일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정보 데이터가 정확하게 수신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동일 여부에 대한 판단 정보가 동일함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 상기 정보 데이터가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음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a QR code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nfirming that the information data is correctly received when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on whether the same is the same, and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on whether the same is the same If not indicate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nfirming that the information data is not correctly received.

또한, 본 발명에서의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방법은 상기 정보 데이터가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단말로부터 다시 상기 제1 QR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a QR cod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formation data is not correctly received, the first QR code may be received again from the second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방법은 제2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QR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제1 QR 코드에 기초하여 제1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상기 제2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통해 암호화하여 생성된 제1 단말 암호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의 복호화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단말 암호화 정보를 복호화하여, 제1 단말 식별정보와 제1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정보 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통해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된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QR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QR 코드를 상기 1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데이터를 제2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통해 암호화하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transmitting a first QR code including the secon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encryp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based on the first QR code. Receiving the first terminal encryp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encryption through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decrypting the first terminal encryption information through the decryp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the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first terminal obtaining encrypted information, generating encrypted information data by encrypting information data through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generating a second QR code using the encrypted information data, the second Transmitting the QR code to the first terminal, and encrypting the information data through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may include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server.

또한, 본 발명에서의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방법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 데이터 간 동일 여부에 대한 판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using the QR code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receiving, from the server, determination information on whether the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the same.

또한, 본 발명에서의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방법은 상기 동일 여부에 대한 판단 정보가 동일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정보 데이터가 정확하게 수신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동일 여부에 대한 판단 정보가 동일함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 상기 정보 데이터가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음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a QR code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nfirming that the information data is correctly received when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on whether the same is the same, and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on whether the same is the same If not indicate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nfirming that the information data is not correctly received.

또한, 본 발명에서의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방법은 상기 정보 데이터가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단말에 다시 상기 제1 QR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using the QR code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transmit the first QR code back to the first terminal when the information data is not correctly receiv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방법은 제2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QR 코드를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QR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QR 코드를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3 QR 코드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QR 코드를 이용하여, 정보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using the QR cod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first QR code including the secon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based on the secon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first generating a second QR code includ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the second QR code to the second terminal, and generating a third QR code including information data based on the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from the second terminal, and using the third QR code, may include the step of obtaining information data.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방법은 제2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QR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제1 QR 코드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2 QR 코드를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QR 코드에 기초하여 제1 단말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3 QR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QR 코드를 상기 1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transmitting a first QR code including secon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generating a second QR code generated based on the first QR code. Receiving from a first terminal, obtaining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econd QR code, generating a third QR code including information data based on the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It may include transmitting a third QR code to the first terminal.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의한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수신 단말의 정보를 송수신 하는 과정에서 수신 단말의 QR코드 생성과 전송 과정을 중간 서버를 이용하여 대체함으로써 QR 식별 모듈이 없거나 카메라 사용이 제한된 기존 POS시스템(예를 들어, 일반 데스크탑PC나 이미 사용중인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는 단말기를 통한 시스템) 등에서 이용이 가능하여 확장성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ing QR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places the QR code generation and transmission process of the receiving terminal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by using an intermediate server, so that there is no QR identification module or the use of a camera Since it can be used in a limited existing POS system (eg, a system through a general desktop PC or a terminal with a display device already in u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greatly secure expandability.

또한, 본 발명에 의한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서버가 필요없이 단말 간 QR 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분야에 사용하고 암호화를 제거하여 보안이 필요 없는 분야에서 응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단순한 양방향 데이터 송수신 방법으로 보안이 출입 인증이나 로그인 등에 사용하고, 무선 근거리 통신(NFC나 RFID)의 사용에 제약이 있는 곳에서의 대체 활용 가능한 기술로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fields that require data processing using a QR code between terminals without the need for a server, and can be applied in fields that do not require security by removing encryption. As a simple two-way data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security is used for access authentication or login, etc.

또한, 본 발명에 의한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해킹당한 상태라도, 정보 데이터 또는 결제 정보는 가맹점의 단말기와 크로스체킹이 실행되기 때문에 안전한 정보의 전송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safe information transmission because information data or payment information is cross-checked with the terminal of the affiliated store even if the user's smartphone is hacked. do.

또한, 본 발명에 의한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기존 QR 코드 결제의 장점인 간편한 사용과 신속한 이용을 유지하면서도 보안을 강화한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hances security while maintaining simple use and quick use, which are advantages of the existing QR code paymen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것으로,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을 포함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을 포함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수신 단말, 서버, 송신 단말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을 포함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수신 단말의 동작하는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을 포함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송신 단말의 동작하는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것으로, 단말 간 통신에서의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단말 간 통신에서의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수신 단말, 서버, 송신 단말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단말 간 통신에서의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수신 단말의 동작하는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단말 간 통신에서의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송신 단말의 동작하는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using a QR code including a transmission terminal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receiving terminal, a server, and a transmitting terminal included in an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using a QR code including a transmitting terminal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receiving terminal of an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using a QR code including a transmitting terminal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transmitting terminal of an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using a QR code including a transmitting terminal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using a QR code in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receiving terminal, a server, and a transmitting terminal included in an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using a QR code in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receiving terminal of an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using a QR code in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transmitting terminal of an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using a QR code in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will have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것으로,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을 포함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using a QR code including a transmission terminal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을 포함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100)(이하, ‘QR 식별 모듈이 없는 장치를 포함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이라 한다)은 수신 단말(110), 서버(120),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an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100 using a QR code including a transmission terminal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including a device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eceiving terminal 110, a server 120, and a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QR 식별 모듈이 없는 장치를 포함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100)은 QR 코드를 스캔하여 수신 단말(110)이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QR 식별 모듈이 없는 장치를 포함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은 정보 데이터뿐만 아니라 정보 송수신 과정에서 정보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해 이용되는 암호화 정보 및 복호화 정보를 QR 코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100 including a device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is configured to scan a QR code so that the reception terminal 110 acquires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An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including a device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can transmit not only information data, but also encryption information and decryption information used to encrypt information data i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ss through a QR code.

수신 단말(110)은 QR 식별 모듈이 없는 장치를 포함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100)에서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이다. 한편, 수신 단말(110)은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하기 전 수신한 정보 데이터 또는 그 외 정보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도 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 단말(11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 통신 기능이 포함된 모든 단말기가 될 수 있으며, QR 식별 모듈이 없는 장치를 포함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100)을 위해 이용되는 전용 단말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reception terminal 110 is a terminal for receiving information data from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100 including a device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On the other hand, the receiving terminal 110 may be configured to also serve as a role of transmit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data or other information data before or after receiving the information data. The receiving terminal 110 may be any terminal including a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a smartphone, tablet PC, notebook, etc., and may consist of a dedicated terminal used for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100 including a device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have.

서버(120)는 QR 식별 모듈이 없는 장치를 포함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100)에서 정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서버(120)는 통신 연결, 정보 데이터 송수신, 정보 데이터 송수신 여부 확인 등 QR 식별 모듈이 없는 장치를 포함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100)에서 필요로 되는 모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120)는 이동통신 중계기, 인터넷 관리장치 등 통신 제어를 담당할 수 있는 모든 장치가 될 수 있으며, QR 식별 모듈이 없는 장치를 포함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100)을 위해 이용되는 전용 장치 또는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server 120 is responsible for controlling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data i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100 including a device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The server 120 may perform all the controls required i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100 including a device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such as communication connection, information data transmission/reception, information data transmission/reception or not. The server 120 may be any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an Internet management device, etc., and is a dedicated device or server used for the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100 including a device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may be configured.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은 QR 식별 모듈이 없는 장치를 포함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100)에서 정보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말이다. 한편,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은 정보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하기 전 송신하는 정보 데이터 또는 그 외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도 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 통신 기능이 포함된 모든 단말기가 될 수 있으며, QR 식별 모듈이 없는 장치를 포함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100)을 위해 이용되는 전용 단말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transmission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is a terminal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data i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100 including a device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On the other hand, the transmission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may be configured to serve as a role of receiving information data or other information data to be transmitted before or before transmitting information data.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may be any terminal including a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a smartphone, a tablet PC, a notebook computer, etc., and is only used for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100 including a device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It may also be configured as a terminal.

이하에서는 QR 식별 모듈이 없는 장치를 포함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100)에서 정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information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i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100 including a device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will be described.

수신 단말(110)은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기 위한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로부터 제1 QR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S110). 여기서, 제1 QR 코드는 송신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단말 식별 정보는 송신 단말의 고유 정보 가리키는 정보를 나타낸다. 수신 단말(110)은 내장된 카메라 또는 QR 코드 인식 모듈을 통해 제1 QR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The receiving terminal 110 may receive the first QR code from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for receiving information data (S110). Here, the first QR code may include transmit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transmit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es information indicating unique informatio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The receiving terminal 110 may receive the first QR code through a built-in camera or a QR code recognition module.

수신 단말(110)은 서버(120)에 송신 단말 식별 정보를 전송(S120)하고, 서버(120)로부터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30). 서버(120)는 수신 단말이(110)이 전송한 송신 단말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 단말(110)에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을 특정할 수 있다. 서버(120)는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이 정보를 전송할 때 이용하는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수신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의 암호화 정보는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이 정보를 전송할 때 정보를 암호화하는 규칙 또는 암호화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The receiving terminal 110 may transmit the transmit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120 (S120), and may receive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without the QR identification module from the server 120 (S130). The server 120 may receive the transmit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receiving terminal 110 , and specify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to transmit information data to the receiving terminal 110 . The server 120 may transmit encrypted informatio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used when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receiving terminal 110 .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may represent information about a rule or an encryption program for encrypting information when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transmits information.

수신 단말(110)은 수신한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 단말 암호화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S140). 수신 단말 암호화 정보는 수신 단말(110)이 정보를 전송할 때 정보를 암호화하는 규칙 또는 암호화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수신 단말 암호화 정보는 수신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단말 식별 정보은 수신 단말 암호화 정보에 포함되지 않고, 별도로 전송될 수 있다.The receiving terminal 110 may receive the encrypted informatio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without the received QR identification module, and transmit the receiving terminal encrypted information to the server (S140). The receiving terminal encryption information may indicate information about a rule or an encryption program for encrypting information when the receiving terminal 110 transmits information. In addition, the receiving terminal encryption information may include receiv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receiv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the receiving terminal encryption information, and may be transmitted separately.

서버는 수신 단말(110)로부터 전송된 송신 단말 암호화 정보를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에 전송할 수 있다(S150).The server may transmit the transmitting terminal encryp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eceiving terminal 110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the QR identification module (S150).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은 수신 단말의 암호화 정보와 송신 단말 식별 정보를 서버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S161).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은 정보 데이터를 수신 단말(110)의 암호화 정보로 암호화하여 제2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S162). 제2 QR 코드는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이 수신 단말(110)에 전송하기 위한 정보 데이터를 QR 코드로, 수신 단말(130)의 암호화 정보를 통해 암호화가 되어 생성된다.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the QR identification module may obtain the encryption information and the transmit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from the server (S161).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may generate a second QR code by encrypting the information data with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110 (S162). The second QR code is generated by encrypting information data for transmission by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to the receiving terminal 110 as a QR code, and by encryption through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130 .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은 제2 QR 코드를 생성함과 동시에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정보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S163). 제2 QR 코드와 암호화된 정보 데이터는 포함된 정보 데이터의 내용은 같지만, 제2 QR 코드는 수신 단말(130)의 암호화 정보를 통해 암호화가 되었고, 서버에 전송한 암호화된 정보 데이터는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통해 암호화되어서 표면적인 데이터의 내용은 서로 다르다.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may encrypt the information data using the encrypted informatio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without the QR identification module and transmit the encrypted information data to the server while generating the second QR code (S163) ). The second QR code and the encrypted information data have the same content of the information data included, but the second QR code is encrypted through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130, and the encrypted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to the server is the QR identification module The contents of the data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ecause they are encrypted through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without this.

수신 단말(110)은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에 표시된 제2 QR 코드를 인식(수신)하고, 수신 단말(110)의 복호화 정보로 복호화하여 정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164). 수신 단말(110)의 복호화 정보는 수신 단말(110)의 암호화 정보로 암호화된 QR 코드 또는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는데 이용되는 규칙 또는 암호화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The receiving terminal 110 may recognize (receive) the second QR code displayed on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and decode it with the decoding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110 to obtain information data (S164) . Decryp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110 may represent information about a rule or encryption program used to decrypt a QR code or encrypted information encrypted with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110 .

수신 단말(110)은 복호화된 정보 데이터를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의 암호화 정보로 암호화하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S170). 서버는 본 단계(S170)에서 수신 단말(110)이 전송하는 암호화된 정보 데이터와 S163 단계에서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이 전송하는 암호화된 정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 단말(110)이 전송하는 암호화된 정보 데이터와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이 전송하는 암호화된 정보 데이터 모두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의 암호화 정보로 암호화되었기에 두 개의 암호화된 정보 데이터는 동일하다.The receiving terminal 110 may encrypt the decrypted information data with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and transmit it to the server (S170). The server may receive the encrypted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by the receiving terminal 110 in this step (S170) and the encrypted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by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the QR identification module in step S163. Since both the encrypted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by the receiving terminal 110 and the encrypted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by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are encrypted with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two encryption information data is the same.

서버(120)는 수신 단말(110)이 전송하는 암호화된 정보 데이터와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이 전송하는 암호화된 정보 데이터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고, 데이터의 일치 여부에 대한 내용을 수신 단말(110과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에 전송할 수 있다(S180). 서버(120)의 동일성 여부 판단은 암호화된 정보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실행될 수 있다. 서버(120)는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의 복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단말(110)이 전송하는 암호화된 정보 데이터와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이 전송하는 암호화된 정보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정보 데이터의 동일 여부를 판단한다. 서버(120)는 수신 단말(110)이 전송한 정보 데이터와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이 전송한 정보 데이터가 동일하면 정보가 정확하게 전송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 단말(110)과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에 전송할 수 있다. 정보가 정확하게 전송되었다면, 수신 단말(110), 서버(120),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은 정보 송수신 대기 상태로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서버(120)는 수신 단말(110)이 전송한 정보 데이터와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이 전송한 정보 데이터가 동일하지 않으면 정보가 정확하게 전송되었지 않았음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 단말(110)과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에 전송할 수 있다. 정보가 정확하게 전송되었지 않았음을 알리는 정보는 정보 송수신 실패와 함께 정보 송신 실패의 이유를 포함시켜서 전송될 수 있다. 정보가 정확하게 전송되지 않았다면, 수신 단말(110), 서버(120),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은 재차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S110부터 S170까지 내 하나의 단계를 다시 실행하거나 실행한 단계 이후의 송수신 과정을 다시 실행할 수 있다.The server 120 determines whether the encrypted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by the receiving terminal 110 and the encrypted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by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are identical, and determines whether the data matches or not.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110 and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the QR identification module (S180).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server 120 is identical can be performed by decrypting the encrypted information data. The server 120 is the QR identification By using the decryp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module, the encrypted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by the receiving terminal 110 and the encrypted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by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the QR identification module are decrypted, and the decrypted The server 120 determines whether the information data is the same, if the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by the receiving terminal 110 and the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by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are the sam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information has been transmitted correctly can be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110 and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the QR identification module. If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correctly, the receiving terminal 110, the server 120, and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the QR identification module The mode can be changed to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standby state The server 120 transmits the information correctly if the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by the receiving terminal 110 and the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by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are not the same It is possible to transmi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information has not been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110 and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information has not been transmitted correctly indicates the reason for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failure along with the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failure. If the information is not transmitted correctly, the receiving terminal 110, the server 120, and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can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data again in one of S110 to S170. The step may be executed again or the transmission/reception process after the executed step may be executed again.

QR 식별 모듈이 없는 장치를 포함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100)은 수신 단말(110)의 정보를 송수신 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제2 QR코드 생성과 전송 과정을 서버(120)를 이용하여 대체한다. QR 식별 모듈이 없는 장치를 포함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100)은 QR 식별 모듈이 없거나 카메라 사용이 제한된 기존 POS시스템(일반 데스크탑PC나 이미 사용중인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는 단말기) 등에서 이용이 가능하여 확장성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QR 식별 모듈이 없는 장치를 포함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100)은 스마트폰이 아닌 일반 모니터(데스크톱 PC)에서 쇼핑 후 결제 또는 보안 로그인 등을 이용할 때 사용이 가능. 별도의 보안프로그램 설치 없이 화면에 제1 QR 코드 및 제2 QR 코드를 보여주고, QR코드의 식별은 사용자 스마트폰으로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전 방식에 비해 보안은 유지하면서도 확장성을 가질 수 있다.Th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100 including a device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replaces the second QR code generation and transmission proces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of the reception terminal 110 by using the server 120 . The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100 including a device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can be used in an existing POS system (a general desktop PC or a terminal with a display device already in use) that does not have a QR identification module or has limited use of a camera, and thus greatly expands the scalability. There are advantages to be gained. For example,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100 including a device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can be used when using a payment or secure login after shopping on a general monitor (desktop PC) rather than a smartphone. Since the first QR code and the second QR code are displayed on the screen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security program,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QR code can be processed with the user's smartphone, it can be scalable while maintaining security compared to the previous method.

이하에서는 QR 식별 모듈이 없는 장치를 포함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100) 내 수신 단말(110), 서버(120),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이 포함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하고, 각 구성 요소가 동작하는 내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reception terminal 110, the server 120, and the transmission terminal 130 without the QR identification module i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100 including the device without the QR identification module will be described, and each component Describe how the element work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을 포함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수신 단말, 서버, 송신 단말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receiving terminal, a server, and a transmitting terminal included in an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using a QR code including a transmitting terminal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수신 단말(110)은 QR 스캔 모듈(111), 입출력부(터치스크린)(112), 제어 모듈(113) 및 무선통신 모듈(11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reception terminal 1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QR scan module 111 , an input/output unit (touch screen) 112 , a control module 113 ,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4 .

수신 단말(110)의 QR 스캔 모듈(111)은 정보를 내장하는 QR 코드를 스캔하도록 구성된다. The QR scanning module 111 of the receiving terminal 110 is configured to scan a QR code that embeds information.

수신 단말(110)의 입출력부(터치스크린)(112)는 제어 모듈(113)의 제어 하에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출력 신호를 영상으로 출력한다. 게다가, 입출력부(터치스크린)(112)는 사용자의 터치를 받아 입력 신호를 제어 모듈(113)로 출력하고, 제어 모듈(113)은 입력 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The input/output unit (touch screen) 112 of the receiving terminal 110 receives an output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13 and outputs the received output signal as an image. In addition, the input/output unit (touch screen) 112 receives a user's touch and outputs an input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113 , and the control module 113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그리고 수신 단말(110)의 제어 모듈(113)은 QR 코드를 스캔하여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 정보, 복호화 정보, 정보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나타내는 내용을 입출력부(터치스크린)(112)을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And the control module 113 of the receiving terminal 110 uses the information obtained by scanning the QR code to obtain encryption information, decryp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data, and displays the contents of the input/output unit (touch screen) 112 It is configured to be displayed through

수신 단말(110)의 제어 모듈(113)은 수신 단말(110)이 송신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QR 코드를 송신 단말로부터 인식하고, 송신 단말 식별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송신 단말 식별 정보에 기초한 송신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수신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수신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통해 생성되고,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QR 코드를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제2 QR 코드를 수신 단말의 복호화 정보로 복호화하여, 정보 데이터를 획득하고,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통해 정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서버(120)에 전송하고, 서버(120)로부터 수신 단말(110)과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에 전송된 정보 데이터의 동일 여부에 대한 판단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13 of the receiving terminal 110, the receiving terminal 110 recognizes the first QR code including the transmit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transmitting terminal, and transmits the transmit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the transmit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s the encrypted informatio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based on the server, transmits the encrypted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to the server, is generated through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and receives a second QR code including information data from the transmitting terminal, , by decrypting the second QR code with the decryp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to obtain information data, encrypting the information data through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sending terminal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and transmitting it to the server 120, and the server 120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receive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on whether the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110 and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from the same.

수신 단말(110)의 무선통신 모듈(114)은 수신 단말(110)이 정보 송수신 과정에서 서버(120)와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4 of the receiving terminal 110 plays a role in which the receiving terminal 110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between the server 120 and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i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process.

이러한 수신 단말(110)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MP 중 어느 하나이거나 전용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다.The receiving terminal 110 may be any one of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MP, or may be configured as a dedicated terminal.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은 입출력부(터치스크린)(131), 제어 모듈(132) 및 무선통신 모듈(13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ransmission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put/output unit (touch screen) 131 , a control module 132 ,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33 .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의 입출력부(터치스크린)(131)는 제어 모듈(132)의 제어 하에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출력 신호를 영상으로 출력한다. 게다가, 입출력부(터치스크린)(131)는 사용자의 터치를 받아 입력 신호를 제어 모듈(132)로 출력하고, 제어 모듈(132)은 입력 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The input/output unit (touch screen) 131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receives an output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32 and outputs the received output signal as an image. In addition, the input/output unit (touch screen) 131 receives a user's touch and outputs an input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132, and the control module 132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의 제어 모듈(132)은 QR 코드를 스캔하여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 정보, 복호화 정보, 정보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나타내는 내용을 입출력부(터치스크린)(131)을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The control module 132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uses the information obtained by scanning the QR code to obtain encryption information, decryp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data, and outputs the contents to the input/output unit (touch screen) ) is configured to display through (131).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의 제어 모듈(132)은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이 송신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QR코드를 수신 단말(110)에 전송하고, 제1 QR 코드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수신 단말 식별정보와 수신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획득하고, 정보 데이터를 수신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통해 암호화하여 상기 1 단말에 전송하고, 정보 데이터를 송신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통해 암호화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120)로부터 수신 단말(110)과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에 전송된 정보 데이터의 동일 여부에 대한 판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32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transmits the first QR code including the transmit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receiving terminal 110 by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1 Based on the QR code, obtaining the receiv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from the server, encrypting the information data through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data to the first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data to the encrypted informatio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It can be encrypted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through the control so that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on whether the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server 120 to the receiving terminal 110 and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is the same can be received. .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의 무선통신 모듈(134)은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이 간편 정보 송수신 과정에서 서버(120)와 수신 단말(110)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34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between the server 12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10 in a simpl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ss by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play a role

이러한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MP 중 어느 하나이거나 전용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다.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such a QR identification module may be any one of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MP, or a dedicated terminal.

다음으로, 서버(120)는 제어부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server 1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and a communication module.

이하에서는 QR 식별 모듈이 없는 장치를 포함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100)의 각 수신 단말(110)과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 시점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from the viewpoint of each receiving terminal 110 and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100 including a device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을 포함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수신 단말의 동작하는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receiving terminal of an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using a QR code including a transmitting terminal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수신 단말(110)은 송신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QR 코드를 송신 단말로부터 인식할 수 있다(S310).The receiving terminal 110 may recognize the first QR code including the transmit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transmitting terminal (S310).

수신 단말(110)은 송신 단말 식별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S320).The receiving terminal 110 may transmit the transmit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S320).

수신 단말(110)은 송신 단말 식별 정보에 기초한 송신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330).The receiving terminal 110 may receive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based on the transmit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er (S330).

수신 단말(110)은 수신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S340).The receiving terminal 110 may transmit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to the server (S340).

수신 단말(110)은 수신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통해 생성되고,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QR 코드를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350).The receiving terminal 110 may receive a second QR code that is generated through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and includes information data from the transmitting terminal (S350).

수신 단말(110)은 송신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통해 정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S360).The receiving terminal 110 may encrypt the information data through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and transmit it to the server 120 (S360).

수신 단말(110)은 서버(120)로부터 수신 단말(110)과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에 전송된 정보 데이터의 동일 여부에 대한 판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70).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동일 여부에 대한 판단 정보가 정보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 수신 단말(110)은 정보 송수신 대기 상태로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동일 여부에 대한 판단 정보가 수신 단말(110)이 전송한 정보 데이터와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이 전송한 정보 데이터가 동일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수신 단말(110)은 정보 송수신 실패와 함께 정보 송신 실패의 이유를 포함시켜서 수신할 수 있고, 수신 단말(110)은 재차 정보 데이터 수신을 위해 S110부터 S170까지 내 하나의 단계를 다시 실행하거나 실행한 단계 이후의 수신 과정을 다시 실행할 수 있다.The receiving terminal 110 may receive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on whether the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110 and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are the same from the server 120 (S370). When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on the same received from the server 120 indicates that the information data has been correctly transmitted, the receiving terminal 110 may change the mode to the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tandby state. When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on whether the same received from the server 120 indicates that the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by the receiving terminal 110 and the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by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are not the same, the receiving terminal 110 may receive including the reason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failure along with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failure, and the receiving terminal 110 executes or executes one step from S110 to S170 again to receive information data again. of the receiving process can be executed agai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을 포함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송신 단말의 동작하는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transmitting terminal of an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using a QR code including a transmitting terminal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은 송신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QR코드를 수신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S410).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may transmit the first QR code including the transmit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receiving terminal 110 (S410).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은 제 수신 단말 식별정보와 수신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420).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the QR identification module may receive the receiv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from the server (S420).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은 정보 데이터를 수신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통해 암호화하여 제2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S430).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may generate a second QR code by encrypting the information data through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S430).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은 정보 데이터를 송신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통해 암호화하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S440).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the QR identification module may encrypt the information data through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and transmit it to the server (S440).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은 상기 제2 QR 코드를 수신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S450).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may transmit the second QR code to the receiving terminal 110 (S450).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은 서버(120)로부터 수신 단말(110)과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에 전송된 정보 데이터의 동일 여부에 대한 판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460).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동일 여부에 대한 판단 정보가 정보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은 정보 송수신 대기 상태로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동일 여부에 대한 판단 정보가 수신 단말(110)이 전송한 정보 데이터와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이 전송한 정보 데이터가 동일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은 정보 송수신 실패와 함께 정보 송신 실패의 이유를 포함시켜서 수신할 수 있고,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은 재차 정보 데이터 송신을 위해 S110부터 S170까지 내 하나의 단계를 다시 실행하거나 실행한 단계 이후의 송신 과정을 다시 실행할 수 있다.The send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may receive determination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110 and the send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from the server 120 are the same ( S460). When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about the same received from the server 120 indicates that the information data has been transmitted correctly,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the QR identification module may change the mode to the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tandby state. When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on whether the same received from the server 120 indicates that the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by the receiving terminal 110 and the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by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are not the same, QR identification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module can receive including the reason for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failure along with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failure, and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is one of S110 to S170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data again. You can re-execute the step of or re-execute the transmission process after the executed step.

QR 식별 모듈이 없는 장치를 포함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100)은 전송되는 정보 데이터가 결제 정보일 경우, 간편 결제 시스템으로 이용될 수 있다. 간편 결제 시스템은 별도의 신용카드 없이도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온/오프라인 매장에 상품 다 구비된 QR 코드를 스캔하여 상품/결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결제 서버가 별도의 회원 가입/로그인 등의 절차 없이도 배송지만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에 미리 등록된 신용카드 정보나 스마트 폰 번호를 이용하여 신용카드사나 이동통신사의 결제 처리를 통해 결제를 완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신용카드를 소지할 필요가 없고 종이 영수증을 발급받지 않아도 되므로 매우 편리하고 친환경적이라는 점이 있다. 그리고 오프라인 매장의 경우에도 카드 조회기가 필요없이 상품 마다 구비된 QR 코드를 이용하면 된다. 또한, 결제 서버는 별도의 회원가입/로그인 절차 없이 결제하므로, 개인 정보의 유출 위험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The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100 including a device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may be used as a simple payment system when the transmitted information data is payment information. The simple payment system is configured to acquire product/payment information by scanning a QR code provided with all products in an on/offline store using a user terminal without a separate credit card. In addition, the payment server receives only the delivery without a separate membership registration/login procedure, and can complete the payment through the payment processing of the credit card company or the mobile carrier using the credit card information or smart phone number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user terminal. . Users do not need to carry a credit card and do not need to issue a paper receipt, which is very convenient and eco-friendly. And even in the case of offline stores, you can use the QR code provided for each product without the need for a card inquiry machine. In addition, since the payment server pays without a separate membership registration/login procedure, there is no risk of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간편 결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결제 서버, 결제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다. 간편 결제 시스템은 QR 식별 모듈이 없는 장치를 포함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100)에 대응되어, 사용자 단말은 수신 단말(110)에 대응되고, 결제 서버는 서버(120)에 대응되고, 결제 단말기는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에 대응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결제 서버, 결제 단말기는 상기 설명한 수신 단말(110), 서버(120), QR 식별 모듈이 없는 송신 단말(130)의 동작을 전부 수행할 수 있다. The simple payment system may include a user terminal, a payment server, and a payment terminal. The simple payment system corresponds to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100 including a device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the user terminal corresponds to the reception terminal 110 , the payment server corresponds to the server 120 , and the payment terminal corresponds to the QR identification It may correspond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a module. The user terminal, the payment server, and the payment terminal may perform all the operations of the receiving terminal 110 , the server 120 , and the transmitting terminal 130 without the QR identification module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간편 결제 시스템 또는 QR 식별 모듈이 없는 장치를 포함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100)은 암호화 및 복호화 시 서로 다른 키를 사용하는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100 including the simple pay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device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may use a 'public key encryption algorithm' that uses different keys for encryption and decryption.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은 암호화 및 복호화 시 서로 다른 키를 사용한다는 특징으로 인해 비대칭키 암호 알고리즘이라고도 칭한다. 이러한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은 키 생성 알고리즘을 통해 두 개의 키를 생성하여 그중 하나를 전화번호부에 전화번호를 공개하듯이 공개하고, 나머지 하나를 개인키로 자신이 보관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A'가 'B'로 문서를 송신하고자 할 경우, 'A'는 공개된 'B'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해당 문서를 암호화하고, 'B'는 수신된 암호문을 자신의 개인키로 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의 사용자는 상호 정보를 교환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하더라도, 그 사람들의 수와 관계없이 자신의 개인키만을 관리하면 된다. The 'public key encryption algorithm' is also called an asymmetric key encryption algorithm due to the characteristic that different keys are used for encryption and decryption. This 'public key encryption algorithm' generates two keys through a key generation algorithm, reveals one of them as if a phone number was disclosed in a phone book, and keeps the other as a private key for use. For example, if 'A' wants to send a document to 'B', 'A' uses the public key of 'B' to encrypt the document, and 'B' stores the received cipher text as its own. It will be unlocked with the private key. Therefore, the user of the 'public key encryption algorithm' only needs to manage his/her own private key regardless of the number of people who want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even if the number of people increases.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의 대표적인 예로 RSA(Rivest-Shamir-Adleman) 알고리즘이 있다. RSA 알고리즘에서 개인키 및 공개키는 소정의 키 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다. 일반적으로 RSA 알고리즘에서 개인키 및 공개키를 선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public key encryption algorithm' is the Rivest-Shamir-Adleman (RSA) algorithm. In the RSA algorithm, a private key and a public key are generated by a predetermined key generation algorithm. In general, the process of selecting a private key and a public key in the RSA algorithm is as follows.

우선, 두 개의 큰 소수(p, q)를 선택하여, 그 소수들(p, q)을 2개의 개인키로 사용하고, 그 두수의 곱(p*q)을 공개키(n)로 선정한다. 그리고, 그 공개키(n)를 오일러(Euler) 공식에 적용한 후, 그 결과값(∮(n))과 서로 소인 임의의 정수(e)를 선정하여 또 하나의 공개키(e)로 선정한다. 마지막으로, 유클리드 알고리즘(Euclidean Algorithm)에 의해 수학식 1을 만족하는 수(d)를 계산하여, 상기 두 개의 소수(p, q)와 함께 개인키로 선정한다.First, two large prime numbers (p, q) are selected, the prime numbers (p, q) are used as two private keys, and the product (p*q) of the two numbers is selected as a public key (n). Then, after applying the public key (n) to the Euler formula, the result value (∮(n)) and an arbitrary integer (e) that are prime to each other are selected as another public key (e) . Finally, a number (d) satisfying Equation 1 is calculated by the Euclidean Algorithm, and the two prime numbers (p, q) are selected as a private key.

[수학식 1] [Equation 1]

e·d ≡ 1 (mod ∮(n))e d ≡ 1 (mod ∮(n))

이하에서는, 단말 간 통신에서의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using a QR code in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것으로, 단말 간 통신에서의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using a QR code in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단말 간 통신에서의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200)(이하, ‘단말 간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이라 한다)은 수신 단말(210), 송신 단말(2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an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200 using a QR code in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using a QR code between terminals') is a receiving terminal 210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

본 발명에서의 단말 간 통신은 기기 간 통신을 일컫는 말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기기끼리 전파 중계 설비의 도움 없이 직접 통화 및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교류 체계를 의미한다. 기지국 같은 전파 중계 설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아예 없더라도 통화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이 단말 간 통신의 일례이다. 최근 단말 간 통신의 예인 ‘LTE D2D’ 기술은 근거리 안에 있는 통신기기끼리 LTE로 통신할 수 있게 한다. LTE D2D는 다양한 서비스를 새로 만들 것으로 보였다. 위치 기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를 비롯해 특정 지역 범죄 정보 전송, 새로운 방식의 모바일 광고, 차량 간 통신 등이다. 특정 지역의 기지국이 갑자기 작동하지 않더라도 기기 간 통신이 유지되기 때문에 재난 등을 알릴 때 쓸 공공 서비스에 쓸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에서의 단말 간 통신은 D2D 통신을 포함한 현재 이용 가능하거나 앞으로 이용가능 할 모든 단말 간, 기기 간 통신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erminal-to-device communication refers to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nd refers to an exchange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calls and information directly between devices in a short distance without the aid of a radio relay facility. An example of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s a communication system that can make calls even if radio relay equipment such as a base station does not work properly or does not exist at all. ‘LTE D2D’ technology, an example of recent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enables communication devices within a short distance to communicate using LTE. LTE D2D seemed to create a variety of new services. These include location-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NS), transmission of crime information in specific areas, new mobile advertisements, and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Even if a base station in a specific area suddenly stops working,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is maintained, so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for public services to notify disasters, etc. Inter-terminal communic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inter-terminal and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currently available or available in the future, including D2D communication.

단말 간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200)은 QR 코드를 스캔하여 수신 단말(210)이 송신 단말(22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단말 간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200)은 정보 데이터뿐만 아니라 정보 송수신 과정에서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에 이용되는 정보 전송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200 using the inter-terminal QR code is configured to scan the QR code so that the receiving terminal 210 acquires the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 The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200 using the inter-terminal QR code may transmit information used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information data as well as information data i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process.

수신 단말(210)은 단말 간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200)에서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이다. 한편, 수신 단말(210)은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하기 전 수신한 정보 데이터 또는 그 외 정보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도 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 단말(21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 통신 기능이 포함된 모든 단말기가 될 수 있으며, 단말 간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200)을 위해 이용되는 전용 단말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reception terminal 210 is a terminal for receiving information data from the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200 using a QR code between terminals. On the other hand, the receiving terminal 210 may be configured to also serve to transmit the received information data or other information data before or after receiving the information data. The receiving terminal 210 may be any terminal including a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laptop computer, and may be configured as a dedicated terminal used for the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200 using a QR code between terminals.

송신 단말(220)은 단말 간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200)에서 정보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말이다. 한편, 송신 단말(220)은 정보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하기 전 송신하는 정보 데이터 또는 그 외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도 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신 단말(22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 통신 기능이 포함된 모든 단말기가 될 수 있으며, 단말 간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200)을 위해 이용되는 전용 단말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is a terminal that transmits information data i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200 using the inter-terminal QR code. On the other hand, 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may be configured to also serve as a role of receiving information data or other information data to be transmitted before or before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data. 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may be any terminal including a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notebook computer, and may be configured as a dedicated terminal used for the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200 using a QR code between terminals.

단말 간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200)은 서버를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간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200)은 서버가 필요없이 단말 간 QR 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200 using the inter-terminal QR code may be configured not to include a server. Accordingly, the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200 using the inter-terminal QR code can be used in a field requiring data processing using the inter-terminal QR code without the need for a server.

수신 단말(210)은 송신 단말(220)의 제1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S510). 수신 단말(210)은 제1 QR 코드를 인식함으로써 송신 단말(220)에 대응하는 송신 단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receiving terminal 210 may recognize the first QR code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S510). The receiving terminal 210 may receive the transmit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by recognizing the first QR code.

수신 단말(210)은 송신 단말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송신 단말(220)에 전송하기 위한 수신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S520).The receiving terminal 210 may receive the transmit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generate a second QR code including the receiv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S520).

수신 단말(210)은 생성된 제2 QR 코드를 송신 단말(220)에 전송할 수 있다(S530).The receiving terminal 210 may transmit the generated second QR code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S530).

송신 단말(220)은 송신 단말(220)의 QR 스캔 모듈 또는 카메라로 수신 단말(210)에 생성된 제2 QR 코드를 인식(수신)하여 수신 단말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540).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may obtain the receiv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recognizing (receiving) the second QR code generated in the receiving terminal 210 with the QR scan module or camera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S540).

송신 단말(220)은 수신 단말 식별 정보를 통해 수신 단말(210)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3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S550).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may generate a third QR code including transmission data for transmission to the receiving terminal 210 through the receiv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S550).

송신 단말(220)은 제3 QR 코드를 수신 단말(210)에 전송할 수 있다 (S560). 수신 단말(210)은 제3 QR 코드를 수신하고, 제3 QR 코드에 포함된 전송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may transmit the third QR code to the receiving terminal 210 (S560). Receiving terminal 210 may receive the third QR code, and obtain the transmission data included in the third QR code.

단말 간 통신에서의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200)은 서버가 필요없이 단말 간 QR 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 간 통신에서의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200)은 암호화를 제거하여 보안이 필요 없는 분야에서 응용 가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간 통신에서의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200)은 단순한 양방향 데이터 송수신 방법으로 보안이 출입 인증이나 로그인 등에 사용되거나 무선 근거리 통신(NFC나 RFID)의 사용에 제약이 있는 곳에서의 대체 활용 가능하다.The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200 using a QR code in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can be used in a field requiring data processing using a QR code between terminals without the need for a server. In additio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200 using a QR code in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can be applied in fields that do not require security by removing encryption. Accordingly, the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200 using a QR code in inter-terminal communication is a simple two-way data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where security is used for access authentication or login, or where there is a restriction on the use of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NFC or RFID).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단말 간 통신에서의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200)은 제1 QR 또는 제2 QR 코드에 데이터의 유형을 결정하는 ‘식별코드’가 포함되고 이 식별코드는 “URL”, “ID”, “HASH”등 데이터가 어떤 유형인지를 미리 수신 단말(2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식별코드는 송수신 기기에서 미리 권한을 설정하여, 허용된 데이터만을 선별적으로 읽을 수 있도록 응용이 가능하다(공개된 기술인 oAuth와 같이 접근 위임을 위한 보안 강화에 응용이 가능). 단말 간 통신에서의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200)은 식별 정보만 암호화하지 않았을 뿐이고 주고받는 데이터 자체는 암호화하여 송수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2차 인증 등의 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하다.The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200 using a QR code in terminal-to-device communication includes an 'identification code' that determines the type of data in the first QR or the second QR code, and the identification code is “URL”, “ID”, What type of data such as “HASH” may be provided to the receiving terminal 210 in advance. This identification code can be applied to selectively read only permitted data by setting the authority in the sending/receiving device in advance. Since the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200 using the QR code in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does not encrypt onl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itself by encrypting it, it can be used as a means such as secondary authentication.

이하에서는 단말 간 통신에서의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 (200) 내 수신 단말(210), 송신 단말(220)이 포함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하고, 각 구성 요소가 동작하는 내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receiving terminal 210 and 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i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200 using the QR code in inter-terminal communication will be described, and the contents of operation of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do.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단말 간 통신에서의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수신 단말, 송신 단말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receiving terminal and a transmitting terminal included in an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using a QR code in terminal-to-device communication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수신 단말(210)은 QR 스캔 모듈(211), 입출력부(터치스크린)(212), 제어 모듈(213) 및 무선통신 모듈(21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irst, the reception terminal 2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QR scan module 211 , an input/output unit (touch screen) 212 , a control module 213 ,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4 .

수신 단말(210)의 QR 스캔 모듈(211)은 정보를 내장하는 QR 코드를 스캔하도록 구성된다. The QR scanning module 211 of the receiving terminal 210 is configured to scan the QR code embedding information.

수신 단말(210)의 입출력부(터치스크린)(212)는 제어 모듈(213)의 제어 하에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출력 신호를 영상으로 출력한다. 게다가, 입출력부(터치스크린)(212)는 사용자의 터치를 받아 입력 신호를 제어 모듈(213)로 출력하고, 제어 모듈(213)은 입력 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The input/output unit (touch screen) 212 of the receiving terminal 210 receives an output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213 and outputs the received output signal as an image. In addition, the input/output unit (touch screen) 212 receives a user's touch and outputs an input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213 , and the control module 213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그리고 수신 단말(210)의 제어 모듈(213)은 QR 코드를 스캔하여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송수신에 이용되는 정보 및 정보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나타내는 내용을 입출력부(터치스크린)(212)을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213 of the receiving terminal 210 uses the information obtained by scanning the QR code to obtai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data used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displays the contents to the input/output unit (touch screen) 212 ) through which it is configured.

수신 단말(210)의 제어 모듈(213)은 수신 단말(210)이 송신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QR 코드를 송신 단말(220)로부터 인식하고, 수신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QR 코드를 생성하여 송신 단말(220)에 전송하고,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3 QR 코드를 상기 송신 단말(220)로부터 수신하여 정보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213 of the receiving terminal 210 is the receiving terminal 210 recognizes the first QR code including the transmit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the second QR code including the receiv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 and receiving a third QR code including information data from 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to obtain information data.

수신 단말(210)의 무선통신 모듈(214)은 수신 단말(210)이 정보 송수신 과정에서 송신 단말(220)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4 of the receiving terminal 210 plays a role in which the receiving terminal 210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between the transmitting terminals 220 in an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process.

이러한 수신 단말(210)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MP 중 어느 하나이거나 전용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다.The receiving terminal 210 may be any one of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MP, or may be configured as a dedicated terminal.

송신 단말(220)은 QR 스캔 모듈(221), 입출력부(터치스크린)(222), 제어 모듈(223) 및 무선통신 모듈(22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QR scan module 221 , an input/output unit (touch screen) 222 , a control module 223 ,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24 .

송신 단말(220)의 QR 스캔 모듈(221)은 정보를 내장하는 QR 코드를 스캔하도록 구성된다. The QR scanning module 221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is configured to scan the QR code embedding information.

송신 단말(220)의 입출력부(터치스크린)(222)는 제어 모듈(223)의 제어 하에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출력 신호를 영상으로 출력한다. 게다가, 입출력부(터치스크린)(222)는 사용자의 터치를 받아 입력 신호를 제어 모듈(223)로 출력하고, 제어 모듈(223)은 입력 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The input/output unit (touch screen) 222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receives an output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223 and outputs the received output signal as an image. In addition, the input/output unit (touch screen) 222 receives a user's touch and outputs an input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223 , and the control module 223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송신 단말(220)의 제어 모듈(223)은 QR 코드를 스캔하여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송수신에 이용되는 정보 및 정보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나타내는 내용을 입출력부(터치스크린)(222)을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The control module 223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uses the information obtained by scanning the QR code to obtai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data used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displays the contents to the input/output unit (touch screen) 222 is configured to be displayed through

송신 단말(220)의 제어 모듈(223)은 송신 단말(220)이 송신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QR코드를 수신 단말(210)에 전송하고, 제1 QR 코드에 기초하여 수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QR 코드를 수신하고, 정보 데이터를 송신 단말(22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223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sends 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a first QR code including the transmit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receiving terminal 210, based on the first QR code identific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receive the second QR code including the information, and to transmit the information data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송신 단말(220)의 무선통신 모듈(224)은 송신 단말(220)이 간편 정보 송수신 과정에서 수신 단말(210)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24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plays a role in which 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between the receiving terminals 210 in a simple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process.

이러한 송신 단말(220)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MP 중 어느 하나이거나 전용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다.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may be any one of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MP, or may be configured as a dedicated terminal.

이하에서는 단말 간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200)의 각 수신 단말(210)과 송신 단말(220) 시점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operations at the viewpoints of the receiving terminal 210 and 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of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200 using the inter-terminal QR code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단말 간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수신 단말의 동작하는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receiving terminal of an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using a QR code between terminals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수신 단말(210)은 송신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QR 코드를 송신 단말로부터 인식할 수 있다(S720).The receiving terminal 210 may recognize the first QR code including the transmit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transmitting terminal (S720).

수신 단말(210)은 수신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S730).The receiving terminal 210 may generate a second QR code including the receiv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S730).

수신 단말(210)은 제2 QR 코드를 송신 단말(220)에 전송할 수 있다(S730).The receiving terminal 210 may transmit the second QR code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S730).

수신 단말(210)은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3 QR 코드를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740).The receiving terminal 210 may receive the third QR code including the transmission data from the transmitting terminal (S740).

수신 단말(210)은 제3 QR 코드를 통해 정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750).The receiving terminal 210 may receive the information data through the third QR code (S75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단말 간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송신 단말의 동작하는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transmitting terminal of an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using a QR code between terminals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송신 단말(220)은 송신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QR 코드를 수신 단말(210)에 전송할 수 있다(S810).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may transmit the first QR code including the transmit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receiving terminal 210 (S810).

송신 단말(220)은 수신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QR 코드를 수신 단말(2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820).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may receive the second QR code including the receiv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receiving terminal 210 (S820).

송신 단말(220)은 수신 단말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830).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may obtain the receiv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S830).

송신 단말(220)은 수신 단말(210)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3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S840).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may generate a third QR code including transmission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210 (S840).

송신 단말(220)은 제3 QR 코드를 수신 단말(210)에 전송할 수 있다(S850).The transmitting terminal 220 may transmit the third QR code to the receiving terminal 210 (S850).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as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hardware, or by a combination thereof. A software module may contain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It may reside in any type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 QR 식별 모듈이 없는 장치를 포함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
110 : 수신 단말
111 : QR 스캔 모듈
112 : 입출력부(터치스크린)
113 : 제어 모듈
114 : 무선통신 모듈
120 : 서버
130 : 송신 단말
131 : 입출력부(터치스크린)
132 : 제어 모듈
133 : 무선통신 모듈
200 : 단말 간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
210 : 수신 단말
211 : QR 스캔 모듈
212 : 입출력부(터치스크린)
213 : 제어 모듈
214 : 무선통신 모듈
220 : 송신 단말
221 : QR 스캔 모듈
222 : 입출력부(터치스크린)
223 : 제어 모듈
224 : 무선통신 모듈
100: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including a device without a QR identification module
110: receiving terminal
111: QR scan module
112: input/output unit (touch screen)
113: control module
114: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 server
130: transmitting terminal
131: input/output unit (touch screen)
132: control module
133: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0: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using QR code between terminals
210: receiving terminal
211: QR scan module
212: input/output unit (touch screen)
213: control module
214: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20: transmitting terminal
221: QR scan module
222: input/output unit (touch screen)
223: control module
224: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laims (10)

제1 단말이 제2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이차원 바코드를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의 식별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의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제2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1 단말이 제1 암호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제1 암호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암호화한 정보인 단계;
제1 단말이 상기 제1 암호 정보를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제1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정보 데이터(D1)를 포함하는 제2 이차원 바코드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1 단말이 상기 제2 이차원 바코드에 기록된 상기 암호화한 정보 데이터(D1)를 제1 단말의 복호화 정보로 복호화하여 정보 데이터(D)를 획득하는 단계;
제1 단말이 상기 정보 데이터(D)를 제2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암호화한 정보 데이터(D2)를 생성하고, 암호화한 정보 데이터(D2)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제1 단말이 상기 서버로부터 판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로 각각 전송된 암호화한 정보 데이터(D2)로부터 복호화한 정보 데이터(D)가 서로 동일한지 판단하는 것에 대한 판단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결제를 위해 이차원 바코드를 이용하는 정보 송수신 방법.
receiving, by the first terminal, a first two-dimensional barcode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from the second terminal;
transmitting, by the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to a server;
receiving, by the first terminal,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from the server;
generating, by the first terminal, first encryption information, wherein the first encryp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obtained by encrypting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using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transmitting, by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encrypt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terminal;
receiving, by the first terminal, a second two-dimensional barcode including information data (D1) encrypted using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from the second terminal;
obtaining, by the first terminal, the information data (D) by decrypting the encrypted information data (D1) recorded in the second two-dimensional barcode with the decryp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terminal encrypts the information data (D) using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to generate encrypted information data (D2), and transmitting the encrypted information data (D2) to the server; and
A first terminal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er,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is determination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information data (D) decrypted from the encrypted information data (D2) transmitted from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o the server, respectively, are identical to each other ,
A method of send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a two-dimensional barcode for easy pay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 여부에 대한 판단 정보가 동일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정보 데이터(D)가 정확하게 수신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동일 여부에 대한 판단 정보가 동일함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 상기 정보 데이터(D)가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음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결제를 위해 이차원 바코드를 이용하는 정보 송수신 방법.
According to claim 1,
confirming that the information data (D) is correctly received when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on whether the same is the same; and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firming that the information data (D) is not correctly received when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for the same does not indicate that the information is the same,
A method of send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a two-dimensional barcode for easy paym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데이터(D)가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단말로부터 다시 상기 제1 이차원 바코드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결제를 위해 이차원 바코드를 이용하는 정보 송수신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information data (D) is not correctly received,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wo-dimensional barcode is received again from the second terminal,
A method of send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a two-dimensional barcode for easy payment.
제2 단말이 제2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이차원 바코드를 제1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제2 단말이 제1 암호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1 암호 정보는, 제1 이차원 바코드에 기초하여 제1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상기 제2 단말의 암호화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정보인 단계;
제2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의 복호화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암호 정보를 복호화하여, 제1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2 단말이 정보 데이터(D)를 상기 제1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정보 데이터(D1)를 생성하는 단계;
제2 단말이 상기 암호화된 정보 데이터(D1)를 기초로 제2 이차원 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제2 단말이 상기 제2 이차원 바코드를 상기 제1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제2 단말이 상기 정보 데이터(D)를 제2 단말의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정보 데이터(D2)를 생성하고, 암호화된 정보 데이터(D2)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제2 단말이 상기 서버로부터 판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로 각각 전송된 암호화된 정보 데이터(D2)로부터 복호화한 정보 데이터(D)가 서로 동일한지 판단하는 것에 대한 판단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결제를 위해 이차원 바코드를 이용하는 정보 송수신 방법.
transmitting, by the second terminal, a first two-dimensional barcode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to the first terminal;
receiving, by the second terminal, first encryption information, wherein the first encryp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obtained by encrypting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based on the first two-dimensional barcode using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obtaining, by a second terminal,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by decrypting the first encryption information through the decryp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generating, by a second terminal, the information data (D) by using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to generate encrypted information data (D1);
generating, by a second terminal, a second two-dimensional barcode based on the encrypted information data (D1);
transmitting, by a second terminal, the second two-dimensional barcode to the first terminal;
A second terminal encrypting the information data (D) using the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to generate encrypted information data (D2), and transmitting the encrypted information data (D2) to the server; and
A second terminal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er,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is determination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information data (D) decrypted from the encrypted information data (D2) transmitted from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o the server, respectively, are identical to each other ,
A method of send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a two-dimensional barcode for easy payme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 여부에 대한 판단 정보가 동일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정보 데이터(D)가 정확하게 수신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동일 여부에 대한 판단 정보가 동일함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 상기 정보 데이터(D)가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음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결제를 위해 이차원 바코드를 이용하는 정보 송수신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confirming that the information data (D) is correctly received when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on whether the same is the same; and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firming that the information data (D) is not correctly received when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for the same does not indicate that the information is the same,
A method of send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a two-dimensional barcode for easy payme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데이터(D)가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단말에 다시 상기 제1 이차원 바코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결제를 위해 이차원 바코드를 이용하는 정보 송수신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information data (D) is not correctly received,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wo-dimensional barcode is transmitted back to the first terminal,
A method of send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a two-dimensional barcode for easy pay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52993A 2018-11-26 2019-11-26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2d barcode KR1024321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993A KR102432106B1 (en) 2018-11-26 2019-11-26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2d barc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032A KR102050823B1 (en) 2018-11-26 2018-11-26 System,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quick response code
KR1020190152993A KR102432106B1 (en) 2018-11-26 2019-11-26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2d barcod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032A Division KR102050823B1 (en) 2018-11-26 2018-11-26 System,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quick response c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062A KR20200062062A (en) 2020-06-03
KR102432106B1 true KR102432106B1 (en) 2022-08-12

Family

ID=82803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993A KR102432106B1 (en) 2018-11-26 2019-11-26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2d barc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106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6568A (en) 2005-12-14 2007-06-28 Chaosware Inc Encryption transmission system, transmitter, receiver, transmission method, receiving method, and program
JP2007318699A (en) 2006-05-23 2007-12-06 Chaosware Inc Encryption transmission system, transmitter, receiver, transmission method, receiving method, and program
JP2008035044A (en) 2006-07-27 2008-02-14 Funai Electric Co Ltd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KR101793409B1 (en) 2017-06-19 2017-11-20 송현섭 Data encryption and decryption method using QR code
KR101806390B1 (en) 2016-05-31 2017-12-07 주식회사지니 Card payment system and method for using body information
KR102050823B1 (en) * 2018-11-26 2019-12-03 주식회사 두빛나래소프트 System,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quick response cod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594B1 (en) 2014-10-01 2016-10-27 주식회사 다날 System for performing payment proces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6568A (en) 2005-12-14 2007-06-28 Chaosware Inc Encryption transmission system, transmitter, receiver, transmission method, receiving method, and program
JP2007318699A (en) 2006-05-23 2007-12-06 Chaosware Inc Encryption transmission system, transmitter, receiver, transmission method, receiving method, and program
JP2008035044A (en) 2006-07-27 2008-02-14 Funai Electric Co Ltd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KR101806390B1 (en) 2016-05-31 2017-12-07 주식회사지니 Card payment system and method for using body information
KR101793409B1 (en) 2017-06-19 2017-11-20 송현섭 Data encryption and decryption method using QR code
KR102050823B1 (en) * 2018-11-26 2019-12-03 주식회사 두빛나래소프트 System,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quick response c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062A (en)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36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electronic payments using a wearable device
US8930694B2 (en) Method for the generation of a code, and method and system for the authorization of an operation
EP3466032B1 (en) Multi-level communication encryption
US11972435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by using QR code
US20110213978A1 (en) Secure method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erminals comprising near-field communication, and corresponding terminals
CN105139205A (en) Payment verification method, terminal and server
WO20170446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electronic payments using a wearable device
KR20120073185A (en) Safe trade server for financial transaction using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nd financial transaction method thereof
KR101983680B1 (en) System,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quick response code
US20150350170A1 (en) Secure authentication of mobile users with no connectivity between authentication service and requesting entity
KR102464357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barcode using homomorphic encryption and Method thereof
KR102432106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2d barcode
JPWO2016152576A1 (en) Non-contact communication device, non-contact communication method, program, and non-contact communication system
CN116057892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ed messaging via short-range transceiver
KR20120059475A (en) Mobile terminal for Financial Transaction Using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nd Financial Transaction Method Thereof
KR102131385B1 (en) Crypto currency payment method
WO2020142994A1 (en) Control method, ticketing rule server, ticket checking rule server and apparatus
EP28000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of visually encoded data
KR20170029859A (en) User equipment, service providing device, POS terminal, pay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CN114424202A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dynamically tagged content
KR20240023613A (en) System and method for scalable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of contactless cards
KR20180040869A (en) Method for processing payment, potable terminal and payment system thereof
CN105225107A (en) Based on the communication interaction method of integrated card, method for secure transactions and system thereof
KR20120010096A (en) System for financial transaction using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nd financial transac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