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846B1 -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대한 검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대한 검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1846B1 KR102431846B1 KR1020220011392A KR20220011392A KR102431846B1 KR 102431846 B1 KR102431846 B1 KR 102431846B1 KR 1020220011392 A KR1020220011392 A KR 1020220011392A KR 20220011392 A KR20220011392 A KR 20220011392A KR 102431846 B1 KR102431846 B1 KR 1024318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put
- server
- output value
- ratio
- valu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68—Software testing
- G06F11/3696—Methods or tools to render software testab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6—Functional testing
- G06F11/273—Tester hardware, i.e. output processing circuits
- G06F11/277—Tester hardware, i.e. output processing circuits with comparison between actual response and known fault-free respons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06F11/327—Alarm or error message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64—Environments for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68—Software testing
- G06F11/3672—Test management
- G06F11/3684—Test management for test design, e.g. generating new test cas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68—Software testing
- G06F11/3672—Test management
- G06F11/3688—Test management for test execution, e.g. scheduling of test suit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68—Software testing
- G06F11/3672—Test management
- G06F11/3692—Test management for test results analysi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1—Design,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of databases
- G06F16/214—Database migration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대한 검증 방법에 있어서, 제1 서버가 제1 플랫폼의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서버에 입력되는 입력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버에 제1 입력 값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입력 값의 입력으로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제1 출력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플랫폼의 환경에서 제2 플랫폼의 환경으로 전환하는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을 통해, 제2 서버가 상기 제2 플랫폼의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는 경우, 상기 제2 서버에 입력되는 입력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서버에 상기 제1 입력 값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입력 값의 입력으로 상기 제2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제2 출력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 값에 대한 출력으로 상기 제1 출력 값 및 상기 제2 출력 값이 각각 획득되면, 상기 제1 출력 값과 상기 제2 출력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출력 값 및 상기 제2 출력 값을 비교한 결과, 상기 제1 출력 값과 상기 제2 출력 값이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서버에 적용된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대한 검증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아래 실시예들은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을 검증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새로운 플랫폼이 등장하거나,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플랫폼도 계속 업그레이드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플랫폼을 다른 플랫폼으로 변경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러한 플랫폼의 변경 작업을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이라 한다.
이러한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은 플랫폼을 변경하는 과정에서 데이터 누락 또는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의 정합성을 보장하기 위한 효율적인 검증 방법이 필요하다.
즉,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플랫폼과 새로 적용하려는 플랫폼 간의 마이그레이션 시 데이터 정합성을 보장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기존 플랫폼의 데이터베이스와 새로운 플랫폼의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전체적으로 비교하여,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의 전후 데이터가 변경없이 일치하도록 체크하는 검증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검증 방식은 데이터베이스를 전체적으로 비교하는 과정에서 많은 부하를 발생시키고, 데이터 비교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실제 운영 환경에서 데이터 정합성에 대한 검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실제 운영 환경에서도 데이터 정합성에 대한 검증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고, 플랫폼 마이그레이션 검증 방식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서버가 제1 플랫폼의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는 경우, 제1 서버에 입력되는 입력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서버에 제1 입력 값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입력 값의 입력으로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제1 출력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플랫폼의 환경에서 제2 플랫폼의 환경으로 전환하는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을 통해, 제2 서버가 상기 제2 플랫폼의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는 경우, 상기 제2 서버에 입력되는 입력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서버에 상기 제1 입력 값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입력 값의 입력으로 상기 제2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제2 출력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입력 값에 대한 출력으로 상기 제1 출력 값 및 상기 제2 출력 값이 각각 획득되면, 상기 제1 출력 값과 상기 제2 출력 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출력 값과 상기 제2 출력 값이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서버에 적용된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검증하는,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대한 검증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대한 검증 방법에 있어서, 제1 서버가 제1 플랫폼의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서버에 입력되는 입력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버에 제1 입력 값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입력 값의 입력으로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제1 출력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플랫폼의 환경에서 제2 플랫폼의 환경으로 전환하는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을 통해, 제2 서버가 상기 제2 플랫폼의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는 경우, 상기 제2 서버에 입력되는 입력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서버에 상기 제1 입력 값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입력 값의 입력으로 상기 제2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제2 출력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 값에 대한 출력으로 상기 제1 출력 값 및 상기 제2 출력 값이 각각 획득되면, 상기 제1 출력 값과 상기 제2 출력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출력 값 및 상기 제2 출력 값을 비교한 결과, 상기 제1 출력 값과 상기 제2 출력 값이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서버에 적용된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대한 검증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대한 검증 방법은, 제1 출력 값 및 상기 제2 출력 값을 비교한 결과, 상기 제1 출력 값과 상기 제2 출력 값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출력 값의 전문과 상기 제2 출력 값의 전문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2 출력 값의 전문 상에서 상기 제1 출력 값의 전문과 일치하는 구역을 전문 일치 구역으로 구분하여 분류하고, 상기 제2 출력 값의 전문 상에서 상기 제1 출력 값의 전문과 일치하지 않는 구역을 전문 불일치 구역으로 구분하여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제2 출력 값의 전문 상에서 상기 전문 일치 구역이 차지하는 비율을 전문 일치 비율로 산출하고, 상기 제2 출력 값의 전문 상에서 상기 전문 불일치 구역이 차지하는 비율을 전문 불일치 비율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전문 불일치 비율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비율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문 불일치 비율이 상기 제1 기준 비율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출력 값 및 상기 제2 출력 값 간의 불일치 오류를 무시 가능한 오류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문 불일치 비율이 상기 제1 기준 비율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전문 불일치 비율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비율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문 불일치 비율이 상기 제2 기준 비율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출력 값 및 상기 제2 출력 값 간의 불일치 오류를 일시적인 오류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문 불일치 비율이 상기 제2 기준 비율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출력 값 및 상기 제2 출력 값 간의 불일치 오류를 해결이 필요한 오류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출력 값 및 상기 제2 출력 값 간의 불일치 오류가 일시적인 오류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서버에 상기 제1 입력 값을 재입력하여, 상기 제1 입력 값의 재입력으로 상기 제2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제2 출력 값을 다시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출력 값 및 상기 제2 출력 값 간의 불일치 오류가 해결이 필요한 오류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입력 값, 상기 제1 출력 값 및 상기 제2 출력 값을 포함하는 오류 확인 알림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대한 검증 방법은, 미리 설정된 제1 기간 동안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값과 상기 제2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값과 상기 제2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값을 비교한 결과, 출력 값이 일치하는 출력 일치 건수와 출력 값이 불일치하는 출력 불일치 건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출력 일치 건수 및 상기 출력 불일치 건수를 합한 값으로, 출력 총 건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출력 일치 건수를 상기 출력 총 건수로 나눈 값으로, 출력 일치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출력 불일치 건수를 상기 출력 총 건수로 나눈 값으로, 출력 불일치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출력 불일치 비율이 미리 설정된 제1 목표 비율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출력 불일치 비율이 상기 제1 목표 비율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서버에 설치된 상기 제2 플랫폼에 대한 유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출력 불일치 비율이 상기 제1 목표 비율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출력 불일치 비율이 미리 설정된 제2 목표 비율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출력 불일치 비율이 상기 제2 목표 비율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서버에 설치된 상기 제2 플랫폼에 대한 업데이트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불일치 비율이 상기 제2 목표 비율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서버에 설치된 상기 제2 플랫폼에 대한 재설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서버가 제1 플랫폼의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는 경우, 제1 서버에 입력되는 입력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서버에 제1 입력 값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입력 값의 입력으로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제1 출력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플랫폼의 환경에서 제2 플랫폼의 환경으로 전환하는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을 통해, 제2 서버가 상기 제2 플랫폼의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는 경우, 상기 제2 서버에 입력되는 입력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서버에 상기 제1 입력 값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입력 값의 입력으로 상기 제2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제2 출력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입력 값에 대한 출력으로 상기 제1 출력 값 및 상기 제2 출력 값이 각각 획득되면, 상기 제1 출력 값과 상기 제2 출력 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출력 값과 상기 제2 출력 값이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서버에 적용된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검증함으로써, 실제 운영 환경에서도 데이터 정합성에 대한 검증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고, 플랫폼 마이그레이션 검증 방식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을 검증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을 검증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을 검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출력 값이 다른 경우 전문 불일치 비율에 따라 오류의 종류를 구분하는 과정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출력 값 불일치 비율에 따라 플랫폼을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서버 메모리의 잔여 공간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서버 및 제2 서버의 로그 데이터를 관리 및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을 검증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을 검증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을 검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출력 값이 다른 경우 전문 불일치 비율에 따라 오류의 종류를 구분하는 과정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출력 값 불일치 비율에 따라 플랫폼을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서버 메모리의 잔여 공간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서버 및 제2 서버의 로그 데이터를 관리 및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제1 서버(110), 제2 서버(120) 및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서버(110)와 장치(200) 및 제2 서버(120)와 장치(200)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이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되어, 서버와 서버 간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서버(110) 및 제2 서버(120)는 통신 기능을 갖춘 연산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서버(110)는 플랫폼 마이그레이션 전의 구시스템 환경으로 구현된 플랫폼을 통해 운영되는 서버이고, 제2 서버(120)는 플랫폼 마이그레이션 후의 신시스템 환경으로 구현된 플랫폼을 통해 운영되는 서버이다.
즉,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은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플랫폼을 다른 플랫폼으로 변경하는 작업인데, 제1 서버(110)는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이 수행되기 전의 기존 플랫폼을 통해 운영되는 서버를 의미하고, 제2 서버(120)는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이 수행된 후의 새로운 플랫폼을 통해 운영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장치(200)는 장치(2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장치(20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200)는 제1 서버(110) 및 제2 서버(120)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200)는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을 통한 플랫폼 교체 사업에 최적화된 테스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을 테스트하기 위한 솔루션은 인프라 고도화를 위한 플랫폼 마이그레이션 사업에서 반드시 확인되어야 할 애플리케이션을 검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의 정합성을 실제 거래정보를 활용하여 검증하고, 검증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테스트의 효율성과 신뢰도를 제고시키고 안정적인 전환 지원 및 정합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200)는 마이그레이션 테스트 솔루션을 통해, 테스트 대상 서비스(URI) 관리, 테스트 전문(로그/패킷) 수집/변환/재전송, 다양한 테스트 방식 지원, 테스트 현황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테스트 대상 서비스(URI) 관리 기능과 관련하여, 장치(200)는 WAS 서버(Java PG)를 통해 AP 서버를 등록하고 URI 목록을 관리할 수 있으며, TP 서버(C PG)를 통해 AP 서버를 등록하고 서비스 목록을 관리할 수 있다.
테스트 전문(로그/패킷) 수집/변환/재전송 기능과 관련하여, 장치(200)는 현행 거래 로그, 패킷 저장, 실시간 패킷 송신을 통해 테스트 전문 로그 및 패킷을 수집, 변환 및 재전송할 수 있다. 이때, 로그 및 패킷을 수집하는 방식은 TCP Dump, 백본 미러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테스트 방식 지원 기능과 관련하여, 장치(200)는 일괄, 실시간, 건별, 반복, 집중 등 다양한 테스트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테스트 현황 관리 기능과 관련하여, 장치(200)는 테스트 단계별, 업무별, 담당자별 진척율 현황을 관리하고, 에러 전문 표시, 전문 비교, 응답시간 표시를 통한 테스트 현황 및 결과를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마이그레이션 테스트 솔루션의 주요 특징으로는 효율성, 다양성, 독립성, 정합성, 멀티 아키텍처 지원이 있다.
구체적으로, 테스트 단계, 업무별, 담당자별 현황을 제공하여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고, 실 환경에서 발생된 테스트 케이스를 활용하여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패킷, 처리 거래 로그, 미러링 운영 환경에 영향이 없으므로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기능 정상 및 데이터 정합성의 동시 검증을 통해 정합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WAS, TP 모든 아키텍쳐 환경을 지원하여 멀티 아키텍처를 지원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을 검증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서버(110)는 플랫폼 마이그레이션 전의 플랫폼으로 운영되는 구시스템 환경의 서버이고, 제2 서버(120)는 플랫폼 마이그레이션 후의 플랫폼으로 운영되는 신시스템 환경의 서버이다. 이때, 시스템에는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의 검증을 위해, 검증 서버(110-1)가 포함될 수 있으며, 검증 서버(110-1)는 제1 서버(110)의 복제본으로, 검증계로 활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은 패킷 정보 복사를 활용한 배치 방식을 위해 구성될 수 있으며, 운영 환경의 영향이나 Agent 설치 없이 제1 서버(110)의 패킷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거래 로그로 조립하여 제2 서버(120)로 거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검증 서버(110-1)를 활용할 경우, 동일 거래 결과의 정합성까지 검증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패킷 정보 복사를 활용한 배치 방식을 통해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을 검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패킷 저장 단계에서, 제1 서버(110)에 거래 발생을 위해 입력되는 입력 값이 제1 서버(110) 및 장치(200)와 연결된 패킷저장장치에 패킷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패킷 저장 단계에서, 제1 서버(110)는 거래 발생이 입력되면, 거래 발생에 대한 요청을 처리하여, 거래 전문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버(110)로부터 거래 전문으로 출력되는 출력 값이 패킷저장장치에 패킷으로 저장될 수 있다.
패킷 저장/재조립 단계에서, 장치(200)는 패킷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패킷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 및 재조립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제1 서버(110)에 입력되거나 제1 서버(110)로부터 출력된 패킷 정보를 구분하여 분류할 수 있다.
거래 발생 단계에서, 장치(200)는 패킷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패킷 정보를 기초로, 거래를 발생시키기 위한 입력 값을 송신하여, 검증 서버(110-1)와 제2 서버(120)로 입력 값을 전송할 수 있다.
거래 결과 단계에서, 장치(200)는 검증 서버(110-1) 및 제2 서버(120) 각각으로부터 출력된 출력 값을 수신하여 전문 로그에 저장할 수 있다.
검증 단계에서, 장치(200)는 전문 로그에 저장된 출력 값에서 검증 서버(110-1)으로부터 출력된 출력 값과 제2 서버(120)으로부터 출력된 출력 값을 각각 획득할 수 있으며, 각각 획득된 출력 값을 비교하여,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을 검증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서버(110)는 플랫폼 마이그레이션 전의 플랫폼으로 운영되는 구시스템 환경의 서버이고, 제2 서버(120)는 플랫폼 마이그레이션 후의 플랫폼으로 운영되는 신시스템 환경의 서버이다. 이때, 시스템에는 검증 서버(110-1)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1 서버(110)가 검증 서버(110-1)의 기능까지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시스템은 백본 미러링을 이용한 실시간 방식을 위해 구성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백본 미러링 기능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거래 패킷 정보를 캡처하고 거래 로그로 조립하여 제2 서버(120)로 거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서버(110)의 거래 전문 결과를 활용할 경우 에러 및 정합성까지 검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백본 미러링을 이용한 실시간 방식을 통해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을 검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패킷 수집/재조립 단계에서, 제1 서버(110)에 거래 발생을 위해 입력되는 입력 값이 장치(200)에 포함되어 있는 패킷저장장치에 패킷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패킷 수집/재조립 단계에서, 제1 서버(110)는 거래 발생이 입력되면, 거래 발생에 대한 요청을 처리하여, 거래 전문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버(110)로부터 거래 전문으로 출력되는 출력 값이 장치(200)에 포함되어 있는 패킷저장장치에 패킷으로 저장될 수 있다.
장치(200)는 제1 서버(110)에 입력되는 정보와 제1 서버(110)로부터 출력되는 정보가 패킷저장장치에 패킷으로 저장되면, 저장된 패킷을 수집 및 재조립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제1 서버(110)에 입력되거나 제1 서버(110)로부터 출력된 패킷 정보를 구분하여 분류할 수 있다.
전문 송신 단계에서, 장치(200)는 패킷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패킷 정보를 기초로, 거래를 발생시키기 위한 입력 값을 송신하여, 제2 서버(120)로 입력 값을 전송할 수 있다.
검증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서버(120)로부터 출력된 출력 값이 수신되면, 제1 서버(110)로부터 출력된 출력 값과 제2 서버(120)로부터 출력된 출력 값을 비교하여,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을 검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4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서버(110)가 제1 플랫폼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는 경우, 제1 서버(110)에 입력되는 입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플랫폼은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을 하기 전에 사용되던 기존의 플랫폼이다.
S4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서버(120)가 제2 플랫폼 환경 운영되고 있는 경우, 제2 서버(120)에 입력되는 입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플랫폼은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을 한 후 사용하는 새로운 플랫폼이다.
S4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서버(110)에 제1 입력 값이 입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서버(110)에 입력되는 입력 값을 계속 획득하다가, 특정 시점에 입력된 입력 값을 제1 입력 값으로 설정하고, 제1 서버(110)에 제1 입력 값이 입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서버(120)에 제1 입력 값이 입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서버(110)에 입력된 제1 입력 값이 제2 서버(120)에도 입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서버(110)에 입력되는 입력 값과 제2 서버(120)에 입력되는 입력 값이 제1 입력 값으로 동일한 것이 확인되면, 제1 입력 값을 이용하여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입력 값의 입력으로 제1 서버(110)로부터 출력되는 제1 출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버(110)는 제1 입력 값이 입력되면, 제1 입력 값에 대한 요청을 처리하여, 제1 출력 값을 출력할 수 있으며, 장치(200)는 제1 서버(110)로부터 제1 출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입력 값의 입력으로 제2 서버(120)로부터 출력되는 제2 출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2 서버(120)는 제1 입력 값이 입력되면, 제1 입력 값에 대한 요청을 처리하여, 제2 출력 값을 출력할 수 있으며, 장치(200)는 제2 서버(120)로부터 제2 출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입력 값에 대한 출력으로 제1 출력 값 및 제2 출력 값이 각각 획득되면, 제1 출력 값과 제2 출력 값을 비교할 수 있다.
S408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출력 값 및 제2 출력 값을 비교한 결과, 제1 출력 값과 제2 출력 값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2 서버(120)에 적용된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해, 제1 서버(110)에 제1 입력 값을 입력했을 때 출력되는 제1 출력 값과 제2 서버(120)에 제1 입력 값을 입력했을 때 출력되는 제2 출력 값을 비교하여, 제1 출력 값과 제2 출력 값이 같은 값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408 단계에서 제1 출력 값과 제2 출력 값이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S409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서버(120)에 적용된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서버(110)에 제1 입력 값을 입력했을 때 출력되는 제1 출력 값과 제2 서버(120)에 제1 입력 값을 입력했을 때 출력되는 제2 출력 값이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서버(110)와 제2 서버(120)가 동일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2 서버(120)에 적용된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110)에 제1 입력 값을 입력했을 때 거래 성공이 출력되고, 제2 서버(120)에 제1 입력 값을 입력했을 때도 거래 성공이 출력되면, 장치(200)는 제2 서버(120)에 적용된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
S408 단계에서 제1 출력 값과 제2 출력 값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S501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출력 값이 다른 경우 전문 불일치 비율에 따라 오류의 종류를 구분하는 과정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5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서버(110)로부터 출력된 제1 출력 값과 제2 서버(120)로부터 출력된 제2 출력 값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출력 값의 전문과 제2 출력 값의 전문을 비교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출력 값과 제2 출력 값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2 서버(120)에 적용된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검증할 수 있으며, 문제의 심각성을 파악하기 위해, 제1 출력 값의 전문과 제2 출력 값의 전문을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제1 출력 값의 전문과 제2 출력 값의 전문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부분과 불일치하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출력 값의 전문 및 제2 출력 값의 전문 각각은 거래 결과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패킷 정보, 콘텐츠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출력 값의 전문과 제2 출력 값의 전문을 비교한 결과, 제2 출력 값의 전문 상에서 제1 출력 값의 전문과 일치하는 구역을 전문 일치 구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제2 출력 값의 전문에 포함되어 있는 글자와 제1 출력 값의 전문에 포함되어 있는 글자를 비교하여, 글자가 일치하는 부분을 전문 일치 구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출력 값의 전문과 제2 출력 값의 전문을 비교한 결과, 제2 출력 값의 전문 상에서 제1 출력 값의 전문과 일치하지 않는 구역을 전문 불일치 구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제2 출력 값의 전문 상에서 전문 일치 구역이 분류되면, 전문 일치 구역 이외의 나머지 구역을 전문 불일치 구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출력 값의 전문 상에서 전문 일치 구역이 차지하는 비율을 전문 일치 비율로 산출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2 출력 값의 전문에 포함되어 있는 전체 글자 수와 전문 일치 구역에 포함되어 있는 글자 수를 이용하여, 전문 일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출력 값의 전문에 100개의 글자가 포함되어 있고, 제1 출력 값의 전문과 제2 출력 값의 전문을 비교했을 때 70개의 글자가 일치하는 경우, 장치(200)는 전문 일치 비율을 70%로 산출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출력 값의 전문 상에서 전문 불일치 구역이 차지하는 비율을 전문 불일치 비율로 산출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2 출력 값의 전문에 포함되어 있는 전체 글자 수와 전문 불일치 구역에 포함되어 있는 글자 수를 이용하여, 전문 불일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출력 값의 전문에 100개의 글자가 포함되어 있고, 제1 출력 값의 전문과 제2 출력 값의 전문을 비교했을 때 30개의 글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장치(200)는 전문 불일치 비율을 30%로 산출할 수 있다.
S5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전문 불일치 비율이 제1 기준 비율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비율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출력 값과 제2 출력 값의 불일치 오류에 대한 대처 방안의 종류를 구분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S506 단계에서 전문 불일치 비율이 제1 기준 비율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5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출력 값 및 제2 출력 값 간의 불일치 오류를 무시 가능한 오류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출력 값 및 제2 출력 값이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상태에서, 전문 불일치 비율이 제1 기준 비율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2 출력 값의 전문에 제1 출력 값의 전문과 일치하지 않는 글자가 매우 적게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출력 값 및 제2 출력 값 간의 불일치 오류를 무시 가능한 오류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제1 출력 값 및 제2 출력 값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제2 서버(120)에 적용된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
S506 단계에서 전문 불일치 비율이 제1 기준 비율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508 단계에서, 장치(200)는 전문 불일치 비율이 제2 기준 비율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비율은 제1 기준 비율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S508 단계에서 전문 불일치 비율이 제2 기준 비율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509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출력 값 및 제2 출력 값 간의 불일치 오류를 일시적인 오류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출력 값 및 제2 출력 값이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상태에서, 전문 불일치 비율이 제1 기준 비율 보다 크지만 제2 기준 비율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2 출력 값의 전문에 제1 출력 값의 전문과 일치하지 않는 글자가 어느 정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출력 값 및 제2 출력 값 간의 불일치 오류를 일시적인 오류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제2 서버(120)에 적용된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검증하지 않고 대기할 수 있으며, 제1 입력 값의 재입력으로 출력되는 출력 값을 이용하여, 제2 서버(120)에 적용된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S509 단계 이후, S406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200)는 제2 서버(120)에 제1 입력 값을 재입력하여, 제1 입력 값의 재입력으로 제2 서버(120)로부터 출력되는 제2 출력 값을 다시 획득할 수 있다.
한편, S508 단계에서 전문 불일치 비율이 제2 기준 비율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510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출력 값 및 제2 출력 값 간의 불일치 오류를 해결이 필요한 오류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출력 값 및 제2 출력 값이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상태에서, 전문 불일치 비율이 제2 기준 비율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제2 출력 값의 전문에 제1 출력 값의 전문과 일치하지 않는 글자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출력 값 및 제2 출력 값 간의 불일치 오류를 해결이 필요한 오류로 판단할 수 있다.
S51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출력 값 및 상기 제2 출력 값 간의 불일치 오류가 해결이 필요한 오류로 판단되면, 제1 입력 값, 제1 출력 값 및 제2 출력 값을 포함하는 오류 확인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장치(200)는 오류 확인 메시지가 관리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될 때, 제1 입력 값이 관리자 단말의 화면 상단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제1 출력 값이 관리자 단말의 화면 좌측 하단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제2 출력 값이 관리자 단말의 화면 우측 하단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출력 값 불일치 비율에 따라 플랫폼을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6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기간 동안 제1 서버(11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값과 제2 서버(1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주일, 15일, 한달 등으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간이 15일로 설정되어 있고, 제1 서버(110)가 제1 플랫폼의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고, 제2 서버(120)가 제2 플랫폼의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는 경우, 장치(200)는 제1 서버(110)에서 출력되는 출력 값을 15일 동안 획득 및 저장하고, 제2 서버(120)에서 출력되는 출력 값을 15일 동안 획득 및 저장하여, 15일 동안 제1 서버(110) 및 제2 서버(120) 각각에서 출력된 출력 값을 비교할 수 있다.
S6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기간 동안 제1 서버(110)로부터 출력된 출력 값과 제2 서버(1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값을 비교한 결과, 출력 값이 일치하는 출력 일치 건수와 출력 값이 불일치 하는 출력 불일치 건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간 동안 제1 서버(110) 및 제2 서버(120) 각각에 제1 입력 값과 제2 입력 값이 입력된 경우, 장치(200)는 제1 서버(110)에 제1 입력 값이 입력되면, 제1 입력 값의 입력으로 제1 서버(110)로부터 출력되는 제1 출력 값을 획득하고, 제2 서버(120)에 제1 입력 값이 입력되면, 제1 입력 값의 입력으로 제2 서버(120)로부터 출력되는 제2 출력 값을 획득하고, 제1 서버(110)에 제2 입력 값이 입력되면, 제2 입력 값의 입력으로 제1 서버(110)로부터 출력되는 제3 출력 값을 획득하고, 제2 서버(120)에 제2 입력 값이 입력되면, 제2 입력 값의 입력으로 제2 서버(120)로부터 출력되는 제4 출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장치(200)는 제1 서버(110)로부터 출력된 출력 값과 제2 서버(1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값을 비교한 결과, 제1 출력 값과 제2 출력 값이 일치하고, 제3 출력 값과 제4 출력 값이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출력 일치 건수를 2건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장치(200)는 제1 서버(110)로부터 출력된 출력 값과 제2 서버(1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값을 비교한 결과, 제1 출력 값과 제2 출력 값이 일치하지 않고, 제3 출력 값과 제4 출력 값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출력 불일치 건수를 2건으로 산출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기간 동안 제1 서버(110)로부터 출력된 출력 값과 제2 서버(1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값을 비교한 결과를 통해, 출력 일치 건수와 출력 불일치 건수가 각각 산출되면, 출력 일치 건수와 출력 불일치 건수를 합한 값으로, 출력 총 건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간 동안 제1 서버(11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값과 제2 서버(1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값을 비교한 결과, 출력 일치 건수가 80건이고, 출력 불일치 건수가 20건일 경우, 장치(200)는 출력 총 건수를 100건으로 산출할 수 있다.
S6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출력 일치 건수를 출력 총 건수로 나눈 값으로, 출력 일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일치 건수가 80건이고 출력 총 건수가 100건일 경우, 장치(200)는 출력 일치 비율을 80%로 산출할 수 있다.
S6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출력 불일치 건수를 출력 총 건수로 나눈 값으로, 출력 불일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불일치 건수가 20건이고 출력 총 건수가 100건일 경우, 장치(200)는 출력 불일치 비율을 20%로 산출할 수 있다.
S6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출력 불일치 비율이 제1 목표 비율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목표 비율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제2 플랫폼의 관리 방식에 대한 기준이 될 수 있다.
S606 단계에서 출력 불일치 비율이 제1 목표 비율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6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서버(120)에 설치된 제2 플랫폼에 대한 유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출력 불일치 비율이 제1 목표 비율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기간 동안 제1 서버(110)와 제2 서버(120) 간에 출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매우 적은 것으로 파악하여, 제2 서버(120)에 설치된 제2 플랫폼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플랫폼에 대한 유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606 단계에서 출력 불일치 비율이 제1 목표 비율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608 단계에서, 장치(200)는 출력 불일치 비율이 제2 목표 비율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목표 비율은 제1 목표 비율 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S608 단계에서 출력 불일치 비율이 제2 목표 비율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609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서버(120)에 설치된 제2 플랫폼에 대한 업데이트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출력 불일치 비율이 제1 목표 비율 보다 크지만 제2 목표 비율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기간 동안 제1 서버(110)와 제2 서버(120) 간에 출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어느 정도 있는 것으로 파악하여, 제2 서버(120)에 설치된 제2 플랫폼에 사소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2 서버(120)에 설치된 제2 플랫폼에 대한 업데이트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608 단계에서 출력 불일치 비율이 제2 목표 비율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610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서버(120)에 설치된 제2 플랫폼에 대한 재설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출력 불일치 비율이 제2 목표 비율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제1 기간 동안 제1 서버(110)와 제2 서버(120) 간에 출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여, 제2 서버(120)에 설치된 제2 플랫폼에 중대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2 서버(120)에 설치된 제2 플랫폼에 대한 재설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서버 메모리의 잔여 공간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7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서버(120)가 제2 플랫폼의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는 경우, 제2 서버(120)에 설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제2 기간 동안 실행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과 제2 기간 동안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2 서버(120)의 도면 부호 확인해서 추가
예를 들어, 제2 서버(120)에는 제1 애플리케이션, 제2 애플리케이션, 제3 애플리케이션 및 제4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최근 한 달 동안 제2 서버(120)에서 제3 애플리케이션 및 제4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으며, 최근 한 달의 기간이 제2 기간으로 설정된 경우, 장치(200)는 제2 서버(120)에 설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들 중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을 제2 기간 동안 실행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하고, 제3 애플리케이션 및 제4 애플리케이션을 제2 기간 동안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기간 동안 실행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들을 제1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버(120)에 설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들 중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을 제2 기간 동안 실행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된 경우, 장치(200)는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을 제1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기간 동안 실행된 애플리케이션들을 기준 횟수 이하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과 기준 횟수 초과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횟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버(120)에 설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들 중 제3 애플리케이션 및 제4 애플리케이션이 제2 기간 동안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된 경우, 장치(200)는 제2 기간 동안 제3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횟수와 제4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횟수를 각각 확인할 수 있으며, 각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횟수와 기준 횟수를 비교하여, 제3 애플리케이션 및 제4 애플리케이션을 기준 횟수 이하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과 기준 횟수 초과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할 수 있다.
S704 단계에서, 장치(200)는 기준 횟수 이하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제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버(120)에 설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들 중 제3 애플리케이션 및 제4 애플리케이션이 제2 기간 동안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되고, 제2 기간 동안 실행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제3 애플리케이션이 기준 횟수 이하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된 경우, 장치(200)는 제3 애플리케이션을 제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S7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서버의 메모리에서 사용 가능한 공간인 잔여 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
S7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잔여 공간이 제1 기준 용량 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용량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706 단계에서 잔여 공간이 제1 기준 용량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7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서버(120)에 설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삭제가 필요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잔여 공간이 600GB이고, 제1 기준 용량이 500GB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장치(200)는 잔여 공간이 제1 기준 용량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기 때문에, 제2 서버(120)에 설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삭제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706 단계에서 잔여 공간이 제1 기준 용량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708 단계에서, 장치(200)는 잔여 공간이 제2 기준 용량 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용량은 제1 기준 용량 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S708 단계에서 잔여 공간이 제2 기준 용량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709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서버(120)에 설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중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애플리케이션이 삭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잔여 공간이 300GB이고, 제1 기준 용량이 500GB로 설정되어 있고, 제2 기준 용량이 200GB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장치(200)는 잔여 공간이 제1 기준 용량 보다 작지만 제2 기준 용량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기 때문에, 제2 서버(120)에 설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들 중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애플리케이션이 삭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S708 단계에서 잔여 공간이 제2 기준 용량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710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서버(120)에 설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중 제1 그룹 및 제2 그룹으로 분류된 애플리케이션이 삭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잔여 공간이 100GB이고, 제1 기준 용량이 500GB로 설정되어 있고, 제2 기준 용량이 200GB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장치(200)는 잔여 공간이 제2 기준 용량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기 때문에, 제2 서버(120)에 설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들 중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애플리케이션과 제2 그룹으로 분류된 애플리케이션이 모두 삭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서버 및 제2 서버의 로그 데이터를 관리 및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제1 서버(110), 제2 서버(120) 및 장치(200) 이외에, 클라우드 스토리지, 복수의 병렬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서버(110) 및 제2 서버(120) 각각에는 로그 봇이 설치되어 있다. 즉, 제1 서버(110)에는 제1 로그 봇이 설치되어 있고, 제2 서버(120)에는 제2 로그 봇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서버(110) 및 제2 서버(120) 각각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즉, 제1 서버(110)는 제1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있고, 제2 서버(120)는 제2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복수의 로그 봇은 제1 데이터베이스 및 제2 데이터베이스의 로그를 관리하는 봇으로, 데이터베이스의 접근 제어 솔루션(데이터베이스 접근 툴, 프로그램 등)을 통해 제1 데이터베이스 및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변경하는 과정을 감시하고, 정보 변경 시 이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로그 데이터는 정보 변경 시 사용된 쿼리, 정보 변경을 요청한 IP 주소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110)와 제1 사용자 단말은 연결되어 있고, 제1 사용자 단말에 데이터베이스 접근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된 제1 쿼리에 의해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가 변경되면, 제1 로그 봇은 제1 쿼리 및 제1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 변경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 로그 서버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장치(200), 복수의 병렬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어디서나 원하는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구축된 객체 스토리지로 구현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S3(Simple Storage Service)를 제공할 수 있으며, S3는 업계 최고의 확장성, 데이터 가용성 및 보안과 성능을 제공하는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즉, 규모와 업종에 상관없이 고객사가 이 서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레이크, 웹사이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백업 및 복원, 아카이브,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IoT 디바이스, 빅 데이터 분석과 같은 다양한 사용 사례에서 원하는 만큼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보호할 수 있다. S3는 사용하기 쉬운 관리 기능을 제공하므로 특정 비즈니스, 조직 및 규정 준수 요구 사항에 따라 데이터를 조직화하고 세부적인 액세스 제어를 구성할 수 있다.
장치(200)는 제1 서버(110) 및 제2 서버(120) 각각에 설치된 복수의 로그 봇, 클라우드 스토리지, 복수의 병렬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여,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병렬 서버는 오토 스케일링 그룹(Auto Scaling Group)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버로, 제1 병렬 서버, 제2 병렬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병렬 서버에는 오토 스케일링(Auto Scaling)을 통해 자동 조절 정책(Auto-Scaling Policy)이 설정될 수 있다. 자동 조절 정책은 서버들의 묶음 단위인 오토 스케일링 그룹(Auto Scaling Group)에 연결하여 서비스가 유휴 상태일 때는 서버의 개수를 최소로 유지하고 부하가 발생하면 최대로 늘려 안정적이고 유연한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장치(200)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는 로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 데이터베이스 로그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S801 단계에서, 제1 서버(110) 및 제2 서버(120) 각각에 설치된 복수의 로그 봇은 장치(200)의 제어에 의해, 제1 서버(110) 및 제2 서버(120) 별로 로그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로그 데이터는 쿼리 및 IP 주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서버(110) 및 제2 서버(120) 각각에 설치된 복수의 로그 봇을 통해, 제1 서버(110) 및 제2 서버(120) 별로 로그 데이터가 추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110)에 설치된 제1 로그 봇은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 변경으로 제1 서버(110)에서 생성된 로그 데이터를 추출하고, 제2 서버(120)에 설치된 제2 로그 봇은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 변경으로 제2 서버(120)에서 생성된 로그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제1 로그 봇 및 제2 로그 봇은 장치(20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 변경으로 로그 데이터가 새로 기록될 때마다 로그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기간마다 일괄적으로 로그 데이터를 추출할 수도 있다.
S802 단계에서, 제1 서버(110) 및 제2 서버(120)에 설치된 복수의 로그 봇은 장치(200)의 제어에 의해, 추출된 로그 데이터를 패킷으로 복제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서버(110) 및 제2 서버(120) 각각에 설치된 복수의 로그 봇을 통해, 추출된 로그 데이터가 패킷으로 복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110)에 설치된 제1 로그 봇은 제1 서버(110)에서 추출된 로그 데이터를 패킷으로 복제하고, 제2 서버(120)에 설치된 제2 로그 봇은 제2 서버(120)에서 추출된 로그 데이터를 패킷으로 복제할 수 있다.
제1 로그 봇 및 제2 로그 봇은 장치(20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될 수 있으며, 로그 데이터가 추출될 때마다 추출된 로그 데이터를 패킷으로 복제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기간마다 일괄적으로 추출된 로그 데이터를 패킷으로 복제할 수 있다.
S803 단계에서, 제1 서버(110) 및 제2 서버(120)에 설치된 복수의 로그 봇은 복제된 로그 데이터를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서버(110) 및 제2 서버(120)에 설치된 복수의 로그 봇은 복제된 로그 데이터를 클라우드 스토리지로 전달할 수 있으며, 복제된 로그 데이터가 복수의 로그 봇으로부터 클라우드 스토리지로 전달되면, 전달된 로그 데이터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장치(200)는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된 로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S804 단계에서, 장치(200)는 복제된 로그 데이터가 전달되면, 전달된 로그 데이터의 복호화를 병렬로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장치(200)와 연결된 오토 스케일링 그룹(Auto Scaling Group)을 통해, 획득된 로그 데이터의 복호화를 병렬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토 스케일링 그룹(Auto Scaling Group)이 5개의 병렬 서버로 구성되어 있고, 로그 데이터를 복호화 하기 위해 처리해야 하는 일의 수가 10,000개인 경우, 장치(200)는 처리해야 하는 일을 2,000개씩으로 분배하여, 분배된 일을 5개의 병렬 서버로 전달하여 처리하게 함으로써, 로그 데이터의 복호화를 복수의 병렬 서버를 통해 병렬로 처리할 수 있다.
S805 단계에서, 장치(200)는 복호화된 로그 데이터를 장치(200)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복수의 병렬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병렬 서버 및 제2 병렬 서버를 통해 로그 데이터의 복호화가 병렬로 처리된 경우, 장치(200)는 제1 병렬 서버를 통해 복호화된 로그 데이터와 제2 병렬 서버를 통해 복호화된 로그 데이터가 결합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로그 데이터의 패킷이 복제되어 장치(200)로 전달되면, 장치(200)는 전달된 로그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로부터 쿼리를 뽑아내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쿼리를 뽑아내기 위해 필요한 복호화를 복수의 병렬 서버를 통해 분산 처리되도록 제어하여, 복호화를 분산시켜 병렬로 처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200)는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는 로그 데이터의 파일 중 처리해야 하는 로그 데이터의 파일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 중 처리해야 할 파일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제1 로그 데이터, 제2 로그 데이터 및 제3 로그 데이터에 대한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장치(200)는 제1 로그 데이터, 제2 로그 데이터 및 제3 로그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장치(200)는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로그 데이터의 파일을 처리해야 하는 로그 데이터의 파일 리스트로 획득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기간 이내에 저장된 로그 데이터의 파일만 처리해야 하는 로그 데이터의 파일 리스트로 획득할 수도 있다.
장치(200)는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저장 용량이 기준 용량 이하로 남아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클라우드 스토리지로부터 처리해야 하는 로그 데이터의 파일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기간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로부터 처리해야 하는 로그 데이터의 파일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장치(200)는 획득된 파일 리스트를 이용하여 처리해야 하는 일의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복수의 병렬 서버를 통해 처리해야 할 일의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 리스트에 10,000개의 로그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장치(200)는 10,000개의 로그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가 필요하기 때문에, 10,000개의 로그 데이터에 대응하는 10,000개의 일의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장치(200)는 생성된 일의 목록에 포함된 일을 분배하여, 오토 스케일링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병렬 서버로, 분배된 일에 대한 처리 요청을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오토 스케일링 그룹의 인스턴스가 장치(200)에 처리해야 하는 일의 목록을 요청할 수 있다. 일의 목록에는 처리해야 하는 파일 리스트와 그 파일들을 복호화 할 때 필요한 키 파일이 저장되어 있어, 장치(200)는 처리해야 하는 파일 리스트와 키 파일을 분배하여, 복수의 병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번부터 6,000까지 번호가 설정된 일의 목록이 생성된 경우, 장치(200)는 1번부터 2,000번까지 일을 제1 작업으로 분배하고, 2,001번부터 4,000번까지 일을 제2 작업으로 분배하고, 4,001번부터 6,000번까지 일을 제3 작업으로 분배할 수 있다. 이후, 장치(200)는 제1 작업에 대한 처리 요청을 제1 병렬 서버로 전송하고, 제2 작업에 대한 처리 요청을 제2 병렬 서버로 전송하고, 제3 작업에 대한 처리 요청을 제3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장치(200)는 분배된 일의 처리에 필요한 로그 데이터의 파일과 키 파일이 클라우드 스토리지로부터 복수의 병렬 서버로 각각 전달되도록 처리하고, 복수의 병렬 서버로 전달된 로그 데이터의 파일과 키 파일을 기초로, 로그 데이터의 복호화 및 패킷 분석이 진행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즉, 오토 스케일링 그룹의 인스턴스가 일 목록에 명시된 파일과 처리에 필요한 키 파일을 클라우드 스토리지로부터 다운로드 하고, 복수의 병렬 서버는 복호화 및 패킷 분석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패킷 분석은 Wireshark의 Terminal 버전인 Tshark를 사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번부터 2,000번까지 일이 제1 작업으로 분배되고, 2,001번부터 4,000번까지 일을 제2 작업으로 분배되고, 4,001번부터 6,000번까지 일을 제3 작업으로 분배되어, 제1 작업에 대한 처리가 제1 병렬 서버로 요청되고, 제2 작업에 대한 처리가 제2 병렬 서버로 요청되고, 제3 작업에 대한 처리가 제3 서버로 요청된 경우, 제1 병렬 서버는 제1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클라우드 스토리지로부터 1번부터 2,000번까지의 로그 데이터 파일 및 키 파일을 획득하여, 1번부터 2,000번까지의 로그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 및 패킷 분석을 진행하고, 제2 병렬 서버는 제2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클라우드 스토리지로부터 2,001번부터 4,000번까지의 로그 데이터 및 키 파일을 획득하여, 2,001번부터 4,000번까지의 로그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 및 패킷 분석을 진행하고, 제3 서버는 제3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클라우드 스토리지로부터 4,001번부터 6,000번까지의 로그 데이터 및 키 파일을 획득하여, 4,001번부터 6,000번까지의 로그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 및 패킷 분석을 진행할 수 있다.
장치(200)는 복수의 병렬 서버를 통해 로그 데이터의 복호화 및 패킷 분석이 진행되면, 로그 데이터의 복호화 및 패킷 분석을 통해 추출된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즉,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분석 결과를 통해 처리 완료 파일을 확인하고, 클라우드 스토리지에서 처리 완료 파일이 삭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즉, 처리 완료된 파일을 클라우드 스토리지에서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번부터 6,000번까지의 로그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 및 패킷 분석이 완료되어, 1번부터 6,000번까지의 로그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면,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는 1번부터 6,000번까지의 로그 데이터 파일은 삭제 처리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200)는 프로세서(210) 및 메모리(22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0)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장치(200)를 이용하는 자 또는 단체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들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전술된 방법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전술된 방법들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220)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20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대한 검증 방법에 있어서,
제1 서버가 제1 플랫폼의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서버에 입력되는 입력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버에 제1 입력 값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입력 값의 입력으로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제1 출력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플랫폼의 환경에서 제2 플랫폼의 환경으로 전환하는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을 통해, 제2 서버가 상기 제2 플랫폼의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는 경우, 상기 제2 서버에 입력되는 입력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서버에 상기 제1 입력 값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입력 값의 입력으로 상기 제2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제2 출력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 값에 대한 출력으로 상기 제1 출력 값 및 상기 제2 출력 값이 각각 획득되면, 상기 제1 출력 값과 상기 제2 출력 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 출력 값 및 상기 제2 출력 값을 비교한 결과, 상기 제1 출력 값과 상기 제2 출력 값이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서버에 적용된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검증하는 단계;
상기 제1 출력 값 및 상기 제2 출력 값을 비교한 결과, 상기 제1 출력 값과 상기 제2 출력 값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출력 값의 전문과 상기 제2 출력 값의 전문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2 출력 값의 전문 상에서 상기 제1 출력 값의 전문과 일치하는 구역을 전문 일치 구역으로 구분하여 분류하고, 상기 제2 출력 값의 전문 상에서 상기 제1 출력 값의 전문과 일치하지 않는 구역을 전문 불일치 구역으로 구분하여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제2 출력 값의 전문 상에서 상기 전문 일치 구역이 차지하는 비율을 전문 일치 비율로 산출하고, 상기 제2 출력 값의 전문 상에서 상기 전문 불일치 구역이 차지하는 비율을 전문 불일치 비율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전문 불일치 비율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비율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문 불일치 비율이 상기 제1 기준 비율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출력 값 및 상기 제2 출력 값 간의 불일치 오류를 무시 가능한 오류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문 불일치 비율이 상기 제1 기준 비율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전문 불일치 비율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비율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문 불일치 비율이 상기 제2 기준 비율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출력 값 및 상기 제2 출력 값 간의 불일치 오류를 일시적인 오류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문 불일치 비율이 상기 제2 기준 비율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출력 값 및 상기 제2 출력 값 간의 불일치 오류를 해결이 필요한 오류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출력 값 및 상기 제2 출력 값 간의 불일치 오류가 일시적인 오류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서버에 상기 제1 입력 값을 재입력하여, 상기 제1 입력 값의 재입력으로 상기 제2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제2 출력 값을 다시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출력 값 및 상기 제2 출력 값 간의 불일치 오류가 해결이 필요한 오류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입력 값, 상기 제1 출력 값 및 상기 제2 출력 값을 포함하는 오류 확인 알림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대한 검증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제1 기간 동안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값과 상기 제2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값과 상기 제2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값을 비교한 결과, 출력 값이 일치하는 출력 일치 건수와 출력 값이 불일치하는 출력 불일치 건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출력 일치 건수 및 상기 출력 불일치 건수를 합한 값으로, 출력 총 건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출력 일치 건수를 상기 출력 총 건수로 나눈 값으로, 출력 일치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출력 불일치 건수를 상기 출력 총 건수로 나눈 값으로, 출력 불일치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출력 불일치 비율이 미리 설정된 제1 목표 비율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출력 불일치 비율이 상기 제1 목표 비율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서버에 설치된 상기 제2 플랫폼에 대한 유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출력 불일치 비율이 상기 제1 목표 비율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출력 불일치 비율이 미리 설정된 제2 목표 비율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출력 불일치 비율이 상기 제2 목표 비율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서버에 설치된 상기 제2 플랫폼에 대한 업데이트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불일치 비율이 상기 제2 목표 비율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서버에 설치된 상기 제2 플랫폼에 대한 재설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대한 검증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1392A KR102431846B1 (ko) | 2022-01-26 | 2022-01-26 |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대한 검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1392A KR102431846B1 (ko) | 2022-01-26 | 2022-01-26 |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대한 검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31846B1 true KR102431846B1 (ko) | 2022-08-11 |
Family
ID=82803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11392A KR102431846B1 (ko) | 2022-01-26 | 2022-01-26 |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대한 검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31846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8571B1 (ko) | 2014-11-27 | 2018-06-18 | 사프란 일렉트로닉스 & 디펜스 | 메인 업스트림 유닛과 메인 다운스트림 유닛 사이의 데이터 전송의 무결성을 검증하는 방법 |
KR101865103B1 (ko) | 2017-11-20 | 2018-07-04 | 주식회사 페시나 | 소프트웨어 정합성 검증시스템 및 검증방법 |
KR101917807B1 (ko) | 2018-05-31 | 2018-11-13 | 주식회사 웨어밸리 | 원본 데이터베이스의 부하를 최소화한 데이터 정합성 검증 방법 및 시스템 |
JP2019133598A (ja) * | 2018-02-02 | 2019-08-08 | 株式会社大和総研 | 検証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
KR102230821B1 (ko) | 2018-12-26 | 2021-03-19 |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데이터베이스 전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전환 방법 |
-
2022
- 2022-01-26 KR KR1020220011392A patent/KR10243184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8571B1 (ko) | 2014-11-27 | 2018-06-18 | 사프란 일렉트로닉스 & 디펜스 | 메인 업스트림 유닛과 메인 다운스트림 유닛 사이의 데이터 전송의 무결성을 검증하는 방법 |
KR101865103B1 (ko) | 2017-11-20 | 2018-07-04 | 주식회사 페시나 | 소프트웨어 정합성 검증시스템 및 검증방법 |
JP2019133598A (ja) * | 2018-02-02 | 2019-08-08 | 株式会社大和総研 | 検証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
KR101917807B1 (ko) | 2018-05-31 | 2018-11-13 | 주식회사 웨어밸리 | 원본 데이터베이스의 부하를 최소화한 데이터 정합성 검증 방법 및 시스템 |
KR102230821B1 (ko) | 2018-12-26 | 2021-03-19 |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데이터베이스 전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전환 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서동민 외 4명, 에이전트 플랫폼에서의 효율적인 결함-허용을 제공하는 이주 기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07 Vol.7 No.9, pp.89~99, (2007.9.28.)* *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44740B2 (en) | Cluster claim | |
US8615588B2 (en) | Accelerate copying of virtual machine images | |
EP3777014B1 (en) | Encryption by default in an elastic computing system | |
JP5727020B2 (ja) | クラウドコンピューティングシステム及びそのデータ同期化方法 | |
US20100299447A1 (en) | Data Replication | |
US8054763B2 (en) | Migration of switch in a storage area network | |
US20210374112A1 (en) | Migration support system, migration support method, and node | |
CN108259585B (zh) | 呼叫中心录音云存储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 |
US8660996B2 (en) | Monitoring files in cloud-based networks | |
US20200052901A1 (en) | Secure audit scheme in a distributed data storage system | |
US20200153889A1 (en) | Method for uploading and downloading file, and server for executing the same | |
US10924275B1 (en) | Creating multiple encrypted volumes from a single source | |
US12093141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ory service backup and recovery | |
KR20120044550A (ko) | 가상 nas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 시스템 및 방법 | |
US11321430B2 (en) | Big data distributed processing and secure data transferring with obfuscation | |
US11829490B2 (en) | Big data distributed processing and secure data transferring with resource allocation and rebate | |
KR102431846B1 (ko) |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에 대한 검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
US11436009B2 (en) | Performing composable transactions in a dispersed storage network | |
KR102398085B1 (ko) | 인공지능 기반 기업 정보 자동 처리 및 생성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
US11321206B2 (en) | Cluster feature activation and update system | |
CN115485677A (zh) | 在分布式数据存储环境中的安全数据复制 | |
US20200333979A1 (en) | Identifying and processing predefined dispersed storage network workflows | |
WO2015162688A1 (ja) | データ処理システム、データ処理方法 | |
KR102393183B1 (ko) | 기업 서버의 로그 데이터 관리 및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
EP4073655A1 (en) | Method and apparatus creating test environments for blockchain system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