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074B1 - 투명 압력센서, 그 제조방법 및 이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투명 압력센서, 그 제조방법 및 이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074B1
KR102431074B1 KR1020200035417A KR20200035417A KR102431074B1 KR 102431074 B1 KR102431074 B1 KR 102431074B1 KR 1020200035417 A KR1020200035417 A KR 1020200035417A KR 20200035417 A KR20200035417 A KR 20200035417A KR 102431074 B1 KR102431074 B1 KR 102431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piezoelectric sensor
transparent piezoelectric
electrode lay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9050A (ko
Inventor
박 스티브
최한별
오진원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035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074B1/ko
Priority to US17/109,731 priority patent/US11614377B2/en
Publication of KR20210119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5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having a stacked or multilayer structure
    • H01L41/08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6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using properties of piezoelectric devices
    • H01L41/2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N30/05Manufacture of multilayered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or parts thereof, e.g. by stacking piezoelectric bodies and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Pressure Sensors (AREA)

Abstract

피라미드 구조의 미세패턴이 형성된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의 상기 미세패턴 상에 코팅된 제 1 전극층; 상기 전극층 상에 적층된 제 2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상에 적층된 제 2 전극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기판과 제 1 기판의 가시광선 영역대에서의 광굴절율 차이는 1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압전센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투명 압력센서, 그 제조방법 및 이을 포함하는 전자기기{Transparent pressure sensor,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투명 압력센서 그 제조방법 및 이을 활용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투명도와 우수한 센싱 특성을 갖는 미세패턴 기반의 투명 압력센서 그 제조방법 및 이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센서는 기계적인 에너지를 전기적인 에너지로 변환하는 에너지 변환장치로서 절대압 또는 게이지압을 측정하는데 이용된다.
이 중 투명한 터치패널 등에 이용되는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한국공개특허 10-2016-013966호(선행기술 1)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는 복수의 나노 마이크로 구조를 포함하는 나노 구조체층; 상기 나노 구조체층 위에 형성되는 전도층; 및 상기 전도층의 위에 형성되는 전극을 포함하는 압력센서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73290호(이하 선행기술 2)는 레이저로 소결되는 소결부의 소결면이 압력에 따라 나노와이어층과 접촉되는 면적이 달라짐으로써 압력을 검지 또는 센싱할 수 있는, 투명유연압력센서를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27566호(이하 선행기술 3)은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과 이격된 제2 전극층; 및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에 형성된 유전층을 포함하며, 상기 유전층은 다공성 탄성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형 압력센서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3은 높은 투명도, 넓은 압력 측정범위, 압력에 대한 정전용량의 선형적 변화의 특성을 모두 보이는 압력센서를 재조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높은 투명도를 가지면서도 우수한 센싱 특성을 갖는 투명 압전소자의 제조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높은 투명도를 가지면서도 우수한 센싱 특성을 갖는 투명 압전센서와 그 제조방법, 이를 활용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라미드 구조의 미세패턴이 형성된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의 상기 미세패턴 상에 코팅된 제 1 전극층; 상기 제 1 전극층 상에 적층된 제 2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상에 적층된 제 2 전극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기판과 제 1 기판의 가시광선 영역대에서의 광굴절율 차이는 1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압전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기판은 상기 제 2 기판보다 연성이 낮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기판이 눌림에 따라 상기 제 1 기판은 피라미드 구조를 유지하면서 높이와 각도가 낮아지는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기판은 상기 제 1 기판의 피라미드 구조의 상기 미세패턴을 채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명 압전센서는, 상기 투명 압전센서에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변형되는 피라미드 구조의 제 1 전극층의 유효면적 변화를 통하여 상기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은 폴리디메틸실록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층은 투명전극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피라미드 구조의 높이와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피라미드 구조의 꼭지점 간 거리비는 0.5 이상 5 미만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투명 압전센서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투명 압전센서의 제조방법으로, 피라미드 형태의 미세패턴이 형성된 제 1 기판 상에 상기 제 1 전극층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코팅하는 단계 후 상기 제 2 기판 물질을 상기 제 1 기판 상에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기판과 제 1 기판의 가시광선 영역대에서의 광굴절율 차이는 10% 이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기판은 상기 제 2 기판보다 연성이 낮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기판은 상기 제 1 기판의 피라미드 구조의 상기 미세패턴을 채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은 폴리디메틸실록산이고, 상기 제 1 전극층은 PEDOT:PSS 전도성 고분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센서는 유사한 굴절율의 기판을 피라미드 구조에 사용하여 우수한 광투과도를 갖는다. 또한 압력인가시에도 피라미드 구조를 유지하는 패턴으로 전극을 구성하여 높은 선형성과 민감도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압력센서가 필요한 모든 전자소자,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등의 전자기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압전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의 정전용량 변화 센싱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압력센서의 압력인가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4는 제 2 기판 없이 전극층을 누르는 경우의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압력센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투명도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드 폴리디메틸실록산/PEDOT:PSS/소프트 폴리디메틸실록산을 각각 제 1 기판/전극층/제 2 기판을 사용한 경우 센서의 투과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은 피라미드 구조의 패턴을 갖는 제 1 기판만을 사용한 경우(우측)과 유사한 굴절율을 갖는 제 2 기판과 제 1 전극층을 사용함에 따라 산란 등의 문제가 현저히 사라지는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압력 증가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민감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폴리디메틸실록산 베이스 용액에 경화제를 달리하여 제 2 기판을 제조한 경우의 센싱 효과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제 2 기판의 두께(즉, 피라미드 꼭지점과 제 2 기판 표면사이 거리)를 달리하는 경우의 센싱 특성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투명 압력센서 그 제조방법 및 이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압력센서가 갖는 문제, 즉, 낮은 투명도와 비선형적인 압력센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사한 광 굴절률을 갖는 물질들을 활용하여 센서의 투명도를 극대화한다.
또한 압력에 따라 변형가능한 피라미드 패턴을 이용, 압력에 따라 변화되는 전극간 면적을 이용, 압력에 따라 선형적인 전기적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이로써 압력의 증감에 대응하여 보다 정확한 압력센싱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압전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투명 압전센서는 피라미드 구조의 미세패턴이 형성된 제 1 기판(100)과, 상기 제 1 기판의 상기 미세패턴 상에 코팅된 제 1 전극층(200); 그리고 상기 전극층 상에 적층된 제 2 기판(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기판(100)과 제 2 기판(300) 모두 폴리디메틸실록산(PDMS)를 사용하였는데, 제 1 기판은 하드 폴리디메틸실록산, 제 2 기판은 소프트 폴리디메틸실록이었다.
본 발명은 특히 광이 조사되는 센서 전면이 제 2 기판(300)과 피라미드 패턴 상에 코팅된 제 1 전극층(200)의 광 굴절율을 유사하게 함으로써 조사되는 광의 산란과 굴절을 최소화하여 투명도를 극대화하였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투명 PEDOT:PSS의 전도성 고분자를 전극층으로 사용하였으나, 적어도 일정수준의 투명도를 갖는 한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유사한 굴절율(굴절율 차이가 가시광선 영역대에서 최대 10% 이내) 물질을 하부 피라미드 구조 기판과, 상기 하부 피라미드 구조를 채우는 기판으로 사용하였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연성만 다를 뿐 굴절율이 사실상 동일한 폴리디메틸실록산을 사용하여 이러한 투명성을 얻었으나, 굴절율이 유사한 경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두 기판 간의 굴절율이 가시광선대에서 10% 이내라면 적어도 일정 수준 이상으로 투명한 압력센서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투명 압력센서는 압력인가에 따라 변형되는 피라미드 구조 전극층의 면적변화를 이용하여 정전용량 변화를 선형적으로 높은 민감도로 센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의 정전용량 변화 센싱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압력이 커짐에 따라 피라미드 구조의 전극 패턴은 더 심하게 눌리게 되며, 이로써 두 전극 사이의 유효 면적(Aeff)는 극대화되어 정전용량의 선형적 변화를 유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압력센서의 압력인가시 시뮬레이션 결과이고, 도 4는 제 2 기판 없이 전극층을 누르는 경우의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제 2 기판(높은 연성 기판)이 눌림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제 1 기판(낮은 연성 기판)의 피라미드 PDMS는 피라미드 형태를 유지한 채 넓게 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에서는, 도 4와 달리 보다 강한 강성을 갖는 제 1 기판 PDMS는 꼭지점을 유지한 채 높이만 낮아지고 이에 따라 상대전극과 가까워지는 투명 압력센서의 전극면적(유효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최초 압력인가 전에는 위쪽의 상대 전극과 가까운 피라미드 꼭지점 부분만 가까워 이 부분만이 전체 정전용량을 결정하게 되지만, 눌리고 난 뒤에는 피라미드의 높이와 각도가 선형적으로 낮아지며, 이에 따라 상부전극과 가까워지는 면적(유효면적으로, 정전용량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전극간 거리 범위의 전극면적)이 점차 많아지게 된다.
이상 살핀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력이 인가됨에 따라 피라미드의 형태인 꼭지점(뿔)은 그대로 유지한 채 높이와 각도가 낮아지며, 이로써 전체적으로 선형적인 유효면적(상대전극과의 유효거리를 갖는 전극면적)이 증가, 선형의 압력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압력센서 및 제조방법을 실시예 및 실험예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압력센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보다 상세한 실험예로서 도 5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마이크로 피라미드 패턴 몰드 제작
먼저 불소화 표면을 갖는 에칭된 피라미드형 실리콘 몰드는 포토리소그래피, 이방성 에칭 및 트리클로로-(1H, 1H, 2H, 2H- 퍼플루오로옥틸)실란의 화학 기상 증착을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피라미드의 기본 너비와 높이는 각각 55 μm와 35 μm이었으며, 피라미드 사이의 간격이 다른 세 가지 유형의 실리콘 몰드를 사용하였다(20μm, 50μm 및 90μm). PDMS (Sylgard 184, Dow corning, USA)베이스 용액 및 경화제를 10:1의 중량비로 기계적으로 혼합하고,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 탈기시키고, 실리콘 몰드에 부어 PDMS 피라미드 몰드를 제조하였다. PDMS를 80 ℃에서 3 시간 동안 경화시키고 몰드로부터 올리고, PDMS 피라미드 몰드를 사용하여, 상기 단계를 반복하여 원래 실리콘 몰드와 동일한 에칭 피라미드 패턴을 갖는 다른 PDMS 피라미드 몰드를 조 하였다.
투명한 선형 압력 센서 제작
PDMS 베이스 용액 및 경화제는 하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의 경우 2:1, 소프트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경우 30:1의 중량비로 기계적으로 혼합하였다. 이어서 경질의 하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용액을 피라미드형 폴리디메틸실록산 몰드 상에 800rpm으로 30 초 동안 스핀 코팅하고, 오븐에 넣고 80 ℃에서 3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그 후, 경화된 하드 폴리디메틸실록산 피라미드를 몰드로부터 박리하였다. 제 1 기판인 하드 폴리디메틸실록산은 제 1 전극층인 PEDOT:PSS의 증착 전에 O2 플라즈마로 처리되었다. PEDOT:PSS 수용액 (M122 PH1000 100 ml)을 Ossila로부터 구입하였으며, 이 용액 1 ml를 에틸렌글리콜 50μl, 도데실벤젠술폰산 1μl 및 (3- 글리시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10μl와 혼합하여 PEDOT:PSS 용액의 전도성을 향상시켰다. 이어서, 제조된 PEDOT:PSS 용액을 2000rpm에서 30 초 동안 경질 PDMS 피라미드 상에 스핀 코팅 하였다. 스핀 코팅된 샘플을 핫 플레이트 상에 놓고 100 ℃에서 10 분 동안 가열하였다. 그 후, 구리 와이어를 제 1 전극층인 코팅 PEDOT: PSS 층에 부착하였다. 이후 소프트 폴리디메틸실록산 용액을 이 샘플 상에 1000 rpm으로 30초 동안 스핀 코팅 하였다. 코팅 된 샘플을 오븐에 넣고 80 ℃에서 12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후 부드러운 PDMS 표면이 위를 향하게 하여 제 2 전극층인 ITO / PET 필름을 센서에 위치시켰다.
실험예
투명도 분석
본 실험예에서는 유사 굴절율을 갖는 소재와 피라미드 구조의 미세패턴을 함께 사용한 본 발명의 투명센서가 갖는 투명도를 분석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투명도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드 폴리디메틸실록산/PEDOT:PSS/소프트 폴리디메틸실록산을 각각 제 1 기판/전극층/제 2 기판을 사용한 경우 센서의 투과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피라미드 구조(제 1 기판) 및 이를 채우는 상부 기판(제 2 기판)의 유사 굴절율에 따라 투명도가 달라지며, 특히 도 5의 결과를 보면 우선 제 1 기판만을 사용한 경우(strucure 1, hard))은 투과도가 불과 40% 미만이었다. 이것은 도 4와 같이 조사되는 가시광선대의 빛이 바로 피라미드 구조에 의하여 굴절, 반사, 산란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극층(PEDOT:PSS)을 사이에 두고 동일/유사(가시광선 영역대 빛에 대한 굴절율 차이가 10% 이내)한 굴절률의 기판(soft PDMS)를 사용한 경우, 투명율은 전극층 사용에도 불구하고 80%이상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피라미드 구조의 패턴을 갖는 제 1 기판만을 사용한 경우(우측)과 유사한 굴절율을 갖는 제 2 기판을 사용함에 따라 산란 등의 문제가 현저히 사라지는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센싱 효과 분석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투명 압력센서(본 발명)과 제 1 전극층을 사용하지 않고 제 1 기판 하부와 제 2 기판 상부에 전극층을 둔 경우(pyramid PDMS), 그리고 피라미드 패턴을 넣지 않은 경우(bare PDMS film)의 압력세기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와 민감도를 측정하였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증가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10은 민감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청색으로 나타내는 본 발명의 압력센서가 우수한 선형성을 보디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피라미드의 꼭지점이 무너짐에 따라 전극간 유효면적이 급격하게 증가되는 구조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센서는 피라미드 구조를 유지한 채 높이와 각도만 선형적으로 낮아지므로(즉, 피라미드 구조가 상부 물질층보다 강한 강도이어야 함), 실질적인 유효면적 또한 선형적으로 커지며, 이로써 넓은 압력 범위 (100 kPa)에서도 일정한 민감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압력센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높은 투과도(80% 이상 가시광선대)를 유지하면서도, 압력인가시에도 피라미드 구조를 유지하는 전극으로 인하여 높은 선형성과 민감도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압력센서가 필요한 모든 전자소자,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등의 전자기기에 사용될 수 있다.
물질연성 효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연성의 차이를 둠으로써 보다 낮은 연성의 하부 피라미드 구조가 압력 인가시에도 유지됨으로써 센싱 민감도를 향상시킨다.
하지만, 위쪽의 제 2 기판이 하부 제 1 기판과 동일한 연성을 갖는 경우는 이러한 센싱효과가 줄어들게 된다.
도 11은 폴리디메틸실록산 베이스 용액에 경화제를 달리하여 제 2 기판을 제조한 경우의 센싱 효과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1의 수치 비율은 폴리디메틸실록산 베이스 용액: 경화제의 중량비로서, 베이스 용액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폴리디메틸실록산은 더 소프트해진다. 즉, 30:1
Figure 112020030655252-pat00001
20:1
Figure 112020030655252-pat00002
10:1 순으로 폴리디메틸실록산이 점점 연성이 낮아진다.
도 11을 참조하면, 하드 폴리디메틸실록산과 소프트 폴리디메틸실록산의 단단함 차이가 센서의 성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소프트 기판의 연성을 10:1, 20:1의 비율로 바꾸어 센서 성능 측정을 진행하였다. 도 11에서 볼 수 있듯이, 하드 폴리디메틸실록산을 사용함에 따라 센서가 선형적으로 압력에 반응하는 폭이 감소하고, 압력에 대한 민감도가 빠르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하드기판/하드기판으로 피라미드 구조의 센서를 제조하는 경우, 본 발명과 같은 센서의 선형적인 변화를 얻을 수가 없다.
제 2 기판 두께 효과
연성이 높은 소프트 기판인 제 2 기판의 두께는 센서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제 2 기판의 두께(즉, 피라미드 꼭지점과 제 2 기판 표면사이 거리)를 달리하는 경우의 센싱 특성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12 및 13을 참조하면, 소프트한 제 2 기판의 두께가 얇을수록 센서가 높은 선형성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제2기판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C=εA/d (A:면적, d:전극간 거리) 식에서 C에 d가 미치는 영향이 커지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센서가 이러한 선형성 반응을 보이는 이유는 A의 효과가 지배적인 데, 소프트 기판층이 두꺼워지면 d의 효과가 증가하는데 비해 A의 영향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라미드 높이와 피라미드 꼭지점과 제 2 기판 표면사이 거리의 비율은 0.5 내지 5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3의 결과로부터 피라미드 높이(35㎛) 대비 두께가 150㎛인 경우 선형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피라미드 높이(35㎛) 대비 두께의 비율은 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1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Claims (13)

  1. 피라미드 구조의 미세패턴이 형성된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의 상기 미세패턴 상에 코팅된 제 1 전극층; 및
    상기 제 1 전극층 상에 적층된 제 2 기판;
    상기 제 2 기판상에 적층된 제 2 전극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기판과 제 1 기판의 가시광선 영역대에서의 광굴절율 차이는 10% 이내이고, 상기 피라미드 구조의 높이와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피라미드 구조의 꼭지점 간 거리비는 0.5 이상 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압전센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은 상기 제 2 기판보다 연성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압전센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이 눌림에 따라 상기 제 1 기판은 피라미드 구조를 유지하면서 높이와 각도가 낮아지는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압전센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은 상기 제 1 기판의 피라미드 구조의 상기 미세패턴을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압전센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압전센서는, 상기 투명 압전센서에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변형되는 피라미드 구조의 제 1 전극층의 유효면적 변화를 통하여 상기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압전센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은 폴리디메틸실록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압전센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층은 투명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압전센서.
  8. 삭제
  9.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투명 압전센서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10.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투명 압전센서의 제조방법으로,
    피라미드 구조의 미세패턴이 형성된 제 1 기판 상에 상기 제 1 전극층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코팅하는 단계 후 상기 제 2 기판 물질을 상기 제 1 기판 상에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기판과 제 1 기판의 가시광선 영역대에서의 광굴절율 차이는 10% 이내이며,
    상기 피라미드 구조의 높이와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피라미드 구조의 꼭지점 간 거리비는 0.5 이상 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압전센서의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은 상기 제 2 기판보다 연성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압전센서의 제조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은 상기 제 1 기판의 피라미드 구조의 상기 미세패턴을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압전센서의 제조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은 폴리디메틸실록산이고, 상기 제 1 전극층은 PEDOT:PSS 전도성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압전센서의 제조방법.
KR1020200035417A 2020-03-24 2020-03-24 투명 압력센서, 그 제조방법 및 이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431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417A KR102431074B1 (ko) 2020-03-24 2020-03-24 투명 압력센서, 그 제조방법 및 이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US17/109,731 US11614377B2 (en) 2020-03-24 2020-12-02 Transparent and highly sensitive pressure sensor with improved linearity and pressure sensitiv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417A KR102431074B1 (ko) 2020-03-24 2020-03-24 투명 압력센서, 그 제조방법 및 이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050A KR20210119050A (ko) 2021-10-05
KR102431074B1 true KR102431074B1 (ko) 2022-08-10

Family

ID=78077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417A KR102431074B1 (ko) 2020-03-24 2020-03-24 투명 압력센서, 그 제조방법 및 이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0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395B1 (ko) * 2010-06-28 2013-05-2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 소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759861B1 (ko) * 2016-02-24 2017-07-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압전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63258B1 (ko) * 2018-05-25 2020-01-07 울산과학기술원 실레인 결합층을 가지는 나노 구조체 전극을 포함하는 센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4211862B2 (en) * 2013-01-29 2017-05-18 Suzhou Institute Of Nano-Tech And Nano-Bionics (Sinano), Chinese Academy Of Sciences Electronic skin,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KR20170085865A (ko) * 2016-01-15 2017-07-2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패턴화된 상면을 갖는 압전 물질층을 포함한 압전 에너지 발전 소자 및 이를 포함한 센서,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395B1 (ko) * 2010-06-28 2013-05-2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 소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759861B1 (ko) * 2016-02-24 2017-07-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압전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63258B1 (ko) * 2018-05-25 2020-01-07 울산과학기술원 실레인 결합층을 가지는 나노 구조체 전극을 포함하는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050A (ko) 202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0429B2 (en) Capacitive bending sensors
US10430001B2 (en) Mesh patterns for touch sensor electrodes
US10078027B2 (en) Pressure sensing element including electrode having protrusion
KR101553786B1 (ko) 정전용량형 압력 센서와 그 제조 방법 및 입력 장치
US7765880B2 (en) Flexible piezoresistive interfacial shear and normal force sensor and sensor array
US20110226069A1 (en) Flexible force or pressure sensor array using semiconductor strain gauge,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measurement method thereof
KR20110042924A (ko) 압저항 방식의 터치 패널,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터치 패드 및 압력센서
CN113074843B (zh) 一种多功能平面电容式柔性传感器及其制备方法
JP2006208248A (ja) 触覚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SG186204A1 (en) Positional touch sensor with force measurement
Tsouti et al. Modeling and development of a flexible carbon black-based capacitive strain sensor
KR101991721B1 (ko) 동일 평면 상의 수평 배치형 전극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 및 그 제조 방법과 상기 압력 센서를 이용한 다축 촉각 센서
KR20140146594A (ko) 감광 촉각 센서
KR101691910B1 (ko) 스트레인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Liu et al. A novel capacitive pressure sensor based on non-coplanar comb electrodes
Palaniappan et al. Highly sensitive and flexible M-tooth based hybrid micro-structured capacitive pressure sensor
KR102431074B1 (ko) 투명 압력센서, 그 제조방법 및 이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CN117516767A (zh) 电阻式压力传感器及其制造方法
US10831319B2 (en) Cluster sensor
KR101018198B1 (ko) 방향성 광 결합을 이용한 광 압력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Yu et al. Capacitive stretchable strain sensor with low hysteresis based on wavy-shape interdigitated metal electrodes
KR101570409B1 (ko) 돔 구조의 스트레인 게이지 압력센서 및 그 제조방법
CN110487168B (zh) 单向弯曲敏感传感器及其制备方法
US11614377B2 (en) Transparent and highly sensitive pressure sensor with improved linearity and pressure sensitivity
KR101356730B1 (ko) 압저항 방식의 터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