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932B1 -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digital footprint based on location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digital footprint based on lo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932B1
KR102430932B1 KR1020200101571A KR20200101571A KR102430932B1 KR 102430932 B1 KR102430932 B1 KR 102430932B1 KR 1020200101571 A KR1020200101571 A KR 1020200101571A KR 20200101571 A KR20200101571 A KR 20200101571A KR 102430932 B1 KR102430932 B1 KR 102430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content
place
mobile terminal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5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21935A (en
Inventor
김왕석
박승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앤더스팟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앤더스팟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앤더스팟
Priority to KR1020200101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932B1/en
Publication of KR20220021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9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9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장소를 입력받는 장소 입력부; 장소 입력부에 입력된 장소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부; 인식된 위치에서 생성된 콘텐츠를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아, 위치정보와 생성된 콘텐츠를 디지털 흔적으로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 특정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이 소지하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를 특정 그룹의 포털 사이트에 접속시키는 네트워크 연결부; 및 네트워크 연결부를 통해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 포털 사이트에 접속되어 콘텐츠 저장부가 저장한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를 활성화시킬 때,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위치정보와 활성화된 콘텐츠가 해당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ce input unit for receiving at least one designated place from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a locati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location of the place input to the place input unit; a content storage unit for receiving the content generated at the recognized loc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sto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generated content as a digital trace; a network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possessed by users belonging to a specific group to a portal site of a specific group; and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is connected to a set portal site through a network connection unit and activates any one of the contents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is extracte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activation are performed. and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the displayed content on the screen of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Description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digital footprint based on location}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digital footprint based on location

본 발명은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 사용자별로 특정 장소에 대한 감상과 느낌을 텍스트 및 음성 등의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로 기록하여 위치-메모리 콘텐츠(이하 "감상 콘텐츠")를 생성하고 저장하되, 모든 사용자가 설정에 의해 자신의 감상 콘텐츠를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by recording the appreciation and feeling of a specific place for each user with at least one content such as text and voice, location-memory cont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 It relates to a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storing "viewing content"), but allowing all users to share their viewing content with each other by setting.

온라인 SNS의 대표적인 서비스인 페이스북은 "사람" 중심의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페이스북과 스마트폰을 활용한 실시간 여행정보 공유 서비스가 존재하는데,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페이스북 애플리케이션 및 검색 시스템 구축과 관련하여 각각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acebook, a representative service of online SNS, is about "people"-oriented network service. In this regard, there is a real-time travel information sharing service using Facebook and a smartphone. Each of the smartphone application, Facebook application, and search system construc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1)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1) Smartphone application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에서 자신의 여행기록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정보와 함께 저장하고, 작성한 여행기록을 "페이스북" 서비스로 공유할 수 있으며, 자신의 여행기록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문의사항이나 댓글, 쪽지 등을 실시간으로 받아보고 모바일을 통해 바로 답변해 주며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You can store your travel records together with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location information on iPhone and Android phones, and share your travel records with the "Facebook" service. It provides a function to receive comments and messages in real time and to respond directly through mobile and communicate.

2) 페이스북 애플리케이션2) Facebook application

사용자가 공유한 여행기록(메모, 사진, 위치정보 등)을 서버 시스템에 저장한 후, 이들 정보를 페이스북 서비스 내에서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페이스북 계정으로 댓글을 달거나 쪽지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소셜 네트워크 커뮤니티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이다.After saving the travel records (memos, photos, location information, etc.) shared by users in the server system, this information can be viewed within the Facebook service. It is a web application based on social network community.

3) 검색 시스템 구축3) Build a search system

사용자가 특정한 위치를 선택하거나 특정 분류(맛집, 숙박, 쇼핑, 역사, 교통, 공연 및 축제 등)를 선택했을 때, 관련 콘텐츠만 검색에서 현재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가까운 순으로 여행정보 콘텐츠를 제공해주고, 관련 상품정보 등을 매칭해주는 시스템이다.When a user selects a specific location or selects a specific category (restaurant, accommodation, shopping, history, transportation, performance and festival, etc.) It is a system that matches related product information.

위에서 설명한 페이스북도 장소에 대한 자료를 공유할 수는 있지만 "장소" 중심의 네트워크 서비스는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장소" 중심의 네트워크 서비스로서 장소에 대한 특별한 느낌과 기억을 남기고 공유하는 SNS 서비스가 필요할 수 있다.Although Facebook described above can share data about places, it is not a "place"-oriented network service, and in some cases, as a "place"-oriented network service, there is an SNS service that leaves and shares special feelings and memories about a place. may be need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110279호 (2013.10.10)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10279 (2013.10.1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각 사용자별로 특정 장소에 대한 감상과 느낌을 텍스트 및 음성 등의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로 기록하여 감상 콘텐츠를 생성하고 저장하되, 모든 사용가가 설정에 의해 자신의 감상 콘텐츠를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ord the appreciation and feeling of a specific place for each user as at least one content such as text and voice to create and store the content to watch, but all users can set their own content by setting It is to provide a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at can be shared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장소를 입력받는 장소 입력부; 장소 입력부에 입력된 장소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부; 인식된 위치에서 생성된 콘텐츠를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아, 위치정보와 생성된 콘텐츠를 디지털 흔적으로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 특정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이 소지하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를 특정 그룹의 포털 사이트에 접속시키는 네트워크 연결부; 및 네트워크 연결부를 통해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 포털 사이트에 접속되어 콘텐츠 저장부가 저장한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를 활성화시킬 때,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위치정보와 활성화된 콘텐츠가 해당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ce input unit for receiving at least one designated place from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a locati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location of the place input to the place input unit; a content storage unit for receiving the content generated at the recognized loc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sto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generated content as a digital trace; a network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possessed by users belonging to a specific group to a portal site of a specific group; and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is connected to a set portal site through a network connection unit and activates any one of the contents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is extracte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activation are performed. and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the displayed content on the screen of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여기서, 지정된 장소는 기 설정되거나 상기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를 소지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지정된다.Here, the designated place is preset or designated by a user's input having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또한, 지정된 장소가 실내일 때 위치 인식부는 GPS(Gr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입력된 장소의 위치를 인식하고, 지정된 장소가 실외일 때 위치 인식부는 비콘(becon) 또는 실내측위장치를 이용하여 입력된 장소의 위치를 인식한다.In addition, when the designated place is indoors, the location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e location of the input usin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when the designated place is outdoors, the location recognition unit uses a beacon or an indoor positioning device to recognize the inputted location.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해당 콘텐츠의 공유형태를 설정하고, 공유형태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 모두에 해당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전체 공유,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 중 어느 하나가 해당 장소에서 설정거리 이내로 접근하였을 때 해당 모바일 단말기에 해당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현장 공유, 또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 중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에 해당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비밀 공유 중 어느 하나이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sets the sharing mode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for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and the sharing mode is the total sharing in which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displayed on all of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an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is a set distance from the corresponding place It is either on-site sharing in which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when approached within, or secret sharing in which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displayed on a designated mobile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 중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에 해당 콘텐츠가 특정 장소에서 특정 시간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auses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be displayed at a specific time in a specific place on a designated mobile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또한, 네트워크 연결부는 콘텐츠 저장부가 저장한 콘텐츠가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웹(web)으로 연동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network connection unit allows the content stored by the content storage unit to be linked to the web through a specific user interface.

또한, 제어부가 디스플레이시킨 콘텐츠가 설정 배율 이상의 이미지 콘텐츠일 때, 제어부는 이미지 콘텐츠의 특정 위치에 마커가 형성되도록 하고, 마커가 클릭되면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지정된 장소의 명칭과 감상 회수가 팝업 창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content displayed by the controller is image content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magnification, the controller causes a marker to be formed at a specific location of the image content, and when the marker is clicked, the name of the designated place and the number of viewings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are displayed in a pop-up window. to be display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방법은, 장소 입력부에서, 특정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지정된 장소를 입력받는 단계; 위치 인식부에서, 장소 입력부에 입력된 장소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콘텐츠 저장부에서, 인식된 위치에서 생성된 콘텐츠를 입력받아, 위치정보와 생성된 콘텐츠를 디지털 흔적으로 저장하는 단계; 네트워크 연결부에서, 모바일 단말기를 특정 그룹의 포털 사이트에 접속시키는 단계; 및 네트워크 연결부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가 특정 그룹의 포털 사이트에 접속되어 콘텐츠 저장부가 저장한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를 활성화시킬 때, 제어부에서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제어부에서, 위치정보와 활성화된 콘텐츠가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lace input unit, the steps of receiving a designated place from a mobile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belonging to a specific group; recognizing, by the location recognition unit, the location of the place input to the place input unit; In the content storage unit, receiving the content generated at the recognized location, sto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generated content as a digital trace;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to a portal site of a specific group in the network connection unit; and extracting, by the controller, lo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when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rtal site of a specific group through the network connection unit and activating any one of the contents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and allowing the controller to display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activated content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사용자별로 특정 장소에 대한 감상과 느낌을 텍스트 및 음성 등의 적어도 하나의 감상 콘텐츠를 생성하고 저장하되, 모든 사용자가 설정에 의해 자신의 감상 콘텐츠를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user creates and stores at least one listening content such as text and voice for each user's appreciation and feeling of a specific place, but based on a location where all users can share their viewing content with each other by sett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traces 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모바일에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초 구동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의 모바일에서 구현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인터페이스 및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특정 배율 이상 확대될 때 지정장소의 마커가 출현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내정보 메뉴의 화면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내정보 메뉴에서 나의 감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내정보 메뉴에서 즐겨찾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내정보 메뉴에서 등록된 코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검색 기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장소 이미지 배열 화면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감상 작성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13 내지 도 15는 감상 보기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애클리케이션에서 각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구현된 예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소에 대한 통합 반응지수에 관한 것으로, 장소 반응지수를 위한 가중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소에 대한 통합 반응지수에 관한 것으로, 흔적 반응지수를 위한 가중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소 반응지수와 통계지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itial driv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on a mobile devic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nterface and functions of an application implemented in a mobile device of a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appearance of a marker at a designated place when magnified over a specific magnification.
6 is a diagram exemplifying the screen configuration of the My Information menu.
7 is a diagram illustrating my impressions in the My Information menu.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avorite in the My Information menu.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urse registered in the My Information menu.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arch func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lace image arrangement scree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reciation creation screen, and FIGS. 13 to 15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appreciation viewing screen.
16 to 29 are exemplary diagrams implemented in each user's mobile terminal in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integrated reaction index for a p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or explaining a weight for the place reaction index.
3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integrated reaction index for a p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or explaining a weight for a trace reaction index.
3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lace response index and statistical inde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 flowchart of a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온라인의 대표적인 서비스인 페이스북은 "사람" 중심의 네트워크 서비스인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장소" 중심의 네트워크 서비스이다.While Facebook, which is a representative online service, is a "person"-oriented network service, the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ce"-oriented network service.

예를 들어, 초로의 노신사가 이미 폐교가 된 장소 그러나 자신의 유년시절의 추억을 간직하고 있는 장소에 자신만의 감상을 남길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감상은 해당 장소에 누적되어 쌓이게 된다. 마치, 남산의 자물쇠가 끝없이 쌓이는 것과 같다. 남산의 자물쇠는 남산에 가야만 채울 수 있고, 남산에 가야만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해당 장소에 가야만 감상 콘텐츠를 만들 수 있지만, 이를 시청하는 것은 온라인에서도 가능하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leave one's own impressions in a place where an elderly gentleman is already closed, but in a place where memories of his childhood are kept. These feelings are accumulated and accumulated in the place. It is as if the locks of Namsan are piled up endlessly. The lock of Namsan can be filled only by going to Namsan, and can only be seen by going to Namsan. In the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 to be viewed can be created only by going to the corresponding place, but it is also possible to watch it onli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특정 종교의 어느 하나의 성지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념이 적용되는 경우, 다수 개의 장소를 지정하고, 지정된 장소에 순례객이 접근하면 순례록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순례록은 사진과 글, 그리고 음성을 담을 수 있으며, GPS 기반으로 지정된 장소의 위치를 인식한다. 그리고, 작성된 순례록은 해당 종교 단체의 포털 사이트에 연결되어 담벼락의 글처럼 계속 붙어 있게 되고, 각 개인의 순례록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다.The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llowing way. For example, when the concep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y one holy place of a specific religion, a plurality of places may be designated, and a pilgrim book may be written when a pilgrim approaches the designated place. The pilgrim book can contain photos, texts, and voices, and recognizes the location of a designated place based on GPS. In addition, the written pilgrimage book is linked to the portal site of the religious group and remains attached like a wall text, and each individual's pilgrimage book can be shared with others.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도 구현하는 것이이 가능함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implement the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mann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각 지자체의 관광명소 방문록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관광객이 지자체의 관광 명소를 방문할 때, 그 명소에 대한 소감을 콘텐츠(사진, 글, 음성, 동영상 등)로 남기고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관광객이 남긴 콘텐츠는 지자체 문화관광 사이트와 연계되어 새로운 관광 콘텐츠로 자리 잡고, 더 나아가 공유와 확산을 통해 관광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The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system for visiting tourist attractions of each local government. When tourists visit tourist attractions of local governments, they can leave their impressions about the attractions as content (photos, texts, voices, videos, etc.) and share them with each other. The contents left by tourists are linked with local governments' cultural tourism sites and become new tourism contents, and furthermore, they can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ourism through sharing and diffusion.

이때, 다양한 위치인식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위치인식기술을 서로 융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에서는 GPS 기술을 활용하고, 실내에서는 비콘이나 실내측위장치를 이용하여 실내외 어디든지 위치기반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various location recognition technologies may be applied, and a service may be provided by fusion of location recognition technologies. For example, GPS technology can be used outdoors, and location-based services can be used indoors and outdoors by using beacons or indoor positioning devices.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의 기술적 특징은 다섯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mmarized in five points.

첫째, 사용자는 특정 장소에 대한 감상 및 느낌을 모바일 단말기(또는 모바일 기기)에 남길 수 있다. 특정 장소에 대한 기록은 사용자가 특정 장소에 있어야만 가능한 기능이다. 지정된 장소에 기록을 남기는 참여형 형태와, 사용자가 장소를 지정하여 기록을 남기는 창조형 형태가 가능하지만, 지정된 장소에 기록을 남기는 참여형 형태에 초점을 맞추어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the user may leave an impression and impression of a specific place on the mobile terminal (or mobile device). Recording for a specific place is a function that is only possible when the user is in a specific place. A participatory type in which a record is left in a designated place and a creative type in which the user leaves a record by specifying a place are possible.

둘째, 그 감상은 개인이 원하는 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로 생성될 수 있다. 사진을 통해 이미지 콘텐츠를 만들고, 글로 기록할 수 있으며, 목소리로도 자신의 기록을 남길 수 있다. 여기에 동영상도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 다양한 콘텐츠 형식을 통해 해당 장소에 대한 기억을 더욱 실감나게 잘 표현할 수 있다. 콘텐츠 생성의 디폴트(default)는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시켜 주변의 이미지를 사진에 담는 것이다. 사진의 이미지를 기본으로 텍스트, 오디오 그리고 동영상까지 콘텐츠가 추가될 수 있다. 특정 장소에서 남기는 콘텐츠들이기 때문에 해당 장소를 벗어나면 콘텐츠가 생성되지 않는다.Second, the appreciation can be created in various forms of content according to individual wishes. You can create image content through photos, record it in writing, and leave a record of yourself with your voice. You can also create video content here. A variety of content formats can make the memory of the place more realistic and better. The default of content creation is to activate the camera function and capture the surrounding image in the photo. Based on the image of the photo, content can be added including text, audio, and even video. Since the contents are left in a specific place, the contents are not created if they leave that place.

셋째, 기록은 옵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 모두가 볼 수 있도록 전체 공유를 할 수도 있고, 해당 장소에 접근해야만 기록을 볼 수 있는 현장 공유를 선택할 수도 있고, 지정한 누군가만 볼 수 있도록 하는 비밀 공유를 선택할 수도 있다.Third, it is possible to share records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options. You can choose a global share for everyone to see, an on-site share where you must have access to the location to see your records, or a secret share that only someone you designate can see.

넷째, 공유 대상과 장소에 더해 시간이라는 특별한 요소가 결합된다. 사용자는 어떤 장소에서 미래의 어떤 시간에 자신이 남긴 감상을 사용자가 지정한 누군가가 확인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Fourth, in addition to the shared object and place, the special element of time is combined. The user can set the impression left by the user at any place in the future at any time so that someone specified by the user can check it.

그리고 다섯째, 모바일의 기록들을 특별한 UI(User Interface)에 의해 웹(web)으로 옮겨놓는 것이다. 사용자가 남긴 감상들은 특별한 UI에 의해 웹으로 연동되도록 한다. 새로운 형태의 화면 구성을 통해 담벼락의 포스트잇처럼 계속 자리를 채워가고, 그 기록들을 찾아 다니는 여정 또한 특별한 재미를 줄 수 있도록 구현한다. 자발적인 동기 부여에 의해 콘텐츠가 스스로 만들어지고 확산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주는 형태이다. 특히, 검색 측면에서는 텍스트를 포함하여 이미지와 음성, 그리고 내비게이션(지도와 콘텐츠 화면 내비게이션의 결합) 기능을 포함한 다양한 검색 수단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다양하게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찾아갈 수 있도록 한다. 참여하는 기관 및 단체가 등록한 장소는 해당 기관의 웹사이트와 연계하여 동일한 UI로 해당 기관의 웹사이트에서 보여지도록 구현될 것이다. 새로운 형태의 화면 구성을 통해 기록들이 담벼락의 포스트잇처럼 계속 자리를 채워가고, 그 기록들을 찾아다니는 여정 또한 특별한 재미를 줄 수 있도록 구현한다. 자발적인 동기 부여에 의해 콘텐츠가 스스로 만들어지고 확산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준다. 콘텐츠 관리와 검색의 측면에서도 새로운 접근방법이 될 것이다.And fifth, mobile records are transferred to the web by a special UI (User Interface). The impressions left by users are linked to the web by a special UI. Through a new type of screen composition, it keeps filling up like a post-it on the wall, and the journey to find those records is also implemented to give special fun. It is a form of creating an environment so that content can be created and spread by voluntary motivation. In particular, in terms of search, various search means including text, image, voice, and navigation (a combination of map and content screen navigation) are provided so that users can find the content they want in a variety of ways. The place registered by the participating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will be implemented to be displayed on the institution's website with the same UI in connection with the institution's website. Through a new type of screen composition, records continue to fill up like post-it notes on the wall, and the journey to find them is also implemented to give special fun. It creates an environment where content can be created and spread by itself by voluntary motivation. It will also be a new approach in terms of content management and search.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1000)은 제1 내지 제4 모바일 단말기(10, 20, 30, 40)와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단말기를 제1 내지 제4 모바일 단말기(10, 20, 30, 40)와 같이 4개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갯수에는 제한이 없다. 아래의 도면과 관련한 설명에서는 편의상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라고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 , it can be seen that the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1000 is connected to the first to fourth mobile terminals 10 , 20 , 30 , and 40 through a network.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first to fourth mobile terminals 10, 20, 30, and 40 have been described as four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drawings below, it will be described as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for convenience.

여기서, 네트워크라 함은 인터넷(internet)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 또는 이들의 결합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종래의 인터넷이나 이동 통신망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Here, the term "network" means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s interpreted to include all of the conventional Internet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예를 들어,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1000)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와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 등과 같은 종래의 다양한 네트워크 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음을 유의해야 한다.For exampl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1000 may be combined by a combination of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nd various conventional networks such as an Internet network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is. do.

또한, 사용자는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모바일 단말기에 다운로드하여 설치함으로써,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는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에 접속되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use the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by downloading and installing an application for the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ervice to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the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through application execution of the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and provided with a servic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은 장소 입력부 (100), 위치 인식부(200), 콘텐츠 저장부(300), 네트워크 연결부(400) 및 제어부 (5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may include a place input unit 100 , a location recognition unit 200 , a content storage unit 300 , a network connection unit 400 , and a control unit 500 .

장소 입력부(100)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장소를 입력받는다.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가 소지하여 가지고 다니는 단말기이다. 모바일 단말기는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smartphone)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지정된 장소는 사용자가 방문하여 있는 장소를 의미한다.The place input unit 100 receives at least one designated place from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A mobile terminal is a terminal that a user possesses and carries. The mobile terminal may preferably be a smartph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designated place means a place that the user has visited.

위치 인식부(200)는 장소 입력부(100)에 입력된 장소의 위치를 인식한다. 이때, 위치인식부(200)는 지정된 장소가 실내인지 실외인지에 따라 위치인식을 달리한다. 여기서, 지정된 장소는 기 설정되거나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를 소지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지정된다.The location recognition unit 200 recognizes the location of the place input to the place input unit 100 . In this case, the location recognition unit 200 performs location recognition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designated place is indoors or outdoors. Here, the designated place is preset or designated by a user's input having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지정된 장소가 실내일 때 위치 인식부(200)는 GPS(Gr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입력된 장소의 위치를 인식한다. GPS를 이용하는 경우, 위치 인식부(200)는 GPS 위성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계산한다. When the designated place is indoors, the location recognition unit 200 recognizes the location of the input location us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When using GPS, the location recognition unit 200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a GPS satellite and calculates the user's current location.

또한, 지정된 장소가 실외일 때 위치 인식부(200)는 비콘(becon)이나 실내측위장치(Indoor Positioning Apparatus)를 이용하여 입력된 장소의 위치를 인식한다. 비콘을 이용하는 경우, 특정한 위치에 설치된 무선국에서 특정한 전파를 발사하고 모바일 단말기에서 이 전파를 수신하여 방향을 탐지하고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알아낸다. 실내측위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Wi-Fi, 블루투스, 비콘, 자기장 등을 이용하여 건물 내부에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모바일 단말기에 내장된 지도와 대조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찾는다.In addition, when the designated place is outdoors, the location recognition unit 200 recognizes the location of the input place using a beacon or an indoor positioning device (Indoor Positioning Apparatus). In the case of using a beacon, a radio station installed at a specific location emits a specific radio wave, and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the radio wave to detect a direction and find ou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case of using an indoor positioning device, the location of a user inside a building is identified using Wi-Fi, Bluetooth, beacon, magnetic field, etc., a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found by comparing it with the map built in the mobile terminal.

콘텐츠 저장부(300)는 인식된 위치에서 생성된 콘텐츠를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아, 위치정보와 생성된 콘텐츠를 디지털 흔적으로 저장한다. 콘텐츠는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입력하는 사진, 글, 목소리, 동영상으로부터 생성된 콘텐츠이다. 위치정보는 위도 94, 경도 97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디지털 흔적은 디지털 발자국이라고도 하며, 사용자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어 생성된 디지털 기록을 말한다.The content storage unit 300 receives the content generated at the recognized loc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generated content as a digital trace. Content is content generated from photos, texts, voices, and videos that a user inputs through a mobile terminal.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expressed as latitude 94 and longitude 97. A digital trace is also called a digital footprint, and refers to a digital record created by input by a user through a mobile terminal.

네트워크 연결부(400)는 특정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이 소지하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를 특정 그룹의 포털 사이트에 접속시킨다. 여기서, 특정 그룹이란 특정 종교단체, 특정 회사 및 특정 단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network connection unit 400 connects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owned by users belonging to a specific group to the portal site of the specific group. Here, the specific group may include a specific religious group, a specific company, and a specific group.

제어부(500)는 네트워크 연결부(400)를 통해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 포털 사이트에 접속되어 콘텐츠 저장부(300)가 저장한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를 활성화시킬 때, 콘텐츠 저장부(300)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위치정보와 활성화된 콘텐츠가 해당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When the controller 500 is connected to a portal site in which any one of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is set through the network connection unit 400 and activates any one of the contents stored by the content storage unit 300, the content storage unit ( 300) is extracte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activated content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또한, 제어부(500)는 모바일 단말기가 특정 그룹의 포털 사이트에 접속되었을 때, 콘텐츠에 대한 감상 회수를 인기가 많은 순위로 설정 개수를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들은 어느 콘텐츠가 인기가 많은 가를 한 눈에 쉽게 알아볼 수 있게 된다.Also, when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a portal site of a specific group, the control unit 500 may display the set number of viewing times for content in the order of popularity. In this way, users can easily recognize at a glance which content is popular.

또한, 제어부(500)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해당 콘텐츠의 공유형태를 설정한다. 공유형태는 전체 공유, 현장 공유 및 비밀 공유로 구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00 sets the sharing type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for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The sharing form can be divided into general sharing, on-site sharing, and secret sharing.

전체 공유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 모두에 해당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현장 공유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 중 어느 하나가 해당 장소에서 설정거리 이내로 접근하였을 때 해당 모바일 단말기에 해당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설정거리는 500m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밀 공유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 중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에 해당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즉,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끼리 비밀을 공유하기로 한 경우이다.Full sharing allows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be displayed on all of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In the field sharing, when any one of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approaches within a set distance from the corresponding place,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For example, the set distance may be 500m,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cret sharing allows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be displayed on a designated mobile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That is, it is a case where the user of the designated mobile terminal decides to share the secret.

또한, 제어부(500)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 중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에 해당 콘텐츠가 특정 장소에서 특정 시간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 모바일 단말기에 무지개를 찍은 동영상을 호수 공원에서 12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00 causes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be displayed at a specific time at a specific location on a designated mobile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For example, a video of a rainbow is displayed on the first mobile terminal at 12 o'clock in the lake park.

또한, 네트워크 연결부(400)는 콘텐츠 저장부(300)가 저장한 콘텐츠가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웹(web)으로 연동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network connection unit 400 allows the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300 to be linked to the web through a specific user interface.

또한, 제어부(500)가 디스플레이시킨 콘텐츠가 설정 배율 이상의 이미지 콘텐츠일 때, 제어부(500)는 이미지 콘텐츠의 특정 위치에 마커(marker)가 형성되도록 하고, 마커가 클릭되면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지정된 장소의 명칭과 감상 회수가 팝업 창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마커와 관련된 사항은 도 5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content displayed by the controller 500 is image content with a magnification or higher, the controller 500 causes a marker to be formed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image content, and when the marker is clicked, a designated place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The name and number of viewings are displayed in a pop-up window. Matters related to the mark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

또한, 제어부(500)는 마커가 클릭될 때 지정된 장소로부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위치까지의 경로, 거리 및 소요시간을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소요시간은 자동차, 도보, 대중교통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경우에 소요되는 시간이다. 더하여, 제어부(500)는 자동차,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의 교통요금도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서 지정된 장소까지 가고자 할 때 네비게이션(navigation)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Also, when the marker is clicked, the controller 500 may display the route, distance, and required time from a designated place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The required time is the time required when using at least one of car, on foot, and public transportatio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00 may display a traffic fee when using a car or public transportation. In this way, when the user wants to go to a designated place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a navigation function can be conveniently used.

도 3은 모바일에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초 구동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itial driv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on a mobile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셉을 시각적으로 재미있게 인식할 수 있는 대표 이미지 디자인과 애니메이션 효과를 동시에 적용하고, 배경 화면은 앱 전체의 느낌이나 색감과 조화를 이루도록 디자인하였으며, Loading indicator는 앱이 실행될 때까지 로딩되는 느낌을 살리기 위해 적용하는데 전체 이미지에 맞도록 디자인과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한다. 그리고, 회사 로고를 고정형으로 삽입하고, 저작권 및 상표권에 대한 권리를 명시한다.A representative image design and animation effect that can visually and interestingly recognize a concep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at the same time, and the background screen is designed to harmonize with the overall feel or color of the app. It is applied to bring out the feeling of loading until it is loaded, and design and animation effects are applied to fit the entire image. In addition, the company logo is inserted in a fixed form, and the rights to copyright and trademark are specifi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의 모바일에서 구현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인터페이스 및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screen interface and function of an application implemented in a mobile of a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 화면은 다음처럼 설계되었다.Referring to FIG. 4 , the mobile screen is designed as follows.

1은 내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로서 그 컨셉에 맞게 메뉴 아이콘을 구성하고, 2는 주변의 지정 장소를 지도 기반이 아닌 이미지 기반으로 보여주는 화면으로 들어가는 메뉴로서 컨셉이 살아날 수 있도록 아이콘을 구성한다. 2에서 사용자 현 위치의 일정 반경 이내의 지정장소가 몇 개인지를 아이콘 우측 아래에 표시할 수 있다.1 is a menu where you can check my information, and the menu icon is configured according to the concept, and 2 is a menu that enters the screen that shows the designated place around it based on an image instead of a map, and the icons are configured so that the concept can come to life. 2, the number of designated places within a certain radius of the user's current location can be displayed at the lower right of the icon.

3은 감상을 검색하는 부분으로 텍스트, 이미지 인증, 등록코스로 검색할 수 있도록 화면 구현을 연계하고, 4에서 지도 화면은 지도 제공업체가 제공하는 지도를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5에서 내 위치를 지도의 중심에 놓는 메뉴로 그 컨셉에 맞게 아이콘을 구성한다.3 is a part to search for appreciation, and the screen implementation is linked to search by text, image authentication, and registration course. In 4, the map screen inserts a map provided by a map provider. Finally, in 5, the menu that puts my location in the center of the map, configures the icons according to the concept.

한편, 도 4에서 내정보 메뉴를 클릭하면 나의 감상, 즐겨찾기, 공지사항이 나타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거리에 따라 배열되는 지정장소의 이미지 화면으로 이동하는 메뉴를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의 현위치에서 반경 20km 내의 지정 장소 개수를 표시하고, 비록 텍스트 검색 기반이지만 선택적으로 이미지 인증 검색이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기관 또는 단체가 등록한 코스에 대한 부분도 표시되어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지정된 장소를 지도 위에 표시하되 1/500m 이상으로 지도가 확대될 때 지정장소의 아이콘이 등장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언제든지 자신의 현 위치로 돌아가게 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if you click the My Information menu in FIG. 4 , it can be implemented so that my impressions, favorites, and announcements appear, and a menu that moves to the image screen of a designated place arranged according to the distance can be implemented.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function of displaying the number of designated places within a radius of 20 km from the user's current location, and selectively enabling image authentication search although it is based on text search. In addition, it can be implemented so that the part of the course registered by the institution or organization can be displayed and selected, and the designated place can be displayed on the map, but the icon of the designated place can be displayed when the map is enlarged to 1/500m or more. Of cours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function that allows the user to return to their current location at any time.

도 5는 특정 배율 이상 확대될 때 지정장소의 마커가 출현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appearance of a marker at a designated place when enlarged by a specific magnification or more.

도 5를 참조하면 1/500m 화면 배율을 지도 화면의 기본 화면으로 구현하되, 장소 마커는 감상 회수에 따라 네 가지 형태(기본, 100명 이상, 1000명 이상, 10000명 이상)로 구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장소 마커가 클릭되면 장소의 명칭과 함께 해당 장소의 감상 회수가 팝업창으로 나타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감상 회수는 일 단위로 변경되도록 한다. 한편, 장소의 명칭을 클릭하면 해당 지정장소의 전체 감상창으로 이동하도록 구현된다. 물론 기본 화면의 지정 배율은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5, the 1/500m screen magnification is implemented as the basic screen of the map screen, but the place marker is divided into four types (basic, 100 or more, 1000 or more, 10000 or more) according to the number of viewings. can When a place marker is clicked, the number of viewings of the corresponding place may be displayed in a pop-up window along with the name of the place, and the number of viewings may be changed in units of days. On the other hand, if the name of the place is clicked, it is implemented to move to the entire viewing window of the designated place. Of course, the specified magnification of the base scree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etting.

도 6은 내정보 메뉴의 화면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exemplifying the screen configuration of the My Information menu.

도 6에서와 같이, 좌측 상단의 내정보 메뉴를 클릭하면, 좌측 상단에 내정보 메뉴가 팝업이 되며 서비스 전체적인 색감에 맞게 화면 창을 구현한다.As shown in FIG. 6 , when the My Information menu in the upper left is clicked, the My Information menu is popped up in the upper left, and the screen window is implemented to match the overall color of the service.

내정보 메뉴의 하기 5개 항목에 대한 연결이 자연스럽게 이뤄지도록 구현한다.It is implemented so that the connection to the following 5 items of the My Information menu is made naturally.

나의 감상: 지정 장소에서 사용자 본인이 작성했던 감상을 확인할 수 있는 메뉴.My Comments: A menu where you can check your own impressions in a designated place.

즐겨찾기: 특정 장소에 대해 즐겨찾기 클릭한 내용을 검색이 아닌 별도의 리스트업을 통해 찾아가도록 구현.Favorites: Implemented to find the content clicked as a favorite for a specific place through a separate listup rather than a search.

등록된 코스: 기관과 연계하여 등록한 코스 내용을 별도로 보여주는 메뉴로, 코스 내의 장소를 선택하면 해당 장소의 전체 감상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현.Registered Course: This is a menu that shows the course contents registered in connection with the institution separately, and it is implemented so that if you select a place within the course, you can move to the entire viewing window of that place.

공지사항: 메모리월의 신규 소식 공지, 특히 신규 등록 코스에 대한 부분은 푸시 메시지로 알림.Notice: Notification of new news on the Memory Wall, especially the new registration course, is notified by push message.

애플리케이션 소개: 애플리케이션의 소개 및 사용방법 안내.Application Introduction: Introduction of the application and how to use it.

도 7은 내정보 메뉴에서 나의 감상을 예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my impressions in the My Information menu.

도 7을 참조하면, 나의 감상 목록은 가장 최신의 내용이 맨 위로 올라오도록 정렬되고, 장소/최근기록시간/감상 회수를 표시하도록 화면 구성이 디자인된다. 표 형태의 화면은 예시로서 다양한 형태와 디자인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 7 , my viewing list is arranged so that the most recent content is on top, and the screen configuration is designed to display location/recent time/number of viewings. Of course, the screen in the form of a tabl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designs as an example.

또한, 나의 감상이 추가되면 기록 또한 최신 순으로 계속 추가된다. 감상 회수는 해당 장소에 대한 전체 감상 회수로 실시간으로 현황이 계속 반영되며, 나의 감상에서 해당 장소를 클릭하는 경우 전체 감상창에서 해당 기록이 중심에 위치하고 주변의 기록들이 함께 보여지는 형태로 화면이 구현된다. Also, as my impressions are added, records are also added continuously in the order of latest. The number of viewings is the total number of viewings for the place, and the current status is continuously reflected in real time. If you click on the place in My Watching, the screen is implemented in a form where the record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entire viewing window and the surrounding records are shown together. do.

도 8은 내정보 메뉴에서 즐겨찾기를 예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avorite in the My Information menu.

도 8을 참조하면, 즐겨찾기는 가장 거리가 가까운 순서대로 배열이 정렬되어 화면이 구성된다. 즐겨찾기는 단위 기록이 아닌 해당 장소에 대한 선택사항이 되도록 구현되며, 가장 가까운 거리의 장소부터 정렬된다. 즐겨찾기에서 삭제하는 기능도 포함하여 구현되며, 즐겨찾기의 장소를 클릭하면 전체 감상창의 화면으로 이동하는데 가장 최신의 기록이 가운데에 위치하도록 구현된다.Referring to FIG. 8 , the screen is configured by arranging the favorites in the order of the closest distance. Favorites are implemented to be an option for the place, not the unit record, and are sorted from the nearest place. It is implemented including a function to delete from favorites, and if you click a place in the favorites, it moves to the screen of the entire viewing window, and it is implemented so that the most recent record is located in the center.

도 9는 내정보 메뉴에서 등록된 코스를 예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urse registered in the My Information menu.

도 9를 참조하면, 등록된 코스는 최근에 등록된 순서로 정렬되도록 화면을 디자인하고, 코스 안에 포함된 장소들은 거리가 가까운 순서대로 배열된다.Referring to FIG. 9 , the screen is designed so that the registered courses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most recent registration, and the places included in the course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closest distance.

등록된 코스는 기관이나 지자체와 연계되는 부분으로서 코스와 코스 내의 장소 콘텐츠를 제공받아 관리자가 관리자 페이지에서 올릴 수 있도록 구현될 필요가 있으며, 등록된 코스에 대한 부분은 기관이나 지자체의 웹사이트와 연계되어야 한다.A registered course is a part that is linked with an institution or local government, and it needs to be implemented so that an administrator can upload the course and place contents within the course on the admin page, and the part about the registered course is linked with the website of the institution or local government should be

도 10은 검색 기능을 예시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arch function.

도 10을 참조하면, 화면 상단에 위치한 텍스트 기반 검색은 해시 태그 검색을 기반으로 하고 연관 검색어가 표시될 수 있도록 구현되고, 그 하단의 이미지 검색은 스마트폰에 담긴 이미지를 불러와 매치시키도록 구현되되 스마트폰 카메라로 즉시 촬영한 이미지를 매치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검색창을 클릭할 때 나타나는 등록된 코스는 코스가 등록됨과 동시에 검색창에서도 나타날 수 있도록 구현된다.Referring to FIG. 10, the text-based search located at the top of the screen is implemented to be based on a hashtag search and to display related search terms, and the image search at the bottom of the screen is implemented to retrieve and match the image contained in the smartphone. It can also be implemented to match images taken immediately by a smartphone camera. The registered course that appears when the search bar is clicked is implemented so that it can appear in the search bar as soon as the course is registered.

도 11은 장소 이미지 배열 화면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lace image arrangement screen.

도 11을 참조하면, 큰 화면에는 특정 장소에 도달한 경우 감상 콘텐츠(위치-메모리 콘텐츠)를 작성할 수 있도록 구현하고, 실시간으로 감상 회수와 남은 거리가 계속 업데이트되도록 구현된다. 감상을 기록할 수 있는 거리는 해당 특정 장소로부터 20m 이내로 정하고 해당 특정장소로부터 20m 이내에 들어오면 감상을 기록할 수 있는 창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11 , it is implemented to write content to watch (location-memory content) when arriving at a specific place on a large screen, and to continuously update the number of views and the remaining distance in real time. The distance where you can record your impressions is set within 20m from the specific place, and if you come within 20m from the specific place, you will be connected to a window where you can record your impressions.

한편, 해당 특정 장소 외의 장소는 작은 화면으로 구현하되 거리 순서에 따라 정렬되도록 배열하며, 등록 코스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내용이 추가된다.On the other hand, places other than the specific place are implemented on a small screen, but arranged to be sorted according to distance order, and content is added whenever the registration course is updated.

도 12는 감상 작성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13 내지 도 14는 감상 보기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reciation creation screen, and FIGS. 13 to 14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appreciation viewing screen.

도 12를 참조하면, 감상 콘텐츠 생성은 사진 이미지를 디폴트로 텍스트, 오디오, 동영상을 추가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감상 콘텐츠 저장시에는 여러 공유 옵션을 선택한 후에 저장할 수 있도록 구현되며, 같은 장소에서 매일 1개씩 작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the creation of viewing content is implemented so that text, audio, and video can be added to a photo image by default. When saving content to watch, it is implemented so that it can be saved after selecting several sharing options, and you can write one every day in the same place.

각 공유 옵션은 다음과 같다. Each sharing option is as follows.

전체공유: 저장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설정.Share all: A setting that can be viewed by all users using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saving.

현장공유: 해당 장소 내에 있는 사용자만 볼 수 있는 설정 (인증 이미지는 얼굴인식을 포함).On-site sharing: A setting that can only be seen by users within the location (authentication images include facial recognition).

개별공유: 사용자 본인 또는 개별적으로 특정 사용자만 볼 수 있도록 하는 설정.Private Sharing: A setting that can only be viewed by you or by specific users individually.

즉시공유: 저장시 바로 볼 수 있는 설정.Instant Share: Settings that can be viewed immediately upon saving.

예약설정: 예약한 시점부터 볼 수 있도록 설정.Reservation Settings: Set to be viewed from the time of reservation.

도 13을 참조하면, 뒤로가기 버튼, 장소명칭, 장소소개 메뉴, 공유 메뉴로 화면 상단을 구성하고, 그 하단에는 n * n 배열로 어떤 콘텐츠 타입(이미지, 텍스트, 오디오, 동영상)을 담고 있는지 알 수 있도록 표시되며, 공유 형태에 대한 부분은 가장 작은 타일 화면으로 축소되더라도 보이도록 디자인하며, 감상을 기록한 시간과 감상창에서의 위치는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단에 표시한다.Referring to FIG. 13 , the top of the screen is configured with a back button, place name, place introduction menu, and share menu, an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you can see what type of content (image, text, audio, video) it contains in an n * n array. The shared form is designed to be visible even when it is reduced to the smallest tile screen, and the time recorded for the viewing and the location in the viewing window are displayed at the bottom so that the user can know.

장소소개 메뉴를 클릭하면 해당 장소에 대한 소개페이지로 이동하도록 구현하고, 공유 메뉴는 3 * 3 배열일 때만 나타나고 그 이하로 창들이 축소되면 사라지도록 구성하고, 3 * 3 배열 화면과 1 * 1 배열 화면에서만 공유 메뉴가 등장하되, 공유는 3 * 3 배열 화면으로 공유되도록 구현한다.When the place introduction menu is clicked, it is implemented to move to the introduction page for the corresponding place, and the share menu appears only in a 3 * 3 arrangement and disappears when the windows are reduced to less than that, and a 3 * 3 screen and 1 * 1 arrangement The share menu appears only on the screen, but sharing is implemented to be shared in a 3 * 3 arrangement screen.

감상 콘텐츠에 대한 공유 옵션 설정에 따라 다르게 표시되도록 구현하되, 예를 들어, 현장공유는 반투명, 개별공유는 잠금으로 표시한다. 한편, 사용자 본인의 감상은 구별이 되는 색깔로 표시되도록 하고, 축소/확대/이동이 자유롭도록 하되 위도/경도의 좌표처럼 감상창 내에서의 위치가 좌표처럼 표시되도록 구현한다.It is implemented to display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haring option setting for the content to be viewed. For example, on-site sharing is semi-transparent and individual sharing is displayed as locked. On the other hand, the user's own appreciation is displayed in a distinguishing color and reduced/enlarged/moved freely, but the location in the listening window is displayed as coordinates like latitude/longitude coordinates.

도 14를 참조하면, X축의 최대칸을 19칸으로 설정하고 지그재그로 감상이 배열될 수 있도록 구현하되, 지뢰 찾기의 화면처럼 중간 중간에 공유 옵션 형태에 따라 상이하게 표시가 되도록 화면을 구성한다. 또한, 어떤 화면에서나 해당 감상을 누르면 전체 화면으로 선택한 감상 콘텐츠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Referring to FIG. 14 , the maximum space of the X-axis is set to 19 spaces, and the views are arranged in a zigzag manner, but the screen is configured to be display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sharing option in the middle, like the screen of a minesweeper. In addition, it is implemented so that you can check the contents of the selected viewing content in full screen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viewing on any screen.

도 15에서, 만약 현장 공유 옵션으로 선택된 경우에 사용자가 현장에 있지 않으면 반투명으로 감상 콘텐츠의 내용을 볼 수 없도록 구성해야 하며, 개별 공유로 선택된 경우엔 잠금 화면 위에 인증 화면을 팝업시켜 인증한 후에만 해당 감상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예약 설정이 되어 있다면 카운트 다운이 되도록 구현한다.In FIG. 15 , if the on-site sharing option is selected, the user cannot view the contents of the listening content in a semi-transparent manner unless the user is on the site. Make it possible to view the viewing content. On the other hand, if the reservation is set, it is implemented so that it counts down.

도 16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애클리케이션에서 각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구현된 예시도이다.16 to 29 are exemplary diagrams implemented in each user's mobile terminal in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다양한 화면 구성의 실시예는 예시에 불과하며, 상기 도면의 화면 구성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되거나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f course, the embodiments of the various screen configurations are merely examples, and may be changed or selected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o the screen configurations of the drawings.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소에 대한 통합 반응지수에 관한 것으로, 장소 반응지수를 위한 가중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소에 대한 통합 반응지수에 관한 것으로, 흔적 반응지수를 위한 가중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0 is a view for explaining a weight for a place reaction index with respect to an integrated reaction index for a p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1 is an integrated reaction for a p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garding the index,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weight for the trace response index.

장소에 대한 통합 반응지수는 장소 반응지수와 흔적 반응지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장소에 대한 통합 반응지수는 사용자가 적극적으로 장소에 대해 반응했던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중치를 적용하여 계산하는데 장소 반응지수와 흔적 반응지수를 합한 값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integrated reaction index for a place can be expressed as the sum of the place reaction index and the trace reaction index. The integrated reaction index for a place is calculated by applying a weight based on the data that the user has actively responded to the place, and it can be expressed as the sum of the place reaction index and the trace reaction index.

따라서,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장소 A의 통합 반응지수는 구하면, 장소 반응지수 448과 흔적 반응지수 46의 합인 494로 계산될 수 있다.Therefore, if the integrated reaction index of place A is obtained using the weights shown in FIGS. 30 and 31, it can be calculated as 494, which is the sum of the place reaction index 448 and the trace reaction index 4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체 반응수는 모든 장소에서 취합된 사용자 반응 데이터 전체를 의미하고, 전체 반응수에 대한 부분은 월/분기/반기와 같이 주기적으로 돌아오는 날짜를 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어, 분기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 3/31, 6/30, 9/30, 12/31 데이터를 자동으로 반영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tal number of responses means the entire user response data collected in all places, and the part of the total number of responses is based on a date that periodically returns, such as month/quarter/half year. For example, 3/31, 6/30, 9/30, and 12/31 data can be automatically reflected in the case of quarter data.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소 반응지수와 통계지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lace response index and statistical indicat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되는 통계 지표로는 통계요약과 장소별 통계, 분야별 베스트, 흔적반응 베스트, 이벤트 신청 현황 통계가 있다. As shown in FIG. 32 , the provided statistical indicators include statistical summary, statistics by place, best by field, best trace response, and event application status statistics.

여기서, 통계요약에는 메인화면 조회수, 장소전체 조회수, 장소전체 공감수, 장소전체 흔적수, 이벤트 신청자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장소별 통계에는 장소별 조회수, 장소별 공감수, 장소별 일반흔적수, 장소별 현장흔적수, 장소별 일반공유수, 장소별 현장공유수, 장소별 머무른 시간, 장소별 소셜데이터, 언어별 통계도 추출을 포함할 수 있다. 분야별 베스트에는 베스트 조회수, 베스트 공감수, 베스트 흔적수를 포함할 수 있다. 흔적반응 베스트에는 조회수/좋아요/댓글수에 따른 반응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신청 현황 통계에는 기간별/지역별/연령별/성별 이벤트 신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atistical summary may include the number of views of the main screen, the number of views of the whole place, the number of sympathy for the whole place, the number of traces of the whole place, the number of event applicants, and the like. Statistics by place include number of views by place, number of empaths by place, general traces by place, site traces by place, general public by place, site share by place, time spent by place, social data by place, statistics by language Extraction may also be included. The best in each field may include the number of best views, best impressions, and best traces. Trace response best may include a response index according to the number of views/likes/comments. Event application status statistics may include event application information by period/region/age/gend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장소 반응지수는 장소 반응 현황 실시간 모니터링, 개별 장소 별 데이터의 융합/분석, 반응 상태에 따른 장소 추천, 장소반응 베스트 추출에 이용될 수 있다. The place reaction index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real-time monitoring of place reaction status, fusion/analysis of data for each place, place recommendation according to the reaction state, and best extraction of place reaction.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33 is a flowchart of a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3을 참조하면,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방법은 S100 내지 S900을 포함할 수 있다. S100 내지 S900과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32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33 , the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method may include steps S100 to S900. For detailed descriptions related to S100 to S900, reference will be made to detailed descriptions related to FIGS. 1 to 32 .

먼저, 장소 입력부(100)에서, 특정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지정된 장소를 입력받는다(S100). First, in the place input unit 100, a designated place is input from a mobile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belonging to a specific group (S100).

S100 이후, 위치 인식부(200)에서, 장소 입력부(100)로부터 장소의 정보를 수신하여(S200) 장소의 위치를 인식한다(S300).After S100 , the location recognition unit 200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place from the place input unit 100 ( S200 ) and recognizes the location of the place ( S300 ).

S300 이후, 콘텐츠 저장부(300)에서, 위치 인식부(20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S400), 인식된 위치에서 생성된 콘텐츠를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아 위치정보와 생성된 콘텐츠를 디지털 흔적으로 저장한다(S500).After S300, the content storage unit 30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recognition unit 200 (S400), receives the content generated at the recognized loc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convert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generated content into a digital trace. Save (S500).

S500 이후, 네트워크 연결부(400)에서, 모바일 단말기를 특정 그룹의 포털 사이트에 접속시킨다(S600).After S500, the network connection unit 400 connects the mobile terminal to a portal site of a specific group (S600).

S600 이후, 네트워크 연결부(400)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가 특정 그룹의 포털 사이트에 접속되어 콘텐츠 저장부가 저장한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를 활성화시킬 때, 제어부(500)에서 네트워크 연결부(400)로부터 모바일 단말기 접속신호를 수신하여(S700) 콘텐츠 저장부(300)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추출한다(S800).After S600 , when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rtal site of a specific group through the network connection unit 400 and activates any one of the contents stored by the content storage unit, the control unit 500 sends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network connection unit 400 By receiving the access signal (S700),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300 is extracted (S800).

S800 이후, 제어부(500)에서, 위치정보와 활성화된 콘텐츠가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S900).After S800, the controller 500 cause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activated content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S9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includ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a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 및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since this is only exemplary,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herefrom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and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제1 모바일 단말기 20 : 제2 모바일 단말기
30 : 제3 모바일 단말기 40 : 제4 모바일 단말기
100 :장소 입력부 200 : 위치 인식부
300 : 콘텐츠 저장부 400 : 네트워크 연결부
500 : 제어부 1000 :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
10: first mobile terminal 20: second mobile terminal
30: third mobile terminal 40: fourth mobile terminal
100: place input unit 200: location recognition unit
300: content storage unit 400: network connection unit
500: control unit 1000: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Claims (8)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장소를 입력받는 장소 입력부;
상기 장소 입력부에 입력된 장소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부;
인식된 위치에서 생성된 콘텐츠를 상기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아, 위치정보와 상기 생성된 콘텐츠를 디지털 흔적으로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
특정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이 소지하는 상기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를 특정 그룹의 포털 사이트에 접속시키는 네트워크 연결부; 및
상기 네트워크 연결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 포털 사이트에 접속되어 상기 콘텐츠 저장부가 저장한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를 활성화시킬 때,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위치정보와 활성화된 콘텐츠가 해당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 중 어느 하나가 해당 장소에서 설정거리 이내로 접근하였을 때 해당 모바일 단말기에 해당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현장 공유 및 상기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 중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에 해당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비밀 공유 중 적어도 하나의 공유 형태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 중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에 해당 콘텐츠를 특정 장소와 특정 시간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특정 그룹의 포털 사이트에 접속된 경우 감상 횟수의 인기가 많은 순으로 해당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콘텐츠 저장부는,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특정 장소에 도달한 경우 감상 콘텐츠를 사용자에 의해 기록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특정 장소에 대한 감상 횟수와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특정 장소까지 남은 거리를 각각 실시간 업데이트하고,
감상 콘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거리가 상기 특정 장소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설정되어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상기 특정 장소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들어오면 감상 콘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입력 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
a place input unit for receiving at least one designated place from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a locati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location of the location input to the location input unit;
a content storage unit receiving the content generated at the recognized location from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and sto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generated content as a digital trace;
a network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owned by users belonging to a specific group to a portal site of a specific group; and
When one of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is connected to a set portal site through the network connection unit and activating any one of the contents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is extracted, and the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activated content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The control unit is
During on-site sharing for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on the mobile terminal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approaches within a set distance from the corresponding place, and secret sharing for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on a designated mobile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Set at least one sharing type,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on a specified mobile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at a specific place and at a specific tim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a portal site of a specific group,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displayed in the order of popularity of the number of viewings,
The content storage unit,
It is implemented to record the content to be enjoyed by the user when a specific place is reach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pdating the number of times of listening to the specific place and the remaining distanc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specific place in real time, respectively,
Provided is an input window for recording the viewing content when the distance at which the viewing content can be recorded is set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specific place a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specific place. A location-based digital trail provid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장소는 기 설정되거나 상기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를 소지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esignated place is preset or designated by an input of a user who possesses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장소가 실외일 때 상기 위치 인식부는 GPS(Gr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입력된 장소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지정된 장소가 실내일 때 상기 위치 인식부는 비콘(becon)이나 실내측위장치를 이용하여 입력된 장소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designated place is outdoors, the location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e location of the input location us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nd when the designated location is indoors, the location recognition unit uses a beacon or an indoor positioning device. A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recognizes the location of the input pl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 모두에 해당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전체 공유 형태를 더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setting the overall sharing form so that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displayed on all of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 중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에 해당 콘텐츠가 특정 장소에서 특정 시간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is displayed on a specified mobile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at a specific place at a specific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부는 상기 콘텐츠 저장부가 저장한 콘텐츠가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웹(web)으로 연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network connection unit is a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stored by the content storage unit is linked to the web (web) by a specific user inte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디스플레이시킨 콘텐츠가 설정 배율 이상의 이미지 콘텐츠일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콘텐츠의 특정 위치에 마커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마커가 클릭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상기 지정된 장소의 명칭과 감상 횟수가 팝업 창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의 디지털 흔적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content displayed by the controller is image content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magnification, the controller causes a marker to be formed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image content, and when the marker is clicked, the name of the designated place and the number of viewings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A location-based digital tra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layed as a pop-up window.
삭제delete
KR1020200101571A 2020-08-13 2020-08-13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digital footprint based on location KR1024309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571A KR102430932B1 (en) 2020-08-13 2020-08-13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digital footprint based on lo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571A KR102430932B1 (en) 2020-08-13 2020-08-13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digital footprint based on lo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935A KR20220021935A (en) 2022-02-23
KR102430932B1 true KR102430932B1 (en) 2022-08-11

Family

ID=80495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571A KR102430932B1 (en) 2020-08-13 2020-08-13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digital footprint based on lo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93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880B1 (en) * 2014-09-24 2015-09-01 톡크 주식회사 Application for Sharing Service of Mobile Location Based Opening Information in Social Network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0279A (en) 2012-03-29 2013-10-10 김현우 Using facebook and smartphone share real-time travel information service
KR20170068663A (en) * 2015-12-09 2017-06-20 (주) 세일테크노 Beacon-based mobile inform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69396B1 (en) * 2016-09-05 2018-07-25 김한울 Method for creating a post for place-based sns, terminal, server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880B1 (en) * 2014-09-24 2015-09-01 톡크 주식회사 Application for Sharing Service of Mobile Location Based Opening Information in Social Network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935A (en) 202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98236B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personalized map
CN101578626B (en) Mode information displayed in a mapping application
CN101606039B (en) Dynamic map rendering as function of user parameter
Steiniger et al. Foundations of location based services
US20020183072A1 (en) BeyondguideTM method and system
US200501920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teractive tour-guide system
US20100088631A1 (en) Interactive metro guide map and portal system, methods of operation, and storage medium
US201102705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ized presentations based on navigation information
US20070233367A1 (en) Methods for Interaction, Sharing, and Exploration over Geographical Locations
US20160034827A1 (en) Automated diary population ii
US10909474B2 (en) Triggering an automatic creation of an event stamp
JP2015018545A (en) Trave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trave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KR20150079739A (en) Obtaining event reviews
US10929463B1 (en) Arranging location based content for mobile devices
US20130084833A1 (en) Dynamic navigational system
US20130253963A1 (en) Interactive mapp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KR102430932B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digital footprint based on location
US201203212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matic map creation
Kountouris et al. Survey on intelligent personalized mobile tour guides and a use case walking tour app
Rifat et al. Location based Information system using OpenStreetMap
CN113326446A (en)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ntent context information-based service
Almer et al. A tourism information system for rural areas based on a multi platform concept
CHEN et al. Using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echniques to develop a location-based tour guiding system based on user evaluations
JP2010139287A (en) System for introducing/guiding destination using cellular phone
WO2016058043A1 (en) Identifying method and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