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781B1 - Drafting machine using bearings - Google Patents

Drafting machine using bearing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781B1
KR102430781B1 KR1020200145110A KR20200145110A KR102430781B1 KR 102430781 B1 KR102430781 B1 KR 102430781B1 KR 1020200145110 A KR1020200145110 A KR 1020200145110A KR 20200145110 A KR20200145110 A KR 20200145110A KR 102430781 B1 KR102430781 B1 KR 102430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ring
bearing
plate
spirograph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1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59662A (en
Inventor
박관근
Original Assignee
박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관근 filed Critical 박관근
Priority to KR1020200145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781B1/en
Publication of KR20220059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6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7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3/00Drawing instruments, or writing or drawing appliance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9/00Circular curve-drawing or like instruments

Landscapes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베어링을 이용한 작도기에 관한 것으로, 기능을 달리하는 작도용 판이 하나의 베어링 틀에서 삽탈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도형의 작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을 이용한 작도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작도판의 테두리 끝단에 요철 형성된 톱니 고정부; 톱니 고정부와 맞물려 결합되며 베어링 틀 내륜의 내면 하부 또는 상부 중 어느 한 부분에 톱니를 가지는 내륜 톱니; 내륜 톱니의 타단에 형성된 받침부; 및 상기한 베어링 틀 내륜 톱니에 대응되어 테두리에 톱니를 가지며 내륜 톱니에 맞물려 돌아가는 스피로그래프 판; 스피로그래프 판의 지름이 베어링 내륜 내면 지름보다 더 작게 형성되고, 베어링 틀 내륜의 상단면이 외륜의 상단면보다 더 높거나 낮고 또한 내륜의 하단면이 외륜의 하단면 보다 더 높거나 낮음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을 이용한 작도기이다. 이와 같이 베어링을 이용한 작도기는 각기 다른 회전판을 하나의 회전틀에서 탈착시키며 용도에 맞게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되는 회전틀의 숫자를 줄여 보관과 휴대를 간편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construction machine using a bearing, and relates to a construction machine using a bearing that allows a drawing plate with different functions to be inserted and detached from a single bearing frame so that various figures can be drawn. Tooth fixing portion formed unevenly at the edge end of the plate; an inner ring tooth engaged with the tooth fixing part and having teeth on either the lower or upper inner surface of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frame; a support portion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inner ring tooth; and a spirograph plate having teeth on the rim corresponding to the teeth of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frame and rotating in engagement with the teeth of the inner 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spirograph plate is formed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frame is higher or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ring,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ring is higher or low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ring It is a construction machine using bearings. As described above, the construction tool using bearings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number of rotating frames used by detaching different rotating plates from one rotating frame and allowing them to be used according to their intended use, making storage and portability easier.

Figure 112020117104516-pat00001
Figure 112020117104516-pat00001

Description

베어링을 이용한 작도기 {DRAFTING MACHINE USING BEARINGS}Drawing machine using bearings {DRAFTING MACHINE USING BEARINGS}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베어링을 이용한 작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능을 달리하는 작도용 판이 베어링에 삽탈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도형의 작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을 이용한 작도기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construction machine using a bea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struction machine using a bearing that allows a drawing plate having a different function to be inserted and removed from the bearing so that various figures can be constructed.

작도기는 다양한 모양의 도형이나 기하학적인 선을 그리기 위한 도구이다. 이러한 작도기는 대표적으로 원을 그리는데 사용하는 콤파스나 기하학적인 선을 그리는데 사용하는 스피로그래프가 있다.Constructor is a tool for drawing various shapes or geometric lines. There are typically compasses used to draw circles and spirographs used to draw geometric lines.

상기한 콤파스는 축이 되는 송곳부와 필기구가 고정되어 원주를 회전하며 그려지는 작용부의 움직임에 의해 원을 그릴 때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한편으로 콤파스 송곳의 위험성과 원작도 시 어려움으로 인해 출원번호 제1020160128908호 "다기능 작도기"와 같이 회전틀과 회전틀 내에서 돌아가는 회전판을 통해 원을 그리는 회전판을 이용한 원 작도기도 사용되어 오고 있다.The above-described compass has been widely used when drawing a circle by the movement of the working part drawn while rotating the circumference in which the awl part and the writing instrument, which are the axes, are fixed. However,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dangers of the compass awl and the difficulty of the original drawing, an original drawing tool using a rotary plate that draws a circle through a rotary frame and a rotary plate rotating within the rotary frame has been used, such as Application No. .

또한 상기한 스피로그래프는 1965년 어린이 교재 완구로 개발된 것으로 원주상의 회전하는 플라스틱 톱니바퀴에 필기구를 끼워 회전시킴으로써 기하학적인 문양을 그릴 수 있게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spirograph was developed as a children's educational toy in 1965, and it is possible to draw a geometric pattern by rotating a writing instrument by inserting a rotating plastic cog wheel on the circumference.

하지만, 상기한 작도기들은 그리고 싶은 도형의 모양에 따라 각기 다른 작도기 틀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는 보관과 휴대가 어려운 문제가 있어 왔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struction machines have to use different construction equipment frame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desired figure, which is difficult to store and carry.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형의 모양에 따라 작동방식이 각기 다른 작도용 회전판들을 하나의 회전틀에서 용도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각기 다른 회전틀의 숫자를 줄여 보관과 휴대가 용이한 베어링을 이용한 작도기를 제공 하는데 있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use rotating plates for different opera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igure in one rotating frame according to the use. It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tool using a bearing that is easy to store and carry by reducing the number of different rotating frames by making them usable by replacing them.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tasks to be achiev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another task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베어링 내륜의 상단면이 외륜의 상단면보다 더 높거나 낮고 또한 내륜의 하단면이 외륜의 하단면보다 더 높거나 낮음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을 이용한 작도기.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construction machine using a bea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bearing inner ring is higher or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ring,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ring is higher or low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ring.

작도판이 베어링 내륜의 내면에 삽탈되도록 작도판의 테두리 끝단에 요철 형성된 톱니 고정부가 베어링 내륜 내면 일단에 형성된 내륜 톱니에 요철 결합되고, 작도판이 베어링 내륜을 관통하지 않도록 베어링 내륜 톱니 타단에 형성된 받침부에 작도판의 톱니 고정부가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을 이용한 작도기.The tooth fixing part formed on the edge end of the drawing plate is unevenly coupled to the inner ring tooth formed at one end of the inner ring inner surface so that the drawing plate is inserted and detached from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and the supporting part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tooth of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so that the drawing plate does not penetrate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A construction device using a bea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tooth fixing part of the construction plate is supported.

스피로그래프 판의 테두리 끝단에 형성된 스피로그래프 톱니는 베어링 내륜 톱니에 맞물려 돌아갈 수 있는 압력각과 형상을 가지며, 스피로그래프 판의 지름이 베어링 내륜 내면 지름보다 더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을 이용한 작도기.The spirograph teeth formed at the edge end of the spirograph plate have a pressure angle and shape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teeth of the bearing inner ring, and the diameter of the spirograph plate is formed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이상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을 이용한 작도기는 각기 다른 회전판을 하나의 회전틀에서 탈착시키며 용도에 맞게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되는 회전틀의 숫자를 줄여 보관과 휴대를 간편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As disclosed above, the construction machine using bearings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number of rotating frames used by detaching different rotating plates from one rotating frame and allowing them to be used according to their intended use, thereby simplifying storage and portability.

본 개시에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베어링을 이용한 작도기의 틀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베어링을 이용한 작도기 틀에 작도판이 결합되기 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베어링을 이용한 작도기 틀에 작도판이 결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베어링을 이용한 작도기 틀에 작도판이 결합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베어링을 이용한 작도기 틀에 작도판이 결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베어링을 이용한 작도기 틀에 스피로그래프 판이 결합되기 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베어링을 이용한 작도기 틀에 스피로그래프 판이 결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베어링을 이용한 작도기 틀에 스피로그래프 판이 결합된 것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베어링을 이용한 작도기 틀에 스피로그래프 판이 결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is disclosure,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rame of a construction machine using a be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before the construction plate is coupled to the construction equipment frame using the be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at the construction plate is coupled to the construction equipment frame using the be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plan view showing that the construction plate is coupled to the construction equipment frame using the be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at the construction plate is coupled to the construction equipment frame using the be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before the spirograph plate is coupled to the construction tool frame using the be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spirograph plate is coupled to the construction machine frame using the be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rear view showing that the spirograph plate is coupled to the construction machine frame using the be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spirograph plate is coupled to the construction machine frame using the be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describ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disclosure.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an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 or step ,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an operation, a compon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disclosure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disclosure. does not

그리고, 본 개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clarify that the classification of the constituent units in the present disclosure is merely a division for each main function that each constituent unit is responsible for. That is, two or more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for each more subdivided function. In addition, each of the constituent units to be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other constituent units in addition to the main function it is responsible for. Of course, it can also be performed exclusively by

이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urn.

일반적으로 베어링은 외륜(100), 리테이너(300), 볼(310), 내륜(200)으로 구성된다.In general, the bearing is composed of an outer ring 100 , a retainer 300 , a ball 310 , and an inner ring 200 .

외륜(100)은 베어링의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것으로 외륜(100) 내면에 볼(310)이 굴러 갈 수 있는 볼 가이드a(110)가 형성된다.The outer ring 100 constitutes the edge of the bearing, and a ball guide a 110 through which the ball 310 can roll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ring 100 .

리테이너(300)는 외륜(100)과 내륜(200) 사이에 위치하여 볼(310)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준다.The retainer 300 is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ring 100 and the inner ring 200 to constantly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ball 310 .

볼(310)은 리테이너(300)의 홈에 일정한 간격으로 끼워져 고정되며 구름운동을 통해 외륜(100)과 내륜(200) 사이에 위치한다.The balls 310 are fixed by being fitted into the grooves of the retainer 300 at regular intervals and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ring 100 and the inner ring 200 through rolling motion.

내륜(200)은 베어링의 가장 안쪽에서 베어링을 구성하는 것으로 내륜(200)의 외면에 볼(310)이 굴러갈 수 있는 볼 가이드b(240)가 형성된다.The inner ring 200 constitutes a bearing at the innermost side of the bearing, and a ball guide b 240 through which the ball 310 can roll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ring 200 .

이상으로 상술한 베어링은 일반적인 베어링의 구성과 형태를 설명한 공지 기술이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주요 특징인 작도판(400)과 스피로그래프 판(500)이 베어링과 결합되어 작동되기 위해 상호 어떤 형태적 특징과 기술적 사상을 가지는지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above-described bearing is a known technique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shape of a general bearing. Hereinafter, the drawing plate 400 and the spirograph plate 500, which are the main feature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bout what kind of morphological features and technical ideas each other has in order to be operated in combination with a bearing.

도 1은 본 개시가 구현되는 베어링을 이용한 작도기의 틀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이하에서는 베어링을 구성하는 외륜(100), 리테이너(300), 볼(310) 및 내륜(200)이 결합된 형상을 작도판(400)과 스피로그래프 판(500)의 상대적 개념인 베어링 틀(600)로 명명한다. 또한 베어링 틀(600)을 조립하는 방식과 베어링 틀(600)이 작동되는 방식 또한 베어링과 동일한 공지의 기술로서 생략한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e of a construction machine using a bearing in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is implemented. Hereinafter, an outer ring 100, a retainer 300, a ball 310, and an inner ring 200 constituting the bearing are combined. The shape is called a bearing frame 600 which is a relative concept of the drawing plate 400 and the spirograph plate 500 . In addition, the method of assembling the bearing frame 600 and the method of operating the bearing frame 600 are also omitted as the same known technique as the bearing.

본 개시에 따른 베어링을 이용한 작도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판 테두리에 톱니 모양으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톱니 고정부(420)와 원형의 판을 상하로 관통하는 다수의 필기구 삽입공a(410)를 갖는 작도판(400), 작도판(400)이 베어링 틀(600)의 내륜(200)에 결합 될 수 있도록 내륜(200) 내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내륜 톱니(21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작도판(400) 테두리에 위치한 다수의 톱니 고정부(420)가 베어링 틀(600) 내륜(200)에 위치한 내륜 톱니(210)에 수직으로 요철 결합 된다. 이때 작도판(400)이 베어링 틀(600) 내륜(200)을 관통하여 통과하지 못하도록 작도판(400)의 톱니 고정부(420)가 베어링 틀(600)의 내륜 톱니(210) 타단에 위치한 받침부(220)에 지지된다. A construction machine using a be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s shown in FIGS. 2 and 3 , a sawtooth fixing part 420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in a sawtooth shape on a circular plate rim and a plurality of penetrating the circular plate up and down A drawing plate 400 having a writing instrument insertion hole a 410 of ) a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 plurality of tooth fixing parts 420 located on the edge of the drawing plate 400 are vertically unevenly coupled to the inner ring teeth 210 located on the inner ring 200 of the bearing frame 600 . At this time, to prevent the drawing plate 400 from passing through the inner ring 200 of the bearing frame 600 , the tooth fixing part 420 of the drawing board 400 is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inner ring tooth 210 of the bearing frame 600 . It is supported on the part 220 .

도 4는 베어링 틀(600)에 작도판(40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내륜 톱니(210)와 톱니 고정부(420)가 서로 요철 결합된 것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 틀(600)에서 바닥에 닿는 부분인 외륜(100)을 눌러 고정하고 작도판(400)의 필기구 삽입공a(410)에 필기구를 넣어 회전시킬 때 내륜 톱니(210)와 톱니 고정부(420)가 서로 맞물려 일체화 되어 회전한다. 또한 내륜(200)의 바닥면과 작도판(400)의 바닥면은 외륜(100)의 바닥면에 비해 수직으로 상승 이격되어 회전시 마찰이 생기지 않도록 형성된다.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awing plate 400 is coupled to the bearing frame 600, in which the inner ring teeth 210 and the tooth fixing part 420 are unevenly coupl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In the frame 600, the outer ring 100, which is the part that touches the floor, is pressed and fixed, and when the writing instrument is inserted into the writing instrument insertion hole a 410 of the drawing plate 400 and rotated, the inner ring teeth 210 and the teeth fixing part 420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rotate as one unit.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ring 20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ing plate 400 are vertically upwardly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ring 100 so that friction does not occur during rotation.

상기한 작도판(400)과 베어링 틀(600)의 결합에 있어 내륜 톱니(210)와 톱니 고정부(420)의 결합방식은 힘을 전달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식을 설명한 것으로 힘을 전달하는 방식에 대해 본 개시에 설명되지 않은 공지의 기술 또한 본 개시를 구현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포함되어야 함은 물론이다.In the coupling of the drawing plate 400 and the bearing frame 600, the coupling method of the inner ring tooth 210 and the tooth fixing part 420 describes a representative method for transmitting the forc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well-known technologies not described in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als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disclosure.

도 6은 원형의 판 테두리에 톱니 형성된 스피로그래프 톱니(520)와 원형의 판을 상하로 관통하는 다수의 필기구 삽입공b(510)를 갖는 스피로그래프 판(500), 스피로프래프 판(500)이 결합되어 작동되기 위해 180도 상하로 뒤집혀 도시된 베어링 틀(600)의 사시도이다.FIG. 6 is a spirograph plate 500 and spiroprep plate 500 having spirograph teeth 520 in which the circular plate edges are serrated and a plurality of writing instrument insertion holes b 510 penetrating the circular plate up and down. This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earing frame 600 shown upside down by 180 degrees to be combined and operated.

도 7은 상기 스피로그래프 판(500)의 스피로그래프 톱니(520)가 베어링 틀(600)의 내륜 톱니(210)에 맞닿아 서로 물려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8에 배면 도시된 바와 같이 내륜(200)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 상태에서 내륜(200)의 내면 지름보다 더 작은 지름을 가지는 스피로그래프 판(500)의 스피로그래프 톱니(520)가 내륜 톱니(210)를 타고 회전한다. 이때 스피로그래프 톱니(520)는 베어링 내륜 톱니(210)에 맞물려 돌아갈 수 있는 압력각과 형상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스피로그래프 판(500)이 작동되기 위해서는 내륜(200)이 움지이지 않도록 고정되어야 하는데 도 9의 도시한 바와 같이 외륜(100)의 바닥면이 내륜(200)의 하부 바닥면 보다 상부로 이격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도형 작도시 외륜(100)을 손으로 눌러 움지이지 않도록 고정할 때 외륜(100)이 받는 수직하중은 볼(310)에 인가되고 다시 내륜(200)에 전달되어 내륜(200)의 하부면이 작도하려는 지면 위에 강하게 밀착되어 정지 마찰력을 가지며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내륜(200) 하부 바닥면이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외륜(100)을 회전시키더라도 내륜(200)은 그대로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는 내륜(200)의 하부 바닥면과 지면 사이에 작용하는 미끄럼 마찰력이 외륜(100)과 볼에 작용하는 구름 마찰력보다 더 크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내륜(200)의 하부 바닥면이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외륜(100)이 회전되더라도 내륜(20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외륜(100)만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내륜(200)이 안정적으로 지면에 고정된 상태로 스피로그래프 판(500)을 내륜 톱니(210)에 맞물려 회전시켜 도형을 그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pirograph teeth 520 of the spirograph plate 500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ring teeth 210 of the bearing frame 600 and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ring 200 is fixed so as not to move, the spirograph teeth 520 of the spirograph plate 500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inner surface diameter of the inner ring 200 rotate on the inner ring teeth 210 . At this time, the spirograph tooth 520 has a pressure angle and shape that can be returned by meshing with the bearing inner ring tooth 210 . As described above, in order for the spirograph plate 500 to operate, the inner ring 200 must be fixed so as not to move. It can be seen that they are separated. This is because the vertical load received by the outer ring 100 is applied to the ball 310 when the outer ring 100 is pressed by hand and fixed so that it does not move when drawing a figure, and is transmitted to the inner ring 200 again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ring 200 is This is to ensure that it is strongly adhered to the ground to be constructed and has static friction to be fixed. Here, even if the outer ring 100 is rotated in a state where the lower bottom surface of the inner ring 200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inner ring 200 maintains a stationary state as it is, which is a sliding action between the lower bottom surface of the inner ring 200 and the ground. This is because the frictional force is greater than the rolling frictional force acting on the outer ring 100 and the ball. As such, even if the outer ring 100 is rotated while the lower bottom surface of the inner ring 200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inner ring 200 maintains a fixed state and only the outer ring 100 rotates. 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ring 200 is stably fixed to the ground, the spirograph plate 500 is engaged with the inner ring teeth 210 and rotates to draw a figure.

100 : 외륜 110 : 볼 가이드a
200 : 내륜 210 : 내륜 톱니
220 : 받침부 230 : 볼 가이드b
300 : 리테이너 310 : 볼
400 : 작도판 410 : 필기구 삽입공a
420 : 톱니 고정부 500 : 스피로그래프 판
510 : 필기구 삽입공b 520 : 스피로그래프 톱니
600 : 베어링 틀
100: outer ring 110: ball guide a
200: inner ring 210: inner ring teeth
220: support 230: ball guide b
300: retainer 310: ball
400: drawing plate 410: writing instrument insertion hole a
420: tooth fixing part 500: spirograph plate
510: writing instrument insertion hole b 520: spirograph sawtooth
600: bearing frame

Claims (2)

도형 작도기에 있어서,
테두리 끝단에 요철 형성된 톱니 고정부를 갖는 작도판;
테두리에 형성된 스피로그래프 톱니를 갖는 스피로그래프 판; 및
상기 톱니 고정부 또는 상기 스피로그래프 톱니와 맞물리도록 내면에 형성된 내륜 톱니와 상기 내륜 톱니의 일단에 형성된 받침부를 갖는 내륜, 및 상기 내륜을 둘러싸는 외륜을 구비하는 베어링 틀;
을 포함하되,
상기 내륜의 하면이 상기 외륜의 하면보다 높게 위치하고 상기 내륜의 상면이 상기 외륜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작도기.
In the figure builder,
Drawing plate having a serrated fixing part formed at the edge end;
Spirograph plate having spirograph teeth formed on the rim; and
a bearing frame having an inner ring having an inner ring tooth formed on an inner surface to engage with the tooth fixing part or the spirograph tooth, and a support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inner ring tooth, and an outer ring surrounding the inner ring;
including,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ring is located high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ring, the figure bui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ring is locat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ring.
삭제delete
KR1020200145110A 2020-11-03 2020-11-03 Drafting machine using bearings KR1024307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110A KR102430781B1 (en) 2020-11-03 2020-11-03 Drafting machine using bearin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110A KR102430781B1 (en) 2020-11-03 2020-11-03 Drafting machine using bearin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662A KR20220059662A (en) 2022-05-10
KR102430781B1 true KR102430781B1 (en) 2022-08-10

Family

ID=81591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110A KR102430781B1 (en) 2020-11-03 2020-11-03 Drafting machine using bearing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78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166Y1 (en) * 2002-12-11 2003-03-03 박관근 Circle drafting device using rotating pla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166Y1 (en) * 2002-12-11 2003-03-03 박관근 Circle drafting device using rotating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662A (en)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18884B (en) Retaining apparatus
CN209176382U (en) Pressing Writing instrument
CN205075548U (en) Automatic mechanism that send of penknife
EP1942046A2 (en) Drive type of spherical roller
KR102430781B1 (en) Drafting machine using bearings
JP2008266025A (en) Belt retaining device
CN106180879A (en) Modularity adjustable sliding base
CN103174736A (en) Double-shaft type pivot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210821512U (en) Pen with anti-lost pen cap
CN202711143U (en) Driving mechanism for driving display module to mov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5335397A (en) Sliding apparatu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09373864U (en) Describe sinusoidal teaching demonstration device
CN209176381U (en) Press type writing pen
CN211722269U (en) Angle-adjustable multimedia hand-drawing board for art design
CN211415194U (en) Android system-based preschool education robot with walking mechanism
CN110211460A (en) A kind of bicycle wheels frictional force does the apparatus for demonstrating of positive negative work
JP5589181B2 (en) Blackboard ruler
CN206943257U (en) A kind of arrangement of clutch on X-ray machine
CN211062273U (en) English teaching is with word device of spelling fast
CN205915826U (en) Rotatory layer board mechanism of printer
CN205302086U (en) Keyboard lock solid subassembly and mix notebook computer thereof
KR102265111B1 (en) Ruler for forming figures
CN216033435U (en) Teaching equipment for electronic information engineering practical training
KR102002089B1 (en) Character learning card
CN213025120U (en) Sand table for enterprise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